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852A - 쌀국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쌀국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1852A
KR20120081852A KR1020110003214A KR20110003214A KR20120081852A KR 20120081852 A KR20120081852 A KR 20120081852A KR 1020110003214 A KR1020110003214 A KR 1020110003214A KR 20110003214 A KR20110003214 A KR 20110003214A KR 20120081852 A KR20120081852 A KR 20120081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molding
unit
conveyor belt
ste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3487B1 (ko
Inventor
박종대
이현유
금준석
김상희
이란숙
이민아
최은지
김동광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03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487B1/ko
Publication of KR20120081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2Apparatus with rollers and cutting discs or blades for shaping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Abstract

본 발명은 쌀국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습식분쇄된 쌀유액을 저장하는 유액저장호퍼, 상기 유액저장호퍼와 유액투입부를 통해 연통되며, 공급된 쌀유액을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부, 상기 성형부에 의해 시트 형상으로 성형된 쌀유액을 증숙시키는 증숙부, 상기 증숙부를 통과한 쌀국수 성형물을 송풍 냉각시키는 방냉부, 상기 성형부를 통과한 쌀유액을 상기 증숙부 및 상기 방냉부를 통과하도록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방냉부를 거친 쌀국수 성형물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와 분리시키는 스크레퍼부, 및 상기 스크레퍼부에 의해 분리된 쌀국수 성형물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종래의 압출식 시스템에서 전환하여 압연식 공정으로 쌀국수를 제조하므로, 장립종 쌀을 원료로 쌀국수를 제조하는데 적합하다.

Description

쌀국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DEVICE FOR MANUFACTURING RICE NOODLES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쌀국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립종 쌀을 원료로 습식분쇄된 쌀유액이 시트 형상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증숙 및 냉각을 거쳐 압연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쌀국수를 제조할 수 있는 쌀국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수는 밀가루를 주원료로 하여 만들어 지지만 다양한 현대인의 기호에 부응하기 위해 새로운 원료를 사용하여 국수를 제조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어 왔으며, 그 결과 현재에는 다양한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각종 국수가 선보이고 있다. 그 중 쌀국수는 주원료로 쌀가루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으로 쌀 자체의 성분으로 인해 점탄성이 낮아 쫄깃한 조직감의 면발을 제조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어서, 쌀가루에 밀가루를 일부 혼합하여 조직감을 향상시킨 쌀국수를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베트남 전통 방식의 쌀국수는 장립종 쌀을 이용하여 쌀국수를 제조하며 장립종 쌀은 국산쌀에 비하여 길이가 길고 폭이 좁으며 쌀국수로 제조시 아밀로스 함량이 높아서 찰기가 적으므로 압출형 제조보다는 쌀면판으로 증숙하여 절단하는 압연식으로 제조한다. 즉, 태국이나 베트남에서는 장립종 쌀을 물에 침지시킨 후 습식분쇄한 쌀유액을 광목천 상면에 얇게 도포한 상태로 증숙하여 시트로 절단하고 상온에서 건조시킨 후 일정한 면대 넓이로 절단하여 압연식 절출 과정을 거쳐 쌀국수를 만드는데, 아직까지 반자동식 형태로 인해 생산 과정에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 국내 베트남 쌀국수 프랜차이즈에서 판매하는 쌀국수는 태국이나 베트남에서 수입한 쌀국수 건면을 물에 일정시간 침지하여 복원시킨 것을 조리하여 판매하는 것인데, 건면 특성상 복원 쌀면 심부의 딱딱한 특성이 품질저하의 요인이 되며, 건면을 복원하기 위해 침지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건조 공정을 거치지 않은 생면 상태로 보다 부드럽고 신선한 국수 본연의 맛을 제공하기 위하여 국내에도 베트남 전통방식의 쌀국수 제조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쌀국수 제조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1(등록특허 제10-0987991호)에는 쌀가루를 진공상태에서 반죽하여 다수개의 롤링기를 통해 롤링하고, 증숙 단계를 거쳐 면판성형기를 통해 압출식으로 면판을 성형하여 건조한 후 절출하는 방식으로 건면 형태의 면가락을 제조하는 쌀국수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다른 예로, 특허문헌 2(등록특허 제10-0949167호)에는 믹싱부에 의해 혼합믹싱된 쌀액상물이 자동으로 성형부에 공급되도록 하고, 스크류 및 전열기를 이용하여 쌀액상물을 쪄주면서 압출식으로 국수성형물을 성형하고 이후 열풍건조를 거쳐 절출을 통해 쌀국수를 제조하는 쌀국수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등록특허 제10-0873969호)에는 믹싱부에서 원료를 믹싱하여 믹싱부와 결합된 성형부에서 성형롤러를 통해 국수를 연속 배출하고 유도롤을 이용하여 국수를 유도한 후 송풍기에 의해 국수를 건조함으로써 쌀국수를 제조하는 쌀국수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쌀국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들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단립종 또는 중립종 쌀을 주원료로 이용한 것으로서, 국내에 수입되는 장립종 쌀과 비교하여 찰기가 좋아 압출식으로 쌀국수를 제조하므로 장립종 쌀을 원료로 한 쌀국수의 제조에 적합하지 않을 뿐 아니라, 다수개의 롤러 등을 구비해야 하므로 장치가 대형화되고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베트남 전통방식의 쌀국수 제조시스템을 국내에 도입시키기 위하여 장립종 쌀에 적합한 압연식을 사용하여 쌀국수를 제조하면서 동시에 장치의 자동화, 단순화 및 소형화를 달성하여 일반 외식 급식업체에서도 손쉽게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한 쌀국수 제조장치의 개발과 이를 이용한 쌀국수 제조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장립종 쌀을 원료로 한 쌀유액이 시트 형상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증숙 및 냉각을 거쳐 압연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쌀국수를 제조할 수 있는 쌀국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상술한 쌀국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원료투입부터 절출까지의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균일한 품질의 쌀국수 생산이 가능하고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쌀국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첫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습식분쇄된 쌀유액을 저장하는 유액저장호퍼;
상기 유액저장호퍼와 유액투입부를 통해 연통되며, 공급된 쌀유액을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부;
상기 성형부에 의해 시트 형상으로 성형된 쌀유액을 증숙시키는 증숙부;
상기 증숙부를 통과한 쌀국수 성형물을 송풍 냉각시키는 방냉부;
상기 성형부를 통과한 쌀유액을 상기 증숙부 및 상기 방냉부를 통과하도록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방냉부를 거친 쌀국수 성형물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와 분리시키는 스크레퍼부; 및
상기 스크레퍼부에 의해 분리된 쌀국수 성형물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쌀국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유액투입부는, 유액투입펌프, 상기 유액투입펌프에서 토출된 쌀유액을 상기 성형부로 공급하는 투입배관 및 상기 성형부에 일정량의 쌀유액이 공급되도록 상기 유액저장호퍼로 상기 쌀유액을 회수시키는 순환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부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진행방향을 향해 슬롯형태로 개구된 성형구가 구비되고, 상기 성형부에 공급된 쌀유액은 상기 성형구를 통과함으로써 시트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구의 높이는 상기 쌀국수 성형물의 두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형부의 성형구 양측에는 상기 성형부로부터 토출되는 쌀유액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연장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증숙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 하부에 배치되되, 스팀 발생을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호퍼 및 상기 물저장호퍼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발열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냉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 하부에 배치되되, 송풍을 위한 방냉기 및 상기 방냉기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수용하여 배출하는 방냉기호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투습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쌀유액을 제조하기 위해 쌀 원료를 물과 함께 습식분쇄시키는 분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두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a) 쌀을 물에 침지하는 단계;
(b) 침지된 쌀을 분쇄기게 투입하고 물을 첨가하여 습식분쇄하는 단계;
(c) 습식분쇄된 쌀유액을 성형부에 주입하고 슬롯 형태의 성형구를 통과시켜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d) 스팀을 공급하여 시트 형상으로 성형된 쌀유액을 증숙시키는 단계;
(e) 증숙단계를 거쳐 호화된 쌀국수 성형물을 송풍을 통해 냉각시키는 단계; 및
(f) 냉각된 쌀국수 성형물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쌀국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쌀은 장립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b) 단계에서, 침지된 쌀 부피의 0.6 내지 1.4배의 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 내지 (e) 단계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장치는 베트남 전통방식의 쌀국수 제조시스템을 국내에 도입시키기 위하여 종래의 압출식 시스템에서 전환하여 압연식 공정으로 쌀국수를 제조하므로, 장립종 쌀을 원료로 쌀국수를 제조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자동화된 연속적인 방법으로 쌀국수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이고 균일한 품질의 쌀국수를 생산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장치의 단순화 및 소형화를 달성함으로써 일반 외식 급식업체에서도 손쉽게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국수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액투입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숙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냉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레퍼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국수 제조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국수 제조장치의 정면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장치는, 습식분쇄된 쌀유액을 저장하는 유액저장호퍼(10), 유액저장호퍼(10)와 유액투입부(20)를 통해 연통되며, 공급된 쌀유액을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부(30), 성형부에 의해 시트 형상으로 성형된 쌀유액을 증숙시키는 증숙부(40), 증숙부를 통과한 쌀국수 성형물을 송풍 냉각시키는 방냉부(50), 성형부를 통과한 쌀유액을 증숙부 및 방냉부를 통과하도록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B), 컨베이어 벨트 상에 형성되며 방냉부를 거친 쌀국수 성형물을, 컨베이어 벨트와 분리시키는 스크레퍼부(60) 및 스크레퍼부에 의해 분리된 쌀국수 성형물을 절단하는 절단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유액투입부(20)는 후술할 성형부(30)에 쌀유액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유액투입펌프(P), 유액투입펌프에서 토출된 쌀유액을 성형부로 공급하는 투입배관(22) 및 성형부에 일정량의 쌀유액이 공급되도록 유액저장호퍼(10)로 쌀유액을 회수시키는 순환배관(24)을 포함할 수 있다. 유액저장호퍼(10) 내부의 쌀유액은 유액투입펌프(P)가 작동되면서 투입배관(22)을 거쳐 성형부(30)로 이동되는데, 투입배관(22)에는 순환조절밸브(21)가 설치되어 일정량이 투입배관을 통과하도록 하고 초과량은 순환배관(24)을 거쳐 다시 유액저장호퍼로 회수된다. 또한, 투입배관(22)의 말단에는 성형부로 공급되는 쌀유액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투입조절밸브(23)가 설치될 수 있다.
유액저정호퍼(10)에 수용되는 쌀유액은 쌀 원료, 바람직하게는 장립종 쌀을 세척하여 물에 침지시키고 침지된 쌀에 부피비로서 대략 0.6 내지 1.4 배의 물을 첨가하여 분쇄기(1)를 통해 습식분쇄하여 얻어질 수 있다. 습식분쇄를 위한 분쇄기(1)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성형부는 공급되는 쌀유액을 밀폐 수용하면서 일방향으로 쌀유액을 토출시켜 쌀유액을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는 장치이다. 성형부(30)는 개방된 상부로부터 유액투입부(20)의 투입배관(22)을 통해 쌀유액이 공급되며, 일측 하단에는 쌀유액을 시트 형상으로 토출시키는 슬롯 형태의 성형구(35)가 구비되어 있다.
성형부(30)는 쌀유액이 토출되는 방향에 형성된 전면부(31), 전면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후면부(34), 이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2개의 측면부(32a, 32b)를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성형부(30)는 컨베이어 벨트(B) 위로 계속적으로 성형된 쌀유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 벨트(B) 상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측면부 및 후면부와 컨베이어 벨트 사이로 쌀유액이 유출되지 않도록 컨베이어 벨트 상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쌀유액이 성형부의 측후면 방향으로 유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성형부(30)에는 별도의 바닥부(34)가 구비될 수 있다.
성형부(30)의 전면부(31) 하단에는 컨테이너 벨트의 진행 방향을 향해 쌀유액이 토출되는 슬롯 형태의 성형구(35)가 구비되어 있다. 이 성형구(35)를 통해 쌀유액이 일정 두께를 가진 액체 상태로 컨베이어 벨트(B) 위로 유출되면서 쌀 유액이 시트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한편, 성형구(35)의 높이는 전면부(31)를 나사로 조립 및 분해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조하고자 하는 쌀국수의 두께를 변화시켜 쌀국수의 조직감과 용도를 다양화할 수 있다.
액체 상태인 쌀유액이 컨베이어 벨트(B) 상에 토출될 때 일정 폭을 갖도록 쌀유액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36a, 36b)가 성형구(35)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가이드부재(36a, 36b)는 성형부(30)의 양 측면부(32a, 32b)로부터 경사지게 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시트 형상으로 성형된 쌀유액은 증숙부(40)로 이동하면서 증숙되어 호화된다. 증숙부(40)는 스팀 발생을 위한 물(w)을 저장하는 물저장호퍼(42)와 그 내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발열봉(4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물저장호퍼(42) 및 발열봉(41)은 컨베이어 벨트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증숙부에서 발생하는 증기의 발산을 억제하기 위해 증기덮개(44)가 컨베이어 벨트 상부에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발열봉(41)으로부터 열이 발생되면, 물저장호퍼(42)에 담긴 물이 끓으면서 증기(s)를 발생시키고, 이 증기를 통해 시트 형상의 쌀유액이 증숙되어 호화된다. 증숙부에서 발생하는 증기는 투습성 재질로 형성된 컨베이어 벨트(B) 상에 형성된 쌀유액을 간접 스팀방식으로 증숙시킨다. 컨베이어 벨트(B)는 예를 들면 광목천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광목천은 쌀유액의 손실을 막아주고 내열성이 좋으며 쌀국수 성형물을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분리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증숙부(40)의 선단 하부에는 컨베이어 벨트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기(C) 및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는 구동롤러(R)가 배치될 수 있다.
증숙부(40)에는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경로를 따라 컨베이어 벨트의 처짐을 방지하는 벨트 가이드(43)가 구비될 수 있다.
성형된 쌀유액이 구동롤러(R)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B) 상에서 이송되면서 대략 각각 0.5~1.5kw 전력을 가진 다수개의 발열봉은 약 95 내지 110℃로 승온되고, 이를 통해 물저장호퍼에 담긴 물이 증발하면서 시트 형상의 쌀유액은 호화되어 쌀국수 성형물을 형성하게 되고, 이 시트 형상의 쌀국수 성형물은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방냉부(50)로 이송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방냉부(50)는 컨베이어 벨트 하부에 배치되는 방냉기호퍼(52)와 방냉기호퍼(52)로 냉기(a)를 공급하는 방냉기(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냉부에서 발생하는 냉기의 발산을 억제하기 위해 냉기덮개(54)가 컨베이어 벨트 상부에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방냉부(50)에도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경로를 따라 컨베이어 벨트의 처짐을 방지하는 벨트 가이드(53)가 구비될 수 있다.
방냉부(50)에서는 방냉기로부터 공급되는 일정 속도(예를 들면 대략 4.3 m/min) 이상의 송풍량으로 쌀국수 성형물의 수분 및 열을 발산시키며, 이를 통해 별도의 건조과정이 없이도 더욱 신선하고 부드러운 생면 형태의 쌀국수가 배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냉각된 시트 형상의 쌀국수 성형물(N)이 스크레퍼부(60)로 이송되면, 시트 형상의 쌀국수 성형물(N)은 컨베이어 벨트(B)로부터 스크레퍼(61)를 통해 분리된다. 이 스크레퍼(61)는 온도에 영향을 적게 받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강 또는 세라믹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선단이 컨베이어 벨트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스크레퍼(61)와 컨베이어 벨트(B)가 이루는 각도는 위치조절공(62)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최적의 절단 효율을 위해서 컨베이어 벨트와 스크레퍼가 이루는 각도는 대략 30 내지 60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레퍼부(60)로부터 분리된 쌀국수 성형물은 절단부(70)로 유입되고, 일정한 간격을 가진 면발 형태로 절단되도록 회전하는 절단날이 형성된 커팅롤(71)에 의해 제면되어 포장 판매된다. 커팅롤(71)에 형성된 절단날은 착탈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데, 절단날의 폭을 변화시켜 면의 폭을 다양화할 수 있다.
한편, 제면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절단부(70)에는 커팅롤(71)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브러쉬(72) 및 오일케이스(73)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쌀국수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장립종 쌀을 세척하여 2 내지 12시간 동안 세척된 쌀을 물에 침지한다(S10).
침지단계를 거친 쌀에 부피비로서 대략 0.6 내지 1.4 배의 물을 첨가하여 분쇄기로 습식분쇄한다(S20). 0.6배 미만의 물을 첨가하면 쌀유액의 농도가 높아서 증숙부를 통과하면서 표면이 건조되어 시트 형상의 쌀국수 성형물의 품질이 저하되고, 1.4배를 초과하여 물을 첨가하면 쌀유액의 농도가 낮아서 쌀국수 성형물이 형성될 만큼 호화되지 못하여 성형에 적합하지 않다. 습식분쇄된 입자는 대략 5 내지 50㎛ 의 크기를 가지며, 습식분쇄단계를 거쳐 액체상태인 쌀유액이 완성된다.
습식분쇄단계를 통해 얻어진 쌀유액을 유액저장호퍼에 저장한 후 유액투입부를 통해 성형부에 주입하고, 성형부에 구비된 슬롯 형태의 성형구로 쌀유액을 통과시켜 쌀유액을 시트 형상으로 성형한다(S30).
시트 형상으로 성형된 쌀유액은 대략 95 내지 110℃의 스팀이 공급되는 증숙부를 통과함으로써 증숙되어 호화된다(S40).
증숙 단계를 거쳐 대략 1 내지 10mm 의 두께로 형성된 시트 형상의 쌀국수 성형물은 송풍 냉각을 통해 품온이 대략 20 내지 40℃로 냉각된다(S50).
특히, 상술한 성형단계(S30)에서, 성형부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컨베이어 벨트는 성형단계(S30), 증숙단계(S40) 및 냉각단계(S50)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각 단계를 수행하는 성형부, 증숙부 및 방냉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냉각단계(S50)를 거친 시트 형상의 쌀국수 성형물을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스크레퍼부를 통해 분리시킨 후, 절단부에 배치된 커팅롤을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한다(S60).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쌀국수 면은 대략 30 내지 70%의 함수율을 가지며, 포장을 통해 제품화된다(S70).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생면과 종래의 수입건면 쌀국수를 사용하여 육수와 함께 쌀국수를 제공하였다. 건면의 경우 상온의 물에서 4시간 이상 충분히 침지하여 복원 후 제공하였다. 각 쌀국수는 관능평가 패널 30명에게 제공하였으며, 그 관능평가 결과를 다음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외관 면발의 강도 쫄깃함의 기호도 전반적 기호도
생면(실시예 1) 7.1 6.4 6.6 7.2
건면(비교예 1_ 5.8 5.8 5.2 5.9
평가기준은 아래와 같다.
9: 매우좋음, 5: 보통, 1: 매우싫음
위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쌀국수를 제조함으로써, 신선하고 더욱 쫄깃한 생면 형태의 쌀국수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따라 장립종 수입쌀에 식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하는 부재료 배합비를 달리하여 쌀국수를 제조하였으며 조성비는 표 2와 같다.
구 분 원료 및 함량
타피오카전분 감자전분 옥수수전분
비교예 - - -
실시예 2-1 1~10% - -
실시예 2-2 1~5% 1~3% -
실시예 2-3 1~3% 1~3% 1~4%
위 표 2와 같이 비교예는 부재료를 첨가하지 않고 장립종 수입쌀을 사용하여 쌀국수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2-1에서는 장립종 수입쌀에 중량비로서 타피오카전분을 1~10% 첨가하여 쌀국수를 제조하였고, 실시예 2-2에서는 중량비로서 타피오카전분 1~5%와 감자전분 1~3%를 첨가였으며, 실시예 2-3에서는 중량비로서 타피오카전분 1~3%, 감자전분 1~3%, 옥수수전분 1~4%를 함께 첨가한 쌀국수를 제조하였다.
구분 외관 면발의 강도 쫄깃함의 기호도 전반적 기호도
비교예 6.9 6.4 6.0 7.0
실시예 2-1 6.8 6.7 6.5 7.2
실시예 2-2 7.0 7.0 7.2 7.7
실시예 2-3 6.9 6.8 7.0 7.4
평가기준은 아래와 같다.
9: 매우좋음, 5: 보통, 1: 매우싫음
위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부재료 전분의 배합비를 달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쌀국수를 제조한 결과, 타피오카전분과 감자전분을 함께 첨가한 실시예2-2의 경우 면발의 강도, 쫄깃함의 기호도 및 전반적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장립종 수입쌀에 전분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경우 점탄성을 증가시킨 쌀국수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아래의 표 4에서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의 재질을 달리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쌀국수를 제조하였다. 쌀유액의 손실 정도와 열 안정성, 시트 형상의 쌀국수 성형물의 분리, 재질의 특징으로 구성된 평가항목으로 컨베이어 벨트 재질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벨트 재질 쌀유액의 손실정도 열 안정성 쌀국수 성형물 분리 특징
광목천 없음 안정 표면 매끈 분리가 용이
부직포 많음 변형 표면 거침 표면이 고르지 못함
제전섬유 보통 변형 표면 거침 열에 취약함
위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광목천 재질은 쌀유액의 손실이 없고, 고온의 증기에 의한 열에 안정적이며 냉각 후 시트 형상의 쌀국수 성형물과 분리가 용이하여 컨베이어 벨트의 재질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3)

  1. 습식분쇄된 쌀유액을 저장하는 유액저장호퍼;
    상기 유액저장호퍼와 유액투입부를 통해 연통되며, 공급된 쌀유액을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부;
    상기 성형부에 의해 시트 형상으로 성형된 쌀유액을 증숙시키는 증숙부;
    상기 증숙부를 통과한 쌀국수 성형물을 송풍 냉각시키는 방냉부;
    상기 성형부를 통과한 쌀유액을 상기 증숙부 및 상기 방냉부를 통과하도록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방냉부를 거친 쌀국수 성형물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와 분리시키는 스크레퍼부; 및
    상기 스크레퍼부에 의해 분리된 쌀국수 성형물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쌀국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액투입부는, 유액투입펌프, 상기 유액투입펌프에서 토출된 쌀유액을 상기 성형부로 공급하는 투입배관 및 상기 성형부에 일정량의 쌀유액이 공급되도록 상기 유액저장호퍼로 상기 쌀유액을 회수시키는 순환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진행방향을 향해 슬롯형태로 개구된 성형구가 구비되고,
    상기 성형부에 공급된 쌀유액은 상기 성형구를 통과함으로써 시트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구의 높이는 상기 쌀국수 성형물의 두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의 성형구 양측에는 상기 성형부로부터 토출되는 쌀유액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숙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 하부에 배치되되, 스팀 발생을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호퍼 및 상기 물저장호퍼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발열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냉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 하부에 배치되되, 송풍을 위한 방냉기 및 상기 방냉기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수용하여 배출하는 방냉기호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투습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쌀유액을 제조하기 위해 쌀 원료를 물과 함께 습식분쇄시키는 분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장치.
  10. (a) 쌀을 물에 침지하는 단계;
    (b) 침지된 쌀을 분쇄기게 투입하고 물을 첨가하여 습식분쇄하는 단계;
    (c) 습식분쇄된 쌀유액을 성형부에 주입하고 슬롯 형태의 성형구를 통과시켜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d) 스팀을 공급하여 시트 형상으로 성형된 쌀유액을 증숙시키는 단계;
    (e) 증숙단계를 거쳐 호화된 쌀국수 성형물을 송풍을 통해 냉각시키는 단계; 및
    (f) 냉각된 쌀국수 성형물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쌀국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쌀은 장립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b) 단계에서, 침지된 쌀 부피의 0.6 내지 1.4배의 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내지 (e) 단계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방법.
KR1020110003214A 2011-01-12 2011-01-12 쌀국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293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214A KR101293487B1 (ko) 2011-01-12 2011-01-12 쌀국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214A KR101293487B1 (ko) 2011-01-12 2011-01-12 쌀국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852A true KR20120081852A (ko) 2012-07-20
KR101293487B1 KR101293487B1 (ko) 2013-08-07

Family

ID=46713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214A KR101293487B1 (ko) 2011-01-12 2011-01-12 쌀국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48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984Y1 (ko) * 2012-09-18 2013-01-28 (유) 삼각에프엠씨 증삼기용 유출액 회수장치
JP2020120595A (ja) * 2019-01-30 2020-08-13 株式会社いたこ 米を主材料とする麺の製造方法及び米麺
EP3363291B1 (de) * 2017-02-20 2020-09-30 Werner & Pfleiderer Lebensmitteltechnik GmbH Dough processing system
KR20210024878A (ko) * 2019-08-26 2021-03-0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전분-하이드로콜로이드를 사용한 글루텐 무첨가 압연면의 제조방법
CN114190516A (zh) * 2021-12-20 2022-03-18 楚雄州志祥粮油有限公司 一种湿米线生产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861B1 (ko) 2015-10-30 2017-11-10 김칠현 생면 쌀국수 제면기 및 제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2885B1 (ko) 1996-07-11 1999-06-15 하복진 냉면 자동 압출장치
KR200307037Y1 (ko) * 2002-12-20 2003-03-12 종 기 박 제면기의 원료 제거기구
KR200350355Y1 (ko) * 2004-02-17 2004-05-12 박석린 쌀을 이용한 얇은떡 제조증숙장치
KR100855363B1 (ko) * 2005-12-20 2008-09-04 윤양지 떡 보쌈 피 제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984Y1 (ko) * 2012-09-18 2013-01-28 (유) 삼각에프엠씨 증삼기용 유출액 회수장치
EP3363291B1 (de) * 2017-02-20 2020-09-30 Werner & Pfleiderer Lebensmitteltechnik GmbH Dough processing system
JP2020120595A (ja) * 2019-01-30 2020-08-13 株式会社いたこ 米を主材料とする麺の製造方法及び米麺
KR20210024878A (ko) * 2019-08-26 2021-03-0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전분-하이드로콜로이드를 사용한 글루텐 무첨가 압연면의 제조방법
CN114190516A (zh) * 2021-12-20 2022-03-18 楚雄州志祥粮油有限公司 一种湿米线生产设备
CN114190516B (zh) * 2021-12-20 2023-10-17 楚雄州志祥粮油有限公司 一种湿米线生产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487B1 (ko)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487B1 (ko) 쌀국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87991B1 (ko) 쌀국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US20150150270A1 (en) Continuous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a pita chip
KR101888795B1 (ko) 연속 압출 방식의 반죽시트 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생면류 제조장치
KR102188088B1 (ko) 쌀국수면 및 쌀국수면의 생산 방법
CN101133764A (zh) 一种条形绿茶自动化加工方法
JP6026289B2 (ja) ノンフライ即席麺製造方法
CN108419842A (zh) 一种双膜腐竹成型自动生产工艺及设备
KR102182100B1 (ko) 쌀국수면 생산 장치
KR20110103824A (ko) 쌀국수 제조장치
KR101795861B1 (ko) 생면 쌀국수 제면기 및 제면방법
CN203748538U (zh) 面片厚薄平衡压片切丝机
KR101391443B1 (ko) 쌀면 제조방법
KR20160007773A (ko) 100%순 쌀가루를 사용한 쌀국수 제조장치
KR102029592B1 (ko) 진공챔버 및 탈기수 등을 이용한 숙성면 제조방법
KR101146752B1 (ko) 쌀국수 제조방법
JP2013165683A (ja) 釜炒り茶用保管装置と釜炒り茶製造方法
CN204427461U (zh) 一种枕芯加工设备
CN203748587U (zh) 大产量挂面生产线
CN112586668A (zh) 柱状腐竹成型装置
CN207693930U (zh) 一种生产医用贴剂的生产线
KR102245096B1 (ko) 파형면의 제조장치
KR102579010B1 (ko) 쌀숙면 제조방법
CN105661582A (zh) 红薯干加工装置
US5702744A (en) Method of producing altar br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