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7063A - 고객 호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객 호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7063A
KR20120087063A KR1020110086699A KR20110086699A KR20120087063A KR 20120087063 A KR20120087063 A KR 20120087063A KR 1020110086699 A KR1020110086699 A KR 1020110086699A KR 20110086699 A KR20110086699 A KR 20110086699A KR 20120087063 A KR20120087063 A KR 20120087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entry
time
interrupt
gen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요시 모리따
도시유끼 모리따
히로미 우까이
도시유끼 쯔쯔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20087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0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영업점 밖에서 사전에 거래 내용을 등록한 고객을 영업점 창구에서 우선적으로 호출하는 것이 가능한 고객 호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사전 엔트리자가 접수 단말기로 접수를 행하였을 때, 영업점 내의 현재의 대기 상황으로서 엔트리 정보를 참조하여, 인터럽트 가능 대상인 일반 고객을 추출하고(스텝 141로부터 스텝 142), 그 중으로부터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일반 고객을 한 사람 추출하고(스텝 143), 상기 사전 엔트리자의 예상 거래 시간과 추출된 최후미의 일반 고객의 인터럽트 시간의 합계값을, 추출된 일반 고객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과 비교하여(스텝 144 내지 145), 혹시 상기 합계값이 인터럽트 허용 시간보다 작은 경우, 최후미로부터 바로 앞에서 대기하고 있는 일반 고객을 한 사람 추출하여 상기 비교를 이후 반복하고, 혹시 상기 합계값이 인터럽트 허용 시간보다 작지 않은 경우, 그 추출된 일반 고객의 뒤로 상기 사전 엔트리자의 호출 순서를 확정시키고, 상기에 의해 확정된 호출 순서를 엔트리 정보에 격납함으로써(스텝 146 내지 147), 일반 고객의 대기 시간을 허용 범위에 억제하면서 사전 엔트리자를 우선적으로 호출한다.

Description

고객 호출 시스템 및 방법{CUSTOMER CALL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영업점이나 공공 기관 등의 창구에 있어서 고객(이용자)에 대한 접수(유도, 호출)의 제어를 행하는 고객 호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융 기관에 있어서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사전에 거래 등의 업무의 내용을 등록한 것을 이용하여, 그 접수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금융 기관 등의 창구에 있어서는, 고객은 창구로 가서, 거래 등의 업무를 의뢰하게 된다. 시간대 등에 따라서는, 고객이 집중되어, 창구가 혼잡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창구에서 은행원 등의 작업을 줄여, 혼잡을 완화하는 기술로서, 특허 문헌 1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금융 기관의 점포에 있어서 창구 업무의 접수를 행할 때에, 사전 예약이 있는 고객을 사전 예약이 없는 일반 고객보다 우선적으로 창구로 유도할 수 있게 하는 접수 시스템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다.
그 개요는, 고객이 고객 단말기로 예약 정보 서버에 대하여 사전에 예약의 등록을 행하고, 예약 번호를 취득한 고객이 점두로 향하여, 접수/발행 단말기에 예약 번호를 입력하면, 접수/발행 단말기가 예약 정보 서버에 대하여 예약 번호에 대응한 예약 고객의 확인을 요구하고, 예약 확인의 결과를 얻고 나서 정리권을 발행함과 함께 고객 정보 서버에 대하여 예약 고객의 고객 정보를 송신하고, 고객 정보 서버가 그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 상세 정보 및 예약 고객을 나타내는 정보인 예약 마크를 고객 정보 표시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44245호 공보
특허 문헌 1은, 사전 예약자가 내점한 것을 고객 정보 표시 단말기에 표시함으로써, 은행원이 우선적으로 사전 예약자를 창구로 유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복수의 사전 예약자가 내점한 경우, 고객 정보 표시 단말기에 표시된 사전 예약자의 정보를 은행원 자신이 수집함으로써, 어느 사전 예약자로부터 창구로 유도하거나, 또한 어떤 타이밍에서 사전 예약이 없는 일반 고객을 창구로 유도하는지를 판단하고 있기 때문에, 호출 순서의 판단에 있어서의 은행원 부담이 커진다. 또한, 호출 순서가 속인적으로 되기 때문에, 호출 순서의 공평성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구에 있어서 사전 엔트리한 고객을 사전 엔트리하지 않은 일반 고객보다 우선적으로 호출할 때에, 호출 순서의 판단에 있어서의 은행원 부담을 삭감하고, 고객의 호출을 보다 공평한 순서 또한 효율적으로 계산 가능한 고객 호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우선, 전제로 하여, 각 용어의 정의 등의 전제 조건에 대해서 기재한다. 이하에서는, 고객 단말기로부터 사전에 거래 내용을 등록한 고객을 「사전 엔트리자」, 사전에 거래 내용을 등록하지 않고 직접 내점한 고객을 「일반 고객」이라고 한다. 사전 엔트리자와 일반 고객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는 이들을 간단히 「고객」이라고 한다. 또한, 어떤 고객에 대하여 다른 고객에게 인터럽트된 시간을 「인터럽트 시간」, 다른 고객에게 인터럽트됨으로써, 그 이상은 기다리지 않게 되는 한도 시간을 「인터럽트 허용 시간」이라고 한다. 또한, 「고객」은 널리 이용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서버에서는, 사전 엔트리자마다 그 고객명, 거래 종류, 예상 거래 시간, 인터럽트 허용 시간 등을 격납한 「사전 엔트리 정보」, 고객마다 그 엔트리 종류, 고객명, 거래 종류, 예상 거래 시간, 인터럽트 허용 시간, 인터럽트 시간 등을 격납한 「엔트리 정보」를 유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전 엔트리자에 대해서, 호출 대기의 일반 고객보다 인터럽트 가능한 일반 고객을, 사전 엔트리자의 예상 거래(업무) 시간 및 각 일반 고객의 예상 대기 시간으로부터 특정하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전 엔트리자를 그룹화하고, 상술한 특정을 통합하여 행하면 된다. 이하, 보다 상세한 본 발명의 양태를 설명한다.
사전 엔트리자가 접수 단말기로 거래 내용을 등록한 타이밍에서, 서버는, 엔트리 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인터럽트 가능 대상인 일반 고객 중으로부터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일반 고객을 한 사람 추출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인터럽트 판정을 행한다.
상기 사전 엔트리자의 예상 거래 시간과 상기 일반 고객의 인터럽트 시간의 합계값과, 상기 일반 고객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을 비교한다. 상기 합계값이 상기 일반 고객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일반 고객보다 바로 앞에서 대기하고 있는 일반 고객을 한 사람 추출하여 상기 비교를 이후 반복한다. 상기 합계값이 상기 일반 고객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사전 엔트리자의 호출 순서를 상기 일반 고객의 뒤로 확정시킨다. 또한, 상기 사전 엔트리자보다도 이전에서 대기하고 있는 일반 고객의 호출 순서를 확정시키고, 상기 호출 순서를 엔트리 정보에 격납한다. 이상의 인터럽트 판정으로부터, 사전 엔트리자는 일반 고객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 있어서, 일반 고객보다 우선적으로 호출되도록, 고객의 호출 순서를 확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럽트 판정에서는 사전 엔트리자의 인터럽트 위치가 확정되면, 그 사전 엔트리자보다 앞에 늘어서 있는 일반 고객의 호출 순서가 확정되고, 뒤에서부터 온 사전 엔트리자는 이미 인터럽트 위치가 확정되어 있는 사전 엔트리자보다 이전에 인터럽트하는 일은 없다. 그러나, 이미 인터럽트 위치가 확정되어 있는 사전 엔트리자도 인터럽트 가능 대상으로 하는 경우는, 이미 인터럽트 위치가 확정되어 있는 사전 엔트리자보다 앞에 늘어서 있는 일반 고객도 인터럽트 가능 대상으로 하고, 사전 엔트리자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을 0분보다 큰 값으로 설정하고, 또한 사전 엔트리자마다 우선도를 설정한 후에 상기 인터럽트 판정 처리를 행한다. 이때, 상기 인터럽트 판정에 의해 뒤에서부터 온 사전 엔트리자의 거래 예상 시간과 이미 인터럽트 위치가 확정되어 있는 사전 엔트리자의 대기 시간의 합계값이, 이미 인터럽트 위치가 확정되어 있는 사전 엔트리자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보다 작은 경우, 또한 뒤에서부터 온 사전 엔트리자의 우선도가 높은 경우는, 뒤에서부터 온 사전 엔트리자를 이미 인터럽트 위치가 확정되어 있는 사전 엔트리자보다 이전에 인터럽트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이외의 경우는 이미 인터럽트 위치가 확정되어 있는 사전 엔트리자보다 이전에 인터럽트할 수는 없다.
또한, 상기 인터럽트 판정의 계산 효율을 높이는 방법으로서, 서버는, 상기 엔트리 정보 대신에, 호출 순서가 확정되어 있지 않은 엔트리 정보를 격납한 「미확정 엔트리 정보」, 호출 순서가 확정되어 있는 엔트리 정보를 격납한 「확정 엔트리 정보」를 유지한다. 은행원이 은행원 단말기로부터 서버에 대하여 다음에 호출해야 할 고객을 요구하는 타이밍에서, 서버는 미확정 엔트리 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사전 엔트리자를 하나의 그룹으로서 취득하고, 미확정 엔트리 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일반 고객 중으로부터,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일반 고객을 한 사람 추출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인터럽트 판정을 행한다.
상기 그룹의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사전 엔트리자가 엔트리 등록한 시각과 상기 일반 고객이 엔트리 등록한 시각을 비교한다. 전자의 시각의 쪽이 이전인 경우, 상기 일반 고객의 바로 앞에서 대기하는 일반 고객을 추출하고, 이 추출된 일반 고객에 대하여 상기 시각의 비교를 이후 반복한다.
전자와 후자의 시각이 동일 시각 또는 전자의 시각의 쪽이 이후인 경우, 상기 그룹에 있어서 상기 일반 고객보다도 이후에 엔트리 등록한 모든 사전 엔트리자의 합계 예상 거래 시간과 상기 일반 고객의 인터럽트 시간의 합계값과, 상기 일반 고객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을 비교한다. 상기 합계값이 상기 일반 고객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일반 고객의 바로 앞에서 대기하는 일반 고객을 추출하고, 이 추출된 일반 고객에 대하여 상기 인터럽트 판정을 이후 반복한다. 한편, 상기 합계값이 상기 일반 고객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그룹 중에 있어서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사전 엔트리자를 한 사람 추출하고, 이 추출된 사전 엔트리자의 호출 순서를 상기 일반 고객의 뒤로 확정시킨다. 인터럽트 위치가 확정된 상기 사전 엔트리자를 상기 그룹으로부터 제외하고, 남은 사전 엔트리자를 하나의 그룹으로서, 상기 일반 고객에 대하여 예상 거래 시간, 대기 시간, 인터럽트 허용 시간을 이용한 상기 인터럽트 판정을 이후 반복한다. 최종적으로, 그룹 중의 모든 사전 엔트리자의 호출 순서, 즉 인터럽트 위치가 확정될 때까지 반복한다.
마지막으로, 상기에서 인터럽트 위치가 확정된 모든 사전 엔트리자 및 상기 사전 엔트리자보다 앞에 늘어서 있는 일반 고객의 호출 순서를 확정 엔트리 정보에 격납한다. 또한, 미확정 엔트리 정보에 사전 엔트리자가 한 사람도 없는 경우, 미확정 엔트리 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선두의 일반 고객을 확정 엔트리 정보에 격납한다. 이상과 같이 그룹 단위로 인터럽트 판정을 행함으로써, 사전 엔트리자를 일반 고객보다 우선적으로 호출할 때에, 고객의 호출 순서를 확정시키기 위한 계산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선적으로 호출 순서 고객을 효율적으로 계산하면서 호출 순서를 확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고객 호출 시스템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사전 엔트리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엔트리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고객의 호출 순서를 계산하는 개략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고객 단말기와 서버에 있어서 사전 엔트리자가 사전 엔트리 정보를 등록하는 처리 플로우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접수 단말기와 서버에 있어서 고객이 엔트리 정보를 등록하는 처리 플로우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서버에 있어서 고객의 호출 순서를 계산하는 처리 플로우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제2 실시 형태의 확정 엔트리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제2 실시 형태의 미확정 엔트리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고객의 호출 순서를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계산하는 개략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의 서버에 있어서 고객의 호출 순서를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계산하는 처리 플로우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객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전에 거래 내용을 등록한 사전 엔트리자가 영업점 창구에 설치된 접수 단말기로 접수를 행하였을 때, 사전에 거래 내용을 등록하고 있지 않은 일반 고객보다도 사전 엔트리자를 우선적으로 호출하면서도, 일반 고객의 대기 시간을 허용 범위에 억제하는 고객 호출 시스템 및 방법의 예를 이용한다. 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은행 창구를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다른 서비스 또는 판매 창구나 공공 기관의 창구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호출 순서가 확정되어 있지 않은 일반 고객을 인터럽트 가능 대상으로 하고, 이미 호출 순서가 확정되어 있는 사전 엔트리자보다도 이전에 늘어서 있는 일반 고객의 호출 순서는 확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고객 단말기로부터 고객이 거래의 종류나 거래 내용 등을 사전에 등록하는 것을 「사전 엔트리」, 사전 엔트리 정보를 서버에 등록하는 것을 「사전 엔트리 등록」, 접수 단말기로부터 접수를 행하는 것을 「엔트리」, 엔트리 정보를 서버에 등록하는 것을 「엔트리 등록」이라고 한다.
고객 단말기로 발행되는 사전 엔트리 번호나 접수 단말기로 발행되는 접수 번호는, 각 단말기의 화면에 번호를 간단히 표시한 것, 바코드 또는 이차원 코드를 인쇄한 것이어도 된다.
(1) 이하에서는 제1 실시 형태로서, 사전 엔트리자가 접수 단말기로 엔트리한 타이밍에서, 상기 사전 엔트리자의 호출 순서를 계산하고, 이미 대기하고 있는 일반 고객의 나열순으로 인터럽트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전 엔트리자를 인터럽트 가능 대상으로부터 제외하기 위해, 사전 엔트리자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을 0분으로 한 경우를 상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고객 호출 시스템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복수의 고객 단말기(4), 복수의 접수 단말기(3), 복수의 은행원 단말기(2), 및 서버(1)는 통신망(5)을 통하여 접속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객 단말기(4)는 3개의 기능, 접수 단말기(3)는 3개의 기능, 은행원 단말기(2)는 3개의 기능, 서버(1)는 6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각 기기의 하드웨어 및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에 의해서 이들의 기능이 동작한다.
고객 단말기(4)의 제1 기능은, 거래 종류, 등록 중의 사전 엔트리 정보, 서버(1)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기능(41)이다. 고객 단말기(4)의 제2 기능은, 서버(1)에 등록하기 위한 사전 엔트리 정보를 작성하는 사전 엔트리 작성 기능(42)이다. 고객 단말기(4)의 제3 기능은, 고객이 입력한 정보를 서버(1)에 송신하고, 또한 서버(1)로부터 사전 엔트리 번호를 수신하는 송수신 기능(43)이다.
접수 단말기(3)의 제1 기능은, 일반 고객용의 거래 종류, 등록 중의 엔트리 정보, 사전 엔트리자를 식별하기 위한 확인 정보, 서버(1)로부터 취득한 정보 등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기능(31)이다. 접수 단말기(3)의 제2 기능은, 서버(1)에 등록하기 위한 엔트리 정보를 작성하는 엔트리 작성 기능(32)이다. 접수 단말기(3)의 제3 기능은, 엔트리 작성 기능(32)에 의해 작성된 엔트리 정보를 서버(1)에 송신하고, 또한 서버(1)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 기능(33)이다.
은행원 단말기(2)의 제1 기능은, 호출해야 할 고객의 접수 번호, 서버(1)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기능(21)이다. 은행원 단말기(2)의 제2 기능은, 서버(1)에 대하여 다음에 호출하는 고객의 접수 번호를 요구하는 호출 고객 요구 기능(22)이다. 은행원 단말기(2)의 제3 기능은, 호출 고객 요구 기능(22)에 의한 접수 번호 요구를 서버(1)에 송신하고, 또한 서버(1)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 기능(23)이다.
서버(1)의 제1 기능은, 고객 단말기(4), 접수 단말기(3), 은행원 단말기(2)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사전 엔트리 격납 기능(12), 사전 엔트리 취득 기능(13), 엔트리 격납 기능(14), 호출 고객 계산 기능(16)에 의해 작성된 정보를 고객 단말기(4), 접수 단말기(3), 은행원 단말기(2)에 송신하는 송수신 기능(11)이다. 서버(1)의 제2 기능은, 고객 단말기(4)의 사전 엔트리 작성 기능(42)에 의해 작성된 정보를 기억 기능(15)에 격납하고, 또한 사전 엔트리 번호를 채번(採番)하는 사전 엔트리 격납 기능이다. 서버(1)의 제3 기능은, 사전 엔트리자에 의해 접수 단말기(3)의 엔트리 작성 기능(32)에 의해 작성된 정보로부터, 사전 엔트리 번호와 결부짓는 사전 엔트리 정보를 취득하는 사전 엔트리 취득 기능(13)이다. 서버(1)의 제4 기능은, 접수 단말기(3)의 엔트리 작성 기능(32)에 의해 작성된 정보를 기억 기능(15)에 격납하고, 또한 접수 번호를 채번하는 엔트리 격납 기능(14)이다. 서버(1)의 제5 기능은, 은행원 단말기(2)의 호출 고객 요구 기능(22)에 의해 작성된 정보를 기초로, 기억 기능(15)에 격납되어 있는 엔트리 정보로부터 다음에 호출해야 할 고객을 계산하고, 호출 번호를 채번하는 호출 고객 계산 기능(16)이다. 호출 고객 계산 기능(16)의 상세에 대해서는 별도 설명한다. 서버(1)의 제6 기능은, 서버(1)에 있어서 취급하는 정보를 관리하는 기억 기능(15)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억 기능(15)은, 사전 엔트리 정보(151), 엔트리 정보(152)를 격납한다. 또한, 서버(1)는 통신망(5)을 통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접수 단말기(3), 은행원 단말기(2) 중에 상기에서 설명한 기능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이들 각 장치는, 소위 컴퓨터로 실현되고, 그 기능은 프로그램에 따라서 CPU와 같은 연산 장치에서의 처리로 실현 가능하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서버(1)의 기억 기능(15)에 격납되어 있는 사전 엔트리 정보(151)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사전 엔트리 정보(151)는, 고객 단말기(4)의 사전 엔트리 작성 기능(42) 및 서버(1)의 사전 엔트리 격납 기능(12)에 의해서, 고객이 사전에 등록한 거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시각(1511)은, 사전 엔트리자가 고객 단말기(4)로 사전 엔트리 등록한 시각이다. 고객명(1512)은, 사전 엔트리자가 고객 단말기(4)로 입력한 고객명이다. 거래 종류(1513)는, 사전 엔트리자가 고객 단말기(4)로 입력한 거래의 종류이다. 예상 거래 시간(1514)은, 사전 엔트리자가 입력한 거래 종류(1513)를 기초로 산출된, 그 거래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다. 또한, 거래 종류에 대응하는 예상 거래 시간은 별도 서버 내에 격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인터럽트 허용 시간(임계값)(1515)은, 어떤 고객이 다른 고객에게 인터럽트됨으로써, 그 이상은 기다리지 않게 되는 한도 시간이다. 이것은, 미리 시스템 운용자 등에 의해 설정하는 값이면 된다. 이미 인터럽트 순서가 확정된 사전 엔트리자의 이전에, 다른 사전 엔트리자를 인터럽트시키지 않도록 하는 경우, 사전 엔트리자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1515)을 0분으로 설정한다. 또한, 고객과 인터럽트 허용 시간의 대응은 별도 서버 내에 격납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인터럽트 허용 시간의 설정은 은행마다 일률적으로도, 고객 세그먼트마다, 예를 들면, VIP, 일반 고객 등에 일률적으로도, 또는 개인마다 설정해도 된다. 사전 엔트리 번호(1516)는, 사전 엔트리자마다 일의로 부여되는 번호이다.
상기 예상 거래 시간(1514), 인터럽트 허용 시간(1515), 사전 엔트리 번호(1516)는 고객이 사전 엔트리 등록한 타이밍에서, 서버(1)의 사전 엔트리 격납 기능에 있어서 계산되어 사전 엔트리 정보(151)에 기입된다. 예를 들면, 레코드(1510)는, 「히타치 A꼬가 주소 변경의 거래를 2010년 8월 10일 10시 35분에 사전 엔트리 등록하고, 주소 변경의 예상 거래 시간은 10분이고, 히타치 A꼬는 20분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이 설정되고, 사전 엔트리 번호로서 「101」이 부여되어 있다」라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사전 엔트리 정보(151)는 거래 내용을 CSV 파일 또는 외부 파일의 패스로서 관리하여도 되고, 직접 레코드에 값을 유지해도 된다. 예를 들면, 「불입」을 전자의 방식으로 관리하는 경우는 {“불입처”, “불입 금액”, “현금의 유무”, …} 등의 항목에 대응한 값과 사전 엔트리 정보를 세트로 하여 관리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서버(1)의 기억 기능(15)에 격납되어 있는 엔트리 정보(152)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엔트리 정보(152)는, 접수 단말기(3)의 엔트리 작성 기능(32) 및 엔트리 격납 기능(14)에 의해, 고객이 접수 단말기로 등록한 거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엔트리 종류(1521)는, 엔트리 등록자의 속성으로서, 사전 엔트리자 또는 일반 고객 중 어느 것인가를 나타내고 있다. 시각(1522)은, 사전 엔트리자 또는 일반 고객이 접수 단말기(3)로 엔트리 등록한 시각이다. 고객명(1523)은, 사전 엔트리자가 고객 단말기(4)로 입력한 고객명(1512) 또는 일반 고객이 접수 단말기(3)로 입력한 고객명이다. 거래 종류(1524)는, 사전 엔트리자가 고객 단말기(4)로 입력한 거래 종류(1513) 또는 일반 고객이 접수 단말기(3)로 입력한 거래의 종류이다. 예상 거래 시간(1525)은, 거래 종류(1524)를 기초로 산출된, 거래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다. 인터럽트 허용 시간(임계값)(1526)은, 어떤 고객이 다른 고객에게 인터럽트됨으로써, 그 이상은 기다리지 않게 되는 한도 시간이다. 이것도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시스템 운용자 등에 의해 설정되는 값이면 된다. 이미 인터럽트 순서가 확정된 사전 엔트리자의 이전에, 다른 사전 엔트리자를 인터럽트시키지 않도록 하는 경우, 사전 엔트리자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1515)을 0분으로 설정한다. 또한, 고객과 인터럽트 허용 시간의 대응은 별도 서버 내에 격납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인터럽트 허용 시간의 설정은 은행마다 일률적으로도, 고객 세그먼트마다, 예를 들면, VIP, 일반 고객 등에 일률적으로도, 또는 개인마다 설정해도 된다. 접수 번호(1527)는, 접수 단말기(3)에 있어서 엔트리 등록이 완료된 고객에게 부여되는 번호이다. 또한, 일반 고객에 대하여 인터럽트된 것을 의식시키지 않으므로, 사전 엔트리자와 일반 고객의 접수 번호를 일련 번호로 하지 않고 따로따로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호출 번호(1528)는, 은행원 단말기(2)에 있어서 다음에 처리하는 고객의 호출 순서를 나타내는 번호이다. 인터럽트 시간(1529)은, 어떤 고객에 대하여 다른 고객에게 인터럽트된 시간의 합계값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터럽트된 사전 엔트리자의 예상 거래 시간(1525)의 합계값이다.
서버(1)는, 고객이 엔트리 등록한 타이밍에서 상기 예상 거래 시간(1525), 인터럽트 허용 시간(1526), 인터럽트 시간(1529)을 계산하고, 접수 번호(1527), 호출 번호(1528)을 채번하여 엔트리 정보(152)에 기입한다. 예를 들면, 레코드(1520)는, 「사전 엔트리자의 히타치 타로가 주소 변경의 거래를 2010년 8월 10일 11시 35분에 엔트리 등록하고, 주소 변경의 예상 거래 시간은 10분이고, 히타치 타로에는 0분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이 설정되고, 접수 번호로서 「5」, 호출 번호로서 「1」이 부여되고, 현재의 인터럽트된 시간이 0분이다」라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엔트리 정보(152)는 사전 엔트리 정보(151)와 마찬가지로 거래 내용을 CSV 파일 또는 외부 파일의 패스로서 관리해도 되고, 직접 레코드에 값을 유지해도 된다. 예를 들면, 「불입」을 전자의 방식으로 관리하는 경우는 {“불입처”, “불입 금액”, “현금의 유무”, …} 등의 항목에 대응한 값과 엔트리 정보를 세트로 하여 관리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고객의 호출 순서를 계산하는 개략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사전 엔트리자의 호출 순서를 계산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일반 고객의 대기 행렬(171)에 있어서 인터럽트 가능 대상인 일반 고객 A, B, C, D가 호출 대기 상태이며, 사전 엔트리자의 대기 행렬(172)에 있어서 사전 엔트리자 E가 엔트리 등록한 상태이다.
사전 엔트리자의 대기 행렬(172)에 사전 엔트리자 E가 추가되었기 때문에, 인터럽트 가능 대상인 일반 고객의 대기 행렬(171)에 등록되어 있는 일반 고객 A, B, C, D와 사전 엔트리자 E를 비교한다.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일반 고객 D로부터 선두의 일반 고객 A로 순번대로 인터럽트 판정을 행하고, 인터럽트 불가능한 일반 고객의 바로 뒤에 사전 엔트리자 E가 불리어지도록 호출 순서를 변경한다. 상기 인터럽트 판정에는, 사전 엔트리자의 예상 거래 시간(1525), 일반 고객의 인터럽트 시간(1529), 일반 고객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1526)을 이용한다.
이하, 도 4의 (a)를 일례로 호출 순서 변경의 개요를 설명한다.
첫째로, 사전 엔트리자의 대기 행렬(172)에 있어서 사전 엔트리자 E가, 인터럽트 가능 대상인 일반 고객의 대기 행렬(171)의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일반 고객 D보다 이전에 인크럽트하는지를 상기 인터럽트 판정에 의해서 판정한다. 사전 엔트리자 E의 예상 거래 시간(1525)의 「6분」과 일반 고객 D의 인터럽트 시간(1529)의 「5분」과의 합계값 「11분」이, 일반 고객 D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1526)의 「36분」보다 작기 때문에, 사전 엔트리자 E는 일반 고객 D보다도 이전에 호출되는 것이 확정된다. 일반 고객 D의 인터럽트 시간(1529)의 「5분」에 사전 엔트리자 E의 예상 거래 시간(1525)의 「6분」을 추가한 「11분」을 일반 고객 D의 새로운 인터럽트 시간(1529)으로 설정한다.
둘째로, 사전 엔트리자 E가, 일반 고객의 대기 행렬(171)에 있어서 이미 비교된 일반 고객 D를 제외한, 최후미에 해당하는 일반 고객 C보다 이전에 인터럽트할지를 상기 인터럽트 판정에 의해서 판정한다. 사전 엔트리자 E의 예상 거래 시간(1525)의 「6분」과 일반 고객 C의 인터럽트 시간(1529)의 「9분」과의 합계값 「15분」이, 일반 고객 C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1526)의 「25분」보다 작기 때문에, 사전 엔트리자 E는 일반 고객 C보다도 이전에 호출되는 것이 확정된다. 일반 고객 C의 인터럽트 시간(1529)의 「9분」에 사전 엔트리자 E의 예상 거래 시간(1525)의 「6분」을 추가한 「15분」을 일반 고객 C의 새로운 인터럽트 시간(1529)으로 설정한다.
셋째로, 사전 엔트리자 E가, 일반 고객의 대기 행렬(171)에 있어서 이미 비교된 일반 고객 D, 일반 고객 C를 제외한, 최후미에 해당하는 일반 고객 B보다 이전에 인터럽트할지를 상기 인터럽트 판정에 의해서 판정한다. 사전 엔트리자 E의 예상 거래 시간(1525)의 「6분」과 일반 고객 B의 인터럽트 시간(1529)의 「14분」과의 합계값 「20분」이, 일반 고객 B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1526)의 「21분」보다 작기 때문에, 사전 엔트리자 E는 일반 고객 B보다도 이전에 호출되는 것이 확정된다. 일반 고객 B의 인터럽트 시간(1529)의 「14분」에 사전 엔트리자 E의 예상 거래 시간(1525)의 「6분」을 추가한 「20분」을 일반 고객 B의 새로운 인터럽트 시간으로 설정한다.
넷째로, 사전 엔트리자 E가, 일반 고객의 대기 행렬(171)에 있어서 이미 비교된 일반 고객 D, 일반 고객 C, 일반 고객 B를 제외한, 최후미에 해당하는 일반 고객 A보다 이전에 인터럽트할지를 상기 인터럽트 판정에 의해서 판정한다. 사전 엔트리자 E의 예상 거래 시간(1525)의 「6분」과 일반 고객 A의 인터럽트 시간(1529)의 「20분」과의 합계값 「26분」이, 일반 고객 A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1526)의 「25분」보다 작지 않기 때문에, 사전 엔트리자 E는 일반 고객 A보다도 이후에 호출되는 것이 확정된다.
이상으로부터, 도 4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 고객 A와 사전 엔트리자 E의 호출 순서가 확정된다. 그리고, 일반 고객 A를 인터럽트 가능 대상의 일반 고객으로부터 제외한다.
도 5는, 사전 엔트리자가 고객 단말기(4)에 있어서 사전 엔트리 정보(151)를 등록하는 처리 플로우를 나타낸 것이다. 고객 단말기(4)의 사전 엔트리 작성 기능(42)은, 스텝 421 및 스텝 422에 대응한다. 서버(1)의 사전 엔트리 격납 기능(12)은, 스텝 121 및 스텝 122에 대응한다.
스텝 421에서는, 고객에 의한 거래 종류, 고객명, 거래 내용 등의 입력을 행하고, 송수신 기능(43)에 의해서, 입력한 상기 정보를 서버(1)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고객 단말기(4)는, 고객에 의해 입력된 정보로서, 고객명 「히타치 지로」나 거래 「입금」 및 거래 내용을 서버(1)에 송신한다. 또한, 고객명은 직접 입력하여도, 캐쉬 카드로부터의 계좌 정보의 입력을 기초로 서버(1)가 CIF(Customers' Infomation Files) 등의 고객 정보로부터 고객명을 특정하여도 된다.
스텝 121에서는, 서버(1)는 고객 단말기(4)의 상기 스텝 421에 의해서 송신된 거래 종류, 고객명, 거래 내용 등을 송수신 기능(11)에 의해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서버(1)는 예상 거래 시간, 인터럽트 허용 시간, 사전 엔트리 번호를 계산하고, 수신한 정보와 합쳐서 사전 엔트리 정보(151)에 그 레코드를 격납한다. 예를 들면, 서버(1)는 고객 단말기(4)로부터 「히타치 지로가 입금을 선택한 것, 및 그 입금 내용」을 수신하고, 이들의 정보를 기초로 예상 거래 시간 6분을 계산하고, 인터럽트 허용 시간 0분을 설정하고, 사전 엔트리 번호 「103」을 채번하고, 수신한 정보로서 고객명 「히타치 지로」, 거래 종류 「입금」, 거래 내용과 맞춰서 사전 엔트리 정보(151)에 그 레코드를 격납한다.
스텝 122에서는, 서버(1)는 상기 스텝 121에서 기억 기능(15)에 격납한 사전 엔트리 정보의 사전 엔트리 번호를 참조하고, 상기 사전 엔트리 번호를 송수신 기능(11)에 의해서 고객 단말기(4)에 송신한다.
스텝 422에서는, 고객 단말기(4)는 송수신 기능(43)에 의해, 서버(1)로부터 스텝 122에서 발행된 사전 엔트리 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전 엔트리 번호를 발행한다. 또한, 고객 단말기(4)에 있어서의 사전 엔트리 번호의 발행은, 종이 매체에 숫자나 이차원 코드를 인자해도 되고, 또한 전자 데이터로서 고객 단말기의 화면 등에 간단히 표시하는 것뿐이어도 된다. 전자의 경우, 고객 단말기(4)에는 상기 데이터를 인자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고객 단말기(4)는 서버(1)로부터 사전 엔트리 번호 「103」을 수신하고, 수신한 사전 엔트리 번호 「103」을 종이 매체에 인자하고, 사전 엔트리자에게 발행한다.
이상의 스텝에 의해, 사전 엔트리자는 고객 단말기(4)에 있어서 사전 엔트리 정보를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고객이 접수 단말기(3)에 있어서 엔트리 정보(152)를 등록하는 처리 플로우를 나타낸 것이다.
접수 단말기(3)의 엔트리 작성 기능(32)은, 스텝 321 내지 스텝 324에 대응한다. 서버(1)의 사전 엔트리 취득 기능(13)은, 스텝 131에 대응한다. 서버(1)의 엔트리 격납 기능(14)은, 스텝 1401 및 스텝 1402에 대응한다.
스텝 321에서는, 접수 단말기(3)는 사전 엔트리자인지를 확인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사전 엔트리자인지의 여부를 고객에게 선택시킨다. 사전 엔트리자인 경우에는 스텝 322로 진행하고, 일반 고객의 경우는 스텝 323으로 진행한다.
스텝 322에서는, 접수 단말기(3)는 사전 엔트리자에 의해서 사전 엔트리 번호를 입력받고, 송수신 기능(33)에 의해, 입력된 사전 엔트리 번호를 서버(1)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접수 단말기(3)는 사전 엔트리자인 히타치 지로에 의해서, 사전 엔트리 번호 「103」을 입력받고, 입력된 사전 엔트리 번호 「103」을 서버(1)에 송신한다. 또한, 스텝 422에 있어서 사전 엔트리 번호를 이차원 코드로서 출력하는 경우에는, 이차원 코드를 읽어들이는 장치를 설치해 둔다.
스텝 323에서는, 접수 단말기(3)는 일반 고객에 의해서, 엔트리 종류, 거래 종류, 고객명, 거래 내용을 입력받고, 송수신 기능(33)에 의해서, 입력된 상기 정보를 서버(1)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접수 단말기(3)는 사전 엔트리자가 아닌 것을 선택한 일반 고객에 의해서, 거래 「불입」이 선택되고, 고객명 「히타치 사부로」나 거래 내용을 입력받고, 입력된 정보를 서버(1)에 송신한다. 또한, 고객명은 직접 입력하여도, 캐쉬 카드로부터의 계좌 정보의 입력을 기초로 서버(1)가 CIF(Customers' Information Files) 등의 고객 정보로부터 고객명을 특정하여도 된다.
스텝 131에서는, 접수 단말기(3)로부터 송신된 사전 엔트리 번호를 송수신 기능(11)에 의해서 수신하고, 상기 사전 엔트리 번호를 기초로 기억 기능(15)에 격납되어 있는 사전 엔트리 정보(151)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서버(1)는 사전 엔트리 번호 「103」을 수신하고, 사전 엔트리 번호 「103」에 대응한 사전 엔트리 정보로서 시각 「2010년 8월 10일 11시 10분」, 고객명 「히타치 지로」, 거래 종류 「입금」, 예상 거래 시간 「6분」, 인터럽트 허용 시간 「0분」, 및 거래 내용을 취득한다.
스텝 1401에서는, 상기 스텝 323에서 작성된 엔트리 정보를 송수신 기능(11)에 의해서 수신한 경우, 서버(1)는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예상 거래 시간, 인터럽트 허용 시간을 계산하고, 접수 번호를 채번하고, 수신한 정보와 합쳐서 엔트리 정보(152)에 레코드를 격납한다. 또한, 상기 스텝 131에서 사전 엔트리 정보를 취득한 경우, 서버(1)는 취득한 사전 엔트리 정보를 기초로 접수 번호를 발행하고, 취득한 정보와 합쳐서 엔트리 정보(152)에 레코드를 격납한다. 예를 들면 전자의 경우, 서버(1)는 접수 단말기(3)로부터 「히타치 사부로가 불입을 선택한 것, 및 그 불입 내용」을 수신하고, 이들의 정보를 기초로 예상 거래 시간 8분을 계산하고, 인터럽트 허용 시간 25분을 설정하고, 접수 번호 「7」을 발행하고, 수신한 정보로서 고객명 「히타치 사부로」, 거래 종류 「불입」, 거래 내용과 맞춰서 엔트리 정보(152)에 레코드를 격납한다. 후자의 경우, 서버(1)는 상기 스텝 131에서 취득한 사전 엔트리 정보를 기초로 접수 번호 「6」을 발행하고, 취득한 사전 엔트리 정보와 합쳐서 엔트리 정보(152)에 레코드를 격납한다.
스텝 1402에서는, 서버(1)는 상기 스텝 141에서 기억 기능(15)에 격납된 엔트리 정보의 접수 번호를 참조하고, 상기 접수 번호를 송수신 기능(11)에 의해서 접수 단말기(3)에 송신한다.
스텝 324에서는, 접수 단말기(3)는 송수신 기능(33)에 의해, 서버(1)로부터 접수 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접수 번호를 발행한다. 또한, 접수 단말기(3)에 있어서의 접수 번호의 발행은, 상기 스텝 422에 나타내는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일반 고객인 히타치 사부로의 경우, 접수 단말기(3)는 서버(1)로부터 접수 번호 「7」을 수신하고, 종이 매체에 수신한 접수 번호 「7」을 인자하고, 히타치 사부로에게 발행한다.
이상의 스텝에 의해, 고객은 접수 단말기(3)에 있어서 엔트리 정보(152)를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상기 스텝 1401에 있어서 서버(1)의 호출 고객 계산 기능(16)으로서, 고객의 호출 순서를 계산하는 처리 플로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스텝 1401에서 엔트리 정보를 등록하는 사람이 사전 엔트리자인 경우는, 도 7의 처리 플로우를 실시한다. 한편, 일반 고객인 경우는, 일반 고객의 호출 순서를 확정시키지 않고, 도 7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다.
스텝 141에서는, 영업점 내의 현재의 대기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엔트리 정보(152)를 참조하여, 아직 호출 순서가 확정되어 있지 않은 일반 고객의 엔트리 정보의 집합을 엔트리 정보(152)로부터 추출한다.
스텝 142에서는, 하기 스텝 145로부터 되돌아와서 처리를 행하는 경우, 추출된 일반 고객의 엔트리 정보의 집합으로부터, 스텝 143 내지 스텝 145에서 계산 대상으로 한 최후미의 일반 고객의 엔트리 정보를 삭제하여, 엔트리 정보의 집합으로 한다. 이 엔트리 정보의 집합 또는 상기 스텝 141에서 추출된 엔트리 정보의 집합 중에서 호출 순서가 확정되어 있지 않은 일반 고객이 존재하는 경우, 스텝 143으로 진행한다. 그 이외의 경우, 스텝 146으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도 4에서는 호출 순서가 확정되어 있지 않은 일반 고객 A 내지 D의 엔트리 정보를 추출하여, 스텝 143으로 진행한다.
스텝 143에서는, 상기 스텝 142에서 추출된 일반 고객 중으로부터,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일반 고객을 엔트리 정보(152)로부터 추출한다. 예를 들면, 도 4에서는 상기 스텝 142에서 추출된 일반 고객 A 내지 D 중으로부터,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일반 고객 D의 엔트리 정보를 접수 번호에 기초하여 엔트리 정보(152)로부터 추출한다.
스텝 144에서는, 상기 사전 엔트리자의 예상 거래 시간과 상기 스텝 143에서 추출된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일반 고객의 인터럽트 시간의 합계값을 계산한다. 예를 들면, 도 4에서는 상기 스텝 131에서 취득한 상기 사전 엔트리자 E의 예상 거래 시간 6분과 일반 고객 D의 인터럽트 시간 5분의 합계값 11분을 얻는다. 또한, 계산 결과는 메모리에 보존함으로써 다시 계산하지 않고,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텝 145에서는, 상기 스텝 144에서 산출된 합계값과 추출된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일반 고객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을 비교한다. 상기 스텝 144에서 산출된 합계값이 추출된 일반 고객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보다 작은 경우, 스텝 142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스텝 144에서 산출된 합계값이 추출된 일반 고객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보다 작지 않은 경우, 상기 사전 엔트리자의 호출 순서를 그 추출된 일반 고객의 뒤로 확정시켜, 스텝 146으로 진행한다.
스텝 142에서는, 스텝 145에서 비교한 일반 고객의 바로 앞에서 대기하고 있는 일반 고객을 한 사람 추출하여 상기 처리를 이후 반복한다. 예를 들면, 도 4에서는 상기 스텝 144에서 산출된 합계값 11분과 일반 고객 D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 36분을 비교하면, 인터럽트 허용 시간의 쪽이 합계값보다도 커지므로 스텝 142로 되돌아가고, 접수 번호를 기초로 일반 고객 D의 바로 앞에서 대기하고 있는 일반 고객 C의 엔트리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142 내지 145를 이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일반 고객 A의 인터럽트 시간 20분과 사전 엔트리자 E의 예상 거래 시간 6분의 합계값 26분과 일반 고객 A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 25분을 비교하면, 일반 고객 A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쪽이 합계값보다도 작기 때문에 사전 엔트리자 E의 호출 순서를 일반 고객 A의 뒤로 확정시켜, 스텝 146으로 진행한다.
스텝 146에서는, 상기 스텝 141 내지 145에 의해 인터럽트 위치가 확정된 상기 사전 엔트리자 및 상기 사전 엔트리자보다 이전에 대기하고 있는 일반 고객의 호출 순서를 확정시킨다. 예를 들면, 도 4에서는 상기 스텝 141 내지 145에 의해, 인터럽트 위치가 확정된 사전 엔트리자 E 및 사전 엔트리자 E보다 앞에서 대기하는 일반 고객 A의 호출 순서를 확정시킨다. 또한, 스텝 142에 있어서 호출 순서가 확정되어 있지 않은 일반 고객이 없었던 경우, 상기 사전 엔트리자의 호출 순서를 이미 호출 순서가 확정되어 있는 사전 엔트리자 또는 일반 고객의 뒤로 확정시킨다.
스텝 147에서는, 상기 스텝 146에 의해 호출 순서가 확정된 엔트리 정보의 각 레코드에 대하여, 호출 번호(1528)를 순서대로 추기한다.
이상의 스텝에 의해, 고객의 호출 순서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이하에서는 제2 실시 형태로서 호출 순서의 계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전 엔트리자를 그룹화하여 통합하여 호출 순서를 계산함으로써 대기 행렬로 인터럽트시키는 것, 및 호출 순서가 확정된 엔트리 정보와 호출 순서가 확정되어 있지 않은 엔트리 정보를 나누어 관리함으로써 계산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격납하고 있는 기억 기능(15)의 검색 속도를 올리기 위해, 도 3의 엔트리 정보(152)를 호출 순서가 확정된 엔트리 정보와 호출 순서가 확정되어 있지 않은 엔트리 정보로 나누어 관리한다. 전자의 엔트리 정보를 확정 엔트리 정보(153), 후자의 엔트리 정보를 미확정 엔트리 정보(154)로 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엔트리 정보(152)를 확정 엔트리 정보와 미확정 엔트리 정보로 나누어도 마찬가지로 계산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엔트리 정보(152) 대신에 확정 엔트리 정보(153) 및 미확정 엔트리 정보(15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사전 엔트리자가 사전 엔트리 정보(151)를 등록하는 처리 플로우는, 제1 실시 형태의 도 5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고객이 엔트리 정보를 등록하는 처리 플로우는 제1 실시 형태의 도 6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수 단말기로 등록된 정보는 우선 미확정 엔트리 정보(154)에 격납되고, 호출 순서가 확정되면 상기 레코드를 확정 엔트리 정보(153)로 옮겨서 관리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6의 엔트리 정보(152)를 미확정 엔트리 정보(154)로 치환하여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도 8은 서버(1)의 기억 기능(15)에 격납되어 있는 본 실시 형태의 확정 엔트리 정보(153)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확정 엔트리 정보(153)는, 서버(1)의 호출 고객 계산 기능(16) 및 서버(1)의 엔트리 격납 기능(14)에 의해서, 호출 순서가 확정된 타이밍에서 미확정 엔트리 정보(154) 중의 레코드를 삭제하고, 확정 엔트리 정보(153)에 상기 호출 순서가 확정된 레코드를 추가하여 격납한다. 엔트리 종류(1531)는, 엔트리 등록자의 속성으로서, 사전 엔트리자 또는 일반 고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시각(1532)은, 사전 엔트리자 또는 일반 고객이 접수 단말기(3)로 엔트리 등록한 시각이다. 고객명(1533)은, 사전 엔트리자가 고객 단말기(4)로 입력한 고객명 및 일반 고객이 접수 단말기(3)로 입력한 고객명이다. 거래 종류(1534)는, 사전 엔트리자가 고객 단말기(4)로 입력한 거래 종류(1513) 및 일반 고객이 접수 단말기(3)로 입력한 거래의 종류이다. 예상 거래 시간(1535)은, 사전 엔트리자가 고객 단말기(4)로 입력한 거래 종류(1513)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 및 일반 고객이 접수 단말기(3)로 입력한 거래 종류(1534)를 기초로 산출된, 그 거래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다. 인터럽트 허용 시간(임계값)(1536)은, 어떤 고객이 다른 고객에게 인터럽트됨으로써, 그 이상은 기다리지 않게 되는 한도 시간이다. 이것도 상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 운용자 등이 미리 설정하는 값이면 된다. 이미 인터럽트 순서가 확정된 사전 엔트리자의 이전에, 다른 사전 엔트리자를 인터럽트시키지 않도록 하는 경우, 사전 엔트리자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1515)을 0분으로 설정한다. 또한, 고객과 인터럽트 허용 시간의 대응은 별도 서버 내에 격납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인터럽트 허용 시간의 설정은 은행마다 일률적으로도, 고객 세그먼트마다, 예를 들면, VIP, 일반 고객 등에 일률적으로도, 또는 개인마다 설정해도 된다. 접수 번호(1537)는, 고객마다 일의로 부여되고, 또한 은행원에 의해 불려지는 번호이다. 또한, 일반 고객에 대하여 인터럽트된 것을 의식시키지 않으므로, 사전 엔트리자와 일반 고객의 접수 번호에 있어서 다른 계통의 숫자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호출 번호(1538)는, 은행원 단말기(2)에 있어서 다음에 처리하는 고객의 호출 순서를 나타내는 번호이다. 인터럽트 시간(1539)은, 어떤 고객이 인터럽트된 것 외의 고객의 예상 거래 시간의 합계값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터럽트된 사전 엔트리자의 예상 거래 시간(1535)의 합계값이다.
서버(1)의 호출 고객 계산 기능(16)에 의해서, 호출 순서가 확정된 레코드를 미확정 엔트리 정보(154)로부터 이어받고, 확정된 호출 번호(1538)를 이 레코드에 추가하여 확정 엔트리 정보(153)에 격납한다. 예를 들면, 레코드(1530)는, 「사전 엔트리자인 히타치 A꼬가 주소 변경의 거래를 2010년 8월 10일 11시 10분에 엔트리 등록하고, 주소 변경의 예상 거래 시간은 10분이고, 히타치 A꼬는 0분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이 설정되고, 접수 번호 「17」, 호출 번호 「3」이 부여되고, 현재 인터럽트된 시간이 10분이다」라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확정 엔트리 정보(153)는, 사전 엔트리 정보(151) 및 엔트리 정보(152)와 마찬가지로 거래 내용을 CSV 파일 또는 외부 파일의 패스로서 관리해도 되고, 직접 레코드에 값을 유지해도 된다. 예를 들면, 「불입」을 전자의 방식으로 관리하는 경우는 {“불입처”, “불입 금액”, “현금의 유무”, …} 등의 항목에 대응한 값과 확정 엔트리 정보를 세트로 하여 관리한다.
도 9는, 서버(1)의 기억 기능(15)에 격납되어 있는 본 실시 형태의 미확정 엔트리 정보(154)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미확정 엔트리 정보(154)는, 접수 단말기(3)의 엔트리 작성 기능(32) 및 서버(1)의 엔트리 격납 기능(14)에 의해서 고객이 접수 단말기로 등록한 거래 내용을 포함하는 레코드(1540)의 항목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호출 순서가 확정되면, 미확정 엔트리 정보(154)로부터 호출 순서가 확정된 레코드를 삭제하고, 호출 번호를 추가한 레코드를 확정 엔트리 정보(153)에 격납한다. 엔트리 종류(1541)는, 엔트리 등록자의 속성으로서, 사전 엔트리자 또는 일반 고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시각(1542)은, 사전 엔트리자 또는 일반 고객이 접수 단말기(3)로 엔트리 등록한 시각이다. 고객명(1543)은, 사전 엔트리자가 고객 단말기(4)로 입력한 고객명 및 일반 고객이 접수 단말기(3)로 입력한 고객명이다. 거래 종류(1544)는, 사전 엔트리자가 고객 단말기(4)로 입력한 거래 종류(1513) 및 일반 고객이 접수 단말기(3)로 입력한 거래의 종류이다. 예상 거래 시간(1545)은, 사전 엔트리자가 고객 단말기(4)로 입력한 거래 종류(1513)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 및 일반 고객이 접수 단말기(3)로 입력한 거래 종류(1544)를 기초로 산출된, 그 거래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다. 인터럽트 허용 시간(임계값)(1536)은, 어떤 고객이 다른 고객에게 인터럽트됨으로써, 그 이상은 기다리지 않게 되는 한도 시간이다. 이미 인터럽트 순서가 확정된 사전 엔트리자의 이전에, 다른 사전 엔트리자를 인터럽트시키지 않도록 하는 경우, 사전 엔트리자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1515)을 0분으로 설정한다. 또한, 고객과 인터럽트 허용 시간의 대응은 별도 서버 내에 격납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인터럽트 허용 시간의 설정은 은행마다 일률적으로도, 고객 세그먼트마다, 예를 들면, VIP, 일반 고객 등에 일률적으로도, 또는 개인마다 설정해도 된다. 접수 번호(1547)는, 고객마다 일의로 부여되고, 또한 은행원에 의해서 불리어지는 번호이다. 또한, 일반 고객에 대하여 인터럽트된 것을 의식시키지 않으므로, 사전 엔트리자와 일반 고객의 접수 번호에 있어서 다른 계통의 숫자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터럽트 시간(1548)은, 어떤 고객이 인터럽트된 다른 고객의 예상 거래 시간의 합계값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터럽트된 사전 엔트리자의 예상 거래 시간(1545)의 합계값이다.
레코드(1540)의 항목에 대응한 값은 고객이 엔트리 등록한 타이밍에서 미확정 엔트리 정보(154)에 기입된다. 예를 들면, 레코드(1540)는, 「사전 엔트리자인 히타치 타로가 주소 변경의 거래를 2010년 8월 10일 11시 30분에 엔트리 등록하고, 주소 변경의 예상 거래 시간은 10분이고, 히타치 A꼬는 0분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이 설정되고, 접수 번호 「19」가 부여되고, 현재 인터럽트된 시간이 10분이다」라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미확정 엔트리 정보(154)는, 사전 엔트리 정보(151), 엔트리 정보(152), 확정 엔트리 정보(153)와 마찬가지로 거래 내용을 CSV 파일 또는 외부 파일의 패스로서 관리해도 되고, 직접 레코드에 값을 유지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불입」을 전자의 방식으로 관리하는 경우는 {“불입처”, “불입 금액”, “현금의 유무”, …} 등의 항목에 대응한 값과 미확정 엔트리 정보를 세트로 하여 관리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고객의 호출 순서를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계산하는 개략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 중에서 도 10의 (a)는, 사전 엔트리자의 호출 순서를 계산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일반 고객의 대기 행렬(181)에 있어서 일반 고객 A, B, C, D가 호출 대기 상태이며, 사전 엔트리자의 대기 행렬(182)에 있어서 사전 엔트리자 E, F, G가 호출 대기 상태이다.
사전 엔트리자의 대기 행렬(182)의 사전 엔트리자 E 내지 G를 1개의 그룹으로서 통합한다. 인터럽트 가능 대상인 일반 고객의 대기 행렬(181)에 등록되어 있는 일반 고객 A 내지 D에 대하여,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일반 고객 D로부터 선두의 일반 고객 A에 순번대로, 인터럽트 판정을 행한다.
인터럽트 판정에 있어서 인터럽트 불가능한 경우, 그룹의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사전 엔트리자 G를 인터럽트 판정의 대상인 일반 고객의 직후에 불리우도록 호출 순서를 확정시킨다. 남은 사전 엔트리자 E와 F를 1개의 그룹으로서, 인터럽트 판정의 대상인 일반 고객에 대하여 상기 인터럽트 판정을 이후 반복한다. 상기 일반 고객에 대하여 인터럽트 가능한 경우는, 상기 일반 고객의 바로 앞에서 대기하고 있는 일반 고객에 대하여 상기 인터럽트 판정을 이후 반복한다.
상기 인터럽트 판정에는, 사전 엔트리자의 예상 거래 시간(1545), 사전 엔트리자의 시각(1542), 일반 고객의 인터럽트 시간(1548), 일반 고객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1546), 일반 고객의 시각(1542)을 이용한다.
이하, 도 10의 (a)를 일례로 호출 순서 변경의 개요를 설명한다.
첫째로, 사전 엔트리자의 대기 행렬(182)의 사전 엔트리자 E 내지 G를 그룹으로서 통합하여, 그룹의 사전 엔트리자 E 내지 G가 인터럽트 판정 대상인 일반 고객의 대기 행렬(181)의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일반 고객 D보다 이전에 인터럽트할지를 상기 인터럽트 판정에 의해서 판정한다. 그룹의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사전 엔트리자 G가 엔트리 등록한 시각(1542) 「2010년 10월 1일 11시 33분」은, 일반 고객 D가 엔트리 등록한 시각(1542) 「2010년 10월 1일 11시 40분」보다도 이전이므로, 사전 엔트리자 E 내지 G는 일반 고객 D보다도 이전에 호출되는 것이 확정된다. 원래 사전 엔트리자 E 내지 G는 일반 고객 D보다도 이전에 엔트리 등록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 고객 D의 인터럽트 시간(1548) 「6분」은 변화하지 않는다. 일반 고객 D는 실제로는 인터럽트되어 있지 않지만, 인터럽트 판정의 계산에서는 인터럽트된 것으로서 취급하기로 한다.
둘째로, 그룹의 사전 엔트리자 E 내지 G가, 인터럽트 가능 대상인 일반 고객의 대기 행렬(181)에 있어서 이미 비교된 일반 고객 D를 제외한, 최후미에 해당하는 일반 고객 C보다 이전에 인터럽트할지를 상기 인터럽트 판정에 의해서 판정한다. 그룹의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사전 엔트리자 G가 엔트리 등록한 시각(1542) 「2010년 10월 1일 11시 33분」은, 일반 고객 C가 엔트리 등록한 시각(1542) 「2010년 10월 1일 11시 28분」보다 이후이다. 또한, 그룹의 사전 엔트리자 중에서 일반 고객 C보다 이후에 엔트리 등록한 사전 엔트리자 G의 예상 거래 시간(1545) 「8분」과 일반 고객 C의 인터럽트 시간(1548) 「18분」과의 합계값 「26분」이, 일반 고객 C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1546) 「25분」보다도 작지 않기 때문에, 그룹의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사전 엔트리자 G가 일반 고객 C보다도 이후에 호출되는 것이 확정된다. 이상으로부터, 도 10의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전 엔트리자 G의 호출 순서가 확정된다.
그룹 내의 남은 사전 엔트리자 E와 F에서 상기 처리를 반복하고, 최종적으로 모든 사전 엔트리자의 호출 순서가 확정될 때까지 이후 반복한다. 이에 의해, 사전 엔트리자 G보다 앞에 늘어서 있는 일반 고객 A 내지 C와 사전 엔트리자 E 내지 G의 호출 순서가 확정된다. 그리고, 일반 고객 A, B, C를 인터럽트 가능 대상의 일반 고객으로부터 제외한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서버에 있어서 고객의 호출 순서를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계산하는 처리 플로우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처리 플로우는, 은행원이 다음에 호출해야 할 접수 번호를 서버(1)에 요구하였을 때, 확정 엔트리 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호출 대기의 고객 인원수가 은행원 단말기(2)의 대수보다도 적어진 경우에 처리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 처리 플로우의 실시 타이밍으로서 은행원 단말기(2)의 대수를 이용하고 있지만, 특정한 대수나 다른 값이어도 된다. 즉,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고객이 접수 단말기(3)로 접수를 행할 때마다 호출 순서를 계산하는 것은 아니며, 어떤 특정한 값으로 된 타이밍에서 사전 엔트리자를 통합하여 그룹으로서 계산함으로써, 계산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스텝 221에서는, 은행원 단말기(2)의 호출 고객 요구 기능(22), 송수신 기능(23)에 의해, 서버(1)에 대하여 다음에 호출하는 고객의 접수 번호의 취득 요구를 송신한다.
그러면, 영업점 내의 현재의 대기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확정 엔트리 정보(153)를 참조하여, 호출 순서가 확정되어 있는 고객의 엔트리 정보의 집합을 확정 엔트리 정보(153)로부터 추출한다.
스텝 1422에서는, 상기 스텝 1421에서 추출된 엔트리 정보수가 은행원 단말기(2)의 대수보다 작은지를 확인한다. 추출된 엔트리 정보수가 은행원 단말기수보다 작은 경우, 스텝 1423으로 진행한다. 또한, 추출된 엔트리 정보수가 은행원 단말기수보다 작지 않은 경우, 스텝 1433으로 진행한다.
스텝 1423에서는, 미확정 엔트리 정보(154)에 사전 엔트리자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미확정 엔트리 정보(154)에 사전 엔트리자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1424로 진행하고, 사전 엔트리자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1434로 진행한다.
스텝 1434에서는, 미확정 엔트리 정보(154)의 선두에서 대기하고 있는 일반 고객의 호출 순서를 확정시켜, 스텝 1432로 진행한다.
스텝 1424에서는, 사전 엔트리자의 그룹을 미확정 엔트리 정보(154)로부터 취득한다. 단, 스텝 1430으로부터 되돌아온 경우, 스텝 1429에서 호출 순서가 확정되어 있지 않은 사전 엔트리자의 그룹을 취득한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는 엔트리 종류(1541)를 기초로 사전 엔트리자 E 내지 G의 엔트리 정보를 취득한다.
스텝 1425에서는, 아직 추출되어 있지 않은 일반 고객, 또는 스텝 1424 내지 1430에 있어서 이미 추출되었지만 인터럽트되어 있지 않았던 일반 고객이 미확정 엔트리 정보(154)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혹시 등록되어 있는 일반 고객이 존재하는 경우는 스텝 1426으로 진행하고, 혹시 등록되어 있는 일반 고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스텝 1431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는 아직 추출되어 있지 않은 일반 고객 A 내지 D에 대하여, 스텝 1424 내지 1430을 1회 처리한 경우, 추출되었지만 인터럽트되지 않았던 일반 고객 A, B, C가 확인된다.
스텝 1426에서는, 상기 스텝 1425에 있어서 접수 번호를 기초로 해당하는 일반 고객 중으로부터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일반 고객의 엔트리 정보를 추출한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는 접수 번호를 기초로 일반 고객 D의 엔트리 정보를 추출한다.
스텝 14261에서는, 그룹의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사전 엔트리자가 엔트리 등록한 시각과 스텝 1426에서 추출된 일반 고객이 엔트리 등록한 시각을 비교한다. 사전 엔트리자가 엔트리 등록한 시각의 쪽이 이전인 경우, 상기 일반 고객은 실제로는 인터럽트되어 있지 않지만, 인터럽트된 것으로서 취급하여, 스텝 1425로 되돌아간다. 한편, 사전 엔트리자가 엔트리 등록한 시각과 동일 시각 또는 사전 엔트리자가 엔트리 등록한 시각의 쪽이 이후인 경우, 스텝 1427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는 상기 스텝 1426에서 추출된 일반 고객 D가 엔트리 등록한 시각 「2010년 10월 1일 11시 40분」과 그룹의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사전 엔트리자 G가 엔트리 등록한 시각 「2010년 10월 1일 11시 33분」을 비교하여, 사전 엔트리자 G쪽이 이전에 엔트리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 1425로 되돌아간다.
스텝 1427에서는, 스텝 1424에서 취득한 사전 엔트리자의 그룹 중으로부터, 상기 스텝 1426에서 추출된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일반 고객보다 이후에 엔트리 등록한 사전 엔트리자의 예상 거래 시간의 합계 시간과 그 추출된 일반 고객의 인터럽트 시간의 합계값을 계산한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는 일반 고객 C보다 이후에 엔트리 등록한 사전 엔트리자 G의 예상 거래 시간 8분과 일반 고객 C의 인터럽트 시간 18분의 합계값 26분을 산출한다. 또한, 계산 결과는 메모리에 보존해 둠으로써, 다시 계산할 필요는 없다.
스텝 1428에서는, 상기 스텝 1427에서 산출된 합계값과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일반 고객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을 비교한다. 상기 산출된 합계값이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일반 고객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보다 작은 경우, 스텝 1425로 되돌아가, 최후미보다 바로 앞에서 대기하고 있는 고객을 한 사람 추출하여 상기 스텝 1425 내지 1428을 이후 반복한다. 한편, 상기 합계값이 일반 고객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보다도 작지 않은 경우, 스텝 1429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는 상기 스텝 1427에서 산출된 합계값 26분과 일반 고객 C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임계값) 25분을 비교하여, 일반 고객 C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의 쪽이 작기 때문에, 상기 스텝 1429로 진행한다.
스텝 1429에서는, 상기 스텝 1428에 있어서 추출된 일반 고객의 뒤로 그룹의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사전 엔트리자의 호출 순서를 확정시킨다. 또한, 스텝 1424에서 취득한 사전 엔트리자의 그룹으로부터,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상기 사전 엔트리자를 제외한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는 상기 스텝 1428에 있어서 일반 고객 C보다도 이후에 엔트리 등록한 사전 엔트리자 G의 예상 거래 시간 8분과 일반 고객 C의 인터럽트 시간 18분의 합계값 26분은, 일반 고객 C의 인터럽트 허용 시간 25분보다도 크기 때문에,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사전 엔트리자 G의 호출 순서를 상기 일반 고객 C의 뒤로 확정시킨다.
스텝 1430에서는, 그룹의 사전 엔트리자 중에, 아직 호출 순서가 확정되어 있지 않은 사전 엔트리자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그룹 중의 최후미로부터 한 사람씩 호출 순서를 확정시켜 가, 그룹 중에 호출 순서가 확정되어 있지 않은 사전 엔트리자가 있는 경우는 스텝 1424로 진행하고, 그룹 중에 호출 순서가 확정되어 있지 않은 사전 엔트리자가 없는 경우는 스텝 1431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는 상기 스텝 1430에 있어서 호출 순서가 확정되어 있지 않은 사전 엔트리자 E와 F를 확인한다.
스텝 1431에서는, 상기 스텝 1424 내지 1430에 있어서 이미 호출 순서가 확정된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사전 엔트리자 및 그 사전 엔트리자보다 이전에 대기하는 고객의 호출 순서를 확정시킨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는 상기 스텝 1424 내지 1430에 있어서 이미 호출 순서가 확정된 최후미에서 대기하고 있는 사전 엔트리자 G 및 그 사전 엔트리자보다 이전에 대기하는 일반 고객 A 내지 C, 사전 엔트리자 E와 F의 호출 순서를 확정시킨다.
스텝 1432에서는, 상기 스텝 1431에 의해 확정된 호출 순서를 확정 엔트리 정보(153)에 격납한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 상기 스텝 1431에 의해 호출 순서가 확정된 일반 고객 A 내지 C, 및 사전 엔트리자 E 내지 G의 엔트리 정보를 확정 엔트리 정보(153)에 격납한다.
스텝 1433에서는, 상기 스텝 1431 또는 1434에서 격납한 확정 엔트리 정보(153)의 호출 번호에 기초하여 다음에 호출하는 고객의 접수 번호를 송수신 기능(11)에 의해, 은행원 단말기(2)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도 8에서는 호출 번호 「1」의 히타치 B꼬의 접수 번호 「15」를 은행원 단말기(2)에 송신한다.
스텝 222에서는, 송수신 기능(23)에 의해, 서버(1)로부터 다음에 호출하는 고객의 접수 번호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도 8에서는 상기 스텝 1433에서 송신된 접수 번호 「15」를 취득한다.
스텝 223에서는, 표시 기능(21)에 의해, 상기 스텝 222에서 취득한 다음에 호출하는 고객의 접수 번호를 은행원 단말기(2)의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접수 번호 대신에 접수 번호에 결부지은 고객명을 표시해도 된다.
이상의 스텝에 의해, 고객의 호출 순서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인터럽트 가능 대상인 일반 고객의 최후미로부터 사전 엔트리자의 인터럽트 위치를 판정하는 계산량은, 인터럽트 가능 대상인 일반 고객의 대기 행렬 n 사람에 대하여 사전 엔트리자 k 사람의 경우, 사전 엔트리자 한 사람에 대해, n 사람의 일반 고객과의 인터럽트 판정 계산을 행하기 위해, O(n×k)이다.
한편,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전 엔트리자를 그룹으로 통합하여 인터럽트 위치를 판정하는 계산량은 이하와 같다. 인터럽트 가능 대상인 일반 고객의 대기 행렬 n 사람에 대하여 사전 엔트리자 k 사람의 경우, 인터럽트 판정 계산을 최대 n회 반복하고, 또한 사전 엔트리의 그룹으로부터 인터럽트 위치가 1명 확정할 때마다, 그룹 인원수를 1명 줄이고, 다시 한번 동일한 일반 고객에 대하여 인터럽트 판정 계산을 재개하므로 O(k)회 여분의 판정 계산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전체의 계산량은 O(n+k)이다.
이상에 의해,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보다 효율적으로 호출 순서의 계산이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사전 엔트리자가 예약시에 내점 시간을 지정하고 있지 않은 예를 이용하였지만, 사전 엔트리 시에 내점 시간대를 지정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전 엔트리자가 내점하는 시간을 예약하는 경우, 미리 예약 가능한 시간대를 설정해 두고, 사전 엔트리자는 내점 예정 시각에 맞는 시간대를 예약해 둔다. 영업점 내에 있어서 상기 사전 엔트리자의 호출 순서를 계산할 때, 상기 사전 엔트리자가 예약한 시간대에 접수 단말기(3)에 있어서 엔트리 등록한 일반 고객을 인터럽트 가능 대상으로 하고, 본 고객 호출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된다.
이에 의해, 사전 예약에 있어서 내점 시간대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사전 엔트리자를 일반 고객보다도 우선적으로 호출하고, 또한 호출 순서를 효율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금융, 공공, 유통/소매 등의 분야에 있어서, 사전에 서비스를 예약하고, 점포에서 서비스를 받는 경우에, 사전 예약자를 우선적으로 호출하는 고객 호출 시스템 및 방법으로서 이용 가능하다.
1 : 서버
2 : 은행원 단말기
3 : 접수 단말기
4 : 고객 단말기
5 : 통신망

Claims (12)

  1. 소정의 업무를 행하는 창구에의 고객에 대한 호출을 제어하는 고객 호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객 중 사전 엔트리자의 상기 창구에의 방문 예약으로서, 해당 창구에서의 업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문 예약을 접수하는 수단과,
    상기 방문 예약을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고객 중, 상기 창구에서의 업무 대기 상태이며, 상기 방문 예약을 행하고 있지 않은 일반 고객에 대해서, 인터럽트를 허용하는 시간인 인터럽트 허용 시간 및 해당 일반 고객의 예상 대기 시간을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사전 엔트리자의 업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업무 시간을 산출하는 수단과,
    상기 일반 고객의 예상 대기 시간 및 상기 예상 업무 시간으로부터, 해당 일반 고객에 대하여 상기 사전 엔트리자를 인터럽트시킨 경우의 수정 예상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수단과,
    상기 수정 예상 대기 시간과 상기 인터럽트 허용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사전 엔트리자를 상기 일반 고객보다 이전에 인터럽트시키는지를 판단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호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고객이 복수 존재한 경우, 상기 수정 예상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수단 및 판단하는 수단은, 상기 일반 고객의 최후미로부터 순번대로, 인터럽트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할 때까지 그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 인터럽트가 허용된다고 마지막으로 판단된 일반 고객의 직전에 상기 사전 엔트리자를 인터럽트시킨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호출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수단에서, 인터럽트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일반 고객 및 상기 판단을 행한 사전 엔트리자에 대해서, 확정자로서 구별하여 기록하는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호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자와 상기 창구의 수를 비교하는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수정 예상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수단은, 상기 비교의 결과, 상기 확정자의 수가 적은 경우에, 해당 산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호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엔트리자로서, 인터럽트 판단이 되어 있지 않은 미확정 사전 엔트리자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수단을 더 갖고,
    상기 확정자로서 구별하여 기록하는 수단은, 미확정 엔트리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일반 고객 중 상기 확정자 이외를 확정자로서 더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호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시키는지를 판단하는 수단은, 상기 미확정 엔트리자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해당 미확정 사전 엔트리자 중 최후미의 사전 엔트리자와 상기 확정자의 최후미와 비교하여, 상기 최후미의 사전 엔트리자를 인터럽트시킨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사전 엔트리자 각각을 적어도, 상기 확정자의 최후미보다 이전에 인터럽트시킨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호출 시스템.
  7. 정보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업무를 행하는 창구에의 고객에 대한 호출을 제어하는 고객 호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 중 사전 엔트리자의 상기 창구에의 방문 예약으로서, 해당 창구에서의 업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문 예약을 접수하는 스텝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기억 장치에, 상기 방문 예약 및, 상기 고객 중, 상기 창구에서의 업무 대기 상태이며, 상기 방문 예약을 행하고 있지 않은 일반 고객에 대해서, 인터럽트를 허용하는 시간인 인터럽트 허용 시간 및 해당 일반 고객의 예상 대기 시간을 기억하는 스텝과,
    상기 사전 엔트리자의 업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업무 시간을 산출하는 스텝과,
    상기 일반 고객의 예상 대기 시간 및 상기 예상 업무 시간으로부터, 해당 일반 고객에 대하여 상기 사전 엔트리자를 인터럽트시킨 경우의 수정 예상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스텝과,
    상기 수정 예상 대기 시간과 상기 인터럽트 허용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사전 엔트리자를 상기 일반 고객보다 이전에 인터럽트시키는지를 판단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호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고객이 복수 존재한 경우, 상기 수정 예상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스텝 및 판단하는 스텝은, 상기 일반 고객의 최후미로부터 순번대로, 인터럽트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할 때까지 그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 인터럽트가 허용된다고 마지막으로 판단된 일반 고객의 직전에 상기 사전 엔트리자를 인터럽트시킨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호출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스텝에서 인터럽트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일반 고객 및 상기 판단을 행한 사전 엔트리자에 대해서, 확정자로서 구별하여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하는 스텝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호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자와 상기 창구의 수를 비교하는 스텝을 더 갖고,
    상기 수정 예상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스텝은, 상기 비교의 결과, 상기 확정자의 수가 적은 경우에, 해당 산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호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엔트리자로서, 인터럽트 판단이 되어 있지 않은 미확정 사전 엔트리자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스텝을 더 갖고,
    상기 확정자로서 구별하여 기록하는 스텝은, 미확정 엔트리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일반 고객 중 상기 확정자 이외를 확정자로서 더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호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시키는지를 판단하는 스텝은, 상기 미확정 엔트리자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해당 미확정 사전 엔트리자 중 최후미의 사전 엔트리자와 상기 확정자의 최후미와 비교하여, 상기 최후미의 사전 엔트리자를 인터럽트시킨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사전 엔트리자 각각을 적어도, 상기 확정자의 최후미보다 이전에 인터럽트시킨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호출 방법.
KR1020110086699A 2011-01-27 2011-08-29 고객 호출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870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14698A JP2012155567A (ja) 2011-01-27 2011-01-27 顧客呼出し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JP-P-2011-014698 2011-0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063A true KR20120087063A (ko) 2012-08-06

Family

ID=46562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699A KR20120087063A (ko) 2011-01-27 2011-08-29 고객 호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2155567A (ko)
KR (1) KR20120087063A (ko)
CN (1) CN1026228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82710A (zh) * 2023-09-05 2023-10-13 北京融威众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适应优化的医院排队叫号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03113A (zh) * 2013-04-15 2014-10-15 株式会社日立制作所 排队服务器以及排队方法
JP5952465B1 (ja) * 2015-06-12 2016-07-13 株式会社リクルートホールディングス 順番管理システム、順番管理装置および順番管理プログラム
CN105488891B (zh) * 2015-12-11 2018-10-02 杭州易雅通科技有限公司 一种排队处理系统
JP6546676B1 (ja) * 2018-03-26 2019-07-17 株式会社リクルート 順番管理システム、順番管理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4245A (ja) * 2003-07-25 2005-02-17 Oki Electric Ind Co Ltd 受付システム
CN101035316A (zh) * 2006-05-16 2007-09-12 董崇军 一种排队叫号系统和方法
CN101232539B (zh) * 2008-01-30 2011-06-22 华为技术有限公司 呼叫中心分层服务路由优化方法及装置
CN101807264A (zh) * 2009-02-18 2010-08-18 深圳市华信智能科技有限公司 客户预约服务方法
CN201622632U (zh) * 2009-08-25 2010-11-03 广州市欣瑞电子有限公司 一种使用动态呼叫规则的排队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82710A (zh) * 2023-09-05 2023-10-13 北京融威众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适应优化的医院排队叫号系统
CN116882710B (zh) * 2023-09-05 2023-11-14 北京融威众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适应优化的医院排队叫号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55567A (ja) 2012-08-16
CN102622803A (zh) 201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6385B1 (ko) 금융 기관에 있어서의 입 · 출금 예약 방법 및 장치
KR20120087063A (ko) 고객 호출 시스템 및 방법
KR100848998B1 (ko) 영업점 시스템에서의 거래 제휴 방법
JP6339339B2 (ja) 伝票生成システム、伝票生成装置及び伝票生成方法
JP3648338B2 (ja) 受付案内システム及び制御装置
US20040255051A1 (en) System for controlling a workflow
JP2010073006A (ja) 表示条件判定装置および取引確認システム
JP5054067B2 (ja) 自動受付システム
CN101414389B (zh) 窗口管理装置
JP2003123125A (ja) 自動取引装置、窓口サポート用装置及び取引システム
KR102338002B1 (ko) 실시간 금융 영업점 추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CN102034317B (zh) 管理系统、游戏装置、管理装置及管理方法
JP5104167B2 (ja) 窓口業務処理システム
JP2007272377A (ja) 営業店システムおよび営業店端末
JP2003303286A (ja) 現金処理機及び役席承認プログラム
JP2017102767A (ja) 伝票処理システム及び伝票処理方法
JP2017059098A (ja) 取引処理システム、取引処理装置、電子記帳機及び取引処理方法
JP2006085238A (ja) キャンペーン表示システム
JP2020126479A (ja) 受付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JP7399628B2 (ja) 誘導システム及び誘導方法
JP2008225884A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受付処理システム
JP2010277136A (ja) 受付管理装置、受付システム、及び受付方法
JP2020030530A (ja) 顧客対応支援システムおよび顧客対応支援方法
JP6414933B2 (ja) 電子記帳システム及び伝票情報管理方法
JP3965322B2 (ja) 受付案内システム及び制御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