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2020A - 흡수 시트 - Google Patents

흡수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2020A
KR20120082020A KR1020127011914A KR20127011914A KR20120082020A KR 20120082020 A KR20120082020 A KR 20120082020A KR 1020127011914 A KR1020127011914 A KR 1020127011914A KR 20127011914 A KR20127011914 A KR 20127011914A KR 20120082020 A KR20120082020 A KR 20120082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nonwoven fabric
sheet
layer
absorben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1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이치 마루오
슈지 츠노
히데키 마츠시타
마사요시 한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2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0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1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 A61F2013/53037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comprising mixtures of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2013/534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from several sheets

Abstract

흡수성 수지 및 접착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층이, 부직포에 의해서 당해 흡수층의 상방 및 하방에서 끼워 넣어진 구조를 갖는 흡수 시트로서, 당해 흡수층이 통기성 분획층에 의해서 1 차 흡수층과 2 차 흡수층으로 분획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를 갖고, 당해 부직포 중의 적어도 1 장이 스펀 결합 부직포이고, 또한 당해 부직포 중의 적어도 하방의 부직포가 친수성 부직포인 흡수 시트. 본 발명의 흡수 시트는, 펄프가 극히 적고, 또한 종래의 것보다 더욱 박형인 흡수 시트여도, 특정 부직포를 사용하고, 추가로 적어도 흡수 시트의 흡수층의 하방의 부직포를 친수성 부직포로 함으로써, 흡수 시트로서의 기본적인 성능을 높은 레벨에서 확보하면서, 겔 블로킹 현상 및 액누출의 회피를 달성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흡수 시트{WATER ABSORBENT SHEET}
본 발명은 위생 재료 분야 등에 사용할 수 있는 흡수 시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부터 박형이어도 높은 흡수 성능을 갖고, 또한 흡수 시트의 형태 유지성도 높기 때문에, 종이 기저귀, 실금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펄프가 극히 적은 흡수 시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흡수 시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이 기저귀 등으로 대표되는 흡수성 물품은, 체액 등의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체가, 몸에 접하는 측에 배치된 유연한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 (탑 시트) 와, 몸과 접하는 반대측에 배치된 액체 불투과성의 배면 시트 (백 시트) 에 의해서 사이에 끼워진 구조를 갖는다.
종래, 디자인성, 휴대시의 편리성, 유통시의 효율 등의 관점에서 흡수성 물품의 박형화, 경량화에 대한 요구는 높았다. 또, 최근에 환경 보전의 관점에서 자원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수목과 같은 성장에 장기간을 요하는 천연 소재의 사용을 최대한 회피하는, 이른바 에코?프렌드리한 (eco friendly) 지향에 니즈가 모이고 있다. 종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행해지던 박형화를 위한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흡수체 중의 흡수성 수지를 고정시키는 역할인 목재의 해쇄 펄프 등의 친수성 섬유를 줄이고 흡수성 수지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었다.
친수성 섬유의 비율을 낮추고, 흡수성 수지를 다량으로 사용한 흡수체는, 고벌크의 친수성 섬유를 줄이고, 액체를 유지한다는 관점에서는 박형화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제로 종이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었을 때의 액체의 분배나 확산을 생각할 경우, 다량의 흡수성 수지가 흡수에 의해서 부드러운 겔상이 되면, 이른바「겔 블로킹 현상」이 발생되고, 액확산성이 현격히 저하되어 흡수체의 액침투 속도가 늦어진다는 결점을 갖는다. 이「겔 블로킹 현상」이란, 특히 흡수성 수지가 많이 밀집된 흡수체가 액체를 흡수할 때, 표층 부근에 존재하는 흡수성 수지가 액체를 흡수하고, 표층 부근에서 부드러운 겔이 더욱 조밀해짐으로써 흡수체 내부에 액체가 침투하는 것이 방해되어, 내부의 흡수성 수지가 효율적으로 액체를 흡수할 수 없게 되는 현상이다.
그래서, 지금까지도 친수성 섬유를 줄이고, 흡수성 수지를 다량으로 사용했을 때 발생되는 겔 블로킹 현상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특정 식염수 흐름 유도성, 압력 하 성능 등을 갖는 흡수성 중합체를 사용하는 방법 (특허문헌 1 참조), 특정 흡수성 수지 전구체에 특정 표면 가교제를 가열 처리한 흡수성 수지를 사용하는 방법 (특허문헌 2 참조)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에서는, 흡수성 수지를 다량으로 사용한 흡수체로서의 흡수 성능은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 흡수성 수지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친수성 섬유를 줄임으로써, 흡수성 수지가 사용 전 또는 사용 중에 이동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흡수성 수지의 편향이 발생된 흡수체는, 더욱 겔 블로킹 현상을 일으키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형태 유지에 기여하는 친수성 섬유를 줄인 흡수체는, 흡수체로서의 형태 유지성이 저하되고, 액체의 흡수 전 또는 흡수 후에 있어서 뒤틀리거나 단열 등의 형태 붕괴를 일으키기 쉬워진다. 형태가 붕괴된 흡수체는, 액체의 확산성이 현격히 저하되기 때문에, 흡수체의 본래의 능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피하려고 하면, 친수성 섬유와 흡수성 수지의 비율이 제한되어 흡수성 물품의 박형화에도 한계가 발생한다.
그래서 최근에는, 흡수체에 있어서의 친수성 섬유를 최대한 사용하지 않고, 흡수성 수지의 함유량을 높일 수 있는 차세대형 흡수체로서, 흡수층 내에 실질적으로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흡수 적층체나, 흡수 시트 등의 연구가 폭넓게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2 장의 부직포가 부직포 사이에 형성된 상하 2 층의 핫멜트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망상체층에 의해서 접착되어 있는 흡수 적층체를 사용하는 방법 (특허문헌 3 참조), 2 장의 용융 취입 (melt blown) 부직포 사이에 흡수성 폴리머를 봉입하는 방법 (특허문헌 4 참조), 소수성 부직포와 친수성 시트 사이에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개재시키는 방법 (특허문헌 5 참조)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친수성 섬유를 거의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겔 블로킹 현상이 발생되기 쉽다. 겔 블로킹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뇨 등의 체액을 일시적으로 보수하여 흡수체 전체에 액을 확산시킨다고 하는, 종래의 친수성 섬유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흡수 적층체가 액체를 충분히 보수(保水) 하지 못하여 액누출이 발생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흡수 적층체의 형태 유지를 위해서 접착제를 사용하면 흡수성 수지의 표면이 접착제에 의해서 피복되어 흡수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혹은, 접착제에 의해서 상면과 하면의 부직포가 강고하게 접착되어, 흡수성 수지가 주머니상에 갇히거나 하여, 흡수성 수지 본래의 흡수 성능을 발휘할 수 없는 경향이 있다.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흡수 적층체의 접착력을 약하게 한 경우, 적층체를 가공할 때, 흡수성 수지의 탈락이 많아져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접착력 부족에 의해서 적층체가 박리되어 상품 가치가 상실될 가능성도 발생한다. 즉, 접착을 강하게 하면, 겔 블로킹 현상이나 액누출이 발생하고, 접착을 약하게 하면, 흡수성 수지의 탈락이나 적층체의 파괴가 발생되기 때문에 만족할 수 있는 성능의 흡수 적층체, 흡수 시트는 얻어지지 않는다.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기재에 흡수성 수지를 고정화시키는 방법도 있다. 예를 들어, 중합 진행 중인 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합성 섬유질의 기재에 부착시키고, 섬유질 기재 상에서 중합하는 방법 (특허문헌 6 참조), 아크릴산 및 아크릴산 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수성 조성물을 부직포 기재 상에서 전자선 조사에 의해서 중합시키는 방법 (특허문헌 7 참조) 등이 있다.
이들 방법에서는, 폴리머 입자 중에 합성 섬유질의 기재가 들어가 견고하게 고착되지만, 기재 중에서 중합 반응을 완결시키기가 어렵고, 미반응 잔존 모노머 등이 많아진다는 결점을 갖는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평9-51088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5731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3816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05131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2579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111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2-048944호
그래서, 본 발명은 펄프가 극히 적은 흡수 시트여도, 흡수 시트로서의 기본적인 성능 (흡수 시트의 빠른 액침투 속도, 적은 역류량, 적은 액누출량, 흡수 시트의 형태 유지성) 을 높은 레벨에서 확보하면서, 흡수성 수지의 함유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박형화와 겔 블로킹 현상의 회피를 달성할 수 있는 흡수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1] 흡수성 수지 및 접착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층이, 부직포에 의해서 당해 흡수층의 상방 및 하방으로부터 사이에 끼워진 구조를 갖는 흡수 시트로서, 당해 흡수층이 통기성 분획층에 의해서 1 차 흡수층과 2 차 흡수층으로 분획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를 갖고, 당해 부직포 중의 적어도 1 장이 스펀 결합 부직포이고, 또한 당해 부직포 중의 적어도 하방의 부직포가 친수성 부직포인 흡수 시트;그리고
[2] 상기 [1] 에 기재된 흡수 시트를, 액체 투과성 시트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 사이에 끼워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흡수 시트는, 펄프가 극히 적고, 또한 종래의 것보다 더욱 박형인 흡수 시트여도, 특정 부직포를 사용하고, 추가로 적어도 흡수 시트의 흡수층의 하방의 부직포를 친수성 부직포로 함으로써, 흡수 시트로서의 기본적인 성능을 높은 레벨에서 확보하면서, 겔 블로킹 현상 및 액누출의 회피를 달성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흡수 시트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흡수 시트의 다른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흡수 시트의 다른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는 흡수성 수지의 초기 흡수 속도 및 유효 흡수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측정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 는 경사에 있어서의 누출 시험을 실시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흡수 시트는, 흡수성 수지 및 접착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층이, 부직포에 의해서 당해 흡수층의 상방 및 하방으로부터 사이에 끼워진 구조를 갖는 흡수 시트로서, 당해 흡수층이 통기성 분획층에 의해서 1 차 흡수층과 2 차 흡수층으로 분획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를 갖고, 당해 부직포 중의 적어도 1 장이 스펀 결합 부직포이고, 또한 그 부직포 중의 적어도 하방의 부직포가 친수성 부직포인 것을, 하나의 특장으로 하는 흡수 시트이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1 차 흡수층과 2 차 흡수층 사이에 있는 통기성 분획층에 의해서, 적당한 액체의 분배와 확산이 이루어짐으로써, 배뇨 초기에 있어서의 겔 블로킹 현상의 방지와 2 차 흡수층으로의 효율적인 투수(透水) 의 양자가 달성되고, 적어도 흡수 시트의 흡수층의 하방의 부직포가 친수성을 가짐으로써, 흡수 시트 이면측으로의 급격한 액체의 통과가 방지되어 액누출의 방지도 달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특히 경사시에 있어서의 액누출이 비약적으로 개선된다. 추가로 특정 겉보기 중량의 스펀 결합 부직포를 소정 장 수 사용함으로써, 흡수 시트의 얇기와 형태 유지성과 촉감 모두를 만족하고, 흡수성 물품 중에서도 보다 고도한 흡수 성능이 요구되는 종이 기저귀의 흡수체에도 사용할 수 있는 흡수 시트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흡수 시트는 흡수층 내에 있어서의 흡수성 수지의 고정 및 흡수층의 형태 유지에 기여하는 펄프 등의 친수성 섬유를 실질적으로 흡수층 내에 포함하지 않아 펄프 사용량이 극히 적은 것이다.
통기성 분획층에 의해서 분획되어 있는 적층 구조를 갖는 흡수층의 끼움에 사용되는 부직포의 장 수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당해 흡수층의 상방으로부터 1 장 이상, 하방으로부터 1 장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방 및 하방의 부직포가 각각 1 장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흡수층의 끼움에 사용되는 부직포 중에서, 경사시에 있어서의 액누출 방지 등의 흡수 성능을 높이는 관점에서 적어도 흡수층의 하방의 부직포는 친수성 부직포이고, 흡수층의 상방 및 하방의 부직포가 친수성 부직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흡수 시트의 흡수층의 상방이란, 당해 흡수 시트를 사용하여 흡수성 물품을 제조했을 때, 흡수 대상인 액체가 공급되는 측에 가장 가까운 층을 말하고, 흡수층의 하방이란, 흡수 대상인 액체가 공급되는 측으로부터 가장 먼 층을 말한다.
상기 흡수층의 끼움에 사용되는 부직포의 종류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부직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액침투성, 유연성 및 흡수 시트로 했을 때의 강도 관점에서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등의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T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EN) 등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섬유, 레이온 섬유, 그 밖의 합성 섬유제의 부직포나, 면, 견, 마, 펄프 (셀룰로오스) 섬유가 혼합되어 제조된 부직포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2 종 이상의 섬유를 포함하는 혼합체여도 된다.
부직포는 소재에 따라서 최적인 합성 방법이 다르다.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와 같은 화학 합성 수지에서 유래하는 섬유의 제조 방법으로는, 카드 웹에 접착 수지를 도포하여 섬유끼리를 접착시키는 화학 결합법, 저융점 섬유를 포함하는 카드 웹을 가열하여 저융점 섬유를 녹여 섬유끼리를 융착시키는 열 결합법, 열용융시킨 폴리머를 노즐로부터 압출하여 웹을 형성하고, 열 엠보스 롤러로 열압착하는 스펀 결합법 (섬유 직경:10 ? 50 ㎛), 스펀 결합법에 준거하여 열용융시킨 폴리머를 노즐로부터 압출할 때, 섬유에 열풍을 불어 더욱 섬유를 가늘게 하는 용융 취입법 (섬유 직경:10 ㎛ 미만)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화학 결합법, 열 결합법에 의한 것은, 부직포가 비교적 두껍고, 감촉도 딱딱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 용융 취입법만으로 제조된 부직포는, 부직포의 강도가 약하고, 표면의 감촉이 나쁜 경향이 있다. 섬유 직경이 적당한 범위인 스펀 결합법에 의한 것은, 부직포가 비교적 얇고, 감촉도 우수한 부직포가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레이온 부직포는, 주로 수류에 의해서 섬유를 얽히게 하는 스펀 레이스법에 의해서 합성되고, 필요에 따라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열융착 섬유가 적당량 배합된다. 이와 같은 스펀 레이스 부직포는, 대체로 친수성이고 유연성도 갖는다.
이들 부직포 중, 흡수층의 끼움에 사용되는 부직포 중의 적어도 1 장은 스펀 결합 부직포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흡수 시트의 박형화와 형태 유지성의 확보라는 양자를 만족시킬 수 있다. 흡수층의 끼움에 사용되는 부직포로는, 흡수층의 상방 및 하방의 부직포 양방이 스펀 결합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종 다양한 스펀 결합 부직포에 있어서, 흡수 시트의 형태 유지성의 확보, 흡수성 수지의 빠짐에 의한 탈락 방지의 관점에서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것들의 혼합체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섬유로 제조되는 스펀 결합 부직포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펀 결합 부직포 속에서, 다층 구조의 부직포가 더욱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폴리올레핀 섬유의 스펀 결합-용융 취입-스펀 결합 (SMS) 부직포, 및 스펀 결합-용융 취입-용융 취입-스펀 결합 (SMMS) 부직포가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SMS 부직포, SMMS 부직포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중간층에 용융 취입 부분이 부차적으로 첨가되어 있는 스펀 결합 부직포도,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스펀 결합 부직포에 포함된다.
그 밖에, 시트를 형성했을 때의 흡수 성능, 유연성을 더욱 높이는 관점에서, 레이온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스펀 레이스 부직포도 본 발명의 부직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흡수층의 끼움에 사용되는 부직포 중의 적어도 하방의 부직포는, 친수성 부직포이다. 친수성 부직포로는, 상기한 부직포 중에서, 레이온 섬유와 같이 소재 자체가 친수성을 나타내는 것을 사용해도 되고,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같은 소수성의 화학 섬유에, 공지된 방법으로 친수화 처리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친수화 처리의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스펀 결합 부직포에 있어서, 소수성의 화학 섬유에 친수화제를 혼합한 것을 스펀 결합법에 의해서 부직포를 얻는 방법, 소수성 화학 섬유로 스펀 결합 부직포를 제조할 때 친수화제를 동반시키는 방법, 또는 소수성 화학 섬유로 스펀 결합 부직포를 얻은 후에 친수화제를 함침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친수화제로는, 지방족 술폰산염, 고급 알코올황산 에스테르염 등의 아니온계 계면활성제, 제4급 암모늄염 등의 카티온계 계면활성제,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논이온계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실리콘 등의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아크릴계, 우레탄계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테인?릴리스제 등이 사용된다. 부직포의 친수성은, 지나치게 낮으면 흡수 시트의 흡수 성능이 악화되는 한편, 필요 이상으로 높아도 흡수 성능은 그에 어울릴 만큼 향상되지 않기 때문에, 적당한 친수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관점에서, 후술하는「부직포의 친수도」의 측정 방법에 따라서 측정했을 때의 친수도가 5 ? 200 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8 ? 15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 1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2 ? 80 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흡수층의 끼움에 사용되는 부직포로는, 본 발명의 흡수 시트에 유연성, 형태 유지성이나 쿠션성을 부여하는 것, 및 흡수 시트의 침투 속도를 빠르게 하는 관점에서 적당한 겉보기 중량과 적당한 두께를 갖는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그 겉보기 중량으로는 35 g/㎡ 이하가 바람직하고, 5 ? 30 g/㎡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8 ? 25 g/㎡ 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고, 10 ? 20 g/㎡ 의 범위가 보다 더 바람직하고, 11 ? 15 g/㎡ 의 범위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 부직포의 두께로는, 20 ? 800 ㎛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50 ? 600 ㎛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80 ? 450 ㎛ 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흡수 시트에 있어서는, 흡수 시트의 성능 향상 및 품질의 안정을 도모하는 관점에서 2 개로 분획된 흡수층을 갖는다. 여기에서「분획되었다」란, 요컨대 2 개로 분획하기 위한 부재의 도입에 의해서, 1 차 흡수층과 2 차 흡수층이 개별적으로 층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는, 예를 들어, 1 차 흡수층과 2 차 흡수층이 통기성 분획층에 의해서 격리되어 접착된 적층 구조들을 들 수 있다.
통기성 분획층은, 적당한 통기성과 통액성을 갖지만, 흡수성 수지와 같은 입자상물은 실질적으로 통과하지 않는 층이면 된다. 통기성 분획층의 바람직한 소재의 구체예로는, 상기한 흡수층의 끼움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부직포, PE, PP 섬유로 이루어지는 세공을 갖는 네트 등의 망상물, 천공된 (perforated) 필름 등의 다공질 필름, 티슈 페이퍼 등의 위생 용지 및 펄프/PE/PP 로 이루어지는 에어레이드 형 부직포 등의 셀룰로오스 함유 합성 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소재를 들 수 있다. 흡수 시트의 흡수 성능 (침투 속도, 경사에서의 누출 등) 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흡수층의 끼움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부직포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스펀 결합 부직포이다.
통기성 분획층의 두께와 겉보기 중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예시하면, 겉보기 중량으로는 35 g/㎡ 이하가 바람직하고, 5 ? 30 g/㎡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8 ? 25 g/㎡ 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고, 10 ? 20 g/㎡ 의 범위가 보다 더 바람직하고, 11 ? 15 g/㎡ 의 범위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 통기성 분획층의 두께로는, 20 ? 800 ㎛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50 ? 600 ㎛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80 ? 450 ㎛ 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통기성 분획층은, 본 발명의 흡수 시트에 유연성, 형태 유지성이나 쿠션성을 부여하는 것, 및 흡수 시트의 침투 속도를 빠르게 하여 경사시의 액누출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적당한 겉보기 중량과 적당한 두께를 갖는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흡수성 수지의 종류로는, 시판되는 흡수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가수분해물, 전분-아크릴산 그래프트 중합체의 중화물, 아세트산비닐-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생산량, 제조 비용이나 흡수 성능 등 관점에서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이 바람직하다.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을 합성하는 방법으로는, 역상 현탁 중합법, 및 수용액 중합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얻어지는 입자의 유동성의 양호함이나 미세 분말의 적음, 흡수 용량이나 흡수 속도 등의 흡수 성능이 높다는 관점에서, 역상 현탁 중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일방의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가 역상 현탁 중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인 양태가 바람직하고, 2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가 역상 현탁 중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인 양태가 보다 바람직하고, 1 차 흡수층 및 2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양자가 역상 현탁 중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인 양태가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의 중화도는, 흡수성 수지의 삼투압을 높여 흡수 성능을 높이는 관점에서 50 몰 % 이상이 바람직하고, 70 ? 90 몰 % 가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 시트에 있어서의 흡수성 수지의 (1 차 흡수층과 2 차 흡수층을 합친) 함유량은, 본 발명의 흡수 시트가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었을 때도 충분한 흡수 성능을 얻는 관점에서, 흡수 시트의 1 ㎡ 당 100 ? 1000 g (즉 100 ? 1000 g/㎡) 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 80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 700 g/㎡ 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20 ? 600 g/㎡ 이다. 흡수 시트로서의 충분한 흡수 성능을 발휘시켜 역류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당해 함유량은 100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겔 블로킹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여 흡수 시트로서 액체의 확산 성능을 발휘시키고, 또한 액체의 침투 속도를 개선하는 관점에서, 당해 합계 함유량은 1000 g/㎡ 이하가 바람직하다.
1 차 흡수층/2 차 흡수층의 수지 비율 (질량비) 로는 1 차 흡수층/2 차 흡수층 = 98/2 ? 50/50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 차 흡수층/2 차 흡수층 = 98/2 ? 60/40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1 차 흡수층/2 차 흡수층 = 95/5 ? 70/30 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고, 1 차 흡수층/2 차 흡수층 = 95/5 ? 80/20 의 범위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2 차 흡수층의 흡수성을 충분히 발휘하여 액누출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1 차 흡수층의 비율은 9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흡액 후에 있어서의 1 차 흡수층의 드라이감을 높이고, 역류를 줄이는 관점에서 1 차 흡수층의 비율은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흡수 시트의 흡수 성능은,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흡수 성능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는, 흡수 시트의 각 성분의 구성 등을 고려하여, 흡수성 수지의 흡수 용량 (유효 흡수량, 보수능 등의 지표로 나타낸다), 흡수 속도 등의 흡수 성능이 바람직한 범위인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1 차 흡수층의 흡수성 수지의 종류와 2 차 흡수층의 흡수성 수지의 종류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수성 수지의 보수능은 생리 식염수 보수능으로서 평가된다.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은, 액체를 보다 많이 흡수하고, 또한 흡수시의 겔을 강하게 유지하여 겔 블로킹 현상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25 g/g 이상이 바람직하고, 25 ? 60 g/g 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 50 g/g 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값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수성 수지의 흡수 속도는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로서 평가된다.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는, 본 발명의 흡수 시트의 침투 속도를 빠르게 하여 흡수성 물품에 사용될 때의 액누출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70 초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60 초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55 초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수성 수지의 흡수 속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값이다.
본 발명의 흡수 시트에 있어서는, 1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와 2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그 속도 사이에 정의 값의 차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차가 클수록, 상기한 1 차 흡수층에 있어서의 액의 체류를 회피하여 드라이감을 높이는 효과, 또한 액누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보다 강하게 발휘된다. 구체적으로는, (1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2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 가 10 초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초간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초간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 시트의 흡수 성능 향상의 관점에서 보다 더 바람직한 형태로서, 1 차 흡수층의 흡수성 수지의 종류와 2 차 흡수층의 흡수성 수지의 종류를 다르게 하는 경우, 1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는, 본 발명의 흡수 시트의 침투 속도를 빠르게 하여 1 차 흡수층에 있어서의 액의 체류를 회피하고, 흡수성 물품에 사용될 때의 피부에 대한 드라이감을 증대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 ? 70 초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60 초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55 초간이다. 한편, 2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는, 본 발명의 흡수 시트의 경사에 있어서의 누출을 줄여, 흡수성 물품에 사용될 때의 액누출에 의한 불쾌감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40 초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30 초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20 초간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 15 초간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중위 (中位)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00 ? 600 ㎛ 가 바람직하고, 150 ? 550 ㎛ 가 보다 바람직하고, 200 ? 500 ㎛ 가 더욱 바람직하다. 분체로서의 유동성이 나쁘고, 또한 흡수시의 겔 블로킹 현상을 발생시키기 쉬운 미세 분말의 사용을 피하여 흡수 시트 제조시의 작업성과 흡수 시트의 기본 성능을 높이는 관점에서,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경은 1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흡수 시트의 거친 감촉을 저감시켜, 촉감을 개선한다는 관점에서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경은 6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경이 큰 것은 흡수 속도가 늦고, 중위 입경이 작은 것은 흡수 속도가 빨라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2 차 흡수층에 사용될 정도로 빠른 흡수 속도의 수지는, 예를 들어 종래의 흡수성 수지에 있어서 중위 입경을 100 ㎛ 미만으로 하면 얻어질 가능성은 있다. 그러나,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경이 100 ㎛ 미만까지 작아지면, 분체로서의 유동성이 매우 나빠져, 가루 날림에 의한 작업 환경의 악화, 흡수성 수지가 부직포로부터 흩어짐에 의한 생산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나아가 흡수성 수지의 미세 분말이 많아지면, 상기한 겔 블로킹 현상이 더욱 발생하기 쉬워져, 흡수 시트의 흡수 성능 저하에도 연결된다. 그 밖에도, 중위 입경이 작은 흡수성 수지가 접착제를 덮기 쉬워지기 때문인지, 접착 효과가 저하되어 적층체가 박리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들 과제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중위 입경을 갖고, 또한 흡수 속도가 빠른 흡수성 수지를 2 차 흡수층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수지를 얻기 위해서는, 특정 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을 사용하는 것, 예를 들어, 중합 중에 발포시키고 연속 기포를 도입하는 수용액 중합법, 또는 특정 유화제를 사용한 역상 현탁 중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얻어지는 흡수 성능의 높임과 빠른 흡수 속도가 안정적으로 얻어지는 관점에서 후자의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정 유화제로는, 적당히 친수성의 논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그것들을 사용한 역상 현탁 중합의 흡수성 수지는, 통상적으로 구상이나 과립상, 및 그것들이 응집된 형태로 얻어진다. 이러한 형태의 수지는, 분쇄의 필요가 거의 없는 데다가, 분체로서의 유동성이 우수하고, 흡수 시트를 제조시에 있어서의 작업성이 우수하다는 등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한편, 1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는, 상기한 범위의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에 더하여, 특정 초기 흡수 속도와 유효 흡수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 흡수 속도는 흡수 시간 0 ? 30 초간에 있어서의 1 초간당의 액체의 흡수량 (㎖) 으로 나타내고, 액침투의 초기에 있어서의 겔 블로킹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여 1 차 흡수층에 있어서의 액확산을 촉진시키고, 또한 2 차 흡수층에도 액체를 효율적으로 전파시키는 관점에서 0.35 ㎖/s 이하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0.30 ㎖/s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 ? 0.25 ㎖/s 이다. 액을 확산시키면서, 액침투의 초기에서의 피부에 대한 드라이감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0.05 ㎖/s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1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유효 흡수량은, 생리 식염수 유효 흡수량으로서 45 ㎖/g 이상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80 ㎖/g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 70 ㎖/g 이다. 흡수성 수지가 보다 많은 액체를 흡수해, 역류를 저감함으로써 드라이감을 얻는 관점에서, 유효 흡수량은 45 ㎖/g 이상이 바람직하고, 흡수성 수지의 가교를 적당히 실시함으로써 흡수시의 겔을 강하게 유지하고, 겔 블로킹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80 ㎖/g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흡수성 수지의 흡수 속도는, 중위 입경을 크게 하면 늦어지는 경향이 있다가, 초기 흡수 속도 (㎖/s) 에 관해서는, 종래의 흡수성 수지에 있어서 중위 입경을 크게 해도 효과는 적고, 종래의 흡수성 수지에 있어서, 예를 들어 중위 입경을 600 ㎛ 이상으로 해도,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초기 흡수 속도는 얻어지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게다가,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경을 600 ㎛ 이상까지 크게 하면, 흡수 시트에 있어서의 촉감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특정 범위의 입경을 갖는 흡수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1 차 흡수층의 초기 흡수 속도를 특정 범위에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가교제에 따라서 흡수성 수지의 가교 밀도를 높이거나, 소수성의 첨가제로 흡수성 수지의 표면을 균일하게 피복하거나, 특정 유화제를 사용한 역상 현탁 중합에 의해서 흡수성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 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가교제에 따라서 흡수성 수지의 가교 밀도를 높이면, 특정 초기 흡수 속도는 만족할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동시에 흡수성 수지의 유효 흡수량 (흡수 용량) 이 저하되기 때문에, 특정 초기 흡수 속도와 유효 흡수량의 특성을 겸비하는 흡수성 수지를 얻기는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1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는, 특정 초기 흡수 속도와 유효 흡수량의 특성을 겸비하는 흡수성 수지를 제조하기 쉬운 관점에서, 소수성의 첨가제를 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균일 피복한 것, 및 특정 유화제를 사용한 역상 현탁 중합에 의해서 제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얻어지는 흡수 성능의 크기로부터 후자가 더욱 바람직하다. 특정 유화제로는, 적당히 소수성의 논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그것들을 사용한 역상 현탁 중합의 흡수성 수지는 통상적으로 구상이나 축구공상, 및 그것들이 응집된 형태로 얻어진다. 이러한 형태의 수지는, 분쇄의 필요가 거의 없는 데다가, 분체로서의 유동성이 우수하고, 흡수 시트의 제조시에 있어서의 작업성이 우수하다는 등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2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유효 흡수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30 ㎖/g 이상이 바람직하고, 45 ㎖/g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수성 수지의 유효 흡수량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값이다.
흡수층에 함유되는 접착제로는, 예를 들어, 천연 고무계, 부틸 고무계, 폴리이소프렌 등의 고무계 접착제;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 (SIS),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SBS),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SIB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EBS) 등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접착제;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EVA) 접착제;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EEA), 에틸렌-아크릴산 부틸 공중합체 (EBA) 등의 에틸렌-아크릴산 유도체 공중합계 접착제;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EAA) 접착제;공중합 나일론, 다이머산 베이스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계 접착제;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어택틱 폴리프로필렌, 공중합 폴리올레핀 등의 폴리올레핀계 접착제;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등, 및 아크릴계 접착제를 들 수 있고, 이것들은 2 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접착력이 강하고, 흡수 시트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박리나 흡수성 수지의 흩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접착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접착제,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및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접착제의 용융 온도는, 흡수성 수지를 부직포에 충분히 고정시킴과 함께, 부직포의 열열화나 변형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60 ? 180 ℃ 가 바람직하고, 70 ? 150 ℃ 가 보다 바람직하고, 75 ? 125 ℃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 시트에 있어서, 접착제는 흡수 시트의 제조 과정에서 용융 후, 냉각에 의해서 그대로 고화된 상태에서 부직포나 친수성 수지에 접착한 것이다.
흡수 시트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함유량은, 흡수성 수지의 함유량 (질량 기준) 의 0.05 ? 2.0 배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08 ? 1.5 배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 1.0 배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충분한 접착에 의해서 부직포의 박리나 흡수성 수지의 흩어짐을 방지하여, 흡수 시트의 형태 유지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접착제의 함유량은 0.05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접착이 지나치게 강해짐에 따른 흡수성 수지의 팽윤 저해를 회피하고, 흡수 시트의 침투 속도나 액누출을 개선하는 관점에서, 접착제의 함유량은 2.0 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층은 흡수성 수지 및 접착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부직포 상에서 흡수성 수지와 접착제의 혼합 분말을 균일하게 산포하여 통기성 분획층을 중첩시키고, 접착제의 용융 온도 부근에서 가열하는 것, 요컨대 압력 하에서 가열함으로써 형성된다. 또는, 부직포 상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흡수성 수지를 균일하게 산포하여 통기성 분획층을 중첩시키고, 요컨대 압력 하에서 가열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발명의 흡수 시트는, 종래법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a) 부직포 상에, 흡수성 수지와 접착제의 혼합 분말을 균일하게 산포하고, 추가로 통기성 분획층을 중첩시키고, 접착제의 용융 온도 부근에서 가열 압착한다. 당해 통기성 분획층 상에 상기와 동일하게 혼합 분말을 산포하고, 다시 부직포를 가열 압착한다.
(b) 부직포 상에, 흡수성 수지와 접착제의 혼합 분말을 균일하게 산포하고, 추가로 통기성 분획층을 중첩시킨 후, 다시 당해 통기성 분획층 상에 혼합 분말을 산포하고, 부직포를 중첩시킨 것을 일괄하여 가열 압착한다.
(c) 부직포 상에, 흡수성 수지와 접착제의 혼합 분말을 균일하게 산포하고, 가열로를 통과시켜 분말이 흩어지지 않을 정도로 고정시킨다. 통기성 분획층을 중첩시킨 후, 다시 당해 통기성 분획층 상에 혼합 분말을 산포하고, 부직포를 중첩시킨 것을 일괄하여 가열 압착한다.
(d) 부직포 상에 접착제를 용융 도포한 후, 흡수성 수지를 균일하게 산포하여 층을 형성시키고, 추가로 접착제를 용융 도포한 통기성 분획층을, 접착제의 도포면이 산포된 흡수성 수지층의 측을 향하도록 상부로부터 중첩시켜 롤 프레스 등을 사용하여 가압하고, 요컨대 가열하여 압착한다. 당해 통기성 분획층 상에, 추가로 접착제와 흡수성 수지의 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통기성 분획층을 부직포로 변경하여 상기 동일한 조작을 실시한다.
예를 들어, 이들 (a) ? (d) 에 나타낸 방법으로 흡수 시트를 제조함으로써, 흡수성 수지 및 접착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층이, 부직포에 의해서 당해 흡수층의 상방 및 하방으로부터 사이에 끼워진 구조를 갖고, 당해 흡수층이 1 차 흡수층과 2 차 흡수층으로 분획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조 방법의 간편함과 제조 효율의 높임 관점에서 (b), (d)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a) ? (d) 에 예시된 방법 중에서, 1 차 흡수층과 2 차 흡수층의 접착 방법을 별개로 선택하고, 조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흡수 시트의 촉감 개선 및 흡수 성능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시트 제조에 있어서의 가열 압착시나 시트 제조 후에 엠보싱 가공을 실시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흡수 시트는, 소취제, 항균제나 겔 안정제 등의 첨가제가 적절히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흡수 시트는, 박형화가 가능한 점에 하나의 특장을 갖고 있고, 흡수성 물품에의 사용을 고려하면, 흡수 시트의 두께는, 건조 상태에서 3 ㎜ 이하가 바람직하고, 2.5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5 ? 2 ㎜ 가 더욱 바람직하고, 0.8 ? 1.6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 시트는, 액체의 침투 속도가 빠른 점에 하나의 특장을 갖고 있고, 흡수성 물품에의 사용을 고려하면, 흡수 시트의 합계 침투 속도가 100 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초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80 초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 시트는, 액체의 액누출이 적은 점에 하나의 특장을 갖고 있고, 흡수성 물품에의 사용을 고려하면, 흡수 시트의 누출 지수가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 시트는, 흡수 시트의 형태 유지성이 높은 점에 하나의 특장을 갖고 있다. 흡수성 물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흡수 시트가 기계 방향 (길이 방향) 으로 신장될 때, 흡수 시트의 형태가 붕괴되어 교차 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현상, 이른바 넥다운이 발생한다. 신장된 흡수 시트가, 공정 중에서 소정의 사이즈로 재단되고, 신장시키는 힘이 해제된 다음에도 넥다운으로부터 원상태로 복원되지 않을 경우, 교차 방향 길이의 편차가 발생되어 흡수성 물품의 품질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흡수 시트의 넥다운은 보다 적은 편이 바람직하다.
흡수 시트의 형태 유지성은, 후술하는 내(耐)넥다운율에 의해서 측정되고, 흡수성 물품에의 사용을 고려하면, 내넥다운율이 8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5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성질을 갖는 흡수 시트가, 흡수성 물품에의 사용을 고려하면 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 시트는, 해쇄 펄프 등의 천연에서 유래하는 소재의 사용량이 극히 적기 때문에, 상기한 두께, 침투 속도, 누출 지수에 있어서 고성능이면서, 환경에 대한 배려도 이루어진 것이다. 천연 소재의 비율은 20 %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3 %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천연 소재의 비율은, 흡수 시트의 구성 성분에 미량이나마 포함되는 펄프, 면 등의 합계 함유량을 흡수 시트의 질량에서 뺌으로써 산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흡수 시트의 구조에 대해,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 은 본 발명의 흡수 시트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나는 흡수 시트 (51) 는, 제 1 흡수성 수지 (52) 와 접착제 (50)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1 차 흡수층 (53) 과, 제 2 흡수성 수지 (54) 와 접착제 (50)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2 차 흡수층 (55) 을 갖고 있다. 여기서 1 차 흡수층이란 당해 흡수 시트를 사용하여 흡수성 물품을 제조했을 때, 흡수 대상인 액체가 공급되는 측을 말하고, 2 차 흡수층이란 1 차 흡수층을 개재하여 흡수 대상인 액체가 공급되는 측을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흡수 시트에 있어서, 1 차 흡수층 (53) 및 2 차 흡수층 (55)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 시트 (51) 의 두께 방향으로, 통기성 분획층 (56) 을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적층된 구조가 된다.
그리고, 도 1 에 있어서, 2 개의 흡수층이 실질적으로 혼합되지 않도록, 1 차 흡수층과 2 차 흡수층으로 분획되어 있다. 도 1 에 있어서의 흡수 시트 (51) 는, 1 차 흡수층 (53), 2 차 흡수층 (55), 통기성 분획층 (56) 그리고 당해 1 차 흡수층 (53) 의 외면에 위치하는 부직포 (57), 및 당해 2 차 흡수층 (55) 의 외면에 위치하는 친수성 부직포 (58) 로 이루어지는 5 층 구조이다.
또한, 도 2 및 도 3 에 나타나는 흡수 시트도, 본 발명의 흡수 시트의 다른 형태의 예시이다. 도 2 에서는, 도 1 에서의 부직포 (57) 대신에 그 밖의 부직포 (59) 를 사용한 예이다. 도 3 에 있어서는, 접착제 (60) 를 친수성 부직포 (58) 등에 용융 도포한 예이다.
본 발명의 흡수 시트의 바람직한 양태로는, 흡수 시트의 흡수층의 상방의 부직포로는 친수성 부직포로서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또한 흡수 시트의 흡수층의 하방의 부직포로는 친수성 부직포로서, 바람직하게는 스펀 결합 부직포이고, 통기성 분획층으로는 친수성 부직포로서, 바람직하게는 스펀 결합 부직포이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본 발명의 흡수 시트가 액체 투과성 시트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 사이에 끼워져 이루어진다. 흡수성 물품으로는 예를 들어 종이 기저귀, 실금 패드, 생리용 냅킨, 애완 동물 시트, 식품용 드립 시트, 전력 케이블의 지수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액체 투과성 시트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로는, 흡수성 물품의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수성 수지 및 흡수 시트의 성능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서 측정하였다.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
흡수성 수지 2.0 g 을, 무명 주머니 (면 브로드 60번, 가로 100 ㎜ ×세로 200 ㎜) 중에서 계량하여 500 ㎖ 용의 비커에 넣었다. 무명 주머니에 생리 식염수 (0.9 질량% 염화나트륨 수용액, 이하 동일) 500 g 을 한번에 부어 넣고, 흡수성 수지의 응집 덩어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생리 식염수를 분산시켰다. 무명 주머니의 상부를 고무 밴드로 묶고 1 시간 방치하여 흡수성 수지를 충분히 팽윤시켰다. 원심력이 167 G 가 되도록 설정한 탈수기 (코쿠산 원심기 주식회사 제조, 품번:H-122) 를 사용하여 무명 주머니를 1 분간 탈수하고, 탈수 후의 팽윤 겔을 포함한 무명 주머니의 질량 Wa (g) 을 측정하였다. 흡수성 수지를 첨가하지 않고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무명 주머니의 습윤시 건조 질량 Wb (g) 을 측정하고, 다음 식에 의해서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을 구하였다.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보수능 (g/g) = [Wa-Wb](g)/흡수성 수지의 질량 (g)
<흡수성 수지의 초기 흡수 속도 및 유효 흡수량>
흡수성 수지의 초기 흡수 속도 및 유효 흡수량은, 도 4 에 나타내는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당해 측정 장치는, 뷰렛부 (1) 와 도관 (2), 측정대 (3), 부직포 (4), 가설대 (6), 클램프 (7) 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뷰렛부 (1) 는, 0.1 ㎖ 단위로 눈금이 표시된 뷰렛 (10) 의 상부에 고무 마개 (14), 하부에 공기 도입관 (11) 과 콕 (12) 이 연결되어 있고, 또 뷰렛 (10) 의 하부 선단에 콕 (13) 을 갖고 있다. 뷰렛부 (1) 는 클램프 (7) 로 고정되어 있다. 뷰렛부 (1) 와 측정대 (3) 사이에는 도관 (2) 이 장착되어 있고, 도관 (2) 의 내경은 6 ㎜ 이다. 측정대 (3) 의 중앙부에는 직경 2 ㎜ 의 구멍이 뚫려 있고, 도관 (2) 이 연결되어 있다. 측정대 (3) 는 가설대 (6) 에 의해서 적절한 높이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측정 장치를 사용한, 초기 흡수 속도 및 유효 흡수량의 측정은 이하의 순서에 의해서 실시하였다. 측정은 온도 25 ℃, 습도 45 ? 75 % 의 실내에서 실시되었다. 먼저, 뷰렛부 (1) 의 콕 (12) 과 콕 (13) 을 닫아 25 ℃ 로 조절된 0.9 질량% 식염수를 뷰렛 (10) 상부로부터 넣고, 고무 마개 (14) 로 뷰렛 상부의 마개를 닫은 후, 뷰렛부 (1) 의 콕 (12), 콕 (13) 을 열었다. 다음으로, 기포를 제거하면서 도관 (2) 내부에 0.9 질량% 식염수를 채우고, 측정대 (3) 중심부의 도관구로부터 나오는 0.9 질량% 식염수의 수면과, 측정대 (3) 의 상면이 동일 높이가 되도록 측정대 (3) 의 높이를 조정하였다.
이어서, 측정대 (3) 중심부의 도관구에 30×30 ㎜ 로 재단한 부직포 (4)(겉보기 중량 25 g/㎡ 의 친수성 레이온 스펀 레이스) 를 깔고, 평형이 될 때까지 부직포에 흡수시켰다. 부직포가 흡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공기 도입관 (11) 으로부터 뷰렛 (10) 에 대한 기포 발생을 볼 수 있었으나, 몇 분 내에 기포 발생이 정지된 것을 확인하여 평형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평형 후, 뷰렛 (10) 의 눈금을 읽어 제로점으로서 기록하였다.
별도로, 흡수성 수지 (5) 를 0.10 g 정확하게 계량하여 부직포 (4) 의 중심부에 한번에 투입하였다. 뷰렛 (10) 내의 0.9 질량% 식염수의 감소량 (즉, 흡수성 수지 (5) 의 입자가 흡수한 0.9 질량% 식염수량) 을 순차적으로 판독하고, 흡수성 수지 (5) 의 투입에서부터 기산하여 30 초 후의 0.9 질량% 식염수의 감량분 Wc (㎖) 를 흡수성 수지 0.10 g 당의 흡수량으로서 기록하였다. 또한, 30 초 경과 후에도 감량분을 계속 계측하고, 흡수성 수지 (5) 의 투입에서부터 기산하여 30 분 후의 0.9 질량% 식염수의 감량분 Wd (㎖) 를 측정하고, 측정을 완료하였다. 측정은 1 종류의 흡수성 수지에 대해 5 회 실시하여, 최저치와 최고치를 제외한 3 점의 평균치를 사용한다.
투입에서부터 30 초 후에 흡수성 수지 (5) 가 흡수한 0.9 질량% 식염수의 양 Wc (㎖) 를 흡수성 수지 1 g 당의 흡수량으로 변환하고, 추가로 30 (초) 로 나누어 얻어진 값을 당해 흡수성 수지의 초기 흡수 속도 (㎖/s) 로 하였다. 즉, 초기 흡수 속도 (㎖/s) = Wc÷(0.10×30) 이다.
또, 투입에서부터 30 분 후에 흡수성 수지 (5) 가 흡수한 0.9 질량% 식염수의 양 Wd (㎖) 를 흡수성 수지 1 g 당의 흡수량으로 변환하고, 당해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유효 흡수량 (㎖/g) 으로 하였다. 즉, 유효 흡수량 (㎖/g) = Wd÷0.10 이다.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
본 시험은 25 ℃±1 ℃ 로 조절된 실내에서 실시하였다. 100 ㎖ 용의 비커에, 생리 식염수 50±0.1 g 을 계량하고, 마그네틱 교반기 바 (8 ㎜φ×30 ㎜ 의 링 없음) 를 투입하고, 비커를 항온 수조에 침지시켜 액온을 25±0.2 ℃ 로 조절하였다. 다음으로, 마그네틱 교반기 상에 비커를 두고, 회전수 600 r/min 으로 하여 생리 식염수에 소용돌이를 발생시킨 후, 흡수성 수지 2.0±0.002 g 을 상기 비커에 신속히 첨가하고, 스톱 시계를 사용하여 흡수성 수지의 첨가 후부터 액면의 소용돌이가 안정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초) 을 측정하고, 흡수성 수지의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로 하였다.
<흡수성 수지의 중위 입경>
별도로 규정이 없는 한, 흡수성 수지의 입경을 중위 입경으로 규정하고,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흡수성 수지 100 g 에, 활제로서 0.5 g 의 비정질 실리카 (데구사 쟈판 (주), Sipernat 200) 를 혼합하였다.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를, JIS 표준 체의 메시가 250 ㎛ 인 체를 사용하여 통과시키고, 그 50 질량% 이상이 통과하는 경우에는 (A) 의 체의 조합을, 그 50 질량% 이상이 체 상에 남아 있는 경우에는 (B) 의 체의 조합을 사용하여 중위 입경을 측정하였다.
(A) JIS 표준 체를 위로부터, 메시 425 ㎛ 의 체, 메시 250 ㎛ 의 체, 메시 180 ㎛ 의 체, 메시 150 ㎛ 의 체, 메시 106 ㎛ 의 체, 메시 75 ㎛ 의 체, 메시 45 ㎛ 의 체 및 받이 접시의 순서로 조합.
(B) JIS 표준 체를 위로부터, 메시 850 ㎛ 의 체, 메시 600 ㎛ 의 체, 메시 500 ㎛ 의 체, 메시 425 ㎛ 의 체, 메시 300 ㎛ 의 체, 메시 250 ㎛ 의 체, 메시 150 ㎛ 의 체 및 받이 접시의 순서로 조합.
조합한 최상의 체에,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를 넣고, 로텝 (ro tap) 식 진탕기를 사용하여 20 분간 진탕시켜 분급하였다.
분급 후, 각 체 상에 남아 있는 흡수성 수지의 질량을 전체량에 대한 질량 백분율로서 계산하고, 입경의 큰 쪽부터 순서대로 적산함으로써, 체의 메시와 체 상에 남아 있는 흡수성 수지의 질량 백분율의 적산치의 관계를 로그 확률지에 플롯하였다. 확률지 상의 플롯을 직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적산 질량 백분율 50 질량% 에 상당하는 입경을 중위 입경으로 하였다.
<흡수 시트의 두께 측정>
얻어진 흡수 시트의 두께는, 두께 측정기 (주식회사 오자키 제작소 제조, 형번:J-B)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지점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좌단, 중앙, 우단의 3 지점을 임의로 결정하고, 예를 들어 크기가 10×30 ㎝ 인 것의 경우, 왼쪽에서부터 3 ㎝ 를 좌단, 15 ㎝ 를 중앙, 27 ㎝ 를 우단으로 하였다. 폭 방향은 균등한 중앙부를 측정하였다. 두께의 측정치는 각 지점에서 3 회 측정하여 평균하였다. 또한 좌단, 중앙, 우단의 값을 평균하여 흡수 시트 전체의 두께로 하였다.
<흡수 시트의 형태 유지성 (내넥다운율)>
흡수 시트의 내넥다운율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얻어진 흡수 시트를 5×20 ㎝ 의 단책 (短冊) 상이고, 길이 방향이 부직포의 세로 방향 (기계 방향) 이 되도록 절단하였다. 이어서, 세로 방향에 있어서 5 ㎝ 간격으로, 횡방향 (교차 방향) 으로 연필로 길이 5 ㎝ 의 표시선을 3 개 그어 측정용 시험편으로 하고, 중앙의 표시선에서 교차 방향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La).
시험편을 인장 시험기 (시마즈 제작소 제조, 오토그래프 AGS-J) 에, 길이 방향이 인장 방향이 되도록, 척간 거리 10 ㎝ 에서 정지시키고, 인장 속도 10 ㎝/분의 속도로 잡아당겨, 척간 거리 12 ㎝ 까지 잡아당긴 지점에서 장치를 1 분간 정지시켰다. 그 후, 시험편을 척에서 떼어내고 나서 5 분 후에, 다시 중앙의 표시선 부분에서 교차 방향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Lb).
내넥다운율 (N) 은 이하의 식에 의해서 산출하였다. 또한, 내넥다운율이 100 에 가까울수록 변형되기 어렵거나 또는 변형으로부터의 복원이 빨라 우수한 흡수 시트로 판단된다.
N (%) = Lb/La×100
<흡수 시트의 촉감>
흡수 시트의 촉감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서 평가하였다. 얻어진 흡수 시트를 10×30 ㎝ 의 크기로 커트하였다. 10 명의 패널리스트를 선출하여, 이하의 기준에 의해서 촉감을 3 단계로 평가하도록 하고, 패널리스트의 평가치를 평균함으로써 흡수 시트의 촉감을 평가하였다.
단계 A:표면의 감촉이 매끄럽고, 절곡시의 감촉도 부드럽다 (평가치:5).
단계 B:표면의 감촉은 매끄럽지만, 굽힐 때에 저항을 느낀다 (평가치:3).
단계 C:표면이 껄끄런 느낌이고, 굽히기 어렵고, 굽힌 후의 복원력도 부족하다 (평가치:1).
<흡수 시트의 합계 침투 속도 및 역류량의 평가>
흡수 시트를 10×30 ㎝ 의 단책상이고, 길이 방향이 부직포의 세로 방향 (기계 방향) 이 되도록 절단한 것을 샘플로서 사용하였다.
10 ℓ용량의 용기에, 염화나트륨 60 g, 염화칼슘 2 수화물 1.8 g, 염화 마그네슘 6 수화물 3.6 g 및 적당량의 증류수를 넣어 완전히 용해시켰다. 다음으로, 1 질량% 폴리(옥시에틸렌)이소옥틸페닐에테르 수용액 15 g 을 첨가하고, 추가로 증류수를 첨가하여 수용액 전체의 질량을 6000 g 으로 조정한 후, 소량의 청색 1 호로 착색하여 시험액을 조제하였다.
샘플 (흡수 시트) 의 상부에, 샘플과 동일한 크기 (10×30 ㎝), 겉보기 중량 22 g/㎡ 의 폴리에틸렌제 에어 스루형 다공질 액체 투과성 시트를 재치하였다. 또, 샘플 아래에 이 시트와 동일한 크기, 겉보기 중량의 폴리에틸렌제 액체 불투과성 시트를 놓고 간이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였다. 이 흡수성 물품의 중심 부근에, 내경 3 ㎝ 의 원통형 실린더를 놓고, 50 ㎖ 의 시험액을 한번에 투입함과 함께, 스톱 시계를 사용하여 시험액이 완전히 흡수성 물품에 침투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고, 1 회째의 침투 속도 (초) 로 하였다. 이어서 30 분 후 및 60 분 후에도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2 회째 및 3 회째의 침투 속도 (초) 를 측정하였다. 1 회째 ? 3 회째의 초수의 합계를 합계 침투 속도로 하였다.
1 회째의 시험액 투입 개시로부터 120 분 후에 실린더를 제거하고, 흡수성 물품 상의 액투입 위치 부근에 미리 질량 (We (g), 약 70 g) 을 측정해 놓은 가로세로 10 ㎝ 의 여과지 (약 80 장) 를 놓고, 그 위에 10 ㎝ ×10 ㎝ 의 5 ㎏ 의 추를 얹었다. 5 분간의 하중 후, 여과지의 질량 (Wf (g)) 을 측정하고, 증가된 질량을 역류량 (g) 으로 하였다.
역류량 (g) = Wf-We
<경사에 있어서의 누출 시험>
경사에 있어서의 누출 시험은, 도 5 에 나타내는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개략적으로는, 시판되는 실험 설비용의 가설대 (31) 를 사용하여, 아크릴판 (32) 을 경사지게 고정시킨 후, 판 위에 재치한 흡수 시트 (33) 에 연직 상방으로부터 적하 깔때기 (34) 로 상기 시험액을 투입하고, 누출량을 천칭 (35) 으로 계량하는 기구이다. 이하에 상세한 사양을 나타낸다.
아크릴판 (32) 은 경사면 방향의 길이가 45 ㎝ 이고, 가설대 (31) 에 의해서 수평에 대해 이루는 각 45±2°가 되도록 고정시켰다. 아크릴판 (32) 은 폭 100 ㎝, 두께 1 ㎝ 이고, 복수의 흡수 시트 (33) 를 병행하여 측정할 수도 있다. 아크릴판 (32) 의 표면은 매끄러워서, 판에 액체가 체류하거나 흡수되거나 하는 경우는 없었다.
가설대 (31) 를 사용하여, 적하 깔때기 (34) 를 경사 아크릴판 (32) 의 연직 상방에 고정시켰다. 적하 깔때기 (34) 는 용량 100 ㎖, 선단부의 내경이 약 4 ㎜φ이고, 8 ㎖/초로 액이 투입되도록 콕의 핸들을 조정하였다.
아크릴판 (32) 의 하부에는, 금속제 트레이 (36) 를 재치한 천칭 (35) 이 설치되어 있고, 누출로서 흘러 떨어지는 시험액을 모두 받아내고, 그 질량을 0.1 g 의 정밀도로 기록하였다.
이와 같은 장치를 사용한 경사에 있어서의 누출 시험은 이하의 순서로 실시하였다. 길이 30 ㎝?폭 10 ㎝ 사이즈의 단책상이고, 길이 방향이 부직포의 세로 방향 (기계 방향) 이 되도록 절단한 흡수 시트 (33) 의 질량을 측정한 후, 동 사이즈의 에어 스루형 폴리에틸렌제 액체 투과성 부직포 (겉보기 중량 22 g/㎡) 를 상방으로부터 제공하고, 또한 동 사이즈, 동 겉보기 중량의 폴리에틸렌제 액체 불투과성 시트를 하방으로부터 제공하여 제조한 간이 흡수성 물품을, 아크릴판 (32) 상에 첩부하였다 (누출을 작위적으로 정지시키기 않기 위해서, 흡수 시트 (33) 의 하단은 아크릴판 (32) 상에는 첩부하지 않았다).
흡수 시트 (33) 의 상단으로부터 2 ㎝ 하방향 지점에 표시를 하여 적하 깔때기 (34) 의 투입구를, 표시로부터 연직 상방 거리 8±2 ㎜ 가 되도록 고정시켰다.
천칭 (35) 을 기동시켜, 표시를 제로로 보정한 후, 적하 깔때기 (34) 에 상기 시험액 80 ㎖ 를 한번에 투입하였다. 시험액이 흡수 시트 (33) 에 흡수되지 않고 경사진 아크릴판 (32) 을 흘리고, 금속제 트레이 (36) 에 들어간 액량을 측정하여 1 회째의 누출량 (㎖) 으로 하였다. 이 1 회째의 누출량 (㎖) 의 수치를 LW1 로 하였다.
1 회째의 투입 개시로부터 10 분 간격으로 동일하게 2 회째, 3 회째의 시험액을 투입하여 2 회째, 3 회째의 누출량 (㎖) 을 측정하고, 그 수치를 각각 LW2, LW3 으로 하였다.
이어서, 이하의 식에 따라서 누출 지수를 산출하였다. 지수가 제로에 가까워질수록, 흡수 시트의 경사에 있어서의 누출량, 특히 초기의 누출량이 적고, 우수한 흡수 시트로 판단된다.
누출 지수:L = LW1×10+LW2×5+LW3
<부직포의 친수도>
본 명세서에서 부직포의 친수도는, 종이 펄프 시험 방법 No.68 (2000) 에 기재된「발수성 시험 방법」에 기재된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45 도의 경사를 갖는 시험편 장착 장치에, 길이 30 ㎝, 폭 10 ㎝ 사이즈의 단책상이고, 길이 방향이 부직포의 세로 방향 (기계 방향) 이 되도록 절단한 부직포 시험편을 장착하였다. 뷰렛의 콕 개구부를 30 초당 10 g 의 증류수를 공급하도록 조정한 뷰렛을 일단 건조시키고, 경사를 갖는 장치에 장착한 시험편의 최상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5 ㎜ 위의 부분에 뷰렛의 선단이 배치하도록 고정시켰다. 뷰렛 상부로부터 증류수 약 50 g 을 첨가하고, 뷰렛 선단으로부터 부직포 시험편에 액적이 떨어지기 시작하고 나서, 시험편이 액을 다 유지하지 못하고 하부로부터 액이 나올 때까지의 시간 (초) 을 측정하여 부직포의 친수도로 하였다. 수치가 클수록 친수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통상적으로 부직포의 소재 자체가 친수성을 갖거나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부직포에서는, 친수도의 수치가 5 이상이 되는 한편, 친수성이 낮은 소재의 부직포에서는, 표면에서 액적이 매끄럽게 흘러, 그 자리에서 하부로부터 액이 누출되는 경향이 있다.
(실시예 1)
가열 온도를 150 ℃ 로 설정한 핫멜트 도공기 (주식회사 하리즈 제조:마샤르 150) 상에, 폭 30 ㎝ 의 폴리프로필렌제 스펀 결합-용융 취입-스펀 결합 (SMS) 부직포에 친수화제에 의해 친수화 처리한 것 (겉보기 중량:13 g/㎡, 두께:150 ㎛, 폴리프로필렌 함유율:100 %, 친수도 = 16;「부직포 A-1」이라고 한다) 을 깐 후, 접착제로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SBS;연화점 85 ℃) 를 겉보기 중량 15 g/㎡ 로 당해 부직포 상에 도포하였다.
다음으로, 롤러형 산포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신타에이스 M/C) 의 투입구에, 흡수성 수지로서의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가교체 (스미토모 정화 주식회사 제조:아쿠아키프 SA55SX-II;중위 입경:360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42 초;생리 식염수 보수능:35 g/g, 초기 흡수 속도:0.18 ㎖/s, 유효 흡수량:58 ㎖/g;「수지 A」라고 한다) 를 투입하였다. 한편, 산포기 하부의 컨베이어에 상기 접착제 도포 부직포를 깔았다. 이어서, 산포 롤러와 하부 컨베이어를 가동시킴으로써, 수지 A 를 겉보기 중량 200 g/㎡ 로 부직포 상에 균일하게 적층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를, 상부로부터 겉보기 중량 15 g/㎡ 로 접착제로서의 상기 SBS 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한 통기성 분획층으로서의 별개의 부직포 A-1 사이에 끼운 후, 가열 온도를 100 ℃ 로 설정한 라미네이트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직선식 접착 프레스 HP-600 LF) 로 열융착시킴으로써 이것들을 일체화하여 흡수 시트 중간물을 얻었다.
상기와 동일하게, 가열 온도를 150 ℃ 로 설정한 핫멜트 도공기 상에, 흡수 시트 중간물을 통기성 분획층이 위가 되도록 깐 후, 접착제로서 상기 SBS 를 겉보기 중량 10 g/㎡ 로 흡수 시트 중간물 상에 도포하였다.
다음으로, 롤러형 산포기의 투입구에, 흡수성 수지로서의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가교체 (스미토모 정화 주식회사 제조:아쿠아키프 10 SH-PB;중위 입경:320 ㎛, 생리 식염수 흡수 속도:3 초, 생리 식염수 보수능:42 g/g, 유효 흡수량:65 ㎖/g;「수지 B」라고 한다) 를 투입하였다. 한편, 산포기 하부의 컨베이어에, 접착제가 도포된 면을 위로 하여 흡수 시트 중간물을 깔았다. 이어서, 산포 롤러와 하부 컨베이어를 가동시킴으로써, 수지 B 를 겉보기 중량 50 g/㎡ 로, 상기 흡수 시트 중간물의 부직포 상에 균일하게 적층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를, 상부로부터 겉보기 중량 10 g/㎡ 로 상기 SBS 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한 별개의 부직포 A-1 사이에 끼운 후, 가열 온도를 100 ℃ 로 설정한 라미네이트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직선식 접착 프레스 HP-600 LF) 로 열융착시킴으로써 이것들을 일체화하여 흡수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 시트 구조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면, 도 3 과 같은 구조였다.
흡수 시트는 소정의 크기로 커트되고, 흡수 시트 성능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 4)
실시예 1 에 있어서, 사용하는 부직포의 종류 등을 표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흡수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 시트는 소정의 크기로 커트되고, 흡수 시트 성능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5)
롤러형 산포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신타에이스 M/C) 의 투입구에, 접착제로서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융점 107 ℃) 40 질량부와, 흡수성 수지로서의 수지 A 의 350 질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투입하였다. 한편, 산포기 하부의 컨베이어에, 폭 30 ㎝ 의 폴리프로필렌제 SMS 부직포에 친수화제에 의해서 친수화 처리한 것 (겉보기 중량 11 g/㎡, 두께:120 ㎛, 폴리프로필렌 함유율:100 %, 친수도 = 12;「부직포 A-4」라고 한다) 를 깔았다. 이어서, 산포 롤러와 하부 컨베이어를 가동시킴으로써, 상기 혼합물을 겉보기 중량 390 g/㎡ 로 상기 부직포 상에 균일하게 적층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를, 상부로부터 통기성 분획층으로서의 별개의 부직포 A-4 사이에 끼운 후, 가열 온도 140 ℃ 로 설정한 열 라미네이트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직선식 접착 프레스 HP-600 LF) 로 열융착시킴으로써 일체화하여 흡수 시트의 중간물을 얻었다.
별도로, 롤러형 산포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신타에이스 M/C) 의 투입구에, 접착제로서의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30 질량부와, 흡수성 수지로서의 수지 B 80 질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투입하였다. 롤러형 산포기의 컨베이어에, 상기 흡수 시트의 중간물을 통기성 분획층이 위가 되도록 깔고, 산포 롤러와 하부 컨베이어를 가동시킴으로써, 상기 혼합물을 겉보기 중량 110 g/㎡ 로 상기 중간물 상에 균일하게 적층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를, 상부로부터 별개의 부직포 A-4 사이에 끼우고, 추가로 가열 온도 140 ℃ 로 설정한 열 라미네이트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직선식 접착 프레스 HP-600 LF) 로 열융착시킴으로써 일체화하여 흡수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 시트의 구조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면, 도 1 과 동일한 구조였다. 흡수 시트는 소정의 크기로 커트되고, 흡수 시트 성능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가열 온도를 150 ℃ 로 설정한 핫멜트 도공기 (주식회사 하리즈 제조:마샤르 150) 상에, 폭 30 ㎝ 의 폴리프로필렌제 용융 취입 부직포 (겉보기 중량:15 g/㎡, 두께:120 ㎛, 폴리프로필렌 함유율:100 %, 친수도 = 15;「부직포 C」라고 한다) 를 깐 후, 접착제로서 실시예 1 과 동일한 SBS 를 겉보기 중량 20 g/㎡ 로 당해 부직포 상에 도포하였다.
다음으로, 롤러형 산포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신타에이스 M/C) 의 투입구에, 흡수성 수지로서의 수지 A 를 투입하였다. 한편, 산포기 하부의 컨베이어에 상기 접착제 도포 부직포를 깔았다. 이어서, 산포 롤러와 하부 컨베이어를 가동시킴으로써, 수지 A 를 겉보기 중량 250 g/㎡ 로 부직포 상에 균일하게 적층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를, 상부로부터 겉보기 중량 20 g/㎡ 로 상기 SBS 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한 부직포 C 사이에 끼운 후, 가열 온도를 100 ℃ 로 설정한 라미네이트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직선식 접착 프레스 HP-600 LF) 로 열융착시킴으로써 이것들을 일체화하여 비교의 흡수 시트를 얻었다. 흡수 시트는 소정의 크기로 커트되고, 흡수 시트 성능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 4)
실시예 1 에 있어서, 사용하는 부직포의 종류 등을 표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흡수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 시트는 소정의 크기로 커트되고, 흡수 시트 성능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예 No. 부직포 흡수성 수지 (g/㎡) 접착제 (g/㎡)
상방 g/㎡ 통기성 분획층 g/㎡ 하방 g/㎡ 1 차 2 차 비율* 종류 1 차 2 차 함유량 **
실시예 1 부직포 A-1 13 부직포 A-1 13 부직포 A-1 13 수지 A 200 수지 B 50 81/19 SBS 30 20 0.20
실시예 2 부직포 A-2 18 부직포 A-2 18 부직포 A-2 18 수지 A 150 수지 A 50 75/25 SBS 20 20 0.20
실시예 3 부직포 B-1 34 부직포 A-1 13 부직포
A-1
13 수지 A 150 수지 B 150 50/50 SBS 30 30 0.20
실시예 4 부직포 A-3 15 부직포 A-3 15 부직포
A-3
15 수지 A 250 수지 B 50 83/17 SBS 30 10 0.13
실시예 5 부직포 A-4 11 부직포 A-4 11 부직포
A-4
11 수지 A 350 수지 B 80 81/19 폴리에틸렌 40 30 0.16
비교 예 1 부직포
C
15 - - 부직포
C
15 수지 A 250 - - - SBS 40 - 0.16
비교예 2 부직포 A-1 13 부직포 A-1 13 부직포
A-5
17 수지 A 200 수지 B 50 81/19 SBS 30 20 0.20
비교예 3 부직포 A-5 17 부직포 A-5 17 부직포
A-5
17 수지 A 200 수지 B 50 81/19 SBS 30 20 0.20
비교예 4 부직포 B-2 40 부직포 B-2 40 부직포
B-2
40 수지 A 200 수지 B 50 81/19 SBS 30 20 0.20
*:흡수성 수지의 1 차 흡수층과 2 차 흡수층 (1 차/2 차) 의 비율 (질량비)
**:접착제의 함유량 (대흡수성 수지의 함유량 (질량 기준))
또한, 수지 A 및 수지 B 는 모두 역상 현탁 중합법에 의해서 얻어진 수지이다.
예 No. 두께
(㎜)
침투 속도 (초) 복귀 (g) 경사에 있어서의 누출 시험 흡수 시트 내넥다운율 (%) 흡수 시트 촉감
1 2 3 1 2 3 지수
실시예 1 1.1 36 15 17 68 15.0 2 0 0 20 95 4.3
실시예 2 1.2 37 16 18 71 16.0 3 0 0 30 97 4.4
실시예 3 1.2 41 22 22 85 14.0 1 0 0 10 95 4.9
실시예 4 1.2 38 17 19 74 7.0 1 0 0 10 96 4.3
실시예 5 1.3 35 22 20 77 3.0 2 0 0 20 95 4.2
비교예 1 1.1 44 26 32 102 18.0 15 1 0 155 84 2.6
비교예 2 1.1 42 23 26 91 21.0 10 4 0 120 95 4.5
비교예 3 1.2 50 25 18 93 10.0 65 65 40 1015 96 4.3
비교예 4 1.7 38 21 25 84 7.4 1 0 0 10 79 4.8
추가로, 표 3 에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사용한 부직포의 구조, 재질 등을 상세하게 나타낸다. 또, 부직포 B-1 및 B-2 의 재질 (레이온, PET) 에 있어서의 레이온 비율은 B-1 및 B-2 모두 70 % 였다.
약칭 구조 재질 겉보기 중량
g/㎡
두께
친수도
부직포 A-1 SMS 폴리프로필렌 13 150 16
부직포 A-2 SMS 폴리프로필렌 18 200 24
부직포 A-3 SMMS 폴리프로필렌 15 170 20
부직포 A-4 SMS 폴리프로필렌 11 120 12
부직포 A-5 SMS 폴리프로필렌 17 190 3 이하
부직포 B-1 스펀 레이스 레이온, PET 34 350 40
부직포 B-2 스펀 레이스 레이온, PET 40 400 55
부직포 C 용융 취입 폴리프로필렌 15 120 15
표 1 및 표 2 로부터, 실시예 1 ? 5 와 마찬가지로 특정 부직포를 사용한 본 발명의 구조를 갖는 흡수 시트는, 침투 속도, 역류, 경사에 있어서의 누출 지수 등에 있어서 우수한 성능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경사에 있어서의 누출 시험을 실시한 후의 흡수 시트의 내부를 확인한 결과, 흡수층은 그 전체가 일정하게 팽윤되어 있어 겔 블로킹 현상이 발생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에 대해 보면, 흡수층이 1 층이고, 용융 취입 부직포만을 사용한 경우 (비교예 1) 에서는, 합계 침투 속도 및 누출 지수의 양방의 평가가 낮고, 흡수 시트의 내넥다운율, 촉감이 열등하였다. 흡수층을 사이에 끼워 넣은 2 장의 부직포 및 통기성 분획층 모두가 스펀 결합 부직포여도, 하방의 부직포가 소수성인 경우 (비교예 2, 3) 에 흡수 성능은 충분하지 않았다. 특히, 경사에 있어서의 누출 지수가 높은 경향이고, 흡수성 물품을 제조한 경우의 액누출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것들로부터, 적어도 하방의 부직포가 친수성을 갖지 않는 경우, 대체로 흡수 시트로서 흡수성 물품에 사용할 수 있는 레벨의 흡수 성능에 도달할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3 장의 부직포에 친수성을 갖는 레이온의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사용한 경우 (비교예 4), 흡수 성능으로는 사용 가능한 레벨이었으나, 흡수 시트의 내넥다운율이 낮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흡수 시트가 기계 방향으로 신장될 때, 교차 방향 길이의 편차가 발생하고, 흡수성 물품의 품질이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있어, 흡수 시트로서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흡수 시트는 위생 재료 분야, 농업 분야, 건재 분야 등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위생 재료 분야의 흡수성 물품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 뷰렛부
2 : 도관
3 : 측정대
4 : 부직포
5 : 흡수성 수지
6 : 가설대
7 : 클램프
10 : 뷰렛
11 : 공기 도입관
12 : 콕
13 : 콕
14 : 고무 마개
31 : 가설대
32 : 아크릴판
33 : 흡수 시트
34 : 적하 깔때기
35 : 천칭
36 : 금속제 트레이
50 : 접착제
51 : 흡수 시트
52 : 흡수성 수지
53 : 1 차 흡수층
54 : 흡수성 수지
55 : 2 차 흡수층
56 : 통기성 분획층
57 : 부직포
58 : 친수성 부직포
59 : 그 밖의 부직포
60 : 접착제

Claims (9)

  1. 흡수성 수지 및 접착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층이, 부직포에 의해서 그 흡수층의 상방 및 하방으로부터 사이에 끼워진 구조를 갖는 흡수 시트로서, 그 흡수층이 통기성 분획층에 의해서 1 차 흡수층과 2 차 흡수층으로 분획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를 갖고, 그 부직포 중의 적어도 1 장이 스펀 결합 부직포이고, 또한 그 부직포 중의 적어도 하방의 부직포가 친수성 부직포인 흡수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펀 결합 부직포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및 그것들의 혼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섬유를 포함하는 스펀 결합 부직포인 흡수 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부직포의 겉보기 중량이 35 g/㎡ 이하인 흡수 시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직포 중 스펀 결합 부직포 이외의 적어도 1 장이, 레이온 섬유, 레이온 섬유/폴리올레핀 섬유 및 레이온 섬유/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섬유로 제조되는 부직포인 흡수 시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기성 분획층이 부직포에 의해서 형성되는 흡수 시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 시트 1 ㎡ 당 흡수성 수지의 함유량이 100 ? 1000 g 이고, 또한 접착제의 함유량이 흡수성 수지의 함유량의 0.05 ? 2.0 배인 흡수 시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접착제 및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흡수 시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 시트로서, 이하의 (A) ? (C) :
    (A) 흡수 시트의 두께가 3 ㎜ 이하,
    (B) 합계 침투 속도가 100 초 이하, 및
    (C) 누출 지수가 100 이하,
    의 성질을 갖는 흡수 시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 시트를, 액체 투과성 시트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 사이에 끼워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
KR1020127011914A 2009-10-09 2010-10-01 흡수 시트 KR201200820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35382 2009-10-09
JPJP-P-2009-235382 2009-10-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020A true KR20120082020A (ko) 2012-07-20

Family

ID=43856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1914A KR20120082020A (ko) 2009-10-09 2010-10-01 흡수 시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203191A1 (ko)
EP (1) EP2486901A4 (ko)
JP (1) JP5877710B2 (ko)
KR (1) KR20120082020A (ko)
CN (1) CN102573729A (ko)
AU (1) AU2010304381A1 (ko)
TW (1) TWI483750B (ko)
WO (1) WO20110432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8747B2 (ja) * 2009-12-28 2013-10-16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JPWO2011086844A1 (ja) 2010-01-13 2013-05-16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シート構成体
KR101719024B1 (ko) * 2010-04-30 2017-03-22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흡수 시트 구성체
AU2011309126B2 (en) 2010-09-28 2015-05-07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Water-absorbent sheet structure
JP5943504B2 (ja) * 2011-10-28 2016-07-05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3655062A (zh) * 2012-09-11 2014-03-26 苏艺强 一种纸尿裤的锁水棉芯层
EP3896104A1 (en) 2012-11-21 2021-10-20 Basf Se Surface-postcrosslinked wat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US9394637B2 (en) 2012-12-13 2016-07-19 Jacob Holm & Sons Ag Method for production of a hydroentangled airlaid web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US9566198B2 (en) 2013-03-15 2017-02-14 Dsg Technology Holdings Ltd.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employing the same
US9789014B2 (en) 2013-03-15 2017-10-17 Dsg Technology Holdings Ltd.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employing the same
US10201462B2 (en) 2013-07-03 2019-02-12 Dsg Technology Holdings Ltd. Absorbent composite, an absorbent article employing the same, and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absorbent composite and/or article
EP3039044B1 (en) 2013-08-26 2020-02-12 Basf Se Fluid-absorbent article
ES2613250T3 (es) * 2014-01-31 2017-05-23 Ontex Bvba Material absorbente de múltiples capas
JP6415077B2 (ja) * 2014-04-01 2018-10-31 株式会社ダイセル 親水化されたセルロースアセテートトウバンド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体
US10881555B2 (en) 2016-03-30 2021-01-05 Basf Se Fluid-absorbent article
US20170281425A1 (en) * 2016-03-30 2017-10-05 Basf Se Fluid-absorbent article
US10806640B2 (en) 2016-03-30 2020-10-20 Basf Se Ultrathin fluid-absorbent article
KR102642861B1 (ko) 2016-06-29 2024-03-05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구멍을 갖는 흡수 시스템을 구비한 흡수 용품
JP6377785B2 (ja) * 2017-01-26 2018-08-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
EP3576701B1 (en) 2017-02-06 2022-10-19 Basf Se Fluid-absorbent article
CN110312497B (zh) 2017-02-17 2021-12-10 巴斯夫欧洲公司 流体吸收制品
EP3586957B1 (en) 2017-02-22 2022-03-30 Nippon Shokubai Co., Ltd.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water-absorbing sheet
JP6404393B1 (ja) * 2017-03-30 2018-10-1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458102B1 (ja) * 2017-08-30 2019-01-2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U2019238331A1 (en) 2018-03-22 2020-10-15 Dsg Technology Holdings Lt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core composite
KR102592021B1 (ko) * 2018-03-28 2023-10-19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CN111971011B (zh) 2018-04-13 2022-05-31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性片、吸水性片的制造方法及吸收性物品
CN112040919B (zh) 2018-04-20 2023-06-27 巴斯夫欧洲公司 薄流体吸收芯-吸收性纸
WO2019217769A1 (en) 2018-05-11 2019-11-14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Reinforced breathable sheet
WO2020025400A1 (en) 2018-08-01 2020-02-06 Basf Se Feminine hygiene absorbent article
WO2020025401A1 (en) 2018-08-01 2020-02-06 Basf Se Fluid-absorbent core
WO2020032283A1 (ja) 2018-08-09 2020-02-13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性シートおよびそれを含む吸水性物品
CN112584805A (zh) * 2018-11-19 2021-03-30 株式会社大赛璐 吸收性物品的制造方法、吸收性物品制造装置、吸收性物品及吸收体
CN111685940B (zh) * 2019-03-11 2021-11-05 北京同仁堂保康科技有限公司 一种卫生巾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58607U (ko) * 1987-10-06 1989-04-12
JPH06397B2 (ja) 1988-08-10 1994-01-05 ダイニック株式会社 高吸水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法
SE501166C2 (sv) * 1992-04-28 1994-11-28 Moelnlycke Ab Absorptionskropp för absorberande alster såsom en blöja innehållande superabsorbenter samt blöja innefattande absorptionskroppen
JPH06315501A (ja) * 1993-05-07 1994-11-15 Sekisui Plastics Co Ltd 吸水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51315A (ja) 1993-08-19 1995-02-28 Kuraray Co Ltd 吸収体
US5599335A (en) * 1994-03-29 1997-0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members for body fluids having good wet integrity and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JP2918808B2 (ja) 1994-06-13 1999-07-12 株式会社日本触媒 吸収体および吸収性物品
JP3908403B2 (ja) 1999-02-22 2007-04-25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製品の吸収用積層体
JP2001046435A (ja) * 1999-05-28 2001-02-20 Oji Paper Co Ltd 吸収性物品
US6663611B2 (en) * 1999-09-28 2003-12-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reathable diaper with low to moderately breathable inner laminate and more breathable outer cover
JP3196933B2 (ja) * 1999-09-29 2001-08-06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繊維状化ホットメルトにより表面被覆加工された吸水性複合体、その製造法及び吸収体物品
JP2002224161A (ja) * 2001-01-31 2002-08-13 Mitsubishi Chemicals Corp 吸水性物品
JP3895624B2 (ja) 2001-03-28 2007-03-22 三菱化学株式会社 吸水性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56017B2 (ja) 2001-05-02 2010-10-06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吸水性耐水性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体製品
JP3964637B2 (ja) * 2001-07-24 2007-08-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ES2372979T3 (es) * 2003-02-12 2012-01-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úcleo absorbente para un artículo absorbente.
EP1982678B1 (en) * 2003-02-12 2019-03-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mfortable diaper
JP4502586B2 (ja) * 2003-03-12 2010-07-14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吸収性物品
KR100740976B1 (ko) * 2003-03-12 2007-07-19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일회용 흡수성 물품
JP4416431B2 (ja) * 2003-05-09 2010-02-17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吸収性物品
US7884259B2 (en) * 2004-06-28 2011-02-08 Daio Paper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JP2007202575A (ja) * 2006-01-30 2007-08-16 Livedo Corporation 吸収用積層体および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2007229403A (ja) * 2006-03-03 2007-09-13 Eco Life Nt Kenkyusho:Kk 保水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021360B2 (ja) * 2007-04-19 2012-09-05 王子ネピア株式会社 吸収体及び吸収体の製造方法、並びに使い捨ておむつ
ES2580953T3 (es) * 2007-06-18 2016-08-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ículo absorbente desechable con material polimérico absorbente en forma de partículas distribuido de forma sustancialmente continua y método
JP5191250B2 (ja) * 2008-02-29 2013-05-08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
WO2010076857A1 (ja) * 2008-12-29 2010-07-08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シート組成物
CN102802580B (zh) * 2009-06-12 2015-05-20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43256A1 (ja) 2011-04-14
AU2010304381A1 (en) 2012-05-10
EP2486901A1 (en) 2012-08-15
JPWO2011043256A1 (ja) 2013-03-04
JP5877710B2 (ja) 2016-03-08
TW201125596A (en) 2011-08-01
CN102573729A (zh) 2012-07-11
US20120203191A1 (en) 2012-08-09
TWI483750B (zh) 2015-05-11
EP2486901A4 (en)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2020A (ko) 흡수 시트
KR101727775B1 (ko) 흡수 시트 구성체
KR101720372B1 (ko) 흡수 시트 구성체
KR101807892B1 (ko) 흡수 시트 구성체
TWI507218B (zh) Absorbent sheet structure
KR101540836B1 (ko) 흡수 시트 조성물
KR101718180B1 (ko) 흡수 시트 구성체
KR101695046B1 (ko) 흡수 시트
TWI563990B (zh) Absorbent sheet structure
KR20110038128A (ko) 흡수 시트 조성물
KR20110099342A (ko) 흡수 시트 조성물
KR20110038129A (ko) 흡수 시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