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8111A -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 Google Patents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8111A
KR20120078111A KR1020100140302A KR20100140302A KR20120078111A KR 20120078111 A KR20120078111 A KR 20120078111A KR 1020100140302 A KR1020100140302 A KR 1020100140302A KR 20100140302 A KR20100140302 A KR 20100140302A KR 20120078111 A KR20120078111 A KR 20120078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eavy
packaging
side walls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5468B1 (ko
Inventor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일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일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일팩
Priority to KR1020100140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468B1/ko
Publication of KR20120078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1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 B65D2519/00815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the pal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98Dismountabl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통해 판재 형상의 중량물을 박스 내에 견고하고 안전하게 고정하여 포장할 수 있어 운반시뿐만 아니라 적재나 하역시에도 편리하고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에 관한 것으로, 포크리프트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포크삽입홈이 형성된 파레트와, 상기 파레트의 상면 둘레를 따라 결합되고, 상방을 향해 돌출된 받침앵글과, 상기 받침앵글의 모서리 각각의 내측으로 각각의 양단이 수직연결앵글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좌우측벽 및 전후측벽과, 상기 파레트의 상부에 결합되고, 판재 형상의 중량물 각각을 고정하는 중량물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THE ASSEMBLY TYPE BOX FOR PACKAGING PLATE-SHAPED HEAVYWEIGHT PRODUCTS}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통해 판재 형상의 중량물을 박스 내에 견고하고 안전하게 고정하여 포장할 수 있어 운반시뿐만 아니라 적재나 하역시에도 편리하고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자, 상인 및 소비자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제품유통과정 및 수출입 관계에 있어서 거래되는 다종 다량의 물품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반하기 위한 수단으로 대형 용량의 중량물 포장박스가 이용된다.
이러한 중량물 포장박스는 그 수용되는 물품의 특성, 즉 파손의 유무, 제품의 종류나 형상 및 크기 등에 따라 골판지로 이루어진 종이박스, 목재로 이루어진 나무박스, 철판재로 이루어진 컨테이너 박스,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박스 등으로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중량물 포장박스는 제품이 수용된 상태에서 성인 남자가 쉽게 들어올릴 수 없는 무게이므로 포크리프트 등의 운반장치를 이용하여 적재 및 하역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포크리프트의 포크가 삽입되는 별도의 운반용 받침대, 즉 소위 파레트가 상기 중량물 포장박스의 하부에 결합된다.
통상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종래의 중량물 포장박스는 단순히 제작되는 소재의 구성만을 달리하고, 그 전체적인 형상은 모두 내부에 중량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 직사각체를 가질 뿐 상기 중량물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없다.
특히 파손이 쉬운 판재 형상의 중량물 예컨대, 자동차의 전면 또는 후면 유리나 대형 평판 디스플레이 등을 종래의 중량물 포장박스에 수용하여 운반할 때 각각의 판재 형상의 중량물을 충격 완충효과가 있는 발포 포장재로 감싸면서 겹층해서 쌓는다.
이때, 각각의 판재 형상의 중량물에 발포 포장재로 감싸는 공정과, 중량물 포장박스 내에 상기 판재 형상의 중량물을 겹층해서 쌓는 공정은 상당한 인력과 시간을 소비해야 하고, 더욱이 발포 포장재의 높은 가격과 그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 및 물류운반 비용의 증가를 불러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통해 판재 형상의 중량물을 박스 내에 견고하고 안전하게 고정하여 포장할 수 있고, 운반시뿐만 아니라 적재나 하역시에도 편리하고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포장 공정의 단순화 및 생산성 향상과 함께 물류운반 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는, 포크리프트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포크삽입홈이 형성된 파레트와, 상기 파레트의 상면 둘레를 따라 결합되고, 상방을 향해 돌출된 받침앵글과, 상기 받침앵글의 모서리 각각의 내측으로 각각의 양단이 수직연결앵글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좌우측벽 및 전후측벽과, 상기 파레트의 상부에 결합되고, 판재 형상의 중량물 각각을 고정하는 중량물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중량물 고정부는, 상기 파레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로부재 및 상기 가로부재에 세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세로부재로 구성된 프레임과, 상기 가로부재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판재 형상의 중량물 각각의 일측이 상기 요부에 삽입되어 직립되는 하부요철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말단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중량물 각각을 고정하는 고정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가 결합된 형상이 'ㄴ' 형상, 'ㅗ' 형상 또는 상방으로 개방된 'ㄷ'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량물 고정부는, 하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판재 형상의 중량물 각각의 타측이 상기 요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정벨트에 압박되는 상부요철부재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판재 형상의 중량물 각각의 타측에 삽입되어 상기 중량물 각각의 간격을 확보하고, 상기 고정벨트에 압박되는 간격삽입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물 고정부는, 복수가 구비되어 상호 간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연결앵글은 'ㄱ'자 형상으로 상기 좌우측벽 각각의 양단 내외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전후측벽 각각의 양단은 상기 수직연결앵글에 삽입되어 상기 좌우측벽의 양단과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모서리가 상기 수직연결앵글의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좌우측벽 및 전후측벽의 상방을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는, 조립식 형태의 중량물 박스 내에 설치되는 중량물 고정부의 간단한 구조만으로 판재 형상의 중량물을 박스 내에 견고하고 안전하게 고정하여 포장할 수 있고, 운반시뿐만 아니라 적재나 하역시에도 편리하고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포장 공정의 단순화 및 생산성 향상과 함께 물류운반 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판재 형상의 중량물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실시예에서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레트(100), 받침앵글(200), 수직연결앵글(300), 좌우 및 전후측벽(310 내지 340), 중량물 고정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커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물 고정부(400)는 프레임(410), 하부요철부재(420) 및 고정벨트(430)를 포함할 수 있고, 상부요철부재(440) 또는 간격삽입부재(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레트(100)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리프트의 포크(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도록 포크삽입홈(110)이 형성된다. 파레트(1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직사각 형상체로서, 통상 대부분이 목재로 제작되지만 압축종이 또는 기타 합성수지나 스틸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박스 내에 후술할 중량물(P)이 수용된 상태에서는 성인 남자가 들어올릴 수 있는 무게가 아니므로 운반장치, 예컨대 포크리프트 등을 이용하여 적재 및 하역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포크리프트의 포크가 삽입되는 별도의 운반용 받침대로서, 상기 파레트(100)가 사용되는 것이며, 포크리프트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파레트(100)에는 포크삽입홈(110)이 형성된다.
받침앵글(200)은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레트(100)의 상면 둘레를 따라 결합되고, 상방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받침앵글(200)은 도면상 'ㄴ'자 형상으로 'ㄴ'자의 가로획이 상기 파레트(100)의 상면 둘레를 따라 결합되고, 'ㄴ'자의 세로획이 상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받침앵글(200)은 후술할 좌우 및 전후측벽(310 내지 340)의 하단을 구속하여 파레트(100)의 둘레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받침앵글(200)이 도면상 'ㄴ'자로 도시되어 있을 뿐 형상에 구애받는 것은 아니며, 'ㅗ'형상이라도 상관없이 파레트(100)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고 상방을 향해 돌출되면 족하다.
좌측벽(310), 우측벽(320), 전측벽(330) 및 후측벽(340)은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앵글(200)의 모서리 각각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양단이 수직연결앵글(300)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파레트(100)와 받침앵글(200)이 본 발명의 박스의 하면을 형성한다면, 구성요소의 이름대로 상기 좌우측벽(310, 320) 및 전후측벽(330, 340)은 본 발명의 박스의 측면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좌우측벽(310, 320) 및 전후측벽(330, 340)은 수직연결앵글(300)을 통해 각각의 양단이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데, 이는 후술할 중량물 고정부(400)에 판재 형상의 중량물(P)이 고정될 때, 보다 편리하게 중량물(P)을 안착 및 탈거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중량물 고정부(400)에 먼저 중량물(P)을 모두 적재한 후 상기 좌우측벽(310, 320) 및 전후측벽(330, 340)을 결합하고, 목적지에 운반이 완료된 후 상기 좌우 및 전후측벽(310 내지 340)을 분해한 후 중량물 고정부(400)로부터 중량물(P)을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좌우 및 전후측벽(310 내지 340)이 수직연결앵글(300)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는 것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수직연결앵글(300)은 'ㄱ'자 형상으로 상기 좌우측벽(310, 320) 각각의 양단 내외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전후측벽(330, 340) 각각의 양단은 상기 수직연결앵글(300)에 삽입되어 상기 좌우측벽(310, 320)의 양단과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는 것이다. 수직연결앵글(300)의 형상이 'ㄱ'자로 한 쌍이 구비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상기 좌우측벽(310, 320) 및 전후측벽(330, 340)의 양단이 수직연결앵글(300)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이나 결합형태라도 좋다. 즉, 슬라이드 삽입 형태이든 볼트 결합이든 무관하다는 것이다.
중량물 고정부(400)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레트(100)의 상부에 결합되고, 판재 형상의 중량물(P) 각각을 고정한다. 중량물 고정부(400)의 상세 구성을 살펴보면 프레임(410), 하부요철부재(420) 및 고정벨트(430)를 포함하고, 상부요철부재(440) 또는 간격삽입부재(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410)은 상기 파레트(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로부재(411) 및 상기 가로부재(411)에 세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세로부재(412)로 구성된다. 프레임(410)을 구성하는 가로부재(411) 및 세로부재(412)의 결합 형상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상일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ㅗ'자 형상일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개방된 'ㄷ'자 형상일 수 있다. 가로부재(411)는 판재 형상의 중량물(P)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세로부재(412)는 상기 가로부재(411)에 일측이 지지된 중량물(P)을 직립시킴에 있어 일면 또는 양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세로부재(412)는 수직연결앵글(300)과 함께 상하를 지지하는 지주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하부요철부재(420)는 상기 가로부재(411)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판재 형상의 중량물(P) 각각의 일측이 상기 요부에 삽입되어 직립된다. 가로부재(411)의 편평한 상면에 중량물(P)이 직접 접촉되어 지지된다면 판재 형상의 중량물(P) 각각의 일측이 미끄러지면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하부요철부재(420)를 별도로 가로부재(411)의 상부에 결합시켜 요부에 상기 중량물(P)의 일측을 삽입시켜 미끄러짐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요철부재(420)는 강체가 아닌 탄성체로서 중량물(P)이 고정된 상태에서 운반시 흔들림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고정벨트(430)는 상기 프레임(410)의 말단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중량물(P) 각각을 고정한다. 프레임(410)과 하부요철부재(420)만으로 중량물(P)을 고정한다면, 중량물(P)의 상하 흔들림에 취약할 수 있고, 더욱이 하부요철부재(420)의 요부 갯수만큼 중량물(P)이 모두 적재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복수의 중량물(P)을 별도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벨트(43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벨트(430)는 신축이 자유롭게 즉, 풀림 및 조임이 가능한 형태이어야 하며, 프레임(410)의 형태에 따라 고정벨트(430)의 양단의 연결위치나 갯수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1 내지 4의 경우 프레임(410)이 'ㄴ'자 형상이므로 고정벨트(430)는 가로부재(411)의 일단과 세로부재(412)의 상단에 각각 연결될 것이고, 도 5의 경우 프레임(410)이 'ㅗ' 형상이므로 고정벨트(430)는 한 쌍이 구비되어 가로부재(411)의 양단과 세로부재(412)의 상단에 각각 연결될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410)이 상방으로 개방된 'ㄷ'자 형상일 경우에 고정벨트(430)는 한 쌍의 세로부재(412) 각각의 상단에 연결될 것이다.
상기 중량물 고정부(400)에 의해 지지 고정되는 판재 형상의 중량물(P) 일측은 하부요철부재(420)에 의해 견고히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지만, 중량물(P)의 타측은 단순히 고정벨트(430)만으로 접촉된 상태로 고정된다면, 각각의 중량물(P) 타측이 부딛혀 파손의 염려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코자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요철부재(440) 또는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삽입부재(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요철부재(440)는 상기 하부요철부재(420)와 같이 동일한 형상 및 재질을 가지는 것으로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다. 다만 상부요철부재(440)는 중량물 고정부(400)와 연결된 구성이 아니라 독립된 구성이다. 즉, 상부요철부재(440)는 중량물(P)이 프레임(410)과 하부요철부재(420)에 의해 직립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벨트(430)로 조이기 전에 고정벨트(430)와 중량물(P)의 타측사이에 배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부요철부재(440)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판재 형상의 중량물(P) 각각의 타측이 상기 요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정벨트(430)에 압박된다.
상부요철부재(440)가 하나의 부재로서 구성된다면, 각각의 중량물(P)의 타측에 삽입되어 간격을 확보하여 주는 간격삽입부재(450)를 상부요철부재(440) 대신에 설치할 수 있다. 즉, 간격삽입부재(450)는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재 형상의 중량물(P) 각각의 타측에 삽입되어 상기 중량물(P) 각각의 간격을 확보하고, 상기 고정벨트(430)에 압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는 상기 좌우 및 전후측벽(410 내지 440)의 상방을 개폐하는 커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5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모서리가 상기 수직연결앵글(300)의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좌우측벽(410, 420) 및 전후측벽(430, 440)의 상방을 개폐한다. 상기 중량물(P)을 중량물 고정부(400)에 모두 적재한 후 상기 커버(500)로 폐쇄함으로써, 모든 포장 공정이 완료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P : 중량물
100 : 파레트 110 : 포크삽입홈
200 : 받침앵글
300 : 수직연결앵글
310 : 좌측벽 320 : 우측벽
330 : 전측벽 340 : 후측벽
400 : 중량물 고정부 410 : 프레임
411 : 가로부재 412 : 세로부재
420 : 하부요철부재 430 : 고정벨트
440 : 상부요철부재 450 : 간격삽입부재
500 : 커버

Claims (8)

  1. 포크리프트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포크삽입홈이 형성된 파레트와,
    상기 파레트의 상면 둘레를 따라 결합되고, 상방을 향해 돌출된 받침앵글과,
    상기 받침앵글의 모서리 각각의 내측으로 각각의 양단이 수직연결앵글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좌우측벽 및 전후측벽과,
    상기 파레트의 상부에 결합되고, 판재 형상의 중량물 각각을 고정하는 중량물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 고정부는,
    상기 파레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로부재 및 상기 가로부재에 세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세로부재로 구성된 프레임과,
    상기 가로부재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판재 형상의 중량물 각각의 일측이 상기 요부에 삽입되어 직립되는 하부요철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말단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중량물 각각을 고정하는 고정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가 결합된 형상이 'ㄴ' 형상, 'ㅗ' 형상 또는 상방으로 개방된 'ㄷ'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 고정부는,
    하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판재 형상의 중량물 각각의 타측이 상기 요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정벨트에 압박되는 상부요철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 고정부는,
    상기 판재 형상의 중량물 각각의 타측에 삽입되어 상기 중량물 각각의 간격을 확보하고, 상기 고정벨트에 압박되는 간격삽입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 고정부는,
    복수가 구비되어 상호 간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결앵글은 'ㄱ'자 형상으로 상기 좌우측벽 각각의 양단 내외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전후측벽 각각의 양단은 상기 수직연결앵글에 삽입되어 상기 좌우측벽의 양단과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모서리가 상기 수직연결앵글의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좌우측벽 및 전후측벽의 상방을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KR1020100140302A 2010-12-31 2010-12-31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KR101225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302A KR101225468B1 (ko) 2010-12-31 2010-12-31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302A KR101225468B1 (ko) 2010-12-31 2010-12-31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111A true KR20120078111A (ko) 2012-07-10
KR101225468B1 KR101225468B1 (ko) 2013-01-24

Family

ID=46711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302A KR101225468B1 (ko) 2010-12-31 2010-12-31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4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2808A (zh) * 2013-11-27 2014-03-05 湖州吉和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内部加固纸箱
KR101640245B1 (ko) 2015-01-28 2016-07-15 주식회사 아이피엔엘 자동차 유리 적재용 팔레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495B1 (ko) * 2016-04-04 2017-08-16 주식회사 오성산업 판재 고정장치
KR102072441B1 (ko) 2018-05-11 2020-02-03 엔피씨(주) 자동차 유리 운송용 팔레트
KR102037647B1 (ko) 2018-05-11 2019-10-29 엔피씨(주) 자동차 유리 운송용 박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0806B2 (ja) * 1997-06-26 2008-02-20 ゼオン化成株式会社 二重箱コンテナ
JP3068798U (ja) 1999-11-08 2000-05-16 日本板硝子株式会社 板状物搬送具
JP2002012281A (ja) 2000-06-28 2002-01-15 Tostem Corp パネル積載用パレ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2808A (zh) * 2013-11-27 2014-03-05 湖州吉和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内部加固纸箱
KR101640245B1 (ko) 2015-01-28 2016-07-15 주식회사 아이피엔엘 자동차 유리 적재용 팔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5468B1 (ko) 201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9509B2 (en) Assembly box for transportation
KR101225468B1 (ko)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US20170073105A1 (en) An Edge Fitting to Support and Protect a Cargo Casing
US6988615B2 (en) Appliance shipping package
KR101393207B1 (ko)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KR102150318B1 (ko) 골판지에 종이 보강대를 이용한 포장박스의 보강구조
MXPA06014308A (es) Sistema para manejar paquetes.
KR101451540B1 (ko) 리유저블 컨테이너
KR101540579B1 (ko) 포장 운송용 거치 장치
KR200469485Y1 (ko) 골판지 포장박스의 보강구조
KR101498783B1 (ko) 포장용 팰리트
KR100882162B1 (ko) 골판지를 이용한 이송용 파레트 박스
JPH09295686A (ja) ガラス管包装体
JP6090677B1 (ja) 弁当箱
KR20140144389A (ko) 포장 장치
KR100822036B1 (ko) 롤형상 제품 종이포장용기
US20060260975A1 (en) Packaging assembly
KR101574610B1 (ko) 포장상자용 덮개
KR101465840B1 (ko) 중량물 포장박스의 조립식 커버
KR100654153B1 (ko) 포장용 상자, 괘선형성방법 및 포장용 상자의 제조 방법
CN211593589U (zh) 一种大型医疗器械包装箱
FR2582286A1 (fr) Conteneur de transport avec plateaux intercalaires
KR20120048431A (ko) 물품적재용 팔레트
KR101558300B1 (ko) 포장용 박스
CN215884524U (zh) 一种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