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2107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2107A
KR20120112107A KR1020120031122A KR20120031122A KR20120112107A KR 20120112107 A KR20120112107 A KR 20120112107A KR 1020120031122 A KR1020120031122 A KR 1020120031122A KR 20120031122 A KR20120031122 A KR 20120031122A KR 20120112107 A KR20120112107 A KR 20120112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roove
housing
solder
bottom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3655B1 (ko
Inventor
유카 오츠카
야스시 에비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2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8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comprising means for preventing flowing or wicking of solder or flux in parts not desir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83Linear camming means or pivoting lever for connectors for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01R13/62988Lever acting directly on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e.g. recess provided to this purposeon the surface or edge of the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과제] 플럭스 상승을 억제하고, 그 문제를 방지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전기 절연 재료로 제조되어 있으며 바닥벽 (12) 에서 회로 기판 (P) 상에 배치되는 하우징 (11) 과, 그 하우징에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 (20) 를 구비하고, 그 하우징은 그 하우징에 개구된 단자 유지 홈 (18) 이 상기 바닥벽을 따라 배열 형성되어 있고, 단자는, 상기 단자 유지 홈 (18) 에 삽입되고 땜납 접속부 (24) 가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로 기판 상의 대응 패드에 접속되도록 위치하고 있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11) 은, 그 바닥벽 (12) 의 하면에, 단자 (20) 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땜납 접속부 (24) 의 범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범위에서, 바닥벽 (12) 에 형성되고 상기 대응 패드 (P2) 에 근접 또는 연접하는 위치로부터 연장되는 홈부 (12A) 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홈부 (12A) 는 홈 바닥부에서 구석부 (12A-1) 를 이루고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고 단자 등이 회로 기판에 대해 땜납 접속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 1 의 커넥터는 하우징의 바닥벽에서 회로 기판 상에 재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그 하우징이 비교적 높이가 낮은 대략 직육면체 외형을 이루고, 그 하우징의 바닥벽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단자를 유지하고, 그 배열 방향 양단측에서는 고정 금구도 유지하고 있다. 단자 그리고 고정 금구는, 하우징의 뒷벽으로 개구되는 대응 삽입공에 삽입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은 회로 기판과 대면하는 바닥벽의 하면이 평탄면을 이루고 있고, 단자 그리고 고정 금구는 상기 배열 방향을 판 두께로 한 금속판의 판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제조되어 있다. 이들 단자 그리고 고정 금구는,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단자의 땜납 접속부 그리고 고정 금구의 땜납 고정부가 각각 하우징 밖에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어, 그들 하단 가장자리가 회로 기판의 대응 패드에 접면(接面)하여 땜납 접속 그리고 땜납 고정된다.
일본 특허공보 제4215265호
땜납 접속부 그리고 땜납 고정부의 땜납시에는 플럭스가 사용되어, 자주 플럭스 상승이 문제가 된다. 플럭스는 땜납보다 융점이 낮고, 점도가 낮은 점에서, 상기 땜납 접속부 그리고 땜납 고정부의 표면을 타고 상승하고, 하우징과의 간극에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더욱 상승하여 전자 부품 등에까지 도달하여, 접점 불량, 동작 불량과 같은 문제의 원인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특히, 고정 금구에서는 고정 강도를 얻기 위해서, 단자에 대해서 보다도 땜납을 많이 사용하는 관계로, 플럭스도 많고, 따라서 플럭스 상승이 발생하기 쉽다. 나아가서는, 커넥터의 사용자측에서 커넥터 제조자의 추장(推奬) 땜납량보다 많은 양으로 커넥터를 땜납 실장하는 경우도 있어, 이 경우에도 땜납량에 수반하여 플럭스량도 많아지므로, 플럭스 상승이 발생하기 쉽다.
특허문헌 1 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플럭스는 땜납 접속부 그리고 땜납 고정부의 표면으로부터, 근접하는 하우징의 바닥벽의 후단 가장자리로 약간의 양은 전달되고, 「젖음 현상」에 의해 그 바닥벽의 하면으로 이동하지만, 그 하면이 전면적으로 평탄면하기 때문에, 그 이동 범위는 상기 후단 가장자리 부근에 그쳐, 플럭스 상승을 일으킨 플럭스 대부분이 상기 하우징과의 간극을 상승시켜, 이미 서술한 문제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플럭스 상승을 최대한 억제하고, 그에 따른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과제는, 다음의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제 1 발명>
제 1 발명에서는, 단자의 땜납 접속부를 상승시키려고 하는 플럭스에 대해 유효하다.
제 1 발명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는, 전기 절연 재료로 제조되어 있으며 바닥벽에서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그 하우징은 그 하우징에 개구된 단자 유지 홈이 상기 바닥벽을 따라 배열 형성되어 있고, 단자는, 상기 단자 유지 홈에 삽입되고 땜납 접속부가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로 기판 상의 대응 땜납 회로부에 접속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은, 그 바닥벽의 하면에, 단자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땜납 접속부의 범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범위에서, 바닥벽에 형성되고 상기 대응 땜납 회로부에 근접 또는 연접하는 위치로부터 연장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홈부는 홈 바닥부에서 구석부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가 그 땜납 접속부에서 회로 기판의 대응 땜납 회로부에 땜납 접속될 때, 땜납 접속부로부터 상승하는 플럭스는, 하우징과 단자 사이의 간극에 이르기 전에 하우징의 바닥벽의 하면에 형성된 홈부 근방에 도달하여, 그 홈부 입구를 적시게 된다. 이 젖음 플럭스는, 홈부 구석부에서 표면 장력에 의해 필렛상의 고임부를 형성하면서 홈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이 필렛상의 플럭스의 고임부가 형성 그리고 진행됨으로써, 땜납 접속부를 상승시키는 플럭스 대부분이 흡인되고, 그 결과, 상기 홈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간극으로의 플럭스 진입량은 0 이 되거나 또는 격감한다. 이렇게 하여, 플럭스 상승에 의한 문제가 회피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자는, 배열 방향을 판 두께 방향으로 하는 판상을 이루고 있는 형태로 할 수 있고, 그 경우, 단자의 땜납 접속부가, 바닥벽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홈부 내로 진입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하면, 땜납 접속부를 상승하는 플럭스는, 홈부 내의 땜납 접속부의 부분과 홈부 내면 사이를 모세관 현상에 의해 용이하게 비집고 들어가 홈 안으로 인도되어 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커넥터는, 단자에 더하여, 하우징에 형성된 금구 유지 홈에 삽입된 고정 금구도 갖고 있도록 할 수 있다.
<제 2 발명>
제 2 발명에서는, 커넥터가 단자에 더하여 고정 금구도 갖고 있는 경우, 그 고정 금구의 땜납 고정부를 상승시키려고 하는 플럭스에 대해 유효하고, 또 형태에 따라서는, 추가로 제 1 발명의 경우와 같이 단자의 땜납 접속부를 상승시키려고 하는 플럭스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제 2 발명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는, 전기 절연 재료로 제조되어 있으며 바닥벽에서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 또는 그 단자에 더하여 고정 금구를 구비하고, 그 하우징은 그 하우징에 개구되어 바닥벽을 따라 배열된 단자 유지 홈 또는 그 단자 유지 홈에 더하여 단자 배열 범위 밖에서 금구 유지 홈이 형성되어 있고, 단자 및 고정 금구는, 상기 단자 유지 홈 및 금구 유지 홈에 삽입되고 땜납 접속부 및 땜납 고정부 각각이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로 기판 상의 대응 땜납 회로부에 접속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은, 그 바닥벽의 하면에, 상기 고정 금구의 땜납 고정부의 범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범위에서, 바닥벽의 하면에서 상기 대응 땜납 회로부에 근접 또는 연접하는 위치로부터 연장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홈부는 홈 바닥부에서 구석부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발명에 있어서의 단자의 땜납 접속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정 금구의 땜납 고정부의 면을 따라 상승하는 플럭스는, 하우징과 고정 금구 사이의 간극에 이르기 전에 상기 홈부에 도입되어, 홈부의 구석부에서 필렛상을 이루며 진행된다. 이렇게 하여, 플럭스는 상기 간극으로는 거의 진입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은, 그 바닥벽의 하면에, 단자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그 단자의 땜납 접속부의 범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범위에서도, 대응 땜납 회로부에 근접 또는 연접하는 위치로부터 연장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고정 금구의 땜납 고정부뿐만 아니라, 제 1 발명과 동일한 요령으로 단자의 땜납 접속부에 있어서의 플럭스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대응 땜납 회로부에 연접하는 위치에까지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플럭스는 대응 땜납 회로부로부터 직접 홈부로 인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자 및 고정 금구 중 적어도 단자는, 단자의 배열 방향을 판 두께 방향으로 하는 판상을 이루고 있는 형태로 할 수 있고, 그 경우, 단자의 땜납 접속부 그리고 고정 금구의 땜납 고정부의 일부가, 바닥벽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홈부 내로 진입하고 있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하면, 땜납 접속부 그리고 땜납 고정부를 상승하는 플럭스는, 홈부 내의 땜납 접속부 그리고 땜납 고정부의 부분과 홈부 내면 사이를 각각 모세관 현상에 의해 용이하게 비집고 들어가 홈 안으로 인도되어 간다. 이것은, 제 1 발명에 있어서의 동일한 형태의 땜납 접속부의 경우와 동일하다.
<제 1 발명 그리고 제 2 발명에 있어서의 홈부의 형태>
제 1 발명 그리고 제 2 발명에 있어서 홈부 자체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할 수 있다.
?홈부는 하우징의 바닥벽의 끝 가장자리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홈부는 하우징의 바닥벽의 끝 가장자리에 대해 경각(傾角)을 갖고 연장되어 있다.
?홈부는, 경각이 2 종 혼재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격자상을 이루며 연장되어 있다.
?홈부는, 커넥터가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었을 때에,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의 범위 내에서부터 범위 밖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대응 회로부에 부착된 플럭스도 홈부로 빨아올릴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회로 기판에 형성된 패드, 스루홀 등, 커넥터의 단자가 땜납 접속되기 위한 회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하우징의 바닥벽의 하면에 그 바닥벽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홈부를 형성하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단자의 땜납 접속부나 고정 금구의 땜납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가 홈부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했기 때문에, 상기 후단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상기 땜납 접속부나 땜납 고정부의 표면을 타고 상승하는 플럭스는, 하우징의 간극보다 앞쪽에 위치하는 홈부로 인도되고, 표면 장력에 의해 홈부의 구석부에 필렛상의 젖음 고임부를 형성하면서 대부분의 플럭스를 홈부 전방으로 진행시키는 결과, 하우징의 간극으로의 플럭스 진입량은 없어지거나 또는 격감하고, 또한 상승하여 전자 부품에까지 도달하는 플럭스는 없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A) 는 단자 위치, (B) 는 고정 금구 위치에서의 도면이다.
도 4 의 (A) 는 단자에 대응하여 형성된 홈부의 확대 사시도, 도 4 의 (B) 는 홈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는 고정 금구에 대응하여 형성된 홈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홈부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홈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는,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고 단자 그리고 고정 금구가 회로 기판의 패드에 땜납 접속 그리고 땜납 고정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도 1 은 이 커넥터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2 는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3 은 그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A) 는 단자 위치, (B) 는 고정 금구 위치에서 단면되어 있고, 도 4 및 도 5 는 하우징의 바닥벽 하면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4 는 땜납 접속부측 (도 2 와는 반대측) 에서, 도 5 는 고정 금구의 땜납 고정부측 (도 2 와 동일측) 에서 본 도면이다.
도 1, 2 에 도시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커넥터 (1) (이하 「커넥터 (1)」라고 한다) 는, 회로 기판 (P) (도 3 참조) 에 배치되고 후방 (도 1 에서 좌상방) 으로부터 평형 도체 (도시하지 않음) 가 접속되는 고속 전송용 커넥터이고, 도 1 과 같이, 커넥터 본체 (10) 와 그 커넥터 본체 (10) 에 지지되며 회동(回動)할 수 있는 가동 부재 (40) 를 갖고 있다. 가동 부재 (40) 는, 평형 도체를 커넥터 본체 (10) 에 후방에서부터 전방을 향하여 삽입할 수 있게 하는 열림 위치와, 삽입된 평형 도체를 가압하는 닫힘 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 ? 3 에서는, 가동 부재 (40) 는 닫힘 위치에 있으며 수평 자세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 (1) 의 외형이 대략 직육면체로 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 (10) 는, 전기 절연 재료로 제조된 하우징 (11) 과, 그 하우징 (11) 에 의해 유지된 단자 (20) 와 고정 금구 (30) 를 갖고 있다. 단자 (20) 는, 하우징 (11) 의 길이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그 하우징 (11) 에 의해 복수 유지되어 있고, 또한, 고정 금구 (30) 는 이들 복수의 단자 (20) 의 배열 범위의 양 외측에 위치하여 유지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11) 은,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고 그 회로 기판과 대면하는 바닥벽 (12) 과, 단자 배열 방향에서 양단에 위치하며 상기 바닥벽 (12) 으로부터 세워지는 측벽 (13) 과, 앞쪽 부분에 위치하는 앞벽 (14) 과, 그 앞벽 (14) 의 상부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벽 (15) 을 일체로 갖고 있다. 또,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우징 (11) 의 후반부에는, 상기 바닥벽 (12) 보다 상방으로, 양방의 측벽 (13) 사이에, 상방 그리고 후방으로 개방된 개구부 (16) 가 형성되어 있다. 그 개구부 (16) 는, 평형 도체를 삽입하기 위한 도입부로서, 그리고 상기 서술한 가동 부재 (40) 의 배치와 가동을 위한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하우징 (11) 에는, 상기 서술한 측벽 (13) 의 내면을 따라, 금속판으로 제조된 고정 금구 (30) 를 위한 금구 유지 홈 (17) 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고정 금구 (30) 가 후방으로부터 장착되어 있다. 그 고정 금구 (30) 는, 도 3 의 (B) 와 같이,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유지한 채로, 그 금속판을 타발(打拔)하여 제조되어 있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 형상부 (31) 와, 그 후단에서 그 아암 형상부 (31) 에 평행하고 전방으로 연장되는 땜납 고정부 (32) 를 갖고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 (11) 의 후반부 (도 3 의 (A), (B) 에서 좌반부) 에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 (16) 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우징 (11) 의 전반부 (도 3 의 (B) 에서 우반부) 에, 상하 방향에서 상벽 (15) 과 바닥벽 (12) 사이에서 전후로 관통하여 상기 금구 유지 홈 (17) 이 형성되어 있다. 그 금구 유지 홈 (17) 에는, 상기 고정 금구 (30) 의 아암 형상부 (31) 가 삽입되는데, 그 아암 형상부 (31) 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걸림 돌기 (31A) 가 형성되어 있어, 이 걸림 돌기 (31A) 가 금구 유지 홈 (17) 의 상면으로 파고들어가, 고정 금구 (30) 의 빠짐 방지가 이루어진다. 또, 상기 아암 형상부 (31) 의 하측 가장자리와 상기 땜납 고정부 (32) 의 상측 가장자리 사이에 하우징 (11) 의 바닥벽 (12) 을 끼워 고정 금구 (30) 의 하우징 (11) 으로의 고정이 도모된다. 그 땜납 고정부 (32) 는, 하우징 (11) 의 바닥벽 (12) 의 하면으로부터 약간 하방으로 나와 있어, 회로 기판 (P) 의 대응 땜납 회로부로서의 대응 패드 (이하, 「대응 패드」라고 한다) (P1) 와 땜납 고정되어 하우징 (11) 의 고정에 도움이 되게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의 (B) 와 같이, 그 땜납 고정부 (32) 는 그 대응 패드 (P1) 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
하우징 (11) 은, 상기 양방의 측벽 (13) 각각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금구 유지 홈 (17) 끼리 사이에는, 단자 (20) 를 수납하여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 유지 홈 (18) 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 형성되어 있다. 단자 (20) 는, 상기 서술한 고정 금구 (30) 와 마찬가지로,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유지하여 제조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단자 유지 홈 (18) 도 그 판 두께에 적합한 슬릿상의 홈으로 되어 있다. 이 단자 유지 홈 (18) 은, 도 3 의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紙面)에 직각인 방향으로, 상기 단자 (20) 의 판 두께에 상당하는 홈 폭으로 복수 배열 형성되어, 전후 방향 (도 3 의 (A) 에서 좌우 방향) 으로 관통하고 있다.
상기 단자 유지 홈 (18) 은, 하우징 (11) 의 전반부에 위치하는 상벽 (15) 과 바닥벽 (12) 사이에서 앞벽 (14) 을 전후로 관통하고 있음과 함께, 개구부 (16) 가 형성되어 있는 후반부에 있어서의 상기 바닥벽 (12) 의 상면에까지 이르고 있어, 그 개구부 (16) 와 관통하고 있다.
상기 단자 유지 홈 (18) 에 의해 유지되는 단자 (20) 는, 가동 부재 (40) 를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단자로서, 도 3 의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자 (20) 는, 하측 아암부 (21) 와, 그 하측 아암부 (21) 의 상방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아암부 (22) 와, 상기 하측 아암부 (21) 및 상측 아암부 (22) 의 전단부(前端部)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 (23) 와, 그 연결부 (23) 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땜납 접속부 (24) 를 갖고 있다. 그 땜납 접속부 (24) 는, 그 하측 가장자리가 회로 기판의 대응 패드 (P2) 에 접면하고 그 대응 패드 (P2) 의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하측 아암부 (21) 는, 후단에 돌기상의 접촉부 (21A) 를 갖고 있다. 그 하측 아암부 (21) 는 비교적 폭이 좁고, 뒷쪽 부분에서 바닥벽 (12) 의 상면 사이의 간극만큼 탄성 휨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 (23) 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상기 상측 아암부 (22) 는, 이러한 연결부 (23) 의 상단에서부터 후방을 향하여 상기 하측 아암부 (21) 와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그 상측 아암부 (22) 는 후방으로 연장되고, 후단측의 하측 가장자리에 오목 만곡상의 지지부 (22B)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그 상측 아암부 (22) 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벽 (15) 으로 형성되는 단자 유지 홈 (18) 의 홈 상면과 걸리는 2 개의 걸림 돌기 (22A) 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측 아암부 (22) 는, 그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하측 아암부 (21) 에 비하여 폭 (도면에서 상하 방향 치수) 이 넓고 고강성으로 제조되어 있다.
가동 부재 (40) 는, 하우징 (11) 과 동일한 전기 절연 재료로 제조되어 있고, 도 1 그리고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우징 (11) 의 양측벽 (13) 간에 걸친 폭을 갖고 있으며, 하우징 (11) 의 개구부 (16) 에 배치되어 있다. 그 가동 부재 (40) 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를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닫힘 위치는, 도 3 의 (A),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가 수평 자세에 있을 때이고, 열림 위치는, 가동 부재 (40) 가 단자 (20) 의 상측 아암부 (22) 의 지지부 (22B) 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그 지지부 (22B) 의 중심 둘레로 도 3 의 (A), (B) 의 자세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거의 90°회동한 수직 자세가 되었을 때이다. 이러한 가동 부재 (40) 는, 닫힘 위치에서 도 3 의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 (지면에 직각 방향) 으로 단자 (20)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우측부가 되는 부분에 슬릿 홈부 (41)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슬릿 홈부 (41) 는, 도 3 의 (A) 에서 상하로 관통하고 있고, 우단(右端) 위치에 슬릿 홈부 (41) 의 대향 (지면에 직각인 방향에서의 대향) 홈 내면끼리를 연결하는 축부 (42)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축부 (42) 는, 대략 원형의 둘레면을 갖고, 상기 단자 (20) 의 상측 아암부 (22) 에 오목 만곡상으로 형성된 지지부 (22B) 내에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가동 부재 (40) 는, 그 폭 방향 (단자 배열 방향) 양단에서도, 도시하지 않은 축부에서 하우징에 의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가동 부재 (40) 는, 도 3 의 (A), (B) 에서, 슬릿 홈부 (41)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좌측부는 조작부 (43) 를 형성하고, 도 3 의 수평 자세가 되는 닫힘 위치에서는, 하우징 (11) 의 상벽 (15) 과 동일 레벨 위치에 있지만, 수직 자세가 되는 열림 위치에 있어서는, 그 상벽 (15) 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게 된다. 가동 부재 (40) 는, 이 조작부 (43) 에서, 조작력을 받아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를 회동 이동한다.
상기 가동 부재 (40) 는, 도 3 의 (A) 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에 있어서의 우단 하변부로부터 조작부 (43) 에 걸친 하면이, 그 닫힘 위치에서 평형 도체 (도시 생략) 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형성한다.
하우징 (11) 의 바닥벽 (12) 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면에 홈부 (12A, 12B) 가 형성되어 있다. 그 홈부 (12A) 그리고 홈부 (12B) 는,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 각각 각 단자 (20) 그리고 각 고정 금구 (30)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 (12A) 는, 전방에 위치하는 단자 (20) 의 땜납 접속부 (24) 에 근접하는 바닥벽 (12) 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중간부에까지 이르고 있다. 이 홈부 (12A) 는 상기 바닥벽 (12) 의 전단 가장자리에 대해 직각인 방향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어, 도 4 의 (B) 와 같이, 그 단면은 홈 바닥부에서 구석부 (12A-1) 를 갖도록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 홈부 (12B) 는, 후방에 위치하는 고정 금구 (30) 의 땜납 고정부 (32) 의 전단 위치에서부너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11) 의 바닥벽 (12) 의 하면은, 단자 배열 방향에서 상기 고정 금구 (30) 가 위치하는 영역이, 단자 (20) 의 배열 범위보다 단차를 형성하여 내려앉아 있으며, 상기 영역에 단자의 배열 영역보다 낮은 레벨이 되는 돌출량을 가진 2 개의 평행한 돌조(突條)부 (12C) 를 형성함으로써, 양 돌조부 (12C) 간에 상기 홈부 (12B) 를 형성하고 있다. 이 홈부 (12B) 는, 도 5 에서도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 금구 (30) 의 판 두께와 동일한 홈 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홈부 (12A) 보다 홈 폭이 넓다. 그 홈부 (12B) 는, 바꾸어 말하면, 상기 돌조부 (12C) 는, 전후 방향에서, 상기 고정 금구 (30) 의 땜납 고정부 (32) 의 전단측의 일부를 포함하는 위치에서부터 바닥벽 (12) 의 전단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 홈부 (12B) 는, 바닥벽 (12) 의 전단 가장자리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 그 홈 바닥부가 구석부를 갖고 있는 것은 상기 홈부 (12A) 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고정 금구 (30) 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아암 형상부 (31) 가 하우징 (11) 의 금구 유지 홈 (17) 에 삽입됨으로써 그 하우징 (11) 에 의해 유지되지만, 그것과 동시에, 고정 금구 (30) 의 아암 형상의 땜납 고정부 (32) 가 하우징 (11) 의 바닥벽 (12) 의 하면에서 상기 홈부 (12B) 로 진입하기 때문에, 고정 금구 (30) 의 장착 삽입시에 그 홈부 (12B) 에 의해 안내됨과 함께, 상기 아암 형상부 (31) 와 땜납 고정부 (32) 사이에 바닥벽 (12) 을 끼우게 되어, 장착의 강도 향상, 위치의 확보에 공헌한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1) 는, 도 3 의 (A),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20) 가 그 땜납 접속부 (24) 에 의해 회로 기판 (P) 의 대응 패드 (P2) 의 범위에서 그 대응 패드 (P2) 와 땜납 접속 (땜납 (W2) 참조) 된다. 땜납시에, 땜납 자체보다 융점이 낮은 플럭스는, 그 유동성과 점성에 의해 상기 대응 패드 (P2) 로부터 땜납 접속부 (24) 의 면을 상승시킨다. 그러나, 플럭스는 땜납 접속부 (24) 의 상측 가장자리에 도달하기 전에, 그 하방의 위치에서, 하우징 (11) 의 바닥벽 (12) 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홈부 (12A) 의 앞 가장자리쪽 입구 부분에서 그 홈부 (12A) 로 진입하고, 홈부 (12A) 내에서 플럭스의 고임부를 형성한다. 이 고임부는, 도 4 의 (B) 와 같이, 홈부 (12A) 의 홈 바닥부에 있어서의 구석부 (12A-1) 에서 플럭스의 표면 장력에 의해 필렛상 (도 4 의 (B) 에서의 부호 F 참조) 으로 부착되어 비교적 큰 양이 된다. 그런 연후에, 플럭스의 고임부는 홈부 (12A) 를 후방으로 진행시켜 그 범위를 늘린다. 따라서, 땜납 접속부 (24) 를 상승시키려고 하는 대부분의 플럭스는 상기 홈부 (12A) 안으로 인도되게 되어, 상기 땜납 접속부 (24) 의 상측 가장자리에까지 도달하는 경우는 없어진다. 그 결과, 플럭스가 단자 (20) 의 접촉부 (21A) 에까지 도달하는 경우도 없어, 플럭스 상승에 의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는 없다.
한편, 고정 금구 (30) 는, 그 땜납 접속부 (32) 에 의해 회로 기판 (P) 의 대응 패드 (P1) 의 범위에서 그 대응 패드 (P1) 와 땜납 접속 (땜납 (W1) 참조) 된다. 그 때, 단자 (20)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플럭스는 상기 땜납 고정부 (32) 의 면을 상승시키지만, 땜납 고정부 (32) 의 전단부가 상기 홈부 (12B) 내에 이르고 있기 때문에, 플럭스는 그 전단부와 홈부 (12B) 의 내면 사이의 작은 간극에, 모세관 현상에 의해 진입한다. 이 간극으로 흡인된 플럭스는, 그 앞쪽으로 계속된 홈부 (12B) 로 진행하고, 홈부 (12A) 에 있어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홈부 (12B) 를 더욱 앞쪽, 즉 전방으로 진행한다. 이렇게 하여, 대부분의 플럭스는 이 홈부 (12B) 에서 고임부를 형성하면서 홈부 (12B) 로 인도되어, 단자 (20)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플럭스 상승에 의한 문제는 회피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 (11) 의 바닥벽 (12) 의 상측에 단자 유지 홈 (18) 그리고 금구 유지 홈 (17) 이 배열 형성되어 있지만, 바닥벽 (12) 의 하측 (하면) 에 홈부 (12A, 12B) 가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의 몰드 성형시 등, 바닥벽 (12) 에서의 상측이 오목상이 되는 만곡 경향이 해소 또는 감소된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 그리고 설명한 홈부의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5 에 나타낸 형태에서는, 단자 (20) 의 땜납 접속부 (24) 와 고정 금구 (30) 의 땜납 고정부 (32) 에 근접하는 위치로부터 연장되는 홈부 (12A, 12B) 는, 하우징 (11) 의 바닥벽 (12) 의 전단 가장자리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었지만, 도 6 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도 2 내지 도 5 의 홈부 (12A) 가 연장되는 방향 X 에 대해, 각도 θ 만큼 경각을 갖고 홈부 (12A') 가 연장되어 있다. 이 경각을 가짐으로써, 하우징 (11) 의 바닥벽 (12) 의 전후 방향의 치수가 작은 커넥터라도, 배열 방향 단부에 있어서의 홈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홈부 (12A') 의 길이를 크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의 형태에서는, 도 6 의 상기 방향 X 에 대해 양방의 측에 서로 반대의 경각을 갖고 연장되고, 홈부 (12A") 가 전체적으로 격자상을 이루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단자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단부에 위치하는 홈부에서도 충분히 그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각은, 단자의 땜납 접속부에 근접하는 홈부뿐만 아니라, 고정 금구의 땜납 고정부에 근접하는 홈부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홈부는, 상기 땜납 접속부 또는 땜납 고정부에 근접하고 있거나 또는 그것들 일부의 진입을 허용하고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홈부는, 땜납 접속부 또는 땜납 고정부가 위치하는 회로 기판의 대응 패드에 근접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대응 패드의 범위에까지 진입하여 연접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대응 패드의 범위에까지 진입하여 연접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럭스는 땜납 접속부 또는 땜납 고정부를 거쳐 홈부로 진입할 뿐만 아니라, 대응 패드로부터도 직접 홈부로 인도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만이고 고정 금구를 갖지 않는 커넥터에도, 양자를 갖는 커넥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고, 그 경우, 홈부를 양자 중 어느 일방을 위하여 형성해도 되고, 양자를 위하여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은, 도시한 종류의 커넥터에 한정되지 않고, 회로 기판에 땜납 장착되는 커넥터라면,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 개의 회로 기판 각각에 커넥터가 땜납 장착되고, 서로 끼워맞춰 회로 기판끼리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여도 된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바닥벽의 하면에 형성되는 홈부는 그 단면이 직사각 형상이 아니라도 삼각 형상, 예를 들어 V 홈이라 하더라도, 구석부를 갖고 있으면 된다.
1 : 커넥터 20 : 단자
11 : 하우징 24 : 땜납 접속부
12 : 바닥벽 30 : 고정 금구
12A, 12', 12" : 홈부 32 : 땜납 고정부
12A-1 : 구석부 P : 회로 기판
17 : 금구 유지 홈 P1, P2 : 대응 패드
18 : 단자 유지 홈

Claims (12)

  1. 전기 절연 재료로 제조되어 있으며 바닥벽에서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에 개구된 단자 유지 홈이 상기 바닥벽을 따라 배열 형성되어 있고, 단자는, 상기 단자 유지 홈에 삽입되고 땜납 접속부가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로 기판 상의 대응 땜납 회로부에 접속되도록 위치하고 있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바닥벽의 하면에, 단자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땜납 접속부의 범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범위에서, 바닥벽에 형성되고 상기 대응 땜납 회로부에 근접 또는 연접하는 위치로부터 연장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부는 홈 바닥부에서 구석부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단자는, 배열 방향을 판 두께 방향으로 하는 판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단자의 땜납 접속부가, 바닥벽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홈부 내로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는, 단자에 더하여, 하우징에 형성된 금구 유지 홈에 삽입된 고정 금구도 갖고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전기 절연 재료로 제조되어 있으며 바닥벽에서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 또는 상기 단자에 더하여 고정 금구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에 개구되어 바닥벽을 따라 배열된 단자 유지 홈 또는 상기 단자 유지 홈에 더하여 단자 배열 범위 밖에서 금구 유지 홈이 형성되어 있고, 단자 및 고정 금구는, 상기 단자 유지 홈 및 금구 유지 홈에 삽입되고 땜납 접속부 및 땜납 고정부 각각이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로 기판 상의 대응 땜납 회로부에 접속되도록 위치하고 있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바닥벽의 하면에, 상기 고정 금구의 땜납 고정부의 범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범위에서, 바닥벽의 하면에서 상기 대응 땜납 회로부에 근접 또는 연접하는 위치로부터 연장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는 홈 바닥부에서 구석부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상기 바닥벽의 하면에, 단자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땜납 접속부의 범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범위에서도, 대응 땜납 회로부에 근접 또는 연접하는 위치로부터 연장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단자 및 고정 금구 중 적어도 단자는, 단자의 배열 방향을 판 두께 방향으로 하는 판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단자의 땜납 접속부 그리고 고정 금구의 땜납 고정부의 일부가, 바닥벽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홈부 내로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 1 항, 제 3 항, 제 5 항, 제 6 항 및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홈부는 하우징의 바닥벽의 끝 가장자리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 1 항, 제 3 항, 제 5 항, 제 6 항 및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홈부는 하우징의 바닥벽의 끝 가장자리에 대해 경각을 갖고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홈부는, 경각이 2 종 혼재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격자상을 이루며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2. 제 1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홈부는, 커넥터가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었을 때에,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의 범위 내에서부터 범위 밖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20031122A 2011-03-31 2012-03-27 전기 커넥터 KR101463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79208 2011-03-31
JP2011079208A JP5349522B2 (ja) 2011-03-31 2011-03-31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107A true KR20120112107A (ko) 2012-10-11
KR101463655B1 KR101463655B1 (ko) 2014-11-19

Family

ID=4699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122A KR101463655B1 (ko) 2011-03-31 2012-03-27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349522B2 (ko)
KR (1) KR101463655B1 (ko)
CN (1) CN102738636B (ko)
TW (1) TWI50021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5282A (ko) * 2018-06-28 2021-01-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전자기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49433B (zh) 2015-06-01 2018-03-0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7072U (ko) * 1988-03-15 1989-09-19
JP2005327519A (ja) * 2004-05-13 2005-11-24 Staf Corp 電子部品、可動型同軸コネクタ及びそれを使用した電子機器
JP4215265B2 (ja) * 2006-04-28 2009-01-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及び平型導体付き電気コネクタ
TWM348354U (en) * 2008-04-21 2009-01-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ard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5282A (ko) * 2018-06-28 2021-01-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전자기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01668A (zh) 2013-01-01
KR101463655B1 (ko) 2014-11-19
JP2012216317A (ja) 2012-11-08
CN102738636A (zh) 2012-10-17
CN102738636B (zh) 2015-08-19
TWI500215B (zh) 2015-09-11
JP5349522B2 (ja)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4441B2 (ja) 電気コネクタ
JP5720408B2 (ja)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JP5979407B2 (ja)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US20110287666A1 (en) Anti-wicking terminal and connector
TW201421820A (zh) 低剖面背板連接器
US8915760B2 (en) Surface mount clip
JP5548308B2 (ja) コネクタ
JP2010238371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517488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3131422A (ja) 接続部品
JP6192567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KR20120112107A (ko) 전기 커넥터
WO2020050028A1 (ja) コネクタ
JP5679548B2 (ja) 回路基板に実装する部品の固定金具
JP2017157718A (ja) 電気回路用部品
KR102504222B1 (ko) Imt와 smt가 겸용 가능한 커넥터
JP2011090856A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21057203A (ja) 基板用コネクタ及び固定部材
JP2020170661A (ja) コネクタ
JP6192568B2 (ja) コネクタ
JP5763939B2 (ja) コネクタ固定構造
JP2013168312A (ja) 基板用端子金具
JP6744370B2 (ja) 基板実装型コネクタ
JP2024013564A (ja) 電気コネクタ、電気コネクタ連結体、ユニットおよびユニット連結体
TWM552687U (zh) 金屬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