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495B1 - 판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판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495B1
KR101768495B1 KR1020170036576A KR20170036576A KR101768495B1 KR 101768495 B1 KR101768495 B1 KR 101768495B1 KR 1020170036576 A KR1020170036576 A KR 1020170036576A KR 20170036576 A KR20170036576 A KR 20170036576A KR 101768495 B1 KR101768495 B1 KR 101768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lignment bar
members
spacing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성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성산업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1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 B65D2519/00815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the pal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와 같이 파손되기 쉬운 판재를 다수 개씩 보관 또는 운반할 때에 사용되는 판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판재를 파손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운반 또는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판재 고정장치는, 다수 개의 판재를 기립상태로 상호 평행하게 고정하는 장치로서, 판상의 베이스보드와, 상기 베이스보드의 상면에서 상호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각 판재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다수 개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하부고정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재; 하단부에 상기 판재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각 판재에 적어도 하나씩 결합되는 다수 개의 간격부재; 및 상기 각 판재에 결합된 간격부재를 정렬시키는 정렬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판재 고정장치{Plates fixer}
본 발명은 유리와 같이 파손되기 쉬운 판재를 다수 개씩 보관 또는 운반할 때에 사용되는 판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판형의 부재는 두께가 얇고 고른 표면을 가지기 때문에 운반 및 보관시 적층하여 부재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그러나 유리와 같이 파손되기 쉬운 판재를 적층하는 경우, 적층 중에 부재들끼리 부딪히거나 적층된 부재들의 자중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이유로 유리와 같은 판재를 운반할 때에는, 등록번호 20-0323636의 '판유리 운반용 적재대'에서와 같은 장치를 사용한다. 상기 판유리 운반용 적재대는 경사프레임(3)들이 'A'자 형태로 세워져 판유리를 지지하는데, 판유리와 접하게 되는 경사프레임(3) 및 받침부(5)의 외면에 탄성부재(50)가 부착되어 판유리가 경사프레임 등에 부딪혀 파손되거나 적재대 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판유리 운반용 적재대는 경사프레임이 위치하는 양측면에만 판유리를 지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한번에 운반 또는 보관할 수 있는 판유리의 양이 많지 않고, 적재대의 일측면에 다수 개의 판유리를 적재하는 경우 판유리들끼리 부딪혀 판유리들이 파손될 수 있다.
KR 20-0323636 Y1
본 발명은 상기한 것과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 개의 판재를 파손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운반 또는 보관하는 것이 가능한 판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 개의 판재를 기립상태로 상호 평행하게 고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판상의 베이스보드와, 상기 베이스보드의 상면에서 상호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면에 각 판재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다수 개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하부고정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재; 하단부에 상기 판재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각 판재에 적어도 하나씩 결합되는 다수 개의 간격부재; 및 상기 각 판재에 결합된 간격부재를 정렬시키는 정렬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간격부재와 정렬바는 상기 판재의 판면방향을 따른 상대이동을 저지하는 요철물림형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요철물림형상부는, 상기 간격부재의 상면에서 상기 판재의 판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정렬바 안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간격부재와 정렬바는 상기 정렬바의 길이방향을 따른 상대이동을 저지하는 제2요철물림형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부고정대의 안착홈 내측면과 간격부재의 삽입홈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은 탄성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판재 고정장치는, 다수 개의 판재를 한꺼번에 파손 없이 안전하게 운반 및 보관할 수 있어, 운반 작업 등에 소요되는 시간 및 공간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판재 고정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판재 고정장치에서 판재를 끈으로 묶은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판재 고정장치가 모서리부재 등을 더 구비하는 경우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4는 상기 판재 고정장치의 간격부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판재 고정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유리와 같이 파손되기 쉬운 판재를 다수 개씩 보관 또는 운반할 때에 기립상태로 상호 평행하게 고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판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판재를 파손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운반 또는 보관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판재 고정장치(1)의 전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판재 고정장치의 구성 중 일부는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판재 고정장치(1)는 크게, 베이스부재(10), 다수 개의 간격부재(20) 및 정렬바(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부재(10)는, 본 발명에 의한 판재 고정장치(1)의 다른 구성들과 판재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판재(2)들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그 상부에 놓인 판재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베이스보드(11)와 하부고정대(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보드(11)는 평평한 판상으로 이루어져 주로 판재 등의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적인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보드(11)는 도 1에서와 같이 하나의 평평한 보드 형상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다수 개의 막대 형상 부재들을 보드 형상이 되도록 조립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보드(11)의 상면에는, 긴 하부고정대가(12) 다수 개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각각의 하부고정대(12) 상면에는 'V'자형 안착홈(12a)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홈(12a)에는 판재(2)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베이스부재(10) 위에 놓여진 판재(2)가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하부고정대(12)는 다수 개가 위치하므로 판재(2)의 하단부가 다수 개소에서 지지될 수 있어 안착홈(12a)에 삽입된 판재(2)가 기울어지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하부고정대(12)의 길이방향을 베이스보드(11)의 '가로방향'으로 하는데, 이는 단순히 서로 수직을 이루는 각각의 방향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베이스보드(11)의 형태나 베이스보드(11)가 배치되는 상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판재(2)들은 베이스보드(11)의 세로방향으로 놓여지며, 각각이 베이스보드(11)의 가로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판재(2)가 놓이는 방향에 맞게 하부고정대(12) 상면의 안착홈(12a)은 베이스보드(11)의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게 된다.
다수 개의 간격부재(20)는, 상기 베이스보드(11)의 상부로 판재(2)의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베이스보드(11)의 가로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열을 지어 배치되는 것으로, 각각의 하단부에는 판재(2)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1)이 형성된다. 상기 간격부재(20)는 판재(2) 하나당 적어도 하나씩 결합한다.
간격부재(20)에 판재의 상단부가 삽입된 경우, 판재의 측면에서 간격부재(20)가 돌출되므로, 다수 개의 판재(2)를 베이스부재(10) 위에 나란하게 배치하였을 때 판재들끼리 부딪히지 않아 판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간격부재(20)는 각각의 판재(2)마다 별도로 배치되어 각 판재 상에서 위치가 다를 수 있으므로 정렬바(30)를 기준으로 하여 직선상에 정렬시켜 준다.
판재들을 운반하는 경우에는 진동 등에 의하여 베이스부재(10) 위에서 판재들이 움직이지 않도록,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베이스부재(10)와 간격부재(20) 사이에 판재가 위치한 상태로 판재들을 끈(3)으로 묶어줄 수 있는데, 간격부재(20)들이 정렬바(30)에 의하여 직선상에 배치되므로 끈(3)의 장력이 정렬바(30)를 통해 모든 간격부재(20)로 전달될 수 있어 모든 판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해줄 수 있다.
도 2에서는 간격부재(20)가 판재(2) 하나당 두 개씩 결합되어 있어 두 개의 정렬바(30)가 필요하나, 판재 하나당 하나의 간격부재(20) 한 개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정렬바(30)가 필요할 것이다.
상기 간격부재(20)와 정렬바(30)는 상기 판재(2)의 판면방향을 따른 상대이동을 저지하는 요철물림형상부를 구비한다.
상기 요철물림형상부는 간격부재(20)가 판재(2)의 상단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간격부재(20)들이 항상 정렬바(30)를 기준으로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요철물림형상부는,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간격부재(20)의 상면에서 상기 판재(2)의 판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정렬바 안착홈(22)일 수 있다.
상기 정렬바 안착홈(22)은 정렬바(30)의 단면형상과 맞물리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 그 내부에 정렬바(30)가 삽입되었을 때 간격부재(20)가 정렬바(3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 즉, 판재(2)의 판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와는 달리, 요철물림형상부는 정렬바(30)의 하면에서 정렬바(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으로 이루어져 이 홈 내에 간격부재(20)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간격부재(20)의 이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간격부재(20)와 정렬바(30)는 상기 정렬바(30)의 길이방향을 따른 상대이동을 저지하는 제2요철물림형상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요철물림형상부는 간격부재(20)들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간격부재(20)가 결합된 상태의 판재(2)들이 항상 평행을 이루며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2요철물림형상부는 간격부재(20)의 상면에 정렬바(3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정렬바(30)의 하면에는 상기 홈 또는 돌기와 맞물리도록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요철물림형상부와 제2요철물림형상부는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홈 또는 돌기를 간격부재(30)당 하나씩 점(poing)형으로 형성하여 요철물림형상부와 제2요철물림형상부의 기능을 겸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간격부재(20)와 정렬바(30)의 상대적인 이동은 벨크로 등으로 서로를 접합함으로써 저지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10)의 하면에는 다수 개의 띄움돌기(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띄움돌기(40)는 베이스부재(10)가 놓여지는 바닥면과 베이스부재(10) 하면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여, 도 2에서와 같이 끈(3)으로 판재(2)들을 묶을 때 베이스부재(10)를 들어올리지 않고도 베이스부재(10)의 하부로 끈(3)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띄움돌기(40)는 베이스부재(10)를 바닥면과 이격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베이스보드(11)의 가로방향과 평행하게 길게 형성되는 경우 베이스보드(11)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효과 또한 발휘할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대(12)의 안착홈(12a) 내측면과 간격부재(20)의 삽입홈(21)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은 탄성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고정대(12)의 안착홈(12a)에는 판재(2)의 하단부가 삽입되고 간격부재(20)의 삽입홈(21) 내측면에는 판재의 상단부가 삽입되므로 안착홈(12a) 및 삽입홈(21)의 내측면은 판재와 직접 접하게 되는데, 상기한 것과 같이 안착홈(12a) 등의 내측면을 탄성재로 형성하면 판재를 판재 고정장치에 고정하거나 판재 고정장치를 운반하는 작업 중에 판재가 하부고정대(12) 등과 부딪히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고정대(12)는 안착홈(12a)의 내측면만이 탄성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전체적으로 탄성재로 형성하고, 하부고정대(12)를 양면테이프 등으로 베이스부재(10) 상면에 부착하는 것이 판재 고정장치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는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간격부재(20)는 삽입홈(21)의 내측면을 포함한 전체가 탄성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대(12)의 안착홈(12a)은 단면이 상광하협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판재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 판재를 들어올려 정확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쉽지 않은데, 안착홈(12a)의 상단부가 넓게 형성되면 판재를 쉽게 안착홈(12a) 내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판재 고정장치(1)는, 다수 개의 모서리부재(50) 및 제2정렬바(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이와 관련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다수 개의 모서리부재(50)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부로 판재(2)의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베이스부재(10)의 종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열을 지어 배치되는 것으로, 각각의 하단부에 판재(2)의 상단부 모서리가 삽입되는 삽입반홈(51)이 형성된다.
상기 모서리부재(50)의 삽입반홈(51)은 모서리부재(50)의 일부 길이상에서 형성되어 판재의 모서리 부분에만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제2정렬바(60)를 기준으로 모서리부재(50)가 끼워진 판재들을 정렬시키면 자연스럽게 모든 판재들이 일직선상에 배치되게 된다.
상기 모서리부재(50)는 간격부재(20)가 정렬바 안착홈(22)을 구비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면에 제2정렬바 안착홈(52)을 구비하고, 삽입반홈(51)의 내측면은 탄성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판재 고정장치(1)는 상기한 것과 같은 구성들 외에도, 베이스보드(11)의 상부에서 수직한 지지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베이스부재(10) 위에 세워진 판재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판재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판재고정장치(1)의 간격부재(20)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2에서 간격부재(20)의 정렬바 안착홈(22)의 깊이는 정렬바(30)의 두께와 대략 유사하다. 이 경우 정렬바(30)의 길이방향으로 고정하는 끈(3)이 횡으로 미끌어질 우려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렬바 안착홈(22)의 깊이(d1)를 정렬바(30)의 두께(t1)보다 크게 형성하였다. 따라서, 정렬바 안착홈(22)에 정렬바(30)를 안착시키면 정렬바 안착홈(22)의 상부에 여유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 정렬바(30)의 길이방향으로 고정하는 끈(3)은 정렬바 안착홈(22)의 여유공간에 의해 제한되어 횡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5는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판재 고정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 및 2에 나타낸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간략한 설명을 위해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판재 고정장치(1)는 판재지지부재(50), 그리고 제1 및 제2의 하부모서리 지지부재(60, 70)를 포함한다.
판재지지부재(50)은 판상으로 베이스보드(11) 상에 하부고정대(12)의 최외곽 안착홈(12a)에 인접하게 세워져 배치된다. 판재지지블록(50)은 안착홈(12a)에 인접한 쪽에 경사판면(52)을 포함한다. 경사판면(52)은 하부고정대(12)의 최외곽 안착홈(12a)에 배치된 판재(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한다. 즉, 판재(2)는 판재지지부재(50)에 적어도 면접촉으로 기댄 상태로 지지된다. 결과적으로, 다수의 판재들(2)은 차례대로 적재한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적재된 다수의 판재들(2)의 묶음이 끈(3) 또는 정렬바(30)의 연장방향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판재지지부재(50)는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경도와 탄력성을 갖는 재료로 성형된다. 물론, 경사판면(52)은 적절한 두께의 탄성재질, 예를 들면 스폰지나 고무등의 판재를 부착할 수도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격부재(20)의 양측벽면(23a, 23b) 및 정렬바 안착홈(22)의 바닥면(22a)은 경사판면(52)의 경사도와 유사하게 형성하는 것이 안정성에 유리하다. 또한, 간격부재(20)의 삽입홈(21)은 내벽면을 경사판면(52)의 경사도와 유사하게 형성한다.
정렬바(30)는 도 4와 다르게 길이방향으로 끈삽입홈(32)을 포함한다. 끈삽입홈(32)은 끈(3)을 수용하여 끈(3)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하부모서리 지지부재(60)는 베이스보드(11)의 측면에 고정식으로 부착된다. 제1하부모서리 지지부재(60)는 하부고정대(12)의 다수 안착홈(12a)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제1모서리삽입홈(62)을 가진다. 제1모서리삽입홈(62)은 판재(2)의 제1하부모서리를 삽입하여 판재(2)의 횡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제1하부모서는 판재(2)를 하나씩 적재할 때마다 삽입한다. 제1모서리삽입홈(62)은 양측벽이 경사판면(52)의 경사도와 유사하게 형성한다.
제2하부모서리 지지부재(70)는 베이스보드(11)의 다른 측면에 착탈식으로 부착된다. 제2하부모서리 지지부재(70)는 하부고정대(12)의 다수 안착홈(12a)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제2모서리삽입홈(72)을 가진다. 제2모서리삽입홈(72)은 판재(2)의 제2하부모서리를 삽입하여 판재(2)의 다른 횡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제2모서리는 모든 판재들(2)을 적재한 상태에서 동시에 제2모서리삽입홈(72)에 삽입한다. 제2모서리삽입홈(72)은 양측벽이 경사판면(52)의 경사도와 유사하게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판재(2)는 좌우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청구범위의 기재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판재 고정장치 2 : 판재
10 : 베이스부재 11 : 베이스보드
12 : 하부고정대 12a : 안착홈
20 : 간격부재 21 : 삽입홈
22 : 정렬바 안착홈 30 : 정렬바
50: 판재지지부재 60: 제1하부모서리 지지부재
70: 제2하부모서리 지지부재

Claims (5)

  1. 다수 개의 판재(2)를 기립상태로 상호 평행하게 고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판상의 베이스보드(11)와, 상기 베이스보드(11)의 상면에서 상호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면에 상기 각 판재(2)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다수 개의 안착홈(12a)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하부고정대(12)를 구비하는 베이스부재(10);
    하단부에 상기 판재(2)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1)을 구비하며 상기 각 판재(2)에 적어도 하나씩 결합되는 다수 개의 간격부재(20);
    상기 각 판재(2)에 결합된 간격부재(20)를 정렬시키는 정렬바(30); 및
    상기 베이스보드(11) 상에 상기 하부고정대(12)의 안착홈들(12a) 중에 최외각 안착홈(12a)에 인접하게 세워져 배치되고, 상기 판재(2)가 기댄 상태로 지지되는 경사판면(52)을 가진 판재지지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간격부재(20)는 상기 정렬바(30)를 삽입하고, 상기 정렬바(30)의 두께보다 더 깊게 형성된 정렬바 안착홈(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부재(20)와 정렬바(30)는 상기 판재(2)의 판면방향을 따른 상대이동을 저지하는 요철물림형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물림형상부는, 상기 간격부재(20)의 상면에서 상기 판재(2)의 판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정렬바 안착홈(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부재(20)와 정렬바(30)는 상기 정렬바(30)의 길이방향을 따른 상대이동을 저지하는 제2요철물림형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대(12)의 안착홈(12a) 내측면과 간격부재(20)의 삽입홈(21)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은 탄성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고정장치.
KR1020170036576A 2016-04-04 2017-03-23 판재 고정장치 KR1017684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967 2016-04-04
KR20160041967 2016-04-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495B1 true KR101768495B1 (ko) 2017-08-16

Family

ID=59752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576A KR101768495B1 (ko) 2016-04-04 2017-03-23 판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4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110A (ko) * 2018-03-07 2019-09-18 지엔씨코퍼레이션(주) 방음판 적재용 받침대
CN114435778A (zh) * 2022-03-07 2022-05-06 浙江路捷顺汽车制造有限公司 车厢侧板存储、运输用立式货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468B1 (ko) * 2010-12-31 2013-01-24 주식회사 우일팩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JP5317626B2 (ja) * 2008-10-17 2013-10-16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立ち姿勢で複数枚の薄板状部品を並行に梱包するのに用いる梱包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7626B2 (ja) * 2008-10-17 2013-10-16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立ち姿勢で複数枚の薄板状部品を並行に梱包するのに用いる梱包体
KR101225468B1 (ko) * 2010-12-31 2013-01-24 주식회사 우일팩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110A (ko) * 2018-03-07 2019-09-18 지엔씨코퍼레이션(주) 방음판 적재용 받침대
KR102059181B1 (ko) 2018-03-07 2019-12-24 지엔씨코퍼레이션(주) 방음판 적재용 받침대
CN114435778A (zh) * 2022-03-07 2022-05-06 浙江路捷顺汽车制造有限公司 车厢侧板存储、运输用立式货架
CN114435778B (zh) * 2022-03-07 2024-03-29 浙江路捷顺汽车制造有限公司 车厢侧板存储、运输用立式货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2866B2 (ja) ガラス板用運搬台車およびその輸送方法
KR101768495B1 (ko) 판재 고정장치
KR101611095B1 (ko) 접철식 파레트의 적층 연결유닛
JP4793119B2 (ja) ガラス板輸送用パレット
JP2013227021A (ja) 積載構造体
TWI242830B (en) Cartridge for substrate
JP2004338786A (ja) 板ガラス体搬送具
JP2013227020A (ja) 積載構造体
JP4981558B2 (ja) ガラス板輸送用パレット
JP2006123953A (ja) ガラス板搬送パレット
JPWO2007088675A1 (ja) 板状体搬送具
JPH10167363A (ja) 板状体輸送用架台
JP3225848U (ja) 折り畳み式ラック
JP6069285B2 (ja) 収容ラック
CN109963789B (zh) 用于平板形物体的支撑元件
JP3112499U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および組み立て式コンテナユニット
US20080264304A1 (en) Pallet storage system
KR101539254B1 (ko) 후판 적치대 및 이의 이송용 지그
US20050183375A1 (en) Plate-shaped article carrier
EP3566976A1 (en) Container for large-format plate-like elements arranged in an inclined orientation
EP1518798A1 (en) Plate-like object conveying equipment
KR20170021447A (ko) 판유리의 하역이 용이하도록 한 판유리 적재대
JP3628922B2 (ja) ガラス板用パレットの側部押え構造
JP3242970U (ja) ネスティングラック
JPH11105872A (ja) ボックス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