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821B1 -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821B1
KR101485821B1 KR20130074533A KR20130074533A KR101485821B1 KR 101485821 B1 KR101485821 B1 KR 101485821B1 KR 20130074533 A KR20130074533 A KR 20130074533A KR 20130074533 A KR20130074533 A KR 20130074533A KR 101485821 B1 KR101485821 B1 KR 101485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formation
data
motion
motion data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4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9626A (ko
Inventor
조경식
Original Assignee
조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식 filed Critical 조경식
Priority to KR20130074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821B1/ko
Publication of KR20150009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local area network [LAN]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 모션에 따라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타 기기에서 플레이되는 캐릭터 등을 제어하는 모듈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은, 휴대용 단말에 내장된 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사용자의 모션에 의하여 발생되는 변화량에 관한 데이터인 모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션데이터 수신부; 특정 데이터들과 상기 특정 데이터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제어정보 저장부; 상기 제어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제어 정보 중 상기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파악하는 제어정보 파악부; 및 상기 제어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된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이 아닌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이 아닌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에서 플레이되는 캐릭터를 제어하는 제어정보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 및 방법{Remote Control Module and Method Using User Motion}
본 발명은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타 기기에서 플레이되는 캐릭터를 컨트롤 하는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의 발전과 보급으로 스마트 폰을 이용한 게임이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스마트 폰에서 혼자서 게임 상 캐릭터를 컨트롤 하여 게임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게임의 재미를 위하여 스마트 폰에서 게임 화면이나 캐릭터를 컨트롤 하기 위하여 중력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그러나, PC에서 플레이 되는 게임 상 캐릭터를 컨트롤 하기 위한 스마트 폰의 이용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PC에서 플레이 되는 게임 상 캐릭터를 컨트롤 하는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의 즐거움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타 기기에서 플레이되는 캐릭터 등을 제어하는 모듈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모션을 이용하여 타 기기에서 플레이되는 캐릭터 등을 제어하는 모듈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은, 휴대용 단말에 내장된 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사용자의 모션에 의하여 발생되는 변화량에 관한 데이터인 모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션데이터 수신부; 특정 데이터들과 상기 특정 데이터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제어정보 저장부; 상기 제어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제어 정보 중 상기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파악하는 제어정보 파악부; 및 상기 제어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된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이 아닌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이 아닌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에서 플레이되는 캐릭터를 제어하는 제어정보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은, 상기 모션데이터 수신부에 의하여 상기 모션 데이터 수신을 시작하는 시작 시점 및 상기 모션 데이터 수신을 종료하는 종료 시점을 지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의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수신하는 시점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은, 상기 모션데이터 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되는 상기 모션 데이터를 기 설정된 크기로 정규화하는 정규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정보 파악부는 상기 제어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제어 정보 중 상기 정규화된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규화부는, 상기 정규화된 데이터를 필터링(Filtering)을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며, 상기 제어정보 파악부는,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정규화된 데이터와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에 내장된 센서는, 중력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포함하며, 상기 모션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하는 상기 모션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모션 따라 발생되는 변화량을 상기 중력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정보 저장부는, 상기 특정 데이터들과 상기 특정 데이터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정보 통신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과 상기 휴대용 단말이 아닌 장치가 서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휴대용 단말이 아닌 장치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이 아닌 장치에 의하여 플레이되는 프로그램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정보 파악부는, 상기 수신된 프로그램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정보 저장부에 분류 저장된 데이터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분류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상기 모션 데이터와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은,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 일 수 있다.
상기 제어정보 파악부는, 상기 제어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특정 데이터들 중에서, 상기 모션 데이터와 소정의 비율 이상 매칭이 되는 특정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특정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상기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방법은, 휴대용 단말에 내장된 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사용자의 모션에 의하여 발생되는 변화량에 관한 데이터인 모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션데이터 수신단계; 특정 데이터들과 상기 특정 데이터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제어정보 저장단계; 상기 제어정보 저장단계에 저장된 제어 정보 중 상기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파악하는 제어정보 파악단계; 및 상기 제어정보 파악단계에서 파악된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이 아닌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에서 플레이되는 캐릭터를 제어하는 제어정보 통신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방법은, 상기 모션데이터 수신단계에 의하여 상기 모션 데이터 수신을 시작하는 시작 시점 및 상기 모션 데이터 수신을 종료하는 종료 시점을 지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의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수신하는 시점 수신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방법은, 상기 모션데이터 수신단계에 의하여 수신되는 상기 모션 데이터를 기 설정된 크기로 정규화하는 정규화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정보 파악단계는 상기 제어정보 저장단계에 저장된 제어 정보 중 상기 정규화된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정규화단계는, 상기 정규화된 데이터를 필터링(Filtering)을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며, 상기 제어정보 파악단계는,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정규화된 데이터와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에 내장된 센서는, 중력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포함하며, 상기 모션데이터 수신단계가 수신하는 상기 모션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모션 따라 발생되는 변화량을 상기 중력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정보 저장단계는, 상기 특정 데이터들과 상기 특정 데이터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정보 통신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과 상기 휴대용 단말이 아닌 장치가 서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휴대용 단말이 아닌 장치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이 아닌 장치에 의하여 플레이되는 프로그램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정보 파악단계는, 상기 수신된 프로그램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정보 저장단계에 분류 저장된 데이터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분류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상기 모션 데이터와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은,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정보 파악단계는, 상기 제어정보 저장단계에 저장된 상기 특정 데이터들 중에서, 상기 모션 데이터와 소정의 비율 이상 매칭이 되는 특정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특정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상기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 연결된 타 기기에서 플레이되는 캐릭터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몰입도 높은 게임 등의 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들이 개개인이 소유한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함께 게임 등의 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모션으로 캐릭터를 제어하는 바, 운동 효과 및 즐거움을 배가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야구의 타격, 골프의 스윙 등 자세 교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이 적용된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단말을 손에 쥔 채로 모션을 취하면, 휴대용 단말에 존재하는 중력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의 센서들에서 측정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이 아닌 타 기기에서 플레이 되는 게임 속 캐릭터 등을 제어하는 것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서 휴대용 단말은, 중력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가 포함되며, 무선 통신 기능이 포함되고, 사용자 입력을 위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이 적용된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100)을 쥔 채로 골프 스윙 모션을 취하면, 휴대용 단말(100)에 내장된 센서들은 사용자의 골프 스윙 모션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100)을 쥔 채로 골프 스윙 모션을 취하면, 휴대용 단말(100)에 내장된 중력센서나 자이로 센서(120)가 사용자 모션에 의하여 발생되는 가속도, 기울기, 각속도 등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110)은 센서들에서 측정된 사용자 모션에 의하여 발생되는 변화량을 측정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타 기기(200)에서 플레이되는 골프 게임 상 캐릭터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110)은 제어 정보를 타 기기(200)로 전송하여, 타 기기(200)에서 플레이되는 골프 게임 상 캐릭터를 제어 또는 동작 시킬 수 있다.
타 기기(200)는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110)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100)이 아닌 다른 장치로, TV, 컴퓨터, 노트북 등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게임 등이 플레이 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110)은 휴대용 단말(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1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110)은 시점 수신부(111), 모션데이터 수신부(112), 정규화부(114), 제어정보 저장부(113), 제어정보 파악부(115) 및 제어정보 통신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데이터 수신부(112)는 휴대용 단말(100)에 내장된 센서의 측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션데이터 수신부(112)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100)을 쥔 채로 모션을 취함으로써 발생되는 변화량을 휴대용 단말(100)에 내장된 센서가 측정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100)을 쥔 채로 모션을 취함으로써 발생되는 변화량을 휴대용 단말(100)에 내장된 센서가 측정한 데이터를 "모션 데이터"로 명명한다. 따라서, 모션데이터 수신부(112)가 수신하는 데이터는 "모션 데이터"가 된다.
모션데이터 수신부(112)는 휴대용 단말(100)에 내장된 중력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120)에 의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100)을 쥔 채로 모션을 취하면, 휴대용 단말(100)에 내장된 중력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120)는 휴대용 단말(100)의 가속도, 기울기, 각속도 등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즉, 모션데이터 수신부(112)가 중력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120)로부터 수신하는 모션 데이터는 휴대용 단말(100)의 가속도, 기울기, 각속도 등의 변화량 데이터일 수 있다.
모션데이터 수신부(112)가 수신하는 모션 데이터는 휴대용 단말(100)의 가속도, 기울기, 각속도 등의 변화량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션에 의하여 발생되어 휴대용 단말(100)에 내장된 센서들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시점 수신부(111)는 모션데이터 수신부(112)에 의하여 모션 데이터 수신을 시작하는 시작 시점 및 상기 모션 데이터 수신을 종료하는 종료 시점을 지정하는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110)은 터치 스크린 상에 모션 입력 시작 및 종료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차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제어정보 통신부(116)에 의하여 타 기기(200)와 연결된 후, 사용자가 단말의 터치 스크린 중 어느 부분 또는 특정 부분을 터치한 채로 모션을 취하고, 터치를 중단하면, 터치한 시점이 모션데이터 수신부(112)가 모션 데이터 수신을 시작하는 시작 시점이 될 수 있고, 터치를 중단하는 시점이 종료 시점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모션을 취하기 전 또는 모션 도중에 터치 스크린 중 어느 부분 또는 특정 부분을 터치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모션 도중 또는 모션이 종료된 후 터치 스크린 중 어느 부분 또는 특정 부분을 터치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모션 도중에 시작 시점 또는 종료 시점을 지정하는 입력을 하면, 시점 수신부(111)는, 사용자가 시작 시점 또는 종료 시점을 지정하는 입력이 수신된 시점부터 모션데이터를 수신 또는 종료하도록 모션데이터 수신의 시작 시점 또는 종료 시점을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션을 취하기 전 또는 모션이 종료된 후 시작 시점 또는 종료 시점을 지정하는 입력을 하면, 시점 수신부(111)는, 사용자의 시작 시점 또는 종료 시점을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한 후 소정의 시간 경과 후의 시점을 실질적인 시작 시점 또는 종료 시점으로 지정하여 모션데이터 수신의 시작 시점 또는 종료 시점을 지정할 수도 있다. 또는,
즉, 사용자가 모션을 취하는 도중에 시작 시점 또는 종료 시점을 지정을 위한 입력이 어려운 경우, 사용자는 모션을 취하기 직전 또는 소정이 시간 이전에 시작 시점 또는 종료 시점 지정을 위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시작 시점 또는 종료 시점 지정을 위한 입력이 있은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시점을 모션데이터 수신의 시작 시점 또는 종료 시점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상기 소정의 시간은 타 기기(200)에서 플레이되는 프로그램의 종류, 사용자의 설정, 모션데이터 수집의 정확도, 모션의 종류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정규화부(114)는 모션데이터 수신부(112)에 의하여 수신되는 상기 모션 데이터를 기 설정된 크기로 정규화(Normalize)할 수 있다.
또한, 정규화부(114)는 필터링(Filtering)을 이용하여 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모션 데이터 또는 정규화된 모션 데이터에서 노이즈(Noise)를 제거할 수 있다.
제어정보 저장부(113)는 특정 데이터들과 상기 특정 데이터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구체적으로 제어정보 저장부(113)는 타 기기(200)에서 플레이되는 프로그램 별로 제어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타 기기(200)에서 플레이되는 프로그램이 골프 게임인 경우, 골프 게임 속 캐릭터의 스윙 등에 관한 다양한 제어 정보가 존재한다. 제어정보 저장부(113)는 특정 데이터와 상기 다양한 제어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골프 게임 속 캐릭터의 스윙에 관한 제어 정보는 둘 이상의 특정 데이터와 대응되는 제어 정보들이 종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모션데이터 수신부(112)가 자이로 센서(120)로부터 수신한 가속도에 관한 모션 데이터 A에 대응되는 스윙 힘에 관한 제어 정보 B, 자이로 센서(120)로부터 수신한 기울기에 관한 모션 데이터 C에 대응되는 스윙 방향에 관한 제어 정보 D가 종합하여 골프 게임 속 캐릭터의 스윙에 관한 제어 정보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어정보 저장부(113)는 야구 게임, 테니스 게임 등 게임이나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서, 특정 데이터와 대응되는 제어 정보가 각각 설정되어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정보 저장부(113)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데이터는, 휴대폰에 내장된 센서들이 사용자의 모션에 의하여 발생되는 가속도, 기울기, 각속도 등의 변화량을 측정한 데이터와 동일한 형태 또는 조합된 형태의 데이터 일 수 있다.
제어정보 저장부(113)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데이터 또는 특정 데이터와 대응되는 제어 정보는 사용자의 설정, 게임의 종류, 프로그램의 업데이트, 추가적인 정보 입력 등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제어정보 파악부(115)는 제어정보 저장부(113)에 저장된 제어 정보 중 상기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파악한다.
제어정보 파악부(115)는 정규화부(114)에 의하여 수신된 모션 데이터가 정규화된 경우에는, 제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제어 정보 중 정규화된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정보 파악부(115)는 정규화부(114)에 의하여 수신된 모션 데이터가 정규화되고 노이즈가 제거된 경우에는, 제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제어 정보 중 정규화되고 노이즈가 제거된 제어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 정보 파악부가 정규화된 모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파악하는 경우, 제어정보 저장부(113)의 특정 데이터도 정규화된 모션 데이터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의 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제어 정보 파악부가 정규화되고 노이즈가 제거된 모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파악하는 경우, 제어정보 저장부(113)의 특정 데이터도 정규화되고 노이즈가 제거된 모션 데이터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의 데이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정보 파악부(115)는 제어정보 저장부(113)에 저장된 특정 데이터들 중에서 수신된 모션 데이터(또는 설정에 따라서 정규화된 모션 데이터나 정규화되고 노이즈가 제거된 모션 데이터)와 소정의 비율이상 매칭이 되는 특정 데이터들과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상기 수신된 모션 데이터의 제어 정보로 파악할 수 있다.
제어정보 통신부(116)는 제어정보 파악부(115)에서 파악된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타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정보 통신부(116)가 제어정보를 타 기기(200)로 전송하여 타 기기(200)에서 플레이되는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정보 통신부(116)가 제어정보 파악부(115)에서 파악된 제어정보를 타 기기(200)로 전송하여 타 기기(200)에서 플레이 중인 캐릭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되는 캐릭터는 반드시 사람의 형태가 아닐 수도 있다.
제어정보 통신부(116)는 타 기기(200)에 연결을 요청하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고, 타 기기(200)에 재생 중인 또는 재생이 예정되는 프로그램의 종류, 프로그램의 이름 등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제어정보 통신부(116)가 획득한 타 기기(200)에서 재생 중인 또는 재생이 예정된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는 제어정보 파악부(115)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정보 파악부(115)는, 제어정보 통신부(116)에 의하여 획득된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빠르게 모션데이터와 소정의 비율이상 매칭되는 특정 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정보 저장부(113)는 타 기기(200)에서 플레이되는 프로그램의 종류별로 분류하여 각각의 특정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정보 파악부(115)는 제어정보 통신부(116)에 의하여 획득된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프로그램 별로 분류되어 저장된 특정 데이터들만 모션데이터와의 매칭 여부를 비교하여 보다 빠르게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정보 통신부(116)에서 획득한 프로그램 정보는 모션데이터 수신부(112)에 의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모션데이터 수신부(112)는 제어정보 통신부(116)에서 획득한 프로그램 정보에 따라서, 휴대용 단말(100)에 내장된 센서들로부터 선택적으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즉, 모션데이터 수신부(112)는 제어정보 통신부(116)에서 획득한 프로그램이 X인 경우, 휴대용 단말(100)에 내장된 센서 중 K센서 및 T센서에서 측정되는 정보만 모션 데이터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모션데이터 수신부(112)는 센서들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바에 따라서 모션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기 설정된 바는 센서들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조합, 특정한 함수식을 이용한 변형, 센서들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순서쌍으로 나타내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모션데이터 수신부(112)에서 수신한 모션데이터 또는 생성한 모션데이터는 제어정보 저장부(113)에 저장된 특정 데이터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방법을 설명하면, 제어정보 통신부(116)가 타 기기(200)에 연결 요청을 하여 타 기기(200)와 연결을 한다(S310, S320 단계).
시점 수신부(111)가 모션데이터 수신부(112)에 의하여 모션 데이터 수신을 시작하는 시작 시점 및 모션 데이터 수신을 종료하는 종료 시점을 지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S330 단계).
예를 들면, 휴대용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가 터치 입력의 유무 및 터치 입력의 여부에 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점 수신부(111)는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을 지정할 수 있다.
모션데이터 수신부(112)가 시점 수신부(111)에 의하여 지정된 시작 시점부터 휴대용 단말(100)에 내장된 중력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120)를 포함한 센서들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시점 수신부(111)에 의하여 지정된 종료 시점까지 수신할 수 있다(S340 단계). 모션데이터 수신부(112)는 센서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션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정규화부(114)는 상기 모션데이터 수신부(112)에 의하여 수신되거나 생성된 모션 데이터를 정규화(Normalize)할 수 있다. 또한, 정규화부(114)는 생성된 모션 데이터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후 정규화를 수행하거나, 정규화가 수행된 모션 데이터에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S350 단계).
제어정보 파악부(115)는 제어정보 저장부(113)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데이터들 중에서 노이즈가 제거되고 정규화된 모션 데이터와 소정의 비율 이상 매칭 되는 특정 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정보 파악부(115)는 제어정보 저장부(113)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파악된 특정 데이터와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S360 단계).
제어정보 통신부(116)는 제어정보 파악부(115)에 의하여 파악된 제어 정보를 연결된 타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S370 단계). 제어정보 통신부(116)가 타 기기(200)로 제어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타 기기(200)에서 재생(또는 플레이)되는 캐릭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110)은 반드시 타 기기(200)에서 플레이되는 캐릭터를 제어하는데만 이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모션데이터 수신부(112)에서 수신한 모션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가 모션의 궤적 정보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110)은 모션의 궤적을 타 기기(200)를 통하여 3차원 그래프와 같은 형태로 시각화할 수 있다. 또한, 모션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에 궤적 정보외에 다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러한 다른 정보도 함께 타 기기(200)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100)을 손에 쥔 채로 골프 드라이브 스윙을 하면, 센서에서 수신된 정보 또는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모션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파악한다. 제어정보 저장부(113)에 상기 모션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가 3차원 궤적 정보, 올바른 드라이브 스윙의 궤적, 상기 3차원 궤적과 올바른 드라이브 스윙의 궤적과의 차이를 비교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제어정보 통신부(116)는 제어정보 파악부(115)에서 파악한 제어 정보를 타 기기(200)로 전송하여 타 기기(200)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골프 드라이브 스윙의 궤적을 시각적으로 전달 받고, 올바른 드라이브 스윙의 궤적과의 차이를 비교한 정보를 시작적으로 전달 받아, 자신의 드라이브 스윙을 교정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110) 및 방법은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100)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 연결된 타 기기(200)에서 플레이되는 캐릭터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몰입도 높은 게임 등의 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110) 및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들이 개개인이 소유한 휴대용 단말(100)을 이용하여 함께 게임 등의 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110) 및 방법은 다양한 모션으로 캐릭터를 제어하는 바, 운동 효과 및 즐거움을 배가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110) 및 방법은 야구의 타격, 골프의 스윙 등 자세 교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2의 각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어드레싱(addressing)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세분화된 구성요소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합하여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휴대용 단말 200 : 타 기기
110 :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
120 : 자이로 센서

Claims (16)

  1. 휴대용 단말에 내장된 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사용자의 모션에 의하여 발생되는 변화량에 관한 데이터인 모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션데이터 수신부;
    특정 데이터들과 상기 특정 데이터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제어정보 저장부;
    상기 제어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제어 정보 중 상기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파악하는 제어정보 파악부;
    상기 휴대용 단말에서 플레이되는 캐릭터를 제어하거나 상기 파악된 제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된 제어 정보를 타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정보 통신부; 및
    상기 모션데이터 수신부에 의하여 상기 모션 데이터 수신을 시작하는 시작 시점 및 상기 모션 데이터 수신을 종료하는 종료 시점을 지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의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수신하는 시점 수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은,
    상기 모션데이터 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되는 상기 모션 데이터를 기 설정된 크기로 정규화하는 정규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정보 파악부는 상기 제어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제어 정보 중 상기 정규화된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규화부는, 상기 정규화된 데이터를 필터링(Filtering)을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며,
    상기 제어정보 파악부는,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정규화된 데이터와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에 내장된 센서는, 중력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포함하며,
    상기 모션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하는 상기 모션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모션 따라 발생되는 변화량을 상기 중력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 저장부는,
    상기 특정 데이터들과 상기 특정 데이터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정보 통신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과 상기 타 기기가 서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타 기기로부터 상기 타 기기에 의하여 플레이되는 프로그램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정보 파악부는, 상기 수신된 프로그램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정보 저장부에 분류 저장된 데이터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분류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상기 모션 데이터와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 인,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 파악부는,
    상기 제어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특정 데이터들 중에서, 상기 모션 데이터와 소정의 비율 이상 매칭이 되는 특정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특정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상기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로 파악하는,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
  9. 모션 데이터 수신을 시작하는 시작 시점을 지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의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에 내장된 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사용자의 모션에 의하여 발생되는 변화량에 관한 데이터인 상기 모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션데이터 수신단계;
    상기 모션 데이터 수신을 종료하는 종료 시점을 지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의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특정 데이터들과 상기 특정 데이터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제어정보 저장단계;
    상기 제어정보 저장단계에 저장된 제어 정보 중 상기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파악하는 제어정보 파악단계; 및
    상기 제어정보 파악단계에서 파악된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타 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에서 플레이되는 캐릭터를 제어하는 제어정보 통신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방법.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방법은,
    상기 모션데이터 수신단계에 의하여 수신되는 상기 모션 데이터를 기 설정된 크기로 정규화하는 정규화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정보 파악단계는 상기 제어정보 저장단계에 저장된 제어 정보 중 상기 정규화된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규화단계는, 상기 정규화된 데이터를 필터링(Filtering)을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며,
    상기 제어정보 파악단계는,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정규화된 데이터와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에 내장된 센서는, 중력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포함하며,
    상기 모션데이터 수신단계가 수신하는 상기 모션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모션 따라 발생되는 변화량을 상기 중력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 저장단계는,
    상기 특정 데이터들과 상기 특정 데이터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정보 통신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과 상기 타 기기가 서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타 기기로부터 상기 타 기기에 의하여 플레이되는 프로그램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정보 파악단계는, 상기 수신된 프로그램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정보 저장단계에 분류 저장된 데이터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분류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상기 모션 데이터와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 인,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 파악단계는,
    상기 제어정보 저장단계에 저장된 상기 특정 데이터들 중에서, 상기 모션 데이터와 소정의 비율 이상 매칭이 되는 특정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특정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상기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로 파악하는,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방법.
KR20130074533A 2013-06-27 2013-06-27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 및 방법 KR101485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533A KR101485821B1 (ko) 2013-06-27 2013-06-27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533A KR101485821B1 (ko) 2013-06-27 2013-06-27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626A KR20150009626A (ko) 2015-01-27
KR101485821B1 true KR101485821B1 (ko) 2015-01-28

Family

ID=52481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4533A KR101485821B1 (ko) 2013-06-27 2013-06-27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8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860B1 (ko) * 2018-02-06 2019-10-23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속 제스처 인식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2536A (ko) * 2005-05-27 2006-11-30 주식회사 모모웹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게임용 인터페이스 장치
KR20120070638A (ko) * 2010-12-22 2012-07-02 (주)로이비즈 피씨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2536A (ko) * 2005-05-27 2006-11-30 주식회사 모모웹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게임용 인터페이스 장치
KR20120070638A (ko) * 2010-12-22 2012-07-02 (주)로이비즈 피씨 게임 컨트롤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방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626A (ko) 201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4317B2 (ja) スイング解析装置、スイング解析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スイング解析方法
JP6539272B2 (ja) コンピュータにより実現される方法、非一時的かつ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媒体、および単一装置
US10114462B2 (en) Device and method for entering information in sports applications
JP6877893B2 (ja) ゲーム装置、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振り入力判定方法
EP306031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11135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650806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186599B1 (en) Feedback provision system
WO2016078405A1 (zh) 调整对象属性信息的方法及装置
KR101495961B1 (ko)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JP2016067408A (ja) センサー、演算装置、運動計測方法、運動計測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6067409A (ja) センサー、運動計測システム及び運動計測方法
JP2016067410A (ja) 運動解析装置、運動解析システム、運動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351708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the conversion of at least one detected force from the movement of a sensing unit into an auditory signal
US20140162779A1 (en) Curvate Motion Sensing and Control System
US10751601B2 (en) Automatic rally detection and scoring
KR101485821B1 (ko)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 및 방법
JP6459979B2 (ja) 解析装置、記録媒体および解析方法
JP6028941B2 (ja) スイング解析装置、スイング解析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スイング解析方法
JP7284905B2 (ja) 端末装置、撮像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311897B2 (ja) スイング解析装置、スイング解析システム及びスイング解析方法
JP6350194B2 (ja) 運動計測装置、運動計測方法および運動計測プログラム
JP7069953B2 (ja) 電子機器、動作データの部分特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240025A (ja) スイング解析装置、スイング解析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スイング解析方法
JP202216099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