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8224A - 금 코팅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금 코팅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8224A
KR20120068224A KR1020100129754A KR20100129754A KR20120068224A KR 20120068224 A KR20120068224 A KR 20120068224A KR 1020100129754 A KR1020100129754 A KR 1020100129754A KR 20100129754 A KR20100129754 A KR 20100129754A KR 20120068224 A KR20120068224 A KR 20120068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d
cosmetic composition
cream
active ingredien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택영
채준병
조진훈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9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8224A/ko
Publication of KR20120068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2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 코팅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과립상 코어의 표면을 금으로 코팅한 금 코팅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한 후 문지르게 되면 쉽게 피부에 녹아 스며들어, 상기 입자 내 코어 및 금 성분이 효과적으로 피부에 침투하여, 코어 내 활성 성분 및 금의 피부에 대한 개선 효과를 높이며,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시 금에 의한 럭셔리한 느낌으로 인해 제품의 비주얼 효과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 코팅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Preparation method gold coated granule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활성 성분과 금에 의한 피부 개선 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럭셔리한 느낌으로 인해 제품의 비주얼 효과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금 코팅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능성 화장품이란 피부 미백 효과, 피부의 주름개선 효과, 피부를 곱게 태워주거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 등을 갖는 제품을 말한다. 이러한 제품의 원료가 되는 레티놀, 비타민 A, 비타민 C 등과 같은 유효 성분의 경우 빛과 열, 공기에 노출이 되면 안정성이 떨어지고 피부로의 낮은 흡수율로 인해 비용에 비해 낮은 효과를 보인다.
이에 화장품으로 이용되는 레티놀, 토코페롤, 비타민 A, C 등과 같은 불안정한 물질을 안정하게 함으로서 외부 조건으로부터 생리 활성 성분들을 보호하며, 피부친화성을 높여 피부흡수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고기능성의 화장품을 제조하는 것에 많은 선행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고기능성 화장품으로 가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는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능이 입증된 화장품 고기능성 생리 활성 소재의 개발, 피부에서의 생리 활성 물질의 효능을 입증할 수 있는 평가기술, 그 요구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원하는 부위로의 생리 활성 물질의 기능을 정확히 전달할 수 있는 기술 등이 있다.
따라서 궁극적으로는 지속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고기능성 생리 활성 소재를 원하는 부위에서 기능을 구현시키기 위해, 피부 내의 원하는 부위로의 정확한 전달 (active targeting)이 가장 중요한 핵심 과제라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피부에 적합하고 안전한 소재의 전달체 (carrier)와 피부의 지질막 등을 투과하여 고기능성 생리 활성 물질을 안전/안정하게 전달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생체친화형 생분해성 고분자의 개발이 에멀젼 입자의 안정화 연구와 경피 흡수형 전달체 연구에 있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나, 화장품 산업의 특성상 계면화학, 생명공학, 피부 과학, 나노공학, 고분자공학, 화학공학 등 많은 관련 전문분야의 공동 관심을 가지고 기술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기에 많은 성과가 달성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발명은 활성 성분에 의한 피부 개선 효과와 함께 소비자로 하여금 럭셔리한 느낌을 가져 고품격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과립상 코어의 표면을 금으로 코팅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활성 성분,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혼합 후 분무 건조하여 과립상 코어를 제조하고, 상기 과립상 코어의 표면을 코팅 방법에 의해 금으로 표면이 코팅된 금 코팅 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 코팅 입자가 함유된 화장료는 피부에 도포한 후 문지르게 되면 쉽게 피부에 녹아 스며들어, 상기 입자 내 코어 및 금 성분이 효과적으로 피부에 침투하여, 코어 내 활성 성분 및 금의 피부에 대한 효과를 높인다.
또한,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시 금에 의한 럭셔리한 느낌으로 인해 제품의 비주얼 효과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 코팅 입자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코어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금 코팅 입자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의 (a) 내지 (d)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금 코팅 입자의 주사전자현미경 (SEM)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2의 금 코팅 입자를 포함하는 에센스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 코팅 입자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금 코팅 입자 (10)는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코어 (11)와, 상기 코어 (11)의 표면에 금 코팅층 (1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코어 (11)는 다양한 화장료의 제형에서 입자 내에 들어갈 수 있는 생리 활성 성분으로서, 화장료에 일정한 효능 또는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알려진 대부분의 검증된 생리 활성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활성 성분은 미백제, 콜라겐 합성 촉진제, 주름 제거제, 피부 장벽 강화제, 노화 억제제, 보습제 등의 수용성 및 유용성 활성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친수성 활성 성분으로는 미백 효과가 있는 AA2G (아스코빅산 2-글루코시드, Ascorbic Acid 2-Glucoside), 비타민 C (아스코빅산), 니아시나미드 (Niacinamid), 알부틴, 상백피 추출물, 닥나무 추출물, 마그네슘 아스코빌 포스페이트 등과,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활성 성분으로는 하이드록시프롤린 (Hydroxyproline), 성장 인자 (EGF, FGF, IGF 등), 펩타이드, N-아세틸 글루코사민 등을 포함하는 수용성 성분이 가능하다.
또한, 대표적인 친유성 활성 성분으로 미백 효과가 있는 유용성 감초, 에틸 아스코빌 에테르, α-비사보롤 등과,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레티놀 및 이의 유도체 (예, 레티닐 팔미테이트), 아데노신, 세라마이드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세라마이드와 아데노신을 함께 사용하여 세라마이드에 의한 피부 장벽 보호를 통한 보습 효과와 아데노신에 의한 주름 개선 효과를 동시에 확보하였다. 이들 활성 성분의 함량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세라마이드와 아데노신을 0.1:99.9?99.9:0.1의 중량비로 사용한다.
상기 코어 (11)는 과립상으로 존재하며, 막대형, 판상형, 타원형, 정육면체형 혹은 구형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코어 (11)의 입경은 200?1500㎛의 크기를 가져 다양한 화장료의 제형으로 적용시 분산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생리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코어 (11)의 표면을 금으로 코팅하는 금 코팅층 (12)을 형성한다. 금은 피부 흡수력이 우수하고, 피부 보습 효과가 현저히 뛰어나며, 피부 감촉성이 우수하고,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는 효과 및 피부 정화 효과가 탁월하다. 이러한 효과와 함께 본 발명에서는 금 코팅층 (12)을 형성함으로써 금 특유의 색상 발현과, 빛의 간섭 및 산란을 통해 화장료 제품의 비주얼 효과를 강화하여 럭셔리한 이미지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금 코팅층 (12)은 코어 (11) 표면에 50?400㎛의 두께로 코팅된다. 금 코팅 입자 (10)를 피부에 도포하게 되면 상기 금 코팅층 (12)은 깨지고 이에 코어 (11)에 존재하는 활성 성분과 금 성분이 피부 속으로 침투한다. 만약 금 코팅층 (12)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금 코팅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금 코팅 입자의 크기가 너무 커져 활성 성분의 경피 흡수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 코팅 입자는 활성 성분,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혼합 후 분무 건조하여 과립상 코어를 제조하고, 상기 과립상 코어의 표면을 코팅 방법에 의해 금으로 코팅하여 제조하며, 이하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활성 성분,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혼합 후 분무 건조 공정을 통해 과립상의 코어를 제조한다.
상기 활성 성분의 전술한 바의 조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균일한 분산을 위해 계면활성제와 용매를 함께 사용한다.
계면활성제로는 레시틴 (Lecithin), 폴리솔베이트 80 (Polysorbate 80),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Sorbitan Stearate),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Sorbitan Sesquioleate), 폴리옥시에틸렌 피토스테롤 (Polyoxyetylene Phytosterol),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Glyceryl Monostear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소이빈 포스포리피드 (Hydrogenated Soybean Phospholipid), 피이지-10 디메치콘, 세틸 피이지/피피지-10/1 디메치콘, 폴리옥시에틸렌 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폴리 (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메틸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및 폴리옥시프로필렌 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레시틴을 사용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활성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10 중량부, 바람직하기로 0.1?1 중량부로 사용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더라도 큰 효과 상의 향상이 없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용매는 사용하는 활성 성분의 친수/소수 여부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물, C1?C4 저급 알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롤, 부틸렌글리콜, 1,2,4-부탄트리올, 소르비톨 에스테르, 1,2,6-헥산트리올, 소르비톨 에스테르, 에톡시화된 에테르, 프로폭시화된 에테르 등의 낮은 분자량의 글리콜 및 폴리올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활성 성분으로 세라마이드와 아데노신을 사용하고, 이때 용매로 부틸렌 글리콜을 사용하였다. 이때 용매의 함량은 활성 성분이 충분히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활성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300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한다.
상기한 바의 조성은 혼합기 내에서 혼합을 수행하며, 이때 혼합은 활성 성분이 용매에 충분히 용해되고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열 또는 초음파를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70?100℃에서 수행하였다.
혼합 후 얻어진 조성물은 분무 건조를 통해 과립상의 코어를 얻는다. 상기 분무 건조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바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노즐 타입 분무 건조기를 이용하며, 주입구의 열풍 온도는 70?100℃, 배출구의 열풍 온도는 120?130℃로 설정하여 온도 구배를 주어 건조하는 방식으로 수행한다.
상기 분무 건조를 통해 얻어진 과립상의 코어는 분말 포접기를 통해 포접되고, 필요한 경우 입자체를 통과하여 균일한 크기의 입경을 가진 코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공정을 통해 얻어진 과립상 코어는 그 표면을 금으로 코팅하여 금 코팅 입자를 제조한다.
상기 코팅은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건식 또는 습식 코팅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균일한 코팅 두께를 갖도록 물리적 기상 증착법 (PVD), 또는 유동층 코팅 공정을 통해 수행한다.
전술한 바의 공정을 통해 얻어진 금 코팅 입자는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여, 활성 성분의 효능과 함께 금 코팅에 의한 비주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전체 조성물 내 0.1?99.9 중량%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금 코팅 입자는 특히 투명감 있는 제형의 화장품에 사용하였을 경우 그 효과가 극대화된다.
상기 금 코팅 입자는 화장료 조성물의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핸드 크림, 아이 크림, 바디 크림, 선탠 크림, 클린징 크림, 메이크업 베이스 크림, 파운데이션 크림, 콘트롤 크림, 썬 크림, 에센스,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로션, 팩, 파우더, 비누,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코어에 통상의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로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미백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중화제, pH 조절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선정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고, 그 함량 또한 통상의 범위 내에서 사용한다. 바람직하기로, 이러한 첨가제의 함량은 전체 코어 내에서 15 중량%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금 코팅 입자가 함유된 화장료는 피부에 도포한 후 문지르게 되면 쉽게 피부에 녹아 스며들어, 상기 입자 내 코어 및 금 성분이 효과적으로 피부에 침투한다. 이에 코어의 활성 성분에 의한 다양한 효과, 일예로 세라마이드와 아데노신의 경우 보습 및 주름 개선과, 금에 의한 비주얼 효과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금 코팅 입자의 제조
혼합기에 부틸렌글리콜 45 ml와 레시친 5.0 g을 첨가하고, 여기에 활성 성분으로 세라마이드와 아데노신을 96:4의 중량비로 각각 48g, 2g을 첨가하였다. 이어 85℃에서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얻어진 조성물을 노즐 타입 분무 건조기로 분무 건조하여 과립상의 코어를 제조하였다 (도 2). 이때 입도 분석기를 통해 측정된 코어의 입자 크기는 850 ㎛ 이었다.
상기 코어를 물리적 기상 증착법 (PVD)을 이용하여 금을 코팅하여 금 코팅 입자를 제조하였다 (도 3).
최종 얻어진 금 코팅 입자의 크기는 1000 ㎛으로, 코어의 크기가 850 ㎛인 점을 고려할 때 금 코팅층의 두께는 150 ㎛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얻어진 금 코팅 입자의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4의 (a) 내지 (d)를 참조하면, 금 코팅 입자는 활성 물질의 코어 표면 전체를 금으로 코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 금 코팅 입자 포함 에센스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센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금 코팅 입자 0.3
글리세린 10.0
베타인 5.0
PEG 1500 2.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8.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틸도데칸올 0.3
옥틸도데세스-16 0.4
에탄올 6.0
유니사이드-유 13 0.01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상기 제조된 에센스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 제형에 금 코팅 입자가 분산되어 럭셔리함 감각을 느낄 수 있다.
(실험예 2) 피부 개선 효과 관능 시험
상기 실험예 1에서 제조된 에센스의 피부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여성 15인을 대상으로 하여금 피부 개선 효과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주관적인 효능 평가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비교예는 활성 물질 코어만을 포함하는 에센스를 별도로 제조하여 평가에 사용하였다.
<판단 기준>
◎: 15 명 중 10 명 이상이 촉촉함, 각질 감소, 주름 감소 및 피부결이 매끄러워지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함.
O: 15 명 중 8 명 이상이 촉촉함, 각질 감소, 주름 감소 및 피부결이 매끄러워지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함.
△: 15 명 중 5 명 이상이 촉촉함, 각질 감, 주름 감소소 및 피부결이 매끄러워지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함.
×: 15 명 중 5 명 미만이 촉촉함, 각질 감소, 주름 감소 및 피부결이 매끄러워지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함.
시료 응답자수 촉촉함 각질감소 주름 감소 피부결 매끄러움
실험예 1의 에센스
비교예의 에센스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 코팅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피부 개선 효과가 비교예의 조성에 비해 월등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안정성 시험
상기 실험에 1에서 제조된 에센스를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1주일 동안 보관하고,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4℃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 내에서 1주 동안 보관한 후 금 코팅 입자의 침전 또는 응집 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이때 금 코팅 입자의 침전 또는 응집 정도는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제품 변색 평가 기준>
0: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변함
2: 조금 변함
3: 조금 심하게 변함
4: 심하게 변함
5: 극히 심하게 변함
보관 온도 Base 에센스 실험예 1의 에센스
4℃ 0 0
45℃ 0 0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제형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제형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제형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금 코팅 입자로는 제조예 1에서 추출한 금 코팅 입자을 사용하였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 (스킨로션)
하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금 코팅 입자 0.5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PEG 1500 1.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5.0
에탄올 10.0
옥틸도데세스-16 0.2
폴리솔베이트 20 0.2
유니사이드-유 13 0.01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수렴화장수
하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렴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금 코팅 입자 0.5
글리세린 2.0
1,3-부틸렌글리콜 2.0
알란토인 0.2
DL-판테놀 0.2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3.0
에탄올 15.0
폴리솔베이트 20 0.3
위치하겔 추출물 2.0
구연산 미량
유니사이드-유 13 0.01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영양화장수
하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금 코팅 입자 0.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5
세테아릴알콜 1.5
라놀린 1.5
폴리솔베이트 60 1.3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경화식물유 1.0
광물유 5.0
스쿠알란 3.0
트리옥타노인 2.0
디메치콘 0.8
초산 토코페롤 0.5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2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5.0
트리에탄올아민 0.12
유니사이드-유 13 0.02
증류수 잔량
제형예 4: 영양크림
하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금 코팅 입자 0.5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세테아릴알콜 2.2
스테아린산 1.5
밀납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경화식물유 1.0
스쿠알란 3.0
광물유 5.0
트리옥타노인 5.0
디메치콘 1.0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글리세린 5.0
베타인 3.0
트리에탄올아민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0
유니사이드-유13 0.02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5: 맛사지 크림
하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맛사지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금 코팅 입자 0.5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5
세테아릴알콜 1.5
스테아린산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레이트 5.0
스쿠알란 5.0
광물유 35.0
디메치콘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6.0
트리에탄올아민 0.7
유니사이드-유13 0.02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6: 팩
하기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금 코팅 입자 0.5
폴리비닐알콜 15.0
셀룰로오스 검 0.15
글리세린 3.0
PEG 1500 2.0
시이크로데스트린 0.15
DL-판테놀 0.4
알란토인 0.1
글리시리진산 모노암모늄 0.3
니코틴아미드 0.5
에탄올 6.0
PEG 40 경화피마자유 0.3
유니사이드-유13 0.02
증류수 잔량
합계 100
본 발명에 따른 금 코팅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소비자의 구매욕을 증가시킨다.
10: 금 코팅 입자 11: 활성 물질 코어
12: 금 코팅층

Claims (14)

  1.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과립상 코어의 표면을 금으로 코팅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은 미백제, 콜라겐 합성 촉진제, 주름 제거제, 피부 장벽 강화제, 노화 억제제, 보습제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은 AA2G (아스코빅산 2-글루코시드, Ascorbic Acid 2-Glucoside), 비타민 C (아스코빅산), 니아시나미드 (Niacinamid), 알부틴, 상백피 추출물, 닥나무 추출물, 마그네슘 아스코빌 포스페이트, 하이드록시프롤린 (Hydroxyproline), 성장 인자, 펩타이드, N-아세틸 글루코사민, 유용성 감초, 에틸 아스코빌 에테르, α-비사보롤, 레티놀 및 이의 유도체, 아데노신, 세라마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은 세라마이드와 아데노신이 0.1:99.9?99.9:0.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상 코어의 입경은 200?1500㎛의 크기를 갖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은 50?400㎛의 두께로 코팅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으로 코팅한 입자는 전체 조성물 내 0.1?99.9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핸드 크림, 아이 크림, 바디 크림, 선탠 크림, 클린징 크림, 메이크업 베이스 크림, 파운데이션 크림, 콘트롤 크림, 썬 크림, 에센스,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로션, 팩, 파우더, 비누,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의 제형인 화장료 조성물.
  9. 활성 성분,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혼합 후 분무 건조하여 과립상 코어를 제조하고,
    상기 과립상 코어의 표면을 코팅 방법에 의해 금으로 표면을 코팅하는 금 코팅 입자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레시틴인 것인 금 코팅 입자의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부틸렌글라이콜인 것인 금 코팅 입자의 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은 70?100℃에서 수행하는 것인 금 코팅 입자의 제조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건조는 노즐 타입 분무 건조기를 이용하며, 주입구의 열풍 온도는 70?100℃, 배출구의 열풍 온도는 120?130℃로 설정하여 수행하는 것인 금 코팅 입자의 제조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물리적 기상 증착법 (PVD), 또는 유동층 코팅 공정을 통해 수행하는 것인 금 코팅 입자의 제조방법.



KR1020100129754A 2010-12-17 2010-12-17 금 코팅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68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754A KR20120068224A (ko) 2010-12-17 2010-12-17 금 코팅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754A KR20120068224A (ko) 2010-12-17 2010-12-17 금 코팅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224A true KR20120068224A (ko) 2012-06-27

Family

ID=46686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754A KR20120068224A (ko) 2010-12-17 2010-12-17 금 코팅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8224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5565A (ko) * 2013-12-04 2015-06-15 한국콜마주식회사 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화장품
KR20160041427A (ko) 2014-10-07 2016-04-18 엔프라니 주식회사 금박 적층 화장료 제형 및 그 제조방법
JP2016528164A (ja) * 2013-04-10 2016-09-15 ユーエックスエヌ シーオー.,エルティーディー. ゴールドビーズを含有した石鹸組成物または化粧品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石鹸の製造方法または化粧品の製造方法
KR20170000171A (ko) 2015-06-23 2017-01-02 주식회사 지엘머티리얼즈 귀금속 나노 입자를 함유한 피부미용 마스크 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2536A (ko) 2015-08-21 2017-03-02 주식회사 지엘머티리얼즈 귀금속 나노입자를 함유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0682381B2 (en) 2009-04-27 2020-06-16 Mary Kay Inc. Botanical formulations
US10780041B2 (en) 2011-12-19 2020-09-22 Mary Kay Inc. Combination of plant extracts to improve skin tone
KR102310736B1 (ko) * 2021-05-03 2021-10-08 (주)쥬넥스 금 나노입자 제조방법
CN113908105A (zh) * 2021-11-30 2022-01-11 广东金丝燕化妆品有限公司 一种持久哑光不拔干气垫粉底霜及其制备方法
WO2022149677A1 (ko) * 2021-01-07 2022-07-14 (주)심플스틱 항노화를 위한 피부 리프팅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열 피부케어 방법
KR102445952B1 (ko) * 2021-09-30 2022-09-22 주식회사 에이유랩스 금 나노입자가 증착된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445953B1 (ko) * 2021-09-30 2022-09-22 주식회사 에이유랩스 금 나노입자가 증착된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445954B1 (ko) * 2021-09-30 2022-09-22 주식회사 에이유랩스 금 나노입자가 증착된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미백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8735B2 (en) 2009-04-27 2023-05-02 Mary Kay Inc. Botanical formulations
US10682381B2 (en) 2009-04-27 2020-06-16 Mary Kay Inc. Botanical formulations
US10953058B2 (en) 2009-04-27 2021-03-23 Mary Kay Inc. Botanical formulations
US10780041B2 (en) 2011-12-19 2020-09-22 Mary Kay Inc. Combination of plant extracts to improve skin tone
US11865202B2 (en) 2011-12-19 2024-01-09 Mary Kay Inc. Combination of plant extracts to improve skin tone
JP2016528164A (ja) * 2013-04-10 2016-09-15 ユーエックスエヌ シーオー.,エルティーディー. ゴールドビーズを含有した石鹸組成物または化粧品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石鹸の製造方法または化粧品の製造方法
KR20150065565A (ko) * 2013-12-04 2015-06-15 한국콜마주식회사 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화장품
KR20160041427A (ko) 2014-10-07 2016-04-18 엔프라니 주식회사 금박 적층 화장료 제형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0171A (ko) 2015-06-23 2017-01-02 주식회사 지엘머티리얼즈 귀금속 나노 입자를 함유한 피부미용 마스크 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2536A (ko) 2015-08-21 2017-03-02 주식회사 지엘머티리얼즈 귀금속 나노입자를 함유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2149677A1 (ko) * 2021-01-07 2022-07-14 (주)심플스틱 항노화를 위한 피부 리프팅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열 피부케어 방법
KR102310736B1 (ko) * 2021-05-03 2021-10-08 (주)쥬넥스 금 나노입자 제조방법
KR102445953B1 (ko) * 2021-09-30 2022-09-22 주식회사 에이유랩스 금 나노입자가 증착된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445954B1 (ko) * 2021-09-30 2022-09-22 주식회사 에이유랩스 금 나노입자가 증착된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미백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445952B1 (ko) * 2021-09-30 2022-09-22 주식회사 에이유랩스 금 나노입자가 증착된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3908105A (zh) * 2021-11-30 2022-01-11 广东金丝燕化妆品有限公司 一种持久哑光不拔干气垫粉底霜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8224A (ko) 금 코팅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1500385B1 (fr) Procede de stabilisation de mousse pour mousse cosmetique
CN101299988B (zh) 个人护理组合物
KR101951916B1 (ko) 화장료의 제조방법, 화장료용 겔의 조제방법 및 화장료 원료에 배합되는 고분자 증점제의 사용량을 경감하는 방법
CN104905984B (zh) 化妆料、皮肤外用剂、以及医疗用仪器
TWI292714B (ko)
JP2018523706A (ja) 正に帯電した糖乳化剤に基づく皮膚浸透送達システム
KR101391834B1 (ko)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5334720B2 (ja) 油性基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
WO2005087182A1 (ja) 機能性粉体
TWI314057B (ko)
CN107206095A (zh) 含有脂质肽型化合物的经皮吸收基材
TW201208711A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KR20200075424A (ko) 미백능과 항노화능이 뛰어난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42388A (ko) 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안료
KR102134931B1 (ko) 투명하고 비저블한 구형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1547939A (zh) 透明质酸丙二醇酯及使用其的皮肤外用剂
JP3987793B2 (ja) 皮膚外用剤
KR100896697B1 (ko) 고압유화기술에 의한 대황추출물의 경피흡수 촉진방법 및이를 응용한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4088497B2 (ja) 化粧料
KR20140004862A (ko) 단시간에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고 피부 주름을 개선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294367B1 (ko)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스틱상 기재의 경도조정방법
JP4713032B2 (ja) 皮膚外用剤
JP6648230B2 (ja) 皮膚外用剤用キット
JP3895636B2 (ja) 老化防止剤及びそれを用いた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