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364A - 엘리베이터의 표시 기구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표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364A
KR20120115364A KR20127020649A KR20127020649A KR20120115364A KR 20120115364 A KR20120115364 A KR 20120115364A KR 20127020649 A KR20127020649 A KR 20127020649A KR 20127020649 A KR20127020649 A KR 20127020649A KR 20120115364 A KR20120115364 A KR 20120115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ight
light emitting
display unit
emitt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20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7996B1 (ko
Inventor
에이지 유아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5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 B66B3/026Mechanical devices that can be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표시 기구는 발광 표시 유닛, 수지제의 커버 및 금속조 필름을 가지고 있다. 커버는 발광 표시 유닛을 덮도록 발광 표시 유닛의 전방에 배치되고, 발광 표시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투과한다. 금속조 필름은 커버에 마련되고, 발광 표시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투과한다. 또, 금속조 필름은 금속조의 광택을 가지도록 광학 설계된 나노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표시 기구{ELEVATOR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승강장 조작반, 엘리베이터칸 내 조작반 및 위치 표시기 등의 엘리베이터의 표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금속조(金屬調) 화장(化粧) 시트에서는 투명 수지 필름에 미러조(mirror mode) 잉크가 인쇄되어 있다. 또, 광을 투과시키는 부분에는 미러조 잉크를 인쇄하지 않는 투명창부가 마련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2009-66971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금속조 화장 시트에서는 투명 수지 필름에 창빼기(windowed) 인쇄를 실행하는 공정이 필요하고,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 또, 투명창부는 금속조로 하지 못하고, 의장면(意匠面) 전체를 일양(一樣)으로 금속조로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면서, 의장면 전체를 일양으로 금속조로 할 수 있고,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표시 기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표시 기구는, 발광 표시 유닛, 발광 표시 유닛을 덮도록 발광 표시 유닛의 전방(前方)에 배치되고, 발광 표시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투과하는 수지제(樹脂製)의 커버, 및 커버에 마련되고, 또한 금속조의 광택을 가지도록 광학 설계된 나노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발광 표시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투과하는 금속조 필름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표시 기구는 발광 표시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투과하는 금속조 필름을 커버에 마련했으므로, 창빼기 인쇄를 하지 않고, 의장면 전체를 일양으로 금속조로 할 수 있고,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면서,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승강장 조작반의 비점등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승강장 조작반의 점등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승강장 조작반의 비점등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승강장 조작반의 점등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VI-V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승강장 조작반의 비점등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승강장 조작반의 비점등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승강장 조작반의 점등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장 조작반의 정면에는 페이스 플레이트(1)가 마련되어 있다. 페이스 플레이트(1)에는 호출을 등록하기 위한 상방 호출 버튼(2)과, 하방 호출 버튼(3)이 마련되어 있다. 페이스 플레이트(1)의 이측(裏側)에는 복수의 발광 표시 유닛(4)이 마련되어 있다. 발광 표시 유닛(4)은 상하로 늘어서서 배치되어 있다. 또, 각 발광 표시 유닛(4)은 복수의 광원(LED 등)을 가지고, 엘리베이터칸의 주행 방향(화살표)이나 엘리베이터칸의 위치(층번호) 등을 발광 표시한다.
페이스 플레이트(1)는 수지제의 커버(베이스 수지; 5)와, 커버(5)의 표면에 설치된 금속조 필름(6)을 가지고 있다. 커버(5)는 발광 표시 유닛(4)을 덮도록 발광 표시 유닛(4)의 전방에 배치되고, 발광 표시 유닛(4)으로부터의 광을 투과한다. 이 예에서, 커버(5)는 완전히 투명하지 않고, 스모크 그레이로 조색(調色)된 수지에 의해 구성되고, 발광 표시 유닛(4)으로부터의 광을 소정의 비율로 투과한다. 발광 표시 유닛(4)은 커버(5)의 배면에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금속조 필름(6)은 커버(5)에 인서트 성형 또는 첩부(貼付)되어 있다. 또, 금속조 필름(6)은 금속조의 광택(및 질감)을 가지도록 광학 설계된 나노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발광 표시 유닛(4)으로부터의 광을 투과한다. 즉, 금속조 필름(6)은 하프 미러와 같이, 외광을 반사하면서, 발광 표시 유닛(4)으로부터의 광을 소정의 비율로 투과한다.
이와 같은 금속조 필름(6)으로서는 층 두께가 개별적으로 제어된 수백 내지 수천층의 이종(異種) 폴리머층을 고정밀도로 적층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토오레(Toray) 사제(社製) 「PICASUS」(상품명)).
광의 투과율이 비교적 높은(투명하게 가까운) 커버(5)를 이용하는 경우, 광의 투과율이 낮은 금속조 필름(6)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바꾸어 말하면, 광의 투과율이 낮은 금속조 필름(6)을 이용하는 경우, 광의 투과율이 비교적 높은 커버(5)를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고, 이 경우 커버(5)를 투명으로 해도 좋다. 또, 광의 투과율이 비교적 높은(투명하게 가까운) 금속조 필름(6)을 이용하는 경우, 광의 투과율이 낮은 커버(5)를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와 같은 조합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페이스 플레이트(1) 전체로서의 질감을 금속에 가깝게 하면서, 발광 표시 유닛(4)으로부터의 광을 승강장측에 투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승강장 조작반에서는 발광 표시 유닛(4)으로부터의 광을 투과하는 금속조 필름(6)을 커버(5)의 표면에 마련했으므로, 창빼기 인쇄를 하지 않고, 의장면 전체를 일양으로 금속조로 할 수 있고,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면서,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금속조 필름(6)은 증착막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박리되거나 갈라지는 일이 없어 내구성도 뛰어나고, 승강장 조작반과 같이 버튼(2, 3)을 가지는 표시 기구에도 적합하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표시 기구에서는 엘리베이터칸의 위치 표시와 같이, 1개의 발광 표시 유닛(4)에 의한 표시 내용이 변화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창빼기 인쇄를 하는 경우, 창부를 크게 할 필요가 있고, 창부의 경계선이 보여서 의장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그러나 실시 형태 1의 구성에 의하면, 창빼기 인쇄가 불필요하고, 경계선이 보여지는 일도 없어서, 표시 내용이 변화하는 엘리베이터의 표시 기구에 특히 유효하다.
추가로, 실시 형태 1의 구성에서는 창빼기 인쇄를 행하지 않기 때문에, 페이스 플레이트(1)의 전체가 광을 투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페이스 플레이트(1)의 외측 또는 내측에 강한 광을 닿게 하는 것에 의해, 승강장 조작반의 외측으로부터 승강장 조작반 내의 부품을 볼 수 있다. 이에 의해, 설치시의 배선 장착의 유무 확인이나 스위치 설정의 확인 등을 행할 수 있고, 설치성 및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그레이 스모크의 커버(5)를 이용했으므로, 페이스 플레이트(1)에 스테인리스 강(鋼)의 광택 및 질감을 갖게 할 수 있다. 또, 그레이 스모크의 커버(5)를 이용하여 금속조 필름(6)의 표면을 매트 마무리(matt finishing)하는 것에 의해, 페이스 플레이트(1)에 알루미늄의 광택 및 질감을 갖게 할 수도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승강장 조작반의 비점등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승강장 조작반의 점등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도 4의 VI-V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커버(5)의 이측의 공간 내에는 승강장 조작반의 외부에 마련된 리모콘(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수광하는 리모콘 수광부(리모콘 수광 소자; 7)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 리모콘 수광부(7)는 발광 표시 유닛(4)의 기판(4a) 상에 마련되어 있다. 또, 발광 표시 유닛(4)에는 리모콘 수광부(7)에서의 광 신호의 수광 상태에 따라 발광 표시를 행하는 리모콘 조작 상태 표시부(8)가 마련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승강장 조작반에서는 리모콘으로부터의 적외선 광이 승강장측으로부터 금속조 필름(6) 및 커버(5)를 투과하여 리모콘 수광부(7)에 입력된다. 이에 의해, 승강장 조작반 내의 기기 또는 그 외의 기기가 조작되고, 그 조작 상태가 리모콘 조작 상태 표시부(8)에 의해 발광 표시된다. 리모콘 조작 상태 표시부(8)로부터의 광은 승강장측에 투과된다.
이와 같이, 발광 표시 유닛(4)으로부터의 광을 투과하는 금속조 필름(6)을 커버(5)의 표면에 마련했으므로, 발광 표시 유닛(4)뿐만 아니라, 리모콘 수광부(7)도 창빼기 인쇄를 하지 않고, 커버(5)의 이측의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의장의 제약을 받지 않고, 리모콘 수광부(7)를 커버(5)의 이측의 자유로운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또, 발광 표시 유닛(4)에 리모콘 조작 상태 표시부(8)를 마련했으므로, 리모콘 조작 상태 표시부(8)도, 창빼기 인쇄를 하지 않고, 커버(5)의 이측의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의장의 제약을 받지 않고, 리모콘 조작 상태 표시부(8)를 커버(5)의 이측의 자유로운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다음에,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승강장 조작반의 비점등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커버(5)의 이측의 공간에는 그 공간 내를 비추는 복수의 보수용 조명(9)이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승강장 조작반 내의 상단부에서 하방을 비추는 보수용 조명(9)과, 승강장 조작반 내의 하단부로부터 상방을 비추는 보수용 조명(9)이 이용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 또는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승강장 조작반에서는 보수용 조명(9)에 의해 커버(5)의 이측의 공간에 강한 광을 닿게 하는 것에 의해, 승강장 조작반의 외측으로부터 승강장 조작반 내의 부품을 볼 수 있다. 이에 의해, 설치 시의 배선 장착의 유무 확인이나 스위치 설정의 확인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설치성 및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보수용 조명(9)의 개수나 위치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눈으로 확인이 필요한 위치에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수용 조명(9)은 커버(5)의 이측의 공간의 4개 모서리에 배치하거나 상단부에만 배치하거나 하단부에만 배치해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 1 ~ 3에 있어서, 커버(5)의 색은 그레이 스모크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브라운 등이어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 1 ~ 3에 있어서, 금속조 필름(6)에는 상기와 같은 매트 마무리 외에, 예를 들어 헤어라인 가공 등의 표면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추가로, 상기의 예에서는 승강장 조작반을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칸 내 조작반이나, 엘리베이터칸 또는 승강장에 설치되는 위치 표시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발광 표시 유닛(4)의 표시 내용도, 엘리베이터칸의 주행 방향이나 위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 1개의 발광 표시 유닛(4)이 항상 동일한 문자 등을 점등ㆍ소등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1 페이스 플레이트
2 상방 호출 버튼
3 하방 호출 버튼
4 발광 표시 유닛
5 커버
6 금속조 필름
7 리모콘 수광부
4a 발광 표시 유닛(4)의 기판

Claims (6)

  1. 발광 표시 유닛,
    상기 발광 표시 유닛을 덮도록 상기 발광 표시 유닛의 전방(前方)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 표시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투과하는 수지제(樹脂製)의 커버, 및
    상기 커버의 표면에 마련되고, 또한 금속조(金屬調)의 광택을 가지도록 광학 설계된 나노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 표시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투과하는 금속조 필름을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표시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색은 그레이 스모크인 엘리베이터의 표시 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금속조 필름의 표면이 매트 마무리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표시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이측(裏側)의 공간 내에는 외부에 마련된 리모콘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수광하는 리모콘 수광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표시 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발광 표시 유닛에는 상기 리모콘 수광부에서의 상기 광 신호의 수광 상태에 따라 발광 표시를 행하는 리모콘 조작 상태 표시부가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표시 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이측의 공간 내를 비추는 보수용 조명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표시 기구.
KR1020127020649A 2010-04-23 2011-02-24 엘리베이터의 표시 기구 KR101347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57241 WO2011132308A1 (ja) 2010-04-23 2010-04-23 エレベータの表示器具
WOPCT/JP2010/057241 2010-04-23
PCT/JP2011/054131 WO2011132458A1 (ja) 2010-04-23 2011-02-24 エレベータの表示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364A true KR20120115364A (ko) 2012-10-17
KR101347996B1 KR101347996B1 (ko) 2014-01-07

Family

ID=44833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649A KR101347996B1 (ko) 2010-04-23 2011-02-24 엘리베이터의 표시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93564B2 (ko)
EP (1) EP2562119B1 (ko)
KR (1) KR101347996B1 (ko)
CN (1) CN102781802B (ko)
WO (2) WO201113230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794B1 (ko) 2015-03-24 2016-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 변형 방지 및 터닝 기능을 갖는 용접 지원 장치
KR20160138602A (ko) 2015-05-26 2016-12-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무장 발사관 취부 및 접합 용접 지원 장치
US9923156B2 (en) 2015-07-23 2018-03-20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4002B (fi) * 2012-06-07 2014-01-31 Kone Corp Hissin kutsupaneeli
CN105460718A (zh) * 2015-12-11 2016-04-06 中山市卓梅尼控制技术有限公司 电梯显示器及其显示控制方法
CN105621174A (zh) * 2016-03-11 2016-06-01 南通昌荣机电有限公司 一种新型显示面板
CN105632342A (zh) * 2016-03-11 2016-06-01 南通昌荣机电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制作方法
JP1623183S (ko) 2017-11-02 2019-01-28
JP6657300B2 (ja) * 2018-05-29 2020-03-0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表示装置
JP7136323B2 (ja) * 2019-03-20 2022-09-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操作表示装置
CN110148361B (zh) * 2019-05-08 2021-11-26 深圳市洲明科技股份有限公司 Led显示屏
JP1675490S (ko) * 2020-05-29 2020-12-21
JP1675489S (ko) * 2020-05-29 2020-12-21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9185A (ja) * 1985-09-30 1987-04-11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かご呼び登録装置
CA2063889C (en) * 1991-07-26 1998-04-28 Edward Berdich Surface mounted indicating element for elevators
ES2064197B1 (es) * 1992-05-04 1997-02-01 Otis Elevator Co Perfeccionamientos en cabinas de ascensores.
JPH0940328A (ja) * 1995-07-24 1997-02-10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かご内操作盤
US6227335B1 (en) * 1999-12-10 2001-05-08 Invento Ag Elevator car operating panel
SG107578A1 (en) * 2001-03-28 2004-12-29 Inventio Ag Indicating device
US6601679B2 (en) * 2001-09-05 2003-08-05 Otis Elevator Company Two-part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for elevator hallway fixtures
US6986408B2 (en) * 2001-12-20 2006-01-1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emotely controlled elevator operating apparatus
JP4226874B2 (ja) * 2002-10-23 2009-02-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操作装置
JP2004189373A (ja) * 2002-12-09 2004-07-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用操作器の表板
US7152715B2 (en) * 2004-02-05 2006-12-26 Thyssen Elevator Capital Corp. Snap-fit elevator hall fixture assemblies
NZ539155A (en) * 2004-04-08 2005-11-25 Inventio Ag Call operating panel for elevator with configurable touch sensitive buttons
FI115521B (fi) * 2004-06-28 2005-05-31 Kone Corp Hissijärjestely
JP4867237B2 (ja) * 2005-08-30 2012-02-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操作表示装置
CN101443827B (zh) * 2005-09-07 2012-08-15 奥蒂斯电梯公司 具有无线厅门呼叫按钮的电梯系统
JP2007307893A (ja) * 2006-04-20 2007-11-29 Toray Ind Inc マット調フィルムおよび成形品
JP4862173B2 (ja) 2007-09-14 2012-01-25 株式会社三和スクリーン銘板 金属調化粧シート及び金属調フィルム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9164029A (ja) * 2008-01-09 2009-07-23 Toray Ind Inc キーパッド部材用金属光沢調装飾フィルム
FI120645B (fi) * 2008-02-11 2010-01-15 Kone Corp Hissin kutsu- ja näyttölaitejärjestely
FI121010B (fi) * 2009-02-16 2010-06-15 Kone Corp Kutsupaneeli
JP5396163B2 (ja) * 2009-03-31 2014-01-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操作装置及び当該操作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装置
USD710722S1 (en) * 2011-04-13 2014-08-1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trol panel for elevator
USD681493S1 (en) * 2011-04-13 2013-05-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trol panel for eleva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794B1 (ko) 2015-03-24 2016-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 변형 방지 및 터닝 기능을 갖는 용접 지원 장치
KR20160138602A (ko) 2015-05-26 2016-12-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무장 발사관 취부 및 접합 용접 지원 장치
US9923156B2 (en) 2015-07-23 2018-03-20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32308A1 (ja) 2011-10-27
WO2011132458A1 (ja) 2011-10-27
US20120305342A1 (en) 2012-12-06
EP2562119A4 (en) 2016-01-20
CN102781802A (zh) 2012-11-14
EP2562119A1 (en) 2013-02-27
CN102781802B (zh) 2016-03-02
EP2562119B1 (en) 2018-09-12
KR101347996B1 (ko) 2014-01-07
US9193564B2 (en)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7996B1 (ko) 엘리베이터의 표시 기구
EP2474095B1 (en) Backlighting inductive touch buttons
EP3579217A1 (en) Product with incorporated operation display panel
KR100850410B1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
TW201403646A (zh) 具備光通道之發光鍵盤
US20100259497A1 (en) Integrated touch sensor electrode and backlight mask
KR20120038917A (ko) 숨길수 있는 키패드를 통합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US20100219040A1 (en) Escalator display device
US11214147B2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CN209479624U (zh) 车辆小键盘总成
JP2009265407A (ja) 表示装置
MY152517A (e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with led illumination
US8173921B2 (en) Switch module
US11559965B2 (en) Shaped part and method for producing a shaped part
JP4010147B2 (ja) 操作ボタン
US8690369B2 (en) Luminous keying module of handheld device
JP5603416B2 (ja) エレベータの表示器具
CN102883983B (zh) 电梯到达指示装置
US10310689B2 (en) Sensor sheet and sensor panel
CN202736807U (zh) 具备光通道的发光键盘
US20210001591A1 (en) Molded part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molded part
CN110294374A (zh) 电梯触摸面板及电梯轿厢
CN111247077B (zh) 电梯的操作按钮
JP5682234B2 (ja) エレベータ操作装置
CN108750847A (zh) 一种应用屏幕指纹技术的电梯外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