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024B1 - 동작인식정보의 연계처리 네트워크가 구비된 엔스크린연동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작인식정보의 연계처리 네트워크가 구비된 엔스크린연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024B1
KR101274024B1 KR1020120146615A KR20120146615A KR101274024B1 KR 101274024 B1 KR101274024 B1 KR 101274024B1 KR 1020120146615 A KR1020120146615 A KR 1020120146615A KR 20120146615 A KR20120146615 A KR 20120146615A KR 101274024 B1 KR101274024 B1 KR 101274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tion
display device
motion recognition
synchron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호
김은영
Original Assignee
송준호
주식회사 케이티스카이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준호, 주식회사 케이티스카이라이프 filed Critical 송준호
Priority to KR1020120146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작인식단말기와 동작정보표시장치가 연동되어 실시되는 엔스크린연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성방송, 유무선의 디지털방송 또는 케이블방송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셋톱박스가 설치된 텔레비젼 등의 디스플레이어에 컨텐츠가 플레이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입력신호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함으로써 작동이 쉬우면서 대화면의 영상을 보면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엔스크린연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동작정보표시장치와 동기화로 동작정보표시장치에 의해 표시된 플레이 단계에 대응하는 동작인식 정보를 연계처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동작인식단말기; 상기 동작인식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동작인식 정보를 처리하여 동작정보표시장치로 전송하는 연계처리 네트워크; 및 상기 연계처리 네트워크를 통하여 동기화된 동작인식단말기에서 감지한 동작인식 정보를 수신받고, 동작인식 정보와 대응되는 표시정보를 추출하는 동작정보표시장치를 포함하고, 연계처리 네트워크를 동작정보표시장치로 동작인식 정보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어에 표시하며, 상기 동작정보표시장치에서 동기화대기상태에서 동작정보표시장치의 고유ID데이터를 동작인식단말기에서 연계처리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연계처리 네트워크에서 수신받은 고유ID데이터에 해당하는 동작정보표시장치의 연결정보 및 동작인식단말기의 정보를 포함한 동기화정보를 동작정보표시장치로 전송하고, 동작정보표시장치에서 수신받은 연결정보 및 동작인식단말기 정보를 분석하여 동작인식단말기와 동작정보표시장치가 동기화설정완료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작인식정보의 연계처리 네트워크가 구비된 엔스크린연동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N-SCREEN WITH SYNCHRONIZATION NETWORK OF GESTURE COGNITIVE INFORMATION}
본 발명은 동작인식단말기와 동작정보표시장치가 연동되어 실시되는 엔스크린연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성방송, 유무선의 디지털방송 또는 케이블방송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셋톱박스가 설치된 텔레비젼 등의 디스플레이어에 컨텐츠가 플레이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입력신호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함으로써 작동이 쉬우면서 대화면의 영상을 보면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엔스크린연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마련된 장치로, 주로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통화를 하거나 또는 메신저를 통한 문자전송에 주로 이용하고 있다.
근래에는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을 하거나 또는 메신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등록된 사람들 사이에서 보다 친숙하게 대화하는 수단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만큼 스마트단말기는 근래 사용자들에게 더욱 친숙한 장치가 된 것이다.
그리고 텔레비젼을 비롯한 디스플레이어들은 더욱 대형화되고 고화질로 영상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더욱 화려한 영상물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위성방송이나 디지털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 등 다양한 방송매체를 통하여 사용자는 더욱 많은 영상물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반면 게임과 같은 경우에는 주로 데스크탑컴퓨터에서 이용하곤 하였으나, 간단한 게임들은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하는 비율이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스마트단말기는 화면이 작은 한계가 있고, 제공되는 데이터도 무선통신을 이용하기 때문에 화려한 화면영상을 즐기기엔 제한적인 부분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스마트폰 단말기처럼 휴대하기가 편리하여 사용자의 작동이 쉬우면서, 텔레비젼에서처럼 고화질이면서 대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위성방송, 유무선의 디지털방송 또는 케이블방송 등의 방송수단(네트워크 수단 포함)을 이용하여 셋톱박스가 설치된 텔레비젼 등의 디스플레이어에 컨텐츠가 플레이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입력신호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함으로써 작동이 쉬우면서 대화면의 영상을 보면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입력방식이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 센서를 비롯하여 자이로센서, 기울기센서, 가속도센서, 중력센서 등과 같이 스마트폰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그대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스마트폰의 다양한 센서들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인터넷 망과 같은 연계처리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하기 때문에 근거리에 있는 직접 사용자 앞에 설치된 텔레비젼뿐만 아니라 원거리에 있는 다수 사용자들의 텔레비젼에도 전송하여 보여질 수 있기 때문에 다자간 다양한 컨텐츠를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작정보표시장치와 동기화로 동작정보표시장치에 의해 표시된 플레이 단계에 대응하는 동작인식 정보를 연계처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동작인식단말기; 상기 동작인식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동작인식 정보를 처리하여 동작정보표시장치로 전송하는 연계처리 네트워크; 및 상기 연계처리 네트워크를 통하여 동기화된 동작인식단말기에서 감지한 동작인식 정보를 수신받고, 동작인식 정보와 대응되는 표시정보를 추출하는 동작정보표시장치를 포함하고, 연계처리 네트워크를 동작정보표시장치로 동작인식 정보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어에 표시하며, 상기 동작정보표시장치에서 동기화대기상태에서 동작정보표시장치의 고유ID데이터를 동작인식단말기에서 연계처리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연계처리 네트워크에서 수신받은 고유ID데이터에 해당하는 동작정보표시장치의 연결정보 및 동작인식단말기의 정보를 포함한 동기화정보를 동작정보표시장치로 전송하고, 동작정보표시장치에서 수신받은 연결정보 및 동작인식단말기 정보를 분석하여 동작인식단말기와 동작정보표시장치가 동기화설정완료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인식단말기의 동작인식정보의 연계처리 네트워크가 구비된 엔스크린연동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계처리 네트워크는: 동작인식단말기로부터 동작인식단말기 및 동기화된 동작정보표시장치의 정보, 동작인식단말기에서 센싱한 동작인식 정보를 수신받고, 동작인식단말기의 동기화정보와 동작인식 정보, 동작정보표시장치의 표시데이터를 동작정보표시장치로 전송하고 동작인식단말기와 동작정보표시장치와의 동기화유지정보를 송수신받는 연결서버; 동작정보표시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어에 표시되는 정보 및 동작정보표시장치의 리소스데이터를 저장하고 동작정보표시장치에 정보를 제공하는 리턴서버; 동작정보표시장치로부터 전송된 정보로써, 동작정보표시장치에서 전개되어 표시되는 단계별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랭킹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인식단말기는: 동작정보표시장치와의 동기화 설정 과정에서 동작정보표시장치의 고유ID데이터를 입력받아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로 전송하여 동기화응답신호를 수신받아 동기화 설정과정을 수행하고, 소정 시간마다 연결서버로 동기화유지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응답신호를 수신받는 동기화유지과정을 수행하며, 동작정보표시장치에 의해 표시된 단계에 대응되는 동작인식 정보 처리대기 상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동작인식센서에서 동작인식정보를 센싱하여 연결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동작정보표시장치는: 연결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동작정보표시장치의 동기화연결정보 및 동작인식단말기의 정보를 수신받아 응답신호를 전송하여 동기화 설정과정을 수행하고, 소정 시간마다 연결서버로 동기화유지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응답신호를 수신받는 동기화유지과정을 수행하며, 동작인식단말기에서 센싱된 동작인식 정보를 수신받아 분석하여 동작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표시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장치로 이용되는 동작인식단말기와 표시를 위한 동작정보표시장치의 동기화 설정과정을 수행함에 있어, 동작정보표시장치의 고유ID데이터를 입력받아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로 전송하여 동기화응답신호를 수신받아 동기화 설정과정을 수행하고, 소정 시간마다 연결서버로 동기화유지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응답신호를 수신받는 동기화유지과정을 수행하며, 동작인식단말기의 움직임을 동작인식센서에서 센싱한 동작인식정보를 센싱하고, 소정 시간 동안 센싱된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한 정보를 연결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인식정보 연계형 동작인식단말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장치로 이용되는 동작인식단말기와 표시를 위한 동작정보표시장치의 동기화 설정과정을 수행함에 있어, 연결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동작정보표시장치의 동기화연결정보 및 동작인식단말기의 정보를 수신받아 응답신호를 전송하여 동기화 설정과정을 수행하고, 소정 시간마다 연결서버로 동기화유지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응답신호를 수신받는 동기화유지과정을 수행하며, 동작인식단말기에서 센싱된 동작인식 정보를 수신받고, 동작정보표시장치에 의해 표시된 플레이 단계에 대응하도록 수신받은 동작인식 정보를 연산하여 캐릭터의 표시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캐릭터의 표시정보를 디스플레이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인식정보 연계형 동작정보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동작인식단말기에서 동작정보표시장치의 고유ID데이터를 입력받아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로 전송하고, 연계처리 네트워크에서 고유ID데이터에 해당하는 동작정보표시장치 측으로 동작인식단말기 정보와 동기화정보를 전송하며, 동작정보표시장치에서 수신받은 동작인식단말기와의 동기화정보를 수신받아 동작인식단말기와 동작정보표시장치와의 동기화과정을 수행하는 동기화설정단계; 동작정보표시장치에 의해 표시된 플레이 단계에 대응하는 센싱대기상태에서 동작인식센서를 통해 동작인식단말기가 움직임에 따른 동작인식 정보를 센싱하고 센싱된 정보를 연산하여 동작인식 정보의 연산정보를 연계처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동작인식정보 센싱단계;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에서 동작인식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동작인식 정보를 동작정보표시장치로 전송하는 네트워크정보처리단계; 동작정보표시장치에서 동작인식 정보를 수신받고 동작정보표시장치에 의해 표시된 플레이 단계에 대응하도록 수신받은 동작인식 정보를 연산하여 연산정보에 따른 캐릭터의 표시정보를 산출하여, 산출된 캐릭터의 표시정보를 디스플레이어로 전송하는 플레이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인식단말기의 동작인식정보의 연계처리 네트워크를 포함한 엔스크린연동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인식정보 센싱단계는: 동작인식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동작인식 정보를 센싱함에 있어 소정 시간 동안 센싱된 회전각도 변화정보와 가속도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동작인식단말기에서 소정 시간마다 연결서버로 동기화유지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응답신호를 수신받거나 또는 동작정보표시장치에서 소정 시간마다 연결서버로 동기화유지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응답신호를 수신받는 동기화유지단계를 더 포함하고, 동작정보표시장치에서 새로이 수신된 동작인식 정보에 따라 산출된 캐릭터의 표시정보의 데이터를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랭킹서버로 전송하는 플레이상태정보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동작인식단말기로부터 동작인식 정보를 수신받는 연계처리 네트워크를 포함한 엔스크린연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계처리 네트워크는: 동작정보표시장치에 의해 표시된 플레이 단계에 대응하는 동작인식 정보를 동작인식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동작인식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동작인식 정보를 처리하여 동작정보표시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연계처리 네트워크는: 동작인식단말기로부터 동작인식단말기 및 동기화된 동작정보표시장치의 정보, 동작인식단말기에서 센싱한 동작인식 정보를 수신받고, 동작인식단말기의 동기화정보와 동작인식 정보, 동작정보표시장치의 표시데이터를 동작정보표시장치로 전송하고 동작인식단말기 및 동작정보표시장치와 동기화유지정보를 송수신받는 연결서버; 동작정보표시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어에 표시되는 정보 및 동작정보표시장치의 리소스데이터를 저장하고 동작정보표시장치에 정보를 제공하는 리턴서버; 및 동작정보표시장치로부터 전송된 정보로써, 동작정보표시장치에서 전개되어 표시되는 단계별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랭킹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연계처리 네트워크는: 상기 동작정보표시장치의 동기화대기상태에서 동작정보표시장치의 고유ID데이터를 동작인식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고유ID데이터에 해당하는 동작정보표시장치의 연결정보 및 동작인식단말기의 정보를 포함한 동기화정보를 동작정보표시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인식정보의 연계처리 네트워크가 구비된 엔스크린연동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위성방송, 유무선의 디지털방송 또는 케이블방송 등의 방송수단(네트워크 수단 포함)을 이용하여 셋톱박스가 설치된 텔레비젼 등의 디스플레이어에 컨텐츠가 플레이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입력신호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함으로써 작동이 쉬우면서 대화면의 영상을 보면서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사용자의 입력방식이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 센서를 비롯하여 자이로센서, 기울기센서, 가속도센서, 중력센서 등과 같이 스마트폰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그대로 반영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이러한 스마트폰의 다양한 센서들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인터넷 망과 같은 연계처리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하기 때문에 근거리에 있는 직접 사용자 앞에 설치된 텔레비젼뿐만 아니라 원거리에 있는 다수 사용자들의 텔레비젼에도 전송하여 보여질 수 있기 때문에 다자간 다양한 컨텐츠를 함께 즐길 수 있게 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스크린연동시스템에 대한 구성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스크린연동처리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엔스크린연동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엔스크린연동시스템의 동작정보표시장치와 동작인식단말기에 대한 구성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엔스크린연동시스템의 동작정보표시장치와 동작인식단말기의 동기화 순서 예시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엔스크린연동시스템에서 동작정보표시장치에 표시된 스마트카드 ID에 대한 일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엔스크린연동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게임에 대한 일실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엔스크린연동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야구게임 실시에 있어서 동작인식단말기에 타격선택 대기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엔스크린연동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야구게임 실시에 있어서 동작정보표시장치에 타격 플레이화면이 표시된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엔스크린연동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야구게임 실시에 있어서 동작인식단말기에 투구선택 대기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스크린연동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야구게임 실시에 있어서 동작정보표시장치에 투구 플레이화면이 표시된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스크린연동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야구게임 실시에 있어서 동작정보표시장치에 랭킹정보가 표시된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엔스크린연동시스템에 의해 실시에 있어서 동작정보표시장치에 동기화 안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엔스크린연동시스템의 세부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인식단말기 및 동작인식정보의 연계처리 네트워크가 구비된 엔스크린연동시스템 및 엔스크린연동처리방법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4 등에서와 같이, 동작정보표시장치(40)와 동기화로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 의해 표시된 플레이 단계에 대응하는 동작인식 정보를 연계처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동작인식단말기(30)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동작인식단말기(30)로부터 수신받은 동작인식 정보를 처리하여 동작정보표시장치(40)로 전송하는 연계처리 네트워크가 구비된다.
또한 동기화된 동작인식단말기(30)에서 감지한 동작인식 정보를 상기 연계처리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받고, 동작인식 정보와 대응되는 표시정보를 추출하는 동작정보표시장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하여 연계처리 네트워크를 통하여 동작정보표시장치(40)로 전송된 동작인식 정보를 처리하고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어(41)에 표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엔스크린연동시스템(10)에 있어서, 상기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동기화대기상태에서,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고유ID데이터를 동작인식단말기(30)에서 연계처리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연계처리 네트워크에서 수신받은 고유ID데이터에 해당하는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연결정보 및 동작인식단말기(30)의 정보를 포함한 동기화정보를 동작정보표시장치(40)로 전송하고,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서 수신받은 연결정보 및 동작인식단말기(30) 정보를 분석하여 동작인식단말기(30)와 동작정보표시장치(40)가 동기화설정완료처리하는 것이다.
또한 연계처리 네트워크를 연계해서 동작인식단말기(30)와 동작정보표시장치(40) 사이에 동기화설정과정이 완료된 이후, 동작인식단말기(30)에서 센싱 처리한 동작인식 정보를 연계처리 네트워크를 통해서 동작정보표시장치(40) 측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인식 정보의 송수신에 있어서도 동작인식단말기(30)의 정보와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고유ID 데이터를 함께 송수신함으로써 계속적인 동기화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센싱데이터를 처리하게 된다.
이에 상기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구성 예를 보면, 도 1 내지 도 3 등에서와 같이, 동작인식단말기(30)로부터 동작인식단말기(30) 및 동기화된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정보, 동작인식단말기(30)에서 센싱한 동작인식 정보를 수신받고, 동작인식단말기(30)의 동기화정보와 동작인식 정보,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표시데이터를 동작정보표시장치(40)로 전송하고 동작인식단말기(30)와 동작정보표시장치(40)와의 동기화유지정보를 송수신받는 연결서버(21)가 마련된다.
이러한 연결서버(21)에 의하여 동작인식단말기(30)와 동작정보표시장치(40) 사이에 정보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고유ID데이터를 동작인식단말기(30)에 입력하여 전송하고 이러한 전송정보는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에 의해 수신받은 후, 연결서버(21)의 저장부에 기록된 해당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고유ID데이터와 비교판별함으로써, 해당 동작정보표시장치(40)로 동작인식단말기(30)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동기화과정을 이루게 된다.
또한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서 플레이되고 있는 화면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동작행위에 따른 동작인식단말기(30)에 의해 센싱된 동작인식 정보를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에서 수신받아 동기화된 동작정보표시장치(40) 측으로 전송하여,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 의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작정보표시장치(4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어(41)에 표시되는 내용을 보면서 동기화된 동작인식단말기(30)를 움직임으로써, 사용자의 동작을 센싱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어(41)에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플레이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플레이는 축구, 야구, 농구 등과 같은 스포츠게임, 일반 서바이벌게임이나 단순한 컴퓨터게임 또는 온라인 게임 등 게임 컨텐츠의 플레이, 그리고 영상물 컨텐츠의 플레이 등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웹서버와 연동되는 문서편집, 그림작업, 길찾기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의 플레이 등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사용자가 자신이 육안으로 보는 디스플레이어 화면에 표시되는 제시 화면에 따른 알맞은 선택이나 움직임 입력데이터를 동작인식단말기(30)를 통해 센싱하게 하고, 또한 센싱된 움직임의 동작인식 정보는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를 거쳐 디스플레이어 화면에 반영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인식단말기(30)와 동작정보표시장치(40) 사이의 동기화과정 및 동작인식 정보의 송수신에 따른 처리 및 디스플레이어(41) 화면에의 정보 반영 및 표시 등의 처리는 단일 동작인식단말기(30)와 동작정보표시장치(40) 사이에 연계 처리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다수의 동작인식단말기(30)와 단일의 동작정보표시장치(40) 및 디스플레이어(41) 사이에 연계되어 실시될 수도 있고, 단일의 동작인식단말기(30)와 다수의 동작정보표시장치(40) 및 디스플레이어(41) 사이에 연계되어 실시될 수 도 있을 것이며, 나아가 다수의 동작인식단말기(30)와 다수의 동작정보표시장치(40) 및 디스플레이어(41) 사이에 연계되어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들의 다양한 실시 양태에 따른 환경설정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단일 또는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게 되는 동작인식단말기(30) 및 단일 또는 다수의 동작정보표시장치(40) 및 디스플레이어(41) 등을 포함하여 엔스크린연동시스템(10)을 구축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엔스크린연동시스템(10)은 근접거리의 동작인식단말기(30) 및 동작정보표시장치(40) 사이에서의 연계처리의 구성을 갖출 수도 있고, 원거리에 이격되어 동작인식단말기(30) 및 동작정보표시장치(40) 사이에서의 연계처리의 구성을 갖출 수도 있을 것이다. 다수 사용자들에 의한 게임의 경우에 원거리에 이격된 경우라도 인터넷 구성으로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에 접속하는 환경을 갖춘 경우라면 원거리의 사용자들 사이에 하나의 단일 게임을 플레이하면서 각자의 디스플레이어(41) 화면을 보면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등, 다자간 컨텐츠의 플레이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사용자가 이용하는 동작인식단말기(30)로부터 센싱에 의해 입력처리되는 동작인식 정보는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를 통하여 동기화된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 전송되고,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서는 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전송받은 동작인식 정보를 반영하여 처리된 상태의 표시데이터를 디스플레이어(41)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플레이 정보가 사용자에게 보이게 된다.
이러한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의 세부 구성으로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에는 서버동기화모듈(211)이 구비되고, 서버동기화모듈(211)은, 동작인식단말기(30)로부터 수신받은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고유ID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판별하여 정상일 경우 해당 고유ID데이터와 일치하는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정보를 리딩하고, 해당 동작정보표시장치(40)로 동기화정보와 동작인식단말기(30)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에는 서버동기화응답모듈(213)이 구비되고, 서버동기화응답모듈(213)은, 동작인식단말기(30) 또는 동작정보표시장치(40) 등으로부터 동기화유지의 응답요청정보를 수신받아 동작인식단말기(30)와 동작정보표시장치(40) 사이의 동기화가 유지된 상태인지 판별하고 동기화가 유지된 상태일 경우 동작인식단말기(30) 또는 동작정보표시장치(40) 측으로 응답신호를 전송하여 동기화 상태를 유지하는 처리를 한다.
그리고 서버동기화응답모듈(213)은, 동작인식단말기(30) 또는 동작정보표시장치(40)로부터 동기화유지의 응답요청정보가 소정 시간이 지나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동작인식단말기(30) 또는 동작정보표시장치(40) 측으로 동기화유지의 응답요청정보의 전송요청정보를 전송하며, 이에 해당 정보를 전송하면 동기화상태를 유지하고, 소정 시간(대략 1분 정도) 동안에도 별다른 응답요청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동기화 상태를 종료하도록 처리한다.
아울러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에는 서버동작정보처리모듈(214)이 구비되고, 서버동작정보처리모듈(214)은, 동작인식단말기(30)로부터 수신된 동작인식단말기(30) 및 동작정보표시장치(40) 등의 고유ID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정상 단말기들의 신호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등록된 단말기들로 판별된 경우에도 서로 동기화를 유지하는 단말기들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정상일 경우 후속 처리를 수행한다. 이로써 서버동작정보처리모듈(214)에서는 동작인식단말기(30)로부터 수신된 동작인식 정보를 동작인식단말기(30)와 동기화된 동작정보표시장치(40)로 전송하는 것으로,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연결정보를 리딩하여 해당 연결정보에 따라 동작인식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동작함에 동작인식 정보를 센싱하여 처리하는 동작인식단말기(30)의 정보 및 동작인식 정보를 전송받아 처리하게 되는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정보 등이 연계처리 네트워크로 전송되어 데이터가 보존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 의해 디스플레이어(41)에 표시되는 정보 및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리소스데이터를 저장하고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 정보를 제공하는 리턴서버(22)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리턴서버(22)에는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서 플레이되는 프로그램의 정보도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용량한계를 극복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동작인식 정보가 반영된 플레이 데이터는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고, 또한 연계처리 네트워크로 전송되어 데이터가 보존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동작정보표시장치(40)로부터 전송된 정보로써,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서 전개되어 표시되는 단계별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랭킹서버(23)가 마련된다.
이러한 랭킹서버(23)에는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 의해 플레이되고 있는 게임이나 정보에 있어서 현재 처리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야구나 축구 등의 게임에 있어서는 각 팀의 랭킹정보, 선수의 플레이 정보가 저장될 것이고, 에디터 프로그램이나 그림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현재 상태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동작인식단말기(30)는, 사용자 입력장치로 이용되는 동작인식단말기(30)와 표시를 위한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동기화 설정과정을 수행함에 있어,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고유ID데이터를 입력받아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로 전송하여 동기화응답신호를 수신받아 동기화 설정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동기화 설정과정 이후에는, 동작인식단말기(30)에서 소정 시간마다 연결서버(21)로 동기화유지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응답신호를 수신받는 동기화유지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동기화가 유지된 상태에서,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 의해 표시된 플레이 단계에 대응되는 동작인식 정보 센싱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움직임에 따라 동작인식단말기(30)의 움직임을 동작인식센서에서 센싱한 동작인식정보를 센싱하는 것이다.
또한 동작인식단말기(30)에서 소정 시간 동안 센싱된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한 정보를 연결서버(21)로 전송하는 것이다. 특히 동작인식센서를 통하여 센싱하는 정보로는 동작인식단말기(30)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정보, 회전정보 등을 분석하여 연계처리 네트워크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동작정보표시장치(40)는, 사용자 입력장치로 이용되는 동작인식단말기(30)와 표시를 위한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동기화 설정과정을 수행함에 있어, 연결서버(21)로부터 전송받은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동기화연결정보 및 동작인식단말기(30)의 정보를 수신받아 응답신호를 전송하여 동기화 설정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동작정보표시장치(40)는 소정 시간마다 연결서버(21)로 동기화유지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응답신호를 수신받는 동기화유지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서는, 동작인식단말기(30)에서 센싱된 동작인식 정보를 수신받아 분석하여 동작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표시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어(41)로 전송하는 것이다.
즉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서는, 동작인식단말기(30)에서 센싱된 동작인식 정보를 수신받고,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 의해 표시된 플레이 단계에 대응하도록 수신받은 동작인식 정보를 연산하여 캐릭터의 표시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캐릭터의 표시정보를 디스플레이어(41)로 전송하고, 사용자는 자신의 움직임에 따라 플레이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어(41)를 통해 보면서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인식단말기(30)에는 단말기동기화모듈(32)이 구비되고, 단말기동기화모듈(32)에 의해 단말기 동기화설정단계가 수행되는 것으로, 단말기동기화모듈(32)의 단말기동기화실행모듈(321)에 의해 사용자의 동기화 실시 신호를 입력받고, 저장부에서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고유ID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데이터를 리딩하여 화면에 표시하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어(41)에 표시된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고유ID데이터를 입력하면 입력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입력완료를 선택하면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로 입력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그리고 동작인식단말기(30)에는 단말기동작센싱모듈(34)이 구비되고, 단말기동작센싱모듈(34)은, 사용자의 신호입력으로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플레이 단계에 대응하는 표시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동작인식 센싱의 대기상태를 수행하며, 사용자에 의한 동작인식단말기(30)의 움직임을 동작인식센서를 통하여 센싱한 데이터를 전송받고, 센싱한 동작인식 정보를 분석하여 연계처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것이다. 특히 동작인식 정보로 센싱한 데이터 중에서, 가속도 정보와 회전정보를 연산하여 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가속도정보연산모듈 및 회전정보연산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동작인식단말기(30)에는 단말기동기화유지모듈(323)이 구비되고, 단말기동기화유지모듈(323)은, 동기화 유지 작동에 따른 소정 시간(대략 20초 정도의 간격)을 연산하고, 동기화유지의 응답요청정보(Ping 정보)를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로 전송하고, 연결서버(21)의 서버동기화응답모듈(213)에서 응답신호를 전송하여 동기화 상태를 유지하는 처리를 하게 된다.
그리고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는 표시장치동기화모듈(42)이 구비되고, 표시장치동기화모듈(42)에 의해 표시장치 동기화설정단계가 수행되는 것으로, 표시장치동기화모듈(42)의 표시장치동기화실행모듈(421)에 의해 사용자의 동기화 실시 신호를 입력받고, 저장부에서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고유ID데이터를 리딩하며,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고유ID데이터와 화면표시데이터를 디스플레이어(41)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어(41)에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고유ID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면서, 동작인시단말기(30)로부터 전송되어야 하는 동기화설정데이터의 수신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아울러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표시장치동기화모듈(42)에 의해 수신된 동기화정보를 처리하여 동기화설정을 완료하는 것으로, 표시장치동기화모듈(42)의 동기화판별모듈(422)에서는, 연계처리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동기화정보의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고유ID데이터와 저장된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판별하여, 다를 경우에는 대기상태 또는 동기화 재시작 등을 수행하고, 일치하는 경우에는 동기화가 정상으로 판별된 정보를 저장하고, 동기화가 정상으로 이루어진 표시정보를 디스플레이어(41)로 전송하며,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로 동기화 정상실행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또한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는 표시장치동기화유지모듈(423)이 구비되고, 표시장치동기화유지모듈(423)은, 동기화 유지 작동에 따른 소정 시간(대략 20초 정도의 간격)을 연산하고, 동기화유지의 응답요청정보(Ping 정보)를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로 전송하고, 연결서버(21)의 서버동기화응답모듈(213)에서 응답신호를 전송하여 동기화 상태를 유지하는 처리를 하게 된다.
이처럼 연계처리 네트워크를 통해 동작인식단말기(30)와 동작정보표시장치(40)가 동기화된 상태에서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컨텐츠플레이모듈(43)에 의해 컨텐츠가 플레이 된다. 이러한 컨텐츠 플레이 중에 사용자의 정보가 반영되는 것이다. 즉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서는 컨텐츠플레이모듈(43)에 의해 컨텐츠의 플레이 상태가 수행되는 단계에 있으며, 이에 컨텐츠플레이모듈(43)에 의해 디스플레이어(41)에 대기상태의 정보가 표시되고,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서는 동작인식 정보를 수신받아 처리하기 위한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동작인식단말기(40)에는 동작인식정보처리모듈(44)이 구비되고, 동작인식정보처리모듈(44)은, 동작인식단말기(30)에서 센싱한 동작인식 정보를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로부터 수신받아, 해당 동작인식단말기(30)가 동기화된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정상의 동기화된 단말기의 정보일 경우 수신받은 동작인식 정보를 분석하게 된다. 그리고 동작인식정보처리모듈(44)에서, 수신된 동작인식 정보를 분석하여, 수신대기 중에 있는 컨텐츠의 플레이 단계에 해당하는 정보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이후 수신된 동작인식 정보를 연산하여 해당 컨텐츠의 플레이 단계에 반영된 컨텐츠 플레이의 표시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이러한 표시정보는 컨텐츠플레이모듈(43)에 의해 디스플레이어(41)에 표시되고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인식단말기 및 동작인식정보의 연계처리 네트워크가 구비된 엔스크린연동시스템(10)에 의한 엔스크린연동처리방법은 아래와 같은 다수 단계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동작인식단말기(30)에서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고유ID데이터를 입력받아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로 전송하고, 연계처리 네트워크에서 고유ID데이터에 해당하는 동작정보표시장치(40) 측으로 동작인식단말기(30) 정보와 동기화정보를 전송하며,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서 수신받은 동작인식단말기(30)와의 동기화정보를 수신받아 동작인식단말기(30)와 동작정보표시장치(40)와의 동기화과정을 수행하는 동기화설정단계(S01)가 수행된다.
이에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 있어서, 표시장치동기화모듈(42)에 의해 표시장치 동기화설정단계가 수행되는 것으로, 표시장치동기화모듈(42)의 표시장치동기화실행모듈(421)에 의해 사용자의 동기화 실시 신호를 입력받고, 저장부에서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고유ID데이터를 리딩하며,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고유ID데이터와 화면표시데이터를 디스플레이어(41)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어(41)에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고유ID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면서, 동작인시단말기(30)로부터 전송되어야 하는 동기화설정데이터의 수신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에 대응하여 동작인식단말기(30)에 있어서, 단말기동기화모듈(32)에 의해 단말기 동기화설정단계가 수행되는 것으로, 단말기동기화모듈(32)의 단말기동기화실행모듈(321)에 의해 사용자의 동기화 실시 신호를 입력받고, 저장부에서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고유ID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데이터를 리딩하여 화면에 표시하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어(41)에 표시된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고유ID데이터를 입력하면 입력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입력완료를 선택하면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로 입력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의 서버동기화모듈(211)에서, 동작인식단말기(30)로부터 수신받은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고유ID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판별하여 정상일 경우 해당 고유ID데이터와 일치하는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정보를 리딩하고, 해당 동작정보표시장치(40)로 동기화정보와 동작인식단말기(30)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아울러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표시장치동기화모듈(42)에 의해 수신된 동기화정보를 처리하여 동기화설정을 완료하는 것으로, 표시장치동기화모듈(42)의 동기화판별모듈(422)에서, 연계처리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동기화정보의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고유ID데이터와 저장된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판별하여, 다를 경우에는 대기상태 또는 동기화 재시작 등을 수행하고, 일치하는 경우에는 동기화가 정상으로 판별된 정보를 저장하고, 동기화가 정상으로 이루어진 표시정보를 디스플레이어(41)로 전송하며,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로 동기화 정상실행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연계처리 네트워크를 통한 동작인식단말기(30)와 동작정보표시장치(40) 사이의 동기화설정단계를 완료하게 된다.
이처럼 연계처리 네트워크를 통해 동작인식단말기(30)와 동작정보표시장치(40)가 동기화된 상태에서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컨텐츠플레이모듈(43)에 의해 컨텐츠가 플레이된다. 이러한 컨텐츠 플레이 중에 사용자의 정보가 반영되는 것이다.
즉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 의해 디스플레이어(41)에 표시된 플레이 단계에 대응하는 센싱대기상태에서 동작인식센서를 통해 동작인식단말기(30)가 움직임에 따른 동작인식 정보를 센싱하고 센싱된 정보를 연산하여 동작인식 정보의 연산정보를 연계처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동작인식정보 센싱단계(S02)가 수행된다.
이러한 상기 동작인식정보 센싱단계는, 동작인식단말기(30)의 움직임에 따른 동작인식 정보를 센싱함에 있어 소정 시간 동안 센싱된 회전각도 변화정보와 가속도정보를 산출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동작인식단말기(30)의 단말기동작센싱모듈(34)에서, 사용자의 신호입력으로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플레이 단계에 대응하는 표시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동작인식 센싱의 대기상태를 수행하며, 사용자에 의한 동작인식단말기(30)의 움직임을 동작인식센서를 통하여 센싱한 데이터를 전송받고, 센싱한 동작인식 정보를 분석하여 연계처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특히 동작인신 정보로 센싱한 데이터 중에서, 가속도 정보와 회전정보를 연산하여 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가속도정보연산모듈 및 회전정보연산모듈이 더 구비되어 각각 단계를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에서 동작인식단말기(30)로부터 수신받은 동작인식 정보를 동작정보표시장치(40)로 전송하는 네트워크정보처리단계(S03)가 수행된다.
이에 동작인식 정보를 동작인식단말기(30)에서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동작인식 정보를 포함하여, 동작인식단말기(30)의 고유ID데이터 및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고유ID데이터도 포함하여 전송하며, 이에 따라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에서는 수신받은 동작인식 정보의 처리에 앞서 동작인식단말기(30)와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동기화 및 유효한 단말기들의 정보인지 여부를 선행적으로 판별하게 되어, 정상일 경우 후속 단계를 수행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일 실시예를 보면,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의 서버동작정보처리모듈(214)에서, 동작인식단말기(30)로부터 수신된 동작인식단말기(30) 및 동작정보표시장치(40) 등의 고유ID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정상 단말기들의 신호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등록된 단말기들로 판별된 경우에도 서로 동기화를 유지하는 단말기들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정상일 경우 후속 처리를 수행한다. 이로써 서버동작정보처리모듈(214)에서는 동작인식단말기(30)로부터 수신된 동작인식 정보를 동작인식단말기(30)와 동기화된 동작정보표시장치(40)로 전송하는 것으로,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연결정보를 리딩하여 해당 연결정보에 따라 동작인식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서 동작인식 정보를 수신받고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 의해 디스플레이어(41)에 표시된 플레이 단계에 대응하도록 수신받은 동작인식 정보를 연산하여 연산정보에 따른 캐릭터의 표시정보를 산출하여, 산출된 캐릭터의 표시정보를 디스플레이어(41)로 전송하는 플레이표시단계(S04)가 수행되어, 동작인식단말기 및 동작인식정보의 연계처리 네트워크를 포함한 엔스크린연동처리방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서는 컨텐츠플레이모듈(43)에 의해 컨텐츠의 플레이 상태가 수행되는 단계에 있으며, 이에 컨텐츠플레이모듈(43)에 의해 디스플레이어(41)에 대기상태의 정보가 표시되고,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서는 동작인식 정보를 수신받아 처리하기 위한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동작인식단말기(40)의 동작인식정보처리모듈(44)에서, 동작인식단말기(30)에서 센싱한 동작인식 정보를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로부터 수신받아, 해당 동작인식단말기(30)가 동기화된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정상의 동기화된 단말기의 정보일 경우 수신받은 동작인식 정보를 분석하게 된다. 그리고 동작인식정보처리모듈(44)에서, 수신된 동작인식 정보를 분석하여, 수신대기 중에 있는 컨텐츠의 플레이 단계에 해당하는 정보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이후 수신된 동작인식 정보를 연산하여 해당 컨텐츠의 플레이 단계에 반영된 컨텐츠 플레이의 표시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이처럼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가 반영된 컨텐츠의 캐릭터의 표시정보는 컨텐츠플레이모듈(43)에 의해 디스플레이어(41)에 표시되고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이처럼 연계처리 네트워크를 통하여 동작인식단말기(30)와 동작정보표시장치(40)가 동기화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한 정보가 연계처리 네트워크를 통해 디스플레이어(41)에 표시되도록 하면서, 동기화 상태의 유지 및 후속 처리의 단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동작인식단말기(30)에서 소정 시간마다 연결서버(21)로 동기화유지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응답신호를 수신받거나 또는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서 소정 시간마다 연결서버(21)로 동기화유지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응답신호를 수신받는 동기화유지단계(S05)를 더 수행하게 된다.
이에 동작인식단말기(30)의 단말기동기화유지모듈(323)에서, 동기화 유지 작동에 따른 소정 시간(대략 20초 정도의 간격)을 연산하고, 동기화유지의 응답요청정보(Ping 정보)를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로 전송하고, 연결서버(21)의 서버동기화응답모듈(213)에서 응답신호를 전송하여 동기화 상태를 유지하는 처리를 하게 된다.
그리고 동작정보표시장치(40)의 표시장치동기화유지모듈(423)에서, 동기화 유지 작동에 따른 소정 시간(대략 20초 정도의 간격)을 연산하고, 동기화유지의 응답요청정보(Ping 정보)를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로 전송하고, 연결서버(21)의 서버동기화응답모듈(213)에서 응답신호를 전송하여 동기화 상태를 유지하는 처리를 하게 된다.
또한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의 서버동기화응답모듈(213)에서, 동작인식단말기(30) 또는 동작정보표시장치(40)로부터 동기화유지의 응답요청정보가 소정 시간이 지나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동작인식단말기(30) 또는 동작정보표시장치(40) 측으로 동기화유지의 응답요청정보의 전송요청정보를 전송하며, 이에 해당 정보를 전송하면 동기화상태를 유지하고, 소정 시간(대략 1분 정도) 동안에도 별다른 응답요청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동기화 상태를 종료하는 알고리즘을 처리하도록 실시될 것이다.
다음으로 동작정보표시장치(40)에서 새로이 수신된 동작인식 정보에 따라 산출된 캐릭터의 표시정보의 데이터를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랭킹서버(23)로 전송하는 플레이상태정보전송단계(S06)를 수행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인식단말기 및 동작인식정보의 연계처리 네트워크가 구비된 엔스크린연동시스템 및 연계처리를 포함한 엔스크린연동처리방법이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처럼 게임 컨텐츠에 적용되는 일 실시예시를 바탕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동작인식단말기(30)의 예로는 스마트단말기, PDA, 타블릿 PC, 스마트패드, 휴대용단말기(휴대폰)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예로는 일반 인터넷 서버, 케이블텔레비전의 서버, 디지털방송의 서버, 위성방송 시스템의 서버 등을 통한 네트워크의 구성으로 될 수 있으며, 동작정보표시장치(40)는 각 서버 네트워크 구성들과 관련된 셋톱박스(Settop Box)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컨텐츠 구현을 위해 각 셋톱박스(Settop Box)를 포함한 동작정보표시장치(40) 및 스마트단말기 등으로 하는 동작인식단말기(30) 등에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도록 초기 사용 설정이 이루어질 것이다.
따라서 동작인식의 정보는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신호를 생성한 동작인식단말기(스마트단말기, PDA, 타블릿 PC, 스마트패드, 휴대용단말기(휴대폰) 등)에서 중계서버인 연계처리 네트워크로써 컨텐츠 운영과 관련된 서버 네트워크를 통하여 게임 컨텐츠가 실행되는 각 셋톱박스(Settop Box)인 동작정보표시장치(40)로 전송되어 실행될 것이다.
다른 실시로 동작인식단말기(스마트단말기, PDA, 타블릿 PC, 스마트패드, 휴대용단말기(휴대폰) 등)의 화면이 터치스크린으로 실시되는 경우에는 터치앤릴리즈(1점 터치, 2점 터치, 3점 터치 ~ n 점 터치 후 손가락이나 터치펜을 떼는 것), 티치앤드래그(1점 터치, 2점 터치, 3점 터치 ~ n 점 터치 후 손가락이나 터치펜을 미는 것)의 센싱값을 동작인식 정보로 산출하여 중계서버를 통해 동작정보표시장치(40)인 셋톱박스 측으로 전송하여 실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들은 대체로 데이터 전달에 있어 소켓(socket) 통신을 이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게임 컨텐츠를 시작하여 종료할 때까지 동기화가 계속 끊어지지 않고 연결되어 있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비교적 순간적(대략 0.5초 이내)인 경우로 상시적 상황에서는 센싱값을 전달하기 위해 단말기와 셋톱박스 사이에 소켓을 열고 항상 접속세션을 유지하는 서버 스타형 네트워크 구조를 적용하는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장시간(대략 0.5초를 초과하는 경우)인 경우에는 센싱값이 전달되어도 좋은 턴방식의 게임이나 서비스를 위해 단말기와 셋톱박스 간 HTTP류의 프로토콜로 전달하는 서버 매트릭스 네트워크 구조를 적용한 기법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취한 동작은 스마트단말기나 휴대용단말기, PDA, 타블릿 PC, 스마트패드 등의 동작인식단말기에 탑재된 동작인식센서(예, 자이로센서, 기울기센서, 가속도센서, 중력센서, 근접센서, 터치센서 등)에서 인식하며, 각 동작마다의 고유한 코드값을 중계서버인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21)로 전달하고, 중계서버인 연결서버에서 셋톱박스(Settop Box)인 동작정보표시장치(40) 측으로 전달하여 셋톱박스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연산되는 동작인식의 과정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어(41)에 표시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엔스크린연동시스템 21 : 연결서버
211 : 서버동기화모듈 213 : 서버동기화응답모듈
214 : 서버동작정보처리모듈 22 : 리턴서버
23 : 랭킹서버
30 : 동작인식단말기 32 : 단말기동기화모듈
321 : 단말기동기화실행모듈 323 : 단말기동기화유지모듈
34 : 단말기동작센싱모듈
40 : 동작정보표시장치 41 : 디스플레이어
42 : 표시장치동기화모듈 421 : 표시장치동기화실행모듈
422 : 동기화판별모듈 423 : 표시장치동기화유지모듈
43 : 컨텐츠플레이모듈 44 : 동작인식정보처리모듈

Claims (8)

  1. 동작정보표시장치에 의해 표시된 플레이 단계에 대응하는 동작인식 정보를 동작인식단말기로부터 수신받는 연계처리 네트워크를 포함한 엔스크린연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계처리 네트워크는:
    동작인식단말기로부터 동작인식단말기 및 동기화된 동작정보표시장치의 정보, 동작인식단말기에서 센싱한 동작인식 정보를 수신받고, 동작인식단말기의 동기화정보와 동작인식 정보, 동작정보표시장치의 표시데이터를 동작정보표시장치로 전송하고 동작인식단말기 및 동작정보표시장치와 동기화유지정보를 송수신받는 연결서버;
    동작정보표시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어에 표시되는 정보 및 동작정보표시장치의 리소스데이터를 저장하고 동작정보표시장치에 정보를 제공하는 리턴서버; 및
    동작정보표시장치로부터 전송된 정보로써, 동작정보표시장치에서 전개되어 표시되는 단계별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랭킹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연계처리 네트워크는:
    상기 동작정보표시장치의 동기화대기상태에서 동작정보표시장치의 고유ID데이터를 동작인식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고유ID데이터에 해당하는 동작정보표시장치의 연결정보 및 동작인식단말기의 정보를 포함한 동기화정보를 동작정보표시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인식정보의 연계처리 네트워크가 구비된 엔스크린연동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인식단말기는:
    동작정보표시장치와의 동기화 설정 과정에서 동작정보표시장치의 고유ID데이터를 입력받아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로 전송하여 동기화응답신호를 수신받아 동기화 설정과정을 수행하고,
    소정 시간마다 연결서버로 동기화유지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응답신호를 수신받는 동기화유지과정을 수행하며,
    동작정보표시장치에 의해 표시된 단계에 대응되는 동작인식 정보 처리대기 상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동작인식센서에서 동작인식정보를 센싱하여 연결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동작정보표시장치는:
    연결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동작정보표시장치의 동기화연결정보 및 동작인식단말기의 정보를 수신받아 응답신호를 전송하여 동기화 설정과정을 수행하고,
    소정 시간마다 연결서버로 동기화유지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응답신호를 수신받는 동기화유지과정을 수행하며,
    동작인식단말기에서 센싱된 동작인식 정보를 수신받아 분석하여 동작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표시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인식정보의 연계처리 네트워크가 구비된 엔스크린연동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동작인식단말기에서 동작정보표시장치의 고유ID데이터를 입력받아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로 전송하고, 연계처리 네트워크에서 고유ID데이터에 해당하는 동작정보표시장치 측으로 동작인식단말기 정보와 동기화정보를 전송하며, 동작인식단말기와의 동기화정보를 동작정보표시장치에서 수신받아, 동작인식단말기 및 동작정보표시장치 사이의 동기화과정을 수행하는 동기화설정단계;
    동작정보표시장치에 의해 표시된 플레이 단계에 대응하는 센싱대기상태에서 동작인식단말기의 동작인식센서를 통해 동작인식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동작인식 정보를 센싱하고 센싱된 정보를 연산하여 동작인식 정보의 연산정보를 연계처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동작인식정보 센싱단계;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에서 동작인식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동작인식 정보를 동작정보표시장치로 전송하는 네트워크정보처리단계;
    동작정보표시장치에서 동작인식 정보를 수신받고 동작정보표시장치에 의해 표시된 플레이 단계에 대응하도록 동작인식 정보를 연산하여 연산정보에 따른 캐릭터의 표시정보를 산출하여, 산출된 캐릭터의 표시정보를 디스플레이어로 전송하는 플레이표시단계;
    를 포함하는 엔스크린연동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작인식정보 센싱단계는:
    동작인식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동작인식 정보를 센싱함에 있어 소정 시간 동안 센싱된 회전각도 변화정보와 가속도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인식정보의 연계처리 네트워크를 포함한 엔스크린연동처리방법.
  8. 동작인식단말기에서 동작정보표시장치의 고유ID데이터를 입력받아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로 전송하고, 연계처리 네트워크에서 고유ID데이터에 해당하는 동작정보표시장치 측으로 동작인식단말기 정보와 동기화정보를 전송하며, 동작인식단말기와의 동기화정보를 동작정보표시장치에서 수신받아, 동작인식단말기 및 동작정보표시장치 사이의 동기화과정을 수행하는 동기화설정단계;
    동작정보표시장치에 의해 표시된 플레이 단계에 대응하는 센싱대기상태에서 동작인식단말기의 동작인식센서를 통해 동작인식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동작인식 정보를 센싱하고 센싱된 정보를 연산하여 동작인식 정보의 연산정보를 연계처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동작인식정보 센싱단계;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연결서버에서 동작인식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동작인식 정보를 동작정보표시장치로 전송하는 네트워크정보처리단계;
    동작정보표시장치에서 동작인식 정보를 수신받고 동작정보표시장치에 의해 표시된 플레이 단계에 대응하도록 동작인식 정보를 연산하여 연산정보에 따른 캐릭터의 표시정보를 산출하여, 산출된 캐릭터의 표시정보를 디스플레이어로 전송하는 플레이표시단계;
    를 포함하는 엔스크린연동처리방법에 있어서,
    동작인식단말기에서 소정 시간마다 연결서버로 동기화유지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응답신호를 수신받거나 또는 동작정보표시장치에서 소정 시간마다 연결서버로 동기화유지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응답신호를 수신받는 동기화유지단계를 더 포함하고,
    동작정보표시장치에서 새로이 수신된 동작인식 정보에 따라 산출된 캐릭터의 표시정보의 데이터를 연계처리 네트워크의 랭킹서버로 전송하는 플레이상태정보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인식정보의 연계처리 네트워크를 포함한 엔스크린연동처리방법.
KR1020120146615A 2012-12-14 2012-12-14 동작인식정보의 연계처리 네트워크가 구비된 엔스크린연동시스템 KR101274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615A KR101274024B1 (ko) 2012-12-14 2012-12-14 동작인식정보의 연계처리 네트워크가 구비된 엔스크린연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615A KR101274024B1 (ko) 2012-12-14 2012-12-14 동작인식정보의 연계처리 네트워크가 구비된 엔스크린연동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4024B1 true KR101274024B1 (ko) 2013-06-12

Family

ID=48866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615A KR101274024B1 (ko) 2012-12-14 2012-12-14 동작인식정보의 연계처리 네트워크가 구비된 엔스크린연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0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2548A (ko) * 2008-12-02 2010-06-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체감형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70638A (ko) * 2010-12-22 2012-07-02 (주)로이비즈 피씨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2548A (ko) * 2008-12-02 2010-06-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체감형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70638A (ko) * 2010-12-22 2012-07-02 (주)로이비즈 피씨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3147B2 (en) Media-aware interface
CN110087117B (zh) 一种视频播放方法及终端
CN111405299B (zh) 基于视频流的直播交互方法及其相应的装置
CN107551555B (zh) 游戏画面显示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CN111491197B (zh) 一种直播内容展示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178450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in video live streaming process, and storage medium
CN110536008B (zh) 一种投屏方法及移动终端
US20130265448A1 (en) Analyzing Human Gestural Commands
CN102870425A (zh) 通过运动ui框架的主屏幕视图控制
CN112969087B (zh) 一种信息展示方法、客户端、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8076379B (zh) 多屏互动实现方法及装置
US9733888B2 (en) Method for rendering data in a network and associated mobile device
CN102740152A (zh) 远程遥控系统、电视机、远程控制器、远程遥控方法
CN114205633A (zh) 直播互动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JP6404877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4216683A (ja) データ放送の二次元コードを用いたデジタル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情報配信方法
US119684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ed viewing of media content
KR101274024B1 (ko) 동작인식정보의 연계처리 네트워크가 구비된 엔스크린연동시스템
KR101566234B1 (ko) 게임 실행 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150112066A (ko) 실시간 방송 컨텐츠 연동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장치
CN112261465A (zh) 视频处理方法及装置
JP2018192326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9420067B2 (en)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400827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n action in response to a change in status of an input device
CN114915823B (zh) 视频播放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