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6083A - 조리용기의 바닥구조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의 바닥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6083A
KR20120086083A KR1020110007316A KR20110007316A KR20120086083A KR 20120086083 A KR20120086083 A KR 20120086083A KR 1020110007316 A KR1020110007316 A KR 1020110007316A KR 20110007316 A KR20110007316 A KR 20110007316A KR 20120086083 A KR20120086083 A KR 20120086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edge
cooking
cooking vessel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모
Original Assignee
윤정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모 filed Critical 윤정모
Priority to KR1020110007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6083A/ko
Publication of KR20120086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0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바닥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불꽃안내부를 갖는 바닥의 가장자리에 측벽의 하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바닥 상부와 측벽 내부로 조리공간부가 제공되어지되, 상기 불꽃안내부는 바닥의 중앙에 요홈부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요홈부는 요홈의 가장자리에서 중앙 상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반구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불꽃이 소정 시간동안 머무르게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용기의 바닥구조{BOTTOM STRUCTURE OF COOKING VESSEL}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바닥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리공간부를 갖는 조리용기의 바닥에 요홈의 형태를 갖는 요홈부가 형성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사용하는 조리용기는 본체와 뚜껑으로 이루어져 본체의 내부에 조리용 내용물을 넣은 후 뚜껑을 닫고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조리용기(200)는 평평한 형태를 갖는 바닥(210)의 가장자리에 소정 높이를 갖는 측벽(220)의 하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 내부로 조리에 필요한 공간(230)이 제공되어지고, 측벽(220)의 상부에 측벽(22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미도시한 뚜껑이 안정되게 안착되어지도록 하는 플랜지(240)가 형성되어 있다.
그라나 이러한 종래의 조리용기는 바닥이 평평하게 형성되어져 있음으로써,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 조리용기 바닥의 일부분 만이 집중적으로 가열되어 음식의 일부만이 조리되므로 음식 전체적으로 골고루 익히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음식 조리시간이 길어지므로 가스와 같은 에너지의 소비도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조리용기 바닥에 전체적으로 열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하여 짧은 시간에 음식이 골고루 조리되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열손실을 줄여 에너지 소비를 낮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불꽃안내부(110)를 갖는 바닥(100)의 가장자리에 측벽(120)의 하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바닥(100) 상부와 측벽(120) 내부로 조리공간부(130)가 제공되어지되, 상기 불꽃안내부(110)는 바닥(100)의 중앙에 요홈부(14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요홈부(140)는 요홈의 가장자리에서 중앙 상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반구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불꽃이 소정 시간동안 머무르게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홈부(140)는 내부에 다수개의 철부(141)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홈부(140)는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배출안내홈(412)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배출안내홈(142)은 단면이 상부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며 바닥(100)의 배출안내홈(142)에서 시작되어 바닥(100)의 가장자리 모서리까지 연장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안내홈(142)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갖는 보조철부(143)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리공간부를 갖는 조리용기의 바닥에 요홈의 형태를 갖는 요홈부가 형성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불꽃이 소정 시간동안 머물러 넓게 전도되어지도록 하여 조리되는 음식이 골고루 균일하게 조리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조리용기의 바닥에 요홈의 형태를 갖는 요홈부가 형성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불꽃이 소정 시간동안 머물러 넓게 조리용기의 중심부에서 외주면으로 열이 균일하게 전도되어 지도록 하여 조리되는 음식물을 조리용기에서 넘침을 방지하여 조리를 깨끗하게 조리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짧은 시간에 음식이 조리되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손실을 줄여 에너지 소비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냄비의 사시도.
도2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냄비의 사시도.
도3는 본 발명에 따른 냄비의 내,외부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4은 본 발명에 따른 냄비의 저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냄비의 종단면도.
도6는 종래 기술에 따른 냄비의 종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100)의 가장자리에 측벽(120)의 하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바닥(100)의 상부와 측벽(120)의 내부로 소정 조리공간부(130)가 형성되어지도록 하는 가운데 가스조리기구(300)의 노즐(310)에서 연소된 불꽃이 소정 시간동안 바닥(100)의 머물러 바닥(100) 전체로 열이 고르게 확산 또는 전도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100)은 중앙에 불꽃안내부(110)가 형성되어 불꽃이 가운데로 모이도록 안내되어지면서 외측으로 배출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불꽃안내부(110)는 바닥(100)의 중앙 부근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요홈부(140)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요홈부(140)는 가스조리기구(300)의 노즐(310)에서 연소된 불꽃이 중앙 상부로 모이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요홈의 가장자리에서 중앙 상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반구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불꽃이 모아진 상태에서 소정 시간동안 배출되는 것이 지연되어 열전도성을 높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요홈부(140)의 내부가 단순한 홈의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요홈부(140)의 내부에 다수개의 철부(141)가 형성되어지도록 할 경우, 요홈부(140)의 단면적을 넓혀 열전도율을 높이도록 하는 가운데 불꽃이 그 내부에서 좀더 머무를 수 있는 즉, 지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요홈부(140)는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배출안내홈(412)이 형성되어요홈부(140)에 의하여 한 곳으로 모여졌던 열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배출안내홈(142)은 단면이 상부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며 바닥(100)의 배출안내홈(142)에서 시작되어 바닥(100)의 가장자리 모서리까지 연장되어짐으로써, 더 용이하게 배출되어질 수 있는 가운데 바닥(100)으로 일정량의 열이 더 전도되어 바닥(100)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상태로 가열되어짐과 동시에 가열되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출안내홈(142)이 단순한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내부에 길이방향을 갖는 보조철부(143)가 형성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열이 배출안내홈(14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과정에서 보조절부(143)에 의하여 더 열이 바닥(100)으로 전도되어짐으로써, 에너지의 효율을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연손실을 최대한으로 줄여 에너지 사용량을 더 줄일 수 있게 된다.
100:바닥 110:불꽃안내부
120:측벽 130:조리공간부
140:요홈부

Claims (4)

  1. 불꽃안내부(110)를 갖는 바닥(100)의 가장자리에 측벽(120)의 하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바닥(100) 상부와 측벽(120) 내부로 조리공간부(130)가 제공되어지되, 상기 불꽃안내부(110)는 바닥(100)의 중앙에 요홈부(14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요홈부(140)는 요홈의 가장자리에서 중앙 상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반구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불꽃이 소정 시간동안 머무르게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바닥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140)는 내부에 다수개의 철부(141)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바닥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140)는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배출안내홈(142)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배출안내홈(142)은 단면이 상부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며 바닥(100)의 배출안내홈(142)에서 시작되어 바닥(100)의 가장자리 모서리까지 연장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바닥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안내홈(142)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갖는 보조철부(143)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바닥구조.
KR1020110007316A 2011-01-25 2011-01-25 조리용기의 바닥구조 KR201200860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316A KR20120086083A (ko) 2011-01-25 2011-01-25 조리용기의 바닥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316A KR20120086083A (ko) 2011-01-25 2011-01-25 조리용기의 바닥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083A true KR20120086083A (ko) 2012-08-02

Family

ID=46872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316A KR20120086083A (ko) 2011-01-25 2011-01-25 조리용기의 바닥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60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24124A1 (de) 2012-08-07 2014-02-13 Hyundai Motor Company Beschichtungsmaterial für eine Aluminiumdruckgussform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 Beschichtungsmateri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24124A1 (de) 2012-08-07 2014-02-13 Hyundai Motor Company Beschichtungsmaterial für eine Aluminiumdruckgussform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 Beschichtungsmateria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013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20120086083A (ko) 조리용기의 바닥구조
KR20110001116U (ko) 직화형 다기능 요리기기
KR101141130B1 (ko) 보조 불판이 구비된 전기 프라이팬
KR200476624Y1 (ko) 조리용기
KR200455898Y1 (ko)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
KR20080065369A (ko) 냄비
CN204306644U (zh) 一种锅体结构
KR200426082Y1 (ko)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
JP2011101723A (ja) 調理器具とそれを備えた加熱装置
KR20210097970A (ko) 열효율이 강화된 냄비
CN206006994U (zh) 一种烧烤烹饪盘
KR101166531B1 (ko) 연료 절약형 조리용기
CN207400631U (zh) 锅具和烹饪器具
KR101652285B1 (ko) 공기순환통이 구비된 냄비
CN211155264U (zh) 可导水蒸具及蒸锅
TWM587496U (zh) 蒸籠
KR200466643Y1 (ko) 유체류 찜용기
KR200406414Y1 (ko) 직화 냄비
JP6274928B2 (ja) フライヤー
JP3212945U (ja) 加熱調理容器
KR20100050688A (ko) 배기공을 구비한 주방용품
KR20150003640U (ko) 조리 용기
KR101647504B1 (ko) 이중 구조를 갖는 원통형 조리용기
KR20110118227A (ko) 개선된 냄비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