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6625A - 이앙기 - Google Patents

이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6625A
KR20120106625A KR1020120026649A KR20120026649A KR20120106625A KR 20120106625 A KR20120106625 A KR 20120106625A KR 1020120026649 A KR1020120026649 A KR 1020120026649A KR 20120026649 A KR20120026649 A KR 20120026649A KR 20120106625 A KR20120106625 A KR 20120106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planting
shift
seedling loading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5047B1 (ko
Inventor
야스타카 히키다
유키노리 키무라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6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Abstract

본원 발명은 모종 적재대(41)의 폭방향의 한쪽 단부를 식부 기구(119)에 위치 맞춤하는 단부 시프트를 간단한 구성으로 정확하게 행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모종 적재대(41)의 단부 시프트를 식부 클러치 기구(55)의 동력 전달 온에 의해 개시하고, 상기 모종 적재대의 모종대 프레임(49)에 장착한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의 작동에 의해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55)를 동력 전달 오프로 하여 종료한다.

Description

이앙기{RICE TRANSPLANTER}
본 발명은 이앙기의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종 적재대를 모종대 단부 위치로 이동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앙기에 있어서의 모내기 작업은 종래부터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모종 매트를 실은 모종 적재대를 적당한 폭의 피치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횡이송하면서 이 모종 적재대로부터 식부 기구가 상기 적당한 폭의 모종을 잘라내서 포장에 식부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모내기 작업을 개시할 때에는 상기 각 모종 적재대의 폭 방향 중 적어도 한쪽 단부를 상기 식부 기구에 위치를 맞춘다고 하는 단부 시프트(shift)를 시킬 필요가 있다.
선행 기술로서의 특허문헌 1은,
「상기 모종 적재대에 있어서의 단부 시프트를 상기 식부부에 대한 식부 클러치 기구를 동력 전달 온(ON)으로 조작함으로써 개시하고, 모종 적재대에 있어서의 좌우 양단의 한쪽 단부가 상기 모종 적재대와 포장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식부 기구를 만났을 때, 즉 상기 모종 적재대가 소정의 단부 시프트 위치에 왔을 때에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를 동력 전달 오프(OFF)로 스위칭 작동함으로써 상기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를 종료한다.」
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이 선행기술은 상기 모종 적재대가 소정의 단부 시프트 위치에 왔을 때 캠을 작동하고, 이 캠의 움직임을 와이어 및 연결봉 등의 연동 기구를 통하여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에 전달함으로써 이 식부 클러치 기구를 동력 전달 오프(OFF)로 조작한다고 하는 구성이다.
또한, 다른 선행기술로서의 특허문헌 2는,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를 상기 식부부를 승강 조작하는 식부 승강 레버에 연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식부 승강 레버를 식부부의 상승 위치로 조작했을 때에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가 동력 전달 온(ON)이 되어서 상기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를 개시하고, 상기 모종 적재대가 소정의 단부 시프트 위치에 온 것을 눈대중으로 확인했을 때에 상기 식부 승강 레버를 상기 식부부의 승강을 정지한다고 하는 중립 위치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가 동력 전달 오프(OFF)로 스위칭 작동하여 상기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를 종료한다.」
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이들 양 특허문헌의 이앙기를 포함하는 일반 이앙기에 있어서는 상기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를 종료한 후에 상기 식부부를 포장면에 접하도록 하강 조작하고,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를 동력 전달 온(ON)으로 함으로써 소정의 모내기 작업에 들어간다고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 나타내는 이앙기에 있어서는 모종 적재대가 횡방향의 모종대 단부 위치로 이동해서 온이 되는 검출 센서를 구비하고, 이 센서의 검출값에 의거하여 식부 클러치를 「오프」로 하여 모종 적재대를 모종대 단부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07-00732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10-31362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6-319325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상기 모종 적재대가 소정의 단부 시프트 위치에 왔을 때에 작동하는 캠, 및 이 캠의 움직임을 식부 클러치에 전달하는 와이어 등의 연동 기구를 필요로 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현저하게 많아 비용, 대형화 및 중량의 증가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상기 캠 및 연동 기구에 타물이 접촉하는 빈도가 높고, 이것에 기인해서 고장 및 오작동이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에 있어서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를 개시하기 위해서는 그 전제 조작으로서 이앙기의 전진 주행을 정지하고, 또한 식부부를 상승시켜 두어야만 하지만 이들 전제 조작을 소홀히 한 채 단부 시프트를 행하여 상기 식부 기구 및 모종 적재대 등을 손상시킨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2의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상기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를 상기 식부부를 높게 상승시킨 상태에서 개시할 수 있지만, 작업자는 상기 모종 적재대가 소정의 단부 시프트 위치에 왔는지의 여부를 뒤로 돌은 자세에서 눈대중으로 확인한 후에 상기 식부 승강 레버를 중립 위치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를 동력 전달 오프로 하여 상기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를 종료하도록 해야만 하여, 단부 시프트의 종료에 수동 조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완전한 자동화가 아닐 뿐만 아니라, 눈대중과 수동 조작에 의한 단부 시프트이기 때문에 단부 시프트의 작업성 및 정밀도가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3의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모종 적재대가 모종대 단부 위치에 도달한 후에 식부 클러치를 「오프」로 하기 때문에 식부 클러치에 동작 지연이 발생한 경우, 예를 들면 모터 등을 통하여 식부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동력의 차단이 늦어 모종 적재대가 오버런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모종 적재대를 고속도로 이동시킨 경우에는 모종 적재대에 작용하는 관성력에 의해 마찬가지로 상기 모종 적재대가 오버런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이렇게 모종 적재대가 오버런한 상태에서 모종 매트가 셋팅되면 결주(缺株)가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들 문제를 해소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의 발명은 동력원을 구비한 주행 차체와, 이것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식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부부에 대한 동력 전달용 식부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식부부에 있어서의 모종 적재대의 횡이송에 의한 단부 시프트를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의 동력 전달 온에 의해 개시하는 구성으로 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식부부에 있어서의 모종 적재대가 좌우 횡이송의 일단에 왔을 때에 작동하는 모종대 위치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이 모종대 위치 검출 수단의 작동에 의해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를 동력 전달 오프로 해서 상기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를 종료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모종대 위치 검출 수단을 상기 모종 적재대를 지지하는 모종대 프레임 중 좌우의 일단부로부터 내측 부위에 장착하고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식부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식부 승강 레버와, 주변속 레버의 조작에 의해 주행 속도를 변속하는 주변속 기구와, 이 주변속 기구 및 상기 식부부로의 회전수를 변속 페달의 밟기 조작에 의해 변속하는 무단 변속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식부 승강 레버를 상기 식부부의 중립 위치로 조작하고, 또한 상기 주변속 레버를 주행 정지인 중립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서 상기 변속 페달을 소정값 이상으로 밟기 조작했을 때에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의 동력 전달 온에 의해 상기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를 개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무단 변속 기구는 그 출력 회전수를 상기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 중에 변속 페달의 밟기를 완화하거나 멈춰도 상기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를 개시할 때에 있어서의 회전수로 유지하는 구성이라는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무단 변속 기구는 그 출력 회전수를 상기 변속 페달의 밟기 조작량이 상기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를 개시할 때에 있어서의 소정값을 초과해도 상기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를 개시할 때에 있어서의 회전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구성이라는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동력원의 회전수 및 상기 무단 변속 기구의 변속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해서 상기 모종 적재대의 이동 속도를 변경하는 제 1 액추에이터와,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를 작동시키는 제 2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 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 2 액추에이터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모종 적재대를 모종대 단부 위치로 이동시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모종 적재대가 제 1 소정 속도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 1 액추에이터를 구동 제어하고, 상기 모종대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모종 적재대가 상기 모종대 단부 위치보다 앞쪽의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면 상기 클러치가 「오프」가 되도록 제 2 액추에이터를 구동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모종 적재대가 상기 제 1 소정 속도보다 느린 제 2 소정 속도로 이동하도록 제 1 액추에이터를 구동 제어하는 것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추에이터를 조작하는 조작구와, 상기 조작구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조작량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모종 적재대가 상기 소정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있어서 상기 조작량이 미리 설정한 역치 이상이 되면 상기 모종 적재대가 상기 제 1 소정 속도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 1 액추에이터를 구동 제어하고, 상기 조작량이 상기 역치 미만이 되면 상기 모종 적재대가 정지하도록 상기 제 1 액추에이터를 구동 제어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의하면 모종대 위치 검출 수단의 작동에 의해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를 종료하기 때문에 단부 시프트의 자동화가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은 연동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아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적어 비용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작업자는 상기 특허문헌 2와 같이 뒤로 돌아서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를 눈으로 확인한 후에 수동 조작할 필요가 없어져 단부 시프트의 작업성 및 정밀도를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청구항 1에 있어서는 상기 모종대 위치 검출 수단을 상기 모종 적재대를 지지하는 모종대 프레임 중 좌우의 일단부보다 내측의 부위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모종대 위치 검출 수단에 타물이 접촉하는 것을 상기 모종대 위치 검출 수단이 장착되는 모종대 프레임을 이용해서 막을 수 있기 때문에 고장 및 오작동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이어서, 청구항 2에 의하면 이앙기에 주행 속도에 대한 주변속 기구와, 이 주변속 기구 및 식부부에 대한 무단 변속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를, 식부부를 식부 승강 레버의 조작에 의해 중립 위치로 하고, 또한 주변속 레버의 중립 위치로의 조작에 의해 주행을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무단 변속 기구를 변속 작동하는 변속 페달에 있어서의 소정값 이상의 밟기 조작한 경우에 한하여 이 변속 페달의 밟는 조작을 계기로 하여 자동적으로 개시할 수 있다.
즉,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는 그 전제 조작으로서 식부부를 중립 위치로 하고, 또한 주행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 한하여 변속 페달의 소정 이상의 밟기 조작에 의해 이것을 계기로 하여 실행할 수 있으므로, 그 전제 조작을 잊어버리는 일이 없어 단부 시프트의 작업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식부 기구 및 모종 적재대 등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의하면 상기 무단 변속 기구의 변속 페달로부터 발을 떼었다고 하더라도 상기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를 그대로 계속해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의하면 상기 변속 페달을 상기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가 개시되는 소정 위치 이상으로 밟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식부부의 회전수가 상기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가 개시될 때에 있어서의 회전수 이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환언하면 상기 식부부의 회전수를 상기 단부 시프트가 개시될 때에 있어서의 회전수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변속 페달의 과잉 밟기 조작에 의해 상기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에 오버런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의하면 식부 클러치 기구에 동작 지연이 생긴 경우라도 식부 클러치 기구의 동작 지연에 의거하여 소정 위치, 제 1 소정 속도 및 제 2 소정 속도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동력 차단시의 모종 적재대의 정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종 적재대를 정확하게 모종대 단부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소정 속도를 저속도로 함으로써 모종 적재대에 작용하는 관성력 등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모종 적재대의 오버런을 억제하고 결주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의하면 조작구를 조작하여 조작량이 역치 이상이 된 경우에만 모종 적재대가 제 1 소정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모종 적재대를 모종대 단부 시프트 위치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 실수로 이동시키는 일이 없어진다. 즉,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이앙기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이앙기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이앙기의 식부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이앙기의 전차륜 및 후차륜으로의 동력 전달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이앙기의 식부부로의 동력 전달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이앙기의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 근방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A1-A2선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통상 작업시에 있어서의 회동각(β)과 회동각(γ)의 관계를 나타내는 맵이다. (b)는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시에 있어서의 회동각(β)과 회동각(γ)의 관계를 나타내는 맵이다.
도 10은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의 타임 차트이다.
도 11은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이앙기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있어서의 식부부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XⅤ-XⅤ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있어서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7은 제어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어의 플로우 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이앙기(1)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앙기는 8조 심기 이앙기로 하지만, 이것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6조 심기나 10조 심기 이앙기이어도 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앙기(1)는 주행 차체(10)와 식부부(40)를 갖고, 주행 차체(10)에 의해 주행하면서 식부부(40)에 의해 모종을 포장에 식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식부부(40)는 주행 차체(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이 주행 차체(10)의 후방부에 승강 기구(30)를 통하여 승강할 수 있게 연결된다.
승강 기구(30)는 주행 차체(10)와 식부부(40) 사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링크(31)와 하부 링크(32)가 주행 차체(10)와 식부부(40) 사이에 가설되고, 승강용 실린더가 하부 링크(32)와 주행 차체(10) 사이에 연결된다. 그리고, 이 승강용 실린더의 신축 동작에 의해 식부부(40)가 주행 차체(1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즉 승강할 수 있게 된다.
주행 차체(10)에 있어서는 엔진(14)이 차체 프레임(11)의 전방부에 설치되고, 보닛(15)에 의해 피복된다. 미션 케이스(20)가 차체 프레임(11)의 전방부에 지지되어 엔진(14)의 후방에 배치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20)의 내부에는 유압-기계식 무단 변속기(HMT : Hydro Mechanical Transmission)(21)와, HMT(21)로부터의 동력을 복수단으로 변속하는 주변속 기구(22)와, HMT(21)로부터 주변속 기구(22)로의 동력 전달의 여부를 스위칭하는 주클러치(23)와, 주변속 기구(22)의 출력축의 회동을 제동하는 제동 장치(24)가 탑재된다.
상기 HMT(21)는 엔진(14)으로부터의 동력을 무단계로 변속할 수 있는 유압식 무단 변속기(HST : Hydro Static Transmission)(21a)와 엔진(14)으로부터의 동력 및 HST(21a)로부터의 동력을 합성할 수 있는 유성기어기구(21b)를 조합한 것이다.
주행 차체(10)에 있어서는 앞차축 케이스(6)가 차체 프레임(11)의 전방부에서 지지되고, 전차륜(12)이 상기 앞차축 케이스(6)의 좌우 양측에 장착된다. 뒤차축 케이스(7)가 차체 프레임(11)의 후방부에 지지되고, 후차륜(13)이 상기 뒤차축 케이스(7)의 좌우 양측에 장착된다.
주행 차체(10)에 있어서는 예비 모종 적재대(17)가 차체 프레임(11)의 전방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세워져 설치된 각 장착 프레임(16)에 장착되어 보닛(15)의 좌우 양측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예비 모종이 예비 모종 적재대(17)에 적재되어 식부부(40)로의 모종 보급이 가능하게 된다.
주행 차체(10)에 있어서는 차체 프레임(11)의 전후 중도부에 운전 조작부(60)가 설치된다. 운전 조작부(60)의 전방부에는 대시보드(61)가 배치되고, 대시보드(61)의 좌우 중앙부에는 조향 핸들(64)이 배치되며, 조향 핸들(64)의 후방에는 운전석(62)이 배치되고, 운전석(62)의 하방에는 일부를 승강용 스텝으로 하는 차체 커버(63)가 배치된다. 운전 조작부(60)에 있어서는 주변속 레버(65)나 크로스 레버(66)나 변속 페달(67)을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구가 배치되고, 이들 조작구에 의해 주행 차체(10) 및 식부부(40)에 대하여 적절한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식부부(40)에 있어서는 식부 미션 케이스(50)가 모종대 프레임(49)의 하부 중앙 부근에 지지되고, 전동축(51)이 상기 식부 미션 케이스(50)로부터 좌우 양측방으로 연장 설치된다. 4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46)가 각각 전동축(5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다(도 5 참조).
로터리 케이스(44)가 각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후단부 좌우 양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로터리 케이스(44)는 식부 조(條)의 수와 동수,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8개 구비된다. 그리고, 2개의 식부 클로(45)가 로터리 케이스(44)의 회전 지점을 사이에 두도록 이 로터리 케이스(44)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장착된다.
모종 적재대(41)가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상방에 전고후저의 경사 상태로 배치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적재대(41)는 모종대 프레임(49)의 후방부에 상측 가이드 레일(121) 및 하측 가이드 레일(122)을 통하여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다. 모종 적재대(41)는 횡이송 기구(52)에 의해 좌우 왕복 횡이송할 수 있게 된다.
횡이송 기구(52)는 횡이송축(52a)과 슬라이더 받이(52b)를 구비한다(도 3 및 도 5 참조). 횡이송축(52a)은 식부 미션 케이스(50)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그 선단이 베어링을 통하여 모종대 프레임(4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횡이송축(52a)의 좌우 중도부 외주면에는 나사 형상의 홈(나사홈)이 형성된다. 슬라이더 받이(52b)는 상기 나사홈에 외삽됨과 아울러 모종 적재대(41)의 좌우 중앙 하부 전방측에 장착된 모종대 암(41a)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복수조(8조)의 모종 매트 적재부를 구비하는 모종 적재대(41)는 각각의 하단측이 하나의 로터리 케이스(44)와 대향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모종 매트가 각 모종 적재대(41)에 적재되고, 로터리 케이스(44)의 회전시에 식부 클로(45)에 의해 1포기의 모종이 상기 모종 적재대(41) 상의 모종 매트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식부 조에 대하여 2개의 모종 종이송 벨트(47)가 모종 적재대(41)에 설치된다. 모종 종이송 벨트(47)는 모종 적재대(41)가 좌우 왕복 횡이송의 스트로크단에 도달할 때마다 종이송 기구(53)에 의해 모종 적재대(41) 상의 모종 매트를 하방을 향하여 종이송하도록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종이송 기구(53)는 종이송축(53a)을 구비하고(도 3 및 도 5 참조), 종이송축(53a)은 식부 미션 케이스(50)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그 선단이 베어링을 통하여 모종대 프레임(4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종이송축(53a)은 상기 횡이송축(52a)과 동축 상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외주에는 축심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되는 2개의 돌출부(53b·53b)가 좌우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서 형성된다.
식부부(40)에 있어서는 포장면을 정지(整地)하는 복수의 플로트(42)와, 선회 후의 거칠어진 개자리를 정지하는 정지 로터(43)가 각각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모종대 프레임(49)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포장에 선긋기를 하는 좌우의 선긋기 마커(48)가 모종대 프레임(49)의 좌우 양측에 회동할 수 있게 지지된다.
이러한 이앙기(1)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14)의 동력이 미션 케이스(20)에 전달되고, 미션 케이스(20)의 내부에 있는 HMT(21) 및 주변속 기구(22)를 통하여 좌우 전차륜(12)과 좌우 후차륜(13)에 각각 전달되어서 전차륜(12) 및 후차륜(13)이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주행 차체(10)가 전진 또는 후진 주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14)의 동력이 미션 케이스(20), 주간(株間) 변속 케이스(54), 식부 미션 케이스(50) 등을 통하여 각 로터리 케이스(44)에 전달되어서 이 로터리 케이스(44)가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로터리 케이스(44)의 회전 작동에 수반하여 2개의 식부 클로(45)가 교대로 모종을 모종 적재대(41) 상의 모종 매트로부터 인출하여 포장에 식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엔진(14)의 동력이 식부 미션 케이스(50)로부터 횡이송 기구(52)에 전달되어서 횡이송축(52a)이 회동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횡이송축(52a)의 회전 작동에 수반하여 슬라이더 받이(52b)가 나사홈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하고, 이 슬라이더 받이(52b)와 함께 모종 적재대(41)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또한, 엔진(14)의 동력이 식부 미션 케이스(50)로부터 종이송 기구(53)로 전달되어서 종이송축(53a)이 회동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모종 적재대(41)가 좌우의 모종대 단부 위치에 도달하면 종이송축(53a)의 회전 작동에 수반하여 돌출부(53b·53b)가 모종 종이송 벨트(47)의 작동 부위(47a)(도 3 참조)를 밀어넣고, 모종 종이송 벨트(47)가 작동한다. 이렇게 해서, 모종 적재대(41) 상의 모종 매트가 종이송되어서 식부 클로(45)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엔진(14)으로부터 로터리 케이스(44), 횡이송 기구(52) 및 종이송 기구(53)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기구는 도 5에 나타내는 식부 클러치 기구(55)를 포함하고, 식부 클러치 기구(55)의 접속 차단에 따라 엔진(14)의 동력이 로터리 케이스(44), 횡이송 기구(52) 및 종이송 기구(53)에 전달되거나 또는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어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이앙기(1)의 제어에 관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제어 장치(100)가 주행 차체(10)의 임의 위치에 설치된다. 제어 장치(100)는 CPU나, ROM, RAM, 인터페이스, 버스 등을 구비한다. 제어 장치(100)에는 각종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주변속 레버(65)는 주변속 기구(22)의 변속단(변속비)을 변경하기 위한 조작구이다. 주변속 레버(65)는 대시보드(61)의 좌단부[조향 핸들(64)의 좌측]에 배치된다. 주변속 레버(65)는 링크 기구를 통하여 주변속 기구(22)(도 4 참조)에 연결된다.
주변속 레버(65)는 「노상 주행 위치」, 「식부 위치」, 「모종 보충 위치」, 「중립 위치」 또는 「후진 위치」로 조작할 수 있다. 「노상 주행 위치」로 조작된 경우에는 주변속 기구(22)의 변속단이 「고속」으로 변경되고, 「식부 위치」로 조작된 경우에는 주변속 기구(22)의 변속단이 저속으로 변경되며, 「모종 보충 위치」 및 「중립 위치」로 조작된 경우에는 주변속 기구(22)의 변속단이 중립으로 변경되고, 「후진 위치」로 조작된 경우에는 주변속 기구(22)의 변속단이 역전으로 변경된다.
주변속 레버(65)는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조작 위치 검출 스위치(65a)를 구비한다. 조작 위치 검출 스위치(65a)는 제어 장치(100)와 접속되어서 그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 장치(100)로 송신한다.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크로스 레버(66)는 식부부(40)의 승강 조작, 선긋기 마커(48)의 조작 및 식부 클러치 기구(55)의 조작을 행하는 조작구이고, 대시보드(61)의 후방 우단부에 배치된다. 크로스 레버(66)는 전후 좌우로 조작할 수 있고, 그 조작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조작 방향 검출 스위치(66a)가 회동 기부에 구비된다. 조작 방향 검출 스위치(66a)는 제어 장치(100)와 접속되고, 그 조작 방향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 장치(100)로 송신한다. 조작 후에는 중립 위치로 자동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변속 페달(67)은 이앙기(1)의 주행 속도[후술하는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시에 있어서는 모종 적재대(41)의 이동 속도]를 변경하기 위한 조작구이고,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변속 모터(71)의 회동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조작구이다. 변속 페달(67)은 대시보드(61)의 우하방에 배치된다.
변속 페달(67)은 변속 페달용 포텐셔미터(67a)를 구비한다. 변속 페달용 포텐셔미터(67a)는 변속 페달(67)을 조작함으로써 회동하는 검출축의 회동각[이하, 회동각(β)이라고 한다]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된다. 변속 페달용 포텐셔미터(67a)는 제어 장치(100)와 접속되고, 그 검출 신호를 제어 장치(100)에 송신한다. 회동각(β)은 변속 페달(67)의 조작량에 대응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브레이크 페달(68)은 이앙기(1)를 제동하기 위한 조작구이다. 브레이크 페달(68)은 대시보드(61)의 우하방이고, 변속 페달(67)의 좌측에 배치된다. 브레이크 페달(68)은 링크 기구를 통하여 제동 장치(24)(도 4 참조)에 연결되고, 브레이크 페달(68)이 조작되면 제동 장치(24)가 작동하고, 이앙기(1)의 전차륜(12) 및 후차륜(13)의 회동이 제동된다.
브레이크 페달(68)은 그 밟기 조작을 검출하는 브레이크 조작 검출 스위치(68a)를 구비한다. 브레이크 조작 검출 스위치(68a)는 제어 장치(100)와 접속된다. 브레이크 페달(68)이 조작되면 브레이크 조작 검출 스위치(68a)는 브레이크 페달(68)과 접촉해서 「ON」이 되고, 그 신호를 제어 장치(100)에 송신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는 모종 적재대(41)가 좌우 방향의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것이다.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는 제어 장치(100)와 접속되고, 그 소정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 장치(100)에 송신한다.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 개시 스위치(70)는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를 개시하기 위한 조작구이다.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 개시 스위치(70)는 대시보드(61)의 우측부[조향 핸들(64)의 핸들축의 우측]에 배치된다.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 개시 스위치(70)는 제어 장치(100)와 접속되어서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 개시 스위치(70)가 조작되면 「ON」이 되고, 그 신호를 제어 장치(100)에 송신한다.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변속 모터(71)는 엔진(14)의 회전수 변경, HMT(21)의 변속비 변경, 주클러치(23)의 접속 차단의 스위칭 및 제동 장치(24)의 동작의 스위칭을 행하는 것이다. 변속 모터(71)는 그 출력축이 링크 기구를 통하여 엔진(14)[상세하게는 엔진(14)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조속 장치(14a)], HMT(21)[상세하게는 HST(21a)의 가동사판(可動斜板)의 각도를 변경하는 변속 암(21c)], 주클러치(23)[상세하게는 주클러치(23)를 온오프 조작하는 클러치 암(23a)] 및 제동 장치(24)[상세하게는 제동 장치(24)를 제동 조작하는 브레이크 암(24a)]와 연결된다. 변속 모터(71)는 제어 장치(100)와 접속되고, 제어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 제어된다.
변속 모터(71)는 변속 모터용 포텐셔미터(71a)를 구비한다. 변속 모터용 포텐셔미터(71a)는 변속 모터(71)의 출력축의 회동각[이하, 회동각(γ)이라고 한다]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변속 모터용 포텐셔미터(71a)는 제어 장치(100)와 접속되고, 그 검출 신호를 제어 장치(100)에 송신한다. 회동각(γ)은 상기 변속 모터(71)의 동작량에 대응한다.
승강 액추에이터(72)는 승강 기구(30)를 작동시켜서 식부부(40)를 승강시키는 것이다. 승강 액추에이터(72)는 승강 기구(30)에 있어서의 승강용 실린더에의 압유의 송유량이나 방향을 스위칭하는 전자밸브 등을 구비한다. 승강 액추에이터(72)는 제어 장치(100)와 접속되고, 제어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 제어된다.
식부 클러치 모터(73)는 식부 클러치 기구(55)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식부 클러치 모터(73)는 주간 변속 케이스(54)의 좌상방에 배치된다. 식부 클러치 모터(73)의 출력축은 링크 기구를 통하여 식부 클러치 기구(55)와 연결된다. 식부 클러치 모터(73)는 제어 장치(100)와 접속되고, 제어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 제어된다.
식부 클러치 모터(73)는 식부 클러치 모터용 포텐셔미터(73a)를 구비한다. 식부 클러치 모터용 포텐셔미터(73a)는 식부 클러치 모터(73)의 출력축의 회동각[이하, 회동각(θ)이라고 한다]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식부 클러치 모터용 포텐셔미터(73a)는 제어 장치(100)와 접속되고, 그 검출 신호를 제어 장치(100)에 송신한다. 회동각(θ)은 상기 식부 클러치 모터(73)의 동작량에 대응한다.
선긋기 마커 모터(74)는 선긋기 마커(48)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선긋기 마커 모터(74)는 각각 모종대 프레임(49)의 좌우 하부에 설치된다(도 3 참조). 선긋기 마커 모터(74)는 제어 장치(100)와 접속되고, 제어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 제어된다.
제어 장치(100)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크로스 레버(66)가 전방으로 조작되면 승강 액추에이터(72)를 작동시켜서 식부부(40)를 하강시킨다. 또한 한번 더 전방으로 조작되면 식부 클러치 모터(73)가 구동되고, 식부 클러치 기구(55)를 「온」[식부부(40)에 동력이 전달되는 상태]으로 한다.
또한, 크로스 레버(66)가 후방으로 조작되면 식부 클러치 모터(73)를 구동시켜 식부 클러치 기구(55)를 「오프」[식부부(40)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로 한다. 또한 한번 더 후방으로 조작되면 승강 액추에이터(72)를 작동시켜서 식부부(40)을 상승시킨다. 단, 크로스 레버(66)의 전후 조작은 식부부(40)의 승강만의 조작으로 하고, 식부 클러치 기구(55)의 조작구를 별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크로스 레버(66)를 좌측 방향으로 조작하면 선긋기 마커 모터(74)가 작동되어 좌측의 선긋기 마커(48)가 좌측으로 경도되고, 크로스 레버(66)를 우측 방향으로 조작하면 선긋기 마커 모터(74)가 작동되어 우측의 선긋기 마커(48)가 우측으로 경도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는 모종 적재대(41)를 좌우 방향의 모종대 단부 위치(본 실시형태에서는 진행 방향 좌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이다.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는 식부 작업 개시 전이나 식부 작업 종료 후에 모종 적재대(41)의 좌우 일측을 접는 경우 등에 행하여진다. 여기에서, 모종 적재대(41)의 위치를 검출하는 모종대 위치 검출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종대 위치 검출 수단은 검지 부재로서의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와 비검지 부재로서의 암 부재(123)로 구성된다.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와 암 부재(123) 중 어느 한쪽은 고정측인 상측 가이드 레일(121)에 장착되고, 다른쪽은 이동측인 모종 적재대(41)에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가 모종 적재대(41)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모종대 프레임(49)에 장착되고, 암 부재(123)가 이동측이 되는 모종 적재대(41)를 지지 고정함과 아울러 가이드 레일(121)에 장착된다.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와 암 부재(123)의 장착 구성을 상술한다.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는 직육면체 형상의 마이크로스위치이고, 본체로부터 좌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스위치부(69a)를 갖는다.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는 모종대 프레임(49)을 구성하는 상측 프레임(131)의 우측으로서 그 좌우 중도부에 배치된다(도 3 참조).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는 평판 형상의 대좌(112)의 상부에 장착된다.
대좌(112)는 상측 프레임(131)에 설치된 측면에서 볼 때 대략 L자 형상의 장착 부재(115)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대좌(112)의 하부에 좌우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 좌우 2개의 긴 구멍(112a·112b)이 형성되고, 한쪽의 긴 구멍(112b)에 장착 부재(115)에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돌출부(115a)가 외삽되고, 다른쪽의 긴 구멍(112a)에 장착 부재(115)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구멍과 함께 볼트(116)가 삽입되어서 고정 설치된다. 이때, 볼트(116)를 이완하여 대좌(112)를 장착 부재(115)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대좌(112)의 장착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의 좌측이며 대좌(112) 상부에는 검출판(111)이 배치된다. 검출판(111)은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상이고, 그 기부(111a)에는 대좌(112)에 대하여 세워서 설치하는 지축(113)이 바이어싱 부재(114)와 함께 삽입된다. 이렇게 해서, 검출판(111)은 바이어싱 부재(114)에 의해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측(도 7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측)으로 바이어싱되고, 검출판(111)의 우측면에서 스위치부(69a)를 압박한다.
상기 암 부재(123)는 상측 가이드 레일(121)의 우측에 있어서의 좌우 중도부에 배치된다(도 3 참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 부재(123)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L자 형상이고, 그 기부(123a)가 볼트(124)에 의해 상측 가이드 레일(121)의 하면(121a)에 장착되고, 그 선단부(123b)가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검출판(111)과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 부재(123)의 선단부(123b)는 모종 적재대(41)의 왕복 이동에 수반하여 우단 위치(123R)로부터 좌단 위치(123L)까지 왕복 이동한다. 이들 우단 위치(123R) 및 좌단 위치(123L)는 각각 모종 적재대(41)의 모종대 단부 위치에 대응한다. 우단 위치(123R)로부터 좌단 위치(123L)까지의 거리는 L1이고, 종이송 기구(53)의 돌출부(53b·53b)간의 거리와 거의 같다. 상기 검출판(111)은 좌단 위치(123L)로부터 L2만큼 앞쪽의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모종 적재대(41)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암 부재(123)의 선단부(123b)가 검출판(111)과 접촉하면 검출판(111)이 지축(113)을 중심으로 하여 도 7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검출판(111)과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의 스위치부(69a)가 이간되어서 스위치부(69a)의 압박이 정지된다. 이렇게 해서,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는 「OFF」가 되고, 「OFF」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 장치(100)에 송신한다. 그리고, 이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가 「OFF」일 때에는 모종 적재대(41)는 모종대 단부 위치(좌측)로부터 L1만큼 앞쪽의 소정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제어 장치(100)는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 개시 신호[상기 모종 적재대(41)를 모종대 단부 위치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수신하면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를 개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100)가 주변속 레버(65)의 「중립 위치」를 검출한 상태에서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 개시 스위치(70)가 조작되어서 「ON」이 되면 제어 장치(100)가 그 신호를 수신하여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를 개시한다. 이때, 제어 장치(100)는 식부 클러치 기구(55)가 「오프」의 상태이면 식부 클러치 모터(73)를 구동하여 식부 클러치 기구(55)를 「온」으로 한다.
제어 장치(100)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변속 페달(67)의 조작량[회동각(β)]과 변속 모터(71)의 동작량[회동각(γ)]의 관계를 나타내는 맵이 기억된다. 변속 페달(67)이 조작되면 회동각(β)이 β0으로부터 βmax까지 변화하지만, 제어 장치(100)는 이들 회동각(β)(β0으로부터 βmax)에 대응하는 회동각(γ)(γI로부터 γmax)이 되도록 변속 모터(71)를 구동 제어한다. 도 9(a)는 이앙기(1)의 이동이나 식부 작업 등이 행하여질 때에 사용되는 통상 제어시의 맵이고, 도 9(b)는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시의 맵이다. 제어 장치(100)는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를 개시하면 도 9(a)의 맵으로부터 도 9(b)의 맵으로 스위칭한다.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시에 있어서 도 9(b)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각(β)이 β0 이상이고 β3 미만인 범위에서는 제어 장치(100)는 회동각(γ)이 일정한 값(γI)으로 유지되도록 변속 모터(71)를 구동 제어한다. 그리고, γI가 되면 변속 모터(71)의 출력축과 연결된 주클러치(23)가 「오프」가 되고, 또한 제동 장치(24)가 작동한다. 이에 따라, 횡이송 기구(52)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아 모종 적재대(41)는 정지한다.
한편, 회동각(β)이 β3 이상이고 βmax 이하인 범위에서는 제어 장치(100)는 회동각(γ)이 일정한 값(γH)으로 유지되도록 변속 모터(71)를 구동 제어한다. 그리고, γH가 되면 변속 모터(71)의 출력축과 연결된 주클러치(23)가 「온」이 되고, 또한 제동 장치(24)가 정지한다. 이에 따라, γH에 대응하는 엔진(14)의 회전수나 HMT(21)의 변속비가 되고, 이들 회전수나 변속비에 대응하는 동력이 횡이송 기구(52)에 전달된다. 이렇게 해서, 횡이송 기구(52)가 구동하여 모종 적재대(41)가 γH에 대응하는 저속도가 되는 제 1 소정 속도로 좌단 위치(123L)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렇게, β3은 모종 적재대(41)를 이동시킬지 정지시킬지를 결정하는 역치이고, 미리 제어 장치(100)에 설정된다. 단, 역치(β3)를 설정하지 않고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를 개시하면 회동각(β)의 값에 관계없이 회동각(γ)이 일정한 값(γH)으로 유지되도록 변속 모터(71)를 구동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를 개시하면 변속 페달(67)을 조작하는 일없이 모종 적재대(41)가 자동적으로 제 1 소정 속도로 좌단 위치(123L)를 향해서 이동한다.
또한, 식부 클러치 기구(55)에 동작 지연이 발생하고 있는 동안은(상세는 후술한다)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00)는 회동각(β)의 값에 관계 없이 회동각(γ)이 일정한 값(γL)으로 유지되도록 변속 모터(71)를 구동 제어한다. 그리고, γL이 되면 변속 모터(71)의 출력축과 연결된 주클러치(23)가 「오프」로 되고, 또한 제동 장치(24)가 작동한다. 이에 따라, γL에 대응하는 엔진(14)의 회전수나 HMT(21)의 변속비가 되고, 이들 회전수나 변속비에 대응하는 동력이 횡이송 기구(52)에 전달된다. 이렇게 해서, 횡이송 기구(52)가 구동하여 모종 적재대(41)가 γL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소정 속도보다 느린 제 2 소정 속도로 좌단 위치(123L)를 향해서 이동한다.
이어서, 도 10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에 의거하여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를 설명한다.
스텝 S1에 있어서 제어 장치(100)가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 개시 신호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한 경우에는 스텝 S2로 이행한다.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할 때까지 스텝 S1을 반복한다.
스텝 S2에 있어서 제어 장치(100)는 모종 적재대(41)가 제 1 소정 속도로 이동하도록 변속 모터(71)를 구동 제어한다[회동각(γ)이 γH가 되도록 변속 모터(71)를 구동 제어한다]. 이에 따라, 모종 적재대(41)가 좌단 위치(123L)를 향하여 제 1 소정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단, 변속 페달(67)이 조작되어서 회동각(β)이 β3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스텝 S3으로 이행한다.
스텝 S3에 있어서 제어 장치(100)는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가 「OFF」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OFF」인 경우에는 스텝 S4로 이행한다. 「OFF」가 아닐 경우, 즉 「ON」인 경우에는 스텝 S2로 이행하고, 다시 플로우를 반복한다.
스텝 S4에 있어서 제어 장치(100)는 식부 클러치 기구(55)가 「오프」가 되도록 식부 클러치 모터(73)를 구동하고, 동시에 모종 적재대(41)가 제 2 소정 속도로 이동하도록 변속 모터(71)를 구동 제어한다[회동각(γ)이 γL이 되도록 변속 모터(71)를 구동 제어한다]. 이에 따라, 식부 클러치 기구(55)에 동작 지연이 발생하고 있는 동안은 모종 적재대(41)가 좌단 위치(123L)를 향해서 제 2 소정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스텝 S5로 이행한다.
스텝 S5에 있어서 식부 클러치 기구(55)가 「오프」가 될 때까지의 동작 시간(동작 지연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한다.
스텝 S6에 있어서 동작 지연 시간이 경과하면 식부 클러치 기구(55)가 「오프」가 되고, 횡이송 기구(52)로의 동력이 차단되어서 모종 적재대(41)가 정지한다. 이때, 식부 클러치 기구(55)의 동작 지연 시간이나 모종 적재대(41)에 작용하는 관성력 등이 미리 고려되어 모종 적재대(41)의 검출 위치(소정 위치) 및 이동 속도(제 1 소정 속도 및 제 2 소정 속도)가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모종 적재대(41)는 좌단 위치(123L)에서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식부 클러치 모터용 포텐셔미터(73a)의 회동각(θ)이 식부 클러치 기구(55)가 확실하게 「오프」가 되는 θoff 이상이 되면 제어 장치(100)에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 종료 신호가 송신되어서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를 종료한다.
이어서, 도 11에 나타내는 타임 차트에 의거하여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를 설명한다.
t0에 있어서 제어 장치(100)는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 개시 신호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제어 장치(100)는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를 개시한다. 이때, 회동각(β)이 β3 이상이 되므로 제어 장치(100)는 회동각(γ)이 γH가 되도록 변속 모터(71)를 구동 제어한다[도 9(b) 참조]. 그리고, 회동각(γ)이 서서히 감소하여 t1일 때에 γH가 된다.
t1~t3에 있어서 회동각(γ)이 γH로 유지된다. 즉, 모종 적재대(41)가 γH에 대응하는 제 1 소정 속도로 좌단 위치(123L)를 향해서 이동한다. 이 동안의 t2에 있어서 변속 페달(67)의 조작을 정지한다. 즉, 변속 페달(67)로부터 발을 떼면 t2로부터 회동각(β)이 서서히 감소하여 t3일 때에 회동각(β)이 β3 미만이 된다. 즉, t3에 있어서 제어 장치(100)는 회동각(γ)이 γI가 되도록 변속 모터(71)를 감속측으로 구동한다.
t3~t4에 있어서 회동각(γ)이 서서히 감소하여 t4일 때에 γI가 된다. t4~t8에 있어서 회동각(γ)이 γI로 유지된다. 즉, 모종 적재대(41)가 정지한다. 정지하면 단부 시프트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변속 페달(67)을 조작해서 모종 적재대(41)를 이동시킨다. 이때, t5~t6과 같이 약간 변속 페달(67)을 조작한 것만으로는 변속 모터(71)를 구동시킬 수는 없다. 즉, 변속 페달(67)의 회동각(β)이 β3 미만인 경우에는 변속 모터(71)를 구동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있다. 변속 페달(67)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 개시 스위치(70)가 실수로 조작된 경우라도 모종 적재대(41)가 자동적으로 이동하는 일이 없으므로 필요할 때만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를 행할 수 있다.
t7에 있어서 변속 페달(67)을 깊게 밟아 t8에서 회동각(β)이 β3 이상이 된다. 그러면, t8에 있어서 회동각(γ)이 γH가 되도록 변속 모터(71)를 구동한다. t8~t9에 있어서 회동각(γ)이 서서히 증가하여 t9일 때에 γH가 된다. 그리고, t9~t10에 있어서 회동각(γ)이 γH로 유지된다. 즉, 모종 적재대(41)가 γH에 대응하는 제 1 소정 속도로 좌단 위치(123L)를 향하여 이동한다.
t10에 있어서 암 부재(123)가 검출판(111)과 접촉하여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가 「OFF」로 되면, 제어 장치(100)는 그 신호를 수신하여 회동각(γ)이 γL이 되도록 변속 모터(71)를 구동 제어하고, 동시에 식부 클러치 기구(55)가 「오프」가 되도록 식부 클러치 모터(73)를 구동 제어한다.
이때, 제어 장치(100)가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가 「OFF」가 되는 신호를 수신한 후에 식부 클러치 기구(55)가 「오프」가 되어서 모종 적재대(41)가 정지할 때까지 필요한 시간(동작 지연 시간)은 t10부터 t12까지 걸리는 것으로 한다.
t10~t11에 있어서 회동각(γ)이 서서히 감소하여 t11의 시점에서 γL이 된다. 그리고, t11~t12에 있어서 회동각(γ)은 γL로 유지된다. 즉, 모종 적재대(41)가 γL에 대응하는 제 2 소정 속도로 좌단 위치(123L)를 향하여 이동한다.
t12에 있어서 제어 장치(100)가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 종료 신호를 수신한다. 즉, 제어 장치(100)는 식부 클러치 모터용 포텐셔미터(73a)의 회동각(θ)이 식부 클러치 기구(55)가 「오프」가 되는 규정값(θoff) 이상이 된 것을 검출한다. 이에 따라,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는 종료한다. 이때, 상술과 같이 식부 클러치 기구(55)의 동작 지연 시간이나 모종 적재대(41)에 작용하는 관성력 등이 미리 고려되어 모종 적재대(41)의 검출 위치(소정 위치) 및 이동 속도(제 1 및 제 2 소정 속도)가 적절히 설정되어 있으므로 모종 적재대(41)는 좌단 위치(123L)에서 정지하게 된다.
또한, t10에 있어서의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가 「OFF」가 되었을 때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각(γ)을 γH로 하고, 모종 적재대(41)의 이동 속도를 제 1 소정 속도 그대로 유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앙기(1)에 있어서는 엔진(14)과, 상기 엔진(14)의 동력을 변속하는 변속기가 되는 HMT(21)와, 상기 HMT(21)에 의해 변속된 동력으로 모종 적재대(41)를 좌우 왕복 이동시키는 횡이송 기구(52)와, 상기 횡이송 기구(52)에 전달되는 동력을 접속 차단하는 식부 클러치 기구(55)와, 상기 모종 적재대(41)와 상기 모종 적재대(41)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모종대 프레임(49)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모종 적재대(41)의 위치를 검출하는 모종대 위치 검출 수단[암 부재(123) 및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과, 상기 엔진(14)의 회전수 및 상기 HMT(21)의 변속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해서 상기 모종 적재대(41)의 이동 속도를 변경하는 제 1 액추에이터가 되는 변속 모터(71)와,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55)를 작동시키는 제 2 액추에이터가 되는 식부 클러치 모터(73)와, 상기 변속 모터(71) 및 상기 식부 클러치 모터(73)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 장치(100)를 구비하는 이앙기(1)로서, 상기 제어 장치(100)는 상기 모종 적재대(41)를 모종대 단부 위치로 이동시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모종 적재대(41)가 제 1 소정 속도로 이동하도록 상기 변속 모터(71)를 구동 제어하고, 상기 모종대 위치 검출에 의해 상기 모종 적재대(41)가 상기 모종대 단부 위치보다 앞쪽의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면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55)가 「오프」가 되도록 식부 클러치 모터(73)를 구동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모종 적재대(41)가 상기 제 1 소정 속도보다 느린 제 2 소정 속도로 이동하도록 변속 모터(71)를 구동 제어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식부 클러치 기구(55)에 동작 지연이 발생한 경우라도 식부 클러치 기구(55)의 동작 지연에 의거하여 소정 위치, 제 1 소정 속도 및 제 2 소정 속도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동력 차단시의 모종 적재대(41)의 정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종 적재대(41)를 정확하게 모종대 단부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소정 속도를 저속도로 함으로써 모종 적재대(41)에 작용하는 관성력 등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모종 적재대(41)의 오버런을 억제하여 결주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속 모터(71)를 조작하는 조작구가 되는 변속 페달(67)과, 상기 변속 페달(67)의 조작량[회동각(β)]을 검출하는 조작량 검출 수단이 되는 변속 페달용 포텐셔미터(67a)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100)는 상기 모종 적재대(41)가 상기 소정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있어서 상기 회동각(β)이 미리 설정한 역치(β3) 이상이 되면 상기 모종 적재대(41)가 상기 제 1 소정 속도로 이동하도록 상기 변속 모터(71)를 구동 제어하고, 상기 회동각(β)이 미리 설정한 상기 역치(β3) 미만이 되면 상기 모종 적재대(41)가 정지하도록 상기 변속 모터(71)를 구동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변속 페달(67)을 조작하여 회동각(β)이 역치(β3) 이상이 되는 경우에만 모종 적재대(41)가 제 1 소정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모종 적재대(41)를 모종대 단부 시프트 위치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 실수로 이동시키는 일이 없어진다. 즉,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좌단 위치(123L)의 앞쪽 위치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되지만, 우단 위치(123R)의 앞쪽 위치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2개의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69)를 좌단 위치(123L)의 앞쪽 위치와, 우단 위치(123R)의 앞쪽 위치에 각각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에 따라, 좌우 어느 한쪽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모종 적재대(41)의 이동 거리는 최대로 L1×2가 되지만, 좌우 모두 설치하는 경우에는 최대로 L1이 되어 모종 적재대(41)를 좌우 단부 위치로 이동시키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는 모종대 프레임(49)에 대한 모종 적재대(41)의 상대적인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면 되고,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 및 암 부재(123)를 설치하는 위치 등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를 모종대 프레임(49)측에 설치하고, 암 부재(123)를 모종 적재대(41)측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 대신에 포텐셔미터를 설치하고, 이 포텐셔미터에 의해 모종 적재대(41)의 소정 위치(좌우 단부 위치보다 앞쪽의 위치)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종래의 이앙기에 있어서 변속 페달을 조작해서 좌우 단부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뒤를 보면서 변속 페달을 조작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좌우 단부 위치를 알기 어렵고, 익숙하지 않으면 두사람이 작업해야 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를 자동화하게 되므로 작업자는 혼자서 작업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뒤를 돌아보게 될 필요도 없어 효율적으로 모종 적재대(41)를 좌우 단부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식부하는 조의 수가 많아 접어서 수납할 수 있게 구성한 이앙기의 경우 모종 적재대(41)의 좌우 단부 위치는 모종 적재대(41)를 접을 때의 수납 위치로서 이용된다. 즉, 식부 작업 종료 후에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하고, 일측의 조의 모종 적재대를 접어서 가로폭을 좁게 한 상태로 해서 이앙기(1)의 반송 작업의 고효율화가 도모된다.
또한, 모종 보충 타이밍을 검출하는 모종 보충 센서를 설치하고, 이 모종 보충 센서가 「ON」이 될 때, 즉 모종 적재대(41)에 모종 매트가 적재되었을 때는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로 이행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를 행하기 전에 모종 적재대(41)에 모종 매트를 적재한 경우라도 실수로 모종을 긁어내는 일이 없다.
또한, 횡이송 기구(52)로의 동력을 접속 차단하는 클러치를 식부 클러치 기구(55) 대신에 식부 조의 조 정지를 행하는 조 정지 클러치로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를 행하기 전에 모종 적재대(41)에 모종 매트를 적재한 경우라도 각 식부 전동 케이스(46)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아 모종대 단부 시프트 제어 중에 실수로 모종을 긁어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승용형 이앙기에 적용했을 경우의 도면(도 12~도 18)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구성 및 작용이 제 1 실시형태와 변하지 않은 것에는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승용형 이앙기를 나타내고, 이 이앙기(1)는 주행 차체(10)와, 이 주행 차체(10)의 후방부에 링크 기구(3)를 통하여 승강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식부부(40)(실시형태에서는 8조 심기용)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행 차체(10)는 좌우의 전차륜(12)과, 좌우의 후차륜(13)에 의해 지지되고 있고, 그 전방부에 탑재한 동력원으로서의 엔진(14)에 의해 상기 주행 차체(10)의 하면에 장착한 주변속 기구(22)를 통하여 상기 양 전차륜(12) 및 양 후차륜(13)을 구동하거나, 또는 양 후차륜(13)을 구동함으로써 적당한 속도로 전진 또는 후퇴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행 차체(10)에는 운전석(62)이 설치되어 있는 것 이외에 이 운전석(62) 전방에 조향 핸들(64)을 구비한 대시보드(6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행 차체(10)의 후방부에는 유압 실린더 등의 승강 기구(30)가 설치되고, 이 승강 기구(30)에 의해 상기 식부부(40)를 승강 이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대시보드(61) 중 조향 핸들(64)의 좌측에는 상기 주변속 기구(22)를 변속 작동시키는 주변속 레버(65)가 설치되고, 조향 핸들(64)의 우측에는 상기 승강 기구(30)를 스위칭 작동시키는 식부 승강 레버(2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변속 기구(22)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주변속 레버(65)를 중립 위치(N)로 조작하면 차륜으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함으로써 주행 차체(10)의 주행을 정지하는 상태가 되고, 상기 주변속 레버(65)를 중립 위치(N)로부터 횡방향으로 저속 전진 위치(Ⅰ)로 조작하면 주행 차체(10)가 저속으로의 전진 주행이 되며, 상기 주변속 레버(65)를 전진 위치(Ⅰ)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후진 위치(R)로 조작하면 주행 차체(10)가 후진 주행이 되고, 그리고 상기 주변속 레버(65)를 중립 위치(N)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고속 전진 위치(Ⅱ)로 조작하면 주행 차체(10)가 고속으로의 전진 주행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이 주변속 기구(22)에는 상기 각 차륜에 대한 브레이크 기구(도시 생략)를 내장하고 있고, 이 브레이크 기구를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대시보드(61)의 우측 하부에 설치한 브레이크 페달(68)로 조작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승강 기구(30)는 마찬가지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식부 승강 레버(214)를 중립 위치(O)로 했을 때 상기 식부부(40)를 승강 이동을 정지하고 있지만, 상기 식부 승강 레버(214)를 중립 위치(O)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상승 위치(A)로 조작하면 상기 식부부(40)가 포장면(116)으로부터 높게 상승 이동하고, 그리고 상기 식부 승강 레버(214)를 중립 위치(O)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하강 위치(D)로 조작하면 상기 식부부(40)가 포장면(116)에 접하도록 하강 이동한다고 하는 구성이다.
상기 식부부(40)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지지 프레임(117)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동 케이스(118)와, 그 후단에 횡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한 복수개(8개)의 식부 기구(119)와, 이 각 식부 기구(119)의 하측에 가로로 배열하여 설치한 복수개의 플로트(42)와, 상기 지지 프레임(117) 중 전동 케이스(118)의 상측 부위에 상기 각 식부 기구(119)마다 설치한 모종 적재대(4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행 차체(10)에 탑재한 엔진(14)의 동력은 우선 상기 주변속 기구(22)의 전방측에 설치한 HMT(무단 변속 기구)(21)에 들어가고, 여기에서 적당한 출력 회전수로 변속된다.
그리고, 이 변속된 출력 회전은 상기 주변속 기구(22)에 입력함으로써 각 차륜을 구동한다.
또한, 상기 HMT(21)에서 변속된 출력 회전은 상기 주변속 기구(22)에 입력되는데 추가하여 PTO축(123)을 통하여 상기 식부부(40)에 있어서의 전동 케이스(118)에 입력됨으로써 그 각 식부 기구(119)의 구동, 및 상기 모종 적재대(41)의 좌우 방향으로의 횡이송 기구(52) 등의 구동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HMT(21)로부터 상기 식부부(40)로 동력 전달하는 상기 PTO축(123)의 도중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식부부(40)로의 동력 전달을 온(ON) 및 오프(OFF)로 스위칭하는 식부 클러치 기구(55)가 설치되어 있는 것 이외에, 상기 식부부(40)에 의한 모내기 작업을 성기게 심기, 표준 심기 및 조밀 심기 등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주간 변속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55)는 상기 식부 승강 레버(214)에 와이어 등의 연동 기구에 의해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식부 승강 레버(214)를 상기 상승 위치(A) 및 상기 중립 위치(O)로 조작했을 때에 동력 전달 오프(OFF)가 되고, 상기 식부 승강 레버(214)를 상기 하강 위치(D)로 조작했을 때에 동력 전달 온(ON)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HMT(21)는 예를 들면 유압 펌프와 유압 모터로 이루어지는 유압식이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대시보드(61)의 우측 하부에 설치한 변속 페달(67)의 밟기 조작 및 밟기 해제 조작에 의해 변속 작동되는 것이며, 상기 변속 페달(67)을 밟기 조작함으로써 상기 주변속 기구(22) 및 상기 식부부(40)로의 출력 회전수를 가속하는 한편, 상기 변속 페달(67)의 밟기 조작을 해제함으로써 출력 회전수를 감속한다고 하는 구성이다.
상기 식부부(40)에 있어서의 모종 적재대(41)는 그 이면의 상부에 좌우로 연장되도록 설치한 상측 가이드 레일(121)에 상기 지지 프레임(117)으로부터 세워서 설치한 모종대 프레임(49)의 상단을 끼우는 한편, 상기 지지 프레임(117)에 좌우로 연장되도록 설치한 하측 가이드 레일(122)에 상기 모종 적재대(41)의 이면 하부에 설치한 슈(129)를 피감시킴으로써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고, 또한 이 모종 적재대(41)는 상기 전동 케이스(118)에 설치한 횡이송 기구(52)에 의해 상기 모종 적재대(41)에 있어서의 가로폭 치수(W)의 범위 내를 왕복 이동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모종 적재대(41)를 지지하는 모종대 프레임(49)에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모종대 프레임(49) 중 그 양 단부(49a)로부터 적당한 치수(L)만큼 내측으로 들어간 부위에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를 장착하고, 상기 모종 적재대(41)의 상기 횡이송 기구(52)에 의한 횡이송 중에 있어서 상기 모종 적재대에 있어서의 좌우 폭방향의 일단이 상기 식부 기구(119)에 일치하는 위치에 왔을 때에 상기 모종 적재대(41)측의 상측 가이드 레일(121)에 고착한 암 부재(접촉편)(123)를 상기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에 접촉시킴으로써 이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가 OFF로부터 ON으로 작동하고, 이 ON으로의 작동에 의해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55)가 이것이 연동하는 식부 승강 레버(214)에 우선해서 동력 전달 오프(OFF)로 스위칭된다고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식부부(40)의 모종 적재대(41)에 있어서의 단부 시프트는 제어 장치(100)에 의한 제어에 의해 이하에 서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실행된다.
상기 제어 장치(100)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주변속 레버(65) 및 상기 식부 승강 레버(214)에 있어서의 조작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것에 추가하여 상기 변속 페달(67)에 있어서의 밟기 조작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또한 상기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의 작동 신호도 입력으로 하여 상기 HMT(21) 및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55)를 도 18의 플로우 차트와 같이 제어한다.
스타트에 어어지는 스텝 S11에 있어서 상기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가 OFF 작동이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12로 이행한다.
이어서, 이 스텝 S12에 있어서 상기 주변속 레버(65)가 주행 정지인 중립 위치(N)에 있는지의 여부가 판별되고, 주행 정지인 중립 위치(N)에 있을 때에는 스텝 S13으로 이행하고, 이 스텝 S13에 있어서 상기 식부 승강 레버(214)가 상기 식부부(40)의 중립 위치(O)로 조작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식부 승강 레버(214)의 중립 위치(O)로의 조작에 의해 상기 식부부(40)가 승강 정지하고, 또한 상기 식부부(40)에 대한 식부 클러치 기구(55)가 동력 전달 오프(OFF)가 된다.
상기 식부 승강 레버(214)가 중립 위치(O)로 조작되고 있을 때에는 스텝 S14로 이행하고, 여기에서 상기 변속 페달(67)을 밟기 조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변속 페달(67)에 있어서의 밟기 조작하고 있을 때에는 다음 스텝 S15에서 상기 변속 페달(67)의 밟기 조작량이 소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소정값 이상인 경우, 즉 상기 변속 페달(67)을 상기 소정값 이상으로 밟기 조작하고 있는 경우에 한하여 스텝 S16으로 이행하고, 상기 소정값 이상으로 밟기 조작하고 있지 않은 때에는 리턴한다.
그리고, 상기 스텝 S16에 있어서 상기 HMT(21)로부터 주변속 기구(22) 및 식부부(40)로 출력되는 회전수를 이하에 서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한다.
즉, 상기 무단 변속 기구(22)로부터의 출력 회전수를 상기 변속 페달(67)로부터 발을 뗌으로써 그 밟기를 완화하거나 멈췄을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변속 페달(67)을 상기 소정값으로 밟기 조작했을 때에 있어서의 출력 회전수로 유지하는데 추가하여 상기 변속 페달(67)의 밟기 조작량이 상기 소정값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변속 페달(67)을 상기 소정값으로 밟기 조작했을 때에 있어서의 출력 회전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유지한다.
이어서, 스텝 S17에 있어서 상기 식부부(40)에 대한 식부 클러치 기구(55)를 상기 식부 승강 레버(214)의 조작 위치에 관계없이 이것에 우선해서 동력 전달 온(ON)으로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식부부(40)가 작동하고, 그 모종 적재대(41)에 있어서의 단부 시프트를 개시한다.
이어서, 스텝 S18에 있어서 상기 식부부(40)에 있어서의 모종 적재대(41)에 대한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가 ON으로 작동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가 ON 작동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스텝 S11의 앞 또는 뒤로 돌아가서 상기 단부 시프트를 계속하지만, 상기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가 ON 작동했을 때에는 상기 모종 적재대(41)는 좌우 횡이송의 일단에 오고, 그 좌우의 일단이 상기 식부 기구(119)에 일치하는 위치에 오고 있기 때문에 스텝 S19로 이행하고, 여기에서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55)를 이것이 연동하는 식부 승강 레버(214)의 조작 위치에 관계없이 이것에 우선해서 동력 전달 오프(OFF)로 스위칭 작동함으로써 상기 단부 시프트를 종료한다.
이들 스텝 S11부터 스텝 S19에 이르는 일련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모종 적재대(41)에 있어서의 단부 시프트의 개시는 그 전제 조작으로서 식부부(40)를 중립 위치로 하고, 또한 주행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 한하여 변속 페달(67)을 소정 위치 이상의 밟기 조작함으로써 이 변속 페달(67)의 밟기 조작을 계기로 하여 행할 수 있는 한편, 상기 단부 시프트의 종료는 상기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의 작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HMT(21)로부터 주변속 기구(22) 및 식부부(40)에 출력되는 회전수를 상기 스텝 S16에 있어서 상기 변속 페달(67)을 소정값으로까지 밟기 조작했을 때에 있어서의 회전수로 유지함으로써 이 상태에서는 상기 변속 페달(67)로부터 발을 뗌으로써 그 밟기를 완화하거나 멈췄을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단부 시프트를 계속할 수 있고, 상기 변속 페달(67)의 과잉 밟기 조작에 의해 상기 식부부(40)의 회전이 빨라져서 상기 모종 적재대(41)의 단부 시프트에 오버런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의 승용형 이앙기(1)는 기존의 이앙기와 마찬가지로 상기한 모종 적재대(41)의 단부 시프트를 실행한 뒤에 상기 식부부(40)를 포장면(116)에까지 하강시키고, 또한 이 식부부(40)을 구동한 상태에서 주행 차체(10)를 전진 주행함으로써 모내기 작업에 들어가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 : 이앙기 14 : 엔진
21 : HMT 22 : 주변속 기구
23 : 주클러치 24 : 제동 장치
40 : 식부부 41 : 모종 적재대
49 : 모종대 프레임 55 : 식부 클러치 기구
67 : 변속 페달(조작구)
67a : 변속 페달용 포텐셔미터(조작량 검출 수단)
69 :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모종대 위치 검출 수단)
71 : 변속 모터(제 1 액추에이터)
73 : 식부 클러치 모터(제 2 액추에이터)
100 : 제어 장치 111 : 검출판
121 : 상측 가이드 레일 123 : 접촉 부재

Claims (6)

  1. 동력원을 구비한 주행 차체와 이것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식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부부에 대한 동력 전달용 식부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식부부에 있어서의 모종 적재대의 횡이송에 의한 단부 시프트를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의 동력 전달 온에 의해 개시하는 구성으로 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식부부에 있어서의 모종 적재대가 좌우 횡이송의 일단에 왔을 때에 작동하는 모종대 위치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이 모종대 위치 검출 수단의 작동에 의해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를 동력 전달 오프로 해서 상기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를 종료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모종대 위치 검출 수단을 상기 모종 적재대를 지지하는 모종대 프레임 중 좌우의 일단부로부터 내측의 부위에 장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부부를 승강 이동하는 식부 승강 레버와, 주변속 레버의 조작에 의해 주행 속도를 변속하는 주변속 기구와, 이 주변속 기구 및 상기 식부부로의 회전수를 변속 페달의 밟기 조작에 의해 변속하는 무단 변속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식부 승강 레버를 상기 식부부의 중립 위치로 조작하고, 또한 상기 주변속 레버를 주행정지인 중립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서 상기 변속 페달을 소정값 이상으로 밟기 조작했을 때에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의 동력 전달 온에 의해 상기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를 개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 변속 기구는 그 출력 회전수를 상기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 중에 변속 페달의 밟기를 완화하거나 멈춰도 상기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를 개시할 때에 있어서의 회전수로 유지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 변속 기구는 그 출력 회전수를 상기 변속 페달의 밟기 조작량이 상기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를 개시할 때에 있어서의 소정값을 초과하여도 상기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를 개시할 때에 있어서의 회전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원의 회전수 및 상기 무단 변속 기구의 변속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해서 상기 모종 적재대의 이동 속도를 변경하는 제 1 액추에이터와,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를 작동시키는 제 2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 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 2 액추에이터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모종 적재대를 모종대 단부 위치로 이동시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모종 적재대가 제 1 소정 속도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 1 액추에이터를 구동 제어하고, 상기 모종대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모종 적재대가 상기 모종대 단부 위치보다 앞쪽의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면 상기 클러치가 「오프」가 되도록 제 2 액추에이터를 구동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모종 적재대가 상기 제 1 소정 속도보다 느린 제 2 소정 속도로 이동하도록 제 1 액추에이터를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추에이터를 조작하는 조작구와 상기 조작구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조작량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모종 적재대가 상기 소 정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있어서 상기 조작량이 미리 설정한 역치 이상이 되면 상기 모종 적재대가 상기 제 1 소정 속도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 1 액추에이터를 구동 제어하고, 상기 조작량이 상기 역치 미만이 되면 상기 모종 적재대가 정지하도록 상기 제 1 액추에이터를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KR1020120026649A 2011-03-18 2012-03-15 이앙기 KR101945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61473 2011-03-18
JP2011061473A JP5784941B2 (ja) 2011-03-18 2011-03-18 田植機における苗載台の端寄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625A true KR20120106625A (ko) 2012-09-26
KR101945047B1 KR101945047B1 (ko) 2019-02-01

Family

ID=46801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649A KR101945047B1 (ko) 2011-03-18 2012-03-15 이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84941B2 (ko)
KR (1) KR101945047B1 (ko)
CN (1) CN10266878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7637A (zh) * 2017-11-15 2018-02-09 河南科技大学 一种全自动钵苗移栽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8352B2 (ja) * 2014-02-10 2016-03-22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6261424B2 (ja) * 2014-03-28 2018-01-17 株式会社クボタ 苗植付装置
JP6260439B2 (ja) * 2014-04-28 2018-01-17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CN106900226A (zh) * 2016-05-12 2017-06-30 栾翠莲 一种二维宽窄插秧机
JP6979912B2 (ja) * 2018-03-27 2021-12-15 株式会社クボタ 田植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9325A (ja) 1993-05-07 1994-11-2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乗用田植機の苗載台セッティング装置
JPH077323U (ja) 1993-07-14 1995-02-03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田植機の苗載台端寄せ装置
JPH10313629A (ja) 1997-05-16 1998-12-02 Kubota Corp 田植機の昇降制御装置
JP2010110266A (ja) * 2008-11-06 2010-05-20 Yanmar Co Ltd 田植機の植付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5417B2 (ja) * 1996-02-14 2002-03-11 株式会社サークル鉄工 多畦型苗移植機
US5823126A (en) * 1996-12-13 1998-10-20 Mechanical Transplanter Company Mechanical seedling transplanter
JP4041277B2 (ja) * 2000-10-27 2008-01-30 三菱農機株式会社 移植機
JP2003219716A (ja) * 2002-01-31 2003-08-05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田植機
JP2004194575A (ja) * 2002-12-19 2004-07-15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作業車
KR100786234B1 (ko) * 2007-01-02 2007-12-17 대동공업주식회사 승용 이앙기
JP2011015627A (ja) * 2009-07-08 2011-01-27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9325A (ja) 1993-05-07 1994-11-2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乗用田植機の苗載台セッティング装置
JPH077323U (ja) 1993-07-14 1995-02-03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田植機の苗載台端寄せ装置
JPH10313629A (ja) 1997-05-16 1998-12-02 Kubota Corp 田植機の昇降制御装置
JP2010110266A (ja) * 2008-11-06 2010-05-20 Yanmar Co Ltd 田植機の植付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7637A (zh) * 2017-11-15 2018-02-09 河南科技大学 一种全自动钵苗移栽机
CN107667637B (zh) * 2017-11-15 2023-09-19 河南科技大学 一种全自动钵苗移栽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68788B (zh) 2016-04-20
CN102668788A (zh) 2012-09-19
JP5784941B2 (ja) 2015-09-24
JP2012196155A (ja) 2012-10-18
KR101945047B1 (ko) 2019-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6625A (ko) 이앙기
JP5785715B2 (ja) 田植機
JP5054575B2 (ja) 田植機
TWI461147B (zh) Operating vehicle
JP3998488B2 (ja) 作業機の変速操作構造
JP2003219712A (ja) 田植機
JP5940636B2 (ja) 田植機
KR20200001510A (ko) 이앙기
JP5346317B2 (ja) 水田作業機
CN1230063C (zh) 移动农机的操作装置
KR20120125967A (ko) 이앙기
JP2012249635A (ja) 水田作業機
JP5960416B2 (ja) 田植機
JP2010166929A5 (ko)
JP4465861B2 (ja) 田植作業機
JP5402554B2 (ja) 作業機
JP5174705B2 (ja) 移植機
JPH0132830Y2 (ko)
JP5779328B2 (ja) 田植機
JP3318226B2 (ja) 作業機
JP2010220487A (ja) 田植機
JP3770758B2 (ja) 作業車の作業装置昇降構造
JP5831500B2 (ja) 作業機
KR20230068313A (ko) 포장 작업기
JPS622363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