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1120A - 신규 아조메틴 올리고머 - Google Patents
신규 아조메틴 올리고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01120A KR20120101120A KR1020127017989A KR20127017989A KR20120101120A KR 20120101120 A KR20120101120 A KR 20120101120A KR 1020127017989 A KR1020127017989 A KR 1020127017989A KR 20127017989 A KR20127017989 A KR 20127017989A KR 20120101120 A KR20120101120 A KR 201201011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
- azomethine
- formula
- azomethine oligomer
- aromatic
- Prior art date
Links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4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125000003277 amino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125000001424 substituent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125000003172 aldehyde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125000002993 cycloalk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125000004430 oxygen atom Chemical group O*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125000004434 sulfur atom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ARXJGSRGQADJSQ-UHFFFAOYSA-N 1-methoxypropan-2-ol Chemical compound COCC(C)O ARXJGSRGQADJSQ-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LPEKGGXMPWTOCB-UHFFFAOYSA-N 8beta-(2,3-epoxy-2-methylbutyryloxy)-14-acetoxytithifolin Natural products COC(=O)C(C)O LPEKGGXMPWTOCB-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ODQWQRRAPPTVAG-GZTJUZNOSA-N doxepin Chemical compound C1OC2=CC=CC=C2C(=C/CCN(C)C)/C2=CC=CC=C21 ODQWQRRAPPTVAG-GZTJUZNO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40057867 methyl lactate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125000001183 hydrocarb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9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group [H]* 0.000 claims description 145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18
- 125000005843 halogen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97
- WYURNTSHIVDZCO-UHFFFAOYSA-N Tetrahydrofuran Chemical compound C1CCOC1 WYURNTSHIVDZC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0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claims description 56
- RTZKZFJDLAIYFH-UHFFFAOYSA-N ether Substances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6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2
- 125000000217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YMWUJEATGCHHMB-UHFFFAOYSA-N Di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 YMWUJEATGCHHMB-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JUJWROOIHBZHMG-UHFFFAOYSA-N Pyridine Chemical compound C1=CC=NC=C1 JUJWROOIHBZHM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SECXISVLQFMRJM-UHFFFAOYSA-N N-Methylpyrrolidone Chemical compound CN1CCCC1=O SECXISVLQFMR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BGTOWKSIORTVQH-UHFFFAOYSA-N cyclopentanone Chemical compound O=C1CCCC1 BGTOWKSIORTVQ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ZWEHNKRNPOVVGH-UHFFFAOYSA-N 2-Butanone Chemical compound CCC(C)=O ZWEHNKRNPOVVG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MVPPADPHJFYWMZ-UHFFFAOYSA-N chlorobenzene Chemical compound ClC1=CC=CC=C1 MVPPADPHJFYWM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25000003178 carboxy group Chemical group [H]OC(*)=O 0.000 claims description 10
- ZMANZCXQSJIPKH-UHFFFAOYSA-N Triethylamine Chemical compound CCN(CC)CC ZMANZCXQSJIPK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125000002947 alk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9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BDAGIHXWWSANSR-UHFFFAOYSA-N methanoic acid Natural products OC=O BDAGIHXWWSANS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9257 reacti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SKTCDJAMAYNROS-UHFFFAOYSA-N methoxycyclopentane Chemical compound COC1CCCC1 SKTCDJAMAYNRO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UMJSCPRVCHMLSP-UHFFFAOYSA-N pyridine Natural products COC1=CC=CN=C1 UMJSCPRVCHMLS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DKGAVHZHDRPRBM-UHFFFAOYSA-N Tert-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DKGAVHZHDRPRB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JQVDAXLFBXTEQA-UHFFFAOYSA-N dibutylamine Chemical compound CCCCNCCCC JQVDAXLFBXTEQ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VZGDMQKNWNREIO-UHFFFAOYSA-N tetra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Cl)Cl VZGDMQKNWNREI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DKPFZGUDAPQIHT-UHFFFAOYSA-N Butyl acetate Natural products CCCCOC(C)=O DKPFZGUDAPQIH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FUZZWVXGSFPDMH-UHFFFAOYSA-N hex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O)=O FUZZWVXGSFPDM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OSWFIVFLDKOXQC-UHFFFAOYSA-N 4-(3-methoxyphenyl)anili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2C=CC(N)=CC=2)=C1 OSWFIVFLDKOXQC-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1054 acet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30003836 cresol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9253 form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NTIZESTWPVYFNL-UHFFFAOYSA-N Methyl isobutyl ketone Chemical compound CC(C)CC(C)=O NTIZESTWPVYFN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AMQJEAYHLZJPGS-UHFFFAOYSA-N N-Pentanol Chemical compound CCCCCO AMQJEAYHLZJPG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QGJOPFRUJISHPQ-NJFSPNSNSA-N carbon disulfide-14c Chemical compound S=[14C]=S QGJOPFRUJISHPQ-NJFSPNSN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6184 co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1167 hydrochlor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WVDDGKGOMKODPV-ZQBYOMGUSA-N phenyl(114C)methanol Chemical compound O[14CH2]C1=CC=CC=C1 WVDDGKGOMKODPV-ZQBYOMGU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0853 cresyl group Chemical group C1(=CC=C(C=C1)C)*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WGCNASOHLSPBMP-UHFFFAOYSA-N hydroxyacetaldehyde Natural products OCC=O WGCNASOHLSPBM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3759 ester based solv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5456 alcohol based solv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0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11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0
- RLSSMJSEOOYNOY-UHFFFAOYSA-N m-cresol Chemical compound CC1=CC=CC(O)=C1 RLSSMJSEOOYN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8
- WEVYAHXRMPXWCK-UHFFFAOYSA-N Acetonitrile Chemical compound CC#N WEVYAHXRMPXWC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4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2
- 230000008025 crystal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4
- 125000003545 alk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75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4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0
- 238000004992 fast atom bombardment mass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50
- 230000004807 loc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9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9
- 125000004209 (C1-C8)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40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9
- 229920000343 polyazometh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7
- 0 C*(C)C1=CC=C2C1=CC=C(*)C=C2 Chemical compound C*(C)C1=CC=C2C1=CC=C(*)C=C2 0.000 description 24
- HUMNYLRZRPPJDN-UHFFFAOYSA-N benzaldehyde Chemical compound O=CC1=CC=CC=C1 HUMNYLRZRPPJD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1
- 150000002672 m-cres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0
- IJGRMHOSHXDMSA-UHFFFAOYSA-N nitrogen Substances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9
- QJGQUHMNIGDVPM-UHFFFAOYSA-N nitrogen group Chemical group [N] QJGQUHMNIGDVP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9
- VATYWCRQDJIRAI-UHFFFAOYSA-N p-aminobenzaldehyde Chemical compound NC1=CC=C(C=O)C=C1 VATYWCRQDJIRA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8
- ZNZYKNKBJPZETN-WELNAUFTSA-N Dialdehyde 11678 Chemical compound N1C2=CC=CC=C2C2=C1[C@H](C[C@H](/C(=C/O)C(=O)OC)[C@@H](C=C)C=O)NCC2 ZNZYKNKBJPZETN-WELNAUFTSA-N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3
- 125000001997 phen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C([H])=C1[H] 0.000 description 13
- UHOVQNZJYSORNB-UHFFFAOYSA-N 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UHOVQNZJYSOR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125000000623 hetero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2
- QNGNSVIICDLXHT-UHFFFAOYSA-N para-ethylbenzaldehyde Natural products CCC1=CC=C(C=O)C=C1 QNGNSVIICDLXH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PAYRUJLWNCNPSJ-UHFFFAOYSA-N Aniline Chemical compound NC1=CC=CC=C1 PAYRUJLWNCNPS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LCGLNKUTAGEVQW-UHFFFAOYSA-N Dim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OC LCGLNKUTAGEVQ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JFDZBHWFFUWGJE-UHFFFAOYSA-N benzonitrile Chemical compound N#CC1=CC=CC=C1 JFDZBHWFFUWGJ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KUCOHFSKRZZVRO-UHFFFAOYSA-N terephthalaldehyde Chemical compound O=CC1=CC=C(C=O)C=C1 KUCOHFSKRZZV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JCEZOHLWDIONSP-UHFFFAOYSA-N 3-[2-[2-(3-aminopropoxy)ethoxy]ethoxy]propan-1-amine Chemical compound NCCCOCCOCCOCCCN JCEZOHLWDIONS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ZMXDDKWLCZADIW-UHFFFAOYSA-N N,N-Dimethylformamide Chemical compound CN(C)C=O ZMXDDKWLCZADI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125000006732 (C1-C15)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7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QPFMBZIOSGYJDE-UHFFFAOYSA-N 1,1,2,2-tetrachloro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C(Cl)Cl QPFMBZIOSGYJD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849 aromat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555 catalytic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CBCKQZAAMUWICA-UHFFFAOYSA-N 1,4-phenylenediamine Chemical compound NC1=CC=C(N)C=C1 CBCKQZAAMUWIC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547 conjugated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5
- 125000005842 heteroatom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5
- PWGJDPKCLMLPJW-UHFFFAOYSA-N 1,8-diaminooctane Chemical compound NCCCCCCCCN PWGJDPKCLMLPJ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QJXCFMJTJYCLFG-UHFFFAOYSA-N 2,3,4,5,6-pentafluorobenzaldehyde Chemical compound FC1=C(F)C(F)=C(C=O)C(F)=C1F QJXCFMJTJYCL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4985 di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ZUOUZKKEUPVFJK-UHFFFAOYSA-N diphenyl Chemical compound C1=CC=CC=C1C1=CC=CC=C1 ZUOUZKKEUPVFJ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NIHNNTQXNPWCJQ-UHFFFAOYSA-N fluorene Chemical compound C1=CC=C2CC3=CC=CC=C3C2=C1 NIHNNTQXNPWCJ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2367 haloge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RHEAZRNOBUGZRX-UHFFFAOYSA-N 3-hexylthiophene-2,5-dicarbaldehyde Chemical compound CCCCCCC=1C=C(C=O)SC=1C=O RHEAZRNOBUGZR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CFRFHWQYWJMEJN-UHFFFAOYSA-N 9h-fluoren-2-amine Chemical compound C1=CC=C2C3=CC=C(N)C=C3CC2=C1 CFRFHWQYWJMEJ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ROFVEXUMMXZLPA-UHFFFAOYSA-N Bipyridyl Chemical compound N1=CC=CC=C1C1=CC=CC=N1 ROFVEXUMMXZLP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AHVYPIQETPWLSZ-UHFFFAOYSA-N N-methyl-pyrrolidine Natural products CN1CC=CC1 AHVYPIQETPWLS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CTQNGGLPUBDAKN-UHFFFAOYSA-N O-Xyl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C CTQNGGLPUBDA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DGEZNRSVGBDHLK-UHFFFAOYSA-N [1,10]phenanthroline Chemical compound C1=CN=C2C3=NC=CC=C3C=CC2=C1 DGEZNRSVGBDHL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810 chemical reaction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QFTYSVGGYOXFRQ-UHFFFAOYSA-N dodecane-1,12-diamine Chemical compound NCCCCCCCCCCCCN QFTYSVGGYOXFR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210 ether bas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453 ketone bas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301 poly(3-hexylthiophene-2,5-di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484 reaction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28 spin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096 x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KWKAKUADMBZCLK-UHFFFAOYSA-N 1-octene Chemical group CCCCCCC=C KWKAKUADMBZCL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XSFECAJUBPPFE-UHFFFAOYSA-N 2,2':5',2''-terthiophene Chemical compound C1=CSC(C=2SC(=CC=2)C=2SC=CC=2)=C1 KXSFECAJUBPPF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CZNKVPCIFMXEQ-UHFFFAOYSA-N 2,3,5,6-tetramethylbenzene-1,4-di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N)=C(C)C(C)=C1N WCZNKVPCIFMX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TWJRLJHJPIABL-UHFFFAOYSA-N 2-methylphenol;3-methylphenol;4-methylphenol Chemical compound CC1=CC=C(O)C=C1.CC1=CC=CC(O)=C1.CC1=CC=CC=C1O QTWJRLJHJPIAB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SDBWOPVZKNQDW-UHFFFAOYSA-N 4-phenylbenzaldehyde Chemical compound C1=CC(C=O)=CC=C1C1=CC=CC=C1 ISDBWOPVZKNQD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SNCJAJRILVFXAE-UHFFFAOYSA-N 9h-fluorene-2,7-diamine Chemical compound NC1=CC=C2C3=CC=C(N)C=C3CC2=C1 SNCJAJRILVFXA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GSNUFIFRDBKVIE-UHFFFAOYSA-N DMF Natural products CC1=CC=C(C)O1 GSNUFIFRDBKVI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 LED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CSNNHWWHGAXBCP-UHFFFAOYSA-L Magnes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Mg+2].[O-][S+2]([O-])([O-])[O-] CSNNHWWHGAXBC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UFWIBTONFRDIAS-UHFFFAOYSA-N Naphthalene Chemical compound C1=CC=CC2=CC=CC=C21 UFWIBTONFRDIA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QRYJNQNLNOLGT-UHFFFAOYSA-N Piperidine Chemical compound C1CCNCC1 NQRYJNQNLNOLG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862 absorption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259 add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MWPLVEDNUUSJAV-UHFFFAOYSA-N anthracene Chemical compound C1=CC=CC2=CC3=CC=CC=C3C=C21 MWPLVEDNUUSJA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05 bipheny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290 bipheny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4 b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1615 conju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ZNWNWEHQFXOPGK-UHFFFAOYSA-N decanedial Chemical compound O=CCCCCCCCCC=O ZNWNWEHQFXOPG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BDQKXXYIPTUBI-UHFFFAOYSA-N dimethylselenoniopropionate Natural products CCC(O)=O XBDQKXXYIPTU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618 dip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5678 ethenylene group Chemical group [H]C([*:1])=C([H])[*:2] 0.000 description 2
- JBTWLSYIZRCDFO-UHFFFAOYSA-N ethyl 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 JBTWLSYIZRCD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WBOPFCKHIJFMS-UHFFFAOYSA-N ethylene glycol bis(2-amino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NCCOCCOCCN IWBOPFCKHIJFM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717 m-cres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O*)=C([H])C(=C1[H])C([H])([H])[H]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21 macromolecul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80 one po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843 phenylene group Chemical group C1(=C(C=CC=C1)*)* 0.000 description 2
- NVPICXQHSYQKGM-UHFFFAOYSA-N piperidine-1-carbonitrile Chemical compound N#CN1CCCCC1 NVPICXQHSYQKG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1 sele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40 vapo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21 water soluble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837 (C1-C20)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91 (C1-C6) alk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69 (C1-C6)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MIOPJNTWMNEORI-GMSGAONNSA-N (S)-camphor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2(CS(O)(=O)=O)C(=O)C[C@@H]1C2(C)C MIOPJNTWMNEORI-GMSGAONNSA-N 0.000 description 1
- KJCVRFUGPWSIIH-UHFFFAOYSA-N 1-naphthol Chemical compound C1=CC=C2C(O)=CC=CC2=C1 KJCVRFUGPWSII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WBBPBRQALCEIZ-UHFFFAOYSA-N 2,3-dimethylphenol Chemical compound CC1=CC=CC(O)=C1C QWBBPBRQALCEI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EDHEMYZURJGRQ-UHFFFAOYSA-N 3-hexylthiophene Chemical compound CCCCCCC=1C=CSC=1 JEDHEMYZURJGR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EHLIYXNTWAEBQ-UHFFFAOYSA-N 4-(4-formylphenyl)benzaldehyde Chemical compound C1=CC(C=O)=CC=C1C1=CC=C(C=O)C=C1 FEHLIYXNTWAEB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GSBHTZEJMPDSZ-UHFFFAOYSA-N 4-[(4-amino-3-methylcyclohexyl)methyl]-2-methylcyclohexan-1-amine Chemical compound C1CC(N)C(C)CC1CC1CC(C)C(N)CC1 IGSBHTZEJMPDS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ZIHTWJGPDVSGE-UHFFFAOYSA-N 4-[(4-aminocyclohexyl)methyl]cyclohexan-1-amine Chemical compound C1CC(N)CCC1CC1CCC(N)CC1 DZIHTWJGPDVSG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XEUETBFKVCRNP-UHFFFAOYSA-N 9-ethyl-3-carbazolamine Chemical compound NC1=CC=C2N(CC)C3=CC=CC=C3C2=C1 OXEUETBFKVCR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KBOTKDWSSQWDR-UHFFFAOYSA-N Bromine atom Chemical group [Br] WKBOTKDWSSQWD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TEXMWLRRVGJTJ-UHFFFAOYSA-N C(C(O)C)(=O)OC.C(C)(=O)OCCCC Chemical compound C(C(O)C)(=O)OC.C(C)(=O)OCCCC ZTEXMWLRRVGJT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ZNNCYUFQMFSTE-RLJCTPROSA-N C(C/N=C/C(CC1)=CC=C1c(cc1)ccc1Nc1ccccc1)COCCOCCOCCC/N=C/c(cc1)ccc1-c(cc1)ccc1Nc1ccccc1 Chemical compound C(C/N=C/C(CC1)=CC=C1c(cc1)ccc1Nc1ccccc1)COCCOCCOCCC/N=C/c(cc1)ccc1-c(cc1)ccc1Nc1ccccc1 UZNNCYUFQMFSTE-RLJCTPROSA-N 0.000 description 1
- NJDAKPSGGCUBSO-HNQUOIGGSA-N C(CCCNc(cc1)ccc1Nc1ccccc1)CC/C=C/CCCCNc(cc1)ccc1Nc1ccccc1 Chemical compound C(CCCNc(cc1)ccc1Nc1ccccc1)CC/C=C/CCCCNc(cc1)ccc1Nc1ccccc1 NJDAKPSGGCUBSO-HNQUOIGGSA-N 0.000 description 1
- QNHTVIWWOZNINC-YWEYNIOJSA-N C/C=C(/c1ccc(C)[s]1)\S[I]=C Chemical compound C/C=C(/c1ccc(C)[s]1)\S[I]=C QNHTVIWWOZNINC-YWEYNIOJSA-N 0.000 description 1
- GAWAIRYVDVBWDN-BAQGIRSFSA-N C/C=C\[XeH]=C(/C=C)\C1=CC=CC=[XeH]1 Chemical compound C/C=C\[XeH]=C(/C=C)\C1=CC=CC=[XeH]1 GAWAIRYVDVBWDN-BAQGIRSFSA-N 0.000 description 1
- XMWRBQBLMFGWIX-UHFFFAOYSA-N C60 fullerene Chemical compound C12=C3C(C4=C56)=C7C8=C5C5=C9C%10=C6C6=C4C1=C1C4=C6C6=C%10C%10=C9C9=C%11C5=C8C5=C8C7=C3C3=C7C2=C1C1=C2C4=C6C4=C%10C6=C9C9=C%11C5=C5C8=C3C3=C7C1=C1C2=C4C6=C2C9=C5C3=C12 XMWRBQBLMFGWI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LNOISGUHYAJSV-UHFFFAOYSA-N C=Cc1ccc(C(N)=C)[nH]1 Chemical compound C=Cc1ccc(C(N)=C)[nH]1 CLNOISGUHYAJS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JZRMWRQXMDVAX-UHFFFAOYSA-N CC(C(CC1)N)C=C1N(C)CCCOCCOCCOCCCN Chemical compound CC(C(CC1)N)C=C1N(C)CCCOCCOCCOCCCN YJZRMWRQXMDVA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KOZVRRHEIEQOV-UHFFFAOYSA-N CC(C)(C)c(cc1)cc2c1c(cccc1)c1cc2 Chemical compound CC(C)(C)c(cc1)cc2c1c(cccc1)c1cc2 OKOZVRRHEIEQO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RUNYHILXWLLFC-UHFFFAOYSA-N CC(C)(C)c1cc2cc(cc3[s]ccc3c3)c3cc2[s]1 Chemical compound CC(C)(C)c1cc2cc(cc3[s]ccc3c3)c3cc2[s]1 XRUNYHILXWLLF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BPXZSIKOVBSAS-UHFFFAOYSA-N CC(C)(C)c1cc2cc3ccccc3cc2cc1 Chemical compound CC(C)(C)c1cc2cc3ccccc3cc2cc1 WBPXZSIKOVBSA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PLGZANLVHBDCC-UHFFFAOYSA-N CC(C)(C)c1cccc2c1cccc2 Chemical compound CC(C)(C)c1cccc2c1cccc2 SPLGZANLVHBD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EXNTAFMVQAGHV-UHFFFAOYSA-N CC(C)(C)c1ccnc(-c2ncccc2)c1 Chemical compound CC(C)(C)c1ccnc(-c2ncccc2)c1 OEXNTAFMVQAG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GZGRTQBEVHVEP-UHFFFAOYSA-N CC(C)(C)c1cnc2c3ncccc3ccc2c1 Chemical compound CC(C)(C)c1cnc2c3ncccc3ccc2c1 GGZGRTQBEVHV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DPHTAZRJVORHT-ZHACJKMWSA-N CCC(C)(C)C1=CCC(/C=C/c2ccccc2)C=C1 Chemical compound CCC(C)(C)C1=CCC(/C=C/c2ccccc2)C=C1 VDPHTAZRJVORHT-ZHACJKMWSA-N 0.000 description 1
- ILNKTAQKKBHWLL-UHFFFAOYSA-N CCN(C1C=CC(N)=CC11)c2c1cccc2 Chemical compound CCN(C1C=CC(N)=CC11)c2c1cccc2 ILNKTAQKKBHWL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HTJPDPVQRMRRV-KRFJRMLKSA-N CCc1c(/C=C(\C)/N=C/C([C@@H]2C3C2)=CC=C3N(C)CCCOCCOOCCCNc2ccc(/C=N/C(CC3)=Cc4c3[n](CC)c3c4CCC=C3)cc2)c2ccccc2[n]1CC Chemical compound CCc1c(/C=C(\C)/N=C/C([C@@H]2C3C2)=CC=C3N(C)CCCOCCOOCCCNc2ccc(/C=N/C(CC3)=Cc4c3[n](CC)c3c4CCC=C3)cc2)c2ccccc2[n]1CC WHTJPDPVQRMRRV-KRFJRMLK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7269 Carcinogenic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RIRUBFLCZNSMNX-UHFFFAOYSA-N NCCCCCCCCNc1ccc(C=O)cc1 Chemical compound NCCCCCCCCNc1ccc(C=O)cc1 RIRUBFLCZNSMN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TGUVEKSASEFFO-UHFFFAOYSA-N Nc(cc1)ccc1Nc1ccccc1 Chemical compound Nc(cc1)ccc1Nc1ccccc1 ATGUVEKSASEF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TZJASWAYUYQAT-UHFFFAOYSA-N O=Cc(cc1)ccc1NC1=CC=CCC1 Chemical compound O=Cc(cc1)ccc1NC1=CC=CCC1 GTZJASWAYUYQA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29 atom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IZALUMVGBVKPJD-UHFFFAOYSA-N benzene-1,3-dicarbaldehyde Chemical compound O=CC1=CC=CC(C=O)=C1 IZALUMVGBVKP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70 carcinogen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60 carcinogen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68 cat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309 chloro group Chemical group Cl*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40 column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956 cyclohex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BGTOWKSIORTVQH-HOSYLAQJSA-N cyclopentanone Chemical group O=[13C]1CCCC1 BGTOWKSIORTVQH-HOSYLAQJ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8 electrochem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56 electro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153 fluoro group Chemical group F* 0.000 description 1
- CNUDBTRUORMMPA-UHFFFAOYSA-N formylthiophene Chemical compound O=CC1=CC=CS1 CNUDBTRUORMMP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72 fullere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051 hex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C([H])([H])C([H])([H])C([H])([H])C([H])([H])*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76 industrial 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61 inert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1700 light absor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43 magnesium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41 magnesium 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645 metal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65 me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496 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776 molecular orbita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KQSABULTKYLFEV-UHFFFAOYSA-N naphthalene-1,5-diamine Chemical class C1=CC=C2C(N)=CC=CC2=C1N KQSABULTKYLF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25 nitril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20 photoelectron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9 polyme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60 propio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MIROPXUFDXCYLG-UHFFFAOYSA-N pyridine-2,5-diamine Chemical compound NC1=CC=C(N)N=C1 MIROPXUFDXCYL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HNQIURBCCNWDN-UHFFFAOYSA-N pyridine-2,6-diamine Chemical compound NC1=CC=CC(N)=N1 VHNQIURBCCNWD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MWXGSWIOOVHEQ-UHFFFAOYSA-N pyridine-2,6-dicarbaldehyde Chemical compound O=CC1=CC=CC(C=O)=N1 PMWXGSWIOOVH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UVKMZGDUIUOCP-BTNSXGMBSA-N quinbolone Chemical compound O([C@H]1CC[C@H]2[C@H]3[C@@H]([C@]4(C=CC(=O)C=C4CC3)C)CC[C@@]21C)C1=CCCC1 IUVKMZGDUIUOCP-BTNSXGMB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YLQBMQCUIZJEEH-UHFFFAOYSA-N tetrahydrofuran Natural products C=1C=COC=1 YLQBMQCUIZJE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TMRXENQDSQACG-UHFFFAOYSA-N thiophene-2,5-dicarbaldehyde Chemical compound O=CC1=CC=C(C=O)S1 OTMRXENQDSQAC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71 vacuum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32 voltam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2 x-ray structur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4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doubly-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49/02—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doubly-bound to a carbon skeleton of compounds containing imino group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1/00—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doubly-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51/0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doubly-bound to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imino groups
- C07C251/24—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doubly-bound to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imino groups having carbon atoms of i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56—Ring systems containing three or more rings
- C07D209/80—[b, c]- or [b, d]-condensed
- C07D209/82—Carbazoles; Hydrogenated carbazoles
- C07D209/88—Carbazoles; Hydrogenated carbaz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ring system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 C07D33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333/14—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hetero atoms other than halogen
- C07D333/20—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hetero atoms other than halogen by nitrogen ato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 C07D333/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33/30—Hetero atoms other than halogen
- C07D333/36—Nitrogen atom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10/00—Organi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ganic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Indole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Atom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재료로서 충분한 캐리어 이동도를 확보하고, 게다가 톨루엔 등의 소수성 용매,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글리콜계 용매, 또는 락트산메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등 비교적 범용성이 높은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신규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주골격 중에, 산소 원자, 유황 원자 또는 시클로알킬렌기를 갖는 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2가의 탄화수소기를 갖고, 상기 탄화수소기의 양쪽 말단에, 아조메틴기를 갖고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기, 또는, 아조메틴기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2가의 방향족기가 번갈아 결합하여 공액한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가, 이 아조메틴기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이 방향족기 및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는 알데히드기 및 아미노기와 반응성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조메틴 올리고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규한 아조메틴 올리고머에 관한 것이다.
직쇄상으로 발달한 공액 구조를 갖는 폴리아조메틴의 용도에 관해서는, LED, 박막 트랜지스터, 태양전지 등의 전자 및 광학 디바이스 재료용의 유기 반도체 재료와 같은 용도가 폭넓게 연구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폴리아조메틴은 주쇄 중에 방향환, 헤테로환, 또는 방향환 및 헤테로환을 갖고, 이것들이 아조메틴기로 연결된, 복수의 방향환 및/또는 헤테로환이 연결된 공액계 폴리머 구조를 취하고 있다.
폴리아조메틴을 유기 반도체 재료로서 이용하는 경우, 기판 위에 상기 반도체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폴리아조메틴을 용매에 용해하고, 얻어진 용액을 기판 위에 도포하는 방법이 간편하고, 비용도 저렴하다. 그렇지만, 상기 폴리아조메틴은 상기와 같이 공액계이고, 평면성이 높고 강직한 구조의 화합물이며, 그 때문에 유기용매에 대하여 용해성이 나쁘다. 그 때문에 상기 폴리아조메틴을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기판 위에 도포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모노머를 타겟 기판에 진공 증착하면서 폴리아조메틴을 중합하고, 또한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는데(특허문헌 1 참조), 당해 방법은 프로세스의 번잡함 및 폴리아조메틴의 수율이 낮으므로 바람직한 방법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폴리아조메틴의 용매 용해성에 대해서는, m-크레졸 등의 프로톤산 또는 그것을 포함하는 유기용매 중에서는, 상기 폴리아조메틴이 가역적인 Lewis 산-염기쌍을 형성하고, 이 상태에서 용매에 대하여 용해성을 나타내는 것이 발견되었다(비특허문헌 1?4 참조).
그렇지만, 이들 프로톤산 또는 프로톤산을 포함하는 유기용매는 범용성이 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유기용매는 부식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기 폴리아조메틴을 이들 용매에 용해한 폴리아조메틴 용액에 대해서는, 공업적인 사용은 제한된다.
또한 특허문헌 2는 폴리아조메틴을 함유하는 유기 LED 소자에 관한 발명을 개시하고 있고, 그 폴리아조메틴은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된다.
여기에서 R1, R2는
중 어느 하나이고,
또한, - A는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의 선택물질 중에는, 방향환 공액 구조뿐만 아니라, -(CH2)m-이나 시클로헥실렌기 등의 비공액 구조도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2의 [0013]에는, 이러한 폴리아조메틴을 m-크레졸 또는 벤젠 중에서 중합하고, 얻어진 폴리아조메틴 용액을 스핀 코팅, 딥 코팅 등의 습식에 의한 성막법으로 기판(양극) 위에 성막하고, 그 후에 불활성 가스의 분위기 중에서 가열함으로써 폴리아조메틴층을 제작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2에는, 상기의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폴리아조메틴을 실제로 합성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 특허문헌 2의 폴리아조메틴이 용해된다고 되어 있는 m-크레졸 및 벤젠은 범용성이 있다고는 하기 어렵다. 또 m-크레졸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부식성이 있고, 벤젠은 발암성을 가지고 있어, 양자 모두 인체에 유해하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2의 폴리아조메틴을 이들 m-크레졸 또는 벤젠에 용해한 폴리아조메틴 용액은 공업적 이용이 제한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상기 폴리아조메틴이 범용성이 높은 다른 용매(예를 들면, 알코올)에 용해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기재도 시사도 없다.
한편, 이와 같이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낮은 폴리아조메틴에 대하여, 그 주쇄 중의 방향환, 헤테로환 또는 방향환 및 헤테로환에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등을 도입함으로써, 폴리아조메틴이 클로로포름, THF, DMF, DMSO, NMP, m-크레졸 등의 단독의 용매에 대하여 용해성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5 참조).
그렇지만, 이러한 방향환 및/또는 헤테로환에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가 도입된 원료 모노머는,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폴리아조메틴의 제조를 공업화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사용하는 용매종은 함할로겐 구조인 경우가 있고, 그 경우, 상기 용매종은 고비점을 나타낸다. 그 때문에 취급자의 건강관리나, 용매의 건조 공정에서 높은 에너지가 요구되는 등의 이유로, 상기 용매를 공업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는 하기 어렵다. 또한, 화학구조상, 이러한 공액계 내로의 치환기의 도입은 그 화합물이 갖는 입체 장애에 의해 본래의 공액계 내에서의 평면성의 저하를 초래하여, 폴리아조메틴 분자 내 및 분자 간의 결정성이 낮아져, 유기 반도체 재료에 필요하게 되는 캐리어 이동도가 나빠진다고 생각된다. 단, 입체 규칙성이 높은 폴리(3-헥실티오펜)(P3HT)의 헥실기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치환기가 공액계 분자 내의 결정성을 유기시키는 효과가 있는 알킬기 등인 경우에는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Chem. Mater. 1991, 3, 878
Chem. Mater. 1994, 6, 196
Chem. Mater. 1995, 7, 1276
Macromolecules 1995, 28, 1180
Macromolecules, vol. 38, No. 5, p1958-1966, 2005
그래서, 본 발명은 반도체 재료로서 충분한 캐리어 이동도를 확보하고, 게다가 톨루엔 등의 소수성 용매,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등의 글리콜계 용매, 또는 락트산메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등 비교적 범용성이 높은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신규한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골격 중에, 산소 원자, 유황 원자 또는 시클로알킬렌기를 갖는 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2가의 탄화수소기를 갖고, 상기 탄화수소기의 양쪽 말단에, 아조메틴기를 갖고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방향족기, 또는, 아조메틴기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2가의 방향족기가 번갈아 결합하여 공액한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가 이 아조메틴기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이 방향족기 및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는 알데히드기 및 아미노기와 반응성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조메틴 올리고머이다.
종래의 폴리아조메틴에서는, 폴리아조메틴이 그 주쇄 중에 방향환, 헤테로환, 또는 방향환 및 헤테로환을 갖고, 이들 아조메틴기로 연결된, 복수의 방향환 및/또는 헤테로환이 연결된 공액계 폴리머 구조를 취하고 있었다. 이것은 폴리아조메틴 1분자 내에서 캐리어를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공액계 폴리머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이 폴리아조메틴의 유기용매에 대한 낮은 용해성의 원인이 되고 있었다. 용해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방향환 및/또는 헤테로환에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를, 소위 측쇄로서 도입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비특허문헌 5). 그러나, 이 제안된 방법에는, 그러한 폴리아조메틴을 합성하기 위한 원료 모노머를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자는, 이하의 2가지 점의 발상의 전환에 의해, 범용성이 높은 용매에 대한 용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용이하고 공업적인 제조가 가능하고, 게다가 반도체로서 충분한 캐리어 이동도를 확보한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발명한 것이다.
(1) 캐리어를 1분자 내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고, 화합물이 갖는 공액계(방향환)를, 화합물 분자 사이에서 스택시키는 것(분자 사이에서 공액 구조 부분을 배향시키는 것)에 의해, 캐리어가 분자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시키는 것
(2) 알킬기 등을 폴리머의 측쇄로서 도입하는 것이 아니고, 올리고머의 주쇄의 일부로서 도입하는(즉, 공액계 구조를 비공액 스페이서로 연결함) 것.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에서는, 상기 탄화수소기가 분지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2?1024의 알킬렌기, 기 중에 에테르 결합 및/또는 티오에테르 결합을 갖고,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2?1024의 2가의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3?50의 시클로알킬렌기, 및, 기 중에 카르복실기를 갖고,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2?1024의 2가의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량이 150?1500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아조메틴 올리고머는 통상 크레졸, 톨루엔, THF, 시클로펜틸메틸에테르, 아세톤, MEK, MIBK, 시클로펜탄온,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클로로벤젠, 이황화탄소,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락트산메틸,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벤질알코올, n-부탄올, t-부탄올, 펜틸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피리딘, NMP, 황산, 포름산, 아세트산, 염산, 락트산, 트리에틸아민, 디부틸아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 또는 2종 이상의 공용매 100g에 대하여, 25℃에서 0.1g 이상의 용해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는,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식에 있어서, 2개 존재하는 Ar은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1가의 방향족기, 또는 아조메틴기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2가의 방향족기가 번갈아 결합하여 공액한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이며,
A는 아조메틴기이고,
R은 분지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2?1024의 알킬렌기, 기 중에 에테르 결합 및/또는 티오에테르 결합을 갖고,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2?1024의 2가의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3?50의 시클로알킬렌기, 또는 기 중에 카르복실기를 갖고,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2?1024의 2가의 탄화수소기이다.
상기 1가의 방향족기 및 2가의 방향족기의 예로서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에서, 반괄호로 묶인 부위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는 반도체 용도에 적합하며, 도포법에 의해 전극 위에 성막하여, p-n 접합 소자의 제작이 가능하다.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P형 반도체층 또는 N형 반도체층의 형성 재료로서 사용하여 제작한 p-n 접합 소자에 대하여, P형 반도체측의 전극에 정극 단자를, N형 반도체측의 전극에 부극 단자를 접속하고, -5V?+5V의 범위 이내에서 전압을 인가할 수 있고, 순방향의 전력량/역방향의 전력량>1.0으로 되는 것이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특징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은, 하기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탄화수소 화합물 1당량에 대하여, 하기 일반식 (III)으로 표시되는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 2당량을 반응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식 (II)에서, 2개의 X는 모두 알데히드기 또는 아미노기이고,
2개의 Ar은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2가의 방향족기이고,
A는 아조메틴기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할로겐 원자 또는 카르복실기이고,
Z는 산소 원자, 유황 원자 또는 시클로알킬렌기를 갖는 2가의 기이고,
m 및 n은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고,
i는 0 또는 1이고,
h 및 j는 독립적으로 0?12의 정수이고(단, Z가 산소 원자 또는 유황 원자인 경우에는, h 및 j는 모두 1 이상임),
k는 1?10의 정수이고,
h가 2 이상인 경우, 복수 존재하는 R1은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되고,
j가 2 이상인 경우, 복수 존재하는 R2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되고,
k가 2 이상인 경우, 복수 존재하는 (-(CHR1)h-(O)i-(CHR2)j-)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되고, (-(CHR1)h-(Z)i-(CHR2)j-)k로 표시되는 구조 중의 탄소 원자수는 2?1024이다.
상기 식 (III)에서, Y는 상기 식 (II)에서의 X가 알데히드기인 경우에는 아미노기이고, X가 아미노기인 경우에는 알데히드기이며,
Ar1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1가의 방향족기이고,
Ar2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2가의 방향족기이고,
A는 아조메틴기이고,
p는 0?5의 정수이고,
p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Ar2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상기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식에서, Y는 알데히드기 또는 아미노기이다.
상기 탄화수소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식에서, 2개의 X는 모두 아미노기 또는 알데히드기이며, t는 6?12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는 반도체 재료로서 충분한 캐리어 이동도를 확보하고, 게다가 톨루엔 등의 소수성 용매,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글리콜계 용매, 또는 락트산메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등의 범용성이 높은 유기용매에 대하여 높은 용해성을 나타낸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에 의하면, 종래의 공액계 고분자와 같이, 진공증착에 의해 기판 위에 폴리아조메틴을 배향시키는 것이 아니고, 도포법에 의해 기판 위에 반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아조메틴 올리고머]
이하,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갖는 상기 2가의 탄화수소기, 방향족기 및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2가의 탄화수소기>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상기 탄화수소기는 산소 원자, 유황 원자 또는 시클로알킬렌기를 갖는 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그 원자가수가 2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 탄화수소기가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유기용매에 대한 높은 용해성에 기여하고 있다.
상기 탄화수소기의 예로서는 분지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2?1024의 알킬렌기, 기 중에 에테르 결합 및/또는 티오에테르 결합을 갖고,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2?1024의 2가의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3?50의 시클로알킬렌기, 및, 기 중에 카르복실기를 갖고,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2?1024의 2가의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다.
상기 할로겐 원자의 예로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및 브롬 원자를 들 수 있다.
상기 시클로알킬렌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의 예로서는 할로겐 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탄소수 1?6의 알콕시기를 들 수 있다. 또 시클로알킬렌기는 환상 구조를 복수 가지고 있어도 되고, 또한 그 환상 구조가 알킬렌기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유기용매에 대한 친화성과 고체 상태에 있어서의 분자 간 결정성의 양립의 관점에서, 3?20인 것이 바람직하고, 4?1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1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기 중에 에테르 결합 및/또는 티오에테르 결합을 갖고,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2가의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유기용매에 대한 친화성과 고체 상태에 있어서의 분자 간의 결정성의 양립의 관점에서, 3?20인 것이 바람직하고, 4?1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1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시클로알킬렌기의 탄소수는,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유기용매에 대한 친화성과 고체 상태에 있어서의 분자 간의 결정성의 양립의 관점에서, 3?30인 것이 바람직하고, 6?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 중에 카르복실기를 갖고,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2가의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유기용매에 대한 친화성과 고체 상태에 있어서의 분자 간의 결정성의 양립의 관점에서, 3?20인 것이 바람직하고, 4?1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1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2가의 탄화수소기는, 유기용매에 대한 친화성의 관점에서, 톨루엔 등의 비교적 저극성이며, 소수성이 높은 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알킬렌기를 갖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코올계, 글리콜계, 에스테르계 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2가의 탄화수소기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을 갖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함 할로겐계 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2가의 탄화수소기는 기 중에 할로겐 원자를 갖는(할로겐 원자로 치환됨)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조메틴기를 갖고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기>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아조메틴기를 갖고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기는 아조메틴기와 1가의 방향족기가 결합하여 공액한 구조를 취하고 있고, 알데히드기 및 아미노기와 반응성을 갖지 않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알데히드기 및 아미노기와 반응성을 갖지 않는 것의 의의에 대해서는, 후기의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의 항에서 설명한다.
상기 1가의 방향족기 및 아조메틴기의 공액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는 분자 간에 있어서의 캐리어 수송 기능을 갖게 된다.
또 상기 아조메틴기에 의해, 1가의 방향족기가 상기 탄화수소기의 말단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아조메틴기를 갖고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1가의 방향족기의 예로서는 하기 식 A-1?A-23으로 표시되는 기를 들 수 있다.
식 A-1에서, Ra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15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15의 탄화수소기이다. 상기 할로겐 원자로서는 F, Cl 및 Br을 들 수 있다. 이하의 식 A-2?A-23에서도 동일하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a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A-1에서, Sa는 1?5의 정수이며, Sa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a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해,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局在化)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a는 4 또는 5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Sa가 4 또는 5이며, 또한 방향족기가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다. 상기 대칭 요소란 아조메틴 올리고머 분자 전체가 아니고, 방향족기의 구조 부분의 대칭성을 가리킨다. 또 상기 대칭성이란 지면상에서 그린 구조로부터 추찰되는 대칭성이며, 실제로 측정한 X선 구조 해석 및 분자 궤도 계산에 의한 최적화된 구조로부터 판단되는 대칭성은 아니다. 이하 동일하다. 또한, Sa가 5인 경우에는 반드시 대칭 요소를 갖도록 Ra가 선택되는, 즉 5개의 Ra는 동일하게 된다.
또한 식 A-1에서, 「*」는 결합손이며, 이것이 아조메틴기에 결합하고 있다. 이하의 식 A-2?A-23에서도 동일하다.
식 A-2에서, Rb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b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A-2에서, Sb는 1?4의 정수이며, Sb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b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b는 짝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Sb가 짝수이고, 또한 방향족기가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다.
식 A-3에서, Xa는 S, O, NH, N(CH3), N(C2H5) 및 N(Ph)로부터 선택된다(Ph는 페닐기이다. 이하 동일).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Xa는 입체 장애성이 작고, 평면성이 높은 S 및 NH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A-3에서, Yb는 CH 및 N으로부터 선택되며,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높은 결정화의 관점에서는 모두 바람직하다.
식 A-3에서, Rc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c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A-3에서, Yb가 CH인 경우에는, Sc는 1?3의 정수이며, Sc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c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c는 2 또는 3인 것이 바람직하고, 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A-3에서, Yb가 N인 경우에는 Sc는 1이다.
식 A-4에서, Xb는 CH2, C(CxH2x +1)2(X는 2?20의 정수), NH, N(CxH2x +1)(X는 2?20의 정수), N(Ph) 및 S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높은 결정화의 관점에서, Xb는 입체 장애성이 작고, 평면성이 높은 CH2 또는 NH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A-4에서, Rd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d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A-4에서, Sd는 1?7의 정수이다. 즉, Rd는 식 A-4에서는 우측의 벤젠환에 결합되어 있는 것처럼 도시했지만, Rd는 식 A-4에서 결합할 수 있는 모든 탄소에 결합한다. 즉, Rd는 식 A-4에서의 우측의 벤젠환뿐만 아니라, 좌측의 벤젠환에 결합해도 된다. 결합손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이하의 식 A-5?A-23에서도 동일하다.
Sd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d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d는 6 또는 7이 바람직하고, 7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A-5에서, Xc는 CH2, O, S, NH, N(CxH2x +1)(X는 1?20의 정수) 및 N(Ph)로부터 선택되고,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높은 결정화의 관점에서, 입체 장애성이 작고, 평면성이 높은 CH2, O, S 및 NH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A-5에서, Ya는 CH 및 N으로부터 선택되며,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높은 결정화의 관점에서는 모두 바람직하다.
식 A-5에서, Re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e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A-5에서, Ya가 CH인 경우에는, Se는 1?11의 정수이며, Se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e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e는 9?11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9 또는 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A-5에서, Ya가 N인 경우에는, Se는 1?9의 정수이며, Se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e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e는 7?9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9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A-6에서, Xd는 CH 또는 N이며,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높은 결정화의 관점에서는 모두 바람직하다.
식 A-6에서 Rf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f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A-6에서, Sf는 Xd가 CH인 경우에는 1?9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f는 8 또는 9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이다.
또한 Xd가 N인 경우에는, Sf는 1?7의 정수이며, 상기와 동일한 관점에서, Sf는 6 또는 7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이다.
또한, Sf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f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식 A-7에서, Rg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g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A-7에서, Sg는 1?11의 정수이다. 즉, Rg는 식 A-7에서의 2개의 벤젠환을 연결하고 있는 에테닐렌기 위에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g는 10 또는 11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Sg는 11이다. 또한, Sg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g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식 A-8에서, Rh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h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A-8에서, Sh는 1?7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h는 6 또는 7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Sh는 7이다. 또한, Sh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h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식 A-9에서, Xe는 CH 및 N으로부터 선택되고,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높은 결정화의 관점에서, Xe는 CH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A-9에서, Ri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i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A-9에서, Xe가 CH인 경우에는, Si는 1?9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i는 홀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Si가 홀수이며, 또한 방향족기가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Xe가 N인 경우에는 Si는 1?7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i는 6 또는 7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이다.
또한, Si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i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식 A-10에서, Rj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j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A-10에서, Sj는 1?9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j는 8 또는 9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Sj는 9이다. 또한, Sj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j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식 A-11에서, Xf는 O, S, NH, N(CH3), N(C2H5) 및 N(Ph)로부터 선택된다. Xf는,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내 공액계의 평면성이 높은 관점에서, S 또는 NH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A-11에서, Rk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k가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8의 알콕시기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A-11에서, Sk는 1?5의 정수이다. Sk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k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k는 3?5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또는 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A-12에서, Xg는 O, S, NH, N(CH3), N(C2H5) 및 N(Ph)로부터 선택된다. Xg는,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내 공액계의 평면성이 높은 관점에서, S 또는 NH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A-12에서, Rm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m이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8의 알콕시기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A-12에서, Sm은 1?7의 정수이다. Sm이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m은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m은 4?7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4 또는 7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A-13에서, Xh는 CH2, O, S, NH, N(CH3), N(C2H5) 및 N(Ph)로부터 선택된다. Xh는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내 공액계의 평면성이 높은 관점에서, CH2, S 또는 NH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A-13에서, Rn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n이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8의 알콕시기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A-13에서, Xh가 CH2인 경우에는, Sn은 1?17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n은 10?17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17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A-13에서, Xh가 CH2 이외인 경우에는, Sn은 1?9의 정수이다. 상기와 동일한 관점에서, Sn은 7?9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9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Sn이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n은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식 A-14에서, Xi는 CH 및 N으로부터 선택되고,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원료의 상업적인 입수 용이성 관점에서, CH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A-14에서, Ro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o가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8의 알콕시기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A-14에서, Xi가 CH인 경우에는, So는 1?3의 정수이다. So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o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o는 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Xi가 N인 경우에는, So는 1이다.
식 A-15에서, Xj는 S 및 O로부터 선택되고,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원료의 상업적인 입수 용이성 관점에서, S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A-15에서, Rp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p가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8의 알콕시기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A-15에서, Sp는 1?5의 정수이다. Sp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p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p는 4 또는 5인 것이 바람직하고, 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A-16에서, Rq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q가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8의 알콕시기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A-16에서, Sq는 1?3의 정수이다. Sq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q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q는 홀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A-17에서, Rr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r이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8의 알콕시기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A-17에서, Sr은 1?5의 정수이다. Sr이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r은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r은 홀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A-18에서, Rs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15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15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s가 수소 원자, 탄소수 1?15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15의 알콕시기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A-18에서, Ss는 1?3의 정수이다. Ss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s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s는 2 또는 3인 것이 바람직하고, 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A-19에서, Rt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15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15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t가 수소 원자, 탄소수 1?15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15의 알콕시기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A-19에서, St는 1?7의 정수이다. St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t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t는 홀수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A-20에서, Ru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u가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8의 알콕시기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A-20에서, Su는 1?3의 정수이다. Su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u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u는 2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A-21에서, Rv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15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15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v가 수소 원자, 탄소수 1?15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15의 알콕시기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A-21에서, Sv는 1?5의 정수이다. Sv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v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v는 홀수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A-22에서, Rw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w가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8의 알콕시기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A-22에서, Sw는 1?7의 정수이다. Sw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w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w는 홀수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A-23에서, Rx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x가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8의 알콕시기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A-23에서, Sx는 1?7의 정수이다. Sx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x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x는 홀수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는 아조메틴기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2가의 방향족기가 번갈아 결합하여 공액한 구조를 취하고 있고, 알데히드기 및 아미노기와 반응성을 갖지 않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알데히드기 및 아미노기와 반응성을 갖지 않는 것의 의의에 대해서는, 후기의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의 항에서 설명한다. 또한,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를 구성하는 방향족기 중,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말단이 되는 방향족기는 2가가 아니고 1가이다.
상기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의 공액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는 캐리어 수송 기능을 발휘한다.
또 상기 아조메틴기에 의해,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가 상기 탄화수소기의 말단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2가의 방향족기의 예로서는 하기 식 B-1?B-24로 표시되는 기를 들 수 있다.
식 B-1에서, Ra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15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15의 탄화수소기이다. 상기 할로겐 원자로서는 F, Cl 및 Br을 들 수 있다. 이하의 식 B-2?B-24에서도 동일하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a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B-1에서, Sa는 1?4의 정수이며,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a는 짝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Sa가 짝수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Sa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a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또한 식 B-1에서, 「*」는 결합손이며, 이것이 아조메틴기에 결합되어 있다. 이하의 식 B-2?B-24에서도 동일하다.
식 B-2에서, Rb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b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B-2에서, Sb는 1?3의 정수이며,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b는 홀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Sb가 홀수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Sb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b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식 B-3에서, Xa는 S, O, NH, N(CH3), N(C2H5) 및 N(Ph)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Xa로서는 입체 장애성이 작고, 평면성이 높은 S 및 NH가 바람직하다.
식 B-5에서, Yb는 CH 및 N으로부터 선택되며,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높은 결정화의 관점에서는, 모두 바람직하다.
식 B-3에서, Rc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b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B-3에서, Yb가 CH인 경우에는, Sc는 1 또는 2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c는 2인 것이 바람직하고, Sc가 2이며, 또한 방향족환 함유 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Sc가 2인 경우에는, 2개의 Rc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식 B-3에서, Yb가 N인 경우에는, Sc는 1이다.
식 B-4에서, Xb는 CH2, C(CxH2x +1)2(X는 2?20의 정수), NH, N(CxH2x +1)(X는 2?20의 정수), N(Ph) 및 S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높은 결정화의 관점에서, Xb로서는 입체 장애성이 작고, 평면성이 높은 C 및 NH가 바람직하다.
식 B-4에서, Rd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d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B-4에서, Sd는 1?6의 정수이다. 즉, Rd는 식 B-4에서는 우측의 벤젠환에 결합해 있는 것처럼 도시했지만, Rd는, 식 B-4에서, 결합할 수 있는 모든 탄소와 결합한다. 즉, Rd는 식 B-4에서의 우측의 벤젠환뿐만 아니라, 좌측의 벤젠환에 결합해도 된다. 결합손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하의 식 B-5?B-24에서도 동일하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d는 짝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Sd가 짝수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d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d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식 B-5에서, Xc는 O, S, NH, N(CxH2x +1)(X는 1?20의 정수) 및 N(Ph)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높은 결정화의 관점에서, Xc로서는 입체 장애성이 작고, 평면성이 높은 O, S 및 NH가 바람직하다.
식 B-5에서, Ya는 CH 및 N으로부터 선택되며,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높은 결정화의 관점에서는, 모두 바람직하다.
식 B-5에서, Re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e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B-5에서, Ya가 CH인 경우에는, Se는 1?1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e는 짝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Se가 짝수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Ya가 N인 경우에는 Se는 1?8의 정수이다. 상기와 동일한 관점에서, Se는 짝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Se가 짝수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Se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e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식 B-6에서, Xd는 CH 및 N으로부터 선택되며,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높은 결정화의 관점에서는, 모두 바람직하다.
식 B-6에서, Rf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f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B-6에서, Sf는 Xd가 CH인 경우에는 1?8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f는 짝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Sf가 짝수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Xd가 N인 경우에는, Sf는 1?6의 정수이며, 상기와 동일한 관점에서, Sf는 짝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Sf가 짝수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Sf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f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식 B-7에서, Rg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g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B-7에서, Sg는 1?10의 정수이며, Rg는 2개의 벤젠환을 연결하고 있는 에테닐렌기 위에 결합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g는 짝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Sg가 짝수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g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g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식 B-8에서, Rh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h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B-8에서, Sh는 1?6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h는 짝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Sh가 짝수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Sh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h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식 B-9에서, Xe는 CH 및 N으로부터 선택되며,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높은 결정화의 관점에서는, Xe는 CH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B-9에서, Ri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i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B-9에서, Si는 Xe가 CH인 경우에는 1?8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i는 짝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Si가 짝수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Si는, Xe가 N인 경우에는, 1?6의 정수이며, 상기와 동일한 관점에서, Si는 짝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Si가 짝수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Si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i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식 B-10에서, Rj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j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B-10에서, Sj는 1?8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j는 짝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Sj가 짝수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Sj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j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식 B-11에서, Xf는 CH 및 N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높은 결정화의 관점에서는, Xf는 N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B-11에서, Rk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k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B-11에서, Sk는 Xf가 CH인 경우에는 1?8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k는 짝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Sk가 짝수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Sk는, Xf가 N인 경우에는, 1?6의 정수이며, 상기와 동일한 관점에서, Sk는 짝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Sk가 짝수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Sk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k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식 B-12에서, Xg는 CH 및 N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높은 결정화의 관점에서는, Xg는 N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B-12에서, Rm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m이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B-12에서, Sm은 Xg가 CH인 경우에는 1?8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m은 짝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Sm이 짝수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Sm은 Xg가 N인 경우에는, 1?6의 정수이며, 상기와 동일한 관점에서, Sm은 짝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Sm이 짝수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Sm이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m은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식 B-13에서, Xh는 O, S, NH, N(CH3), N(C2H5) 및 N(Ph)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내 공액계의 평면성이 높은 관점에서, Xh는 S 또는 NH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B-13에서, Rn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n이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8의 알콕시기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B-13에서, Sn은 1?4의 정수이다. Sn이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n은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n은 2?4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또는 4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B-14에서, Xi는 O, S, NH, N(CH3), N(C2H5) 및 N(Ph)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내 공액계의 평면성이 높은 관점에서, Xi는 S 또는 NH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B-14에서, Rp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p가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8의 알콕시기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B-14에서, Sp는 1?8의 정수이다. Sp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p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p는 4?8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4 또는 8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B-15에서, Xj는 CH 및 N으로부터 선택되며,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원료의 상업적인 입수 용이성 관점에서, CH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B-15에서, Rq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q가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8의 알콕시기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B-15에서, Xj가 CH인 경우에는 Sq는 1 또는 2이다. Sq가 2인 경우에는, 2개 존재하는 Rq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q는 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Xj가 N인 경우에는 Sq는 0이다.
식 B-16에서, Xk는 S 및 O으로부터 선택되며,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원료의 상업적인 입수 용이성 관점에서, S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B-16에서, Rr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r이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8의 알콕시기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B-16에서, Sr은 1?4의 정수이다. Sr이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r은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r은 3 또는 4인 것이 바람직하고, 4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B-17에서, Rs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s가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8의 알콕시기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B-17에서, Ss는 1 또는 2이다. Ss가 2인 경우에는, 2개 존재하는 Rs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s는 2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B-18에서, Rt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t가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8의 알콕시기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B-18에서, St는 1?4의 정수이다. St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t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t는 짝수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B-19에서, Ru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u가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8의 알콕시기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B-19에서, Su는 1 또는 2이다. Su가 2인 경우에는, 2개 존재하는 Ru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u는 2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B-20에서, Rv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15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15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v가 수소 원자, 탄소수 1?15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15의 알콕시기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B-20에서, Sv는 1?6의 정수이다. Sv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v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v는 짝수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B-21에서, Rx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x가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8의 알콕시기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B-21에서, Sx는 1 또는 2이다. Sx가 2인 경우에는, 2개 존재하는 Rx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x는 2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B-22에서, Ry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15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15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y가 수소 원자, 탄소수 1?15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15의 알콕시기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B-22에서, Sy는 1?4의 정수이다. Sy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y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y는 짝수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B-23에서, Rz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z가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8의 알콕시기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B-23에서, Sz는 1?6의 정수이다. Sz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z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z는 짝수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B-24에서, Raa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기 중에 에테르 결합 혹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Raa가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8의 알콕시기이며, 반데르발스 반경이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B-24에서, Saa는 1?6의 정수이다. Saa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aa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 간에 있어서의 고결정화를 위하여, 방향환 내에서의 전자의 국재화를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Saa는 짝수이며, 또한 방향족기 전체로서 대칭 요소를 갖도록 치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에서는, 이들 2가의 방향족기가 아조메틴기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아조메틴기와 2가의 방향족기가 번갈아 결합하여 공액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 중의 방향족기는 통상 5개 이하이며,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용매에 대한 용해성, 분자내 공액, 분자 간에 있어서의 결정성의 관점에서, 3?5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조메틴기와 2가의 방향족기를 번갈아 결합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기의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의 항에서 설명한다.
<아조메틴 올리고머>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탄화수소기의 양쪽 말단에, 상기 방향족기 또는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가 아조메틴기를 통하여 결합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이 구조는, 2가의 탄화수소기가 옥틸렌기이며, 방향족기가 아조메틴기를 갖는 페닐기인 경우의 구조이다. C=N이 아조메틴기이며, 이 방향에 따라 공액계 내에서의 공액 상태는 다르지만, 상기 공액 상태는 페닐기 등의 비헤테로 원자 함유 방향환에서는 분자 간에 있어서의 결정성에는 큰 영향은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한편, 방향환이 피리딘기 등의 헤테로환일 경우에는, 아조메틴기의 방향에 따라, 상기 공액 상태가 분자 간에 있어서의 결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아조메틴기의 방향이 아조메틴기를 구성하는 N 및 C 중, N쪽이 헤테로환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방향이며, 또한 헤테로환의 헤테로 원자가 아조메틴기를 구성하는 N의 근처에 있을 때에는,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고체 상태에서의 분자 내 공액계의 확장이 일어나고, 또한 공액계 내의 전자 구조가 크게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용액 상태에서, 상기 아조메틴기 중의 N 및 헤테로환의 헤테로 원자에 기초하는, 금속 이온에 대한 메탈레이션 효과, 및 양이온 인식 효과 등을 나타내는 것이 기대되며, 상기 효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템플레이트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는 그 구조 중에 상기 탄화수소기를 갖고, 이 부분은 결정성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범용성이 높은 다양한 유기용매, 예를 들면, 소수성 용매, 알코올계 용매, 글리콜계 용매 또는 에스테르계 용매에 대하여 높은 용해성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아조메틴 올리고머는 통상 크레졸, 톨루엔, THF, 시클로펜틸메틸에테르, 아세톤, MEK, MIBK, 시클로펜탄온,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클로로벤젠, 이황화탄소,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락트산메틸,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벤질알코올, n-부탄올, t-부탄올, 펜틸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피리딘, NMP, 황산, 포름산, 아세트산, 염산, 락트산, 트리에틸아민, 디부틸아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 내지, 2종 이상의 공용매 100g에 대하여, 25℃에서 통상 0.1g 이상, 바람직하게는 1?10g의 용해성을 갖는다. 또한, [배경기술]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크레졸이나 클로로벤젠 등은 부식성을 갖거나 혹은 인체에 유해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것들은 통상 다른 톨루엔 등의 범용성이 높은 용매에 소량 혼합하여 공용매로서 사용한다.
이와 같이, 범용성이 높은, 다종 다양한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높은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는, 종래의 폴리아조메틴과 같은 폴리머 구조를 갖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전자 및 정공 등의 캐리어를 수송하는 기능이 높아, 반도체 용도에 적합하다.
높은 캐리어 수송 기능을 갖는 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 것이다. 즉,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분자끼리에서, 친화성이 높은 것끼리(즉 탄화수소기는 탄화수소기끼리, 방향족기 및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는 방향족기 및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끼리)가 중첩된다. 그리고, 방향족기 또는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가 스택되어 있는 개소에서, 캐리어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종래의 폴리아조메틴은 분자 내의 특정 구조에 의해 캐리어 이동도를 확보하고 있었던 것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분자 간의 스택에 의해 캐리어 이동도를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는 높은 캐리어 수송 기능을 갖고, 반도체 용도에 적합하며, 게다가 범용성이 높은 유기용매에 대하여 높은 용해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범용성이 높은 유기용매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아조메틴 올리고머 용액을 사용하여, 스핀 코팅이나 딥 코팅과 같은 도포법에 의해, 기판 위에 안전하고 또한 용이하게 반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캐리어 수송 기능을 갖는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용액을 전극 위에 도포하여 성막하여, p-n 접합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P형 반도체층 형성 재료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N형 반도체층은 아조메틴의 이온화 포텐셜(eV)보다도 큰 값인 전자친화력(eV)을 나타내는 반도체 재료(예: 풀러렌)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또한,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N형 반도체층 형성 재료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P형 반도체층은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전자친화력(eV)보다도 작은 값인 이온화 포텐셜을 나타내는 반도체 재료(예: 폴리(3-헥실티오펜))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N형 반도체층의 형성 재료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측 전극 기판 위에 아조메틴 올리고머 용액을 도포, 건조함으로써, 막을 제작한다. 그 막 위에 P형 반도체 재료를 도포 혹은 증착 등으로 성막하고, 얻어진 P형 반도체층 위에 정측의 전극을 증착함으로써, p-n 접합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P형 반도체층의 형성 재료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측 전극 기판 위에 N형 반도체 재료를 도포 혹은 증착 등으로 성막하고, 그 막 위에 아조메틴 올리고머 용액을 도포, 건조함으로써 P형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P형 반도체층에 정극의 전극을 증착함으로써 p-n 접합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이들 P형 및 N형 반도체 재료의 접합체층의 두께는 통상 10?900nm이다.
예를 들면, 이렇게 하여 만들어지는 p-n 접합 소자는, 예를 들면, 다이오드, 유기 EL, 유기 박막 태양전지,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열전발전 소자 등의 유기 일렉트로닉스 분야로의 응용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이온화 포텐셜 및 전자친화력은 각각 HOMO(최고 점유 궤도)와 LUMO(최저 비점유 궤도)로서 실험적으로 구할 수 있다.
HOMO는, 일본 특허 제1124703호 공보에 기재된 광전자 분광법에 의해, 리켄케키사제의 AC-2를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또 전기화학적인 산화 전위를 구하여 HOMO로 환산하는 방법으로서는, 구체적으로 시료의 산화개시 전위를 구하여 환산하는 방법이 예시된다.
산화개시 전위는, 목적의 시료에 관하여 사이클릭 볼타메트리(CV)의 측정을 행하고, 얻어진 측정결과에 있어서, 베이스라인으로부터 산화 전류가 흐르기 시작할 때의 전위로서 구해진다. 필요에 따라, 측정에 사용한 참조전극으로부터 표준 수소전극 기준으로의 환산을 행하고, 또한, 이 값에 진공 준위에 대한 표준 수소전극의 값(정수) 4.5를 더함으로써, HOMO(eV)를 구할 수 있다.
다음에 LUMO를 구하는 방법으로서는 전기화학적인 환원 준위를 구하여 LUMO로 환산하는 방법, 및 시료의 자외-가시광 흡수 스펙트럼의 흡수개시 파장과 상기에서 구한 HOMO의 값으로부터 LUMO로 환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전기화학적인 측정에 의해 LUMO를 구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HOMO를 구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CV로 시료의 환원 전위의 측정을 행하고, 동일하게 환산을 함으로써 LUMO가 구해진다.
흡수개시 파장으로부터 LUMO를 구하는 경우에는, 시료를 유리 기판 위에 수 십 나노미터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스핀 코팅에 의해 제막하고, 형성된 막에 대하여 자외-가시광 흡수 스펙트럼의 측정을 행하고, 얻어진 측정결과에서, 베이스 라인으로부터 흡수가 개시될 때의 파장 λ(nm)로서 흡수개시 파장을 구할 수 있다. 이 값을 전자 볼트(eV)로 환산하여 얻어진 값을 밴드갭 에너지 E(eV)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구해지는 HOMO(eV)를 이 밴드갭 에너지 E(eV)로 나눔으로써, LUMO를 구할 수 있다.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반도체 특성의 조정에 관해서는, 일반적인 공액계 폴리머에 대한 지견을 참조할 수 있고, 일반적인 조정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반도체 특성의 조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P형 반도체 특성은 분자의 이온화 포텐셜 조정에 의해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의 2개의 방법에 의해, 분자의 이온화 포텐셜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1) 공액계(방향족기 또는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로서, 전자 풍부한 나프탈렌, 안트라센 등의 축환계 유닛을 선택하는 것
(2) 메틸기, 페닐기 등의 전자 공여성의 치환기를 공액계에 도입함으로써, 공액계 내의 전자밀도를 크게 하고, 전자를 비국재화 시키는 것.
한편,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N형 반도체 특성은 분자의 전자친화력의 조정에 의해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의 2가지 방법에 의해, 분자의 전자친화력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1) 공액계(방향족기 또는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로서 전자 부족의 경향을 갖는 피리딘, 비피리딘, 페난트롤린 등의 복소환을 선택하는 것
(2) F, CF3 등의 전자흡인성의 치환기를 공액계에 도입함으로써, 공액계 내의 전자밀도를 낮게 하여, 전자를 국재화시키는 것.
상기와 같이 우수한 반도체 특성을 갖는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로부터는 p-n 접합 소자를 조제할 수 있다. 이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P형 반도체층 또는 N형 반도체층의 형성 재료로서 사용하여 제작한 p-n 접합 소자에 대해서는, P형 반도체측의 전극에 정극 단자를, N형 반도체측의 전극에 부극 단자를 접속하고, -5V?+5V의 범위 내에서 전압을 인가할 수 있고, 순방향의 전력량/역방향의 전력량>1.0이 된다.
이 특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는, 예를 들면, p 및 n형 반도체로서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P형 반도체층과 전극 사이, 상기 N형 반도체층과 전극 사이에는, 각각 정공주입층, 전자주입층을 별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량은, 용매 용해성과 분자내 결정성의 양립의 관점에서, 150?1500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500?1000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분자량의 조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기의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의 항에서 설명한다.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구체예)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식에서, 2개 존재하는 Ar은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1가의 방향족기, 또는 아조메틴기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2가의 방향족기가 번갈아 결합하여 공액한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이다.
상기 1가의 방향족기의 예로서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기를 들 수 있다. 또한, 하기 식에서는, 반괄호로 묶인 부위가 결합손이다.
이것들 중에서도,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고체인 상태에 있어서의, 분자 간의 높은 결정성의 관점에서, 이하에 예시되는 1가의 방향족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단위 공액 구조 내에서의 공액성을 확장하는 관점에서, 이하에 예시되는 1가의 방향족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가의 방향족기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이하의 기를 들 수 있다. 또한, 하기 식에서는, 반괄호로 묶인 부위가 결합손이다.
이것들 중에서도,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고체인 상태에 있어서의, 분자 간의 높은 결정성의 관점에서, 이하에 예시되는 2가의 방향족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 (I)에서, A는 아조메틴기(C=N 또는 N=C)이며,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 기질로서 사용하는, 후술하는 탄화수소 화합물 및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을, 디아민체 및 디알데히드체의 어느 것으로 할 것인지의 선택에 따라, 그 방향은 상이하다. 또한, 일반식 (I) 중의 Ar-A에서, 2개의 아조메틴기가 인접하는 경우는 없다.
식 (I)에서, R은 분지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2?1024의 알킬렌기, 기 중에 에테르 결합 및/또는 티오에테르 결합을 갖고,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2?1024의 2가의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3?50의 시클로알킬렌기, 또는 기 중에 카르복실기를 갖고,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2?1024의 2가의 탄화수소기이다. R로서 바람직한 것은 상기 <2가의 탄화수소기>의 설명에서, 탄화수소기로서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었던 것과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는 분자 사이에서 방향족기 또는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가 스택되어 있는 개소에서, 캐리어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반도체 용도에 적합하다. 또 상기 아조메틴 올리고머는 톨루엔 등의 소수성 용매,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글리콜계 용매, 또는 락트산메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등의 범용성이 높은 유기용매에 대하여 높은 용해성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상기 유기용매에 용해하고, 얻어진 아조메틴 올리고머 용액을 사용하여, 도포법에 의해 기판 위에 용이하게 반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은, 하기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탄화수소 화합물 1당량에 대하여, 하기 일반식 (III)으로 표시되는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 2당량을 반응시키는 공정을 가지고 있다.
식 (II)에서, 2개의 X는 모두 알데히드기 또는 아미노기이며, 식 (III)에서 Y는 식 (II)에서의 X가 알데히드기인 경우에는 아미노기이고, X가 아미노기인 경우에는 알데히드기이다.
즉, 알데히드기와 아미노기의 반응을 이용하고, 탄화수소 화합물 1분자에 대하여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 2분자를 반응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진다.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탄화수소 화합물>
상기 식 (II)에서, 2개의 X는 상기한 바와 같이 모두 알데히드기 또는 아미노기이다. 2개의 Ar은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2가의 방향족기이며, 그 구체예로서는 상기 식 B-1?B-24로 표시되는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 (II)에서, A는 아조메틴기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화수소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 기질로서 사용하는 화합물의 선택에 따라, 그 방향은 상이하다.
식 (II)에서, m 및 n은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다. m이 1일 경우에는, m의 첨자를 붙여진 괄호로 묶인 Ar-A 및 Ar에 결합한 X가(X는 아조메틴기가 되지만),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에 있어서의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의 일부를 구성한다. n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식 (II)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할로겐 원자 또는 카르복실기이다. R1 및 R2로서는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과 성막시의 막의 결정성의 관점에서, 수소 원자 및 탄소수 5?12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식 (II)에서, Z는 산소 원자, 유황 원자 또는 시클로알킬렌기를 갖는 2가의 기이며, 원료가 비교적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점에서, 산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II)에서, i는 0 또는 1이며, i가 1인 경우에는, 탄화수소 화합물이 에테르 결합(산소 원자), 티오에테르 결합(유황 원자) 또는 시클로알킬렌기를 갖게 된다.
식 (II)에서, h 및 j는 독립적으로 0?12의 정수이며, 0?3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Z가 산소 원자 또는 유황 원자인 경우에는, h 및 j는 모두 1 이상이다.
식 (II)에서, k는 1?10의 정수이며, 2?5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식 (II)에서, h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1은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되고, j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R2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식 (II)에서, k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CHR1)h-(Z)i-(CHR2)j-)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또한, (-(CHR1)h-(Z)i-(CHR2)j-)k로 표시되는 구조 중의 탄소 원자수는 2?1024이며, 바람직하게는 6?512이다.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탄화수소 화합물의 입수 방법)
일반식 (II)에서, m 및 n이 0인 탄화수소 화합물은 시판되고 있어, 용이하게 입수 가능하다.
m 또는 n이 1이고, 타방이 0인 경우의 탄화수소 화합물은 시판되고 있는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Ar이 페닐렌기이고, m이 1이고, n이 0이고, (-(CHR1)h-(Z)i-(CHR2)j-)k가 옥틸렌기이며, X가 아미노기인 경우를 예로 하면, 예를 들면, 이하의 반응에 의해, 일반식 (II)의 탄화수소 화합물이 얻어진다.
이러한 p-아미노벤즈알데히드 1분자가 1,8-디아미노옥탄 1분자와 반응하여, 일반식 (II)의 탄화수소 화합물이 얻어지는 반응의 반응조건의 상세는 실시예의 원료 1의 합성의 항에서 나타낸다.
이상의 반응에서는, X로서 아미노기를 갖는 탄화수소 화합물이 얻어지지만, 사용하는 반응 원료를 p-아미노벤즈알데히드와 1,8-디포르밀옥탄으로 변경하면, X로서 알데히드기를 갖고, 아조메틴기의 방향이 반대가 된 탄화수소 화합물이 얻어진다.
다음에 m 및 n이 모두 1인 탄화수소 화합물은, 상기의 반응을 반복함(상기 반응에서 얻어진 화합물에, p-아미노벤즈알데히드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고, 또 이하와 같이 하여, 1단계의 반응에서 얻는 것도 가능하다.
1,8-디아미노옥탄에 대하여, p-아미노벤즈알데히드를 과잉량 사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1단계의 반응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반응에서는, X로서 아미노기를 갖는 탄화수소 화합물이 얻어지지만, 사용하는 원료를 1,8-디포르밀옥탄과 p-아미노벤즈알데히드로 변경하면, X로서 알데히드기를 갖고, 아조메틴기의 방향이 반대로 된 탄화수소 화합물이 얻어진다.
아미노기와 알데히드기와는 반응성이 높기 때문에, 상기 반응은 원료 성분을 접촉 혼합하는 것 등에 의해, 용이하게 진행된다.
이러한 반응은, 아미노기와 알데히드기를 반응시키는 공지 관용의 반응조건에 따라 실시 가능하다. 통상 반응온도는 30?120℃이며, 반응시간은 통상 2?48시간이다.
또 반응용매로서는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성 용매, THF, 시클로펜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용매, MEK, 시클로펜탄온 등의 케톤계 용매, m-크레졸, 페놀 등의 프로톤 도너성의 방향족 용매(산촉매화된 반응조건에 있어서의 사용이 바람직함), 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테트라클로로에탄, 염화벤젠 등의 함할로겐 용매, NMP, DMF, 피리딘, 피페리딘 등의 프로톤 수용성 용매(염기 촉매화된 반응조건에 있어서의 사용이 바람직함), 아세토니트릴, 벤조니트릴 등의 니트릴계 용매를 들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제조 원료인 탄화수소 화합물은 시판되고 있거나, 또는 시판되고 있는 것을 반응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입수 가능하다.
(탄화수소 화합물의 구체예)
이상에서 설명한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탄화수소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식에서, 2개의 X는 모두 아미노기 또는 알데히드기이며, t는 6?12의 정수이다.
<일반식 (III)으로 표시되는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
일반식 (III)을 다시 나타낸다.
상기 식에서, Y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식 (II)에서의 X가 알데히드기인 경우에는 아미노기이고, X가 아미노기인 경우에는 알데히드기이다.
식 (III)에서, Ar1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1가의 방향족기이며, 그 구체예로서는 상기 식 A-1?A-23으로 표시되는 기를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Ar1로서는,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공액계의 확장과 용매에 대한 용해성의 양립의 관점에서, 플루오렌, 페난트롤린 등의 축환계, 또는 비페닐, 비피리딘, 터티오펜 등의 방향환이 2?5 유닛 연결된 공액계가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 식 (III)에서, Ar2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2가의 방향족기이며, 그 구체예로서는 상기 식 B-1?B-24로 표시되는 기를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Ar2로서는 공액계의 확장과 용매에 대한 용해성의 양립의 관점에서, 플루오렌, 페난트롤린 등의 축환계, 또는 비페닐, 비피리딘, 터티오펜 등의 방향환이 2?5유닛 연결된 공액계가 바람직하다.
식 (III)에서, A는 아조메틴기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 기질로서 사용하는 화합물의 선택에 따라, 그 방향은 상이하다.
식 (III)에서, p는 0?5의 정수이며,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공액계의 확장과 용매에 대한 용해성의 양립의 관점에서, 1?3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p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Ar2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일반식 (III)으로 표시되는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의 입수 방법)
일반식 (III)에서, p가 0인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은 시판되고 있고, 용이하게 입수 가능하다.
p가 1 이상인 경우의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은 시판되고 있는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일반식 (III)에서, Ar1이 페닐기이며, Ar2가 페닐렌기인 경우를 예로 하면, 예를 들면, 이하의 반응에 의해, p가 1인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이 얻어진다.
이와 같이, 벤즈알데히드 1분자가 1,4-디아미노벤젠 1분자와 반응하여, 일반식 (III)으로 표시되는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이 얻어지는 반응의 반응조건의 상세는 실시예의 원료 4의 합성의 항목에서 나타낸다.
이상의 반응에서는, Y로서 아미노기를 갖는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이 얻어지지만, 사용하는 반응 원료를 p-아미노벤즈알데히드와 1,4-디포르밀벤젠으로 변경하면, Y로서 알데히드기를 갖고, 아조메틴기의 방향이 반대로 된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이 얻어진다.
또한, p가 2 이상인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은, 상기 반응을 반복함(상기 반응에서 얻어진 아조메틴 화합물에, p-아미노벤즈알데히드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아미노기와 알데히드기와는 반응성이 높기 때문에, 상기 반응은 용이하게 진행된다.
이와 같은 반응은 아미노기와 알데히드기를 반응시키는 공지 관용의 반응조건에 의해 실시 가능하다. 통상 반응온도는 30?120℃이며, 반응시간은 통상 2?48시간이다.
또 반응용매로서는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성 용매, THF, 시클로펜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용매, MEK, 시클로펜탄온 등의 케톤계 용매, m-크레졸, 페놀 등의 프로톤 도너성의 방향족 용매(산촉매화된 반응조건에 있어서의 사용이 바람직함), 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테트라클로로에탄, 염화벤젠 등의 함할로겐 용매, NMP, DMF, 피리딘, 피페리딘 등의 프로톤 수용성 용매(염기 촉매화된 반응조건에 있어서의 사용이 바람직함), 아세토니트릴, 벤조니트릴 등의 니트릴계 용매를 들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제조 원료인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은 시판되고 있거나, 또는 시판되고 있는 것을 반응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입수 가능하다.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의 구체예)
이상에서 설명한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식에서, Y는 알데히드기 또는 아미노기이다.
<반응>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탄화수소 화합물 1당량에 대하여, 상기 일반식 (III)으로 표시되는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 2당량을 반응시킨다. 탄화수소 화합물 및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의 분자량을 적당히 선택(조절)함으로써, 얻어지는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반응에서, 탄화수소 화합물이 갖는 2개의 아미노기 또는 알데히드기가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이 갖는 알데히드기 또는 아미노기와 반응하여 아조메틴기를 형성하고, 아조메틴기와 방향족기가 (번갈아) 결합하여 공액한 구조(상기 방향족기 또는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가 형성된다. 또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에는, 탄화수소 화합물과의 반응에 관여하는 알데히드기 또는 아미노기 이외에, 알데히드기 또는 아미노기와 반응성을 갖는 부위가 없기 때문에, 상기 반응 후,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 또는 탄화수소 화합물과의 반응이 더 일어나지 않아, 폴리아조메틴이 아니고,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진다.
상기 반응에 있어서의 반응온도는, 통상 30?120℃, 반응효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60?100℃이다.
상기 반응에 있어서의 반응시간은, 통상 2?48시간, 반응효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6?24시간이다.
또한 상기 반응에서는, m-크레졸, 디메틸페놀, 페놀, 캄파-술폰산, 나프톨,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염산, 황산과 같은 일반적인 산에 촉매화된 부가반응에 사용되는 촉매가 사용 가능하다. 또한 일반적인 염기에 촉매화된 부가반응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염기도, 상기 반응에 있어서의 촉매로서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반응의 반응용매로서는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성 용매, THF, 시클로펜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용매, MEK, 시클로펜탄온 등의 케톤계 용매, m-크레졸, 페놀 등의 프로톤 도너성의 방향족 용매(산촉매화된 반응조건에 있어서의 사용이 바람직함), 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테트라클로로에탄, 염화벤젠 등의 함할로겐 용매, NMP, DMF, 피리딘, 피페리딘 등의 프로톤 수용성 용매(염기 촉매화된 반응조건에 있어서의 사용이 바람직함), 아세토니트릴, 벤조니트릴 등의 니트릴계 용매를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반응효율의 관점에서, m-크레졸, 톨루엔-m-크레졸 공용매, THF, 시클로펜틸메틸에테르, 시클로펜탄온이 바람직하다.
알데히드기와 아미노기와의 반응성은 높기 때문에, 상기 반응은 용이하게 진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는 입수가 용이한 원료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 상기 아조메틴 올리고머는 비특허문헌 5에 기재된, 주쇄 중의 방향환, 헤테로환 또는 방향환 및 헤테로환에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등을 도입한 폴리아조메틴이 갖는, 원료 모노머를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없기 때문에 공업화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지 않다.
(실시예)
<원료 1의 합성>
질소 치환한 100mL 쉬렝크관에 1,8-디아미노옥탄 3.57g(24.8mmol), m-크레졸 5g, 톨루엔 3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p-아미노벤즈알데히드 2g(16.5mmol)을 톨루엔 30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3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에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오일로서 4.08g(수율: 95%)의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탄화수소 화합물이 얻어졌다.
FAB-MS:m/z=248[M+H]+.
<원료 2의 합성>
질소 치환한 100mL 쉬렝크관에 1,2-비스(2-아미노에톡시)에탄 3.68g(24.8mmol), m-크레졸 5g, THF 3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p-아미노벤즈알데히드 2g(16.5mmol)을 톨루엔 30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3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으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오일로서 3.22g(수율: 51%)의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탄화수소 화합물이 얻어졌다.
FAB-MS:m/z=252[M+H]+.
<원료 3의 합성>
질소 치환한 100mL 쉬렝크관에 디에틸렌글리콜비스(3-아미노프로필)에테르 5.46g(24.8mmol), m-크레졸 5g, THF 3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p-아미노벤즈알데히드 2g(16.5mmol)을 톨루엔 30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3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으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적색 오일로서 4.89g(수율: 88%)의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탄화수소 화합물이 얻어졌다.
FAB-MS:m/z=324[M+H]+.
<원료 4의 합성>
질소 치환한 100mL 쉬렝크관에 1,4-페닐렌디아민 8.05g(74.4mmol), m-크레졸 5g, THF 3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벤즈알데히드 2.63g(24.8mmol)을 THF 30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3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4.00g(수율: 82%)의 일반식 (III)으로 표시되는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이 얻어졌다.
FAB-MS:m/z=197[M+H]+.
<원료 5의 합성>
질소 치환한 100mL 쉬렝크관에 2,5-디아미노피리딘 8.12g(74.4mmol), m-크레졸 5g, THF 3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벤즈알데히드 2.63g(24.8mmol)을 THF 30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3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디메틸에테르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4.33g(수율: 89%)의 일반식 (III)으로 표시되는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이 얻어졌다.
FAB-MS:m/z=198[M+H]+.
<원료 6의 합성>
질소 치환한 100mL 쉬렝크관에 2,6-디아미노피리딘 8.12g(74.4mmol), m-크레졸 5g, THF 3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벤즈알데히드 2.63g(24.8mmol)을 THF 30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3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디메틸에테르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3.51g(수율: 89%)의 일반식 (III)으로 표시되는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이 얻어졌다.
FAB-MS:m/z=198[M+H]+.
<원료 7의 합성>
질소 치환한 100mL 쉬렝크관에 2,3,5,6-테트라메틸-1,4-페닐렌디아민 12.2g(74.4mmol), m-크레졸 5g, THF 3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벤즈알데히드 2.63g(24.8mmol)을 THF 30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3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디메틸에테르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5.65g(수율: 90%)의 일반식 (III)으로 표시되는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이 얻어졌다.
FAB-MS:m/z=253[M+H]+.
<원료 8의 합성>
질소 치환한 100mL 쉬렝크관에 1,4-페닐렌디아민 8.05g(74.4mmol), m-크레졸 5g, THF 3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2-티오펜알데히드 2.78g(24.8mmol)을 THF 30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를 행하고, 그 후 3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디메틸에테르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4.50g(수율: 90%)의 일반식 (III)으로 표시되는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이 얻어졌다.
FAB-MS:m/z=203[M+H]+.
<원료 9의 합성>
질소 치환한 100mL 쉬렝크관에 1,4-페닐렌디아민 8.05g(74.4mmol), m-크레졸 5g, THF 3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4-페닐벤즈알데히드 4.52g(24.8mmol)을 THF 30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를 행하고, 그 후 3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6.63g(수율: 98%)의 일반식 (III)으로 표시되는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이 얻어졌다.
FAB-MS:m/z=273[M+H]+.
<원료 10의 합성>
질소 치환한 50mL 쉬렝크관에 1,4-페닐렌디아민 8.05g(74.4mmol), m-크레졸 5g, THF 15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펜타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 4.86g(24.8mmol)을 THF 15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3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3.20g(수율: 45%)의 일반식 (III)으로 표시되는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이 얻어졌다.
FAB-MS:m/z=287[M+H]+.
<원료 11의 합성>
질소 치환한 100mL 쉬렝크관에 테레프탈알데히드 10.0g(74.4mmol), m-크레졸 5g, 톨루엔 3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아닐린 2.30g(24.8mmol)을 톨루엔 30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3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3.63g(수율: 77%)의 일반식 (III)으로 표시되는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이 얻어졌다.
FAB-MS:m/z=210[M+H]+.
<원료 12의 합성>
질소 치환한 100mL 쉬렝크관에 이소프탈알데히드 10.0g(74.4mmol), m-크레졸 5g, 톨루엔 3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아닐린 2.30g(24.8mmol)을 톨루엔 30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3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2.50g(수율: 48%)의 일반식 (III)으로 표시되는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이 얻어졌다.
FAB-MS:m/z=210[M+H]+.
<원료 13의 합성>
질소 치환한 100mL 쉬렝크관에 테레프탈알데히드 10.0g(74.4mmol), m-크레졸 5g, 톨루엔 3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2-아미노플루오렌 4.49g(24.8mmol)을 톨루엔 30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3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3.47g(수율: 47%)의 일반식 (III)으로 표시되는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이 얻어졌다.
FAB-MS:m/z=298[M+H]+.
<원료 14의 합성>
질소 치환한 100mL 쉬렝크관에 테레프탈알데히드 10.0g(74.4mmol), m-크레졸 5g, 톨루엔 3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1,8-디아미노옥탄 3.57g(24.8mmol)을 톨루엔 30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24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으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백색 고체로서 6.59g(수율: 71%)의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탄화수소 화합물이 얻어졌다.
FAB-MS:m/z=377[M+H]+.
<원료 15의 합성>
질소 치환한 100mL 쉬렝크관에 테레프탈알데히드 10.0g(74.4mmol), m-크레졸 5g, 톨루엔 3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1,2-비스(2-아미노에톡시)에탄 3.68g(24.8mmol)을 톨루엔 30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24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으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백색 고체로서 7.02g(수율: 74%)의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탄화수소 화합물이 얻어졌다.
FAB-MS:m/z=381[M+H]+.
<원료 16의 합성>
질소 치환한 100mL 쉬렝크관에 테레프탈알데히드 10.0g(74.4mmol), m-크레졸 5g, 톨루엔 3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디에틸렌글리콜비스(3-아미노프로필)에테르 5.46g(24.8mmol)을 톨루엔 30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24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으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백색 고체로서 8.22g(수율: 73%)의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탄화수소 화합물이 얻어졌다.
FAB-MS:m/z=453[M+H]+.
<원료 17의 합성>
질소 치환한 100mL 쉬렝크관에 2,5-티오펜디카르보알데히드 10.4g(74.4mmol), m-크레졸 5g, 톨루엔 3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디에틸렌글리콜비스(3-아미노프로필)에테르 5.46g(24.8mmol)을 톨루엔 30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를 행하고, 그 후 24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으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백색 고체로서 6.20g(수율: 54%)의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탄화수소 화합물이 얻어졌다.
FAB-MS:m/z=465[M+H]+.
<원료 18의 합성>
질소 치환한 100mL 쉬렝크관에 2,6-피리딘디카르보알데히드 10.1g(74.4mmol), m-크레졸 5g, 톨루엔 3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디에틸렌글리콜비스(3-아미노프로필)에테르 5.46g(24.8mmol)을 톨루엔 30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24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으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백색 고체로서 3.73g(수율: 33%)의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탄화수소 화합물이 얻어졌다.
FAB-MS:m/z=455[M+H]+.
<원료 19의 합성>
질소 치환한 100mL 쉬렝크관에 4,4'-비페닐디카르보알데히드 15.6g(74.4mmol), m-크레졸 5g, 톨루엔 3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디에틸렌글리콜비스(3-아미노프로필)에테르 5.46g(24.8mmol)을 톨루엔 30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3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으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백색 고체로서 9.50g(수율: 63%)의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탄화수소 화합물이 얻어졌다.
FAB-MS:m/z=605[M+H]+.
<원료 20의 합성>
질소 치환한 100mL 쉬렝크관에 테레프탈알데히드 10.0g(74.4mmol), m-크레졸 5g, THF 3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아민) 5.22g(24.8mmol)을 THF 30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24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으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백색 고체로서 7.82g(수율: 71%)의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탄화수소 화합물이 얻어졌다.
FAB-MS:m/z=443[M+H]+.
<원료 21의 합성>
질소 치환한 100mL 쉬렝크관에 테레프탈알데히드 10.0g(74.4mmol), m-크레졸 5g, THF 3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4,4'-메틸렌비스(2-메틸시클로헥실아민) 5.90g(24.8mmol)을 THF 30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24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한 후, 뜨거운 헥산으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백색 고체로서 8.17g(수율: 70%)의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탄화수소 화합물이 얻어졌다.
FAB-MS:m/z=471[M+H]+.
<원료 22의 합성>
질소 치환한 20mL 쉬렝크관에 2,2':5',2''-터티오펜-5,5''-디카르보알데히드1g(3.3mmol), m-크레졸 1g, THF 1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디에틸렌글리콜비스(3-아미노프로필)에테르 0.242g(1.1mmol)을 THF 6g에 용해한 용액을 1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12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한 후, 뜨거운 헥산, 뜨거운 아세토니트릴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백색 고체로서 0.50g(수율: 57%)의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탄화수소 화합물이 얻어졌다.
FAB-MS:m/z=794[M+H]+.
<원료 23의 합성>
3-헥실티오펜-2,5-디카르보알데히드(원료)의 합성
질소 치환한 300mL 쉬렝크관에 3-헥실티오펜 10g(59.4mmol), THF 20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8℃까지 냉각했다. 그 후에 LDA/헥산 용액(1.6M) 10.7mL를 1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2시간 교반을 행한 후, DMF 20g 투입하고, 6시간 더 교반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에 물 100g, 클로로포름 100g을 투입하고, 얻어진 혼합액을 분액하고, 클로로포름 추출을 행했다. 얻어진 추출액에 대하여, 황산마그네슘에 의한 건조를 행한 후, 다시 이배포레이션을 행했다. 또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전개 용매: 헥산) 농축액의 정제를 행하고, 백색 고체로서 11.57g(수율: 87%)의 3-헥실티오펜-2,5-디카르보알데히드가 얻어졌다.
FAB-MS:m/z=225[M+H]+.
<원료 24의 합성>
질소 치환한 50mL 쉬렝크관에 3-헥실티오펜-2,5-디카르보알데히드 5g(22.3mmol), m-크레졸 1g, THF 2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디에틸렌글리콜비스(3-아미노프로필)에테르 1.64g(7.4mmol)을 THF 10g에 용해한 용액을 1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12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뜨거운 아세토니트릴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백색 고체로서 3.77g(수율: 81%)의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탄화수소 화합물이 얻어졌다.
FAB-MS:m/z=693[M+H]+.
[실시예 1]
상기 반응식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하여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질소 치환한 20mL 쉬렝크관에 벤즈알데히드 0.85g(7.98mmol), m-크레졸 1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합성하여 얻어진 디아민체(원료 1) 0.66g(2.66mmol)을 m-크레졸 5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황갈색 고체로서 0.62g(수율: 55%)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424[M+H]+.
[실시예 2]
상기 반응식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하여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질소 치환한 20mL 쉬렝크관에 벤즈알데히드 0.85g(7.98mmol), m-크레졸 1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합성하여 얻어진 디아민체(원료 2) 0.67g(2.66mmol)을 m-크레졸 5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황갈색 고체로서 0.70g(수율: 62%)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428[M+H]+.
[실시예 3]
상기 반응식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하여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질소 치환한 20mL 쉬렝크관에 퍼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 1.56g(7.98mmol), m-크레졸 1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합성하여 얻어진 디아민체(원료 3) 0.86g(2.66mmol)을 m-크레졸 5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적색 고체로서 0.97g(수율: 53%)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680[M+H]+.
[실시예 4]
상기 반응식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하여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질소 치환한 20mL 쉬렝크관에 합성하여 얻어진 모노아민체(원료 4) 1.57g(7.98mmol), m-크레졸 1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합성하여 얻어진 디알데히드체(원료 14) 1.00g(2.66mmol)을 m-크레졸 5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1.03g(수율: 53%)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733[M+H]+.
[실시예 5]
상기 반응식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하여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질소 치환한 20mL 쉬렝크관에 합성하여 얻어진 모노아민체(원료 5) 1.57g(7.98mmol), m-크레졸 1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합성하여 얻어진 디알데히드체(원료 15) 1.01g(2.66mmol)을 m-크레졸 5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1.37g(수율: 70%)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737[M+H]+.
[실시예 6]
상기 반응식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하여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질소 치환한 20mL 쉬렝크관에 합성하여 얻어진 모노아민체(원료 6) 1.57g(7.98mmol), m-크레졸 1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합성하여 얻어진 디알데히드체(원료 16) 1.21g(2.66mmol)을 m-크레졸 5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홍색 고체로서 1.55g(수율: 72%)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813[M+H]+.
[실시예 7]
상기 반응식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하여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질소 치환한 20mL 쉬렝크관에 합성하여 얻어진 모노아민체(원료 7) 2.01g(7.98mmol), m-크레졸 1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합성해서 얻어진 디알데히드체(원료 16) 1.20g(2.66mmol)을 m-크레졸 5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1.98g(수율: 81%)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922[M+H]+.
[실시예 8]
상기 반응식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하여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질소 치환한 20mL 쉬렝크관에 합성하여 얻어진 모노아민체(원료 8) 1.61g(7.98mmol), m-크레졸 1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합성하여 얻어진 디알데히드체(원료 16) 1.20g(2.66mmol)을 m-크레졸 5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1.77g(수율: 81%)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822[M+H]+.
[실시예 9]
상기 반응식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하여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질소 치환한 20mL 쉬렝크관에 합성하여 얻어진 모노아민체(원료 9) 2.17g(7.98mmol), m-크레졸 1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합성하여 얻어진 디알데히드체(원료 16) 1.20g(2.66mmol)을 m-크레졸 5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2.05g(수율: 80%)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962[M+H]+.
[실시예 10]
상기 반응식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하여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질소 치환한 20mL 쉬렝크관에 합성하여 얻어진 모노아민체(원료 10) 2.28g(7.98mmol), m-크레졸 1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합성하여 얻어진 디알데히드체(원료 17) 1.24g(2.66mmol)을 m-크레졸 5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1.55g(수율: 58%)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1001[M+H]+.
[실시예 11]
상기 반응식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하여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질소 치환한 20mL 쉬렝크관에 합성하여 얻어진 모노알데히드체(원료 11) 1.67g(7.98mmol), m-크레졸 1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1,12-디아미노도데칸 0.53g(2.66mmol)을 m-크레졸 5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한 후,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0.77g(수율: 50%)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583[M+H]+.
[실시예 12]
상기 반응식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하여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질소 치환한 20mL 쉬렝크관에 합성하여 얻어진 모노알데히드체(원료 12) 1.67g(7.98mmol), m-크레졸 1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1,12-디아미노도데칸 0.53g(2.66mmol)을 m-크레졸 5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0.59g(수율: 38%)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583[M+H]+.
[실시예 13]
상기 반응식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하여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질소 치환한 20mL 쉬렝크관에 합성하여 얻어진 모노알데히드체(원료 13) 2.37g(7.98mmol), m-크레졸 1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디에틸렌글리콜비스(3-아미노프로필)에테르 0.59g(2.66mmol)을 m-크레졸 5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1.09g(수율: 53%)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779[M+H]+.
[실시예 14]
상기 반응식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하여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질소 치환한 20mL 쉬렝크관에 아닐린 0.74g(7.98mmol), m-크레졸 1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합성하여 얻어진 디알데히드체(원료 19) 1.61g(2.66mmol)을 m-크레졸 5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1.11g(수율: 55%)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755[M+H]+.
[실시예 15]
상기 반응식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하여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질소 치환한 20mL 쉬렝크관에 아닐린 0.74g(7.98mmol), m-크레졸 1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합성하여 얻어진 디알데히드체(원료 20) 1.18g(2.66mmol)을 m-크레졸 5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1.19g(수율: 75%)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593[M+H]+.
[실시예 16]
상기 반응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질소 치환한 20mL 쉬렝크관에 아닐린 0.74g(7.98mmol), m-크레졸 1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합성하여 얻어진 디알데히드체(원료 21) 1.25g(2.66mmol)을 m-크레졸 5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1.31g(수율: 79%)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621[M+H]+.
[실시예 17]
상기 반응식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하여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질소 치환한 20mL 쉬렝크관에 아닐린 0.74g(7.98mmol), m-크레졸 1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합성하여 얻어진 디알데히드체(원료 22) 2.11g(2.66mmol)을 m-크레졸 5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1.49g(수율: 59%)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944[M+H]+.
[실시예 18]
상기 반응식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하여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질소 치환한 20mL 쉬렝크관에 2-아미노플루오렌 1.45g (7.98mmol), m-크레졸 1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합성하여 얻어진 디알데히드체(원료 24) 1.68g(2.66mmol)을 m-크레졸 5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한 후,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1.76g(수율: 69%)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960[M+H]+.
[실시예 19]
질소 치환한 50mL 쉬렝크관에 합성하여 얻어진 상기 반응식의 모노아민체(원료 10) 2.28g(7.98mmol), m-크레졸 2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합성하여 얻어진 상기 반응식의 디알데히드체(원료 22) 2.11g(2.66mmol)을 m-크레졸 10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적자색 고체로서 2.89g(수율: 96%)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1330[M+H]+.
[실시예 20]
질소 치환한 50mL 쉬렝크관에 합성하여 얻어진 모노아민체(원료 10) 1.14g(3.99mmol), 모노아민체(원료 4) 0.78g(3.99mmol), m-크레졸 2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합성하여 얻어진 상기 반응식의 디알데히드체(원료 22) 2.11g(2.66mmol)을 m-크레졸 10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상기의 3종류의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혼합물로서 적자색 고체로서 2.89g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1150[M+H]+, 1330[M+H]+, 1240[M+H]+.
[실시예 21]
상기 반응식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하여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질소 치환한 20mL 쉬렝크관에 3-아미노-9-에틸카르바졸 1.68g(7.98mmol), m-크레졸 1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합성하여 얻어진 디알데히드체(원료 16) 1.20g(2.66mmol)을 m-크레졸 5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담홍색 고체로서 1.45g(수율: 65%)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838[M+H]+.
[비교예 1]
질소 치환한 20mL 쉬렝크관에 벤즈알데히드 0.85g(7.98mmol), m-크레졸 1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합성하여 얻어진 2,7-디아미노플루오렌 0.52g(2.66mmol)을 m-크레졸 5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황색 고체로서 0.65g(수율: 61%)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373[M+H]+.
[비교예 2]
질소 치환한 20mL 쉬렝크관에 퍼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 1.56g(7.98mmol), m-크레졸 1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합성하여 얻어진 2,7-디아미노플루오렌 0.52g(2.66mmol)을 m-크레졸 5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황색 고체로서 0.52g(수율: 35%)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553[M+H]+.
[비교예 3]
질소 치환한 20mL 쉬렝크관에 벤즈알데히드 0.85g(7.98mmol), m-크레졸 1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합성하여 얻어진 1,5-디아미노나프탈렌 0.42g(2.66mmol)을 m-크레졸 5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황색 고체로서 0.43g(수율: 48%)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335[M+H]+.
[비교예 4]
질소 치환한 20mL 쉬렝크관에 벤즈알데히드 0.85g(7.98mmol), m-크레졸 1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합성하여 얻어진 2,3,5,6-테트라메틸-1,4-페닐렌디아민 0.44g(2.66mmol)을 m-크레졸 5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황색 고체로서 0.58g(수율: 64%)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341[M+H]+.
[비교예 5]
질소 치환한 20mL 쉬렝크관에 2-아미노플루오렌 1.45g(7.98mmol), m-크레졸 10g을 투입하고, 교반을 행하면서 반응용액을 70℃까지 가열했다. 그 후에 합성하여 얻어진 테레프탈알데히드 0.36g(2.66mmol)을 m-크레졸 5g에 용해한 용액을 3시간 걸쳐서 상기 용액에 적하하고, 그 후 6시간 교반을 행한 후, 반응을 종료했다. 반응용액 중의 휘발성 용매를 이배포레이션한 후,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고, 뜨거운 헥산, 아세토니트릴, 메탄올로 세정했다. 이것에 의해 황색 고체로서 0.41g(수율: 33%)의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얻어졌다.
FAB-MS:m/z=461[M+H]+.
<용해성의 평가>
실시예 1?21 및 비교예 1?5에서 얻어진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용매로의 용해성을 평가했다.
A : 실온(25℃)에서 가용(100g의 용매에 0.1g이상 용해), B : 가열가용(실온에서는 100g의 용매에 용해하는 것이 0.1g미만이고, 각종 용매의 비점까지 가열함으로써 가용으로 된다), C : 불용(가열하여도 100g의 용매에 용해하는것이 0.1g미만). IPA : 이소프로판올, THF : 테트라히드로푸란, MEK : 메틸에틸케톤, PGM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틸.
표 1로부터, 유연한 구조인 탄화수소기와, 강직한 구조인 방향족기 혹은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를 갖는 본 발명의 아조메틴 올리고머는 메탄올, 에탄올,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IPA, THF, MEK 및 톨루엔 중 어느 것인가 적어도 1종의 용매에 용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강직한 구조인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만으로 이루어지는 아조메틴 올리고머는 상기 용매에 대하여 전혀 용해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도 알 수 있다.
Claims (10)
- 주골격 중에, 산소 원자, 유황 원자 또는 시클로알킬렌기를 갖는 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2가의 탄화수소기를 갖고,
상기 탄화수소기의 양쪽 말단에, 아조메틴기를 갖고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방향족기, 또는, 아조메틴기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2가의 방향족기가 번갈아 결합하여 공액한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가 이 아조메틴기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이 방향족기 및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는 알데히드기 및 아미노기와 반응성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조메틴 올리고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기가 분지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2?1024의 알킬렌기, 기 중에 에테르 결합 및/또는 티오에테르 결합을 갖고,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2?1024의 2가의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3?50의 시클로알킬렌기, 및, 기 중에 카르복실기를 갖고,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2?1024의 2가의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조메틴 올리고머.
- 제 1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분자량이 150?1500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조메틴 올리고머.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크레졸, 톨루엔, THF, 시클로펜틸메틸에테르, 아세톤, MEK, MIBK, 시클로펜탄온,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클로로벤젠, 이황화탄소,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락트산메틸,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벤질알코올, n-부탄올, t-부탄올, 펜틸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피리딘, NMP, 황산, 포름산, 아세트산, 염산, 락트산, 트리에틸아민, 디부틸아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 또는 2종 이상의 공용매 100g에 대하여, 25℃에서 0.1g 이상의 용해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조메틴 올리고머.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조메틴 올리고머가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조메틴 올리고머:
(상기 식에서, 2개 존재하는 Ar은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1가의 방향족기, 또는 아조메틴기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2가의 방향족기가 번갈아 결합하여 공액한 방향족환 함유 공액기이고,
A는 아조메틴기이고,
R은 분지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2?1024의 알킬렌기, 기 중에 에테르 결합 및/또는 티오에테르 결합을 갖고,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2?1024의 2가의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3?50의 시클로알킬렌기, 또는 기 중에 카르복실기를 갖고,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2?1024의 2가의 탄화수소기이다.).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조메틴 올리고머를 P형 반도체층 또는 N형 반도체층의 형성 재료로서 사용하여 제작한 p-n 접합 소자에 대하여, P형 반도체측의 전극에 정극 단자를, N형 반도체측의 전극에 부극 단자를 접속하고, -5V?+5V의 범위 내에서 전압을 인가할 수 있고, 순방향의 전력량/역방향의 전력량>1.0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조메틴 올리고머.
- 하기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탄화수소 화합물 1당량에 대하여, 하기 일반식 (III)으로 표시되는 방향족환 함유 화합물 2당량을 반응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에 기재된 아조메틴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상기 식 (II)에서, 2개의 X는 모두 알데히드기 또는 아미노기이고,
2개의 Ar은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2가의 방향족기이고,
A는 아조메틴기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할로겐 원자 또는 카르복실기이고,
Z는 산소 원자, 유황 원자 또는 시클로알킬렌기를 갖는 2가의 기이고,
m 및 n은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고,
i는 0 또는 1이고,
h 및 j는 독립적으로 0?12의 정수이고(단, Z가 산소 원자 또는 유황 원자인 경우에는, h 및 j는 모두 1 이상임),
k는 1?10의 정수이고,
h가 2 이상인 경우, 복수 존재하는 R1은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되고,
j가 2 이상인 경우, 복수 존재하는 R2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되고,
k가 2 이상인 경우, 복수 존재하는 (-(CHR1)h-(Z)i-(CHR2)j-)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되고,
(-(CHR1)h-(Z)i-(CHR2)j-)k로 표시되는 구조 중의 탄소 원자수는 2?1024임;
상기 식 (III)에서, Y는 상기 식 (II)에서의 X가 알데히드기인 경우에는 아미노기이며, X가 아미노기인 경우에는 알데히드기이고,
Ar1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1가의 방향족기이고,
Ar2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2가의 방향족기이고,
A는 아조메틴기이고,
p는 0?5의 정수이고,
p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 존재하는 Ar2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019609 | 2010-01-29 | ||
JP2010019609 | 2010-01-29 | ||
PCT/JP2011/051637 WO2011093394A1 (ja) | 2010-01-29 | 2011-01-27 | 新規アゾメチンオリゴマ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1120A true KR20120101120A (ko) | 2012-09-12 |
KR101429651B1 KR101429651B1 (ko) | 2014-08-13 |
Family
ID=44319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17989A KR101429651B1 (ko) | 2010-01-29 | 2011-01-27 | 신규 아조메틴 올리고머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5665772B2 (ko) |
KR (1) | KR101429651B1 (ko) |
CN (1) | CN102781908A (ko) |
TW (1) | TW201139504A (ko) |
WO (1) | WO201109339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602321A (en) * | 2020-12-24 | 2022-06-29 | Sumitomo Chemical Co | Thermally conductive polymer |
KR20230027521A (ko) | 2021-08-19 | 2023-02-28 | 주식회사 산하첨단소재 | 금속촉매, 산촉매, 상간이동촉매를 이용한 고순도의 에버롤리무스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68956A (ja) * | 1981-10-21 | 1983-04-25 | Hitachi Ltd | 半導体封止用樹脂組成物 |
JPH08113622A (ja) * | 1994-10-18 | 1996-05-07 | Mitsui Petrochem Ind Ltd | ポリアゾメチ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薄膜電界発光素子 |
JPH09194832A (ja) * | 1996-01-17 | 1997-07-29 | Stanley Electric Co Ltd | 有機led素子 |
US7108958B2 (en) * | 2002-07-31 | 2006-09-19 | Brewer Science Inc. | Photosensitive bottom anti-reflective coatings |
US20060040139A1 (en) * | 2004-08-18 | 2006-02-23 | Norman Herron | Electronic devices made with metal Schiff base complexes |
WO2009026376A1 (en) * | 2007-08-20 | 2009-02-26 |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 Polymer-nanoparticl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
JP2009274962A (ja) * | 2008-05-12 | 2009-11-26 | Yoshihiro Ishikawa | 鉄サレン錯体、磁性を有する薬剤、薬剤の誘導システム、並びに磁気検出装置 |
JP2009283523A (ja) * | 2008-05-20 | 2009-12-03 | Sumitomo Chemical Co Ltd | 半導体素子 |
-
2011
- 2011-01-27 WO PCT/JP2011/051637 patent/WO201109339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1-27 CN CN2011800072305A patent/CN102781908A/zh active Pending
- 2011-01-27 JP JP2011551908A patent/JP566577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01-27 KR KR1020127017989A patent/KR10142965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01-28 TW TW100103288A patent/TW201139504A/zh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1093394A1 (ja) | 2011-08-04 |
JP5665772B2 (ja) | 2015-02-04 |
JPWO2011093394A1 (ja) | 2013-06-06 |
KR101429651B1 (ko) | 2014-08-13 |
CN102781908A (zh) | 2012-11-14 |
TW201139504A (en) | 2011-1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owalski et al. | Synthesis of Poly (4, 4-dialkyl-cyclopenta [2, 1-b: 3, 4-b′] dithiophene-alt-2, 1, 3-benzothiadiazole)(PCPDTBT) in a Direct Arylation Scheme | |
Pei et al. | Efficient energy transfer to achieve narrow bandwidth red emission from Eu3+-grafting conjugated polymers | |
Ng et al. | The Role of Ruthenium and Rhenium Diimine Complexes in Conjugated Polymers That Exhibit Interesting Opto‐Electronic Properties | |
KR102014223B1 (ko) | 네트워크에서 유기 금속 착화합물의 가교 및 안정화 | |
Knapton et al. | Synthesis and properties of metallo-supramolecular poly (p-phenylene ethynylene) s | |
Marzano et al. | Tin-free synthesis of a ternary random copolymer for BHJ solar cells: direct (hetero) arylation versus stille polymerization | |
Wakioka et al. | Mixed-ligand approach to palladium-catalyzed direct arylation polymerization: highly selective synthesis of π-conjugated polymers with diketopyrrolopyrrole units | |
Aly et al. | New polymer syntheses. IX. Synthesis and properties of new conducting polyazomethine polymers containing main chain cycloalkanone and pyridine moieties | |
KR20120101119A (ko) | 신규 아조메틴 올리고머 | |
Hsiao et al. | Synthesis and electrochromic properties of aromatic polyamides with pendent triphenylamine units | |
KR20120110137A (ko) | 신규 폴리아조메틴 | |
Sudheendran et al. | Cyclopolymerization-derived block-copolymers of 4, 4-bis (octyloxymethyl)-1, 6-heptadiyne with 4, 4-dipropargyl malonodinitrile for use in photovoltaics | |
Bejan et al. | Acid-responsive behavior promoted by imine units in novel triphenylamine-based oligomers functionalized with chromophoric moieties | |
KR101429651B1 (ko) | 신규 아조메틴 올리고머 | |
Choi et al. | Synthesis of poly (N‐9‐ethylcarbazole‐exo‐norbornene‐5, 6‐dicarboximide) for hole‐transporting layer in hybri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
Chen et al. | Synthesis and properties of Zn 2+/Cd 2+-directed self-assembled metallo-supramolecular polymers based on 1, 4-diketo-pyrrolo [3, 4-c] pyrrole (DPP) derivatives | |
Zou et al. | Recyclable heterogeneous palladium-catalyzed carbon–carbon coupling polycondensations toward highly purified conjugated polymers | |
Bathula et al. |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optoelectronic properties of Benzodithiophene based copolymers for application in solar cells | |
Hu et al. | Triazine-containing blue emitting Hyperbranched polyamide with donor-acceptor architecture: synthesis, characterization, optoelectronic properties, and sensing behaviors toward ferric ions | |
Hsiao et al. | Synthesis and Optoelectronic Properties of Novel Polyamides with 2‐Naphthyldiphenylamine Units | |
US20150340633A1 (en) | Organic solar cell of the bulk heterojunction type comprising an imide based conjugated backbone compound as photoactive material | |
US6822069B2 (en) | Poly (5-aminoquinoxalines) and use thereof | |
US5104948A (en) | Substituted extensively conjugated ionic polyacetylenes | |
US5037916A (en) | Substituted extensively conjugated ionic polyacetylenes | |
JPWO2019156204A1 (ja) | ポリマー組成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