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558Y1 - 수납 공간을 갖는 가구 - Google Patents

수납 공간을 갖는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558Y1
KR200466558Y1 KR2020110002413U KR20110002413U KR200466558Y1 KR 200466558 Y1 KR200466558 Y1 KR 200466558Y1 KR 2020110002413 U KR2020110002413 U KR 2020110002413U KR 20110002413 U KR20110002413 U KR 20110002413U KR 200466558 Y1 KR200466558 Y1 KR 2004665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space
storage
main body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774U (ko
Inventor
이승호
이정환
이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Priority to KR2020110002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558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7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7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5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5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의자 등과 같은 보조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최상단에 배치된 수납 공간에 물품을 용이하게 적재하고 수납 공간에서 물품을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가구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가구는 내부 공간이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파티션에 의하여 다수의 수납 공간으로 구획된 본체; 및 본체의 최하단 공간 내로의 수용 및 본체의 최하단 공간으로부터의 인출이 가능하며,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수납 박스를 포함한다. 제 1 수납 박스의 상부 부재의 상부면 후단에는 전폭 또는 일부 폭에 걸쳐 바가 고정되어 있으며, 본체의 하단 파티션의 하부면 선단에는 전폭 또는 일부 폭에 걸쳐 바가 고정되어 있어 본체로부터의 제 1 수납 박스의 과도한 인출시 제 1 수납 박스의 바가 본체의 바와 접촉될 수 있다. 제 1 수납 박스는 그 내부에 설치된 파티션으로 인하여 2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분되며, 제 1 수납 박스의 하부 공간으로의 수용 및 제 1 수납 박스의 하부 공간으로부터의 인출이 가능하고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수납 박스가 제 1 수납 박스의 하부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납 공간을 갖는 가구{Furniture having article-receiving spaces}
본 발명은 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수납 공간 내에 수납 박스를 수용 및 인출할 수 있어 수납 공간으로의 물품 적재 및 수납 공간으로부터의 물품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가구에 관한 것이다.
가정 및 사무실 등에서는 각종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가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가구에는 전 높이에 걸쳐(즉,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수납 공간들이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구조의 가구, 특히 소정 높이 이상의 가구에서는, 최상단의 수납 공간에 물품을 적재하거나 적재된 물품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의자 등을 가구 앞에 위치시킨 후, 사용자가 의자에 올라선 상태에서 수납 공간에 물품을 적재 또는 수납 공간에 적재된 물품을 인출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무겁거나 부피가 큰 물품을 적재/인출할 때 사용자의 자세가 불안정해지며, 따라서 사용자가 의자에서 떨어져 부상을 입거나 물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소정 높이 이상의 가구에 형성된 수납 공간에 물품을 적재 또는 수납 공간에 적재된 물품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의자 등과 같은 보조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최상단에 배치된 수납 공간에 물품을 용이하게 적재하고 수납 공간에서 물품을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가구는 내부 공간이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파티션에 의하여 다수의 수납 공간으로 구획된 본체; 및 본체의 최하단 공간 내로의 수용 및 본체의 최하단 공간으로부터의 인출이 가능하며,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수납 박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는 양 측면 부재 및 후면 부재에 의하여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지지된다. 한편, 제 1 수납 박스의 상부 부재의 상부면 후단에는 전폭 또는 일부 폭에 걸쳐 바가 고정되어 있으며, 본체의 하단 파티션의 하부면 선단에는 전폭 또는 일부 폭에 걸쳐 바가 고정되어 있어 본체로부터의 제 1 수납 박스의 과도한 인출시 제 1 수납 박스의 바가 본체의 바와 접촉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가구에서, 제 1 수납 박스는 그 내부에 설치된 파티션으로 인하여 2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분되며, 제 1 수납 박스의 하부 공간으로의 수용 및 제 1 수납 박스의 하부 공간으로부터의 인출이 가능하고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수납 박스가 제 1 수납 박스의 하부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 2 수납 박스의 상부 부재의 상부면 후단에는 전폭 또는 일부 폭에 걸쳐 바가 고정되어 있으며, 제 1 수납 박스의 파티션의 하부면 선단에는 전폭 또는 일부 폭에 걸쳐 바가 고정되어 있어 제 1 수납 박스로부터의 제 2 수납 박스의 과도한 인출시 제 2 수납 박스의 바가 제 1 수납 박스의 바와 접촉될 수 있다.
이 외에, 제 2 수납 박스의 하부 부재의 바닥면 및/또는 제 1 수납 박스의 양 측면 부재의 바닥면에는 롤링 부재가 장착되어 제 2 수납 박스 및/또는 제 1 수납 박스의 원활한 이동을 허용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가구에서, 제 1 수납 박스의 상부 부재와 제 2 수납 박스의 상부 부재의 소정 위치에는 탄성적으로 매립, 지지된 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가구는 하부에 배치된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제 1 수납 박스 또는 제 1 수납 박스와 제 2 수납 박스를 사용자가 본체로부터 인출할 수 있으며, 이후 사용자가 제 1 수납 박스 위에서 또는 제 1 수납 박스를 통하여 제 2 수납 박스 위로 올라간 상태에서 안정적인 자세로 본체의 최상단 수납 공간에 물품을 적재 또는 최상단 수납 공간으로부터 물품을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를 구성하는 본체, 제 1 수납 박스 및 제 2 수납 박스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가구를 구성하는 제 1 수납 박스가 본체 내에 위치하고 제 2 수납 박스가 제 1 수납 박스 내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가구를 구성하는 제 1 수납 박스가 본체로부터 인출되고, 제 2 수납 박스가 제 1 수납 박스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횡단면도로서, 편의상 본체는 하부의 일부만을 도시함.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를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분리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가구(10)는 본체(100) 및 하나 이상의 수납 박스(110, 120)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가구(10)가 2개의 수납 박스, 즉 제 1 수납 박스(110) 및 제 2 수납 박스(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수납 박스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소정 높이를 갖는 본체(100)의 내부에서 다수의 수평 파티션(P1 내지 P5)이 측면 부재(101-1)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파티션(P1 내지 P5)에 의하여 본체(100)의 내부 공간은 다수의 공간(101, 102, 103, 104, 105 및 S1)으로 구분된다. 한편, 본체(100)에 형성된 다수의 공간 중 최하단의 공간(S1)은 제 1 수납 박스(110)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나머지 공간(101, 102, 103, 104 및 105)은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으로 사용된다.
제 1 수납 박스(110)는 본체(100)의 최하단 공간(S1) 내에 수용될 수 있는 규격을 가지며, 2개의 측면 부재(111) 및 측면 부재를 연결하는 상단 부재(112)를 포함한다. 측면 부재(111)와 상단 부재(112)로 인하여 제 1 수납 박스(11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제 1 수납 박스(110)의 내부에는 단일의 수평 파티션(113)이 측면 부재(111)에 고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제 1 수납 박스(110)의 내부 공간은 하부 공간(S2)과 상부 공간(S3)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하부 공간(S2)은 제 2 수납 박스(120)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상부 공간(S3)은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으로 각각 사용된다.
제 2 수납 박스(120)는 제 1 수납 박스(110)의 하부 공간(S2) 내에 수용될 수 있는 규격을 가지며, 2개의 측면 부재(121), 측면 부재를 연결하는 상단 및 하단 부재(122 및 123)를 포함한다. 측면 부재(121)와 상단 및 하단 부재(122 및 123)로 인하여 내부에는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S4)이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 수납 박스(120)의 내부에는 수평 파티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 2 수납 박스(120)의 수납 공간은 다수의 수납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는 가구를 구성하는 제 1 수납 박스(110)가 본체(100) 내에 위치하고 제 2 수납 박스(120)가 제 1 수납 박스(110) 내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제 1 수납 박스(110)는 본체(100) 내의 최하단 공간(도 1의 S1) 내에 위치하고, 제 2 수납 박스(120)는 제 1 수납 박스(110)의 하부 공간(도 1의 S2)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100)의 전 높이에 걸쳐 총 7개의 수납 공간(101, 102, 103, 104, 105, S3, S4)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체(100)의 최상단에 위치한 수납 공간(101) 내에 물품을 적재하거나 적재된 물품을 인출하기 위하여 제 1 수납 박스(110)를 본체(100)에서 인출하고, 이후 제 2 수납 박스(120)를 제 1 수납 박스(110)에서 인출할 수 있다.
도 3은 제 1 수납 박스(110)가 본체(100), 즉 본체(100) 내의 최하단 공간(S1)으로부터 인출된 후, 제 2 수납 박스(120)가 제 1 수납 박스(110), 즉 제 1 수납 박스(110)의 하부 공간(S2)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제 2 수납 박스(120)의 상단 부재(122)와 제 1 수납 박스(110)의 상단 부재(112)를 디딘 상태에서 제 1 수납 박스(110) 상에 올라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정적인 자세로 본체(100)의 최상단 수납 공간(101)에 물품을 안정적으로 적재 또는 최상단 수납 공간(101)에 적재된 물품을 안정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본체(100)의 중간에 위치한 수납 공간(예를 들어, 102 또는 103) 내에 물품을 적재하거나 적재된 물품을 인출하기 위하여 제 1 수납 박스(110)를 본체(100)에서 인출하지 않고, 제 2 수납 박스(120)만을 제 1 수납 박스(110)에서 인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100), 제 1 수납 박스(110) 그리고 제 2 수납 박스(120)의 세부 구성 및 기능을 각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4는 도 3의 횡단면도로서, 편의상 본체(100)는 제 1 수납 박스(110)가 수납되는 하부의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제 1 수납 박스(110)는 바닥 부재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즉, 본체(100)와 제 1 수납 박스(110)는 양 측면 부재(101-1 및 111) 및 후면 부재에 의하여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본체(100)와 제 1 수납 박스(110)에 바닥 부재가 없기 때문에 도 3과 달리 제 1 수납 박스(110)와 제 2 수납 박스(120)는 본체(100)와 제 1 수납 박스(110)에서 부분적으로 각각 인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수납 박스(120)의 상부 부재(122)의 상부면 후단부에는 전폭 또는 일부 폭에 걸쳐 바(127)가 고정되어 있으며, 제 1 수납 박스(110)의 파티션(113)의 하부면 선단부에는 전폭 또는 일부 폭에 걸쳐 바(117)가 고정되어있다. 제 2 수납 박스(120)가 제 1 수납 박스(110)로부터 인출될 때, 제 2 수납 박스(120)의 바(127)와 제 1 수납 박스(110)의 바(117)가 접촉하게 되며, 따라서 제 2 수납 박스(120)가 제 1 수납 박스(11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는다.
(다) 또한, 제 1 수납 박스(110)의 상부 부재(112)의 상부면 후단부에는 전폭 또는 일부 폭에 걸쳐 바(118)가 고정되어 있으며, 본체(100)의 최하단 파티션(P5)의 하부면 선단부에는 전폭 또는 일부 폭에 걸쳐 바(108)가 고정되어있다. 제 1 수납 박스(110)가 본체(100)의 하단 공간(S1)로부터 인출될 때, 제 1 수납 박스(110)의 바(118)와 본체(100)의 바(108)가 접촉하게 되며, 따라서 제 1 수납 박스(110)가 본체(10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는다.
(라) 제 2 수납 박스(120)의 상부 부재(122)의 소정 위치(바람직하게는, 바(127)의 전방부)에는 원터치 버튼 조립체(129)가 매립되어 있다. 여기서, 원터치 버튼 조립체(129)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립체이며, 따라서 도면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지 않았다. 원터치 버튼 조립체(129)의 버튼(129-1)에 외력이 일차로 가해질 때, 버튼(129-1)이 하우징 밖으로 인출되고, 이 상태에서 외력이 재차 가해질 때, 버튼(129-1)이 하우징 내로 진입하는 조립체이다.
사용자가 제 2 수납 박스(120)를 제 1 수납 박스(110)의 하부 공간(S2)으로부터 인출하기 위하여 이 원터치 버튼 조립체(129)의 버튼(129-1)을 누르면, 버튼(129-1)은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 2 수납 박스(120)를 제 1 수납 박스(110)으로부터 인출한다.
제 2 수납 박스(120)가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터치 버튼 조립체(129)의 버튼(129-1)을 다시 한번 누르면, 버튼(129-1)은 하우징 밖으로 즉, 상부 부재(122) 밖으로 일부 높이가 노출된다. 따라서 원터치 버튼 조립체(129)에 인위적인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버튼(129-1)이 외부로 노출된 원터치 버튼 조립체(129)에 의하여 제 2 수납 박스(120)는 제 1 수납 박스(110)의 하부 공간(S2) 내로 이동하지 않는다 (도 4의 상태).
(마) 한편, 제 1 수납 박스(110)의 상부 부재(112)의 소정 위치(바람직하게는, 바(118)의 전방부)에도 탄성적으로 지지된 부재, 바람직하게는 원터치 버튼 조립체(119)가 매립되어 있다. 이 원터치 버튼 조립체(119)의 기능은 제 2 수납 박스(120)에 장착된 원터치 버튼 조립체(129)의 기능과 동일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 수납 박스(120)의 하부 부재(122)의 바닥면 및/또는 제 1 수납 박스(110)의 양 측면 부재(111)의 바닥면에는 롤러와 같은 롤링 부재가 장착되어 제 2 수납 박스(120) 및/또는 제 1 수납 박스(110)의 원활한 이동을 가능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을 단지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것이며, 본 고안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고안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6)

  1. 내부 공간이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파티션에 의하여 다수의 수납 공간으로 구획된 본체; 및
    본체의 최하단 공간 내로의 수용 및 본체의 최하단 공간으로부터의 인출이 가능하며,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수납 박스를 포함하되,
    제 1 수납 박스의 상부 부재의 상부면 후단부에는 전폭 또는 일부 폭에 걸쳐 바가 고정되어 있으며, 본체의 하단 파티션의 하부면 선단부에는 전폭 또는 일부 폭에 걸쳐 바가 고정되어 있어 본체로부터의 제 1 수납 박스의 과도한 인출시 제 1 수납 박스의 바가 본체의 바와 접촉될 수 있는 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수납 박스의 하부 공간으로의 수용 및 제 1 수납 박스의 하부 공간으로부터의 인출이 가능하며,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수납 박스를 더 포함하는 가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수납 박스의 상부 부재의 상부면 후단부에는 전폭 또는 일부 폭에 걸쳐 바가 고정되어 있으며, 제 1 수납 박스의 파티션의 하부면 선단부에는 전폭 또는 일부 폭에 걸쳐 바가 고정되어 있어 제 1 수납 박스로부터의 제 2 수납 박스의 과도한 인출시 제 2 수납 박스의 바가 제 1 수납 박스의 바와 접촉될 수 있는 가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수납 박스의 하부 부재의 바닥면에는 롤링 부재가 장착되어 제 2 수납 박스의 원활한 이동을 허용하는 가구.
  5.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수납 박스의 양 측면 부재의 바닥면에는 롤링 부재가 장착되어 제 1 수납 박스의 원활한 이동을 허용하는 가구.
  6.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수납 박스의 상부 부재와 제 2 수납 박스의 상부 부재의 소정 위치에는 누름 동작에 의하여 버튼이 하우징 밖으로 그리고 하우징 밖으로의 진입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원터치 버튼 조립체가 장착되어 제 1 수납 박스와 제 2 수납 박스의 임의의 이동을 억제하는 가구.
KR2020110002413U 2011-03-23 2011-03-23 수납 공간을 갖는 가구 KR2004665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413U KR200466558Y1 (ko) 2011-03-23 2011-03-23 수납 공간을 갖는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413U KR200466558Y1 (ko) 2011-03-23 2011-03-23 수납 공간을 갖는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774U KR20120006774U (ko) 2012-10-05
KR200466558Y1 true KR200466558Y1 (ko) 2013-04-23

Family

ID=47503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413U KR200466558Y1 (ko) 2011-03-23 2011-03-23 수납 공간을 갖는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558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036U (ko) * 2008-10-08 2010-04-16 최기주 콤비네이션 가구세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036U (ko) * 2008-10-08 2010-04-16 최기주 콤비네이션 가구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774U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192B1 (ko) 적층형 수납장치
US20180192772A1 (en) Storage case
US20070272640A1 (en) Portable storage shelving
KR200466558Y1 (ko) 수납 공간을 갖는 가구
US7984680B1 (en) Knockdown shelf structure
EP3323749A1 (en) A pallet for carrying goods
KR20080097612A (ko) 가변형 수납장
KR20130005501U (ko) 수납 케이스
KR200441019Y1 (ko) 서랍형 수납장
JP5909072B2 (ja) トレー及びその収納棚
KR20050043117A (ko) 금형 보관대
KR200376576Y1 (ko) 소품 수납용 적층식 바구니
US20120118941A1 (en) Stackable storage box
JP7048959B2 (ja) 収納ケース
KR20110101290A (ko) 조립식 소형 물품 수납상자
KR200252494Y1 (ko) 다용도 조립식 서랍장
KR200467036Y1 (ko) 물품보관용 정사각형 수납박스
JP3175842U (ja) 収納ケース
KR101396068B1 (ko) 다단으로 적층 가능한 수납바구니
CN220333303U (zh) 一种多层收纳盒
JP4894075B2 (ja) 物品収納装置
JP3161928U (ja) 収納ケース
CN219635726U (zh) 一种收纳容器
KR200422145Y1 (ko) 조립식 측판이 구비된 운반용 카트
KR101657509B1 (ko) 접이식 포스트를 갖는 모빌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