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4173A - 3차원으로 형상화된 텍스타일 요소 및 상기 요소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으로 형상화된 텍스타일 요소 및 상기 요소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4173A
KR20120114173A KR1020120035265A KR20120035265A KR20120114173A KR 20120114173 A KR20120114173 A KR 20120114173A KR 1020120035265 A KR1020120035265 A KR 1020120035265A KR 20120035265 A KR20120035265 A KR 20120035265A KR 20120114173 A KR20120114173 A KR 20120114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ayers
textile
shrinkage
shrin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릭 쇨러
구스타프 비체만
크리스토퍼 희중 문
Original Assignee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filed Critical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ublication of KR20120114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5/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corsets or brassieres
    • A41C5/005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corsets or brassieres by 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1/00Manufacturing hats
    • A42C1/02Making hat-bats; Bat-forming machines; Conical bat machines; Bat-form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2260/023Two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32B2307/736Shrink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 Woven Fabric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공간적 텍스타일 용품(12)의 제조를 위해, 2개 이상의 층을 갖는 기초 재료가 사용되며, 상기 재료의 상기 2개의 층들(16, 17)은 적어도 국소적으로 상이한 수축 포텐셜을 나타낸다. 이어서, 적합한 공정 과정에서, 상기 수축 포텐셜이 열 작용, 다른 물리적 작용 또는 화학적 작용으로 인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방출되고, 이에 의해 출발 재료의 공간적 아치화(spatial arching)를 일으키고, 이렇게 함으로써, 원하는 텍스타일 용품(12)이 제조된다.

Description

3차원으로 형상화된 텍스타일 요소 및 상기 요소의 제조 방법 {Three-dimensional shaped textile element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said element}
본 발명은 공간적으로, 즉 3차원으로 형상화된 텍스타일 요소(textile element)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형상화된 요소에 관한 것이다.
사용되기 전에 원하는 공간 형상이 부여될 필요가 있는 텍스타일이 의류 산업 및 다른 기술 분야들에 빈번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면, 공보 제US 3,673,611 A호는 모자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는데, 여기서 중합체 섬유를 함유하는 적합한 몰딩 가능한 펠트 클로스가 프레스 내에서 원하는 공간 형상으로 변형되고 열 작용에 의해 상기 형상으로 고정된다. 이렇게 할 때, 가열된 상태의 상기 중합체 섬유의 용이한 소성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현상이 이용되고, 이러한 경우에 취해진 형태가 냉각 후에 유지된다. 그러나, 합성 재료는 또한 특정한 기억 특성을 나타낸다. 재가열될 때, 빈번하게 상기 합성 재료는 이의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텍스타일이 고온 세척되고 이어서 건조기 내의 고온 공기에 노출되는 경우, 이들은 이들의 원하는 형태를 잃어버릴 수 있다.
또한, 상기 펠트 내의 부분적으로 용융된 합성 섬유는 열등한 착용 특성, 또는 심지어 상기 펠트체(felt body)의 더 낮은 다공도를 초래할 수 있다. 후자는, 상기 펠트체가 복합 재료의 제조에 사용되고 액체 플라스틱 재료 또는 합성 수지 중에 침지되어야 할 때 역할을 한다.
공보 제EP 0 887 451 A2호는 브래지어의 제조에 사용되는 경편직 직물(warp knitted fabric)을 기재한다. 상기 경편직 직물은, 제1 바(bar)에 의해 가공되어 기초 구조물(base structure)을 생성하는 폴리에스테르 트레드(thread)로 이루어진다. 탄성을 갖는 텍스타일을 제공하기 위해, 제2 바를 사용하여 탄성 트레드를 상기 경편직 직물 내로 도입한다. 후속적인 가열 처리 동안, 상기 재료가 금형 위에 놓이며, 폴리에스테르 트레드가 수축하고 상기 재료가 금형에 의해 사전특정된(prespecified) 형상을 취할 때까지, 상기 재료가 가열된다.
공보 제JP 2004-300593 A호는 유사한 개념을 사용하지만, 이는 플리스-유사(fleece-like) 텍스타일 구조물에 기초한다.
더욱이, 공간적으로 구조화된 부직물이 공보 제WO 00/29656호로부터 알려져 있다. 회선형 또는 지그재그형 펠트 재료를 제조하기 위해, 적절한 열가소성 섬유가 고온 공기의 스트림에 의해 분무된다. 이들 섬유는 드럼 위에 침착되고 상기 드럼의 표면 형태를 취한다. 드럼으로부터 벗겨냄으로써, 원하는 허니컴 재료가 수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한 방식으로 3차원 텍스타일 용품(textile article)에 원하는 3차원 형태를 부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개념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 상기 텍스타일 용품은 후속적인 추가의 가공 과정에서 또는 사용 과정에서 이의 형상을 신뢰성 있게 유지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이들 요구를 충족시키는 적절한 형상화된 텍스타일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방법 및 청구항 12에 따른 형상화된 텍스타일 요소에 의해 달성된다.
3차원 텍스타일 용품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적어도 국소적으로 상이한 수축 포텐셜을 나타내는 적어도 2개의 텍스타일 층들의 중첩(superimposition)에 기초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개념은 상기 층들이 서로간에 기계적으로 접속되고, 그 결과 수축 공정이 개시됨을 포함한다. 이렇게 할 때, 적어도 상기 2개 층의 권역(region)이 2차원으로 줄어들 것이다. 제1 층, 제2 층 및 임의로 추가의 층이 상이하게 줄어드는 점을 고려하면, 상기 텍스타일 용품은 원하는 형상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이를테면, 상기 텍스타일 용품은 이러한 형상을 자발적으로 취한다. 상기 용품이 후속적인 가공 과정에서 또는 사용 과정에서 또는 처리 과정에서 이러한 형상을 다시 잃어버리릴 것을 우려할 필요가 없다. 대조적으로, 상기 수축 공정이 열 작용에 의해 개시되고 수행되는 경우, 물체의 나중의 재가열은 원하는 형상의 손실을 초래할 수 없다. 이렇게 할 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근본적으로 모자, 숄더 패드, 브래지어, 보호대(무릎 보호대, 팔꿈치 보호대 등), 시트 쿠션 등과 같은 착용되어야 할 텍스타일의 제조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예컨대 시트 쉘(sheet shell), 헬멧, 섀시 부품, 기계 부품 등과 같은 플라스틱 복합 재료를 위한 보강 텍스타일을 포함한 산업용 물체(technical object)의 제조에도 적합하다.
결과적으로, 3차원 텍스타일 용품은, 필라멘트로 제조된, 임의의 공간적으로 형상화된 물체이다. 이들은 다소 두꺼운 층들로 배열된다. 이렇게 할 때, 용어 "텍스타일"은 합성 섬유 뿐만 아니라 천연 섬유, 짧은 섬유, 긴 섬유, 광물 섬유, 탄화수소 섬유, 세라믹 섬유, 금속화 섬유 또는 상기에 언급된 타입 또는 금속 섬유를 포함한다. 이들 섬유는, 예컨대 이른바 종방향으로만 배향되거나 또는 횡방향으로만 배향된 로빙(roving)과 같은 부직 평면 구조물로서, 또는 또한 부직포으로서 이용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또한 스티치 형태의 층들로, 예를 들면 편물, 경편물로서, 또는 직포로서, 루프 파일(loop pile) 및/또는 컷 파일(cut file)을 갖는 파일 재료로서 층들로 배열될 수 있거나, 또는 또 다른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텍스타일 층은 단일 재료 타입의 필라멘트로, 또는 복합 트레드(composite thread)로, 또는 또한 상이한 트레드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로 기계적으로 접속된 2개 이상의 층은 적어도 국소적으로 상이한 수축 포텐셜을 나타낸다. 이렇게 할 때, 수축 포텐셜은 수축-촉발(shrinkage-triggering) 인자가 발효될 때 영향받은 층의 영역의 선택된 섹션의 감소의 척도이다. 이러한 인자는, 예를 들면, 열 작용, 방사선(예: UV 방사선, IR 방사선, 마이크로파 방사선)의 효과, 화학적 작용 또는 또한 경과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축 포텐셜이 원래의 커버된 영역에 대한 영역의 감소로서 간주되는 경우, 수축하지 않는 텍스타일은 0의 수축 포텐셜을 나타내며, 한편, 수축 공정 과정에서 영역의 절반까지 수축하는 텍스타일은 50%의 수축 포텐셜을 나타낸다. 이와 반대되는 것으로서, 상기 영역이 수축 공정 과정에서 약간 증가하는 경우, 수축 포텐셜은 음(예: -10%)이다. 본 발명의 체계 내에서, 0이거나 0보다 더 작지만 2개 이상의 층간들 사이에 적어도 국소적으로 상이한 수축 포텐셜을 포함한 모든 수축 포텐셜이 고려된다.
수축 포텐셜의 국소적 차이는, 텍스타일 요소를 바라본 위치에서, 영역의 양 방향으로의 팽창(상기 팽창은 각각의 텍스타일 층의 두께보다 더 크다)을 나타내는 중첩된 층 섹션들이 상이한 수축 포텐셜을 나타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들 수축 포텐셜의 차이는 각각의 수축 포텐셜의 정도 및/또는 수축 포텐셜의 바람직한 배향과 관련될 수 있다.
2개의 층은 서로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용어 "기계적 접속"은 힘-전달 수단으로서의 필라멘트에 의해 달성되는 모든 접속 및 접속의 유형을 포함한다. 이들은, 특히, 각각의 층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층 내로 부분적으로 전달된 필라멘트에 의해 달성되는 접속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2개의 층은 펠트 제조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본딩(섬유 얽힘) 공정에 의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본딩 공정은 펠팅 니들의 사용으로, 유체 제트, 예를 들면, 물 제트에 의해, 또는 펠트의 제조에 적합한 다른 방법에 의해 개시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이들 층은 본딩 공정에 의해 재배열된 필라멘트들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데, 이러한 접속은 이들 필라멘트의 하나의 말단은 하나의 층에 고착(anchoring)되고 이들의 나머지 말단은 나머지 층에 고착되도록 하여 수행된다. 물리적 공정 및 화학적 공정이 접속을 강화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매, 스트림 등에 의한 이중층 텍스타일 재료의 처리는 미세한 합성 부직물("Alcantara")의 제조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필라멘트들 서로간의 국소적 접착을 적어도 초래할 수 있다. 더욱이, 이들 층은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서로 봉제될 수 있다. 추가의 기계적 접속 기술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즉 스테이플과 같은 기계적 접속 요소의 포함이 사용될 수 있다.
수축 공정은 2개의 텍스타일 층들이 상이한 속도로 수축(또는 팽윤)되게 할 수 있는 임의의 물리적 작용 또는 화학적 작용에 의해 개시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물리적 작용은 열의 작용, 방사선의 작용, 전계 또는 자계나 전기파 또는 자기파의 작용, 또는 다른 형태의 에너지의 작용일 수 있다. 또한, 수축 공정을 개시하는 데 화학적 작용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예를 들면, 용해 또는 팽윤 효과를 갖는 유체의 작용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유체의 작용은, 예컨대 중합체 분자들의 가교결합 또는 회선(convolution)과 같은 화학적 공정을 촉발시킨다. 화학적 작용은 또한 이들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의 팽윤(음의 수축)을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이들 작용은 영역 또는 부피의 영구적인 변화로 이어지는 것인데, 예컨대 갑작스런 압력 변화와 같은 것으로, 이러한 압력 변화는 포함되는 섬유의 퍼핑-업(puffing-up)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쪽 층 또는 양쪽 층을 구성하는 텍스타일 섬유 재료의 기억 효과를 이용하는 작용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들 섬유는 이들의 중합체 쇄가 대체로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신장(elongate)될 수 있다. 중합체 쇄가 열적 효과로 인해 더 회선된 형태로 다시 되돌아가려는 경향이 있는 경우, 이는 이러한 경우에 이용될 수 있는 수축 공정에 의해 달성된다.
수축 공정은 그때까지 평면이었던 텍스타일의 공간적 변형을 일으킨다. 공간적 형태의 부여는 더 큰 텍스타일 웹에 대해, 또는 개별적으로 커팅된 조각들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형상화 공정은 외부 지지 금형에 의해 도움을 받을 수 있는데, 상기 외부 지지 금형은 임의로 또한 형상을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외부 지지 금형의 몰딩 압력은 유일한 형상-부여 인자를 구성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형상화 압력은 통상의 형상화 공정에서보다 더 낮게 유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재료의 두께를 전혀 또는 거의 전혀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텍스타일 요소 내에 더 큰 기공 부피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이후의 사용 목적에 따라, 개기공 3차원 텍스타일 용품은 이후에, 예를 들면, 의류품으로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텍스타일은 또한 합성 수지 또는 다른 플라스틱 재료로 함침되어 기술적 구성요소, 예를 들면, 백미러(rearview mirror) 하우징을 제조할 수 있다.
각각의 층의 수축 포텐셜은 반드시 영역의 양쪽 방향으로 동일하게 클 필요는 없는데, 즉, 텍스타일 층들은 반드시 등방성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2개의 층 중의 하나의 층 내의 섬유, 또는 또한 양쪽 층 내의 섬유는 바람직한 배향을 나타낼 수 있으며, 따라서 바람직한 수축 방향의 설정(이방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수축 공정을 개시함으로써 형상화된 요소의 목표로 하는 형상화에 이용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예컨대 하나의 층 내의 수축 가능한 섬유가 국소적으로 상이한 바람직한 배향을 나타낼 때 적용 가능하다. 텍스타일 웹에 대해 언급하면, 상기 섬유가, 예를 들면, 웹의 종방향으로 기초 배향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횡방향 배향이 선택된 지점에서 우세하다. 이렇게 할 때, 웹의 수축은 제어된 횡방향 및 종방향 변형으로 이어지며, 따라서 예를 들면, 냅(nap) 패턴의 제어된 형성으로 이어진다.
수축 공정을 개시하기 전이나 후에, 텍스타일 요소의 층들을 아치화 구역(arching zone) 외부에서 특히 서로 긴밀하게 결합시키고/시키거나 국소 아치화를 피하기 위해, 예를 들면, 국소적으로 적용된 고압 및 고온(열-밀봉 공정)에 의해, 개별 구역, 예를 들면, 에지 영역, 벤딩 라인 등을 남아 있는 재료보다 더 강하게 본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국소적으로 상이한 수축 포텐셜을 이용함으로써 공간적 텍스타일 용품의 제조를 위한 다수의 기술적 가능성을 열어두는데, 상기 수축 포텐셜은 이들 수축 포텐셜의 방출이 평면 2차원 구조가 원하는 공간적 형태로 변형을 일으키도록 배열되고 치수화된다.
본 발명의 양태의 상세 내용은 특허청구범위,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명백하다. 각각의 도면은 하기를 도시한다:
도 1 공간적으로 형상화된 컵을 갖는 의류품(브래지어)의 개략화된 사시도;
도 2 도 1에 따른 의류품의 컵의 세부사항의 단면도;
도 3 도 2의 확대된 세부사항의 개략화된 도면;
도 4 내지 도 6 3차원 텍스타일 용품의 제조의 필수 단계의 개략화된 종방향 도면;
도 7 내지 도 10 3차원 텍스타일 용품의 제조를 위한 텍스타일 층의 각종 구조의 개략화된 도면;
도 11 3차원 텍스타일 용품의 제조를 위한 재료의 대안적인 양태;
도 12 및 도 13 변형 전의 본 발명에 따른 텍스타일 용품의 삼중층 양태의 종단면도;
도 14 국소적으로 상이한 수축 포텐셜을 나타내는 텍스타일 용품의 평면도;
도 15 공간적 섬유 복합 물체의 수직 단면 사시도;
도 16 도 15에 따른 섬유 복합 물체의 세부사항의 확대도;
도 17 및 도 18 본 발명에 따른 형상화된 요소의 제조를 위한 제조 단계의 개략적인 도면;
도 19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텍스타일 용품의 또 다른 양태의 종단면도;
도 20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국소적으로 상이한 수축 포텐셜을 나타내는 3차원 텍스타일 용품의 제조를 위한 텍스타일 웹의 예시적인 양태.
도 1은 3차원 텍스타일 용품의 예로서 스트랩(11) 및 컵들(13, 14)을 포함하는 브래지어(10)를 도시한다. 이들 컵은 원-파트(one part)로서 접속될 수 있거나, 예컨대 봉제(또는, 합성 섬유의 경우에는, 또한 용착)와 같은 적합한 접속 기술에 의해 접속점(15)에서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컵(14)에 대한 설명은 이후로 컵(13)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컵(14)은 3차원으로, 즉, 공간적으로 형상화된다. 상기 컵은 아치형 중공 금형처럼 보이는데, 즉, 이것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방향 X 및 Y 양쪽 방향으로 만곡된다.
도 2는 도 1의 단면 라인 II-II를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명백한 바와 같이, 컵(14)은 2개의 상이한 층, 즉, 제1 층(16) 및 제2 층(17)으로 이루어진 텍스타일 재료로 제조된다. 2개의 층들(16, 17)은 서로 밀접하게 접속된다. 도 3에, 이에 상응하는 전이 구역이 경계 표면(18)과 같은 파선으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이것은 표면 상에서 층들(16, 17)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분할 표면이 아니라, 이것은 2개의 층들(16, 17)을 평면적으로 서로 접속시키는 접속 구역이다.
상기 예시적인 양태에서, 양쪽 층들(16, 17) 모두 랜덤-섬유 부직 구조물로 제조된다. 따라서, 2개의 층들(16, 17)의 개별 섬유(19, 20)는 각각 하나의 부직물을 형성하며, 이에 의해 2개의 부직물이 경계 표면(18)에서 블렌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층(16)은 더 큰 수축 포텐셜(P1)을 가지며, 제2 층(17)은 더 작은 수축 포텐셜(P2)을 갖는다. 텍스타일 용품(12)을 참고하면, 수축 포텐셜은 이미 소모되었으며, 따라서 텍스타일 용품(12) 또는 컵(14)의 의 공간적 중공 형태를 생성한다. 도 3에서, 수축 포텐셜(P1 및 P2)은 서로를 가리키는 상이한 길이의 화살표에 의해 기호화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화살표의 길이는 수축 포텐셜의 치수를 보여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층(16)의 더 큰 수축 포텐셜로 인해, 상기 수축 포텐셜의 방출은 층(16)의 부분에서 컵(14)의 중공 아치화를 가져왔다.
예를 들면, 섬유(19, 20)는 상이한 합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섬유 혼합물의 층(16) 및/또는 층(17) 각각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섬유 혼합물은 수축 가능한 섬유뿐만 아니라 수축 불가능한 섬유도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이것은 천연 섬유 및 합성 섬유의 혼합물이다. 섬유(19, 20)의 상이한 화학적 조성을 이용하여 2개의 층들(16, 17)의 섬유(19, 20)의 상이한 수축 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층(16)은 폴리아미드 섬유로 일부 또는 전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층(17)은 수축하지 않거나 더 적게 수축하는 면 섬유로 주로 이루어진다.
또한, 2개의 층들(16, 17)의 상이한 수축 특성을 사용된 섬유의 각종 물리적-열적 사전처리에 기인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할 때, 이른바 개별 섬유의 신율이 수축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층(16)은 고도로 신장된 섬유를 함유할 수 있으며, 층(17)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조성을 갖는 더 적게 신장된 섬유를 함유할 수 있거나 이러한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2개의 층들(16, 17)의 수축 포텐셜(P1 및 P2)의 방출은, 예를 들면, 열적 처리에 의해 텍스타일 용품(12)이 바람직하게는 균일하게 가열되어 2개의 층의 수축 포텐셜(P1, P2)이 소모되게 됨으로써 달성된다. 이는 텍스타일 용품(12)의 후속적인 가열 - 예를 들면, 세척 및 건조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바와 같이 - 이러한 추가의 형상 변화로 이어지지 않고 오히려 치수 안정성이 제공됨을 확실히 한다. 이는 특히, 의류품으로서 사용되는 텍스타일 용품(12)인 경우에 편리하다. 그러나, 또한 기술적 관점으로부터, 수축 공정의 개시 및 수행이 단지 텍스타일 용품의 특정 구역으로만 한정되는 것이 긴요할 수 있음을 알아두어야 하는데, 이는 특정 구역에서 공간적 변형을 달성하고, 한편, 다른 구역은 전혀 변형되지 않거나 더 적게 변형되고, 임의로 추가로 또한 변형 포텐셜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예를 들면, 평활한 기초 재료 위에 개별 돌출부(bulge) 또는 만입부(indentation)를 제조할 수 있다. 이들 재료가 나중에, 예를 들면, 경화용 캐스트 수지(hardening cast resin) 중에 침지됨으로써 고정되는 경우, 남아 있는 섬유의 잔류 수축 능력은 더 이상 해로운 역할을 하지 않는다.
도 4는 초기에 느슨하게 중첩되는 2개의 층들(16, 17)을 포함하는 텍스타일 기초 재료(21)를 도시한다. 다시, 이것은 최소한으로 본딩된 형태의, 예를 들면, 느슨한 부직 재료의 형태의 랜덤-섬유 부직포일 수 있다. 후속적인 가공 단계 중에, 2개의 층들(16, 17)은, 예를 들면, 펠팅 니들에 의한 니들링 또는 물 제트 등에 의해 서로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여전히 평면인 복합 재료(22)가 수득되며, 여기서 2개의 층들(16, 17)은 생성되는 텍스타일 웹에 대해 종방향 또는 횡방향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없으며, 오히려 이들은 서로 단단히 결합된다. 이러한 복합 재료(22)는, 예를 들면, 베일(bale) 위에 감겨셔 준비시켜 둘 수 있거나, 또는 이것은 또 다른 공정에 직접 공급될 수 있다.
도 6은 추가의 가공을 도시한다. 이것은 수축 공정의 개시 및 수행을 주로 포함하며, 여기서 2개의 층들(16, 17)이 영역의 적어도 한쪽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영역의 방향 X 및 Y 양쪽 방향으로 수축된다. 이렇게 할 때, 필라멘트의 배향에 따라, X-방향과 Y-방향으로(즉, 텍스타일 웹에 대해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균일한 수축뿐만 아니라, 원한다면, X-방향과 Y-방향으로의 상이한 수축도 수득할 수 있다(등방성 또는 이방성 수축). 이는 섬유의 배향 및 섬유의 조성에 따라 주로 좌우된다.
변형되어야 할 복합 재료(22)의 섹션들은, 이들 섹션이 서로 후속적인 수축 공정 과정에서 변형되는 것으로부터 상호간에 방해되지 않기 위하여 분리될 수 있다(이는 원하는 크기의 조각들로 잘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는, 또한 지지체로서 작용하는 원-파트 또는 투-파트(two-part) 금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부 반금형(23) 및 하부 반금형(24)이 도 6에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복합 재료(22)는 수축-촉발 인자, 예를 들면, 가열, UV 방사선, 압력 변화 또는 또 다른 형태의 에너지의 효과 하에서 원하는 3차원 중공 형상으로 자동으로 변형될 것이다. 그러나, 반금형(23, 24)은 치수 안정성, 형상 교정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지지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중공 금형은 본 명세서의 도 1 또는 도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컵들(13, 14)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앞서 기재된 브래지어(10)의 예를 참고하여 설명된 일반적 텍스타일 예비 요소(12)의 예시적인 양태에서, 양쪽 층들(16, 17)은 도 7의 평면도에 의해 기호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펠트-유사 또는 플리스-유사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더욱이 또한, 개별 필라멘트(19 및/또는 20)는 바람직한 배향을 갖지 않는 것으로, 즉, 모든 X-배향 및 Y-배향이 동일한 빈도수로 일어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는 종방향 및 횡방향(X 및 Y)으로 균일한 수축 포텐셜을 생성하며, 따라서 본질적으로 반구형 중공 형태가 된다.
이러한 중공 형태는 또한, 제1 층(16) 및/또는 제2 층(17)이 도 8에 기호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직조 재료로 제조될 때 달성될 수 있다. 층들(16 및/또는 17)이 직조 재료로 제조될 때,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상이한 수축 포텐셜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종 직조 유형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평직은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동일한 수축을 생성할 것이다. 다른 직조, 예를 들면, 능직, 즉 경사보다 위사를 더 많이 함유하는(또는 위사보다 경사를 더 많이 함유하는) 요소는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상이한 수축 포텐셜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직조의 특정한 국소적 변동의 결과로서, 국소적 수축 변경 및 변동을 달성할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면, 경사와 위사가 상이한 수축 포텐셜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그렇다. 또한, 수축 및 변형 특성을 구체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다축 텍스타일을 사용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들(16 및/또는 17)은 또한 편물 재료로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도 10에서와 같이 경편물 재료로서 구성될 수 있다. 사용되는 결합 방식에 따라, 이러한 경우에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상이한 수축 포텐셜을 달성할 수 있다. 이는 특히, 니트 편물로서의 층들(16 및/또는 17)의 구성에 적용되는데, 이에 의해서는 적절한 패턴 편조 기계가 국소적 수축 포텐셜 패턴을 편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어서 상기 패턴은 수축 포텐셜이 방출됨에 따라 상응하는 공간적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의 상기 각각의 평면 구조물은 펠트 제조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니들링 공정에 의해 또 다른 것과 기계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거친 플랭크 또는 바브(barb)가 구비된 플랭크를 갖는 다수의 니들이 층들(16, 17)을 반복적으로 천공하고 하나의 층(16)의 수 개의 필라멘트를 나머지 층(17) 내로 전달하고/하거나 그 반대로 한다. 결과적으로, 층 조립체가 형성되는데, 상기 층 조립체는 수축 포텐셜의 방출로 인해 내구력을 나타내고 변형 과정을 견디어낸다.
층들(16, 17)의 서로에 대한 접속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seam)에 의해 지지되거나 대체될 수 있다. 심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 도면은 트레드들(25, 26)을 보여준다. 2-트레드 심 대신에, 또한 1-트레드 심을 사용하거나 또는 층들(16, 17)이 서로 공간적으로 가까운(예를 들면, 수 밀리미터 내지 센티미터의 거리) 지점들에서 층들(16, 17)을 서로 결합하는 다른 접속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스티치-편조(이의 브랜드명 Malimo로도 알려짐)는 적격인 기술이다. 2개의 층들(16, 17)의 상이한 수축 포텐셜의 방출은 또한 경계 표면(17) 위에 2개의 층들(16, 17)의 펠팅이 없더라도, 도 11에서와 같이 재료(27)의 제어된 공간적 변형을 달성한다.
도 12는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추가의 층(28)이 층들(16, 17)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층(28)은, 예를 들면, 천연이거나, 또는 또한 그 자체가 수축성인 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서, 이것은 느슨하고 최소한으로 본딩된 중간층으로서 나타나는데, 따라서 상기 중간층은 거의 수축 공정을 억제하지 못한다. 이러한 층은 전체로서 층들(16, 17)과 함께 니들링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각각의 층들(16, 17)이 도 7 내지 도 10에 기초적으로 도입되고 앞서 논의된 구성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도 13은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2개의 층들(16, 17)이 표면 층(29)과 접속되는데, 상기 표면 층(29)은, 예를 들면,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나 있고 앞서 설명된 원리에 따라 비수축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는 또한 층들(16, 17)의 수축을 일으키는 처리 과정에서 신장 또는 팽윤될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더 강하게 수축하는 층(16)에 표면 층이 구비될 수 있으며, 역시 상기 표면 층은, 예를 들면, 특정 의류품의 착용 편안함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 7 내지 도 10에 예시된 원리 중 하나에 따라 구성될 수 있고 앞서 설명된 원리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언급된 추가의 층들(28, 29) 및 내부 층(16) 상의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층은 층들(16, 17)의 재료(들)와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4는 국소적으로 상이한 수축 포텐셜에 의해 구별되는 변형된 복합 재료(30)를 도시한다. 층(17)의 평면도는 감소된 수축 포텐셜을 나타내는 구역(31)을 나타낸다. 이들 사이에, 증가된 수축 포텐셜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권역(32)이 있다.
층(17)에 의해 감추어진 그 아래에 놓인 층(16)은 정확하게 반대인 수축 포텐셜 분포를 나타낼 수 있는데, 즉, 구역(31) 아래는 높은 수축 포텐셜이고 권역(32) 아래는 낮은 수축 포텐셜이다.
이 복합 재료(30)의 제조 후, 수축 포텐셜이, 예를 들면, 복합 재료(30)를 가열함으로써 또는, 적절한 촉발 메커니즘에 따라 조사(irradiation) 또는 화학적 처리에 의해 방출되는 경우, 지금까지의 평면 복합 재료(30) 위에 아치형 구조물이 형성되며, 상기 구조물은 내구력을 갖는다.
지금까지 기재된 텍스타일 용품(12)은 개기공을 갖는 공기-투과성 용품으로서 제공된다. 그러나, 텍스타일 용품(12)의 예시되고/되거나 기재된 각각의 양태에는 한측 또는 양측 위에 필름, 바니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텍스타일 용품(12)을, 예를 들면, 합성 재료와 접속하여 계속 가공하여,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된 복합 물체(33)를 제조할 수 있다. 복합 물체(33)는, 예를 들면, 하우징 쉘로서, 모터 차량 미러 하우징으로서, 또는 유사한 기술적 용도로서 사용될 수 있는 공간적 요소이다. 도 16은 벽 구조물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명백한 바와 같이, 2개의 층들(16, 17)으로 이루어진 텍스타일 용품(12)은 만곡된 플라스틱 재료의 매트릭스(34) 내에 매립된다. 이후로 제공되는 설명은 텍스타일 용품(12)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플라스틱 재료(34)에 관해서는, 텍스타일 용품(12)을 침투할 수 있고 고화될 수 있는 임의의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물질은 열가소성 또는 듀로플라스틱(duroplastic)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침지 및 고화는 금형에서 일어날 수 있다(이 금형 내에 또는 금형 위에 텍스타일 용품(12)이 놓여짐). 이러한 금형은 바람직하게는 원하는 복합 물체(33)의 내부 또는 외부 형태와 정합된다. 텍스타일 용품(12)은 (편측) 수축에 의해 야기되는 사전의 재형성 과정에 의해 원하는 형태에 적어도 가깝게 된 형태로 변형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텍스타일 용품은 최소한의 인장 및 주름 없이 금형 내로 또는 위로 놓일 수 있다.
도 17은 펠팅 니들(35)이 구비된 니들 보드(needle board; 36)의 사용에 의한 복합 재료(22 또는 30)의 제조를 예시한다. 상기 니들 보드는 펠팅 니들(35)의 종방향으로 상하 요동 운동을 수행하며, 이에 의해, 예를 들면, 2개의 느슨하게 중첩된 랜덤-섬유 부직포들(37, 38)이 반복적으로 천공되고, 이러한 동안에 상기 부직물은 니들 보드(36) 아래로 니들 보드(36)의 요동 운동에 대해 횡방향으로 통과한다. 재료를 천공하는 펠팅 니들(35)은 플리스 재료의 본딩을 일으킨다. 생성된 복합 재료(22 또는 30)는 2층 펠트 클로스이다. 이러한 직물 조각은 양쪽 층들(16, 17) 내에 수축 가능한 섬유를 함유하며, 랜덤-섬유 부직포들(37, 38)은 상기 섬유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함유한다. 예를 들면, 수축 불가능한 분쇄 섬유가 수축 가능한 섬유와 혼합되고, 따라서 랜덤-섬유 부직포들(37, 38) 내에 배합될 수 있다. 랜덤-섬유 부직포들(37, 38) 내의 수축 가능한 섬유의 함량이 상이하는 경우, 층들(16, 17)은 역시 상이한 수축 포텐셜을 나타낸다. 이들 수축 포텐셜은 균일할 수 있거나, 또는 랜덤-섬유 부직포들(37, 38) 내의 수축 가능한 섬유의 함량이 적절한 방법으로 국소적으로 변한 경우라면 각각의 층들(16, 17)의 영역 내에서 국소적으로 변할 수 있다.
수축-촉발 인자, 예를 들면, 열 방사의 효과로 인해, 지금까지의 평면 펠트 클로스, 즉, 복합 재료(22 또는 30)가 도 18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간적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4에 이미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8의 복합 재료(30)의 엄격하게 국소적인 변동은 포함된 층들(16, 17)의 수축 능력의 국소적 변동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서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재료(30)의 공간적으로 상이하게 배향된 변형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9에서, 도면 부호(39)는 층들(16, 17)의 구역을 각각 나타내며, 이러한 구역에서 수축 포텐셜은 각각 다른 층의 수축 포텐셜을 국소적으로 초과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오목한 형상이 형성되는데, 즉, 복합 재료(30)의 상부측 및 하부측 위에 교대로 형성된다. 동일한 것이 볼록한 형상에도 적용된다.
제시된 양태들을 고려하면, 다수의 변형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복합 재료(30)의 수축 능력은 방향의 함수일 수 있으며, 즉, 이방성일 수 있다. 방향에 대한 의존성은 국소적으로 변할 수 있다. 도 20은 예시적으로 높은 종방향 수축 능력 및 낮은 횡방향 수축 능력을 나타내는 제1 구역(40)을 도시한다. 또한, 낮은 종방향 수축 능력 및 높은 횡방향 수축 능력을 나타내는 제2 구역(41)이 있다. 횡방향으로, 거기 바로 부근에, 큰 종방향 수축 능력 및 작은 횡방향 수축 능력을 나타내는 제3 구역(42)이 있다. 적절히 구성된 구역들(40, 41, 42)이 웹의 종방향으로 대각선으로 오프셋(offset)을 반복할 수 있다.
이방성 수축 거동, 즉, 방향의 함수로서의 수축 포텐셜을 나타내는 이러한 구역들(40, 41, 42)은 복합 재료(30)의 표면 위에서 임의의 원하는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역들은, 예를 들면, 사전제작된 층 섹션들이 포함된다는 점에서, 또는 또한 각각의 층(16 및/또는 17)의 섬유가, 구역들(40, 41, 42)의 관련 지점들에서, 웹(30)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또는 또한 대각 방향으로 바람직한 배향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달성될 수 있다. 섬유 혼합물의 층들(16, 17)에서, 수축 포텐셜이 수축 가능한 섬유의 함량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 섬유 함량이, 예를 들면, 랜덤-섬유 부직포의 제조 과정에서 국소적으로 변한다는 점에서, 수축 포텐셜은 국소적으로 변할 수 있다. 직조 층 또는 편직(경편직) 층에 대해 언급하면, 상이한 수축 능력을 나타내는 2개 이상의 필라멘트를 갖는 2-필라멘트 구조물 또는 다중-필라멘트 구조물을 사용할 수 있다. 원한다면, 적합한 조직(직조) 또는 적합한 패턴(편직, 경편직)을 선택함으로써 수축 포텐셜은 국소적으로 변할 수 있다.
공간적 텍스타일 용품(12)의 제조를 위해, 2개 이상의 층을 갖는 기초 재료가 사용되며, 상기 재료의 2개의 층들(16, 17)은 적어도 국소적으로 상이한 수축 포텐셜을 나타낸다. 이어서, 적합한 공정 과정에서, 상기 수축 포텐셜이 열 작용, 다른 물리적 작용 또는 화학적 작용으로 인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방출되고, 이에 의해 출발 재료의 공간적 아치화(spatial arching)를 일으키고, 이렇게 함으로써, 원하는 텍스타일 용품이 제조된다.
도면 부호의 목록:
10 브래지어
11 스트랩
12 3차원 텍스타일 용품
13, 14 컵
X, Y 컵의 영역의 방향
15 텍스타일 재료
16 접속점
17 제2 층
18 경계 표면
19 제1 층(16)의 섬유
20 제2 층(17)의 섬유
21 직물 출발 재료
22 복합 재료
23 상부 반금형
24 하부 반금형
25 상부 트레드
26 하부 트레드
27 평면 구조물
28 층
29 표면 층
30 복합 재료
31 감소된 수축 포텐셜을 가진 구역
32 권역
33 복합 물체
34 플라스틱 재료
35 펠팅 니들
36 니들 보드
37 랜덤-섬유 부직포
38 랜덤-섬유 부직포
39 구역(zone)
40 제1 구역
41 제2 구역
42 제3 구역
P1 제1 수축 포텐셜
P2 제2 수축 포텐셜

Claims (15)

  1. 제1 수축 포텐셜(P1)을 나타내는 제1 텍스타일 층(16)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층의 수축 포텐셜과는 적어도 국소적으로 상이한 제2 수축 포텐셜(P2)을 나타내는 제2 텍스타일 층(17)을 배열하는 단계,
    상기 2개의 층들(16, 17)을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단계 및
    수축 공정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텍스타일 용품(12)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포텐셜(P1, P2)이 상기 제1 층(16) 내에서 및/또는 상기 제2 층(17) 내에서 각각 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16) 및/또는 상기 제2 층(17)의 상기 수축 포텐셜(P1, P2)이 상기 각각의 층들(16, 17) 내에서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추가의 텍스타일 층(28)이 상기 제1 텍스타일 층과 상기 제2 텍스타일 층(16, 17)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추가의 텍스타일 층(29)이 상기 제1 텍스타일 층 및/또는 상기 제2 텍스타일 층(16, 17) 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들(16, 17) 사이의 다이(die) 기계적 접속이 본딩 공정에 의해 달성되고, 상기 공정 과정에서 상기 층들 중의 하나의 층(16)의 섬유(19)들이 상기 나머지 층(17)내로 부분적으로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층들(16, 17)의 본딩은 니들(35) 또는 유체 제트를 사용하고/하거나 봉제 공정 또는 스티치-편조 공정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공정이 물리적 작용 및/또는 화학적 작용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공정이 상기 층들(16, 17)의 선택된 구역들(31, 32)로 제한되거나 상기 구역들(31, 32)에서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들(16, 17) 중 적어도 하나가 부직포, 편물, 경편물 또는 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공정이 지지 금형(23, 24) 내부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 수축 특성을 나타내는 제1 텍스타일 층(16),
    상기 제1 텍스타일 층(16) 위에 배열되고, 상기 제1 층(16)의 수축 특성과 적어도 국소적으로 상이한 제2 수축 특성을 나타내는 제2 텍스타일 층(17)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상기 2개의 층들(16, 17)이 서로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아치형을 갖는, 형상화된 텍스타일 요소(12).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층들(16, 17)이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층(28, 29)과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화된 텍스타일 요소.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접속된 층들(16, 17)이 개기공 가요체(open-pore flexible body)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화된 텍스타일 요소.
  15. 제12항에 있어서, 형상화된 텍스타일 요소(12)가 플라스틱 재료 매트릭스(34)내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화된 텍스타일 요소.
KR1020120035265A 2011-04-06 2012-04-05 3차원으로 형상화된 텍스타일 요소 및 상기 요소의 제조 방법 KR201201141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61353.5 2011-04-06
EP11161353A EP2508088A1 (en) 2011-04-06 2011-04-06 Three-dimensional Shaped Textile Element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said E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173A true KR20120114173A (ko) 2012-10-16

Family

ID=44357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265A KR20120114173A (ko) 2011-04-06 2012-04-05 3차원으로 형상화된 텍스타일 요소 및 상기 요소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263928A1 (ko)
EP (1) EP2508088A1 (ko)
JP (1) JP2012218437A (ko)
KR (1) KR20120114173A (ko)
CN (1) CN10272953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5508A1 (en) * 2013-02-12 2014-08-21 Massimo Papucci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emifinished textile products for felt like hats, hats and semifinished products so obtained
CZ307884B6 (cs) * 2015-03-09 2019-07-24 Technická univerzita v Liberci Způsob pro výrobu textilního kompozitu zejména pro outdoorové aplikace, který obsahuje alespoň jednu vrstvu polymerních nanovláken, a tímto způsobem připravený textilní kompozit
CN106012235A (zh) * 2016-06-13 2016-10-12 江苏伯龙宇航新材料科技有限公司 封顶织物缝合织造方法及其结构
CN106012237A (zh) * 2016-08-14 2016-10-12 谢强 3d间隔机织物
CN107988688B (zh) * 2017-12-11 2020-10-30 晋江百润织造有限公司 一种透气三明治网布的编织工艺
DE102018125479A1 (de) * 2018-10-15 2020-04-16 Hugo Boss Ag Formgebende Verstärkungseinlage, Bekleidungsstück, Verfahren und System zum Herstellen einer formgebenden Verstärkungseinlage
CN114341412A (zh) * 2019-06-28 2022-04-12 丝芭博株式会社 布料、立体造型布料及其制造方法
US11833290B2 (en) * 2019-11-01 2023-12-05 Kci Licensing, Inc. Dressing design incorporating formed 3D textile for the delivery of therapeutic negative pressure and compressive forces to a treatment site
KR102497600B1 (ko) * 2020-11-27 2023-02-08 (주)아이앤유앤아이 기능성 브래지어
CN114351317B (zh) * 2022-01-20 2023-05-16 衣拉拉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服装上的仿旧贴及其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5162A (en) * 1957-08-24 1960-08-17 Curt Max Zechbauer A method of manufacturing so-called felt hats
GB888146A (en) * 1957-11-25 1962-01-24 American Felt Co Compound fabric and moulding process employing same
US3395066A (en) * 1964-09-08 1968-07-30 Monsanto Co Fiberfill for pillow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553066A (en) * 1967-09-05 1971-01-05 Burlington Industries Inc Filled cushion matelasse fabric and method
US3673611A (en) 1970-05-18 1972-07-04 Deering Milliken Res Corp Molded hats having improved shape retention and recoverability
CH529247A (de) * 1971-01-12 1972-06-15 Breveteam Sa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nichtgewebten, textilen Flächengebildes
JPS53106243A (en) * 1977-02-25 1978-09-16 Nobuhiro Michimae Method of producing belt core cloth having latent curve
JPH02133641A (ja) * 1988-11-12 1990-05-22 Tadashi Miyazaki 不織シートの製造方法
CH679027A5 (ko) * 1989-06-23 1991-12-13 Willi Lanker
US5059378A (en) * 1990-02-22 1991-10-22 Albany International Corp. System for adapting heat shrinkable fibrous structures to particular uses
JPH0544524U (ja) * 1991-10-01 1993-06-15 株式会社ワコール 積層不織布、それを用いたクツシヨン材及び衣料用パツド材
JP3033421B2 (ja) * 1993-02-01 2000-04-17 東レ株式会社 衣料および積層布帛の製造方法
JP2705912B2 (ja) * 1995-03-09 1998-01-28 エヌ・イー・ティ株式会社 排水処理用の担体
JP3272233B2 (ja) * 1996-03-21 2002-04-08 株式会社ワコール 乳房カップ材、それを用いた乳房カップおよび乳房カップを有する衣類
US5855124A (en) 1997-06-26 1999-01-05 Guilford Mills, Inc. Moldable warp knitted fabric and method of forming a seamless molded fabric portion therefrom
AU2025900A (en) 1998-11-17 2000-06-05 Eldi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non-woven articles
JP3725721B2 (ja) * 1999-02-02 2005-12-14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補強用複合不織布
JP2003113573A (ja) * 2001-10-05 2003-04-18 Chisso Corp 弾性メルトブロー不織布及びこれを用いた繊維製品
JP2004300593A (ja) 2003-03-28 2004-10-28 Japan Vilene Co Ltd ブラジャーカップ用基材およびブラジャーカップ用成形体、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5219347A (ja) * 2004-02-05 2005-08-18 Shimizu So Kk 汗取り用生地とその製法並びにブラジャー用カップ基材
JP2007084954A (ja) * 2005-09-22 2007-04-05 Kuraray Co Ltd 積層体の乾熱収縮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た人工皮革の製造方法
JP2010023706A (ja) * 2008-07-22 2010-02-04 Toyota Motor Corp 車体構造
US8252705B2 (en) * 2009-03-24 2012-08-28 Nicolon Corporation Turf reinforcement erosion control m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63928A1 (en) 2012-10-18
JP2012218437A (ja) 2012-11-12
EP2508088A1 (en) 2012-10-10
CN102729535A (zh)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4173A (ko) 3차원으로 형상화된 텍스타일 요소 및 상기 요소의 제조 방법
CN105714475B (zh) 纹理化的热塑性无纺元件
TWI537443B (zh) 具有聚合物不織物的多軸防皺布
CA2525315C (en) Molded non-woven fabrics and methods of molding
CN106574410B (zh) 三维织物
US7264861B2 (en) Abrasion-resistant composites with in-situ activated matrix resin
US20080014817A1 (en) Abrasion-Resistant Composites with In-Situ Activated Matrix Resin
CZ285916B6 (cs) Teplem lepivý podklad obsahující rouno z vláken propletených s tvarovanými útkovými nitěmi, a zařízení pro jeho výrobu
De Araujo et al. Weft-knitted structure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BE1006069A3 (nl) Heterogene breistof omvattende metaalvezels.
JPH08501735A (ja) 三次元織物構造に基づく複合材料と複合構造
JP2001505631A (ja) ステッチボンド布及びその製造法
KR101441405B1 (ko) 세팅 인터라이닝
US20040192142A1 (en) Composite sheet suitable for use as artificial leather
JP4544958B2 (ja) 伸縮性及び圧縮復元性を有する立体構造経編地
KR20010041106A (ko) 의복 또는 의류 제품 보강용 텍스타일 지지체, 그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1737610B1 (ko) 신축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표면 몰딩 방법
JPH07197355A (ja) 複合不織布及びそれを用いた芯地
WO2014049390A1 (en) A textile assembly with air and water vapor permeable elastomeric coating
KR100743988B1 (ko) 인공 스웨이드 제조방법
Hua Fabric making technologies
JP2012193482A (ja) 繊維強化複合材料およびその成形体
JPH0340802A (ja) 補強用布帛体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5200796A (ja) 伸縮性、通気性を有する立体構造経編地
CN117026481A (zh) 一种横机防水保暖滑雪服面料及其编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