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388A - 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안료 - Google Patents

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안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388A
KR20220042388A KR1020227005862A KR20227005862A KR20220042388A KR 20220042388 A KR20220042388 A KR 20220042388A KR 1020227005862 A KR1020227005862 A KR 1020227005862A KR 20227005862 A KR20227005862 A KR 20227005862A KR 20220042388 A KR20220042388 A KR 20220042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ellulose
extract
particles
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5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유키 이모토
무츠히로 가츠야
Original Assignee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42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3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9Porous; Hol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8Zirco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2Compounds of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2Compounds of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09C1/027Bar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4Compounds of zinc
    • C09C1/043Zinc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22Compounds of iron
    • C09C1/24Oxides of 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22Compounds of iron
    • C09C1/26Iron bl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28Compounds of silicon
    • C09C1/32Ultrama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34Compounds of chromium
    • C09C1/346Chromium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36Compounds of tita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36Compounds of titanium
    • C09C1/3607Titanium dioxide
    • C09C1/3676Treatment with 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0Compounds of aluminium
    • C09C1/407Aluminium oxides or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10Treatment with 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01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picted by a TEM-im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8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data other than those specified in group C01P2002/70
    • C01P2002/85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data other than those specified in group C01P2002/70 by XPS, EDX or EDAX dat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4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TEM, STEM, STM or AF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1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one dimension, e.g. needle-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3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hree dimensions
    • C01P2004/32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51Particles with a specific particle size distribution
    • C01P2004/52Particles with a specific particle size distribution highly monodisperse size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4Pore volum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9Oil-absorption capacity, e.g. DBP val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32Therm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 C01P2006/62L* (lightness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 C01P2006/63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a* (red-green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 C01P2006/64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b* (yellow-blue ax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무기 안료를 배합한 화장품의 사용감의 저하나, 색채를 칙칙하게 하는 무기 안료의 응집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무기 안료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다공성 안료 입자, 그 제조 방법 및 다공성 안료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이러한 입자는, 응집이 억제되어, 기재에 대한 분산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색채의 칙칙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자는, 셀룰로오스를 포함하고, 그 표면에 주름 형상 또는 주름 형상의 요철 구조를 갖는(즉, 구멍 또는 공극이 적절하게 존재한다) 다공성 입자인 점에서, 부드럽고, 사용감이 우수하고,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화장품에 대한 첨가에 적합하다.

Description

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안료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포함하는 다공성 안료 입자, 그 제조 방법 및 해당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무기 안료는, 착색에 사용되는 물이나 유기 용매에 거의 불용인 무기 물질을 가리킨다. 무기 안료는, 색채의 선명함 등의 점에서는 유기 안료에 뒤떨어지지만, 내광성, 내열성, 은폐성이 우수하고, 예를 들어 화장품에 있어서는, 채색성, 피복성 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무기 안료는 내용제성이 우수한 한편, 기재 중에서 응집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무기 안료의 응집은, 배합되는 화장품에 있어서, 그 사용감의 저하나, 색채를 칙칙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무기 안료를 배합한 화장품의 사용감의 저하나, 색채를 칙칙하게 하는 원인이 되는 무기 안료의 응집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지금까지, 디포커스 효과(소프트 포커스 효과라고도 한다)의 발현을 기대하고,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포함하는 입자에 대하여 예의 검토를 행해 왔지만, 무기 안료와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포함하는 다공성 안료 입자가, 기재에 대한 분산성이 우수하고, 또한 색채의 칙칙함을 개선하는 것, 나아가 안료의 응집이 억제됨과 함께, 입자 표면의 셀룰로오스에 더 부드럽고 사용감이 우수한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무기 안료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다공성 안료 입자.
(2) 공극률이 5 내지 50%의 범위에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입자.
(3) 입경이 0.1 내지 500㎛의 범위에 있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입자.
(4) 광산란율이 50 내지 230%의 범위에 있는, 상기 (1) 내지 (3)의 어느 것에 기재된 입자.
(5) 반사광 분포의 측정에 있어서, 입사광에 대한 정반사 근방의 반사광의 강도의, 입사광 근방의 반사광의 강도에 대한 비가, 0.5:1 내지 2:1의 범위에 있는, 상기 (1) 내지 (4)의 어느 것에 기재된 입자.
(6) 셀룰로오스가 결정 셀룰로오스인, 상기 (1) 내지 (5)의 어느 것에 기재된 입자.
(7) 무기 안료가, 백색 안료, 착색 안료, 진주 광택 안료 및 기능성 안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1) 내지 (6)의 어느 것에 기재된 입자.
(8) 무기 안료가, 벵갈라, 황산화철, 흑산화철, 산화크롬, 군청,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질화붕소 및 황산바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1) 내지 (7)의 어느 것에 기재된 입자.
(9)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무기 안료에 대한 비(중량)가 1:1 내지 1:20의 범위인, 상기 (1) 내지 (8)의 어느 것에 기재된 입자.
(10)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무기 안료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얻는 공정과, 얻어진 분산액을 분무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무기 안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공성 안료 입자의 제조 방법.
(11) 분산액이,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무기 안료의 물리적인 분쇄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10)에 기재된 제조 방법.
(12) 분산액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무기 안료를 포함하는 고형분의 농도가 0.5 내지 50질량%인, 상기 (10) 또는 (11)에 기재된 제조 방법.
(13)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무기 안료에 대한 비(중량)가 1:1 내지 1:20의 범위인, 상기 (10) 내지 (12)의 어느 것에 기재된 제조 방법.
(14) 상기 (1) 내지 (9)의 어느 것에 기재된 입자, 혹은 상기 (10) 내지 (13)의 어느 것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품.
본 발명의 다공성 안료 입자는, 응집이 억제되어, 기재에 대한 분산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색채의 칙칙함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기 안료를 본 발명의 다공성 안료 입자로서 제공함으로써, 백색 안료에 있어서는 명도를 향상시키고, 유색 안료에 있어서는 색을 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자는, 셀룰로오스를 포함하고, 그 표면에 주름 형상 또는 주름 형상의 요철 구조를 갖는(즉, 구멍 또는 공극이 적절하게 존재하는) 다공성 입자인 점에서, 부드럽고, 사용감이 우수하고,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화장품에 대한 첨가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입자는, 입사광이 균일하게 광산란한다는 우수한 광학 특성(광산란성)을 갖는 점에서, 파운데이션 등의 화장품에 배합함으로써, 디포커스 효과(소프트 포커스 효과라고도 한다)의 발현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의 (a) 내지 (n)은, 각각 실시예 1 내지 7, 9 내지 15에서 얻어진 입자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사진이고, (o) 내지 (u)는, 각각 실시예 8, 9, 12 내지 16에서 얻어진 입자의 전계 방출형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사진이다.
도 2의 (a) 내지 (p)는, 각각 실시예 1 내지 16에서 얻어진 입자의 체적 기준의 입자경 분포 그래프이다.
도 3의 (a)는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입자의 단면의 SEM 사진이고, (b)는 그 공극률의 산출에 사용한 입자 단면 전체(단면적)를 하이라이트한 SEM 사진이고, (c)는 그 공극률의 산출에 사용한 입자 단면의 공극 부분을 하이라이트한 SEM 사진이다.
도 4의 (a)는 실시예 4에서 얻어진 입자의 단면의 SEM 사진이고, (b)는 그 공극률의 산출에 사용한 입자 단면 전체(단면적)를 하이라이트한 SEM 사진이고, (c)는 그 공극률의 산출에 사용한 입자 단면의 공극 부분을 하이라이트한 SEM 사진이다.
도 5의 (a)는 실시예 5에서 얻어진 입자의 단면의 SEM 사진이고, (b)는 그 공극률의 산출에 사용한 입자 단면 전체(단면적)를 하이라이트한 SEM 사진이고, (c)는 그 공극률의 산출에 사용한 입자 단면의 공극 부분을 하이라이트한 SEM 사진이다.
도 6의 (a)는 실시예 6에서 얻어진 입자의 단면의 SEM 사진이고, (b)는 그 공극률의 산출에 사용한 입자 단면 전체(단면적)를 하이라이트한 SEM 사진이고, (c)는 그 공극률의 산출에 사용한 입자 단면의 공극 부분을 하이라이트한 SEM 사진이다.
도 7의 (a)는 실시예 7에서 얻어진 입자의 단면의 SEM 사진이고, (b)는 그 공극률의 산출에 사용한 입자 단면 전체(단면적)를 하이라이트한 SEM 사진이고, (c)는 그 공극률의 산출에 사용한 입자 단면의 공극 부분을 하이라이트한 SEM 사진이다.
도 8의 (a)는 실시예 9에서 얻어진 입자의 단면의 SEM 사진이고, (b)는 그 공극률의 산출에 사용한 입자 단면 전체(단면적)를 하이라이트한 SEM 사진이고, (c)는 그 공극률의 산출에 사용한 입자 단면의 공극 부분을 하이라이트한 SEM 사진이다.
도 9의 (a)는 실시예 12에서 얻어진 입자의 단면의 SEM 사진이고, (b)는 그 공극률의 산출에 사용한 입자 단면 전체(단면적)를 하이라이트한 SEM 사진이고, (c)는 그 공극률의 산출에 사용한 입자 단면의 공극 부분을 하이라이트한 SEM 사진이다.
도 10의 (a)는 실시예 13에서 얻어진 입자의 단면의 SEM 사진이고, (b)는 그 공극률의 산출에 사용한 입자 단면 전체(단면적)를 하이라이트한 SEM 사진이고, (c)는 그 공극률의 산출에 사용한 입자 단면의 공극 부분을 하이라이트한 SEM 사진이다.
도 11의 (a)는 실시예 14에서 얻어진 입자의 단면의 SEM 사진이고, (b)는 그 공극률의 산출에 사용한 입자 단면 전체(단면적)를 하이라이트한 SEM 사진이고, (c)는 그 공극률의 산출에 사용한 입자 단면의 공극 부분을 하이라이트한 SEM 사진이다.
도 12의 (a)는 실시예 15에서 얻어진 입자의 단면의 SEM 사진이고, (b)는 그 공극률의 산출에 사용한 입자 단면 전체(단면적)를 하이라이트한 SEM 사진이고, (c)는 그 공극률의 산출에 사용한 입자 단면의 공극 부분을 하이라이트한 SEM 사진이다.
도 13의 (a) 내지 (e)는, 실시예 9, 12 내지 15에서 얻어진 각 입자의 열중량 측정-시차 열분석(TG-DTA)의 결과이고, 또한 (f) 내지 (j)는 각 입자에서 사용한 무기 안료의 TG-DTA의 결과이고, 구체적으로 (f)는 산화티타늄(MKR-1), (g)는 황산화철(LL-100HP), (h)는 적산화철(C33-8001), (i)는 적산화철(R-516HP), (j)는 흑산화철(BL-100HP)의 TG-DTA의 결과이다.
도 14의 (a) 내지 (c)는, 실시예 12에서 얻어진 입자의, 다른 배율에서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 화상이다.
도 15의 (a) 내지 (d)는, 에너지 분산형 X선 분석(TEM-EDX)에 의해 얻어진, 실시예 12에서 얻어진 입자의, 분석 영역 화상, 그리고 탄소(C), 산소(O) 및 철(Fe)의 분포 화상이다.
도 16은 에너지 분산형 X선 분석(TEM-EDX)에 의해 얻어진, 실시예 12에서 얻어진 입자의 EDX 스펙트럼이다.
<입자>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무기 안료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다공성 안료 입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공성」이란, 안료 입자의 표면에 요철이 있고, 복수의 세공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공성 안료 입자는, 입자의 확대상을 관찰했을 때에, 주름 형상 또는 주름 형상의 외관을 갖는 홈 형상의 주름(요철 구조)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공성 입자는, 후술하는 소정의 범위의 공극률을 갖거나, 혹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은 수은 압입법에 의한 세공 분포 측정에 있어서, 0.1㎡/g 이상, 바람직하게는 1㎡/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g 이상이며, 100㎡/g 이하, 바람직하게는 50㎡/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g 이하인 세공 표면적을 가짐으로써 특징지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자는,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양모, 면, 견, 마, 펄프 등의 천연 섬유, 레이온, 폴리노직, 큐프라(벤베르그(등록 상표)), 라이오셀(텐셀(등록 상표)) 등의 재생 섬유에서 유래하는 것, 혹은 박테리아가 생산하는 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 섬유와 합성 섬유(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섬유)의 셀룰로오스 복합 섬유에서 유래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로서는, 천연 섬유에서 유래하는 것, 예를 들어 목재, 대나무, 마, 주트, 케나프, 면, 비트, 농산물 잔폐물 등의 식물에서 유래하는 것을 들 수 있고, 특히, 활엽수, 침엽수 또는 대나무에서 유래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섬유성 식물로부터 얻어진 α-셀룰로오스를 산으로 부분적으로 해중합하여 정제한 것, 예를 들어 결정 셀룰로오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미결정 셀룰로오스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셀룰로오스 나노파이버는, 예를 들어 (주)후시미 세이야쿠소 등의 공급 업자로부터 시판품으로서 입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로서, 셀룰로오스 나노파이버를 사용해도 된다. 「셀룰로오스 나노파이버(CNF)」란, 셀룰로오스 섬유를 나노 사이즈 레벨까지 해섬 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섬유이고, 일반적으로, 섬유 폭 약 4 내지 200㎚, 섬유 길이 약 5㎛ 이상의 섬유이다. 이러한 셀룰로오스 나노파이버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조제할 수 있고, 또한 시판품으로서 입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오 세지(주)나 주에츠 펄프 고교(주) 등의 공급 업자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자는 또한, 무기 안료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무기 안료란, 대상 제품(예를 들어, 화장품)에 채색성, 피복성, 은폐성, 미끄럼성 등을 초래할 수 있는 무기계의 안료를 의미한다. 전형적으로는, 제품의 색조를 조정하기 위한 착색 안료, 피복성, 은폐성을 제어하기 위한 백색 안료, 소위 펄감을 부여하는 진주 광택 안료, 또는 은폐성, 미끄럼성 등의 복합적 기능을 갖게 한 기능성 안료이다. 예로서는, 벵갈라(적산화철), 황산화철, 흑산화철, 산화크롬, 군청, 감청, 망간자색, 카본 블랙 등의 착색 안료; 산화티타늄(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아연화), 산화알루미늄(알루미나), 산화지르코늄, 황산바륨 등의 백색 안료; 옥시염화비스무트, 알루미늄 분말, 벵갈라 피복 운모, 산화티타늄 피복 운모(운모티타늄) 등의 진주 광택 안료, 질화붕소, 합성 불소금운모(합성 마이카), 포토크로믹 안료, 자외선 흡수 마이카 등의 기능성 안료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의 조합이나 입자의 화장품에 대한 적용의 관점에서, 착색 안료 및 백색 안료, 구체적으로는, 벵갈라, 황산화철, 흑산화철, 산화크롬, 군청, 감청, 망간자색,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및 산화지르코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혹은, 기능성 안료, 구체적으로는, 질화붕소가 바람직하다. 이들 무기 안료는, 의약품용, 식품용 또는 화장품용 첨가제로서, 공급 업자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무기 안료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한다」란, 입자에 차지하는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무기 안료의 비율(질량 기준)이 50질량% 초과인 것을 의미한다.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무기 안료의 비율(질량 기준)은,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다. 가장 적합한 양태에서는, 본 발명의 입자는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무기 안료만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무기 안료의 배합비(질량 기준)는,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1질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질량부의 무기 안료를 포함한다.
입자에 포함되는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무기 안료 이외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소성 황산칼슘, 인산칼슘, 불소아파타이트,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 파우더, 금속 비누(예를 들어, 미리스트산아연, 팔미트산칼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실리카, 연무상 실리카(초미립자 무수 규산) 등의 각종 크기·형상의 무기 분체 및 이것들을 하이드로겐 실리콘, 환상 하이드로겐 실리콘 등의 실리콘 혹은 기타의 실란 혹은 티타늄 커플링제 등의 각종 표면 처리제로 처리를 행하여 소수화 혹은 친수화한 분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자의 입경은, 입자의 원하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0.1 내지 50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0㎛,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0㎛의 범위에 분포하고, 또한 평균 입자경은, 예를 들어 5 내지 4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의 범위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입경이란, 산란식 입자경 분포 측정 장치에서 측정한 값을 의미하고, 평균 입자경이란, 얻어진 입도 분포로부터 산출되는 산술 평균 직경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입자의 공극률은, 입자의 원하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5 내지 5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의 범위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공극률이란, 주사형 전자 현미경 등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입자 단면상을 사용하고, 단면적(입자 단면상에 있어서의 단면 전체의 면적)을 100으로 했을 때의 공극 면적(입자 단면상에 있어서의 공극 부분의 면적의 총합)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을 의미하고, 평균 공극률이란, 얻어진 공극률의 산술 평균값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입자의 공극률은, 후술하는 평가예 5에 따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자의 공극률이 이러한 범위에 있음으로써, 입자의 부드러움이 유지됨과 함께, 파운데이션 처방 중에 있어서도 우수한 광학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광산란율)
본 발명의 입자는, 하기 식(1)로 표현되는 광산란율이, 50 내지 23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ct00001
{식(1) 중, 각도 20°, 70° 및 5°에서의 반사 강도는, 입자에 대하여 법선 방향을 0°로 하고, 입자에 -30°의 각도로부터 광을 입사했을 때의 수광기의 감도를 임의의 값(감도 조정값이라고 칭한다)으로 설정한 후, 어느 각도로부터 광을 입사했을 때의 수광기의 각도가 20°, 70° 및 5°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강도를 의미한다.}
여기서, 광산란율은, 국제 공개 제2010/092890호에 기재된 상기 식(1)에 따라 산출한다. 예를 들어, 광의 입사각이 -30°에 있어서의 광산란율을 산출하는 경우, 처음에, 시료를 밀어붙인 면의 법선 방향을 0°로 하고, 시료에 -30°의 각도로부터 광을 입사했을 때의 수광기의 감도를 임의의 값(감도 조정값이라고 칭한다)으로 설정한 후, 수광기의 각도가 20°, 70° 및 5°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강도를 측정한다. 이어서, 최초의 감도 조정값을 유지한 채, 동일 시료에 -45°의 각도로부터 광을 입사했을 때의, 수광기의 각도가 20°, 70° 및 5°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강도를 측정한다. 입사각 -60°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하여 상대 강도를 측정하고, 최종적으로 광산란율을 산출한다.
상기 식(1)로 표현되는 광산란율이 100%로 되면, 반사 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원형으로 되어, 입사광이 균일하게 확산된 것을 의미한다. 이 광산란율이 100%를 초과하는 것은, 반사 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가로로 긴 타원형으로 되는 것을 의미하고, 100%를 하회하는 경우에는, 세로로 긴 타원형으로 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입자는, 그 표면에 주름 형상 또는 주름 형상의 요철 구조를 가짐에도, 더 균일성이 높은 반사광 강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입자는, 광산란율이 50 내지 23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의 입사각이 -30°, -45° 및 -60°의 각 관측 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어느 하나의 입사각에 있어서 광산란율이 50 내지 230%의 범위에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2개의 입사각에 있어서 광산란율이 50 내지 230%의 범위에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어느 입사각에 있어서도 광산란율이 50 내지 230%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의 입자의 광산란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230%의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230%의 범위이다. 이것은, 본 발명의 입자가, 더 균일한 전방향 반사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입자를 화장품용 첨가물로서 사용한 경우, 디포커스 효과의 발현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반사광 분포의 측정에 있어서, 입사광에 대한 정반사 근방(예를 들어, 정반사의 각도±10° 이내, 바람직하게는 정반사의 각도±5° 이내)의 반사광의 최대 강도의, 입사광 근방(예를 들어, 입사광의 각도±10° 이내, 바람직하게는 입사광의 각도±5° 이내)의 반사광의 최대 강도에 대한 비가, 0.5:1 내지 2:1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5:1 내지 1.8:1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반사의 강도가 이러한 범위에 있음으로써, 우수한 광학 특성, 특히, 본 발명의 입자를 화장품용 첨가물(특히, 파운데이션에 대한 첨가물)로서 사용한 경우, 디포커스 효과의 발현을 기대할 수 있다.
<입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입자는,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무기 안료의 분산액을 얻는 공정과, 얻어진 분산액을 분무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관한 분산액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나 무기 안료의 예와 바람직한 양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분산액은, 임의의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무기 안료 및 분산매를 혼합하고, 이것을 분쇄 처리함으로써 얻어진다. 혹은, 우선 셀룰로오스 혹은 셀룰로오스 유도체(또는 무기 안료)와 분산매를 혼합하고, 이것을 분쇄 처리하고, 셀룰로오스 혹은 셀룰로오스 유도체(또는 무기 안료) 분산액을 얻은 후에, 무기 안료(또는 셀룰로오스 혹은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분산매를 혼합하고, 또한 분쇄 처리를 함으로써 얻을 수도 있다. 분산매는, 바람직하게는 수성 매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수혼화성 유기 용매 또는 그의 혼합물이다. 수혼화성 유기 용매의 예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류, 아세톤 등의 케톤류,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N-메틸피롤리돈, N-시클로헥실피롤리돈,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γ-부티로락톤 등의 락톤,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를 들 수 있다. 가장 적합한 양태에서는, 분산매는 물이거나, 또는 물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류의 혼합물이다.
분산액은,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1질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질량부의 무기 안료를 포함한다. 또한 분산액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무기 안료를 포함하는 고형분의 농도는, 계속되는 분무 건조 공정에 사용할 수 있는 범위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5 내지 50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질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질량%이다.
분산액을 얻는 조작에, 특별히 한정은 없고, 당업자에게 공지의 분산액을 얻는 조작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분산액은,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무기 안료의 분쇄 처리에 의해 얻어지고, 바람직하게는 물리적인 분쇄에 의해 얻어진다. 물리적인 분쇄란,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또는 무기 안료와 분산매의 혼합물에, 자기 교반 막대, 교반 날개 등의 교반 장치, 폴리트론 등의 호모지나이저, 초음파 파쇄기 등의 초음파 발생 기기, 습식 미립화 장치(예를 들어, 스타버스트; (주)스기노 머신) 등의 분쇄기를 사용하여 물리적인 외력을 부여함으로써 실시된다. 단, 시판되는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또는 무기 안료가 충분히 분쇄되어 있는 것이라면, 분쇄 처리를 행하지 않고 분산액을 얻어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셀룰로오스 혹은 셀룰로오스 유도체(또는 무기 안료) 분산액을 얻는 공정 대신에, 시판되고 있는 셀룰로오스 분산액(또는 시판되고 있는 무기 안료 분산액), 예를 들어 시판되고 있는 셀룰로오스 나노파이버의 분산액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입자는, 얻어진 분산액을 분무 건조함으로써 얻어진다. 분무 건조는, 아토마이저, 스프레이 드라이어, 마이크로 미스트 스프레이 드라이어 등, 공지의 분무 건조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된다. 분무 건조 조건은, 분산액에 있어서의 분산매의 종류,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종류 또는 농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지만, 예를 들어 입구 온도 150 내지 300℃, 출구 온도 0 내지 150℃에서 실시된다.
<화장품>
본 발명의 다공성 안료 입자는, 응집이 억제되어, 기재에 대한 분산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색채의 칙칙함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채색성, 피복성, 은폐성을 요하는 화장품 또는 의약부외품에 대한 첨가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입자는, 셀룰로오스를 포함하고, 그 표면에 주름 형상 또는 주름 형상의 요철 구조를 갖고, 그 내부에 적당한 세공과 공극을 갖는 점에서 부드럽고, 사용감이 우수한 점으로부터도,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화장품에 대한 첨가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입자는 또한 입사광이 균일하게 광산란된다는 우수한 광학 특성(광산란성)을 갖는 점에서, 피부에 직접 접촉, 또한 디포커스 효과 등의 광학 특성이 요구되는 화장품에 대한 첨가에 특히 적합하다. 그러한 화장품의 예로서는, 로션, 젤, 에멀션 등의 스킨케어 제품, 세안 폼, 세안 파우더, 보디 세정료 등의 욕실 제품, 샴푸, 컨디셔너 등의 헤어 케어 제품, 치마제 등의 오럴 케어 제품, 화장 기초, 파우더 파운데이션, 리퀴드 파운데이션, BB 크림, 컨실러, 립스틱, 자외선 차단제 등의 메이크업 화장품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에 있어서, 무기 안료로서, 또는 디포커스 효과를 발현시키기 위한 광산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공성 안료 입자는, 화장품 또는 의약부외품에 대한 첨가 시, 그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 화장품에 사용되는 표면 처리제를 사용하여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예로 드는 소수화 처리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여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1) 메틸하이드로디엔폴리실록산(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KF99P), 메틸하이드로디엔폴리실록산·디메틸폴리실록산 코폴리머(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KF-9901), 디메틸폴리실록산, 분지 실리콘계(에톡시 관능) 처리제(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KF9908, KF9909), 아크릴 실리콘 처리제(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KP574) 등의 실리콘류를 사용한 처리.
(2) 옥틸트리에톡시실란(EVONIK DEGUSSA사제 DYNASILAN OCTEO), 헥실트리메톡시실란, 옥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알킬알콕시실란 화합물을 사용한 처리.
(3)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등의 지방산을 사용한 처리.
(4) 덱스트린의 수산기의 일부를 알킬에스테르화한 덱스트린팔미테이트 등의 알킬화 당류 처리;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 등을 사용한 금속 비누 처리.
(5) N-라우로일-L-라이신, 글루탐산 혹은 그 알칼리염, 아실화아미노산 등의 아미노산류 처리.
(6) 퍼플루오로알킬인산디에탄올아민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 퍼플루오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퍼플루오로옥틸에틸트리에톡시실란, 퍼플루오로알킬쇄 길이가 C4 내지 C6의 관능기를 포함한 코폴리머 등을 사용한 불소 처리.
(7)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4급 암모늄염 처리.
상기 이외의 표면 처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고급 알코올 처리, 레시틴 처리, 물 첨가 레시틴 처리, 아미노산 처리, 콜라겐 처리, 엘라스틴 처리, 에스테르 처리, 왁스 로우 처리, 계면 활성제 처리, 보습성 처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공성 안료 입자는, 화장품 용기(패키지) 수지에 대한 첨가제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 수지 및 이들의 유도체, 이들의 복합 재료;
· 생분해성 수지;
· 합성 수지와 생분해성 수지의 복합 재료
를 들 수 있다.
생분해성 수지의 예로서는, 폴리락트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 (폴리락트산/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카프로락톤/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카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숙시네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폴리글리콜산 등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변성 전분; 카제인 플라스틱; 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공성 안료 입자는, 필요에 따라, 화장품용 첨가제 및 의약부외품용 첨가제로서 사용 가능한 각종 첨가제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화장품 또는 의약부외품 등의 피부 외용제에 배합되는 생리 활성 물질 및 기능성 물질 등의 첨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유성기제, 보습제, 감촉 향상제, 계면 활성제, 고분자, 증점·겔화제, 용제, 분사제, 산화 방지제, 환원제, 산화제, 방부제, 항균제, 살균제,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산, 알칼리, 분체, 무기염, 자외선 흡수제, 미백제, 비타민류 및 그의 유도체류, 육모용 약제, 혈행 촉진제, 자극제, 호르몬류, 항주름제, 항노화제, 당김제, 냉감제, 온감제, 창상 치유 촉진제, 자극 완화제, 진통제, 세포 부활제, 식물·동물·미생물 추출물, 진양제, 각질 박리·용해제, 땀 억제제, 청량제, 수렴제, 효소, 핵산, 향료, 색소, 착색제, 염료, 안료, 소염제, 항염증제, 항천식, 항만성 폐색성 폐질환, 항알레르기, 면역 조정제, 항감염증제 및 항진균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첨가 성분을 예시하면, 유성기제로서는, 세탄올, 미리스틸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라우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아라키딜알코올, 베헤닐알코올, 호호바알코올, 키밀알코올, 셀라킬알코올, 바틸알코올, 헥실데칸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2-옥틸도데칸올, 다이머디올 등의 고급(다가) 알코올류; 벤질알코올 등의 아르알킬알코올 및 그의 유도체;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베헨산, 운데실렌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팔미톨레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레산, 에루크산, 도코사헥사엔산, 에이코사펜타엔산, 이소헥사데칸산, 안테이소헨이코산산, 장쇄 분지 지방산, 다이머산, 수소 첨가 다이머산 등의 고급 지방산류 및 그의 알루미늄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아연염, 칼륨염, 나트륨염 등의 금속 비누류, 그리고 아미드 등의 질소 함유 유도체류; 유동 파라핀(미네랄 오일), 중질 유동 이소파라핀,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α-올레핀 올리고머, 폴리이소부텐,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폴리부텐, 스쿠알란, 올리브 유래 스쿠알란, 스쿠알렌, 바셀린, 고형 파라핀 등의 탄화수소류; 칸델릴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라이스 왁스, 목랍, 밀랍, 몬탄 왁스,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페트롤라텀, 피셔-트롭쉬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왁스류; 야자유, 팜유, 팜핵유, 홍화유, 올리브유, 피마자유, 아보카도유, 참깨유, 차기름, 달맞이꽃 오일, 소맥 배아유, 마카다미아 넛츠유, 헤즐넛 오일, 쿠쿠이나무 오일, 로즈힙 오일, 메도우폼 오일, 도인 오일, 티트리오일, 박하유, 옥수수유, 채종유, 해바라기유, 소맥 배아유, 아마인유, 면실유, 대두유, 낙화생유, 미강유, 카카오 버터, 시어 버터, 수소 첨가 야자유, 수소 첨가 피마자유, 호호바유, 수소 첨가 호호바유 등의 식물 유지류; 우지, 유지, 마지, 난황유, 밍크유, 거북이유 등의 동물성 유지류; 경랍, 라놀린, 오렌지 라피유 등의 동물성 왁스류; 액상 라놀린, 환원 라놀린, 흡착 정제 라놀린, 아세트산 라놀린, 아세트산 액상 라놀린, 히드록시 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 라놀린, 라놀린 지방산, 경질 라놀린 지방산, 라놀린 알코올, 아세트산 라놀린 알코올, 아세트산(세틸·라놀릴)에스테르 등의 라놀린류;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스핑고미엘린 등의 스핑고 인지질, 포스파티딘산, 리솔레시틴 등의 인지질류; 수소 첨가 대두 인지질, 부분 수소 첨가 대두 인지질, 수소 첨가 난황 인지질, 부분 수소 첨가 난황 인지질 등의 인지질 유도체류; 콜레스테롤, 디히드로콜레스테롤, 라노스테롤, 디히드로라노스테롤, 피토스테롤, 콜산 등의 스테롤류; 사포게닌류; 사포닌류; 아세트산 콜레스테릴, 노난산 콜레스테릴,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올레산 콜레스테릴, N-라우로일-L-글루탐산디(콜레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 N-라우로일-L-글루탐산디(콜레스테릴/옥틸도데실), N-라우로일-L-글루탐산디(피토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 N-라우로일-L-글루탐산디(피토스테릴/옥틸도데실), N-라우로일사르코신이소프로필 등의 아실사르코신알킬에스테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마카다미아 넛츠유 지방산 콜레스테릴, 마카다미아 넛츠유 지방산 피토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토스테릴, 연질 라놀린 지방산 콜레스테릴, 경질 라놀린 지방산 콜레스테릴, 장쇄 분지 지방산 콜레스테릴, 장쇄α-히드록시 지방산 콜레스테릴 등의 스테롤에스테르류; 인지질·콜레스테롤 복합체, 인지질·피토스테롤 복합체 등의 지질 복합체;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미리스트산헥실데실, 이소스테아르산옥틸도데실, 팔미트산세틸, 팔미트산옥틸도데실, 옥탄산세틸, 옥탄산헥실데실,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이소노난산옥틸,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네오펜탄산이소데실, 네오펜탄산이소트리데실, 네오펜탄산이소스테아릴,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올레산올레일, 올레산옥틸도데실, 리시놀레산옥틸도데실, 라놀린 지방산 옥틸도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에루크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 경화 피마자유, 올레산에틸, 아보카도유 지방산에틸,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세바스산디에틸, 세바스산디이소프로필, 세바스산디옥틸,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세바스산디부틸옥틸, 아디프산디이소부틸, 숙신산디옥틸, 시트르산트리에틸 등의 모노알코올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류; 락트산세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 수소 첨가 피마자유 등의 옥시산에스테르류; 트리옥탄산글리세릴, 트리올레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미리스트산/스테아르산)글리세릴, 수소 첨가 로진 트리글리세라이드(수소 첨가 에스테르검), 로진트리글리세라이드(에스테르검), 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 트리옥탄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디올레산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옥탄산펜타에리트리틸, 수소 첨가 로진펜타에리트리틸, 트리에틸헥산산디트리메틸올프로판, (이소스테아르산/세바스산)디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틸, (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르산/로진산)디펜타에리트리틸, 디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노나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10, 데카(에루크산/이소스테아르산/리시놀레산)폴리글리세릴-8, (헥실데칸산/세바스산)디글리세릴올리고에스테르, 디스테아르산글리콜(디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디네오펜탄산3-메틸-1,5-펜탄디올, 디네오펜탄산2,4-디에틸-1,5-펜탄디올 등의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다이머디리놀레산디이소프로필, 다이머디리놀산디이소스테아릴, 다이머디리놀레산디(이소스테아릴/피토스테릴), 다이머디리놀레산(피토스테릴/베헤닐), 다이머디리놀레산(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 다이머디리놀레산다이머디리놀레일, 디이소스테아르산다이머디리놀레일, 다이머디리놀레일 수소 첨가 로진 축합물, 다이머디리놀레산 경화 피마자유, 히드록시알킬다이머디리놀레일에테르 등의 다이머산 혹은 다이머디올의 유도체;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코카미드 MEA),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코카미드 DEA), 라우르산 모노에탄올아미드(라우라미드 MEA), 라우르산디에탄올아미드(라우라미드 DEA), 라우르산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미드(라우라미드 MIPA), 팔미트산 모노에탄올아미드(파르타미드 MEA), 팔미트산디에탄올아미드(파르타미드 DEA), 야자유 지방산 메틸에탄올아미드(코카미드 메틸 MEA) 등의 지방산 알칸올 아미드류; 디메티콘(디메틸폴리실록산), 고중합 디메티콘(고중합 디메틸폴리실록산), 시클로메티콘(환상 디메틸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페닐트리메티콘, 디페닐디메티콘, 페닐디메티콘, 스테아르옥시프로필디메틸아민,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티콘/디메티콘) 코폴리머, 디메틸코놀, 디메틸코놀 크로스 폴리머,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아미노프로필디메티콘 및 아모디메티콘 등의 아미노 변성 실리콘, 양이온 변성 실리콘, 디메티콘코폴리올 등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리콘, 당 변성 실리콘, 카르복실산 변성 실리콘, 인산 변성 실리콘, 황산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지방산 변성 실리콘, 알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아미노산 변성 실리콘, 펩티드 변성 실리콘, 불소 변성 실리콘, 양이온 변성 및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및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및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폴리실록산·옥시알킬렌 공중합체 등의 실리콘류; 퍼플루오로데칸, 퍼플루오로옥탄,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의 불소계 유제류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보습제·감촉 향상제로서는,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3-메틸-1,3-부탄디올, 1,3-프로판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헥실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류 및 그의 중합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에톡시디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알킬에테르류; (에이코산 이산/테트라데칸 이산)폴리글리세릴-10, 테트라데칸 이산폴리글리세릴-10 등의 수용성 에스테르류; 소르비톨, 크실리톨, 에리트리톨, 만니톨, 말티톨 등의 당알코올류;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갈락토오스, 만노오스, 트레오스, 크실로오스, 아라비노오스, 푸코오스, 리보오스, 데옥시리보오스, 말토오스, 트레할로오스, 락토오스, 라피노오스, 글루콘산, 글루쿠론산, 시클로덱스트린류(α-, β-, γ-시클로덱스트린 및 말토실화, 히드록시알킬화 등의 수식 시클로덱스트린), β-글루칸, 키틴, 키토산, 헤파린 및 유도체, 펙틴, 아라비노갈락탄, 덱스트린, 덱스트란, 글리코겐, 에틸글루코시드, 메타크릴산글루코실에틸 중합물 혹은 공중합물 등의 당류 및 그의 유도체류;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나트륨; 무코이틴황산, 칼로닌황산, 케라토황산, 데르마탄황산; 버섯 추출물, 버섯 다당체; 푸코이단; 튜베로스 다당체 또는 천연 유래 다당체;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등의 유기산 및 그의 염; 요소 및 그의 유도체; 2-피롤리돈-5-카르복실산 및 그의 나트륨 등의 염; 베타인(트리메틸글리신),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아르기닌, 리신, 세린, 글리신, 알라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β-알라닌, 트레오닌, 글루탐산,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아스파르트산, 시스테인, 시스테인, 메티오닌, 류신, 이소류신, 발린, 트립토판, 히스티딘, 타우린 등의 아미노산류 및 그의 염; 콜라겐, 물고기 유래 콜라겐, 아텔로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콜라겐 분해 펩티드, 가수 분해 콜라겐, 염화 히드록시프로필암모늄 가수 분해 콜라겐, 엘라스틴 분해 펩티드, 케라틴 분해 펩티드, 가수 분해 케라틴, 콘키올린 분해 펩티드, 가수 분해 콘키올린, 실크 단백 분해 펩티드, 가수분해 실크, 라우로일 가수분해 실크나트륨, 대두 단백 분해 펩티드, 소맥 단백 분해 펩티드, 가수 분해 소맥 단백, 카제인 분해 펩티드, 아실화펩티드 등의 단백 펩티드류 및 그의 유도체; 팔미토일올리고펩티드, 팔미토일펜타펩티드펩티드, 팔미토일테트라펩티드 등의 아실화펩티드류; 실릴화펩티드류; 유산균 배양액, 효모 추출액, 난각막 단백, 소턱밑선 뮤신, 히포타우린, 참깨 리그난 배당체, 글루타티온, 알부민, 유청; 염화 콜린, 포스포릴콜린; 태반 추출액, 에아라스틴, 콜라겐, 알로에 추출물, 하마메리스액, 수세미외액, 카모밀라 추출물, 감초 추출물, 컴프리 추출물, 실크 추출물, 스위트체스트넛로즈 열매 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전동싸리 추출물 등의 동물·식물 추출 성분, 천연형 세라마이드(타입 1, 2, 3, 4, 5, 6), 히드록시세라마이드, 의사 세라마이드, 스핑고당지질, 세라마이드 및 당세라마이드 함유 추출물 등의 세라마이드류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고분자 계면 활성제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 바람직한 것을 예시하면,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라우르산칼륨, 미리스트산칼륨 등의 지방산염;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황산암모늄 등의 알킬황산에스테르염; 라우레스황산나트륨, 라우레스황산트리에탄올아민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황산염; 코코일메틸타우린나트륨, 코코일메틸타우린칼륨, 라우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미리스토일메틸타우린나트륨, 라우로일메틸알라닌나트륨,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라우로일사르코신트리에탄올아민, 라우로일글루탐산메틸알라닌나트륨 등의 아실N-메틸아미노산염; 코코일글루탐산나트륨, 코코일글루탐산트리에탄올아민, 라우로일글루탐산나트륨, 미리스토일글루탐산나트륨, 스테아로일글루탐산나트륨, 팔미토일아스파르트산디트리에탄올아민, 코코일알라닌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아실아미노산염; 라우레스아세트산나트륨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아세트산염; 라우로일 모노에탄올아미드숙신산나트륨 등의 숙신산에스테르염; 지방산 알카놀아미드에테르카본산염; 아실락트산염; 폴리옥시에틸렌 지방 아민황산염; 지방산 알칸올아미드유산염; 경화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린황산나트륨 등의 지방산 글리세라이드황산염; 알킬벤젠폴리옥시에틸렌황산염; α-올레핀술폰산나트륨 등의 올레핀술폰산염; 술포숙신산라우릴2나트륨, 술포숙신산디옥틸나트륨 등의 알킬술포숙신산염; 술포숙신산라우레스2나트륨, 모노라우릴 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술포숙신산나트륨, 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술포숙신산나트륨 등의 알킬에테르술포숙신산염; 테트라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테트라데실벤젠술폰산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칸술폰산염; α-술포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염; 아실이세티온산염; 알킬글리시딜에테르술폰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염; 라우레스인산나트륨, 디라우레스인산나트륨, 트리라우레스인산나트륨, 모노 오레스인산나트륨 등의 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염; 라우릴인산칼륨 등의 알킬인산에스테르염; 카제인나트륨; 알킬아릴에테르인산염; 지방산 아미드에테르인산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딘산 등의 인지질류; 카르복실산 변성 실리콘, 인산 변성 실리콘, 황산 변성 실리콘 등의 실리콘계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등;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서는, 라우레스(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류, 세테스(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류, 스티어레스(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류, 베헤네스류(폴리옥시에틸렌베헤닐에테르), 이소스테아레스(폴리옥시에틸렌이소스테아릴에테르)류, 옥틸도데세스(폴리옥시에틸렌옥틸도데실에테르)류 등의 다양한 폴리옥시에틸렌 부가수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모노 피로 글루탐산 모노이소스테아르산디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말레산 등의 피마자유 및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탄올;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 환원 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모노부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수소 첨가 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린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PPG-9디글리세릴 등의 (폴리)글리세린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스테아르산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팔미트산글리세릴, 미리스트산글리세릴, 올레산글리세릴,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릴, 모노 면실유 지방산 글리세린, 모노에루크산글리세린, 세스퀴올레산글리세린, α,α'-올레산 피로 글루탐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말산 등의 글리세린 지방산 부분 에스테르류; 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동3, 동4, 동5, 동6, 동8, 동10, 디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6, 동10, 트리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데카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10,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동3, 동4, 동5, 동6, 동8, 동10, 디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디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동3, 동10,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데카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10, 올레산폴리글리세릴-2, 동3, 동4, 동5, 동6, 동8, 동10, 디올레산폴리글리세릴-6, 트리올레산폴리글리세릴-2, 데카올레산폴리글리세릴-10 등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등의 에틸렌글리콜 모노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스테아르산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프로필렌글리콜 모노 지방산 에스테르; 펜타에리트리톨 부분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톨 부분 지방산 에스테르; 말티톨 부분 지방산 에스테르; 말티톨에테르;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키올레이트, 소르비탄트리올레이트, 펜타-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등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메틸글루코시드 지방산 에스테르, 운데실렌산트레할로오스 등의 당 유도체 부분 에스테르; 카프릴릴 글루코시드 등의 알킬글루코시드; 알킬폴리글리코시드; 라놀린알코올; 환원 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디스테아레이트, 폴리틸렌글리콜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디올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모노 및 디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모노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올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테트라올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펜타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콕시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밀랍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동식물 유지류;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키밀알코올, 셀라킬알코올, 바틸알코올 등의 알킬글리세릴에테르류; 다가 알코올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테트라폴리옥시에틸렌·테트라폴리옥시프로필렌-에틸렌디아민 축합물류; 사포닌, 소포로리피드 등의 천연계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코카미드 MEA),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코카미드 DEA), 라우르산 모노에탄올아미드(라우라미드 MEA), 라우르산디에탄올아미드(라우라미드 DEA), 라우르산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미드(라우라미드 MIPA), 팔미트산 모노에탄올아미드(파르타미드 MEA), 팔미트산디에탄올아미드(파르타미드 DEA), 야자유 지방산 메틸에탄올아미드(코카미드메틸 MEA) 등의 지방산 알칸올아미드류; 라우라민옥시드, 코카민옥시드, 스테아라민옥시드, 베헤나민옥시드 등의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시드; 폴리옥시에틸렌알킬머캅탄; 디메티콘코폴리올 등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폴리실록산·옥시알킬렌 공중합체,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리콘, 당 변성 실리콘 등의 실리콘계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등;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베헨트리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르트리모늄클로라이드,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라우릴트리모늄클로라이드 등의 알킬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릴트리모늄브로마이드 등의 알킬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디스테아릴디모늄클로라이드, 디코코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디알킬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라미드프로필디메틸아민, 스테아라미드에틸디에틸아민 등의 지방산 아미드아민 및 그의 염; 스테아르옥시프로필디메틸아민 등의 알킬에테르아민 및 그의 염 또는 4급염; 에틸황산 장쇄 분지 지방산(12 내지 31) 아미노프로필에틸디메틸암모늄, 에틸황산라놀린 지방산 아미노프로필에틸디메틸암모늄 등의 지방산 아미드형 4급 암모늄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및 그의 염 또는 4급염; 알킬아민염; 지방산 아미드구아니디늄염; 알킬에테르암모늄염; 알킬트리알킬렌글리콜암모늄염; 벤잘코늄염; 벤제토늄염; 염화세틸피리디늄 등의 피리디늄염; 이미다졸리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몰리포늄염; 폴리아민 지방산 유도체; 아미노프로필디메티콘 및 아모디메티콘 등의 아미노 변성 실리콘, 양이온 변성 실리콘, 양이온 변성 및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및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등의 실리콘계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등;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라우릴베타인(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등의 N-알킬-N,N-디메틸아미노산베타인; 코카미드프로필베타인, 라우라미드프로필베타인 등의 지방산 아미드알킬-N,N-디메틸아미노산베타인; 고코안호아세트산나트륨, 라우로안호아세트산나트륨 등의 이미다졸린형 베타인; 알킬디메틸타우린 등의 알킬술포베타인; 알킬디메틸아미노에탄올황산에스테르 등의 황산형 베타인; 알킬디메틸아미노에탄올인산에스테르 등의 인산형 베타인;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스핑고미엘린 등의 스핑고인지질, 리솔레시틴, 수소 첨가 대두 인지질, 부분 수소 첨가 대두 인지질, 수소 첨가 난황 인지질, 부분 수소 첨가 난황 인지질, 수산화레시틴 등의 인지질류; 실리콘계 양성 계면 활성제 등; 고분자 계면 활성제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 알긴산나트륨, 전분 유도체, 트라간트검, 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실리콘계 각종 계면 활성제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고분자·증점제·겔화제로서는, 구아검, 로커스트빈검, 퀸스시드, 카라기난, 갈락탄, 아라비아검, 타라검, 타마린드, 퍼셀러란, 카라야검, 닥풀, 카라야검, 트라간트검, 펙틴, 펙틴산 및 나트륨염 등의 염, 알긴산 및 나트륨염 등의 염, 만난; 쌀, 옥수수, 감자, 소맥 등의 전분; 크산탄검,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커들란, 히알루론산 및 그의 염, 크산탄검, 풀루란, 젤란검, 키틴, 키토산, 한천, 활초 추출물, 콘드로이틴황산염, 카제인, 콜라겐, 젤라틴, 알부민;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그의 나트륨 등의 염,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 디알킬디메틸암모늄황산셀룰로오스, 결정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말 등의 셀룰로오스 및 그의 유도체; 가용성 전분,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전분, 메틸 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염화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전분, 옥테닐숙신산 옥수수 전분 알루미늄 등의 전분 유도체;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알긴산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비닐알코올(PVA), 비닐피롤리돈·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카르복시베타인/메타크릴산알킬)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스테아릴/메타크릴산에틸아민옥시드)코폴리머 등의 양성 메타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아크릴산알킬/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코폴리머, (아크릴산알킬/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코폴리머 AMP; 폴리아세트산비닐 부분 비누화물, 말레산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메타크릴산디알킬아미노알킬 공중합체; 아크릴 수지 알칸올아민; 폴리에스테르,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에틸 등의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폴리아크릴산 및 그의 나트륨염 등의 염, 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폴리쿼터니움-10 등의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폴리쿼터니움-7 등의 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폴리쿼터니움-22 등의 아크릴산·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공중합체, 폴리쿼터니움-39 등의 아크릴산·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아크릴산·양이온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산·양이온화 메타아크릴산아미드 공중합체, 폴리쿼터니움-47 등의 아크릴산·아크릴산메틸·염화메타크릴아미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공중합체, 염화메타크릴산콜린에스테르 중합체; 양이온화 올리고당, 양이온화 덱스트란, 구아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등의 양이온화 다당류;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폴리머; 폴리쿼터니움-51 등의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의 중합체 및 메타크릴산부틸 공중합체 등과의 공중합체; 아크릴 수지 에멀션, 폴리아크릴산에틸에멀션, 폴리아크릴알킬에스테르 에멀션,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에멀션, 천연 고무 라텍스, 합성 라텍스 등의 고분자 에멀션;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우레탄류 및 각종 공중합체; 각종 실리콘류; 아크릴-실리콘그래프트 공중합체 등의 실리콘계 각종 공중합체; 각종 불소계 고분자;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및 그의 염; 팔미트산덱스트린, 미리스트산덱스트린 등의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무수 규산, 연무상 실리카(초미립자 무수규산),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규산나트륨마그네슘, 금속 비누, 디알킬인산 금속염,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유기 변성 점토 광물,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프룩토올리고당 지방산 에스테르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상기 예시 중에서도, 셀룰로오스 및 그의 유도체, 알긴산 및 그의 염, 폴리비닐알코올, 히알루론산 및 그의 염, 또는 콜라겐이 바람직하다.
용제·분사제류로서는, 에탄올, 2-프로판올(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의 저급 알코올류;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펜틸디올 등의 글리콜류;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에톡시디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글리콜에테르에스테르류; 숙신산디에톡시에틸, 에틸렌글리콜디석시네이트 등의 글리콜에스테르류; 벤질알코올, 벤질옥시에탄올, 탄산프로필렌, 탄산디알킬,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N-메틸피롤리돈; 톨루엔; 플루오로카본, 차세대 프레온; LPG, 디메틸에테르, 탄산 가스 등의 분사제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토코페롤(비타민E), 아세트산토코페롤 등의 토코페롤 유도체; BHT, BHA; 갈산프로필 등의 갈산 유도체; 비타민C(아스코르브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 에리토르브산 및 그의 유도체; 아황산나트륨 등의 아황산염; 아황산수소나트륨 등의 아황산수소염; 티오황산나트륨 등의 티오황산염; 메타아황산수소염; 티오타우린, 히포타우린; 티오글리세롤, 티오요소, 티오글리콜산, 시스테인염산염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환원제로서는, 티오글리콜산, 시스테인, 시스테아민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산화제로서는, 과산화수소수, 과황산암모늄, 브롬산나트륨, 과탄산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방부제·항균제·살균제로서는,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등의 히드록시벤조산 및 그의 염 혹은 그의 에스테르; 살리실산; 벤조산나트륨; 페녹시에탄올;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메틸이소티아졸리논 등의 이소티아졸리논 유도체; 이미다졸리늄우레아; 데히드로아세트산 및 그의 염; 페놀류; 트리클로산 등의 할로겐화비스페놀류, 산 아미드류, 4급 암모늄염류; 트리클로로카르바니드, 징크 피리티온,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소르브산, 클로르헥시딘,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 할로카르반, 헥사클로로펜, 히노키티올; 페놀, 이소프로필페놀, 크레졸, 티몰, 파라클로로페놀, 페닐페놀, 페닐페놀나트륨 등의 기타 페놀류; 페닐에틸알코올, 감광소류, 항균성 제올라이트, 은 이온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킬레이트제로서는, EDTA, EDTA2Na, EDTA3Na, EDTA4Na 등의 에데트산염(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염); HEDTA3Na 등의 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3아세트산염; 펜테트산염(디에틸렌트리아민5아세트산염); 피트산; 에티드론산 등의 포스폰산 및 그 나트륨염 등의 염류; 옥살산나트륨; 폴리아스파르트산, 폴리글루탐산 등의 폴리아미노산류;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인산; 시트르산나트륨, 시트르산, 알라닌, 디히드록시에틸글리신, 글루콘산, 아스코르브산, 숙신산, 타르타르산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pH 조정제·산·알칼리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락트산, 락트산나트륨, 락트산칼륨, 글리콜산, 숙신산, 아세트산, 아세트산나트륨, 말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인산, 염산, 황산,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2-아미노-2-히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아르기닌,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수, 탄산구아니딘, 탄산암모늄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분체로서는, 마이카, 탈크, 카올린, 세리사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카올리나이트, 운모, 백운모, 금운모, 합성 운모, 홍운모, 흑운모, 퍼미큘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마그네슘, 제올라이트, 황산바륨, 소성 황산칼슘, 인산칼슘, 불소아파타이트,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 파우더, 벤토나이트, 스멕타이트, 점토, 진흙, 금속 비누(예를 들어, 미리스트산아연, 팔미트산칼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탄산칼슘, 벵갈라, 황산화철, 흑산화철, 군청, 감청, 카본 블랙, 산화티타늄, 미립자 및 초미립자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미립자 및 초미립자 산화아연, 알루미나, 실리카, 연무상 실리카(초미립자 무수 규산), 운모티타늄, 어린박, 질화붕소, 포토크로믹 안료, 합성 불소금운모, 미립자 복합 분체, 금, 알루미늄 등의 각종 크기·형상의 무기 분체 및 이것들을 하이드로겐 실리콘, 환상 하이드로겐 실리콘 등의 실리콘 혹은 기타의 실란 혹은 티타늄 커플링제 등의 각종 표면 처리제로 처리를 행하여 소수화 혹은 친수화한 분체 등의 무기 분체; 전분, 셀룰로오스, 나일론 파우더,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메타크릴산메틸말, 폴리스티렌말, 스티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 분말, 폴리에스테르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적층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알루미늄·에폭시 적층말 등, 우레탄 분말, 실리콘 분말, 테플론(등록 상표) 분말 등의 각종 크기·형상의 유기계 분체 및 표면 처리 분체, 유기 무기 복합 분체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무기염류로서는, 식염, 보통염, 암염, 해염, 천일염 등의 염화나트륨 함유 염류; 염화칼륨, 염화알루미늄,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간수, 염화아연, 염화암모늄; 황산나트륨, 황산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칼륨(명반), 황산알루미늄·암모늄, 황산바륨, 황산칼슘, 황산칼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아연, 황산철, 황산구리;인산 1Na·2Na·3Na 등의 인산나트륨류, 인산칼륨류, 인산칼슘류, 인산마그네슘류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 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에스테르, N,N-디에톡시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파라아미노벤조산부틸에스테르, N,N-디메틸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에스테르 등의 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 및 그 나트륨염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파라메톡시신남산옥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시녹세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옥토크린), 글리세릴 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페룰산 및 그의 유도체 등의 신남산계 자외선 흡수제;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옥시벤존-3),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4-히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3-(4'-메틸벤질리덴)-d,l-캄포, 3-벤질리덴-d,l-캄포; 2-페닐-5-메틸벤족사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자라진; 디아니소일메탄; 5-(3,3-디메틸-2-노르보르닐리덴)-3-펜탄-2-온; 4-t-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등의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옥틸트리아존; 우로칸산 및 우로칸산에틸 등의 우로칸산 유도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1-(3,4-디메톡시페닐)-4,4-디메틸-1,3-펜탄디온, 디메톡시벤딜리덴디옥소이미다졸리진프로피온산2-에틸헥실 등의 히단토인 유도체, 페닐벤즈이미다졸술폰산, 테레프탈릴리덴디칸플루술폰산,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안트라닐산메틸, 루틴 및 그의 유도체, 오리자놀 및 그의 유도체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미백제로서는, 알부틴, α-알부틴 등의 히드로퀴논 배당체 및 그의 에스테르류;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나트륨염 및 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마그네슘염 등의 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염, 아스코르브산테트라이소팔미트산에스테르 등의 아스코르브산 지방산 에스테르, 아스코르브산에틸에테르 등의 아스코르브산알킬에테르,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 등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및 그의 지방산 에스테르류, 아스코르브산황산에스테르, 인산토코페릴아스코르빌 등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코지산, 엘라그산, 트라넥삼산 및 그의 유도체, 페룰산 및 그의 유도체, 태반 추출물, 글루타티온, 오리자놀, 부틸레조르시놀, 유용성 카모밀라 추출물, 유용성 감초 추출물, 서하류 추출물, 범의귀 추출물 등의 식물 추출물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비타민류 및 그의 유도체류로서는, 레티놀, 아세트산레티놀, 팔미트산레티놀 등의 비타민 A류; 티아민염산염, 티아민황산염, 리보플라빈, 아세트산리보플라빈, 염산피리독신, 피리독신디옥타노에이트, 피리독신디팔미테이트, 플라빈아데닌디뉴클레오티드, 시아노코발라민, 엽산류, 니코틴산아미드·니코틴산벤질 등의 니코틴산류, 콜린류 등의 비타민 B군류; 아스코르브산 및 그의 나트륨 등의 염 등의 비타민C류; 비타민D; α, β, γ, δ-토코페롤 등의 비타민E류; 판토텐산, 비오틴 등의 기타 비타민류; 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나트륨염 및 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마그네슘염 등의 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염, 아스코르브산테트라이소팔미트산에스테르·스테아르산아스코르빌·팔미트산아스코르빌·디팔미트산아스코르빌 등의 아스코르브산 지방산 에스테르, 아스코르브산에틸에테르 등의 아스코르브산알킬에테르,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 등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및 그의 지방산 에스테르, 인산토코페릴아스코르빌 등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니코틴산토코페롤, 아세트산토코페롤, 리놀레산토코페롤, 페룰산토코페롤, 토코페롤인산에스테르 등의 토코페롤 유도체 등의 비타민 유도체, 토코트리에놀, 기타 각종 비타민 유도체류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육모용 약제·혈행 촉진제·자극제로서는, 당약 추출물, 고추 팅크, 생강 팅크, 생강 추출물, 칸타리스 팅크 등의 식물 추출물·팅크류; 캡사이신, 노닐산왈레닐아미드, 진저론, 이크타몰, 탄닌산, 보르네올, 시클란델레이트, 신나리진, 톨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 γ-오리자놀, 비타민E 및 니코틴산토코페롤·아세트산토코페롤 등의 유도체, γ-오리자놀, 니코틴산 및 니코틴산아미드·니코틴산벤질에스테르·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니코틴 알코올 등의 유도체, 알란토인, 감광소 301, 감광소 401, 염화카프로늄, 펜타데칸산모노글리세라이드, 플라바노놀 유도체, 스티그마스테롤 또는 스티그마스타놀 및 그의 배당체, 미녹시딜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호르몬류로서는,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론, 에티닐에스트라디올, 코르티손, 히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손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항주름제, 항노화제, 당김제, 냉감제, 온감제, 창상 치유 촉진제, 자극 완화제, 진통제, 세포 부활제 등의 기타의 약효제로서는, 레티놀류, 레티노산류, 레티노산토코페릴; 락트산, 글리콜산, 글루콘산, 프루츠산, 살리실산 및 그의 배당체·에스테르화물 등의 유도체, 히드록시카프르산, 장쇄α-히드록시 지방산, 장쇄α-히드록시 지방산 콜레스테릴 등의 α- 또는 β-히드록시산류 및 그의 유도체류; γ-아미노부티르산, γ-아미노-β-히드록시부티르산; 카르니틴; 카르노신; 크레아틴; 세라마이드류, 스핑고신류; 카페인, 크산틴 등 및 그의 유도체; 코엔자임Q10, 카로틴, 리코펜, 아스타크산틴, 루테인, α-리포산, 백금 나노 콜로이드, 풀러렌류 등의 항산화·활성 산소 소거제; 카테킨류; 케르세틴 등의 플라본류; 이소플라본류; 갈산 및 에스테르 당 유도체; 탄닌, 세사민, 프로토안토시아니딘, 클로로겐산, 사과폴리페놀 등의 폴리페놀류; 루틴 및 배당체 등의 유도체; 헤스페리딘 및 배당체 등의 유도체; 리그난 배당체; 글러브 리신, 글러브 렌, 리퀴리틴, 이소리퀴리틴 등의 감초 추출물 관련 물질; 락토페린; 쇼가올, 진저롤; 멘톨, 세드롤 등의 향료 물질 및 그의 유도체; 캡사이신, 바닐린 등 및 유도체; 디에틸톨루아미드 등의 곤충 기피제; 생리 활성 물질과 시클로덱스트린류의 복합체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식물·동물·미생물 추출물류로서는, 아이리스 추출물, 명일엽 추출물, 아스나로 추출물, 아스파라거스 추출물, 아보카도 추출물, 감차 추출물, 아몬드 추출물, 알테아 추출물, 아르니카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살구 추출물, 살구핵 추출물, 은행나무 추출물, 인진호 추출물, 회향풀 추출물, 울금 추출물, 우롱차 추출물, 월귤나무잎 추출물, 찔레꽃 추출물, 에키네시아잎 추출물, 방아풀 추출물, 황금 추출물, 황백 추출물, 황련 추출물, 대맥 추출물, 고려인삼 추출물, 고추나물 추출물, 광대수염 추출물, 오노니스 추출물, 물냉이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해수 건조물, 해조 추출물, 감잎 추출물, 파라칸타 추출물, 가수 분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소맥 분말, 가수분해 실크, 갈근 추출물, 카모밀라 추출물, 유용성 카모밀라 추출물, 당근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메귀리 추출물, 로젤 추출물, 감초 추출물, 유용성 감초 추출물, 키위 추출물, 황색 사과 추출물, 목이버섯 추출물, 키나 추출물, 오이 추출물, 오동나 잎 추출물, 구아노신, 구아바 추출물, 고삼 추출물, 치자나무 추출물, 얼룩조릿대 추출물, 고삼 추출물, 호두 추출물, 밤 추출물, 자몽 추출물, 클레마티스 추출물, 흑미 추출물, 흑설탕 추출물, 흑초, 클로렐라 추출물, 괭이 추출물, 겐티아나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홍차 추출물, 효모 추출물, 후박 추출물, 커피 추출물, 우엉 추출물, 쌀 추출물, 쌀 발효 추출물, 쌀겨 발효 추출물, 쌀 배아유, 컴프리 추출물, 콜라겐, 월귤 추출물, 족도리풀 추출물, 시호 추출물, 탯줄 추출액, 사프란 추출물, 샐비어 추출물, 사포나리아 추출물, 조릿대 추출물, 산사나무 추출물, 신사나무 열매 추출물, 산초나무 추출물, 표고버섯 추출물, 지황 추출물, 자근 추출물, 차조기 추출물, 참피나무 추출물, 하야초 추출물, 자토바 추출물, 작약 추출물, 생강 추출물, 창포뿌리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 흰목이버섯 추출물, 쇠뜨기 추출물, 스테비아 추출물, 스테비아 발효물, 서하류 추출물, 서양담쟁이 추출물, 서양산사나무 추출물, 서양접골목 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서양박하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당아욱 추출물, 천궁 추출물, 당약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대황 추출물, 대두 추출물, 대추 추출물, 타임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 지의류 추출물, 차 추출물, 정향나무 추출물, 띠 추출물, 진피 추출물, 티트리 오일, 첨차 추출물, 고추 추출물, 당귀 추출물, 금잔화 추출물, 도인 추출물, 등피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낫토 추출물, 인삼 추출물, 마늘 추출물, 찔레나무 추출물, 히비스커스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연꽃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 벌꿀, 하마멜리스 추출물, 펠리토리 추출물, 방아풀 추출물, 비사보롤, 노송나무 추출물, 비피더스균 추출물, 비파나무 추출물, 머위 추출물, 머위 추출물, 복령 추출물, 부처브룸 추출물, 포도 추출물, 포도 종자 추출물, 프로폴리스, 수세미외 추출물, 홍화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보리수 추출물, 목단 추출물, 홉 추출물, 매괴화 추출물, 소나무 추출물, 마로니에 추출물, 수파초 추출물, 무환자나무 추출물, 멜리사 추출물, 큰실말 추출물, 복숭아 추출물, 수레국화 추출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범의귀 추출물, 유자 추출물, 백합 추출물, 의이인 추출물, 쑥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녹차 추출물, 난각막 추출물, 사과 추출물, 루이보스차 추출물, 영지 추출물, 상추 추출물, 레몬 추출물, 연교 추출물, 자운영 추출물, 로즈 추출물, 로즈메리 추출물, 로마 카밀레 추출물, 로얄 젤리 추출물, 오이풀 추출물 등의 추출물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진양제로서는, 염산디펜히드라민, 말레산클로르페니라민, 캄포, 서브스턴스-P 저해제 등을 들 수 있다.
각질 박리·용해제로서는, 살리실산, 황, 레조르신, 황화셀레늄, 피리독신 등을 들 수 있다.
땀 억제제로서는, 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 염화알루미늄, 산화아연, 파라페놀술폰산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청량제로서는, 멘톨, 살리실산메틸 등을 들 수 있다.
수렴제로서는,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황산알루미늄·칼륨, 탄닌산 등을 들 수 있다.
효소류로서는, 슈퍼옥시드디스무타아제, 카탈라아제, 염화리소자임, 리파아제, 파파인, 판크레아틴, 프로테아제 등을 들 수 있다.
핵산류로서는, 리보핵산 및 그의 염, 데옥시리보핵산 및 그의 염, 아데노신3인산이나트륨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향료로서는, 아세틸세드렌, 아밀신남알데히드, 아릴아밀글리코레이트, β-이오논, 이소이수퍼, 이소부틸퀴놀린, 이리스유, 이론, 인돌, 일랑일랑유, 운데칸알, 운데센알, γ-운데카락톤, 에스트라골, 유게놀, 오크모스, 오포포낙스 레지노이드, 오렌지유, 유게놀, 오란티올, 갈락솔리드, 카르박롤, L-카르본, 캄포, 캐논, 캐롯시드유, 클로브유, 신남산메틸, 제라니올, 게라닐니트릴, 아세트산이소보르닐, 아세트산게라닐, 아세트산디메틸벤질카르비닐, 아세트산스티라릴, 아세트산세드릴, 아세트산테레피넬, 아세트산p-t-부틸시클로헥실, 아세트산베티베릴, 아세트산벤질, 아세트산리날릴, 살리실산이소펜틸, 살리실산벤질, 백단유, 산타롤, 시클라멘알데히드, 시클로펜타데카놀리드, 디히드로자스몬산메틸, 디히드로미르세놀, 자스민 앱솔루트, 자스민락톤, cis-자스몬, 시트랄, 시토로네놀, 시트로넬랄, 시나몬바크유, 1,8-시네올, 신남알데히드, 소합향 레지노이드, 시더우드유, 세드렌, 세드롤, 셀러리 시드유, 타임유, 다마스콘, 다마세논, 티몰, 만향옥 앱솔루트, 데칸알, 데카락톤, 테르피네올, γ-테르피넨, 트리프랄, 네롤, 노난알, 2,6-노나디에놀, 노나락톤, 패츌리알코올, 바닐라 앱솔루트, 바닐린, 바질유, 패츌리유, 히드록시시트로넬랄, α-피넨, 피페리톤, 페네틸알코올, 페닐아세트알데히드, 페티그레인유, 헥실신남알데히드, cis-3-헥센올, 페루 발삼, 베티버유, 베티베롤, 페퍼민트유, 페퍼유, 헬리오트로핀, 베르가모트유, 벤질 벤조에이트, 보르네올, 밀 레지노이드, 머스크 케톤, 메틸노닐아세트알데히드, γ-메틸요논, 멘톨, L-멘톨, L-멘톤, 유칼립투스유, β-요논, 라임유, 라벤더유, D-리모넨, 리날로올, 리랄, 리리알, 레몬유, 로즈 앱솔루트, 로즈 옥시드, 로즈유, 로즈마리유, 각종 정유 등의 합성향료 및 천연 향료, 그리고 각종 조합 향료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색소·착색제·염료·안료로서는, 갈색 201호, 흑색 401호, 자색 201호, 자색 401호, 청색 1호, 청색 2호, 청색 201호, 청색 202호, 청색 203호, 청색 204호, 청색 205호, 청색 403호, 청색 404호, 녹색 201호, 녹색 202호, 녹색 204호, 녹색 205호, 녹색 3호, 녹색 401호, 녹색 402호, 적색 102호, 적색 104-1호, 적색 105-1호, 적색 106호, 적색 2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3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06호, 적색 207호, 적색 208호, 적색 213호, 적색 214호, 적색 215호, 적색 218호, 적색 219호, 적색 220호, 적색 221호, 적색 223호, 적색 225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적색 228호, 적색 230-1호, 적색 230-2호, 적색 231호, 적색 232호, 적색 3호, 적색 401호, 적색 404호, 적색 405호, 적색 501호, 적색 502호, 적색 503호, 적색 504호, 적색 505호, 적색 506호, 주황색 201호, 주황색 203호, 주황색 204호, 주황색 205호, 주황색 206호, 주황색 207호, 주황색 401호, 주황색 402호, 주황색 403호, 황색 201호, 황색 202-1호, 황색 202-2호, 황색 203호, 황색 204호, 황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401호, 황색 402호, 황색 403-1호, 황색 404호, 황색 405호, 황색 406호, 황색 407호, 황색 5호 등의 법정 색소; Acid Red 14 등의 기타 산성 염료; Arianor Sienna Brown, Arianor Madder Red, Arianor Steel Blue, Arianor Straw Yellow 등의 염기 염료; HC Yellow 2, HC Yellow 5, HC Red 3,4-히드록시프로필아미노(hydoxypropylamino)-3-니트로페놀(nitrophenol), N,N'-bis(2-히드록시에틸(hydroxyethyl))-2-니트로(nitro)-p-페닐렌디아민(phenylenediamine), HC Blue 2, BasicBlue 26 등의 니트로 염료; 분산 염료;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등의 무기 백색 안료; 산화철(벵갈라), 티타늄산철 등의 무기 적색계 안료; γ-산화철 등의 무기 갈색계 안료; 황산화철, 황토 등의 무기 황색계 안료; 흑산화철, 저차원 산화티타늄 등의 무기 흑색계 안료; 망고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의 무기 자색계 안료;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타늄산코발트 등의 무기 녹색계 안료; 군청, 감청 등의 무기 청색계 안료; 산화티타늄코티드마이카, 산화티타늄코티드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타늄코티드탈크, 착색 산화티타늄코티드마이카, 옥시염화비스무트, 어린박 등의 펄 안료; 알루미늄 파우더, 구리 파우더, 금 등의 금속 분말 안료; 표면 처리 무기 및 금속 분말 안료;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 등의 유기 안료; 표면 처리 유기 안료; 아스타크산틴, 알리자린 등의 안트라퀴논류, 안토시아니딘, β-카로틴, 가테날, 캡산턴, 칼콘, 카르타민, 쿠엘세틴, 크로신, 클로로필, 커큐민, 코치닐, 시코닌 등의 나프토퀴논류, 빅신, 플라본류, 베타시아니딘, 헤나, 헤모글로빈, 리코펜, 리보플라빈, 루틴 등의 천연 색소·염료; p-페닐렌디아민, 톨루엔-2,5-디아민, o-, m-, 혹은 p-아미노페놀, m-페닐렌디아민, 5-아미노-2-메틸페놀, 레조르신, 1-나프톨, 2,6-디아미노피리딘 등 및 그의 염 등의 산화 염료 중간체 및 커플러; 인돌린 등의 자동 산화형 염료; 디히드록시아세톤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소염제·항염증제로서는, 글리시리진산 및 그의 유도체,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히노키티올, 구아이아줄렌, 알란토인,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이부프로펜, 디클로페낙, 록소프로펜, 셀레콕시브, 인플릭시맙, 에타네르셉트, 산화아연, 아세트산히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손, 염산디페드라민, 말레산클로르페니라민; 복숭아잎 추출물, 쑥잎 추출물 등의 식물 추출물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항천식, 항만성 폐색성 폐질환, 항알레르기, 면역 조정제로서는, 아미노필린, 테오필린류, 스테로이드류(플루티카손, 베클로메타손 등), 류코트리엔 길향약류, 트론보키산 저해약류, 인탈, β2 자극 약류(포르모테롤, 살메테롤, 알부테롤, 툴로부테롤, 클렌부테롤, 에피네프린 등), 티오트로퓸, 이프라트로퓸, 덱스트로메토르판, 디메모르판, 브롬헥신, 트라닐라스트, 케토티펜, 아젤라스틴, 세티리진, 클로르페니라민, 메퀴타진, 타크롤리무스, 시클로스포린, 시로리무스, 메토트렉세이트, 사이토카인 조정제류, 인터페론, 오말리주맙, 단백/항체 제제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항감염증제, 항진균제로서는, 오셀타미비르와 자나미비르, 이트라코나졸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이들 외에, 화장품 원료 기준, 화장품 종별 배합 성분 규격, 일본 화장품 공업 연합회 성분 표시 명칭 리스트, INCI 사전(국제 화장품 성분 사전 및 핸드북(The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의약부외품 원료 규격, 일본 약전, 의약품 첨가물 규격, 식품 첨가물 공정서 등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 및 국제 특허 분류 IPC가 A61K7 및 A61K8의 분류에 속하는 일본 및 제외국 특허 공보 및 특허 공개 공보(공표 공보·재공표를 포함한다)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 등, 공지의 화장료 성분, 의약품 성분, 식품 성분 등을, 공지의 조합 및 배합비·배합량으로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참고 합성예 1: 10질량%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산액]
미결정 셀룰로오스(콤프레셀 M101, (주)후시미 세이야쿠소제) 8㎏을 이온 교환수 72㎏에 분산시킨 후, 습식 미립화 장치 스타버스트((주)스기노 머신제)에서 150㎫로 1회 분쇄 처리를 행하여, 표제의 10질량%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산액을 얻었다.
[참고 합성예 2: 4질량%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산액]
미결정 셀룰로오스(콤프레셀 M101, (주)후시미 세이야쿠소제) 0.6㎏을 이온 교환수 14.4㎏에 분산시킨 후, 습식 미립화 장치 스타버스트((주)스기노 머신제)에서 150㎫로 10회 분쇄 처리를 행하여, 표제의 4질량%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1: 셀룰로오스:황산화철=1:1w/w의 입자]
참고 합성예 1에서 얻어진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산액 450g, 황산화철(LL-100HP, 티탄 고교(주)제) 45g 및 순수 5g을 혼합하여 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분산액을, MDL-050B(후지사키 덴키(주)제)로 SE 노즐을 장착하고, 입구 온도 160℃, 급기 풍량 1.00㎥/min, 노즐 에어 유량 40NL/min, 액량 30mL/min으로 분무하여, 표제 입자로서 45g의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2: 셀룰로오스:황산화철=1:2w/w의 입자]
참고 합성예 1에서 얻어진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산액 300g, 황산화철(LL-100HP, 티탄 고교(주)제) 60g 및 순수 140g을 혼합하여 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분산액을, MDL-050B(후지사키 덴키(주)제)로 SE 노즐을 장착하고, 입구 온도 160℃, 급기 풍량 1.00㎥/min, 노즐 에어 유량 40NL/min, 액량 30mL/min으로 분무하여, 표제 입자로서 52g의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3: 셀룰로오스:황산화철=1:4w/w의 입자]
참고 합성예 1에서 얻어진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산액 360g, 황산화철(LL-100HP, 티탄 고교(주)제) 144g 및 순수 496g을 혼합하여 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분산액을, MDL-050B(후지사키 덴키(주)제)로 SE 노즐을 장착하고, 입구 온도 160℃, 급기 풍량 1.00㎥/min, 노즐 에어 유량 40NL/min, 액량 30mL/min으로 분무하여, 표제 입자로서 149g의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4: 셀룰로오스:황산화철=1:4w/w의 입자]
참고 합성예 2에서 얻어진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산액 108g, 황산화철(LL-100HP, 티탄 고교(주)제) 17.3g 및 순수 54.7g을 혼합하여 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분산액을, MDL-050B(후지사키 덴키(주)제)로 SE 노즐을 장착하고, 입구 온도 160℃, 급기 풍량 1.00㎥/min, 노즐 에어 유량 40NL/min, 액량 30mL/min으로 분무하여, 표제 입자로서 3g의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5: 셀룰로오스:적산화철=1:2w/w의 입자]
참고 합성예 1에서 얻어진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산액 600g, 적산화철(R-516HP, 티탄 고교(주)제) 120g 및 순수 280g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분산액을, MDL-050B(후지사키 덴키(주)제)로 SE 노즐을 장착하고, 입구 온도 160℃, 급기 풍량 1.00㎥/min, 노즐 에어 유량 40NL/min, 액량 30mL/min으로 분무하여, 표제 입자로서 77g의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6: 셀룰로오스:적산화철=1:4w/w의 입자]
참고 합성예 1에서 얻어진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산액 360g, 적산화철(R-516HP, 티탄 고교(주)제) 144g 및 순수 496g을 혼합하여 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분산액을, MDL-050B(후지사키 덴키(주)제)로 SE 노즐을 장착하고, 입구 온도 160℃, 급기 풍량 1.00㎥/min, 노즐 에어 유량 40NL/min, 액량 30mL/min으로 분무하여, 표제 입자로서 109g의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7: 셀룰로오스:적산화철=1:9w/w의 입자]
참고 합성예 1에서 얻어진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산액 180g, 적산화철(R-516HP, 티탄 고교(주)제) 162g 및 순수 658g을 혼합하여 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분산액을, MDL-050B(후지사키 덴키(주)제)로 SE 노즐을 장착하고, 입구 온도 160℃, 급기 풍량 1.00㎥/min, 노즐 에어 유량 40NL/min, 액량 30mL/min으로 분무하여, 표제 입자로서 112g의 분말을 얻었다.
[참고 합성예 3: 5질량% 미결정 셀룰로오스:질화붕소=1:4w/w의 분산액]
미결정 셀룰로오스(콤프레셀 M101, (주)후시미 세이야쿠소제) 0.25㎏, 질화붕소(RonaFlair(등록 상표) Boroneige SF-3, 메르크 퍼포먼스 머티리얼즈(주)제) 1.00㎏을 이온 교환수 23.75㎏에 분산시킨 후, 습식 미립화 장치 스타버스트((주)스기노 머신제)에서 150㎫로 3회 분쇄 처리를 행하여, 표제의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8: 셀룰로오스:질화붕소=1:4w/w의 입자]
참고 합성예 3에서 얻어진 분산액을, RJ-5 노즐(오카와라 카코키(주)제)을 장착한 CL-8형(오카와라 카코키(주)제) 스프레이 드라이어에 의해, 원액 처리량 2.0㎏/h, 분무 압력 0.1㎫, 입구 온도 170℃, 출구 온도 82℃, 사이클론 차압 0.5㎪로 2시간 47분간 분무 건조하여, 표제 입자로서 139g의 분말을 얻었다.
[참고 합성예 4: 5질량%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산액]
미결정 셀룰로오스(콤프레셀 M101, (주)후시미 세이야쿠소제) 5㎏을 이온 교환수 95㎏에 분산시킨 후, 습식 미립화 장치 스타버스트((주)스기노 머신제)에서 150㎫로 5회 분쇄 처리를 행하여, 표제의 5질량%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산액을 얻었다.
[참고 합성예 5: 5질량%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산액]
미결정 셀룰로오스(콤프레셀 M101, (주)후시미 세이야쿠소제) 2.5㎏을 이온 교환수 47.5㎏에 분산시킨 후, 습식 미립화 장치 스타버스트((주)스기노 머신제)에서 150㎫로 5회 분쇄 처리를 행하여, 표제의 5질량%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산액을 얻었다.
[참고 합성예 6: 5질량%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산액]
미결정 셀룰로오스(콤프레셀 M101, (주)후시미 세이야쿠소제) 4.0㎏을 이온 교환수 76.0㎏에 분산시킨 후, 습식 미립화 장치 스타버스트((주)스기노 머신제)에서 150㎫로 5회 분쇄 처리를 행하여, 표제의 5질량%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9: 셀룰로오스:산화티타늄=1:4w/w의 입자]
참고 합성예 4에서 얻어진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산액 12㎏, 산화티타늄(MKR-1, 사카이 가가쿠 고교(주)제) 2.4㎏ 및 이온 교환수 5.6㎏을 혼합하여 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분산액을, RJ-10노즐(오카와라 카코키(주)제)을 장착한 RL-5형(오카와라 카코키(주)제) 스프레이 드라이어에 의해, 원액 처리량 9.6㎏/h, 분무 압력 0.3㎫, 입구 온도 250℃, 출구 온도 96℃, 사이클론 차압 1.7㎪로, 15.29㎏ 분무 건조하여, 표제 입자로서 1.0㎏의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10: 셀룰로오스:황산화철=1:4w/w의 입자]
참고 합성예 5에서 얻어진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산액 12㎏, 황산화철(LL-100HP, 티탄 고교(주)제) 2.4㎏ 및 이온 교환수 10.6㎏을 혼합하여 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분산액을, RJ-10노즐(오카와라 카코키(주)제)을 장착한 RL-5형(오카와라 카코키(주)제) 스프레이 드라이어에 의해, 원액 처리량 8.7㎏/h, 분무 압력 0.3㎫, 입구 온도 250℃, 출구 온도 96℃, 사이클론 차압 1.7㎪로, 5.35㎏ 분무 건조하여, 표제 입자로서 0.49㎏의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11: 셀룰로오스:황산화철=1:4w/w의 입자]
참고 합성예 5에서 얻어진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산액 12㎏, 황산화철(LL-100HP, 티탄 고교(주)제) 2.4㎏ 및 이온 교환수 10.6㎏을 혼합하여 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분산액을, RJ-10노즐(오카와라 카코키(주)제)을 장착한 RL-5형(오카와라 카코키(주)제) 스프레이 드라이어에 의해, 원액 처리량 8.7㎏/h, 분무 압력 0.2㎫, 입구 온도 250℃, 출구 온도 96℃, 사이클론 차압 1.7㎪로, 11.39㎏ 분무 건조하여, 표제 입자로서 1.17㎏의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12: 셀룰로오스:황산화철=1:4w/w의 입자]
참고 합성예 6에서 얻어진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산액 10.4㎏, 황산화철(LL-100HP, 티탄 고교(주)제) 2.08㎏ 및 이온 교환수 7.52㎏을 혼합하여 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분산액을, RJ-10노즐(오카와라 카코키(주)제)을 장착한 RL-5형(오카와라 카코키(주)제) 스프레이 드라이어에 의해, 원액 처리량 9.6㎏/h, 분무 압력 0.2㎫, 입구 온도 250℃, 출구 온도 102℃, 사이클론 차압 1.7㎪로, 19.72㎏ 분무 건조하여, 표제 입자로서 2.15㎏의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13: 셀룰로오스:적산화철=1:4w/w의 입자]
참고 합성예 6에서 얻어진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산액 13.6㎏, 적산화철(C33-8001, DIC(주)제) 2.72㎏ 및 이온 교환수 5.94㎏을 혼합하여 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분산액을, RJ-10노즐(오카와라 카코키(주)제)을 장착한 RL-5형(오카와라 카코키(주)제) 스프레이 드라이어에 의해, 원액 처리량 9.5㎏/h, 분무 압력 0.1㎫, 입구 온도 250℃, 출구 온도 101℃, 사이클론 차압 1.7㎪로, 12.64㎏ 분무 건조하여, 표제 입자로서 1.5㎏의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14: 셀룰로오스:적산화철=1:4w/w의 입자]
참고 합성예 6에서 얻어진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산액 12㎏, 적산화철(R-516HP, 티탄 고교(주)제) 2.4㎏ 및 이온 교환수 10.6㎏을 혼합하여 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분산액을, RJ-10노즐(오카와라 카코키(주)제)을 장착한 RL-5형(오카와라 카코키(주)제) 스프레이 드라이어에 의해, 원액 처리량 9.5㎏/h, 분무 압력 0.2㎫, 입구 온도 250℃, 출구 온도 99℃, 사이클론 차압 1.7㎪로, 8.74㎏ 분무 건조하여, 표제 입자로서 0.91㎏의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15: 셀룰로오스:흑산화철=1:4w/w의 입자]
참고 합성예 6에서 얻어진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산액 13.6㎏, 흑산화철(BL-100HP, 티탄 고교(주)제) 2.72㎏ 및 이온 교환수 3.68㎏을 혼합하여 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분산액을, RJ-10노즐(오카와라 카코키(주)제)을 장착한 RL-5형(오카와라 카코키(주)제) 스프레이 드라이어에 의해, 원액 처리량 9.7㎏/h, 분무 압력 0.2㎫, 입구 온도 250℃, 출구 온도 97℃, 사이클론 차압 1.7㎪로, 19.88㎏ 분무 건조하여, 표제 입자로서 3.02㎏의 분말을 얻었다.
[참고 합성예 7: 20질량% 미결정 셀룰로오스/황산바륨 분산액]
미결정 셀룰로오스(콤프레셀 M101, (주)후시미 세이야쿠소제) 0.6㎏, 황산바륨(판상 황산바륨 H, 사카이 가가쿠 고교(주)제) 2.4㎏을, 이온 교환수 12㎏에 분산시킨 후, 습식 미립화 장치 스타버스트((주)스기노 머신제)에서 150㎫로 4회 분쇄 처리를 행하여, 표제의 20질량% 미결정 셀룰로오스/황산바륨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16: 셀룰로오스:황산바륨=1:4w/w의 입자]
참고 합성예 7에서 얻어진 미결정 셀룰로오스/황산바륨 분산액을, RJ-5 노즐(오카와라 카코키(주)제)을 장착한 CL-8형(오카와라 카코키(주)제) 스프레이 드라이어에 의해, 원액 처리량 2.0㎏/h, 분무 압력 0.2㎫, 입구 온도 170℃, 출구 온도 93℃, 사이클론 차압 0.5㎪로, 13분간 분무 건조하여, 표제 입자로서 60g의 분말을 얻었다.
[평가예 1: 입자의 형태 관찰]
실시예 1 내지 7, 9 내지 15에서 얻어진 입자를 각각 카본 테이프에 첩부하고, 주사형 전자 현미경 Miniscope(등록 상표) TM3000((주)히타치 하이테크놀러지즈제)을 사용하여 형태 관찰을 실시했다. 입자의 형태 관찰 결과를, 각각 도 1의 (a) 내지 (n)에 나타냈다. 또한 실시예 8, 9, 12 내지 16에서 얻어진 입자를 각각 카본 테이프에 첩부하고, 전계 방출형 주사 전자 현미경 JSM-7400F(니혼덴시(주)제)를 사용하여, 가속 전압 0.7㎸ 또는 1.0㎸, 전류량 10μV로, 형태 관찰을 실시했다. 입자의 형태 관찰 결과를, 각각 도 1의 (o) 내지 (u)에 나타냈다.
[평가예 2: 입자의 입경 평가]
산란식 입자경 분포 측정 장치 LA-960((주)호리바 세이사쿠쇼제)을 사용하여, 순환 속도를 「3」, 교반 속도를 「2」로 설정하고, 샘플 용액을 순환시킨 상태에서, 반도체 레이저(650㎚) 및 발광 다이오드(405㎚)의 투과율이 90.0% 이하로 되도록 실시예 1 내지 16에서 얻어진 각 입자의 샘플 용액의 농도를 조정했다. 얻어진 샘플 용액에, 초음파 강도 「3」으로 초음파를 1분간 조사한 후, 입경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를 차례로 도 2의 (a) 내지 (p)에 나타냈다.
[평가예 3: 입자의 단면 및 공극률의 산출 방법]
실리콘 웨이퍼 위에 은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실시예 3 내지 7, 9, 12 내지 15에서 얻어진 각 입자를 뿌렸다. 이어서, 여분의 샘플을 에어 블로우로 제거한 후, 이온 스퍼터 MC1000((주)히타치제)을 사용하여 15㎃로 100초간 백금을 증착하여, 샘플을 제작했다. 집속 이온빔-주사형 전자 현미경(FIB-SEM) Helios NanoLab G3(Thermo Fisher Scientific제)을 사용하여, 가속 전압 1㎸, 전류값 0.1㎁로, 이 샘플의 단면을 제작하고, 관찰을 행하였다. 관찰로부터 얻어진 반사 전자상을 Avizo 9.5 software(Thermo Fisher Scientific제)를 사용하여 해석하고, 하기의 식에 따라 공극률을 산출했다. 또한, 시험은 3회 실시했다.
Figure pct00002
(식 중, 공극 면적은, 입자 단면상에 있어서의 공극 부분의 면적의 총합을 나타내고, 단면적은, 입자 단면상에 있어서의 단면 전체의 면적을 나타낸다.)
실시예 3 내지 7, 9, 12 내지 15에서 얻어진 각 입자의 단면 관찰상을, 도 3의 (a) 내지 도 12의 (a)에, 공극률의 산출에 사용한 입자 단면 전체를 하이라이트한 상과 그 면적(단면적)을 도 3의 (b) 내지 도 12의 (b)에, 입자 단면의 공극 부분을 하이라이트한 상과 그 면적(공극 면적)을 도 3의 (c) 내지 도 12의 (c)에 나타냈다. 입자의 공극률의 평균값을 표 1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3
[평가예 4: 반사광 분포의 측정]
마이크로슬라이드 유리 S1111(마츠나미 가라스 고교(주)제) 위에 나이스택(등록 상표) NW-10S(니치반(주)제)를 사용하여, 흑색의 도화지 PI-N86D((주)마루아이제)를 첩부했다. 이어서, 상술한 흑색 도화지 위에 나이스택(등록 상표) NW-10S를 첩부하고, 그 위에 샘플 분말을 밀어붙인 후, 여분의 분말을 압력 0.2㎫로 조정한 에어 암에 의해 제거했다. 반사광 분포의 측정은, 변각광도계 GP-5((주)무라카미 시키사이 기쥬츠 겐큐죠제)에 의해 실시했다. 측정 입사광은 -45도에서 실시했다. 입사광 -45도 각도에 있어서의 광산란율은, 하기 식(1)에 따라 산출했다(국제 공개 제2010/092890호 참조).
Figure pct00004
샘플은, 실시예 1 내지 7에서 얻어진 입자를 사용했다. 또한, 비교예 1로서, 황산화철(LL-100HP, 티탄 고교(주)제); 비교예 2로서,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말(콤프레셀 M101, (주)후시미 세이야쿠소제)과 황산화철(LL-100HP, 티탄 고교(주)제)을 1:4(w/w)의 혼합비로 교반 혼합한 분말; 비교예 3으로서, 적산화철(R-516HP, 티탄 고교(주)제); 및 비교예 4로서,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말(콤프레셀 M101, (주)후시미 세이야쿠소제)과 적산화철(R-516HP, 티탄 고교(주)제)을 1:4(w/w)의 혼합비로 교반 혼합한 분말을 사용했다. 입사광 -45도에 있어서의 샘플의 광산란율을 표 2에 기재했다.
Figure pct00005
[평가예 5: 입자의 색감 평가]
약봉지 위에 분체 시료용 알루미늄 링(28φ)((주)리가쿠제)을 세트하고, 링 내에 평가 입자를 1.1g 칭량했다. 이어서, 탁상형 테스트 프레스 SA-302-I-S(테스터 산교(주)제)를 사용하여, 30㎏f/㎠의 압력으로 샘플을 칭량한 알루미늄 링을 1분간 압축하여, 펠릿상의 측정 샘플을 제작했다. 그 샘플 표면을 포터블 비색계 WR10(심천 웨이브 옵트 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주)제)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평가 입자로서, 실시예 3 및 6에서 얻어진 입자를 사용했다. 또한, 비교예로서, 평가예 4와 마찬가지의 비교예 1 내지 4의 분말을 사용했다. 각 샘플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6
[평가예 6: 입자의 색감·은폐력 평가]
유리 기판(마이크로슬라이드 유리 S1111, 마츠나미 가라스 고교(주)제 또는 기판 두께 1㎜, 도신 리코(주)제) 위에 광학용 투명 점착 시트 LUCIACS(등록 상표) CS9862UA(닛토 덴코(주)제)를 첩부했다. 이어서, 상술한 광학용 투명 점착 시트 LUCIACS(등록 상표) CS9862UA(닛토 덴코(주)제) 위에 평가 입자를 솔로 균일하게 도포한 후, 소정의 도포량(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에 관해서는 0.14㎎/㎠, 실시예 6, 비교예 3, 비교예 4에 관해서는 0.0875㎎/㎠, 실시예 8에 관해서는, 0.2083㎎/㎠, 비교예 5에 관해서는, 0.0694㎎/㎠)으로 되도록 여분의 분말을 솔로 제거했다. 색감·은폐력은, 백색 카피 용지(A4 PPC PAPER High white) 혹은 흑색 도화지 PI-N86D((주)마루아이제) 위에 상술한 샘플을 도포한 슬라이드 글래스를 정치하고, 포터블 비색계 WR10(심천 웨이브 옵트 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주)제)을 사용하여 측정을 실시했다. 각 샘플의 명도(L*), 붉은 빛(a*), 노란 빛(b*)의 측정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또한, 백색 카피 용지(A4 PPC PAPER High white)와 흑색 도화지 PI-N86D((주)마루아이제) 위에서의 L*의 값의 차를 은폐력으로 하여 표 4에 나타냈다. 평가 입자로서, 실시예 3, 6 및 8에서 얻어진 입자를 사용했다. 또한, 비교예로서, 평가예 4와 마찬가지의 비교예 1 내지 4의 분말을 사용하고, 또한 비교예 5로서, 질화붕소(RonaFlair(등록 상표) Boroneige SF-3, 메르크 퍼포먼스 머티리얼즈(주)제)를 사용했다.
Figure pct00007
[평가예 7: 탈크 중에서의 입자의 색감·은폐력 평가]
용량 10mL의 스크류 캡 병(니치덴 리카 가라스(주)제)에 탈크(JA-68R, 아사다 제분(주)제) 950㎎과, 평가예 4와 마찬가지의 비교예 1 내지 2의 분말 50㎎ 및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입자 50㎎을 각각 측정하여 취하고, 진탕 교반함으로써 각 입자를 5% 함유하는 탈크 분말 샘플을 조제했다.
마이크로슬라이드 유리 S1111(마츠나미 가라스 고교(주)제) 위에 광학용 투명 점착 시트 LUCIACS(등록 상표) CS9862UA(닛토 덴코(주)제)를 첩부했다. 이어서, 상술한 광학용 투명 점착 시트 LUCIACS(등록 상표) CS9862UA(닛토 덴코(주)제) 위에 샘플 분말을 솔로 균일하게 도포한 후, 도포량이 0.31㎎/㎠로 되도록 여분의 분말을 솔로 제거했다. 색감·은폐력은, 백색 카피 용지(A4 PPC PAPER High white) 혹은 흑색 도화지 PI-N86D((주)마루아이제) 위에 상술한 샘플을 도포한 슬라이드 글래스를 정치하고, 포터블 비색계 WR10(심천 웨이브 옵트 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주)제)을 사용하여 측정을 실시했다. 각 샘플의 L*, a*, b*의 측정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또한, 백색 카피 용지 위에서의 L*의 값과 흑색 도화지 위에서의 L*의 값의 차를 은폐력으로 하여 표 5에 나타냈다. 또한, 대조 화합물로서 탈크만의 L*, a*, b*, 은폐력도 측정했다.
Figure pct00008
[평가예 8: 입자의 부착성 평가]
10㎝×10㎝의 크기로 커트한 인공피혁 사프라레(등록 상표)(이데미츠 테크노 파인(주)제) 위에, 평가 입자 10㎎을 손가락으로 균일하게 도포했다(도포량: 0.1㎎/㎠). 이어서, 샘플 분말을 도포한 인공피혁 사프라레(등록 상표)(이데미츠 테크노 파인(주)제) 위에, 10㎝×10㎝의 크기로 커트한 PPC(카피) 라벨 A4판 노컷 타입(에이원 가부시키가이샤)을 200g의 하중을 균일하게 걸쳐서 접착시켰다. 그 후, 인공피혁 사프라레(등록 상표)(이데미츠 테크노 파인(주)제) 위로부터 박리한 PPC(카피) 라벨 A4판 노컷 타입(에이원 가부시키가이샤)에 부착된 분말의 중량(박리량)을 측정했다. 평가 입자로서, 실시예 3, 6 및 8에서 얻어진 입자를 사용했다. 또한, 비교예로서, 평가예 4와 마찬가지의 비교예 2 및 4의 분말을 사용하고, 또한 평가예 6과 마찬가지의 비교예 5의 분말을 사용했다. 각 샘플의 평가 결과를 표 6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9
[평가예 9: 광택도 평가]
유리 기판(기판 두께 1㎜, 도신 리코(주)제) 위에 광학용 투명 점착 시트 LUCIACS(등록 상표) CS9862UA(6㎝×6㎝, 닛토 덴코(주)제)를 첩부했다. 이어서, 상술한 광학용 투명 점착 시트 LUCIACS(등록 상표) CS9862UA(닛토 덴코(주)제) 위에 샘플 분말을 솔로 균일하게 도포했다. 또한 평가 입자로서, 실시예 8에서 얻어진 입자를 사용했다. 또한, 비교예로서, 평가예 7과 마찬가지의 비교예 5의 분말을 사용했다. 도포량이 실시예 8에 관해서는 0.2083㎎/㎠, 비교예 5에 관해서는 0.0694㎎/㎠로 되도록 여분의 분말을 솔로 제거했다. 백색 카피 용지(A4 PPC PAPER High white) 혹은 흑색 도화지 PI-N86D((주)마루아이제) 위에 상술한 샘플을 도포한 유리 기판을 정치하고, 광택도를 HORIBA GLOSS CHECKER IG-320을 사용하여 3회 측정을 실시하고, 하기 표 7에 평균값을 나타냈다.
Figure pct00010
[평가예 10: 강열 잔분 시험]
실시예 9, 12 내지 15에서 얻어진 각 입자를 사용하여, 열중량 측정-시차 열분석(TG-DTA)을 실시했다. 열분석 장치 Rigaku Thermoplus EVO TG8120((주)리가쿠제)을 사용하여, 시료 용기로서 알루미늄제 팬, 표준 물질로서 산화알루미늄 약 5㎎을 사용하여, 공기 분위기 하에서, 시료량 5㎎을 승온 속도 10.0℃/min으로 승온하고, 중량 변화와 열량 변화를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차례로 도 13의 (a) 내지 (e)에 나타냈다. 도면 중, 100℃ 미만의 중량 감소는 분체에 포함되는 수분에 기인한 것이고, 300℃ 전후의 중량 감소는 셀룰로오스의 열분해에 의한 것이다. 또한, 비교예 6으로서, 산화티타늄(MKR-1, 사카이 가가쿠 고교(주)); 비교예 7로서, 황산화철(LL-100HP, 티탄 고교(주)); 비교예 8로서, 적산화철(C33-8001, DIC(주)); 비교예 9로서, 적산화철(R-516HP, 티탄 고교(주)); 및 비교예 10으로서, 흑산화철(BL-100HP, 티탄 고교(주))을 사용하여, 그 TG-DTA의 측정 결과를, 각각 도 13의 (f) 내지 (j)에 나타낸다.
[평가예 11: 수분량 평가]
실시예 9 내지 14에서 얻어진 입자를 각 10g 칭량하고, 가열 건조식 수분계 ML-50(A&D제)에 의해, 가열 온도 130℃, ACCURACY:HI의 조건에서 수분량을 측정했다.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1
[평가예 12: 입자 경도의 측정]
미소 압축 시험기 MCT-510((주)시마즈 세이사쿠쇼제)을 사용하여, 실시예 9, 12 내지 15에서 얻어진 입자의 경도를 측정했다. 시험력 4.9mN, 부하 속도 0.446mN/sec, 상부 가압 압자 50㎛ 혹은 20㎛의 사양에서 측정했다. 하부 가압판 위에 시료를 극미량 살포하고, 1입자씩 압축 시험했다. 입자 경도는, 입자경이 10% 변형되었을 때의 강도 C(x)로서, 하기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시험은 5회 실시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했다. 입자경은 장치 부속의 측장 키트로 측정했다.
Figure pct00012
(식 중, P는 입자경의 10% 변형 시의 시험력(N), π는 원주율, d는 입자경(㎜), C(x)는 10% 강도(㎫)를 나타낸다.)
각 샘플의 평균 입자경, 10% 변형 시의 시험력 및 10% 강도를 하기 표 9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3
[평가예 13: 입자의 세공 분포 측정]
세공 분포 측정 장치 오토포어 V9620(시마즈 세이사쿠쇼-마이크로메리틱스제)을 사용하여, 실시예 9, 12, 13, 14, 15에서 얻어진 입자의 세공 분포를 측정했다. 약 0.17g의 시료를 표준 5cc 분체용 셀(스템 용적 0.4cc)에 채용하고, 초기압 약 7㎪(약 1psia, 세공 직경 약 180㎛ 상당)의 조건에서 측정했다. 수은 파라미터는, 장치 디폴트의 수은 접촉각 130°, 수은 표면 장력 485dyne/㎝로 설정하고, 측정했다.
각 샘플의 세공 체적, 세공 표면적, 메디안 직경, 모드 직경, 기공률을 하기 표 10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4
[평가예 14: 반사광 분포의 측정]
실시예 9, 12 내지 14 및 16에서 얻어진 입자와, 비교예로서, 평가예 10과 마찬가지의 비교예 6 내지 9의 분말과, 비교예 11로서, 황산바륨(판상 황산바륨H, 사카이 가가쿠 고교(주))을 샘플로 하고, 평가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반사광 분포를 측정하여, 광산란율을 산출했다. 입사광 -45도에 있어서의 샘플의 광산란율을 하기 표 11에 기재했다.
Figure pct00015
[평가예 15: 흡유량 평가]
JIS 규격(K 5101-13-1:2004(ISO 787-5:1980))을 참고로 흡유량 평가를 행하였다. 칭량 접시로 칭량한 평가 입자 분말에 대하여, 아마인유(서밋제유(주)제)를 스포이트로 서서히 적하하고, 때마다 주걱으로 혼련하는 조작을 반복하고, 아마인유 및 평가 입자의 덩어리가 생길 때까지 적하를 계속했다. 분말이 매끄러운 페이스트상으로 된 곳을 종점으로 했다. 이 페이스트는, 갈라지거나, 너덜너덜해지거나 하지 않고 확장될 수 있고, 또한 측정판에 가볍게 부착될 정도의 것으로 한다. 종점에 있어서의 평가 입자 분말 중량(g)에 대한 아마인유 적하량(g)으로부터, 흡유량(g/100g)을 산출했다. 평가 입자로서, 실시예 9, 10, 11, 13, 14 및 15에서 얻어진 입자를 사용했다. 또한, 비교예로서, 평가예 10과 마찬가지의 비교예 6 내지 10의 분말을 준비했다.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16
[평가예 16: 평균 마찰 계수와 평균 마찰 계수의 변동의 평가]
각 샘플 15㎎을 칭량하고, 5㎝×10㎝의 인공피혁 사프라레(등록 상표)(이데미츠 테크노 파인(주)) 위에 샘플 분말을 균일하게 도포 후, 한 변이 10㎜인 정사각형 실리콘 소재 센서를 구비한 마찰감 테스터 KES-SE(가토테크(주)제)에 의해 마찰 계수와 마찰 계수의 변동을 평가했다. 샘플은, 실시예 9 내지 15에서 얻어진 입자를 사용했다. 또한, 비교예로서, 평가예 10과 마찬가지의 비교예 6 내지 10의 분말을 준비했다. 또한, 센서는 한 변이 10㎜인 정사각형 실리콘 와이어를 사용하여, 측정 거리를 20㎜, 정하중을 25gf, 측정 속도를 1.0㎜/sec, 접촉면 폭을 10㎜로 설정했다. 결과를 하기 표 13에 나타냈다. MIU는 평균 마찰 계수를 가리키고, 사람의 손가락으로 물체의 표면을 만질 때 느끼는, 미끄러지기 쉬움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MIU의 수치가 작을수록 미끄러지기 쉽고, 수치가 클수록 미끄러지기 어렵다. MMD는 평균 마찰 계수의 변동을 가리키고, 사람의 손가락으로 물체의 표면을 만질 때 느끼는, 매끄러움이나 까칠까칠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MMD의 수치가 작을수록 매끄럽고, 수치가 클수록 까칠까칠함을 느낀다.
Figure pct00017
[평가예 17: 입자의 색감·은폐력 평가]
마이크로슬라이드 유리 S1111(마츠나미 가라스 고교(주)제) 위에, 2㎝×4㎝의 크기로 커트하여 광학용 투명 점착 시트 LUCIACS(등록 상표) CS9862UA(닛토 덴코(주)제)를 첩부했다. 이어서, 상술한 광학용 투명 점착 시트 LUCIACS(등록 상표) CS9862UA(닛토 덴코(주)제) 위에 평가 입자를 솔로 균일하게 도포한 후, 여분의 분말을 솔로 제거했다. 색감·은폐력은, 은폐율 시험지 세로 흑백 A타입(TP 기켄(주)제)의 백지 위 및 흑지 위에 상술한 샘플을 도포한 슬라이드 글래스를 정치하고, 포터블 비색계 WR10(심천 웨이브 옵트 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주)제)을 사용하여 측정을 실시했다. 각 샘플의 명도(L*), 붉은 빛(a*), 노란 빛(b*)의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4에 나타냈다. 또한, 은폐율 시험지 세로 흑백 A타입(TP 기켄(주)제)의 백지 위 및 흑지 위에서의 L*값차를 은폐력으로 하여 동 표 14에 나타냈다(값이 작을수록 은폐력에 우수하다). 평가 입자로서, 실시예 9, 12 내지 16에서 얻어진 입자를 사용했다. 또한, 비교예로서, 평가예 10과 마찬가지의 비교예 6 내지 10의 분말과, 평가예 14와 마찬가지의 비교예 11의 분말을 준비했다.
Figure pct00018
[평가예 18: 색감의 각도 의존성 평가]
변각 분광 측색계 GCMS―4형((주)무라카미 시키사이 기쥬츠 겐큐죠제)을 사용하여, 평가 입자를 첨가한 O/W 파운데이션 샘플의 색감의 각도 의존성 평가를 행하였다. 광원에는 D65를 사용하여, 입사각 0°, 수광각 10° 내지 80°, 피치각 5°에서 측정을 행하였다.
계측 결과는, 색채를 정량화하는 L*a*b* 표색계(JIS Z8781-4)로 정량화를 행하였다. L*는 명도, a*는 붉은 빛, b*는 노란 빛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L*a*b* 색 공간이 다른 2점간의 색감의 차는, 색차 ΔEab로서, 다른 2점간의 L*, a*, b*의 차를 제곱한 값을 더한 값의 평방근으로부터 구해진다. 금회는, 수광각 10°의 색감을 기준으로 하여, 각 수광각에 있어서 수광각 10°에 있어서의 색감과의 색차 ΔEab를 산출하고, 그 평균을 취함으로써, 색감의 각도 의존성을 평가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18-97320을 참고로 했다).
은폐율 시험지 세로 흑백 A타입(TP 기켄(주)제)의 흑지 위에, 4면 애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평가 입자를 첨가한 O/W 파운데이션 샘플의 도막(두께 100㎛)을 작성하고, 실온 건조시킨 것을 아크릴판 위에 양면 테이프로 접착함으로써 평가용 샘플을 제작했다.
평가에 사용한 O/W 파운데이션 샘플 처방 조성은 하기 표 15와 같다. A, B란의 원료를 각각 약 80℃로 가열하고, 호모믹서로 7000rpm, 3분간 교반했다. 그 후, 프로펠러 교반기에 의해 300rpm으로 실온이 될 때까지 교반 냉각했다. 실온으로 돌아간 곳에서 C란의 원료를 첨가하고, 또한 10분간 교반을 계속했다. 이 처방 54.0g에 대하여, 평가 입자 6.0g을 첨가하고, 호모믹서로 5000rpm, 2분간 교반 혼합함으로써, O/W 파운데이션 샘플을 얻었다. 평가 입자로서, 실시예 9, 12, 13 및 14에서 얻어진 입자를 사용했다. 동일하게, 이 처방 55.2g에 대하여, 비교 입자 4.8g을 첨가하고, 호모믹서로 5000rpm, 2분간 교반 혼합함으로써, O/W 파운데이션 샘플을 얻었다. 비교예로서, 평가예 10과 마찬가지의 비교예 6 내지 9의 분말을 준비했다. 결과를 하기 표 16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평가예 19: 입자 중의 셀룰로오스 및 산화철의 분포 상태 확인]
실리콘 웨이퍼 위에 은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실시예 12에서 얻어진 입자를 뿌렸다. 이어서, 여분의 샘플을 에어 블로우에 의해 제거한 후, 이온 스퍼터 MC1000((주)히타치제)을 사용하여 15㎃로 100초간 백금을 증착하여, 샘플을 제작했다. 집속 이온빔-주사형 전자 현미경(FIB-SEM) Helios NanoLab G3(Thermo Fisher Scientific제)을 사용하여 이 샘플의 박편을 제작하고, 다기능 전자 현미경 JEM-F200(니혼덴시(주)제)으로, 가속 전압 200㎸로 관찰을 행하였다. 얻어진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 화상을 도 14의 (a) 내지 (c)에 나타낸다. 또한, 에너지 분산형 X선 분석(TEM-EDX)에 의해, 단면 중의 탄소(C), 산소(O), 철(Fe)의 분포 및 측정 영역 중의 EDX 스펙트럼을 평가했다. 분석 영역 화상, 그리고 탄소(C), 산소(O) 및 철(Fe)의 분포 화상을 각각 도 15의 (a) 내지 (d)에, 얻어진 EDX 스펙트럼을 도 16에 나타낸다.
[처방예 1: O/W 파운데이션]
처방 조성은 하기 표 17과 같다. A, B란의 원료를 각각 약 80℃로 가열하고, 호모믹서로 7000rpm, 3분간 교반했다. 그 후, 프로펠러 교반기에서 300rpm으로 실온으로 될 때까지 교반 냉각했다. 실온으로 돌아간 곳에서 C란의 원료를 첨가하고, 또한 10분간 교반을 계속했다. 이 처방에 대하여, 실시예 9, 12, 14 및 15에서 얻어진 입자를 첨가하고, 호모믹서로 5000rpm, 2분간 교반 혼합함으로써, O/W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Figure pct00021
[처방예 2: 프레스토 파운데이션]
처방 조성은 하기 표 18과 같다. 샘플 밀(SK-M10형, 교리츠 리코(주)제)로, 30초간 A란의 원료를 교반 혼합했다. B란의 원료를 첨가하고, 약수저로 가볍게 혼합 후, 샘플 밀로 5초간, 3회 교반 혼합했다. 알루미늄 접시에 13g 분체를 칭량하고, 프레스기에서 7㎫로 성형을 행하여, 프레스토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Figure pct00022
[처방예 3: 유성 파운데이션]
처방 조성은 하기 표 19와 같다. 샘플 밀(SK-M10형, 교리츠 리코(주)제)로, 5초간, 3회 A란의 원료를 교반 혼합했다. B란의 원료를 85℃ 정도까지 가열함으로써 균일 용해시킨 후, A란의 원료로부터의 혼합물을 첨가하고, 약수저로 혼합했다. 혼합액을 호모 디스퍼에 의해, 2,500rpm으로 1분간 교반 혼합 후, 용기로 충전하고, 실온까지 냉각함으로써, 유성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Figure pct00023
본 발명의 다공성 안료 입자는, 응집이 억제되어, 기재에 대한 분산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색채의 칙칙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자는, 셀룰로오스를 포함하고, 그 표면에 주름 형상 또는 주름 형상의 요철 구조를 갖는(즉, 구멍 또는 공극이 적절하게 존재한다) 다공성 입자인 점에서, 부드럽고, 사용감이 우수하고,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화장품에 대한 첨가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입자는, 입사광이 균일하게 광산란한다는 우수한 광학 특성(광산란성)을 갖는 점에서, 디포커스 효과(소프트 포커스 효과라고도 한다)의 발현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화장품 분야로의 적용이 바람직하다.

Claims (14)

  1.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무기 안료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다공성 안료 입자.
  2. 제1항에 있어서, 공극률이 5 내지 50%의 범위에 있는, 입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입경이 0.1 내지 500㎛의 범위에 있는, 입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산란율이 50 내지 230%의 범위에 있는, 입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사광 분포의 측정에 있어서, 입사광에 대한 정반사 근방의 반사광의 강도의, 입사광 근방의 반사광의 강도에 대한 비가 0.5:1 내지 2:1의 범위에 있는, 입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셀룰로오스가 결정 셀룰로오스인, 입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기 안료가, 백색 안료, 착색 안료, 진주 광택 안료 및 기능성 안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입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기 안료가, 벵갈라, 황산화철, 흑산화철, 산화크롬, 군청, 감청, 망간자색,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 질화붕소 및 황산바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입자.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무기 안료에 대한 비(중량)가 1:1 내지 1:20의 범위인, 입자.
  10.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무기 안료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얻는 공정과, 얻어진 분산액을 분무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무기 안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공성 안료 입자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분산액이,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무기 안료의 물리적인 분쇄에 의해 얻어지는, 제조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분산액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무기 안료를 포함하는 고형분의 농도가 0.5 내지 50질량%인, 제조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무기 안료에 대한 비(중량)가 1:1 내지 1:20의 범위인, 제조 방법.
  14.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자, 혹은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227005862A 2019-07-31 2020-07-31 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안료 KR202200423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41622 2019-07-31
JPJP-P-2019-141622 2019-07-31
JP2020078374 2020-04-27
JPJP-P-2020-078374 2020-04-27
PCT/JP2020/029440 WO2021020560A1 (ja) 2019-07-31 2020-07-31 セルロースを含有する顔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388A true KR20220042388A (ko) 2022-04-05

Family

ID=7423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5862A KR20220042388A (ko) 2019-07-31 2020-07-31 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안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251393A1 (ko)
EP (1) EP4006110A4 (ko)
JP (1) JPWO2021020560A1 (ko)
KR (1) KR20220042388A (ko)
CN (1) CN114173752A (ko)
TW (1) TW202122065A (ko)
WO (1) WO20210205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2131358A1 (ko) * 2020-12-18 2022-06-23
US20220401333A1 (en) * 2021-06-15 2022-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function hair care composition
CN117442525B (zh) * 2023-12-22 2024-04-12 广东艾圣日用化学品有限公司 一种具有保湿功效的组合物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911B2 (ja) * 1975-12-12 1983-03-10 大日本塗料株式会社 スイケイカコウガンリヨウノセイゾウホウホウ
JPH0778177B2 (ja) * 1986-10-27 1995-08-23 ぺんてる株式会社 着色加工粉体
US6884508B2 (en) * 2000-04-18 2005-04-26 Timson Oy Pigment composit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5110782B2 (ja) * 2005-08-23 2012-12-26 大東化成工業株式会社 顔料内包セルロースパウダー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樹脂および塗料
WO2010092890A1 (ja) 2009-02-10 2010-08-19 綜研化学株式会社 被覆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216631A (ja) * 2012-04-11 2013-10-24 Mamoru Ono 化粧品用複合粉末
PT2868716T (pt) * 2013-11-04 2017-04-07 Omya Int Ag Processo de produção de uma suspensão de pigmento com alto teor de sólidos que compreende um dispersante à base de carboximetilcelulose
EP3275838A1 (en) * 2016-07-25 2018-01-31 Omya International AG Production of amorphous calcium carbonate
JP2018097320A (ja) 2016-12-16 2018-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構造体
JPWO2019151486A1 (ja) * 2018-02-01 2021-01-14 日産化学株式会社 機能性多糖粒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0560A1 (ja) 2021-02-04
JPWO2021020560A1 (ko) 2021-02-04
EP4006110A4 (en) 2022-11-02
US20220251393A1 (en) 2022-08-11
TW202122065A (zh) 2021-06-16
EP4006110A1 (en) 2022-06-01
CN114173752A (zh)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1487B2 (ja) 化粧料の製造方法、化粧料用ゲルの調製方法及び化粧料原料に配合される高分子増粘剤の使用量を軽減する方法
KR20200116478A (ko) 기능성 다당 입자
JP4931568B2 (ja) 表面処理粉体を含有する化粧料
JP5334720B2 (ja) 油性基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
JP2010070492A (ja) 化粧料
JP5214102B2 (ja) クレンジング用の化粧料
WO2021020560A1 (ja) セルロースを含有する顔料
JP7460962B2 (ja) 被膜形成組成物
WO2020095425A1 (ja) 化粧料
JP2013067594A (ja) モモ樹脂を含有する化粧料
JP2018087148A (ja) γ−オリザノール含有化粧料
JP2010265189A (ja) 抗菌性化粧料
JP5726481B2 (ja) ヒドロキシニコチン酸又はその誘導体を含有する化粧料又は皮膚外用剤
JP2019202963A (ja) トラネキサム酸含有化粧料又は皮膚外用剤
JP2019214537A (ja) ホスファチジルイノシトール含有化粧料又は皮膚外用剤
WO2021132653A1 (ja) 汚染防止材料
JP2017186256A (ja) 保湿剤用ポリマー
KR102294367B1 (ko)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스틱상 기재의 경도조정방법
JP2014210711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JP2013173683A (ja) 乳酸、又は、乳酸及びヒドロキシステアリン酸の低重合物からなる化粧料用組成物
JP2017186257A (ja) 保湿剤用架橋重合体
JP7345325B2 (ja) 硬質ラノリン脂肪酸のエステル化物を含有する化粧料
JP2023084306A (ja) セルロースを含有する複合顔料の製造法
WO2016031079A1 (ja) フェニルエチルアミン誘導体又はシネフリン含有アデノシン三リン酸フォスファターゼ発現誘導剤
KR20230098211A (ko) 지질펩티드와 자당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