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4668A - 스테레오 카메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테레오 카메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4668A
KR20120094668A KR1020110014071A KR20110014071A KR20120094668A KR 20120094668 A KR20120094668 A KR 20120094668A KR 1020110014071 A KR1020110014071 A KR 1020110014071A KR 20110014071 A KR20110014071 A KR 20110014071A KR 20120094668 A KR20120094668 A KR 20120094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camera
coupling member
mount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만
한승찬
최재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4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4668A/ko
Priority to JP2011288586A priority patent/JP5897328B2/ja
Publication of KR20120094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1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 G03B35/20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using two or more proj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1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레오 카메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외부의 피사체를 3D 영상으로 촬영하기 위한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 및 복수 개의 상기 카메라 모듈이 실장되는 복수 개의 실장부 및 복수 개의 상기 카메라 모듈과 고정결합되는 복수 개의 안착부를 구비하는 기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테레오 카메라 및 그의 제조방법{Stereo Camera and a fabricat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스테레오 카메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화, 드라마 및 스포츠와 관련된 영상 콘텐츠 산업과 이동 통신 단말기, 휴대용 단말기 및 엔터테인먼트 게임기 시장은 점차 3D 방식으로 촬영된 고화질의 영상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에 따라서, 현재 3D 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2개 이상의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생산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스테레오 카메라를 살펴보면, 하나의 PCB 위에 복수 개의 이미지 센서를 실장한 후 각각의 이미지 센서 상에 다수 개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배럴, 렌즈 엑츄에이터 및 하우징이 결합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이미지 센서를 PCB에 실장하기 위해서 각각의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기 위하여 PCB 상에 형성된 이미지 센서 실장영역에 인식 마크를 부착한다.
그 다음 PCB에 부착된 인식 마크를 기준으로 조립자가 직접 이미지 센서를 결합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부품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인 지그(Jig) 방식을 이용하여 각각의 이미지 센서를 PCB 상에 결합시킨다.
하지만, PCB 상에 형성된 이미지 센서 실장영역에 인식 마크를 인쇄할 때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오차가 발생한 상태에서 인식 마크를 기준으로 각각의 이미지 센서를 PCB에 실장하게 되면 최종 조립 후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 각각의 이미지 센서의 위치가 동일 평면 선상에 위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로써, 각각의 카메라 모듈 간에 광축이 틀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3D 영상 또한 편차가 발생하여 3D 영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불량을 증가시키고 수율 저하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3D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 간의 광축을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위한 기구부재를 포함하는 스테레오 카메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는 외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외부의 피사체를 3D 영상으로 촬영하기 위한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 및 복수 개의 상기 카메라 모듈이 실장되는 복수 개의 실장부 및 복수 개의 상기 카메라 모듈과 고정결합되는 복수 개의 안착부를 구비하는 기구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구부재의 상기 실장부에 실장되고 상기 안착부와 고정결합되는 상기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제1 카메라 모듈 및 상기 기구부재의 상기 실장부에 실장되고 상기 안착부와 고정결합되는 상기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제2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구부재는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이 실장되는 제1 실장부, 상기 제1 실장부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실장부를 기준으로 임의의 하나의 축 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이 실장되는 제2 실장부 및 상기 결합부재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부재와 고정결합되는 복수 개의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다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 엑츄에이터, 촬영된 외부 피사체의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렌즈 배럴을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결합부재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인서트 사출방법으로 제작되어 상기 결합부재와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과 외부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의 제조방법은 (a)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 중 어느 하나인 제1 카메라 모듈을 기구부재의 제1 실장부에 실장하는 단계, (b) 상기 기구부재의 상기 제1 실장부에 실장된 상기 제1 카메라 모듈과 주변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다음 외부에 별도로 설치된 기준대상을 상기 제1 카메라 모듈로 촬영하는 단계, (c)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이 기준대상을 촬영한 제1 데이터 값을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d)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 중 다른 하나인 제2 카메라 모듈과 주변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다음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동일한 기준대상을 상기 제2 카메라 모듈로 촬영하는 단계, (e)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이 기준대상을 촬영한 제2 데이터 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제1 데이터 값과 비교하는 단계, (f) 상기 제1 데이터 값과 상기 제2 데이터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과 x축, y축 및 z 축 방향 중 임의의 2 축 방향으로 동일한 선상에 오도록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g)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1 실장부를 기준으로 3 축 방향 중 나머지 임의의 한 축 방향으로 일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2 실장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a) 단계 이전에, (a-1) 외부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인서트 사출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하우징을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단계, (a-2) 인서트 사출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결합부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을 제작하는 단계 및 (a-3) 복수 개의 상기 카메라 모듈이 실장되는 복수 개의 실장부 및 상기 카메라 모듈과 고정결합되는 복수 개의 안착부를 포함하는 기구부재를 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b) 단계 이후에 (b-1) 상기 기구부재의 상기 안착부와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상기 결합부재를 솔더링 방식으로 고정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g) 단계 이후에 (g-1) 상기 기구부재의 상기 안착부와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상기 결합부재를 솔더링 방식으로 고정결합하는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의 광축을 정확하게 일치시키는 기구부재를 제공함으로써 3D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의 광축을 정밀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의 광축이 일치됨에 따라 주시각과 초점거리가 정확하게 일치됨으로써 고품질의 3D 영상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불량을 낮추고 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의 확대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레오 카메라(100)는 제1 카메라 모듈(110), 제2 카메라 모듈(120), 기구부재(130),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20)과 상기 기구부재(130)를 고정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114)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은 렌즈 배럴(111), 렌즈 엑츄에이터(미도시), 이미지 센서(미도시), 인쇄회로기판(113) 및 하우징(1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카메라 모듈(120)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은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과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되는 기술적 구성에 있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겠다.
상기 렌즈 배럴(111)은 외부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다수 개의 렌즈(미도시)를 내부에 구비한다.
상기 렌즈 엑츄에이터(미도시)는 상기 렌즈 배럴(111)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VCA(Voice Coil Actuator) 방식, Piezo(피에조) 방식, 모터방식 등의 엑츄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미도시)는 다수 개의 렌즈를 통해 촬영된 외부 이미지의 영상을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13)의 상부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센서(미도시)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광전 변환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배럴(111)와 상기 이미지 센서(미도시) 사이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가 인식할 수 있는 가시광선만을 통과시키도록 적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IR 필터(미도시)가 더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13)은 상부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상기 이미지 센서(미도시)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주변 부품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미지 센서 이외에도 각종 수동소자 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회로패턴(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2)은 내부에 상기 렌즈 배럴(111)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13)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2)은 인서트 사출방식을 통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플라스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12)이 인서트 사출방식을 통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될 때 상기 하우징(112)의 측면으로는 상기 결합부재(114)가 고정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12)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114)는 상기 기구부재(130)와 고정결합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12)이 인서트 사출방식을 통해 제작되기 때문에 상기 결합부재(114)는 상기 하우징(112)의 내부에 고정결합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재(114)는 상기 하우징(112)의 사출 틀 내부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114)가 위치할 측면에 미리 안착하고 이후 인서트 사출방식을 통해 상기 하우징(112)을 일체형으로 제작하게 되면 상기 결합부재(114)는 상기 하우징(112)과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114)는 상기 기구부재(130)와 고정결합되기 위하여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2)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부재(114)의 수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수에 있어서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구부재(130)는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이 실장되는 제1 실장부(131)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20)이 실장되는 제2 실장부(13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의 상기 하우징(112)의 외측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결합부재(114)와 고정결합되는 안착부(13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1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100)를 구성하며, 인서트 사출방식에 의해 측면에 복수 개의 결합부재(114, 124)를 구비하는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 제2 메라 모듈(120)을 최종적으로 조립 완료하여 준비한다.
그 다음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을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20)이 실장되는 상기 기구부재(130)의 제1 실장부(131)에 실장한다.
그 다음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제작되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과 일체로 형성되고 일정부분 외부로 도출된 상기 결합부재(114)와 상기 제1 실장부(131)에 형성된 상기 안착부(133)를 솔더링 방식에 의하여 고정결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재(114)와 상기 안착부(133)를 솔더링 방식으로 고정결합하였지만, 접착력이 강한 본딩제를 이용하는 bonding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114)과 상기 안착부(133)를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결합방법에 있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다음,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의 상기 결합부재(114)와 상기 기구 부재(130)의 상기 안착부(133)를 고정 결합한 후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을 주변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한 다음 외부에 설치된 기준대상(미도시) 또는 기준좌표(미도시)를 촬영하여 제1 데이터 값을 산출한다.
이후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이 상기 기준대상을 촬영한 상기 제1 데이터 값을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한다.
그 다음, 지그(jig)와 같이 일반적으로 제품 또는 부품의 이송을 위해 이용되는 별도의 조정장치에 연결된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20)을 주변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한 다음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이 촬영한 상기 기준대상 또는 상기 기준좌표를 동일하게 촬영하여 제2 데이터 값을 산출한다.
그 다음,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이 촬영한 상기 제1 데이터 값과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20)이 촬영한 상기 제2 데이터 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한다.
그 다음,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1 데이터 값과 상기 제2 데이터 값을 비교하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장부(131)을 기준으로 x축, y축 및 z 축 방향 중 임의의 2 축 방향으로 동일한 선상에 오도록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조정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x축, z축으로는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지만, y축 방향으로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기 제2 실장부(132)에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20)을 실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실장부(131)와 상기 제1 실장부(131)를 기준으로 임의의 한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하는 상기 제2 실장부(132)와의 거리의 차는 일반적으로 사람의 두 눈에서 발생하는 양안 시차의 비율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20)의 상기 결합부재(124)와 상기 안착부(133)를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의 상기 결합부재(114)와 상기 안착부(133)를 고정결합한 방법과 동일하게 고정결합한다.
이로써,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20)은 외부의 촬영 대상을 기준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 및 제2 카메라 모듈(120)의 광축을 정밀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과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20)의 광축이 일치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주시각과 초점거리가 정확하게 일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20)의 광축이 어긋난 경우,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20)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결합부재(114, 124)와 상기 안착부(133)를 분리하여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손쉽게 재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스테레오 카메라의 불량률을 낮추고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 및 그의 제조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스테레오 카메라 110: 제1 카메라 모듈
111, 121: 렌즈 배럴 112, 122: 하우징
113, 123: 인쇄회로기판 114, 124: 결합부재
118, 128: 커넥터 120: 제2 카메라 모듈
130: 기구 부재 131: 제1 실장부
132: 제2 실장부 133: 안착부

Claims (11)

  1. 외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외부의 피사체를 3D 영상으로 촬영하기 위한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 및
    복수 개의 상기 카메라 모듈이 실장되는 복수 개의 실장부 및 복수 개의 상기 카메라 모듈과 고정결합되는 복수 개의 안착부를 구비하는 기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구부재의 상기 실장부에 실장되고 상기 안착부와 고정결합되는 상기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제1 카메라 모듈; 및
    상기 기구부재의 상기 실장부에 실장되고 상기 안착부와 고정결합되는 상기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제2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구부재는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이 실장되는 제1 실장부;
    상기 제1 실장부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실장부를 기준으로 임의의 하나의 축 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이 실장되는 제2 실장부; 및
    상기 결합부재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부재와 고정결합되는 복수 개의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다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 엑츄에이터;
    촬영된 외부 피사체의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렌즈 배럴을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결합부재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인서트 사출방법으로 제작되어 상기 결합부재와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과 외부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
  8. (a)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 중 어느 하나인 제1 카메라 모듈을 기구부재의 제1 실장부에 실장하는 단계;
    (b) 상기 기구부재의 상기 제1 실장부에 실장된 상기 제1 카메라 모듈과 주변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다음 외부에 별도로 설치된 기준대상을 상기 제1 카메라 모듈로 촬영하는 단계;
    (c)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이 기준대상을 촬영한 제1 데이터 값을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d)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 중 다른 하나인 제2 카메라 모듈과 주변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다음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동일한 기준대상을 상기 제2 카메라 모듈로 촬영하는 단계;
    (e)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이 기준대상을 촬영한 제2 데이터 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제1 데이터 값과 비교하는 단계;
    (f) 상기 제1 데이터 값과 상기 제2 데이터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과 x축, y축 및 z 축 방향 중 임의의 2 축 방향으로 동일한 선상에 오도록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g)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을 상기 제1 실장부를 기준으로 3 축 방향 중 나머지 임의의 한 축 방향으로 일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2 실장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a) 단계 이전에,
    (a-1) 외부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인서트 사출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하우징을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단계;
    (a-2) 인서트 사출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결합부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을 제작하는 단계; 및
    (a-3) 복수 개의 상기 카메라 모듈이 실장되는 복수 개의 실장부 및 상기 카메라 모듈과 고정결합되는 복수 개의 안착부를 포함하는 기구부재를 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b) 단계 이후에
    (b-1) 상기 기구부재의 상기 안착부와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상기 결합부재를 솔더링 방식으로 고정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g) 단계 이후에
    (g-1) 상기 기구부재의 상기 안착부와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상기 결합부재를 솔더링 방식으로 고정결합하는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제조방법.
KR1020110014071A 2011-02-17 2011-02-17 스테레오 카메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9466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071A KR20120094668A (ko) 2011-02-17 2011-02-17 스테레오 카메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1288586A JP5897328B2 (ja) 2011-02-17 2011-12-28 ステレオカメラ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071A KR20120094668A (ko) 2011-02-17 2011-02-17 스테레오 카메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668A true KR20120094668A (ko) 2012-08-27

Family

ID=46885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071A KR20120094668A (ko) 2011-02-17 2011-02-17 스테레오 카메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897328B2 (ko)
KR (1) KR2012009466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925A (ko) * 2018-04-03 2018-05-09 주식회사 퓨런티어 듀얼 카메라 모듈, 이의 제조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114116A (ko) * 2016-02-18 2018-10-17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어레이 이미징 모듈 및 성형된 감광성 어셈블리, 회로 보드 어셈블리 및 전자 장치용 그 제조 방법
KR20180123097A (ko) * 2016-03-12 2018-11-14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어레이 이미징 모듈, 성형 감광성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장치
CN109495735A (zh) * 2017-09-12 2019-03-19 韩国以事美德有限公司 双相机模块的对准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1506B2 (ja) 2012-09-27 2016-08-0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ステレオカメラ装置
US20180234596A1 (en) * 2017-02-13 2018-08-16 Asia Vital Components Co., Ltd. Camera module protection structure
JP7260483B2 (ja) 2017-12-08 2023-04-18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5506A (ja) * 1996-10-11 1998-05-06 Fuji Heavy Ind Ltd ステレオカメラの調整装置
JP2003052058A (ja) * 2001-08-06 2003-02-21 Nippon Hoso Kyokai <Nhk> 立体画像撮像装置
JP4679864B2 (ja) * 2004-09-21 2011-05-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ステレオカメラ、およびステレオカメラ用ステー
JP4448844B2 (ja) * 2006-11-22 2010-04-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複眼撮像装置
JP2008160648A (ja) * 2006-12-26 2008-07-10 Hitachi Maxell Ltd カメラモジュール、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JP5128370B2 (ja) * 2008-05-22 2013-01-23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US7848635B2 (en) * 2008-05-28 2010-12-07 Creat3 Inc. Modular stereoscopic ri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116A (ko) * 2016-02-18 2018-10-17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어레이 이미징 모듈 및 성형된 감광성 어셈블리, 회로 보드 어셈블리 및 전자 장치용 그 제조 방법
KR20200085932A (ko) * 2016-02-18 2020-07-15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어레이 이미징 모듈 및 성형된 감광성 어셈블리, 회로 보드 어셈블리 및 전자 장치용 그 제조 방법
KR20180123097A (ko) * 2016-03-12 2018-11-14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어레이 이미징 모듈, 성형 감광성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장치
CN109495735A (zh) * 2017-09-12 2019-03-19 韩国以事美德有限公司 双相机模块的对准方法
KR20180046925A (ko) * 2018-04-03 2018-05-09 주식회사 퓨런티어 듀얼 카메라 모듈, 이의 제조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73737A (ja) 2012-09-10
JP5897328B2 (ja)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19311B2 (ja) マルチレンズカメラモジュール結合スタンド、マルチレンズ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利用
JP5897328B2 (ja) ステレオカメ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377378B (zh) 摄像装置
JP5601000B2 (ja) 撮像装置
JP7478220B2 (ja) カメラレンズバレル、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光学装置
CN107065423B (zh) 三维图像采集装置及其制造方法
US7874746B2 (en)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EP3477352B1 (en) Fixed-focus camera module
TWI620967B (zh) 攝影模組
TWI657306B (zh) 陣列攝像模組及其模塑感光組件、線路板組件和製造方法以及電子設備
CN103314568A (zh) 组装相机模块的方法与系统
US10288831B2 (en) Method for assembling camera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lens unit
JP2012523194A (ja) 立体映像生成用イメージセンサ
US8180212B2 (en) Optical system for infinite image formation and method for fabricating camera module using the same
JP5821394B2 (ja) 撮像装置
TWI604258B (zh) Multi-camera module assembly bracket and multi-lens camera module and their application
JP6550748B2 (ja) 撮像装置
KR20130071078A (ko) 카메라 모듈
TWI569436B (zh) 用於可pcb安裝的相機模組之可pcb安裝的透鏡配接器
CN105278213A (zh) 用于制造相机模块的设备
KR101859380B1 (ko) 멀티 카메라 장치
KR20150034523A (ko) 카메라 모듈
US10863065B2 (en)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83759B1 (ko) Vcm렌즈의 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지그
WO2012169363A1 (ja) ステレオカメラの製造方法及びステレオ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