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291A - 정지 장치 - Google Patents

정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291A
KR20120091291A KR1020127014497A KR20127014497A KR20120091291A KR 20120091291 A KR20120091291 A KR 20120091291A KR 1020127014497 A KR1020127014497 A KR 1020127014497A KR 20127014497 A KR20127014497 A KR 20127014497A KR 20120091291 A KR20120091291 A KR 20120091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unit
swinging unit
swing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0869B1 (ko
Inventor
분고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1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23Pivoting stop, swinging in or out of the path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58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with means for holding or retaining the loads in fixed position, e.g. 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크(W)에 접촉되어 반송 중의 워크(W)를 정지시키는 워크 접촉부(12)를 가지며, 워크 접촉부(12)가 워크에 접촉되는 접촉 위치와 워크 접촉부(12)가 워크(W)의 하면보다도 하방으로 후퇴하여 워크(W)와 비접촉인 퇴피 위치 사이에서 회동이 자유로운 요동 유닛(10); 요동 유닛(10)에 대해, 요동 유닛(10)을 접촉 위치에 위치시키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력을 부여하는 요동 유닛용 탄성 부재(20); 요동 유닛(10)과 연결된 가동부(321, 322, 323) 및 요동 유닛(10)이 퇴피 위치측으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가동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31)를 가지는 전동 구동 수단; 가동부(321, 322, 323)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함으로써, 요동 유닛(10)과의 걸어맞춤에 의한 요동 유닛(10)의 회동 규제와 그 회동 규제의 해제를 행하는 회동 규제 부재(40);를 구비하는 정지 장치(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지 장치{Stop device}
본 발명은 반송 중의 워크에 접촉하여 워크를 정지시키는 정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롤러 컨베이어 등의 반송 장치 상에서 반송되는 워크를 소정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정지 장치가 알려져 있다. 정지 장치는, 워크에 접촉하는 롤러 등의 접촉 부분을 반송 장치 상에 진출 또는 퇴피시킴으로써 워크의 정지 또는 정지 해제를 행한다. 이 때문에, 접촉 부분을 왕복동시키는 기구 및 액튜에이터가 필요하게 된다. 정지 장치의 액튜에이터로서는, 접촉 부분의 왕복동이 필요한 점에서 양방향으로 구동력을 발휘 가능한 에어 실린더가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특허문헌 1 내지 3).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평6-1623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평8-319023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공개특허 평11-227937호 공보
그러나, 에어 실린더를 채용하기 위해서는 에어의 공급 시스템이 필요하게 된다. 에어의 공급 시스템을 폐하고 반송 설비의 전동화를 도모하는 경우에는, 에어 실린더를 대신하는 전동(電動)의 액튜에이터의 채용이 필요하게 된다. 전동의 액튜에이터로서는 모터 등보다도 솔레노이드 등의 액튜에이터가 비교적 저렴하여 반송 설비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솔레노이드 등은 구동력이 단방향으로만 발휘된다. 정지 장치에서는, 워크에 접촉시키는 접촉 부분의 진출, 퇴피 동작에 덧붙여 진출 상태 및 퇴피 상태의 유지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등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단방향의 구동력으로 이들 요구를 만족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방향으로만 구동력을 발휘하는 전동 액튜에이터를 채용하면서 정지 장치에 필요한 기능을 실현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송 중의 워크에 접촉하여 워크를 정지시키는 정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워크에 접촉되어 반송 중의 워크를 정지시키는 워크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워크 접촉부가 워크의 하면보다도 상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워크에 접촉되는 접촉 위치와, 상기 워크 접촉부가 워크의 하면보다도 하방으로 후퇴하여 워크와 상기 워크 접촉부가 비접촉인 퇴피 위치 사이에서 회동이 자유로운 요동 유닛; 상기 요동 유닛에 대해, 상기 요동 유닛을 상기 접촉 위치에 위치시키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력을 부여하는 요동 유닛용 탄성 부재; 상기 요동 유닛과 연결된 가동부 및 상기 요동 유닛이 상기 퇴피 위치측으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가지는 전동(電動) 구동 수단; 상기 가동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요동 유닛과의 걸어맞춤에 의한 상기 요동 유닛의 회동 규제와 그 회동 규제의 해제를 행하는 회동 규제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방향으로만 구동력을 발휘하는 전동 액튜에이터를 채용하면서 정지 장치에 필요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a는 정지 장치(1)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선 X-X에 따른 단면도.
도 2는 정지 장치(1)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정지 장치(1)의 동작 설명도.
도 3b는 정지 장치(1)의 동작 설명도.
도 4a는 정지 장치(1)의 동작 설명도.
도 4b는 정지 장치(1)의 동작 설명도.
도 5a는 정지 장치(1)의 동작 설명도.
도 5b는 정지 장치(1)의 동작 설명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정지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는 정지 장치(1)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선 X-X에 따른 단면도, 도 2는 정지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 도 1b에서는 정지 장치(1)의 주요부의 단면도로 하고, 또한 요동 부재(11)에 대해서는 부분 단면도로 한다.
정지 장치(1)는 요동 유닛(10)을 구비한다. 요동 유닛(10)은 요동 부재(11)와 접촉 유닛(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동 부재(11)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수평부(11a)와, 상부 수평부(11a)로부터 곡절(曲折)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부(11b)와, 중간부(11b)로부터 곡절되어 마찬가지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수평부(112)를 일체로 구비한다.
요동 부재(11)는, 그 한쪽 단부(상부 수평부(11a)의 단부)에 축구멍(111)을 구비한다. 축구멍(111)에는 회동축(53)이 삽입되어 회동축(53)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요동 부재(11)는 회동이 자유롭다. 또한, 상부 수평부(11a)의 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한 볼록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수평부(11a)에는, 또한 그 하면으로 개구된 바닥이 있는 개구부(115, 117)를 가진다. 개구부(115)는 단면 형상이 원형이며, 후술하는 탄성 부재(20)가 장착되는 스프링 받침공이다. 개구부(117)는 단면 형상이 타원 형상으로, 후술하는 연결부(322)가 삽입되는 구멍이다. 상부 수평부(11a)의 측면부에는, 그 측면 간을 관통하는 핀 삽입공(116)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핀 삽입공(116)은 개구부(117)와 연통하고 있다.
상부 수평부(11a)와 중간부(11b)의 곡절 부분에는 오목형상의 절제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제부(113)는 후술하는 접촉 유닛(12)의 롤러(121) 및 가동 부재(122)와 요동 부재(11)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11b)의 내측 측면(상부 수평부(11a)의 하면과 연속되어 있는 면)에는 반구형상의 볼록부(118)가 2개소 설치되어 있다. 중간부(11b)의 내측 측면 중에서 볼록부(118)의 하측에는 하부 수평부(112)까지 연장되는 절제부(단차부)(119)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수평부(112)에는 접촉 유닛(12)이 탑재된다. 하부 수평부(112)의 상면에는 하부 수평부(112)를 관통하는 관통공(112a) 및 나사공(112b)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 유닛(12)은 워크에 접촉하는 워크 접촉부로서의 롤러(121); 롤러(121)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가동 부재(122); 하부 수평부(112)의 상면에 놓이는 지지 부재(124);를 구비한다. 가동 부재(122)는 축(123)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 부재(124)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124)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삽입통과공(도시생략)에 완충기(shock absorber; 125)의 실린더부(외통부)가 삽입통과되고, 완충기(125)는 로드부(125a)를 지지 부재(124)의 상면에 돌출시킨 상태로 지지 부재(124)에 고정되어 있다. 완충기(125)의 로드부(125a)의 선단에 가동 부재(122)의 후단부 하면이 접촉된다. 또한, 완충기(125)의 실린더부의, 지지 부재(124)의 하면에 돌출한 부분이 관통공(112a)에 삽입통과된다. 볼트(126)를 나사공(112b)에 나사결합시키고, 지지 부재(124)를 요동 부재(11)의 하부 수평부(112)에 고정함으로써, 접촉 유닛(12)은 요동 부재(11)에 고정된다.
다음에, 정지 장치(1)는 지지 부재(50)를 구비한다. 지지 부재(50)는 L자형 한 쌍의 벽부(51, 51)와 벽부(5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52)를 일체로 구비한다. 각 벽부(51, 51)는 회동축(53)을 지지하는 베어링공(51a, 51a)을 구비한다. 회동축(53)은 한쪽의 베어링공(51a), 요동 부재(11)의 축구멍(111), 다른 쪽의 베어링공(51a)을 순차적으로 삽입통과하고, 그 양단에 스냅 링(54)이 걸어맞춤함으로써 회동축(53)의 탈락을 막아 지지 부재(50)에 요동 부재(11)가 부착된다. 이에 의해, 요동 유닛(10) 전체가 회동축(53)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 부재(50)에 지지된다.
각 벽부(51, 51)는 회동 규제 부재(40)가 삽입통과하는 홈(51b, 51b)을 구비한다. 홈(51b)은 상하방향(후술하는 플런저(321)의 이동방향과 평행)으로 연장되는 타원 형상을 이루고 있고, 벽부(51)를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회동 규제 부재(40)는 핀형상을 이루고, 홈(51b, 51b)을 삽입통과함으로써 홈(51b)을 따라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각 홈(51b, 51b)에는 회동 규제 부재(40)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 부재(41)와 탄성 부재(42)가 각각 설치된다.
받침 부재(41)는 대직경의 머리부와 소직경의 다리부를 구비하고, 머리부 표면이 회동 규제 부재(40)의 둘레면의 최저부에 접촉하는 반면, 다리부는 탄성 부재(42)에 삽입되어 있다. 홈(51b)의 바닥부에는, 받침 부재(41)가 강하한 경우에 다리부가 진입 가능한 구멍(51c)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42)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누름 스프링(코일 스프링)이고, 받침 부재(41)를 개재하여 회동 규제 부재(40)를 상부방향으로 상시 바이어스시키며 그 바이어스력은 후술하는 탄성 부재(20)보다도 작다. 탄성 부재(42)는 코일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판 스프링 등의 다른 압축 스프링 이외에 다른 탄성 부재도 채용 가능하다.
접속부(52)는 그 단면 형상이 대략 L자 형으로 되어 있고, 그 L자 형상의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수평 상단 부분에 회동 규제면(52a)을 구비한다. 회동 규제면(52a)은 요동 부재(11)의 볼록부(114)와 접촉함으로써, 요동 유닛(10)이 도 1b의 상태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접속부(52)의 하단 수평부에는 바닥이 있는 개구부(52b)와 관통공인 삽입통과공(52c)이 형성되고, 이들은 일부가 서로 겹쳐 있다.
개구부(52b)는 단면 형상이 원형이며, 탄성 부재(20)가 장착되는 스프링 받침공이다. 탄성 부재(20)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압축 스프링(코일 스프링) 코일 스프링으로, 요동 부재(11)의 개구부(115)와 접속부(52)의 개구부(52b) 사이에 장전된다. 탄성 부재(20)는 요동 유닛(10)을 상부방향으로 상기 가압하여 도 1b의 상태를 유지한다. 또, 탄성 부재(20)는 코일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판 스프링 등의 다른 압축 스프링 이외에 다른 탄성 부재도 채용 가능하다.
다음에, 정지 장치(1)는 케이스(60)에 둘러싸인 전동 구동 유닛(30)을 구비한다. 전동 구동 유닛(30)은 구동부(31)와 가동부(32)를 구비한다. 가동부(32)는 플런저(321), 연결부(322), 연결 핀(323)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구동부(31)와 플런저(321)는 풀 솔레노이드를 구성하고 있고, 통형상의 구동부(31)(전자석)에 대한 통전에 의해 플런저(321)를 구동부(31)의 통 안으로 끌어넣는 방향(하부방향)으로만 구동력을 발휘시킨다. 즉, 풀 솔레노이드는 플런저(321)를 구동부(31)의 통 안으로부터 밀어내는 방향(상부방향)으로는 구동력을 발휘하지 않는다.
플런저(321)의 상단부에는, 연결부(322)의 일부가 삽입되는 슬릿(321a)이 설치되어 있다. 플런저(321)의 상단부 둘레면에는, 플런저(321)를 직경방향(슬릿(321a)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는 핀 삽입공(321b)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322)는, 본체부(322a)와, 본체부(322a)의 중간 정도에서 측방으로 돌출한 접촉부(322b)에 의해 대략 T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322b)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면이 회동 규제 부재(40)의 둘레면의 최상부에 접촉하여 양자는 걸어맞춤한다.
본체부(322a)의 하부에는, 연결 핀(323)이 삽입통과하는 원형의 연결공(322c)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322)를 슬릿(321a)에 삽입하고, 연결 핀(323)을 핀 삽입공(321b) 및 핀구멍(322c)에 끼워넣어 연결함으로써, 슬릿(321a)에 있어서 플런저(321)에 대해 연결 핀(323)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연결부(322)가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된다.
본체부(322a)의 상부에는, 연결 핀(13)이 삽입통과하는 연결공(322d)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공(322d)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으로 되어 있다. 연결부(322)는 그 상부가 요동 부재(11)의 개구부(117)에 삽입되고, 연결 핀(13)을 요동 부재(11)의 핀 삽입공(116) 및 연결공(322d)에 삽입통과함으로써 연결부(322)와 요동 부재(11)가 연결된다. 연결공(322d)이 장공인 점에서, 연결부(322)와 요동 부재(11)의 연결은 일정한 여유를 가진 끼워맞춤(헐거운 끼워맞춤(遊嵌))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공(322d)을 장공으로 하였지만, 그 형상은 장공 이외의 다른 형상(예를 들면, 연결 핀(13)보다도 대직경의 원형)이어도 된다.
다음에,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정지 장치(1)의 작용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정지 장치(1)는 롤러 컨베이어 등의 반송 장치에 설치되어, 그 반송 장치 상에서 반송되는 워크를 일시 정지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도 3 내지 도 5에서, 이점쇄선(L)은 반송면을 의미한다. 반송면은 도시하지 않은 반송 장치에서 워크가 놓여 반송되는 위치(높이)이다.
도 3a는, 동 도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수평방향으로 반송되어 온 워크(W)를 정지시키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정지 장치(1)의 요동 유닛(10)은, 롤러(121)가 워크(W)에 접촉되는 접촉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접촉 위치에서 롤러(121)는 워크(W)의 하면, 즉 반송면(L)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탄성 부재(2O)는 요동 유닛(10)에 대해, 요동 유닛(10)을 접촉 위치에 위치시키는 방향(동 도면에서는 상부방향이며, 요동 부재(11)의 수평 상태를 상한으로 하여 회동축(53)을 중심으로 한 반시계방향)으로 바이어스력을 부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접속부(52)의 회동 규제면(52a)과 요동 부재(11)의 볼록부(114)의 접촉에 의해, 요동 유닛(10)은 도 3a의 상태로부터 더 반시계방향으로는 회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3a의 상태에서는 전동 구동 유닛(30)은 비구동 상태에 있다. 탄성 부재(42)의 가압에 의해 회동 규제 부재(40)는 홈(51c)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도 3a의 상태에서는 회동 규제 부재(40)와 요동 부재(11)의 볼록부(118) 사이에 약간의 간극(S)(0.1~0.3mm 정도)이 형성되는데, 회동 규제 부재(40)와 볼록부(118)가 접촉하여 걸어맞춤 상태에 있도록 해도 된다. 회동 규제 부재(40)는 연결부(322)의 접촉부(322b)의 하면에 접촉하여 걸어맞춤 상태에 있다.
전동 구동 유닛(30)은 비구동 상태이기 때문에, 탄성 부재(42)의 가압에 의해 회동 규제 부재(40)를 개재하여 연결부(322) 및 플런저(321)가 이들의 최상방 위치로 밀어올려져 있고, 연결 핀(13)은 연결공(322d)의 최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탄성 부재(42)는 회동 규제 부재(40)를 연결부(322)에 걸어맞춤시키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력을 부여한다.
도 3b는 워크(W)가 롤러(121)에 접촉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롤러(121)를 지지하는 가동 부재(122)가 축(123)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회동이 자유롭다. 이 때문에, 워크(W)가 롤러(121)에 접촉하기 시작한 단계에서는, 워크(W)의 반송력이 요동 유닛(10) 전체를 회동시키는 방향으로는 작용하지 않고, 가동 부재(122)만이 동 도면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가동 부재(122)의 회동에 따라 완충기(125)의 로드부(125a)의 선단에 가동 부재(122)가 접촉하기 시작하므로, 완충기(125)에 의해 워크(W)와 롤러(121)의 충돌의 충격이 완충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워크(W)가 동 도면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역반송되어 온 경우, 롤러(121)와 워크(W)의 충돌에 의해 가동 부재(12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롤러(121) 및 가동 부재(122)가 요동 부재(11)의 절제부(113)에 진입하여 반송면(L) 상으로 돌출하지 않게 함으로써 워크(W)의 역반송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워크(W)가 롤러(121)에 접촉하여 가동 부재(122)의 회동이 완료되면, 워크(W)의 반송력이 요동 유닛(10)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때,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규제 부재(40)와 요동 부재(11)의 볼록부(118) 사이에 약간의 간극(S)이 존재하므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극(S)분만큼 요동 유닛(10)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요동 유닛(10)이 회동하면, 회동 규제 부재(40)와 요동 부재(11)의 볼록부(118)가 접촉하여 걸어맞춤 상태가 되므로, 요동 유닛(10)의 그 이상의 회동이 규제된다. 회동 규제 부재(40)는 홈(51c)을 개재하여 지지 부재(50)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전동 구동 유닛(30)의 구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보다 확실하면서 강고하게 요동 유닛(10)의 회동을 규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요동 유닛(10)이 간극(S)분만큼 회동함으로써, 요동 유닛(10)에 대한 워크(W)와의 충격을 회동 규제 부재(40)에서 받아낼 수 있다.
요동 유닛(10)이 간극(S)분만큼 회동하면, 그만큼 탄성 부재(2O)는 압축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워크(W)의 충돌 초기의 충격이 강한 단계를 지나면, 탄성 부재(20)의 탄성 복귀력에 의한 요동 부재(11)의 회동력이 워크(W)의 반송력에 의한 요동 부재(11)의 회동력을 이기도록 탄성 부재(20)의 탄성 복귀력이 설계되어 있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 부재(11)가 도 3a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한다. 즉, 요동 유닛(10)에 대한 워크(W)의 충돌의 충격은 탄성 부재(20)에서 충격 흡수할 수 있다. 회동 규제 부재(40)와 요동 부재(11)의 볼록부(118) 사이에도 다시 간극(S)이 형성된다.
또, 여기서는 가동 부재(122)의 회동이 완료되면, 워크(W)의 반송력이 요동 유닛(10)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고 하였지만, 반드시 순서대로 동작하지 않아도 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워크(W)를 정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동 부재(11)를 상부 수평부(11a), 중간부(11b), 하부 수평부(112)로 구성하고, 접촉 유닛(12)을 하부 수평부(112)에 탑재하였다. 이는, 롤러(121)와 워크(W)의 접촉 위치와 회동축(53)의 위치의 상하방향의 높이 차이를 작게 하는 의미가 있다. 이 차이가 작으면, 워크(W)가 롤러(121)에 접촉했을 때에 요동 유닛(10)에 작용하는 충격(시계방향으로 요동 유닛(10)을 회동시키는 힘)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전동 구동 유닛(30)을 구동함으로써 롤러(121)를 워크(W)의 하면보다도 하방으로 후퇴시키고, 워크(W)와 롤러(121)가 비접촉인 퇴피 위치에 요동 유닛(10)을 회동시키며, 워크(W)가 정지 장치(1)를 통과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구동부(31)는 탄성 부재(20)의 가압에 저항하여 요동 유닛(10)이 퇴피 위치측으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플런저(321)를 이동시킨다.
도 5a는 전동 구동 유닛(30)을 구동하기 시작한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플런저(321)가 하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있다(구동부(31)에 넣어지기 시작하고 있다). 회동 규제 부재(40)는 연결부(322)와 걸어맞춤되어 있으므로, 플런저(321) 및 연결부(322)의 이동에 연동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회동 규제 부재(40)와 요동 부재(11)의 볼록부(118) 사이에는 간극(S)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간극(S)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보다도 구동부(31)의 구동력은 보다 작아도 된다.
즉, 간극(S)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는, 정지되어 있는 워크(W)의 반송력에 의한 요동 부재(11)의 회동력이 볼록부(118)를 개재하여 회동 규제 부재(40)에 전달하고, 회동 규제 부재(40)에서 이를 부담하게 된다. 이 경우, 회동 규제 부재(4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큰 힘((요동 부재(11)의 회동력과, 볼록부(118)와 회동 규제 부재(40)의 마찰 저항력과, 회동 규제 부재(40)와 홈(51b)의 마찰 저항력을 합한 힘) 이상의 힘)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간극(S)을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마찰 저항력은 존재하지 않고, 정지되어 있는 워크(W)의 반송력에 의한 요동 부재(11)의 회동력은 탄성 부재(20)에서 부담되므로, 구동부(31)의 구동력으로서는 보다 작은 출력(요동 부재(11)의 회동력과 탄성 부재(20)의 바이어스력의 차분)으로 충분하다.
일반적으로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은 같은 크기의 에어 실린더, 모터 등에 비해 낮기 때문에, 에어 실린더, 모터 등과 같은 구동력을 솔레노이드에 의해서 얻기 위해서는 에어 실린더, 모터 등보다도 큰 솔레노이드가 필요하게 되는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부(31)의 구동력으로서는 상기와 같이, 보다 작은 출력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에어 실린더나 모터를 채용한 장치에 비해 장치가 대형화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플런저(321)의 이동 방향과 홈(51)의 길이 방향이 평행하기 때문에, 회동 규제 부재(40)는 플런저(321)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회동 규제 부재(40)가 일정량 하방으로 이동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규제 부재(40)와 볼록부(118)가 걸어맞춤 불가능하게 된다. 걸어맞춤 불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회동 규제 부재(40)의 이동 범위를 규제 영역이라고 하고, 걸어맞춤 불가능이 된 후의 이동 범위를 규제 해제 영역이라고 한다. 규제 영역에서는 회동 규제 부재(40)는 연결부(322)와 걸어맞춤하지만, 규제 해제 영역에 달하면 회동 규제 부재(40)는 연결부(322)와는 걸어맞춤하지 않고 절제부(119)와 걸어맞춤하게 된다.
요동 유닛(10)과 연결부(322)는 연결되어 있지만 헐거운 끼워맞춤이다. 예를 들면, 도 4b의 단계에서, 연결 핀(13)의 둘레면 바닥부는 연결공(322d)의 바닥부에 착좌되어 있는데, 연결 핀(13)의 둘레면 상부와 연결공(322d)의 상부 사이에는 간극(여유)이 있다. 이 때문에, 플런저(321)가 하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한 단계(도 4b와 도 5a 사이의 단계)에서는, 연결 핀(13)의 둘레면 상부가 연결공(322d)의 상부에 착좌할 때까지의 동안에, 요동 유닛(10)과 연결부(322)는 비연결 상태에 있고, 전원 구동 유닛(30)으로부터 요동 유닛(10)에 회동력이 부여되지 않는다. 플런저(321)가 일정량 하방으로 이동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핀(13)의 둘레면 상부가 연결공(322d)의 상부에 착좌된다. 이에 의해, 요동 유닛(10)과 연결부(322)가 연결 상태가 되고, 전원 구동 유닛(30)으로부터 요동 유닛(10)에 회동력이 부여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322)와 요동 유닛(10)이 플런저(321) 및 회동 규제 부재(40)의 이동에 늦어 연결 상태가 되도록 하고 있다. 이는, 회동 규제 부재(40)에 의한 요동 유닛(10)의 회동 규제가 해제되기 전에, 전원 구동 유닛(30)으로부터 요동 유닛(10)에 회동력이 부여되어도 쓸데없기 때문에 이 상태를 회피하고자 한 것이다. 이 때문에, 연결공(322d)의 장공의 길이는 회동 규제 부재(40)가 규제 영역을 벗어날 때까지 요동 유닛(10)과 연결부(322)가 연결 상태가 되지 않도록 설정된다.
요동 유닛(10)과 연결부(322)가 연결 상태가 되고, 회동 규제 부재(40)가 규제 해제 영역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플런저(321)가 더욱 하방으로 이동하면, 탄성 부재(20)의 가압에 저항하여 요동 유닛(10)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유닛(12)이 퇴피 위치에 도달한다. 회동 규제 부재(40)는 요동 부재(11)의 절제부(119)에 들어간 상태에서 절제부(119)와 걸어맞춤함으로써, 요동 유닛(10)은 그 회동이 저해되지 않는 회동 규제를 해제한 상태에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회동축(53)에 대해 연결부(322)와 요동 유닛(10)이 연결되는 위치(연결 핀(13))를 탄성 부재(20)가 요동 유닛(10)에 대해 바이어스력을 부여하는 작용 위치(개구부(115))보다도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회전축(53)에 대해 연결 핀(13)의 위치를 작용 위치보다도 가깝게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지레의 원리에 의해 전동 구동 유닛(30)은 보다 저출력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b의 상태로부터 전동 구동 유닛(30)을 비구동 상태로 하면, 탄성 부재(20)와 탄성 부재(42)의 복원력에 의해 도 4b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롤러(121)가 반송이 재개된 워크(W)의 바닥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전동 구동 유닛(30)을 비구동 상태로 하면, 탄성 부재(20)와 탄성 부재(42)의 복원력에 의해, 워크(W)의 통과 후 도 3a의 상태로 복귀한다(접촉 유닛(12)도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동 규제 부재(40)를 이동부(32)의 이동에 연동시켜 이동시킴으로써, 단방향으로만 구동력을 발휘하는 전동 구동 유닛(30)을 채용하면서, 요동 유닛(10)이 접촉 위치로부터 회동하여 버리는 것의 방지(도 4a)나, 요동 유닛(10)의 퇴피 위치로의 이동(도 5b)이 가능하여 정지 장치에 필요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회동 규제 부재(40)와 이동부(32)의 이동의 연동에 연결부(322)를 이용함으로써 비교적 간이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전동 구동 유닛(30)은 풀 솔레노이드 이외의 것이어도 되지만, 풀 솔레노이드로 구성함으로써 비교적 저렴하게 생산이 가능하다.

Claims (9)

  1. 반송 중의 워크에 접촉하여 워크를 정지시키는 정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워크에 접촉되어 반송 중의 워크를 정지시키는 워크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워크 접촉부가 워크의 하면보다도 상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워크에 접촉되는 접촉 위치와, 상기 워크 접촉부가 워크의 하면보다도 하방으로 후퇴하여 워크와 상기 워크 접촉부가 비접촉인 퇴피 위치 사이에서 회동이 자유로운 요동 유닛;
    상기 요동 유닛에 대해, 상기 요동 유닛을 상기 접촉 위치에 위치시키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력을 부여하는 요동 유닛용 탄성 부재;
    상기 요동 유닛과 연결된 가동부 및 상기 요동 유닛이 상기 퇴피 위치측으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가지는 전동(電動) 구동 수단;
    상기 가동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요동 유닛과의 걸어맞춤에 의한 상기 요동 유닛의 회동 규제와, 그 회동 규제의 해제를 행하는 회동 규제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규제 부재가,
    상기 요동 유닛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 영역부터, 상기 요동 유닛의 회동을 허용하는 규제 해제 영역의 범위에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유닛의 회동축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 규제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한 홈을 따라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요동 유닛과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압축 상태로 삽입된 압축 스프링이고,
    상기 회동축과, 상기 가동부와 상기 요동 유닛이 연결되는 위치의 이간 거리가, 상기 회동축과, 상기 압축 스프링이 상기 요동 유닛에 대해 바이어스력을 부여하는 작용 위치의 이간 거리보다도 길어지도록, 상기 가동부와 상기 요동 유닛의 연결 위치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 수단이, 상기 가동부를 구성하는 플런저를 구비한 풀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제어 구동 수단이, 상기 가동부를 구성하는 플런저를 구비한 풀 솔레노이드이고,
    상기 회동 규제 부재는 상기 플런저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가동부는 상기 플런저와 상기 요동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회동 규제 부재는 상기 연결부에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 핀이며,
    상기 걸어맞춤 핀을 상기 연결부에 걸어맞춤시키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력을 부여하는 회동 규제 부재용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플런저 및 상기 요동 유닛에 연결되는 본체부와, 그 본체부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 핀에 접촉되는 회동 규제 부재 접촉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기 본체부와 상기 요동 유닛은,
    상기 전동 구동 수단의 상기 구동부가 상기 플런저를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연결부 및 상기 걸어맞춤 핀의 이동에 늦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요동 유닛이 연결 상태가 되도록 헐거운 끼워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8. 반송 중의 워크에 접촉하여 워크를 정지시키는 정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워크에 접촉되어 반송 중의 워크를 정지시키는 워크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워크 접촉부가 워크의 하면보다도 상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워크에 접촉되는 접촉 위치와, 상기 워크 접촉부가 워크의 하면보다도 하방으로 후퇴하여 워크와 상기 워크 접촉부가 비접촉인 퇴피 위치 사이에서 회동이 자유로운 요동 유닛;
    상기 요동 유닛에 대해, 상기 요동 유닛을 상기 접촉 위치에 위치시키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력을 부여하는 요동 유닛용 탄성 부재;
    상기 요동 유닛과 연결된 가동부 및 상기 요동 유닛이 상기 퇴피 위치측으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가지는 전동 구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유닛과의 걸어맞춤에 의한 상기 요동 유닛의 회동 규제와 그 회동 규제의 해제를 행하는 회동 규제 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KR1020127014497A 2009-11-10 2010-10-13 정지 장치 KR101310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57542 2009-11-10
JP2009257542A JP5415909B2 (ja) 2009-11-10 2009-11-10 停止装置
PCT/JP2010/006084 WO2011058695A1 (ja) 2009-11-10 2010-10-13 停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291A true KR20120091291A (ko) 2012-08-17
KR101310869B1 KR101310869B1 (ko) 2013-09-25

Family

ID=43991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497A KR101310869B1 (ko) 2009-11-10 2010-10-13 정지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76122B2 (ko)
EP (1) EP2500298A4 (ko)
JP (1) JP5415909B2 (ko)
KR (1) KR101310869B1 (ko)
CN (1) CN102596767B (ko)
WO (1) WO20110586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7530A1 (ja) * 2011-03-23 2012-09-27 平田機工株式会社 停止装置及び停止解除方法
WO2013144997A1 (ja) 2012-03-27 2013-10-03 平田機工株式会社 停止装置及び一時停止方法
JP5862430B2 (ja) * 2012-04-05 2016-02-16 Smc株式会社 ストッパシリンダ
KR101299596B1 (ko) 2012-12-21 2013-08-23 한국공항공사 수하물 끼임 방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벨트컨베이어 장치
JP6276052B2 (ja) * 2014-02-10 2018-02-07 平田機工株式会社 停止装置及び補助停止ユニット
CN108529207B (zh) * 2018-05-09 2024-03-19 广东嘉腾机器人自动化有限公司 阻挡装置及自动化输送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1755Y2 (ko) * 1975-05-19 1979-10-03
US4184579A (en) * 1978-03-06 1980-01-22 Kantarian Edward T Conveyor load stop and release apparatus
JPS62218323A (ja) * 1986-03-19 1987-09-25 Nitto Seiko Co Ltd パレツトコンベアのパレツト位置決め装置
JPH03125728U (ko) * 1990-03-30 1991-12-19
JPH03288718A (ja) * 1990-04-04 1991-12-18 Yukio Ishida 連続移送される物品の区分送出装置
JPH0616233A (ja) * 1991-02-15 1994-01-25 Nippon Seiki Kk 定位置停止装置
US5211276A (en) * 1992-06-23 1993-05-18 Tekno Inc. Stop for conveyor
JP3786451B2 (ja) 1995-05-22 2006-06-14 Smc株式会社 ストッパシリンダのロック機構
US5676235A (en) * 1995-09-11 1997-10-14 Giddings & Lewis, Inc. Linear pallet stop
DE19543797A1 (de) * 1995-11-24 1997-05-28 Grob Gmbh & Co Kg Vorrichtung für die Steuerung einer Palette auf einer Förderbahn
JP3415425B2 (ja) * 1998-02-10 2003-06-09 Smc株式会社 ストッパシリンダ
US20030196872A1 (en) * 2002-04-19 2003-10-23 Whittle Bruce H. Stop mechanism for assembly line
US7111721B1 (en) * 2004-12-08 2006-09-26 Turner Michael L Stop apparatus for conveyor systems
US7249666B1 (en) * 2006-01-19 2007-07-31 Robinson Brian O Retractable stop assembly
JP4161097B2 (ja) * 2006-06-21 2008-10-08 Smc株式会社 ストッパシリンダ
EP1902981B1 (de) * 2006-09-25 2008-11-26 Wörner, Helmut Anschlagmodul
DE102007062076A1 (de) * 2007-12-21 2009-06-25 Robert Bosch Gmbh Anschlagmodul, insbesondere für automatisierte Bearbeitungs- und Fördereinricht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00298A4 (en) 2017-11-15
WO2011058695A1 (ja) 2011-05-19
EP2500298A1 (en) 2012-09-19
CN102596767B (zh) 2014-08-27
CN102596767A (zh) 2012-07-18
JP5415909B2 (ja) 2014-02-12
JP2011102169A (ja) 2011-05-26
KR101310869B1 (ko) 2013-09-25
US20120217135A1 (en) 2012-08-30
US8376122B2 (en) 201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869B1 (ko) 정지 장치
KR20130119974A (ko) 정지 장치 및 정지 해제 방법
JPH11227937A (ja) ストッパシリンダ
US9475658B2 (en) Stop device and auxiliary stop unit
KR20130113359A (ko) 스토퍼 실린더
JP4832977B2 (ja) 家具の脚体の上下伸縮構造
JP2002217025A (ja) ボールアクチュエータ
JP3786451B2 (ja) ストッパシリンダのロック機構
JP2008029563A (ja) 家具の脚体
WO2013019265A1 (en) Pin mechanism
CN107717797B (zh) 一种高调器摩擦簧片的装配夹具
JP5785467B2 (ja) 真空バルブ用操作装置
JP5869638B2 (ja) 停止装置及び停止解除方法
JP5698345B2 (ja) 停止装置及び停止解除方法
JP2007333970A (ja) 原稿圧着板の開閉装置
JP3182838U (ja) 蝶番
WO2012124705A1 (ja)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KR20110098283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부를 가지는 장치
JP5909409B2 (ja) 位置調整装置
KR20170014908A (ko) 가구 힌지용 버퍼
CN114008732A (zh) 开关设备用操作装置
JP2007204872A (ja) スナップファスナー取付け機
JP2006103912A (ja) ストッパシリンダ
JP2019195819A (ja) パンチ切換装置
CN110582405A (zh) 墨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