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542A - 흡수 시트 구성체 - Google Patents

흡수 시트 구성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542A
KR20120115542A KR1020127020968A KR20127020968A KR20120115542A KR 20120115542 A KR20120115542 A KR 20120115542A KR 1020127020968 A KR1020127020968 A KR 1020127020968A KR 20127020968 A KR20127020968 A KR 20127020968A KR 20120115542 A KR20120115542 A KR 20120115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water
absorbent sheet
resin
absorben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0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372B1 (ko
Inventor
신야 후쿠도메
준이치 마루오
마사요시 한다
고지 우에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30412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11554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5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1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1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 A61F2013/53022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with polymeric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being only in particular parts or specially arranged
    • A61F2013/53054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being only in particular parts or specially arranged positioned in a separate layer or layers
    • A61F2013/53055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being only in particular parts or specially arranged positioned in a separate layer or layers and being fixed to a we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quantity or ratio of superabsorb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absorbency properties
    • A61F2013/5307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absorbency properties by the absorbent capa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2013/534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from several she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Abstract

흡수성 수지 및 접착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층이, 부직포에 의해 당해 흡수층의 상방 및 하방으로부터 협지된 구조를 갖는 흡수 시트 구성체로서, 당해 흡수성 수지의 함유량이 100 ? 1000 g/㎡, 당해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이 15 ? 50 g/g 이고, 당해 흡수 시트 구성체의 박리 강도가 0.05 ? 3.0 N/7 ㎝ 인 흡수 시트 구성체.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박형이어도 형태 유지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액체 흡수 전이나 흡수 후에 형태 붕괴를 일으키지 않고, 게다가 흡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흡수 시트 구성체 {WATER-ABSORBABLE SHEET STRUCTURE}
본 발명은, 위생 재료 분야 등에 사용할 수 있는 흡수 시트 구성체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박형으로 종이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흡수 시트 구성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흡수 시트 구성체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종이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이 기저귀 등으로 대표되는 흡수성 물품은, 체액 등의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체가, 몸에 접하는 측에 배치된 유연한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 (탑 시트) 와, 몸과 접하는 반대측에 배치된 액체 불투과성의 배면 시트 (백 시트) 에 의해 협지된 구조를 갖는다.
종래, 디자인성, 휴대시에 있어서의 편리성, 유통시에 있어서의 효율 등의 관점에서 흡수성 물품의 박형화, 경량화에 대한 요구는 높아져 있었다. 또한 최근, 환경 보전의 관점에서 자원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수목과 같은 성장에 장기간을 요하는 천연 소재의 사용을 최대한 회피하는, 이른바 에코 프렌드리한 지향에 니즈가 모이고 있다. 종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박형화를 위한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흡수체 중의 흡수성 수지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갖는 목재의 해쇄 펄프 등의 친수성 섬유를 줄이고, 흡수성 수지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었다.
부피가 크고 흡수 능력이 낮은 친수성 섬유의 비율을 낮추고, 부피가 작고 흡수 능력이 높은 흡수성 수지를 다량으로 사용한 흡수체는, 흡수성 물품의 설계에 알맞는 흡수 용량을 확보하면서, 부피가 큰 소재를 줄임으로써 박형화를 목표로 한 것으로, 합리적인 개량 방법인 것으로 생각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종이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었을 때의 액체의 분배나 확산을 생각한 경우, 다량의 흡수성 수지가 액체의 흡수에 의해 부드러운 겔상이 되면, 이른바 「겔 블로킹 현상」이 발생하고, 액체 확산성이 현격히 저하되어, 흡수체의 액체 침투 속도가 느려진다는 결점을 갖는다. 이 「겔 블로킹 현상」이란, 특히 흡수성 수지가 많이 밀집된 흡수체가 액체를 흡수할 때, 표층 부근에 존재하는 흡수성 수지가 액체를 흡수하고, 표층 부근에서 부드러운 겔이 더욱 조밀해 짐으로써, 흡수체 내부로의 액체의 침투가 저해되어, 내부의 흡수성 수지가 효율적으로 액체를 흡수할 수 없게 되는 현상이다.
그래서, 지금까지도 친수성 섬유를 줄이고, 흡수성 수지를 다량으로 사용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겔 블로킹 현상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특정 식염수 흐름 유도성, 압력하 성능 등을 갖는 흡수성 중합체를 사용하는 방법 (특허문헌 1 참조), 특정 흡수성 수지 전구체에 특정 표면 가교제를 가열 처리한 흡수성 수지를 사용하는 방법 (특허문헌 2 참조)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에서는, 흡수성 수지를 다량으로 사용한 흡수체로서의 액체 흡수 성능은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 흡수성 수지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친수성 섬유를 줄임으로써, 흡수성 수지가 사용 전 또는 사용 중에 이동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흡수성 수지의 편향이 발생한 흡수체는, 보다 겔 블로킹 현상을 일으키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형태 유지에 기여하는 친수성 섬유를 줄인 흡수체는, 흡수체로서의 형태 유지성이 저하되어, 액체의 흡수 전 또는 흡수 후에 있어서, 비틀림이나 단열 등의 형태 붕괴를 일으키기 쉬워진다. 형태 붕괴된 흡수체는, 액체의 확산성이 현격하게 저하되기 때문에, 흡수체 본래의 능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피하려고 하면, 친수성 섬유와 흡수성 수지의 비율이 제한되어, 흡수성 물품의 박형화에도 한계가 생긴다.
그래서 최근에는, 흡수체에 있어서의 친수성 섬유를 최대한 사용하지 않고, 흡수성 수지의 함유량을 높일 수 있는 차세대형 흡수체로서, 흡수층 내에 실질적으로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흡수 적층체나, 흡수 시트 등의 연구가 폭넓게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벌키한 부직포의 그물 구조에 흡수성 수지를 유지하는 방법 (특허문헌 3 참조), 2 장의 멜트블로운 부직포 사이에 흡수성 폴리머를 봉입하는 방법 (특허문헌 4 참조), 소수성 부직포와 친수성 시트 사이에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개재시키는 방법 (특허문헌 5 참조)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친수성 섬유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겔 블로킹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겔 블로킹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라도, 뇨 등의 체액을 일시적으로 보수 (保水) 하여 흡수 적층체 전체에 액체를 확산시킨다는, 종래의 친수성 섬유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흡수 적층체가 액체를 충분히 포착할 수 없어, 액 누출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흡수 적층체의 형태 유지를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면, 흡수성 수지의 표면이 접착제에 의해 피복되어 액체 흡수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혹은, 접착제에 의해 상면과 하면의 부직포가 강고하게 접착되어, 흡수성 수지가 주머니상에 갇히거나 하여, 흡수성 수지 본래의 흡수 성능을 발휘할 수 없는 경향이 있다.
상기 흡수 적층체의 액체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흡수 적층체의 접착력을 약하게 한 경우, 적층체를 가공할 때에, 흡수성 수지의 탈락이 다대해져 경제상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접착력 부족에 의해 적층체가 박리되어 상품 가치를 잃을 가능성도 생긴다. 즉, 접착을 강하게 하면, 겔 블로킹 현상이나 액 누출이 발생하고, 접착을 약하게 하면, 흡수성 수지의 탈락이나 적층체의 파괴로 이어지기 때문에, 현재로는 상기 과제가 해결된 흡수 적층체, 흡수 시트는 얻어지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은 흡수 시트에 있어서의 접착과 액체 흡수 성능의 밸런스를 개선시키는 연구도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2 장의 부직포가 부직포 사이에 형성된 상하 2 층의 핫멜트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망상체층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흡수 적층체를 사용하는 방법 (특허문헌 6 참조), 부직포 또는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에, 특정 반응형 핫멜트를 도공하여 흡수성 수지를 고정시키는 방법 (특허문헌 7 참조), 미세 셀룰로오스와 흡수성 수지를 네트상의 핫멜트로 피복하여 유지하는 방법 (특허문헌 8 참조)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부직포, 흡수성 수지, 접착제의 성능이나 그것들을 사용하는 조건 등을 규정해도, 액체 흡수 성능이나 형태 유지성이 높은 흡수 시트를 얻는 것은 곤란하다. 또, 특정 접착제나 접착 방법을 사용하면, 액체 흡수 성능이 향상되었다고 해도 경제성이나 생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기재에 흡수성 수지를 고정화시키는 방법도 있다. 예를 들어, 중합 진행 중인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합성 섬유질의 기재에 부착시키고, 섬유질 기재 상에서 중합을 실시하는 방법 (특허문헌 9 참조), 아크릴산 및 아크릴산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수성 조성물을 부직포 기재 상에서 전자선 조사에 의해 중합시키는 방법 (특허문헌 10 참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에서는, 폴리머 입자 중에 합성 섬유질의 기재가 비집고 들어가 견고하게 고착되지만, 기재 중에서 중합 반응을 완결시키는 것이 어렵고, 미반응의 잔존 모노머가 많아지거나 하는 결점을 갖는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평9-51088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57311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평9-25312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05131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2579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38161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1-158074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1-09665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111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2-048944호
그래서, 본 발명은 펄프가 매우 적은 흡수 시트 구성체여도, 겔 블로킹 현상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 시트 구성체로서의 기본적인 성능 (빠른 액체 침투 속도, 충분한 보수능, 적은 액체 역복귀량, 적은 액 누출량, 형태 유지성) 이 우수하고,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흡수 시트 구성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1] 흡수성 수지 및 접착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층이, 부직포에 의해 당해 흡수층의 상방 및 하방으로부터 협지된 구조를 갖는 흡수 시트 구성체로서, 당해 흡수성 수지의 함유량이 100 ? 1000 g/㎡, 당해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이 15 ? 50 g/g 이고, 당해 흡수 시트 구성체의 박리 강도가 0.05 ? 3.0 N/7 ㎝ 인 흡수 시트 구성체 ;
[2] 상기 [1] 에 기재된 흡수 시트 구성체를, 액체 투과성 시트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로 협지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박형이어도 형태 유지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액체 흡수 전이나 흡수 후에 형태 붕괴를 일으키지 않고, 게다가 흡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를 종이 기저귀 등의 흡수체로서 사용함으로써, 얇고 외관의 의장성이 우수함과 함께, 액 누출 등의 문제가 없는 위생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위생 재료 분야 이외에 농업 분야나 건재 분야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흡수성 수지의 하중하에서의 흡수능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는, 흡수성 수지의 초기 흡수 속도 및 유효 흡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 은, 흡수 시트 구성체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 는, 흡수 시트 구성체의 경사에 있어서의 누출 시험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의 일례의 단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흡수성 수지 및 접착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층이, 부직포에 의해 협지된 구조를 갖는 흡수 시트 구성체로, 특정 성능을 갖는 흡수성 수지를 소정량 사용하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흡수층을 부직포 사이에 형성하고, 흡수 시트 구성체의 박리 강도를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액체 흡수 성능도 우수하고, 또한 형태 유지성도 우수한 박형의 흡수 시트 구성체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흡수성 수지가 접착제에 의해 부직포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펄프 섬유 등의 친수성 섬유를 실질적으로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흡수성 수지의 편향이나 산일 (散逸) 을 방지할 수 있어, 형태 유지성도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 박리 강도를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흡수성 수지의 표면 전체가 접착제로 덮인 상태가 아니라 일부분이 고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흡수성 수지의 흡수 성능이 거의 저해되지 않고, 흡수성 수지가 충분히 팽윤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펄프 섬유 등의 친수성 섬유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의 양으로, 부직포 사이에 흡수성 수지와 함께 혼재되어 있는 양태여도 되는데, 박형화의 관점에서는 실질적으로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양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수지의 종류로는, 시판되는 흡수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가수 분해물, 전분-아크릴산 그래프트 중합체의 중화물, 아세트산비닐-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흡수성 수지 중에서는, 생산량, 제조 비용이나 흡수 성능 등의 관점에서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이 바람직하다.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을 합성하는 방법으로는, 역상 현탁 중합법 및 수용액 중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합법 중에서도, 얻어지는 입자의 유동성의 양호함이나 미세 분말의 적음, 액체 흡수 용량 (보수능, 유효 흡수량, 하중하에서의 흡수능 등의 지표로 나타낸다) 이나 흡수 속도 등의 흡수 성능이 높다는 관점에서, 역상 현탁 중합법에 의해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의 중화도는, 흡수성 수지의 삼투압을 높이고, 흡수 능력을 높이는 관점에서 50 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70 ? 90 몰% 가 보다 바람직하다.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의 흡수성 수지의 함유량은,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가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었을 때에도 충분한 액체 흡수 성능을 얻는다는 관점에서, 흡수 시트 구성체의 1 제곱 미터당 100 ? 1000 g (즉 100 ? 1000 g/㎡) 이고, 바람직하게는 150 ? 90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800 g/㎡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20 ? 700 g/㎡ 이다. 흡수 시트 구성체로서의 충분한 액체 흡수 성능을 발휘시키고, 특히 역복귀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당해 함유량은 100 g/㎡ 이상인 것이 필요하고, 겔 블로킹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고, 흡수 시트 구성체로서 액체의 확산 성능을 발휘시키고, 또한 액체의 침투 속도를 개선시키는 관점에서, 당해 합계 함유량은 1000 g/㎡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의 액체 흡수 성능은,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흡수 성능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는, 흡수 시트 구성체의 각 성분의 구성 등을 고려하여, 흡수성 수지의 액체 흡수 용량 (보수능, 유효 흡수량, 하중하에서의 흡수능 등의 지표로 나타낸다), 흡수 속도 등의 흡수 성능이나 질량 평균 입경 등이 바람직한 범위인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수성 수지의 보수능은 생리 식염수 보수능으로서 평가된다.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은, 액체를 보다 많이 흡수하고, 또한 흡수시의 겔을 강하게 유지하여 겔 블로킹 현상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15 ? 50 g/g 이고, 20 ? 45 g/g 인 것이 바람직하며, 22 ? 40 g/g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 ? 35 g/g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를 종이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하는 경우를 고려하면, 장착자의 하중에 노출된 상태에 있어서도 흡수 능력이 높은 편이 바람직하다는 관점에서, 하중하에서의 흡수 능력도 중요하며, 흡수성 수지의 4.14 ㎪ 하중하에서의 생리 식염수 흡수능은 15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40 ㎖/g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3 ? 35 ㎖/g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5 ? 32 ㎖/g 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성 수지의 4.14 ㎪ 하중하에서의 생리 식염수 흡수능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수성 수지의 흡수 속도는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로서 평가된다.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의 액체의 침투 속도를 빠르게 하고, 위생 재료에 사용될 때의 액 누출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80 초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70 초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60 초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55 초이다. 흡수성 수지의 흡수 속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흡수성 수지의 질량 평균 입경은,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의 흡수성 수지의 산일 및 흡수시의 겔 블로킹 현상을 방지함과 함께, 흡수 시트 구성체의 거친 감촉을 저감시켜 텍스처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50 ? 10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 80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0 ? 60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성 수지의 질량 평균 입경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또, 본 발명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는, 상기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 범위에 부가하여, 소정의 초기 흡수 속도와 유효 흡수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초기 흡수 속도는, 흡수 시간 0 ? 30 초간에 있어서의 1 초간당의 액체의 흡수량 (㎖) 으로서 나타내고,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 액체 침투 초기에 있어서의 겔 블로킹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고, 흡수층에 있어서의 액체 확산을 촉진시킨 후에, 보다 광범위한 흡수성 수지에 효율적으로 흡수시키는 관점에서 0.35 ㎖/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0.30 ㎖/s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 ? 0.25 ㎖/s 이다. 액체를 확산시키면서 액체 침투 초기에 있어서의 피부에 대한 드라이감을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0.05 ㎖/s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흡수성 수지의 초기 흡수 속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유효 흡수량은, 생리 식염수 유효 흡수량으로서 25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85 ㎖/g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5 ? 75 ㎖/g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0 ? 65 ㎖/g 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성 수지가 보다 많은 액체를 흡수하여, 역복귀를 저감시킴으로써 드라이감을 얻는 관점에서, 유효 흡수량은 25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흡수성 수지의 가교를 적당히 실시함으로써 흡수시의 겔을 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겔 블로킹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85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수지의 유효 흡수량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일반적으로 흡수성 수지의 흡수 속도는, 그 평균 입경을 크게 하면 느려지는 경향이 있는데, 초기 흡수 속도 (㎖/s) 에 관해서는, 종래의 흡수성 수지에 있어서 평균 입경을 크게 해도 효과는 적은 데다가, 큰 입자의 비율이 많아지면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의 촉감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초기 흡수 속도를 소정의 범위에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가교제에 의해 흡수성 수지의 가교 밀도를 높이거나, 소수성의 첨가제로 흡수성 수지의 표면을 균일하게 피복하거나, 특정 유화제를 사용한 역상 현탁 중합에 의해 흡수성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가교제에 의해 흡수성 수지의 가교 밀도를 높이면, 소정의 초기 흡수 속도는 만족시킬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동시에 흡수성 수지의 유효 흡수량이 저하되기 때문에, 소정의 초기 흡수 속도와 유효 흡수량의 특성을 겸비하는 흡수성 수지를 얻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소정의 초기 흡수 속도와 유효 흡수량의 특성을 겸비하는 흡수성 수지가 쉽게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소수성의 첨가제를 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균일 피복한 것, 및 특정 유화제를 사용한 역상 현탁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얻어지는 흡수 성능이 높다는 점에서 후자 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정 유화제로는, 적당히 소수성의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그것들을 사용한 역상 현탁 중합의 흡수성 수지는, 통상적으로 구상 (球狀) 이나 풋볼상, 및 그것들이 응집된 형태로 얻어진다. 이러한 형태의 수지는, 분쇄할 필요가 거의 없는 데다가, 분체로서의 유동성이 우수하고, 흡수 시트 구성체의 제조시에 있어서의 작업성이 우수하다는 등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부직포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부직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액체 침투성, 유연성 및 시트 구성체로 하였을 때의 강도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등의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T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EN) 등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섬유, 레이온 섬유, 그 밖의 합성 섬유제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나, 면, 견, 마, 펄프 (셀룰로오스) 섬유등이 혼합되어 제조된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부직포 중에서도, 흡수 시트 구성체의 강도를 높이는 등의 관점에서 합성 섬유의 부직포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특히 레이온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부직포는, 상기 섬유 단독의 부직포여도 되고, 2 종 이상의 섬유를 조합한 부직포여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흡수 시트 구성체의 형태 유지성을 높이고, 흡수성 수지의 구멍 뚫림에 의한 탈락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들의 혼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섬유로 제조되는 스펀본드 부직포가 보다 바람직하고, 또 시트를 형성하였을 때의 액체 흡수 성능, 유연성을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 레이온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스펀레이스 부직포도,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부직포로서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중에서도, 폴리올레핀 섬유의 다층 구조인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SMS) 부직포, 및 스펀본드-멜트블로운-멜트블로운-스펀본드 (SMMS) 부직포가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특히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SMS 부직포, SMMS 부직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한편, 상기 스펀레이스 부직포로는, 주성분인 레이온 섬유에 폴리올레핀 섬유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적절히 배합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그 중에서도 레이온-PET 부직포, 레이온-PET-PE 부직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부직포에는, 흡수 시트 구성체의 두께를 증대시키지 않을 정도로 소량의 펄프 섬유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부직포는, 그 친수성이 지나치게 낮으면 흡수 시트 구성체의 액체 흡수 성능이 악화되는 한편, 필요 이상으로 높아도 액체 흡수 성능은 그에 알맞는 정도로 향상되지 않기 때문에, 적당한 친수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관점에서, 후술되는 「부직포의 친수도」의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의 친수도가 5 ? 200 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8 ? 15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 ? 1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2 ? 80 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한 부직포 중 레이온 섬유와 같이 소재 자체가 적당한 친수도를 나타내는 것을 사용한 것이어도 되고,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같은 소수성의 화학 섬유에, 공지된 방법으로 친수화 처리하여 적당한 친수도를 부여한 것을 사용한 것이어도 된다. 친수화 처리의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스펀본드 부직포에 있어서, 소수성의 화학 섬유에 친수화제를 혼합한 것을 스펀본드법에 의해 부직포를 얻는 방법, 소수성 화학 섬유로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할 때에 친수화제를 동반시키는 방법, 또는 소수성 화학 섬유로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은 후에 친수화제를 함침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친수화제로는, 지방족 술폰산염, 고급 알코올황산에스테르염 등의 아니온계 계면 활성제, 제 4 급 암모늄염 등의 카티온계 계면 활성제,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논이온계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실리콘 등의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및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아크릴계, 우레탄계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테인?릴리스제 등이 사용된다.
흡수층을 협지하는 부직포는, 흡수 시트 구성체의 액체 흡수 성능을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 친수성인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경사시의 액 누출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흡수층의 하방에 사용되는 부직포의 친수성은, 상방에 사용되는 부직포의 친수성과 동등 또는 높은 편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흡수층의 상방이란, 얻어지는 흡수 시트 구성체를 사용하여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였을 때에, 흡수 대상의 액체가 공급되는 측을 말하며, 흡수층의 하방이란, 그 반대측을 말한다.
부직포는,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에 양호한 액체 침투성, 유연성, 강도나 쿠션성을 부여하는 것, 및 흡수 시트 구성체의 액체 침투 속도를 빠르게 하는 관점에서 적당히 부피가 크고, 겉보기 중량이 큰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그 겉보기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5 ? 300 g/㎡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 200 g/㎡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100 g/㎡ 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1 ? 50 g/㎡ 이다. 또, 부직포의 두께로는 20 ? 800 ㎛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50 ? 600 ㎛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며, 80 ? 450 ㎛ 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접착제로는, 예를 들어, 천연 고무계, 부틸 고무계, 폴리이소프렌 등의 고무계 접착제 ;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 (SIS),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SBS),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SIB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EBS) 등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접착제 ;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EVA) 접착제 ;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EEA), 에틸렌-아크릴산부틸 공중합체 (EBA) 등의 에틸렌-아크릴산 유도체 공중합계 접착제 ;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EAA) 접착제 ; 공중합 나일론, 다이머산 베이스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계 접착제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어택틱 폴리프로필렌, 공중합 폴리올레핀 등의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등, 및 아크릴계 접착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접착력이 강하고,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박리나 흡수성 수지의 산일을 방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접착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접착제,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및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이들 접착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열 용융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의 용융 온도 (연화 온도) 는, 흡수성 수지를 부직포에 충분히 고정시킴과 함께, 부직포의 열 열화나 변형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60 ? 180 ℃ 가 바람직하고, 70 ? 150 ℃ 가 보다 바람직하며, 75 ? 125 ℃ 가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함유 비율은, 흡수성 수지의 함유량 (질량 기준) 의 0.05 ? 2.0 배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08 ? 1.5 배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 ? 1.0 배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충분한 접착에 의해 부직포의 박리나 흡수성 수지의 산일을 방지하고, 흡수 시트 구성체의 형태 유지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접착제의 함유 비율은 0.05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접착이 지나치게 강해지는 것에 의한 흡수성 수지의 팽윤 저해를 회피하고, 흡수 시트 구성체의 침투 속도나 액 누출을 개선시키는 관점에서, 접착제의 함유 비율은 2.0 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 흡수층은 흡수성 수지 및 접착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부직포 상에서 흡수성 수지와 접착제의 혼합 분말을 균일하게 산포하고, 추가로 부직포를 중첩하여 접착제의 용융 온도 부근에서 가열하는 것, 요컨대 압력하에서 가열함으로써 형성된다. 또, 접착제를 도포한 부직포 상에 흡수성 수지를 균일하게 산포한 후, 접착제를 도포한 부직포를 추가로 중첩하고, 필요하면 압력하에서 가열함으로써도 형성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a) 부직포 상에 흡수성 수지와 접착제의 혼합 분말을 균일하게 산포하고, 추가로 부직포를 중첩하여, 접착제의 용융 온도 부근에서 가열 압착한다.
(b) 부직포 상에 흡수성 수지와 접착제의 혼합 분말을 균일하게 산포하고, 가열로를 통과시켜 분말이 산일되지 않을 정도로 고정시킨다. 이것에 부직포를 중첩하여, 가열 압착한다.
(c) 부직포 상에 접착제를 용융 도포한 직후, 흡수성 수지를 균일하게 산포하여 층을 형성시키고, 또한 상부로부터 접착제를 용융 도포한 부직포를 접착제의 도포면이 산포된 흡수성 수지층측을 향하도록 상부로부터 중첩하여, 롤 프레스 등을 사용해서 가압하고, 필요하면 가열하여 압착한다.
예를 들어, 이들 (a) ? (c) 에 나타낸 방법에 의해 흡수 시트 구성체를 제조함으로써, 흡수성 수지 및 접착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층이, 2 장의 부직포에 의해 협지된 구조를 갖는 흡수 시트 구성체를 얻을 수 있다. 이들 방법 중에서도, 제조 방법의 간편함과 제조 효율이 높다는 관점에서 (a), (c) 의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a) ? (c) 에 예시된 방법을 병용하여 흡수 시트 구성체를 제조할 수도 있다. 흡수 시트 구성체의 촉감의 개선 및 액체 흡수 성능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시트 제조에 있어서의 가열 압착시나 시트 제조 후에 엠보싱 가공을 실시해도 된다.
흡수 시트 구성체의 제조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배합 비율은, 흡수성 수지의 양 (질량 기준) 의 0.05 ? 2.0 배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08 ? 1.5 배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 ? 1.0 배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충분한 접착에 의해 부직포의 박리나 흡수성 수지의 산일을 방지하고, 흡수 시트 구성체의 형태 유지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접착제의 배합 비율은 0.05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접착이 지나치게 강해지는 것에 의한 흡수성 수지의 팽윤 저해를 회피하고, 흡수 시트 구성체의 침투 속도나 액 누출을 개선시키는 관점에서, 접착제의 배합 비율은 2.0 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소취제, 항균제나 겔 안정제 등의 첨가제가 적절히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흡수 시트 구성체의 박리 강도가 0.05 ? 3.0 N/7 ㎝ 라는 특정 범위인 것에 하나의 특장을 가지며, 0.1 ? 2.5 N/7 ㎝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5 ? 2.0 N/7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2 ? 1.5 N/7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 시트 구성체의 박리 강도가 3.0 N/7 ㎝ 를 초과하는 경우, 흡수층의 접착이 지나치게 강하기 때문에, 특정 흡수 성능을 갖는 흡수성 수지를 소정량 첨가한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흡수 시트 구성체의 박리 강도가 0.05 N/7 ㎝ 미만인 경우, 흡수층의 접착이 지나치게 약하기 때문에, 흡수성 수지의 기능은 저해되지 않지만, 흡수 시트 구성체의 형태 유지성이 나쁘고, 흡수성 수지의 이동이나 부직포의 박리가 발생하기 때문에, 종이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으로의 가공이 곤란해진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수 시트 구성체의 박리 강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종이 기저귀 등으로의 사용을 고려하면, 함유하는 흡수성 수지가 충분한 흡수 성능을 발휘하고, 흡수 시트 구성체로서의 액체 흡수 용량을 보다 크게 하는 편이 바람직하다는 관점에서, 그 생리 식염수 보수능은 1000 ? 45000 g/㎡ 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0 ? 35000 g/㎡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00 ? 25000 g/㎡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500 ? 20000 g/㎡ 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수 시트 구성체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또한, 적당한 접착에 의해, 흡수성 수지의 흡수 성능을 크게 저해하지 않을 정도로 흡수성 수지의 고정화가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관점에서, 흡수 시트 구성체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 A [g/㎡] 가, 상기 흡수성 수지의 함유량 B [g/㎡] 와 상기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 C [g/g] 에 기초하여, 관계식 : 0.5 B × C ≤ A ≤ 0.9 B × C 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관계식 : 0.55 B × C ≤ A ≤ 0.85 B × C 를 충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관계식 : 0.6 B × C ≤ A ≤ 0.8 B × C 를 충족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는, 각 구성물을 적절히 배합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특정 흡수 성능을 갖는 흡수성 수지를 특정 함유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관점에서,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수지의 함유량 B [g/㎡] 가, 상기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 C [g/g] 에 기초하여, 관계식 : 400 - 20/3 C ≤ B ≤ 900 - 20/3 C 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관계식 : 450 - 20/3 C ≤ B ≤ 850 - 20/3 C 를 충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관계식 : 450 - 20/3 C ≤ B ≤ 800 - 20/3 C 를 충족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계식에 있어서의 B 및 C 는 수치만을 대상으로 하며, 각각의 단위는 고려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흡수 시트 구성체의 흡수층의 전체면 또는 일부를 적절한 통기성 분획층을 사용하여, 수직 방향 (시트의 두께 방향) 으로 상방의 1 차 흡수층과 하방의 2 차 흡수층으로 분획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흡수 시트 구성체의 액체 흡수 성능, 그 중에서도 경사에 있어서의 액 누출이 비약적으로 개선된다.
상기 통기성 분획층은 적당한 통기성과 통액성을 갖는데, 흡수성 수지와 같은 입자상물이 실질적으로 통과하지 않는 층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PE, PP 섬유로 이루어지는 세공을 갖는 네트 등의 망상물, 퍼포레이티드 필름 등의 다공질 필름, 티슈 페이퍼 등의 위생 용지, 펄프/PE/PP 로 이루어지는 에어레이드형 부직포 등의 셀룰로오스 함유 합성 섬유 부직포, 혹은 레이온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지는 합성 섬유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얻어지는 흡수 시트 구성체의 성능면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흡수층을 협지하는 상기 부직포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2 차 흡수층에 있어서의 흡수성 수지의 사용량은, 1 차 흡수층의 흡수성 수지의 사용량에 대해 0.01 ? 1.0 배 (질량비)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 0.8 배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 ? 0.5 배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2 차 흡수층의 액체 흡수성을 충분히 발휘하고, 액 누출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0.01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흡액 후에 있어서의 표면에서의 드라이감을 높이고, 역복귀를 줄이는 관점에서 1.0 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의 액체 흡수 성능은,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흡수 성능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1 차 흡수층의 흡수성 수지는, 흡수 시트 구성체의 각 성분의 구성 등을 고려하여, 흡수성 수지의 액체 흡수 용량 (보수능, 유효 흡수량, 하중하에서의 흡수능 등의 지표로 나타낸다), 흡수 속도 등의 흡수 성능이나 질량 평균 입경 등이 전술한 바람직한 범위인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2 차 흡수층의 흡수성 수지는, 1 차 흡수층의 흡수성 수지와 동일해도 되고, 후술하는 범위인 것이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일방의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가 역상 현탁 중합법에 의해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인 양태가 바람직하고, 2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가 역상 현탁 중합법에 의해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인 양태가 보다 바람직하며, 1 차 흡수층 및 2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양자가 역상 현탁 중합법에 의해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인 양태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는, 1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와 2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 사이에 정의 값의 차이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차이가 클수록, 상기한 1 차 흡수층에 있어서의 액체의 체류를 회피하여 드라이감을 높이는 효과, 또한 액 누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보다 강하게 발휘된다. 구체적으로는, (1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 - (2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 가 10 초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초간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 초간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 시트 구성체의 액체 흡수 성능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형태로서 1 차 흡수층의 흡수성 수지와 2 차 흡수층의 흡수성 수지를 상이한 것으로 하는 경우, 1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의 액체 침투 속도를 빠르게 하고, 1 차 흡수층에 있어서의 액체의 체류를 회피하여, 흡수성 물품에 사용될 때의 피부에 대한 드라이감을 증가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5 ? 80 초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70 초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60 초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55 초이다. 한편, 2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의 경사에 있어서의 누출을 줄이고, 흡수성 물품에 사용될 때의 액 누출에 의한 불쾌감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40 초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30 초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20 초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15 초이다.
일반적으로, 흡수성 수지의 평균 입경이 큰 것은 흡수 속도가 느리고, 평균 입경이 작은 것은 흡수 속도가 빨라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흡수 속도를 빠르게 하려고 흡수성 수지의 평균 입경을 지나치게 작게 한 경우, 분체로서의 유동성이 매우 나빠져 가루 날림에 의한 작업 환경의 악화, 흡수성 수지가 부직포로부터 산일되는 것에 의한 생산성의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흡수성 수지의 미세 분말이 많아지면, 상기 겔 블로킹 현상이 보다 발생하기 쉬워져, 흡수 시트 구성체의 액체 흡수 성능의 저하로도 이어진다. 그 밖에도, 평균 입경이 작은 흡수성 수지가 접착제를 덮기 쉬워지기 때문인지, 접착 효과가 저하되어 적층체가 박리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들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평균 입경을 갖고, 또한 흡수 속도가 빠른 흡수성 수지를 2 차 흡수층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수지를 얻기 위해서는, 특정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을 사용하는 것, 예를 들어, 중합 중에 발포시켜 연속 기포를 도입하는 수용액 중합법, 또는 특정 유화제를 사용한 역상 현탁 중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얻어지는 흡수 성능이 높다는 것과 빠른 흡수 속도가 안정적으로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후자의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정 유화제로는, 적당히 친수성의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그것들을 사용한 역상 현탁 중합의 흡수성 수지는, 통상적으로 구상이나 과립상, 및 그것들이 응집된 형태로 얻어진다. 이러한 형태의 수지는, 분쇄할 필요가 거의 없는 데다가, 분체로서의 유동성이 우수하고, 흡수 시트 구성체의 제조시에 있어서의 작업성이 우수한 등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2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 4.14 ㎪ 하중하에서의 생리 식염수 흡수능, 질량 평균 입자 직경, 초기 흡수 속도, 유효 흡수량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1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범위인 것이 사용되고, 이하에 예시되는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2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은, 액체를 보다 많이 흡수하고, 또한 흡수시의 겔을 강하게 유지하여 겔 블로킹 현상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15 ? 50 g/g 이고, 25 ? 50 g/g 인 것이 바람직하며, 30 ? 45 g/g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 ? 45 g/g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2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4.14 ㎪ 하중하에서의 생리 식염수 흡수능은 15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40 ㎖/g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 ? 35 ㎖/g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성 수지의 4.14 ㎪ 하중하에서의 생리 식염수 흡수능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흡수성 수지의 질량 평균 입경은,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의 흡수성 수지의 산일 및 흡수시의 겔 블로킹 현상을 방지함과 함께, 흡수 시트 구성체의 거친 감촉을 저감시켜 텍스처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50 ? 10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 80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0 ? 60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성 수지의 질량 평균 입경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또, 2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는, 상기한 범위의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에 부가하여, 소정의 초기 흡수 속도와 유효 흡수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 흡수 속도는, 흡수 시간 0 ? 30 초간에 있어서의 1 초간당의 액체의 흡수량 (㎖) 으로서 나타내고,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 액체 침투 초기에 있어서의 겔 블로킹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고, 흡수층에 있어서의 액체 확산을 촉진시킨 후에, 보다 광범위한 흡수성 수지에 효율적으로 흡수시키면서, 액체 침투 초기에 있어서의 피부에 대한 드라이감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0.35 ㎖/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 0.35 ㎖/s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흡수성 수지의 초기 흡수 속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또, 2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유효 흡수량은, 생리 식염수 유효 흡수량으로서 25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85 ㎖/g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5 ? 75 ㎖/g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0 ? 65 ㎖/g 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성 수지가 보다 많은 액체를 흡수하여, 역복귀를 저감시킴으로써 드라이감을 얻는 관점에서, 유효 흡수량은 25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흡수성 수지의 가교를 적당히 실시함으로써 흡수시의 겔을 강하게 유지하여 겔 블로킹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85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수지의 유효 흡수량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박형화가 가능하다는 점에 하나의 특장을 갖고 있으며, 흡수성 물품으로의 사용을 고려하면, 흡수 시트 구성체의 두께는, 건조 상태에서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5 ? 3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8 ? 2 ㎜ 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건조 상태란, 흡수 시트 구성체가 액체를 흡수하기 전 상태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수 시트 구성체의 건조 상태의 두께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액체의 침투 속도가 빠르다는 점에 하나의 특장을 갖고 있으며, 흡수성 물품으로의 사용을 고려하면, 흡수 시트 구성체의 합계 침투 속도가 120 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초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0 초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수 시트 구성체의 합계 침투 속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액체의 경사에 있어서의 누출이 적다는 점에 하나의 특장을 갖고 있으며, 흡수성 물품으로의 사용을 고려하면, 흡수 시트 구성체의 누출 지수가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수 시트 구성체의 누출 지수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액체 침투 후의 역복귀가 적다는 점에 하나의 특장을 갖고 있으며, 흡수성 물품으로의 사용을 고려하면,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의 액체의 역복귀량이 2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7 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4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의 액체의 역복귀량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천연 유래 소재의 사용량이 매우 적기 때문에, 상기한 두께, 침투 속도, 누출 지수에 있어서 고성능이면서, 환경에 대한 배려도 이루어진 것이다. 천연 소재의 사용 비율은 3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천연 소재의 사용 비율은, 흡수 시트 구성체의 각 구성 성분에 미량이나마 포함되는 펄프, 면, 마, 견 등의 합계 함유량을 흡수 시트 구성체의 질량으로 나눔으로써 산출된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수성 수지 및 흡수 시트 구성체의 성능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 평가하였다.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
흡수성 수지 2.0 g 을 면 주머니 (면 브로드 60 번, 가로 100 ㎜ × 세로 200 ㎜) 중에 칭량하여, 500 ㎖ 용적의 비커에 넣었다. 면 주머니에 생리 식염수 (0.9 질량% 염화나트륨 수용액, 이하 동일) 500 g 을 한번에 부어 넣고, 흡수성 수지의 덩어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생리 식염수를 분산시켰다. 면 주머니의 상부를 고무 밴드로 묶고, 1 시간 방치하여 흡수성 수지를 충분히 팽윤시켰다. 원심력이 167 G 가 되도록 설정한 탈수기 (코쿠산 원심기 주식회사 제조, 품번 : H-122) 를 사용하여 면 주머니를 1 분간 탈수하고, 탈수 후의 팽윤 겔을 포함한 면 주머니의 질량 Wa (g) 를 측정하였다. 흡수성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면 주머니의 습윤시 공 (空) 질량 Wb (g) 를 측정하고, 다음 식에 의해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를 구하였다.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 (g/g) = [Wa - Wb] (g)/흡수성 수지의 질량 (g)
<흡수성 수지의 4.14 ㎪ 하중하에서의 생리 식염수 흡수능>
흡수성 수지의 4.14 ㎪ 하중하에서의 생리 식염수 흡수능은, 도 1 에 개략 구성을 나타낸 측정 장치 (X)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1 에 나타낸 측정 장치 (X) 는, 뷰렛부 (1) 와 도관 (2), 측정대 (3), 측정대 (3) 상에 놓여진 측정부 (4) 로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뷰렛부 (1) 는, 뷰렛 (10) 의 상부에 고무 마개 (14), 하부에 공기 도입관 (11) 과 콕 (12) 이 연결되어 있고, 또한 공기 도입관 (11) 의 상부에는 콕 (13) 을 갖고 있었다. 뷰렛부 (1) 에서 측정대 (3) 까지는 도관 (2) 이 장착되어 있고, 도관 (2) 의 직경은 6 ㎜ 였다. 측정대 (3) 의 중앙부에는, 직경 2 ㎜ 의 구멍이 뚫려 있고 도관 (2) 이 연결되어 있었다. 측정부 (4) 는, 원통 (40) 과 이 원통 (40) 의 저부에 첩착 (貼着) 된 나일론 메시 (41) 와 추 (42) 를 갖고 있었다. 원통 (40) 의 내경은 2.0 ㎝ 였다. 나일론 메시 (41) 는 200 메시 (눈금 크기 75 ㎛) 로 형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나일론 메시 (41) 상에 소정량의 흡수성 수지 (5) 를 균일하게 산포하였다. 추 (42) 는 직경 1.9 ㎝, 질량 119.6 g 이었다. 이 추 (42) 는, 흡수성 수지 (5) 상에 놓여져 흡수성 수지 (5) 에 대해 4.14 ㎪ 의 하중을 균일하게 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측정 장치 (X) 를 사용한 하중하에서의 생리 식염수 흡수능의 측정은 이하의 순서에 의해 실시하였다. 측정은 온도 25 ℃, 습도 45 ? 75 % 의 실내에서 실시되었다. 먼저 뷰렛부 (1) 의 콕 (12) 과 콕 (13) 을 닫고, 25 ℃ 로 조절된 생리 식염수를 뷰렛 (10) 상부로부터 넣고, 고무 마개 (14) 로 뷰렛 상부를 단단히 막은 후, 뷰렛부 (1) 의 콕 (12), 콕 (13) 을 열었다. 다음으로, 측정대 (3) 중심부에 있어서의 도관 (2) 의 선단과 공기 도입관 (11) 의 공기 도입구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측정대 (3) 의 높이 조정을 실시하였다.
한편, 원통 (40) 의 나일론 메시 (41) 상에 0.10 g 의 흡수성 수지 (5) 를 균일하게 산포하여, 이 흡수성 수지 (5) 상에 추 (42) 를 놓았다. 측정부 (4) 는, 그 중심부가 측정대 (3) 중심부의 도관구에 일치하도록 해 두었다.
흡수성 수지 (5) 가 흡수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계속적으로, 뷰렛 (10) 내의 생리 식염수의 감소량 (흡수성 수지 (5) 가 흡수한 생리 식염수량) Wc (㎖) 를 판독하였다.
측정 장치 (X) 를 사용한 측정에 있어서, 흡수 개시부터 60 분간 경과 후에 있어서의 흡수성 수지 (5) 의 하중하에서의 생리 식염수 흡수능을 다음 식에 의해 구하였다.
흡수성 수지의 4.14 ㎪ 하중하에서의 생리 식염수 흡수능 (㎖/g) = Wc (㎖) ÷ 0.10 (g)
<흡수성 수지의 초기 흡수 속도 및 유효 흡수량>
흡수성 수지의 초기 흡수 속도 및 유효 흡수량은, 도 2 에 나타내는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당해 측정 장치는, 뷰렛부 (1) 와 도관 (2), 측정대 (3), 부직포 (45), 가대 (架臺) (65), 클램프 (75) 로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뷰렛부 (1) 는, 0.1 ㎖ 단위로 눈금이 기재된 뷰렛 (10) 의 상부에 고무 마개 (14), 하부에 공기 도입관 (11) 과 콕 (12) 이 연결되어 있고, 또한 뷰렛 (10) 의 하부의 선단에 콕 (13) 을 갖고 있었다. 뷰렛부 (1) 는 클램프 (75) 로 고정되어 있었다. 뷰렛부 (1) 와 측정대 (3) 사이에는 도관 (2) 이 장착되어 있고, 도관 (2) 의 내경은 6 ㎜ 였다. 측정대 (3) 의 중앙부에는, 직경 2 ㎜ 의 구멍이 뚫려 있고 도관 (2) 이 연결되어 있었다. 측정대 (3) 는 가대 (65) 에 의해 적절한 높이로 지지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측정 장치를 사용한 초기 흡수 속도 및 유효 흡수량의 측정은 이하의 순서에 의해 실시하였다. 측정은 온도 25 ℃, 습도 45 ? 75 % 의 실내에서 실시되었다. 먼저 뷰렛부 (1) 의 콕 (12) 과 콕 (13) 을 닫고, 25 ℃ 로 조절된 생리 식염수를 뷰렛 (10) 상부로부터 넣고, 고무 마개 (14) 로 뷰렛 상부의 마개를 닫은 후, 뷰렛부 (1) 의 콕 (12), 콕 (13) 을 열었다. 다음으로, 기포를 제거하면서 도관 (2) 내부에 생리 식염수를 채우고, 측정대 (3) 중심부의 도관구로부터 나오는 생리 식염수의 수면과, 측정대 (3) 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측정대 (3) 의 높이 조정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측정대 (3) 중심부의 도관구에 30 ㎜ × 30 ㎜ 로 재단한 부직포 (45) (겉보기 중량 25 g/㎡ 의 친수성 레이온 스펀레이스) 를 깔고, 평형이 될 때까지 부직포에 흡수시켰다. 부직포가 흡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공기 도입관 (11) 으로부터 뷰렛 (10) 으로의 기포 발생이 보였지만, 몇 분 내에 기포 발생이 정지된 것을 확인하여 평형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평형 후, 뷰렛 (10) 의 눈금을 읽고, 제로점을 확인하였다.
별도로, 흡수성 수지 (5) 를 0.10 g 정확하게 칭량하여, 부직포 (45) 의 중심부에 한번에 투입하였다. 뷰렛 (10) 내의 생리 식염수의 감소량 (즉, 흡수성 수지 (5) 의 입자가 흡수한 생리 식염수량) 을 적절히 판독하고, 흡수성 수지 (5) 의 투입에서부터 기산하여 30 초 후의 생리 식염수의 감량분 Wd (㎖) 를 흡수성 수지 0.10 g 당의 흡수량으로서 기록하였다. 또한, 30 초 경과 후에도 감량분의 계측을 계속하여 30 분 후에 측정을 완료하였다. 측정은 1 종류의 흡수성 수지에 대해 5 회 실시하여, 30 초 경과 후의 값에 있어서 최저값과 최고값을 제외한 3 점의 평균값으로 하였다.
흡수성 수지 (5) 의 투입부터 30 초 후에, 뷰렛 (10) 내의 생리 식염수의 감소량 (흡수성 수지 (5) 가 흡수한 생리 식염수량) Wd (㎖) 를 흡수성 수지 1 g 당의 흡수량으로 변환하고, 또한 30 (초) 으로 나누어 얻어진 몫을, 당해 흡수성 수지의 초기 흡수 속도 (㎖/s) 로 하였다. 즉, 초기 흡수 속도 (㎖/s) = Wd ÷ (0.10 × 30) 이다.
또, 흡수성 수지 (5) 의 투입부터 30 분간 경과 후에, 뷰렛 (10) 내의 생리 식염수의 감소량 (흡수성 수지 (5) 가 흡수한 생리 식염수량) We (㎖) 를 흡수성 수지 1 g 당의 흡수량으로 변환하고, 당해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유효 흡수량 (㎖/g) 으로 하였다. 즉, 유효 흡수량 (㎖/g) = We ÷ 0.10 이다.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
본 시험은, 25 ℃ ± 1 ℃ 로 조절된 실내에서 실시하였다. 100 ㎖ 용적의 비커에 생리 식염수 50 ± 0.1 g 을 칭량하여, 마그네틱 스터러 바 (8 ㎜φ × 30 ㎜ 의 링 없음) 를 투입하고, 비커를 항온 수조에 침지시키고, 액온을 25 ± 0.2 ℃ 로 조절하였다. 다음으로, 마그네틱 스터러 상에 비커를 두고, 회전수 600 r/min 으로 하여 생리 식염수에 소용돌이를 발생시킨 후, 흡수성 수지 2.0 ± 0.002 g 을 상기 비커에 빠르게 첨가하고, 스톱 워치를 사용하여 흡수성 수지의 첨가 후부터 액면의 소용돌이가 수속 (收束) 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초) 을 측정하여, 흡수성 수지의 흡수 속도로 하였다.
<흡수성 수지의 질량 평균 입경>
흡수성 수지 100 g 에 활제로서 0.5 g 의 비정질 실리카 (데구사 재팬 주식회사 제조, Sipernat 200) 를 혼합하여, 측정용 흡수성 수지를 조정하였다.
상기 흡수성 수지를, JIS 표준 체의 메시 250 ㎛ 의 체를 사용하여 통과시키고, 그 50 질량% 이상이 통과하는 경우에는 (A) 의 체의 조합을, 그 50 질량% 이상이 체 상에 남는 경우에는 (B) 의 체의 조합을 사용하여 질량 평균 입자 직경을 측정하였다.
(A) JIS 표준 체를 위로부터, 메시 425 ㎛ 의 체, 메시 250 ㎛ 의 체, 메시 180 ㎛ 의 체, 메시 150 ㎛ 의 체, 메시 106 ㎛ 의 체, 메시 75 ㎛ 의 체, 메시 45 ㎛ 의 체 및 받침 접시의 순서로 조합하였다.
(B) JIS 표준 체를 위로부터, 메시 850 ㎛ 의 체, 메시 600 ㎛ 의 체, 메시 500 ㎛ 의 체, 메시 425 ㎛ 의 체, 메시 300 ㎛ 의 체, 메시 250 ㎛ 의 체, 메시 150 ㎛ 의 체 및 받침 접시의 순서로 조합하였다.
조합한 최상의 체에 상기 흡수성 수지를 넣고, 로탭식 진탕기을 사용하여 20 분간 진탕시켜 분급하였다.
분급 후, 각 체 상에 남은 흡수성 수지의 질량을 전체량에 대한 질량 백분율로서 계산하고, 입자 직경이 큰 쪽부터 순서대로 적산함으로써, 체의 메시와 체 상에 남은 흡수성 수지의 질량 백분율의 적산값의 관계를 로그 확률지에 플롯하였다. 확률지 상의 플롯을 직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적산 질량 백분율 50 질량% 에 상당하는 입자 직경을 질량 평균 입자 직경으로 하였다.
<부직포의 친수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직포의 친수도는 종이 펄프 시험 방법 No.68 (2000) 에 기재된 「발수성 시험 방법」에 기재된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45 도의 경사를 갖는 시험편 장착 장치에, 폭 × 길이가 10 ㎝ × 30 ㎝ 의 단책상 (短冊狀) 이고, 길이 방향이 부직포의 세로 방향 (기계 방향) 이 되도록 절단한 시험편을 장착하였다. 뷰렛의 콕 개구부를 30 초당 10 g 의 증류수를 공급하도록 조정한 뷰렛을 일단 건조시키고, 경사를 갖는 장치에 장착한 시험편의 최상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5 ㎜ 위의 부분에 뷰렛의 선단이 배치되도록 고정시켰다. 뷰렛 상부로부터 증류수 약 60 g 을 주입하고, 뷰렛 선단으로부터 부직포 시험편에 액체가 적하되기 시작하고 나서, 시험편이 액체를 전부 유지할 수 없어 하부로부터 액체가 누출될 때까지의 시간 (초) 을 측정하여 부직포의 친수도로 하였다. 수치가 클수록 친수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통상적으로, 부직포의 소재 자체가 친수성을 갖거나,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부직포에서는, 친수도의 수치는 5 이상이 되는 한편, 친수성이 낮은 소재의 부직포에서는, 표면 근방에서 액체가 흘러 보다 빠르게 하부로부터 액체가 누출되는 경향이 있다.
<흡수 시트 구성체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
흡수 시트 구성체를 사방 7 ㎝ 의 정방형으로 절단한 것을 샘플로 하여, 질량 Wf (g) 를 측정하였다. 면 주머니 (면 브로드 60 번, 가로 100 ㎜ × 세로 200 ㎜) 중에 샘플을 넣고, 다시 면 주머니를 500 ㎖ 용적의 비커에 넣었다. 면 주머니에 생리 식염수 500 g 을 한번에 부은 후, 면 주머니의 상부를 고무 밴드로 묶고, 1 시간 방치하여 샘플을 충분히 팽윤시켰다. 원심력이 167 G 가 되도록 설정한 탈수기 (코쿠산 원심기 주식회사 제조, 품번 : H-122) 를 사용하여 면 주머니를 1 분간 탈수하고, 탈수 후의 팽윤 샘플을 포함한 면 주머니의 질량 Wg (g) 를 측정하였다. 샘플을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면 주머니의 습윤시 공질량 Wh (g) 를 측정하고, 다음 식에 의해 흡수 시트 구성체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를 구하였다.
흡수 시트 구성체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 (g/㎡) = [Wg - Wh - Wf] (g)/0.0049 (㎡)
<흡수 시트 구성체의 강도>
흡수 시트 구성체의 강도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를 10 ㎝ × 10 ㎝ 의 크기로 절단하였다. 이어서 2 장의 10 ㎝ × 10 ㎝ 아크릴판 (질량 약 60 g) 의 각 편면의 전체면에 양면 테이프를 첩부 (貼付) 하였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흡수 시트 구성체를 아크릴판 (22) 에 중첩되도록 첩부한 후, 아크릴판 (21, 22) 의 대각선이 45 도를 이루도록, 또한 양면 테이프가 흡수 시트 구성체 (23) 측을 향하도록 하여 아크릴판 (21) 을 흡수 시트 구성체 (23) 에 첩부하고, 움직이지 않도록 압착하였다.
이와 같이 조제된 흡수 시트 구성체의 강도 테스트 피스를, 상기 <흡수성 수지의 질량 평균 입경> 의 항에서 사용한, 체의 금속제 받침 접시 중에 넣어 뚜껑을 닫은 후, 로탭식 진탕기로 3 분간 회전 탭핑하였다. 탭핑 후의 강도 테스트 피스의 외관에 기초하여, 이하의 기준에 의해 흡수 시트 구성체의 강도를 평가하였다.
○ : 외관에 변화가 없고, 아크릴판을 움직이게 하려고 해도 용이하게는 움직이지 않았다.
△ : 외관에 변화가 없지만, 아크릴판을 움직이게 하면 흡수 시트 구성체는 분열되었다.
× : 흡수 시트 구성체는 분열되어, 내용물이 산란되어 있었다.
<흡수 시트 구성체의 촉감>
흡수 시트 구성체의 촉감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를 10 ㎝ × 30 ㎝ 로 절단한 것을 샘플로서 사용하였다. 샘플이 흡수 시트 구성체의 부드러움과 형태 유지성을 양립시키고 있는지의 여부를, 이하의 기준에 의해 패널리스트 10 명에게 3 단계로 평가를 하게 하고, 그 평가값을 평균함으로써 흡수 시트 구성체의 촉감을 평가하였다.
단계 A : 절곡시의 감촉이 부드럽다. 내부로부터의 산일물도 보이지 않는다 (평가값 : 5).
단계 B : 절곡시에 저항을 느낀다. 또는, 감촉은 부드럽지만 내부로부터의 산일물이 산견된다 (평가값 : 3).
단계 C : 잘 절곡되지 않고, 구부린 후의 복원력도 부족하다. 또는, 지나치게 부드러워 내부로부터의 산일물이 우수수 떨어지거나, 부직포가 간단하게 움직이거나 한다 (평가값 : 1).
<흡수 시트 구성체의 박리 강도 (N/7 ㎝)>
흡수 시트 구성체의 박리 강도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를 7 ㎝ × 7 ㎝ 의 정방형으로 절단하고, 이어서, 흡수 시트 구성체를 형성하는 부직포의 세로 방향 (기계 방향) 이 인장 방향이 되도록, 시험편의 편측을 폭 2 ㎝ 분만큼 균일하게 박리시켰다.
박리시킨 2 ㎝ 폭의 부분을, 폭 8.5 ㎝ 의 척을 장착한 인장 시험기 (시마즈 제작소 제조, 오토그래프 AGS-J) 상하의 척에 각각 장착하고, 척간 거리를 제로로 설정하였다.
시험편을 0.5 ㎝/분의 속도로 180 °방향으로 인장하여, 척간 거리 4 ㎝ 까지의 시험값 (하중) 을 컴퓨터로 연속적으로 기록하였다. 인장 거리 0 ? 4 ㎝ 에 있어서의 시험값 (하중) 의 평균값을 흡수 시트 구성체의 박리 강도 (N/7 ㎝) 로 하였다. 측정은 5 회 실시하여,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 개의 수치를 평균한 값을 사용하였다.
<흡수 시트 구성체의 두께의 측정>
흡수 시트 구성체를 10 ㎝ × 30 ㎝ 의 단책상이고, 길이 방향이 부직포의 세로 방향 (기계 방향) 이 되도록 절단한 것을 샘플로서 사용하였다. 두께 측정기 (주식회사 오자키 제작소 제조, 제품번호 : J-B) 를 사용하여, 길이 방향으로 좌단, 중앙, 우단의 3 지점 (좌측으로부터 3 ㎝ 를 좌단, 15 ㎝ 를 중앙, 27 ㎝ 를 우단) 을 측정하였다. 폭 방향은 중앙부를 측정하였다. 두께의 측정값은 각 지점에서 3 회 측정하여 평균하였다. 또한, 좌단, 중앙, 우단의 값을 평균하여 흡수 시트 구성체 전체의 두께로 하였다.
<흡수 시트 구성체의 합계 침투 속도 및 역복귀량의 평가>
흡수 시트 구성체를 10 ㎝ × 30 ㎝ 의 단책상이고, 길이 방향이 부직포의 세로 방향 (기계 방향) 이 되도록 절단한 것을 샘플로서 사용하였다.
10 ℓ 용적의 용기에 염화나트륨 60 g, 염화칼슘 2수화물 1.8 g, 염화마그네슘 6수화물 3.6 g 및 적당량의 증류수를 넣고 완전하게 용해시켰다. 다음으로, 1 질량% 폴리 (옥시에틸렌) 이소옥틸페닐에테르 수용액 15 g 을 첨가하고, 추가로 증류수를 첨가하여 수용액 전체의 질량을 6000 g 으로 조정한 후, 소량의 청색 1 호로 착색하여 시험액을 조제하였다.
샘플 (흡수 시트 구성체) 의 상부에, 샘플과 동일한 크기 (10 ㎝ × 30 ㎝), 겉보기 중량 22 g/㎡ 의 폴리에틸렌제 에어스루형 다공질 액체 투과성 시트를 얹었다. 또, 샘플 아래에 이 시트와 동일한 크기, 겉보기 중량의 폴리에틸렌제 액체 불투과성 시트를 놓고, 간이적인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였다. 이 흡수성 물품의 중심 부근에 내경 3 ㎝ 의 원통형 실린더를 놓고, 50 ㎖ 의 시험액을 한번에 투입함과 함께, 스톱 워치를 사용하여 시험액이 완전하게 흡수성 물품에 침투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1 회째의 침투 속도 (초) 로 하였다. 이어서, 30 분 후 및 60 분 후에도 1 회째와 동일한 위치에 원통형 실린더를 놓고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2 회째 및 3 회째의 침투 속도 (초) 를 측정하였다. 1 회째 ? 3 회째의 초 수의 합계를 합계 침투 속도로 하였다.
1 회째의 시험액 투입 개시부터 120 분 후에 실린더를 제거하고, 흡수성 물품 상의 액체 투입 위치 부근에 미리 질량 (Wi (g), 약 70 g) 을 측정해 둔 사방 10 ㎝ 의 여과지 (약 80 장) 를 놓고, 그 위에 바닥면이 10 ㎝ × 10 ㎝ 인 5 ㎏ 의 추를 얹었다. 5 분간의 하중 후, 여과지의 질량 (Wj (g)) 을 측정하여, 증가된 질량을 역복귀량 (g) 으로 하였다.
역복귀량 (g) = Wj - Wi
<경사에 있어서의 누출 시험>
경사에 있어서의 누출 시험은, 도 4 에 나타내는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개략적으로는, 시판되는 실험 설비용 가대 (31) 를 사용하여, 아크릴판 (32) 을 경사지게 하여 고정시킨 후, 판 상에 재치한 흡수성 물품 (33) 에 연직 상방으로부터 적하 깔때기 (34) 로 상기 시험액을 투입하고, 누출량을 천칭 (35) 으로 계량하는 장치이다. 이하에 상세한 사양을 나타낸다.
아크릴판 (32) 은 경사면 방향의 길이가 45 ㎝ 이고, 가대 (31) 에 의해 수평에 대해 이루는 각 45 ± 2 °가 되도록 고정시켰다. 아크릴판 (32) 은 폭 100 ㎝, 두께 1 ㎝ 이고, 복수의 흡수성 물품 (33) 을 병행하여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였다. 아크릴판 (32) 의 표면은 매끄러워서, 판에 액체가 체류되거나 흡수되거나 하는 경우는 없었다.
가대 (31) 를 사용하여, 적하 깔때기 (34) 를 경사 아크릴판 (32) 의 연직 상방에 고정시켰다. 적하 깔때기 (34) 는, 용량 100 ㎖, 선단부의 내경이 4 ㎜ 이고, 8 ㎖/초로 액체가 투입되도록 콕의 스로틀을 조정하였다.
아크릴판 (32) 의 하부에는, 금속제의 트레이 (36) 를 재치한 천칭 (35) 이 설치되어 있고, 누출로서 흘러 떨어지는 시험액을 모두 받아, 그 질량을 0.1 g 의 정밀도로 기록하였다.
이와 같은 장치를 사용한 경사에 있어서의 누출 시험은, 이하의 순서로 실시하였다. 폭 × 길이가 10 ㎝ × 30 ㎝ 인 단책상이고, 길이 방향이 부직포의 세로 방향 (기계 방향) 이 되도록 절단한 흡수 시트 구성체의 질량을 측정한 후, 동 사이즈의 에어스루형 폴리에틸렌제 액체 투과성 부직포 (겉보기 중량 22 g/㎡) 를 상방으로부터 붙이고, 또한 동 사이즈, 동 겉보기 중량의 폴리에틸렌제 액체 불투과성 시트를 하방으로부터 붙여 제조한 간이적인 흡수성 물품 (33) 을, 아크릴판 (32) 상에 첩부하였다 (누출을 작위적으로 멈추지 않기 위해, 흡수성 물품 (33) 의 하단은 아크릴판 (32) 상에는 첩부하지 않았다).
흡수성 물품 (33) 의 상단으로부터 2 ㎝ 하방향 지점에 표시를 하여, 적하 깔때기 (34) 의 투입구를 표시로부터 연직 상방 거리 8 ± 2 ㎜ 가 되도록 고정시켰다.
천칭 (35) 을 기동시키고, 표시를 제로로 보정한 후, 적하 깔때기 (34) 에 상기 시험액 80 ㎖ 를 한번에 투입하였다. 시험액이 흡수성 물품 (33) 에 흡수되지 않고 경사진 아크릴판 (32) 을 흘러 금속제 트레이 (36) 에 들어간 액량을 측정하여, 1 회째의 누출량 (g) 으로 하였다. 이 1 회째의 누출량 (g) 의 수치를 LW1 로 하였다.
1 회째의 투입 개시부터 10 분 간격으로, 동일하게 2 회째, 3 회째의 시험액을 투입하여 2 회째, 3 회째의 누출량 (g) 을 측정하여, 그 수치를 각각 LW2, LW3 으로 하였다.
이어서, 이하의 식에 따라 누출 지수를 산출하였다. 지수가 작을수록 흡수 시트 구성체의 경사에 있어서의 누출량, 특히 초기의 누출량이 적어, 우수한 흡수 시트 구성체인 것으로 판단된다.
누출 지수 : L = LW1 × 10 + LW2 × 5 + LW3
(제조예 1 : 흡수성 수지 A)
환류 냉각기, 적하 깔때기, 질소 가스 도입관, 교반기로서 날개 직경 50 ㎜ 인 4 장의 경사 패들 날개를 2 단으로 갖는 교반 날개를 구비한 내경 100 ㎜ 의 바닥이 둥근 원통형 세퍼러블 플라스크를 준비하였다. 이 플라스크에 n-헵탄 500 ㎖ 를 넣고, 계면 활성제로서의 HLB 3 의 자당 스테아르산에스테르 (미츠비시 화학 푸즈 주식회사 제조, 료토 슈가 에스테르 S-370) 0.92 g,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하이 왁스 1105A) 0.92 g 을 첨가하고, 80 ℃ 까지 승온시켜 계면 활성제를 용해시킨 후, 50 ℃ 까지 냉각시켰다.
한편, 500 ㎖ 의 삼각 플라스크에 80.5 질량% 의 아크릴산 수용액 92 g 을 넣고, 외부에서 냉각시키면서 20.0 질량% 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54.1 g 을 적하시켜 75 몰% 의 중화를 실시한 후, 과황산칼륨 0.11 g,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9.2 ㎎ 을 첨가하고 용해시켜, 제 1 단째의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교반기의 회전수를 450 r/min 으로 하여, 상기 단량체 수용액 전체량을 상기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계 내를 질소로 치환하면서 35 ℃ 에서 30 분간 유지한 후, 70 ℃ 의 수욕 (水浴) 에 침지시켜 승온시키고, 중합을 실시함으로써 제 1 단째의 중합 후 슬러리를 얻었다.
한편, 다른 500 ㎖ 의 삼각 플라스크에 80.5 질량% 의 아크릴산 수용액 128.8 g 을 넣고, 외부에서 냉각시키면서 24.7 질량% 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74.9 g 을 적하시켜 75 몰% 의 중화를 실시한 후, 과황산칼륨 0.16 g,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12.9 ㎎ 을 첨가하고 용해시켜, 제 2 단째의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하고, 온도를 약 25 ℃ 로 유지하였다.
상기 중합 후 슬러리가 들어간 교반기의 교반 회전수를 1000 r/min 으로 변경한 후, 25 ℃ 로 냉각시키고, 상기 제 2 단째의 단량체 수용액 전체량을 계 내에 첨가하고, 질소로 치환하면서 30 분간 유지하였다. 다시, 플라스크를 70 ℃ 의 수욕에 침지시켜 승온시키고, 중합을 실시함으로써 제 2 단째의 중합 후 슬러리를 얻었다.
이어서, 120 ℃ 의 유욕 (油浴) 을 사용하여 승온시키고, 물과 n-헵탄을 공비 (共沸) 시킴으로써, n-헵탄을 환류시키면서 265.5 g 의 물을 계 외로 발출한 후,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의 2 % 수용액 8.83 g 을 첨가하고, 80 ℃ 에서 2 시간 유지하였다. 그 후, n-헵탄을 증발시키고 건조시킴으로써, 구상 입자가 응집된 형태의 흡수성 수지 A 를 231.2 g 얻었다. 얻어진 흡수성 수지 A 의 성능은, 질량 평균 입경 : 360 ㎛,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 : 44 초, 생리 식염수 보수능 : 30 g/g, 4.14 ㎪ 하중하에서의 생리 식염수 흡수능 : 26 ㎖/g, 초기 흡수 속도 : 0.17 ㎖/s, 유효 흡수량 : 52 ㎖/g 이었다.
(제조예 2 : 흡수성 수지 B)
상기 제조예 1 에 있어서, 첨가하는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의 2 % 수용액의 양을 16.56 g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흡수성 수지 A 의 제조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구상 입자가 응집된 형태의 흡수성 수지 B 를 232.3 g 얻었다. 얻어진 흡수성 수지 B 의 성능은, 질량 평균 입경 : 350 ㎛,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 : 46 초, 생리 식염수 보수능 : 22 g/g, 4.14 ㎪ 하중하에서의 생리 식염수 흡수능 : 23 ㎖/g, 초기 흡수 속도 : 0.14 ㎖/s, 유효 흡수량 : 40 ㎖/g 이었다.
(제조예 3 : 흡수성 수지 C)
상기 제조예 1 에 있어서, 첨가하는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의 2 % 수용액의 양을 6.62 g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흡수성 수지 A 의 제조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구상 입자가 응집된 형태의 흡수성 수지 C 를 232.1 g 얻었다. 얻어진 흡수성 수지 C 의 성능은, 질량 평균 입경 : 370 ㎛,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 : 43 초, 생리 식염수 보수능 : 35 g/g, 4.14 ㎪ 하중하에서의 생리 식염수 흡수능 : 25 ㎖/g, 초기 흡수 속도 : 0.18 ㎖/s, 유효 흡수량 : 57 ㎖/g 이었다.
(제조예 4 : 흡수성 수지 D)
상기 제조예 1 에 있어서, 첨가하는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의 2 % 수용액의 양을 2.21 g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흡수성 수지 A 의 제조예와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구상 입자가 응집된 형태의 흡수성 수지 D 를 230.8 g 얻었다. 얻어진 흡수성 수지 D 의 성능은, 질량 평균 입경 : 350 ㎛,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 : 46 초, 생리 식염수 보수능 : 52 g/g, 4.14 ㎪ 하중하에서의 생리 식염수 흡수능 : 12 ㎖/g, 초기 흡수 속도 : 0.20 ㎖/s, 유효 흡수량 : 73 ㎖/g 이었다.
(제조예 5 : 흡수성 수지 E)
상기 제조예 1 에 있어서, 첨가하는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의 2 % 수용액의 양을 88.32 g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흡수성 수지 A 의 제조예와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구상 입자가 응집된 형태의 흡수성 수지 E 를 232.6 g 얻었다. 얻어진 흡수성 수지 E 의 성능은, 질량 평균 입경 : 360 ㎛,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 : 72 초, 생리 식염수 보수능 : 14 g/g, 4.14 ㎪ 하중하에서의 생리 식염수 흡수능 : 19 ㎖/g, 초기 흡수 속도 : 0.08 ㎖/s, 유효 흡수량 : 32 ㎖/g 이었다.
(제조예 6 : 흡수성 수지 F 의 제조)
환류 냉각기, 적하 깔때기, 질소 가스 도입관, 교반기로서 날개 직경 50 ㎜ 의 4 장의 경사 패들 날개를 2 단으로 갖는 교반 날개를 구비한 내경 100 ㎜ 의 바닥이 둥근 원통형 세퍼러블 플라스크를 준비하였다. 이 플라스크에 n-헵탄 550 ㎖ 를 넣고, 계면 활성제로서의 HLB 8.6 의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니치유 주식회사 제조, 논이온 LP-20R) 0.84 g 을 첨가하고, 50 ℃ 까지 승온시켜 계면 활성제를 용해시킨 후, 40 ℃ 까지 냉각시켰다.
한편, 500 ㎖ 의 삼각 플라스크에 80.5 질량% 의 아크릴산 수용액 70 g 을 넣고, 이것을 빙랭시키면서 20.9 질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12.3 g 을 적하시켜 75 몰% 의 중화를 실시한 후, 과황산칼륨 0.084 g 을 첨가하고 용해시켜,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교반기의 회전수를 800 r/min 으로 하여, 상기 단량체 수용액 전체량을 상기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계 내를 질소로 30 분간 치환한 후, 70 ℃ 의 수욕에 침지시켜 승온시키고, 중합 반응을 2 시간 실시하였다.
이어서, 120 ℃ 의 유욕을 사용하여 승온시키고, 물과 n-헵탄을 공비시킴으로써, n-헵탄을 환류시키면서 85.5 g 의 물을 계 외로 발출한 후,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의 2 % 수용액 3.50 g 을 첨가하고, 80 ℃ 에서 2 시간 유지하였다. 그 후, n-헵탄을 증발시키고 건조시킴으로써, 과립상의 흡수성 수지 F 를 72.3 g 얻었다. 얻어진 흡수성 수지 F 의 성능은, 질량 평균 입경 : 240 ㎛,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 : 3 초, 생리 식염수 보수능 : 38 g/g, 4.14 ㎪ 하중하에서의 생리 식염수 흡수능 : 15 ㎖/g, 초기 흡수 속도 : 0.34 ㎖/s, 유효 흡수량 : 63 ㎖/g 이었다.
(실시예 1)
롤러형 산포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 : 신터에이스 M/C) 의 투입구에 접착제로서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EVA ; 융점 95 ℃) 100 질량부와, 흡수성 수지로서 제조예 1 의 흡수성 수지 A 의 550 질량부를 균일 혼합시킨 것을 투입하였다. 한편, 산포기 하부의 컨베이어에 폭 30 ㎝ 의 폴리프로필렌제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SMS) 부직포를 친수화제에 의해 친수화 처리한 것 (겉보기 중량 13 g/㎡, 두께 : 150 ㎛, 폴리프로필렌 함유율 : 100 %, 친수도 = 16 ; 「부직포 A」라고 한다) 을 깔았다. 이어서, 산포 롤러와 하부 컨베이어를 가동시킴으로써, 상기 혼합물을 겉보기 중량 650 g/㎡ 로 상기 부직포 상에 균일하게 적층시켰다.
얻어진 적층체를 다른 부직포 A 로 사이에 끼운 후, 가열 온도를 130 ℃ 로 설정한 열 라미네이트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 : 직선식 접착 프레스 HP-600LF) 로 열융착시킴으로써 일체화하여 흡수 시트 구성체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면, 도 5 와 같은 구조였다. 도 5 에 있어서, 흡수 시트 구성체 (51) 는 흡수층 (53) 이 부직포 (56 및 57) 에 의해 당해 흡수층 (53) 의 상방 및 하방으로부터 협지된 구조였다. 흡수층 (53) 은, 흡수성 수지 (52) 및 접착제 (50)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였다.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상기 각종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가열 온도를 150 ℃ 로 설정한 핫멜트 도공기 (주식회사 할리스 제조 : 마샬 150) 상에 폭 30 ㎝ 의 폴리프로필렌제 SMMS 부직포를 친수화제에 의해 친수화 처리한 것 (겉보기 중량 : 15 g/㎡, 두께 : 170 ㎛, 폴리프로필렌 함유율 : 100 %, 친수도 = 20 ; 「부직포 B」라고 한다) 을 깐 후, 접착제로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SBS ; 연화점 85 ℃) 를 겉보기 중량 25 g/㎡ 로 당해 부직포 상에 도포하였다.
다음으로, 롤러형 산포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 : 신터에이스 M/C) 의 투입구에 흡수성 수지로서의 흡수성 수지 A 를 투입하였다. 한편, 산포기 하부의 컨베이어에 상기 접착제 도포 부직포를 깔았다. 이어서, 산포 롤러와 하부 컨베이어를 가동시킴으로써, 흡수성 수지 A 를 겉보기 중량 300 g/㎡ 로 부직포 상에 균일하게 적층시켰다.
얻어진 적층체를, 상부로부터 겉보기 중량 25 g/㎡ 로, 접착제로서의 상기 SBS 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한 다른 부직포 B 로 사이에 끼운 후, 가열 온도를 100 ℃ 로 설정한 라미네이트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 : 직선식 접착 프레스 HP-600LF) 로 열융착시킴으로써 이들을 일체화하여 흡수 시트 구성체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상기 각종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롤러형 산포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 : 신터에이스 M/C) 의 투입구에 접착제로서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융점 107 ℃) 160 질량부와, 흡수성 수지로서 제조예 2 의 흡수성 수지 B 의 700 질량부를 균일 혼합시킨 것을 투입하였다. 한편, 산포기 하부의 컨베이어에 폭 30 ㎝ 의 레이온/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스펀레이스 부직포 (겉보기 중량 40 g/㎡, 두께 : 400 ㎛, 레이온 함유율 : 70 %, 친수도 = 55 ; 「부직포 C」라고 한다) 를 깔았다. 이어서, 산포 롤러와 하부 컨베이어를 가동시킴으로써, 상기 혼합물을 겉보기 중량 860 g/㎡ 로 상기 부직포 상에 균일하게 적층시켰다.
얻어진 적층체를 다른 부직포 C 로 사이에 끼운 후, 가열 온도를 140 ℃ 로 설정한 열 라미네이트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 : 직선식 접착 프레스 HP-600LF) 로 열융착시킴으로써 일체화하여 흡수 시트 구성체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상기 각종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2 에 있어서, 사용하는 부직포를 표 3 에 기재된 부직포 D 로 각각 변경하고, 및 사용하는 흡수성 수지를 제조예 3 의 흡수성 수지 C 로 변경하고, 흡수성 수지 및 접착제의 함유량 등을 표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흡수 시트 구성체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상기 각종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5)
가열 온도를 150 ℃ 로 설정한 핫멜트 도공기 (주식회사 할리스 제조 : 마샬 150) 상에 폭 30 ㎝ 의 폴리프로필렌제 SMS 부직포에 친수화제에 의해 친수화 처리한 것 (겉보기 중량 : 11 g/㎡, 두께 : 120 ㎛, 폴리프로필렌 함유율 : 100 %, 친수도 = 12 ; 「부직포 E」라고 한다) 을 깐 후, 접착제로서 SBS 공중합체 (연화점 85 ℃) 를 겉보기 중량 20 g/㎡ 로 당해 부직포 상에 도포하였다.
다음으로, 롤러형 산포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 : 신터에이스 M/C) 의 투입구에 흡수성 수지로서의 흡수성 수지 A 를 투입하였다. 한편, 산포기 하부의 컨베이어에 상기 접착제 도포 부직포를 깔았다. 이어서, 산포 롤러와 하부 컨베이어를 가동시킴으로써, 흡수성 수지 A 를 겉보기 중량 200 g/㎡ 로 부직포 상에 균일하게 적층시켰다.
얻어진 적층체를, 상부로부터 겉보기 중량 20 g/㎡ 로, 접착제로서의 상기 SBS 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한 통기성 분획층으로서의 다른 부직포 E 로 사이에 끼운 후, 가열 온도를 100 ℃ 로 설정한 라미네이트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 : 직선식 접착 프레스 HP-600LF) 로 열융착시킴으로써 이들을 일체화하여 흡수 시트 구성체 중간물을 얻었다.
상기와 동일하게, 가열 온도를 150 ℃ 로 설정한 핫멜트 도공기 상에 흡수 시트 구성체 중간물을 깔고, 접착제로서 상기 SBS 를 겉보기 중량 10 g/㎡ 로 흡수 시트 구성체 중간물 상에 도포하였다.
다음으로, 롤러형 산포기의 투입구에 흡수성 수지로서 제조예 6 의 흡수성 수지 F 를 투입하였다. 한편, 산포기 하부의 컨베이어에 접착제가 도포된 면을 위로 하여 흡수 시트 구성체 중간물을 깔았다. 이어서, 산포 롤러와 하부 컨베이어를 가동시킴으로써, 흡수성 수지 F 를 겉보기 중량 50 g/㎡ 로, 상기 흡수 시트 구성체 중간물의 부직포 상에 균일하게 적층시켰다.
얻어진 적층체를, 상부로부터 겉보기 중량 10 g/㎡ 로 상기 SBS 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한 다른 부직포 E 로 사이에 끼운 후, 가열 온도를 100 ℃ 로 설정한 라미네이트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 : 직선식 접착 프레스 HP-600LF) 로 열융착시킴으로써 이들을 일체화하여 흡수 시트 구성체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흡수성 수지 A 를 사용한 흡수층이 상방 (1 차 흡수층) 이 되도록 하여 상기 각종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의 흡수 시트 구성체의 박리 강도의 측정은, 상기 흡수 시트 구성체의 박리 강도 측정 방법에 준거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10 장의 시험편을 준비하고, 그 중 5 장을 사용하여 상방의 부직포만을 2 ㎝ 박리시킨 샘플을 조정하고, 1 차 흡수층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나머지 5 장을 사용하여 하방의 부직포만을 2 ㎝ 박리시킨 샘플을 조정하고, 2 차 흡수층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2 에 있어서, 흡수성 수지를 상기 제조예 4 에서 얻어진 흡수성 수지 D 로 변경하고, 흡수성 수지 및 접착제의 함유량 등을 표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흡수 시트 구성체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상기 각종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실시예 3 에 있어서, 흡수성 수지를 상기 제조예 5 에서 얻어진 흡수성 수지 E 로 변경하고, 흡수성 수지 및 접착제의 함유량 등을 표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흡수 시트 구성체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상기 각종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 5)
실시예 1 에 있어서, 흡수성 수지 및 접착제의 함유량 등을 표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흡수 시트 구성체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상기 각종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접착제의 함유 비율은, 대 (對) 흡수성 수지의 함유량 (질량 기준) 이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이상의 결과로부터, 실시예의 흡수 시트 구성체는 비교예의 것과 대비하여, 액체의 침투 속도가 빠르고, 역복귀량이 적고, 액체의 경사에 있어서의 누출도 적어, 액체 흡수 성능이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과 비교예 3 및 4 의 결과로부터, 흡수 시트 구성체의 박리 강도가 0.05 N/7 ㎝ 미만인 경우 및 3.0 N/7 ㎝ 를 초과하는 경우, 보수능이나 형태 유지성과 같은 흡수 시트 구성체의 기본적인 성능을 만족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흡수 시트 구성물에 사용되는 각 소재의 종류나 물성, 또는 시트의 제조 조건 등과 같은 액체 흡수 성능에 관련된 많은 요소 중에서도, 흡수 시트 구성체의 박리 강도가, 흡수 시트 구성체의 기본적인 성능 (빠른 액체 침투 속도, 충분한 보수능, 적은 액체 역복귀량, 적은 액 누출량, 형태 유지성) 을 결정하는 유력한 요소 중 하나인 것이 나타났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위생 재료 분야, 농업 분야, 건재 분야 등에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종이 기저귀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X : 측정 장치
1 : 뷰렛부
2 : 도관
3 : 측정대
4 : 측정부
5 : 흡수성 수지
10 : 뷰렛
11 : 공기 도입관
12 : 콕
13 : 콕
14 : 고무 마개
21 : 아크릴판
22 : 아크릴판
23 : 흡수 시트 구성체
31 : 가대
32 : 아크릴판
33 : 흡수성 물품
34 : 적하 깔때기
35 : 천칭
36 : 트레이
40 : 원통
41 : 나일론 메시
42 : 추
45 : 부직포
50 : 접착제
51 : 흡수 시트 구성체
52 : 흡수성 수지
53 : 흡수층
56 : 부직포
57 : 부직포
65 : 가대
75 : 클램프

Claims (10)

  1. 흡수성 수지 및 접착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층이, 부직포에 의해 그 흡수층의 상방 및 하방으로부터 협지된 구조를 갖는 흡수 시트 구성체로서, 그 흡수성 수지의 함유량이 100 ? 1000 g/㎡, 그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이 15 ? 50 g/g 이고, 그 흡수 시트 구성체의 박리 강도가 0.05 ? 3.0 N/7 ㎝ 인 흡수 시트 구성체.
  2. 제 1 항에 있어서,
    흡수 시트 구성체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이 1000 ? 45000 g/㎡ 인 흡수 시트 구성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흡수성 수지의 4.14 ㎪ 하중하에서의 생리 식염수 흡수능이 15 ㎖/g 이상인 흡수 시트 구성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성 수지의 초기 흡수 속도가 0.35 ㎖/s 이하인 흡수 시트 구성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직포가 레이온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인 흡수 시트 구성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접착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접착제,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및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인 흡수 시트 구성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제의 함유 비율이 흡수성 수지의 함유량 (질량 기준) 의 0.05 ? 2.0 배인 흡수 시트 구성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의 흡수성 수지의 함유량 B [g/㎡] 가,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 C [g/g] 에 기초하여, 관계식 : 400 - 20/3 C ≤ B ≤ 900 - 20/3 C 를 충족시키는 흡수 시트 구성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하의 (A) ? (C) :
    (A) 건조 상태의 두께가 5 ㎜ 이하,
    (B) 합계 침투 속도가 120 초 이하, 및
    (C) 누출 지수가 150 이하,
    인 특성을 갖는 흡수 시트 구성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 시트 구성체를, 액체 투과성 시트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로 협지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
KR1020127020968A 2010-01-13 2010-12-27 흡수 시트 구성체 KR1017203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04933 2010-01-13
JP2010004933 2010-01-13
PCT/JP2010/073535 WO2011086841A1 (ja) 2010-01-13 2010-12-27 吸水シート構成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542A true KR20120115542A (ko) 2012-10-18
KR101720372B1 KR101720372B1 (ko) 2017-03-27

Family

ID=44304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968A KR101720372B1 (ko) 2010-01-13 2010-12-27 흡수 시트 구성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20328862A1 (ko)
EP (1) EP2524678B1 (ko)
JP (1) JP5755151B2 (ko)
KR (1) KR101720372B1 (ko)
CN (1) CN102711697A (ko)
AU (1) AU2010342024B2 (ko)
DK (1) DK2524678T3 (ko)
ES (1) ES2539727T3 (ko)
PL (1) PL2524678T3 (ko)
TW (1) TWI478736B (ko)
WO (1) WO201108684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634A (ko) *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휴비스 고흡수성 박막 코어층
KR20190096022A (ko) * 2018-02-08 2019-08-19 주식회사 휴비스 고흡수성 박막 코어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1309126B2 (en) 2010-09-28 2015-05-07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Water-absorbent sheet structure
JP2012152471A (ja) * 2011-01-27 2012-08-16 Unicharm Corp パッド形態を有する吸水性物品
PL3210583T3 (pl) * 2011-12-27 2018-11-30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Kompozyt warstwowy pochłaniający wodę
EP3381956B1 (en) 2012-11-21 2021-05-05 Basf Se Surface-postcrosslinked wat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US9789014B2 (en) 2013-03-15 2017-10-17 Dsg Technology Holdings Ltd.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employing the same
US9566198B2 (en) 2013-03-15 2017-02-14 Dsg Technology Holdings Ltd.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employing the same
BR112015032807B1 (pt) 2013-07-03 2022-01-11 Dsg Technology Holdings Ltd Método de formação de um compósito absorvente para incorporação em um artigo absorvente descartável
WO2015028158A1 (en) 2013-08-26 2015-03-05 Basf Se Fluid-absorbent article
JP6300498B2 (ja) * 2013-11-27 2018-03-28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吸収性物品
JP6324037B2 (ja) * 2013-11-27 2018-05-16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吸収性物品
CN104783340B (zh) * 2015-04-28 2017-04-05 苏州舒而适纺织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热防护服吸湿导气结构
KR20180080325A (ko) 2015-12-01 2018-07-1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탄성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흡수성 및 보호용 조성물
BR112018009724B1 (pt) * 2015-12-01 2022-03-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impador a seco, e, produto limpador a seco
US10806640B2 (en) 2016-03-30 2020-10-20 Basf Se Ultrathin fluid-absorbent article
US10881555B2 (en) 2016-03-30 2021-01-05 Basf Se Fluid-absorbent article
US20170281425A1 (en) 2016-03-30 2017-10-05 Basf Se Fluid-absorbent article
JP7424832B2 (ja) 2017-02-06 2024-01-30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流体吸収性物品
JP7247094B2 (ja) 2017-02-17 2023-03-28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流体吸収性物品
CN110325273B (zh) 2017-02-22 2022-09-06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性片、长条状吸水性片及吸收性物品
JP6404393B1 (ja) * 2017-03-30 2018-10-1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SG11202009156VA (en) 2018-03-22 2020-10-29 Dsg Technology Holdings Lt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core composite
JP7217268B2 (ja) 2018-04-13 2023-02-02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性シート、吸水性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吸収性物品
JP7361717B2 (ja) 2018-04-20 2023-10-16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薄い流体吸収性コア-吸収紙
JP2021532865A (ja) 2018-08-01 2021-12-02 ビーエイエスエフ・ソシエタス・エウロパエアBasf Se 流体吸収性コア
CN112638337B (zh) 2018-08-01 2023-01-20 巴斯夫欧洲公司 女性卫生吸收制品
CN112566598B (zh) 2018-08-09 2022-11-29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性片和包含其的吸收性物品
CN109342721A (zh) * 2018-12-07 2019-02-15 上海荣盛生物药业有限公司 用于免疫试剂的吸水试纸及其制备方法
JP6681493B1 (ja) * 2018-12-12 2020-04-15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性樹脂粒子の液体漏れ性を評価する方法、及び吸水性樹脂粒子
JP6856826B1 (ja) * 2019-04-23 2021-04-14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性樹脂粒子
JP6889811B2 (ja) * 2019-04-23 2021-06-18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性樹脂粒子、吸収性物品、吸水性樹脂粒子を製造する方法、及び吸収性物品の液漏れを抑制する方法
JP7310377B2 (ja) 2019-07-08 2023-07-19 東レ株式会社 吸収体
CN116942426B (zh) * 2023-07-17 2024-04-02 广东美登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吸收新生儿稀便功能的复合芯体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8944A (ja) 1988-08-10 1990-02-19 Dynic Corp 高吸水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法
JPH0751315A (ja) 1993-08-19 1995-02-28 Kuraray Co Ltd 吸収体
JPH0857311A (ja) 1994-06-13 1996-03-05 Nippon Shokubai Co Ltd 吸収体および吸収性物品
US5567744A (en) * 1992-05-23 1996-10-22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High water-absorbent resin composition
JPH09253129A (ja) 1996-03-27 1997-09-30 Shiseido Co Ltd 吸収体
JPH09510889A (ja) 1994-03-29 1997-11-04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良好な湿潤一体性を有し、ヒドロゲルを形成する吸収性重合体の濃度が比較的高い、体液用吸収部材
US5910137A (en) * 1994-04-29 1999-06-08 Mcneil-Ppc, Inc. Layered absorbent products
JP2000238161A (ja) 1999-02-22 2000-09-05 Toyo Eizai Corp 使い捨て製品の吸収用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096654A (ja) 1999-09-29 2001-04-10 Nippon Kyushutai Gijutsu Kenkyusho:Kk 繊維状化ホットメルトにより表面被覆加工された吸水性複合体、その製造法及び吸収体物品
JP2001158074A (ja) 1999-12-01 2001-06-12 Oji Paper Co Ltd 吸水シート
JP2002325799A (ja) 2001-05-02 2002-11-12 Nippon Kyushutai Gijutsu Kenkyusho:Kk 吸水性耐水性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体製品
JP2003011118A (ja) 2001-03-28 2003-01-15 Mitsubishi Chemicals Corp 吸水性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573330B1 (en) * 1995-11-30 2003-06-03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Process for preparing water-absorbent resin
US20080119808A1 (en) * 2004-11-17 2008-05-22 Masayoshi Handa Water Absorbing Resin Particle And, Making Use Of The Same, Absorber Material And Absorbent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4478A (en) * 1992-12-18 1994-03-15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layer absorbent composite
JPH0659039U (ja) * 1993-01-08 1994-08-16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積層体
JPH06328604A (ja) * 1993-03-24 1994-11-29 Nippon Shokubai Co Ltd 吸水性物品
JPH06313044A (ja) * 1993-04-30 1994-11-08 Kao Corp 高吸水性樹脂の製造法
US5411497A (en) * 1993-10-29 1995-05-02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hich includes superabsorbent material located in discrete pockets having an improved containment structure
JPH07314613A (ja) * 1994-05-30 1995-12-05 Nippon Shokubai Co Ltd 吸水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水性シートを用いた鮮度保持方法
JPH0885709A (ja) * 1994-09-19 1996-04-02 Kao Corp 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
JP3791982B2 (ja) * 1996-10-22 2006-06-2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A2392695C (en) * 1999-12-21 2007-09-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minate web comprising an apertured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JP2001252307A (ja) * 2000-03-13 2001-09-18 Oji Paper Co Ltd 吸収性物品
US6506959B2 (en) * 2000-04-11 2003-01-14 Ka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JP2003192732A (ja) * 2001-08-09 2003-07-09 San-Dia Polymer Ltd 吸水性樹脂及びこれを用いてなる吸収性物品
DE60331115D1 (de) * 2003-02-12 2010-03-11 Procter & Gamble Saugfähiger Kern für einen saugfähigen Artikel
KR100740976B1 (ko) * 2003-03-12 2007-07-19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일회용 흡수성 물품
JP2005334616A (ja) * 2004-04-30 2005-12-08 Sumitomo Seika Chem Co Ltd 吸収体およびそれが用いられた吸収性物品
JP4804021B2 (ja) * 2005-04-01 2011-10-2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1175632B (zh) * 2005-05-13 2010-04-14 旭化成化学株式会社 吸收性复合体及其制造方法
JP5000198B2 (ja) * 2006-05-30 2012-08-15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漏れの少ない吸収体及び体液吸収物品
KR101391093B1 (ko) * 2006-07-24 2014-04-30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WO2008015980A1 (en) * 2006-08-04 2008-02-07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Water-absorbable resin particle,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absorber material using the same
JP4829139B2 (ja) * 2007-01-29 2011-12-07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吸収性物品
ES2409836T3 (es) * 2007-08-10 2013-06-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ículo absorbente
JP2009270039A (ja) * 2008-05-09 2009-11-19 Kao Corp 吸水性架橋重合体
BRPI0914174A2 (pt) * 2008-06-20 2015-08-04 Procter & Gamble Estruturas absorventes que incluem um material absorvente revestido
WO2010143635A1 (ja) * 2009-06-12 2010-12-16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シート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8944A (ja) 1988-08-10 1990-02-19 Dynic Corp 高吸水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法
US5567744A (en) * 1992-05-23 1996-10-22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High water-absorbent resin composition
JPH0751315A (ja) 1993-08-19 1995-02-28 Kuraray Co Ltd 吸収体
JPH09510889A (ja) 1994-03-29 1997-11-04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良好な湿潤一体性を有し、ヒドロゲルを形成する吸収性重合体の濃度が比較的高い、体液用吸収部材
US5910137A (en) * 1994-04-29 1999-06-08 Mcneil-Ppc, Inc. Layered absorbent products
JPH0857311A (ja) 1994-06-13 1996-03-05 Nippon Shokubai Co Ltd 吸収体および吸収性物品
US6573330B1 (en) * 1995-11-30 2003-06-03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Process for preparing water-absorbent resin
JPH09253129A (ja) 1996-03-27 1997-09-30 Shiseido Co Ltd 吸収体
JP2000238161A (ja) 1999-02-22 2000-09-05 Toyo Eizai Corp 使い捨て製品の吸収用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096654A (ja) 1999-09-29 2001-04-10 Nippon Kyushutai Gijutsu Kenkyusho:Kk 繊維状化ホットメルトにより表面被覆加工された吸水性複合体、その製造法及び吸収体物品
JP2001158074A (ja) 1999-12-01 2001-06-12 Oji Paper Co Ltd 吸水シート
JP2003011118A (ja) 2001-03-28 2003-01-15 Mitsubishi Chemicals Corp 吸水性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325799A (ja) 2001-05-02 2002-11-12 Nippon Kyushutai Gijutsu Kenkyusho:Kk 吸水性耐水性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体製品
US20080119808A1 (en) * 2004-11-17 2008-05-22 Masayoshi Handa Water Absorbing Resin Particle And, Making Use Of The Same, Absorber Material And Absorbent Art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634A (ko) *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휴비스 고흡수성 박막 코어층
KR20190096022A (ko) * 2018-02-08 2019-08-19 주식회사 휴비스 고흡수성 박막 코어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524678T3 (pl) 2015-09-30
EP2524678A1 (en) 2012-11-21
AU2010342024A1 (en) 2012-08-16
EP2524678B1 (en) 2015-04-08
US20120328862A1 (en) 2012-12-27
CN102711697A (zh) 2012-10-03
TW201134505A (en) 2011-10-16
EP2524678A4 (en) 2013-11-20
JPWO2011086841A1 (ja) 2013-05-16
JP5755151B2 (ja) 2015-07-29
TWI478736B (zh) 2015-04-01
WO2011086841A1 (ja) 2011-07-21
AU2010342024B2 (en) 2015-05-28
ES2539727T3 (es) 2015-07-03
KR101720372B1 (ko) 2017-03-27
DK2524678T3 (en) 201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5542A (ko) 흡수 시트 구성체
KR101807892B1 (ko) 흡수 시트 구성체
KR101727775B1 (ko) 흡수 시트 구성체
KR101718180B1 (ko) 흡수 시트 구성체
KR101719024B1 (ko) 흡수 시트 구성체
JP5469096B2 (ja) 吸水シート組成物
KR101695046B1 (ko) 흡수 시트
DK2383115T3 (en) Water-absorbent bane composition
KR20120082020A (ko) 흡수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