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6210A -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및 이것의 적층보관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및 이것의 적층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6210A
KR20120106210A KR1020110024173A KR20110024173A KR20120106210A KR 20120106210 A KR20120106210 A KR 20120106210A KR 1020110024173 A KR1020110024173 A KR 1020110024173A KR 20110024173 A KR20110024173 A KR 20110024173A KR 20120106210 A KR20120106210 A KR 20120106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guide groove
groove
guide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용
Original Assignee
안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용 filed Critical 안병용
Priority to KR1020110024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6210A/ko
Publication of KR20120106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65D21/0223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the closure and the bottom presenting local co-operating elements, e.g. projections and re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4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joined together by interconnecting formatio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dove-tail, snap connections, hook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88Palletisable loads, i.e. loads intended to be transported by means of a fork-lift tru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및 이것의 적층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개의 수납용기를 자체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인출 또는 삽입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및 이것의 적층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는, 일면 이상 개방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커버로 이루어져 내부에 물건을 수납하는 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에는 양단이 개방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일면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용기의 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지지돌기 또는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및 이것의 적층보관장치 { SLIDE AND MULTI-LAYERED TYPE CONTAINER AND STORAGE APPARATUS }
본 발명은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및 이것의 적층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개의 수납용기를 자체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인출 또는 삽입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및 이것의 적층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납용기는 본체와 커버로 이루어져 있고, 내부에 물건을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은 종래의 일반적인 슬라이드형 수납용기 보관장치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납용기 보관장치는, 케이스(1)와, 케이스(1)의 일면에 다수개의 수납용기(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수납용기(2)는 한쪽 방향 또는 마주보는 양쪽방향으로만 슬라이딩하여 상기 케이스(1)로부터 인출되거나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수납용기 보관장치는, 사용자가 하나의 수납용기(2)를 한쪽방향 또는 마주보는 양쪽방향으로만 인출하거나 삽입하도록 되어 있어, 다양한 방향으로 인출하거나 삽입할 수 없어 사용하기가 불편하다.
또한, 상기 수납용기(2)를 보관하는 케이스(1)가 큰 부피를 차지하는 고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공간적인 제약을 받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납용기를 전후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삽입하거나 인출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수납용기의 양에 따라 그 전체적인 부피가 가변되어 공간적인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적층된 수납용기가 쉽게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및 이것의 적층보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는, 일면 이상 개방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커버로 이루어져 내부에 물건을 수납하는 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에는 양단이 개방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일면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용기의 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지지돌기 또는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수납용기의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1가이드홈의 직각방향인 상기 수납용기의 타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과 교차되는 제2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은 상호 교차하여 제1교차홈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교차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홈 또는 제2가이드홈이 다수개로 이루어진 경우에, 각각은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은 정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개폐하며,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는 하부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측면에는 상부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덮었을 때, 상기 하부플랜지부와 상부플랜지부는 상호 적층되어 상기 지지돌기 또는 지지홈을 형성한다.
상기 커버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개폐하며, 상기 하부플랜지부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제1하부플랜지부와, 상기 제1하부플랜지부의 반대쪽에 형성된 제2하부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플랜지부는 상기 커버의 측면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제1상부플랜지부와, 상기 제1상부플랜지부의 반대쪽에 형성된 제2상부플랜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가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덮었을 때, 상기 제1하부플랜지부와 제1상부플랜지부는 상호 적층되어 상기 지지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2하부플랜지부와 제2상부플랜지부는 상호 이격 적층되어 상기 지지홈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돌기와 지지홈에는 상호 대응되는 보조돌기 및 보조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의 적층보관장치는, 일면 이상 개방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커버로 이루어져 내부에 물건을 수납하는 다수개의 수납용기와; 상기 수납용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용기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에는 양단이 개방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일면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수납용기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어느 하나의 수납용기에 형성된 가이드홈에는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된 수납용기의 가이드돌기가 삽입 배치되며, 상기 수납용기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제1수납용기와 제2수납용기로 이루어져, 상기 제1수납용기의 측면에서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는, 이웃한 상기 제2수납용기의 측면에서 측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홈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수납용기의 인출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지지돌기는 지지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에 위치한 수납용기는 하부에 위치한 2개 이상의 수납용기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수납용기의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1가이드홈의 직각방향인 상기 수납용기의 타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과 교차되는 제2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은 상호 교차하여 제1교차홈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교차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수납용기는 수평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제2가이드홈이 상호 연통되고, 어느 하나의 수납용기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는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된 다른 수납용기의 제1교차홈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제3가이드홈이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홈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제4가이드홈이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3가이드홈과 제4가이드홈은 상호 교차하여 제2교차홈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위치한 수납용기의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2교차홈에 삽입 배치된다.
다수개의 수납용기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경우에, 상기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은, 상기 제3가이드홈과 제4가이드홈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과 그 크기가 동일한 정사각형 형상을 이룬다.
상기 지지돌기와 지지홈에는 중 어느 하나에는 보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보조돌기가 안착되는 보조홈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에는 오목하게 함몰진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돌기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상기 수납용기의 최상부를 덮는 탑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탑플레이트는 적어도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2개 이상의 수납용기의 상부를 덮고 있고, 상기 탑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 중 상기 수납용기의 상부에 형성되지 않은 것이 형성되어 삽입 장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및 이것의 적층보관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납용기를 전후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삽입하거나 인출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종래와 같이 수납용기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스가 없이 수납용기 자체에 의해 적층될 수 있어 수납용기의 양에 따라 그 전체적인 부피가 가변되는바, 공간적인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적층된 수납용기가 상하좌우방향으로 상호 지지하여 줌으로써, 어느 하나의 수납용기를 제거하였을 때 나머지 수납용기들이 쉽게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수납용기의 일방향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수납용기의 타방향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보관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보관장치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보관장치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4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8은 도 4의 C-C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9는 도 4에서 탑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에서 탑플레이트 및 가장 상부에 위치한 수납용기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11은 종래의 일반적인 슬라이드형 수납용기 보관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수납용기의 일방향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수납용기의 타방향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100)는 내부에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써, 베이스(120)와, 커버(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20)는 일면 이상 개방되어 있고, 상기 커버(130)는 상기 베이스(120)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다.
상기 커버(130)는 상기 베이스(12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도 있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130)는 상기 베이스(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120)의 상면이 개방되어 있어 상기 커버(130)는 상기 베이스(120)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20)와 커버(130) 사이에는 가스켓(미도시)이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120)와 커버(130)가 접하였을 때 상기 수납용기(100)의 내부가 잘 밀폐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수납용기(10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에는 양단이 개방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일면에는 가이드돌기(127)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납용기(100)의 상면 즉 상기 커버(130)의 상면에 상기 가이드홈(135,1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용기(100)의 하면 즉 상기 베이스(120)의 하면에 상기 가이드돌기(12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127)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위치 즉 상하방향으로 수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돌기(127)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원형, 마름모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수납용기(100)의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가이드홈(135)과, 상기 제1가이드홈(135)의 직각방향인 상기 수납용기(100)의 타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135)과 교차되는 제2가이드홈(13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1가이드홈(135)과 제2가이드홈(136) 중 어느 하나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홈(135)과 제2가이드홈(136)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가이드홈(135)과 제2가이드홈(136)은 상호 교차하여 제1교차홈(137)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돌기(127)는 상기 제1교차홈(137)에 대응되는 위치 즉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수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127)의 크기는 상기 제1교차홈(137)의 크기와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가이드홈(135) 또는 제2가이드홈(136)이 다수개로 이루어진 경우에, 각각은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135)과 제2가이드홈(136)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은 정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도 1(a) 및 도 2(a)는 상기 제1가이드홈(135)이 2개, 상기 제2가이드홈(136)이 5개 형성된 제1수납용기(111)를 도시한 것이고, 도 1(b) 및 도 2(b)는 상기 제1가이드홈(135)이 5개, 상기 제2가이드홈(136)이 5개 형성된 제2수납용기(112)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수납용기(111)와 상기 제2수납용기(112)는 상기 제1가이드홈(135)의 형성방향으로의 길이는 동일하고, 상기 제2가이드홈(136)의 형상방향으로 그 크기가 상이하다.
그러나, 상기 제1가이드홈(135)과 제2가이드홈(136)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은 모두 동일한 크기의 정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납용기(100)의 상면에 상기 가이드돌기(127)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용기(100)의 하면에 상기 가이드홈(135,136)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납용기(100)를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만 인출되도록 할 경우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135) 또는 제2가이드홈(136)이 다수개로 이루어진 경우에 각각의 이격간격을 상이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용기(100)의 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지지돌기(141) 및/또는 지지홈(145)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납용기(100)의 일측면에 상기 지지돌기(141)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지지홈(145)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납용기(10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어느 한쪽에만 상기 지지돌기(141) 또는 지지홈(145)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납용기(100)의 일측면 및 타측면 모두에 상기 지지돌기(141)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고, 일측면 및 타측면 모두에 상기 지지홈(145)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수납용기(100)의 일측면 및 타측면 모두에 상기 지지돌기(141) 또는 지지홈(145)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된 경우에는, 이웃한 다른 수납용기(100)에 상기 지지돌기(141) 또는 지지홈(145) 중 나머지 하나가 형성되면 된다.
상기 지지홈(145)은 전후방향으로 양단이 개방되어 상기 지지돌기(141)가 상기 지지홈(145)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돌기(14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웃한 다른 수납용기(100)의 지지홈(145)에 삽입 배치되는바, 상기 지지돌기(141)의 두께와 상기 지지홈(145)의 높이는 거의 동일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돌기(141)와 지지홈(145)은 상기 베이스(120) 또는 커버(130) 중 어느 하나에 형성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베이스(120)와 커버(130)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120)의 측면에는 하부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130)의 측면에는 상부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130)가 상기 베이스(120)의 상면을 덮었을 때, 상기 하부플랜지부와 상부플랜지부는 상호 적층되어 상기 지지돌기(141) 및/또는 지지홈(145)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플랜지부는, 상기 베이스(120)의 측면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제1하부플랜지부(122)와, 상기 제1하부플랜지부(122)의 반대쪽에 형성된 제2하부플랜지부(1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플랜지부는 상기 커버(130)의 측면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제1상부플랜지부(132)와, 상기 제1상부플랜지부(132)의 반대쪽에 형성된 제2상부플랜지부(133)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하부플랜지부(122)와 제1상부플랜지부(132)는 상호 연결되어 사기 베이스(120)와 커버(130)가 힌지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위와 같은 상기 상부플랜지부 및 하부플랜지부에 의해, 상기 커버(130)가 상기 베이스(120)의 상면을 덮었을 때, 상기 제1하부플랜지부(122)와 제1상부플랜지부(132)는 상호 적층되어 상기 지지돌기(141)를 형성하고, 상기 제2하부플랜지부(123)와 제2상부플랜지부(133)는 상호 이격 적층되어 상기 지지홈(145)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돌기(141)의 두께는 상기 지지홈(145)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도록 한다.
상기 제2하부플랜지부(123)와 제2상부플랜지부(133)가 상호 적층되었을 때, 상기 지지홈(145)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2하부플랜지부(123) 및/또는 제2상부플랜지부(133)에는 정지돌기(14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130)가 상기 베이스(120)의 상면을 덮었을 때, 상기 제2하부플랜지부(123) 및/또는 제2상부플랜지부(133)에 형성된 정지돌기(148)에 의해 상기 제2하부플랜지부(123)와 제2상부플랜지부(133)는 상호 이격되어 상기 지지홈(145)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돌기(141)와 지지홈(145)에는 상호 대응되는 보조돌기(142) 및 보조홈(146)이 형성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돌기(141)에 보조돌기(142)를 형성하였고, 상기 지지홈(145)에 보조홈(146)을 형성하였다.
상기 보조돌기(142)와 보조홈(146)은 각각 상기 지지돌기(141) 및 지지홈(145)과 같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용기(100)의 전후방향에는 손잡이(149)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49)를 통해 상기 수납용기(100)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수납용기(100)는 본 발명의 적층보관장치를 이루는 구성으로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보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보관장치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보관장치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4의 D-D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4에서 탑플레이트(300)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탑플레이트(300) 및 가장 상부에 위치한 수납용기(100)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층보관장치는, 수납용기(100)와, 지지부재(200)와, 탑플레이트(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용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20)와 커버(130)로 이루어져, 내부에 물건을 수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용기(100)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하방향으로 적층되고, 수평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층마다, 2개의 상기 제1수납용기(111)가 전후로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제1수납용기(111)를 중심으로 양측에 상기 제2수납용기(112)가 이웃하게 배열되어 총 4개의 제2수납용기(112)가 배치되어 있어, 총 6개의 수납용기(100)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부에 위치한 수납용기(100)는 하부에 위치한 2개 이상의 수납용기(1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하부에 위치한 수납용기(100)를 제거하여도 상부에 위치한 수납용기(100)가 하부에 위치한 나머지 수납용기(100)들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층마다 상기 수납용기(100)가 90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적층되어 있다.
위와 같이 각각의 층마다 상기 수납용기(100)를 90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적층함으로써, 각각의 층에서 상기 수납용기(100)를 90도 방향으로 인출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수납용기(100)를 동일한 방향으로 적층하면서 상부에 위치한 수납용기(100)를 하부에 위치한 2개 이상의 수납용기(100)가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층에서 수납용기(100)가 동일한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수개의 수납용기(100)가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각각의 층은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가 동일한 정사각형 형상을 이룬다.
각각의 수납용기(100)의 상부에 형성된 제1가이드홈(135) 및 제2가이드홈(136)은 각각 상호 일직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연통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135)과 제2가이드홈(136)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은 정사각형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어느 하나의 수납용기(100)에 형성된 가이드홈에는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된 다른 수납용기(100)의 가이드돌기(127)가 삽입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홈이 상기 수납용기(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돌기(127)가 상기 수납용기(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바, 상부에 위치한 수납용기(100)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27)는 하부에 위치한 수납용기(100)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돌기(12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홈(135)과 제2가이드홈(136)이 교차하는 제1교차홈(137)에 배치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수납용기(100)는 전후좌우 어느 방향으로든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 특히 상기 제1교차홈(137)에는 오목하게 함몰진 고정홈(13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돌기(127)에는 상기 고정홈(138)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28)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128)가 상기 고정홈(138)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용기(100)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납용기(111)에 형성된 지지홈(145)에는 이웃한 상기 제2수납용기(112)에 형성된 지지돌기(141)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1수납용기(111)에 형성된 지지돌기(141)는 이웃한 상기 제2수납용기(112)에 형성된 지지홈(145)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수납용기(111)는 양측이 상기 제2수납용기(112)와 결합되어 있어, 양측에 배치된 상기 제2수납용기(112)들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2수납용기(112)의 하중이 상기 제1수납용기(111) 쪽으로 분산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수납용기(111) 또는 제2수납용기(112)의 하부에 위치한 다른 수납용기(100)를 제거했을 경우, 상부에 위치한 제1수납용기(111) 및 제2수납용기(112)가 상기 지지돌기(141)와 지지홈(145)에 의해 상호 지지하여 줌으로써, 쉽게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돌기(141)에는 보조돌기(14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145)에는 상호 보조돌기(142)가 안착되는 보조홈(146)이 형성되어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각각의 수납용기(100)가 상기 지지돌기(141)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인 폭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납용기(100)들이 길이가 짧은 폭방향으로 쉽게 인출되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지지돌기(141)와 보조돌기(142)를 형성하게 되면, 수납용기(100)들이 상기 지지돌기(141)의 길이방향으로 인출될 때에는 상기 지지돌기(141)와 지지홈(145)으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인출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수납용기(100)들이 길이가 짧은 상기 지지돌기(141)의 폭방향으로 인출되고자 할 때에는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수납용기(100)들이 임의로 쉽게 인출되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수납용기(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재(200)의 상면에는 제3가이드홈(215)과 제4가이드홈(2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가이드홈(215)은 상기 제1가이드홈(135)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제4가이드홈(216)은 상기 제2가이드홈(136)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제3가이드홈(215)과 제4가이드홈(216)은 상호 교차하여 제2교차홈(217)을 형성하고, 상기 제2교차홈(217)은 상기 제1교차홈(137)과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수납용기(100)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경우에, 상기 제3가이드홈(215)과 제4가이드홈(216)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은, 상기 제1가이드홈(135)과 제2가이드홈(136)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과 그 크기가 동일한 정사각형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2교차홈(217)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아래에 있는 수납용기(100)의 가이드돌기(127)가 삽입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2교차홈(217)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27)에 형성된 고정돌기(128)가 삽입 안착되기 위한 고정홈(2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200)에는 회전축 등이 장착되어 회전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하부에 바퀴(220)가 장착되어 이동이 편리하면서 자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적층구조에 의해 상기 수납용기(100)의 인출시 상기 가이드돌기(127)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지지돌기(141)는 지지홈(145)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납용기(100)가 안정적으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적층보관장치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상기 수납용기(100)의 최상부를 덮는 상기 탑플레이트(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탑플레이트(300)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 중 상기 수납용기(100)의 상부에 형성되지 않은 것이 형성되어 삽입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납용기(100)의 상부에 상기 가이드홈(135,136)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탑플레이트(300)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돌기(310)는 상기 제1교차홈(137)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탑플레이트(300)는 적어도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2개 이상의 수납용기(100)의 상부를 덮고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플레이트(300)의 크기를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수납용기(100)들의 크기와 동일하게 하여, 상기 탑플레이트(300)가 다수개의 수납용기(100) 상부를 모두 덮도록 하였다.
위와 같은 상기 탑플레이트(3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상기 수납용기(100) 중 어느 하나를 제거하였을 때 그 상부에 적층되어 있는 수납용기(100)들은 제거된 수납용기(100)의 수평방향에 위치한 다른 수납용기(100)들에 의해 하부가 지지될 뿐만 아니라, 상부가 상기 탑플레이트(300)에 의해 다른 수납용기(100)들에 연결되어 지지됨으로써, 쉽게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및 이것의 적층보관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수납용기, 111 : 제1수납용기, 112 : 제2수납용기,
120 : 베이스, 122 : 제1하부플랜지부, 123 : 제2하부플랜지부, 127 : 가이드돌기, 128 : 고정돌기,
130 : 커버, 132 : 제1상부플랜지부, 133 : 제2상부플랜지부, 135 : 제1가이드홈, 136 : 제2가이드홈, 137 : 제1교차홈, 138 : 고정홈,
141 : 지지돌기, 142 : 보조돌기, 145 : 지지홈, 146 : 보조홈, 148 : 정지돌기, 149 : 손잡이,
200 : 지지부재, 215 : 제3가이드홈, 216 : 제4가이드홈, 217 :제2교차홈, 218 : 고정홈, 220 : 바퀴,
300 : 탑플레이트, 310 : 가이드돌기,

Claims (13)

  1. 일면 이상 개방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커버로 이루어져 내부에 물건을 수납하는 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에는 양단이 개방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일면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용기의 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지지돌기 또는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수납용기의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1가이드홈의 직각방향인 상기 수납용기의 타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과 교차되는 제2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은 상호 교차하여 제1교차홈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교차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홈 또는 제2가이드홈이 다수개로 이루어진 경우에, 각각은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은 정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개폐하며,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는 하부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측면에는 상부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덮었을 때,
    상기 하부플랜지부와 상부플랜지부는 상호 적층되어 상기 지지돌기 또는 지지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개폐하며,
    상기 하부플랜지부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제1하부플랜지부와, 상기 제1하부플랜지부의 반대쪽에 형성된 제2하부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플랜지부는 상기 커버의 측면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제1상부플랜지부와, 상기 제1상부플랜지부의 반대쪽에 형성된 제2상부플랜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가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덮었을 때,
    상기 제1하부플랜지부와 제1상부플랜지부는 상호 적층되어 상기 지지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2하부플랜지부와 제2상부플랜지부는 상호 이격 적층되어 상기 지지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와 지지홈에는 상호 대응되는 보조돌기 및 보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7. 일면 이상 개방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커버로 이루어져 내부에 물건을 수납하는 다수개의 수납용기와;
    상기 수납용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용기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에는 양단이 개방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일면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수납용기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어느 하나의 수납용기에 형성된 가이드홈에는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된 수납용기의 가이드돌기가 삽입 배치되며,
    상기 수납용기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제1수납용기와 제2수납용기로 이루어져, 상기 제1수납용기의 측면에서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는, 이웃한 상기 제2수납용기의 측면에서 측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홈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수납용기의 인출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지지돌기는 지지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의 적층보관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부에 위치한 수납용기는 하부에 위치한 2개 이상의 수납용기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의 적층보관장치.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수납용기의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1가이드홈의 직각방향인 상기 수납용기의 타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과 교차되는 제2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은 상호 교차하여 제1교차홈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교차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수납용기는 수평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제2가이드홈이 상호 연통되고,
    어느 하나의 수납용기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는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된 다른 수납용기의 제1교차홈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제3가이드홈이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홈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제4가이드홈이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3가이드홈과 제4가이드홈은 상호 교차하여 제2교차홈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위치한 수납용기의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2교차홈에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의 적층보관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수납용기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경우에,
    상기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은, 상기 제3가이드홈과 제4가이드홈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과 그 크기가 동일한 정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의 적층보관장치.
  11.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와 지지홈에는 중 어느 하나에는 보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보조돌기가 안착되는 보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의 적층보관장치.
  12.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에는 오목하게 함몰진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돌기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의 적층보관장치.
  13.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상기 수납용기의 최상부를 덮는 탑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탑플레이트는 적어도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2개 이상의 수납용기의 상부를 덮고 있고,
    상기 탑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 중 상기 수납용기의 상부에 형성되지 않은 것이 형성되어 삽입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의 적층보관장치.


KR1020110024173A 2011-03-18 2011-03-18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및 이것의 적층보관장치 KR20120106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173A KR20120106210A (ko) 2011-03-18 2011-03-18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및 이것의 적층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173A KR20120106210A (ko) 2011-03-18 2011-03-18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및 이것의 적층보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210A true KR20120106210A (ko) 2012-09-26

Family

ID=47112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173A KR20120106210A (ko) 2011-03-18 2011-03-18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및 이것의 적층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62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6013A (zh) * 2020-12-12 2021-04-06 安徽新博普曼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服务机器人用可叠加托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6013A (zh) * 2020-12-12 2021-04-06 安徽新博普曼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服务机器人用可叠加托盘
CN112606013B (zh) * 2020-12-12 2022-09-09 安徽新博普曼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服务机器人用可叠加托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192B1 (ko) 적층형 수납장치
ES2892083T3 (es) Contenedor para graneles apilable
WO2013011672A1 (ja) トレイ
US10286541B2 (en) Toolbox
CN205819827U (zh) 收纳盒
KR20120104052A (ko)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의 적층구조 및 적층보관장치
KR20120106210A (ko)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및 이것의 적층보관장치
KR20120104053A (ko)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JP5909072B2 (ja) トレー及びその収納棚
WO2021093337A1 (zh) 收纳空间的组合设计结构
CN205075739U (zh) 物品保持系统以及包括该系统的车辆储存控制台
KR200487020Y1 (ko) 건조용 상자
KR200490895Y1 (ko) 주화롤 보관용기
JP3220337U (ja) バスケット
CN213786250U (zh) 一种化妆品收纳柜
TWI419816B (zh) 收納盒
JP2007054137A (ja) 遊技媒体収容容器
JP3175842U (ja) 収納ケース
CN202233563U (zh) 首饰盒
KR102371782B1 (ko) 제품 탈락 방지용 종이패드 및 이를 구비한 포장박스
JP5450878B1 (ja) コインケース
JP3186036U (ja) 収納ケース
JP2017065713A (ja) ワイパー用ディスペンサー
KR101774238B1 (ko) 연필꽂이
JP3110297U (ja) 組立式整理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