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192B1 - 적층형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적층형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192B1
KR101367192B1 KR1020110031479A KR20110031479A KR101367192B1 KR 101367192 B1 KR101367192 B1 KR 101367192B1 KR 1020110031479 A KR1020110031479 A KR 1020110031479A KR 20110031479 A KR20110031479 A KR 20110031479A KR 101367192 B1 KR101367192 B1 KR 101367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coupling
protrusion
groove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3845A (ko
Inventor
안병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어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어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어락
Priority to KR1020110031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192B1/ko
Publication of KR20120113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65D21/0223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the closure and the bottom presenting local co-operating elements, e.g. projections and re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4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joined together by interconnecting formatio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dove-tail, snap connections, hook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88Palletisable loads, i.e. loads intended to be transported by means of a fork-lift tru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형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개의 수납용기를 자체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는 적층형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형 수납장치는, 일면이 개방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커버부로 이루어진 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수납용기 중 어느 하나의 수납용기에 형성된 결합돌기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다른 수납용기의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납용기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되, 상기 결합돌기는,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오목홈과; 상기 오목홈의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걸림부가 배치되는 걸림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홈은 양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외부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층형 수납장치 { MULTI-LAYERED TYPE CONTAINER }
본 발명은 적층형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개의 수납용기를 자체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는 적층형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납용기는 본체와 커버로 이루어져 있고, 내부에 물건을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수납용기 보관장치는, 일반적으로 큰 공간을 차지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다수개의 수납용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수납용기는 한쪽 방향 또는 마주보는 양쪽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케이스로부터 인출되거나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수납용기 보관장치는, 상기 수납용기를 보관하는 케이스가 큰 부피를 차지하는 고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실제 사용하고 있는 수납용기의 양이 적어도 케이스에 의해 불필요하게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수납용기의 양에 따라 그 전체적인 부피가 가변되어 공간적인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적층된 수납용기가 쉽게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적층형 수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적층형 수납장치는, 일면이 개방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커버부로 이루어진 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수납용기 중 어느 하나의 수납용기에 형성된 결합돌기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다른 수납용기의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납용기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되, 상기 결합돌기는,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오목홈과; 상기 오목홈의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걸림부가 배치되는 걸림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홈은 양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외부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납용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받침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는, 상부에 배치된 수납용기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과 결합하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 및 결합홈은 각각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은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되, 제1수납용기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이웃한 제2수납용기에 형성된 결합돌기의 간격(D1)은, 제1수납용기 또는 제2수납용기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돌기 상호간의 간격(D2)의 배수이고, 상부에 적층된 수납용기는 하부에 위치한 두 개 이상의 수납용기와 상기 결합돌기 및 결합홈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을 개폐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에는 하부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는 상부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을 덮었을 때, 상기 하부플랜지부와 상부플랜지부는 상호 적층되어 지지돌기 또는 지지홈을 형성한다.
상기 커버부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을 개폐하며, 상기 하부플랜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제1하부플랜지부와, 상기 제1하부플랜지부의 반대쪽에 형성된 제2하부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플랜지부는 상기 커버부의 측면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제1상부플랜지부와, 상기 제1상부플랜지부의 반대쪽에 형성된 제2상부플랜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을 덮었을 때, 상기 제1하부플랜지부와 제1상부플랜지부는 상호 적층되어 상기 지지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2하부플랜지부와 제2상부플랜지부는 상호 이격 적층되어 상기 지지홈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돌기와 지지홈에는 상호 대응되는 보조돌기 및 보조홈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적층형 수납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종래와 같이 수납용기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스가 없이 수납용기 자체에 의해 적층될 수 있어 수납용기의 양에 따라 그 전체적인 부피가 가변되는바,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적층된 수납용기가 상호 지지하여 줌으로써, 수납용기들이 좌우방향으로 쉽게 무너지거나 상하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수납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수납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C-C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수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수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C-C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층형 수납장치는, 수납용기(10)와, 받침판(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용기(10)는, 일면이 개방된 베이스부(11)와, 상기 베이스부(11)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커버부(12)와, 상기 베이스부(11)와 커버부(12)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면에 개방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12)는 상기 베이스부(11)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11)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커버부(12)가 상기 베이스부(11)의 개방된 상면을 슬라이딩하여 개폐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1)와 커버부(23) 사이에는 가스켓(미도시)이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부(11)와 커버부(23)가 접하였을 때 상기 수납용기(10)의 내부가 잘 밀폐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수납용기(1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14)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14)에 대응되는 결합홈(15)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납용기(10)의 하면 즉 상기 베이스부(11)의 하면에 상기 결합돌기(14)를 형성하였고, 상기 수납용기(10)의 상면 즉 상기 커버부(12)의 상면에 상기 결합홈(15)을 형성하였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베이스부(11)의 하면에 결합홈(15)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부(12)의 상면에 결합돌기(14)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돌기(14)와 결합홈(15)은 다수개로 이루어져 있고,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돌기(14) 및 결합홈(15)을 각각 3개씩 형성하였고, 상기 결합돌기(14) 상호간의 간격은 상기 결합홈(15) 상호간의 간격과 동일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수납용기(10) 중 어느 하나의 수납용기(10)에 형성된 결합돌기(14)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다른 수납용기(10)의 상기 결합홈(15)에 삽입되게 되어, 다수개의 수납용기(10)가 상하방향으로 적층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15)은 양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홈(15)의 양단 모두가 외부로 개방되도록 하였다.
상기 결합홈(15)의 양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결합돌기(14)가 결합홈(15)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결합돌기(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4a)와, 상기 돌출부(14a)의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부(14b)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돌기(14)는 상기 베이스부(11)에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돌출부(14a)는 상기 베이스부(11)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4a)가 삽입되는 오목홈(15a)과, 상기 오목홈(15a)의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걸림부(14b)가 배치되는 걸림홈(15b)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서 상기 결합홈(15)은 상기 커버부(12)에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오목홈(15a)은 상기 커버부(12)의 상면에서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홈(15a)의 폭은 상기 걸림부(14b)의 폭보다 작아 상기 결합홈(15)에 삽입 결합된 상기 결합돌기(14)에서 상기 걸림부(14b)가 상기 오목홈(15a)을 형성하는 양측 부위에 걸려 상하적층된 수납용기(10)가 상하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14) 또는 결합홈(15)에는 별도의 작은 스토퍼돌기(미도시) 및/또는 스토퍼홈(미도시)을 형성하여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상기 수납용기(10)가 임의로 슬라이딩하여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용기(10)의 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지지돌기(16) 및/또는 지지홈(17)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납용기(10)의 일측면에 상기 지지돌기(16)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지지홈(17)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납용기(1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어느 한쪽에만 상기 지지돌기(16) 또는 지지홈(17)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납용기(10)의 일측면 및 타측면 모두에 상기 지지돌기(16)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고, 일측면 및 타측면 모두에 상기 지지홈(17)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수납용기(10)의 일측면 및 타측면 모두에 상기 지지돌기(16) 또는 지지홈(17)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된 경우에는, 이웃한 다른 수납용기(10)에 상기 지지돌기(16) 또는 지지홈(17) 중 나머지 하나가 형성되면 된다.
상기 지지홈(17)은 전후방향으로 양단이 개방되어 상기 지지돌기(16)가 상기 지지홈(17)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돌기(1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웃한 다른 수납용기(10)의 지지홈(17)에 삽입 배치되는바, 상기 지지돌기(16)의 두께와 상기 지지홈(17)의 높이는 거의 동일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돌기(16)와 지지홈(17)은 상기 베이스부(11) 또는 커버부(12) 중 어느 하나에 형성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1)와 커버부(12)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11)의 측면에는 하부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12)의 측면에는 상부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12)가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면을 덮었을 때, 상기 하부플랜지부와 상부플랜지부는 상호 적층되어 상기 지지돌기(16) 및/또는 지지홈(17)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플랜지부는, 상기 베이스부(11)의 측면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제1하부플랜지부(11a)와, 상기 제1하부플랜지부(11a)의 반대쪽에 형성된 제2하부플랜지부(11b)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플랜지부는 상기 커버부(12)의 측면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제1상부플랜지부(12a)와, 상기 제1상부플랜지부(12a)의 반대쪽에 형성된 제2상부플랜지부(12b)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하부플랜지부(11a)와 제1상부플랜지부(12a)는 상호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부(11)와 커버부(12)가 힌지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위와 같은 상기 상부플랜지부 및 하부플랜지부에 의해, 상기 커버부(12)가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면을 덮었을 때, 상기 제1하부플랜지부(11a)와 제1상부플랜지부(12a)는 상호 적층되어 상기 지지돌기(16)를 형성하고, 상기 제2하부플랜지부(11b)와 제2상부플랜지부(12b)는 상호 이격 적층되어 상기 지지홈(17)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돌기(16)의 두께는 상기 지지홈(17)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도록 한다.
상기 제2하부플랜지부(11b)와 제2상부플랜지부(12b)가 상호 적층되었을 때, 상기 지지홈(17)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2하부플랜지부(11b) 및/또는 제2상부플랜지부(12b)에는 정지돌기(1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12)가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면을 덮었을 때, 상기 제2하부플랜지부(11b) 및/또는 제2상부플랜지부(12b)에 형성된 정지돌기(18)에 의해 상기 제2하부플랜지부(11b)와 제2상부플랜지부(12b)는 상호 이격되어 상기 지지홈(17)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돌기(16)와 지지홈(17)에는 상호 대응되는 보조돌기(16a) 및 보조홈(17a)이 형성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돌기(16)에 보조돌기(16a)를 형성하였고, 상기 지지홈(17)에 보조홈(17a)을 형성하였다.
상기 보조돌기(16a)와 보조홈(17a)은 각각 상기 지지돌기(16) 및 지지홈(17)과 같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용기(10)의 전후방향에는 손잡이(19)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9)를 통해 상기 수납용기(10)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판(20)은 상기 수납용기(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수납용기(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받침판(20)의 하부에는 바퀴(25)가 장착되어 수납장치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20)의 상면에는, 상부에 배치된 수납용기(10)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돌기(14) 또는 결합홈(15)과 결합하는 체결부(2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납용기(10)의 하면에 결합돌기(14)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받침판(20)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체결부(24)는 상기 결합돌기(14)가 삽입되는 결합홈(15)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수납장치는 상기 받침판(20) 없이 상기 수납용기(10)들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수납용기(10)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하방향으로 적층되고, 제1수납용기(10a)와 제2수납용기(10b)가 수평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열된다.
상기 수납용기(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마다 동일한 갯수로 배치되어 상하 일렬로 적층될 수도 있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 방식으로 적층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납용기(10a)에 형성된 지지홈(17)에는 이웃한 상기 제2수납용기(10b)에 형성된 지지돌기(16)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1수납용기(10a)에 형성된 지지돌기(16)는 이웃한 상기 제2수납용기(10b)에 형성된 지지홈(17)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수납용기(10a)는 양측이 상기 제2수납용기(10b)와 결합되어 있어, 양측에 배치된 상기 제2수납용기(10b)들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1수납용기(10a)의 하중이 상기 제2수납용기(10b) 쪽으로 분산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수납용기(10a) 또는 제2수납용기(10b)의 하부에 위치한 다른 수납용기(10)를 제거했을 경우, 상부에 위치한 제1수납용기(10a) 및 제2수납용기(10b)가 상기 지지돌기(16)와 지지홈(17)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상호 지지하여 줌으로써, 쉽게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돌기(16)에는 보조돌기(16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17)에는 상기 보조돌기(16a)가 안착되는 보조홈(17a)이 형성되어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각각의 수납용기(10)가 상기 지지돌기(16)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인 수평방향(폭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수납용기(10)들이 길이가 짧은 폭방향으로 쉽게 인출되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지지돌기(16)와 보조돌기(16a)를 형성하게 되면, 수납용기(10)들이 상기 지지돌기(16)의 길이방향으로 인출될 때에는 상기 지지돌기(16)와 지지홈(17)으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인출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수납용기(10)들이 길이가 짧은 상기 지지돌기(16)의 폭방향으로 인출되고자 할 때에는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수납용기(10)들이 임의로 쉽게 인출되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적층구조에 의해 상기 수납용기(10)의 인출시 상기 지지돌기(16)는 지지홈(17)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납용기(10)가 안정적으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상부에 적층된 수납용기(10)가 하부에 위치한 두 개 이상의 수납용기(10)와 상기 결합돌기(14) 및 결합홈(15)에 의해 결합되어 지그재그 방식으로 적층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수납용기(10)들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상하 적층하게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일렬 적층형태보다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상기 수납용기(10) 상호간에 결합되어 지지하여주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높이 적층된 수납용기(10)가 옆으로 휘어져 무너지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납용기(10a)에 형성된 결합돌기(14)와 이웃한 제2수납용기(10b)에 형성된 결합돌기(14)의 간격(D1)은, 제1수납용기(10a) 또는 제2수납용기(10b)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돌기(14) 상호간의 간격(D2)의 배수가 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D1'이 'D2'의 2배가 되도록 하여, 다수개의 수납용기(10)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상하 적층되도록 하였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적층형 수납장치에 의해 다수개의 수납용기(10)를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고, 적층된 수납용기(10)가 상하방향으로 분리되거나 쉽게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적층형 수납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수납용기, 10a : 제1수납용기, 10b : 제2수납용기, 11 : 베이스부, 12 : 커버부, 14 : 결합돌기, 14a : 돌출부, 14b : 걸림부, 15 : 결합홈, 15a : 오목홈, 15b : 걸림홈,
11a : 제1하부플랜지부, 11b : 제2하부플랜지부,
12a : 제1상부플랜지부, 12b : 제2상부플랜지부,
16 : 지지돌기, 16a : 보조돌기, 17 : 지지홈, 17a : 보조홈, 18 : 정지돌기, 19 : 손잡이,
20 : 받침판, 24 : 체결부, 25 : 바퀴,

Claims (6)

  1. 일면이 개방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커버부로 이루어진 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수납용기 중 어느 하나의 수납용기에 형성된 결합돌기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다른 수납용기의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납용기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되,
    상기 결합돌기는,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오목홈과; 상기 오목홈의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걸림부가 배치되는 걸림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홈은 양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외부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수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받침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는, 상부에 배치된 수납용기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과 결합하는 체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수납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 및 결합홈은 각각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은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되,
    제1수납용기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이웃한 제2수납용기에 형성된 결합돌기의 간격(D1)은, 제1수납용기 또는 제2수납용기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돌기 상호간의 간격(D2)의 배수이고,
    상부에 적층된 수납용기는 하부에 위치한 두 개 이상의 수납용기와 상기 결합돌기 및 결합홈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수납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을 개폐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에는 하부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는 상부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을 덮었을 때,
    상기 하부플랜지부와 상부플랜지부는 상호 적층되어 지지돌기 또는 지지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수납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을 개폐하며,
    상기 하부플랜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제1하부플랜지부와, 상기 제1하부플랜지부의 반대쪽에 형성된 제2하부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플랜지부는 상기 커버부의 측면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제1상부플랜지부와, 상기 제1상부플랜지부의 반대쪽에 형성된 제2상부플랜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을 덮었을 때,
    상기 제1하부플랜지부와 제1상부플랜지부는 상호 적층되어 상기 지지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2하부플랜지부와 제2상부플랜지부는 상호 이격 적층되어 상기 지지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수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와 지지홈에는 상호 대응되는 보조돌기 및 보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수납장치.
KR1020110031479A 2011-04-06 2011-04-06 적층형 수납장치 KR101367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479A KR101367192B1 (ko) 2011-04-06 2011-04-06 적층형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479A KR101367192B1 (ko) 2011-04-06 2011-04-06 적층형 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845A KR20120113845A (ko) 2012-10-16
KR101367192B1 true KR101367192B1 (ko) 2014-03-07

Family

ID=47283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479A KR101367192B1 (ko) 2011-04-06 2011-04-06 적층형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1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308B1 (ko) * 2019-05-30 2020-04-09 최해권 휴대용 진공 약 보관유닛 및 이를 갖는 휴대용 진공 약 보관장치
KR20200137964A (ko) * 2019-05-30 2020-12-09 최해권 휴대용 진공 약 보관유닛 및 이를 갖는 휴대용 진공 약 보관장치
US20220267050A1 (en) * 2021-02-25 2022-08-25 Omielife, Inc. Interlocking containe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774B1 (ko) * 2013-06-07 2014-11-21 주식회사 썬라이즈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동시 결합이 가능한 용기
CA2888607A1 (en) 2012-10-17 2014-04-24 Sunrise Co., Ltd Container capable of being coupl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t a time
KR101521544B1 (ko) * 2013-12-06 2015-05-19 (주)아이벡스메디칼시스템즈 분리 가능한 고압 산소 치료용 챔버
CN107499729A (zh) * 2017-09-07 2017-12-22 中国人民解放军63686部队 一种零散贴片元器件收纳装置
KR102099226B1 (ko) * 2019-01-29 2020-04-09 이성련 음식물보관통
JP7386502B2 (ja) * 2019-06-03 2023-11-27 戎屋化学工業株式会社 連結容器
KR102200048B1 (ko) * 2020-02-07 2021-01-08 에코그린 (주) 적층이 용이한 음식물 저장용기
CN111645992A (zh) * 2020-06-06 2020-09-11 温岭市淘海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相互可连接的儿童彩泥盒子
RU202463U1 (ru) * 2020-11-16 2021-02-18 Денис Анатольевич Савченко Органайз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метизов и крепёжных изделий
CN113814778B (zh) * 2021-09-24 2022-09-30 西安航空职业技术学院 一种旁推取料式多零件工作台码放装置
CN114084464A (zh) * 2021-11-05 2022-02-25 东莞世巨五金塑胶制品有限公司 收纳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6636U (ja) * 1983-11-01 1985-05-29 日本エスタ株式会社 コンテナ−
KR200318857Y1 (ko) 2003-04-09 2003-07-04 고려알파라인(주) 다단 적층식 용기
KR200395644Y1 (ko) 2005-07-01 2005-09-13 박영우 측면 개방형 상자
KR100692217B1 (ko) 2005-12-28 2007-03-12 정보근 물통용 뚜껑의 적층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6636U (ja) * 1983-11-01 1985-05-29 日本エスタ株式会社 コンテナ−
KR200318857Y1 (ko) 2003-04-09 2003-07-04 고려알파라인(주) 다단 적층식 용기
KR200395644Y1 (ko) 2005-07-01 2005-09-13 박영우 측면 개방형 상자
KR100692217B1 (ko) 2005-12-28 2007-03-12 정보근 물통용 뚜껑의 적층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308B1 (ko) * 2019-05-30 2020-04-09 최해권 휴대용 진공 약 보관유닛 및 이를 갖는 휴대용 진공 약 보관장치
KR20200137964A (ko) * 2019-05-30 2020-12-09 최해권 휴대용 진공 약 보관유닛 및 이를 갖는 휴대용 진공 약 보관장치
KR102453546B1 (ko) * 2019-05-30 2022-10-11 최지혜 휴대용 진공 약 보관장치
US20220267050A1 (en) * 2021-02-25 2022-08-25 Omielife, Inc. Interlocking containers
US11801971B2 (en) * 2021-02-25 2023-10-31 Omielife, Inc. Interlocking contai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845A (ko) 201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192B1 (ko) 적층형 수납장치
WO2013011672A1 (ja) トレイ
CA2713166C (en) Stackable low depth tray
US9051083B1 (en) Adjustable storage bucket device
CN201693540U (zh) 悬臂式工具箱
JP2021512823A (ja) 容器
JP2015012954A (ja) 収納ケース
US20070222348A1 (en) Chest
JP2013129449A (ja) 中仕切り容器
KR20120104052A (ko)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의 적층구조 및 적층보관장치
KR100885680B1 (ko) 적층 및 포개짐이 가능한 운반상자
JP5909072B2 (ja) トレー及びその収納棚
KR20120104053A (ko)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KR20120106210A (ko)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및 이것의 적층보관장치
CN204415976U (zh) 一种新型物流货物堆叠箱
US20170081077A1 (en) A Lid and a Storage System
TWM593981U (zh) 置物籃之改良結構(七)
JP6122697B2 (ja) 組み合わせ容器
TWM535692U (zh) 整理盒之改良
CN218368858U (zh) 拆卸式内衣收纳拉篮
CN214567142U (zh) 一种多晶硅块包装用泡沫盒
CN208392006U (zh) 一种便携式mbr膜架
RU224070U1 (ru) Органайзер Кубик
KR101325664B1 (ko) 측면 개방형 수납박스
CN210063657U (zh) 一种对位带扣合作用的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