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7102A -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7102A
KR20120067102A KR1020100128537A KR20100128537A KR20120067102A KR 20120067102 A KR20120067102 A KR 20120067102A KR 1020100128537 A KR1020100128537 A KR 1020100128537A KR 20100128537 A KR20100128537 A KR 20100128537A KR 20120067102 A KR20120067102 A KR 20120067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lay member
moving
load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3210B1 (ko
Inventor
황진섭
이유민
장재운
김정연
이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00128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210B1/ko
Publication of KR20120067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구멍 형성 장치는, 미리 결정된 규격을 가진 표시부재가 수납될 수 있는 테이블 유닛; 테이블 유닛에 수납된 표시부재의 평면 좌표를 검사할 수 있는 검사 유닛; 및 검사 유닛에 의해 확인된 표시부재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부재의 미리 결정된 위치로 이동되어 표시부재에 구멍을 형성할 수 있는 가공 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hole of display member fo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베젤 타입(bezel-free type)/슬림형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사용되는 편광판과 같은 표시부재에 웹카메라 장착용 구멍을 형성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형 퍼스널컴퓨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은 소위 휴대용 정보단말기와 같은 몇몇 디스플레이 기기들에는 사용자(조작자)의 화상 혹은 다른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하여 그 디스플레이 기기의 표시 화면에 그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비디오 카메라(소위, '웹캠')가 장착된다. 또한, 노트북 컴퓨터에 있어서, 비디오 카메라는 화면 표시부 주위의 테두리 부분(예, 베젤(bezel))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최근 노트북 컴퓨터들의 기술 개발 동향에 있어서, 기기 자체의 슬림화, 또는 동일한 사이즈의 기기에서 더욱 큰 화면을 제공하는 경향이 많다. 이를 위해, 소위, 화면 표시부 주위에 테두리(베젤)가 없는 소위, '무-베젤 타입(Bezel-free type)' 노트북 컴퓨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러한 무-베젤 타입 노트북 컴퓨터에도 웹캠을 장착해야 하는 요구가 존재하며, 이를 위해서는 노트북 컴퓨터의 화면표시부에 구멍을 천공한 후 그 천공된 부분에 웹캠의 촬상부(imager)를 부착해야 한다.
화면표시부를 구성하는 요소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편광판이며, 무-베젤 타입 노트북 컴퓨터에 사용될 수 있는 편광판은 널리 알려진 편광판 제조 공정 중 웹캠 설치용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고 그것도 자동화될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과제들을 가진다.
첫째, 무-베젤 타입(bezel-free type)/슬림형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사용되는 편광판과 같은 표시부재에 웹카메라 장착용 구멍을 형성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둘째, 종래의 편광판 제조 공정에 호환될 수 있고, 자동화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는, 미리 결정된 규격을 가진 표시부재가 수납될 수 있는 테이블 유닛; 상기 테이블 유닛에 수납된 상기 표시부재의 평면 좌표를 검사할 수 있는 검사 유닛; 및 상기 검사 유닛에 의해 확인된 상기 표시부재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재의 미리 결정된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표시부재에 구멍을 형성할 수 있는 가공 유닛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테이블 유닛은: 구동원에 의해 회전 가능한 원형의 회전 테이블; 및 상기 표시부재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테이블 상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레이들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테이블 유닛은 상기 회전 테이블 위에 대략 90도 각도로 배치된 4개 트레이들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상기 트레이는 상기 표시부재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이동될 수 있는 지그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검사 유닛은: 검사 프레임; 및 상기 표시부재의 위치를 촬영할 수 있으며 상기 검사 프레임에 설치된 한 쌍의 카메라들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각의 카메라는 CCD 카메라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카메라들은 상기 테이블 유닛의 중앙 방향 측으로 배치된 상기 표시부재의 한 쌍의 모서리들을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공 유닛은: 수평 이동 가능한 X-Y 스테이지; 상기 X-Y 스테이지 상에 고정된 레이저 노즐; 및 상기 레이저 노즐로 레이저 광을 조사할 수 있는 레이저 소스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공 유닛은 상기 표시부재의 구멍 가공에 의한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레이저 노즐 주위에 설치된 흡인부재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테이블 유닛은: 상기 표시부재를 로딩할 수 있는 로딩부; 상기 가공 유닛에 의해 가공된 상기 표시부재를 언로딩할 수 있도록 상기 로딩부와 대향되게 위치되는 언로딩부; 상기 로딩부와 언로딩부 사이에서 상기 가공 유닛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가공부; 및 상기 가공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된 클리닝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는 상기 클리닝부 근처에 마련된 클리너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는, 다수의 표시부재들이 적재될 수 있는 로더(loader) 유닛; 상기 로더 유닛에 적재된 표시부재를 상기 테이블 유닛의 로딩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1 이동 유닛; 가공된 표시부재들이 적재될 수 있는 언로더(unloader) 유닛: 및 상기 테이블 유닛의 언로딩부에 위치된 상기 가공된 표시부재를 상기 언로더 유닛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2 이동 유닛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이동 유닛은: 상기 로더 유닛 및 상기 로딩부에 각각 평행하게 설치된 제1 LM 가이드; 상기 제1 LM 가이드 위에서 왕복 이동 가능한 제1 이동 블록; 상기 제1 이동 블록에 설치된 제1 이동 실린더; 및 상기 로더 유닛에 적재된 상기 표시부재를 픽업하여 상기 로딩부에서 배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이동 실린더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픽업/플레이서(pickup/placer)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이동 유닛은: 상기 언로딩부 및 상기 언로더 유닛에 각각 평행하게 설치된 제2 LM 가이드; 상기 제2 LM 가이드 위에서 왕복 이동 가능한 제2 이동 블록; 상기 제2 이동 블록에 설치된 제2 이동 실린더; 및 상기 언로딩부에 위치된 상기 가공된 표시부재를 픽업하여 상기 언로더 유닛에 적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이동 실린더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픽업/플레이서(pickup/placer)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더 유닛은: 상기 표시부재들이 적재될 수 있는 로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로더 프레임; 상기 로더 플레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로더 프레임에 설치된 로더 구동원; 및 상기 로더 프레임에 설치된 센서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언로더 유닛은, 상기 가공된 표시부재들이 적재될 수 있는 언로더 플레이트; 및 상기 언로더 플레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는 언로더 구동원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더 유닛과 상기 언로더 유닛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동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부재는 편광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편광판은 노트북 컴퓨터용 편광판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방법은, (a) 미리 결정된 규격을 가진 표시부재를 테이블 유닛에 수납하는 단계; (b) 상기 테이블 유닛에 수납된 상기 표시부재의 평면 좌표를 검사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 의해 검사된 좌표에 대응하도록 상기 표시부재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가공 유닛을 이동시키는 단계; (d) 상기 가공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재에 구멍을 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 가능한 원형의 회전 테이블 위에 대략 90도 각도로 배치된 4개의 트레이들 중 로딩부에 위치된 트레이에 상기 표시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공 유닛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가공부 쪽으로 상기 회전 테이블을 90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트레이는 상기 표시부재의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상기 트레이에 설치된 지그를 미리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검사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재의 모서리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는 CCD 카메라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X-Y 스테이지에 설치된 가공 유닛을 소정 위치로 수평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공 유닛은: 상기 X-Y 스테이지 상에 고정된 레이저 노즐; 및 상기 레이저 노즐로 레이저 광을 조사할 수 있는 레이저 소스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는 상기 표시부재의 구멍 가공에 의한 부산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d) 단계 후, 상기 테이블 유닛의 언로딩부로 가공된 상기 표시부재를 이동시켜 언로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언로딩부에서 상기 표시부재를 언로딩 한 상기 테이블 유닛을 클리닝부에서 클리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a) 단계 전에, 다수의 표시부재들이 적재된 로더(loader) 유닛을 상기 테이블 유닛의 로딩부 근처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테이블 유닛의 언로딩부 근처에 가공된 표시부재를 수납할 수 있는 언로더 유닛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로더 유닛에 적재된 표시부재를 제1 이동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테이블 유닛의 상기 로딩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테이블 유닛의 상기 언로딩부에 위치된 상기 가공된 표시부재를 제2 이동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언로더 유닛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부재는 편광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편광판은 노트북 컴퓨터용 편광판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구멍 형성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천공된 구멍이 마련된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를 청구한다. 여기서, 상기 구멍은 웹카메라를 장착하기 위한 구멍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턴테이블 등과 같은 테이블 유닛으로 편광판 등과 같은 표시부재를 연속으로 공급하고, 회전 되는 테이블 유닛의 소정 위치에 놓여진 표시부재의 위치를 CCD 카메라와 같은 검사 유닛으로 표시부재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러한 확인된 위치 정보를 제어 유닛을 통해 가공 유닛의 위치를 보정하여 표시부재의 정확한 위치에 레이저 노즐을 통해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표시부재에 구멍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표시부재의 소정 위치에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를 종래의 편광판 제조 공정에 접목시키게 되면, 무-베젤 타입(bezel-free type)/슬림형 노트북 컴퓨터용 편광판의 제조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요약뿐만 아니라 이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읽혀질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도면들이 도시된다. 그러나, 본 출원은 그러한 도면들에 도시된 정확한 장치 및 수단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가공 유닛 부위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검사 유닛과 가공 유닛 부위의 확대 측면도이다.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된 특정의 용어는 편의를 위한 것이지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우", "좌", "상면" 및 "하면"의 단어들은 참조가 이루어진 도면들에서의 방향을 나타낸다. "내측으로" 및 "외측으로"의 단어들은 각각 지정된 장치, 시스템 및 그 부재들의 기하학적 중심을 향하거나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나타낸다. "전방", "후방", "상방", "하방" 및 그 관련 단어들 및 어구들은 참조가 이루어진 도면에서의 위치들 및 방위들을 나타내며 제한적이어서는 아니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위에서 열거된 단어들, 그 파생어 및 유사한 의미의 단어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의 예시적 실시예들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100)는 미리 결정된 규격을 가지며, 예를 들어, 무-베젤 타입 노특북에 사용되는 편광판 그 자체 또는 편광판을 포함하는 패널 형태의 표시부재(P)를 수납할 수 있는 테이블 유닛(110), 테이블 유닛(110)에 수납된 표시부재(P)의 평면 좌표를 검사할 수 있도록 테이블 유닛(110)의 상부에 설치된 검사 유닛(120), 및 검사 유닛(120)에 의해 확인된 표시부재(P)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부재(P)의 미리 결정된 위치로 이동되어 미리 결정된 위치에 구멍을 형성할 수 있는 가공 유닛(130)을 구비한다.
테이블 유닛(110)은,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한 실질적으로 원반형의 회전 테이블(112), 표시부재(P)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회전 테이블(112) 위에 마련되고, 대략 90도 각도로 배치된 4개 트레이들(114)을 구비한다. 또한, 테이블 유닛(110)은 4개의 영역들로 구획될 수 있다. 즉, 4개의 영역들은 표시부재(P)를 로딩할 수 있도록 후술하는 로더 유닛(150) 부근에 형성되는 로딩부(111), 가공 유닛(130)에 의해 가공된 표시부재(P)를 언로딩할 수 있도록 로딩부(111)와 대향되게 위치 즉, 후술하는 언로더 유닛(180) 부근에 마련되는 언로딩부(115), 로딩부(111)와 언로딩부(115) 사이에서 가공 유닛(130)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가공부(113), 및 가공부(113)와 대향되는 위치 즉, 후술하는 클리너(140) 부근에 마련된 클리닝부(117)를 구비한다. 즉, 회전 테이블(112)은 소정 각도(예, 90도)에서 회전을 멈춘 후 소정 시간 경과 후 다시 다음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어되는 소위, '인덱스 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회전 테이블(112)에 설치된 각각의 트레이(114)는 회전 테이블(112)이 회전함에 따라 로딩부(111), 가공부(113), 언로딩부(115), 및 클리닝부(117)를 각각 순차적으로 거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구멍 형성 장치(100)는 테이블 유닛(110)을 회전 테이블(112)로 구성함으로써, 피가공 표시부재(P)를 회전 테이블(112)의 어느 하나의 로딩부(111) 측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가공부(113)로 표시부재(P)를 이동시키고 가공부(113)에서 표시부재(P)에 구멍을 형성한 후 언로딩부(115)로 이동시켜서 배출시키고, 표시부재(P)가 배출되고 빈 공간으로 남은 트레이(114) 위 또는 그 주위에 존재할 수도 있는 가공 부스러기 등의 이물질을 클리닝부(117)에서 세정한 후 다시 피가공 표시부재(P)를 로딩부(111)에서 로딩할 수 있는 회전형 순환 시스템을 채택한다.
테이블 유닛(110)은 구동원의 동력을 회전 테이블(112)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메커니즘(116)을 구비하고, 이러한 동력 전달 메커니즘(116)은 전술한 바와 같은 '인덱스 장치'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모든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사실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테이블 유닛(110)은 회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재는 미도시된 다른 공급 수단에 의해 테이블 유닛으로 공급된 후 검사 유닛의 소정의 검사 공정 및 가공 유닛의 소정의 가공 공정을 거친 후 미도시된 배출 수단에 의해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직선형/고정형 테이블 시스템 또는 업계에 알려진 다른 테이블 유닛을 채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트레이(114)는 실질적으로 직사각 형태의 표시부재(P)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트레이(114)는 표시부재(P)의 사이즈(예, 12인치, 14인치 등과 같이 표시부재가 적용될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상표시부의 사이즈에 대응되는 사이즈)에 대응되게 이동될 수 있는 지그(114a:도 2 참조)를 구비한다. 이러한 지그(114a)는 트레이(114)의 바닥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고, 표시부재(P)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 접촉되어 이동 완료 후에는 그 위치가 고정할 수 있는 탭을 구비할 수 있다.
검사 유닛(120)은 테이블 유닛(110)에 공급되어 위치된 표시부재(P)의 절대 좌표를 인식하여 그 좌표에 대응되는 표시부재(P)의 위치를 파악하고, 그에 상응하는 위치로 가공 유닛(130)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검사 유닛(120)은 테이블 유닛(110)의 상부에 길게 설치된 검사 프레임(122), 및 표시부재(P)의 위치(예를 들어, 테이블 유닛의 중앙 방향으로 향하게 위치된 한 쌍의 모서리들)를 촬영할 수 있도록 검사 프레임(122)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카메라들(124)을 구비한다.
대안적 실시예에 있어서, 검사 유닛(120)은 한 쌍의 카메라들(124)과 달리, 표시부재(P)의 소정 위치에 마련된 마킹(미도시)의 좌표를 인식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카메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도 3은 도 2의 가공 유닛 부위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검사 유닛과 가공 유닛 부위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 동일부재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가공 유닛(130)은 검사 유닛(120)에 의해 확인되는 표시부재(P)의 좌표에 대응되는 표시부재(P)의 정확한 위치(구멍이 형성될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부재(P)의 상부에서 그 정확한 위치에 구멍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가공 유닛(130)은 수평 이동 가능한 X-Y 스테이지(132), X-Y 스테이지(132) 상에 고정된 레이저 노즐(134), 레이저 노즐(134)로 레이저 광을 조사할 수 있는 레이저 소스(136)를 구비한다. 레이저 소스(136)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광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광학 렌즈를 포함하는 광경로들을 통해 레이저 노즐(134)로 가이드된다. 레이저 노즐(134)은 레이저 광을 집적시키기 위한 렌즈를 포함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가공 유닛(130)의 X-Y 스테이지(132)는 레이저 노즐(134)과 레이저 소스(136)를 함께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레이저 노즐(134)을 소정 위치(검사 유닛(120)에 의해 절대 좌표가 확인된 표시부재(P)의 구멍 형성 위치)까지 정확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정,역 이동 가능한 스텝 모터 등과 같은 구동원(130a)(130b)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공 유닛(130)의 X-Y 스테이지(132)는 본체 프레임(미도시)에 마련된 X-레일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X-가이드(131), 및 X-가이드(131)에 마련된 Y-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Y-가이드(133)를 구비한다. 전술한 레이저 노즐(134)은 Y-가이드(133)의 상부에 설치된다.
대안적 실시예에 있어서, 가공 유닛(130)은 레이저 노즐(134) 및 레이저 소스(136)를 포함하는 레이저 관련 구성요소들은 드릴, 펀칭 니들, 스크류, 및 이들의 드라이브 유닛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가공 유닛(130)은 표시부재(P)의 구멍 가공에 의한 부산물(예, 연소 가스 및/또는 부스러기 등)을 제거하기 위해 레이저 노즐(134) 주위에 설치된 흡인부재(138)를 더 구비한다. 흡인부재(138)는 레이저 노즐(134) 주위를 감싸도록 마련된 원통형 흡인 브라켓(135: 도 3 참조)과, 흡인 브라켓(135) 내부에 배치된 한 쌍의 흡인 구멍들(137), 흡인 구멍들(137)를 통해 흡인되는 가공 부산물을 미도시된 수거함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흡인 구멍들(137) 및/또는 흡인 브라켓(135)에 연통되는 배출 경로(139)를 포함한다. 그리고, 배출 경로(139) 상에는 흡인 펌프(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멍 형성 장치(100)는 가공부(113)에서 가공된 표시부재(P)를 언로딩부(115)로 언로딩한 후 클리닝부(117)로 이동되는 빈 공간의 트레이(114)를 세정하기 위해, 테이블 유닛(110)의 클리닝부(117) 근처에 마련된 클리너(140)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클리너(140)는 예를 들어, 에어 클리너, 브러쉬 클리너, 또는 다른 세정 장비들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또한 클리너(140)는 테이블 유닛(110)의 클리닝부(117) 상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멍 형성 장치(100)는, 다수의 표시부재들(P)이 적재될 수 있는 로더(loader) 유닛(150), 로더 유닛(150)에 적재된 하나의 표시부재(P)를 테이블 유닛(110)의 로딩부(111)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1 이동 유닛(160), 가공부(113)에서 가공되어 언로딩부(115)로 이동된 표시부재(P)를 적재시킬 수 있는 언로더(unloader) 유닛(170), 및 테이블 유닛(110)의 언로딩부(115)에 위치된 가공된 표시부재(P)를 언로더 유닛(170)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2 이동 유닛(180)을 더 구비한다.
로더 유닛(150)은 표시부재들(P)이 적재될 수 있는 적재부의 바닥을 형성하는 로더 플레이트(152)를 포함하는 로더 프레임(154)과, 로더 플레이트(152)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로더 프레임(154)에 설치되며, 공압/유압 실린더 또는 모터 등과 같은 로더 구동원(156), 및 로더 프레임(154)의 상단에 설치된 센서(158)를 구비한다.
로더 유닛(150)은 로더 프레임(154)의 적재부에 적재된 다수의 표시부재들(p) 중 최상위의 표시부재(P)가 제1 이동 유닛(160)에 의해 테이블 유닛(110)의 로딩부(111)로 로딩될 때마다 로더 구동원(156)을 작동시켜 로더 플레이트(152)를 승강시키고, 적정한 위치에서 로더 구동원(156)의 작동을 중단시킴으로써, 로더 유닛(150)에 적재된 표시부재들(P) 중 최상부의 위치를 항상 일정한 위치로 유지시킴으로써 제1 이동 유닛(160)의 동작을 프로그램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센서(158)는 로더 유닛(150)의 로더 프레임(154)에 수납된 표시부재(P)의 최상위 위치를 감지하여 그 위치에 표시부재(P)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로 그 정보를 전달하여 제어부가 로더 구동원(156)을 통해 로더 플레이트(152)를 적정 위치까지 상승시키게 한다. 따라서, 센서(158)에 의해 표시부재(P)의 최상위 위치가 확인되면 로더 구동원(156)의 작동이 멈추고 되고 로더 유닛(150)에 적재된 표시부재(P)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유지할 수 있다.
제1 이동 유닛(160)은, 로더 유닛(150) 및 로딩부(111)에 각각 평행하게 설치된 제1 LM 가이드(162), 제1 LM 가이드(162) 위에서 구동원(163)에 의해 왕복 이동 가능한 제1 이동 블록(164), 제1 이동 블록(164)에 설치된 제1 이동 실린더(166), 및 로더 유닛(150)에 적재된 표시부재(P)를 픽업하여 로딩부(111)에 배치시킬 수 있도록 제1 이동 실린더(166)에 의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픽업/플레이서(pickup/placer)(168)를 구비한다.
제1 이동 유닛(160)은 소위, '픽업 앤 플레이스' 장비로서, 로더 유닛(150)에 적재된 표시부재(P)를 진공 방식으로 픽업하여 소정 구간 이동한 후 진공 해제에 의해 표시부재(P)를 로딩부(111)에 위치된 빈 트레이(114) 상에 표시부재(P)를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1 픽업/플레이서(168)는 로더 유닛(150)에 적재된 표시부재(P)의 6개 부위에 접촉될 수 있는 노즐부들(161), 및 각각의 노즐부(161)에 진공을 인가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펌핑 시스템(미도시)을 구비한다.
언로더 유닛(170)은, 테이블 유닛(110)의 회전 테이블(112)의 가공부(115)에서 가공되어 언로딩부(115)로 이동된 표시부재(P)가 제2 이동 유닛(180)에 의해 픽업될 경우, 그러한 표시부재(P)를 수납할 있는 언로더 플레이트(172)를 포함하는 언로더 프레임(174), 및 언로더 플레이트(172)를 이동시킬 수 있는 언로더 구동원(176)을 구비한다. 여기서, 언로더 유닛(170)의 언로더 플레이트(172)는, 최초 작업 시에는 언로더 프레임(174)에서 최고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공 작업이 완료된 표시부재들(P)이 언로더 프레임(174)에 수납될 때마다 언로더 구동원(176)의 작동에 의해 점차적으로 하강하도록 설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로더 유닛(150)과 언로더 유닛(170) 모두는 로더 프레임(154) 및 언로더 프레임(174)의 하단에 설치된 롤러들(미도시)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2 이동 유닛(180)은 언로딩부(115) 및 언로더 유닛(170)에 각각 평행하게 설치된 제2 LM 가이드(182), 제2 LM 가이드(182) 위에서 구동원(183)에 의해 왕복 이동 가능한 제2 이동 블록(184), 제2 이동 블록(184)에 설치된 제2 이동 실린더(186), 및 언로딩부(115)에 위치된 가공된 표시부재(P)를 픽업하여 언로더 유닛(170)에 적재시킬 수 있도록 제2 이동 실린더(186)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픽업/플레이서(pickup/placer)(188)를 구비한다.
제2 이동 유닛(180) 역시 전술한 제1 이동 유닛(160)과 유사한 구동 메커니즘을 가진 '픽업 앤 플레이스' 장비로서, 언로딩부(115)에 위치된 표시부재(P)를 진공 방식으로 픽업하여 소정 구간 이동한 후 진공 해제에 의해 표시부재(P)를 언로더 유닛(170)에 수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2 픽업/플레이서(188)는 언로딩부(115)에 위치된 표시부재(P)의 6개 부위에 접촉될 수 있는 노즐부들(181), 및 각각의 노즐부(181)에 진공을 인가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펌핑 시스템(미도시)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테이블 유닛(110)의 회전 테이블(112)의 회전 작동을 위한 구동원의 구동 신호, 검사 유닛(120)의 카메라(124)에 의해 인식된 표시부재의 위치 정보, 그러한 위치 정보를 분석하는 작업 및 그러한 작업에 의해 검사 유닛(120)의 X-Y 스테이지(132)를 이동시키는 구동 명령, 가공 유닛(130)의 레이저 노즐(134)의 작동 명령, 제1 및 제2 이동 유닛들(160)(180)의 구동 명령, 로더 유닛(150)과 언로더 유닛(170)의 명령, 클리너(140)의 작동 명령 등은 미도시된 컴퓨터와 같은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이어지는 본 발명의 작동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기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방법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다수의 표시부재들(P)이 로더 프레임(154)의 적재부에 적재된 로더 유닛(150)을 테이블 유닛(110)의 로딩부(111) 근처로 이동시켜 로더 유닛(150)의 위치를 고정하고, 가공 유닛(130)에 의해 가공된 후 언로딩부(115)로 공급되는 표시부재(P)를 수납할 수 있는 언로더 유닛(170)을 테이블 유닛(110)의 언로딩부(115) 근처로 이동키켜 언로더 유닛(170)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구멍 형성 가공을 위한 준비를 한다.
이어서, 제어부에 의해 스타트 신호가 주어지면, 제1 이동 유닛(160)이 작동한다. 따라서, 제1 이동 유닛(160)의 제1 이동 블록(164)은 제1 LM 가이드(162)를 따라 로더 유닛(150) 상부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1 이동 실린더(166)는 제1 픽업/플레이서(168)를 하강시키게 되고 그러면 제1 픽업/플레이서(168)의 노즐부들(161)는 표시부재(P)에 접촉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펌프가 작동되면 노즐부들(161)에 진공이 형성되어 표시부재(P)를 픽업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이동 실린더(166)는 제1 픽업/플레이서(168)를 승강시키고, 제1 이동 블록(164)은 제1 LM 가이드(162)를 따라 테이블 유닛(110)의 회전 테이블(112)의 로딩부(111)까지 이동한다. 그 후, 제1 이동 실린더(166)에 의해 제1 픽업/플레이서(168)가 하강된 상태에서 노즐부들(161)의 진공을 해제하게 되면, 표시부재(P)는 로딩부(111)에 위치된 빈 트레이(114)로 장착된다. 여기서, 빈 트레이(114)는 가공될 표시부재(P)의 사이즈에 상응하도록 그 지그(114a)의 위치가 미리 결정된 상태임은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 과정에서, 로더 유닛(150)의 센서(158)는 로더 유닛(150)의 표시부재(P)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로 보내고, 제어부는 로더 구동원(156)을 상승시켜 최상부 표시부재(P)가 다음 단계에서 로딩될 준비를 한다.
다음, 로딩부(111)의 빈 트레이(114)에 표시부재(P)가 위치되면, 회전 테이블(112)이 90도 회전된다. 그러면, 가공될 표시부재(P)가 위치된 트레이(114)는 가공부(113)로 회전 이동되고, 클리닝부(117)에 존재하고 있던 빈 트레이(114)가 로딩부(111)로 이동되어 새로운 표시부재(P)의 로딩을 준비한다. 새로운 표시부재(P)의 로딩 공정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어서, 표시부재(P)가 위치된 트레이(114)가 가공부(113)로 이동되어 회전 테이블(112)의 위치가 고정되면, 검사 유닛(120)의 카메라들(124)은 표시부재(P)의 한 쌍의 모서리들의 위치를 촬영하여 제어부로 전송한다. 제어부는 가공부(113)에 위치된 트레이(114)에 위치된 표시부재(P)의 절대 좌표를 계산한 후 그 정보에 따라 가공 유닛(130)의 X-Y 스테이지(132)를 이동시킴으로써 레이저 노즐(134)의 위치를 보정한다.
다음, 위와 같은 보정에 의해 레이저 노즐(134)의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되면, 제어부는 레이저 소스(136)를 작동시키고 레이저 노즐(134)을 통해 켜 레이저 광을 표시부재(P)의 소정 위치에 조사한다. 그러면, 표시부재(P)의 소정 영역은 레이저 노즐(134)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광에 의해 구멍이 천공된다. 이 과정에서, 구멍 형성을 위한 부스러기 등의 부산물은 레이저 노즐(134) 주위에 설치된 흡인부재(138)의 흡인 구멍들(137)을 통해 흡인됨으로써, 표시부재(P)의 구멍 가공에 의한 부스러기들을 처리할 수 있다.
이어서, 가공 유닛(130)에 의해 구멍 천공 작업이 완료되면 회전 테이블(112)은 다시 90도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가공부(113)에서 가공이 완료된 표시부재(P)를 수납하는 트레이(114)는 언로딩부(115)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 언로딩부(115)에서 트레이(114)에 위치된 가공 완료된 표시부재(P)는 제2 이동 유닛(180)에 의해 언로더 유닛(170)의 탑재부로 탑재된다. 이를 위해, 제2 이동 유닛(180)의 제2 이동 블록(184)은 제2 LM 가이드(182)를 따라 언로딩부(115)로 이동한다. 이 후, 제2 이동 실린더(186)는 제2 픽업/플레이서(188)를 하강시키고 펌프에 의해 작동되는 노즐부들(181)이 표시부재(P)를 흡착한다. 그러면, 제2 이동 실린더(186)에 의해 제2 픽업/플레이서(188)가 상승되고, 제2 이동 블록(184)은 제2 LM 가이드(182)를 따라 언로더 유닛(170)의 탑재부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 후, 제2 이동 실린더(186)는 제2 픽업/플레이서(188)를 언로더 플레이트(172)의 표면 근처에서 노즐부들(181)의 진공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표시부재(P)는 언로더 유닛(170)의 언로더 프레임(174)에 수납된다.
이어서, 언로딩부(115)에서 표시부재(P)를 언로더 유닛(170)에 탑재하고 나면, 회전 테이블(112)은 다시 90도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언로딩부(115)에 위치되었던 빈 트레이(114)는 클리닝부(117)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클리닝부(117)로 이동된 빈 트레이(114)는 다음 사이클에서 새로운 표시부재(P)를 적재할 수 있도록 클리너(140)에 의해 세정된다.
끝으로, 클리닝부(117)에서 세정이 완료된 빈 트레이(114)는 다시 90도 회전하여 로딩부(111)로 이동되어 로더 유닛(150)에 적재된 새로운 표시부재(P)를 수납할 수 있도록 준비된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한편,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부가물, 변형물, 조합들 및/또는 대체물들이 만들어 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다른 요소들, 물질들, 성분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정신 필수 특징들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 구조, 배열, 비율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원칙을 벗어나지 않는 한 특정의 환경 및 작동 조건들에 특히 적합하도록 된 구조, 배열, 비율, 물질, 성분의 많은 변형과 함께 본 발명이 사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독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다른 특징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과 함께 및/또는 상호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개시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이 아닌 설명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표시되며,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된다.
첨부된 청구범위의 넓은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들 및 변경들이 가능함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것들의 몇몇은 위에서 논의되었으며 다른 것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장치 P…표시부재
110…테이블 유닛 111…로딩부
112…회전 테이블 113…가공부
114…트레이 115…로딩부
116…동력 전달 메커니즘 117…클리닝부
120…검사 유닛 122…검사 프레임
124…카메라 130…가공 유닛
131…X-가이드 132…X-Y 스테이지
133…Y-가이드 134…레이저 노즐
135…흡인 브라켓 136…레이저 소스
137…흡인 구멍 138…흡인부재
139…배출 경로 140…클리너
150…로더(loader) 유닛 152…로더 플레이트
154…로더 프레임 156…로더 구동원
158…센서 160…제1 이동 유닛
162…제1 LM 가이드 163…구동원
164…제1 이동 블록 166…제1 이동 실린더
168…제1 픽업/플레이서 170…언로더 유닛
172…언로더 플레이트 174…언로더 프레임
176…언로더 구동원 180…제2 이동 유닛
182…제2 LM 가이드 184…제2 이동 블록
186…제2 이동 실린더 188…제2 픽업/플레이서

Claims (36)

  1. 미리 결정된 규격을 가진 표시부재가 수납될 수 있는 테이블 유닛;
    상기 테이블 유닛에 수납된 상기 표시부재의 평면 좌표를 검사할 수 있는 검사 유닛; 및
    상기 검사 유닛에 의해 확인된 상기 표시부재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재의 미리 결정된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표시부재에 구멍을 형성할 수 있는 가공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유닛은:
    구동원에 의해 회전 가능한 원형의 회전 테이블; 및
    상기 표시부재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테이블 상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레이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유닛은 상기 회전 테이블 위에 대략 90도 각도로 배치된 4개 트레이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트레이는 상기 표시부재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이동될 수 있는 지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유닛은:
    검사 프레임; 및
    상기 표시부재의 위치를 촬영할 수 있으며 상기 검사 프레임에 설치된 한 쌍의 카메라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카메라는 CCD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카메라들은 상기 테이블 유닛의 중앙 방향 측으로 배치된 상기 표시부재의 한 쌍의 모서리들을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유닛은:
    수평 이동 가능한 X-Y 스테이지;
    상기 X-Y 스테이지 상에 고정된 레이저 노즐; 및
    상기 레이저 노즐로 레이저 광을 조사할 수 있는 레이저 소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유닛은 상기 표시부재의 구멍 가공에 의한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레이저 노즐 주위에 설치된 흡인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유닛은:
    상기 표시부재를 로딩할 수 있는 로딩부;
    상기 가공 유닛에 의해 가공된 상기 표시부재를 언로딩할 수 있도록 상기 로딩부와 대향되게 위치되는 언로딩부;
    상기 로딩부와 언로딩부 사이에서 상기 가공 유닛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가공부; 및
    상기 가공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된 클리닝부를 구비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 근처에 마련된 클리너를 더 구비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표시부재들이 적재될 수 있는 로더(loader) 유닛;
    상기 로더 유닛에 적재된 표시부재를 상기 테이블 유닛의 로딩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1 이동 유닛;
    가공된 표시부재들이 적재될 수 있는 언로더(unloader) 유닛: 및
    상기 테이블 유닛의 언로딩부에 위치된 상기 가공된 표시부재를 상기 언로더 유닛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2 이동 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유닛은:
    상기 로더 유닛 및 상기 로딩부에 각각 평행하게 설치된 제1 LM 가이드;
    상기 제1 LM 가이드 위에서 왕복 이동 가능한 제1 이동 블록;
    상기 제1 이동 블록에 설치된 제1 이동 실린더; 및
    상기 로더 유닛에 적재된 상기 표시부재를 픽업하여 상기 로딩부에서 배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이동 실린더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픽업/플레이서(pickup/plac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유닛은:
    상기 언로딩부 및 상기 언로더 유닛에 각각 평행하게 설치된 제2 LM 가이드;
    상기 제2 LM 가이드 위에서 왕복 이동 가능한 제2 이동 블록;
    상기 제2 이동 블록에 설치된 제2 이동 실린더; 및
    상기 언로딩부에 위치된 상기 가공된 표시부재를 픽업하여 상기 언로더 유닛에 적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이동 실린더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픽업/플레이서(pickup/plac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더 유닛은:
    상기 표시부재들이 적재될 수 있는 로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로더 프레임;
    상기 로더 플레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로더 프레임에 설치된 로더 구동원; 및
    상기 로더 프레임에 설치된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더 유닛은,
    상기 가공된 표시부재들이 적재될 수 있는 언로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언로더 프레임; 및
    상기 언로더 플레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는 언로더 구동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더 유닛과 상기 언로더 유닛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는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노트북 컴퓨터용 편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장치.
  20. (a) 미리 결정된 규격을 가진 표시부재를 테이블 유닛에 수납하는 단계;
    (b) 상기 테이블 유닛에 수납된 상기 표시부재의 평면 좌표를 검사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 의해 검사된 좌표에 대응하도록 상기 표시부재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가공 유닛을 이동시키는 단계;
    (d) 상기 가공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재에 구멍을 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 가능한 원형의 회전 테이블 위에 대략 90도 각도로 배치된 4개의 트레이들 중 로딩부에 위치된 트레이에 상기 표시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공 유닛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가공부 쪽으로 상기 회전 테이블을 90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표시부재의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상기 트레이에 설치된 지그를 미리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검사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재의 모서리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CCD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방법.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X-Y 스테이지에 설치된 가공 유닛을 소정 위치로 수평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유닛은:
    상기 X-Y 스테이지 상에 고정된 레이저 노즐; 및
    상기 레이저 노즐로 레이저 광을 조사할 수 있는 레이저 소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방법.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표시부재의 구멍 가공에 의한 부산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방법.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후, 상기 테이블 유닛의 언로딩부로 가공된 상기 표시부재를 이동시켜 언로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부에서 상기 표시부재를 언로딩 한 상기 테이블 유닛을 클리닝부에서 클리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방법.
  30.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전에,
    다수의 표시부재들이 적재된 로더(loader) 유닛을 상기 테이블 유닛의 로딩부 근처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테이블 유닛의 언로딩부 근처에 가공된 표시부재를 수납할 수 있는 언로더 유닛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로더 유닛에 적재된 표시부재를 제1 이동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테이블 유닛의 상기 로딩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유닛의 상기 언로딩부에 위치된 상기 가공된 표시부재를 제2 이동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언로더 유닛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방법.
  3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는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노트북 컴퓨터용 편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의 구멍 형성 방법.
  35. 제20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천공된 구멍이 마련된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웹카메라를 장착하기 위한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표시부재.
KR1020100128537A 2010-12-15 2010-12-15 디스플레이 기기용 편광판의 구멍 형성 장치 및 방법 KR101293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537A KR101293210B1 (ko) 2010-12-15 2010-12-15 디스플레이 기기용 편광판의 구멍 형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537A KR101293210B1 (ko) 2010-12-15 2010-12-15 디스플레이 기기용 편광판의 구멍 형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102A true KR20120067102A (ko) 2012-06-25
KR101293210B1 KR101293210B1 (ko) 2013-08-05

Family

ID=46686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537A KR101293210B1 (ko) 2010-12-15 2010-12-15 디스플레이 기기용 편광판의 구멍 형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2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6048A1 (ko) * 2013-08-21 2015-02-26 Han Dong Hee 디스플레이용 패널의 검사장치
CN104808361A (zh) * 2015-05-14 2015-07-29 苏州市邦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除尘的偏光片贴附装置
CN110369335A (zh) * 2019-08-14 2019-10-25 福建晟哲自动化科技有限公司 全自动aoi背光检测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4594B2 (ja) 2014-04-25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215864B2 (ja) 2014-04-25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154856B2 (ja) 2014-06-27 2017-06-28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状の粘着フィルム
JP6181111B2 (ja) 2014-06-27 2017-08-16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状の粘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215261B2 (ja) 2014-06-27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状の偏光子、長尺状の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713189B2 (ja) 2014-06-27 2020-06-24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状の偏光フィルム積層体
JP6152083B2 (ja) 2014-11-11 2017-06-21 日東電工株式会社 非偏光部を有する偏光子の製造方法
US20180120489A1 (en) 2015-05-13 2018-05-03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er production method
JP6152138B2 (ja) 2015-06-25 2017-06-2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
JP7163000B2 (ja) 2015-06-25 2022-10-31 日東電工株式会社 非偏光部を有する偏光子
JP6872309B2 (ja) 2015-06-25 2021-05-1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
JP6422415B2 (ja) 2015-09-28 2018-11-1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630527B2 (ja) 2015-09-30 2020-01-15 日東電工株式会社 貫通孔を有する粘着フィルムの検査方法
JP6784540B2 (ja) 2015-09-30 2020-11-1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JP6604805B2 (ja) 2015-09-30 2019-11-13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検査方法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6807637B2 (ja) 2015-09-30 2021-01-0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検査方法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6872312B2 (ja) 2015-09-30 2021-05-1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JP6795883B2 (ja) 2015-10-05 2020-12-02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
KR102175773B1 (ko) * 2019-12-06 2020-11-09 덕양산업 주식회사 차량 내장재용 기재의 홀가공 자동화장치
JP2021139982A (ja) 2020-03-03 2021-09-16 日東電工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
JP2021139981A (ja) 2020-03-03 2021-09-16 日東電工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615B1 (ko) * 1986-08-25 1992-09-08 주식회사 금성사 칼라액정표시소자
JPH1168385A (ja) * 1997-08-22 1999-03-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基板のローダ・アンローダ装置
JP4143334B2 (ja) * 2002-05-24 2008-09-03 日立ビアメカニクス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穴明け用レーザ加工機の制御方法
KR101026010B1 (ko) * 2008-08-13 2011-03-30 삼성전기주식회사 레이저 가공장치 및 레이저 가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6048A1 (ko) * 2013-08-21 2015-02-26 Han Dong Hee 디스플레이용 패널의 검사장치
CN104620164A (zh) * 2013-08-21 2015-05-13 韩东熙 显示器用面板检查装置
CN104808361A (zh) * 2015-05-14 2015-07-29 苏州市邦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除尘的偏光片贴附装置
CN104808361B (zh) * 2015-05-14 2018-03-27 苏州市邦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除尘的偏光片贴附装置
CN110369335A (zh) * 2019-08-14 2019-10-25 福建晟哲自动化科技有限公司 全自动aoi背光检测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210B1 (ko) 2013-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210B1 (ko) 디스플레이 기기용 편광판의 구멍 형성 장치 및 방법
JP6735768B2 (ja) 実装機
JP2002111286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KR101749153B1 (ko) 부품실장장치 및 부품실장방법
JP2014038946A (ja) 実装装置、部材の配置方法及び基板の製造方法
JP6694778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WO2018179048A1 (ja) 表面実装機
JP6348832B2 (ja) 部品実装装置、表面実装機、及び部品厚み検出方法
JP4498570B2 (ja) 電子部品実装方法及び電子部品実装装置
JPWO2020031366A1 (ja) 部品装着機の管理装置
JP6470469B2 (ja) 部品実装機及びそのノズル撮像方法
JP2005353750A (ja) 電子部品搭載装置の保守管理装置
JP5040829B2 (ja)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方法
JP2004363634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2005286219A (ja) 部品搭載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WO2016143059A1 (ja) 実装装置、撮像処理方法及び撮像ユニット
JP2011044591A (ja) 電子部品実装装置及びその吸着位置補正方法
JP5773490B2 (ja) ダイ突き上げ動作管理システム
JP2005322802A (ja) 部品搭載装置
JP4401210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4143788B2 (ja) ボールマウント装置及びマウント方法
JP7129253B2 (ja) 部品装着機
KR102530633B1 (ko) 카메라모듈 이송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방법
JP6368215B2 (ja) 部品実装装置、表面実装機、及び部品の実装方法
JP2003243899A (ja) 実装機、実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