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9167A - 전동 칫솔 - Google Patents

전동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9167A
KR20120079167A KR1020127014018A KR20127014018A KR20120079167A KR 20120079167 A KR20120079167 A KR 20120079167A KR 1020127014018 A KR1020127014018 A KR 1020127014018A KR 20127014018 A KR20127014018 A KR 20127014018A KR 20120079167 A KR20120079167 A KR 20120079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oothbrush head
incision
sec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다노부 키타가와
요시히로 키타무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79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61C17/3409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characterized by the movement of the brush body
    • A61C17/3481Vibrating brush body, e.g. by using eccentric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5Handles or detail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탄성 링(R2)은 칫솔 헤드(5)가 장착되는 본체 케이스(2)의 내부 케이스(20) 상에 형성되는 본체부(21)와 그립 케이스(4) 사이에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탄성 링(R2) 때문에, 상기 내부 케이스(20)의 모터 수용부(27) 내에 수용된 모터(M)의 진동은 상기 그립 케이스(4)로 보다 적게 전달되고, 상기 칫솔 헤드(5)측에 집중적으로 전달된다. 또한, 치아 칫솔질 성능이 증가되고, 상기 그립 케이스(4)를 잡는 손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감소하여, 사용자가 편안하게 치아를 칫솔질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칫솔{ELECTRIC TOOTHBRUSH}
본 발명은 전동 칫솔에 관한 것이다.
선행 기술에서, 다양한 종류의 전동 칫솔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이 제안되어 왔고, 상기 칫솔은 모터를 통해서 편심 중량을 회전시켜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진동을 상기 칫솔모들(toothbrush bristles)로 전달하여 플라그 제거 성능(치아 칫솔질 성능)을 향상시킨다.
근래에, 구강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근무 중에 또는 여행 중일 때, 치아를 칫솔질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근무 중에 또는 여행 중일 때 등과 같이 치아를 칫솔질 할 때, 우수한 칫솔질 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이 보다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공보 9-168554
전동 칫솔은 편심 중량을 포함하는 모터에 의해서 형성되는 진동 발생기, 상기 진동 발생기를 구동하는 전지 등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상기 칫솔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가방, 파우치 또는 포켓 내에 휴대할 때 부피가 크고 불편하게 만든다.
따라서 상기 치아 칫솔질 성능을 떨어뜨리지 않고, 소형이고 우수한 휴대성을 갖는 칫솔이 요구된다.
하지만, 휴대성을 추구하고 전동 칫솔을 추가적으로 소형화시킬 때, 상기 모터에 의해서 형성되는 진동은 크기가 감소된 그립으로 보다 강하게 전달된다. 상기 그립의 상기 강한 진동은 사용자에게 전달되어서 칫솔질을 어렵게 한다. 상기 진동을 감소시키는 것은 칫솔질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에 의해서 형성된 진동은 감소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한다. 본 별명의 목적은 우수한 치아 칫솔질 성능을 가지며, 칫솔질을 용이하게 하는 전동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 지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전동 칫솔은 편심 중량을 포함하는 모터에 의해서 형성되는 진동 발생기; 원위측에 상기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 및 기저측에 모터 구동 전지를 수용하는 전지 수용부를 포함하는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원위측 단부(distal end portion)에 제거가 가능한 방식으로 부착된 칫솔 헤드; 상기 본체 케이스의 기저측 단부(basal end portion)를 수납하고, 상기 전지 수용부를 수용하는 그립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에 부착된 상기 칫솔 헤드를 수납하며, 상기 그립 케이스의 개방 단부면과 접촉하는 개방 단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칫솔 헤드를 수용하는 캡; 및 상기 그립 케이스에 의해서 수납된 상기 본체 케이스와 상기 그립 케이스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와 함께 제공된다.
상기 전동 칫솔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 케이스는 상기 칫솔 헤드에 제거가 가능한 방식으로 부착된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brush attachment shaft tube)를 포함하는 외부 케이스 및 일 단부에 상기 모터 수용부를 포함하고 타 단부에 상기 전지 수용부를 포함하는 내부 케이스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 수용되므로, 상기 모터 수용부는 상기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 내로 압입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기 전지 수용부와 상기 그립 케이스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전동 칫솔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 부재는 밀봉 기능을 갖는 오-링이다.
상기 전동 칫솔에서, 바람직하게,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전동 칫솔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밀봉 기능을 갖는 오-링이다.
상기 전동 칫솔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캡이 상기 본체 케이스에 장착될 때, 개방 단부면 측에서 상기 캡의 외주면 및 개방 단부면 측에서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은 연속된 표면을 형성한다.
전동 칫솔은 칫솔모들을 포함하는 칫솔 헤드; 상기 칫솔 헤드가 제거 가능한 방식으로 부착된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서 상기 칫솔 헤드로 진동을 가하는 모터; 상기 본체 케이스의 외벽 내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을 개시하거나 정지시키는 스위치; 상기 본체 케이스의 기저측 단부에 부착된 그립 케이스; 및 상기 본체 케이스와 상기 모터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모터의 진동을 상기 본체 케이스로 전달하는 전달 부재와 함께 제공된다. 상기 스위치가 상기 본체 케이스 내에서 상기 그립 케이스의 중심축에 대하여 상기 전달 부재의 측에 대향하는 부분에서 배치된다.
상기 전동 칫솔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모터의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칫솔모들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 샤프트와 평행한 절개 단면(cross-sectional plane)은 절개 측단면(cross-sectional side plane)을 정의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모들의 원위측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중심축의 측면은 전면측(front side)으로 정의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전면측에 대향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상기 중심축의 측면은 후면측(rear side)을 정의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본체 케이스 및 상기 칫솔 헤드의 전면측의 벽들은 각기 전면벽들로 정의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본체 케이스 및 상기 칫솔 헤드의 후면측의 벽들은 각기 후면벽들로 정의될 때;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모터의 후면측 외면과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후면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전면벽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전동 칫솔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모터의 전면측 외면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전면벽과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전동 칫솔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모터의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칫솔모들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 샤프트에 평행한 절개 단면은 절개 측단면을 정의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모들의 원위측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중심축의 측면은 전면측으로 정의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전면측에 대향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상기 중심축의 측면은 후면측을 정의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측의 벽들은 각기 전면벽들로 정의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면측의 벽들은 각기 후면벽들로 정의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전면벽의 외면은 전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후면벽의 외면은 후면으로 정의되며, 상기 칫솔모들의 측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단부는 원위측 단부로 정의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단부는 기저측 단부로 정의되며, 상기 칫솔 헤드에서 상기 기저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원위측 단부까지의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전면의 길이는 길이 V로 표현되며, 상기 칫솔 헤드에서 상기 기저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원위측 단부까지의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후면의 길이는 길이 W로 표현될 때, 상기 길이 W는 상기 길이 V보다 작다.
상기 전동 칫솔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모터의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칫솔모들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 샤프트에 평행한 절개 단면은 절개 측단면을 정의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모들의 원위측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중심축의 측면은 전면측으로 정의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전면측에 대향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상기 중심축의 측면은 후면측을 정의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측의 벽들은 각기 전면벽들로 정의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면측의 벽들은 각기 후면벽들로 정의될 때; 상기 본체 케이스는 상기 칫솔 헤드 측에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단부를 포함하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모터를 부착하는데 이용되는 모터 수용부를 포함하는 내부 케이스를 결합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모터 및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후면벽 양쪽에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전동 칫솔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기 전면벽은 상기 모터의 전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전면벽은 상기 내부 케이스의 전면벽의 전면측에 배치되며,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전면벽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전면벽의 전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모터의 후면측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 케이스의 후면벽은 상기 전달 부재의 후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후면벽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후면측에 부착된다.
상기 전동 칫솔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모터의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칫솔모들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 샤프트에 평행한 절개 단면은 절개 측단면을 정의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모들의 원위측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중심축의 측면은 전면측으로 정의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전면측에 대향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상기 중심축의 측면은 후면측을 정의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측의 벽들은 각기 전면벽들로 정의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면측의 벽들은 각기 후면벽들로 정의되며, 상기 칫솔모들의 측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단부는 원위측 단부로 정의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단부는 기저측 단부로 정의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전면벽의 두께는 두께 X1로 표현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전면벽의 두께는 두께 Y1로 표현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후면벽의 두께는 두께 X2로 표현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후면벽의 두께는 두께 Y2로 표현될 때;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기저측 단부의 단부면에 평행하고 상기 단부면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상기 두께 X1과 상기 두께 Y1을 합하여 얻어진 두께는 상기 두께 X2와 상기 두께 Y2를 합하여 얻어진 두께보다 크다.
상기 전동 칫솔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모터의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칫솔모들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 샤프트에 평행한 절개 단면은 절개 측단면을 정의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모들의 원위측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중심축의 측면은 전면측으로 정의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전면측에 대향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상기 중심축의 측면은 후면측을 정의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측의 벽들은 각기 전면벽들로 정의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면측의 벽들은 각기 후면벽들로 정의될 때; 중공부는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전면벽 내에서 상기 모터에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전동 칫솔은 진동 소스로 역할을 하는 모터 및 본체 케이스의 원위측 단부에 부착되고 그 내부에 내장된 칫솔모들을 구비하는 칫솔 헤드를 수용하는 상기 본체 케이스,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원위측 단부에 대향하는 단부인, 상기 본체 케이스의 기저측 단부에 부착된 그립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전동 칫솔은 상기 모터의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칫솔모들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 샤프트에 평행한 절개 단면이 절개 측단면을 정의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모들의 원위측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중심축의 측면은 전면측으로 정의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전면측에 대향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상기 중심축의 측면은 후면측을 정의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측의 벽은 전면벽으로 정의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면측의 벽은 후면벽으로 정의될 때, 상기 그립 케이스를 직접적으로 향하는 상기 전면벽 내의 부분의 길이는 길이 P로 표현되고, 상기 그립 케이스를 직접적으로 향하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기 후면벽 내의 부분의 길이는 길이 Q로 표현될 때; 상기 길이 Q는 상기 길이 P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동 칫솔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후측으로 배치된다.
상기 전동 칫솔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전면측의 외면은 전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후면측의 외면은 후면으로 정의되며, 상기 칫솔모들의 측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단부는 원위측 단부로 정의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단부는 기저측 단부로 정의되며, 상기 칫솔 헤드에서 상기 기저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원위측 단부까지의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전면의 길이는 길이 V로 표현되며, 상기 칫솔 헤드에서 상기 기저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원위측 단부까지의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후면의 길이는 길이 W로 표현될 때, 상기 길이 W는 상기 길이 V보다 작다.
본 발명의 전동 칫솔은 진동 소스로 역할을 하는 모터를 수용하는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에 부착된 칫솔 헤드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기저측 단부에 부착된 그립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칫솔 헤드를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원위측 단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가 상부 벽에 의해서 닫힌 원위측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동 칫솔에서, 바람직하게, 캡은 상기 본체 케이스로부터 제거가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본체 케이스에 부착되며, 상기 칫솔 헤드를 덮는다.
상기 전동 칫솔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칫솔모들의 측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단부는 원위측 단부로 정의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단부는 기저측 단부로 정의될 때,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기저측 단부의 외주면은 상기 캡에 의해서 커버된다.
상기 전동 칫솔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칫솔모들의 측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단부는 원위측 단부로 정의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단부는 기저측 단부로 정의될 때, 상기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는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기저측 단부에서 개구에서부터 상기 칫솔 헤드로 장착된다.
상기 전동 칫솔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 케이스는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를 포함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를 포함하는 내부 케이스를 결합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모터 수용부는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전동 칫솔에서, 바람직하게, 본체 밀봉 부재가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의 공간을 밀봉한다.
상기 전동 칫솔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그립 케이스는 상기 본체 케이스에 부착되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기저측 단부의 단부면과 상기 그립 케이스의 기저측 단부의 단부면을 서로 마주보도록 향하며, 상기 본체 밀봉 부재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기저측 단부의 내주면과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면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전동 칫솔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모터의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칫솔모들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 샤프트에 평행한 절개 단면은 절개 측단면을 정의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모들의 원위측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중심축의 측면은 전면측으로 정의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전면측에 대향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상기 중심축의 측면은 후면측을 정의하며, 상기 그립 케이스의 상기 중심축을 따라 연장하는 방향으로 상기 그립 케이스와 상기 칫솔 헤드 사이에 배치된 상기 외부 케이스의 부분은 케이스 중간부를 정의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 및 상기 케이스 중간부의 전면벽들이 전면벽들을 정의할 때; 상기 케이스 중간부 내에서 상기 칫솔 헤드측 단부는 상기 케이스 중간부 내에서 상기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와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 중간부의 상기 전면벽은 상기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의 상기 전면벽의 상기 전면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케이스 중간부와 상기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 사이의 경계에서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칫솔 헤드는 상기 본체 케이스에 부착되어서, 상기 칫솔 헤드의 기저측 단부의 단부면이 상기 단차의 단부면을 향한다.
상기 전동 칫솔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 케이스는 전지가 부착된 전지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지 수용부는 상기 그립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그립측 밀봉 부재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원위측 단부의 내주면과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면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전동 칫솔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모터의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칫솔 헤드의 칫솔모들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 샤프트에 평행한 절개 단면은 절개 측단면을 정의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칫솔모들의 원위측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중심축의 측면은 전면측으로 정의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전면측에 대향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상기 중심축의 측면은 후면측을 정의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외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 및 상기 칫솔 헤드의 전면측의 벽들은 각기 전면벽들로 정의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외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 및 상기 칫솔 헤드의 후면측의 벽들은 각기 후면벽들로 정의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전면벽의 외면은 전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후면벽의 외면은 후면으로 정의되며,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칫솔모들의 측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단부는 원위측 단부로 정의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단부는 기저측 단부로 정의될 때,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기 전면벽은 상기 모터의 전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전면벽은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기 전면벽의 전면측에 배치되며,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전면벽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전면벽의 전면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칫솔질을 용이하게 하며 우수한 치아 칫솔질 성능을 갖는 전동 칫솔을 제공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서 전동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칫솔 헤드가 제거된 상기 전동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캡이 부착된 상기 전동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캡이 부착된 상기 전동 칫솔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전동 칫솔을 나타내는 측면 절개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전동 칫솔의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된 측면 절개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전동 칫솔의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된 측면 절개 단면도이다.
도 8은 추가적인 예에서 전동 칫솔을 나타내는 측면 절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지금 설명될 것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화살표 L1, L2, T1 및 T2는 각기 원위 방향(distal direction)(L1), 기저 방향(basal direction)(L2), 정면 방향(T1) 및 후면 방향(T2)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동 칫솔(1)은 본체 케이스(2), 본체 케이스(2)의 기저측에 장착된 그립(grip) 케이스(4), 본체 케이스(2)의 원위측에 장착된 칫솔 헤드(5)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 헤드(5)가 부착된 본체 케이스(2)에 장착된 캡(6)을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체 케이스(2)는 외부 케이스(10) 및 내부 케이스(20)를 포함한다. 외부 케이스(10)는 내부 케이스(20)를 수용하고, 내부 케이스(20)는 칫솔 헤드(5)에 진동을 가하는 전기 부품들을 수용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전동 칫솔(1)과 관련된 용어들이 지금 정의될 것이다.
(A) 모터(M)의 회전 샤프트(MC) 및 칫솔 헤드(5)의 칫솔모들(52)을 포함하고, 모터(M)의 회전 샤프트(MC)에 평행한 절개 단면은 절개 측단면으로 정의된다.
(B)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칫솔 헤드(5)의 칫솔모들(52)의 원위측 단부를 포함하는, 그립 케이스(4)의 중심축(C3)의 상기 측면(side)은 전면측(front side)으로 정의된다.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전면측에 대향하는, 그립 케이스(4)의 중심축(C3)의 측면은 후면측(rear side)으로 정의된다.
(C) 그립 케이스(4)의 중심축(C3)을 따라서 연장하는 방향에서, 칫솔 헤드(5)와 그립 케이스(4) 사이에 위치한 외부 케이스(10)의 부분은 케이스 중간부(16)로 정의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외부 케이스(10), 내부 케이스(20) 및 칫솔 헤드(5)의 상기 전면측에 있는 벽들은 각기 전면벽들(10d, 20d 및 5d)로 정의된다.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외부 케이스(10), 내부 케이스(20) 및 칫솔 헤드(5)의 상기 후면측에 있는 벽들은 각기 후면벽들(10c, 20c 및 5c)로 정의된다.
(D)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칫솔 헤드(5) 내에서 전면벽(5d)의 외면은 전면(front surface)(51b)으로 정의된다. 추가적으로, 칫솔 헤드(5) 내에서 후면벽(5c)의 외면은 후면(rear surface)(51a)으로 정의된다.
(E) 칫솔 헤드(5)의 상기 단부들 중에서, 칫솔모들(52) 측은 원위측 단부로 정의된다. 추가적으로, 칫솔 헤드(5)의 상기 단부들 중에서, 상기 원위측 단부에 대해서 대향하는 단부는 기저측 단부로 정의된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10)는 ABS 수지로부터 형성되고, 모따기된(chamfered) 바닥을 갖는 사각형 관의 형태를 갖는 케이스이다. 외부 케이스(10)의 상기 원위측의 부분은 좁아져서,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를 형성한다. 바닥을 갖는 사각형 관의 형태를 갖는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는 상부 벽(11a)에 의해서 닫힌 원위측 단부를 포함한다.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는 중공형이고, 예를 들어, 관형의 보이드(S1)를 정의한다(도 6 참조). 보이드(S1)는 외부 케이스(10) 내에서 사각형 관의 형태를 갖는 보이드(S2)(도 6 참조)와 연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는 외부 케이스(10)의 중심축(C2)으로부터 외부 케이스(10)의 후면(10a)을 향해서 편향된다.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는 칫솔 헤드(5)의 개방된 기저측 단부에서부터 칫솔 헤드(5)로 장착된다. 케이스 중간부(16)에서, 칫솔 헤드(5)측에서 상기 단부는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와 함께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케이스 중간부(16)의 전면벽(10d)은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의 전면벽(10d)의 전면측에 배치된다. 이것은 케이스 중간부(16)와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 사이의 경계에서 단차를 형성하게 한다. 칫솔 헤드(5)는 본체 케이스(2)에 부착되어서, 칫솔 헤드(5)의 기저측 단부의 단부면(53)은 상기 단차의 단부면을 향한다.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내부 케이스(20)의 전면벽(20d)은 모터(M)의 상기 전면측에 배치된다. 외부 케이스(10)의 전면벽(10d)은 내부 케이스(20)의 전면벽(20d)의 상기 전면측에 배치된다. 칫솔 헤드(5)의 전면벽(5d)은 전면벽(10d)의 상기 전면측에 배치된다.
관통구(12)는 외부 케이스(10)의 전면(10b)을 통과하여 연장한다. 관통구(12)는 탄성 스위치 부재(13)에 의해서 닫힌다. 스위치 부재(13)는 탄성 수지에 의해서 형성되고, 관통구(12)의 가장자리로 결합된다. 사용자는 스위치 부재(13)를 보이드(S2)로 밀 수 있다.
외부 케이스(10)의 보이드들(S1, S2)은 내부 케이스(20)를 수용한다. 내부 케이스(20)는 일반적으로 중심 위치에서 모따기된 사각형 관의 형태를 갖는 트렁크(trunk)(21)를 포함한다. 트렁크(21)는 외부 케이스(10)의 내주면의 형상과 동일한 프로파일을 가진다. 상기 원위측에서 트렁크(21)의 약 절반은 외부 케이스(10)의 보이드(S2) 내에 배치된다.
트렁크(21)는 바닥을 갖는 관형 몸체의 절반을 절단하고, 상기 후면측을 개방하여 형성된 전지 수용부(22)를 정의하는 기저측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원위측에서 트렁크(21)의 약 절반이 외부 케이스(10)의 보이드(S2) 내에 배치될 때, 전지 수용부(22)는 외부 케이스(10) 내에 수용되지 않고, 외부 케이스(10)로부터 기저 방향(L2)으로 노출된다. 트렁크(21)로부터 연장된 음극 단자 스프링(24) 및 양극 단자 피팅(23)은 전지 수용부(22) 내에 배치된다. 전지(B)는, 예를 들어 AAA 전지는, 전지 수용부(22) 내에 양극 단자 피팅(23) 및 음극 단자 스프링(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수용되고 고정된다.
트렁크(21)의 원위측 면은 기판 체결부(25)를 정의한다. 상기 원위측에서 트렁크(21)의 약 절반이 외부 케이스(10)의 보이드(S2) 내에 배치될 때, 기판 체결부(25)는 외부 케이스(10) 내에 배치된 스위치 부재(13)를 향하도록 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프린트 배선 기판(26)은 기판 체결부(25)에 고정된다. 양극 단자 피팅(23) 및 음극 단자 스프링(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SW)는 프린트 배선 기판(26)에 장착된다. 프린트 배선 기판(26)은 외부 케이스(10) 내에 배치된 스위치 부재(13)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스위치 부재(13)가 손가락으로 눌러질 때, 스위치(SW)는 눌러진 스위치 부재(13)에 의해서 켜지고 꺼진다.
기판 체결부(25)의 원위측 면은 바닥을 갖는 관형 몸체의 절반을 절단하고 상기 후면측을 개방하여 형성된 모터 수용부(27)를 포함한다. 트렁크(21)가 트렁크(21)의 외부 케이스(10)의 보이드(S2) 내에 배치될 때, 모터 수용부(27)는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의 보이드(S1) 내에 배치된다. 모터 수용부(27)가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의 보이드(S1) 내에 배치될 때, 모터 수용부(27)의 외주면은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의 내주면과 밀접하게 접촉한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수용부(27)는 모터(M)를 수용한다. 모터 수용부(27)가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의 보이드(S1) 내에 배치될 때, 모터 수용부(27)로부터 노출된 모터(M)의 상기 외주면은 전달 부재로 역할을 하는 스페이서(28)를 통해서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모터(M)의 회전 샤프트(MC)는 그립 케이스(4)의 중심축(C2)으로부터 후면측을 향해서 배치된다. 추가적으로, 회전 샤프트(MC)는 모터 수용부(27)의 상기 원위 방향의 표면으로부터 보이드(S1)로 돌출된다. 편심 중량(eccentric weight)(29)은 회전 샤프트(MC)의 돌출부에 고정된다.
모터(M)의 전측 외면(front outer surface)은 내부 케이스(20)의 전면벽(20d)과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28)는 모터(M)의 후측 외면(rear outer surface)과 내부 케이스(20)의 후면벽(20c) 사이에 배치된다. 스페이서(28)는 양쪽 외부 케이스(10)의 후면벽(10c)과 모터(M)에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내부 케이스(20)의 전면벽(20d)은 모터(M)의 전면측에 배치된다. 외부 케이스(10)의 전면벽(10d)은 내부 케이스(20)의 전면벽(20d)의 전면측에 배치된다. 칫솔 헤드(5)의 전면벽(5d)은 외부 케이스(10)의 전면벽(10d)의 전면측에 배치된다. 스페이서(28)는 모터(M)의 후면측에 배치된다. 외부 케이스(10)의 후면벽(10c)은 스페이서(28)의 후면측에 배치된다. 칫솔 헤드(5)의 후면벽(5c)은 외부 케이스(10)의 후면측에 배치된다.
스위치(SW)는 내부 케이스(20)의 전면벽(20d) 상에 배치된다. 내부 케이스(20) 내에서, 스위치(SW)는 그립 케이스(4)의 중심축(C3)을 기준으로, 스페이서(28)가 배치된 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에 배치된다.
프린트 배선 기판(26) 상에 장착된 스위치(SW)가 켜질 때, 모터(M)는 전지(B)로부터 전압을 인가받고, 회전한다. 모터(M)가 회전할 때, 회전 샤프트(MC)에 고정된 편심 중량(29)은 회전 샤프트(MC)에 대해서 편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편심 회전은 회전 샤프트(MC)를 흔들고, 모터 수용부(27) 내에 수용되고 고정된 모터(M)를 진동시킨다. 모터(M)의 진동은 모터 수용부(27)를 통해서 모터 수용부(27)와 밀접하게 접촉하는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로 전달된다.
외부 케이스(10) 내에 배치된, 상기 원위측에서 내부 케이스(20)의 트렁크(21)의 상기 외주면의 절반은 외부 케이스(10) 내에 배치되지 않은 상기 기저측에서 다른 절반보다 작은 지름을 가진다. 이에 따라, 내부 케이스(20)의 모터 수용부(27)가 외부 케이스(10)의 상기 원위측 절반 내의 보이드(S1) 내에 배치되고, 내부 케이스(20)의 기판 체결부(25)가 보이드(S2) 내에 배치될 때, 트렁크(21)의 상기 기저측 절반의 외주면은 외부 케이스(10)의 내주면에 결합한다. 이것은 내부 케이스(20)의 추가적인 움직임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내부 케이스(20)는 트렁크(21)의 상기 원위측 절반이 외부 케이스(10) 내에 배치되고, 트렁크(21)의 기저측 절반 및 전지 수용부(22)가 외부 케이스(10)로부터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원위측 환형 그루브(distal annular groove)(30)는 트렁크(21)의 상기 원위측 절반의 상기 외주면에 형성된다. 제2 탄성 부재로 역할하는 실 링(R1)은 원위측 환형 그루브(30) 내에 장착된다. 고무 오-링에 의해서 형성된 실 링(R1)은 원위측 환형 그루브(30)에 장착된 상태에서 트렁크(2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외부 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내부 케이스(20)(트렁크(21))가 외부 케이스(10) 내에 배치될 때, 원위측 환형 그루브(30)의 실 링(R1)은 외부 케이스(10)의 상기 내주면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변형되므로, 내부 케이스(20)(트렁크(21)) 및 외부 케이스(10) 사이의 상기 공간은 수밀(watertight)되고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10)의 상기 기저측 단부의 단부면으로 역할을 하는 개방 단부면(15) 및 그립 케이스(4)의 원위측 단부의 개방 단부면(41)은 서로 마주보도록 향한다. 기저측 환형 그루브(31)는 트렁크(21)의 상기 기저측 절반의 상기 원주면 내에 형성되고, 탄성 부재로 역할을 하는 탄성 링(R2)은 기저측 환형 그루브(31) 내에 장착된다. 탄성 링(R2)은 탄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링이다. 본 실시예는 밀봉 부재로 이용되는 고무 오-링을 사용한다. 탄성 링(R2)은 기저측 환형 그루브(31)에 장착된 상태에서 트렁크(2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외부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본체 케이스(2)는 상기 기저측에서 그립 케이스(4)에 부착되고, 상기 원위측에서 칫솔 헤드(5)에 부착된다.
그립 케이스(4)는 ABS 수지로부터 형성된 모따기된 바닥을 갖는 사각형 관의 형태를 갖는 케이스이다. 본체 케이스(2) 내에서 내부 케이스(20)의 전지 수용부(22)는 원위측 홀(hole)에서부터 그립 케이스(4) 내부로 배치된다. 그립 케이스(4)의 상기 원위측 홀의 상기 내주면의 형상은 트렁크(21)의 상기 기저측 절반의 상기 외주면의 형상과 일치하므로, 트렁크(21)의 상기 기저측 절반은 상기 그립 케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케이스(10)는 그립 케이스(4) 내에 배치되지 않고, 외부 케이스(10)의 개방 단부면(15)은 그립 케이스(4)의 개방 단부면(41)과 접촉한다. 그립 케이스(4)는 외부 케이스(10)보다 큰 외부 지름을 가진다. 따라서 외부 케이스(10)의 개방 단부면(15)과 그립 케이스(4)의 개방 단부면(41)이 연결될 때, 그립 케이스(4)의 상기 외주면은 외부 케이스(10)의 상기 외주면에서부터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외부측에 노출된 그립 케이스(4)의 개방 단부면(41)은 단차면(41a)을 정의한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링(R2)은 그립 케이스(4)의 상기 원위측 단부의 상기 내주면과 내부 케이스(20)의 상기 외면 사이에 배치된다. 내부 케이스(20)(트렁크(21))가 그립 케이스(4) 내에 배치될 때, 기저측 환형 그루브(31)의 탄성 링(R2)은 그립 케이스(4)의 상기 원위측 홀의 상기 내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서, 내부 케이스(20)(트렁크(21)) 및 그립 케이스(4) 사이의 공간은 수밀되고,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본체 케이스(2)를 그립 케이스(4)에 부착하는 것은 그립 케이스(4)와 함께 전동 칫솔(1)의 그립을 형성하고, 또한 그립 케이스(4)와 함께 전지 수용부(22) 내에 수용되고 고정되는 전지(B)를 밀폐하여 수용한다.
그립 케이스(4)를 직접적으로 향하는 내부 케이스(20)의 전면벽(20d)의 부분의 길이가 길이 P로 표현되고, 그립 케이스(4)를 직접적으로 향하는 내부 케이스(20)의 후면벽의 부분의 길이가 길이 Q로 표현될 때, 길이 Q는 길이 P보다 작다.
본체 케이스(2)의 상기 원위측에 부착된 칫솔 헤드(5)는 고정부(51)를 포함한다. 칫솔모들(52)은 고정부(51)의 상기 원위측 단부에 내장된다. 고정부(51)의 기저측 단부는 외부 케이스(10)의 프로파일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프로파일을 갖는다. 고정부(51)의 기저측 단부면(53)은 맞춤 홀(fitting hole)(54)을 포함한다. 외부 케이스(10) 상에 형성된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는 제거가 가능한 방식으로 맞춤 홀(54)로 압입된다.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가 압입될 때, 맞춤 홀(54)의 상기 내주면은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의 외주면과 밀접하게 접촉한다. 따라서 모터 수용부(27)를 통해서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로 전달되는 모터(M)의 진동은 칫솔 헤드(5)의 고정부(51)를 통해서 상기 원위측 단부에서 칫솔모들(52)로 전달된다.
고정부(51)는 상기 기저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원위측 단부를 향할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51b)은 후면(51a)에 근접하고, 상기 좌측 및 우측면들이 서로 근접하도록 고정부(51)가 형성된다. 즉, 고정부(51)의 상기 원위측 단부가 배치되므로, 원위측 후면(51a)은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의 중심축(C1)으로부터 후측이고, 외부 케이스(10)의 후면(10a)으로부터 전측에 배치되고, 내장된 칫솔모들(52)의 팁들(tips)은 외부 케이스(10)의 전면(10b)에서부터 외부로 연장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고정부(51)의 전면(51b)은 후면(51a)에 근접하여 후측으로 배치되므로, 고정부(51)의 상기 원위측 단부는 후측 위치에 배치된다. 고정부(51)의 전면이 외부로 연장되지 않으므로, 치아를 칫솔질 할 때, 상기 치아는 칫솔질을 어렵게 하는 그러한 외부로 연장된 부분과 부딪치지 않는다.
상기 절개 단면에서, 전면벽들(10d, 20d)은 두께 X1을 가지고, 칫솔 헤드(5)의 전면벽(5d)은 두께 Y1을 가지며, 본체 케이스(2)의 후면벽들(10c, 20c)은 두께 X2를 가지고, 칫솔 헤드(5)의 후면벽(5c)은 두께 Y2를 가진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 헤드(5)의 상기 기저측 단부의 단부면(53) 및 단부면(53)을 포함하고 이에 평행한 평면에서, 두께 X1과 두께 Y1을 합함으로써 얻어진 두께는 두께 X2와 두께 Y2를 합함으로써 얻어진 두께보다 크다.
칫솔 헤드(5)에서, 상기 기저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원위측 단부까지 전면(51b)의 길이는 길이 V로 표시되고, 상기 기저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원위측 단부까지 후면(51a)의 길이는 길이 W로 표시되며, 후면(51a)의 길이 W는 전면(51b)의 길이 V보다 작다. 추가적으로, 칫솔 헤드(5)의 전면벽(5d)은 모터(M)에 대응하는 위치에 중공부(55)를 포함한다.
진동 소스인 모터(M)는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 내에 수용되고,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는 칫솔 헤드(5)의 고정부(51)로 압입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51)의 원위측 단부는 본체 케이스(2)에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에 대응하는 길이(브러시 설치 샤프트 튜브(11)와 고정부(51)가 겹쳐진 부분)만큼 근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동 칫솔(1)의 전체 길이는 축소될 수 있으므로, 전동 칫솔(1)은 우수한 휴대성을 가지며, 파우치 또는 포켓에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도시된 예와 같이 전체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가 칫솔 헤드(5)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2)에 부착된 칫솔 헤드(5)는 캡(6) 내에 수용된다. ABS 수지로부터 형성된 모따기된 바닥을 갖는 사각형 관을 가지는 케이스인 캡(6)은 본체 케이스(2)에 제거가 가능한 방식으로 부착된다. 캡(6)이 본체 케이스(2)에 부착될 때, 칫솔 헤드(5)의 상기 기저측 단부의 외주면은 캡(6)에 의해서 커버된다.
칫솔 헤드(5) 및 본체 케이스(2)는 캡(6)의 상기 기저측 개구로 장착되고, 캡(6) 내에 배치된다. 캡(6)의 상기 기저측 개구에서 상기 내주면은 본체 케이스(2)의 상기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캡(6)이 본체 케이스(2)에 부착될 때, 캡(6)의 기저측은 그립 케이스(4)의 개방 단부면(41)(단차면(41a))과 접촉한다. 이것은 본체 케이스(2)의 추가적인 이동을 한정한다.
캡(6)은 그립 케이스(4)의 프로파일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프로파일을 가진다. 캡(6)이 본체 케이스(2)에 부착될 때,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캡(6)의 상기 외주면은 그립 케이스(4)의 외주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캡(6)과 그립 케이스(4)의 경계는 눈이 띄지 않는다. 즉, 캡(6)이 본체 케이스(2)에 장착된 상태에서, 기저측 단부면(61)의 측에서 캡(6)의 상기 외주면과 개방 단부면(41)의 측에서 상기 외주면은 연속된 표면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전동 칫솔(1)의 상기 외주면은 매끈하다. 이에 따라, 전동 칫솔(1)이 파우치 또는 포켓 내에 수용될 때, 전동 칫솔(1)은 주변에 걸리지 않고, 캡(6)은 벗겨지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캡(6)이 본체 케이스(2)에 부착될 때, 본체 케이스(2) 상에 배치된 스위치 부재(13)는 캡(6) 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전동 칫솔(1)이 파우치 또는 포켓 내에 수용될 때, 스위치 부재(13)는 오류에 의해서 켜지지 않는다.
전동 칫솔(1)의 장점이 지금 설명될 것이다.
(1) 본 실시예에서, 제거가 가능한 방식으로 칫솔 헤드(5)(고정부(51))에 부착된 관형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는 본체 케이스(2)의 상기 원위측 단부 상에 배치되고, 편심 중량(29)에 부착되며 진동을 발생시키는 모터(M)는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칫솔 헤드(5)의 상기 원위측 단부는 본체 케이스(2)에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동 칫솔(1)은 길이가 축소될 수 있고, 파우치 또는 포켓에 용이하기 수용될 수 있으므로 우수한 휴대성을 가진다.
(2) 본 실시예에서, 칫솔 헤드(5)(고정부(51))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편심 중량(29)이 부착된 모터(M) 내에 배치된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에 부착된다. 따라서 칫솔 헤드(5)의 원위측 단부에 내장된 칫솔모들(51)은 모터(M)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모터의 상기 진동의 감쇠를 억제하고, 상기 진동은 효과적으로 칫솔모들(52)에 전달된다. 이것은 치아 칫솔질 효율을 향상시킨다.
(3) 본 실시예에서, 진동을 형성하고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 내에 배치된 모터(M)는 손에 의해서 유지되고 고정되는 그립 케이스(4)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것은 칫솔 헤드(5)의 원위측 단부의 움직임이 확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추가적으로 치아 칫솔질 효율을 향상시킨다.
(4) 본 실시예에서,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는 본체 케이스(2)의 후면(10a)을 향해서 편향되고, 칫솔모들(52)을 고정하는 고정부(51)의 상기 기저측 단부의 상기 전면은 후면(51a)을 향해서 후측으로 배치된다. 추가적으로, 칫솔 헤드(5)의 고정부(51)는 상기 기저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원위측 단부를 향할수록 좁아진다. 또한, 고정부(51)의 상기 전면은 후면(51a)에 근접하여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고정부(51)의 상기 전면이 외부로 연장되지 않으므로, 치아를 칫솔질 할 때, 상기 치아는 칫솔질을 어렵게 하는 그러한 외부로 연장된 부분과 부딪치지 않는다.
(5) 본 실시예에서, 본체 케이스(2)는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를 포함하는 외부 케이스(10) 및 모터(M)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27)를 일 단부에 포함하고 전지(B)를 수용하는 전지 수용부(22)를 타 단부에 포함하는 내부 케이스(20)에 의해서 형성된다. 따라서 단지 외부 케이스(10) 내에 내부 케이스(20)를 수용함으로써 모터 수용부(27)는 외부 케이스(10)의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로 압입되고, 모터(M)의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11)로의 연결은 용이해 진다.
(6) 본 실시예에서, 탄성 링(R2)은 본체 케이스(2), 또는 내부 케이스(20)의 트렁크(21)와 그립 케이스(4) 사이에 배치된다. 내부 케이스(20)(트렁크(21))가 그립 케이스(4) 내에 배치될 때, 탄성 링(R2)은 그립 케이스(4)의 상기 원위측 개구의 상기 내면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변형되므로, 내부 케이스(20)와 그립 케이스(4) 사이의 공간은 수밀(watertight)되고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탄성 링(R2)은 내부 케이스(20)의 모터 수용부(27) 내에 수용된 모터(M)의 상기 진동이 그립 케이스(4)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고, 상기 진동은 집중적으로 칫솔 헤드(5)측으로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칫솔질 성능은 추가적으로 향상되고, 그립 케이스(4)를 잡고 있는 손으로 전달되는 상기 진동은 감소하며, 상기 치아는 편안하게 칫솔질된다.
게다가, 탄성 링(R2)은 밀봉 성능을 가진다. 이에 따라, 물을 이용하여 세척될 때, 물이 그립 케이스(4)와 내부 케이스(20) 사이를 통해서 본체 케이스(2)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7) 본 실시예에서, 실 링(R1)은 본체 케이스(2)의 외부 케이스(10)와 내부 케이스(20)의 트렁크(21) 사이에 배치된다. 물을 이용하여 전동 칫솔(1)을 세척할 때, 물이 외부 케이스(10)와 내부 케이스(20) 사이를 통해서 본체 케이스(2)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게다가, 내부 케이스(20)의 모터 수용부(27) 내에 수용된 모터(M)의 진동이 실 링(R1)을 통해서 외부 케이스(10)로 전달되는 것이 억제되고, 칫솔 헤드(5)측에 집중적으로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치아 칫솔질 성능이 추가적으로 향상될 수 있고, 외부 케이스(10)를 잡고 있는 손에 전달되는 상기 진동은 감소되며, 상기 치아는 편안하게 칫솔질된다.
(8) 본 실시예에서, 본체 케이스(2)에 부착된 칫솔 헤드(5)는 사용되지 않을 때 캡(6) 내에 수용된다. 전동 칫솔(1)을 휴대할 때, 칫솔 헤드(5)(칫솔모들(52))는 주위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것은 칫솔 헤드(5)가 불결해지거나, 파우치, 포켓 등에서 불결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위생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추가적으로, 칫솔모들(52)은 변형되지 않고 보호될 수 있으며, 높은 문지름(rubbing) 성능이 유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스위치 부재(13)는 외부에 의해서 오류로 작동되지 않는다.
게다가, 본체 케이스(2)에 부착될 때, 캡(6)의 프로파일은 전동 칫솔(1)의 상기 외주면이 그립 케이스(4)의 상기 외주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전동 칫솔(1)의 상기 외주면은 매끈하다. 이에 따라, 파우치 또는 포켓 내에 수용될 때, 전동 칫솔(1)은 외부에 의해서 걸리지 않고, 캡(6)은 벗겨지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는 아래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본체 케이스(2)는, 외부 케이스(10)와 내부 케이스(20), 2개의 부재들로 형성된다. 하지만, 외부 케이스(10)와 내부 케이스(20)는 일체로 형성되어서 본체 케이스(2)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구성요소들의 개수를 감소시키고, 실 링(R1)을 생략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탄성 링(R2)은 내부 케이스(20)의 트렁크(21)와 그립 케이스(4) 사이에 배치된다. 링 대신에, 탄성 부재들이 상기 원주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틈들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탄성을 가지고, 물에서 밀봉 성능을 갖는 오-링은 내부 케이스(20)의 트렁크(21) 및 그립 케이스(4) 사이에 배치된 탄성 링(R2)으로 사용된다. 대신에, 단지 탄성을 가지고, 물에 대해서 밀봉 성능을 갖지 않는 탄성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탄성 링(R2)은 그립 케이스(4)와 본체 케이스(2)의 내부 케이스(20) 사이에 배치된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2)의 외부 케이스(10) 내에서 상기 기저측 단부는 그립 케이스(4) 내로 삽입될 수 있고, 탄성 링(R2)에 대응하는 탄성 링(R3)은 그립 케이스(4)와 외부 케이스(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1: 전동 칫솔 2: 본체 케이스
4: 그립 케이스 5: 칫솔 헤드
5c: 후면벽 5d: 전면벽
6: 캡 10: 외부 케이스
10c: 후면벽 10d: 전면벽
11: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 11a: 상부 벽
16: 케이스 중간부 20: 내부 케이스
20c: 후면벽 20d: 전면벽
22: 전지 수용부 27: 모터 수용부
28: 스페이서 (전달 부재) 41: 개방 단부면
51a: 후면 51b: 전면
52: 칫솔모들 55: 중공부
61: 하부 단부면(개방된 단부면) C1: 중심축
C3: 중심축 B: 전지
M: 모터 MC: 회전 샤프트
R1: 실 링(seal ring)(제2 탄성 부재, 그립 측 실 부재)
R2: 실 링(탄성 부재, 그립 측 실 부재)
SW: 스위치

Claims (27)

  1. 편심 중량을 포함하는 모터에 의해서 형성되는 진동 발생기;
    원위측에 상기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 및 기저측에 모터 구동 전지를 수용하는 전지 수용부를 포함하는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원위측 단부(distal end portion)에 제거가 가능한 방식으로 부착된 칫솔 헤드;
    상기 본체 케이스의 기저측 단부(basal end portion)를 수납하고, 상기 전지 수용부를 수용하는 그립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에 부착된 상기 칫솔 헤드를 수납하며, 상기 그립 케이스의 개방 단부면과 접촉하는 개방 단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칫솔 헤드를 수용하는 캡; 및
    상기 그립 케이스에 의해서 수납된 상기 본체 케이스와 상기 그립 케이스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동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는 상기 칫솔 헤드에 제거가 가능한 방식으로 부착된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brush attachment shaft tube)를 포함하는 외부 케이스 및 일 단부에 상기 모터 수용부를 포함하고 타 단부에 상기 전지 수용부를 포함하는 내부 케이스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 수용되므로, 상기 모터 수용부는 상기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 내로 압입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기 전지 수용부와 상기 그립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밀봉 기능을 갖는 오-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된 제2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밀봉 기능을 갖는 오-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이 상기 본체 케이스에 장착될 때, 개방 단부면 측에서 상기 캡의 외주면 및 개방 단부면 측에서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은 연속된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7. 칫솔모들을 포함하는 칫솔 헤드;
    상기 칫솔 헤드가 제거 가능한 방식으로 부착된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서 상기 칫솔 헤드로 진동을 가하는 모터;
    상기 본체 케이스의 외벽 내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을 개시하거나 정지시키는 스위치;
    상기 본체 케이스의 기저측 단부에 부착된 그립 케이스; 및
    상기 본체 케이스와 상기 모터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모터의 진동을 상기 본체 케이스로 전달하는 전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가 상기 본체 케이스 내에서 상기 그립 케이스의 중심축에 대하여 상기 전달 부재의 측에 대향하는 부분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칫솔모들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 샤프트와 평행한 절개 단면(cross-sectional plane)은 절개 측단면(cross-sectional side plane)을 정의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모들의 원위측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중심축의 측면은 전면측(front side)으로 정의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전면측에 대향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상기 중심축의 측면은 후면측(rear side)을 정의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본체 케이스 및 상기 칫솔 헤드의 전면측의 벽들은 각기 전면벽들로 정의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본체 케이스 및 상기 칫솔 헤드의 후면측의 벽들은 각기 후면벽들로 정의될 때;
    상기 스위치는 상기 모터의 후면측 외면과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후면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전면벽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전면측 외면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전면벽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칫솔모들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 샤프트에 평행한 절개 단면은 절개 측단면을 정의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모들의 원위측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중심축의 측면은 전면측으로 정의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전면측에 대향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상기 중심축의 측면은 후면측을 정의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측의 벽들은 각기 전면벽들로 정의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면측의 벽들은 각기 후면벽들로 정의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전면벽의 외면은 전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후면벽의 외면은 후면으로 정의되며, 상기 칫솔모들의 측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단부는 원위측 단부로 정의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단부는 기저측 단부로 정의되며, 상기 칫솔 헤드에서 상기 기저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원위측 단부까지의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전면의 길이는 길이 V로 표현되며, 상기 칫솔 헤드에서 상기 기저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원위측 단부까지의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후면의 길이는 길이 W로 표현될 때,
    상기 길이 W는 상기 길이 V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칫솔모들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 샤프트에 평행한 절개 단면은 절개 측단면을 정의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모들의 원위측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중심축의 측면은 전면측으로 정의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전면측에 대향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상기 중심축의 측면은 후면측을 정의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측의 벽들은 각기 전면벽들로 정의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면측의 벽들은 각기 후면벽들로 정의될 때;
    상기 본체 케이스는 상기 칫솔 헤드 측에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단부를 포함하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모터를 부착하는데 이용되는 모터 수용부를 포함하는 내부 케이스를 결합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모터 및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후면벽 양쪽에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기 전면벽은 상기 모터의 전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전면벽은 상기 내부 케이스의 전면벽의 전면측에 배치되며,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전면벽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전면벽의 전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모터의 후면측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 케이스의 후면벽은 상기 전달 부재의 후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후면벽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후면측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13.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칫솔모들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 샤프트에 평행한 절개 단면은 절개 측단면을 정의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모들의 원위측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중심축의 측면은 전면측으로 정의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전면측에 대향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상기 중심축의 측면은 후면측을 정의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측의 벽들은 각기 전면벽들로 정의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면측의 벽들은 각기 후면벽들로 정의되며, 상기 칫솔모들의 측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단부는 원위측 단부로 정의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단부는 기저측 단부로 정의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전면벽의 두께는 두께 X1로 표현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전면벽의 두께는 두께 Y1로 표현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후면벽의 두께는 두께 X2로 표현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후면벽의 두께는 두께 Y2로 표현될 때;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기저측 단부의 단부면에 평행하고 상기 단부면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상기 두께 X1과 상기 두께 Y1을 합하여 얻어진 두께는 상기 두께 X2와 상기 두께 Y2를 합하여 얻어진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14. 제 7 항 내지 제 13 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칫솔모들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 샤프트에 평행한 절개 단면은 절개 측단면을 정의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모들의 원위측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중심축의 측면은 전면측으로 정의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전면측에 대향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상기 중심축의 측면은 후면측을 정의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측의 벽들은 각기 전면벽들로 정의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면측의 벽들은 각기 후면벽들로 정의될 때;
    중공부는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전면벽 내에서 상기 모터에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15. 진동 소스로 역할을 하는 모터 및 본체 케이스의 원위측 단부에 부착되고 그 내부에 내장된 칫솔모들을 구비하는 칫솔 헤드를 수용하는 상기 본체 케이스,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원위측 단부에 대향하는 단부인, 상기 본체 케이스의 기저측 단부에 부착된 그립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동 칫솔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칫솔모들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 샤프트에 평행한 절개 단면이 절개 측단면을 정의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모들의 원위측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중심축의 측면은 전면측으로 정의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전면측에 대향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상기 중심축의 측면은 후면측을 정의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측의 벽은 전면벽으로 정의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면측의 벽은 후면벽으로 정의될 때, 상기 그립 케이스를 직접적으로 향하는 상기 전면벽 내의 부분의 길이는 길이 P로 표현되고, 상기 그립 케이스를 직접적으로 향하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기 후면벽 내의 부분의 길이는 길이 Q로 표현될 때; 상기 길이 Q는 상기 길이 P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후측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전면측의 외면은 전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후면측의 외면은 후면으로 정의되며, 상기 칫솔모들의 측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단부는 원위측 단부로 정의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단부는 기저측 단부로 정의되며, 상기 칫솔 헤드에서 상기 기저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원위측 단부까지의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전면의 길이는 길이 V로 표현되며, 상기 칫솔 헤드에서 상기 기저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원위측 단부까지의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후면의 길이는 길이 W로 표현될 때, 상기 길이 W는 상기 길이 V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18. 진동 소스로 역할을 하는 모터를 수용하는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에 부착된 칫솔 헤드;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기저측 단부에 부착된 그립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동 칫솔에 있어서,
    상기 칫솔 헤드를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원위측 단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가 상부 벽에 의해서 닫힌 원위측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로부터 제거가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본체 케이스에 부착되며, 상기 칫솔 헤드를 덮는 캡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들의 측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단부는 원위측 단부로 정의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단부는 기저측 단부로 정의될 때,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기저측 단부의 외주면은 상기 캡에 의해서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들의 측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단부는 원위측 단부로 정의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단부는 기저측 단부로 정의될 때, 상기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는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기저측 단부에서 개구에서부터 상기 칫솔 헤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22. 제 18 항 내지 제 21 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는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를 포함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를 포함하는 내부 케이스를 결합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모터 수용부는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23. 제 22 항에 있어서, 본체 밀봉 부재가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케이스는 상기 본체 케이스에 부착되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기저측 단부의 단부면과 상기 그립 케이스의 기저측 단부의 단부면을 서로 마주보도록 향하며, 상기 본체 밀봉 부재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기저측 단부의 내주면과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25. 상기 모터의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칫솔모들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 샤프트에 평행한 절개 단면은 절개 측단면을 정의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모들의 원위측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중심축의 측면은 전면측으로 정의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전면측에 대향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상기 중심축의 측면은 후면측을 정의하며, 상기 그립 케이스의 상기 중심축을 따라 연장하는 방향으로 상기 그립 케이스와 상기 칫솔 헤드 사이에 배치된 상기 외부 케이스의 부분은 케이스 중간부를 정의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 및 상기 케이스 중간부의 전면벽들이 전면벽들을 정의할 때;
    상기 케이스 중간부 내에서 상기 칫솔 헤드측 단부는 상기 케이스 중간부 내에서 상기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와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 중간부의 상기 전면벽은 상기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의 상기 전면벽의 상기 전면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케이스 중간부와 상기 브러시 부착 샤프트 튜브 사이의 경계에서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칫솔 헤드는 상기 본체 케이스에 부착되어서, 상기 칫솔 헤드의 기저측 단부의 단부면이 상기 단차의 단부면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26. 제 22 항 내지 제 25 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는 전지가 부착된 전지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지 수용부는 상기 그립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그립측 밀봉 부재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원위측 단부의 내주면과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27. 제 22 항 내지 제 26 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칫솔 헤드의 칫솔모들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 샤프트에 평행한 절개 단면은 절개 측단면을 정의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칫솔모들의 원위측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중심축의 측면은 전면측으로 정의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전면측에 대향하는, 상기 그립 케이스의 상기 중심축의 측면은 후면측을 정의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외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 및 상기 칫솔 헤드의 전면측의 벽들은 각기 전면벽들로 정의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외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 및 상기 칫솔 헤드의 후면측의 벽들은 각기 후면벽들로 정의되며,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전면벽의 외면은 전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후면벽의 외면은 후면으로 정의되며,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칫솔모들의 측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단부는 원위측 단부로 정의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단부는 기저측 단부로 정의될 때;
    상기 절개 측단면에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기 전면벽은 상기 모터의 전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전면벽은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기 전면벽의 전면측에 배치되며, 상기 칫솔 헤드의 상기 전면벽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전면벽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KR1020127014018A 2009-12-25 2010-12-15 전동 칫솔 KR201200791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94635A JP5547468B2 (ja) 2009-12-25 2009-12-25 電動歯ブラシ
JPJP-P-2009-294635 2009-1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167A true KR20120079167A (ko) 2012-07-11

Family

ID=44195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018A KR20120079167A (ko) 2009-12-25 2010-12-15 전동 칫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38839B2 (ko)
EP (1) EP2517667B1 (ko)
JP (1) JP5547468B2 (ko)
KR (1) KR20120079167A (ko)
CN (2) CN102791221B (ko)
RU (1) RU2506058C1 (ko)
WO (1) WO201107801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314B1 (ko) * 2016-01-13 2016-07-14 이승민 전동칫솔
WO2019103501A1 (ko) * 2017-11-24 2019-05-31 주식회사 블루레오 구강 세정기
KR20200014592A (ko) * 2018-08-01 2020-02-11 주식회사 에드코스 일체형 칫솔 헤드부가 구비된 슬림형 진동칫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8145A (ko) * 2011-07-12 2014-03-07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칫솔 및 칫솔 손잡이
JP5845759B2 (ja) * 2011-09-15 2016-01-20 サンスター株式会社 キャップ付き歯ブラシ
JP5975247B2 (ja) * 2011-10-19 2016-08-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口腔衛生装置
JP5927551B2 (ja) * 2011-10-19 2016-06-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口腔衛生装置
JP5927577B2 (ja) * 2011-10-19 2016-06-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口腔衛生装置
JP5938723B2 (ja) * 2011-11-22 2016-06-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口腔衛生装置
JP5917263B2 (ja) * 2012-04-24 2016-05-11 光雄 月野 電動歯ブラシ
JP2014140776A (ja) * 2014-05-13 2014-08-07 Panasonic Corp 電動歯ブラシ
CN104438207A (zh) * 2014-12-26 2015-03-25 朱冠宇 一种用于中药洗药机的洗药筒
AU363828S (en) * 2015-02-27 2015-08-26 Colgate Palmolive Co Electric toothbrush
EP3291763B1 (de) 2015-05-04 2019-05-15 Trisa Holding AG Elektrogerät für die körperpflege
JP6115843B2 (ja) * 2016-02-17 2017-04-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口腔衛生装置
US10582764B2 (en) 2016-11-14 2020-03-10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system and method
US11043141B2 (en) 2016-11-14 2021-06-22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system and method
US11213120B2 (en) 2016-11-14 2022-01-04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system and method
US10835028B2 (en) 2016-11-14 2020-11-1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system and method
US11361672B2 (en) 2016-11-14 2022-06-14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system and method
US10966807B1 (en) * 2017-06-20 2021-04-06 Salina Arafat Electric toothbrushes
CN107349025A (zh) * 2017-08-11 2017-11-17 宁波市思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的声波振动牙刷
USD893881S1 (en) 2017-11-17 2020-08-2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apparatus
USD858105S1 (en) 2017-11-17 2019-09-0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858997S1 (en) 2017-11-17 2019-09-10 Colgate-Palmolive Company Tracking module for an oral care implement
CN108784872A (zh) * 2018-06-12 2018-11-13 三椒口腔健康股份有限公司 一种降低手柄振动的电动牙刷
GB201906671D0 (en) * 2019-05-12 2019-06-26 Stylideas Ltd Electric toothbrush with at least one light source
JP7406981B2 (ja) * 2019-12-24 2023-12-28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用アタッチメント
USD972302S1 (en) 2020-03-13 2022-12-13 Ranir, Llc Toothbrush drive unit
JP7165885B2 (ja) 2021-04-08 2022-11-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およびパーソナルケアキット
WO2022255857A1 (en) * 2021-05-31 2022-12-08 Joo Koi Lai A vibrational oral care apparatus with improved safety featur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222U (ko) * 1987-06-30 1989-01-11
JPH0642661Y2 (ja) * 1988-06-14 1994-11-09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
JPH0642661U (ja) 1992-11-11 1994-06-07 大倉工業株式会社 組立の容易なパレット
JP2565883Y2 (ja) * 1993-05-27 1998-03-25 サンスター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
JP2937756B2 (ja) * 1994-06-10 1999-08-23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充電式電動歯ブラシ
EP0691107A1 (en) * 1994-06-10 1996-01-10 Kitano Co., Ltd. Electric toothbrush
JPH08358A (ja) 1994-06-17 1996-01-09 Shoichi Inoue 電気ハブラシ
JP2615374B2 (ja) * 1994-07-01 1997-05-28 良一 小林 振動発生装置
JP3637630B2 (ja) * 1995-05-09 2005-04-13 サンスター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
JPH09168554A (ja) * 1995-12-19 1997-06-30 Eiji Okada 電動歯ブラシ
DE19627752A1 (de) * 1996-07-10 1998-01-15 Braun Ag Elektrische Zahnbürste
US6920659B2 (en) * 2001-01-12 2005-07-26 Water Pik, Inc. Toothbrush
DE10161977A1 (de) * 2001-12-17 2003-07-10 Braun Gmbh Zahnbürstenantriebswell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3800094B2 (ja) * 2002-01-18 2006-07-19 松下電工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
JP3586252B2 (ja) * 2002-02-27 2004-11-10 朝日医理科株式会社 超音波歯ブラシ
JP2004057534A (ja) * 2002-07-30 2004-02-26 Asahi Irika Kk 超音波歯ブラシ
JP2005261462A (ja) * 2004-03-16 2005-09-29 Sanyo Electric Co Ltd 電動歯ブラシ
JP2006167382A (ja) * 2004-12-14 2006-06-29 Asahi Irika Kk ブラシ部を着脱可能にした歯ブラシ
US8418300B2 (en) 2005-06-30 2013-04-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ciprocating workpiece device with a drive system seeking the resonance of the driven system portion thereof
MY165931A (en) * 2005-07-26 2018-05-18 Colgate Palmolive Co Vibrating toothbrush
JP4998012B2 (ja) 2006-08-29 2012-08-15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
EP1905382A1 (de) 2006-09-29 2008-04-02 Trisa Holding AG Elektrozahnbürste und Getriebe für eine Elektrozahnbürste
US8056176B2 (en) * 2007-01-25 2011-11-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othbrushes
JP2008212200A (ja) 2007-02-28 2008-09-18 Asahi Irika Kk 電動歯ブラシ
JP3134115U (ja) * 2007-05-25 2007-08-02 協和工業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314B1 (ko) * 2016-01-13 2016-07-14 이승민 전동칫솔
WO2017122883A1 (ko) * 2016-01-13 2017-07-20 주식회사 블루레오 전동칫솔
US10022209B2 (en) 2016-01-13 2018-07-17 Bluereo Inc. Electric toothbrush
WO2019103501A1 (ko) * 2017-11-24 2019-05-31 주식회사 블루레오 구강 세정기
KR20200014592A (ko) * 2018-08-01 2020-02-11 주식회사 에드코스 일체형 칫솔 헤드부가 구비된 슬림형 진동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78019A1 (ja) 2011-06-30
EP2517667B1 (en) 2017-06-14
JP2011130971A (ja) 2011-07-07
CN102791221B (zh) 2015-11-25
RU2506058C1 (ru) 2014-02-10
CN201920933U (zh) 2011-08-10
JP5547468B2 (ja) 2014-07-16
CN102791221A (zh) 2012-11-21
US20120233789A1 (en) 2012-09-20
EP2517667A1 (en) 2012-10-31
EP2517667A4 (en) 2013-06-19
US8938839B2 (en) 201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9167A (ko) 전동 칫솔
KR20120076379A (ko) 전동 칫솔
US9439742B2 (en) Electric toothbrush
JPWO2013141359A1 (ja) 電動歯ブラシ
JP2009125080A (ja) 電動歯ブラシ
JPH03261407A (ja) 振動歯ブラシ
JP4873095B2 (ja) 電動歯ブラシ
JP2007061209A (ja) 超音波歯ブラシ
JP3791055B2 (ja) 口腔内衛生装置
JP5059925B2 (ja) 電動歯ブラシ
JP4888606B2 (ja) 電動歯ブラシ
JP2005261462A (ja) 電動歯ブラシ
JP5298509B2 (ja) 電動歯ブラシ
JP4873096B2 (ja) 電動歯ブラシ
JP2014140776A (ja) 電動歯ブラシ
JP2012205957A (ja) 電動歯ブラシ
CN215875047U (zh) 一种电动牙刷
CN213883622U (zh) 一种改进型电动牙刷
CN212679310U (zh) 电动牙刷进水防护罩及电动牙刷
KR200357989Y1 (ko) 충격완화용 전동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