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752A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752A
KR20120064752A KR1020100125920A KR20100125920A KR20120064752A KR 20120064752 A KR20120064752 A KR 20120064752A KR 1020100125920 A KR1020100125920 A KR 1020100125920A KR 20100125920 A KR20100125920 A KR 20100125920A KR 20120064752 A KR20120064752 A KR 20120064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object item
items
inpu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2611B1 (ko
Inventor
이승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00125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611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AU2011339167A priority patent/AU2011339167B2/en
Priority to CA2818552A priority patent/CA2818552A1/en
Priority to JP2013543099A priority patent/JP6084930B2/ja
Priority to RU2013126417/08A priority patent/RU2604329C2/ru
Priority to US13/314,306 priority patent/US9405454B2/en
Priority to BR112013016561-8A priority patent/BR112013016561B1/pt
Priority to CN201180059158.0A priority patent/CN103262016B/zh
Priority to PCT/KR2011/009450 priority patent/WO2012077985A2/en
Priority to MYPI2013700762A priority patent/MY165360A/en
Priority to EP11192747.1A priority patent/EP2463768B1/en
Publication of KR20120064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면 표시 방법은 적어도 2 이상의 객체 아이템들이 제1 설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생성된 객체 아이템 그룹과, 적어도 하나의 객체 아이템을 제1 화면에 표시하는 제1 표시 단계 및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대한 표시 입력 수신 시,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객체 아이템 각각을 제2 설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표시하는 제2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설정 간격으로 표시된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 감지 시,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을 구성하는 각각의 객체 아이템들을 제2 설정 간격으로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OF MOBILE TERMINAL COMPRISING TOUCH SCREE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1 설정 간격으로 표시된 객체 아이템 그룹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 감지 시,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을 구성하는 각각의 객체 아이템들을 제2 설정 간격으로 표시하는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전자수첩 기능, 게임 기능, 스케줄 관리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는 추세에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기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관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필수적이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메인 화면, 홈 화면에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또는 폴더를 아이콘으로 표시한다.
휴대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시장이 갈수록 넓어지는 상황에서 보다 많은 개발자들이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참여하고 있고,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 후,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메인 화면 또는 홈 화면 등에 배치하여야 한다. 그런데, 화면에 배치하여야 할 아이콘들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상기 아이콘들을 배치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의 크기는 한정되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해당 아이콘을 터치하여 실행시키기 전에는 해당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내용을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특히, 해당 아이콘이 폴더인 경우, 상기 폴더에 포함된 하위 폴더 또는 어플리케이션들의 내용을 확인 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에서 수많은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 개의 객체 아이템들을 제1 설정 간격으로 배치된 하나의 객체 아이템 그룹으로 구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 설정 간격으로 표시된 객체 아이콘 그룹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 감지 시, 상기 객체 아이콘 그룹을 구성하는 각각의 객체 아이템들을 제2 설정 간격으로 표시하는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은 적어도 2 이상의 객체 아이템들이 제1 설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생성된 객체 아이템 그룹과, 적어도 하나의 객체 아이템을 제1 화면에 표시하는 제1 표시 단계 및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대한 표시 입력 수신 시,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객체 아이템 각각을 제2 설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표시하는 제2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는 적어도 2 이상의 객체 아이템들이 제1 설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생성된 객체 아이템 그룹과, 적어도 하나의 객체 아이템을 제1 화면에 표시하는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대한 표시 입력 수신 시,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객체 아이템 각각을 제2 설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 개의 객체 아이템들을 제1 설정 간격으로 배치된 하나의 객체 아이콘 그룹으로 구성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설정 간격으로 표시된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 감지 시,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을 구성하는 각각의 객체 아이템들을 제2 설정 간격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한정된 크기의 휴대 단말기 화면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폴더 등의 내용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객체 아이템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객체 아이템 그룹을 펼쳐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3은 객체 아이템 각각을 제2 설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표시하는 S255 단계의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4는 객체 아이템이 제1 화면에 표시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상기의 S225 단계 내지 S240 단계를 시각적으로 도시화한 도면.
도 6은 객체 아이템 그룹을 펼쳐 표시하는 구체적인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객체 아이템 그룹을 제2 화면에 펼쳐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객체 아이템 표시 방법을 시각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객체 아이템 그룹을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펼치고, 임의의 객체 아이템을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10 내지 도 12는 S935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 및 도 14는 객체 아이템 그룹이 펼쳐진 상태에서 객체 아이템을 스크롤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객체 아이템(Object Item)이란 어플리케이션, 폴더, 위젯 등을 식별하거나 실행하기 위한 단위를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객체 아이템은 임의의 형상, 모양, 색채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객체 아이템 그룹(Object Item Group)이란 적어도 2 이상의 객체 아이템들이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배치된 단위를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은 객체 아이템들이 파일(pile) 형상으로 적층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터치스크린부(130), 키 입력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12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터치스크린부(130)는 터치센서부(131) 및 표시부(132)를 포함한다. 터치센서부(13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센서부(131)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부(131)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부(13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상기 감지 신호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좌표 데이터가 포함된다. 사용자가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터치센서부(131)는 터치 위치 이동 경로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특히, 터치 센서부(13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객체 아이템 그룹을 펼쳐 표시(연장시켜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에는 터치(멀티 터치 포함), 드래그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표시부(132)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32)는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100)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이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지 않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경우, 도 1에서 도시되는 터치스크린부(130)는 표시부(132)의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변형 적용될 수 있다.
키 입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키 입력부(140)는 숫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일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부(130)만으로 모든 조작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키 입력부(140)가 생략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휴대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이미지, 동영상,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가 객체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 예를 들어 메인 화면, 홈 화면 등에 진입한 경우, 제1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화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아이템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 개의 객체 아이템들을 제1 설정 간격으로 배치된 하나의 객체 아이템 그룹으로 구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제1 설정 간격으로 표시된 객체 아이콘 그룹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 감지 시, 상기 객체 아이콘 그룹을 구성하는 각각의 객체 아이템들을 제2 설정 간격으로 표시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객체 아이템 그룹화 제어부(161)와 객체 아이템 표시 제어부(16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객체 아이템 그룹화 제어부(161)는 제1 화면에 배치된 적어도 2 이상의 객체 아이템을 객체 아이템 그룹으로 구성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객체 아이템 그룹화 제어부(161)는 임의의 객체 아이템이 터치 및 드래그(drag) 되어 다른 객체 아이템이 표시된 위치에 드롭(drop)되는 경우, 이들 객체 아이템들이 제1 설정 간격으로 배치된 객체 아이템 그룹을 생성한다. 그리고 객체 아이템 그룹화 제어부(161)는 생성된 객체 아이템 그룹을 표시부(132)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은 적어도 2 이상의 객체 아이템들이 제1 설정 간격으로 파일(pile) 형상으로 적층되어 표시될 수 있다.
객체 아이템 표시 제어부(162)는 객체 아이템 그룹을 펼쳐 표시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객체 아이템 표시 제어부(162)는 사용자로부터 객체 아이템 그룹을 펼쳐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객체 아이템 표시 제어부(162)는 제1 설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표시된 객체 아이템 그룹을 제2 설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표시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 아이템 표시 제어부(162)는 사용자로부터 객체 아이템 그룹에 대한 터치 입력 수신 시,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2 이상의 객체 아이템들을 제2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화면에 표시된 객체 아이템들은 제2 설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동일 평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 아이템 표시 제어부(162)는 사용자로부터 객체 아이템 그룹에 대한 드래그 입력 수신 시,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2 이상의 객체 아이템들 각각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펼쳐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객체 아이템 표시 제어부(162)는 상기 펼쳐진 상태에서 임의의 객체 아이템 실행 입력 수신 시, 해당 아이템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어부(160), 객체 아이템 그룹화 제어부(161), 객체 아이템 표시 제어부(162)가 별도의 블록으로 구성되고, 각 블록이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이는 기술상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반드시 이와 같이 각 기능이 구분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객체 아이템 그룹화 제어부(161), 객체 아이템 표시 제어부(162)가 수행하는 특정 기능을 제어부(160) 자체가 수행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객체 아이템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객체 아이템 그룹을 펼쳐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2의 순서도를 설명함에 있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도록 한다.
우선, 제어부(160)는 객체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면, 잠금 화면을 해제하기 위한 입력 등일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S205 단계에서, 객체 아이템 표시 화면에 진입한다. 상기 객체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은 메인 화면, 홈 화면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S210 단계에서 객체 아이템을 제1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 아이템이 제1 화면에 표시되는 예시가 도 4에서 도시된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화면(405)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 아이템(410, 420, 430)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객체 아이템은 카메라(410), 날씨(420)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이, 새폴더(430)와 같은 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객체 아이템들은 일정한 간격의 행과 열을 구성하여 바둑판 모양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다시, 도 2의 설명으로 복귀하면, 제어부(160)는 객체 아이템 표시 후, 객체 아이템의 그룹화 과정, 또는 객체 아이템 그룹을 펼쳐 표시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객체 아이템을 그룹화하는 과정을 제어하기 위해 S215 단계를 거쳐 S225 단계로 진행한다. 즉, 제어부(160)는 S225 단계에서 제1 화면(405)에 표시된 객체 아이템 중, 임의의 객체 아이템에 대한 터치를 감지한다. 이어서, 제어부(160)는 S230 단계에서, 상기 터치된 객체 아이템이 드래그(drag) 되어 임의의 위치에 드롭(drop) 됨을 감지한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S235 단계에서, 상기 객체 아이템이 드롭된 위치에 다른 객체 아이템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위치에 다른 객체 아이템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제어부(160)는 S245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위치에, 드래그 앤 드롭 된 객체 아이템을 표시한다.
반면, 상기 위치에 다른 객체 아이템(또는 객체 아이템 그룹)이 존재한다면, 제어부(160)는 S240 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2 이상의 객체 아이템들을 제1 설정 간격으로 배치된 객체 아이템 그룹을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해당 위치에 상기 생성된 객체 아이템 그룹을 제1 화면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은 적어도 2 이상의 객체 아이템들이 제1 설정 간격으로 파일(pile) 형상으로 적층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의 S225 단계 내지 S240 단계를 시각적으로 도시화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임의의 객체 아이콘(510)을 터치, 드래그 하여 임의의 위치에 드롭 할 수 있다. 만약, 드롭 되는 위치에 다른 객체 아이콘(520)이 위치한 경우, 2 개의 객체 아이콘(510, 520)은 제1 설정 간격(525)으로 배치된 객체 아이콘 그룹(530)으로 생성된다.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객체 아이콘 그룹은 적어도 2 이상의 객체 아이콘들이 파일(pile) 형상으로 적층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도 2의 설명으로 복귀하면, 제어부(160)는 객체 아이템 그룹을 펼쳐 표시하는 과정을 제어하기 위해 S220 단계를 거쳐, S250 단계로 진행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60)는 S250 단계에서 객체 아이템 그룹을 펼쳐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표시 입력을 수신한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S255 단계로 진행하여 제1 설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표시된 객체 아이템 각각을 제2 설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표시한다.
여기서 객체 아이템 각각을 제2 설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표시하는 S255 단계의 구체적인 과정이 도 3에서 도시된다.
도 3은 객체 아이템 각각을 제2 설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표시하는 S255 단계의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제어부(160)는 S310 단계에서, S250 단계에서 수신한 사용자 표시 입력이 터치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터치 입력이었다면, 제어부(160)는 S320 단계로 진행하여 객체 아이템 그룹을 구성하는 각각의 객체 아이템들을 제2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2 화면에 표시된 객체 아이템 각각은 제2 설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동일 평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설정 간격과 제2 설정 간격은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반면, 사용자 표시 입력이 터치 입력이 아닌 경우, 제어부(160)는 S330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표시 입력이 드래그 입력이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드래그 입력이었다면, 제어부(160)는 S34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2 이상의 객체 아이템들 각각이 제2 설정 간격(소정의 각도)을 유지하며 펼쳐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객체 아이템들이 펼쳐지는 방향은 드래그 방향과 동일한 방향 및/또는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다시 말해, 객체 아이템들은 드래그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드래그 방향과 드래그 반대 방향의 모든 방향으로 펼쳐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하여 배치된 객체 아이템들은 서로 부착된 상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펼쳐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임의의 객체 아이템의 하(下 )면과, 상기 객체 아이템에 연속하여 배치된 객체 아이템의 상(上)면은 서로 부착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객체 아이템들에 대해 이러한 규칙이 연속하여 적용될 수 있다.
객체 아이템 그룹을 펼쳐 표시하는 구체적인 예시가 도 6에 도시된다.
도 6a는 S320 단계를 통해, 객체 아이템을 펼쳐 표시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객체 아이템 그룹(530)에 대한 터치 입력 감지 시,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132)에는 제 2 화면(610)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화면(610)은 팝 업(pop up)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화면(610)에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530)을 구성하는 각각의 객체 아이템이 제2 설정 간격(605)으로 이격되어 동일 평면상에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도 6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객체 아이템들은 가로 및 세로를 일정한 간격으로 직각으로 분할하는 형상인 격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b는 S340 단계를 통해, 객체 아이템을 펼쳐 표시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책체 아이템 그룹(530)에 대한 드래그 입력 감지 시,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2 이상의 객체 아이템들 각각이 소정의 각도(간격)(Θ1, Θ2, Θ3, Θ4, Θ5,...)를 이루며 펼쳐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각도는 모두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6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속하여 배치된 객체 아이템들은 서로 부착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펼쳐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객체 아이템(620)의 하면(625)은, 상기 객체 아이템(620)에 연속하여 배치된 객체 아이템(630)의 상면( 635)과 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객체 아이템 그룹을 펼쳐 표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로 구분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이 경우, 제1 실시예는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2 이상의 객체 아이템들을 제2 화면에 표시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제2 실시예는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2 이상의 객체 아이템들 각각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펼쳐지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제1 실시예>
이하에서는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2 이상의 객체 아이템들을 제2 화면에 표시하는 제1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객체 아이템 그룹을 제2 화면에 펼쳐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객체 아이템 표시 방법을 시각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제어부(160)는 S710 단계에서, 표시 화면에 진입한다. 표시 화면은 메인 화면, 홈 화면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S720 단계에서, 도 8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표시 화면의 제1 화면에 객체 아이템, 객체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S730 단계에서 터치스크린(130) 상에 터치 입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60)는 S74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터치 입력이 객체 아이템 그룹에 대한 터치 입력인지 또는 개체 아이템에 대한 터치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객체 아이템에 대한 터치 입력이라면, 제어부(160)는 S750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객체 아이템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객체 아이템이 어플리케이션이라면 해당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될 것이다. 또한, 상기 객체 아이템이 폴더라면, 폴더에 진입하여 해당 폴더에 포함된 파일, 하위 폴더 등이 표시될 것이다.
반면, 객체 아이템 그룹에 대한 터치 입력이라면, 제어부(160)는 S760 단계로 진행하여 제2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S770 단계에서, 터치가 감지된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2 이상의 객체 아이템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S780 단계에서, 상기 확인된 객체 아이템을 상기 제2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객체 아이템을 제1 화면에서 제2 화면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경우, 제1 화면에 표시된 파일(pile) 형상으로 적층되어 있는 객체 아이콘들이 상측 방향부터 순차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가 도 8b에서 도시된다.
이어서, 제어부(160)는 객체 아이템 그룹에서 제1 설정 간격으로 배치된 객체 아이템을 도 8c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설정 간격으로 재배치하여 상기 제2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객체 아이템들은 가로 및 세로를 일정한 간격으로 직각으로 분할하는 형상인 격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에서는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2 이상의 객체 아이템들 각각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펼쳐지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객체 아이템 그룹을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펼치고, 임의의 객체 아이템을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2는 객체 그룹 아이템이 펼쳐지는 서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3 및 도 14는 객체 아이템 그룹이 펼쳐진 상태에서 객체 아이템을 스크롤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제어부(160)는 S910 단계에서, 표시 화면에 진입한다. 표시 화면은 메인 화면, 홈 화면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S920 단계에서상기 표시 화면의 제1 화면에 객체 아이템, 객체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S915 단계에서 드래그(drag) 입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드래그 입력이 발생한 경우라면, 제어부(160)는 S920 단계에서 객체 아이템 그룹에 대한 드래그 입력인지, 또는 객체 아이템에 대한 드래그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객체 아이템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라면, 제어부(160)는 S925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객체 아이템을 이동 시키거나 다른 기능을 실행시킨다.
만약, 객체 아이템 그룹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라면, 제어부(160)는 S93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드래그 입력이 발생한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2 이상의 객체 아이템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S935 단계에서, 상기 각각의 객체 아이템을 드래그 방향 및/또는 반대 방향으로, 객체 아이템들이 제2 설정 간격(소정의 각도)을 유지하며 펼쳐지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연속하여 배치된 객체 아이템들은 서로 부착된 상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펼쳐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임의의 객체 아이템의 하(下 )면과, 상기 객체 아이템에 연속하여 배치된 객체 아이템의 상(上)면은 서로 부착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객체 아이템들에 대해 이런한 규칙이 연속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S935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가 도 10 내지 도 12에서 도시된다. 도 10(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파일(pile) 형상으로 적층된 임의의 객체 아이템 그룹에 대해 터치 입력 후 드래그 입력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0(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각각의 객체 아이템들은 서로 부착된 상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펼쳐진다.
도 10에서는 드래그 방향이 상측으로 발생하여, 객체 아이템들이 드래그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상측으로 펼쳐 표시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1(a)는 객체 아이콘 그룹이 화면상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상측으로 드래그 될 수 없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경우, 드래그 입력은 도 11(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측 방향으로 발생하며, 객체 아이템들 드래그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하측으로 펼쳐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2는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객체 아이템들이 드래그 방향 및 상기 드래그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펼쳐지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a)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하고, 도 12(b)에서 상측으로 드래그 입력이 발생하였지만 객체 아이템들은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 양 방향으로 펼쳐진다. 이 경우, 객체 아이템들이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비율은 다음과 같다. 객체 아이템 그룹이 표시된 위치를 기준으로 화면의 최상단까지의 길이를 제1 길이, 최하단까지의 길이를 제2 길이 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길이 및 제2 길이의 비율이 a:b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객체 아이템들이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비율은 b:a 일 수 있다. 이는 객체 아이템 그룹이 최상단 및 최하단에 동일한 시점에 도달하도록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으로 펼쳐 이동시기 위함이다.
다시 도 9의 설명으로 복귀하면, 제어부(160)는 S940 단계에서, 객체 아이콘 그룹이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연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60)는 상기 객체 아이콘 그룹이 제1 화면에서 표시된 위치 값과, 드래그된 위치 값을 비교하여 상기 값의 차이가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연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연장된 경우, 제어부(160)는 스크롤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한다. 상기 스크롤 모드는 제3 화면에, 상기 객체 아이콘 그룹에 포함된 객체 아이콘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나열되고, 스크롤 입력 수신 시 상기 객체 아이콘들이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상기 스크롤 모드에 대한 설명을 도 1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크롤 모드 진입 시 표시되는 제3 화면(1305)은 그 내부에 객체 아이콘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나열된다. 그리고 상기 제3 화면의 상단(1301) 및 하단(1302)은 각각 휴대 단말기 표시부(132)의 최상단(1303) 및 최하단(1304)에 접할 수 있다.
다시, 도 9의 설명으로 복귀하면, 제어부(160)는 S950 단계에서 스크롤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크롤 입력이 수신된 경우라면, 제어부(160)는 S955 단계로 진행하여 제3 화면에 포함된 객체 아이콘을 스크롤 방향으로 스크롤한다. 반면, 스크롤 입력이 아니라면 S960 단계로 진행하여 종료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종료 입력인 경우에는 해당 스크롤 모드를 종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롤 입력은 두 가지 종류의 입력으로 수신될 수 있으며, 도 13 및 도 14에서 도시된다.
우선, 도 13(a) 및 도 13(b)에서는 본 발명의 스크롤 입력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즉, 도 13(a)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드래그로 인해 스크롤 모드 진입 시, 도 13(b)에서와 같이 드래그 된 위치를 기준으로 임의의 방향으로 스크롤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3 화면에 포함된 객체 아이콘들은 스크롤 입력 방향으로 스크롤 된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스크롤 입력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롤 모드 진입 후, 객체 아이콘 그룹을 드래그 하던 드래그 입력(1410)과는 별도로 스크롤을 위한 스크롤 입력(1420)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스크롤 입력(1420)은 도 14(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방향으로 스크롤되며, 제3 화면(1305)에 포함된 객체 아이콘들은 상기 스크롤 입력 방향으로 스크롤된다.
한편, 도 9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60)는 상기 스크롤 모드에서 임의의 객체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터치 입력이 발생한 객체 아이콘을 실행한다. 즉, 제어부(160)는 상기 객체 아이템이 어플리케이션이라면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객체 아이템이 폴더라면 폴더에 진입하여 해당 폴더에 포함된 파일, 하위 폴더 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 개의 객체 아이템들을 제1 설정 간격으로 배치된 하나의 객체 아이콘 그룹으로 구성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설정 간격으로 표시된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 감지 시,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을 구성하는 각각의 객체 아이템들을 제2 설정 간격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무선 통신부 120 : 오디오 처리부
130 : 터치스크린부 131 : 터치 센서부
132 : 표시부 140 : 입력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161 : 객체 아이템 그룹화 제어부
162 : 객체 아이템 표시 제어부

Claims (24)

  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2 이상의 객체 아이템들이 제1 설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생성된 객체 아이템 그룹과, 적어도 하나의 객체 아이템을 제1 화면에 표시하는 제1 표시 단계; 및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대한 표시 입력 수신 시,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객체 아이템 각각을 제2 설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표시하는 제2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단계 이전에 객체 아이템 그룹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 생성 단계는,
    임의의 객체 아이템에 대한 선택 입력이 감지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객체 아이템이 드래그(drag) 되어, 상기 선택된 객체 아이템 이외의 객체 아이템 또는 객체 아이템 그룹이 표시된 위치에 드롭(drop) 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객체 아이템과, 상기 드롭 된 위치에 표시된 객체 아이템 또는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객체 아이템들을 제1 설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객체 아이템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 생성 단계는,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객체 아이템들을 파일(pile) 형상으로 적층하여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입력이 터치 입력인 경우, 상기 제2 표시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 수신 시 제2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객체 아이템들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객체 아이템들을 상기 제2 화면에 제2 설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에 제2 설정간격으로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화면에 파일(pile) 형상으로 상하로 적층되어 객체 아이콘 그룹을 구성하는 객체 아이콘들을, 상측 방향부터 하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제2 화면으로 이동시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에 제2 설정간격으로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 아이템들을 격자 형상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입력이 드래그(drag) 입력인 경우,
    상기 제2 설정 간격은 소정의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단계는,
    상기 드래그 입력 수신 시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객체 아이템들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객체 아이템들을 상기 드래그 입력 방향 또는 드래그 입력 반대 방향 중 적어도 한쪽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며 연장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시켜 표시하는 단계는,
    연속하여 배치된 객체 아이템들이 서로 부착된 상태로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하여 배치된 객체 아이템들은,
    임의의 객체 아이템의 하(下 )면과, 상기 객체 아이템에 연속하여 배치된 객체 아이템의 상(上)면이 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방법은,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객체 아이템들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여 연장된 경우, 스크롤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스크롤 입력 수신 시, 상기 객체 아이템들을 스크롤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모드 진입 단계는,
    제3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객체 아이템들을 상기 제3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화면의 상단은 상기 휴대 단말기 표시부의 최상단에 접하며, 상기 제3 화면의 하단은 상기 휴대 단말기 표시부의 최하단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13.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2 이상의 객체 아이템들이 제1 설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생성된 객체 아이템 그룹과, 적어도 하나의 객체 아이템을 제1 화면에 표시하는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대한 표시 입력 수신 시,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객체 아이템 각각을 제2 설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객체 아이템에 대한 선택 입력 감지 후 상기 선택된 객체 아이템이 드래그(drag) 되어 상기 선택된 객체 아이템 이외의 객체 아이템 또는 객체 아이템 그룹이 표시된 위치에 드롭(drop)됨을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객체 아이템과 상기 드롭 된 위치에 표시된 객체 아이템 또는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객체 아이템들을 제1 설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객체 아이템 그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객체 아이템들을 파일(pile) 형상으로 적층하여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입력이 터치 입력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 수신 시 제2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객체 아이템들을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객체 아이템들을 상기 제2 화면에 제2 설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면에 파일(pile) 형상으로 상하로 적층되어 객체 아이콘 그룹을 구성하는 객체 아이콘들을, 상측 방향부터 하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제2 화면으로 이동시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 아이템들을 격자 형상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입력이 드래그(drag) 입력인 경우,
    상기 제2 설정 간격은 소정의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입력 수신 시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객체 아이템들을 확인하는 단계고, 상기 확인된 객체 아이템들을 상기 드래그 입력 방향 또는 드래그 입력 반대 방향 중 적어도 한쪽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며 연장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연속하여 배치된 객체 아이템들이 서로 부착된 상태로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며 연장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하여 배치된 객체 아이템들은,
    임의의 객체 아이템의 하(下 )면과, 상기 객체 아이템에 연속하여 배치된 객체 아이템의 상(上)면이 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객체 아이템들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여 연장된 경우 스크롤 모드로 진입하고, 스크롤 입력 수신 시 상기 객체 아이템들을 스크롤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 모드 진입 시, 상기 객체 아이템 그룹에 포함된 객체 아이템들을 제3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제3 화면의 상단은 상기 휴대 단말기 표시부의 최상단에 접하며, 상기 제3 화면의 하단은 상기 휴대 단말기 표시부의 최하단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장치.


KR1020100125920A 2010-12-10 2010-12-10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762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920A KR101762611B1 (ko) 2010-12-10 2010-12-10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CA2818552A CA2818552A1 (en) 2010-12-10 2011-12-08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screens on the touch screen of a mobile device
JP2013543099A JP6084930B2 (ja) 2010-12-10 2011-12-08 タッチスクリーンを具備した携帯端末機の画面表示方法及び装置
RU2013126417/08A RU2604329C2 (ru) 2010-12-10 2011-12-08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экранов на сенсорном экране моби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AU2011339167A AU2011339167B2 (en) 2010-12-10 2011-12-08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screens on the touch screen of a mobile device
US13/314,306 US9405454B2 (en) 2010-12-10 2011-12-08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screens on the touch screen of a mobile device
BR112013016561-8A BR112013016561B1 (pt) 2010-12-10 2011-12-08 método e aparelho para exibir a tela de um terminal móvel com tela sensível ao toque
CN201180059158.0A CN103262016B (zh) 2010-12-10 2011-12-08 用于将屏幕显示在移动装置的触摸屏上的方法和装置
PCT/KR2011/009450 WO2012077985A2 (en) 2010-12-10 2011-12-08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screens on the touch screen of a mobile device
MYPI2013700762A MY165360A (en) 2010-12-10 2011-12-08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Screens on the Touch Screen of a Mobile Device
EP11192747.1A EP2463768B1 (en) 2010-12-10 2011-12-09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screens on the touch screen of a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920A KR101762611B1 (ko) 2010-12-10 2010-12-10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752A true KR20120064752A (ko) 2012-06-20
KR101762611B1 KR101762611B1 (ko) 2017-07-28

Family

ID=4544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920A KR101762611B1 (ko) 2010-12-10 2010-12-10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405454B2 (ko)
EP (1) EP2463768B1 (ko)
JP (1) JP6084930B2 (ko)
KR (1) KR101762611B1 (ko)
CN (1) CN103262016B (ko)
AU (1) AU2011339167B2 (ko)
BR (1) BR112013016561B1 (ko)
CA (1) CA2818552A1 (ko)
MY (1) MY165360A (ko)
RU (1) RU2604329C2 (ko)
WO (1) WO201207798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7938A (ko) * 2012-10-15 2014-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
US10254932B2 (en) 2013-05-03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selecting item of portab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46975A1 (en) * 2012-03-15 2013-09-19 Chandar Kumar Oddiraju Gesture group selection
JP5502943B2 (ja) * 2012-06-29 2014-05-28 楽天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認証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D733752S1 (en) * 2012-11-23 2015-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KR20140087731A (ko) * 2012-12-31 2014-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CN103513866B (zh) * 2013-04-27 2016-12-28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面形信息体集合的显示方法、装置及移动设备
USD731540S1 (en) * 2013-05-01 2015-06-09 Sears Brands,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icon
US11188192B2 (en) * 2013-07-12 2021-11-30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side menus
TWI669652B (zh) * 2013-07-12 2019-08-21 日商新力股份有限公司 資訊處理裝置、資訊處理方法及電腦程式
USD751601S1 (en) * 2013-09-03 2016-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portion with icon
USD741911S1 (en) * 2013-11-01 2015-10-27 Yokogawa Electric Corporation Portion of display screen with an icon
JP5737380B1 (ja) * 2013-12-27 2015-06-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5138416A (ja) * 2014-01-22 2015-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238876A (zh) * 2014-08-29 2014-12-24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智能终端及其应用程序图标的显示方法
WO2016035800A1 (ja) * 2014-09-05 2016-03-10 Necソリューションイノベータ株式会社 オブジェクト管理装置、思考支援装置、オブジェクト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6122354A (ja) * 2014-12-25 2016-07-07 セイコ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数値入力装置、数値入力方法、および数値入力プログラム
CN104657036B (zh) * 2015-01-20 2017-11-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控件显示方法和装置
CN104820538B (zh) * 2015-05-18 2018-05-2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相册的打开方法及系统
USD775205S1 (en) * 2015-07-27 2016-12-27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icon
USD775667S1 (en) * 2015-07-27 2017-01-03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icon
USD774091S1 (en) * 2015-07-27 2016-12-13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icon
GB2541730B (en) * 2015-08-28 2020-05-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 elements on a touch screen
USD789987S1 (en) * 2016-03-03 2017-06-20 Usm Holding Ag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CN106294748A (zh) * 2016-08-10 2017-01-04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桌面文件夹的展示方法以及终端
CN108399002B (zh) * 2017-02-07 2020-10-16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文件夹切换方法及装置
USD866597S1 (en) * 2017-02-23 2019-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CN109213413A (zh) * 2017-07-07 2019-01-1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推荐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D909411S1 (en) * 2018-11-01 2021-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0193196B (zh) * 2019-04-22 2020-09-08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游戏对象控制方法及装置
US11194471B1 (en) 2021-01-28 2021-12-07 Honda Motor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control based on touch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969093A (en) * 1992-04-30 1993-11-29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zing information in a computer system
US5751283A (en) * 1996-07-17 1998-05-12 Microsoft Corporation Resizing a window and an object on a display screen
US6915490B1 (en) * 2000-09-29 2005-07-05 Apple Computer Inc. Method for dragging and dropping between multiple layered windows
JP3574119B2 (ja) * 2002-05-14 2004-10-06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ネットワークゲームシステム、ビデオゲーム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7548858B2 (en) * 2003-03-05 2009-06-1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audible rendering of data to a user based on user input
US7650575B2 (en) * 2003-03-27 2010-01-19 Microsoft Corporation Rich drag drop user interface
US20050066292A1 (en) 2003-09-24 2005-03-24 Xerox Corporation Virtual piles desktop interface
US20110208732A1 (en) * 2010-02-24 2011-08-25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rganizing data items
JP4134145B2 (ja) * 2005-11-02 2008-08-13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ブック装置
KR100715832B1 (ko) 2005-11-30 2007-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탐색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US8296684B2 (en) * 2008-05-23 2012-10-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avigating among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US8683362B2 (en) * 2008-05-23 2014-03-25 Qualcomm Incorporated Card metaphor for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KR20070107892A (ko) 2006-05-04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폴더내용 관리방법
TW200823739A (en) 2006-11-22 2008-06-01 Ulead Systems Inc Method for displaying digital items
US7844915B2 (en) * 2007-01-07 2010-11-30 Apple Inc.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scrolling operations
US8667418B2 (en) * 2007-06-08 2014-03-04 Apple Inc. Object stack
US9513765B2 (en) 2007-12-07 2016-12-06 Sony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sliding object arrangement method and system
JP4557058B2 (ja) * 2007-12-07 2010-10-0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表示端末、情報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42111B1 (ko) 2008-04-28 2014-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및 휴대 단말기
KR20090129041A (ko) 2008-06-12 2009-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5500855B2 (ja) 2008-07-11 2014-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00010302A (ko) * 2008-07-22 2010-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방법
JP5100556B2 (ja) 2008-07-30 2012-12-1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JP4720878B2 (ja) 2008-08-29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683390B2 (en) 2008-10-01 2014-03-25 Microsoft Corporation Manipulation of objects on multi-touch user interface
KR101586627B1 (ko) 2008-10-06 2016-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터치를 이용한 리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US8762885B2 (en) * 2008-12-15 2014-06-2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Three dimensional icon stacks
JP4655147B2 (ja) * 2008-12-26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と地図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762883B2 (en) * 2009-01-30 2014-06-24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anipulation of window controls in a popup window
JP5315111B2 (ja) * 2009-03-31 2013-10-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端末装置、情報提示システム及び端末画面表示方法
KR20110004708A (ko) * 2009-07-08 201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2470983A1 (en) * 2009-08-25 2012-07-04 Google, Inc. Direct manipulation gestures
DE102010021343A1 (de) * 2009-09-04 2011-03-10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reitstellen von Informationen in einem Fahrzeug
KR101674205B1 (ko) * 2009-10-27 2016-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아이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20110193785A1 (en) * 2010-02-08 2011-08-11 Russell Deborah C Intuitive Grouping and Viewing of Grouped Objects Using Touch
US9323442B2 (en) * 2010-09-30 2016-04-26 Apple Inc. Managing items in a user interfa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7938A (ko) * 2012-10-15 2014-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
US10254932B2 (en) 2013-05-03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selecting item of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502740A (ja) 2014-02-03
US20120147057A1 (en) 2012-06-14
CN103262016A (zh) 2013-08-21
BR112013016561A2 (pt) 2016-09-27
RU2013126417A (ru) 2014-12-20
EP2463768A2 (en) 2012-06-13
EP2463768B1 (en) 2020-07-22
CA2818552A1 (en) 2012-06-14
MY165360A (en) 2018-03-21
AU2011339167B2 (en) 2016-07-14
JP6084930B2 (ja) 2017-02-22
KR101762611B1 (ko) 2017-07-28
WO2012077985A3 (en) 2012-10-11
BR112013016561B1 (pt) 2021-06-08
RU2604329C2 (ru) 2016-12-10
CN103262016B (zh) 2017-10-27
WO2012077985A2 (en) 2012-06-14
AU2011339167A1 (en) 2013-05-30
EP2463768A3 (en) 2014-01-22
US9405454B2 (en) 201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611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US1163586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6155517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RU2604990C2 (ru) Способ действия терминала на основе множественных вводов и поддерживающий его портативный терминал
US97667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KR101888457B1 (ko)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970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174491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た携帯端末機の画面表示方法及び装置
US93234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of item
KR20130039586A (ko) 터치 디바이스의 잠금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30007956A (ko)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63991B1 (ko) 휴대 단말기의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
CN103631515A (zh) 缩放显示方法和设备
KR20160141838A (ko) 확장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표시
KR20140036576A (ko) 카테고리 디스플레이를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10338877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KR101485791B1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제어 방법
KR20160144445A (ko) 확장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표시, 마일스톤, 및 스토리라인
KR101352506B1 (ko) 단말 장치에서의 아이템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단말 장치
KR101874898B1 (ko) 휴대 단말기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