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9546A -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 Google Patents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9546A
KR20120099546A KR1020110008781A KR20110008781A KR20120099546A KR 20120099546 A KR20120099546 A KR 20120099546A KR 1020110008781 A KR1020110008781 A KR 1020110008781A KR 20110008781 A KR20110008781 A KR 20110008781A KR 20120099546 A KR20120099546 A KR 20120099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sheet
release film
layer
polyester
polyester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해상
엄태수
이정우
최경훈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8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9546A/ko
Publication of KR20120099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54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68Releas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67Using separating agents during or after moulding; Applying separating agents on preforms or articles, e.g. to prevent sticking to each other
    • B29C37/0075Using separating agents during or after moulding; Applying separating agents on preforms or articles, e.g. to prevent sticking to each other using releas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은 이형층 및 기재층이 적층된 구조로서, 이형층 면과 기재층 면의 중심선 평균조도를 서로 달리함으로써 그린시트 성형시 이형필름의 표면돌기에 의한 그린시트의 손상을 방지하고 적층공정에서 박리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균일한 박리특성을 가지며,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제조공정상에서 이활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POLYESTER RELEASE FILM FOR FORMING GREEN SHEET}
본 발명은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린시트 성형시 이형필름의 표면돌기에 의한 그린시트의 손상을 방지하고 적층공정에서 박리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균일한 박리특성을 가지며,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제조공정상에서 이활성을 갖는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에 관한 것이다.
적층세라믹 콘덴서는 디지털 제품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장착되어 전하를 축적하는 역할을 한다. 적층세라믹 콘덴서를 제조하는 공정은 세라믹 파우더 및 유기바인더와 용매로 구성된 세라믹 슬러리를 캐스팅용 이형필름에 성형하여 그린시트를 형성하는 성형공정, 그린시트 표면에 유전체를 인쇄하는 인쇄공정, 이형필름으로부터 그린시트를 박리하여 다층으로 적층하는 적층 공정, 적층된 그린시트를 재단하는 재단공정, 재단공정에서 형성된 세라믹칩을 소성하여 유기바인더를 태우는 소성공정 및 소성된 세라믹칩의 양단에 전극을 입히는 공정 등으로 구성된다.
최근 디지털 제품의 소형경량화 및 박막화 추세에 따라 적층세라믹 콘덴서도 소형화되는 추세이다. 세라믹 콘덴세가 소형화되기 위해서는 그린시트의 박막화가 필수적이며, 박막화된 그린시트의 적층수를 늘려감에 따라 유전체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종래 그린시트의 두께가 5 내지 10㎛의 수준에서 최근에는 2 내지 5㎛수준의 기술로 향상되었으며, 두께 1㎛이하의 그린시트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그린시트를 성형하는 공정에서 표면의 평활성 및 제조상의 편리성의 이유로 통상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이 캐스팅 필름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린시트가 2㎛이하의 두께로 박막화됨에 따라 이형필름 표면의 돌기에 의한 세라믹콘덴서의 쇼트불량 등 완제품의 수율저하 및 그린시트 박리시 시트의 불균일한 박리와 찢어지는 현상으로 적층공정에서 수율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제조에 있어서 표면의 평활성을 높이기 위하여 필름의 조도를 낮추어 돌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나 조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낮출 경우 필름 제조 공정상의 이활성이 부족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권취불량이나 마찰에 의한 표면손상 또는 표면의 돌기가 발생하는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 등은 상기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그린시트를 2㎛ 이하의 두께로 박막화하여 제조하더라도 이형필름 표면의 돌기에 의한 세라믹 콘덴서의 쇼트불량 및 그린시트 박리시 시트의 불균일한 박리와 찢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며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제조공정상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이형필름의 특성에 대해 예의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린시트 성형시 이형필름의 표면돌기에 의한 그린시트의 손상을 방지하고 적층공정에서 박리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균일한 박리특성을 가지며,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제조공정상에서의 이활성을 갖는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은 기재층과 이형층을 포함하되, 상기 이형층 면의 중심선 평균조도가 20㎚이하 이며, 상기 기재층 면의 중심선 평균조도가 3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한다.
이때, 상기 기재층은 유기입자 또는 무기입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입자는 폴리스티렌, 폴레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수지, 실리콘수지, 불소수지, 페놀수지 등이며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무기입자는 실리카, 칼슘 카보네이트, 알루미나, 실리카 알루미나,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늄 옥사이드, 카올린 또는 탄산바륨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기입자 또는 무기입자의 평균입경은 0.1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고, 함량은 0.01 내지 2.0 중량% 첨가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형층의 박리력은 2 내지 10gf/25㎜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은 25 내지 50㎛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그린시트 성형시 이형필름의 표면돌기에 의한 그린시트의 손상을 방지하고 적층공정에서 박리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균일한 박리특성을 가지며,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제조공정상에서의 이활성을 갖는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은 기재층과 이형층을 포함하되, 상기 이형층 면의 중심선 평균조도가 20㎚이하 이고, 상기 기재층 면의 중심선 평균조도가 3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의 기재층 및 이형층으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사용되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글리콜 성분을 중축합시켜 제조하여 얻어진 것으로 할 수 있으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 디카르 복실산 등이 포함되고, 지방족 글리콜 성분으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이 포함된다.
상기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의 이형층 면의 중심선 평균조도를 20㎚이하, 기재층 면의 중심선 평균조도를 30 내지 60㎚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기재층을 제조하는 과정 중 유기입자 또는 무기입자를 첨가하여 얻어질 수 있으며, 첨가되는 유기입자 또는 무기입자의 종류, 평균입경, 첨가량의 조절을 통하여 특정한 표면조도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무기입자로는 실리카, 칼슘 카보네이트, 알루미나,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늄 옥사이드, 카올린 및 탄산바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입자로는 폴리스티렌, 폴레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수지, 실리콘수지, 불소수지 및 페놀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첨가되는 유기입자 또는 무기입자의 평균입경은 0.1 내지 5㎛ 이며, 첨가량은 0.01 내지 2.0 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때 각 층에 첨가되는 무기입자 또는 유기입자의 평균입경을 달리하여 각 층의 표면조도를 조절한다. 입자의 평균입경이 0.1㎛ 미만에 해당하면 필름의 표면이 평탄화하게 되어 권취시 블로킹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입자의 평균입경이 5㎛를 초과하면 조대돌기가 발생하여 그린시트 성형시 핀홀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첨가량이 0.01중량% 미만인 경우 필름 표면이 평탄해져 권취시 블로킹이 발생하거나 입자의 분포가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있고, 2.0 중량% 첨가 를 초과할 경우 입자의 응집에 의한 조대돌기가 발생하거나 헤이즈가 증가하여 투명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유기입자 또는 무기입자를 함유시키는 방법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공정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의 중간단계에서 상기 유기입자 또는 무기입자를 첨가할 수 있으며, 특히 에스테르화의 단계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종료 후 중축합반응 개시 전 단계에서 에틸렌글리콜 등 지방족 글리콜에 분산시킨 슬러리로서 첨가하여 중축합반응을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상기 입자를 컴파운딩법을 이용하여 다량의 입자를 투입, 혼합하여 마스터 칩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융함에 있어서 통상의 2층 공압출의 제조방법으로서 제1층에는 중심선 평균조도가 20㎚이하가 되도록 유기입자 또는 무기입자를 함유한 수지를 넣고, 제2층에는 중심선 평균조도가 30 내지 60㎚가 되도록 유기입자 또는 무기입자를 함유한 수지를 넣고 압출한다. 무기입자가 함유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2층 공압출기에서 용융압출하여 합지된 미연신 시트를 형성한 후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2축 연신하여 180 내지는 200℃에서 열처리를 하여 기재층을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이형층 면의 중심선 평균조도가 20㎚를 초과할 때 2㎛이하의 그린시트 성형시 이형필름과의 접촉면에 요철을 발생시키거나 표면 평활성을 저하시킨다.
상기의 기재층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면의 중심선 평균조도가 30㎚ 미만일 경우에는 필름간의 마찰로 인한 권취시의 블로킹 현상 및 돌기가 발생하게 되며, 제조설비의 가이드 롤에 대한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의 이활성이 부족하여 마찰 스크래치를 유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재층 면의 중심선 평균조도를 30㎚이상으로 하여 이활성을 부여할 수 있으나 중심선 평균조도가 60㎚를 초과할 경우 조대 돌기에 의한 권취 표면의 돌기(요철)를 유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형층면의 10점 평균조도가 30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이형층 면의 10점 평균조도가 300㎚를 초과할 경우 조대입자 및 돌기 등이 발생하여 그린시트에 핀홀 등의 표면 손상을 유발시킬 수 있다.
상기의 제조공정에 의하여 얻어진 기재층을 코팅 기재로 하여 이형층을 도포함에 있어서 용이한 박리특성 및 그와 더불어 코팅 표면의 균일성을 얻기 위해서는 드라이 코팅량과 기재층 위에 이형층을 코팅한 후 표면장력이 30dyne/㎝이하일 것이 요구된다.
상기의 이형층의 박리력은 2 내지 10gf/2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층의 코팅 조성물로 용제형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며, 열풍 경화 방식을 적용하여 코팅한다. 2㎛이하의 두께를 요구하는 그린시트의 성형에 있어서 성형후 이형필름으로부터 그린시트의 원활한 박리를 위해서는 기재층 위에 코팅되는 이형층의 적정량의 도포를 통하여 이형층이 2 내지 10gf/25㎜ 수준의 박리력일 것이 요구된다. 이형필름의 박리력이 10gf/25㎜를 초과할 경우 2㎛이하의 그린시트는 세라믹분말 및 바인더의 밀도가 높아 필름과의 밀착성이 높아져 필름에서 쉽게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형층의 박리력이 2gf/25㎜ 미만일 경우 과도한 이형성으로 인하여 박리공정 이전에 그린시트가 벗겨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의 현상을 예방하며 그린시트의 박리공정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형층은 2 내지 10gf/25㎜의 박리력이 요구된다.
박리 특성을 얻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실리콘 코팅 조성물은 알킬 비닐폴리실록산, 알킬하이드로젠 폴리실록산, 백금 착화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수지를 용제에 희석한 조성물을 이용하며, 이러한 경화형 실리콘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축합반응형, 부가반응형, 자외선 경화성, 전자선 경화형 등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조성물 중 유기 용제에 희석된 실리콘 수지의 도공량은 1g/㎡이하가 적당하며, 이를 초과하여 도공을 할 경우 원활한 박리특성을 얻을 수는 있으나, 실리콘 수지의 미경화 현상이나 실리콘 수지의 그린시트로의 전사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에 이형층을 코팅하는 코팅 방법으로는 그라비아롤 코팅법, 슬롯다이 코팅법, 리버스롤 코팅법 또는 에어나이프 코팅법 등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으며, 코팅 후 건조방법으로는 주로 열풍 건조 방법이 이용된다. 건조시 경화 온도는 높을수록 짧은 시간에 경화 시킬 수는 있지만 필름이 변형되지 않는 온도에서의 생산성을 고려하여 적정한 시간에서 경화시키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80℃ 에서 5 내지 40초 간 건조하는 것이 적당하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은 두께가 23 내지 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의 두께가 23㎛ 미만인 경우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에 그린시트 성형후 유전층을 인쇄하는 공정에 있어서 이형필름의 강도가 떨어져 유전체 인쇄 공정에서 주름 불량이 발생하며, 두께가 50㎛를 초과하는 경우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이 권취된 롤의 무게가 무거워져 취급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1) 폴리에스테르(PET) 수지를 용융함에 있어서 통상의 2층 공압출의 제조방법으로서 이형층에는 중심선 평균조도가 20㎚이하가 되도록 표1의 조성으로 유기입자 또는 무기입자를 함유한 수지를 넣고, 기재층에는 중심선 평균조도가 30 내지 60㎚가 되도록 표1의 유기입자 또는 무기입자를 함유한 수지를 넣고 압출하였다. 무기입자가 함유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2층 공압출기에서 용융압출하여 합지된 미연신 시트를 형성한 후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4.5배, 길이방향 4.6배로 2축 연신하고 190℃에서 열처리를 하여 평균두께 30㎛의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을 얻었다.
(2) 상기 기재층의 제1층 상에 실리콘수지(신에츠사, KS778) 300g, 백금계 촉매(신에츠사) 4g을 톨루엔 10kg에 용해시킨 조성물을 슬롯다이코팅법으로 0.5g/m2의 양으로 코팅한 다음 130℃에서 20초간 열풍경화하여 이형제가 코팅된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입자종류 입자 크기 입자함량
실시예1 이형층 칼슘카보네이트 1.0um 1.0중량%
기재층 실리카 2.0um 1.0중량%
실시예2 이형층 칼슘카보네이트 1.0um 1.0중량%
기재층 실리카 2.2um 1.0중량%
실시예3 이형층 칼슘카보네이트 1.0um 1.0중량%
기재층 실리카 2.8um 1.0중량%
비교예1 이형층 칼슘카보네이트 1.0um 1.0중량%
기재층 칼슘카보네이트 1.0um 1.0중량%
비교예2 이형층 칼슘카보네이트 1.0um 1.0중량%
기재층 실리카 1.8um 1.0중량%
비교예3 이형층 칼슘카보네이트 1.0um 1.0중량%
기재층 실리카 3.0um 1.0중량%
비교예4 이형층 칼슘카보네이트 1.0um 1.0중량%
기재층 실리카 3.3um 1.0중량%
<물성평가>
(1) 표면조도 측정
3차원 표면조도계를 사용하여 기재층 양면의 중심선 평균조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3차원 표면조도계는 코사카사(KOSAKA)의 SE-3300이며, JIS-B0601에 의한 측정방법에 의하여 중심선 평균조도를 측정하였다.
(2) 마찰계수 측정
표면성 시험기를 사용하여 기재층 표면(이형제가 도포되는 면)의 반대면의 동마찰계수와 정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사용된 마찰계수 측정기는 헤이덴 14D(Heidon 14D)이며, 측정방법은 ASTM-D1894를 따랐다. 동마찰계수가 0.5 이하일 때 주행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3) 스크래치 평가
이형층면을 폭1m, 길이1m 넓이로 샘플링하여 1 내지 10mm크기 스크래치와 개수를 육안으로 판단하였다.
5개 이하 : 우수(○), 6 내지 10개 : 보통(△), 11개 이상 : 불량(X)
(4) 권취 표면 돌기(요철)
이형층면을 내측으로 하여 권취한 롤의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폭 1m, 길이 1m 넓이에서 100㎛ 이상 크기의 돌기 개수를 육안으로 판단하였으며 돌기가 1개 이상이면 불량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5) 박리력 평가
실리콘 이형필름의 코팅면 위에 TESA7475 테이프를 부착한 다음 롤러로 압착시켜 상온에 30분간 숙성시킨 후 300mm/min 속도로 180°각도로 테이프가 박리되는 강도를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치를 계산한 값이다.
측정기기는 헤이돈(Heidon)사의 표면성 시험기이며, 측정 단위는 gf/25mm이다.
(6) 그린시트의 핀홀 개수
슬롯다이코팅법으로 톨루엔에 희석된 PVA수지에 약 50nm 크기의 세라믹파우더를 분산시킨 세라믹 슬러리를 도포한 그린시트를 성형한 후 권출부에서 주행 중에 육안으로 관찰하여 핀홀의 발생유무를 확인하였다. 폭 200mm의 이형필름에 세라믹 슬러리를 성형하여 길이 100m를 성형하는 동안 발생되는 핀홀의 개수를 측정하였다.
(7) 그린시트의 표면 평활성
성형 후 건조된 그린시트를 가로 100mm, 세로 100mm의 크기로 박리하여 표면의 상태를 광학현미경을 통해 40배로 확대하여 관찰하였을때 100㎛이상 크기의 요철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광학현미경은 니콘사(NIKON)의 ECLIPSE NV100을 사용하였으며, 표면의 요철 발생 정도에 따라 상태를 판정하였다.
◎: 요철 0개
○: 요철 1 내지 5개
X : 요철 6 내지 10개
XX: 요철 10개 초과
(8) 그린시트 박리성
성형후 건조 후 인쇄공정을 거쳐 적층공정을 진행하게 되며 적층기를 통해 이형필름으로부터 그린시트를 박리할 때의 작업성을 관찰하였으며, 아래의 수준으로 상태를 분류하였다.
◎: 박리가 쉽게되어 그린시트가 날리는 정도로 불량한 상태
○: 적절한 박리강도로 적층 공정의 작업성이 양호한 상태
X : 박리강도가 높아 부분적으로 미박리가 발생하는 상태
중심선 평균 조도(㎚) 마찰계수
(기재층면)

스크래치

돌기

박리력
(gf/25㎜)

핀홀
개수

표면
평활성

시트
박리성
이형층면 기재층면 동마찰계수 정마찰계수
실시예1 17.5 32.0 0.43 0.55 0 3.4 0
실시예2 18.2 42.3 0.41 0.5 0 3.3 0
실시예3 17.0 59.2 0.4 0.49 0 4.0 0
비교예1 18.5 18.2 0.75 0.82 X 0 2.8 0
비교예2 17.8 28.9 0.59 0.68 0 4.2 0
비교예3 17.4 62.2 0.41 0.53 1 3.9 0
비교예4 18.0 73.5 0.36 0.48 2 4.5 0
상기의 표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비교예 1 및 2 에서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의 기재층 면의 중심선 평균조도가 30㎚ 미만일 경우에는 마찰계수가 높아 평활성이 떨어지고 주행중 마찰에 의한 스크래치가 많이 발생하는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비교예 3 내지 4 에서 기재층 면의 중심선 평균조도가 6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권취후 표면 돌기를 유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표 2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이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의 두께가 25㎛미만인 비교예 5의 경우 적층세라믹 커패시터(MLCC) 공정 중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에 그린시트 성형후 유전층을 인쇄하는 공정에서 주름이 발생하였고, 두께가 50㎛를 초과하는 비교예 6의 경우 주름에 대한 평가는 양호하였으나 이형필름이 권취된 롤의 무게가 무거워져 취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형층 면의 의 조도는 그린시트(세라믹시트)와 직접 닿는 면이기 때문에 조조도 낮은 것이 유리하다. 조도가 높으면 그린시트에 핀홀 및 표면평활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기재층 면의 조도는 PET 필름을 생산하거나 코팅하는 공정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PET필름을 권취하는 공정에서 필름 양면의 조도가 모두 낮다면 마찰계수가 너무 높아서 주행성이 떨어지게 되어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발생하고, 돌기등을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PET필름의 제2층은 적절한 수준의 조도를 부여해서 공정성을 높일 수 있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층 및 이형층으로 적층되고 상기 이형층 면의 중심선 평균조도가 20㎚이하 이며, 상기 기재층 면의 중심선 평균조도가 3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을 제공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형층 면과 기재층 면의 중심선 평균조도를 서로 달리함으로써 그린시트 성형시 이형필름의 표면돌기에 의한 그린시트의 손상을 방지하고 적층공정에서 박리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균일한 박리특성을 가지며,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제조공정상에서 이활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8)

  1. 기재층과 이형층을 포함하는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에 있어서상기 이형층 면의 중심선 평균조도가 20㎚이하 이고, 상기 기재층 면의 중심선 평균조도가 3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및 이형층이 유기입자 또는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입자가 폴리스티렌, 폴레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수지, 실리콘수지, 불소수지 및 페놀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입자가 실리카, 칼슘 카보네이트, 알루미나, 실리카 알루미나,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늄 옥사이드, 카올린 및 탄산바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입자 또는 무기입자의 평균입경이 0.1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입자 또는 무기입자의 함량이 0.01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층의 박리력이 2 내지 10gf/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의 두께는 23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KR1020110008781A 2011-01-28 2011-01-28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KR201200995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781A KR20120099546A (ko) 2011-01-28 2011-01-28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781A KR20120099546A (ko) 2011-01-28 2011-01-28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546A true KR20120099546A (ko) 2012-09-11

Family

ID=47109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781A KR20120099546A (ko) 2011-01-28 2011-01-28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9546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2680A (ko) * 2012-09-28 2014-04-0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20150072380A (ko) * 2012-10-19 2015-06-29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이형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CN104835644A (zh) * 2014-02-07 2015-08-1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脱模薄膜以及使用了其的层叠陶瓷电子部件的制造方法
JP2015164797A (ja) * 2014-02-07 2015-09-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離型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20160021754A (ko) * 2013-06-18 2016-02-26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이형용 이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880182B1 (ko) * 2018-01-02 2018-07-1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형필름
KR20200016320A (ko) * 2020-02-07 2020-02-1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
WO2020242276A1 (ko) * 2019-05-30 2020-12-0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형 필름
WO2022085241A1 (ja) * 2020-10-21 2022-04-28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および成型品の製造方法
WO2022097872A1 (ko) * 2020-11-06 2022-05-1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210896A1 (ja) * 2021-03-31 2022-10-06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CN116178771A (zh) * 2023-02-22 2023-05-30 四川群琪科技有限公司 一种离型膜及其制备方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2680A (ko) * 2012-09-28 2014-04-0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20150072380A (ko) * 2012-10-19 2015-06-29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이형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60021754A (ko) * 2013-06-18 2016-02-26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이형용 이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CN104835644A (zh) * 2014-02-07 2015-08-1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脱模薄膜以及使用了其的层叠陶瓷电子部件的制造方法
JP2015164797A (ja) * 2014-02-07 2015-09-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離型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101880182B1 (ko) * 2018-01-02 2018-07-1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형필름
WO2020242276A1 (ko) * 2019-05-30 2020-12-0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형 필름
KR20200016320A (ko) * 2020-02-07 2020-02-1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
WO2022085241A1 (ja) * 2020-10-21 2022-04-28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および成型品の製造方法
WO2022097872A1 (ko) * 2020-11-06 2022-05-1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61777A (ko) * 2020-11-06 2022-05-1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210896A1 (ja) * 2021-03-31 2022-10-06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CN116178771A (zh) * 2023-02-22 2023-05-30 四川群琪科技有限公司 一种离型膜及其制备方法
CN116178771B (zh) * 2023-02-22 2023-12-15 四川群琪科技有限公司 一种离型膜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9546A (ko)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JP5492352B2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工程用剥離フィルム
JP6171937B2 (ja) 離型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273717B2 (ja) セラミックシート成形用離型フィルム
KR20140011390A (ko) 세라믹 그린 시트 제조 공정용의 박리 필름
JP2009233919A (ja) 帯電防止性離型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160021754A (ko) 이형용 이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TWI468290B (zh) Release film
JP4183962B2 (ja) 離型フィルム
KR101099879B1 (ko) 콘덴서의 그린시트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및 이를 이용한 그린시트의 제조방법
KR101998345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JP5915542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20904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380884B2 (ja) 離型フィルム
JP7129018B2 (ja) 離型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597896B1 (ko) 그린 시트 성형용 이형 필름
JP6481725B2 (ja) グリーンシート成形用離型フィルム
JP2008239844A (ja) 離型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1219489A (ja) 離型フィルム
JP2020100092A (ja) 二軸配向フィルム
JP4391858B2 (ja) グリーンシート成形用離型フィルム
CN114654851B (zh) 聚酯膜结构
KR20150010864A (ko) 표면 특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08239843A (ja) 離型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899314B2 (ja) 薄膜セラミック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ロー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