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0638A - 피씨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방법 - Google Patents

피씨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0638A
KR20120070638A KR1020100132039A KR20100132039A KR20120070638A KR 20120070638 A KR20120070638 A KR 20120070638A KR 1020100132039 A KR1020100132039 A KR 1020100132039A KR 20100132039 A KR20100132039 A KR 20100132039A KR 20120070638 A KR20120070638 A KR 20120070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output device
screen
screen output
smar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영
Original Assignee
(주)로이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이비즈 filed Critical (주)로이비즈
Priority to KR1020100132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0638A/ko
Publication of KR20120070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화면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게임을 자이로스코프 센서 및 중력센서 가 구비된 스마트폰을 좌우상하 및 전후를 포함한 자유로운 방향, 회전, 속도로 움직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방법에 관한 것으로, 온라인 접속을 이룬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무빙 게임을 복수개 등록시켜 서비스하는 무빙 게임 서비스 서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화면출력장치상에서 웹 어드레스를 입력하여 본사 웹사이트에서 리시버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시키고, 외부로부터 리시버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리시버 프로그램을 통해 해석한 후 화면상에 IP 어드레스를 표출시키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게임 조작신호에 응하여 화면상에 출력되는 게임이 진행되도록 하는 화면출력장치; 및 상기 앱스토어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리시버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시킨 후 상기 화면출력장치로 리시버 신호를 송출시키고, 상기 화면출력장치의 화면상에 표출된 IP 어드레스를 입력하여 상기 화면출력장치와의 온라인 접속을 시도하며, 상기 화면출력장치와 온라인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화면출력장치에 저장된 무빙 게임 중 원하는 무빙 게임을 선택하여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스마트 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씨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방법{Smart phone application service system by motion control type for controlling PC game and game method providing by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PC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PC 또는 IPTV 등 인터넷과 통신이 가능하고 근거리 통신수단이 구비된 화면출력장치(이하, '화면출력장치'로 약칭함)를 통해 출력되는 게임을 자이로스코프 센서가 구비된 스마트폰을 좌우상하 및 전후를 포함한 자유로운 방향, 회전, 속도로 움직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PC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휴대폰은 게임 및 메뉴 이동 시에 키 패드를 이용하여 같은 방향으로 여러 번 움직일 경우에 키 패드를 여러 번 눌러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신 기능이 구비된 플레이스테이션 게임기를 화면출력장치에 연결하여 게임을 하는 게임 시스템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위(Wii) 게임기를 화면출력 장치에 연결하여 게임을 하는 게임 시스템이 있다.
플레이스테이션 또는 XBOX 게임기의 경우 게임기 본체가 구비되어 있고, 게임기 본체가 TV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게임기 본체를 통해 게임 데이터가 화면출력장치로 출력되고, 조이스틱을 통해 게임 조작 신호를 입력하면, 이 게임 조작신호는 게임기 본체로 수신되어, 사용자가 화면출력장치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게임을 진행 할 수 있게 된다.
위(Wii) 게임기의 경우에도 본체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본체가 TV에 연결되고, 게임기 본체를 통해 게임기가 지원할 수 있는 게임데이터가 TV의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하고, 조이스틱을 통해 게임을 선택하고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위의 경우 센서바가 제공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 사용자의 움직임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TV를 통해 출력되는 게임 아바타에 동일하게 적용시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게임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러나 상술한 게임기들은 게임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어야 하며, 게임기 본체를 TV에 유선으로 연결시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화면출력장치를 통해 동일한 게임을 다운로드 받아 동일한 게임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스마트폰에 화면출력장치의 IP 어드레스를 입력하여 연동되도록 한 후 스마트폰에 구비된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좌우상하 및 전후를 포함한 자유로운 방향, 회전, 속도로 움직여 화면출력장치의 게임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PC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앱스토어나, 안드로이드 마켓 등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이하, '앱스토어'로 약칭함)를 통하여 다운로드 받아 저장시키고, 화면출력장치에서는 본사의 웹사이트(이하, '본사 웹사이트'로 약칭함)를 통해 제공되는 리시버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서, 외부로부터 리시버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리시버 프로그램을 통해 화면출력장치의 IP주소를 표출시키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게임 조작신호에 응하여 화면출력장치에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화면출력장치와 온라인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을 시도하며, 상기 화면 출력장치와 온라인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화면출력장치에 저장된 PC용 온라인 게임 또는 패키지 형태의 게임(이하, '무빙게임'으로 약칭함)을 선택하여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스마트 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스마트폰이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리시버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화면 출력장치와 와이파이(Wifi) 및 USB, 블루투스를 활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을 시도하여, 상기 리시버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화면출력장치와 접속을 이루지 못한 경우 와이파이(WiFi) 접속 및 리시버 접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면출력장치에 저장된 리시버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감도설정, 수신률 확인 메뉴항목을 통해 감도 또는 수신률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리시버 프로그램은 사용자 IP 어드레스 입력시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해당 화면출력장치에서 제공하는 게임의 조작 지원화면이 스마트폰의 화면상에 출력되고, 상기 게임의 조작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택된 게임이 실행되기 전에 광고 정보가 표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PC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1)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앱스토어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앱스토어를 통해 제공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 (2)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화면출력장치로 실행할 게임과 동일한 무빙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는 단계; (3)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무빙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무빙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화면상에 표출시키는 단계; (4)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리시버 연결 메뉴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5)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리시버 연결 메뉴항목 중 화면출력장치의 IP 어드레스를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창을 제공하는 단계; (6)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입력창을 통해 IP 어드레스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IP 어드레스를 가지는 화면출력장치와 와이파이 접속을 시도한 후 접속을 이룬 경우 화면상에 게임선택메뉴항목을 표출시키는 단계; (7)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가 화면상의 게임선택메뉴항목을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게임 선택 메뉴항목이 선택된 경우 해당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8) 스마트 단말기는, 게임 메뉴항목 중 임의의 무빙게임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게임 정보를 상기 화면출력장치로 전송하여 게임이 실행되도록 하는 단계; 및 (9)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생성되는 센서 신호를 상기 화면출력장치로 송출하여 상기 실행되고 있는 게임이 센서 신호에 따라 진행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6) 단계에서 IP 어드레스를 입력한 후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비밀번호 입력창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9) 단계에서 게임을 실행시키기 전에 광고 정보가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9) 단계에서 신호를 PC에 전송하여 화면출력장치의 키보드와 마우스를 조작하여, 화면출력장치에서 게임 내 조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PC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화면출력장치는 사용자의 게임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화면출력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본사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리시버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실행하는 단계; (C) 상기 화면출력장치는, IP 어드레스를 표출시키는 단계; (D) 상기 화면출력장치는,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온라인 접속 시도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화면출력장치는,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온라인 접속 시도가 있는 경우 해당 스마트 단말기와 온라인 접속을 이루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게임 선택 신호에 응하여 해당 게임이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하는 단계; 및 (F) 상기 화면출력장치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게임 조작 신호에 응하여 화면상에 출력되는 게임을 실행시키고, 게임을 진행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화면출력장치를 통해 동일한 게임을 다운로드 받아 동일한 게임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스마트폰에 화면출력장치의 IP 어드레스를 입력하여 연동되도록 한 후 스마트폰에 구비된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좌우상하 및 전후를 포함한 자유로운 방향, 회전, 속도로 움직여 화면출력장치의 게임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C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스마트 단말기의 무빙 게임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적용된 화면출력장치의 무빙 게임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PC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PC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접속을 이룬 사용자의 요청에 응하여 다운 로드시킬 수 있는 무빙 게임을 복수개 등록시켜 서비스하는 무빙 게임 서비스 서버(30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무빙 게임 서비스 서버(300)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본사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리시버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시키고, 스마트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리시버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리시버 프로그램을 통해 해석한 후 화면상에 IP 어드레스를 표출시키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되는 게임 조작신호에 응하여 화면상에 출력되는 게임이 진행되도록 하는 화면출력장치(100)와, 상기 무빙 게임 서비스 서버(300)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리시버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시킨 후 상기 화면출력장치(100)로 리시버 신호를 송출시키고, 상기 화면출력장치(100)의 화면상에 표출된 IP 어드레스를 입력하여 상기 화면출력장치(100)와의 온라인 접속을 시도하며, 상기 화면출력장치(100)와 온라인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화면출력장치(100)에 저장된 무빙 게임 중 원하는 무빙 게임을 선택하여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스마트 단말기(200)와, 데이터 통신망(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빙게임 서비스 서버(300)는 화면출력장치에서 실행가능한 무빙게임을 제공하는 서버이며, 상기 무빙게임 서비스 서버(300)는 복수개로 존재하기 때문에 본사에서 제공하지 않는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는 스마트폰이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는 상기 리시버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화면출력장치(100)와 온라인 접속을 시도하여, 상기 리시버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화면출력장치(100)와 접속을 이루지 못한 경우 접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 내에 저장된 무빙게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감도설정, 수신률 확인 메뉴항목을 통해 감도 또는 수신률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의 무빙게임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IP 어드레스 입력시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에서 게임선택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무빙 게임 서비스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게임목록이 화면상에 출력되고, 상기 게임 목록상에서 상기 화면출력장치(100)에 출력된 게임과 동일한 게임을 선택하면 해당 게임이 실행된다.
상기 선택된 게임이 실행되기 전에 광고 정보가 표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PC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마트 단말기(200)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앱스토어에 온라인 접속을 이루면(S100), 스마트 단말기(200)는 접속을 이룬 후 앱스토어를 통해 제공되는 복수의 앱정보를 화면상에 출력(S110)한다.
스마트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앱 중 선택된 무빙 컨트롤 앱을 다운로드(S120)한다.
스마트 단말기(200)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무빙 컨트롤 앱을 실행시키고 무빙 컨트롤 앱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화면상에 표출(S130)시키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리시버 연결 메뉴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S140)한다.
이때 사용자는 무빙 컨트롤 앱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통해 무빙 게임 서비스 서버(300)의 인터넷 주소를 알게 되고, 이 인터넷 주소를 자신의 PC 또는 IPTV 등과 같은 화면출력장치(100)에 입력하여 무빙 게임 서비스 서버(300)로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리시버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S14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리시버 연결 메뉴항목이 선택된 경우 스마트 단말기(200)는 화면출력장치(100)의 IP 어드레스를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창과 IP 어드레스를 입력한 후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비밀번호 입력창을 제공을 제공한다(S150).
스마트 단말기(200)는 상기 입력창을 통해 IP 어드레스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IP 어드레스를 가지는 화면출력장치와 온라인 접속을 시도한 후 온라인 접속을 이룬 경우 화면상에 게임선택메뉴항목을 표출(S160)시킨다.
스마트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화면상의 게임선택메뉴항목을 선택하였는지를 판단(S170)하고, 게임 선택 메뉴항목이 선택된 경우 게임메뉴항목을 제공하고(S 180)하고, 스마트 단말기(200)는 게임 메뉴항목 중 임의의 게임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무빙게임을 지원하는 조작화면(이하, '조작화면'으로 약칭함)을 제공한다.
스마트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생성되는 센서 신호를 상기 화면출력장치(100)로 송출하여 상기 실행되고 있는 게임이 센서 신호에 따라 진행되도록 한다(S195).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는 상기 S190 단계에서 조작화면을 지원하기 전에 광고 정보가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한다.
한편, 화면출력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웹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본사 웹사이트에 온라인 접속(S210)한다.
상기 화면출력장치(100)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본사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리시버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후 실행하고(S220), IP 어드레스를 표출(S230)시킨다.
상기 화면출력장치(100)는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온라인 접속 시도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S240)하고,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온라인 접속 시도가 있는 경우 해당 스마트 단말기(200)와 온라인 접속을 이루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게임 선택 신호에 응하여 해당 게임이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한다(S250).
상기 화면출력장치(10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게임 조작 신호에 응하여 화면상에 출력되는 게임을 실행시키고, 게임을 진행(S260)시킨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포함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100 : 화면출력장치
200 : 스마트폰
300 : 무빙게임 서비스 서버
400 : 데이터 통신망

Claims (10)

  1. 본 어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 무빙게임과 연동하여 스마트 단말기를 조작하여 화면출력장치에서 실행되는 무빙게임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무빙 게임 서비스 서버에 접속을 이룬 후 제공되는 복수개의 무빙 게임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무빙 게임을 다운로드 받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리시버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시키고, 외부로부터 리시버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리시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석한 후 화면상에 IP 어드레스를 표출시키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게임 조작신호에 응하여 화면상에 출력되는 게임이 진행되도록 하는 화면출력장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리시버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시킨 후 상기 화면출력장치로 리시버 신호를 송출시키고, 상기 화면출력장치의 화면상에 표출된 IP 어드레스를 입력하여 상기 화면출력장치와의 온라인 접속을 시도하며, 상기 화면출력장치와 온라인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화면출력장치에 저장된 무빙 게임 중 원하는 무빙 게임을 선택하여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스마트 단말기;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스마트폰과 그에 상응하는 스마트 단말기이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리시버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화면 출력장치와 온라인 접속을 시도하여, 상기 리시버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화면출력장치와 온라인 접속을 이루지 못한 경우 와이파이(WiFi), USB, 블루투스 접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출력장치에 저장된 리시버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감도설정, 수신률 확인 메뉴항목을 통해 감도 또는 수신률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리시버 프로그램은 사용자 IP 어드레스 입력시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서 게임선택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화면출력장치를 통해 실행되는 게임목록이 화면상에 출력되고, 상기 게임 목록상에서 상기 화면출력장치에 출력된 게임과 동일한 게임을 선택하면 해당 무빙게임 조작화면이 실행되고, 상기 화면출력장치에서출력된 게임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게임이 실행되기 전에 광고 정보가 표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7. PC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무빙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게임 방법에 있어서,
    (1)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앱스토어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앱스토어를 통해 제공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
    (2)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선택된 무빙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는 단계;
    (3)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무빙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무빙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화면상에 표출시키는 단계;
    (4)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리시버 연결 메뉴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5)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리시버 연결 메뉴항목이 선택된 경우 화면출력장치의 IP 어드레스를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창을 제공하는 단계;
    (6)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입력창을 통해 IP 어드레스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IP 어드레스를 가지는 화면출력장치와 온라인 접속을 시도한 후 온라인 접속을 이룬 경우 화면상에 게임선택메뉴항목을 표출시키는 단계;
    (7)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가 화면상의 게임선택메뉴항목을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게임 선택 메뉴항목이 선택된 경우 게임메뉴항목을 제공하는 단계;
    (8) 스마트 단말기는, 게임 메뉴항목 중 임의의 게임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게임 정보를 상기 화면출력장치로 전송하여 게임이 실행되도록 하는 단계; 및
    (9)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생성되는 센서 신호를 상기 화면출력장치로 송출하여 상기 실행되고 있는 게임이 센서 신호에 따라 진행되도록 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6) 단계에서 IP 어드레스를 입력한 후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비밀번호 입력창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9) 단계에서 게임을 실행시키기 전에 광고 정보가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방법.
  10. PC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무빙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게임 방법에 있어서,
    (A) 화면출력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웹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무빙게임 접속을 이루는 단계;
    (B) 상기 화면출력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본사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리시버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실행하는 단계;
    (C) 상기 화면출력장치는, IP 어드레스를 표출시키는 단계;
    (D) 상기 화면출력장치는,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온라인 접속 시도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화면출력장치는,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온라인 접속 시도가 있는 경우 해당 스마트 단말기와 온라인 접속을 이루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게임 선택 신호에 응하여 해당 게임이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하는 단계; 및
    (F) 상기 화면출력장치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게임 조작 신호에 응하여 화면상에 출력되는 게임을 실행시키고, 게임을 진행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방법.
KR1020100132039A 2010-12-22 2010-12-22 피씨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방법 KR201200706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039A KR20120070638A (ko) 2010-12-22 2010-12-22 피씨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039A KR20120070638A (ko) 2010-12-22 2010-12-22 피씨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638A true KR20120070638A (ko) 2012-07-02

Family

ID=46705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039A KR20120070638A (ko) 2010-12-22 2010-12-22 피씨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063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024B1 (ko) * 2012-12-14 2013-06-12 송준호 동작인식정보의 연계처리 네트워크가 구비된 엔스크린연동시스템
KR101366707B1 (ko) * 2013-05-09 2014-02-25 주식회사 바이너리큐브 모바일 웹 기반 모바일 디바이스의 센서 제어를 이용한 이벤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4123299A1 (ko) * 2013-02-06 2014-08-1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모션 매칭을 이용하는 컨텐츠 동기화 서버 및 컨텐츠 동기화 방법
KR101485821B1 (ko) * 2013-06-27 2015-01-28 조경식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 및 방법
KR20180024357A (ko) * 2016-08-30 2018-03-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틱 pc를 이용한 보드 게임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024B1 (ko) * 2012-12-14 2013-06-12 송준호 동작인식정보의 연계처리 네트워크가 구비된 엔스크린연동시스템
WO2014123299A1 (ko) * 2013-02-06 2014-08-1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모션 매칭을 이용하는 컨텐츠 동기화 서버 및 컨텐츠 동기화 방법
KR101366707B1 (ko) * 2013-05-09 2014-02-25 주식회사 바이너리큐브 모바일 웹 기반 모바일 디바이스의 센서 제어를 이용한 이벤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85821B1 (ko) * 2013-06-27 2015-01-28 조경식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 및 방법
KR20180024357A (ko) * 2016-08-30 2018-03-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틱 pc를 이용한 보드 게임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7144B2 (en) Communication game system
US8353773B2 (en) Communication game system, game apparatus, server, storage medium storing a program, and game control method
KR101770419B1 (ko) 프로파일 관리 방법
KR20070015239A (ko) 휴대전화와 유저 게임공통단말기가 연동된 게임시스템 및그 방법
JP5930390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20070638A (ko) 피씨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방법
US20120295712A1 (en) Computer and recording medium
JP5524398B1 (ja) オンラインゲームを提供するサーバ装置及びゲーム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EP3493140A1 (en) Program,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5511296B2 (ja) ゲームシステム、携帯端末用サーバ、及びゲームサーバ
CN112691367B (zh) 一种数据处理方法和相关装置
JP5977585B2 (ja) ゲームシステ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端末装置
JP6434222B2 (ja) オンラインゲームを提供するサーバ装置及びゲーム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KR20140031446A (ko) Nfc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시스템
US10391403B2 (en) Game extensions in a gaming environment
KR100867539B1 (ko)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다자간 게임 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80027208A (ko) 위치기반 게임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임 시스템
JP2020110352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2141477B1 (ko) 게임 제어 장치 및 방법
JP6688366B2 (ja) オンラインゲームを提供するサーバ装置及びゲーム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6668425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1895533B1 (ko) 이동통신단말기로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JP6034181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の実行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5996782A (zh) 方法、计算机可读介质以及信息处理装置
KR20130083084A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아이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