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4513A - 자동차용 선바이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선바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4513A
KR20120114513A KR1020110032061A KR20110032061A KR20120114513A KR 20120114513 A KR20120114513 A KR 20120114513A KR 1020110032061 A KR1020110032061 A KR 1020110032061A KR 20110032061 A KR20110032061 A KR 20110032061A KR 20120114513 A KR20120114513 A KR 20120114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 visor
protruding
glass
shape
l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1014B1 (ko
Inventor
송창빈
권경희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32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014B1/ko
Publication of KR20120114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60J3/005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for sid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60J10/32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using integral U-shaped re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2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details, including sash guides and glass ru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3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for attach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런트 및 리어 도어의 섀시 혹은 프레임의 바깥 상단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sunvisor)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한 종래 선바이저의 경우에 자동차의 탑승자에게 태양 빛을 가리기 위한 수단보다는 오히려 우천 시 자동차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윈도 글래스를 약간(0.1?5cm정도) 하강할 때 빗물이 자동차 내부에 스며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한 선바이저의 역기능으로서, 자동차의 고속주행 중 풍절음이 더욱 발생하게 할 뿐만 아니라, 공기저항을 더욱 크게 하여 연료의 소모량을 더욱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다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자동차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윈도 글래스를 열고 주행할 때 상기한 풍절음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수단으로서, 종래 자동차의 프런트 및 리어 도어의 섀시 혹은 프레임의 바깥 상단부에 설치하되, 상기한 선바이저의 내측에 만곡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종래 자동차 도어의 글래스 웨더 스트립에 존재하는 글래스 가이드 홈(groove)을 막아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선바이저의 내측에 돌출립을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선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선바이저{Sunviso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런트 및 리어 도어의 섀시 혹은 프레임의 바깥 상단부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윈도 글래스 하강 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하여 풍절음을 줄여 줄 수 있도록 선바이저의 내측 만곡부가 없도록 함과 동시에 종래 자동차 도어의 글래스 웨더 스트립에 존재하는 글래스 가이드 홈(groove)을 막아 선바이저의 내측에 돌출 립(lip)을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선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프런트 및 리어 도어의 섀시 혹은 프레임의 바깥 상단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선바이저는 자동차의 탑승자에게 태양 빛을 가리기 위한 수단보다는 오히려 우천 시 자동차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윈도 글래스를 약간(0.1?5cm정도) 하강할 때 빗물이 자동차 내부에 스며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선바이저의 역기능으로서, 자동차의 고속주행 중 풍절음이 더욱 발생하게 할 뿐만 아니라, 공기저항을 더욱 크게 하여 연료의 소모량을 더욱 증가시킨다.
기존 자동차의 선바이저(5e)(5f)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런트 및 리어 도어의 프레임이나 도어새시(10d)(10e)의 상단부, 즉, 윈도 글래스(3)의 고정을 위해 설치되는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8d)(8e)의 바깥 상단 위쪽에 양면 접착제(9)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있다.
상기 선바이저(5e)(5f)는 접착제(9)에 의해 접착이 이루어질 때 선바이저(5e)(5f)의 하측으로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8d)(8e) 사이에는 "∧"(혹은 "∩"형태를 갖는) 만곡부(30)(30a)가 존재할 뿐만 아니라, 상기한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8d)(8e)에는 윈도 글래스(3)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윈도 글래스(3)의 상단부가 끼워지게 되는 함몰된 형태의 가이드 홈(groove)(13d)(13e)이 대부분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만곡부(30)(30a)와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8d)(8e)의 가이드 홈(13d)(13e)은 자동차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윈도 글래스(3)를 5cm 이하 정도로 열고 고속으로 주행할 경우, 특히 상기한 만곡부(30)(30a)의 구조와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8d)(8e)의 가이드 홈(13d)(13e) 때문에 배출공기(20) 또는 유입공기로 인한 풍절음의 발생은 피할 수 없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 실1998-052654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1998.10.07 대한민국 특허청 실용등록 20-014544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1999.02.12 대한민국 특허청 실용등록 20-01455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1999.02.18 대한민국 특허청 실1999-002667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1999.07.15 대한민국 특허청 실용 20-0169380 (장인찬) 1999.11.19 대한민국 특허청 실2000-0010185 (엘지정밀 주식회사) 2000.06.15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 10-0276235 (현대자동차(주)) 2000.09.27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 10-0310131 (진영스텐다드(주)) 2001.09.13 대한민국 특허청 실용 20-0351265 (이장복) 2004.05.12 US 6742784 B2 (Tomoaki sakane) 2004.06.01 US 6938378 B2 (Masahiro Nozaki) 2005.11.06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 10-2006-002144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2006.03.08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 10-2007-0063160 (현대자동차(주)) 2007.06.19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 10-2008-019676 (노문우) 2008.03.04 US 0238137 A1 (Kenji Kobayashi) 2008.11.02 JP 특개2008-284933 (西川ゴム工業株式會社) 2008.11.27 US 0001754 A1 (Kiyotaka Tamaoki) 2009.01.0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 10-2010-0064818 (현대자동차(주)) 2010.06.15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 10-2010-0009988 (김치석) 2010.01.29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 10-1005328 (김성권) 2010.12.24 대한민국 특허청 출원번호 10-2011-001912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011.03.03 대한민국 특허청 출원번호 10-2011-001912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011.03.03
본 발명은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에 형성된 글래스 가이드 홈으로 인해 발생되는 풍절음을 줄여 줄 수 있도록 가이드 홈을 막고, 설치 시 선바이저와 웨더 스트립 사이의 만곡부가 없는 선바이저를 설치함으로써, 고속 주행 중 환기를 위하여 윈도 글래스를 일부 열었을 때 발생하는 풍절음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윈도 섀시 혹은 프레임의 바깥 상단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선바이저에 있어서, 우천 시 자동차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윈도 글래스를 약간(1?5cm정도) 하강할 때 빗물이 자동차 내부에 스며들지 않도록 함은 물론, 특히 고속 주행 중 환기를 위해 윈도 글래스를 열 때에도 풍절음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능한 선바이저의 외형은 공기저항을 주일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하되, 종래의 선바이저 설치 시 발생되는 만곡부(선바이저 내측과 자동차 프런트 및 리어 도어의 윈도 섀시 혹은 프레임의 바깥 상단 외측의 접촉 하단부)가 발생하지 않도록 선바이저의 접촉 하단부에 새롭게 돌출 립(lip)을 설치하되, 윈도 글래스 하강 시 고무의 탄성력으로 원래 상태(윈도 글래스가 하강 시 복귀하여 설치한 초기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이루어진다.
단, 이러한 본 발명의 선바이저는 각종 자동차 도어의 윈도 섀시 혹은 프레임 바깥 상단부에 적합하도록 설계 및 제조되어 접착용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여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자동차 프런트 및 리어 도어의 윈도 섀시 혹은 프레임의 바깥 상단부에 고정되어 사용하는 종래 선바이저와는 달리, 접촉 하단부(윈도 섀시 혹은 프레임의 바깥 상단부와 선바이저의 내측 하단부)에 만곡부가 발생되지 않고, 특히 도어 윈도 글래스의 하강 시 윈도 글래스 가이드 홈이 잔류하지 않도록 선바이저의 내측에 돌출 립을 제공함으로서, 고속 주행 중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윈도 글래스를 약간 열 때에도 풍절음을 획기적으로 줄여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프런트 도어 윈도 글래스의 오픈 시 윈도 상단부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프런트 도어 윈도 글래스 오픈 시 윈도 상단부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선바이저의 사시도(a) 및 B-B선 단면도(b).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프런트 도어 윈도 글래스 오픈 시 윈도 상단부의 A-A선 단면도.
도 6은 종래 자동차 도어 글래스의 상단부에 선바이저가 설치된 것을 본 발명 도 1의 A-A선 단면도와 비교를 위해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윈도 섀시 혹은 프레임의 바깥 상단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선바이저에 있어서, 우천 시 자동차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윈도 글래스를 약간(0.1?5cm정도) 하강할 때 빗물이 자동차 내부에 스며들지 않도록 함은 물론, 특히 고속 주행 중 환기를 위해 윈도 글래스를 열 때에도 풍절음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프런트 및 리어 도어(1)(2)의 윈도 섀시 혹은 프레임의 바깥 상단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선바이저(5)(6)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선바이저(5a)(5b)는 도 1의 A-A 선 단면을 표시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한 "∧"형태 (혹은 "∩"형태)의 만곡부(30)(30a)가 발생하지 않도록 돌출부(15)(15a)가 내측으로 존재하도록 제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선바이저(5a)(5b)의 외형은 공기의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제조하되, 파손과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특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천연고무 혹은 합성고무 등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웨더 스트립(8)(8a)은 가이드 홈(13)(13a)이 형성되게 인너립(11)(11a)과 아웃터립(12)(12a)으로 구성되고, 도어새시(10)(10a)에 끼워져 고정되게 되고, 상기 가이드홈(13)(13a)으로 글래스(3)가 끼워지게 된다.
본 발명의 선바이저(5a)(5b)는 접착제(9)를 이용하여 도어새시(10)(10a)와 웨더 스트립(8)(8a)에 접착되는 것으로, 선바이저(5a)(5b)의 하측으로 기존과 같은 만곡부(30)(30a)가 형성되지 않도록 돌출되는 돌출부(15)(15)를 형성하되 상기 돌출부(15)(15a)는 선바이저(5a)(5b)의 하단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라운드진 형태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또 다른 제 2 실시 예에 따른 선바이저(5c)(5d)에 관한 것으로서, 전술된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8)(8a)의 외형 및 설치 방법이 대부분 동일하도록 구성하는 한편 전술된 도 2에 도시한 선바이저(5a)(5b)의 외형 및 설치 방법이 대부분 동일하도록 구성하되, 전술한 "∧"형태 (혹은 "∩"형태)의 만곡부(30)(30a)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존 자동차 윈도 글래스(3) 웨더 스트립(8)(8a)에 존재하는 가이드 홈(groove)(13)(13a)을 막아 줄 수 있는 돌출 립(lip)(16)(16a)을 돌출부(15)(15a)에 부착시킴으로써, 고속주행 중 환기를 위해 윈도 글래스(3)를 하강할 때 입?출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풍절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한 종래 자동차 도어용 원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8)(8a)은 견고한 고정을 위해 윈도 글래스(3)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아웃터 립(12)(12a)과 내측으로 노출되는 인너 립(11)(11a)으로 구성되어 함몰된 형태의 가이드 홈(groove)(13)(13a)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윈도 글래스용 웨더 스트립(8)(8a)의 구조는 당 업계의 공지된 구조이다.
상기 선바이저(5c)(5d)는 전술된 선바이저(5a)(5b)의 돌출부(15)(15a)에 돌출립(16)(16a)을 부착시키되 상기 돌출립(16)(16a)은 탄성을 갖고 가이드 홈(13)(13a)을 가려주는 형태로 부착되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선바이저(5c)(5d)는 상기한 돌출 립(16)(16a)의 끝단은 웨더 스트립(8)(8a)의 아웃터 립(12)(12a)과 겹치지 않고 선 접촉되도록 하되, 특히 탄성이 고무 등을 이용하여 윈도 글래스(3)의 상승 시 상부로 접혀졌다가, 윈도 글래스(3)의 하강시에는 다시 복귀하되, 복귀한 돌출 립(16)(16a)과 아웃터 립(12)(12a) 사이에는 서로 선접촉하여 기존과 같은 가이드 홈(13)(13a)이 노출되지 않고 돌출립(16)(16a)으로 가려지게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도 3-(b)에 도시한 선바이저(5d)의 외형과 B-B선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선바이저(5)(5a)의 외형은 공기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유선형으로 하되, 외형은 파손과 소음을 줄일 수 있는 견고한 플라스틱이나 합성고무 등으로 제조할 수 있지만, 내측의 돌출 립(16a)(16)은 보다 탄성이 우수하며 질긴 고무제품으로 별도로 제조하여 접착제 등으로 접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돌출 립(16a)(16)의 표면 및 재질은 윈도 글래스(3)의 반복적인 승강에 따른 마찰 및 윤활작용에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랫동안 접촉되어도 잘 흡착되지 않는 원료고무를 사용하되, 요철(凹凸)(18)을 두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자들에 의해 제안된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11-0019121, 10-2011-0019126)에 적용한 것으로 이러한 웨더스트립에는 글래스 가이드 홈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도 6에 도시한 "∧"형태 (혹은 "∩"형태)의 만곡부(30)(30a)가 발생하지 않도록 돌출부(15b)(15c)를 구성하여 고속 주행 시 환기를 위하여 윈도우 글래스(3)를 열어놓더라도 유입 및 배출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여 풍절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선바이저(5c)(5d)의 외형은 공기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유선형으로 제조하되, 재질은 파손과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강인한 플라스틱이나, 합성고무 등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 : 자동차 프런트 및 리어 도어 3,7 : 윈도 글래스
5,5a,5b,5c,5d,6 : 선바이저 5e, 5f : 종래 선바이저
8,8a : 웨더 스트립 9 : 접착제
10,10a : 도어 새시 11,11a : 인너 립
12,12a : 아웃터 립 13, 13a : 가이드 홈
15,15a : 돌출부 16,16a : 돌출 립
18 : 요철(凹凸) 20 : 배출공기
30, 30a : "∧" (혹은 "∩")만곡부

Claims (6)

  1. 자동차의 프런트 및 리어 도어(1)(2) 글래스(3)의 바깥 상단부에 접착제(9)로 접착하여 공통으로 사용되는 선바이저(5)(6)에 있어서,
    상기 선바이저(5)(6)의 내측에 돌출부(15)(15a)를 구성하여 글래스 웨더 스트립(8)(8a)(8b)(8c)의 아웃터 립(12)(12a)(12b)(12c) 바깥쪽과 선바이저(5)(6)의 접착부 하단으로"∧"형태(혹은"∩"형태)의 만곡부(30)(30a)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2. 제1항에 있어서, 선바이저(5)(6)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5)(15a)는 선바이저(5)(6)의 하단부에서 웨더 스트립(8)(8a)과의 공간을 라운드지게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3. 자동차의 프런트 및 리어 도어(1)(2) 글래스(3)의 바깥 상단부에 접착제(9)로 접착하여 공통으로 사용되는 선바이저(5)(6)에 있어서,
    상기 선바이저(5)(6)의 내측에 돌출부(15)(15a)을 구성하여 글래스 웨더 스트립(8)(8a)의 아웃터 립(12)(12a) 바깥쪽과 선바이저(5)(6)의 접착부 하단으로 "∧"형태(혹은 "∩"형태)의 만곡부(30)(30a)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되 상기 돌출부(15)(15a)에는 돌출립(16)(16a)을 접착시키고, 상기 돌출립(16)(16a)은 웨더 스트립(8)(8a)에 존재하는 가이드 홈(groove)(13)(13a)을 막아주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4. 제 3 항에서 있어서, 돌출 립(16)(16a)은 윈도 글래스(3)의 상승시 가이드홈(13)(13a)으로 밀린 후 윈도 글래스(3)의 하강 시 돌출 립(16)(16a)이 복귀되어 웨더 스트립(8)(8a)의 인너 립(11)(11a)과 아웃터 립(12)(12a) 사이의 가이드 홈(13)(13a)을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5. 제 3 항에서 있어서, 돌출 립(16)(16a)은 탄력이 우수한 고무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표면이 요철(凹凸)(18)로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6. 자동차의 프런트 및 리어 도어(1)(2) 글래스(3)의 바깥 상단부에 접착제(9)로 접착하여 공통으로 사용되는 선바이저(5)(6)에 있어서,
    상기 선바이저(5)(6)의 내측에 돌출 립(16)(16a)을 구성하되, 글래스 웨더 스트립(8)(8a)의 아웃터 립(12)(12a) 바깥쪽과 사이의 접착부 하단에"∧"형태(혹은 "∩"형태)의 만곡부(30)(30a)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 윈도 글래스(3) 웨더 스트립(8)(8a)에 존재하는 가이드 홈(groove)(13)(13a)(13d)(13e)을 막아 줄 수 있는 돌출 립(16)(16a)을 구성하되,
    상기한 윈도 글래스(3)가 상승하였다가 다시 하강 시 상기한 돌출 립(16)(16a)이 복귀되어 웨더 스트립(8)(8a)의 인너 립(11)(11a)과 아웃터 립(12)(12a) 사이의 외측 표면에 가이드 홈(13)(13a)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KR1020110032061A 2011-04-07 2011-04-07 자동차용 선바이저 KR101251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061A KR101251014B1 (ko) 2011-04-07 2011-04-07 자동차용 선바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061A KR101251014B1 (ko) 2011-04-07 2011-04-07 자동차용 선바이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513A true KR20120114513A (ko) 2012-10-17
KR101251014B1 KR101251014B1 (ko) 2013-04-03

Family

ID=4728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061A KR101251014B1 (ko) 2011-04-07 2011-04-07 자동차용 선바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0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90901A (zh) * 2020-06-12 2020-11-06 合肥长安汽车有限公司 一种带自动开闭隐形晴雨挡的前门玻璃呢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730B1 (ko) 2018-10-15 2020-03-11 선명한 자동차용 우산
KR102089528B1 (ko) 2018-10-15 2020-03-16 선명한 자동차용 에어분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467B1 (ko) * 2005-10-31 2007-07-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썬바이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90901A (zh) * 2020-06-12 2020-11-06 合肥长安汽车有限公司 一种带自动开闭隐形晴雨挡的前门玻璃呢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1014B1 (ko)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8859A (en) Mechanically interlocked weatherstrip
EP2711220B1 (en) Assembly structure of wheather strip
CN104691286B (zh) 使用双辊的卷式遮光帘的结构
US6321490B1 (en) Mechanically interlocked weatherstrip
US4689916A (en) Door glass assembly for automotive vehicles
KR101251014B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US20070068638A1 (en) Anti-wind buffeting device for an automobile
CN107985037B (zh) 一种导轨结构
CN212708896U (zh) 一种车窗密封条及车窗玻璃总成
WO2008084320A1 (en) Sealing assembly for sliding window panes in vehicle doors
KR20120100318A (ko)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
CN208855397U (zh) 一种可发光的玻璃包边总成
CN112757881A (zh) 一种车顶玻璃密封结构
CN112297804A (zh) 一种侧窗隐藏式外挡水条及具有其的车辆
CN210101292U (zh) 一种汽车车门玻璃导槽
CN210478519U (zh) 具有氛围灯装置的汽车天窗结构
CN203623346U (zh) 一种汽车窗台外侧密封条
CN212422763U (zh) 可滑动式前遮阳系统及汽车
KR100394953B1 (ko)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그립
CN218702662U (zh) 一种车辆及前车门的玻璃安装组件
CN218430808U (zh) 玻璃滑块、密封条、齐平式车门及汽车
CN220884001U (zh) 遮阳帘的固定结构、车门和车辆
KR101219726B1 (ko) 빗물 가이드 구조를 갖는 사이드 선바이저
CN212765658U (zh) 一种新颖的外水切造型结构
KR20110099613A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