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5282A - 커넥터 및 전자기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전자기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5282A
KR20210005282A KR1020207036301A KR20207036301A KR20210005282A KR 20210005282 A KR20210005282 A KR 20210005282A KR 1020207036301 A KR1020207036301 A KR 1020207036301A KR 20207036301 A KR20207036301 A KR 20207036301A KR 20210005282 A KR20210005282 A KR 20210005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housing
electronic device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6121B1 (ko
Inventor
게이스케 다다
요시나오 다테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05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2Intermediate parts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in parallel, e.g. spli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커넥터(10)는, 제1 하우징(12)과, 제1 하우징(12)의 전자기기측과는 반대측에 장착되는 제2 하우징(13)을 구비한다. 커넥터(10)는, 제2 하우징(13)의 전자기기측과는 반대측이 되는 영역에 마련되는 제1 단자인 단자(13d1)와, 제2 하우징(13)의 전자기기측과는 반대측이 되는 영역에 마련되고, 제1 단자의 옆에 마련되는 제2 단자인 단자(13d2)를 구비한다. 커넥터(10)는, 제2 하우징(13)의 전자기기측과는 반대측이 되는 영역에 마련되고, 제1 단자와 제2 단자와의 배열 방향을 따라서, 제2 단자의 옆에 마련되는 제3 단자인 단자(13d3)를 구비한다. 커넥터(10)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아울러,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제1 기기측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접속 도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전자기기 시스템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커넥터 및 해당 커넥터가 마련되는 복수의 전자기기를 구비한 전자기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접하도록 늘어놓여진 복수의 전자기기를 구비한 전자기기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이 동종의 신호를 공용하는 경우, 인접하는 2개의 전자기기 각각에 마련되는 기기측 도체끼리가 트랜지션 배선(transition wiring)을 이용하여 염주 이음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전자기기의 접속 방법은 데이지 체인(daisy chain) 접속으로 불린다. 복수의 전자기기를 데이지 체인 접속하는 경우, 기기측 도체에의 트랜지션 배선의 접속과 기기측 도체에 접속된 트랜지션 배선의 떼어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트랜지션 배선용 커넥터를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마련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비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트랜지션 배선용 커넥터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전자기기측을 향하는 영역과는 반대측이 되는 영역에 마련되는 제1 단자 내지 제4 단자를 구비한다. 제2 단자는, 제1 단자의 옆에 마련된다. 제3 단자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의 배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제1 단자의 옆에 마련된다. 제4 단자는, 해당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제2 단자 및 제3 단자의 옆에 마련된다.
또 하우징은, 접속 도체를 구비한다. 접속 도체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아울러,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기기측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체이다. 접속 도체는, 기기측 도체로부터 제1 단자 및 제2 단자로 향해 신장되는 1개의 도체의 선단이 두 갈래로 분기된 형상을 가진다.
제1 단자에 제1 트랜지션 배선이 접속되고, 제2 단자에 제1 트랜지션 배선이 접속되는 것에 의해서, 제1 트랜지션 배선과 제2 트랜지션 배선은, 접속 도체에 의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비특허문헌 1 : 피닉스콘택트 제품 카탈로그 「프린트 기판용 단자대·커넥터」2017/2018년 인터넷〈URL:https://www.phoenixcontact.com/assets/downloads_ed/global/web_dwl_promotion/CAT_7_2017_JA_LoRes.pdf〉P349 TSPC5/..-/ST 시리즈
그렇지만, 비특허문헌 1의 커넥터가 전자기기에 이용된 경우, 제1 내지 제4 단자를 커넥터로부터 전자기기를 향해 평면에서 봤을 때에, 하우징에는 2열 2행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단자가 마련되는 형태가 된다. 그 때문에, 접속 도체에 의해 접속되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배열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형태가 되고, 해당 배열 방향의 하우징의 폭은, 해당 배열 방향의 전자기기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진다. 따라서, 인접하는 2개의 전자기기의 사이의 간극에, 해당 배열 방향의 하우징의 선단이 돌출되는 형태가 되고, 전자기기에 마련된 커넥터의 하우징이, 해당 전자기기에 인접하는 다른 전자기기에 간섭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는 해당 간극을 넓히지 않으면 안되며, 해당 간극을 넓히는 것에 의해서 해당 간극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시스템 전체의 크기가 커진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복수의 전자기기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시스템 전체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커넥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제1 하우징과, 제1 하우징의 전자기기측과는 반대측에 장착되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한다. 제2 하우징 내에, 전자기기측을 향하는 영역과는 반대측이 되는 영역에 마련되는 제1 단자와, 반대측이 되는 영역에 마련되고, 제1 단자의 옆에 마련되는 제2 단자를 구비한다. 커넥터는, 반대측이 되는 영역에 마련되고, 제1 단자와 제2 단자와의 배열 방향을 따라서, 제2 단자의 옆에 마련되는 제3 단자를 구비한다. 커넥터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아울러,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제1 기기측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접속 도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복수의 전자기기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시스템 전체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기기 시스템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전자기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IV-IV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관한 커넥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VI-VI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관한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나타내는 제1 하우징에, 트랜지션 배선에 대응하고 있지 않는 제2 하우징을 접속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 및 전자기기 시스템을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기기 시스템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전자기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복수의 전자기기(1, 2, 3) 중, 전자기기(1)와, 전자기기(1)에 접속되는 커넥터(10)가 나타내어진다.
도 1에 나타내는 전자기기 시스템(100)은, 복수의 전자기기(1, 2, 3)와, 전자기기(1)에 마련되는 커넥터(10)와, 전자기기(2)에 마련되는 커넥터(20)와, 전자기기(3)에 마련되는 커넥터(30)와, 3개의 트랜지션 배선(transition wiring)(a11, a12, a13)과, 3개의 트랜지션 배선(a21, a22, a23)과, 3개의 트랜지션 배선(a31, a32, a33)을 구비한다. 전자기기(1)는 제1 전자기기이며, 전자기기(1)에는 커넥터(10)가 제1 커넥터로서 마련된다. 전자기기(2)는 제2 전자기기이며, 전자기기(2)에는 커넥터(20)가 제2 커넥터로서 마련된다. 전자기기(3)는 제3 전자기기이며, 전자기기(3)에는 커넥터(30)가 제3 커넥터로서 마련된다. 전자기기(2)는 전자기기(1)의 옆에 배치되고, 전자기기(3)는 전자기기(2)의 제1 전자기기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복수의 전자기기(1, 2, 3) 각각은, 예를 들면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 서보 모터를 제어하는 서보 앰프 등이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기기의 수가 3개이지만, 트랜지션 배선을 이용하여 적어도 2개의 전자기기가 접속되면 되며, 전자기기의 수는 2 이상이면 된다.
도 1에서는, 좌향(left-handed) XYZ 좌표에서, 복수의 전자기기(1, 2, 3)의 가로폭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복수의 전자기기(1, 2, 3)의 깊이 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하고, 복수의 전자기기(1, 2, 3)의 세로폭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한다. Z축 방향은, 복수의 전자기기(1, 2, 3)의 배열 방향과 동일하다. 상기의 각 축 방향은, 도 2 이후의 각 도면에서도 동일하게 한다.
3개의 트랜지션 배선(a11, a12, a13) 각각은, 예를 들면 복수의 전자기기(1, 2, 3)에서 공용되는 신호를 생성하는 기기와, 커넥터(10)를 접속한다.
3개의 트랜지션 배선(a21, a22, a23) 각각은, 커넥터(10)와 커넥터(20)를 접속한다.
3개의 트랜지션 배선(a31, a32, a33) 각각은, 커넥터(20)와 커넥터(30)를 접속한다.
전자기기(1)에 마련되는 커넥터(10)는, 전자기기(1)의 Y축 방향의 일방의 단면(端面)(1a)에 형성되는 커넥터 삽입구(1b)에 삽입되는 제1 하우징(12)과, 제1 하우징(12) 내에, 전자기기(1)측과는 반대측에 마련되는 제2 하우징(13)을 구비한다. 제1 하우징(12) 및 제2 하우징(13)은, 커넥터(10)의 엔클로저(enclosure)이며, 전자기기(1)에 장착된다.
커넥터 삽입구(1b)는, 전자기기(1)의 단면(1a)으로부터 Y축 방향을 향해 움푹 패인 리세스(recess)이다. 커넥터 삽입구(1b)에는 복수의 기기측 도체(1c)가 마련된다. 복수의 기기측 도체(1c) 각각은, 예를 들면 전자기기(1) 내에 마련되는 프린트 기판 상의 도전성의 랜드(land)이다. 또, 기기측 도체(1c)는, 랜드에 한정되지 않고, 프린트 기판에 형성되는 통 모양의 도전성 스루 홀(through hole)이라도 좋다.
제2 하우징(13)에는, X축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단자 삽입 구멍(13a1, 13a2, 13a3, 13a4, 13a5, 13a6)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단자 삽입 구멍(13a1, 13a2, 13a3, 13a4, 13a5, 13a6)을 간단히 단자 삽입 구멍(13a)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복수의 단자 삽입 구멍(13a)은, X축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열된다.
제2 하우징(13)의 제1 단면(131)으로부터 제2 단면(132)을 향해 1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13a1)에는, 제2 하우징(13)의 제1 단면(131)으로부터 제2 단면(132)을 향해 1번째의 트랜지션 배선(a11)의 일단에 마련되는 수형(雄型) 단자가 삽입된다.
마찬가지로, 2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13a2)에는, 2번째의 트랜지션 배선(a21)의 일단에 마련되는 수형 단자가 삽입되고, 3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13a3)에는, 2번째의 트랜지션 배선(a12)의 일단에 마련되는 수형 단자가 삽입된다.
또, 4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13a4)에는, 2번째의 트랜지션 배선(a22)의 일단에 마련되는 수형 단자가 삽입되고, 5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13a5)에는, 3번째의 트랜지션 배선(a13)의 일단에 마련되는 수형 단자가 삽입되고, 6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13a6)에는, 3번째의 트랜지션 배선(a23)의 일단에 마련되는 수형 단자가 삽입된다.
커넥터(10)는 복수의 도체(11)를 구비한다. 복수의 도체(11)는 제2 하우징(13) 내에 마련된다. 복수의 도체(11)는, X축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열된다. 제2 하우징(13)의 제1 단면(131)으로부터 제2 단면(132)을 향해 1번째의 도체(11)는, 제2 하우징(13)의 제1 단면(131)으로부터 제2 단면(132)을 향해 1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13a1)으로부터 2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13a2)에 걸쳐 X축 방향으로 신장된다.
또한 도 1에는 설명의 편의상, 도체(11)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체(11)는 제2 하우징(13) 내에 마련되어 있고, 제2 하우징(13)의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는 것으로 한다.
2번째의 도체(11)는, 3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13a3)으로부터 4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13a4)에 걸쳐 X축 방향으로 신장되고, 3번째의 도체(11)는, 5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13a5)으로부터 6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13a6)에 걸쳐 X축 방향으로 신장된다.
전자기기(2)에 마련되는 커넥터(20)는, 커넥터(10)와 마찬가지로, 전자기기(2)의 커넥터 삽입구(2b)에 삽입되는 제1 하우징과, 제1 하우징의 전자기기(2)측과는 반대측에 마련되는 제2 하우징(23)과, 제2 하우징(23) 내에 마련되는 복수의 도체(21)를 구비한다. 도 1에서는 커넥터(20)에 마련되는 제1 하우징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1에는 설명의 편의상, 도체(21)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체(21)는 제2 하우징(23) 내에 마련되어 있고, 제2 하우징(23)의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는 것으로 한다.
커넥터 삽입구(2b)는 전자기기(2)의 Y축 방향의 단면(端面)(2a)에 형성된다. 커넥터 삽입구(2b)에는, 기기측 도체(1c)와 동일한 단자인 기기측 도체(2c)가 마련된다.
제2 하우징(23)에는, 제2 하우징(13)과 마찬가지로, X축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단자 삽입 구멍(23a)이 형성된다. 복수의 단자 삽입 구멍(23a)은, X축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열된다. 제2 하우징(23)의 제1 단면(231)으로부터 제2 단면(232)을 향해 1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23a)에는, 제2 하우징(23)의 제1 단면(231)으로부터 제2 단면(232)을 향해 1번째의 트랜지션 배선(a21)의 타단에 마련되는 수형 단자가 삽입된다.
마찬가지로, 2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23a)에는, 1번째의 트랜지션 배선(a31)의 일단에 마련되는 수형 단자가 삽입된다. 3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23a)에는, 2번째의 트랜지션 배선(a22)의 타단에 마련되는 수형 단자가 삽입된다.
또, 4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23a)에는, 2번째의 트랜지션 배선(a32)의 일단에 마련되는 수형 단자가 삽입되고, 5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23a)에는, 3번째의 트랜지션 배선(a23)의 타단에 마련되는 수형 단자가 삽입되고, 6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23a)에는, 3번째의 트랜지션 배선(a33)의 일단에 마련되는 수형 단자가 삽입된다.
복수의 도체(21)는, X축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열된다. 제2 하우징(23)의 제1 단면(231)으로부터 제2 단면(232)을 향해 1번째의 도체(21)는, 제2 하우징(23)의 제1 단면(231)으로부터 제2 단면(232)을 향해 1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23a)으로부터 2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23a)에 걸쳐 X축 방향으로 신장된다. 마찬가지로, 2번째의 도체(21)는, 3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23a)으로부터 4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23a)에 걸쳐 X축 방향으로 신장되고, 3번째의 도체(21)는, 5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23a)으로부터 6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23a)에 걸쳐 X축 방향으로 신장된다.
전자기기(3)에 마련되는 커넥터(30)는, 커넥터(10)와 마찬가지로, 전자기기(3)의 커넥터 삽입구(3b)에 삽입되는 제1 하우징과, 해당 제1 하우징의 전자기기(3)측과는 반대측에 마련되는 제2 하우징(33)과, 제2 하우징(33) 내에 마련되는 복수의 도체(31)를 구비한다. 도 1에서는 커넥터(30)에 마련되는 제1 하우징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1에는 설명의 편의상, 도체(31)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체(31)는 제2 하우징(33) 내에 마련되어 있고, 제2 하우징(33)의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는 것으로 한다.
커넥터 삽입구(3b)는 전자기기(3)의 Y축 방향의 단면(端面)(3a)에 형성된다. 커넥터 삽입구(3b)에는, 기기측 도체(1c)와 동일한 단자인 기기측 도체(3c)가 마련된다.
제2 하우징(33)에는, 제2 하우징(13)과 마찬가지로, X축 방향으로 1열로 배열되는 복수의 단자 삽입 구멍(33a)이 형성된다. 복수의 단자 삽입 구멍(33a)은, X축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열된다. 제2 하우징(33)의 제1 단면(331)으로부터 제2 단면(332)을 향해 1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33a)에는, 제2 하우징(33)의 제1 단면(331)으로부터 제2 단면(332)을 향해 1번째의 트랜지션 배선(a31)의 타단에 마련되는 수형 단자가 삽입된다.
마찬가지로, 3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33a)에는, 2번째의 트랜지션 배선(a32)의 타단에 마련되는 수형 단자가 삽입되고, 5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33a)에는, 3번째의 트랜지션 배선(a33)의 타단에 마련되는 수형 단자가 삽입된다.
복수의 도체(31)는, X축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열된다. 제2 하우징(33)의 제1 단면(331)으로부터 제2 단면(332)을 향해 1번째의 도체(31)는, 제2 하우징(33)의 제1 단면(331)으로부터 제2 단면(332)을 향해 1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33a)으로부터 2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33a)에 걸쳐 X축 방향으로 신장된다. 마찬가지로, 2번째의 도체(31)는, 3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33a)으로부터 4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33a)에 걸쳐 X축 방향으로 신장되고, 3번째의 도체(31)는, 5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33a)으로부터 6번째의 단자 삽입 구멍(33a)에 걸쳐 X축 방향으로 신장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삽입구(1b)에 마련되는 복수의 기기측 도체(1c)는, X축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열된다. 복수의 기기측 도체(1c) 중, 제2 하우징(13)의 제1 단면(131)으로부터 제2 단면(132)을 향해 1번째의 기기측 도체(1c)는 제1 기기측 도체이며, 제2 하우징(13)의 제1 단면(131)으로부터 제2 단면(132)을 향해 2번째의 기기측 도체(1c)는 제2 기기측 도체이다.
복수의 기기측 도체(1c) 각각은, 전자기기(1)의 내부 배선(1d)을 통해서, 전자기기(1)의 내부 회로(1e)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넥터 삽입구(1b)에 커넥터(10)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트랜지션 배선(a11) 및 트랜지션 배선(a21)은, 도 1에 나타내는 도체(11)와 도 2에 나타내는 기기측 도체(1c)를 통해서, 내부 회로(1e)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전자기기(2)에는, 전자기기(1)와 마찬가지로, 내부 배선 및 내부 회로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커넥터 삽입구(2b)에 커넥터(20)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트랜지션 배선(a21) 및 트랜지션 배선(a31)은, 도체(21)와 기기측 도체(2c)를 통해서, 전자기기(2)의 내부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전자기기(3)에는, 전자기기(1)와 마찬가지로, 내부 배선 및 내부 회로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커넥터 삽입구(3b)에 커넥터(30)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트랜지션 배선(a31)은, 도체(31)와 기기측 도체(3c)를 통해서, 전자기기(3)의 내부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1번째의 트랜지션 배선(a11), 트랜지션 배선(a21) 및 트랜지션 배선(a31)과, 복수의 커넥터(10), 커넥터(20) 및 커넥터(30)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전자기기(1), 전자기기(2) 및 전자기기(3)가 데이지 체인 접속된다.
여기서, 1번째의 트랜지션 배선(a11)의 타단은, 예를 들면 복수의 전자기기(1, 2, 3)에서 공용되는 제1 신호를 생성하는 기기에 접속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전자기기(1, 2, 3) 각각이 서보 앰프인 경우, 제1 신호를 생성하는 기기는, 각 서보 앰프에 접속되는 모터를 제어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이며, 제1 신호는, 해당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에서 생성되는 제어 신호이다. 또, 복수의 전자기기(1, 2, 3) 각각이 인버터인 경우, 제1 신호를 생성하는 기기는, 각 인버터 내에 마련되는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이며, 제1 신호는, 해당 제어 회로에서 생성되는 전압 지령이다.
또, 제1 신호는, 복수의 전자기기(1, 2, 3)에서 공용되는 신호이면 되며, 제1 신호의 종류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2번째의 트랜지션 배선(a12)의 타단은, 예를 들면 복수의 전자기기(1, 2, 3)에서 공용되는 제1 신호 이외의 제2 신호를 생성하는 기기에 접속해도 괜찮다. 마찬가지로, 3번째의 트랜지션 배선(a13)의 타단은, 예를 들면 복수의 전자기기(1, 2, 3)에서 공용되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이외의 제3 신호를 생성하는 기기에 접속해도 괜찮다.
또, 복수의 트랜지션 배선(a11, a12, a13)에는, 신호를 전송하는 배선을 대신하여, 예를 들면 복수의 전자기기(1, 2, 3)에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직류 전원으로부터 신장되는 배선을 이용해도 괜찮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1번째의 트랜지션 배선(a11)은 정(正)측 직류 모선(母線)으로서 이용되고, 2번째의 트랜지션 배선(a12)은 부(負)측 직류 모선으로서 이용되며, 3번째의 트랜지션 배선(a13)은,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전송하는 배선으로서 이용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커넥터에 마련되는 접속 도체의 수가 3개이지만, 각 커넥터에 마련되는 접속 도체의 수는 3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데이지 체인 접속되는 복수의 전자기기가, 2종류의 신호를 공용하는 경우, 각 커넥터에 마련되는 접속 도체의 수는 2개라도 좋다. 또 데이지 체인 접속되는 복수의 전자기기가, 1종류의 신호를 공용하는 경우, 각 커넥터에 마련되는 접속 도체의 수는 1개라도 좋다. 또, 데이지 체인 접속되는 복수의 전자기기가, 직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을 공용하는 경우, 각 커넥터에 마련되는 접속 도체의 수는, 정측 직류 모선용 및 부측 직류 모선용으로 2개라도 좋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커넥터(10)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커넥터(20) 및 커넥터(30)는 각각 커넥터(10)와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커넥터(1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커넥터(20) 및 커넥터(30)의 구조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IV-IV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커넥터(10)의 제1 하우징(12)의 재료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액정 폴리머 등의 절연성의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단자(12b)의 재료로는, 도전성을 가지는 철, 구리, 페라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2)에는, X축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열되는 복수의 단자(12b)와, 제2 하우징(13)의 돌기부(13e)가 삽입되는 오목부(12c)가 마련된다. 복수의 단자(12b) 각각은, Y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기둥 형상의 도전성 부재이다. 복수의 단자(12b) 중, 제2 하우징(13)의 제1 단면(131)으로부터 제2 단면(132)을 향해 1번째의 단자(12b)는 제1 막대 모양 단자이다. 복수의 단자(12b) 중, 제2 하우징(13)의 제1 단면(131)으로부터 제2 단면(132)을 향해 2번째의 단자(12b)는 제2 막대 모양 단자이다. 단자(12b)의 Y축 방향의 일단은, 관통공(13b)을 형성하는 벽면의 내측에 위치한다. 단자(12b)의 Y축 방향의 타단은, 관통공(13b)측과는 반대측으로 신장되어, 제1 하우징(12)의 외부에 위치한다. 단자(12b)의 타단은,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어지는 기기측 도체(1c)에 납땜된다. 이것에 의해, 단자(12b)는 기기측 도체(1c)와 기계적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넥터(10)의 제2 하우징(13) 및 돌기부(13e)의 재료로는, 제1 하우징(12)의 재료와 동일한 절연성의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3)은, 절연성의 수지를 이용하여 다이캐스트에 의해 제조된 복수의 부재를 조합시켜 제조된다.
제2 하우징(13)에는, X축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열되어 오목부(12c)에 삽입되는 돌기 형상의 복수의 돌기부(13e)와, 복수의 돌기부(13e) 각각의 중심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공(13b)과, 관통공(13b)을 둘러싸도록 돌기부(13e)의 내주부에 마련되는 통 모양의 통 모양 단자인 도체(13c)가 마련된다. 도 4에 나타내는 커넥터(10)에서는, 제2 하우징(13)의 제1 단면(131)으로부터 제2 단면(132)을 향해서, 1번째, 3번째 및 5번째 각각의 돌기부(13e)에, 도체(13c)가 마련되어 있다. 2번째, 4번째 및 6번째 각각의 돌기부(13e)에는, 도체(13c)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 제2 하우징(13)에는, 예를 들면 3개의 트랜지션 배선(a11, a21, a31) 중 어느 하나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단자(13d1, 13d2, 13d3, 13d4, 13d5, 13d6)와, X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단자(13d)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도체(11)가 마련된다. 복수의 단자(13d1, 13d2, 13d3, 13d4, 13d5, 13d6)는, 커넥터(10)의 엔클로저를 구성하는 하우징 내에, 전자기기측을 향하는 영역과는 반대측이 되는 영역에 마련된다. 즉, 복수의 단자(13d1, 13d2, 13d3, 13d4, 13d5, 13d6)는, Y축 방향의 제2 하우징(13)의 제1 하우징(12)측과는 반대측에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단자(13d1, 13d2, 13d3, 13d4, 13d5, 13d6) 각각을 간단히 단자(13d)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체(13c), 도체(11) 및 단자(13d) 각각의 재료에는, 단자(12b)의 재료와 동일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도 4에서, 제2 하우징(13)의 제1 단면(131)으로부터 제2 단면(132)을 향해 1번째의 단자(13d)는 제1 단자, 2번째의 단자(13d)는 제2 단자, 3번째의 단자(13d)는 제3 단자, 4번째의 단자(13d)는 제4 단자, 5번째의 단자(13d)는 제5 단자, 6번째의 단자(13d)는 제6 단자이다.
제1 단자 및 제2 단자에는, 1개의 도체(11)가 접속된다. 이 1개의 도체(11)에는, 1개의 도체(13c)가 접속된다.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접속하는 도체(11)와, 이 도체(11)에 접속되는 도체(13c)와, 이 도체(13c)에 접속되는 단자(12b)는, 제1 접속 도체(40a)를 구성한다. 단자(12b)의 일단은, 도체(13c)의 내측에 삽입되고, 단자(12b)는 도체(13c)와 기계적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접속 도체(40a)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아울러,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제1 기기측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제1 접속 도체(40a)는, 도 2에 나타내는 기기측 도체(1c)로부터, 제1 단자 및 제2 단자로 향해 신장되는 도체의 선단이 두 갈래로 분기된 형상의 부재이다. 제1 접속 도체(40a)는, 도체(11) 및 도체(13c)를 일체로 제조한 것이라도 좋고, 개별로 제작된 도체(11) 및 도체(13c)를 조합시킨 것이라도 좋다. 또, 제1 접속 도체(40a)의 형상은, 선단이 다(多) 갈래로 분기된 형상이면 좋다.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제3 단자 및 제4 단자를 도체(11)와, 해당 도체(11)에 접속되는 도체(13c)와, 이 도체(13c)에 접속되는 단자(12b)는, 제2 접속 도체(40b)를 구성한다. 제2 접속 도체(40b)는, 제3 단자 및 제4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아울러, 제3 단자 및 제4 단자를, 제2 기기측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제5 단자 및 제6 단자를 도체(11)와, 이 도체(11)에 접속되는 도체(13c)와, 해당 도체(13c)에 접속되는 단자(12b)는, 제3 접속 도체(40c)를 구성한다. 제3 접속 도체(40c)는, 제5 단자 및 제6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아울러, 제5 단자 및 제6 단자를, 제3 기기측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제3 기기측 도체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복수의 기기측 도체(1c) 중, 제2 하우징(13)의 제1 단면(131)으로부터 제2 단면(132)을 향해 3번째의 기기측 도체(1c)에 상당한다.
제2 하우징(13)이 제1 하우징(12)에 감합(嵌合, 끼워맞춤)되는 것에 의해, 제1 단자 및 제2 단자는, 제1 접속 도체(40a)를 통해서 제1 기기측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3 단자 및 제4 단자는, 제2 접속 도체(40b)를 통해서, 제2 기기측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제5 단자 및 제6 단자는, 제3 접속 도체(40c)를 통해서, 제3 기기측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제1 내지 제3 접속 도체(40a, 40b, 40c)의 제2 하우징(13)에의 장착은, 예를 들면, 제2 하우징(13)이, Z축 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제1 부재에 제2 부재가 조립되기 전에, 제1 내지 제3 접속 도체(40a, 40b, 40c)가 제1 부재에 조립되고, 그 후, 제2 부재가 제1 부재에 조립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또, 제1 단자와 제2 단자와 제1 접속 도체(40a)는, 일체로 제조한 것이라도 좋고, 개별로 제작된 제1 단자, 제2 단자 및 제1 접속 도체(40a)를 조합시킨 것이라도 좋다. 제3 단자와 제4 단자와 제2 접속 도체(40b)도 동일하다. 제5 단자와 제6 단자와 제3 접속 도체(40c)도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커넥터(10)가 전자기기에 이용된 경우, 커넥터(10)로부터 전자기기를 향하여, 복수의 단자(13d)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제2 하우징(13)에는, X축 방향을 따라서 1열로 복수의 단자(13d)가 마련되는 형태가 된다. 그 때문에, Z축 방향의 제2 하우징(13)의 폭은, 제1 단자 및 제2 단자가 Z축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경우에 비해, 작게 된다.
따라서, 인접하는 전자기기(1) 및 전자기기(2)의 사이의 간극에, 제2 하우징(13)이 돌출되지 않고, 해당 간극을 좁게 해도 커넥터(10)가 커넥터(20)에 간섭될 우려가 없다. 또, 예를 들면 전자기기(1)에 마련된 커넥터(10)의 제2 하우징(13)이 제2 전자기기에 간섭될 우려가 없다. 그 결과, 해당 간극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시스템(100) 전체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전자기기 시스템(100)에서는, 복수의 전자기기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트랜지션 배선이 이용되지만, 복수의 전자기기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재는, 복수의 전자기기 내에, 인접하는 전자기기끼리를 염주 이음으로 접속하는 도전성 부재이면 좋고, 예를 들면 도전성의 패턴 배선이 마련된 도체, 도전성의 버스 바(bus bar) 등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전자기기(2)에 마련되는 커넥터(20)의 제1 단자에는, 전자기기(1)에 마련되는 커넥터(10)의 제2 단자를 커넥터(20)의 제1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제1 도전성 부재가 접속된다.
또, 전자기기(2)에 마련되는 커넥터(20)의 제2 단자에는, 전자기기(3)에 마련되는 커넥터(30)의 제2 단자를 커넥터(20)의 제2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제2 도전성 부재가 접속된다.
또, 전자기기(2)에 마련되는 커넥터(20)의 제3 단자에는, 전자기기(1)에 마련되는 커넥터(10)의 제4 단자를 커넥터(20)의 제3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제3 도전성 부재가 접속된다.
또, 전자기기(2)에 마련되는 커넥터(20)의 제4 단자에는, 전자기기(3)에 마련되는 커넥터(30)의 제3 단자를 커넥터(20)의 제4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제4 도전성 부재가 접속된다.
이 경우, 제1 도전성 부재는, 1번째의 트랜지션 배선(a21)에 상당하고, 제2 도전성 부재는, 1번째 트랜지션 배선(a31)에 상당한다. 또, 제3 도전성 부재는, 2번째의 트랜지션 배선(a22)에 상당하고, 제4 도전성 부재는, 2번째 트랜지션 배선(a32)에 상당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관한 커넥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VI-VI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커넥터(10A)는, 도 4에 나타내는 제1 하우징(12) 및 제2 하우징(13) 대신에, 제1 하우징(12A) 및 제2 하우징(13A)을 구비한다.
제1 하우징(12A)에는, 3개의 관통공(12a)이 형성되고, 3개의 단자(12b) 및 오목부(12c)가 마련된다. 제1 하우징(12A)의 X축 방향의 폭은, 도 4에 나타내는 제1 하우징(12)의 X축 방향의 폭보다도 좁다.
제2 하우징(13A)에는, 3개의 단자 삽입 구멍(13a)이 형성된다. 또 제2 하우징(13A)은, 3개의 단자(13d)와, 1개의 도체(11)와, 2개의 도체(13c)와, 3개의 돌기부(13e)를 구비한다. 제2 하우징(13A)에서는, 제1 단면(131)으로부터 제2 단면(132)을 향해서, 1번째 및 3번째 각각의 돌기부(13e)에, 도체(13c)가 마련되어 있다. 3번째의 돌기부(13e)에 마련되는 도체(13c)는, 일단이 단자(13d)에 접속되고, 타단이 단자(12b)에 접속된다. 2번째의 돌기부(13e)에는, 도체(13c)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제2 하우징(13A)의 X축 방향의 폭은, 도 4에 나타내는 제2 하우징(13)의 X축 방향의 폭보다도 좁다.
제2 하우징(13)의 제1 단면(131)으로부터 제2 단면(132)을 향하여, 1번째의 단자(13d)는 제1 단자, 2번째의 단자(13d)는 제2 단자, 3번째의 단자(13d)는 제3 단자이다. 이 제3 단자에 접속되는 도체(13c)는, 제3 단자를,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제2 기기측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접속 도체로서 기능한다.
커넥터(10A)에는, 예를 들면, 복수의 전자기기(1, 2, 3)에서 공용되는 신호를 전송하는 1개의 트랜지션 배선과, 복수의 전자기기(1, 2, 3) 내에, 특정의 전자기기에서만 이용되는 신호를 전송하는 1개의 트랜지션 배선을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기기(1)만으로 이용되는 신호를 전송하는 트랜지션 배선은, 제3 단자에 접속된다. 커넥터(10A)에 의하면, 단자(13d)의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10A)의 구조가 간소화된다.
커넥터(10A)에 의하면, 커넥터(10)와 마찬가지로, 커넥터(10A)의 Z축 방향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커넥터(10A)는, 커넥터(10)에 비해, X축 방향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전자기기(1, 2, 3)의 사이에서 1종류의 신호만 공용하도록 구성되는 전자기기 시스템(100)은, 도 1에 나타내는 복수의 전자기기(1, 2, 3) 각각의 X축 방향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X축 방향의 폭이 작은 복수의 전자기기(1, 2, 3)에, 도 6에 나타내는 커넥터(10A)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A)에 의하면, 전자기기 시스템(100) 전체의 크기를, 보다 한층 작게 할 수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20) 및 커넥터(30) 각각은, 도 6에 나타내는 커넥터(10A)와 동일하게 구성해도 괜찮다. 또 전자기기 시스템(100)에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어지는 커넥터(10)와, 도 6에 나타내어지는 커넥터(10A)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커넥터(20)와, 도 6에 나타내어지는 커넥터(10A)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커넥터(30)를 조합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다른 형상의 복수의 커넥터를 조합시키는 경우에도, 이들 커넥터에는, 복수의 전자기기(1, 2, 3)에서 공용되는 신호를 전송하는 1개의 트랜지션 배선과, 복수의 전자기기(1, 2, 3) 중, 특정의 전자기기에서만 이용되는 신호를 전송하는 1개의 트랜지션 배선을 접속할 수 있다.
또, 제2 하우징(13A)은, 도 4에 나타내는 제1 하우징(12)에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제1 하우징(12)은, 도 4에 나타내는 제2 하우징(13)과, 도 6에 나타내는 제2 하우징(13A)에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관한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커넥터(10B)는, 도 4에 나타내는 제1 하우징(12) 및 제2 하우징(13)대신에, 제1 하우징(12B) 및 제2 하우징(13B)을 구비한다.
제1 하우징(12B)에는, 5개의 관통공(12a)이 형성되고, 5개의 단자(12b) 및 오목부(12c)가 마련된다. 제1 하우징(12B)의 X축 방향의 폭은, 도 4에 나타내는 제1 하우징(12)의 X축 방향의 폭보다도 좁다.
제2 하우징(13B)에는, 5개의 단자 삽입 구멍(13a)이 형성된다. 또 제2 하우징(13B)은, 5개의 단자(13d)와, 2개의 도체(11)와, 3개의 도체(13c)와, 5개의 돌기부(13e)를 구비한다. 제2 하우징(13B)에서는, 제1 단면(131)으로부터 제2 단면(132)을 향해서, 1번째, 3번째 및 5번째 각각의 돌기부(13e)에, 도체(13c)가 마련되어 있다. 5번째의 돌기부(13e)에 마련되는 도체(13c)는, 일단이 단자(13d)에 접속되고, 타단이 단자(12b)에 접속된다. 2번째 및 4번째 각각의 돌기부(13e)에는, 도체(13c)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제2 하우징(13B)의 X축 방향의 폭은, 도 4에 나타내는 제2 하우징(13)의 X축 방향의 폭보다도 좁다.
제2 하우징(13)의 제1 단면(131)으로부터 제2 단면(132)을 향하여, 1번째의 단자(13d)는 제1 단자, 2번째의 단자(13d)는 제2 단자, 3번째의 단자(13d)는 제3 단자, 4번째의 단자(13d)는 제4 단자, 5번째의 단자(13d)는 제5 단자이다. 제5 단자에 접속되는 도체(13c)는, 제3 단자를,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제3 기기측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3 접속 도체로서 기능한다.
커넥터(10B)에는, 예를 들면, 복수의 전자기기(1, 2, 3)에서 공용되는 신호를 전송하는 2개의 트랜지션 배선과 복수의 전자기기(1, 2, 3) 중, 특정의 전자기기에서만 이용되는 신호를 전송하는 1개의 트랜지션 배선을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기기(1)에서만 이용되는 신호를 전송하는 트랜지션 배선은, 제5 단자에 접속된다. 커넥터(10B)에 의하면, 단자(13d)의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10B)의 구조가 간소화된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20) 및 커넥터(30) 각각은, 도 7에 나타내는 커넥터(10B)와 동일하게 구성해도 괜찮다. 또 전자기기 시스템(100)에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어지는 커넥터(10)와, 도 7에 나타내어지는 커넥터(10B)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커넥터(20)와, 도 7에 나타내어지는 커넥터(10B)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커넥터(30)를 조합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다른 형상의 복수의 커넥터를 조합시킨 경우에도, 이들 커넥터에는, 복수의 전자기기(1, 2, 3)에서 공용되는 신호를 전송하는 1개의 트랜지션 배선과, 복수의 전자기기(1, 2, 3) 중, 특정의 전자기기에서만 이용되는 신호를 전송하는 1개의 트랜지션 배선을 접속할 수 있다.
커넥터(10B)에 의하면, 커넥터(10)와 마찬가지로, 커넥터(10B)의 Z축 방향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커넥터(10B)는, 커넥터(10)에 비해, X축 방향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전자기기(1, 2, 3)의 사이에서 2종류의 신호만 공용하도록 구성되는 전자기기 시스템(100)은, 도 1에 나타내는 복수의 전자기기(1, 2, 3) 각각의 X축 방향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X축 방향의 폭이 작은 복수의 전자기기(1, 2, 3)에, 도 7에 나타내는 커넥터(10B)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B)에 의하면, 전자기기 시스템(100) 전체의 크기를, 보다 한층 작게 할 수 있다.
또, 제2 하우징(13B)은, 도 4에 나타내는 제1 하우징(12)에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제1 하우징(12)은, 도 4에 나타내는 제2 하우징(13)과, 도 6에 나타내는 제2 하우징(13B)에 이용할 수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제1 하우징(12)에는, 트랜지션 배선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제2 하우징을 접속할 수도 있다. 도 8은 도 4에 나타내는 제1 하우징에 트랜지션 배선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제2 하우징을 접속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제2 하우징(13C)에는, 도체(11) 대신에, 6개의 도체(13c)가 마련되어 있다. 제2 하우징(13C)에는, 예를 들면, 특정의 전자기기에만 이용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트랜지션 배선이 접속된다. 제2 하우징(13C)의 Z축 방향의 폭은, 제2 하우징(13)의 Z축 방향의 폭과 동일하다. 제2 하우징(13C)의 6개의 도체(13ca, 13cb, 13cc, 13cd, 13ce, 13cf)의 일단은, 제2 하우징(13C)의 6개의 단자(13da, 13db, 13dc, 13dd, 13de, 13df)에 접속된다. 또 제2 하우징(13C)의 6개의 도체(13ca, 13cb, 13cc, 13cd, 13ce, 13cf)의 타단은, 제1 하우징(12)의 6개의 단자(12ba, 12bb, 12bc, 12bd, 12be, 12bf)에 접속된다. 6개의 단자(12ba, 12bb, 12bc, 12bd, 12be, 12bf)는, 6개의 기기측 도체(1ca, 1cb, 1cc, 1cd, 1ce, 1cf)에 접속된다. 제1 하우징(12)에 접속되는 하우징이, 제2 하우징(13)으로부터 제2 하우징(13C)으로 바꾸어 넣는 것에 의해, 커넥터의 사이즈를 바꾸지 않고, 트랜지션 배선에 대응한 구성과 트랜지션 배선에 대응하고 있지 않는 구성을 전환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트랜지션 배선에 마련되는 수형 단자를 커넥터(10, 10A, 10B)의 단자 삽입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트랜지션 배선과 전자기기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하고 있지만, 커넥터(10, 10A, 10B)에의 트랜지션 배선의 접속 방법은, 스프링 클램프, 나사 클램프, 납땜 등이라도 좋다. 또, 트랜지션 배선 대신에 버스 바(bus bar)가 이용되는 경우, 커넥터(10, 10A, 10B)에, 단자(13d) 대신에 돌기 형상의 도전성 단자를 마련해 두고, 버스 바에 형성되는 단자를 이 도전성 단자에 접속하는 구조로 해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10, 10A, 10B)의 엔클로저가, 분할 가능한 2개의 하우징으로 구성되지만, 커넥터(10, 10A, 10B)의 엔클로저는 1개의 하우징으로 구성해도 괜찮다.
또, 커넥터(10, 10A, 10B)에서는, 오목부(12c)에 돌기부(13e)가 감합되어 있지만, 도체(11), 도체(13c) 및 단자(12b)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되며, 커넥터(10, 10A, 10B)의 구조는 도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 하우징(13)에 돌기부(13e)가 마련되지 않고, 제2 하우징(13)의 제1 하우징(12)측의 영역이 평면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1 하우징(12)에 오목부(12c)가 마련되지 않고, 제1 하우징(12)의 제2 하우징(13)측의 영역이 평면 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하우징(13)의 제1 단면(131) 및 제2 단면(132) 각각에 갈고리 모양 부재가 형성되고, 2개의 갈고리 모양 부재가 제2 하우징(13)으로부터 제1 하우징(12)을 향해 신장되어 있고, 2개의 갈고리 모양 부재의 선단이, 제1 하우징(12)에 형성되는 오목부에 끼워 넣어진다. 이것에 의해, 제2 하우징(13)을 제1 하우징(12)에 고정할 수 있다.
또, 커넥터(10, 10A, 10B)에서는, 전자기기측을 향하는 영역에서, 2번째의 단자(13d)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단자(12b)와, 도체(11)와의 사이에는, 통 모양의 단자(13c)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 2번째의 단자(13d)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단자(12b)와, 도체(11)와의 사이에, 통 모양의 단자(13c)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커넥터(10, 10A, 10B)의 구조가 간소화됨과 아울러, 커넥터(10, 10A, 10B)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커넥터(10, 10A, 10B)에서는, 전자기기측을 향하는 영역에서, 1번째의 단자(13d)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단자(12b)와, 도체(11)와의 사이에, 통 모양의 단자(13c)가 마련되지 않고, 2번째의 단자(13d)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단자(12b)와, 도체(11)와의 사이에, 통 모양의 단자(13c)를 마련해도 좋다.
또, 커넥터(10, 10A, 10B)에서는, 통 모양의 단자(13c)가 이용되고 있지만, 단자(13c)의 형상은 통 모양에 한정되지 않고, 중실(中實)의 봉(棒) 형상이라도 좋다. 중실의 봉 형상의 단자(13c)가 이용되는 경우, 단자(13c)의 선단에 단자(12b)의 선단이 접속된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구성은, 본 발명의 내용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1, 2, 3 : 전자기기 1a, 2a, 3a : 단면
1b, 2b, 3b : 커넥터 삽입구
1c, 1ca, 1cb, 1cc, 1cd, 1ce, 1cf, 2c, 3c : 기기측 도체
1d : 내부 배선 1e : 내부 회로
10, 10A, 10B, 20, 30 : 커넥터
11, 13c, 13ca, 13cb, 13cc, 13cd, 13ce, 13cf, 21, 31 : 도체
12, 12A, 12B : 제1 하우징 12a, 13b : 관통공
12b, 12ba, 12bb, 12bc, 12bd, 12be, 12bf, 13d, 13d1, 13d2, 13d3, 13d4, 13d5, 13d6, 13da, 13db, 13dc, 13dd, 13de, 13df : 단자
12c : 오목부
13, 13A, 13B, 13C, 23, 33 : 제2 하우징
13a, 13a1, 13a2, 13a3, 13a4, 13a5, 13a6, 23a, 33a : 단자 삽입 구멍
13e : 돌기부 40a : 제1 접속 도체
40b : 제2 접속 도체 40c : 제3 접속 도체
100 : 전자기기 시스템 131, 231, 331 : 제 1 단면
132, 232, 332 : 제2 단면 a1, a2, a3 : 트랜지션 배선

Claims (7)

  1.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전자기기측과는 반대측에 장착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상기 전자기기측을 향하는 영역과는 반대측이 되는 영역에 마련되는 제1 단자와,
    상기 반대측이 되는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단자의 옆에 마련되는 제2 단자와,
    상기 반대측이 되는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와의 배열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2 단자의 옆에 마련되는 제3 단자와,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를, 상기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제1 기기측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접속 도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대측이 되는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배열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3 단자의 옆에 마련되는 제4 단자와,
    상기 제3 단자 및 상기 제4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3 단자 및 상기 제4 단자를, 상기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제2 기기측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접속 도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단자를, 상기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제2 기기측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접속 도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대측이 되는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배열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3 단자의 옆에 마련되는 제4 단자와,
    상기 제3 단자 및 상기 제4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3 단자 및 상기 제4 단자를, 상기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제2 기기측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접속 도체와,
    상기 반대측이 되는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배열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4 단자의 옆에 마련되는 제5 단자와,
    상기 제5 단자를, 상기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제3 기기측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3 접속 도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도체는,
    상기 반대측이 되는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체와,
    일단이 상기 도체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전자기기측을 향하는 영역을 향해 신장되는 단자와,
    상기 전자기기측을 향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1 단자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기기측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막대 모양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전자기기측을 향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2 단자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제2 막대 모양 단자와, 상기 도체와의 사이에는, 상기 단자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도체는,
    상기 반대측이 되는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체와,
    일단이 상기 도체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전자기기측을 향하는 영역을 향해 신장되는 단자와,
    상기 전자기기측을 향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2 단자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기기측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막대 모양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전자기기측을 향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1 단자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제2 막대 모양 단자와, 상기 도체와의 사이에는, 상기 단자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가 제1 커넥터로서 마련되는 제1 전자기기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가 제2 커넥터로서 마련되고, 상기 제1 전자기기의 옆에 배치되는 제2 전자기기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가 제3 커넥터로서 마련되고, 상기 제2 전자기기의 상기 제1 전자기기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3 전자기기와,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제1 단자를 접속하는 제1 도전성 부재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3 커넥터의 상기 제1 단자를 접속하는 제2 도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시스템.
KR1020207036301A 2018-06-28 2018-06-28 커넥터 및 전자기기 시스템 KR102316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24603 WO2020003441A1 (ja) 2018-06-28 2018-06-28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282A true KR20210005282A (ko) 2021-01-13
KR102316121B1 KR102316121B1 (ko) 2021-10-25

Family

ID=66730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301A KR102316121B1 (ko) 2018-06-28 2018-06-28 커넥터 및 전자기기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39578B2 (ko)
JP (1) JP6526363B1 (ko)
KR (1) KR102316121B1 (ko)
CN (1) CN112335138B (ko)
DE (1) DE112018007682B4 (ko)
WO (1) WO20200034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8008255B3 (de) 2018-06-28 2023-03-2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erbinder und elektronisches Geräte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9978A (ko) * 1997-03-07 1998-11-25 루이스 에이 헥트 신호 및 접지 단자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KR20090014095A (ko) * 2007-08-03 2009-02-06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20090016778A (ko) * 2007-08-13 2009-0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유동형 커넥터
KR20120112107A (ko) * 2011-03-31 2012-10-11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전기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3339Y2 (ko) 1979-04-17 1988-09-06
JPS5810315Y2 (ja) 1979-05-08 1983-02-24 矢崎総業株式会社 分岐用コネクタ
JPS56115878U (ko) 1980-02-05 1981-09-05
JPS62191190U (ko) * 1986-05-26 1987-12-04
US4820200A (en) * 1987-02-13 1989-04-11 Switchcraft, Inc. Slab-like jack module
US5266043A (en) 1992-01-31 1993-11-30 Augat Inc. Fully programmable connector
JPH06223903A (ja) 1993-01-27 1994-08-12 Sumitomo Wiring Syst Ltd 油封入機器の配線構造
JP3038116B2 (ja) 1994-02-02 2000-05-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5493194A (en) * 1995-02-14 1996-02-20 Allen-Bradley Company, Inc. Control signal and power bus connector arrangement for a multi-axis motor control
JP3160191B2 (ja) 1995-10-20 2001-04-23 矢崎総業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
CA2260664A1 (en) * 1998-02-26 1999-08-26 Lucent Technologies, Inc. Rigid, multiconductor power distribution bus and modular equipment rack employing the same
JP2000286027A (ja) 1999-03-29 2000-10-13 Yazaki Corp 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分岐接続用コネクタ
JP2000311753A (ja) * 1999-04-26 2000-11-0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アダプタおよび接続構造
JP2003059598A (ja) * 2001-08-21 2003-02-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3838427B2 (ja) 2002-03-18 2006-10-25 矢崎総業株式会社 ジョイント吸収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311078A (ja) * 2003-04-02 2004-11-04 Asmo Co Ltd アクチュエータ装置及びアクチュエータシステム
JP2005340097A (ja) 2004-05-28 2005-12-08 Ricoh Co Ltd 中継コネクタ
MX2007002424A (es) * 2004-08-31 2008-10-29 Miller Herman Inc Sistemas de protocolo en base a designación para reconfigurar relaciones de control entre dispositivos.
CA2550527A1 (en) * 2005-06-21 2006-12-21 Ideal Industries, Inc. Electrical disconnect with push-in connectors
US8172589B2 (en) * 2007-08-09 2012-05-08 Haworth, Inc. Modular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for a building
US7613003B2 (en) * 2007-12-07 2009-11-03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8876548B2 (en) * 2008-03-31 2014-11-04 Panduit Corp. Rack unit outlet spacing for power outlet units
US9065260B2 (en) 2012-12-06 2015-06-23 Phoenix Cont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Inc. Modular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
US9680269B2 (en) * 2013-08-08 2017-06-13 Lennox Industries Inc. Electrical contactor with header connectors
JP6278861B2 (ja) * 2014-07-29 2018-02-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992092B2 (en) * 2018-11-30 2021-04-27 Molex, Llc Connector that connects to electric wires and to other connecto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9978A (ko) * 1997-03-07 1998-11-25 루이스 에이 헥트 신호 및 접지 단자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KR20090014095A (ko) * 2007-08-03 2009-02-06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20090016778A (ko) * 2007-08-13 2009-0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유동형 커넥터
KR20120112107A (ko) * 2011-03-31 2012-10-11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전기 커넥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 피닉스콘택트 제품 카탈로그 「프린트 기판용 단자대·커넥터」2017/2018년 인터넷〈URL:https://www.phoenixcontact.com/assets/downloads_ed/global/web_dwl_promotion/CAT_7_2017_JA_LoRes.pdf〉P349 TSPC5/..-/ST 시리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35138B (zh) 2021-10-29
JP6526363B1 (ja) 2019-06-05
WO2020003441A1 (ja) 2020-01-02
JPWO2020003441A1 (ja) 2020-07-02
US20210257756A1 (en) 2021-08-19
DE112018007682B4 (de) 2022-11-10
CN112335138A (zh) 2021-02-05
KR102316121B1 (ko) 2021-10-25
US11239578B2 (en) 2022-02-01
DE112018007682T5 (de)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8654B2 (en) Industrial automation technology input/output module
TWI691130B (zh) 模組化插入式連接器及可更換模組印刷電路板
KR102316121B1 (ko) 커넥터 및 전자기기 시스템
US9419379B2 (en) Connector having a recessed concave section in a surface between a pair or partition walls between adjacent terminals
KR102011007B1 (ko) 터미널 단자
US10513231B2 (en) Electronic component unit, wire harness, and connector fixing structure
CN108174621B (zh) 连接器单元、装入电气部件的连接器以及带连接器的电气部件
JP5074999B2 (ja) 電気コネクタ付回路基板用ケース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ユニット
WO2013153788A1 (ja) コネクタ、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リード線付ハウジング、ハウジングおよびコンタクト
JP7139929B2 (ja) ハーネス部品
JP6962730B2 (ja) 被覆部材及びコイル装置
JP5473638B2 (ja) 電気コネクタ
JP2020155383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及び、コネクタ
JP3487542B2 (ja) 屈曲配線板
CN112470555B (zh) 电子控制装置
JP5428229B2 (ja) 基板用スペーサ及び基板間連結構造
JP2016213004A (ja) 配線部材
JP2005063891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6656017B2 (ja) 制御基板及び電気接続箱
JP6024039B2 (ja) 回路構成体および電気接続箱
JP2020155382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及び、コネクタ
KR20210117457A (ko) 플러그 커넥터
JP5397196B2 (ja) 基板端子用台座
JPH0419975A (ja) 電気接続体
JP2008276506A (ja) 短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