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2404A - 마그네슘 하이브리드 부품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마그네슘 하이브리드 부품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2404A
KR20120082404A KR20127005516A KR20127005516A KR20120082404A KR 20120082404 A KR20120082404 A KR 20120082404A KR 20127005516 A KR20127005516 A KR 20127005516A KR 20127005516 A KR20127005516 A KR 20127005516A KR 20120082404 A KR20120082404 A KR 20120082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able
insert
structural member
connecting insert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05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보이치에흐 크르제윈스키
벤 레지넬라
매튜 엠. 맥너트
앤커 매타세
Original Assignee
매트코어-마추 유에스에이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트코어-마추 유에스에이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매트코어-마추 유에스에이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82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4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5/00Special cast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product
    • B22D25/06Special cast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product by its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9/00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 B22D19/04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for join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9/00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 B22D19/16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for making compound objects cast of two or more different metals, e.g. for making rolls for 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222Shaped configuration for melting [e.g., packag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361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having aperture or cu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29Group IIA metal-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51Fe-base component
    • Y10T428/12972Containing 0.01-1.7% carbon [i.e., st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경량 합금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용접가능한 금속 인서트를 포함하고 있는 몰드 내에서 몰딩 가공되어, 합금 부품 측의 일부분이 인서트 측과 중첩 결합되어, 상기 용접가능한 인서트를 경량 합금 부품에 확실하게 고정한다. 그에 따라, 최종의 하이브리드 부품은 경량이면서 다른 조립체 및 서브-조립체에 용접가능하다.

Description

마그네슘 하이브리드 부품 및 방법{MAGNESIUM HYBRID PARTS AND PROCESSES}
본 발명은 다른 부품과 조립되도록 되어 있는 경량 부품을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그와 같은 경량 부품은 흔히 항공기 및 자동차에 사용된다.
1954년 발행된 영국 특허 686,428호는 기다란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제 형상 지지체에 강제 금속 박판의 스트립을 리벳 체결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강제 금속 박판은 강제 금속 박판의 스트립에 용접된다.
2007년 11월 29일에 공개된 멜리스(Mellis) 등의 미국 특허공개 2007/0271793호는 차량에 사용하기 위한 서스펜션 암을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서스펜션 암을 차량의 다른 구성요소에 암을 조립하기 위한 커플링은 종래의 용접과 다른 캐스트-인-플레이스(cast-in-place) 기술을 사용하여 강, 알루미늄 등으로 제작된 관형 부재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서, 경량 합금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용접가능한 금속 인서트를 포함하고 있는 몰드 내에서 몰딩 가공되어, 합금 부품 측의 일부분이 인서트 측과 중첩 결합되어, 상기 용접가능한 인서트를 경량 합금 부품에 확실하게 고정한다. 그에 따라, 최종의 하이브리드 부품은 경량이면서 다른 조립체 및 서브-조립체에 용접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장점 및 특징과 다른 목적, 장점 및 특징은 이하 명세서 및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스탬핑 가공되어 계기판 프레임의 관형 부재에 MIG 용접되어 있는 종래의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의 확대 사시도;
도 2는 강제 계기판 프레임과, 마그네슘 주조 부품 및 강제 인서트 조립체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으로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조립체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보여지는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의 사시도로서, 마그네슘 라인 아래에 위치된 강제 스탬핑 가공품 내의 구멍의 위치 또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5는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의 강제 스탬핑 가공품인 강제 인서트의 개별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의 마그네슘 주조 구성요소를 단독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예시의 방법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의 원리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차량 부품(200)으로 설명된다. 차량 부품(200)은 강과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마그네슘의 사용은 중량의 상대적 감소를 용이하게 한다. 마그네슘 구성요소는 근본적으로 다른 부품에 용접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량 부품(200)의 구조 및 그 차량 부품(200)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은 용접 공정의 이용을 허용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부품(100)을 예시한다. 종래의 차량 부품(100)은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을 가진 계기판 보강 프레임으로서 특징지워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부품(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계기판 보강 프레임 즉 메인 프레임(102)을 포함하고 있다. 메인 프레임(102)의 상당 부분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포함하고 있고 이하에 설명될 프레임(202)로서 도 2에서 보여진다. 메인 프레임(102)은 당해 메인 프레임(102)의 상부의 전체를 가로질러 뻗어있는 관형 부재(104)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02)의 관형 부재(104)에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106)이 고정되어 있다. 종래의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106)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 상부 플레이트(108)를 포함하고 있다. 상부 플레이트(108)의 양 측부 아래쪽으로 한쌍의 하향 플랜지(110)가 뻗어있다. 아래쪽으로 뻗어있는 플랜지(110)는 한쌍의 웨브(11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한쌍의 웨브(112)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웨브(112)는 아래쪽으로 뻗은 플랜지(110)에 인접한 에지의 반대쪽 에지에서 한쌍의 윙(114)과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106)을 관형 부재(104)에 결합할 목적으로, 아래쪽으로 뻗은 플랜지(110) 각각은 관형 부재(104)의 외면의 곡률과 일치하는 형상을 가진 아치형 절결부(11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윙(114)은 또한 아치형 절결부(118)를 가진 에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아치형 절결부(118)는 관형 부재(104)의 곡률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치형 절결부(116, 118)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106)의 요소들이 메인 프레임(102)의 관형 부재(104)와 확실하게 결합된다. 도 1은 또한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106)을 스티어링 칼럼 자체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고정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한쌍의 볼트(122)를 예시하고 있다.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106)을 관형 부재(104)에 고정할 목적으로,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106)은 MIG 용접 및 저항 용접 공정을 통해서 관형 부재(104)에 직접적으로 용접될 수 있다.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106)과 관형 부재(104)의 용접 라인이 도 1에서 라인(120)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 부품(100)은 강 또는 강합금으로 이루어지고 비교적 상당한 중량인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106)을 포함하고 있다. 중량을 줄이기 위해 그리고 차량 부품(200)의 제조시에 메인 프레임에 지지 브래킷을 고정하는 데 용접 공정의 사용을 허용하기 위해, 도 2 내지 도 6에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는 전체 차량 부품의 제조에 있어 여전히 용접 공정의 방법의 사용을 허용하면서, 비교적 경량의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을 제공한다.
차량 부품(200)으로 구성된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아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차량 부품(200)의 다수의 구성요소들은 메인 프레임과 관련하여 차량 부품(100)의 구성요들에 상당한다. 실상, 바람직한 실시예의 장점들 중의 하나는 조립 공정을 실질적으로 변경시킴이 없이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 및 메인 프레임의 조립체에 상대적으로 경량인 마그네슘 부품을 부가하는 것이다. 즉,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은 여전히 메인 프레임의 구성요소에 MIG 용접될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부품(200)은 도 2에 전체가 도시된 메인 프레임(202)을 포함하고 있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메인 프레임(202)은 계기판 보강 프레임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여기서 설명되는 특정 메인 프레임 및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 이외의 수많은 부품들이 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한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메인 프레임(202)은 메인 프레임(202)의 대략 전체 길이를 따라 뻗어있는 관형 부재(204)를 포함하고 있다. 메인 프레임(202)의 관형 부재(204)에, 용접 공정을 통해,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206)이 고저된다.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206)은, 메인 프레임(202)과 조립되었을 때, 차량 부품(100)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106)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106)과 달리, 바람직한 실시예의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206)은 용접가능한 강제 인서트(210)에 대해 몰딩 가공되는 마그네슘 부품(208)을 포함하고 있다. 마그네슘 부품(208)은 도 6에 사시도로 단독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마그네슘 부품(208)은 강제 구성요소보다 상대적으로 경량이고, 조립체의 원리적인 부분이며, 용접가능한 강제 인서트가 더 작다. 그렇지만, 용접가능한 강제 인서트는 용접 공시시에 마그네슘의 발화를 피하기 위해 마그네슘 부품(208)을 용접기로부터 충분히 멀리 이격시킬 정도로 충분히 크다.
마그네슘 부품(208)에 더하여,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206)은 또한 용접가능한 강제 인서트(210)를 포함하고 있다. 강제 인서트(210) 또한 도 5에 사시도롤 단독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가능한 강제 인서트(210)는 3개의 인서트를 구비할 수 있다. 이들 3개의 인서트는 센터 인서트(212) 및 한쌍의 양 사이드 인서트(214)로서 도시되어 있다.
센터 인서트(212)에 대해서는, 도 3, 도 4 및 도 5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인서트(212)는 대략 직사각형인 상부 플레이트(216)를 포함하고 있다. 한쌍의 연장 플랜지(218)는 상부 플레이트(216)의 양 사이드에서 상부 플레이트로부터 아래로 뻗어있다. 아래로 뻗은 플랜지(218)는 각각 기본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 및 구성을 가진 아치형 절결부(220)를 구비하고 있다. 아치형 절결부(220)의 형상 및 구성은 관형 부재(204)와의 결합을 위해 관형 부재(204)의 곡률과 일치하게 될 것이다.
사이드 인서트(214)에 대해서는, 각각의 사이드 인서트(214)는 바깥쪽으로 뻗은 강제 윙(222)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제 윙(222)은 기본적으로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바깥쪽으로 뻗은 강제 윙(222)은 아래쪽으로 뻗은 플랜지(224)를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아래쪽으로 뻗은 플랜지(224)는 아치형 절결부(226)을 포함하고 있다. 아치형 절결부(220)와 마찬가지로, 아치형 절결부(226)도 관형 부재(204)의 곡률과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아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뻗은 플랜지(218, 224)의 형상 및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마그네슘 부품(208)의 요소들의 형상 및 구성과 일치하게 될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용접가능한 강제 인서트(210)의 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인서트(212)와 사이드 인서트(214)는 모두 용접가능한 강제 인서트(210)의 여러 지점에 위치된 일련의 구멍(228)을 구비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5를 주로 참조하면, 상부 플레이트(216) 내에서 3개의 구멍(228)이 보여지고 있다. 각각의 바깥쪽으로 뻗은 강제 윙(222)의 상부에서 한쌍의 구멍(228)이 보여지고 있다. 또한, 센터 인서트(212)의 아래쪽으로 뻗은 플랜지(218) 및 사이드 인서트(214)의 아래쪽으로 뻗은 플랜지(224)를 통해 구멍(228)이 위치되어 있다. 차량 부품(200)의 제조시에, 구멍(228)은 용융 마그네슘이 용접가능한 강제 인서트(210)의 한쪽 사이드로부터 다른쪽 사이드로 흐르는 것을 허용할 것이다. 마그네슘이 경화될 때, 경화 작용은 마그네슘 부품(208)에 대하여 용접가능한 강제 인서트(210)를 제위치에 고정하는 작용을 할 것이다. 이러한 고정 작용 없이는, 마그네슘은 그 특성상 용접가능한 강제 인서트(210)의 강에 유의한 정도로 결합되지 않을 것이다.
이제, 마그네슘 부품(208)의 단독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 6을 참조한다. 마그네슘 부품(208)은, 이 특정 실시예에서는, 마그네슘 부품(208)은 센터 부분(230)과 서로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구서된 일련의 플레이트(232)를 포함하고 있다.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206)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뻗어있는 한쌍의 연장 부재(234)가 센터 부분(230)에 대해 바깥쪽으로 위치하고 있다. 각각의 연장 부재(234)는 플레이트(232)의 측면과 일체화 될 수 있는 내측 하향 연장 플랜지(236)를 포함하고 있다. 내측 하향 연장 플랜지(236)의 바닥은 대응하는 플랜지(236)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위치될 수 있는 하부 섹션(238)이다. 이 하부 섹션(238) 상에, 마그네슘 부품(208)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뻗어있는 한 세트의 강화 리브(240)가 위치되어 있다. 또한 보강 목적으로, 일련의 웨브(242)가 강화 리브(240)를 가로질러 위치되어 있다. 한쌍의 외측 플랜지(244)가 하부 섹션(238)으로부터 위쪽으로 뻗어있다. 마그네슘 부품(208)은 또한 스티어링 칼럼의 다른 구성요소에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206)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한 세트의 형상 부싱(246)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206) 전체를 단독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특히 마그네슘 부품(208)과 용접가능한 강제 인서트(210)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용접가능한 강제 인서트(210)는 종래의 스탬핑 가공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네슘 부품(208)은 인젝션 몰딩 공정을 통해 주조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몰딩 가공 공정 동안에, 마그네슘 부품 몰딩 가공 배열에 대해 적절히 위치된 강제 인서트(210)는 인서트 몰딩 및 오버몰딩 가공된다.
강제 인서트(210)를 마그네슘 부품(208)에 적절히 고정하기 위해, 이전에 설명한 구멍(228)이 마그네슘 부품(208)용 몰드에 대해 위치되어, 상부 플레이트(216) 내의 그리고 바깥쪽으로 뻗은 강제 윙(222)의 상부에서의 구멍(228)이 마그네슘 부품(208)의 센터 부분(230)과 마그네슘 부품(208)의 바깥쪽으로 뻗은 윙(248) 아래에 위치된다. 이 위치에 있을 때, 또한 용접가능한 강제 인서트(210)의 플랜지(218, 224)에 위치된 구멍(228)과 관련하여, 이들 구멍(228)은 몰드 내로 주입된 용융 마그네슘이 강제 인서트(210)의 한쪽 사이드로부터 다른쪽 사이드로 흐르는 것을 허용할 것이다. 용융 마그네슘이 경화될 때, 최종의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206)은 특히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질 것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강제 인서트(210)와 마그네슘 부품(208)의 상대 위치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강제 인서트(210)는 기본적으로 마그네슘 부품(208)에 대해 제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작용은, 마그네슘 및 유사한 금속으로 성취하기 어려운 용접 또는 다른 연결 공정을 사용하는 일 없이, 강제 인서트(214)가 마그네슘 부품(208)에 결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구멍(228)의 유리한 기능에 더하여, 차량 부품(200)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일련의 비드(250)의 이용이다. 비드(250)는 특히 도 3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고, 강제 인서트(210) 상에 위치된다. 더욱 상세히는, 비드(250)는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206)의 마그네슘 부품(208)의 일부분과 강제 인서트(210)의 일부분 사이의 경계구역이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강제 인서트(210)가 인젝션 몰드 내에 위치되고, 용융 마그네슘이 몰드 내에 주입될 때, 비드(250)는 강제 인서트의 관형 부재(204)에의 용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노출되는 것이 필요한 강제 인서트의 표면을 용융 마그네슘이 덮어버리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의 또다른 양태를 또한 설명할 수 있다. 구멍(228)과 관련하여, 구멍(228)은 강제 인서트(210) 내에서 다른 형상 및 구성을 취할 수 있다. 강제 인서트(210)를 마그네슘 부품(208)에 효과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몰딩 가공 단계 동안에, 마그네슘이 구멍 또는 다른 형태부를 통해 흐르는 것을 허용하도록, "마그네슘 라인" 으로 특징할 수 있는 부분 아래에 구멍 또는 다른 형태부가 위치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206)의 일부를 형성하는 강제 인서트(210)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206)은 관형 부재(204)에 또는 메인 프레임(202)의 다른 구성요소에 용접될 수 있다. 즉, 바람직한 실시예가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206)을 위해 마그네슘 부품(208)을 유리하게 이용하지만, 강제 인서트(210)의 사용에 의해 여전히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206)의 메인 프레임(202)에의 용접(예컨대, MIG 용접 또는 저항 용접)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206)을 메인 프레임(202)에 조립하는 일반 공정은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206)이 여전히 관형 부재(204)에 용접된다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는다.
강제 인서트(210)와 마그네슘 부품(208)의 다른 상대적인 구성을 가지면서 실시예의 장점을 성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강제 인서트(210)의 적어도 일부분이 마그네슘 부품(208) 및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206)의 전체에 대하여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즉, 강제 인서트(210)의 적어도 일부분은, 마그네슘 부품(208) 내에 개구부가 위치된 상태로,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206)의 전체의 중간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더욱 광범위한 용접 위치의 가능성을 허용한다.
강제 인서트(210)를 위해 이용되는 강은 다양한 종류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008-1020 열연, 냉연 강, 또는 플레이트 강이 강제 인서트(210)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알루미늄의 사용의 잠재적인 어려움은 왜곡을 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메인 프레임(202) 및 스티어링 칼럼 지지 브래킷(206)에 특정적으로 관련된 것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된 유리한 공정은 차량 및 다른 목적의 다양한 구조재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당업자라면 하이브리드 부품 및 그 제조 방법의 다른 실시예가 설계될 수 있다는 것은 알 것이다. 즉, 하이브리드 부품 및 그 제조 방법의 원리는 여기에서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상기 설명한 예시의 실시예의 수정 및 다른 변경이 실시예의 신규한 개념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Claims (14)

  1. 구조재용 하이브리드 부품으로서,
    하나 이상의 용접 공정을 통해 별개의 구조재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용접가능한 제1 재료를 포함하는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 및
    비교적 낮은 용접성을 가지고 있고, 또한 상기 제1 재료보다 낮은 밀도를 가지는 제2 재료를 포함하는 구조재 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는, 상기 제2 재료의 일부분이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의 일부분과 중첩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구조재 부재에 대해 제위치에 확실하게 연결되어 고정되고, 이에 의해 상기 구조재 부재는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를 다른 구성요소에 용접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될 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는, 상기 제2 재료가 용융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2 재료의 일부분의 흐름을 수용하도록 상기 구조재 부재에 대해 위치되는 복수의 구멍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부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는, 당해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의 표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별개의 구조재에 대한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의 용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노출되는 것이 필요한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의 표면을 상기 제2 재료가 덮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위치된 하나 이상의 비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부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는 마그네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부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가능한 제1 재료는 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부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는:
    상기 제2 재료의 일부분이 용융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2 재료의 일부분을 수용하도기 위해,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의 일부분을 통해 뻗어있는 복수의 구멍; 및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의 표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별개의 구조재에 대한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의 용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노출되는 것이 필요한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의 표면을 상기 제2 재료가 덮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위치된 복수의 비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부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양 측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있는 연장 플랜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복수의 구멍의 부분 세트를 가지고 있는 센터 인서트 섹션; 및
    아래쪽으로 뻗은 플랜지 및 바깥쪽으로 뻗은 강제 윙을 각각이 가지고 있고, 또한 상기 복수의 구멍의 제2 부분 세트를 가지고 있는 한쌍의 양 사이드 인서트 섹션;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부품.
  8. 구조재용 하이브리드 부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용접 공정을 통해 별개의 구조재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용접가능한 제1 재료를 포함하는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를 제공하고,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를 몰드 내로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몰드 내에서, 비교적 낮은 용접성을 가지고 있고, 또한 상기 제1 재료보다 낮은 밀도를 가지는 제2 재료를 포함하는 구조재 부재를 몰딩 가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구조재 부재의 일부분이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의 일부분과 중첩 결합되어,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를 상기 구조재 부재에 대해 확실하게 고정시켜, 이에 의해 상기 구조재 부재가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를 다른 구성요소에 용접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구조재 부재를 몰딩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부품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는, 상기 제2 재료가 용융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2 재료의 일부분의 흐름을 수용하도록 상기 구조재 부재에 대해 위치되는 복수의 구멍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부품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는, 당해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의 표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별개의 구조재에 대한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의 용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노출되는 것이 필요한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의 표면을 상기 제2 재료가 덮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위치된 하나 이상의 비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부품의 제조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는 마그네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부품의 제조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가능한 제1 재료는 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부품의 제조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는:
    상기 제2 재료의 일부분이 용융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2 재료의 일부분을 수용하도기 위해,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의 일부분을 통해 뻗어있는 복수의 구멍; 및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의 표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별개의 구조재에 대한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의 용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노출되는 것이 필요한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의 표면을 상기 제2 재료가 덮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위치된 복수의 비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부품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가능한 연결 인서트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양 측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있는 연장 플랜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복수의 구멍의 부분 세트를 가지고 있는 센터 인서트 섹션; 및
    아래쪽으로 뻗은 플랜지 및 바깥쪽으로 뻗은 강제 윙을 각각이 가지고 있고, 또한 상기 복수의 구멍의 제2 부분 세트를 가지고 있는 한쌍의 양 사이드 인서트 섹션;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부품의 제조 방법.
KR20127005516A 2009-07-30 2010-07-22 마그네슘 하이브리드 부품 및 방법 KR201200824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2983809P 2009-07-30 2009-07-30
US61/229,838 2009-07-30
US12/840,486 US20110027607A1 (en) 2009-07-30 2010-07-21 Magnesium hybrid parts and processes
US12/840,486 2010-07-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404A true KR20120082404A (ko) 2012-07-23

Family

ID=43527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7005516A KR20120082404A (ko) 2009-07-30 2010-07-22 마그네슘 하이브리드 부품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10027607A1 (ko)
EP (1) EP2459334A1 (ko)
JP (1) JP2013500165A (ko)
KR (1) KR20120082404A (ko)
CA (1) CA2769637A1 (ko)
MX (1) MX2012001251A (ko)
WO (1) WO20110144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2719B2 (ja) * 2012-04-13 2016-01-1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フレームの製造方法
US10981220B2 (en) 2017-08-23 2021-04-20 Matcor-Matsu Usa, Inc. Hybrid part over-molding process and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63907A (en) * 1952-08-29 1956-09-25 Dow Chemical Co Magnesium anode with perforated core
DE10257161A1 (de) * 2002-12-02 2004-06-17 Sai Automotive Sal Gmbh Instrumententafel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5819408A (en) * 1996-07-10 1998-10-13 Xcorp, Inc. Recyclable, low cost, collision-resistant automobile chassis and body
DE19720902A1 (de) * 1997-05-17 1998-11-19 Mannesmann Vdo Ag Baugruppe für einen Cockpit-Bereich eines Fahrzeuges
US5931520A (en) * 1997-12-19 1999-08-03 Aluminum Company Of America Light weight instrument panel reinforcement structure
FR2795701B1 (fr) * 1999-06-30 2001-09-14 Plastic Omnium Valeo Interiors Traverse interieure avant d'un vehicule
JP3873539B2 (ja) * 1999-09-03 2007-0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リインホースメント
WO2001068391A2 (en) * 2000-03-17 2001-09-20 Magna Interior Systems, Inc. A dashboard car duct with integrated mode doors and hvac module
US6493920B1 (en) * 2000-09-07 2002-12-17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assembling a vehicle from preassembled modular components
US6371551B1 (en) * 2000-10-24 2002-04-1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Integrated steering column, instrument panel, and cowl body structure
KR20040030082A (ko) * 2001-08-15 2004-04-08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개선된 시트 시스템
US7125067B2 (en) * 2002-04-09 2006-10-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agnesium door assembly for automobiles
DE10220025A1 (de) * 2002-05-04 2003-11-20 Behr Gmbh & Co Querträger
US6669273B1 (en) * 2002-09-16 2003-12-3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Vehicle instrument panel structure to support electronics packaging
US7128360B2 (en) * 2002-12-10 2006-10-31 Delphi Technologies, Inc. Structural hybrid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EP1462207A1 (de) * 2003-03-29 2004-09-29 Grillo-Werke AG Verfahren zum Schutzgasschweissen oder Schutzgaslöten von Werkstücken gleicher oder verschiedener Metalle oder Metalllegierungen mit einem Zn/Al Zusatzmaterial
CA2442406A1 (en) * 2003-09-24 2005-03-24 Meridian Technologies Inc. Instrument panel rib structure
EP1673272B1 (de) * 2003-10-08 2010-06-30 Behr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insbesondere eines hybridbaudteils für einen quertr ger eines fahrzeugs sowie bauteil und verwendung eines bauteils
DE602004018012D1 (de) * 2003-10-20 2009-01-08 Magna Int Inc Hydrid-komponente
US6851742B1 (en) * 2004-01-06 2005-02-08 General Motors Corporation Cast alloy instrument panel beams
US7159931B2 (en) * 2004-02-27 2007-01-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utomotive roof rack and accessories manufactured with QPF/SPF technology
JP2005289112A (ja) * 2004-03-31 2005-10-20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US7216927B2 (en) * 2004-12-03 2007-05-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Lightweight hybrid tubular/casting instrument panel beam
US20070228762A1 (en) * 2006-04-03 2007-10-0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Instrument panel with exposed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69637A1 (en) 2011-02-03
US20140057125A1 (en) 2014-02-27
MX2012001251A (es) 2012-06-13
EP2459334A1 (en) 2012-06-06
JP2013500165A (ja) 2013-01-07
WO2011014404A9 (en) 2011-04-07
WO2011014404A1 (en) 2011-02-03
US20110027607A1 (en) 201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5714B2 (en) Hybrid-structure assembly support
JP5035658B2 (ja) 車両の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取付構造
US9517798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8657368B2 (en) Hydroformed side pillar to lower back joint structure
JP6332837B2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CN103950473A (zh) 可选择分离的挡泥板支架系统
JP2018167665A (ja) 車両用フード、車両用フードのインナパネルに装着されるストライカアッシー、および車両用フードの製造方法
KR20120082404A (ko) 마그네슘 하이브리드 부품 및 방법
JP4194142B2 (ja) 車体フロア構造及び車体フロア構造の製造方法
JP2001063630A (ja) 車体側部構造
JP3956412B2 (ja) 車体のフロア構造及びこのフロア構造に用いられるクロスメンバの製造方法
JPH107021A (ja) 自動車のピラーとサイドシルとの接続部構造
US7540558B2 (en) Door pillar for a supporting structure
EP2383174B1 (en) Saddle-Riding Vehicle
JP5227765B2 (ja) 車体構造
JP2018154210A (ja) 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
US11465690B2 (en) Vehicle body structure
JPH0788195B2 (ja) 自動二輪車のリヤア−ム
JP3925031B2 (ja) 車体構造
JP4883393B2 (ja) 車体上部構造
JP2009113568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KR101619877B1 (ko) 엠보싱 보강패널이 적용된 이종소재 서브프레임
JP4716780B2 (ja) ステアリングサポートビーム及び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取付構造体
JP5155932B2 (ja) 車体上部構造
KR102026813B1 (ko) 자동차용 필러트림과 플로어 접합부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