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9986A - 지엽류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취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9986A
KR20120109986A KR1020110131532A KR20110131532A KR20120109986A KR 20120109986 A KR20120109986 A KR 20120109986A KR 1020110131532 A KR1020110131532 A KR 1020110131532A KR 20110131532 A KR20110131532 A KR 20110131532A KR 20120109986 A KR20120109986 A KR 20120109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banknote
stage
roller
she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5412B1 (ko
Inventor
유따까 나미까와
노부히꼬 이시이
가쯔오 다까하시
하야또 미나미신
사또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9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6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14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by photoelectric feelers or detectors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지엽류의 조출의 안정성이 개선된 지엽류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지엽류 취급 장치인 지폐 처리 유닛(10)은, 검지 수단(20)에 의해, 가장 픽 롤러(14)측에 적층된 지폐(12)의 적어도 일부가 반출구(16)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는 상태인 불량 상태를 검지한다. 검지 수단(20)이 불량 상태를 검지하면, 픽 롤러(14)는 회전을 정지한다.

Description

지엽류 취급 장치{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본 발명은, ATM(Automated Teller Machine)의 지폐 처리 유닛 등의 지엽류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집적되어 적층된 지엽류를 한 장씩 취출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는, 금융 기관에 설치되는 ATM의 지폐 처리 유닛이나, 복사기나 프린터의 급지부 등, 여러 가지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서는, ATM의 지폐 처리 유닛 등에 관련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서는, 복사기나 프린터의 급지부 등에 관련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관한 ATM의 지폐 처리 유닛의 개략 구성도이다. 지폐 처리 유닛은, 지폐의 식별 처리나 지폐의 입출금 처리를 행하는 유닛이며, 도 1에서는, 그 중 지폐 보류고로부터 지폐를 조출하기 위한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지폐 처리 유닛(100)은, 지폐 보류고(101) 내에 집적된 지폐(102)를 실어 승강시키는 스테이지(103)와, 일정한 하중이 가해진 때에 회전하는 픽 롤러(104)와, 픽 롤러(104)로부터 반송된 지폐를 반출구(106)로부터 조출하는 피드 롤러(105)를 구비하고 있다.
ATM의 지폐 처리 유닛(100)에서는, 스테이지(103)를 상승시켜 픽 롤러(104)에 일정한 하중으로 지폐(102)를 압박함으로써, 픽 롤러(104)가 회전하여 지폐(102)를 조출하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소61-217439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219333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4-129931호 공보
그런데 ATM의 지폐 처리 유닛에서는, 사용 완료된 지폐가 다수 취급된다. 사용 완료된 지폐는, 스테이지에 실은 상태에서 반드시 편평하지는 않고, 접힘이나 굽힘 등이 생겨져 있는 경우가 있는데, 지폐의 접힘이나 굽힘은, 지폐 처리 유닛에 의한 지폐의 안정된 조출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된다.
이하,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서, 지폐의 접힘이나 굽힘이 지폐 처리 유닛의 조출의 안정성을 열화시킬 수 있는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는, 도 1에 예시되는 종래 기술에 관한 지폐 처리 유닛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2b는, 도 1에 예시되는 종래 기술에 관한 지폐 처리 유닛의 정면 개략도이다.
종래의 지폐 처리 유닛(100)은,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회전 시에 픽 롤러(104)의 하면의 높이가, 반출구(106)가 형성되어 있는 높이의 범위[이하, 간단히, 반출구(106)의 높이 범위라고 기재함] 내로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지폐(102)가 편평한 경우이면, 반송 시에는 지폐(102) 전체가 픽 롤러(104)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픽 롤러(104)에 의해 지폐(102)를 확실하게 반출구(106)의 내부로 반송할 수 있다.
한편, 지폐(102)가 편평하지 않는 경우에는, 지폐(102) 전체가 반출구(106)의 높이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도 2b에서는, 픽 롤러(104)에 접촉하고 있지 않는 부분인 지폐(102)의 양단 부분이나 중심 부분이 반출구(106)의 높이 범위 밖에 위치하고, 또한, 지폐(102)의 일단이 가이드 부재(107)에 접촉하고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b에 예시되는 상태에서, 지폐(102)를 픽 롤러(104)에 의해 반송하면, 지폐(102) 중 반출구(106)의 높이 범위 밖에 있는 부분이, 반출구(106)의 입구에서 걸려버린다. 또는, 만약 지폐(102)를 내부로 반송할 수 있었던 경우에도, 반출구(106)의 입구나 가이드 부재(107)와의 접촉(마찰)에 의해 지폐(102)의 반송 자세가 변화해버린다. 이와 같은 입구에서 걸린 지폐나 반송 자세가 변화한 지폐는, 지폐 처리 유닛(100)의 정상인 동작을 저해하고, 어떤 경우에는, 종이 걸림(잼) 등의 반송 불량을 발생시켜, ATM이 중지된다.
이와 같이, 지폐 처리 유닛(100)에는, 접힘이나 굽힘이 있는 지폐(102)에 의해, 지폐의 조출의 안정성이 열화해버린다고 하는 기술적인 과제가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ATM의 지폐 처리 유닛을 예로 설명했지만, 마찬가지의 과제는, 접힘이나 굽힘이 있는 지엽류가 취급되는 지엽류 취급 장치 전반에서 생길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실정을 근거로 하여, 본 발명은, 지엽류의 조출의 안정성이 개선된 지엽류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지엽류를 반출하기 위한 반출구가 형성된, 지엽류를 적층하여 수납하는 수납고와, 상기 수납고 내에서 적층된 지엽류를 상기 지엽류의 적층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에 의해 롤러 표면에 압박된 상기 지엽류를 상기 반출구로 반송하는 반송 롤러와, 상기 수납고 내에서 가장 반송 롤러측에 적층된 상기 지엽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반송 롤러에 의한 지엽류의 반송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반출구보다도 상기 반송 롤러의 회전축측에 위치하는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포함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지엽류를 반출하기 위한 반출구가 형성된, 지엽류를 적층하여 수납하는 수납고와, 상기 수납고 내에서 적층된 지엽류를 상기 지엽류의 적층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에 의해 롤러 표면에 압박된 상기 지엽류를 상기 반출구로 반송하는 반송 롤러와, 상기 스테이지와 대향하여 설치된 가이드 부재와, 상기 수납고 내에서 가장 반송 롤러측에 적층된 상기 지엽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반송 롤러에 의한 지엽류의 반송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반출구와 상기 가이드 부재 중 상기 스테이지에 가까운 한쪽보다도 상기 반송 롤러의 회전축측에 위치하는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포함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지엽류를 반출하기 위한 반출구가 형성된, 지엽류를 적층하여 수납하는 수납고와, 상기 수납고 내에서 적층된 지엽류를 상기 지엽류의 적층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에 의해 롤러 표면에 압박된 상기 지엽류를 상기 반출구로 반송하는 반송 롤러와, 상기 수납고 내에서 가장 반송 롤러측에 적층된 상기 지엽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반출구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는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포함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엽류의 조출의 안정성이 개선된 지엽류 취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관한 ATM의 지폐 처리 유닛의 개략 구성도.
도 2a는 도 1에 예시되는 지폐 처리 유닛의 측면 개략도.
도 2b는 도 1에 예시되는 지폐 처리 유닛의 정면 개략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지폐 처리 유닛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 개략도.
도 3b는 도 3a에 예시되는 지폐 처리 유닛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 개략도.
도 4a는 실시예 1에 관한 지폐 처리 유닛의 상면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되는 화살표 C의 방향으로부터 본 때의, 도 4a에 예시되는 지폐 처리 유닛의 측면도.
도 4c는 도 4a에 도시되는 화살표 D의 방향으로부터 본 때의, 도 4a에 예시되는 지폐 처리 유닛의 측면도.
도 5는 도 4a에 예시되는 지폐 처리 유닛에 포함되는 레버 부재와 포토인터럽터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지폐 처리 유닛의 기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지폐 처리 유닛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 개략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예시되는 지폐 처리 유닛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 개략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되는 지폐 처리 유닛(10)은, 지폐 보류고(11)에 수납된 지폐(12)를 취출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이다. 지폐 처리 유닛(10)은, 지폐(12)를 적층하여 수납하는 수납고인 지폐 보류고(11)를 구비하고 있고, 지폐 보류 고(11)의 일측면에는, 지폐(12)를 반출하기 위해 설치된 반출구(16)가 형성되어 있다.
지폐 처리 유닛(10)은, 또한, 지폐 보류고(11) 내에서 적층된 지폐(12)를 지폐(12)의 적층 방향[화살표 A(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테이지(13)와, 스테이지(13)에 의해 롤러 표면에 압박된 지폐(12)를 반출구(16)로 반송하는 반송 롤러인 픽 롤러(14)와, 픽 롤러(14)에 의해 반출구(16)로 반송된 지폐(12)를 반출구(16)로부터 외부로 송출하는 피드 롤러(15)와, 반출구(16)로의 지폐(12)의 반송을 보조하는 가이드 부재(17)와, 지폐 보류고(11)로부터의 지폐(12)의 반출을 방해하는 지폐(12)의 접힘이나 굽힘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20)을 구비하고 있다.
지폐 처리 유닛(10)은, 검지 수단(20)을 포함하는 점, 및 검지 수단(20)의 검지 결과에 의해 픽 롤러(14)의 동작이 제한되는 점이,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되는 종래 기술에 관한 지폐 처리 유닛(100)과 상이하다.
검지 수단(20)은, 지폐 보류고(11)로부터의 지폐(12)의 반출을 방해하는 지폐(12)의 접힘이나 굽힘을 검지하는 수단이지만, 보다 구체적으로는, 픽 롤러(14)에 의한 지폐(12)의 반송 방향(화살표 B)으로부터 보아, 지폐 보류고(11) 내에서 가장 픽 롤러(14)측에 적층된 지폐(12)의 적어도 일부가, 반출구(16)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는 상태, 즉, 반출구(16)보다도 픽 롤러(14)의 회전축(14a)측에 위치하는 상태(이후, 불량 상태라고 기재함)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불량 상태의 검지는, 검지 수단(20)이, 예를 들면 지폐 보류고(11) 내에서 가장 픽 롤러(14)측에 적층된 지폐(12)와의 접촉에 의해 이동하는 레버 부재(18)와, 그 접촉에 의한 레버 부재(18)의 소정량 이상의 이동을 검지하는 센서(19)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픽 롤러(14)는, 기본적으로는,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되는 픽 롤러(104)와 마찬가지로, 스테이지(13)의 이동에 의해 롤러 표면에 지폐(12)가 압박되어 픽 롤러(14)에 일정한 하중이 가해진 때에 회전한다. 단, 픽 롤러(14)는, 검지 수단(20)이 불량 상태를 검지하면, 픽 롤러(14)에 일정한 하중이 가해지고 있었던 경우이어도 회전하지 않고, 지폐(12)의 반송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이, 픽 롤러(104)와 상이하다.
또한, 픽 롤러(14)는, 회전 시에 픽 롤러(14)의 하면의 높이가, 반출구(16)가 형성되어 있는 높이의 범위 내로 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점은,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되는 지폐 처리 유닛(100)의 픽 롤러(104)와 마찬가지이다.
지폐 처리 유닛(10)에 따르면, 불량 상태를 검지하여 픽 롤러(14)에 의한 지폐(12)의 반송을 정지함으로써, 픽 롤러(14)에 의해 반송된 지폐(12)가 반출구(16)의 입구에서 걸려버리는 사태나, 반출구(16)의 입구나 가이드 부재(17)와의 접촉(마찰)에 의해 지폐(12)의 반송 자세가 변화해버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종이 걸림(잼)의 발생을 억제하여 지폐 처리 유닛(10)을 정상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지폐(12)의 조출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서는, 가이드 부재(17)가 반출구(16)보다도 높은 위치, 즉, 반출구(16)보다도 픽 롤러(14)의 회전축(14a)측에 설치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가이드 부재(17)와 반출구(16)의 위치 관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 부재(17)는, 회전 시의 픽 롤러(14)의 하면보다도 회전축(14a)측에 설치되어 있으면, 반출구(16)의 높이 범위 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단, 가이드 부재(17)가 반출구(16)의 높이 범위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고려하면, 검지 수단(20)은, 지폐 보류고(11) 내에서 가장 픽 롤러(14)측에 적층된 지엽류의 적어도 일부가, 픽 롤러(14)에 의한 지폐(12)의 반송 방향으로부터 보아, 반출구(16) 또는 가이드 부재(17) 중 스테이지(13)에 가까운 한쪽보다도 픽 롤러(14)의 회전축(14a)측에 위치하는 상태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4a는, 본 실시예에 관한 지폐 처리 유닛의 상면도이다. 도 4b 및 도 4c는, 도 4a에 예시되는 지폐 처리 유닛의 측면도이며, 각각, 도 4a에 도시되는 화살표 C, 화살표 D의 방향으로부터 본 때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4a에 예시되는 지폐 처리 유닛에 포함되는 레버 부재와 포토인터럽터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지폐 처리 유닛(30)은, 도 4c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지폐(32)를 적층하여 수납하는 수납고인 지폐 보류고(31)를 구비하고, 그 일측면에 지폐(32)를 반출하기 위해 설치된 반출구(36)가 형성되어 있다. 반출구(36)는, 지폐(32)가 복수 매(예를 들면 10매 정도) 통과할 수 있는 개구 폭을 갖고 있지만, 세퍼레이터(41)에 의해 픽 롤러(34)에 접촉하고 있는 지폐 이외의 지폐의 반출구(36)로의 진입이 방지되어 있다.
지폐 처리 유닛(30)은, 도시하지 않지만, 지폐 보류고(31) 내에서 적층된 지폐(32)를 실어, 지폐(32)의 적층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테이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테이지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에 의해 구동된다.
지폐 처리 유닛(30)은, 도 4a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스테이지의 이동에 의해 롤러 표면에 압박된 지폐(32)를 반출구(36)로 반송하는 4개의 픽 롤러(34)와, 픽 롤러(34)에 의해 반송된 지폐(32)를 반출구(36)로부터 외부로 송출하는 3개의 피드 롤러(35)와, 피드 롤러(35)와 회전축(35a)을 공유하는 4개의 금속 롤러(4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픽 롤러(34), 피드 롤러(35)는, 각각 회전축(34a), 회전축(35a)의 회전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 롤러인 것에 대해, 금속 롤러(42)는, 회전축(35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종동 롤러이다. 픽 롤러(34)는, 일정한 하중이 가해진 때에 회전하지만, 후술하는 검지 수단(40)이 불량 상태를 검지하면, 가해지고 있는 하중에 상관없이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a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픽 롤러(34)와 피드 롤러(35)는, 지폐 보류고(31) 내의 회전축 방향의 비교적 중심에 가까운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4개의 금속 롤러(42) 중 2개는, 픽 롤러(34)와 피드 롤러(35)와 마찬가지로, 회전축 방향의 비교적 중심에 가까운 영역에 배치되어 있지만, 남은 2개는, 보다 외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동 롤러인 금속 롤러(42)를 비교적 광범위에 걸쳐 복수 배치함으로써, 지폐(32)의 반송 자세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c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픽 롤러(34)는, 회전 시에 픽 롤러(34)의 하면의 높이가, 반출구(36)의 높이 범위 내로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지폐 처리 유닛(30)은, 도 4a 및 도 4c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반출구(36)로의 지폐(32)의 반송을 보조하는 가이드 부재(37)와, 지폐 보류고(31) 내에서 가장 픽 롤러(34)측에 적층된 지폐(32)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축(38a) 주위로 회전하는 4개의 레버 부재(38)와, 레버 부재(38)의 이동에 의한 입사광량의 변화를 검지하는 광 센서인 3개의 포토인터럽터(3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레버 부재(38)와 포토인터럽터(39)는, 불량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40)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37)는, 도 4c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반출구(36)보다도 높은 위치, 즉, 픽 롤러(34)에 의한 반송 방향으로부터 보아 반출구(36)보다도 픽 롤러(34)의 회전축(34a)측에 설치되어 있다. 레버 부재(38)는, 가이드 부재(37)의 간극으로부터, 가이드 부재(37)보다도 도시하지 않은 스테이지측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회전축(38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포토인터럽터(39)는, 도시하지 않지만, 서로 대향하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갖고 있다. 또한, 포토인터럽터(39) 대신에, 포토리플렉터 등의 다른 광 센서를 이용해도 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면서, 지폐(32)의 위치의 변화에 따라, 레버 부재와 포토인터럽터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가장 픽 롤러측의 지폐(32)가, 예를 들면 도 5의 점선으로 도시하는 위치에 있고, 지폐(32)가 레버 부재(38)와 접촉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가이드 부재(37)보다도 스테이지측으로 돌출한 레버 부재(38)의 부분(이후, 돌출부라고 기재함)이 비교적 낮은 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회전축(38a)에 대하여 돌출부와 반대측에 있는 레버 부재(38)의 단부(이후, 차단부라고 기재함)는, 포토인터럽터(39)의 광축(39a)을 걸치고 있다. 이 때문에, 포토인터럽터(39)의 발광부로부터 출사된 광은, 레버 부재(38)의 차단부에서 차단되어, 포토인터럽터(39)의 수광부에서는 검출되지 않는다.
지폐(32)가 레버 부재(38)에 접촉하여, 레버 부재(38)의 돌출부가 밀어 올려지면, 레버 부재(38)가 회전축(38a)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레버 부재(38)의 차단부가 낮은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지폐(32)가 도 5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레버 부재(38)의 돌출부가 소정량 이상 밀어 올려지면, 레버 부재(38)의 차단부는, 포토인터럽터(39)의 광축(39a) 상으로부터 벗어난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포토인터럽터(39)의 발광부로부터 출사된 광은, 수광부까지 도달하여 수광부에서 검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포토인터럽터(39)는, 광이 검출되는지의 여부에 의해, 즉, 입사광량의 변화를 검지함으로써, 레버 부재(38)가 소정량 이상 이동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지할 수 있다.
즉, 포토인터럽터(39)가 광을 검출한 경우에는 지폐 상태가 불량이라고 판단하여 픽 롤러(34)의 회전을 정지하고, 포토인터럽터(39)가 광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지폐 상태가 양호라고 판단하여 픽 롤러(34)의 회전을 구동하게 된다.
지폐 처리 유닛(30)에서는, 이 소정량과, 지폐(32)가 레버 부재(38)에 접촉하고 나서 지폐(32)가 반출구(36)의 높이 범위를 초과할 때까지 레버 부재(38)가 이동하는 이동량이 일치하도록, 미리 레버 부재(38)와 포토인터럽터(39)의 위치 관계가 조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검지 수단(40)은, 불량 상태, 즉, 지폐 보류고(31)에서 가장 픽 롤러측에 적층된 지폐(32)의 적어도 일부가, 픽 롤러에 의한 지폐(32)의 반송 방향으로부터 보아, 반출구(36)보다도 픽 롤러(34)의 회전축(34a)측에 위치하는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지폐 처리 유닛(30)에 따르면, 불량 상태를 검지하여 픽 롤러(34)에 의한 지폐(32)의 반송을 정지함으로써, 픽 롤러(34)에 의해 반송된 지폐(32)가 반출구(36)의 입구에서 걸려버리는 사태나, 반출구(36)의 입구나 가이드 부재(37)와의 접촉(마찰)에 의해 지폐(32)의 반송 자세가 변화해버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종이 걸림(잼)의 발생을 억제하여 지폐 처리 유닛(30)을 정상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지폐(32)의 조출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레버 부재(38)가 4개 설치된 구성을 예시했지만, 레버 부재(38)의 수는 4개에 한하지 않고, 적어도 1개 이상 있으면 된다. 단, 보다 많이 설치함으로써, 지폐의 안정된 조출을 방해하는 지폐의 접힘이나 굽힘을 보다 확실하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 관한 지폐 처리 유닛(30)에서는, 일반적으로 자주 볼 수 있는 접힘 방법(예를 들면 4번 접힘이나 3번 접힘 등)으로 접혀진 지폐가 반출구(36)보다도 높게 위치하기 쉽다고 생각되는 양단 부분과 중심 부분에 각각 2개씩, 레버 부재(38)를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적은 수의 레버 부재(38)로 보다 확실하게 불량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지폐 처리 유닛(30)에서는, 4개의 레버 부재(38) 중 중심에 가까운 2개의 레버 부재(38)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 한쪽의 회전에 따라 다른 쪽도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4a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38) 주변의 포토인터럽터(39)의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의 삭감, 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10, 30, 100 : 지폐 처리 유닛
11, 31, 101 : 지폐 보류고
12, 32, 102 : 지폐
13, 103 : 스테이지
14, 34, 104 : 픽 롤러
15, 35, 105 : 피드 롤러
16, 36, 106 : 반출구
17, 37, 107 : 가이드 부재
18, 38 : 바 부재
19 : 센서
20, 40 : 검지 수단
14a, 34a, 35a, 38a : 회전축
39a : 광축
39 : 포토인터럽터
41 : 세퍼레이터
42 : 금속 롤러

Claims (7)

  1. 지엽류를 반출하기 위한 반출구가 형성된, 지엽류를 적층하여 수납하는 수납고와,
    상기 수납고 내에서 적층된 지엽류를 상기 지엽류의 적층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에 의해 롤러 표면에 압박된 상기 지엽류를 상기 반출구로 반송하는 반송 롤러와,
    상기 수납고 내에서 가장 반송 롤러측에 적층된 상기 지엽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반송 롤러에 의한 지엽류의 반송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반출구보다도 상기 반송 롤러의 회전축측에 위치하는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롤러는, 상기 검지 수단이 상기 상태를 검지하면, 상기 스테이지에 의해 압박된 상기 지엽류의 반송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수단은,
    상기 수납고 내에서 가장 반송 롤러측에 적층된 상기 지엽류와의 접촉에 의해 이동하는 레버 부재와,
    상기 접촉에 의한 상기 레버 부재의 소정량 이상의 이동을 검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반출구보다도 상기 반송 롤러의 회전축측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보다도 상기 반송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스테이지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레버 부재의 상기 소정량 이상의 이동에 의한 입사광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광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6. 지엽류를 반출하기 위한 반출구가 형성된, 지엽류를 적층하여 수납하는 수납고와,
    상기 수납고 내에서 적층된 지엽류를 상기 지엽류의 적층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에 의해 롤러 표면에 압박된 상기 지엽류를 상기 반출구로 반송하는 반송 롤러와,
    상기 스테이지와 대향하여 설치된 가이드 부재와,
    상기 수납고 내에서 가장 반송 롤러측에 적층된 상기 지엽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반송 롤러에 의한 지엽류의 반송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반출구와 상기 가이드 부재 중 상기 스테이지에 가까운 한쪽보다도 상기 반송 롤러의 회전축측에 위치하는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7. 지엽류를 반출하기 위한 반출구가 형성된, 지엽류를 적층하여 수납하는 수납고와,
    상기 수납고 내에서 적층된 지엽류를 상기 지엽류의 적층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에 의해 롤러 표면에 압박된 상기 지엽류를 상기 반출구로 반송하는 반송 롤러와,
    상기 수납고 내에서 가장 반송 롤러측에 적층된 상기 지엽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반출구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는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KR1020110131532A 2011-03-25 2011-12-09 지엽류 취급 장치 KR1013754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68830 2011-03-25
JP2011068830A JP5416731B2 (ja) 2011-03-25 2011-03-25 紙葉類取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986A true KR20120109986A (ko) 2012-10-09
KR101375412B1 KR101375412B1 (ko) 2014-03-17

Family

ID=46858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532A KR101375412B1 (ko) 2011-03-25 2011-12-09 지엽류 취급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416731B2 (ko)
KR (1) KR101375412B1 (ko)
CN (1) CN1026935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5588A (ja) * 2014-01-17 2015-07-2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CN106157432A (zh) * 2016-08-03 2016-11-23 高文博 一种纸币分类计数整理一体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0947B2 (ja) * 1989-05-23 1995-10-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葉類取扱機構
JP2502855Y2 (ja) * 1989-10-16 1996-06-26 富士電機株式会社 リサイクル紙幣処理機
JP2503871B2 (ja) * 1993-04-30 1996-06-05 日本電気株式会社 紙葉類繰り出し装置
JP3976449B2 (ja) * 1999-07-06 2007-09-1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幣入出金機
KR20040017097A (ko) * 2002-08-20 200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접힘에 의한 에러검출수단을 갖는 프린터 및 이프린터를 위한 인쇄방법
KR100464087B1 (ko) * 2002-12-16 2005-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잼 방지장치
JP4514715B2 (ja) * 2006-01-06 2010-07-2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繰出装置
JP2008303040A (ja) * 2007-06-08 2008-12-18 Canon Electronics Inc シート給送装置
JP4877124B2 (ja) * 2007-07-23 2012-02-1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JP5186901B2 (ja) * 2007-11-29 2013-04-2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集積装置
JP5301954B2 (ja) * 2008-11-12 2013-09-25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93578B (zh) 2014-11-12
JP2012201470A (ja) 2012-10-22
KR101375412B1 (ko) 2014-03-17
CN102693578A (zh) 2012-09-26
JP5416731B2 (ja)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8327B2 (en) Paper sheet handling machine
JP4415002B2 (ja) 紙葉類繰り出し機構
US6779728B2 (en) Banknote receipt and pay-out apparatus
EP3211609B1 (en) Multi-banknote cassette with movable stopper and banknote stacking method thereof
JP5091628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4567353B2 (ja) 紙葉類取扱装置、自動取引装置、及び紙葉類搬送装置
JP4945424B2 (ja) 紙葉類分離集積装置
JP2009046298A (ja) 紙葉類集積装置
KR101375412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JP5695198B2 (ja) 紙葉類繰り出し装置、紙葉類処理装置
WO2019163004A1 (ja) 紙葉類分離装置及び紙葉類分離方法
JP2010052884A (ja) 紙葉類取扱装置
JP2001240294A (ja) 紙葉類集積装置および紙葉類収納庫および紙葉類取扱装置
JP6792727B2 (ja) 紙葉類集積装置及び紙葉類集積装置の制御方法
JP6259725B2 (ja) 紙葉類分離集積装置
JP4168005B2 (ja) 紙葉類収納装置
KR101761478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JP5245514B2 (ja) 紙葉類の保留集積装置
KR20100073460A (ko) 금융자동화기기
KR20120018671A (ko) 시트롤러 스택시트의 오버런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집적 장치
JP2016153950A (ja) 媒体繰出カセット及び媒体引渡装置
JP4437932B2 (ja) 紙葉類繰り出し機構、紙葉類繰り出し装置、及び多重搬送防止方法
WO2017187529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紙葉類取扱方法
KR20160107392A (ko) 매체집적장치
KR20170110430A (ko)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