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532A - 입력 장치, 표시 장치, 및 휴대 단말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표시 장치, 및 휴대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6532A
KR20120096532A KR1020127016211A KR20127016211A KR20120096532A KR 20120096532 A KR20120096532 A KR 20120096532A KR 1020127016211 A KR1020127016211 A KR 1020127016211A KR 20127016211 A KR20127016211 A KR 20127016211A KR 20120096532 A KR20120096532 A KR 20120096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input device
connection electrode
detec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3641B1 (ko
Inventor
야스나리 나가타
나츠코 야마가타
타카시 미나미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96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17/9622Capacitive touch switches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e.g.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2017/9602Touch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shape of the sens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55Constructional details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입력 장치는 기체와, 기체 상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 1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 1 검출 전극과, 기체 상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 2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 2 검출 전극과, 기체 상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이웃하는 제 1 검출 전극을 접속하는 제 1 접속 전극과, 제 1 접속 전극을 덮도록 기체 상에 설치된 절연체와, 절연체에 걸쳐지도록 상기 절연체 상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이웃하는 제 2 검출 전극을 접속하는 제 2 접속 전극을 구비하고, 제 1 검출 전극의 일부는 절연체의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입력 장치, 표시 장치, 및 휴대 단말{INPUT DEVICE,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예컨대 사용자가 입력 조작한 개소를 입력 위치로서 검출하는 입력 장치, 표시 장치, 및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입력 장치로서는, 예컨대 손가락과 검출 전극 사이에서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파악해서 입력 위치를 검출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및 2 참조).
이러한 입력 장치는 기체와, 제 1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 1 검출 전극과, 제 2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 2 검출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입력 장치는 이웃하는 제 1 검출 전극을 접속하는 제 1 접속 전극과, 제 1 접속 전극을 덮도록 설치된 절연체와, 절연체에 걸쳐지도록 상기 절연체 상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이웃하는 제 2 검출 전극을 접속하는 제 2 접속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입력 장치에 대해서 사용자에 의해 압박되는 입력 조작이 반복해 행해졌을 경우 상기 입력 조작에 따라 절연체에 응력이 가해지게 된다. 절연체에 응력이 가해지면 절연체가 기체로부터 박리될 가능성이 있었다. 절연체가 기체로부터 박리되면 제 2 접속 전극이 단선될 가능성이 있고, 입력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일본 공개 특허 제 2008-97283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 2008-310551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입력 장치, 표시 장치, 및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일형태는 기체와, 상기 기체 상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 1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 1 검출 전극과, 상기 기체 상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 2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 2 검출 전극과, 상기 기체 상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이웃하는 상기 제 1 검출 전극을 접속하는 제 1 접속 전극과, 상기 제 1 접속 전극을 덮도록 상기 기체 상에 설치된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에 걸쳐지도록 상기 절연체 상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이웃하는 상기 제 2 검출 전극을 접속하는 제 2 접속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검출 전극의 일부는 상기 절연체의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중에 도시한 절단선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중에 도시한 절단선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중에 도시한 K1의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휴대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외관도이다.
도 7은 변형예 1에 의한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변형예 2에 의한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변형예 2에 의한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변형예 2에 의한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변형예 3에 의한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변형예 3에 의한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변형예 4에 의한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변형예 4에 의한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 참조하는 각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구성 부재 중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필요한 주요 부재를 간략화해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입력 장치, 표시 장치, 및 휴대 단말은 본 명세서가 참조하는 각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임의의 구성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입력 장치(X1)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 조작이 가능한 입력 영역(EI)과, 입력 영역(EI)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영역(EO)을 갖고 있다.
도 1?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장치(X1)는 기체(2)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2)는 입력 영역(EI)에 있어서 후술하는 제 1 검출 전극(3a), 제 1 접속 전극(3b), 제 2 검출 전극(4a), 및 제 2 접속 전극(4b)을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함과 아울러 외측 영역(EO)에 있어서 후술하는 배선도체(6)를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부재이다. 기체(2)는 제 1 주면(2a) 및 제 1 주면(2a)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주면(2b)을 갖고 있다. 기체(2)는 이들 주면(2a, 2b)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화살표 EF방향)으로 광을 적절히 투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됨과 아울러 절연성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기체(2)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컨대 투명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등의 투광성을 갖는 것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시인성의 관점에 있어서 투명 유리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투광성이란 가시광에 대한 투과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기체(2)의 평면으로 볼 때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직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원형상, 다각형상이어도 좋다.
도 2?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영역(EI)에 대응하는 기체(2)의 제 1 주면(2a) 상에는 제 1 검출 전극(3a)과, 제 1 접속 전극(3b)과, 제 2 검출 전극(4a)과, 제 2 접속 전극(4b)과, 절연체(5)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검출 전극(3a)은 입력 영역(EI)에 접근한 사용자의 손가락(F1)의 제 1 방향(화살표 AB방향)에 있어서의 입력 위치의 검출을 행하는 역할을 갖는 것이며, 손가락(F1)과의 사이에 정전 용량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즉, 제 1 검출 전극(3a)은 기체(2)의 제 1 주면(2a) 상에 제 2 방향(화살표 CD방향)을 따라 소정 간극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 1 검출 전극(3a)은 검출 감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평면으로 볼 때의 형상이 대략 마름모꼴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접속 전극(3b)은 이웃하는 제 1 검출 전극(3a)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부재이다. 제 1 접속 전극(3b)은 기체(2)의 제 1 주면(2a)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검출 전극(4a)은 입력 영역(EI)에 접근한 사용자의 손가락(F1)의 제 2 방향(화살표 CD방향)에 있어서의 입력 위치의 검출을 행하는 역할을 갖는 것이며, 손가락(F1)과의 사이에 정전 용량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방향은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즉, 제 2 검출 전극(4a)은 기체(2)의 제 1 주면(2a) 상에 제 1 방향(화살표 AB방향)을 따라 소정 간극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 2 검출 전극(4a)은 검출 감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평면으로 볼 때의 형상이 대략 마름모꼴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접속 전극(4b)은 이웃하는 제 2 검출 전극(4a)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부재이다. 제 2 접속 전극(4b)은 제 1 접속 전극(3b)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또한 절연체(5)에 걸쳐지도록 상기 절연체(5) 상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절연체(5)는 제 1 접속 전극(3b)을 덮도록 해서 기체(2)의 제 1 주면(2a)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절연체(5)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컨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 등의 투명 수지를 들 수 있다.
상술한 제 1 검출 전극(3a), 제 1 접속 전극(3b), 제 2 검출 전극(4a), 및 제 2 접속 전극(4b)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컨대 투광성을 갖는 도전성 부재를 들 수 있다. 투광성을 갖는 도전성 부재로서는, 예컨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TO(Antimony Tin Oxide), AZO(Al-Doped Zinc Oxide), 산화 주석, 산화 아연, 또는 도전성 고분자(예컨대, PEDOT, PSS 등)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제 1 검출 전극(3a)의 일부는 절연체(5)의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반복 압박되는 입력 조작에 따라 절연체(5)에 응력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입력 장치(X1)는 절연체(5)가 기체(2)로부터 박리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입력 장치(X1)는 상기 종래의 입력 장치와 비교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볼 때 이웃하는 제 1 검출 전극(3a) 각각의 단부(31a)는 제 2 접속 전극(4b)을 사이에 두고 절연체(5)의 양단부(51)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평면으로 볼 때 절연체(5)는 제 2 접속 전극(4b)뿐만 아니라 제 1 검출 전극(3a)의 2개의 단부(31a)에 의해서도 덮이게 된다. 이 때문에, 입력 장치(X1)는 절연체(5)가 기체(2)로부터 박리될 가능성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평면으로 볼 때 절연체(5)는 직사각 형상을 하고 있고, 이웃하는 제 1 검출 전극(3a) 각각의 단부(31a)는 제 2 접속 전극(4b)을 사이에 두고 절연체(5)의 코너부(52)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면으로 볼 때 절연체(5)의 코너부(52)는 대략 직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절연체(5)는 절연체(5)의 코너부(52)를 기점으로 해서 기체(2)로부터 박리되기 쉽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같이 이웃하는 제 1 검출 전극(3a) 각각의 단부(31a)가 절연체(5)의 코너부(52)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입력 장치(X1)는 절연체(5)가 기체(2)로부터 박리될 가능성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평면으로 볼 때 절연체(5)는 제 2 접속 전극(4b)뿐만 아니라 제 1 검출 전극(3a)의 2개의 단부(31a)에 의해서도 덮여져 있으므로 절연체(5)에 수분이 흡착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절연체(5)에 수분이 흡착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입력 장치(X1)는 상기 종래의 입력 장치와 비교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절연체(5)가 수분을 흡착하면 절연체(5) 상에 위치하는 제 1 검출 전극(3a)의 일부 및 제 2 접속 전극(4b)이 부식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절연체(5)가 수분을 흡착하면 절연체(5)와 기체(2)의 밀착성, 및 절연체(5)와 제 2 접속 전극(4b)의 밀착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입력 장치(X1)에 있어서 제 1 검출 전극(3a)의 일부는 절연체(5)의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검출 전극(3a)의 단부(31a)와 제 2 접속 전극(4b) 사이의 거리(L1)는 짧아진다. 그 때문에, 입력 장치(X1)는 상기 종래의 입력 장치에 비해서 제 1 검출 전극(3a)과 제 2 접속 전극(4b)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커지고 검출 감도가 향상된다.
또한, 외측 영역(EO)에 대응하는 기체(2)의 제 1 주면(2a) 상에는 배선도체(6)가 설치되어 있다.
배선도체(6)는 제 1 검출 전극(3a) 및 제 2 검출 전극(4a)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역할을 담당하는 부재이다. 배선도체(6)는 그 일단부가 제 1 검출 전극(3a) 및 제 2 검출 전극(4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 타단부가 외부 도통 영역(G1)에 위치하고 있다. 배선도체(6)는, 예컨대 경질로 높은 형상 안정성을 얻기 위해 금속 박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금속 박막으로서는, 예컨대 알루미늄막, 알루미늄 합금막, 크롬막과 알루미늄막의 적층막, 크롬막과 알루미늄 합금막의 적층막, 은막, 은 합금막, 또는 금 합금막을 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금속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스퍼터링법, 증착법, 또는 화학기상성장(CVD)법을 들 수 있다.
보호 부재(7)는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대해서 제 1 검출 전극(3a), 제 2 검출 전극(4a), 및 배선도체(6)를 보호하기 위한 역할을 담당하는 부재이다. 이 때문에, 보호 부재(7)는 제 1 검출 전극(3a), 제 2 검출 전극(4a), 및 배선도체(6)를 덮도록 해서 설치되어 있다. 즉, 보호 부재(7)는 사용자의 손가락(F1)이 직접 접촉되는 부재가 되고, 또한 접합 부재(8)를 통해서 기체(2)의 제 1 주면(2a)과 접합된다. 보호 부재(7)로서는, 예컨대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아크릴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접합 부재(8)로서는, 예컨대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어서, 입력 장치(X1)의 검출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입력 영역(EI)에 대응하는 보호 부재(7)에 도전체인 손가락(F1)이 근접, 접촉, 또는 압박되면 손가락(F1)과 검출 전극(3a, 4a)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된다. 여기서, 입력 장치(X1)에 구비되는 도시되지 않은 위치 검출 드라이버는 손가락(F1)과 검출 전극(3a, 4a)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항상 검출하고 있다. 이 위치 검출 드라이버는 소정값 이상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면 정전 용량의 변화가 검출된 위치를 입력 위치로서 검출한다. 이와 같이 해서 입력 장치(X1)는 입력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X1)가 입력 위치를 검출하는 방식으로서 상호 커패시턴스 방식 및 자기 커패시턴스 방식 중 어느 방식이어도 좋다. 상호 커패시턴스 방식을 채용하면 동시에 복수의 입력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자기 커패시턴스 방식을 채용할 경우에 비해서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입력 장치(X1)에 의하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입력 영역(EI)에 대응하는 보호 부재(7)를 통해서 입력 조작을 행하는 입력 장치(X1)의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입력 영역(EI)에 대응하는 기체(2)의 제 2 주면(2b)을 통해서 입력 조작을 행하는 입력 장치이어도 좋다. 즉, 기체(2)의 제 2 주면(2b)은 사용자의 손가락(F1)이 직접 접촉되는 면이 되어도 좋다. 또는, 기체(2)의 제 2 주면(2b)은 보호 필름 등의 부재를 통해서 사용자의 손가락(F1)이 직접 접촉되는 면이 되어도 좋다. 단, 본 실시형태와 같이 입력 영역(EI)에 대응하는 보호 부재(7)를 통해서 입력 조작을 행하는 입력 장치(X1)이면 손가락(F1)과 검출 전극(3a, 4a)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므로 검출 감도가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즉, 보호 부재(7)의 두께는 기체(2)의 두께보다 작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표시 장치(Y1)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Y1)는 상기 입력 장치(X1)와, 입력 장치(X1)에 대향 배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Z1)를 구비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Z1)는 액정 표시 패널(70), 백라이트(71), 및 하우징(72)을 구비하고 있다.
백라이트(71)는 광원(71a) 및 도광판(71b)을 포함하고 있다. 광원(71a)은 도광판(71b)을 향해서 광을 출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부재이며, 예컨대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된다. 또한, LED의 대신에 냉음극 형광 램프(CCFL), 할로겐 램프, 크세논 램프, EL(Electro-Luminescence)이어도 좋다. 도광판(71b)은 액정 표시 패널(70)의 밑면 전체에 걸쳐 광원(71a)으로부터의 광을 대략 균일하게 도입하기 위한 역할을 담당하는 부재이다.
하우징(72)은 액정 표시 패널(70) 및 백라이트(71)를 수용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며, 상측 하우징(72a) 및 하측 하우징(72b)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하우징(72)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 또는 스테인레스(SUS),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장치(X1)와 액정 표시 장치(Z1)는 양면 테이프(T1)를 통해서 접착된다. 즉, 입력 장치(X1)에 있어서의 기체(2)의 제 2 주면(2b)이 액정 표시 패널(70)의 주면에 대향 배치되도록 입력 장치(X1)와 액정 표시 장치(Z1)가 양면 테이프(T1)를 통해서 접착된다. 또한, 입력 장치(X1)와 액정 표시 장치(Z1)의 고정 방법에 사용되는 고정용 부재는 양면 테이프(T1)에는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열경화성 수지, 자외선 경화성 수지 등의 접착 부재, 또는 입력 장치(X1)와 액정 표시 장치(Z1)를 물리적으로 고정하는 고정 구조체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입력 장치(X1)는 액정 표시 장치(Z1)의 액정 표시 패널(70)을 투시하면서 입력 장치(X1)의 입력 영역(EI)을 입력 조작함으로써 각종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각종의 정보를 입력할 때에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에 대해서 압박감, 덧쓰기감, 촉감감 등의 다양한 촉감을 제시하는 기능을 입력 장치(X1)에 부여해도 좋다. 이 경우, 입력 장치(X1)에 있어서의 기체(2)에 1개 또는 복수개의 진동체(예컨대, 압전 소자 등)를 구비해서 소정의 입력 조작 또는 소정의 압박 하중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진동체를 소정의 주파수로 진동시킴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Y1)는, 예컨대 휴대 전화,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 단말, 전자수첩, PC, 복사기, 또는 게임 단말 등에 구비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 단말(P1)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외관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P1)은 상기 표시 장치(Y1)와, 하우징(100)과, 조작키(101)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0)은 표시 장치(Y1)를 수용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부재이다. 조작키(101)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 조작되는 키이다. 또한, 조작키(101)는 표시 화면에 표시된 조작키이어도 좋고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조작키이어도 좋다.
입력 장치(X1)의 입력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휴대 단말(P1)에는 상기 위치 검출 드라이버가 구비되어 있다. 위치 검출 드라이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값 이상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면 정전 용량의 변화가 검출된 위치를 입력 위치로서 검출하는 드라이버이다. 또한, 휴대 단말(P1)에는 표시 장치(Y1)의 표시 화면에 오브젝트를 표시하거나 또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등의 휴대 단말(P1)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드라이버가 구비되어 있다. 제어 드라이버는 위치 검출 드라이버로부터의 입력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예컨대 표시 화면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다른 오브젝트로 바꾸는 등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어 드라이버와 위치 검출 드라이버는 물리적으로 같은 드라이버이어도 좋고 물리적으로 다른 드라이버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구체예를 도시하는 것이며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 몇 개의 주된 변형예를 도시한다.
[변형예 1]
도 7은 변형예 1에 의한 입력 장치(X2)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4와 같은 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도 4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 부호를 부기해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장치(X2)에서는 평면으로 볼 때 절연체(5)의 코너부(52)는 둥그스름함(roundness)을 띠고 있다. 절연체(5)의 코너부(52)가 둥그스름함을 띠고 있으므로 절연체(5)에 응력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절연체(5)의 코너부(52)의 둥그스름함으로 상기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X2)에서는 평면으로 볼 때 이웃하는 제 1 검출 전극(3a) 각각의 단부(31a)는 제 2 접속 전극(4b)을 사이에 두고 절연체(5)의 코너부(52)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입력 장치(X2)는 절연체(5)가 기체(2)로부터 박리될 가능성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입력 장치(X2)는 입력 장치(X1)에 비해서 보다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변형예 2]
도 8 및 도 9는 변경예 2에 의한 입력 장치(X3)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변경예 2에 의한 입력 장치(X3)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2와 같은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3과 같은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4와 같은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도 10에 있어서, 도 2?도 4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 부호를 부기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장치(X3)는 절연체(5)를 덮도록 기체(2)의 제 1 주면(2a) 상에 형성된 보호막(10)을 구비하고 있다. 보호막(10)으로서는, 예컨대 이산화규소로 이루어지는 무기막 등을 들 수 있다. 즉, 입력 장치(X3)에서는 제 2 접속 전극(4b)은 절연체(5)에 형성된 보호막(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입력 장치(X3)에서는 평면으로 볼 때 이웃하는 제 1 검출 전극(3a) 각각의 단부(31a)는 제 2 접속 전극(4b)을 사이에 두고 절연체(5)의 양단부(51)를 덮도록 기체(2)의 제 1 주면(2a) 위 및 보호막(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즉, 입력 장치(X3)에 있어서의 절연체(5)는 입력 장치(X1)에 있어서의 절연체(5)에 비해서 평면으로 볼 때 제 2 접속 전극(4a), 및 제 1 검출 전극(3a)의 2개의 단부(31a)뿐만 아니라 보호막(10)에 의해서도 덮이게 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반복 압박되는 입력 조작에 따라 절연체(5)에 응력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입력 장치(X3)는 절연체(5)가 기체(2)로부터 박리될 가능성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입력 장치(X3)는 입력 장치(X1)에 비해서 보다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절연체(5)에 보호막(10)이 덮여 있으므로 입력 장치(X3)는 입력 장치(X1)에 비해서 절연체(5)에 수분이 흡착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3]
도 11 및 도 12는 변경예 3에 의한 입력 장치(X4)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도 2와 같은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3과 같은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도 2 및 도 3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 부호를 부기해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장치(X4)에서는 제 1 검출 전극(3a)과 접촉하는 절연체(5)의 접촉면(11a)의 표면 거칠기는 제 2 접속 전극(4b)과 접촉하는 절연체(5)의 접촉면(11b)의 표면 거칠기보다 거칠다. 변형예 3에서는 절연체(5)의 접촉면(11a)의 표면 거칠기를 절연체(5)의 접촉면(11b)의 표면 거칠기보다 거칠게 하기 위해서 절연체(5)의 접촉면(11a)에 복수의 구멍부(12)를 형성하고 있다. 이 복수의 구멍부(12)는, 예컨대 샌드 블라스트법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구멍부(12)의 형상, 깊이, 수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절연체(5)의 접촉면(11a)의 표면 거칠기가 절연체(5)의 접촉면(11b)의 표면 거칠기보다 거칠므로 절연체(5)의 접촉면(11a)의 면적이 증가한다. 절연체(5)의 접촉면(11a)의 면적이 증가하므로 입력 장치(X4)는 입력 장치(X1)에 비해서 제 1 검출 전극(3a)과 절연체(5)의 접촉 강도가 향상된다. 이 때문에, 입력 장치(X4)는 입력 장치(X1)에 비해서 절연체(5)가 기체(2)로부터 박리될 가능성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입력 장치(X4)는 입력 장치(X1)에 비해서 보다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검출 전극(3a, 4a) 및 접속 전극(3b, 4b)은, 예컨대 스퍼터링법, 증착법, 또는 화학기상성장(CVD)법에 의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상기와는 반대로 절연체(5)의 접촉면(11b)의 표면 거칠기가 절연체(5)의 접촉면(11a)의 표면 거칠기보다 거칠면 평면으로 볼 때 절연체(5)의 접촉면(11a)에 위치하는 제 2 접속 전극(4b)의 외주부에 요철이 형성되어버린다. 제 2 접속 전극(4b)의 외주부에 요철이 형성되면 제 2 접속 전극(4b)과 제 1 검출 전극(3a)이 갑자기 도통하여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점으로부터도 상기한 바와 같이 절연체(5)의 접촉면(11a)의 표면 거칠기는 절연체(5)의 접촉면(11b)의 표면 거칠기보다 거친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 4]
도 13 및 도 14는 변경예 4에 의한 입력 장치(X5)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3은 도 2와 같은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3과 같은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있어서 도 2 및 도 3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 부호를 부기해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장치(X5)에서는 절연체(5)는 단부(51)로부터 꼭대기부(53)까지의 영역에 볼록곡면(5a)을 갖고 있다. 즉, 입력 장치(X5)에서는 이웃하는 제 1 검출 전극(3a)의 각각의 단부(31a)는 절연체(5)의 볼록곡면(5a)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절연체(5)가 볼록곡면(5a)을 갖고 있으므로 절연체(5)에 가해진 응력은 볼록곡면(5a)에 있어서 완화된다. 이 때문에, 입력 장치(X5)는 입력 장치(X1)에 비해서 절연체(5)가 기체(2)로부터 박리될 가능성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입력 장치(X5)는 입력 장치(X1)에 비해서 보다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절연체(5)의 볼록곡면(5a)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해도 절연체(5)에 가해진 응력은 절연체(5)의 볼록곡면(5a)에 형성된 오목부에 있어서 완화된다. 또한, 절연체(5)의 볼록곡면(5a)에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변형예 5]
또한, 상기에서는 입력 장치(X1)가 접착되는 표시 패널이 액정 표시 패널인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입력 장치(X1)가 장착되는 표시 패널은 CRT,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무기 EL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형광 표시관,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표면 전계 디스플레이, 전자 페이퍼 등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에서는 입력 장치(X1)를 구비한 표시 장치(Y1)의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상기 입력 장치(X1) 대신에 입력 장치(X2), 입력 장치(X3), 입력 장치(X4), 또는 입력 장치(X5)를 채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에서는 표시 장치(Y1)를 구비한 휴대 단말(P1)의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상기 표시 장치(Y1) 대신에 입력 장치(X2), 입력 장치(X3), 입력 장치(X4), 또는 입력 장치(X5)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채용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적절하게 조합해도 좋다.
X1?X5 : 입력 장치 Y1 : 표시 장치
P1 : 휴대 단말 2 : 기체
2a : 제 1 주면 2b : 제 2 주면
3a : 제 1 검출 전극 3b : 제 1 접속 전극
4a : 제 2 검출 전극 4b : 제 2 접속 전극
5 : 절연체 5a : 볼록곡면
51 : 절연체의 단부 52 : 절연체의 코너부
53 : 절연체의 꼭대기부 10 : 보호막
70 : 액정 표시 패널(표시 패널) 100 : 하우징

Claims (10)

  1. 기체와,
    상기 기체 상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 1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 1 검출 전극과,
    상기 기체 상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 2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 2 검출 전극과,
    상기 기체 상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이웃하는 상기 제 1 검출 전극을 접속하는 제 1 접속 전극과,
    상기 제 1 접속 전극을 덮도록 상기 기체 상에 설치된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에 걸쳐지도록 상기 절연체 상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이웃하는 상기 제 2 검출 전극을 접속하는 제 2 접속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검출 전극의 일부는 상기 절연체의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평면으로 볼 때 이웃하는 상기 제 1 검출 전극 각각의 단부는 상기 제 2 접속 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절연체의 양단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평면으로 볼 때 상기 절연체는 직사각 형상을 하고 있고,
    평면으로 볼 때 이웃하는 상기 제 1 검출 전극 각각의 단부는 상기 제 2 접속 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절연체의 코너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평면으로 볼 때 상기 절연체의 코너부는 둥그스름함을 띠고 있고,
    평면으로 볼 때 이웃하는 상기 제 1 검출 전극 각각의 단부는 상기 제 2 접속 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절연체의 코너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를 덮도록 상기 기체 상에 형성된 보호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검출 전극과 접촉하는 상기 절연체의 접촉면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제 2 접속 전극이 접촉하는 상기 절연체의 접촉면의 표면 거칠기보다 거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단부로부터 꼭대기부까지의 영역에 볼록곡면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8. 제 1 항에 기재된 입력 장치와,
    상기 입력 장치와 대향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 8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를 하우징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KR1020127016211A 2010-02-24 2011-02-07 입력 장치, 표시 장치, 및 휴대 단말 KR1013736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38543 2010-02-24
JP2010038543 2010-02-24
PCT/JP2011/052502 WO2011105202A1 (ja) 2010-02-24 2011-02-07 入力装置、表示装置、および携帯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532A true KR20120096532A (ko) 2012-08-30
KR101373641B1 KR101373641B1 (ko) 2014-03-12

Family

ID=44506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211A KR101373641B1 (ko) 2010-02-24 2011-02-07 입력 장치, 표시 장치, 및 휴대 단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80080B2 (ko)
EP (1) EP2541381B1 (ko)
JP (2) JP4954350B2 (ko)
KR (1) KR101373641B1 (ko)
CN (1) CN102667694B (ko)
WO (1) WO20111052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252A (ko) * 2014-03-06 2016-11-10 케이엘에이-텐코 코포레이션 복합 결함 분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36913B1 (ja) * 2012-02-29 2012-09-2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JP5880142B2 (ja) * 2012-03-01 2016-03-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センサ基板、タッチパネルセンサ基板を備えた入出力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センサ基板の製造方法
CN103631426B (zh) * 2012-08-26 2016-12-21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
JP6075754B2 (ja) * 2012-09-24 2017-02-08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4106974A (ja) * 2012-11-22 2014-06-09 Lg Innotek Co Ltd タッチウィンドウ
WO2021005695A1 (ja) * 2019-07-08 2021-01-14 株式会社Anova タッチパネル構造及びタッチパネル構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6291A (ja) * 2001-06-07 2002-12-2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6777922B2 (en) 2001-05-14 2004-08-17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inputting a signal, and method therefor
JP3815733B2 (ja) * 2003-03-03 2006-08-30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ケースの防水方法
US7695805B2 (en) * 2004-11-30 2010-04-13 Tdk Corporation Transparent conductor
JP2008097283A (ja) 2006-10-11 2008-04-24 Hosiden Corp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US20080142249A1 (en) * 2006-12-13 2008-06-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ive surface roughness for high speed signaling
JP5103944B2 (ja) * 2007-03-02 2012-12-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入力機能付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電子機器
TW200842681A (en) * 2007-04-27 2008-11-01 Tpk Touch Solutions Inc Touch pattern structure of a capacitive touch panel
JP4998919B2 (ja) 2007-06-14 2012-08-15 ソニー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静電容量型入力装置
TW200901014A (en) * 2007-06-28 2009-01-01 Sense Pad Tech Co Ltd Touch panel device
TWI361996B (en) * 2008-03-21 2012-04-11 Elan Microelectronics Corp Touch panel device
JP2009265748A (ja) * 2008-04-22 2009-11-12 Hitachi Displays Ltd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TWM354119U (en) * 2008-11-24 2009-04-01 Young Fast Optoelectronics Co Improved capacitance touch sensor structure
CN101441545A (zh) * 2008-12-08 2009-05-27 中国南玻集团股份有限公司 电容式触控屏及其制造方法
JP3149113U (ja) * 2008-12-25 2009-03-12 洋華光電股▲ふん▼有限公司 キャパシタ式接触制御インダクション構造
TWI631538B (zh) * 2009-01-28 2018-08-0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JP2010211647A (ja) 2009-03-11 2010-09-24 Seiko Epson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3152611U (ja) * 2009-05-26 2009-08-06 洋華光電股▲ふん▼有限公司 タッチパネルのキャパシター感知構造
JP5278759B2 (ja) 2009-05-28 2013-09-04 凸版印刷株式会社 静電容量型入力装置
TWI497157B (zh) 2009-06-19 2015-08-21 Tpk Touch Solutions Inc 具觸控功能的平面轉換式液晶顯示器
CN101587408B (zh) * 2009-06-29 2011-04-13 深圳莱宝高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容式触摸屏及其制造方法
WO2011081112A1 (ja) * 2009-12-28 2011-07-07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252A (ko) * 2014-03-06 2016-11-10 케이엘에이-텐코 코포레이션 복합 결함 분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67694B (zh) 2015-06-17
CN102667694A (zh) 2012-09-12
US20120287082A1 (en) 2012-11-15
JPWO2011105202A1 (ja) 2013-06-20
JP2012038353A (ja) 2012-02-23
JP4954350B2 (ja) 2012-06-13
US8780080B2 (en) 2014-07-15
EP2541381A1 (en) 2013-01-02
EP2541381A4 (en) 2015-04-22
EP2541381B1 (en) 2017-09-06
KR101373641B1 (ko) 2014-03-12
WO2011105202A1 (ja) 2011-09-01
JP5300961B2 (ja)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641B1 (ko) 입력 장치, 표시 장치, 및 휴대 단말
JP5095043B1 (ja) 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926270B2 (ja) 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EP2600228B1 (en) Input device, display device and machine
KR20120061936A (ko) 입력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
JP5909560B2 (ja) 入力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1059834A (ja) タッチパネル及び電子機器
JP5869591B2 (ja) 入力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150109226A1 (en) Touch panel
JP5349287B2 (ja) 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5886702B2 (ja) 入力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473456B2 (ja) 静電容量方式のタッチパネ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US20120299871A1 (en) Input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5738122B2 (ja) 配線基板および入力装置
JP5734130B2 (ja) 入力装置、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機器
JP2012248010A (ja) 入力装置、表示装置、および機器
JP2012221477A (ja) 入力装置、表示装置、および携帯端末
JP2013050781A (ja) 入力装置、表示装置、および機器
KR20150104850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3011966A (ja) 入力装置、表示装置、および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