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5010A -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 Google Patents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5010A
KR20120105010A KR1020127016225A KR20127016225A KR20120105010A KR 20120105010 A KR20120105010 A KR 20120105010A KR 1020127016225 A KR1020127016225 A KR 1020127016225A KR 20127016225 A KR20127016225 A KR 20127016225A KR 20120105010 A KR20120105010 A KR 20120105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yvinyl acetal
mol
acetal resin
laminated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3496B1 (ko
Inventor
다쯔야 이와모또
고헤이 가니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19583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10501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5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627Next to aldehyde or ketone condensation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627Next to aldehyde or ketone condensation product
    • Y10T428/3163Next to acetal of polymerized unsaturated alcohol [e.g., formal butyral,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942Of aldehyde or ketone condensation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942Of aldehyde or ketone condensation product
    • Y10T428/31946Next to second aldehyde or ketone condensation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의 발생 및 발포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합판 유리를 얻을 수 있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상기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한다. 합판 유리용 중간막 (1)은 제1층 (2)와, 제1층 (2)의 한쪽면 (2a)에 적층된 제2층을 구비한다. 제1, 제2층 (2), (3)은 각각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함유한다. 제1층 (2) 중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제2층 (3) 중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낮다. 제1층 (2) 중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제2층 (3) 중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는 9.2 몰% 이하이다. 상기 함유율의 차가 8.5 몰%를 초과하고 9.2 몰%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 이하이다.

Description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본 발명은, 적어도 2층의 다층 구조를 갖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각 층이 각각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함유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상기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합판 유리에 관한 것이다.
합판 유리는 외부 충격을 받아 파손되어도 유리 파편의 비산량이 적고, 안전성이 우수하다. 그 때문에, 상기 합판 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합판 유리는 한 쌍의 유리판 사이에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끼움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상기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일례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아세탈화도가 60 내지 85 몰%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와,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토류 금속염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염 0.001 내지 1.0 중량부와, 30 중량부 이상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차음층이 개시되어 있다. 이 차음층은 단층이며 중간막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상기 차음층과 다른 층이 적층된 다층 중간막도 기재되어 있다. 차음층에 적층되는 다른 층은 아세탈화도가 60 내지 85 몰%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와,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토류 금속염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염 0.001 내지 1.0 중량부와, 30 중량부 이하의 가소제를 포함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070200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중간막을 사용하여 합판 유리를 구성한 경우에는, 합판 유리의 2000 Hz 부근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차음성이 충분하지 않고, 따라서 코인시던스(coincidence) 효과에 의한 차음성의 저하를 피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특히, 이 합판 유리의 20 ℃ 부근에서의 차음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여기서, 코인시던스 효과란, 유리판에 음파가 입사했을 때, 유리판의 강성과 관성에 따라 유리면 위를 횡파가 전파하여 횡파와 입사음이 공명하고, 그 결과 소리의 투과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차음층과 다른 층이 적층된 다층 중간막을 사용하여 합판 유리를 구성한 경우에는, 합판 유리의 20 ℃ 부근에서의 차음성을 어느 정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다층 중간막이 상기 차음층을 갖기 때문에, 상기 다층 중간막을 사용한 합판 유리에 발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최근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높이기 위해 중간막 중의 가소제의 함유량을 많게 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중간막 중의 가소제의 함유량을 많게 하면,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가소제의 함유량을 많게 하면, 합판 유리에 발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포의 발생 및 발포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합판 유리를 얻을 수 있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상기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합판 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정적인 목적은, 차음성이 우수한 합판 유리를 얻을 수 있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상기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합판 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따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함유하는 제1층과, 상기 제1층의 한쪽면에 적층되어 있으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함유하는 제2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50 중량부 이상이고,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낮고,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9.2 몰% 이하이고,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8.5 몰%를 초과하고 9.2 몰%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 이하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9.2 몰% 이하이고,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8.5 몰%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를 초과한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 이하, 수산기의 함유율이 31.5 몰% 미만이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별도의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 이하, 아세탈화도가 68 몰% 이상이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31.5 몰% 미만, 아세탈화도가 68 몰% 이상이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별도의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8.5 몰%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를 초과하고 20 몰% 미만이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또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8.5 몰%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를 초과하고 아세탈화도가 52.5 몰% 이상이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8.5 몰%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를 초과하고 수산기의 함유율이 28 몰%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또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중합도가 1700을 초과하고 3000 이하인 폴리비닐알코올을 아세탈화함으로써 얻어지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별도의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33 몰%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보다 많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또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보다 20 중량부 이상 많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별도의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8.5 몰%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별도의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층의 다른쪽면에 적층되어 있으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함유하는 제3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제3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낮고,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3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9.2 몰% 이하이고,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3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8.5 몰%를 초과하고 9.2 몰%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3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9.2 몰% 이하이고,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3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8.5 몰%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를 초과한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또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31.5 몰% 미만, 아세탈화도가 68 몰% 이상이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또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3층 중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33 몰%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또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제2, 제3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의 각 함유량보다 많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상기 제1 내지 제3층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 각각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상기 제1 내지 제3층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가소제로서 각각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 유리는 제1, 제2 합판 유리 구성 부재와, 상기 제1, 제2 합판 유리 구성 부재 사이에 끼워진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막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각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낮고,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50 중량부 이상이고,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9.2 몰% 이하이고,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8.5 몰%를 초과하고 9.2 몰%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 이하이기 때문에, 합판 유리를 구성하는 데 사용된 경우, 합판 유리에서의 발포의 발생 및 발포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합판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 및 실시예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을 분명히 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중간막 (1)은 제1층 (2)와, 제1층 (2)의 한쪽면 (2a)(제1면)에 적층된 제2층 (3)과, 제1층 (2)의 다른쪽면 (2b)(제2면)에 적층된 제3층 (4)를 구비한다. 중간막 (1)은 합판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중간막 (1)은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 (1)은 다층 중간막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층 (2)는 중간층이며, 제2, 제3층 (3), (4)는 표면층이다. 단, 제2, 제3층 (3), (4)가 중간층이며, 제2, 제3층 (3), (4)의 외측의 표면 (3a), (4a)에 다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더 적층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층 (2) 내지 (4)는 각각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함유한다.
본 실시 형태의 주된 특징은, 제1층 (2)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제2층 (3)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낮고, 제1층 (2)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제2층 (3)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이하, 함유율차 (1-2)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가 9.2 몰% 이하이고, 제1층 (2)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제2층 (3)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함유율차 (1-2))가 8.5 몰%를 초과하고 9.2 몰% 이하인 경우에는, 제1층 (2)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 이하인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제1층 (2)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이 50 중량부 이상이다. 상기 함유율차 (1-2)는 8.5 몰%를 초과하고 9.2 몰% 이하일 수도 있으며, 나아가서는 8.5 몰% 이하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층 (2)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제3층 (4)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낮고, 제1층 (2)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제3층 (4)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이하, 함유율차 (1-3)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가 9.2 몰% 이하이고, 제1층 (2)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제3층 (4)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함유율차 (1-3))가 8.5 몰%를 초과하고 9.2 몰% 이하인 경우에는, 제1층 (2)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함유율차 (1-3)이 8.5 몰% 이하여도, 함유율차 (1-2)가 8.5 몰%를 초과하고 9.2 몰% 이하인 경우에는, 제1층 (2)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는 8 몰% 이하이다. 상기 함유율차 (1-3)은 8.5 몰%를 초과하고 9.2 몰% 이하일 수도 있으며, 나아가서는 8.5 몰% 이하일 수도 있다.
또한, 함유율차 (1-2) 및 함유율차 (1-3)이 각각 8.5 몰%를 초과하고 9.2 몰% 이하인 경우, 제1층 (2)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 이하로 한정되는 것은, 함유율차 (1-2) 및 함유율차 (1-3)과 함께 제1층 (2)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도 커지면, 합판 유리의 발포의 발생 및 발포의 성장의 억제 효과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함유율차 (1-2) 및 함유율차 (1-3)이 8.5 몰% 이하이면, 제1층 (2)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를 초과하여도 합판 유리의 발포의 발생 및 발포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다층 구조를 갖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서는 각 층간에서 가소제가 이행하고, 그 결과 가소제의 함유량이 많은 층이 형성된다는 것, 예를 들면 제2, 제3층으로부터 제1층으로 가소제가 이행하고, 그 결과 제1층의 가소제의 함유량이 많아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가소제의 함유량이 많은 층이 형성되면, 즉 제1층의 가소제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합판 유리에 발포가 발생하기 쉬워지고, 발포가 일단 발생하면, 발생한 발포가 핵이 되어 발포가 성장한다는 것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발포의 발생 및 발포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제1 내지 제3층 중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각 수산기의 함유율을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합판 유리에서의 발포의 발생 및 발포의 성장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는 것도 발견하였다. 가소제의 이행을 억제할 수 있으며, 합판 유리에서의 발포의 발생 및 발포의 성장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층의 가소제의 함유량, 특히 제1층 (2)의 가소제의 함유량을 많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높일 수 있다.
합판 유리에서의 발포의 발생 및 발포의 성장을 더욱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제1층 (2)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제2, 제3층 (3), (4)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각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함유율차 (1-2) 및 함유율차 (1-3))의 바람직한 하한은 0.1 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 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 몰%, 바람직한 상한은 8.5 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7.8 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7 몰%,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5.6 몰%이다. 합판 유리에서의 발포의 발생 및 발포의 성장을 더욱 한층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제1층 (2)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제2, 제3층 (3), (4)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각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함유율차 (1-2) 및 함유율차 (1-3))는 바람직하게는 5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몰% 이하,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4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몰% 이하이다.
또한, 제1층 (2)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55 중량부 이상인 경우에는,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제1층 (2)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60 중량부 이상인 경우에는,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하, 중간막 (1)의 제1 내지 제3층에 포함되어 있는 각 성분을 상세히 설명한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중간막 (1)의 제1 내지 제3층 (2) 내지 (4)가 각각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함유함으로써, 제1 내지 제3층 (2) 내지 (4)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합판 유리 구성 부재에 대한 중간막 (1)의 접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예를 들면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일반적으로 70 내지 99.9 몰%의 범위 내이고, 80 내지 99.8 몰%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800 이하이다. 상기 중합도가 상기 바람직한 하한을 만족하면, 합판 유리의 내관통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중합도가 상기 바람직한 상한을 만족하면, 중간막의 성형이 용이해진다.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중합도가 1700을 초과하고 3000 이하인 폴리비닐알코올을 아세탈화함으로써 얻어지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도는 평균 중합도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상기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알데히드로서는, 일반적으로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데히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데히드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및 벤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n-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가 바람직하고, n-부틸알데히드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는 1종만이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상기 제1 내지 제3층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 각각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합성은 용이하다. 또한,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사용에 의해 합판 유리 구성 부재에 대한 중간막 (1)의 접착력이 더욱 적절히 발현된다. 또한, 내광성 및 내후성 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중간층인 제1층 (2)에 포함되어 있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20 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2 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3 몰%,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25 몰%, 바람직한 상한은 30 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8 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27 몰%,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26 몰%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바람직한 하한을 만족하면, 제1층 (2)의 접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바람직한 상한을 만족하면,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중간막 (1)의 유연성이 높아져, 중간막 (1)의 취급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낮으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친수성이 낮아진다. 그 때문에, 가소제의 함유량을 많게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제1층 (2)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제2, 제3층 (3), (4)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각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낮기 때문에, 제1층 (2)의 가소제의 함유량을 많게 할 수 있다.
표면층인 제2, 제3층 (3), (4)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바람직한 하한은 26 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7 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8 몰%,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29 몰%, 바람직한 상한은 35 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3 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32 몰%,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31.5 몰%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바람직한 하한을 만족하면, 중간막 (1)의 접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바람직한 상한을 만족하면 중간막 (1)의 유연성이 높아져, 중간막 (1)의 취급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몰%)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제1층 (2)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아세틸기량)는 30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세틸화도가 30 몰%를 초과하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할 때의 반응 효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제1층 (2)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1 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5 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1 몰%,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1.2 몰%, 바람직한 상한은 24 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0 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6 몰%,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15 몰%이다. 제2, 제3층 (3), (4)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0.1 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5 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0.8 몰%, 바람직한 상한은 10 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 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2 몰%,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1.5 몰%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바람직한 하한을 만족하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와의 상용성이 더욱 높아져, 중간막의 유리 전이 온도를 충분히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바람직한 상한을 만족하면, 중간막의 내습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더욱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제1층 (2)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는 제2, 제3층 (3), (4)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세틸화도는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부터 아세탈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과,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뺀 값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몰%)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탈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제1층 (2)에 포함되어 있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45 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2.5 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58 몰%,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60 몰%, 바람직한 상한은 85 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80 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77 몰%,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75 몰%이다. 제2, 제3층 (3), (4)에 포함되어 있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61 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65 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67 몰%, 바람직한 상한은 72 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71 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70 몰%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바람직한 하한을 만족하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와의 상용성이 더욱 높아져, 중간막의 유리 전이 온도를 충분히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바람직한 상한을 만족하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반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아세탈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몰%)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아세틸기량과 비닐알코올량(수산기의 함유율)을 측정하여, 얻어진 측정 결과로부터 몰분율을 산출하고, 이어서 100 몰%로부터 아세틸기량과 비닐알코올량을 뺌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상기 발포의 발생 및 발포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제1 내지 제3층의 수산기의 함유율을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합판 유리에서의 발포의 발생 및 발포의 성장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가소제의 이행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합판 유리에서의 발포의 발생 및 발포의 성장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으며,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높일 수 있다.
가소제의 이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더욱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함유율차 (1-2)가 8.5 몰%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의 이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더욱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함유율차 (1-3)이 8.5 몰%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의 이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더욱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함유율차 (1-2)가 8.5 몰%를 초과하고 9.2 몰% 이하인 경우 또는 상기 함유율차 (1-2)가 9.2 몰%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가 68 몰% 이상이거나, 또는 수산기의 함유율이 31.5 몰%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의 이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더욱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함유율차 (1-3)이 8.5 몰%를 초과하고 9.2 몰% 이하인 경우 또는 상기 함유율차 (1-3)이 9.2 몰%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가 68 몰% 이상이거나, 또는 수산기의 함유율이 31.5 몰%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소제의 이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더욱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제1층에 포함되어 있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 이하인 경우(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라고도 함)에는 함유율차 (1-2) 및 함유율차 (1-3)은 9.2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층에 포함되어 있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를 초과하는 경우(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라고도 함)에는 함유율차 (1-2) 및 함유율차 (1-3)은 9.2 몰% 이하이고, 8.5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의 아세틸화도 a의 상한은 8 몰%, 바람직한 상한은 7 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6 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5 몰%, 바람직한 하한은 0.1 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5 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0.8 몰%,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1 몰%이다. 상기 아세틸화도 a가 상기 상한 이하 및 상기 하한 이상이면 가소제의 이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의 아세탈화도 a의 바람직한 하한은 68 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70 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71 몰%,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72 몰%, 바람직한 상한은 85 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83 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81 몰%,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79 몰%이다. 상기 아세탈화도 a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아세탈화도 a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반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의 수산기의 함유율 a는 바람직하게는 31.5 몰%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31 몰% 이하,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29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8 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1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4 몰% 이상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 a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 a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접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는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의 아세틸화도 b는 8 몰%를 초과하고, 바람직한 하한은 10 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1 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12 몰%,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15 몰%, 바람직한 상한은 30 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8 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26 몰%,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19.5 몰%이다. 상기 아세틸화도 b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아세틸화도 b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반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반응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의 아세틸화도 b는 20 몰%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합판 유리에서의 발포의 발생 및 발포의 성장을 더욱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의 아세틸화도 b는 25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의 아세탈화도 b의 바람직한 하한은 45 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2.5 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55 몰%,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60 몰%, 바람직한 상한은 80 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77 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74 몰%,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71 몰%이다. 상기 아세탈화도 b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아세탈화도 b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반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의 수산기의 함유율 b의 바람직한 상한은 31.5 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0 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29 몰%,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27.5 몰%, 바람직한 하한은 22 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3 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4 몰%,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25 몰%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 b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 b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접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함유율차 (1-2) 또는 상기 함유율차 (1-3)이 8.5 몰%를 초과하고 9.2 몰%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 이하이다.
상기 함유율차 (1-2) 또는 상기 함유율차 (1-3)이 8.5 몰% 이하인 경우에는, 첫째로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대해서는, 첫째로 아세틸화도가 8 몰% 이하, 수산기의 함유율이 31.5 몰%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둘째로 아세틸화도가 8 몰% 이하, 아세탈화도가 68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셋째로 수산기의 함유율은 31.5 몰% 미만, 아세탈화도가 68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율차 (1-2) 또는 상기 함유율차 (1-3)이 8.5 몰%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대해서는, 첫째로 아세틸화도가 8 몰%를 초과하고 20 몰%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둘째로 아세틸화도가 8 몰%를 초과하고 아세탈화도가 52.5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셋째로 아세틸화도가 8 몰%를 초과하고 수산기의 함유율이 28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상기 제1, 제2, 제3층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31.5 몰% 미만, 아세탈화도가 68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 및 상기 제3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33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는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알데히드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데히드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4 또는 5의 알데히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도,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는 중합도가 1700을 초과하고 3000 이하인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함으로써 얻어지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중합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1800,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000,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400,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2500, 바람직한 상한은 300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900,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2800,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2700이다. 상기 중합도가 상기 바람직한 하한을 만족하면, 합판 유리의 내관통성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합판 유리에서의 발포의 발생 및 발포의 성장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중합도가 상기 바람직한 상한을 만족하면, 중간막의 성형이 용이해진다.
(가소제)
제1 내지 제3층 (2) 내지 (4)에 각각 포함되어 있는 상기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소제로서 종래 공지된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1종만이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가소제로서는, 예를 들면 일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및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등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 및 유기 인산 가소제 및 유기 아인산 가소제 등의 인산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액상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글리콜과 일염기성 유기산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글리콜에스테르, 및 트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트리프로필렌글리콜과 일염기성 유기산과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글리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카프로산, 2-에틸부티르산, 헵틸산, n-옥틸산, 2-에틸헥실산, n-노닐산 및 데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다염기성 유기산과, 탄소수 4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 구조를 갖는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아디프산, 세박산 및 아젤라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옥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디부틸세바케이트, 디옥틸아젤레이트, 디부틸카르비톨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펜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에이트, 아디프산디헥실,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헥실시클로헥실, 아디프산헵틸과 아디프산노닐과의 혼합물, 아디프산디이소노닐, 아디프산디이소데실, 아디프산헵틸노닐, 세박산디부틸, 오일 변성 세박산알키드, 및 인산에스테르와 아디프산에스테르와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아디프산에스테르 이외의 다른 아디프산에스테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인산 가소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이소데실페닐포스페이트 및 트리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에스테르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디에스테르 가소제의 사용에 의해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Figure pct00001
상기 화학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5 내지 1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3은 에틸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또는 n-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p는 3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 중의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6 내지 10의 유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디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3GH),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및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3G7)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바람직한 가소제의 사용에 의해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상기 제1 내지 제3층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가소제로서 각각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간막 (1)의 각 층에서의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충분히 높이는 관점에서는, 제1층 (2) 중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은 50 중량부 이상이다. 제1층 (2)의 가소제의 함유량이 많아도, 제1 내지 제3층 (2) 내지 (4)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되어 있기 때문에, 합판 유리에서의 발포의 발생 및 발포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제1층 (2) 중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의 하한은 50 중량부, 바람직한 하한은 5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60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은 8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7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70 중량부이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바람직한 하한을 만족하면, 합판 유리의 내관통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제1층 (2)의 가소제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바람직한 상한을 만족하면, 중간막의 투명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충분히 높이기 위해, 제1층 (2) 중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은 50 중량부 이상이다. 또한, 제1층 (2) 중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은 가소제의 이행 전(초기)에 50 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행 후에 50 중량부 이상일 수도 있다. 또한, 제1층 (2)를 얻기 위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를 50 중량부 배합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제1층 (2) 중의 가소제의 함유량은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특히, 제1층 (2) 중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낮으면, 제1층 (2)를 얻기 위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를 50 중량부 배합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제1층 (2) 중의 가소제의 함유량은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제2, 제3층 (3), (4) 중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각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2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3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35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은 5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4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40 중량부이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바람직한 하한을 만족하면, 중간막의 접착력이 높아져, 합판 유리의 내관통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바람직한 상한을 만족하면, 중간막의 투명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더욱 높이는 관점에서는, 제1층 (2)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은, 제2, 제3층 (3), (4) 중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합판 유리의 차음성을 더욱 높이는 관점에서는, 제1층 (2)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은 제2, 제3층 (3), (4)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보다 5 중량부 이상 많은 것이 바람직하고, 10 중량부 이상 많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중량부 이상 많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 중량부 이상 많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25 중량부 이상 많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30 중량부 이상 많은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른 성분)
중간막 (1)의 제1 내지 제3층 (2) 내지 (4)는 각각, 필요에 따라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안료, 염료, 접착력 조정제, 내습제, 형광 증백제 및 적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합판 유리)
본 발명에 관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각각 합판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도 2에, 도 1에 도시한 중간막 (1)을 사용한 합판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합판 유리 (11)은 제1 합판 유리 구성 부재 (12)와, 제2 합판 유리 구성 부재 (13)과, 중간막 (1)을 구비한다. 중간막 (1)은 제1, 제2 합판 유리 구성 부재 (12), (13)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제1 합판 유리 구성 부재 (12)는 제2층 (3)의 외측의 표면 (3a)에 적층되어 있다. 제2 합판 유리 구성 부재 (13)은 제3층 (4)의 외측의 표면 (4a)에 적층되어 있다. 따라서, 합판 유리 (11)은 제1 합판 유리 구성 부재 (12)와, 제2층 (3)과, 제1층 (2)와, 제3층 (4)와, 제2 합판 유리 구성 부재 (13)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1, 제2 합판 유리 구성 부재 (12), (13)으로서는 유리판 및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합판 유리에는 2매의 유리판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져 있는 합판 유리 뿐만 아니라, 유리판과 PET 필름 등과의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져 있는 합판 유리도 포함된다. 합판 유리는 유리판을 구비한 적층체이며, 적어도 1매의 유리판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판으로서는 무기 유리 및 유기 유리를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유리로서는 플로우트 판유리, 열선 흡수 판유리, 열선 반사 판유리, 마판유리, 형판유리, 망입 판유리 및 선입 판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유리는 무기 유리에 대용되는 합성 수지 유리이다. 상기 유기 유리로서는, 폴리카르보네이트판 및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으로서는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판 등을 들 수 있다.
합판 유리 (11)의 내관통성을 더욱 높이는 관점에서는, 중간막 (1)의 두께의 바람직한 하한은 0.05 mm,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25 mm, 바람직한 상한은 3 mm,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5 mm이다. 중간막 (1)의 두께가 상기 바람직한 하한 및 상기 바람직한 상한을 각각 만족하면, 합판 유리의 내관통성 및 투명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제1, 제2 합판 유리 구성 부재 (12), (13)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5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mm 이하이다. 또한, 합판 유리 구성 부재 (12), (13)이 유리판인 경우, 상기 유리판의 두께는 1 내지 3 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합판 유리 구성 부재 (12), (13)이 PET 필름인 경우, 상기 PET 필름의 두께는 0.03 내지 0.5 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합판 유리 (11)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제2 합판 유리 구성 부재 (12), (13) 사이에 중간막 (1)을 끼워 가압 롤에 통과시키거나, 또는 고무백에 넣어 감압 흡인하여 제1, 제2 합판 유리 구성 부재 (12), (13)과 중간막 (1)과의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를 탈기한다. 그 후, 약 70 내지 110 ℃에서 예비 접착하여 적층체를 얻는다. 이어서,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에 넣거나, 또는 프레스하여 약 120 내지 150 ℃ 및 1 내지 1.5 MPa의 압력으로 압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합판 유리 (11)을 얻을 수 있다.
합판 유리 (11)은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사용할 수 있다. 합판 유리는 이들 이외에도 사용할 수 있다. 합판 유리 (11)은 자동차의 자동차 앞유리, 사이드 유리, 리어 유리 또는 루프 유리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1) 다층 중간막의 제작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A(수산기의 함유율 25.2 몰%, 아세틸화도 12.3 몰%, 부티랄화도 62.5 몰%) 100 중량부에 가소제로서의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60 중량부를 첨가하고,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중간층용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B(수산기의 함유율 31.2 몰%, 아세틸화도 0.8 몰%, 부티랄화도 68.0 몰%) 100 중량부에 가소제로서의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37.5 중량부를 첨가하고,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표면층용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중간층용 수지 조성물 및 표면층용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공압출함으로써, 표면층(두께 350 ㎛)과 중간층(두께 100 ㎛)과 표면층(두께 350 ㎛)이 순서대로 적층된 다층 중간막을 제작하였다.
(2) 내관통성 시험 및 광학 왜곡의 평가에 사용하는 합판 유리의 제작
얻어진 다층 중간막을 세로 30 cm×가로 30 cm의 크기로 절단하였다. 이어서, 투명한 플로우트 유리(세로 30 cm×가로 30 cm×두께 2.5 mm) 2매의 사이에 다층 중간막을 끼워, 적층체를 얻었다. 이 적층체를 고무백 내에 넣고, 2.6 kPa의 진공도로 20분간 탈기한 후, 탈기한 채로 오븐 내로 옮기고, 90 ℃에서 30분간 더 유지하여 진공 프레스하여 적층체를 예비 압착하였다.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135 ℃ 및 압력 1.2 MPa의 조건으로 예비 압착된 적층체를 20분간 압착하여, 내관통성 시험 및 광학 왜곡의 평가에 사용하는 합판 유리를 얻었다.
(3) 차음성 측정에 사용하는 합판 유리의 제작
다층 중간막을 세로 30 cm×가로 2.5 cm의 크기로 절단하고, 투명한 플로우트 유리(세로 30 cm×가로 2.5 cm×두께 2.5 mm)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내관통성 시험에 사용하는 합판 유리와 동일한 방법으로 차음성 측정에 사용하는 합판 유리를 얻었다.
(4) 발포 시험 A 및 B에 사용하는 합판 유리의 제작
얻어진 다층 중간막을 세로 30 cm×가로 15 cm의 크기로 절단하고, 온도 23 ℃의 환경하에 10 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또한, 얻어진 다층 중간막의 양면에는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엠보싱의 십점 평균 거칠기는 30 ㎛였다. 절단된 다층 중간막에 있어서, 다층 중간막의 단부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각각 내측을 향해 8 cm의 위치와, 다층 중간막의 단부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각각 내측을 향해 5 cm의 위치와의 교점 4개소에 직경 6 mm의 관통 구멍을 제작하였다.
투명한 플로우트 유리(세로 30 cm×가로 15 cm×두께 2.5 mm) 2매의 사이에 관통 구멍을 갖는 다층 중간막을 끼워, 적층체를 얻었다. 적층체의 바깥 둘레는, 열 융착에 의해 단부로부터 폭 2 cm를 시일제에 의해 밀봉함으로써, 엠보싱에 잔류하는 공기 및 관통 구멍에 잔류하는 공기를 봉쇄하였다. 이 적층체를 135 ℃, 압력 1.2 MPa의 조건으로 20분간 압착함으로써, 잔류하는 공기를 다층 중간막 중에 용해하여, 발포 시험 A 및 B에 사용하는 합판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2 내지 20 및 비교예 1 내지 2)
제1 내지 제3층의 조성을 하기의 표 1 내지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중간막 및 합판 유리를 제작하였다.
또한, 하기의 표 1 내지 2에 나타내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 내지 V의 수산기의 함유율, 아세틸화도, 부티랄화도, 및 제1층의 PVB 수지의 합성에 사용한 폴리비닐알코올(PVA)의 중합도는 하기 표 1 내지 2에 나타내는 값이다. 또한, 제1층의 PVB 수지의 합성에 사용한 폴리비닐알코올(PVA)의 중합도는 실시예 5 내지 20에 대해서만 나타내었다.
(평가)
(1) 차음성
합판 유리를 덤핑 시험용의 진동 발생기(신켄사 제조 「가진기 G21-005D」)에 의해 진동을 가하고, 그로부터 얻어진 진동 특성을 기계 임피던스 측정 장치(리온사 제조「XG-81」)로 증폭하여, 진동 스펙트럼을 FFT 스펙트럼 분석기(요코가와 휴렛 팩커드사 제조 「FFT 분석기 HP3582A」)에 의해 해석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손실 계수와 합판 유리와의 공진 주파수와의 비로부터, 20 ℃에서의 소리 주파수(Hz)와 음향 투과 손실(dB)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작성하여, 소리 주파수 2,000 Hz 부근에서의 극소의 음향 투과 손실(TL값)을 구하였다. 이 TL값이 높을수록 차음성이 높아진다. TL값이 35 dB 이상인 경우를 「○」, TL값이 35 dB 미만인 경우를 「×」로 하여 결과를 하기의 표 1 내지 2에 나타내었다.
(2) 발포 시험 A(발포의 상태)
발포 시험 A에 사용하는 합판 유리를 각 다층 중간막에 대하여 5매 제작하고, 50 ℃의 오븐 내에 100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방치 후의 합판 유리에 있어서, 발포의 유무 및 발포의 크기를 평면으로 보아 육안 관찰하여, 발포의 상태를 하기의 판정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발포 시험 A에 의한 발포의 상태의 판정 기준]
5매의 합판 유리에 발생한 발포를 타원으로 근사하여, 그의 타원 면적을 발포 면적으로 하였다. 5매의 합판 유리에서 관찰된 타원 면적의 평균값을 구하여, 합판 유리의 면적(30 cm×15 cm)에 대한 타원 면적의 평균값(발포 면적)의 비율(백분율)을 구하였다.
○○: 5매 모두의 합판 유리에 발포가 관찰되지 않음
○: 타원 면적의 평균값(발포 면적)의 비율이 5 % 미만임
△: 타원 면적의 평균값(발포 면적)의 비율이 5 % 이상 10 % 미만임
×: 타원 면적의 평균값(발포 면적)의 비율이 10 % 이상임
(3) 발포 시험 B(발포의 상태)
발포 시험 B에 사용하는 합판 유리를 각 다층 중간막에 대하여 30매 제작하고, 50 ℃의 오븐 내에 24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방치 후의 합판 유리에 있어서, 육안으로 발포가 관찰된 합판 유리의 매수를 확인하였다.
(4) 내관통성
내관통성 시험에 사용하는 합판 유리(세로 300 mm×가로 300 mm)를 표면 온도가 23 ℃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이어서, JIS R3212에 준거하여, 4 m의 높이로부터 6매의 합판 유리에 대하여 각각 질량 2260 g 및 직경 82 mm의 강구(剛球)를 합판 유리의 중심 부분에 낙하시켰다. 6매의 합판 유리 전부에 대하여, 강구가 충돌한 후 5초 이내에 강구가 관통하지 않은 경우를 합격으로 하였다. 강구가 충돌한 후 5초 이내에 강구가 관통하지 않은 합판 유리가 3매 이하인 경우는 불합격으로 하였다. 4매인 경우에는, 새롭게 6매의 합판 유리의 내관통성을 평가하였다. 5매인 경우에는 새롭게 1매의 합판 유리를 추가 시험하고, 강구가 충돌한 후 5초 이내에 강구가 관통하지 않은 경우를 합격으로 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5 m 및 6 m의 높이로부터 6매의 합판 유리에 대하여 각각 질량 2260 g 및 직경 82 mm의 강구를 합판 유리의 중심 부분에 낙하시켜, 합판 유리의 내관통성을 평가하였다.
(5) 블리딩 아웃의 평가
얻어진 중간막의 표면에, 적색의 유성 매직으로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각각 길이 10 cm의 2개의 선을 그려 마킹하였다. 마킹된 중간막을 주면이 연직 방향과 평행한 평면 내에 위치하도록 놓았다. 이것을 23 ℃ 및 상대 습도 28 %의 항온 항습 조건으로 1개월간 방치하였다. 방치 후의 중간막에 있어서, 유성 매직의 번짐 및 늘어짐이 4개의 어떠한 선에서도 관측되지 않은 경우를 합격 「○」로 하고, 4개의 선 중 적어도 1개의 선에서 관측된 경우를 불합격 「×」로 하였다.
(6) 광학 왜곡의 평가
광학 왜곡의 평가에 사용하는 합판 유리(세로 30 cm×가로 30 cm)에 광원(할로겐 램프)으로부터 슬릿을 투과시킨 광을 조사하고, 스크린에 찍힌 투영 왜곡을 센서(카메라)로 수신하고, 컴퓨터로 데이터 처리를 행하여 광학 왜곡값으로 하였다. 광학 왜곡값이 1.8 이하인 경우를 합격 「○」, 1.8을 초과하는 경우를 불합격 「×」으로 하였다. 광학 왜곡값이 높을수록 광학 왜곡(상의 왜곡)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결과를 하기의 표 1 내지 2에 나타낸다. 하기 표 1 내지 2에 있어서, 가소제의 종류로서의 3GO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를 나타내고, 3GH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1…중간막
2…제1층
2a…한쪽면
2b…다른쪽면
3…제2층
3a…외측의 표면
4…제3층
4a…외측의 표면
11…합판 유리
12…제1 합판 유리 구성 부재
13…제2 합판 유리 구성 부재

Claims (20)

  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함유하는 제1층과,
    상기 제1층의 한쪽면에 적층되어 있으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함유하는 제2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50 중량부 이상이고,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낮고,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9.2 몰% 이하이고,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8.5 몰%를 초과하고 9.2 몰%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 이하인 합판 유리용 중간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9.2 몰% 이하이고,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8.5 몰%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를 초과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 이하, 수산기의 함유율이 31.5 몰% 미만인 합판 유리용 중간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 이하, 아세탈화도가 68 몰% 이상인 합판 유리용 중간막.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31.5 몰% 미만, 아세탈화도가 68 몰% 이상인 합판 유리용 중간막.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8.5 몰%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를 초과하고 20 몰% 미만인 합판 유리용 중간막.
  7.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8.5 몰%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를 초과하고 아세탈화도가 52.5 몰% 이상인 합판 유리용 중간막.
  8.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8.5 몰%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를 초과하고 수산기의 함유율이 28 몰% 이하인 합판 유리용 중간막.
  9.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중합도가 1700을 초과하고 3000 이하인 폴리비닐알코올을 아세탈화함으로써 얻어지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합판 유리용 중간막.
  10.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33 몰% 이하인 합판 유리용 중간막.
  11.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보다 많은 합판 유리용 중간막.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보다 20 중량부 이상 많은 합판 유리용 중간막.
  13.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8.5 몰% 이하인 합판 유리용 중간막.
  14.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다른쪽면에 적층되어 있으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함유하는 제3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제3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낮고,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3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9.2 몰% 이하이고,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3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8.5 몰%를 초과하고 9.2 몰%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 이하인 합판 유리용 중간막.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3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9.2 몰% 이하이고,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3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가 8.5 몰%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8 몰%를 초과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31.5 몰% 미만, 아세탈화도가 68 몰% 이상인 합판 유리용 중간막.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층 중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33 몰% 이하인 합판 유리용 중간막.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제2, 제3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의 각 함유량보다 많은 합판 유리용 중간막.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층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 각각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층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가소제로서 각각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20. 제1, 제2 합판 유리 구성 부재와,
    상기 제1, 제2 합판 유리 구성 부재 사이에 끼워진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막이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인 합판 유리.
KR1020127016225A 2009-12-25 2010-12-24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KR101783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94970 2009-12-25
JPJP-P-2009-294970 2009-12-25
PCT/JP2010/073302 WO2011078314A1 (ja) 2009-12-25 2010-12-24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821A Division KR101880410B1 (ko) 2009-12-25 2010-12-24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010A true KR20120105010A (ko) 2012-09-24
KR101783496B1 KR101783496B1 (ko) 2017-09-29

Family

ID=4419583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225A KR101783496B1 (ko) 2009-12-25 2010-12-24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KR1020187019966A KR102005689B1 (ko) 2009-12-25 2010-12-24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KR1020177026821A KR101880410B1 (ko) 2009-12-25 2010-12-24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966A KR102005689B1 (ko) 2009-12-25 2010-12-24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KR1020177026821A KR101880410B1 (ko) 2009-12-25 2010-12-24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28856B2 (ko)
EP (2) EP2518032B1 (ko)
JP (6) JP4789025B2 (ko)
KR (3) KR101783496B1 (ko)
CN (2) CN102666420B (ko)
WO (1) WO201107831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579A (ko) * 2014-03-31 2016-12-07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 및 접합 유리
KR20170132760A (ko) * 2015-03-31 2017-12-04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180013521A (ko) * 2016-07-29 2018-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합판 유리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180061188A (ko) * 2015-09-30 2018-06-07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190137303A (ko) * 2018-06-01 2019-12-11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유리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접합유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66420B (zh) * 2009-12-25 2014-12-31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US20130149503A1 (en) * 2010-09-01 2013-06-13 Satoru Yamamoto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CN106079752B (zh) * 2010-09-30 2018-01-02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WO2012043818A1 (ja) * 2010-09-30 2012-04-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CN103459345B (zh) * 2011-02-10 2016-06-15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EP2548729A1 (de) * 2011-07-22 2013-01-23 Kuraray Europe GmbH Folien aus weichmacherhaltigem Polyvinyl(iso)acetal
EP2548728A1 (de) 2011-07-22 2013-01-23 Kuraray Europe GmbH Folienlaminate mit Dämpfungseigenschaften enthaltend eine Teilschicht aus weichmacherhaltigem Polyvinyl(iso)acetal
EP2548727A1 (de) 2011-07-22 2013-01-23 Kuraray Europe GmbH Hochfeste Folienlaminate mit Schichten von weichmacherhaltigem Polyvinyl(n)acetal und weichmacherhaltigem Polyvinyl(iso)acetal
CN103748053B (zh) * 2012-01-13 2017-04-26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US10414130B2 (en) 2012-07-31 2019-09-17 Sekisui Chemical Co., Ltd. Laminated glass and method of mounting laminated glass
JP5632077B1 (ja) 2013-03-22 2014-11-26 株式会社クラレ 透明性に優れる組成物
WO2014147842A1 (ja) 2013-03-22 2014-09-25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組成物
US10323143B2 (en) 2013-03-22 2019-06-18 Kuraray Co., Ltd. Polyvinyl acetal composition
WO2014188544A1 (ja) * 2013-05-22 2014-11-27 株式会社クラレ 遮音性に優れる積層体
JP5465812B1 (ja) * 2013-05-22 2014-04-09 株式会社クラレ 多層中間膜
WO2014188542A1 (ja) * 2013-05-22 2014-11-27 株式会社クラレ 層間接着性に優れる積層体
KR20160013935A (ko) * 2013-05-22 2016-02-05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적층체
US9254625B2 (en) 2013-06-10 2016-02-09 Solutia Inc. Polymer interlayers having improved optical properties
JP5855765B2 (ja) * 2013-09-30 2016-02-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CN105189400B (zh) * 2013-09-30 2018-06-08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CN105008304A (zh) * 2013-09-30 2015-10-28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JP6033753B2 (ja) * 2013-10-21 2016-11-30 株式会社クラレ 層間接着性に優れる積層体
JP6033754B2 (ja) * 2013-10-21 2016-11-30 株式会社クラレ 多層中間膜
US10016959B2 (en) 2013-10-25 2018-07-10 Kuraray Co., Ltd. Multilayer film and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therefrom
FR3013631B1 (fr) * 2013-11-27 2017-04-28 Saint Gobain Intercalaire plastique viscoelastique pour un amortissement vibro-acoustique et vitrage comprenant un tel intercalaire
EP2905128A1 (de) * 2014-02-05 2015-08-12 Kuraray Europe GmbH Verbundglaslaminate mit Wärmestrahlung abschirmenden Eigenschaften auf Basis von dünnen Folien aus weichmacherfreiem Polyvinylacetal
EP2905127A1 (de) 2014-02-05 2015-08-12 Kuraray Europ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bundglaslaminaten aus einem Schichtkörper enthaltend eine weichmacherhaltige und eine weichmacherarme Polyvinylacetalfolie
CN105939980B (zh) * 2014-03-28 2019-03-22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CN105934736A (zh) * 2014-04-03 2016-09-07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触控面板用层间填充材料及层叠体
US10252500B2 (en) 2014-10-02 2019-04-09 Solutia Inc. Multiple layer interlayer resisting defect formation
US9809010B2 (en) 2014-10-15 2017-11-07 Solutia Inc. Multilayer interlayer having sound damping properties over a broad temperature range
US9975315B2 (en) 2014-12-08 2018-05-22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9925746B2 (en) 2014-12-08 2018-03-27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9809009B2 (en) 2014-12-08 2017-11-07 Solutia Inc. Multiple layer interlayer having improved optical and sound insulation properties
US9586386B2 (en) 2014-12-08 2017-03-07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9573329B2 (en) * 2014-12-08 2017-02-21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9586387B2 (en) 2014-12-08 2017-03-07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9809695B2 (en) 2014-12-08 2017-11-07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9809006B2 (en) 2014-12-08 2017-11-07 Solutia Inc. Polymer interlayers having improved sound insulation properties
US10354636B2 (en) 2014-12-08 2019-07-16 Solutia Inc. Polymer interlayers having improved sound insulation properties
US10553193B2 (en) 2014-12-08 2020-02-04 Solutia Inc. Polymer interlayers having improved sound insulation properties
US9815976B2 (en) 2014-12-08 2017-11-14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9522517B2 (en) 2014-12-08 2016-12-20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9884957B2 (en) 2014-12-08 2018-02-06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WO2017043624A1 (ja) 2015-09-11 2017-03-1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EP3412450B1 (en) * 2016-02-05 2021-05-12 Kuraray Co., Ltd. Laminate
EP3412639A4 (en) * 2016-02-05 2019-09-25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EP3804667A1 (en) 2016-03-08 2021-04-14 Mitsui Chemicals, Inc. Mouthpiece, sheet for production of mouthpiece unit, and production method of mouthpiece
KR101924555B1 (ko) * 2016-03-22 2018-12-0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다층 폴리비닐아세탈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
US10737470B2 (en) 2016-06-21 2020-08-11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and multiple layer panels made therefrom exhibiting enhanced properties and performance
US10668691B2 (en) 2016-06-21 2020-06-02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and multiple layer panels made therefrom exhibiting enhanced properties and performance
US10926516B2 (en) 2016-06-21 2021-02-23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and multiple layer panels made therefrom exhibiting enhanced properties and performance
US10589495B2 (en) 2016-06-21 2020-03-17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and multiple layer panels made therefrom exhibiting enhanced properties and performance
US10611906B2 (en) 2016-06-21 2020-04-07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and multiple layer panels made therefrom exhibiting enhanced properties and performance
KR20190065310A (ko) 2016-10-28 2019-06-11 쿠라레이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쐐기형 다층 중간층 및 유리 라미네이트
US11433650B2 (en) * 2017-03-30 2022-09-06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es, and laminated glass
WO2019038043A1 (en) * 2017-08-25 2019-02-28 Kuraray Europe Gmbh LAMINATED GLASS COMPRISING INTERLAYER FILM LAYERS WITH PIGMENTED FRAME
KR20190027102A (ko) 2017-09-06 2019-03-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dc-dc 컨버터의 제어 방법
CN110418713B (zh) * 2018-02-28 2022-11-25 法国圣戈班玻璃厂 制造包含具有可电控光学性能的功能元件的复合玻璃板的方法
KR102077907B1 (ko) * 2018-03-30 2020-02-1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다층차음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접합유리
KR102097205B1 (ko) * 2018-05-08 2020-04-0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합용 중간막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0654A (en) * 1992-04-23 1994-08-23 Sekisu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JP2703471B2 (ja) * 1992-04-23 1998-01-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H06135748A (ja) * 1992-10-28 1994-05-17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それを用いた合わせガラス
JPH07247139A (ja) * 1994-03-15 1995-09-26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3763926B2 (ja) * 1996-05-07 2006-04-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これを用いた合わせガラス
JP2000191348A (ja) 1998-12-25 2000-07-11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4339457B2 (ja) * 1999-08-10 2009-10-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2001226153A (ja) * 1999-12-08 2001-08-21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並びに合わせ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DE60140184D1 (de) * 2000-03-02 2009-11-26 Sekisui Chemical Co Ltd Zwischenschicht-film für laminiertes glass und laminiertes glass
JP4076730B2 (ja) * 2000-03-02 2008-04-1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01261383A (ja) * 2000-03-14 2001-09-26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03252657A (ja) * 2002-02-27 2003-09-10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US7510771B2 (en) * 2005-03-17 2009-03-31 Solutia Incorporated Sound reducing polymer interlayers
JP2007070200A (ja) 2005-09-09 2007-03-22 Asahi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
JP5230905B2 (ja) * 2006-03-23 2013-07-1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それを用いた合わせ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4465333B2 (ja) * 2006-06-12 2010-05-1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4465334B2 (ja) * 2006-06-13 2010-05-1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08222513A (ja) * 2007-03-14 2008-09-25 Nippon Sheet Glass Co Ltd 導電膜を有する合わせガラス、および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BRPI0907441B1 (pt) * 2008-01-23 2020-02-04 Agc Inc película de intercamada para vidro laminado e vidro laminado
JP5317966B2 (ja) * 2008-03-31 2013-10-1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及び、酸化亜鉛微粒子分散液
JP5112169B2 (ja) * 2008-05-27 2013-01-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熱線遮蔽膜、及びこれを用いた熱線遮蔽性合わせガラス
EP2153989B1 (de) * 2008-08-01 2021-09-29 Kuraray Europe GmbH Mehrschichtfolien aus weichmacherhaltigem Polyvinylacetal mit schalldämpfenden Eigenschaften
CN102666420B (zh) * 2009-12-25 2014-12-31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579A (ko) * 2014-03-31 2016-12-07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 및 접합 유리
KR20170132760A (ko) * 2015-03-31 2017-12-04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180061188A (ko) * 2015-09-30 2018-06-07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US10913244B2 (en) 2015-09-30 2021-02-09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KR20180013521A (ko) * 2016-07-29 2018-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합판 유리용 수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합판 유리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190137303A (ko) * 2018-06-01 2019-12-11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유리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접합유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75483B2 (ja) 2017-08-02
JP2016117645A (ja) 2016-06-30
JP2011225449A (ja) 2011-11-10
JP6145183B2 (ja) 2017-06-07
JP4789025B2 (ja) 2011-10-05
EP2980035A1 (en) 2016-02-03
KR101880410B1 (ko) 2018-07-19
EP2980035B1 (en) 2021-02-10
CN104529193B (zh) 2017-12-19
WO2011078314A1 (ja) 2011-06-30
KR102005689B1 (ko) 2019-07-30
EP2518032B1 (en) 2017-11-29
KR20180083446A (ko) 2018-07-20
US20120288722A1 (en) 2012-11-15
JP2016104694A (ja) 2016-06-09
EP2518032A4 (en) 2014-04-30
JP5865451B2 (ja) 2016-02-17
CN102666420B (zh) 2014-12-31
JP2015038020A (ja) 2015-02-26
JP2017214278A (ja) 2017-12-07
KR20170113696A (ko) 2017-10-12
JPWO2011078314A1 (ja) 2013-05-09
CN102666420A (zh) 2012-09-12
JP5933939B2 (ja) 2016-06-15
JP6416337B2 (ja) 2018-10-31
CN104529193A (zh) 2015-04-22
KR101783496B1 (ko) 2017-09-29
EP2518032A1 (en) 2012-10-31
US8628856B2 (en) 2014-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6337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6462097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6275775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5749095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20120105011A (ko) 합판 유리용 중간막, 합판 유리용 다층 중간막 및 합판 유리
JP2013006727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3001613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3006728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15046585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5717522B2 (ja) 合わせガラス用多層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5129078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6533599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6286007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5147729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用多層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