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078A - 다중 서브시스템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원격 접근 - Google Patents

다중 서브시스템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원격 접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078A
KR20120091078A KR1020127009399A KR20127009399A KR20120091078A KR 20120091078 A KR20120091078 A KR 20120091078A KR 1020127009399 A KR1020127009399 A KR 1020127009399A KR 20127009399 A KR20127009399 A KR 20127009399A KR 20120091078 A KR20120091078 A KR 20120091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ontrol
remote
control subsystem
connection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6181B1 (ko
Inventor
데이비드 엠. 휴스
샐리 데이 마호니
도날드 엠. 사콘칙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20091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23Control system configuration, i.e. lay-out
    • B66B1/3438Master-slave control system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4)의 다중 서브시스템들(102)에 원격 접근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에서 원격 연결을 조성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과 서비스 장비(120) 사이에 로컬 연결이 조성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과 서비스 장비(120) 사이에 로컬 연결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원격 연결을 조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추가적으로 서비스 장비(120)가 마지막 활동 후 경과시간을 보내는 단계, 및 로컬 연결이 조성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이 제 1 작동 모드로 작동하며, 설정가능한 로컬 활동 타임아웃 기간이 만료하지 않았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원격 연결을 완료하기 위한 옵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서브시스템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원격 접근{REMOTE ACCESS OF AN ELEVATOR CONTROL SYSTEM WITH MULTIPLE SUBSYSTEMS}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발명(subject matter)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접근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발명은 다중 서브시스템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원격 접근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들은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도록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다중 서브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들의 예시들은 작동 제어 및 디스패칭 서브시스템(operational control and dispatching subsystem), 동작 제어 서브 시스템, 구동 제어 서브시스템, 및 도어 제어 서브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타입들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들을 유지보수하고 서비스(service)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정비사 또는 기술자는 엘리베이터 제어 룸에서 각각의 서브시스템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해결할(troubleshoot) 수 있다. 대안적으로, 원격 접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서브시스템의 원격 진단을 위해 특정 서브시스템에 통신 유닛이 물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다중 서브시스템들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유지보수하기 위하여, 각각의 서브시스템은 각각의 서브시스템에 통신 유닛을 직접 연결하거나 서비스 장비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개별적으로 접근되고 정보검색(interrogate)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들은 제어 시스템 계층(control system hierarchy)에서 상위 계층 서브시스템(higher-level subsystem)들로부터 하위 계층 서브시스템(lower level subsystem)들로 전달 명령(passing command)들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다중 서브시스템들에 원격 접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다중 서브시스템들에 원격 접근을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다중 서브시스템들의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에 연결된 통신 유닛을 통해 원격 사용자 시스템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에서 원격 연결을 조성(establish)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과 서비스 장비 사이에 로컬 연결이 조성되는지를 판단하는(determining)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과 서비스 장비 사이에 로컬 연결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원격 연결을 조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방법은 서비스 장비가 마지막 활동(last active) 후 경과시간을 보내는 단계, 및 로컬 연결이 조성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이 제 1 작동 모드로 작동하며, 설정가능한 로컬 활동 타임아웃 기간(configurable local activity timeout period)이 만료하지 않았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원격 연결을 완료하기 위한 옵션(option)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다중 서브시스템들에 원격 제어를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통신 유닛을 통해 원격 사용자 시스템과 통신하도록 구성가능한 다중 서브시스템들의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은 서비스 장비와 통신하도록 구성가능한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은 통신 타이머(communication timer), 및 통신 유닛과 통신하도록 구성가능한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은 추가적으로 원격 접근 로직(remote access logic)을 실행하기 위한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원격 접근 로직은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격 사용자 시스템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에서 원격 연결을 조성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한다. 원격 접근 로직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과 서비스 장비 사이에 로컬 연결이 조성되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원격 접근 로직은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과 서비스 장비 사이에 로컬 연결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원격 연결을 조성한다. 원격 접근 로직은 서비스 장비가 마지막 활동 후 경과시간을 보내고, 및 로컬 연결이 조성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이 제 1 작동 모드로 작동하며, 통신 타이머를 이용하여 모니터링됨에 따라 설정가능한 로컬 활동 타임아웃 기간이 만료하지 않았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원격 연결을 완료하기 위한 옵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다중 서브시스템들에 원격 접근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이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처리 회로에 의해 판독가능하고, 이전에 설명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처리 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점들 및 특징들 그리고 다른 장점들 및 특징들이 도면들과 연계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으로서 간주되는 발명은 본 명세서의 결론부인 청구항들에 자세히 개시되며 명시적으로 청구된다. 본 발명의 이전 및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도면들과 연계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진다:
도 1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다중 서브시스템들에 원격으로 접근하는 시스템의 예시;
도 2는 다중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들의 다중 서브시스템들에 원격으로 접근하는 시스템의 예시;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의 블록도; 및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다중 서브시스템들에 원격 접근을 제공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세한 설명은 예시의 방식으로 도면들을 참조하여 장점들 및 특징들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다중 서브시스템들에 원격 접근을 제공한다. 원격 접근은, 엘리베이터의 직접적인 제어와 연계된 모든 서브시스템들을 돌아다니고(navigate) 정보검색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하여, 권한을 가진 엘리베이터 담당자(qualified elevator personnel)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권한이 있는 엘리베이터 담당자는 상세한 엘리베이터 진단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엘리베이터 제어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내의 어느 서브시스템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작동을 맞춤설정(customize)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원격 접근 로직은 로컬 및 원격 연결들의 중재(arbitration) 및 우선순위(priority)를 관리한다.
도 1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4)의 다중 서브시스템들(102)에 원격으로 접근하는 시스템(100)의 일 예시이다.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4)과 원격 접근을 조성하기 위해, 통신 유닛(106)이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4) 및 네트워크(108)와 접속한다(interface). 또한,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이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과 통신 유닛(106) 사이에 양방향 통신 링크를 조성하기 위해 원격 위치에서 네트워크(108)에 접속한다.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은, 웹에서 이용가능한 전화(web-enabled phones) 및 휴대용 디바이스(handheld device)들을 포함하여, 데스크톱, 랩톱, 범용 컴퓨터 디바이스, 및/또는 키보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같은 I/O 인터페이스들 및 처리 회로를 갖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other networked device)일 수 있다. 네트워크(108)는 해당 기술 분야에 알려진 소정 타입의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08)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네트워크,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또는 인터넷과 같은 인터넷워크(internetwork),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네트워크(108)는 무선, 유선, 및/또는 광섬유 링크(fiber optic link)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유닛(106)은 네트워크(108)의 네트워크-호환가능한 포맷(network-compatible format)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4)의 서브시스템들(102)과 접속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통신 포맷으로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한다. 통신 유닛(106)은 원격 엘리베이터 모니터링(REM®) 유닛, 또는 모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와 같은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일 수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4)에 통신이 조성되었으면,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은 통신 유닛(106)에 물리적으로 연결된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에 바로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생성한다. 도 1의 예시에서,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통신 유닛(106)에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원격 연결이 조성된 후,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4) 내의 서브시스템들(102) 중 어느 것에 내부 또는 패스 스루 연결(pass thru connection)을 요청할 수 있다.
도 1의 예시에서, 서브시스템들(102)은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4),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6), 및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8)을 포함한다. 서브시스템들(102)은 계층적 구조에 연결되어, 정상 작동 조건들 하에서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4)이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에 명령 및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이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들(116 및 118)에 명령 및 데이터를 배당(distribute)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4)은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에 의해 대표되는(represented) 동작 제어 서브시스템에 명령 및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작동 제어 및 디스패칭 서브시스템일 수 있다. 그 후,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아래의 목표 서브시스템들에 명령 및 데이터를 배당하며, 이는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6)에 의해 대표되는 구동 제어 서브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8)에 의해 대표되는 도어 제어 서브시스템일 수 있다.
도 1의 서브시스템들(102)의 계층적 구성에서, 다른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들 위에 나타낸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 시스템들은 부모 서브시스템(parent subsystem)이라고도 칭해지고, 다른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들 아래에 나타낸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들은 자식 서브시스템(child subsystem)들이라고도 칭해진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4)은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들(112, 116 및 118)의 부모 서브시스템인 한편,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들(116 및 118)의 부모 서브시스템이지만,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4)의 자식 서브시스템이다.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4)이 모든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들(112, 116 및 118)에 대해 부모 서브시스템이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4)은 마스터 서브시스템(master subsystem: 114)이라고도 칭해진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동적 통신 포맷(dynamic communication format)은 서브시스템들(102)의 제어 계층 내의 상대 위치에 상관없이 서브시스템들(102) 중 어느 것이든 통신 패스 스루 디바이스로서 작동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6)이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들(112 및 114)의 자식 서브시스템(116)이더라도,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6)이 통신 유닛(106)에 연결된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6)은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들(112 및 114)에 원격 접근 통신들을 보낼 수(route)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이 마스터 서브시스템(114)의 자식 서브시스템이더라도,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마스터 서브시스템(114)에 대해 통신 패스 스루 디바이스로서 기능한다. 도 1의 예시에서, 통신 유닛(106)과의 1차 통신(primary communication)이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에 의해 처리되고, 원격 접근 명령들이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에 대해 2차 레벨(secondary level)로 통과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들(114, 116 및 118)은 원격 접근 목적을 위한 2차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들로 칭해질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4)은 서비스 장비(120)와의 로컬 통신을 지원한다. 서비스 장비(120)는 서비스 장비가 연결된 서브시스템을 서비스하기 위해 서브시스템들(102) 중 어느 하나에 바로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들(112 내지 118)은 서비스 장비(120)에 직접적인 연결을 지원하는 1 이상의 서비스 인터페이스들을 갖는다. 서비스 장비(120) 및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 둘 모두는 엘리베이터 서비스 활동들(elevator service activities)을 수행할 수 있다.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이 서브시스템들(102) 중 어느 것에든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서브시스템들(102)의 원격 접근 로직은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과 서비스 장비(120) 둘 모두로부터 통신의 중재를 수행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원격 연결을 위한 초기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원격 사용자가 로컬 연결을 인터럽트(interrupt)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서비스 장비(120)와의 로컬 연결이 조성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로컬 연결은 서비스 장비(120)가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때 조성된다. 서비스 장비(120)가 연결된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서비스 장비(120)로부터 어떠한 활동이 있었던 후의 경과시간을 모니터링한다. 선택가능한 일정 시간(selectable amount of time) 내에 서비스 장비(120)로부터 활동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원격 연결을 승인(grant)한다. 또한, 원격 연결은 서비스 장비(120)가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도 승인된다.
일단, 원격 연결이 조성되면, 원격 연결은 로컬 연결 시도에 의해 인터럽트될 수 없다. 원격 연결이 조성된 후에 로컬 연결이 시도되는 경우, 경고 메시지가 발생되고, 원격 사용자에게 잠재적인 충돌을 알리기 위해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에 전달된다. 또한, 원격 연결은 설정가능한 원격 활동 타임아웃 기간을 가질 수 있어, 설정가능한 원격 활동 타임아웃 기간 동안 활동이 없는 경우(lack of activity) 원격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은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들(102) 중 어느 것에든 접근을 요청할 수 있다.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과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 사이에 원격 연결이 조성되면,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은 2차 엘리베이터 서브시스템인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4, 116 또는 118)에 패스 스루 원격 접근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통신 패스 스루 디바이스로서 작동한다. 패스 스루 요청에 응답하여, 목표 서브시스템이 서비스 장비(120)와의 로컬 연결을 조성하고 있는지에 관한 검사가 수행된다. 로컬 연결의 부재(absence) 또는 설정가능한 2차 로컬 활동 타임아웃 기간의 만료라고 판단되는 바와 같이, 활동중인 로컬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2차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4, 116 또는 118)에 패스 스루 연결을 지원한다.
원격 연결이 행해졌으면, 원격 사용자는 서브시스템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특정 데이터에 대해 서브시스템을 정보검색하며, 엘리베이터 작동을 맞춤설정하고, 분석을 위해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원격 연결을 종료하기 위해, 연결을 종료하기 위한 요청이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과의 통신 링크를 종료하기 위해 통신 유닛(106)과의 통신 손실(loss of communications)에 대해 모니터링한다. 원격 연결을 위한 통신 링크를 종료하는 것은, 로컬 연결들이 이제 지원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변수 또는 플래그(flag)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4)을 알려진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 원격 연결을 종료할 때, 다양한 디폴트 제어 파라미터들 및 데이터가 리셋될 수 있다.
도 2는 다중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들(104)의 다중 서브시스템들에 원격으로 접근하는 시스템(200)의 일 예시이다. 도 2는 단일 통신 유닛(106)에 연결되어 있는 다중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들(104)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의 시스템(100)과 유사하게,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은 네트워크(108)를 통해 통신 유닛(106)과 통신한다. 하지만, 시스템(200)은 다중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들(104)이 원격으로 접근될 수 있다. 다중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들(104) 간에 통신 유닛(106)을 공유하는 것은, 중복되는(duplicate) 통신 유닛들(106)을 없앨 수 있음에 따라, 리소스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다중 통신 유닛들(106)이 다중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들(104)에 접속된다. 시스템(200)은 중간 통신 인터페이스(intermediate communication interface: 202)들을 이용하여, 통신들을 버퍼링하고, 통신 유닛(106)과 다중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들(104) 사이에 배당된 로딩, 타이밍, 그리고 프로토콜 옵션들을 향상시킨다. 중간 통신 인터페이스들(20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멀티-드롭 LAN 구성(multi-drop local area network configuration)을 지원할 수 있다. 1 이상의 중간 통신 인터페이스들(202)이 통신 유닛(106) 또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들(104) 내로 통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300)의 블록도이다.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300)은 도 1의 개별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들(112 내지 118)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드웨어 구조이다.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300)은 비-휘발성 메모리(304), 휘발성 메모리(306), 제어 입력부들(308), 제어 출력부들(310), 서비스 인터페이스(312), 서브시스템 통신 인터페이스들(314),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316), 및 통신 타이머(318)로 접속되는 처리 회로(302)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302)는 본 명세서에서 이전에 설명되었고 또한 이후에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은 기능(functionality)을 수행하는 원격 접근 로직(320)을 실행시킨다.
비-휘발성 메모리(304)는 전력이 사이클링될(cycled) 때 지속되는 실행가능한 프로그램들 및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이다. 휘발성 메모리(306)는 전력 사이클링 시 지속되지 않는 프로그램들 및/또는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제어 입력부들(308)은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입력들을 얻기 위한 신호-조정 회로(signal-conditioning circuitry)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출력부들(310)은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출력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조정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인터페이스(312)는 도 1의 서비스 장비(120)와의 통신을 지원한다. 서브시스템 통신 인터페이스들(314)은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 및 114) 사이와 같이 서브시스템 간 통신(inter-subsystem communication)을 가능하게 한다. 서브시스템 통신 인터페이스들(314)은 멀티-드롭,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그리고 다중 단방향 또는 양방향 링크들과 같은 다양한 통신 포맷들을 지원할 수 있다.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316)는 도 1의 통신 유닛(106)과의 통신을 지원한다. 통신 타이머(318)는 서비스 인터페이스(312), 서브시스템 통신 인터페이스들(314), 및/또는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316)에서 통신 세션( communication session)들에 대한 타임아웃 기간을 조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인터페이스들 상에서 마지막 활동이 검출된 후의 경과시간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통신 타이머(318) 또는 다른 타이머(도시되지 않음)가 사용될 수 있다. 통신 타이머(318)를 이용하여 추적될 수 있는 활동 모니터링 기간(activity monitoring period)들의 예시들은, 서비스 장비(120)가 마지막 활동 후 경과시간, 설정가능한 로컬 활동 타임아웃 기간, 설정가능한 2차 로컬 활동 타임아웃 기간, 그리고 설정가능한 원격 활동 타임아웃 기간을 포함한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4)의 다중 서브시스템들(102)에 원격 접근을 제공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400)를 도시한다. 프로세스(4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프로세스(400)는 도 3의 원격 접근 로직(320)으로 구현될 수 있다. 원격 접근 로직(320)은 통신 유닛(106)에 연결된 다중 서브시스템들(102) 중 어느 것에든 설치될 수 있지만, 쉽게 설명하기 위해, 프로세스(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블록 402에서,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에 연결된 통신 유닛(106)을 통해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으로부터 원격 연결을 조성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한다. 블록 404에서,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과 서비스 장비(120) 사이에 로컬 연결이 조성되는지를 판단한다. 원격 연결이 이미 조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서비스 인터페이스(312)를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과 서비스 장비(120) 사이에 로컬 연결이 조성될 수 있다.
블록 406에서,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과 서비스 장비(120) 사이에 로컬 연결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원격 연결을 조성한다. 원격 연결은 원격 연결의 조성에 응답하여 원격 사용자 시스템에 원격 접근 기능들을 제공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의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특정 데이터에 대해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을 정보검색하며, 분석을 위해 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다중 작동 모드들을 지원한다. 몇몇 작동 모드들에서, 원격 접근 요청들은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의 사용자의 옵션에 따라 허용된다. 다른 작동 모드들에서, 원격 접근 요청들은 자동으로 거절된다. 블록 408에서,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로컬 연결에서 서비스 장비(120)가 마지막 활동 후 경과시간을 보내고, 및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과 서비스 장비(120) 사이에 로컬 연결이 조성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이 제 1 작동 모드로 작동하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과 서비스 장비(120) 사이에 설정가능한 로컬 활동 타임아웃 기간이 만료하지 않았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원격 연결을 완료하기 위한 옵션을 제공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로컬 연결이 조성되어 있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원격 연결을 거절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제 2 작동 모드로 작동한다.
원격 연결이 조성되면,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4, 116 또는 118)과 같은 2차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에 원격으로 접근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2차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과 서비스 장비(120) 사이에 2차 로컬 연결이 조성되는지를 판단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2차 로컬 연결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과 2차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 사이에서 통신 패스 스루 디바이스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2차 로컬 연결에서 서비스 장비(120)가 마지막 활동 후 경과시간을 보낼 수 있고, 및 2차 로컬 연결이 조성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이 제 1 작동 모드로 작동하며, 2차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과 서비스 장비(120) 사이에 설정가능한 2차 로컬 활동 타임아웃 기간이 만료하지 않았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패스 스루 원격 연결을 완료하기 위한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2차 로컬 연결이 조성되어 있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요청을 거절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제 2 작동 모드로 작동한다. 2차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4)의 제어 계층에서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에 대한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4)과 같은 부모 서브시스템일 수 있다. 따라서, 부모 서브시스템이 제어 목적을 위해 마스터 서브시스템일 수 있더라도, 자식 서브시스템인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이 부모 서브시스템에 대해 통신 패스 스루 디바이스로서 기능할 수 있다.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에는 2차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에서 다수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원격 연결 및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을 통해 원격 접근 기능들이 제공될 수 있다. 원격 접근 기능들의 예시들은, 2차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의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특정 데이터에 대해 2차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을 정보검색하며, 엘리베이터 작동을 맞춤설정하고, 분석을 위해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것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원격 연결의 조성에 응답하여 원격 연결에서 활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설정가능한 원격 활동 타임아웃 기간 동안 원격 연결에서 비활동에 응답하여 원격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원격 연결 조성에 응답하여 로컬 연결 시도에 대해 모니터링할 수 있고, 원격 연결이 조성되고 설정가능한 원격 활동 타임아웃 기간이 만료하지 않았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로컬 연결 시도가 로컬 연결을 조성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로컬 연결 시도의 검출에 응답하여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에 로컬 연결 시도 경고 메시지를 보낼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기술적인 효과들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다중 서브시스템들에 원격 접근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원격 접근은 다중 서브시스템들 전반에 걸쳐(covering) 엘리베이터 고장의 신속한 진단 및 문제해결을 가능하게 한다. 로컬 연결과 원격 연결 간의 중재는 원격 사용자에게 우선순위를 제공하고, 원격 연결이 조성되었을 때 로컬 연결을 방지한다. 원격 접근 통신 프로토콜의 설정가능성(configurability)은 제어 계층의 상대 위치에 상관없이 통신 유닛에 연결된 어떠한 서브시스템이든지 통신 패스 스루 디바이스로서 작동할 수 있게 함에 따라, 마스터 서브시스템에서의 하향식 연결점(top-down connection point)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기능들(capabilities)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몇몇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실시예들은 컴퓨터-구현되는 프로세스들 및 이러한 프로세스들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은 1 이상의 처리 회로들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된다. 실시예들은 플로피 디스켓, CD-ROM, 하드 드라이브, USB(universal serial bus) 플래시 드라이브,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여하한의 다른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와 같은 유형 매체(tangible media)에서 구현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로딩되고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때, 처리 시스템은 본 발명을 수행하는 장치가 된다.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저장 매체에 저장되든, 로딩 및/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든, 또는 광섬유를 통해 또는 전자기 방사선을 통해 전기선 또는 케이블과 같은 몇몇 전송 매체 상으로 전송되든지 간에,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로딩되고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때, 처리 시스템은 본 발명을 수행하는 장치가 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구현될 때,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세그먼트들은 특정 로직 회로들을 생성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성한다.
본 발명은 오직 제한된 수의 실시예들과 연계하여 자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개시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음을 쉽게 이해하여야 한다. 더 정확히 말하면,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되지 않은 어떠한 수의 변형들, 변경들, 대체들 또는 등가 구성들을 통합하도록 수정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설명된 실시예들 중 일부만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전의 설명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18)

  1.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4)의 다중 서브시스템들(102)에 원격 접근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중 서브시스템들(102)의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에 연결된 통신 유닛(106)을 통해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에서 원격 연결을 조성(establish)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과 서비스 장비(120) 사이에 로컬 연결이 조성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과 상기 서비스 장비(120) 사이에 로컬 연결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연결을 조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비(120)가 로컬 연결에서 마지막 활동(last active) 후 경과시간(time)을 보내는 단계, 및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과 상기 서비스 장비(120) 사이에 로컬 연결이 조성되어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이 제 1 작동 모드로 작동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과 상기 서비스 장비(120) 간의 통신을 위해 설정가능한 로컬 활동 타임아웃 기간(configurable local activity timeout period)이 만료하지 않았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연결을 완료하기 위한 옵션(option)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접근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과 상기 서비스 장비(120) 사이에 로컬 연결이 조성되어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이 제 2 작동 모드로 작동한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연결을 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접근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연결의 조성에 응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의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특정 데이터에 대해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을 정보검색하며, 엘리베이터 작동을 맞춤설정하고, 분석을 위해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도록, 상기 원격 연결을 통해 상기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에 원격 접근 기능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접근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에서 상기 다중 서브시스템들(102)의 2차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4, 116, 118)에 원격으로 접근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2차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4, 116, 118)과 상기 서비스 장치(120) 사이에 2차 로컬 연결이 조성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2차 로컬 연결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과 상기 2차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4, 116, 118) 사이에 통신 패스 스루 디바이스(communication pass-thru device)로서 작동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비(120)가 상기 2차 로컬 연결에서 마지막 활동 후 경과시간을 보내는 단계, 및 상기 2차 로컬 연결이 조성되어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이 제 1 작동 모드로 작동하며, 상기 2차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4, 116, 118)과 상기 서비스 장비(120) 간의 통신을 위해 설정가능한 2차 로컬 활동 타임아웃 기간이 만료하지 않았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패스 스루 원격 연결을 완료하기 위한 옵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접근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로컬 연결이 조성되어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이 제 2 작동 모드로 작동한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요청을 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접근 제공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4, 116, 118)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4)의 제어 계층(control hierarchy)에서 부모 서브시스템(parent subsystem)이고,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4)의 제어 계층에서 자식 서브시스템(child subsystem)인 원격 접근 제공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4, 116, 118)의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특정 데이터에 대해 상기 2차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4, 116, 118)을 정보검색하며, 엘리베이터 작동을 맞춤설정하고, 분석을 위해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 및 상기 원격 연결을 통해 상기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에 원격 접근 기능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접근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연결의 조성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연결에서 활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설정가능한 원격 활동 타임아웃 기간 동안 원격 연결에서 비활동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연결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접근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연결의 조성에 응답하여 로컬 연결 시도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원격 연결이 조성되어 있고, 설정가능한 원격 활동 타임아웃 기간이 만료하지 않았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로컬 연결 시도가 상기 로컬 연결을 조성하지 못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로컬 연결 시도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에게 로컬 연결 시도 경고 메시지를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접근 제공 방법.
  10.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4)의 다중 서브시스템들(102)에 원격 접근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유닛(106)을 통해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과 통신하도록 구성가능한 다중 서브시스템들(102)의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을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서비스 장비(120)와 통신하도록 구성가능한 서비스 인터페이스(312);
    상기 통신 유닛(106)과 통신하도록 구성가능한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316);
    통신 타이머(318); 및
    원격 접근 로직(320)을 실행하기 위한 처리 회로(302)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접근 로직(320)은,
    상기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316)를 통해 상기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에서 원격 연결을 조성하기 위한 요청을 수용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인터페이스(312)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과 서비스 장비(120) 사이에 로컬 연결이 조성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과 서비스 장비(120) 사이에 로컬 연결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연결을 조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비(120)가 로컬 연결에서 마지막 활동 후 경과시간을 보내는 단계, 및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과 상기 서비스 장비(120) 사이에 로컬 연결이 조성되어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이 제 1 작동 모드로 작동하며, 상기 통신 타이머(318)를 이용하여 모니터링됨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과 상기 서비스 장비(120) 간의 통신을 위해 설정가능한 로컬 활동 타임아웃 기간이 만료하지 않았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연결을 완료하기 위한 옵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갖는 방법을 포함하는 원격 접근 제공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접근 로직(320)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과 상기 서비스 장비(120) 사이에 로컬 연결이 조성되어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이 제 2 작동 모드로 작동한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연결을 거절하는 단계를 더 갖는 방법을 포함하는 원격 접근 제공 시스템.
  12. 상기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접근 로직(320)은,
    상기 원격 연결의 조성에 응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의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특정 데이터에 대해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을 정보검색하며, 엘리베이터 작동을 맞춤설정하고, 분석을 위해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도록, 상기 원격 연결을 통해 상기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에 원격 접근 기능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접근 제공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서브시스템들(102)은 2차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4, 116, 11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상기 2차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4, 116, 118)과 통신하기 위한 서브시스템 통신 인터페이스들(31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원격 접근 로직(320)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에서 상기 2차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14, 116, 118)에 원격으로 접근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2차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4, 116, 118)과 상기 서비스 장치(120) 사이에 2차 로컬 연결이 조성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2차 로컬 연결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과 상기 2차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4, 116, 118) 사이에 통신 패스 스루 디바이스로서 작동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비(120)가 상기 2차 로컬 연결에서 마지막 활동 후 경과시간을 보내는 단계, 및 상기 2차 로컬 연결이 조성되어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이 제 1 작동 모드로 작동하며, 상기 2차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4, 116, 118)과 상기 서비스 장비(120) 간의 통신을 위해 설정가능한 2차 로컬 활동 타임아웃 기간이 만료하지 않았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패스 스루 원격 연결을 완료하기 위한 옵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갖는 방법을 포함하는 원격 접근 제공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접근 로직(320)은,
    상기 2차 로컬 연결이 조성되어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이 제 2 작동 모드로 작동한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요청을 거절하는 단계를 더 갖는 방법을 포함하는 원격 접근 제공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4, 116, 118)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4)의 제어 계층에서 부모 서브시스템이고,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112)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04)의 제어 계층에서 자식 서브시스템인 원격 접근 제공 시스템.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접근 로직(320)은,
    상기 원격 연결의 조성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연결에서 활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설정가능한 원격 활동 타임아웃 기간 동안 원격 연결에서 비활동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연결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갖는 방법을 포함하는 원격 접근 제공 시스템.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접근 로직(320)은,
    상기 원격 연결의 조성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인터페이스(312)에서 로컬 연결 시도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로컬 연결 시도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사용자 시스템(110)으로 로컬 연결 시도 경고 메시지를 보내는 단계를 더 갖는 방법을 포함하는 원격 접근 제공 시스템.
  18. 제 10 항에 있어서,
    다중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들(10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중 엘리베이터 제어 서브시스템들(104)은 통신 유닛(106)과 통신을 공유하는 원격 접근 제공 시스템.
KR1020127009399A 2009-09-16 2009-09-16 다중 서브시스템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원격 접근 KR101286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9/057120 WO2011034527A1 (en) 2009-09-16 2009-09-16 Remote access of an elevator control system with multiple sub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078A true KR20120091078A (ko) 2012-08-17
KR101286181B1 KR101286181B1 (ko) 2013-07-15

Family

ID=4375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399A KR101286181B1 (ko) 2009-09-16 2009-09-16 다중 서브시스템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원격 접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108824B2 (ko)
EP (1) EP2477922B1 (ko)
JP (1) JP5714590B2 (ko)
KR (1) KR101286181B1 (ko)
CN (1) CN102510833B (ko)
BR (1) BR112012005911A2 (ko)
ES (1) ES2626406T3 (ko)
HK (1) HK1172004A1 (ko)
RU (1) RU2500603C2 (ko)
WO (1) WO20110345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211B1 (ko) * 2010-06-08 2011-01-21 유재혁 가변 프로토콜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이의 제어 방법
US9580276B2 (en) 2011-10-14 2017-02-2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 messaging for automated maintenance
US9850093B2 (en) * 2012-06-22 2017-12-26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system access
EP2765108A1 (en) * 2013-02-06 2014-08-13 Kone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well access in an elevator
ITRN20130022A1 (it) * 2013-06-07 2014-12-08 Liftware S R L Sistema di telecontrollo per ascensori di tipologia diversificata
KR102281704B1 (ko) 2013-08-09 2021-07-26 인벤티오 아게 승강기 시스템에 대한 통신 방법
US20180237258A1 (en) * 2014-09-10 2018-08-2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EP3201115A4 (en) * 2014-10-01 2018-06-13 KONE Corporation Elevator arrangemen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10513414B2 (en) 2014-12-29 2019-12-24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maintaining performance of a system
CN104590963A (zh) * 2015-01-28 2015-05-06 江苏威尔曼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客户自定制电梯信息显示系统及方法
EP3548411B1 (en) 2016-11-30 2021-06-16 Inventio AG Configuring accessing right to elevator control system
EP3375784A1 (en) 2017-03-14 2018-09-19 Artax Biopharma Inc. Aza-dihydro-acridone derivatives
US11465878B2 (en) * 2017-03-31 2022-10-11 Otis Elevator Company Visual status indicator for door and lock state
US10116635B1 (en) * 2017-04-27 2018-10-30 Otis Elevator Company Mobile-based equipment service system using encrypted code offloading
EP3398901B1 (en) * 2017-05-03 2023-02-22 KONE Corporation Method for deploying a controller to an elevator system
DE102017117137A1 (de) * 2017-07-28 2018-10-11 Thyssenkrupp Ag Aufzugssteuerung, Aufzugsanlag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sanlage
US10414629B2 (en) 2018-01-22 2019-09-17 Otis Elevator Company Mechanical system service tool
US10939477B2 (en) 2018-01-29 2021-03-02 Otis Elevator Company Service tool wireless access management
CN108460630B (zh) * 2018-02-12 2021-11-02 广州虎牙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用户数据进行分类分析的方法和装置
CN110407040B (zh) * 2018-04-27 2023-04-14 奥的斯电梯公司 用于电梯服务请求的无线信号装置、系统和方法
CN109213131A (zh) * 2018-11-22 2019-01-1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故障诊断冲突的协调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3648A (en) * 1974-09-30 1976-08-10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Monitoring system for elevator installation
US4568909A (en) 1983-12-19 1986-02-04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Remote elevator monitoring system
US4703325A (en) 1984-10-22 1987-10-27 Carrier Corp. Remote subsystem
DE3688073T2 (de) * 1986-04-03 1993-06-24 Otis Elevator Co Zweirichtungsringverbindungssystem fuer aufzugsgruppensteuerung.
US4823914A (en) 1987-06-24 1989-04-25 Elevator Performance Technologies, Inc. Status lin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US4762204A (en) * 1987-10-16 1988-08-09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master car switching
JPH01247382A (ja) 1988-03-30 1989-10-03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US4930604A (en) * 1988-10-31 1990-06-05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Elevator diagnostic monitoring apparatus
FR2639166B1 (fr) * 1988-11-14 1990-12-14 Cit Alcatel Systeme d'echange de messages en temps reel entre stations reliees par une liaison en boucle, notamment entre stations d'un central de telecommunications
JPH0737306B2 (ja) 1989-05-18 1995-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遠隔制御方法
US5254813A (en) 1991-07-29 1993-10-19 Kabushiki Kaisha Toshiba Elevat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system
EP0586190A1 (en) 1992-08-31 1994-03-09 Otis Elevator Company Rescue operation for an elevator system
FI111934B (fi) * 1992-12-22 2003-10-15 Kone Corp Hissilaitteiden kauko-ohjausjärjestelmä
US5398782A (en) 1993-11-12 1995-03-21 Otis Elevator Company Remote monitoring system with variable period communication check
US5551532A (en) * 1994-02-28 1996-09-03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s in an elevator communications system
JP3471454B2 (ja) * 1994-06-20 2003-12-02 株式会社東芝 移動通信システム
CN1136528A (zh) * 1995-03-09 1996-11-27 奥蒂斯电梯公司 电梯系统的遥控组合装置
SG97809A1 (en) * 1998-09-17 2003-08-20 Inventio Ag Remote control of lift installations
US8065155B1 (en) * 1999-06-10 2011-11-22 Gazdzinski Robert F Adaptive advertising apparatus and methods
FR2814901B1 (fr) 2000-10-04 2003-01-31 Jean Patrick Azpitarte Systeme pour la gestion a distance de la maitenance d'un ensemble d 'equipements
JP4406516B2 (ja) * 2001-02-16 2010-01-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昇降機の管理装置並びに昇降機システム
US7002462B2 (en) 2001-02-20 2006-02-21 Gannett Fleming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maintenance management of vertical transportation equipment
KR100511853B1 (ko) * 2001-12-20 2005-09-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조작장치
JP2003212447A (ja) * 2002-01-28 2003-07-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エレベータ遠隔監視システム
EP1689665A4 (en) * 2003-11-17 2011-01-05 Inlink Technologies Pty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INFORMATION CONCERNING A TRANSPORT DEVICE
JPWO2005082764A1 (ja) * 2004-03-01 2007-08-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監視用端末及びエレベーターの監視装置
JP2005272062A (ja) * 2004-03-24 2005-10-0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昇降機遠隔監視システム
US7398860B2 (en) 2004-05-21 2008-07-1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emote supervisory control system for elevating machine
JP2005346424A (ja) 2004-06-03 2005-12-15 Fujitsu Ltd コンテンツ通信方法、コンテンツ通信可否判断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通信システム。
JP2006067507A (ja) 2004-08-30 2006-03-09 Fuji Heavy Ind Ltd タイムアウト間隔可変型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6199411A (ja) * 2005-01-19 2006-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プログラム書き換え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書き換え方法
US8069958B2 (en) * 2005-07-18 2011-12-0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and method including a controller and remote elevator monitor for remotely performed and/or assisted restoration of elevator service
EP2707320B1 (en) * 2011-05-10 2016-07-06 Otis Elevator Company Managing remote control of an eleva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77922A1 (en) 2012-07-25
US9108824B2 (en) 2015-08-18
JP2013505177A (ja) 2013-02-14
HK1172004A1 (en) 2013-04-12
CN102510833B (zh) 2014-06-04
KR101286181B1 (ko) 2013-07-15
CN102510833A (zh) 2012-06-20
JP5714590B2 (ja) 2015-05-07
BR112012005911A2 (pt) 2016-03-15
WO2011034527A1 (en) 2011-03-24
US20120175196A1 (en) 2012-07-12
ES2626406T3 (es) 2017-07-25
EP2477922B1 (en) 2017-03-08
EP2477922A4 (en) 2015-07-08
RU2012105631A (ru) 2013-10-27
RU2500603C2 (ru)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6181B1 (ko) 다중 서브시스템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원격 접근
US7512677B2 (en) Non-centralized network device management using console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EP3048523B1 (en) Programmable display
US7418627B2 (en) Cluster system wherein failover reset signals are sent from nodes according to their priority
US7966402B2 (en) Switch to selectively couple any of a plurality of video modules to any of a plurality of blades
US6587950B1 (en) Cluster power management technique
CN103248514B (zh) 用于车内lan网络管理的故障检测和缓解
CN101267334A (zh) 一种动态分配设备的方法及装置
US11630692B2 (en) Efficient worker utilization
JP2008077325A (ja) ストレージ装置及びストレージ装置に対する設定方法
US811253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power control
AU2008298594A1 (en) Software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d observing computer networking devices
US10506051B2 (en) Remote system monitor
CN103984616A (zh) 一种服务器监控方法及服务器
CN109279459B (zh) 一种电梯物联网控制方法及系统
CA3075017A1 (en) Fault tolerant services for integrated building automation systems
CN109119151B (zh) 实现设备间相互联通的方法及装置
CN110752939B (zh) 一种业务进程故障处理方法、通知方法和装置
US10089200B2 (en) Computer apparatus and computer mechanism
WO2020175031A1 (ja) 制御装置、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システム
Jung et al. Cloud computing for u-health and automotive environment
TW202406376A (zh) 於通訊網路為無密碼無線網路時產生提示之裝置及方法
Palumbo et al. D2. 3 Third Prototype of sensors, Giraff platform and network system report
KR20200057845A (ko) 자율 주행 제어기에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위한 방법
CN109150863A (zh) 桌面云的访问控制方法、装置和桌面云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