KR100813306B1 - 길이 가변형 스케이트보드 - Google Patents

길이 가변형 스케이트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306B1
KR100813306B1 KR1020070057627A KR20070057627A KR100813306B1 KR 100813306 B1 KR100813306 B1 KR 100813306B1 KR 1020070057627 A KR1020070057627 A KR 1020070057627A KR 20070057627 A KR20070057627 A KR 20070057627A KR 100813306 B1 KR100813306 B1 KR 100813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aster
skateboard
connecting groove
foo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훈
Original Assignee
이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훈 filed Critical 이병훈
Priority to KR1020070057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3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1Skateboards with stee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3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a castor wheel, i.e. a swiveling follow-up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4Whee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0Runner or deck of boards articulated between both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발판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스피드와 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스케이트보드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다수의 길이가변 커넥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스케이트보드를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알맞도록 신축하여 사용함은 물론 상기 길이가변 커넥터는 한 쌍의 발판을 회전함에 따른 회전반경을 줄여주어 작동이 부드러우면서도 다이다믹한 움직임과 높은 스피드를 즐길 수 있으며, 상기 발판을 완전하게 분리한 후 양쪽 발을 각각의 발판에 개별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색다른 스피드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길이 가변형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길이 가변형 스케이트보드{Length variable skateboard}
도 1은 본 발명의 캐스터가 분리된 스케이트보드의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스케이트보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방 캐스터가 가로방향으로 부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고정커넥터 및 길이가변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길이가변 커넥터가 2개 연결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앞발판 및 뒷발판의 고정커넥터가 직접 연결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앞발판 및 뒷발판이 완전하게 분리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캐스터의 설치상태 일부절결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전방 캐스터가 세로방향으로 부착된 상태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앞발판 11, 21: 캐스터지지대
12, 22: 캐스터 13, 23: 고정커넥터
15, 33: 연결돌기 20: 뒷발판
25, 32: 연결홈 30: 길이가변 커넥터
40: 체결수단 41: 렌치홀더
42: 렌치볼트 43: 체결공
본 발명은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발판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스피드와 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스케이트보드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다수의 길이가변 커넥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스케이트보드를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알맞도록 신축하여 사용함은 물론 상기 길이가변 커넥터는 한 쌍의 발판을 회전함에 따른 회전반경을 줄여주어 작동이 부드러우면서도 다이다믹한 움직임과 높은 스피드를 즐길 수 있으며, 상기 발판을 완전하게 분리한 후 양쪽 발을 각각의 발판에 개별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색다른 스피드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길이 가변형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케이트보드는 길이가 긴 판형상의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의 저면 전후방에 각각 구비된 바퀴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스케이트 보드는 사용자가 한발을 플레이트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른 발로 지면을 차면서 스케이트 보드를 밀어 주행을 하게 되며, 주행 중 방향 전환 시에는 사용자가 발로써 플레이트를 진행방향으로 기울이면서 몸의 무게중심도 진행방향으로 이동시켜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스케이트보드는 평지에서 구동력을 얻기 위해서는 한발로 지면을 박차고 진행하거나, 일정한 속도에 다다른 이후 보드의 방향을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움직여 구동력을 얻는 방식을 택하고 있으나, 이러 한 움직임 만으로는 평지에서 강한 구동력을 얻을 수 없으며, 특히 초보자들은 이마저도 쉽게 하지 못하기 때문에 스케이트보드를 손쉽게 즐길 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일부나마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실용신안등록 제421493호 명칭 스케이트보드』가 제안되고 있다.
이에 상기 선등록 고안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선등록 고안은 전면판과 후면판이 힌지를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지면을 발로 구르지 않고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을 회전시키면서 사용자의 무게중심을 진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스케이트보드가 빠른 속도로 전진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선등록 고안은 상기한 유용함에도 다음과 같은 일부의 개선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었다.
우선적으로 선등록 고안을 비롯한 여타 모든 스케이트보드는 규격이 일정하게 한정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적인 조건에 알맞도록 스케이트보드를 신축할 수 없으며, 이는 스케이트보드의 매니아층인 청소년의 경우 하루가 다르게 신체가 성장함에 따라 스케이트보드의 길이는 유동적이어야만 함에도 이를 충족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전면판과 후면판이 하나의 힌지를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작동이 유연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작동에 따른 회전반경이 커서 다이나믹한 움직임과 높은 스피드를 즐길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스케이트보드가 일체형으로 구성됨으로써 스케이트보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스피드를 즐길 수 없으며, 다만 단일 종류의 스피드를 즐길 수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스케이트보드가 내포하고 있는 일부의 개선점들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앞발판과 뒷발판을 다수의 길이가변 커넥터를 이용하여 다단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신체적인 조건에 알맞도록 스케이트보드의 길이를 신축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길이가변 커넥터 및 스케이트보드에 부착된 고정커넥터를 완전하게 분리하여 앞발판과 뒷발판만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색다른 종류의 스피드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앞발판의 저면에 형성된 캐스터지지대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캐스터를 세로방향으로 부착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거나 또는 가로방향으로 부착하여 강력한 스피드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저면에 다수의 캐스터(12)가 부착되고 후방에 연결돌기(15)가 형성된 고정커넥터(13)가 부착된 앞발판(10)과; 저면에 다수의 캐스터(22)가 부착되고 전방에 연결홈(25)이 형성된 고정커넥터(23)가 부착된 뒷발판(20)과; 상기 앞발판(10)의 연결돌기(15)가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연결 홈(32)이 일측에 형성되고, 연결홈(32)의 타측에는 뒷발판(20)의 연결홈(25)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연결돌기(33)가 형성된 길이가변 커넥터(30)와; 상기 길이가변 커넥터(30) 및 고정커넥터(13)(23)의 결합부위를 렌치홀더(41)가 관통 결합되고, 상기 렌치홀더(41)에 렌치볼트(42)가 나사 결합된 체결수단(4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앞발판(10)은 길이가변 커넥터(30)를 매개로 뒷발판(20)과 연결된 상태에서는 도 2와 같이 회전반경이 작아 작동이 원활함은 물론 뒷발판(20)과 독립된 상태로 개별적인 회전이 가능함으로써 더욱 유연한 작동을 보장하며, 다이나믹한 움직임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앞발판(10)은 저면에 캐스터(12)를 장착하기 위한 다수의 캐스터지지대(1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캐스터지지대(11)의 부착면(11a)에는 나사공(11b)이 형성됨으로써 캐스터(12)에 형성된 볼트(12a)를 나사 결합하여 캐스터(12)를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는 한편, 상기 캐스터지지대(11)는 각각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한 쌍이 형성되고, 이 캐스터지지대(11)에는 한 쌍의 캐스터(12)가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선택하여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스터(12)를 가로, 세로방향으로 구분하여 부착하는 이유는 스케이트보드(S)를 타는 사용자의 숙련도를 고려하기 위한 것으로, 초보자의 경우 도 9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부착하면 캐스터(12)가 양측으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여 주행시 스케이트보드(S)가 측방으로 넘어지지 않는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숙련자의 경우에는 가로방향으로 부착하면 도 3과 같이 캐스터(12)가 일직선을 유지하여 높은 스피드를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앞발판(10)은 가로방향에 위치한 캐스터지지대(11)와 이격된 위치의 저면에 고정커넥터(13)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고정커넥터(13)의 후방 선단은 회전 작동시 걸림 현상을 방지하도록 만곡진 회전유지면(14)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회전유지면(14)에 베어링(15a)이 삽입 설치된 연결돌기(15)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한 앞발판(10)에 대응하는 뒷발판(20)은 저면에 캐스터(22)를 장착하기 위한 한 쌍의 캐스터지지대(21)가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캐스터지지대(21)의 부착면(21a)에는 나사공(21b)이 형성됨으로써 캐스터(22)에 형성된 볼트(22a)를 나사 결합하여 캐스터(22)를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는 한편, 상기 고정커넥터(13)와 대응하여 가로방향에 위치한 캐스터지지대(21)와 이격된 위치의 저면에는 고정커넥터(23)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고정커넥터(23)의 전방 선단은 회전 작동시 걸림 현상을 방지하도록 라운드로 형성되되 중앙에는 길이가변 커넥터(30)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홈(25)이 함몰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앞발판(10) 및 뒷발판(20)은 공통적으로 사용자가 표면에 발을 지지한 상태에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표면에는 미끄럼방지테(16)(26)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스터지지대(11)(21)는 캐스터(12)(22)가 부착되는 부착면(11a)(21a)이 수평면으로 형성되지 않고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부착면(11a)(21a)에 부착되는 캐스터(12)(22)는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위 치된다. 따라서, 주행시 전방으로 고개를 숙인 것과 같은 자세를 취함으로써 주행시 저항을 덜 받게 되어 스피드를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앞발판(10)과 뒷발판(20)은 길이가변 커넥터(30)를 매개로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됨은 물론 상기 길이가변 커넥터(30)의 설치개수에 따라 전체적인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스케이트보드(S)를 최적의 상태로 맞춤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길이가변 커넥터(30)는 회전 작동이 걸림현상을 방지하도록 일측이 라운드로 형성되고 타측은 만곡진 회전유지면(31)이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로 형성된 일측 선단에는 앞발판(10)에 부착된 고정커넥터(13)의 연결돌기(15)가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연결홈(32)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32)의 타측 회전유지면(31)에는 뒷발판(20)에 부착된 고정커넥터(23)의 연결홈(25)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연결돌기(33)가 돌출 형성되며, 이 연결돌기(33)에는 부드러움 회전작동을 위한 베어링(33a)이 삽입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길이가변 커넥터(30)는 도 2와 같이 1개로 설치되거나 또는 도 5와 같이 2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통상 1∼3개가 연결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길이가변 커넥터(30)를 매개로 양측에서 앞발판(10)과 뒷발판(20)이 부드럽게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반경이 적으며, 주행시 완만한 곡선을 유지하여 더욱 높은 스피드를 즐길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길이가변 커넥터(30) 및 고정커넥터(13)(23)는 별도의 체결수단(40)을 이용하여 일체화된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체결수 단(40)은 렌치홀더(41) 및 렌치볼트(42)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렌치홀더(41)는 길이가변 커넥터(30) 및 고정커넥터(13)(23)의 결합부위, 즉 길이가변 커넥터(30) 및 고정커넥터(23)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43) 및 결합홈(25)(32)에 끼움 결합된 연결돌기(15)(33)를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렌치홀더(41)에는 렌치볼트(42)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견고한 일체화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S)는 길이가변 커넥터(30)를 매개로 앞발판(10)과 뒷발판(20)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스피드를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커넥터(13)(23)를 완전하게 분리함으로써 도 7과 같이 앞발판(10)과 뒷발판(20)을 분리된 상태에서 양쪽 발을 각각 지지한 상태로 스케이트를 타듯 색다른 스피드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커넥터(13)(23)는 대응하는 앞발판(10) 및 뒷발판(20)에 렌치홀더(41) 및 렌치볼트(42)로 구성된 별도의 체결수단(40)을 매개로 일체화 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고정커넥터(13)(23)는 대응하는 앞발판(10) 및 뒷발판(20)과 함께 렌치홀더(41)로 관통 결합되고, 상기 렌치홀더(41)에는 렌치볼트(42)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일체화를 유지하거나 또는 완전하게 분리함으로써 앞발판(10) 및 뒷발판(20)만을 사용하여 색다를 스피드를 경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앞발판과 뒷발판을 다수의 길이가변 커넥터를 매개로 다단으로 연결하여 스케이트보드의 길이를 자유롭게 신축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알맞는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여 스피드와 운동을 병행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길이가변 커넥터는 한 쌍의 발판을 회전함에 따른 회전반경을 줄여주어 작동이 유연하면서도 다이다믹한 움직임과 강력한 스피드를 즐길 수 있고, 특히 초보자의 경우에도 특별한 기술 없이 자연스러운 몸동작으로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고 쉽게 탈수 있으며, 스케이트보드의 진행이 완만한 곡선을 그리기 때문에 균형감각의 발달과 전신운동에 의한 건강증진에 많은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길이가변 커넥터 및 스케이트보드에 부착된 고정커넥터를 완전하게 분리하여 앞발판과 뒷발판만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색다른 종류의 스피드를 즐길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앞발판에 캐스터를 세로방향으로 부착하여 초보자의 경우 안전성을 우선으로 할 수 있으며, 숙련자의 경우 캐스터를 가로방향으로 부착하여 강력한 스피드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한다.

Claims (6)

  1.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부착면(11a)이 형성된 다수의 캐스터지지대(11)가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부착면(11a)에 형성된 나사공(11b)에 캐스터(12)가 나사 결합되며, 가로방향에 위치한 캐스터지지대(11)와 이격된 저면에 고정커넥터(13)가 부착되고, 상기 고정커넥터(13)는 후방 선단에 함몰 형성된 회전유지면(14)에 연결돌기(15)가 돌출 형성되며, 상부 표면에는 미끄럼방지테(16)가 돌출 형성된 앞발판(10)과;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부착면(21a)이 형성된 다수의 캐스터지지대(21)가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부착면(21a)에 형성된 나사공(21b)에 캐스터(22)가 나사 결합되며, 상기 고정커넥터(13)와 대응하여 가로방향에 위치한 캐스터지지대(21)와 이격된 저면에 고정커넥터(23)가 부착되고, 상기 고정커넥터(23)는 라운드로 형성된 전방 선단에 연결홈(25)이 함몰 형성되며, 상부 표면에는 미끄럼방지테(26)가 돌출 형성된 뒷발판(20)과;
    상기 앞발판(10)의 연결돌기(15)가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연결홈(32)이 라운드로 형성된 일측 선단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32)의 타측에 함몰 형성된 회전유지면(31)에는 뒷발판(20)의 연결홈(25)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연결돌기(33)가 돌출 형성된 길이가변 커넥터(30)와;
    상기 길이가변 커넥터(30) 및 고정커넥터(23)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43)과 결합홈(25)(32)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돌기(15)(33)를 렌치홀더(41)가 관통 결합되고, 상기 렌치홀더(41)에 렌치볼트(42)가 나사 결합된 체결수단(40)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앞발판(10)에 형성된 캐스터지지대(11)는 가로, 세로방향으로 각각 한 쌍이 형성되고, 초보자의 경우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세로방향으로 캐스터(12)를 부착하며, 숙련자의 경우 높은 스피드를 즐기기 위해 가로방향으로 캐스터(12)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스케이트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70057627A 2007-06-13 2007-06-13 길이 가변형 스케이트보드 KR100813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627A KR100813306B1 (ko) 2007-06-13 2007-06-13 길이 가변형 스케이트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627A KR100813306B1 (ko) 2007-06-13 2007-06-13 길이 가변형 스케이트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3306B1 true KR100813306B1 (ko) 2008-03-13

Family

ID=39398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627A KR100813306B1 (ko) 2007-06-13 2007-06-13 길이 가변형 스케이트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330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056B1 (ko) 2016-06-23 2017-09-19 이강문 롤러스케이트로 변환가능한 스케이트보드
KR101833742B1 (ko) 2016-11-07 2018-02-28 이강문 스케이트로 사용 가능한 스케이트보드
KR101837429B1 (ko) * 2017-10-25 2018-03-12 이강문 트랜스포머블 스케이팅 레저스포츠 용품
KR101837426B1 (ko) 2017-12-08 2018-03-12 이강문 투 인 원 롤러보드
KR101837432B1 (ko) * 2017-10-25 2018-03-12 이강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
KR101934942B1 (ko) 2017-01-26 2019-01-04 주식회사 소프트다이아 롤러 보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5474A (en) 1995-05-04 1996-04-09 Yeh; Hsiu-Ying Folding skateboard
KR20020042572A (ko) * 2002-05-01 2002-06-05 고진경 흔들어서 나아가는 구름판
KR100573366B1 (ko) 2005-06-01 2006-04-26 김홍기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KR200421493Y1 (ko) 2006-04-14 2006-07-14 고회현 스케이트보드
KR100612427B1 (ko) 2006-04-12 2006-08-16 트라이스포츠 주식회사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보드
KR20070039684A (ko) * 2005-10-10 2007-04-13 주식회사 타셈 옆으로 가는 지치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5474A (en) 1995-05-04 1996-04-09 Yeh; Hsiu-Ying Folding skateboard
KR20020042572A (ko) * 2002-05-01 2002-06-05 고진경 흔들어서 나아가는 구름판
KR100573366B1 (ko) 2005-06-01 2006-04-26 김홍기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KR20070039684A (ko) * 2005-10-10 2007-04-13 주식회사 타셈 옆으로 가는 지치발
KR100612427B1 (ko) 2006-04-12 2006-08-16 트라이스포츠 주식회사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보드
KR200421493Y1 (ko) 2006-04-14 2006-07-14 고회현 스케이트보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056B1 (ko) 2016-06-23 2017-09-19 이강문 롤러스케이트로 변환가능한 스케이트보드
KR101833742B1 (ko) 2016-11-07 2018-02-28 이강문 스케이트로 사용 가능한 스케이트보드
KR101934942B1 (ko) 2017-01-26 2019-01-04 주식회사 소프트다이아 롤러 보드
KR101837429B1 (ko) * 2017-10-25 2018-03-12 이강문 트랜스포머블 스케이팅 레저스포츠 용품
KR101837432B1 (ko) * 2017-10-25 2018-03-12 이강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
KR101837426B1 (ko) 2017-12-08 2018-03-12 이강문 투 인 원 롤러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306B1 (ko) 길이 가변형 스케이트보드
US8308171B2 (en)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for supporting a user's foot having multiple transportation attachments
KR100573366B1 (ko)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JP4778424B2 (ja) 人体移動装置
US8636288B2 (en) Street board
US5549309A (en) Multi-line in-line roller skate, multi-line in-line roller skate frame
US5908196A (en) Apparatus for roller skating and roller blading and method thereof
US5643029A (en) Motorized surf boots
KR20110100897A (ko) 인라인 스케이트
WO2011046275A1 (ko) 프리보드 스케이트
KR100787113B1 (ko) 캐스터 스케이트 보드
US5129664A (en) Pedal-driven roller-skate
US20020105150A1 (en) In-line roller skate
KR200301197Y1 (ko) 롤러 스케이트 보드
US20020105151A1 (en) Roller skate
KR100478504B1 (ko) 손과 발동작으로 들어서 옮겨가면서 발동작으로 가속하는분리형 로울러 썰매
KR100987701B1 (ko) 자전거형 시소 보드
KR200419755Y1 (ko) 롤러식 썰매
KR200392391Y1 (ko) 썰매기능이 부가된 스케이트보드
KR200372428Y1 (ko) 스키보드
KR200390124Y1 (ko) 스케이트 보드
WO2004110574A1 (en) In-line skate with wheels arranged in three rows
KR200336022Y1 (ko) 롤러 스케이트
KR200407917Y1 (ko) 4계절용 스키
KR20150018177A (ko) 방향 캐스터가 장착된 퀵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