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8636A -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및 영상 정보 전달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및 영상 정보 전달 표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98636A KR20120098636A KR1020127009936A KR20127009936A KR20120098636A KR 20120098636 A KR20120098636 A KR 20120098636A KR 1020127009936 A KR1020127009936 A KR 1020127009936A KR 20127009936 A KR20127009936 A KR 20127009936A KR 20120098636 A KR20120098636 A KR 201200986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guide
- display
- information
- trai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7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034 disappearanc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6829 Ficus sundaic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4719 Personality chan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XIWFQDBQMCDYJT-UHFFFAOYSA-M benzyl-dimethyl-tridecylazanium;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CCCCCCCCCCC[N+](C)(C)CC1=CC=CC=C1 XIWFQDBQMCDYJ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9—On-board display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18—Communication with or on the vehicle or train
- B61L15/0036—Conductor-based, e.g. using CAN-Bus, train-line or optical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45—Destination indicators, identification panels or distinguishing signs on the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열차의 각 차량에 각각 탑재되어 안내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와; 안내 화면의 구성에 이용되는 부품 레벨의 컨텐츠인 부품 컨텐츠를 기억하는 부품 컨텐츠 기억부와; 안내 화면 상에 표시시키는 안내 컨텐츠에 따라서, 열차 정보에 기초하여, 안내 화면의 구성에 이용되는 부품 컨텐츠를 부품 컨텐츠 기억부로부터 선택하고, 이 선택된 부품 컨텐츠를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에 따라서 안내 화면 상에 배치하고, 추가로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에 따라서 부품 컨텐츠를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표시부에서 안내 컨텐츠를 표시시키는 안내 화면 작성부를 구비한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차의 차량 내에 마련된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정보를 전달 제공하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및 영상 정보 전달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열차의 차량 내에 설치된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승객에게 영상 정보를 전달 제공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어서 실용화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2 참조).
이러한 종래의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에서는 미리 행선 안내 등의 안내 화면을 구성하는 컨텐츠(이하, 「안내 컨텐츠」라고 칭함)는 각 화면마다 1매(枚)의 컨텐츠로서 표시 장치의 기억부에 기억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에서는 기억부에 기억된 각 화면마다 1매의 안내 컨텐츠를 표시시키기 위해, 열차 종별, 행선, 또는 호차 번호 등의 열차 정보의 일부만 다를 뿐 그 외는 동일한 정보이어도, 새로운 1매의 안내 컨텐츠를 작성하고, 이것을 기억부에 보존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안내 컨텐츠의 매수에 따라서 데이터 기억 용량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종래의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에서, 역의 증설 등에 대응하는 경우는 열차 종별, 행선, 및 호차 번호 등의 공통 부분이 있어도 신규로 안내 컨텐츠 전체를 작성할 필요가 있어서, 안내 컨텐츠의 증대를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추가로 또, 예를 들어 일자 정보 등을 덧붙여 쓰고자 하는 경우, 일자 정보 데이터를 모든 안내 컨텐츠에 덧붙여 써야 하고, 안내 컨텐츠의 수정에 엄청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특허 문헌 3에서는 열차 정보에 따른 정지 화면의 안내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시스템에 있어서, 안내 화면을 구성하는 각 정보의 각각에 대응하는 부품 레벨의 컨텐츠인 부품 컨텐츠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마련하고, 열차 정보에 따라서 필요한 부품 컨텐츠를 이 기억부로부터 선택하고, 선택한 부품 컨텐츠를 안내 화면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안내 화면을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데이터 기억 용량을 작게 할 수 있고, 추가로 안내 컨텐츠의 추가, 수정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2002-127905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 2003-95105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제3875950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시스템에서, 안내 화면은 정지 화면이기 때문에, 승객에 대해서 제공되는 정보량이나 주목도가 예를 들어 동영상의 경우에 비하면 일반적으로 적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열차 내의 표시 장치에서 예를 들어 동영상의 안내 화면을 표시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동영상의 표시에 막대한 데이터 기억 용량이 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안내 컨텐츠의 표시에 필요한 데이터 기억 용량을 큰 폭으로 저감시키면서, 승객에 대한 정보량이나 주목도를 크게 할 수 있는 것과 아울러 표시 내용의 추가, 수정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및 영상 정보 전달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은, 차를 구성하는 각 차량에 각각 탑재되어, 서로 연계하여 열차 정보를 관리하는 열차 정보 장치와; 상기 각 차량에 각각 탑재되어, 안내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와; 상기 안내 화면의 구성에 이용되는 부품 레벨의 컨텐츠인 부품 컨텐츠를 기억하는 부품 컨텐츠 기억부와; 상기 안내 화면 상에서 상기 부품 컨텐츠의 배치를 정의하는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 기억부와; 상기 안내 화면 상에서 상기 부품 컨텐츠의 동작을 정의하는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 기억부와; 상기 안내 화면 상에 표시시키는 안내 컨텐츠에 따라서, 상기 열차 정보 장치로부터 얻어진 상기 열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내 화면의 구성에 이용되는 상기 부품 컨텐츠를 상기 부품 컨텐츠 기억부로부터 선택하고, 이 선택된 상기 부품 컨텐츠를 상기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안내 화면 상에 배치하고, 이 배치된 상기 부품 컨텐츠를 상기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에 따라서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안내 컨텐츠를 표시시키는 안내 화면 작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영상 정보 전달 표시 방법은, 열차를 구성하는 각 차량에 각각 탑재되어 서로 연계하여 열차 정보를 관리하는 열차 정보 장치와; 상기 각 차량에 각각 탑재되어 안내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와; 상기 안내 화면의 구성에 이용되는 부품 레벨의 컨텐츠인 부품 컨텐츠를 기억하는 부품 컨텐츠 기억부가 마련된 열차 내에서, 영상 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서 상기 영상 정보를 표시시키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열차 정보 장치로부터 상기 열차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안내 화면 상에 표시시키는 안내 컨텐츠에 따라서, 상기 열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내 화면의 구성에 이용되는 상기 부품 컨텐츠를 상기 부품 컨텐츠 기억부로부터 선택하는 단계와; 이 선택된 상기 부품 컨텐츠를 상기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안내 화면 상에 배치하고, 상기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에 따라서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안내 컨텐츠를 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 컨텐츠를 동작시켜서 안내 화면을 구성하도록 했으므로, 표시에 필요한 데이터 기억 용량을 큰 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정지 화면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 승객에 대한 정보 제공량이나 주목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안내 화면을 부품 컨텐츠에 의해 구성하는 것과 아울러, 부품 컨텐츠의 배치 및 동작을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 및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에 의해 정의하도록 했으므로, 표시 내용의 추가, 수정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기억부의 기억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안내 화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부품 컨텐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화면 작성부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기억부의 기억 내용의 추가로 상세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도 8에 계속되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역간에 있어서 안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안내 컨텐츠의 표시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부품 컨텐츠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2에 의한 안내 컨텐츠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문자 묘화(描畵)로서의 부품 컨텐츠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부품 컨텐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부품 컨텐츠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파트(R) 및 파트(S)의 축소 방향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기억부의 기억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안내 화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부품 컨텐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화면 작성부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기억부의 기억 내용의 추가로 상세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도 8에 계속되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역간에 있어서 안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안내 컨텐츠의 표시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부품 컨텐츠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2에 의한 안내 컨텐츠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문자 묘화(描畵)로서의 부품 컨텐츠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부품 컨텐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부품 컨텐츠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파트(R) 및 파트(S)의 축소 방향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및 영상 정보 전달 표시 방법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은 예를 들어 복수대의 차량(1호차 ~ n호차; n은 2 이상의 정수)으로 이루어진 열차 상에 구축된 차상 시스템(70), 지상 시스템으로서의 지상국(51)으로 구성된다. 차상 시스템(70)은 열차 정보 장치(10, 11), 영상 정보 전달 장치(20), 분기 장치(21), 표시 장치(30), 및 무선 송수신 장치(5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차상 시스템(70)은 무선 송수신 장치(50)에 의해, 지상국(51)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열차 정보 장치(10)는 예를 들어 선두 차량(1호차)에 탑재된 열차 정보 중앙 장치이고, 열차 정보 장치(11)는 각 차량에 탑재된 열차 정보 단말 장치이다. 열차 정보 장치(10, 11)는 서로 전송로(12)를 통하여 접속되어, 서로 연계하여 열차 정보의 관리, 수집 등을 행하여, 열차 정보를 공유한다. 또한, 열차 정보 장치(10)는 각종 제어 장치와 접속되고, 열차 정보 장치(11)를 통괄한다. 열차 정보 장치(10, 11)에 의해 관리되는 열차 정보의 일례를 들면, 출발역 정보, 열차 종별 정보, 호차정보, 행선 정보, 열차명 정보, 주행 위치 정보, 속도 정보, 도어 개폐 정보 등이다. 또한, 이들 열차 정보는 영상 정보 전달 장치(20)로부터 전송로(22)를 통하여 분기 장치(21)에 통지되어도 좋다.
영상 정보 전달 장치(20)는 예를 들어 선두 차량에 탑재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서 보유하는 영상 정보의 전달을 행한다. 영상 정보 전달 장치(20)는 동 차량의 열차 정보 장치(10) 및 무선 송수신 장치(50)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영상 정보 전달 장치(20)는 각 차량에 각각 탑재된 분기 장치(21)와 전송로(22)를 통하여 접속되어 분기 장치(21)는 각각 예를 들어 복수대의 표시 장치(30)와 접속되어 있다. 즉, 각 차량에는 각각 예를 들어 복수대의 표시 장치(30)가 탑재되어 있다.
지상국(51)으로부터는 차상 시스템(70)에 대해서 노선의 운행 정보 등이 송신되고, 송신된 노선의 운행 정보 등이 무선 송수신 장치(50)에 의해 수신된다. 수신된 노선의 운행 정보 등은 영상 정보 전달 장치(20)를 경유하여, 열차 정보 장치(10)에 송신되고, 추가로 전송로(12)를 통하여 각 차량에 탑재된 열차 정보 장치(11)에 송신된다. 또, 열차 정보 장치(10)에는 운행 개시 시에 당해 열차의 운행 정보(예를 들어, 행선, 열차 종별, 출발역 등)가 입력 설정된다. 운행 개시 시에 입력 설정된 이들 운행 정보는 전송로(12)를 통하여 각 차량의 열차 정보 장치(11)에 송신된다. 또, 각 차량의 열차 정보 장치(11)에 의해 수집된 열차 정보는 전송로(12)를 통하여 서로 송수신되고, 이들 열차 정보는 열차 정보 장치(11) 및 열차 정보 장치(10)에 의해 공유된다. 각 차량의 열차 정보 장치(11)는 각각 분기 장치(21)를 통하여 열차 정보를 표시 장치(30)에 송신한다. 또한, 이들 운행 정보 정보는 영상 정보 전달 장치(20)로부터 전송로(22)를 통하여 분기 장치(21)에 통지되어도 좋다.
또, 영상 정보 전달 장치(20)는 무선 송수신 장치(50)에 의해, 지상국(51)으로부터 영상 정보를 취득한다. 이 영상 정보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부품 컨텐츠 데이터이다. 영상 정보 전달 장치(20)는 수신한 영상 정보를, 예를 들어 열차 정보의 전달과 동일한 경로, 즉 열차 정보 장치(10), 열차 정보 장치(11), 분기 장치(21)를 경유하여, 각 차량에 탑재된 표시 장치(30)에 송신한다. 또한, 영상 정보를 지상국(51)으로부터 취득하는 대신에, 기억 매체나 노트 PC 등(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영상 정보 전달 장치(20)에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또, 영상 정보 전달 장치(20)로부터 표시 장치(30)로 영상 정보의 전송 경로는 상기한 것 이외에, 열차 정보 장치(10, 11)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분기 장치(21)를 경유하여 표시 장치(30)에 도달하는 경로로 할 수도 있다. 이 때, 분기 장치(21)는 전송로(22)에 흐르는 신호를 각 차량에 마련된 표시 장치(30)에 분기시킨다. 이와 같이, 이들 열차 정보는 영상 정보 전달 장치(20)로부터 전송로(22)를 통하여 분기 장치(21)에 통지되어도 좋다.
도 2는 표시 장치(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표시 장치(30)는 후술하는 여러 가지 정의 데이터 및 부품 컨텐츠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 등의 기억부(31)와, 이 기억부(31)에 접속되어 영상 정보의 안내 화면을 작성하는 화면 작성부(32)와, 이 화면 작성부(32)가 작성한 안내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3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화면 작성부(32)는 예를 들어 CPU 등의 하드웨어와, 이 하드웨어와 협동해서 동작하는 소정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된다.
도 3은 기억부(31)의 기억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부(31)는 안내 화면의 구성에 이용되는 부품 레벨의 컨텐츠인 부품 컨텐츠를 기억하는 부품 컨텐츠 기억부(31A)와, 안내 화면 상에서 부품 컨텐츠의 배치 위치를 정의하는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 기억부(31B)와, 안내 화면 상에서 부품 컨텐츠의 동작을 정의하는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 기억부(31C)를 구비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품 컨텐츠는 부품으로서의 화상이다.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는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 파일에 예를 들어 텍스트 형식으로 기재된다.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는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 파일에 예를 들어 텍스트 형식으로 기재된다. 또한, 도 3에서, 기억부(31)는 표시 장치(30) 내의 기억 영역을 총괄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반드시 부품 컨텐츠 기억부(31A),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 기억부(31B), 및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 기억부(31C)의 모든 것이 동일한 기억 매체의 안에 기억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이들이 예를 들어 개별의 기억 매체에 기억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화면 작성부(32)에 의한 안내 화면 작성 처리의 개요를 설명한다. 또한, 동작의 상세는 후술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정지 화면의 경우와 동일하게, 안내 화면은 파트(부품)를 조립(assemble)해서 구성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 화면(1)에 열차 종별(101), 행선(102), 호차 번호(103), 안내 종별(104), 및 역명(105)의 각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에, 이들 정보를 각각 파트(부품)로서 구성한다. 그리고 화면 작성부(32)는 열차 정보 장치(11)로부터 열차 정보를 취득한 후, 각 파트마다 얻어진 열차 정보에 대응하는 부품 컨텐츠를 부품 컨텐츠 기억부(31A)로부터 선택한다. 예를 들어, 열차 정보에 기초하여 열차 종별이 「각 역 정차」라고 판단된 경우, 화면 작성부(32)는 열차 종별(101)의 표시에 이용해야 할 부품 컨텐츠로서 「완행 _행」을 선택한다. 다른 부품에 대해서도 동일하고, 화면 작성부(32)는 열차 정보에 대응한 부품 컨텐츠를 선택한다. 또한, 부품 컨텐츠 기억부(31A) 내에 기억된 부품 컨텐츠 그룹은 정지 화면의 화상 데이터이고, 영상 정보 전달 장치(20)로부터 전달된 것이다.
계속해서, 화면 작성부(32)는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 기억부(31B)에 기억된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 화면(1) 상의 소정 위치에 각 부품 컨텐츠(열차 종별(101), 행선(102), 호차 번호(103), 안내 종별(104), 역명(105) 등)를 각각 배치한다. 즉, 화면 작성부(32)는 선택된 각 부품 컨텐츠를 안내 화면(1)에 첩부하고, 부품 컨텐츠를 조립하는 것에 의해 안내 화면(1)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안내 화면(1)은 안내 컨텐츠를 구성하는 초기 화면(1매째의 프레임)으로 된다.
또한, 각 부품 컨텐츠는 1매의 안내 화면에 비해 데이터 용량이 작고, 또, 여러가지 안내 컨텐츠에 대해서 부품 컨텐츠를 유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부품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시스템 전체적으로 데이터 기억 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열차 정보에 의존하여 표시 내용이 변화하는 부분(예를 들어 도 4의 열차 종별(101) 등)만을 파트로 할 뿐만 아니라, 표시 내용이 열차 정보에 의존하지 않은 부분(예를 들어 베이스 부분 등)도 파트로 할 수 있다. 또, 적어도 하나의 파트를 정의한 경우, 안내 화면(1)의 나머지 부분도 파트로 간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양(一樣)의 배경색인 베이스 부분에 도 4의 열차 종별(101), 행선(102), 호차 번호(103), 안내 종별(104), 역명(105) 등을 첩부하는 구성을 생각했을 때에, 베이스 부분도 파트로 간주할 수 있다. 표시 내용이 열차 정보에 의존하지 않은 부분도 부품화하는 것에 의해, 이와 같은 부품도 다른 안내 컨텐츠 사이에서 공용할 수 있는 경우가 있어서, 시스템 전체의 컨텐츠 기억 용량의 저감에 기여한다. 예를 들어 평면 노선도에 이용되는 맵 부분의 파트화 등은 공용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다음에, 화면 작성부(32)는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 기억부(31C)에 기억된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를 참조한다.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는 안내 화면(1) 상에서 각 부품 컨텐츠의 동작을 정의하고 있다. 부품 컨텐츠의 동작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동 동작, 회전 동작, 확대 또는 축소 동작, 출현 또는 소멸 동작 등이 있다. 여기서, 출현 또는 소멸 동작은 부품 컨텐츠의 투과도가 시간적으로 변화하고, 투명 상태로부터 서서히 출현하거나 또는 서서히 투명 상태로 이행하는 변화를 나타낸다. 또, 색의 변화(색상, 색채, 명도 등의 변화)도 이 동작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외에도 여러 가지 동작을 정의할 수 있다.
도 5는 부품 컨텐츠(110)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에서는 부품 컨텐츠(110)가 일방향으로 평행 이동하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화살표는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도 5(b)에서는 부품 컨텐츠(110A)가 안내 화면(1) 내를 우회전하여 회전하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또, 부품 컨텐츠(110B)는 그 표시 내용이 안내 화면(1)에 평행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부품 컨텐츠(110B)의 배치 위치는 변화하지 않지만, 그 표시 내용이 회전한다. 도 5(c)에서는 부품 컨텐츠(110)가 확대되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5(d)에서는 부품 컨텐츠(110)가 화살표의 방향으로 평행 이동하는 것과 아울러 그 투과도가 시간 경과와 함께 증가되어서, 부품 컨텐츠(110)가 점차 투명화되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화면 작성부(32)는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에 따라서 각 부품 컨텐츠를 동작시킨 안내 화면(1)을 순차 작성하고, 이것을 표시부(33)에서 표시시키는 것에 의해 안내 컨텐츠의 표시를 행한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초기 화면에 대해서 각 부품 컨텐츠를 약간만 동작시킨 화면을 작성하고, 추가로 이 작성된 화면에 대해서 각 부품 컨텐츠를 약간만 동작시킨 화면을 작성하도록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에 따라서 부품 컨텐츠를 동작시킨 복수매의 화면을 순차 작성하고, 이들 화면을 시계열로 표시하는 것에 의해 안내 컨텐츠의 표시를 행한다.
다음에,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화면 작성부(32)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기억부(31)의 기억 내용의 추가로 상세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고, 도 9는 도 8에 계속되는 플로차트이고, 도 10은 역간에 있어서 안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면 작성부(32)는 안내 컨텐츠를 구성하는 시계열적으로 연속한 복수 프레임(구성 화상)의 작성 지시 내용을 기재한 파일인 화면 작성 지시 파일을 생성하는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부(32A)와, 이 화면 작성 지시 파일에 기초하여 각 프레임을 생성하는 화상 파일 생성부(32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부(31)는 도 3의 구성에 더하여, 후술하는 역정차 중 안내 표시순 데이터, 주행 중 안내 표시순 데이터, 및 역접근 중 안내 표시순 데이터를 기억하는 안내 표시순 데이터 기억부(31D)를 구비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부(32A)는 열차 정보를 취득한다(S1). 열차 정보는 열차 정보 장치(11)로부터 직접 취득하거나, 또는 일단 기억부(31)에 보존한 후에 기억부(31)로부터 취득해도 좋다.
다음에,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부(32A)는 취득한 열차 정보에 기초하여 열차 상태를 판단한다(S2). 구체적으로, 열차 상태는 예를 들어 역정차 중, 주행 중, 또는 다음역 접근 중으로 분류되고,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부(32A)는 얻어진 열차 정보로부터 당해 열차가 상기 3개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이들 3개 상태는 일례로서 그 외의 분류를 채용해도 좋다.
S2에 있어서 열차 상태의 판단 결과, 당해 열차가 예를 들어 역정차 중으로 판단된 경우,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부(32A)는 안내 표시순 데이터 기억부(31D)에 기억된 역정차 중 안내 표시순 데이터를 참조하여, 당해 정차역에서 순차 표시해야 할 안내 컨텐츠(롤이라고 함)를 결정한다(S3).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열차가 예를 들어 「국회 의사당앞」역에 정차 중인 경우, 안내 컨텐츠인 「역설비 안내」를 표시하지만, 이것은 당해 역에서 「역설비 안내」를 표시해야 하는 것이 정차 중 안내 표시순 데이터에 기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역설비 안내」는 소정 시간(이 시간을 T초 동안이라고 함)을 단위로 하여 반복해서 표시된다.
또, S2에 있어서 열차 상태의 판단 결과, 당해 열차가 주행 중으로 판단된 경우,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부(32A)는 안내 표시순 데이터 기억부(31D)에 기억된 주행 중 안내 표시순 데이터를 참조하여, 주행 중에 순차 표시해야 할 안내 컨텐츠(롤)를 결정한다(S4).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 열차는 「국회 의사당앞-가스미가세키」역간을 주행 중인 경우, 정차 중 안내 표시순 데이터의 기재에 따라서, 「근방 노선 안내(일본어)」, 「근방 노선 안내(영어)」, 「광역 노선 안내(일본어)」, 및 「환승 안내」를 이 순서로 표시한다. 또, 「근방 노선 안내(일본어)」, 「근방 노선 안내(영어)」, 「광역 노선 안내(일본어)」, 및 「환승 안내」의 각 안내 컨텐츠는 상기와 동일하게 각각 T초 동안을 단위로 하여 표시되고, 추가로 이들 롤이 반복해서 표시된다.
또, S2에 있어서 열차 상태의 판단 결과, 열차가 다음역에 접근 중으로 판단된 경우,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부(32A)는 안내 표시순 데이터 기억부(31D)에 기억된 역접근 중 안내 표시순 데이터를 참조하여, 다음역 접근 중에 순차 표시해야 할 안내 컨텐츠(롤)를 결정한다(S5).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열차가 예를 들어 「가스미가세키」역에 접근 중인 경우, 역접근 중 안내 표시순 데이터에 따라서, 「다음역 설비 안내」 및 「도어 열림 안내」를 이 순서로 표시한다. 또, 「다음역 설비 안내」 및 「도어 열림 안내」의 각 안내 컨텐츠는 상기와 동일하게 각각 T초 동안을 단위로 하여 표시되고, 추가로 이들 롤이 반복해서 표시된다. 또한, 열차가 다음역에 접근 중인지 여부의 판단은 예를 들어 열차로부터 다음역까지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지의 여부에 의해 판단한다.
다음에,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부(32A)는 표시해야 할 안내 컨텐츠(롤)에 따라서, 열차 정보에 기초하여 안내 화면(1)의 구성에 이용하는 부품 컨텐츠를 결정한다(S6).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차 종별(101)이 파트의 하나인 경우에, 열차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열차가 「각 역 정차」으로 판단됐을 때는 부품 컨텐츠로서 「완행 _행」을 결정한다.
계속해서,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부(32A)는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 기억부(31B)에 기억된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각 부품 컨텐츠의 안내 화면(1) 상에 있어서 초기 배치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아울러,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 기억부(31C)에 기억된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각 부품 컨텐츠 동작의 초기 정보를 취득하고, 이들 취득된 정보로부터 안내 컨텐츠를 구성하는 1매째의 프레임을 작성하기 위한 작성 지시 내용을 기재한 초기 파일(6A)을 생성한다(S7). 초기 파일(6A)은 상술한 화면 작성 지시 파일(6)의 하나이다. 또한, 화면 작성 지시 파일은 예를 들어, 안내 컨텐츠마다 미리 준비된 템플릿 파일(template file; 도시하지 않음)에 상기 취득한 정보를 매립(embed)하는 형태로 작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면 작성 지시 파일의 기초가 되는 템플릿 파일은 미리 기억부(31)에 보존해 둔다.
여기서,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안내 컨텐츠 또는 안내의 종별마다, 구성에 이용되는 각 부품 컨텐츠의 배치 위치를, 예를 들어 안내 화면(1) 상에 설정된 XY 좌표에 의한 좌표값으로 정의한다.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는 안내 화면(1)을 구성하는 파트마다(즉 부품 컨텐츠마다)의 동작을 정의한다. 그 구체적인 예로 들어, 예컨대 파트(P1)에 관해서는 개시 0초부터 종료 T초까지의 동안에 안내 화면(1) 상을 좌회전하여 90˚일정 각속도로 회전하는 취지가 기재된다. 또, 예를 들어 파트(P2)에 관해서, 개시 0초부터 T1초까지는 정지한 상태, T1초부터 T2초까지는 일정 방향에 등속으로 이동하고, T2초부터 종료 T초까지는 다시 정지한 상태인 취지가 기재된다. 예를 들어 파트(P3)에 관해서는 동작 없이 있는 취지가 기재된다. 또, 예를 들어 파트(P4)에 관해서, 개시 0초부터 T3초까지는 투과도 100%이고, T3초부터 T4초까지의 동안에 투과도가 50%까지 감소하고, T4초부터 종료 T초까지는 다시 일정한 투과도로 표시하는 취지가 기재된다. 또, 예를 들어 파트(P5)에 관해서, 개시 0초부터 T5초까지는 100%의 크기로 표시하고, T5초부터 T6초까지의 동안에 크기를 150%까지 확대하고, T5초부터 종료 T초까지는 다시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는 취지가 기재되는 등이 있다.
초기 파일(6A)은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로부터 얻어진 부품 컨텐츠의 초기 배치 위치의 지시, 부품 컨텐츠의 투과도가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경우 등에는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로부터 얻어진 그 초기 투과도(즉, 상술한 동작의 초기 정보)의 지시 등을 포함하는 것 외에, 구성에 이용되는 부품 컨텐츠와 부품 컨텐츠 기억부(31A) 내에 실제로 격납된 화상 파일과의 관련지음 정보 등, 1프레임째의 작성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초기 파일(6A)은 데이터 기억 용량 저감의 목적을 위해서 예를 들어 텍스트 파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안내 화면(1)의 작성에 필요한 지시 내용은 텍스트 형식으로 기재된다.
다음에,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부(32A)는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1매째의 프레임에 계속되는 나머지 모든 프레임의 작성 지시 내용을 개별로 기재한 복수의 차분 파일(6B)을 생성한다(S7). 이들 차분 파일(6B)은 연속하는 프레임에 대해서 그 차분 표시 내용을 작성 지시하는 파일이고, 상술한 화면 작성 지시 파일(6)이다.
여기서, 차분 파일(6B)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안내 컨텐츠는 예를 들어 T초 동안에 구성되고, 이전에 예를 들어 M매의 프레임이 생성되어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단, M은 2 이상의 정수). 또한, M은 안내 컨텐츠가 부드럽게 표시되는 정도 이상의 수로 설정된다. 또,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에 기재된 파트의 동작예로서, 예를 들어 전술한 파트(P1)의 동작을 예로 설명한다. 즉, 파트(P1)는 T초 동안에 안내 화면(1) 상을 좌회전하여 90˚회전하는 것으로 한다. 그렇다면, 파트(P1)는 연속하는 프레임 사이에서 좌회전되어 (90/M)˚회전하게 된다.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부(32A)는 이 예와 같이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의 기재에 기초하여 각 프레임간에서의 동작을 차분 정보로서 산출하고, 이것을 차분 파일(6B)에 기재한다. 구체적으로,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부(32A)는 초기 파일(6A)을 생성한 후, 1매째의 프레임에 계속되는 2매째 프레임의 작성 지시 내용으로서 파트(P1)가 좌회전되어 (90/M)˚회전하는 취지 등의 차분 정보를 기재한 1번째의 차분 파일(6B)을 생성한다. 이 구성에서, 2매째의 프레임은 초기 파일(6A) 및 1번째의 차분 파일(6B)에 의해 작성할 수 있다. 동일하게,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부(32A)는 2매째의 프레임에 계속되는 3매째 프레임의 작성 지시 내용을 당해 프레임간의 차분 표시 내용으로서 기재한 2번째의 차분 파일(6B)을 생성한다. 3매째의 프레임은 초기 파일(6A)과 1번째 및 2번째의 차분 파일(6B)에 의해 작성할 수 있다. 그 외의 경우도 동일하다. 또한, 초기 파일(6A) 및 차분 파일(6B)은 기억부(31) 내에 보존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내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매의 프레임을 작성하기 위한 화면 작성 지시 파일(6)로서, 초기 파일(6A)과 차분 파일(6B)을 생성한다. 그렇지만, 차분 파일(6B)을 생성하는 대신에, 모든 프레임에 대해서 초기 파일(6A)과 동일한 파일을 작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매째의 프레임에 대응하여 상기 1번째의 차분 파일(6B)을 생성하는 대신에, 초기 파일(6A)과 상기 1번째의 차분 파일(6B) 내용을 합한 파일을 가장 먼저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차분 파일(6B)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프레임간에 중복하는 내용을 기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만큼 데이터 기억 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 화상 파일 생성부(32B)에 의한 안내 컨텐츠의 표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파일 생성부(32B)는 우선, 표시가 1프레임째의 표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8). 표시를 개시할 때는 1매째 프레임의 표시, 즉 1프레임째의 표시가 되기 때문에(S8, 예), 이 경우 화상 파일 생성부(32B)는 초기 파일(6A)에 기초하여, 부품 컨텐츠 기억부(31A)로부터 필요한 부품 컨텐츠를 선택하고, 1번째의 화상 파일(8)을 생성한다(S9). 화상 파일(8)은 예를 들어 RGB 파일이다. 그리고 화상 파일 생성부(32B)는 생성된 1번째의 화상 파일(8)에 기초한 화상을 1매째의 프레임으로서 표시부(33)에 출력한다(S11).
한편, S8에 있어서 판정의 결과, 1프레임째 이후(1매째 프레임 이외)의 표시인 경우(S8, 아니오), 화상 파일 생성부(32B)는 전회(前回)의 표시에서 이용한 화면 작성 지시 데이터에 표시 대상의 프레임을 작성하기 위한 차분 파일(6B)의 내용을 반영시킨 데이터 내용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화상 파일(8)을 생성한다(S9). 여기서, 전회의 표시에서 이용한 화면 작성 지시 데이터는 직전에 표시된 프레임의 작성에 이용된 초기 파일(6A), 또는 초기 파일(6A) 및 차분 파일(6B)의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2매째 프레임의 표시를 하는 경우는 전회의 표시에서 이용한 화면 작성 지시 데이터는 초기 파일(6A)의 데이터이다. 또, 예를 들어 3매째 프레임의 표시를 하는 경우, 전회의 표시에서 이용한 화면 작성 지시 데이터는 초기 파일(6A) 및 1번째 차분 파일(6B)의 데이터이다. 즉, 1매 전의 프레임 작성에 이용되어 이미 메모리에 전개된 데이터에 표시 대상 프레임의 차분 파일(6B) 내용을 더하는 것에 의해 처리를 간소화함과 아울러 데이터 기억 용량의 저감을 도모하고 있다.
계속해서, 화상 파일 생성부(32B)는 생성된 화상 파일(8)에 기초한 화상을 표시 대상의 프레임으로서 표시부(33)에 출력한다(S11). 이하, 동일한 동작을 모든 프레임의 표시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한다. 이와 같이, 화상 파일 생성부(32B)는 생성된 프레임 수분의 화면 작성 지시 파일(6)에 기초하여 각각 화상 파일(8)을 생성하고, 이들 화상 파일(8)을 표시부(33)에서 전개하여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는 것에 의해 안내 컨텐츠(롤)를 표시한다.
여기서, 화상 파일 생성부(32B)는 화상 파일(8)로부터 실제 안내 화면의 사이즈에 맞춘 화상을 생성하고, 이 화상을 표시부(33)에 마련된 프레임 버퍼(도시하지 않음)에 보존한다. 그리고 표시부(33)는 프레임 버퍼 내의 화상을 독출하여 화면 표시한다.
또한, 프레임 버퍼는 복수의 안내 컨텐츠를 격납 가능한 용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화상 파일 생성부(32B)는 프레임 버퍼 내에, 표시 중인 안내 컨텐츠에 관한 화상 그룹에 더하여, 다음에 표시 예정인 안내 컨텐츠에 관한 화상 그룹 등을 보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시 중인 안내 컨텐츠의 표시 종료 후, 즉시 다음에 표시 예정인 안내 컨텐츠에 관한 화상 그룹을 순차 독출하여 표시할 수 있으므로, 표시 전환이 부드럽게 된다.
또, 화상 파일 생성부(32B)는 화상 파일(8)로부터 화상을 생성하고, 이 화상을 프레임 버퍼에 보존한 후, 화상 생성이 종료된 이 화상 파일(8)을 소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 사이즈가 큰 화상 파일(8)을 화상 생성 후에 유지할 필요가 없어서, 데이터 기억 용량을 큰 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도 10의 주행 중 안내에서는 4 종류의 롤을, 각각 T초 동안을 단위로 하여 순번으로 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근방 노선 안내(일본어)」에 이어서 「근방 노선 안내(영어)」를 표시한다. 그리고 화상 파일 생성부(32B)가 도 9의 처리를 실시하여 「근방 노선 안내(일본어)」를 표시부(33)에서 표시시키고 있는 동안에,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부(32A)가 다음에 표시하는 「근방 노선 안내(영어)」에 대한 도 8의 처리를 실시하여 초기 파일(6A) 및 차분 파일(6B)을 생성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즉, 표시 중인 안내 컨텐츠에 관한 화상 파일 생성부(32B)에 의한 화상 파일 작성 처리와, 다음에 표시 예정인 안내 컨텐츠에 관한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부(32A)에 의한 화면 작성 지시 파일(6)의 생성 처리(도 8)를 병렬적으로 처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4 종류의 롤에 대한 모든 화면 작성 지시 파일(6)이 생성되는 것을 기다렸다가, 표시 처리를 시작할 필요 없이, 롤간을 부드럽게 이행시키는데 바람직한 구성이 된다.
또, 도 10에 있어서, 예를 들어 열차가 주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 표시 중인 안내 컨텐츠의 다음에 표시 예정인 주행 중 안내 컨텐츠에 관한 화상 파일 생성부(32B)에 의한 화상 생성 처리와, 다음역 접근 상태에 있어서 표시 예정인 다음역 접근 중 안내 컨텐츠에 관한 화상 파일 생성부(32B)에 의한 화상 생성 처리를 병렬적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행 중 안내 컨텐츠의 「근방 노선 안내(일본어)」의 표시 중에, 「근방 노선 안내(영어)」에 관한 화상 생성 처리와, 다음역 접근 중 안내 컨텐츠의 「다음역 설비 안내」에 관한 화상 생성 처리를 병렬하여 행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열차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 화상 파일 생성부(32B)에 인터럽트(interrupt) 지시를 행하는 것에 의해, 부드럽게 표시 전환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병렬 처리로 작성된 각 안내 컨텐츠의 화상 그룹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 버퍼 내에 격납된다.
또한, 화상 파일 생성부(32B)는 초기 파일(6A) 및 차분 파일(6B)에 기초하여, 부품 컨텐츠 기억부(31A)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이 예를 들어, 이른바 벡터 데이터의 경우, 부품 컨텐츠를 동작시킨 화상 파일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단, 본 실시 형태는 이 데이터 형식을 이용한 표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은 상술한 안내 컨텐츠의 표시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표시된 부품 컨텐츠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안내 화면(1)을 구성하는 파트의 하나인 파트(P)의 표시 내용이 예를 들어 2초째부터 3초째까지의 동안에 변화하고, 표시되는 역명이 바뀌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2에서는 파트(P)에 배치되는 부품 컨텐츠(120) 및 파트(Q)에 배치되는 부품 컨텐츠(121)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매째의 프레임인 「프레임 1」에 대해서, 초기 파일(6A)에는 모든 파트에 관한 배치 정보 등이 기재되어 있고, 이 초기 파일(6A)에 기초하여 화상 파일(8)이 작성된 후, 표시부(33)에서 대응하는 화상이 출력된다. 또, 개시 0초부터 예를 들어 2초째까지는 안내 화면(1)의 표시에 변화가 없기 때문에, 차분 파일(6B)에 동작의 설정은 되지 않고, 「프레임 1」과 동일한 화상 파일(8)에 의해 동일한 화상이 출력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1초 동안에 예를 들어 N매의 프레임이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계속해서, 2초 경과 후에 표시되는 (2N+1)매째의 프레임인 「프레임(2N+1)」에 대해서, 그 작성에 이용되는 차분 파일(6B)에는 「파트(P)의 투과도가 -, 파트(Q)의 투과도가 + 변화한다」는 취지가 기재된다. 그리고 이 차분 파일(6B)과 초기 파일(6A)에 기초하여 화상 파일(8)이 작성된 후, 표시부(33)에 대응하는 화상이 출력된다. 이 이후, 「프레임(3N+1)」까지의 동작은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도 11의 파트(P)의 표시 내용과 도 12의 부품 컨텐츠(120)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시로부터 2초째까지는 부품 컨텐츠(120)가 표시되고, 2초째부터 3초째까지의 동안에 부품 컨텐츠(120)의 투과도가 내려가고, 부품 컨텐츠(121)의 투과도가 오르는 것에 의해, 3초째에 문자의 교체가 종료되도록 동작이 규정되어 있다.
그 결과, 「가스미가세키」가 표시된다.
그 동작은 도 5(d)의 부품 컨텐츠(110)의 동작을 조합한 것이다(단, 평행이동은 제외함).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부품 컨텐츠를 이용하여 안내 컨텐츠의 안내 화면(1)을 구성하도록 했으므로, 표시에 필요한 데이터 기억 용량, 즉 기억부(31)의 용량을 큰 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정지 화면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 승객에 대한 정보 제공량 및 주목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승객으로의 시각적인 소구(訴求) 효과가 높아져서, 보다 효과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안내 화면(1)을 부품 컨텐츠에 의해 구성하는 것과 아울러, 부품 컨텐츠의 배치 및 동작을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 및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에 의해 정의하도록 했으므로, 표시 내용의 추가, 수정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2매째 이후의 프레임을 작성하기 위한 화면 작성 지시 파일로서 차분 파일(6B)을 생성하도록 했으므로, 프레임간에 중복하는 표시 내용을 기재할 필요가 없어지고, 그 만큼 데이터 기억 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화상 파일 생성부(32B)는 화상 파일(8)로부터 화상을 생성하고, 이 화상을 프레임 버퍼에 보존한 후, 화상 생성이 종료된 화상 파일(8)을 소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 사이즈가 큰 화상 파일(8)을 화상 생성 후에 유지할 필요가 없어서, 데이터 기억 용량을 큰 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 표시 중인 안내 컨텐츠에 관한 화상 파일 생성부(32B)에 의한 화상 파일 생성 처리와, 다음에 표시 예정인 안내 컨텐츠에 관한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부(32A)에 의한 화면 작성 지시 파일의 생성 처리를 병렬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시 중인 안내 컨텐츠의 표시 종료 후에 다음 안내 컨텐츠의 화면 작성 지시 파일의 작성을 시작하는 일이 없어지고, 안내 컨텐츠간에 표시가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 도 10에 있어서, 표시 중인 안내 컨텐츠의 다음에 표시 예정인 안내 컨텐츠에 관한 화상 생성 처리와, 당해 열차 상태의 다음에 예정되는 열차 상태에 있어서 표시 예정인 안내 컨텐츠에 관한 화상 생성 처리를 병렬적으로 행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열차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 화상 파일 생성부(32B)에 인터럽트 지시를 행하는 것에 의해, 부드럽게 표시 전환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도 10의 예를 들어 주행 중 안내에 있어서, 안내 화면의 하반신의 표시 영역의 표시 내용은 안내 컨텐츠에 따라서 변화하지만, 상반 분의 표시 영역의 표시 내용은 안내 컨텐츠간에 걸쳐서 변화하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안내 컨텐츠 「근방 노선 안내(일본어)」와 안내 컨텐츠 「근방 노선 안내(영어)」를 비교하면, 표시 내용에 변화가 있는 것은 하반신의 표시 영역뿐이다. 그리고 안내 화면을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 분할하고, 표시 영역 단위로 초기 파일(6A) 및 차분 파일(6B)을 작성하는 것으로 하면, 도 10과 같이 T초 동안을 단위로 하여 안내 컨텐츠의 반복 표시를 할 때에, 표시 내용에 변화가 없는 표시 영역에 관한 이들 파일을 서로 공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화면 작성 지시 파일(6)의 생성 처리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 부분 컨텐츠의 동작에는 색의 변화를 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열차가 다음역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예를 들어 문자 표시를 흑→청→적으로 서서히 변화시키는 등 승객의 주목도를 증가시키는 표시를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면 작성부(32), 부품 컨텐츠 기억부(31A),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 기억부(31B), 및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 기억부(31C) 등 안내 컨텐츠 작성에 필요한 기능을 표시 장치(30) 내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차량 내에 복수대의 표시 장치(30)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표시 장치(30)마다 다른 안내 컨텐츠를 표시하는데 적합하다.
한편, 상기 안내 컨텐츠 작성에 필요한 기능을 도 1의 예를 들어 분기 장치(21) 내에 마련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복수대의 표시 장치(30)가 1대의 분기 장치(21)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차량 내에 복수대의 표시 장치(30)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도, 분기 장치(21)의 개수분의 화면 작성부(32)를 마련하게 되므로, 본 실시 형태보다 염가의 구성으로 된다. 단, 이와 같은 구성은 그 구성 상 차량 내의 모든 표시 장치(30)와 동일한 안내 컨텐츠를 표시하는데 적합하다.
추가로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안내 컨텐츠 작성에 필요한 기능을, 예를 들어 영상 정보 전달 장치(20) 내에 마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화면 작성부(32)의 설치 개수가 추가로 감소하므로 보다 한층 염가의 구성으로 되지만, 그 구성 상 열차 내의 모든 표시 장치(30)에서 동일한 안내 컨텐츠를 표시하는데 적합하다. 또, 이 경우 영상 정보 전달 장치(20)는 부품 컨텐츠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작성된 안내 컨텐츠를 표시 장치(30)에 전달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해, 정지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즉,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에서 모든 부품 컨텐츠에 대해서 「동작 없음」이라고 정의하면 된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 표시 개시로부터 2초째까지는 실질 정지 화면을 표시한 상태이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안내 컨텐츠에 있어서, 안내 화면(1)의 일부에 촬영 영상을 매립하고, 이 촬영 영상을 프레임 표시와 동일한 타이밍에 표시시키고, 추가로 촬영 영상 표시 부분을 안내 화면(1) 내에서 이동 등 동작시킬 수도 있다. 단, 촬영 영상은 데이터 사이즈를 필요로 하므로, 데이터 사이즈를 제한해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와 같은 촬영 영상을 이용하는 경우는, 특허 문헌 3과 같이, 영상 정보 전달 장치(20)로부터 표시 장치(30)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로를 부품 컨텐츠 전송하는 경우와 촬상 영상을 전송하는 경우로 나누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특허 문헌 3에서, 촬상 영상은 열차 정보 장치(11)를 경유하는 일 없이, 분기 장치(21)를 직접 경유하여 표시 장치(30)에 전송된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열차 정보 장치(11)로부터 얻어진 열차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부품 컨텐츠 기억부(31A)에 기억된 부품 컨텐츠 그룹으로부터 안내 컨텐츠의 구성에 필요한 부품 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들 부품 컨텐츠를 조립해서 추가로 동작을 부여하여 안내 컨텐츠의 표시를 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서 설명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열차 정보 장치(11)로부터는 직접 얻을 수 없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열차 밖으로부터 제공된 임시 정보를, 안내 컨텐츠에 조립하여 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임시 정보는 예를 들어 운행 정보, 사고 정보, 또는 뉴스 속보 등이다. 이와 같은 임시 정보는 예를 들어 지상국(51)으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제공된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안내 컨텐츠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텍스트로 기재된 임시 정보(예를 들어 임시적인 운행 정보)가 문자 묘화로서 표현된 부품 컨텐츠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서는 안내 화면(1)의 「역설비 안내」의 표시 부분 상에, 임시 정보를 표시하는 파트(80)가 덮어쓰기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 이 파트(80)로서 도 14의 부품 컨텐츠(125)가 선택되는 것과 아울러, 이 부품 컨텐츠(125)는 도 13에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에 문자가 이동하도록 그 동작이 정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파트(80)에서는 임시적인 운행 정보가, 이른바 텔롭(telop) 표시되고, 그 표시 내용이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표시되어 있다.
도 13과 같은 표시를 행하기 위해서,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부(32A)는 임시 정보를 얻은 후, 그 내용을 문자 묘화에 가공한 부품 컨텐츠(125)를 작성한다. 또,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에는 임시 정보에 대응하여 작성된 부품 컨텐츠의 초기 배치 위치를 미리 정의해 두는 것과 아울러,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에는 임시 정보에 대응하여 작성된 부품 컨텐츠의 동작을 미리 정의해 둔다. 도 13은 이 초기 배치 위치 및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부(32A)는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 및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된 부품 컨텐츠(125) 외, 안내 화면(1)을 구성하는 부품 컨텐츠에 관해서,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초기 파일(6A) 및 차분 파일(6B)을 생성한다. 그리고 화상 파일 생성부(32B)는 이들 초기 파일(6A) 및 차분 파일(6B)에 기초하여, 순차로, 각 프레임에 대한 화상 파일을 생성하는 것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부(33)에 출력한다.
그런데 도 13의 표시예에서, 파트(80)에 의한 임시적인 운행 정보의 표시는 표시 중인 안내 컨텐츠 상에 덮어쓰기되는 형태로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안내 컨텐츠의 일부가 안보이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임시 정보를 표시할 때에, 표시 중인 안내 컨텐츠 전체를 안내 화면(1) 내로 축소하여 표시시키고, 형성된 여백 부분에 파트(80)를 배치하고, 이 파트(80)에서 상기와 동일한 텔롭 표시를 행하도록 동작을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안내 컨텐츠 전체는 축소되기 때문에 다소 보기 어려워진 텔롭 표시가 안내 컨텐츠의 일부를 덮어쓰기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안내 컨텐츠 일부의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다고 하는 일은 없어진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 임시 정보는 예를 들어 지상국(51)으로부터 얻어진다고 했지만, 그 외 예를 들어 차상에서 승무원 등에 의해 소정의 입력 수단을 통하여 영상 정보 전달 장치(20)에 입력되는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승무원은 자열차(自列車)에 발생한 고장, 사고, 또는 환자 발생 등의 임시 정보를, 차상 모니터 장치의 입력 화면 등을 개입시키는 것에 의해 영상 정보 전달 장치(20)에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상에서 입력된 임시 정보를 상기와 동일하게 안내 컨텐츠 상에 텔롭 표시하는 것에 의해, 지상국(51)으로부터의 정보보다 추가로 실시간성이 높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열차 밖으로부터 제공되거나 또는 차상에서 입력된 임시 정보를 문자 묘화로서 부품 컨텐츠에 가공하고, 이것을 안내 컨텐츠의 동영상 중에 조립하여 표시시키도록 했으므로, 승객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임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그 외의 구성, 동작, 및 효과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실시 형태 3.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품 컨텐츠 동작의 구체적인 예로서, 축소/확대 동작의 조합해에 의해 안내 화면 상에서 파트가 회전하고 있도록 표시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구성 등은 실시 형태 1, 2와 동일하고, 동작은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에 정의된다.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품 컨텐츠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부품 컨텐츠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파트(R) 및 파트(S)의 축소 방향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 화면 상의 예를 들어 직사각형 영역에서는 파트(R)가 축소하고 또한 파트(S)가 확대하는 것에 의해, 파트(R, S)가 회전하도록 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파트(R)의 「가스미가세키」로부터 파트(S)의 「Kasumigaseki」로 표시 전환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동 도면 중의 최상단은 동작 개시 상태를 나타내고, 최하단은 동작 종료 상태를 나타낸다. 또, 파트(R)는 도 16의 부품 컨텐츠(126)에 기초하여 표시되어 파트(S)는 도 16의 부품 컨텐츠(127)에 기초하여 표시되어 있다.
우선, 파트(R)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동 도면 중, 상하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칭하고, 제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칭한다. 파트(R)는 제1 방향에 있어서 그 일단인 단부(E1)를 제1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 상태에서, 제1 방향에 예를 들어 일정한 축소 속도(제1 축소 속도라고 함)로 축소된다. 즉, 파트(R)는 동작 개시로부터 동작 종료까지 제1 방향에 관해서 축소하여, 동작 종료 상태에서 제1 방향의 폭이 0으로 되도록 동작이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단부(E1)에 대향하는 파트(R)의 타단인 단부(E2)는 상기 제1 축소 속도로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단부(E2)의 상측에 파트(S)가 표시되는 영역이 형성되는 것과 아울러, 이 형성 영역이 점차 증대한다.
또, 파트(R)는 제1 방향으로 축소하는 것과 아울러 제2 방향으로도 축소하지만, 제2 방향에 있어서 그 축소 속도는 단부(E2)로부터 단부(E1)로 향함에 따라서 0으로부터 소정의 축소 속도(제2 축소 속도라고 함)까지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단부(E2)의 길이는 고정된 채로 있지만, 단부(E1)의 길이는 시간 경과와 함께 짧아지므로,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원근감을 갖게 하여 표시시키는 효과가 있어서, 파트(R)가 제2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하방에 회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도 17의 상단에서는 파트(R)의 축소 방향을 화살표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축소 속도가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증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수평 방향의 화살표의 크기가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커지도록 기재되어 있다.
다음에, 파트(S)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파트(S)의 동작은 설명 상의 간편성을 위해, 동작 종료 시로부터 동작 개시 시까지 시간 반전해서 봤을 때 동작의 반대 동작으로서 규정하는 것으로 한다. 즉, 도 15의 최하단의 동작 종료 상태로부터 최상단의 동작 개시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 파트(S)는 제1 방향에 있어서 그 일단인 단부(F1)를 제1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 상태에서, 제1 방향에 상기 제1 축소 속도로 축소된다. 즉, 파트(S)는 제1 방향에 관해서 축소하여, 동작 개시 상태에서 제1 방향의 폭이 0으로 되도록 동작이 규정되어 있다. 또, 파트(S)는 제1 방향으로 축소하는 것과 아울러 제2 방향으로도 축소하지만, 제2 방향에 있어서 그 축소 속도는 단부(F2)로부터 단부(F1)로 향함에 따라서 0으로부터 상기 제2 축소 속도까지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의해, 파트(S)에 대해서도 파트(R)와 동일하게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원근감을 갖게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7의 하단에서는 시간을 반전해서 본 경우에 있어서 파트(S)의 축소 방향을 화살표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단, 파트(S)의 동작을 시간 정방향으로 보면, 실제로는 확대 동작에 상당한다. 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트(S)의 단부(F2)와 파트(R)의 단부(E2)는 대향해서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파트(R)의 축소 동작의 조합과 파트(S)의 확대 동작의 조합을 합하는 것에 의해, 파트(R, S)가 회전하고 있게 표시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는 2개 파트의 경우뿐만 아니라, 3개 이상 파트의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파트(R) 또는 파트(S)의 단독 표시도 당연히 가능하고, 이 경우 문자 표시가 회전하도록 하여 사라지거나 또는 나타나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방향이 도면 중 하방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안내 화면 상의 임의 방향인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승객으로의 정보 제공량을 증가시키고 또한 데이터 기억 용량을 큰 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및 영상 정보 전달 표시 방법으로서 유용하다.
1 안내 화면
6 화면 작성 지시 파일
6A 초기 파일
6B 차분 파일
8 화상 파일
10, 11 열차 정보 장치
12 전송로
20 영상 정보 전달 장치
21 분기 장치
22 전송로
30 표시 장치
31 기억부
31A 부품 컨텐츠 기억부
31B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 기억부
31C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 기억부
31D 안내 표시순 데이터 기억부
32 화면 작성부
32A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부
32B 화상 파일 생성부
33 표시부
50 무선 송수신 장치
51 지상국
70 차상 시스템
80 파트
101 열차 종별
102 행선
103 호차 번호
104 안내 종별
105 역명
110 부품 컨텐츠
110A 부품 컨텐츠
110B 부품 컨텐츠
120 부품 컨텐츠
125 부품 컨텐츠
6 화면 작성 지시 파일
6A 초기 파일
6B 차분 파일
8 화상 파일
10, 11 열차 정보 장치
12 전송로
20 영상 정보 전달 장치
21 분기 장치
22 전송로
30 표시 장치
31 기억부
31A 부품 컨텐츠 기억부
31B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 기억부
31C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 기억부
31D 안내 표시순 데이터 기억부
32 화면 작성부
32A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부
32B 화상 파일 생성부
33 표시부
50 무선 송수신 장치
51 지상국
70 차상 시스템
80 파트
101 열차 종별
102 행선
103 호차 번호
104 안내 종별
105 역명
110 부품 컨텐츠
110A 부품 컨텐츠
110B 부품 컨텐츠
120 부품 컨텐츠
125 부품 컨텐츠
Claims (22)
- 열차를 구성하는 각 차량에 각각 탑재되어, 서로 연계하여 열차 정보를 관리하는 열차 정보 장치와,
상기 각 차량에 각각 탑재되어, 안내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와,
상기 안내 화면의 구성에 이용되는 부품 레벨의 컨텐츠인 부품 컨텐츠를 기억하는 부품 컨텐츠 기억부와,
상기 안내 화면 상에서 상기 부품 컨텐츠의 배치를 정의하는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 기억부와,
상기 안내 화면 상에서 상기 부품 컨텐츠의 동작을 정의하는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 기억부와,
상기 안내 화면 상에 표시시키는 안내 컨텐츠에 따라서, 상기 열차 정보 장치로부터 얻어진 상기 열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내 화면의 구성에 이용되는 상기 부품 컨텐츠를 상기 부품 컨텐츠 기억부로부터 선택하고, 이 선택된 상기 부품 컨텐츠를 상기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안내 화면 상에 배치하고, 이 배치된 상기 부품 컨텐츠를 상기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에 따라서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안내 컨텐츠를 표시시키는 안내 화면 작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 컨텐츠는, 상기 표시부에서 순서대로 표시되어 시계열적으로 연속한 복수매의 프레임으로부터 구성되고,
상기 안내 화면 작성부는
상기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로부터 얻어진 상기 부품 컨텐츠의 상기 안내 화면 상에 있어서 초기 배치 정보와 상기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로부터 얻어진 상기 부품 컨텐츠 동작의 초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품 컨텐츠를 이용하여 1매째의 프레임을 작성하고, 상기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부품 컨텐츠를 상기 안내 화면 상에서 동작시켜서 구성되는 상기 1매째 이후의 각 프레임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화면 작성부는 상기 안내 컨텐츠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매 프레임의 작성 지시 내용을 각각 기재한 복수개의 화면 작성 지시 파일을 생성하는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부와,
이들 화면 작성 지시 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매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화상 파일 생성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화면 작성 지시 파일은
상기 안내 컨텐츠의 초기 화면인 상기 1매째 프레임의 작성에 필요한 작성 지시 내용이 기재된 초기 파일과, 상기 1매째의 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의 각 프레임에 대해서 각각 생성되고, 상기 각 프레임과 당해 각 프레임 직전의 프레임 사이에서의 차분 표시 내용을 그 작성 지시 내용으로 하는 차분 파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부는
상기 안내 컨텐츠에 따라서, 상기 열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내 화면의 구성에 이용되는 상기 부품 컨텐츠를 상기 부품 컨텐츠 기억부로부터 결정하고, 상기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부품 컨텐츠의 상기 안내 화면 상에 있어서 초기 배치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아울러 상기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부품 컨텐츠 동작의 초기 정보를 취득하는 것에 의해 상기 1매째의 프레임을 작성하기 위한 상기 초기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차분 파일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파일 작성부는
상기 안내 컨텐츠의 표시가 상기 1매째 프레임의 표시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의 결과, 상기 안내 컨텐츠의 표시가 상기 1매째 프레임의 표시인 경우는, 상기 초기 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부품 컨텐츠 기억부로부터 상기 안내 화면의 구성에 이용되는 상기 부품 컨텐츠를 선택해서 화상 파일을 생성한 후, 이 생성된 화상 파일에 기초한 화상을 상기 1매째의 프레임으로서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판정의 결과, 상기 안내 컨텐츠의 표시가 상기 1매째 이후 프레임의 표시인 경우는, 당해 표시 대상의 프레임 직전의 프레임 작성에 이용된 데이터에 당해 표시 대상의 프레임을 작성하기 위한 상기 차분 파일의 내용을 반영시킨 데이터를 이용하여, 당해 표시 대상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화상 파일을 생성한 후, 이 생성된 화상 파일에 기초한 화상을 당해 표시 대상의 프레임으로서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파일 생성부는 상기 화상 파일로부터 생성되는 화상을 상기 표시 장치의 프레임 버퍼에 보존한 후, 당해 화상 파일을 소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버퍼는 복수의 상기 안내 컨텐츠를 격납하는 용량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 버퍼에는 표시 중인 상기 안내 컨텐츠에 관한 상기 화상 그룹에 더하여, 적어도 다음에 표시 예정인 상기 안내 컨텐츠에 관한 상기 화상 그룹이 격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시 중인 상기 안내 컨텐츠에 관한 상기 화상 파일 생성부에 의한 화상 파일 생성 처리와, 다음에 표시 예정인 상기 안내 컨텐츠에 관한 상기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부에 의한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 처리가 병렬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부는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 분할된 상기 안내 화면의 상기 표시 영역마다 상기 화면 작성 지시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작성 지시 파일 생성부는 상기 열차 정보에 기초하여 열차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열차 상태에 따라서, 상기 표시부에서 표시하는 상기 안내 컨텐츠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열차 상태는 역정차 중, 주행 중, 및 다음역 접근 중을 포함하는 상태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열차가 어느 상기 열차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안내 컨텐츠를 표시하고 있을 때,
표시 중인 상기 안내 컨텐츠의 다음에 표시 예정인 상기 안내 컨텐츠에 관한 상기 화상 파일 생성부에 의한 화상 파일 생성 처리와, 당해 열차 상태의 다음에 예정되는 상기 열차 상태에 있어서 표시 예정인 상기 안내 컨텐츠에 관한 상기 화상 파일 생성부에 의한 화상 파일 생성 처리가 병렬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 밖으로부터 임시 정보가 제공됐을 때, 상기 안내 화면 작성부는 제공된 상기 임시 정보의 내용을 문자 묘화(描畵)에 가공한 부분 컨텐츠를 작성하고, 이 작성된 부품 컨텐츠를 상기 안내 컨텐츠와 함께, 상기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 및 상기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에 따라서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 상에서 소정의 입력부를 통하여 임시 정보가 입력됐을 때, 상기 안내 화면 작성부는 입력된 상기 임시 정보의 내용을 문자 묘화에 가공한 부분 컨텐츠를 작성하고, 이 작성된 부품 컨텐츠를 상기 안내 컨텐츠와 함께, 상기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 및 상기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에 따라서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로 정의되는 동작에는 이동 동작, 회전 동작, 확대 또는 축소 동작, 출현 또는 소멸 동작, 및 색의 변화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화면 상의 직사각형 영역에서, 상기 부품 컨텐츠 기억부로부터 선택된 제1 부품 컨텐츠만이 표시된 동작 개시 상태로부터, 상기 부품 컨텐츠 기억부로부터 선택된 제2 부품 컨텐츠만이 표시된 동작 종료 상태까지의 연속적인 표시 전환의 동작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 컨텐츠의 동작은 상기 제1 부품 컨텐츠의 표시 부분에 있어서 일단이고, 또한 상기 안내 화면 상의 제1 방향에 있어서 그 일단을 상기 제1 방향에 관해서 고정하면서 당해 표시 부분을 제1 축소 속도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축소하여 상기 제1 방향의 폭을 0으로 하는 것과 아울러,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 당해 표시 부분의 축소 속도가 당해 표시 부분의 타단으로부터 당해 표시 영역의 일단으로 향함에 따라서 0으로부터 제2 축소 속도까지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도록 하여 당해 표시 영역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축소하는 것이고,
상기 제2 부품 컨텐츠의 동작은 그 동작을 동작 종료 시로부터 동작 개시 시까지 시간 반전해서 봤을 때에, 상기 제2 부품 컨텐츠의 표시 부분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일단을 상기 제1 방향에 관해서 고정하면서 당해 표시 부분을 상기 제1 축소 속도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축소하여 상기 제1 방향의 폭을 0으로 하는 것과 아울러,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당해 표시 부분의 축소 속도가 당해 표시 부분의 타단으로부터 당해 표시 영역의 일단으로 향함에 따라서 0으로부터 상기 제2 축소 속도까지 상기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도록 하여 당해 표시 영역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축소하는 것이고,
상기 제1 부품 컨텐츠의 표시 부분에 있어서 상기 타단과 상기 제2 부품 컨텐츠의 표시 부분에 있어서 상기 타단이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컨텐츠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부품 컨텐츠는 상기 열차에 탑재되고, 상기 열차 정보 장치에 접속된 영상 정보 전달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화면 작성부, 상기 부품 컨텐츠 기억부, 상기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 기억부, 및 상기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 기억부는 상기 표시 장치 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 전달 장치는 상기 각 차량에 각각 탑재된 분기 장치와 접속되고,
상기 분기 장치는 당해 분기 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차량의 상기 표시 장치와 접속되고,
상기 안내 화면 작성부, 상기 부품 컨텐츠 데이터 기억부, 상기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 기억부, 및 상기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 기억부는 상기 분기 장치 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 열차를 구성하는 각 차량에 각각 탑재되어 서로 연계하여 열차 정보를 관리하는 열차 정보 장치와, 상기 각 차량에 각각 탑재되어 안내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와, 상기 안내 화면의 구성에 이용되는 부품 레벨의 컨텐츠인 부품 컨텐츠를 기억하는 부품 컨텐츠 기억부가 마련된 열차 내에서, 영상 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서 상기 영상 정보를 표시시키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열차 정보 장치로부터 상기 열차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안내 화면 상에 표시시키는 안내 컨텐츠에 따라서, 상기 열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내 화면의 구성에 이용되는 상기 부품 컨텐츠를 상기 부품 컨텐츠 기억부로부터 선택하는 단계와,
이 선택된 상기 부품 컨텐츠를 상기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안내 화면 상에 배치하여 상기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에 따라서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안내 컨텐츠를 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방법. - 열차 정보 장치로부터 열차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열차 정보에 기초하여 열차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열차 상태에 따라서, 열차의 차량에 탑재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안내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상기 안내 컨텐츠에 따라서, 상기 열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내 화면의 구성에 이용하는 부품 레벨의 컨텐츠인 부품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와,
부품 배치 정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안내 화면의 구성에 이용되는 상기 부품 컨텐츠의 상기 안내 화면 상에 있어서 초기 배치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아울러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부품 컨텐츠 동작의 초기 정보를 취득하고, 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안내 컨텐츠를 구성하는 1매째의 프레임을 작성하기 위한 작성 지시 내용을 기재한 초기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1매째의 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의 각 프레임에 대해서 상기 부품 동작 정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각 프레임과 당해 각 프레임 직전의 프레임 사이에서의 차분 표시 내용을 작성 지시 내용으로 하는 차분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안내 컨텐츠의 표시가 상기 1매째 프레임의 표시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의 결과, 상기 안내 컨텐츠의 표시가 상기 1매째 프레임의 표시인 경우는, 상기 초기 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부품 컨텐츠 기억부로부터 상기 안내 화면의 구성에 이용되는 상기 부품 컨텐츠를 선택해서 화상 파일을 생성한 후, 이 생성된 화상 파일에 기초한 화상을 상기 1매째의 프레임으로서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판정의 결과, 상기 안내 컨텐츠의 표시가 상기 1매째 이후 프레임의 표시인 경우는, 당해 표시 대상의 프레임 직전의 프레임 작성에 이용된 데이터에 당해 표시 대상의 프레임을 작성하기 위한 상기 차분 파일의 내용을 반영시킨 데이터를 이용하여, 당해 표시 대상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화상 파일을 생성한 후, 이 생성된 화상 파일에 기초한 화상을 당해 표시 대상의 프레임으로서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전달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09/069298 WO2011058638A1 (ja) | 2009-11-12 | 2009-11-12 | 映像情報配信表示システムおよび映像情報配信表示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8636A true KR20120098636A (ko) | 2012-09-05 |
KR101392545B1 KR101392545B1 (ko) | 2014-05-08 |
Family
ID=43566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09936A KR101392545B1 (ko) | 2009-11-12 | 2009-11-12 |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및 영상 정보 전달 표시 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9227640B2 (ko) |
EP (1) | EP2500235B1 (ko) |
JP (1) | JP4612118B1 (ko) |
KR (1) | KR101392545B1 (ko) |
CN (1) | CN102712328B (ko) |
HK (1) | HK1173707A1 (ko) |
WO (1) | WO201105863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66641A1 (ja) | 2010-11-16 | 2012-05-24 | 三菱電機株式会社 | 映像情報配信表示システムおよび映像情報配信表示方法 |
EP2711230B1 (en) * | 2011-05-16 | 2017-08-16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In-trai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and in-train information delivery method |
JP5031129B1 (ja) | 2011-12-19 | 2012-09-19 | 三菱電機株式会社 | 車両内情報提供装置 |
DE102013201031A1 (de) * | 2012-08-23 | 2014-05-15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Verfahren zur Inbetriebnahme zumindest eines Funktionsgeräts und Schienenfahrzeugsverband |
CN103092100B (zh) * | 2013-01-10 | 2015-03-11 | 湘潭大学 | 一种同步采集数据和多画面显示的控制与显示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12238A (ja) | 2000-01-21 | 2001-11-09 | Ag:Kk | 列車における画像表示システム |
JP3859954B2 (ja) | 2000-10-25 | 2006-12-20 | 三菱電機株式会社 | 列車搭載映像情報配信表示システム |
DE60042344D1 (de) * | 2000-12-27 | 2009-07-16 | Mitsubishi Electric Corp | Bordeigenes anzeigesystem |
US6961912B2 (en) * | 2001-07-18 | 2005-11-01 | Xerox Corporation | Feedback mechanism for use with visual selection methods |
JP2003095105A (ja) | 2001-09-20 | 2003-04-03 | Hitachi Ltd | 鉄道車両情報表示システム |
JP2003106846A (ja) | 2001-09-28 | 2003-04-09 | Equos Research Co Ltd | エージェント装置 |
JP3875950B2 (ja) | 2002-12-26 | 2007-01-31 | 三菱電機株式会社 | 映像情報配信表示システム |
JP2004364211A (ja) * | 2003-06-09 | 2004-12-2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動画像復号化装置 |
JP3868935B2 (ja) * | 2003-08-04 | 2007-01-17 |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 情報処理システム |
JP4305272B2 (ja) * | 2004-05-11 | 2009-07-29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列車ダイヤ表示装置 |
JP4208780B2 (ja) * | 2004-07-07 | 2009-01-14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JP4343815B2 (ja) * | 2004-11-08 | 2009-10-14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車内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車両映像表示システム |
JP2006226700A (ja) * | 2005-02-15 | 2006-08-31 | Fujitsu Ten Ltd | ナビゲーション装置 |
EP1903800B1 (en) * | 2005-07-12 | 2013-01-02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Train-installed video information delivery control system |
JP4725375B2 (ja) | 2006-03-14 | 2011-07-13 | 株式会社ケンウッド |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
JP2008061032A (ja) | 2006-08-31 | 2008-03-13 | Sony Corp | 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再生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JP4973622B2 (ja) * | 2007-08-29 | 2012-07-11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画像合成装置および画像合成処理プログラム |
JP4642052B2 (ja) * | 2007-09-13 | 2011-03-02 | 三菱電機株式会社 | 列車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列車情報表示装置 |
-
2009
- 2009-11-12 WO PCT/JP2009/069298 patent/WO201105863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11-12 EP EP09851268.4A patent/EP2500235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9-11-12 CN CN200980162410.3A patent/CN102712328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11-12 KR KR1020127009936A patent/KR10139254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9-11-12 JP JP2010508639A patent/JP4612118B1/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11-12 US US13/508,885 patent/US922764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
- 2013-01-17 HK HK13100763.0A patent/HK1173707A1/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4612118B1 (ja) | 2011-01-12 |
EP2500235A4 (en) | 2016-09-21 |
JPWO2011058638A1 (ja) | 2013-03-28 |
US20120224103A1 (en) | 2012-09-06 |
CN102712328B (zh) | 2015-07-15 |
KR101392545B1 (ko) | 2014-05-08 |
EP2500235A1 (en) | 2012-09-19 |
EP2500235B1 (en) | 2017-09-20 |
WO2011058638A1 (ja) | 2011-05-19 |
HK1173707A1 (zh) | 2013-05-24 |
CN102712328A (zh) | 2012-10-03 |
US9227640B2 (en) | 2016-0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27992B1 (ja) | 映像情報配信表示システムおよび映像情報配信表示方法 | |
EP3260816B1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n-vehicle device, and terminal device | |
CN110304052A (zh) | 计算附加信息的插入的方法、执行方法的设备及机动车 | |
KR20120098636A (ko) | 영상 정보 전달 표시 시스템 및 영상 정보 전달 표시 방법 | |
WO2014118943A1 (ja) | 表示制御システム | |
DE112015005974T5 (de) | Fahrplanungsvorrichtung und Fahrplanungsverfahren | |
JP4642052B2 (ja) | 列車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列車情報表示装置 | |
JP2013024948A (ja) | 車両用表示システム | |
JP2010034852A (ja) | 画像情報配信表示システム | |
CN105091887A (zh) | 3d交互式全息车内导航系统 | |
WO2006082626A1 (ja) | 映像情報配信表示システム | |
CN113272034B (zh) | 用于运行虚拟现实输出设备的方法、同步装置、机动车 | |
US9659344B2 (en) | Graphics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for an aircraft cockpit, and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al data | |
US20160042722A1 (en) | Dynamic label arrangement device, display device, dynamic label arrangement method, and display method | |
JP4749503B2 (ja) | 映像情報配信表示システム | |
EP3959647B1 (de) | Lagerichtige einblendung einer zusatzinformation auf einer anzeigeeinheit eines fahrzeugs | |
JP2010052581A (ja) | 列車内情報配信システム | |
JP3875950B2 (ja) | 映像情報配信表示システム | |
JP2008172461A (ja) | 列車情報提供制御システム | |
JP7268481B2 (ja) | 情報処理装置、自律走行車両、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WO2007032487A1 (ja) | データ入出力制御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搭載用表示システム | |
JP2005326358A (ja) | 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 |
WO2024106090A1 (ja) | データ表示装置、データ表示方法、および鉄道業務システム | |
JP2013250708A (ja) | 画像表示システム | |
JP2005306286A (ja) | 列車運行状況の表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