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118A - 카메라 - Google Patents
카메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15118A KR20120115118A KR1020120035314A KR20120035314A KR20120115118A KR 20120115118 A KR20120115118 A KR 20120115118A KR 1020120035314 A KR1020120035314 A KR 1020120035314A KR 20120035314 A KR20120035314 A KR 20120035314A KR 20120115118 A KR20120115118 A KR 201201151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rror
- contact
- submirror
- balancer
- main mirr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12—Reflex cameras with single objective and a movable reflector or a partly-transmitting mirro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미러 접촉부재는, 미러 접촉부재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편심된 제1 편심부와, 상기 제1 편심부와 실질적으로 같은 편심량으로 상기 미러 접촉부재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편심된 제2 편심부를 구비한다. 미러가 미러 다운 상태로 변위될 때, 상기 미러가 상기 제1 편심부에 접촉된다. 바운스 규제부재는, 상기 제2 편심부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안 레플렉스 카메라 등의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 가능한 미러의 바운스(bounce)(리바운드)를 억제하는 기구를 구비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안 레플렉스 카메라는,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반사시켜서 그 반사된 광을 파인더 광학계에 인도하는 메인 미러와, 메인 미러를 투과한 광을 초점 검출기에 인도하는 서브 미러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미러 및 서브 미러는, 촬영 광로내에 위치하는 미러 다운 상태와, 촬영 광로외로 퇴피하는 미러 업 상태로 변위 가능하다.
상기 메인 미러 및 서브 미러가 미러 다운 상태로 변위될 때에, 메인 미러 및 서브 미러가 미러 박스에 설치된 스토퍼에 충돌함으로써, 메인 미러 및 서브 미러가 바운드한다(스토퍼에서 튀어 오른다). 메인 미러의 바운스를 억제하여서 파인더 상(image)을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미러의 바운스를 억제함으로써 초점 검출 동작을 빨리 시작할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9-203972호에는, 이하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메인 미러(1) 및 메인 미러 유지 프레임(2)이 미러 다운 상태로 변위되고, 관찰 위치에 있는 메인 미러 수납부재(29)에 충돌한다. 메인 미러(1) 및 메인 미러 유지 프레임(2)이 메인 미러 수납부재(29)에 충돌하면, 관성 브레이크판(21)과 메인 미러 수납부재(29)는 회전한다. 그리고, 관성 브레이크판(21)과 메인 미러 수납부재(29)의 회전에 연동해서 서브 미러 유지부재(31)가 회전하여, 서브 미러(11)의 바운스 궤적으로 들어간다. 이에 따라서, 서브 미러 유지 부재(31)의 서브 미러 리테이너(retainer)(32)가 서브 미러(11)에 접촉해 그 바운스를 감소시킨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9-203972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메인 미러(1) 및 메인 미러 유지 프레임(2)이 메인 미러 수납부재(29)에 충돌할 때, 메인 미러(1) 및 메인 미러 유지 프레임(2)을, 관성 브레이크판(21)과 메인 미러 수납부재(29)에 전송한다.
그렇지만,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9-203972호에 있어서, 서브 미러가 메인 미러와 같은 바운스 억제 기구를 포함하지 않고, 서브 미러의 바운스 범위가 제한될 뿐이다. 또한, 미러의 미러 다운 위치를 조정할 때, 미러의 바운스 범위가 변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미러; 상기 미러가 접촉 가능한 미러 접촉부재; 및 상기 미러가 상기 미러 접촉부재로부터 바운드할 때에 상기 미러가 접촉하는 바운스 규제부를 갖는 바운스 규제부재를 구비한 카메라로서, 상기 미러 접촉부재는 회전중심 주위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미러 접촉부재는, 상기 미러 접촉부재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편심된 제1 편심부와, 상기 제1 편심부와 실질적으로 같은 편심량으로 상기 미러 접촉부재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편심된 제2 편심부를 구비하고, 상기 미러가 미러 다운 상태로 변위될 때, 상기 미러가 상기 제1 편심부에 접촉되고, 상기 바운스 규제부재는, 상기 제2 편심부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미러의 미러 다운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에 미러의 바운스 범위가 변화되지 않는 미러 구동기구를 구비하는 카메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다.
도 2a 내지 2c는 미러 구동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다.
도 3은 미러 구동 시퀀스를 설명하는 챠트다.
도 4는 메인 미러 밸런서(balancer) 및 서브 미러 밸런서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다.
도 5a, 5b는 메인 미러 밸런서 및 서브 미러 밸런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다.
도 6은 서브 미러 프레임의 좌측의 서브 미러 밸런서 기구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다.
도 7은 서브 미러 프레임의 좌측의 서브 미러 밸런서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다.
도 8a, 8b는 서브 미러 프레임의 좌측의 서브 미러 밸런서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다.
도 9는 셔터 장치의 정면도다.
도 10a 내지 10c는 미러 박스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다.
도 2a 내지 2c는 미러 구동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다.
도 3은 미러 구동 시퀀스를 설명하는 챠트다.
도 4는 메인 미러 밸런서(balancer) 및 서브 미러 밸런서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다.
도 5a, 5b는 메인 미러 밸런서 및 서브 미러 밸런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다.
도 6은 서브 미러 프레임의 좌측의 서브 미러 밸런서 기구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다.
도 7은 서브 미러 프레임의 좌측의 서브 미러 밸런서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다.
도 8a, 8b는 서브 미러 프레임의 좌측의 서브 미러 밸런서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다.
도 9는 셔터 장치의 정면도다.
도 10a 내지 10c는 미러 박스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는, 은염 필름을 사용한 일안 레플렉스 스틸 카메라, 혹은 CCD센서나 MOS형 고체촬상소자를 사용한 일안 레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로서 적용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일안 레플렉스 디지털 카메라의 내부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개략도다.
도 1에 있어서, 촬영 렌즈(10)는 디지털 카메라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촬영 렌즈(10)에 의해, 피사체상은 결상면에 결상한다. 촬영 렌즈(10)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렌즈 구동장치, 노출 제어를 행하기 위한 조리개 날개 유닛, 및 이 조리개 날개 유닛을 구동하는 조리개 구동장치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 미러(100)는, 하프 미러로서 구성된다. 메인 미러(100)가 미러 다운 상태에 있을 때에, 메인 미러(100)는 촬영 렌즈(10)에 의해 결상되는 피사체상을 포커싱 스크린을 향해서 반사시킨다. 이 때, 메인 미러(100)는, 피사체상의 일부를 서브 미러(200)를 향해서 투과시킨다. 서브 미러(200)는, 메인 미러(100)를 투과한 피사체상(광)의 일부를 초점 검출기(11)를 향해서 반사시킨다.
메인 미러(100)는, (후술하는) 미러 구동기구에 의해 구동되어서, 메인 미러(100)가 피사체 광속의 광로내에 위치하여서, 피사체상을 포커싱 스크린에 인도하는 미러 다운 상태와, 혹은, 피사체 광속의 광로로부터 퇴피하여서, 피사체상을 촬상소자(13)에 인도하는 미러 업 상태로 변위한다.
서브 미러(200)는, 메인 미러(100)가 (후술하는) 미러 구동기구에 의해 구동될 때 메인 미러(100)와 연동해서 변위된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미러(100)가 미러 다운 상태에 있을 때에, 서브 미러(200)는, 메인 미러(100)를 투과한 광속을 초점 검출기(11)에 이끈다(향하게 한다). 한편, 메인 미러(100)가 미러 업 상태에 있을 때에, 서브 미러(200)는, 메인 미러(100)와 함께 피사체 광속의 광로로부터 퇴피된다.
펜타프리즘(14)은, 포커싱 스크린에 결상된 피사체상을 정상 정립상(erect image)으로 변환하고나서 반사시킨다.
접안 렌즈(15)는, 펜타프리즘(14)에 의해 정상 정립상으로 변환되어 반사된 피사체상을 촬영자의 눈에 인도한다.
측광장치(16)는, 포커싱 스크린에 결상된 피사체상의 휘도를 펜타프리즘(14)을 통해 측정한다. 측광장치(16)의 출력 신호에 따라 노광시의 노출 제어를 행한다.
초점 검출기(11)는 피사체상의 디포커스량을 검출한다. 초점 검출기(11)의 출력 신호에 따라, 촬영 렌즈(10)의 렌즈 구동장치가 제어되어서, 초점조절이 행해진다.
셔터 장치(12)는, 피사체 광속의 결상면에의 입사를 기계적으로 제어한다.
촬상소자(13)는, 촬영 렌즈(10)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해서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이 촬상소자(13)로서는, CCD형이나 MOS형의 2차원 촬상 디바이스를 사용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의 촬영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촬영 시작 전에, 촬영 렌즈(10)로부터 입사한 피사체상은, 메인 미러(100), 펜타프리즘(14), 접안 렌즈(15)를 통해 촬영자가 그 피사체상을 확인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 때, 피사체상의 일부는 서브 미러(200)를 통해 초점 검출기(11)에 입사한다. 촬영자가 스위치를 조작하는 경우, 초점 검출기(11)에서 검출된 피사체 거리정보에 따라 촬영 렌즈(10)는 구동된다. 이렇게 하여,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또한, 측광장치(16)는 피사체 휘도를 측정함으로써, 렌즈 조리개 값과 셔터 노출 시간이 결정된다.
촬영자가 릴리즈 동작에 의해 촬영을 행할 때, 메인 미러(100) 및 서브 미러(200)는, 촬영 광로로부터 위쪽으로 퇴피되고, 셔터 장치(12)의 날개가 열려서, 촬상소자(13)에 피사체상이 입사한다. 적정 노출 시간이 경과한 후, 셔터 장치(12)의 날개는 화상 프레임의 개구부를 닫도록 작동되고, 메인 미러(100) 및 서브 미러(200)는 촬영 광로내에 복귀된다. 이렇게 하여, 촬영 동작이 완료된다.
이하에, 미러 구동기구의 동작을, 도 2a 내지 2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릴리즈전의 대기 상태, 즉 미러 다운과 챠지동작의 완료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미러 구동기구를 실장한 베이스판(300)은, 메인 미러(100)의 회전축(101)이 끼워 맞추어지는 구멍과, 메인 미러(100)의 구동축(102)이 회전하는 원호형 구멍을 갖는다. 메인 미러(100)의 구동축(102)에는, 메인 미러(100)를 다운 방향으로 바이어스하는 미러 다운 스프링(100Sp)이 걸려 있다.
미러 레버(310)는 회전 중심(310d)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한다. 다운 후크(hook) 레버(340)는 미러 레버(310)에 부착되어 있다. 다운 후크 레버(340)는 회전 중심(340a)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한다. 흡착 레버(370)와 탈착(detachment) 레버(360)는 일체가 되어, 양쪽 레버가 탈착 레버(360)의 회전 중심(360a)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한다. 흡착 레버(370)의 선단에는, 전자석(380)에 흡착가능한 흡착부(380a)가 고정되어 있다.
전자석(380)은, 자석, 코일 및 요크를 구비한다. 무통전 상태에서는, 자력에 의해 흡착부(380a)가 요크와 밀착하여 유지되어 있다. 코일이 통전되면, 자력이 캔슬되어 흡착부(380a)가 요크로부터 탈착하게 된다.
탈착 스프링(360Sp)은 흡착부(380a)를 상기 요크로부터 탈착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한다. 달리 말하면, 탈착 스프링(360Sp)은, 흡착 레버(370)를 탈착 레버(360)의 회전 중심(360a)을 중심으로 해서 도 2a에 보여진 것처럼 우회전시키는 방향으로 바이어스한다. 흡착부(380a)가 요크에 흡착될 때, 탈착 스프링(360Sp)의 바이어스 힘보다도 큰 힘으로 흡착부(380a)가 요크에 유지된다.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릴리즈 전의 대기 상태에서는, 업(up) 후크 레버(350)와 미러 레버(310)의 맞물림부(310a)가 서로 맞물려 있다. 이 맞물림으로, 미러 레버(310)는 미러 업 스프링(310Sp)의 바이어스 힘에 저항해서 도 2a에 도시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a에 도시한 상태에서, 다운 후크 레버(340)와 미러 드라이브 레버(320)의 맞물림부(320a)가 서로 맞물려 있다.
이하에 미러 업 동작을 설명한다.
릴리즈 신호에 따라 전자석(380)에 펄스가 공급되면, 흡착부(380a)에 의해 고정된 흡착 레버(370)와, 흡착 레버(370)와 일체의 탈착 레버(360)는, 탈착 스프링(360Sp)의 스프링 힘에 의해 탈착 레버(360)의 회전 중심(360a)을 중심으로 해서 좌(반시계방향)회전한다.
탈착 레버(360)가 좌회전하면, 탈착 레버(360)의 롤러(360b)가 업 후크 레버(350)의 접촉부(350b)에 접촉하여, 업 후크 레버(350)는 회전 중심(350a)을 중심으로 해서 좌회전한다. 업 후크 레버(350)가 좌회전하면, 업 후크 레버(350)와 미러 레버(310)의 맞물림부(310a)와의 맞물림이 풀린다.
업 후크 레버(350)와 미러 레버(310)의 맞물림부(310a)와의 맞물림이 풀리면, 미러 업 스프링(310Sp)의 스프링 힘에 의해, 미러 레버(310)는, 회전 중심(310d)을 중심으로 해서 좌회전을 한다. 이 때, 미러 드라이브 레버(320)의 맞물림부(320a)가 다운 후크 레버(340)에 맞물리기 때문에, 미러 드라이브 레버(320)는, 미러 레버(310)의 회전 중심(310d)을 중심으로 해서 좌회전을 행한다. 미러 드라이브 레버(320)의 좌회전으로, 미러 드라이브 레버(320)의 캠부(320b)가 메인 미러 구동축(102)을 밀어 올림으로써, 미러 업 동작이 행해진다.
미러 업 스프링(310Sp)의 스프링 힘은, 미러 다운 스프링(100Sp)의 스프링 힘보다도 충분하게 크다. 그러므로, 고속으로 미러 업 동작이 행해질 수 있다.
도 2b는, 미러 업 동작 완료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미러 드라이브 레버(320)에는 동작 센서(330)가 고정되어 있어서, 포토 인터럽터를 갖는 업 스위치(UPSW)(303)에 의해 미러 업 동작의 완료가 검지된다.
미러 레버(310)는, 흡착 캠부(310b)를 구비한다. 미러 레버(310)가 좌회전될 때에, 흡착 캠부(310b)는, 탈착 레버(360)의 롤러(360c)에 접촉하고, 탈착 스프링(360Sp)의 스프링 힘에 저항하여, 탈착 레버(360)를 우(시계방향)회전시킨다. 탈착 레버(360)가 우회전함으로써, 전자석(380)으로부터 탈착된 상태에서의 흡착부(380a)는, 전자석(380)에 재흡착된다.
또한, 미러 드라이브 레버(320)의 맞물림부(320a)가 다운 후크 레버(340)와 맞물리기 때문에, 다운 후크 레버(340)는, 미러 레버(310) 및 미러 드라이브 레버(320)와 함께 미러 레버(310)의 회전 중심(310d)을 중심으로 해서 좌회전한다. 다운 후크 레버(340)의 언후크(unhook)부(340b)는, 언후크부(340b)가 탈착 레버(360)의 롤러(360b)와 접촉 가능한 위치로 이동한다. 미러 업동작으로 발생된 바운스가 진정된 후, 노광 동작이 행해지고, 처리는 미러 다운 스텝으로 진행된다.
이하, 미러 다운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b의 미러 업 상태에서 전자석(380)에 펄스를 공급하면, 흡착부(380a)와 양쪽이 연관된 흡착 레버(370)와 탈착 레버(360)는, 탈착 스프링(360Sp)의 스프링 힘에 의해 좌(반시계방향)회전된다.
탈착 레버(360)가 좌회전하면, 탈착 레버(360)의 롤러(360b)가 다운 후크 레버(340)의 언후크부(340b)에 접촉하고, 다운 후크 레버(340)가 회전 중심(340a)을 중심으로 해서 우(시계방향)회전한다. 다운 후크 레버(340)의 우회전으로, 다운 후크 레버(340)와 미러 드라이브 레버(320)의 맞물림부(320a)와의 맞물림이 풀린다. 다운 후크 레버(340)와 미러 드라이브 레버(320)의 맞물림부(320a)와의 맞물림이 풀리면, 미러 다운 스프링(100Sp)의 스프링 힘이 메인 미러 구동축(102)에 작용한다. 이에 따라, 미러 드라이브 레버(320)는 미러 레버(310)의 회전 중심(310d)을 중심으로 해서 우회전된다.
도 2c는, 미러 다운 동작 완료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메인 미러 밸런서(400)는, 미러 박스의 베이스판(300) 위에 설치되어 있다. 메인 미러 밸런서(400)가 메인 미러(100)와 접촉했을 때, 메인 미러 밸런서 스프링(400Sp)의 스프링 힘에 저항하여, 메인 미러 밸런서(400)가 우회전을 행함으로써, 메인 미러(100)의 미러 다운 동작으로 발생된 충격을 완화한다. 추가로, 메인 미러 밸런서가 우회전하는 메인 미러 밸런서(400)의 선단부에 있어서, 메인 미러 밸런서(400)가 완충부(302)에 충돌하여서, 메인 미러 밸런서(400)에 가해진 충격을 더욱 완화한다.
서브 미러 밸런서(500)가 미러 박스의 베이스판(300) 위에 설치되어 있다. 서브 미러(200)가 서브 미러 밸런서(500)와 접촉할 때, 서브 미러 밸런서 스프링(500Sp)의 스프링 힘에 저항하여, 서브 미러 밸런서(500)가 우회전을 행함으로써(도 5a 및 도 6 참조), 서브 미러(200)의 다운 동작으로 발생된 충격을 완화한다.
이하에, 미러 챠지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c의 상태에서 미러 레버(310)의 챠지부에 설치된 롤러(310c)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챠지 레버로 좌측으로 가압되어서, 미러 업 스프링(310Sp)의 스프링 힘에 저항하여, 미러 레버(310)를 미러 레버(310)의 회전 중심(310d)을 중심으로 해서 우회전시킨다. 미러 레버(310)의 우회전으로, 미러 레버(310)의 흡착 캠부(310b)가 탈착 레버(360)의 롤러(360c)에 접촉하여서, 탈착 스프링(360Sp)의 스프링 힘에 저항하여, 탈착 레버(360)를 우회전시킨다.
탈착 레버(360)가 우회전함으로써, 흡착 레버(370)도 우회전하고, 탈착된 상태에서 흡착부(380a)를 전자석(380)에 재흡착시킨다.
도 2c의 상태에서 미러 레버(310)가 우회전하면, 다운 후크 레버(340)와 상기 미러 드라이브 레버(320)의 맞물림부320a가 맞물리고, 업 후크 레버(350)와 미러 레버(310)의 맞물림부310a가 맞물린다. 이에 따라, 미러 챠지 동작이 완료되고, 미러 구동기구가 도 2a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미러 업 동작 및 미러 다운 동작을 시작하는 트리거로서 전자석을 이용하고, 미러 업 동작 및 미러 다운 동작의 구동원으로서 스프링을 사용했지만, 미러 구동기구는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 모터, 스텝핑 모터 혹은 초음파모터도, 미러 구동기구에서 구동원으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그렇지만, 미러 동작을 전자 모터를 사용하여 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모터의 관성과 온도특성에 의한 동작 개시 시간이 다르게 된다. 또한, 감속 기구가 필요하고, 기계적 지연시간이 구동력의 전달시에 일어난다. 이 때문에, 고속 및 고정밀도를 필요로 하는 미러 구동 기구에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자석을 트리거로서 이용하고 미러 동작을 행하기 위한 스프링 힘을 이용하는데 적합하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에서의 미러 구동 시퀀스를 설명하는 챠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에서의 미러 구동 시퀀스에서,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미러 다운 동작이 완료하기 전에 챠지 동작을 시작한다. 따라서, AF(자동 초점조정) 및 AE(자동노출)의 연산동작시에도, 미러 정지시의 정밀도에 관계없이 챠지 동작이 계속될 수 있다. 또한, 챠지 동작의 변동은, 미러의 동작 속도와 AF 및 AE에 대한 연산동작 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연속촬영시의 변동에 의한 영향이 적다.
이하,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메인 미러 밸런서(400, 410) 및 서브 미러 밸런서(500, 5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메인 미러(100)를 유지하는 메인 미러 프레임(100a)은, 메인 미러 프레임(100a)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고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 축부(회전축)(101)를 갖는다. 메인 미러 프레임(100a)의 한쪽에는 메인 미러(100)를 회전하기 위한 구동축(102)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 미러(100)의 좌우 선단부에는, 메인 미러 프레임(100a)과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접촉판(103 및 104)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메인 미러 프레임(100a)은, 관성 모멘트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알루미늄 또는 수지 등의 가벼운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접촉판 103 및 104가 메인 미러 프레임(100a)과 동일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그 접촉판 103 및 104의 내구성은 저하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접촉판 103 및 104는, 스테인레스강 등의 메인 미러 프레임(100a)보다 높은 강도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충격흡수성을 갖는 고무부재로 형성된다.
메인 미러 밸런서(400)는, 도 4 및 도 5a에 나타낸 것처럼, 메인 미러 프레임(100a)의 좌측(일측)에 배치되어 있다. 메인 미러 밸런서(400)는, 회전중심이 되는 축부(401), 접촉 축(402), 메인 미러 각도 조정부(403), 및 놋쇠등의 질량이 큰 재질로 형성된 밸런서 웨이트(404)를 가진다.
메인 미러 밸런서(410)는, 도 4 및 도 5b에 나타낸 것처럼, 메인 미러 프레임(100a)의 우측(타측)에 배치되어 있다. 메인 미러 밸런서(410)는, 회전중심이 되는 축부(411), 접촉 축(412), 메인 미러 각도 조정부(413), 및 놋쇠 등의 질량이 큰 재질로 형성된 밸런서 웨이트(414)를 가진다.
미러 다운 상태에서는, 스프링(400Sp)의 스프링 힘에 의해, 메인 미러 각도 조정부(403)가, 조정부재(301)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미러 다운 스프링(100Sp)의 스프링 힘에 의해 메인 미러(100)의 접촉판(103)이, 접촉 축(402)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미러 다운 상태에서는, 스프링(410Sp)의 스프링 힘에 의해 메인 미러 각도 조정부(413)가, 조정부재(420)에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미러 다운 스프링(100Sp)의 스프링 힘에 의해 메인 미러(100)의 접촉판(104)이, 접촉 축(412)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조정부재(301)는 편심축을 갖는다. 그러므로, 조정부재(301)를 공구로 회전시킴으로써, 메인 미러 밸런서(400)가 축부(40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촉 축(402)과 상기 메인 미러(100)의 접촉판(103)간의 접촉 위치가 변화된다.
마찬가지로, 조정부재(420)는 편심축을 갖는다. 그러므로, 조정부재(420)를 공구로 회전시킴으로써, 메인 미러 밸런서(410)가 축부(41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촉 축(412)과 메인 미러(100)의 접촉판(104)간의 접촉 위치가 변화된다.
이것에 의해, 메인 미러 프레임(100a)의 힌지 축부(101)에 대한 메인 미러 프레임(100a)의 각도와, 메인 미러 프레임(100a)의 좌우방향의 기울기가, 조정될 수 있다.
서브 미러(200)는, 메인 미러 프레임(100a)의 측면에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서브 미러 프레임(200a)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좌우측에는, 접촉부(201, 20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서브 미러 밸런서(500)는, 도 4 및 도 5a에 나타낸 것처럼,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좌측(일측)에 배치되어 있다. 서브 미러 밸런서(500)는, 서브 미러 밸런서(500)의 회전중심이 되는 축부(501), 접촉 축(502), 조정부(503), 및 로크 핀(505)이 구비된 서브 미러 로크 레버(504)를 구비한다. 접촉 축(502)은 미러 접촉부재로서 기능하고, 상기 서브 미러 로크 레버(504)는 바운스 규제부재로서 기능하고, 서브 미러 밸런서(500)는 회전부 재로서 기능한다.
미러 다운 상태에서는, 스프링(500Sp)의 스프링 힘에 의해, 서브 미러 밸런서(500)의 조정부(503)가 조정부재(313)에 접촉하고 있다. 스프링(500Sp)은 바이어싱(biasing) 부재로서 기능한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서브 미러 스프링의 스프링 힘에 의해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접촉부(201)가 접촉 축(502)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서브 미러 밸런서(510)는, 도 4 및 도 5b에 나타낸 것처럼,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우측(타측)에 배치되어 있다. 서브 미러 밸런서(510)는, 서브 미러 밸런서(510)의 회전중심이 되는 축부(511), 접촉 축(512), 조정부(513), 및 로크 핀(515)이 구비된 서브 미러 로크 레버(514)를 구비한다. 접촉 축(512)은 미러 접촉부재로서 기능하고, 상기 서브 미러 로크 레버(514)는 바운스 규제부재로서 기능하고, 서브 미러 밸런서(510)는 회전부 재로서 기능한다.
미러 다운 상태에서는, 스프링(510Sp)의 스프링 힘에 의해, 서브 미러 밸런서(510)의 조정부(513)가 조정부재(520)에 접촉하고 있다. 스프링(510Sp)은 바이어싱 부재로서 기능한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서브 미러 스프링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접촉부(202)가, 접촉 축(512)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도 4 및 도 5a에 나타낸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좌측의 밸런서 기구에서는,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접촉부(201)가 접촉하는 접촉 축(502)이 편심축으로 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접촉 축(502)은 서브 미러 밸런서(5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지만, 접촉 축(502)의 회전중심은 외주면(502a)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 있다(도 6 참조). 그래서, 특히 회전 중심으로부터 외주면(502a)의 반경(거리)은, 일측의 최대 반경이 반대측의 최대 반경보다 길도록 다르게 한다.
따라서, 서브 미러 밸런서(500)에 대하여 접촉 축(502)을 회전시킴으로써, 접촉 축(502)의 외주면(502a)과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접촉부(201)간의 접촉 위치가 변화된다. 이러한 기구에 의해, 미러 다운 상태에서의 서브 미러(20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미러 로크 레버(504)는, 접촉 축(502)의 원통부(502b)(도 6 참조)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원통부(502b)는, 접촉 축(502)의 외주면(502a)과 같이, 접촉 축(502)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편심되어 있다. 상기 접촉 축(502)의 외주면(502a)은 제1 편심부로서 기능하고, 상기 접촉 축(502)의 원통부(502b)는 제2 편심부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서브 미러 밸런서(500)에 대하여 접촉 축(502)을 회전시킴으로써 서브 미러(200)의 각도를 조정하는 경우에도, 서브 미러(200)의 바운스를 진정시키기 위한 간격의 크기는 변화되지 않는다. 즉, 서브 미러(200)의 미러 다운 위치에 따라 바운스 규제 범위는 변화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b에 나타낸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우측의 밸런서 기구에서는,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접촉부(202)와 접촉하는 접촉 축(512)이 서브 미러 밸런서(510)에 대하여 회전 불능한 축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조정부재(520)는, 조정부재(520)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편심된 편심원통부(520a)를 갖는다. 서브 미러 밸런서(510)의 조정부(513)는, 편심원통부(520a)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서, 조정부재(520)를 회전시킴으로써, 서브 미러 밸런서(510)는 축부(511)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고, 접촉 축(512)과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접촉부(202)간의 접촉 위치가 변화된다. 이러한 기구에 의해, 미러 다운 상태의 서브 미러(20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미러 로크 레버(514)는, 접촉 축(51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조정부재(520)를 회전시켜서, 접촉(위치 결정) 축(512)과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접촉(위치 결정)부(202)간의 접촉 위치를 변화시키는 경우에도, 로크 핀(515)과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접촉부(202)간의 간격의 크기는 변화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조정부재(520)를 회전시켜서 서브 미러(200)의 각도를 조정하는 경우에도, 서브 미러(200)의 바운스를 진정시키기 위한 간격의 크기는 변화되지 않는다. 즉, 서브 미러(200)의 미러 다운 위치에 따라 바운스의 상태는 변화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미러(100)와 서브 미러(200)의 좌측의 밸런서 기구와 우측의 밸런서 기구는, 구성 및 형상이 서로 다르다. 본 실시예의 서브 미러 프레임(200a) 우측의 밸런서 기구는 서브 미러 프레임(200a) 좌측에 설치되어도 되고, 본 실시예의 서브 미러 프레임(200a) 좌측의 밸런서 기구는 서브 미러 프레임(200a) 우측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미러 밸런서 400의 회전축이 되는 축부 401과, 메인 미러 밸런서 410의 회전축이 되는 축부 411이 동축 관계로 배치된다. 즉, 축부 401과 축부 411이 동축 위에 위치하도록 메인 미러 밸런서 400 및 메인 미러 밸런서 410을 배치하고 있다.
서브 미러 밸런서(500)의 회전축이 되는 축부(501)와, 서브 미러 밸런서(510)의 회전축이 되는 축부(511)는, 동축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즉, 축부 501과 축부 511이 동축 위에 위치하도록, 서브 미러 밸런서 500 및 서브 미러 밸런서 510을 배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메인 미러(100)의 좌우측의 메인 미러 밸런서(400, 410)의 관성 모멘트가 서로 같도록 미러 구동기구를 설계하기가 보다 쉽다. 또한, 서브 미러 밸런서(500, 510)의 좌우측의 관성 모멘트가 서로 같도록 미러 구동 구동기구를 설계하기가 보다 쉽다.
또한, 메인 미러 100의 좌우 양측의 메인 미러 밸런서의 관성 모멘트를 서로 다르게 할 경우에도, 혹은 서브 미러 200의 좌우 양측의 서브 미러 밸런서의 관성 모멘트를 서로 다르게 할 경우에도, 관성 모멘트간의 차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좌측의 밸런서 기구의 상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다.
접촉 축(502)은,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접촉부(201)와 접촉하는 (편심의) 외주면(502a)과, 서브 미러 로크 레버(504)의 맞물림 구멍(504a)에 삽입되는 (편심의) 원통부(502b)를 포함한다. 접촉 축(502)의 외주면(502a)의 접촉 축(502)의 회전중심에 대한 편심량은, 접촉 축(502)의 편심원통부(502b)의 접촉 축(502)의 회전중심에 대한 편심량과 거의 같다. 그래서,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외주면 502a의 반경 변화는,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외주면 502b의 반경 변화와 거의 같으므로, 상기 외주면 502a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최대 반경의 포인트와 상기 외주면 502b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최대 반경의 포인트가 상기 회전축의 방향으로 정렬된다. 그래서, 특정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주면 502a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최대 반경의 포인트와 상기 외주면 502b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최대 반경의 포인트가, 회전중심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의 오프셋이 거의 각 부분에 대해 같으면서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통부에 동축상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축(502)에 대하여, 서브 미러 로크 레버(504), 와셔W1, 서브 미러 밸런서(500) 및 와셔W2의 순으로 부착하고, 접촉 축(502)의 선단을 압착한다(crimp). 따라서, 서브 미러 로크 레버(504)는 접촉 축(502)과 서브 미러 밸런서(500)와의 사이에 보유된다. 이 상태에서, 접촉 축(502)의 원통부(502b)는, 서브 미러 로크 레버(504)의 맞물림 구멍(504a)의 내주면에 접한다.
서브 미러 로크 레버(504)와 서브 미러 밸런서(500)와의 사이에 와셔W1을 배치하므로, 서브 미러 로크 레버(504)는 원통부(502b)를 중심으로 해서 스무스하게 회전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서브 미러 밸런서(500)의 우측에 와셔W2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접촉 축(502)의 선단을 압착한 후에도, 접촉 축(502)은, 서브 미러 밸런서(5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서브 미러 밸런서(500)의 회전중심이 되는 축부(501)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00Sp)이 배치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500Sp)의 가동단은, 회전중심으로서 접촉 축(50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로크 레버(504)에 고정된 로크 핀(505)에 걸린다.
따라서, 서브 미러 로크 레버(504)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00Sp)의 스프링 힘에 의해 바이어스된다.
접촉 축(502)의 선단부는 슬롯 형상으로 형성된다(예를 들면, 도 7 참조). 접촉 축(502)의 선단부에 형성된 슬롯에, 스크류 드라이버등의 공구를 삽입하고, 접촉 축(502)을 회전시켜서, 서브 미러(200)의 각도를 조정한다.
이하에, 도 7, 도 8a 및 8b를 참조하여, 도 4의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좌측의 밸런서 기구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술한 것처럼, 서브 미러 밸런서(500)의 회전중심이 되는 축부(501)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00Sp)이 배치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500Sp)의 고정단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고정부에 걸려 있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500Sp)의 가동단은 로크 레버(504)에 고정된 로크 핀(505)에 걸린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500Sp)의 스프링 힘은, 도 7에 있어서 힘F로 나타내진다. 로크 핀(505)과 비틀림 코일 스프링(500Sp)의 가동단 사이의 접촉각에 따라, 힘F는 서브 미러 로크 레버(504)의 회전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분력F1과, 그 분력F1에 법선방향의 분력F2로 분해된다(분석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500Sp)은, 서브 미러 밸런서(500)의 회전력으로서 작용하는 분력F1이, 서브 미러 로크 레버(504)의 회전력으로서 작용하는 분력F2보다 크도록, 즉 F1>F2가 되도록 설정된다.
분력F1은,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작동 에너지를 서브 미러 밸런서(500)에 전달할 때에 부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서브 미러 밸런서(500)의 관성 모멘트를 그다지 크게 할 수 없는 경우에도, 비틀림 코일 스프링(500Sp)의 스프링 힘에 의해 제공된 상기 부하에 의해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충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분력F2는 서브 미러 로크 레버(504)에 부과된 스프링 힘이다. 분력F2는,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접촉부(201)가 로크 핀(505)과 접촉했을 때 부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로크 핀(505)을 타고 넘은 후, 접촉 축(502)으로부터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접촉부(201)가 튀어 올랐을 경우의 튀어 오르기 규제 위치로 서브 미러 로크 레버(504)를 복귀시키는 역할도 한다.
도 8a는, 미러 다운동작의 완료전의 상태, 즉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접촉부(201)가 로크 핀(505)과 접촉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접촉부(201)가 로크 핀(505)과 접촉될 때, 로크 핀(505)이 회전된 후 상기 접촉부(201)가 접촉 축부(502)에 접촉된다.
이 때에 발생된 충돌 에너지가 서브 미러 밸런서(500)를 회전하기 위한 에너지로 변환되어, 도 8b와 같이 서브 미러 밸런서(500)가 회전한다. 로크 핀(505)도 서브 미러 밸런서(500)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접촉부(201)가 튀어 올랐을 경우도 항상 상기 튀어 오르기 규제를 유발할 수 있다.
서브 미러 밸런서(500)의 크기가 자체의 윤곽 형상에 있어서 커지면, 다른 부품과의 간섭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서브 미러 밸런서(500)는, 서브 미러 밸런서(500)의 회전중심이 되는 축부(501)로부터 조정(503)까지 일방향으로만 연장하는 가느다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접촉 축(502)은, 밸런서 웨이트로서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는, 서브 미러 밸런서(500)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접촉 축(502)과 접촉부(201) 사이의 접촉과, 조정부(503)와 조정부재(313) 사이의 접촉이 이루는 각도가 90°이하로 배치되게 설정된다.
서브 미러(200)가 미러 다운 상태로 변위될 때에, 서브 미러(200)는, 촬상면에 보다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문에, 서브 미러 밸런서(500, 510)도, 촬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촬상소자(13) 앞에는 셔터 장치(12)가 가깝게 배치된다. 따라서, 서브 미러 밸런서(500, 510)가 밸런서 동작으로 셔터 장치(12)와 간섭해버릴 우려가 있다.
도 9는 셔터 장치(12)의 정면도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셔터 장치(12)의 피사체측에 배치되는 플레이트에 오목부(12b, 12c)를 형성하여서, 서브 미러 밸런서(500, 510)의 이동에 대한 허용을 한다. 이러한 구성은, 서브 미러 밸런서(500, 510)에 의한 에너지 흡수량을 증가시켜, 서브 미러(200)의 바운스를 흡수하기 위한 적합한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오목부(12b, 12c)는, 촬영 개구부(12a)와 연속하여 형성되는 경우에도 유사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구멍의 형태이어도 된다.
도 10a 내지 10c는, 미러 박스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다. 도 10a는 미러 박스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10b는 미러 박스의 배면 사시도다. 도 10c는 미러 박스에 도 9에 도시한 셔터 장치(12)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다.
도 2a 내지 2c에 나타낸 미러 구동기구가 미러 박스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 미러 구동기구의 일측에는 미러 챠지 기구(31)와 미러 챠지 모터(30)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배면측에서 보았을 경우에, 광축에 대하여 좌측에 미러 챠지 기구(31) 및 미러 챠지 모터(30)를 배치하고, 우측에는 셔터 장치(12) 및 셔터 챠지 모터(20)를 배치한다.
이하에, 메인 미러(100) 및 서브 미러(200)의 조정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메인 미러(100)의 회전축(101)은, 좌측의 회전축(101)이 미러 구동기구의 베이스판(300)에 형성된 구멍에 맞물리고, 우측의 회전축(101)이 조정판(105)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도 10b 참조). 조정판(105)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메인 미러(100)의 회전축(101)의 우측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메인 미러(100)의 접촉판 103이 접촉 축 402에 접촉하고, 메인 미러(100)의 접촉판 104가 접촉 축 412에 접촉함으로써 메인 미러(100)의 회전 방향의 각도를 결정하였다. 그러나, 엄밀하게 말하면, 메인 미러(100)의 접촉판 103과 접촉 축 402간의 접촉과, 메인 미러(100)의 접촉판 104와 접촉 축 412간의 접촉은, 동시에 발생하지 않는다.
달리 말하면, 메인 미러(100)가 미러 다운 상태로 변위될 때에는, 메인 미러 (100)의 접촉판 103과 접촉 축 402간의 접촉과, 메인 미러(100)의 접촉판 104와 접촉 축 412간의 접촉 중 어느 한쪽이 접촉할 때, 다른 접촉과 관련되는 접촉판과 접촉 축 사이의 접촉은 아직 접촉하지 않고, 그들간에 간격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면은, 3점의 접촉에 의해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미러(100)의 회전축(101)을 축받이 하는 2개의 축수부(bearing portion)와, 접촉 축 402와 접촉 축 412 중 하나에 의해 제공된 3점으로, 메인 미러(100)가 미러 다운 상태가 될 때의 메인 미러(100)의 평면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미러(100)의 회전축(10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없는 좌측에 위치하는 메인 미러(100)의 접촉판(103)을 먼저 접촉 축(402)에 접촉시킨다. 그 후에, 조정판(105)의 위치에 따라 메인 미러(100)의 회전축(10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우측에 위치하는 메인 미러(100)의 접촉판(104)이 접촉 축(412)에 접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메인 미러(100)의 회전축(101)이 고정되는 측을 기준으로 하여서, 메인 미러(100)의 회전 방향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메인 미러(100)의 회전축(101)이 가동하는 측을 기준으로 하여서, 메인 미러(100)의 회전 방향의 각도를 조정하는 경우, 이것은, 오차를 포함하는 측을 기준으로 하여서 메인 미러(100)의 회전 방향의 각도를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말하면, 메인 미러(100)의 회전축(101) 위치에 관련된 오차는, 메인 미러(100)의 회전 방향의 각도에 영향을 미친다.
마찬가지로, 상기 설명에서는,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접촉부(201)가 접촉 축 502에 접촉하고,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접촉부(202)가 접촉 축 512에 접촉함으로써 서브 미러(200)의 회전 방향의 각도를 결정하였다.
그러나, 엄밀하게 말하면,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접촉부 201과 접촉 축 502간의 접촉과,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접촉부 202와 접촉 축512간의 접촉은, 동시에 발생하지 않는다. 달리 말하면, 서브 미러(200)가 미러 다운 상태로 변위될 때에는,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접촉부 201과 접촉 축 502간의 접촉과,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접촉부 202와 접촉 축512간의 접촉 중 어느 한쪽이 접촉할 때, 다른 접촉에 관련되는 접촉판과 접촉축 사이의 접촉은 아직 접촉하지 않고, 그들간에 간격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 미러(200)의 회전축을 축받이 하는 2개의 축수부와, 접촉 축 502와 접촉 축 512 중 하나에 의해 제공된 3점으로, 서브 미러(200)가 미러 다운 상태가 될 때의 서브 미러(200)의 평면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접촉부(202)는 접촉 축(512)에 접촉되어 있고, 이때 그 접촉부(202)와 접촉 축(512)은 메인 미러(100)의 회전 방향의 각도를 고정되게 설정하지 않고 있는 메인 미러(100)의 우측에 위치된다. 한편, 서브 미러 프레임(200a)의 접촉부(201)는 접촉 축(502)에 접촉되어 있지 않고, 그 접촉부(201)와 접촉 축(502)은 메인 미러(100)의 회전 방향의 각도를 고정되게 설정하고 있는 메인 미러(100)의 좌측에 위치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 미러(200)가 미러 다운 상태로 변위될 때에, 서브 미러(200)의 평면을 결정하는 기구와, 메인 미러(100)가 미러 다운 상태로 변위될 때에, 메인 미러(100)의 평면을 결정하는 기구는, 대각선의 관계로 위치 결정된다.
메인 미러(100)가 좌측에 위치하는 메인 미러 밸런서 400에 접촉하게 되는 시간부터 우측에 위치하는 메인 미러 밸런서 410에 접촉하게 되는 시간까지의 기간에, 메인 미러(100)에 작용하여 기우는 힘이 생긴다.
마찬가지로, 서브 미러(200)가 우측에 위치하는 서브 미러 밸런서 510에 접촉하게 되는 시간부터 좌측에 위치하는 서브 미러 밸런서 500에 접촉하게 되는 시간까지의 기간에, 서브 미러(200)에 작용하여 기우는 힘이 생긴다. 그러나, 메인 미러(100)에 작용하여 기우는 힘과 서브 미러(200)에 작용하는 기우는 힘이 서로 반대 방향이므로, 메인 미러(100) 및 서브 미러(200)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향상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미러(100)가 최초에 좌측에 위치하는 메인 미러 밸런서 400에 접촉하고, 그 후에 우측에 위치하는 메인 미러 밸런서 410에 접촉한다. 한편, 서브 미러(200)가 최초에 우측에 위치하는 서브 미러 밸런서 510에 접촉하고, 그 후에 좌측에 위치하는 서브 미러 밸런서 500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메인 미러(100) 및 서브 미러(200)가 미러 다운 상태로 변위될 때에 발생된 충격을 좌우측으로 분산되게 할 수 있고, 그 충격을 보다 짧은 시간에 진정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와 관련지어 상세히 설명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렌즈가 교환 가능한 일안 레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카메라 본체와 렌즈가 일체적이고 그 렌즈가 교환가능하지 않는 구조로 실시되어도 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아주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4)
- 미러;
상기 미러가 접촉 가능한 미러 접촉부재; 및
상기 미러가 상기 미러 접촉부재로부터 바운드할 때에 상기 미러가 접촉하는 바운스(bounce) 규제부를 갖는 바운스 규제부재를 구비한 카메라로서,
상기 미러 접촉부재는 회전중심 주위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미러 접촉부재는, 상기 미러 접촉부재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편심된 제1 편심부와, 상기 제1 편심부와 실질적으로 같은 편심량으로 상기 미러 접촉부재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편심된 제2 편심부를 구비하고,
상기 미러가 미러 다운 상태로 변위될 때, 상기 미러가 상기 제1 편심부에 접촉되고,
상기 바운스 규제부재는, 상기 제2 편심부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와 상기 미러 접촉부재가 접촉할 때에 회전되는 회전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미러 접촉부재 및 상기 바운스 규제부재가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운스 규제부재는, 상기 미러 접촉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사이에 보유되는, 카메라.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를 바이어스 하는 바이어싱(biasing)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바이어싱 부재는, 상기 미러와 상기 미러 접촉부재가 접촉할 때에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회전부재를 바이어스하고,
상기 바이어싱 부재는 상기 바운스 규제부재를 바이어스 하는,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086513A JP5828659B2 (ja) | 2011-04-08 | 2011-04-08 | カメラ |
JPJP-P-2011-086513 | 2011-04-0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5118A true KR20120115118A (ko) | 2012-10-17 |
KR101503751B1 KR101503751B1 (ko) | 2015-03-18 |
Family
ID=4602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5314A KR101503751B1 (ko) | 2011-04-08 | 2012-04-05 | 카메라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8651752B2 (ko) |
EP (1) | EP2511762B1 (ko) |
JP (1) | JP5828659B2 (ko) |
KR (1) | KR101503751B1 (ko) |
CN (1) | CN102736372B (ko) |
BR (1) | BR102012007974B1 (ko) |
HK (1) | HK1176689A1 (ko) |
RU (1) | RU2497170C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18486B2 (ja) | 2011-04-08 | 2015-11-18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メラ |
JP6160312B2 (ja) * | 2013-07-05 | 2017-07-12 |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 カメラの可動ミラー駆動装置及びカメラ |
JP6136733B2 (ja) * | 2013-08-08 | 2017-05-31 |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 カメラの可動ミラー駆動装置 |
JP6415153B2 (ja) * | 2014-07-18 | 2018-10-31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68644A (en) | 1993-07-16 | 1998-06-16 | Nikon Corporation | Apparatus for preventing mirror bounce in camera |
JP3326944B2 (ja) * | 1993-12-30 | 2002-09-24 | 株式会社ニコン | カメラ用ミラーのバウンド防止装置 |
JPH09203972A (ja) * | 1996-01-29 | 1997-08-05 | Nikon Corp | カメラのミラーバウンド防止装置 |
US6003999A (en) | 1996-04-04 | 1999-12-21 | Nikon Corporation | Mirror recoil preventing device |
JPH09274249A (ja) | 1996-04-04 | 1997-10-21 | Nikon Corp | 撮像装置用ミラーのバウンド防止機構 |
JP3804109B2 (ja) | 1996-07-24 | 2006-08-02 | 株式会社ニコン | カメラのミラーバウンド防止装置 |
JP4614381B2 (ja) * | 2004-06-29 | 2011-01-19 | キヤノン株式会社 | 光学機器 |
JP2007298742A (ja) * | 2006-04-28 | 2007-11-15 | Olympus Imaging Corp | ライブビュー可能なカメラ |
JP5578758B2 (ja) * | 2007-05-18 | 2014-08-27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 |
JP2009222860A (ja) | 2008-03-14 | 2009-10-01 | Sony Corp | ミラー駆動装置および撮像装置 |
JP2010002868A (ja) | 2008-06-23 | 2010-01-07 | Olympus Corp | デジタルカメラ |
KR101532603B1 (ko) | 2008-07-31 | 2015-07-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미지 처리 장치, 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
JP2010128199A (ja) * | 2008-11-27 | 2010-06-10 | Olympus Imaging Corp | 一眼レフレックスカメラ |
JP5426968B2 (ja) * | 2009-08-31 | 2014-02-26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 |
JP5743530B2 (ja) * | 2010-12-22 | 2015-07-01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 |
-
2011
- 2011-04-08 JP JP2011086513A patent/JP582865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
- 2012-03-22 RU RU2012111079/28A patent/RU2497170C1/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03-27 US US13/431,653 patent/US865175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3-28 EP EP12161871.4A patent/EP2511762B1/en active Active
- 2012-04-05 KR KR1020120035314A patent/KR10150375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4-05 BR BR102012007974-7A patent/BR102012007974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2-04-09 CN CN201210102129.4A patent/CN10273637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
- 2013-03-26 HK HK13103807.2A patent/HK1176689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BR102012007974A2 (pt) | 2013-06-04 |
EP2511762A1 (en) | 2012-10-17 |
CN102736372B (zh) | 2015-07-29 |
RU2497170C1 (ru) | 2013-10-27 |
BR102012007974B1 (pt) | 2020-11-03 |
JP5828659B2 (ja) | 2015-12-09 |
US20120257883A1 (en) | 2012-10-11 |
JP2012220729A (ja) | 2012-11-12 |
EP2511762B1 (en) | 2019-11-13 |
US8651752B2 (en) | 2014-02-18 |
HK1176689A1 (en) | 2013-08-02 |
RU2012111079A (ru) | 2013-09-27 |
KR101503751B1 (ko) | 2015-03-18 |
CN102736372A (zh) | 2012-10-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96389B2 (en) | Shutter device | |
KR101226977B1 (ko) | 촬상장치 | |
KR20120115118A (ko) | 카메라 | |
JP2012220729A5 (ko) | ||
US10393995B2 (en) | Mirror driving device | |
JP5879933B2 (ja) | カメラの可動ミラー衝撃吸収機構 | |
KR101448513B1 (ko) | 카메라 | |
JP2012220730A5 (ko) | ||
JP5783781B2 (ja) | カメラ | |
JP2018205761A (ja) |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 |
JP5879828B2 (ja) | カメラの可動ミラー衝撃吸収機構 | |
JP2011150301A (ja) | 一眼レフカメラのブレーキ機構を備えたミラー駆動装置 | |
US6006040A (en) | Shutter device for camera | |
JP6672798B2 (ja) | カメラの反射部材駆動装置 | |
WO2014064902A1 (ja) | ミラー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 |
JP2015034888A (ja) | ミラー駆動補助装置 | |
JPH01287665A (ja) | カメラのミラー角度調整機構 | |
JP2010164822A (ja) | 絞り制御装置およびカメ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