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7731A - 포터블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포터블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7731A
KR20140087731A KR1020120158325A KR20120158325A KR20140087731A KR 20140087731 A KR20140087731 A KR 20140087731A KR 1020120158325 A KR1020120158325 A KR 1020120158325A KR 20120158325 A KR20120158325 A KR 20120158325A KR 20140087731 A KR20140087731 A KR 20140087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touch screen
icons
gesture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8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7731A/ko
Priority to US13/785,526 priority patent/US9110566B2/en
Publication of KR20140087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Abstract

포터블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복수개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터치 화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스처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감지된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이면, 상기 아이콘 재배치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여 상기 복수개의 아이콘 그룹 중 적어도 두 개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의 위치가 아래로 이동되어 상기 터치 화면에 재배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터블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user interface}
본 명세서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사용자가 한 손으로 조작하기 위한 포터블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터블 디바이스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edia Player), 전자책(E-book) 단말기,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스마트 폰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대부분의 포터블 디바이스는 회로 기판의 돔 스위치에 연동되는 키패드의 누름 압력에 따라 구동되는 기계적 터치에서부터 정전용량, 전자유도, 저항막, NFI(Near Field Imaging), 초음파 또는 적외선 등을 활용한 화면(screen) 터치와 같은 다양한 입력 수단에 의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다양한 아이콘을 선택하여 실행시키고 있다.
특히, 터치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각종 기능에 해당하는 복수의 메뉴를 아이콘 형태로 터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이들 중 사용자가 특정 기능의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해당 기능이 실행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의 크기에 따라 사용자는 한 손으로 해당 포터블 디바이스를 쥐고 특정 손가락(예,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해당 포터블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즉, 화면 상의 원하는 아이콘으로 엄지 손가락을 이동시킨 후 그 아이콘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포터블 디바이스의 화면 크기 또는 사용자의 손의 크기나 엄지 손가락의 길이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를 한 손으로 쥔 상태에서 해당 손의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된 모든 아이콘을 선택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화면에 표시된 일부 아이콘에 엄지 손가락이 닿지 않아 한 손 조작이 어렵게 된다. 특히 포터블 디바이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의 화면 크기가 커짐에 따라 사용자의 한 손 조작은 더 힘들어진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다른 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해당 아이콘을 선택하거나 아니면 해당 포터블 디바이스의 위치를 변경한 후 특정 손가락을 이용하여 아이콘을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특히 양손이 비어있지 않아 한쪽 손으로만 포터블 디바이스를 조작해야 할 경우 사용자의 불편함은 더욱 커진다.
본 명세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의 목적은 포터블 디바이스를 사용자가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특정 제스처를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재배치시킴으로써,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를 사용자가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는 복수개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터치 화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스처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감지된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이면, 상기 아이콘 재배치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여 상기 복수개의 아이콘 그룹 중 적어도 두 개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의 위치가 아래로 이동되어 상기 터치 화면에 재배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이 재배치된 터치 화면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제1 영역에 포함된 각 아이콘의 크기는 제2 영역에 포함된 각 아이콘의 크기보다 작고, 재배치 전의 터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의 개수와 재배치 후의 터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의 개수는 동일한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아이콘 그룹 사이에서 터치 화면이 접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터치 화면의 접는 모양에 연동되어 상기 복수개의 아이콘 그룹 중 두 개 이상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의 위치를 아래로 이동시켜 상기 터치 화면에 재배치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두 개 이상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의 이동 거리는 상기 터치 화면이 접혀져 줄어드는 길이와 상기 터치 화면이 접히는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비례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터치 화면의 접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터치 화면의 접히지 않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를 위해 사용된 사용자의 손가락 높이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감지된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를 위해 사용된 사용자의 손가락 모양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감지된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를 위해 사용된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터치 화면 내 미리 설정된 기준 라인을 넘으면 상기 감지된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라고 최종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를 한 손으로 쥐고, 그 손의 손가락으로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를 입력하면, 상기 감지된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라고 최종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혀진 터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그 기능이 수행되고 나면, 아이콘 재배치 해제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여 상기 접혀진 터치 화면과 재배치된 아이콘들을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해제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이면, 상기 아이콘 재배치 해제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여 상기 접혀진 터치 화면과 재배치된 아이콘들을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혀진 터치 화면에서 감지된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이면, 상기 아이콘 재배치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여 상기 복수개의 아이콘 그룹 중 다른 두 개의 아이콘 그룹 사이에서 상기 터치 화면이 접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서, 상기 터치 화면의 접히는 모양에 연동되어 상기 복수개의 아이콘 그룹 중 두 개 이상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의 위치를 아래로 이동시켜 상기 터치 화면에 재배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아이콘 그룹이 터치 화면에서 멀어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터치 화면의 멀어지는 모양에 연동되어 상기 복수개의 아이콘 그룹 중 한 개 이상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의 위치를 아래로 이동시켜 상기 터치 화면에 재배치하는 것을 다른 실시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터치 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의 위치를 재배치하기 위한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스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이면, 상기 복수개의 아이콘 그룹 중 적어도 두 개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의 위치를 아래로 이동시켜 상기 터치 화면에 재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이 재배치된 터치 화면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제1 영역에 포함된 각 아이콘의 크기는 제2 영역에 포함된 각 아이콘의 크기보다 작고, 재배치 전의 터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의 개수와 재배치 후의 터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의 개수는 동일한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명세서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터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미리 설정된 터치 제스처를 기반으로 터치 화면 내에서 이동시켜 재배치함으로써, 한 손으로 포터블 디바이스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면 아이콘이 배치된 터치 화면을 가로 방향으로 접히는 모양이 되도록 변경하면서 동시에 접는 모양에 연동되어 아이콘들을 터치 화면 상에서 아래로 이동시켜 재배치함으로써,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한 손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 중 스마트 폰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폰의 정면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3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콘 재배치를 위한 터치 제스처를 확인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4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콘 재배치를 위한 터치 제스처를 확인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5의 (a) 내지 도 5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콘 재배치를 위한 터치 제스처를 확인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화면이 접히는 모양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화면을 액티브 영역과 비액티브 영역으로 구분하는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의 정면도, 좌측 측면도 및 우측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왼손을 이용하여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 검출부가 검출한 터치 지점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왼손을 이용하여 스마트 폰을 쥐고 그 손의 손가락으로 터치 화면을 터치하는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한 손 조작 시 멀티 터치 검출부가 검출한 터치 지점을 보인 도면,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면 아이콘이 배치된 터치 화면을 가로 방향으로 접히는 모양이 되도록 변경되면서, 접는 모양에 연동되어 아이콘들을 터치 화면 상에서 재배치하는 데 있다. 즉, 아이콘이 배치된 터치 화면이 가로 방향으로 접히는 형태가 될 때 그 화면의 아이콘들도 함께 아래로 당겨지면서 재배치된다. 이때 아이콘들이 이동함에 따라 해당 아이콘들의 위치 정보도 변경된다.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터치 화면 상에서 손가락을 구부렸다가 펴는 동작 즉, 손가락을 뻗는 동작을 입력하면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로 인식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는 상기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반대로 손가락을 편 상태에서 구부리면 즉, 손가락을 위에서 아래로 당기는 터치 제스처를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는 상기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터치 제스처는 터치 화면과 사용자의 신체(예,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과의 직접적인 접촉(contact)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터치 제스처는 터치 화면에 직접 접촉하여 혹은 근접하게 접근하여 포터블 디바이스가 감지 가능하게 하는 모든 종류의 사용자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 화면에 직접 터치하지 않고 비접촉식으로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 이를 호버링 제스처라 하기도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화면 상에서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면, 손가락의 높이 변화와 손가락의 모양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여 아이콘 재배치 명령인지를 판단하고, 아이콘 재배치 명령으로 판단되면 터치 화면을 가로 방향으로 접는 형태로 변경하면서 상기 터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일부의 아이콘들을 터치 화면 상에서 아래로 당겨 재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양한 포터블 디바이스 중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명세서는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본 명세서는 스마트 폰을 포함한 모든 포터블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스마트 폰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폰(100)은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스마트 폰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스마트 폰(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스마트 폰(100)과 스마트 폰(100)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방송국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스마트 폰에 송신하는 서버나 방송국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MH(Mobile and Handheld), NGH(Next Generation Handheld)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스마트 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스마트 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비디오 신호는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고, 오디오 신호는 마이크(122)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스마트 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가지는 터치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입력부(130)가 디스플레이(151)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스타일러스(Stylus) 펜, 사용자의 팜 또는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도록 설계되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에 포한됨 터치 센서의 센싱 결과에 따라, 터치된 영역의 위치, 모양(shape) 또는 크기 (siz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스마트 폰(100)의 개폐 상태, 스마트 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스마트 폰의 방위, 스마트 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스마트 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스마트 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센싱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자이로스코프(gyroscope)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51)는 스마트 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이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스마트 폰(100)이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51)는 일부에 대한 점등 또는 소등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51)에 포함된 발광소자 단위로 점등 또는 소등이 가능하고, 소정의 화면 영역과 연관된 발광소자들을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화면 영역과 연관된 발광소자는 상기 소정의 화면 영역에 광을 비추는 발광소자 또는 상기 소정의 화면 영역과 연관된 위치에 위치하는 발광소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발광소자는 OLED 소자일 수 있다. 또한 화면 영역을 점등한다는 것은 해당 화면 영역과 연관된 발광소자를 발광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화면 영역의 밝기를 조절한다는 것은 해당 화면 영역과 연관된 발광소자의 밝기 또는 휘도를 조절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51)는 발광소자 단위로 전원 인가 또는 전원 인가량을 조절하여 발광소자를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고, 발광소자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스마트 폰 바디의 디스플레이(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스마트 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스마트 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화면'이라 함)에, 상기 디스플레이(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화면은 디스플레이(151)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터치 센서는 사용자 입력부(13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화면에 의해 감싸지는 스마트 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화면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화면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손가락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화면(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과 같이 터치, 근접 터치, 터치 제스쳐(gesture)를 수행할 수 있는 물리적 수단을 포인터라 칭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화면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화면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또는 비접촉식이라 함)"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 화면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 화면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화면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화면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스마트 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람부(153)는 스마트 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스마트 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상기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151)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151), 음향 출력 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상기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상기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치,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햅틱 모듈(154)은 스마트 폰(100)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 화면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1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스마트 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스마트 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스마트 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별 모듈은 스마트 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스마트 폰(1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스마트 폰(100)이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스마트 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스마트 폰(100)으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스마트 폰(200)이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스마트 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상기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 조치(action)를 감지하고 감지한 사용자 조치에 기초하여 스마트 폰(100)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조치는 디스플레이 기기 또는 리모컨의 물리적인 버튼의 선택, 터치 화면 상의 소정의 터치 제스처의 실시 또는 소프트 버튼의 선택 및 카메라(121)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인식되는 소정의 공간 제스처의 실시 및 마이크(122)가 수신한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에 의해 인식되는 소정의 발성의 실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 조치를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로 해석할 수 있다. 해석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스마트 폰(100)의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스마트 폰(100)의 컴포넌트들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 및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화면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도 1과 같은 스마트 폰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면 아이콘이 배치된 터치 화면을 가로 방향으로 접히는 모양이 되도록 변경함으로써, 접는 모양에 연동되어 해당 아이콘들을 아래로 이동시켜 재배치하는 데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1의 스마트 폰에서 사용자의 한 손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본 명세서는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스마트 폰을 쥔 상태에서 그 손의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폰의 터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터치 화면의 크기나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 길이에 따라 터치 화면에 표시된 일부 아이콘이 엄지 손가락에 닿지 않아 엄지 손가락으로 터치가 안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면, 엄지 손가락이 닿지 않는 위치에 있는 아이콘들을 엄지 손가락이 닿는 범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스마트 폰의 정면도로서,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감싸고 있는 베젤부(250)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화면에는 복수개의 아이콘들이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베젤부(250)에는 카메라, 취소 버튼, 제조업 로고 등이 장착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화면에 가로 방향으로 4개의 아이콘들이 각각 배치되어 있고, 세로 방향으로 5개의 아이콘들이 각각 배치되어 있는 예를 보이고 있다. 본 명세서는 도 2의 터치 화면의 아이콘들을 제1 내지 제5 아이콘 그룹(201~205)으로 구분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즉 하나의 아이콘 그룹은 하나의 로우에 배치된 아이콘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아이콘 그룹의 개수, 각 아이콘 그룹에 포함되는 아이콘들의 개수, 터치 화면에 표시되는 전체 아이콘의 개수는 스마트 폰의 종류, 사용자의 선택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2의 아이콘 배치 구조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는 도 2의 터치 화면에서 제5 아이콘 그룹(205)에 포함된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스마트 폰을 쥔 손의 엄지 손가락에 닿지 않는다고 가정하자.
이때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여 터치 화면의 아이콘들의 위치를 재배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터치 화면 상에서 손가락을 구부렸다가 펴는 동작 즉, 손가락을 뻗는 동작이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로 미리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터치 화면 상에서 손가락을 구부렸다가 펴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면, 이러한 터치 제스처는 근접 센서(141)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부(180)로 출력된다.
본 명세서에 따른 근접 센서(141)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초음파 센서, 이미지 센서(또는 픽셀 센서라 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손가락의 접촉 동작을 감지하는 접촉 동작 모드 및 손가락의 비접촉 상태의 근접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근접 터치 모드 동작에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근접 터치 감지 방법은 초음파 센서를 화면 에지의 여러 위치에 장착하는 방식, 적외선 방식, 멀티 포인팅용 커패시티브 터치 센서를 사용하는 방식, 화면 위를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 방식, 정전용량 방식 등의 기존에 알려진 여러 기술들을 적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적외선 방식은 적외선 LED를 이용하여 적외선을 방사하고, 감지 대상(즉 손가락)에 맞고 돌아오는 적외선 반사광의 양 또는 반사광이 집중되는 위치를 측정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반사량은 거리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반사량이 많으면, 센서와 손가락과의 거리는 가까운 것이고, 반사량이 적으면, 센서와 손가락과의 거리는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정전용량 방식은 터치를 감지하는 센서들을 가로 세로로 교차시키고, 가로 세로에 순차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고, 센서에는 전하가 유도되어 전류가 흐르게 한다. 사람의 손은 전하를 끌어가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손가락이 교차점에 접촉되면, 손실된 전하만큼 전류가 감소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접촉 지점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정전용량 방식에서는 터치 화면에 손가락과 같은 물체가 접근하는 경우 센서의 정전용량이 증가하며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증가량은 커진다. 다시 말해, 상기 터치 화면이 정전용량 방식인 경우에는 손가락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손가락의 근접을 검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각 픽셀마다 카메라가 장착된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 화면에 근접하는 엄지 손가락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 방식에서는 터치 화면에 손가락과 같은 물체가 접촉하는 경우 이를 촬영하여 3차원 영상으로 만들어낼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엄지 손가락의 모양 등을 알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근접 센서(141)에서 감지된 터치 제스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의 높이 변화와 손가락의 모양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여 상기 근접 센서(141)에 의해 감지된 터치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제1 실시예로,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 끝과 터치 화면 사이의 높이(또는 길이) 변화를 측정하여,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임을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제2 실시예로,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의 모양 변화를 측정하여,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임을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제3 실시예로,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제스처가 제2 실시예 또는 제3 실시예를 통해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로 판단되더라도, 이때의 엄지 손가락이 터치 화면 내 기준 라인을 넘어서는 경우에만 최종적으로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임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이는 아이콘 재배치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때 기준 라인의 위치는 미리 고정시킬 수도 있고,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쥔 위치에 따라 또는 스마트 폰을 쥔 손에 따라 변경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 폰의 아래쪽을 쥐게 되면 기준 라인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위쪽으로 쥐게 되면 기준 라인을 위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의 (a), (b)는 본 명세서에 따른 아이콘 재배치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즉, 사용자가 도 3의 (a)와 같이 터치 화면 상에서 비접촉식으로 엄지 손가락을 구부렸다가 도 3의 (b)와 같이 엄지 손가락을 펴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할 때, 이러한 터치 제스처는 근접 센서(141)에서 감지되어 상기 제어부(180)로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 끝과 터치 화면 사이의 높이 변화를 측정한다. 이때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 끝과 터치 화면 사이의 높이가 도 3의 (a)의 261, 도 3의 (b)의 262에서와 같이 순차적으로 높아지고, 그 길이가 길어지면 손가락을 뻗은 것으로 인식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제스처는 아이콘 재배치 명령이라고 판단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과 터치 화면 사이의 높이는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을 구부렸을 때(261)와 손가락을 폈을 때(262) 각각 측정할 수도 있고, 엄지 손가락을 구부렸다 펴는 동안 여러 위치에서 측정할 수도 있다.
도 4의 (a), (b)는 본 명세서에 따른 아이콘 재배치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즉, 사용자가 도 4의 (a)와 같이 터치 화면 상에서 비접촉식으로 엄지 손가락을 구부렸다가 도 4의 (b)와 같이 엄지 손가락을 펴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할 때, 이러한 터치 제스처는 근접 센서(141)에서 감지되어 상기 제어부(180)로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모양 변화를 측정한다.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의 모양이 도 4의 (a)의 271에서처럼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내려오는 곡선 형태에서 도 4의 (b)의 272에서처럼 합집합 기호와 유사한 모양을 갖는 긴 타원형 형태로 변경되면 사용자가 손가락을 뻗은 것으로 인식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제스처는 아이콘 재배치 명령이라고 판단한다.
도 5의 (a) 내지 도 5의 (c)는 본 명세서에 따른 아이콘 재배치 명령을 인식하는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즉, 도 3의 (a), (b)의 제1 실시예 및/또는 도 4의 (a), (b)의 제2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더라도, 이때의 엄지 손가락의 끝이 기준 라인을 넘어설때에만 최종적으로 아이콘 재배치 명령이라고 결정한다. 다시 말해, 엄지 손가락의 끝이 기준 라인을 넘어서지 않으면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제스처가 미리 설정하여 저장된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한다고 하더라도, 아이콘 재배치 명령이라고 결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기준 라인의 위치는 미리 고정시킬 수도 있고,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쥔 위치에 따라 또는 스마트 폰을 쥔 손에 따라 변경시킬 수도 있다. 또한 기준 라인은 도 5의 (a) 내지 (c)와 같이 터치 화면에서 가로 방향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대각선 방향은 스마트 폰을 쥔 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라고 판단되면, 아이콘 재배치 명령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1)로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제어부(180)로부터 아이콘 재배치 명령이 수신되면, 아이콘이 배치된 터치 화면을 가로 방향으로 접히는 모양이 되도록 변경하면서 접히는 모양에 연동시켜 일부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을 아래로 이동시킴에 의해 그 아이콘들의 위치를 변경한다. 즉, 종이를 가로 방향으로 접으면 종이의 세로 길이가 줄어들듯이 터치 화면을 가로 방향으로 접으면 터치 화면의 세로 길이도 줄어든다. 이때 아이콘들이 아래로 이동하는 거리는 터치 화면이 접혀져 줄어드는 길이에 비례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그리고 터치 화면이 접혀져 줄어드는 길이는 터치 화면이 접히는 각도에 비례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아이콘들이 아래로 이동하더라도 터치 화면 내에 원래 있던 아이콘들이 모두 표시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는 접힌 영역에 재배치되는 아이콘들의 크기는 원래 아이콘의 크기보다 작게 표시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그리고 접힌 영역에 재배치되는 아이콘의 모양도 터치 화면이 접히는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6a는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을 뻗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였을 때 터치 화면이 가로 방향으로 접히면서 그 화면에 있는 아이콘들도 접힘 모양에 연동되어 아래로 이동되어 재배치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이때 터치 화면은 도 6a 또는 도 6b와 같이 제1 아이콘 그룹(201)과 제2 아이콘 그룹(202) 사이가 접힐 수도 있고, 도 6c와 같이 제2 아이콘 그룹(202)과 제3 아이콘 그룹(203) 사이가 접힐 수도 있으며, 도 6d와 같이 제3 아이콘 그룹(203)과 제4 아이콘 그룹(204) 사이가 접힐 수도 있다. 터치 화면이 접히는 위치는 터치 화면의 크기, 터치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들의 개수 및 배치 모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터치 화면이 접히는 위치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는 손가락의 터치 화면 내 위치, 손가락 끝과 터치 화면 사이의 높이,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는 손가락의 모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터치 화면이 접히는 각도에 따라 터치 화면의 아이콘들이 이동하는 거리도 달라진다. 즉, 터치 화면이 접히는 각도가 낮을수록 아이콘들의 이동 거리는 짧아지고, 터치 화면이 접히는 각도가 높을수록 아이콘들의 이동 거리는 길어진다.
일 예로, 도 6b와 같이 제1 아이콘 그룹(201)과 제2 아이콘 그룹(202) 사이에서 터치 화면이 접히면, 제1 내지 제5 아이콘 그룹(201~205)의 아이콘들이 접히는 터치 화면과 연동되어 아래로 이동하면서 제1 아이콘 그룹(201)과 제2 아이콘 그룹(202)에 포함된 아이콘들은 접힌 영역에 재배치되고, 제3 내지 제5 아이콘 그룹(203~205)에 포함된 아이콘들은 접히지 않은 영역에 재배치된다. 즉, 제1 내지 제5 아이콘 그룹(201~205)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아래로 이동하더라도 하나의 터치 화면에서 모든 아이콘들이 표시된다. 이 후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화면에서 접힌 영역을 제1 영역이라 하고, 접히지 않은 영역을 제2 영역이라 하기로 한다. 이때 제1 영역에 포함되는 제1, 제2 아이콘 그룹(201,202)의 아이콘들의 크기는 원래 아이콘 크기보다 작아지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며, 이때의 크기는 터치 화면이 접히는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에 포함되는 제1, 제2 아이콘 그룹(201,202)의 아이콘들의 모양도 터치 화면이 접히는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역에 포함되는 제3 내지 제5 아이콘 그룹(203~205)의 아이콘들의 모양 및 크기는 변경되지 않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접히지 않은 영역인 제2 영역에 위치한 아이콘들은 터치에 의해 그 기능을 수행하지만, 접힌 영역인 제1 영역에 위치한 아이콘들은 터치에 의해 그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 관계없이 터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들을 터치에 의해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 6c와 같이 제2 아이콘 그룹(202)과 제3 아이콘 그룹(203) 사이에서 터치 화면이 접히면, 제2 내지 제5 아이콘 그룹(202~205)의 아이콘들이 접히는 터치 화면과 연동되어 아래로 이동하면서 제2 아이콘 그룹(202)과 제3 아이콘 그룹(203)에 포함된 아이콘들은 제1 영역에 재배치되고, 제4 아이콘 그룹(204), 제5 아이콘 그룹(205)에 포함된 아이콘들은 제2 영역에 재배치된다. 여기서 제1 아이콘 그룹(201)은 제2 영역에 포함되며, 제1 아이콘 그룹(201)의 아이콘들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때 제1 영역에 포함되는 제2, 제3 아이콘 그룹(202,203)의 아이콘들의 크기는 원래 아이콘 크기보다 작아지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며, 이때의 크기는 터치 화면이 접히는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에 포함되는 제2, 제3 아이콘 그룹(202,203)의 아이콘들의 모양도 터치 화면이 접히는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역에 포함되는 제1, 제4, 제5 아이콘 그룹(201, 204, 205)의 아이콘들의 모양 및 크기는 변경되지 않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제2 영역에 위치한 아이콘들은 터치에 의해 그 기능을 수행하지만, 제1 영역에 위치한 아이콘들은 터치에 의해 그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 관계없이 터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들을 터치에 의해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6d와 같이 제3 아이콘 그룹(203)과 제4 아이콘 그룹(204) 사이에서 터치 화면이 접히면, 제3 내지 제5 아이콘 그룹(203~205)의 아이콘들이 접히는 터치 화면과 연동되어 아래로 이동하면서 제3 아이콘 그룹(203)과 제4 아이콘 그룹(204)에 포함된 아이콘들은 제1 영역에 재배치되고, 제5 아이콘 그룹(205)에 포함된 아이콘들은 제2 영역에 재배치된다. 여기서, 제1, 제2 아이콘 그룹(201,202)은 제2 영역에 포함되며, 제1, 제2 아이콘 그룹(201,202)의 아이콘들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때 제1 영역에 포함되는 제3, 제4 아이콘 그룹(203,204)의 아이콘들의 크기는 원래 아이콘 크기보다 작아지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며, 이때의 크기는 터치 화면이 접히는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에 포함되는 제3, 제4 아이콘 그룹(203,204)의 아이콘들의 모양도 터치 화면이 접히는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역에 포함되는 제1, 제2, 제5 아이콘 그룹(201, 202, 205)의 아이콘들의 모양 및 크기는 변경되지 않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제2 영역에 위치한 아이콘들은 터치에 의해 그 기능을 수행하지만, 제1 영역에 위치한 아이콘들은 터치에 의해 그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 관계없이 터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들을 터치에 의해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d에서 터치 화면은 바깥쪽으로 접히는 모양(예, ∧) 또는 안쪽으로 접히는 모양(예, ∨) 중 하나로 접힌다.
그리고 도 6a 내지 도 6d 중 어느 하나와 같이 터치 화면이 접히면서 제5 아이콘 그룹(205)의 아이콘들도 터치 화면에서 아래로 이동되어 재배치되므로, 사용자는 스마트 폰을 쥔 상태에서 그 손의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제5 아이콘 그룹(205)의 아이콘들을 터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는 다른 실시예로, 손가락을 구부렸다가 펴는 터치 제스처를 한번 더 입력하면, 터치 화면이 한번 더 접히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즉, 터치 화면이 두 번 접힌다. 예를 들어, 도 6a 내지 도 6d 중 어느 하나로 터치 화면이 접히면서 제5 아이콘 그룹(205)의 아이콘들도 화면 아래로 이동되어 재배치되었는데도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제5 아이콘 그룹(205)의 아이콘들에 닿지 않는다면, 사용자는 한번 더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도 6e는 도 6b와 같이 제1 아이콘 그룹(201)과 제2 아이콘 그룹(202) 사이가 접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였을 때 제2 아이콘 그룹(202)과 제3 아이콘 그룹(203) 사이 그리고 제3 아이콘 그룹(203)과 제4 아이콘 그룹(204) 사이에서 터치 화면이 더 접히는 예를 보이고 있다. 이때 제3 내지 제5 아이콘 그룹(203~205)의 아이콘들은 접히는 터치 화면에 연동되어 다시 한번 아래로 이동하면서 제1 내지 제4 아이콘 그룹(201~204)에 포함된 아이콘들은 접힌 영역인 제1 영역에 재배치되고, 제5 아이콘 그룹(205)에 포함된 아이콘들은 접히지 않은 영역인 제2 영역에 재배치된다. 즉, 제1 내지 제5 아이콘 그룹(201~205)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다시 한번 아래로 이동하더라도 하나의 터치 화면에서 모든 아이콘들이 표시된다. 이때 제1 영역에 포함되는 제3, 제4 아이콘 그룹(203,204)의 아이콘들의 크기는 원래 아이콘 크기보다 작아지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며, 이때의 크기는 터치 화면이 접히는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에 포함되는 제3, 제4 아이콘 그룹(203,204)의 아이콘들의 모양도 터치 화면이 접히는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내지 제4 아이콘 그룹(201~204)은 제1 영역에 포함되며, 제1 내지 제4 아이콘 그룹(201~204)의 아이콘들의 크기는 동일하며, 제2 영역에 포함되는 제5 아이콘 그룹(205)의 아이콘들의 크기보다는 작게 표시한다. 다른 예로, 제1, 제2 아이콘 그룹(201,202)의 아이콘의 크기는 제3, 제4 아이콘 그룹(203,204)의 아이콘 크기보다 더 작게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5 아이콘 그룹(205)에 포함된 아이콘들의 모양 및 크기는 변경되지 않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제2 영역에 위치한 아이콘들은 터치에 의해 그 기능을 수행하지만, 제1 영역에 위치한 아이콘들은 터치에 의해 그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 관계없이 터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들을 터치에 의해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는 다른 실시예로, 도 6의 (d)와 같이 제3 아이콘 그룹(203)과 제4 아이콘 그룹(204) 사이가 접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를 한번 더 입력하면, 제1 아이콘 그룹(201)과 제2 아이콘 그룹(202) 사이, 제2 아이콘 그룹(202)과 제3 아이콘 그룹(203) 사이에서 터치 화면을 한번 더 접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터치 화면이 접히는 회수는 터치 화면의 크기, 터치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와 같은 터치 화면에서 사용자는 특정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접히지 않은 영역에 위치한 특정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한편 본 명세서는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여 터치 화면이 접힌 상태에서 그 터치 제스처를 해제하더라도 터치 화면의 접힌 상태 및 아이콘 재배치 상태는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때 터치 화면 접힘의 해제는 여러 가지 실시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화면이 한번 이상 접힌 상태에서 특정 아이콘의 터치에 의해 해당 기능이 수행되고 나면 자동으로 터치 화면 접힘을 해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아이콘 재배치 해제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한 후, 사용자로부터 해당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터치 화면 접힘을 해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사용자로부터 아무런 조치(action)가 없으면 터치 화면 접힘을 해제할 수도 있다. 터치 화면 접힘이 해제되면, 도 2와 같이 정상적인 터치 화면으로 복귀한다. 여기서 아이콘 재배치 해제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는 아이콘 재배치 명령과 반대되는 터치 제스처 예를 들어, 손가락을 편 상태에서 구부리는 터치 제스처로 설정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는 터치 화면의 접힘이 위에서 아래로 이루어지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하였다. 다른 실시예로, 터치 화면의 접힘은 대각선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구부렸다가 펴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할 때 대각선 방향으로 입력하면 터치 화면의 접힘도 대각선 방향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엄지 손가락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위를 향해 구부렸다 펴면, 터치 화면의 접힘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아래를 향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반대도 가능하다.
한편 본 명세서의 디스플레이(151)는 여러 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계층(이하 배경 화면이라 함), 터치에 의해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계층(이하 터치 화면이라 함)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명세서는 아이콘들을 재배치하기 위해 배경 화면과 터치 화면을 함께 접을 수도 있고, 배경 화면은 그대로 유지시키고 터치 화면만 접을 수도 있다. 만일 터치 화면만 접는다면, 터치 화면을 특정 칼라로 표시하여 터치 화면의 접힘 상태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지금까지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터치 화면 상에서 비접촉식으로 아이콘 재배치 명령 또는 아이콘 재배치 해제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는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이며, 사용자는 터치 화면 상에서 접촉식으로 아이콘 재배치 명령 또는 아이콘 재배치 해제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을 터치 화면에 대고 위에서 아래로 당기면(또는 밀면)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로 인식하고, 그 반대로 하면 아이콘 재배치 해제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로 인식하게 할 수도 있다. 그 반대도 가능하다. 그리고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로 인식되었을 때 수행되는 동작은 도 6a 내지 도 6e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상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는 다른 실시예로,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터치 화면 내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이 터치 화면에서 아래로 이동하면서 멀어져 보이게 하는 UI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 아이콘 그룹(201,202)의 아이콘들이 터치 화면에서 아래로 이동하면서 멀어져 보이게 재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제2 아이콘 그룹(201,202)이 아래로 이동하는 정도, 멀어지는 정도에 비례하여 제3 내지 제5 아이콘 그룹(203~205)의 아이콘들도 터치 화면에서 아래로 이동하여 재배치된다. 그리고 제1, 제2 아이콘 그룹(201,202)의 아이콘들의 크기는 제3 내지 제5 아이콘 그룹(203~205)의 아이콘들의 크기보다 작게 표시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터치 화면에는 제1 내지 제5 아이콘(201~205)의 아이콘들이 모두 표시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아이콘들의 크기가 작게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이 포함되는 영역을 제1 영역이라 하고, 아이콘들의 크기가 변경되지 않는 데이터 그룹이 포함되는 영역을 제2 영역이라 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되지 않는 부분, 특히 제1, 제2 영역의 설명, 아이콘 재배치의 해제는 도 6a 내지 도 6e의 설명을 따른다.
본 명세서는 또 다른 실시예로,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터치 화면 내 적어도 두 개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을 아래로 이동시켜 재배치하면서 그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의 크기를 작게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4, 제5 아이콘 그룹(204,205)의 아이콘들을 아래로 이동시켜 재배치하면서 제4 아이콘 그룹(204)의 아이콘들의 크기를 작게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내지 제5 아이콘(201~205)의 아이콘들을 아래로 이동시켜 재배치하면서 제1 내지 제4 아이콘 그룹(201~204)의 아이콘들의 크기를 작게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아이콘들의 크기가 작게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이 포함되는 영역을 제1 영역이라 하고, 아이콘들의 크기가 변경되지 않는 데이터 그룹이 포함되는 영역을 제2 영역이라 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되지 않는 부분, 특히 제1, 제2 영역의 설명, 아이콘 재배치의 해제는 도 6a 내지 도 6e의 설명을 따른다.
본 명세서는 또 다른 실시예로, 터치 화면을 액티브 영역과 비액티브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7은 터치 화면을 액티브 영역(301)과 비액티브 영역(302)으로 구분한 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액티브 영역(301)은 스크롤이 가능한 영역으로서, 터치 화면을 접을 수 있는 영역이다. 또한 액티브 영역(301)의 아이콘들은 터치에 의해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비액티브 영역(302)은 터치나 스크롤이 불가능한 영역으로서, 상기 비액티브 영역(302)의 아이콘에 사용자의 손바닥이나 손가락이 닿아도 그 아이콘에 해당하는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다. 또한 화면 접힘도 수행되지 않는다. 즉, 액티브 영역(301)에 있는 아이콘들은 액티브 상태로 표시하고, 비액티브 영역(302)의 아이콘들은 비액티브 상태로 표시한다. 본 명세서는 일 예로, 제1, 제2 아이콘 그룹(201,202)의 아이콘들이 배치된 영역을 비액티브 영역(302)으로, 제3 내지 제5 아이콘 그룹(203~205)의 아이콘들이 배치된 영역을 액티브 영역(301)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화면의 접힘은 제3 아이콘 그룹(203)과 제4 아이콘 그룹(204)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명세서는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스마트 폰을 쥔 상태에서 그 손의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고, 터치 화면 접힘과 아이콘 재배치가 이루어진 터치 화면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본 명세서는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의 손가락들 중 어느 손가락이든 기 설정된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면 지금까지 설명한 터치 화면 접힘 및 아이콘 재배치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스마트 폰을 조작하면서 기 설정된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에만 터치 화면을 접으면서 아이콘들을 재배치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한 손으로 쥐고, 그 손의 손가락(예, 엄지 손가락)으로 기 설정된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에만 터치 화면을 접으면서 아이콘들을 재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왼손으로 스마트 폰을 쥐고 있다면, 왼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기 설정된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에만 터치 화면을 접으면서 아이콘들을 재배치할 수 있다. 반대로 오른손으로 스마트 폰을 쥐고 있다면, 오른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기 설정된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에만 터치 화면을 접으면서 아이콘들을 재배치할 수 있다.
이를 적용하려면,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어느 손으로 쥐었는지를 판단하고, 스마트 폰을 쥔 손의 손가락으로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어느 손으로 쥐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센싱부(140)에 멀티 터치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그리고 스마트 폰을 쥔 손의 손가락으로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한 실시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에 장착된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스마트 폰에 장착된 일반 카메라 등 카메라를 이용하여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는 손가락을 촬영하여 3D 형태로 만들어냄으로써,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는 손가락이 어느 손의 손가락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폰을 오른손으로 쥐었을 때의 오른손 손가락들의 모양 정보, 왼손 엄지 손가락들의 모양 정보, 스마트 폰을 왼손으로 쥐었을 때의 왼손 손가락들의 모양 정보, 오른손 손가락들의 모양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다른 예로, 어느 손가락으로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센싱부(140)의 근접 센서(141)를 스마트 폰의 베젤부(250)에 더 구비시키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명세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베젤부(250)에 구비된 근접 센서를 근접 검출부라 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따른 스마트 폰의 정면도, 좌측 측면도 및 우측 측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멀티 터치 검출부는 스마트 폰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멀티 터치 검출부는 상기 스마트 폰의 일측면 예컨대, 좌측면에 구비되는 제1 멀티 터치 검출부(311)와 타측면 예컨대, 우측면에 구비되는 제2 멀티 터치 검출부(312)를 포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근접 검출부는 상기 베젤부(250)의 일측단에 구비되는 제1 근접 검출부(321)와 타측단에 구비되는 제2 근접 검출부(322)를 포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8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근접 검출부(321,322)가 상기 베젤부(250의 측단 전면에 걸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근접 검출부(321,322)는 상기 베젤부(250)의 측단 일부, 예컨대 하부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9는 사용자가 왼손을 이용하여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양손 중 한 손을 이용하여 스마트 폰을 쥘 수 있다. 도 9에서는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손이 왼손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사용자에 따라 오른손이 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왼손을 이용하여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경우, 상기 센싱부(140)의 멀티 터치 검출부는 왼손에 의해 터치된 다수의 터치 지점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80)는 검출 결과를 기반으로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손을 결정한다.
다시 말해, 상기 멀티 터치 검출부는 상기 스마트 폰의 측면을 터치하는 다수의 터치 지점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멀티 터치 검출부는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폰을 쥠에 따라 따라 발생하는 다수의 터치 지점을 검출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멀티 터치 검출부의 제 1 및 제 2 멀티 터치 검출부(311,312)는 각각 하나의 단일 센서로 상기 스마트 폰의 양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멀티 터치 검출부는 다수의 터치 지점을 검출하는 멀티 터치 센서로 구성된다. 즉, 상기 멀티 터치 검출부는 왼손에 의해 터치된 다수의 터치 지점의 좌표 또는 개수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터치 지점을 검출하는 멀티 터치 센서가 상기 스마트 폰의 양 측면 각각에 구비된 결과,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폰을 쥠으로써, 발생되는 다수의 터치 지점을 검출할 수 있고, 검출 결과를 통해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손을 결정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사용자가 왼손을 이용하여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경우, 상기 멀티 터치 검출부는 도 10와 같이 터치 지점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 검출부가 검출한 터치 지점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왼손으로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경우, 상기 스마트 폰의 좌측면에 구비된 상기 제 1 멀티 터치 검출부(311)는 도 10와 같이 복수의 터치 지점(421, 422)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멀티 터치 검출부(311)가 검출한 터치 지점(421,422)은 각각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손의 엄지 및 손바닥 중 엄지 손가락의 아래 부분에 위치한 부위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왼손으로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폰의 우측면에 구비된 상기 제 2 멀티 터치 검출부(312)는 다수의 터치 지점(423,424,425,426)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 2 멀티 터치 검출부(312)가 검출한 터치 지점(423,424,425,426)은 각각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왼손의 검지, 중지, 약지, 새끼 손가락에 의한 터치에 대응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쥐는 방법의 차이에 따라, 상기 제 2 멀티 터치 검출부(312)는 네 개의 터치 지점이 아닌 세 개 또는 그 이하의 터치 지점을 검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멀티 터치 검출부가 검출한 검출 결과를 기반으로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사용자의 손을 결정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 1 멀티 터치 검출부(311)가 검출한 터치 지점의 개수와 상기 제 2 멀티 터치 검출부(312)가 검출한 터치 지점의 개수를 비교하여, 보다 적은 터치 지점을 검출한 쪽의 손을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상기 제 1 멀티 터치 검출부(311)가 총 두 개의 터치 지점(421,422)을 검출하고, 상기 제 2 멀티 터치 검출부(312)가 총 네 개의 터치 지점(423,424,425,426)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두개의 멀티 터치 검출부가 검출한 터치 지점의 개수를 비교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어부(180)는 보다 적은 수의 터치 지점을 검출한 상기 제 1 멀티 터치 검출부(311) 쪽의 손, 즉 왼손을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쥘 때, 스마트 폰을 쥐는 손 쪽의 멀티 터치 검출부인 제1 멀티 터치 검출부(311)는 엄지와 엄지 손가락 아래의 손바닥 부분에 의해 터치된 두 개의 터치 지점(421,422)을 검출하고, 반대쪽의 멀티 터치 검출부인 제2 멀티 터치 검출부(312)는 검지, 중지, 약지, 새끼 손가락에 의해 터치된 네 개의 터치 지점(423,424,425,426)을 검출하기 때문이다. 즉, 스마트 폰을 쥔 손 쪽의 멀티 터치 검출부가 반대쪽의 멀티 터치 검출부보다 적은 개수의 터치 지점을 검출하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는 다른 실시예로, 터치 지점의 면적을 이용하여 스마트 폰을 쥔 손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멀티 터치 검출부는 다수의 터치 지점을 검출하는 멀티 터치 외에도 각각의 터치 지점의 면적을 더 검출한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제2 멀티 터치 검출부(311,312) 중 기 설정된 면적 값을 초과하는 터치 면적을 검출한 멀티 터치 검출부 쪽의 손을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기설정된 면적 값은 손가락에 의해 터치된 터치 지점의 면적보다 크고, 엄지 손가락 아래의 손 바닥 부분에 의해 터치된 터치 지점의 면적보다 작은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 1 멀티 터치 검출부(311)가 검출한 각각의 터치 지점(421,422)과 상기 제 2 멀티 터치 검출부(312)가 검출한 각각의 터치 지점(423,424,425,426)의 면적을 상기 스마트 폰에 기 설정된 면적값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멀티 터치 검출부(311,312) 중 상기 제 1 멀티 터치 검출부(311)가 검출한 터치지점(422)은 다른 터치 지점(421,423,424,425,426)의 면적보다 더 크다. 이는 손가락 끝에 의해 터치된 터치 지점의 면적보다 손바닥에 의해 터치된 터치 지점의 면적이 더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기설정된 면적 값을 손가락에 의해 터치된 터치 지점의 면적보다 크도록 설정하고, 엄지 손가락 아래의 손바닥 부분에 의해 터치된 터치 지점의 면적보다 작도록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 1 및 제 2 멀티 터치 검출부(311,312)가 검출한 각각의 터치 지점의 면적을 상기 기설정된 면적 값과 비교하여 스마트 폰을 쥔 사용자의 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왼손으로 잡은 경우, 상기 손바닥에 의해 터치된 터치 지점(422)은 제 1 멀티 터치 검출부(311)에 의해 검출되므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 1 멀티 터치 검출부(311) 쪽의 손인 왼손을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경우, 손바닥에 의해 터치된 지점은 제 2 멀티 터치 검출부(312)에 의해 검출되므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 2 멀티 터치 검출부(312) 쪽의 손인 오른손을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손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80)는 근접 검출부의 제 1 및 제 2 근접 검출부(321,322) 중 전도성 물체의 접근을 검출하는 쪽의 손가락을 터치하는 손가락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근접 검출부는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전도성 물체(예, 손가락)의 접근을 검출한다. 즉, 상기 근접 검출부는 상기 전도성 물체의 직접적인 터치 외에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검출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근접 검출부의 근접 센서는 소정 범위 내로 접근한 전도성 물체를 검출하는 3D 터치 센서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근접 검출부가 상기 터치 화면을 둘러싸는 베젤부(250)의 양 측단에 구비된 결과, 상기 터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터치하기 위해 접근하는 전도성 물체, 예컨대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근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근접 검출부가 제 1 및 제 2 근접 검출부(321,322)로 구분되어 상기 터치 화면의 양측에 구비된 결과,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근하는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결과를 통해 터치하는 손가락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왼손으로 스마트 폰을 쥐고 동일한 손인 왼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터치 화면을 터치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이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근접 검출부(321,322) 중 상기 제 1 근접 검출부(321)가 사용자의 왼손의 엄지 손가락의 접근을 검출한다. 즉, 사용자가 왼손으로 스마트 폰을 쥔 상태에서, 상기 터치 화면을 터치하기 위해 왼손의 엄지 손가락을 상기 터치 화면 쪽으로 움직이면, 상기 터치 화면의 좌측단에 구비된 상기 제 1 근접 검출부(321)는 상기 왼손의 엄지 손가락의 접근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손과 상기 터치하는 손이 동일한 손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폰을 한 손으로 조작하는 상태임을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손과 상기 터치하는 손이 다른 손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폰을 두 손으로 조작하는 상태임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손과 동일한 쪽의 멀티 터치 검출부가 한 개의 터치 지점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하는 손을 상기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손과 동일한 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사용자가 왼손으로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경우,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손과 동일한 쪽의 멀티 터치 검출부인 제 1 멀티 터치 검출부(311)는 두 개의 터치 지점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멀티 터치 검출부(311)는 왼손의 엄지 손가락과 엄지 손가락 아래의 손바닥 부분에 의한 터치 지점을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손과 동일한 손의 엄지 손가락을 이동시켜 터치 화면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멀티 터치 검출부(311)는 오직 한 개의 터치 지점, 즉 엄지손가락 아래의 손바닥 부분에 의한 터치 지점만을 검출한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손과 동일한 쪽의 멀티 터치 검출부가 오직 한 개의 터치 지점만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하는 손과 스마트 폰을 쥐고 있는 손을 동일한 손으로 결정하여 사용자의 한 손 조작을 파악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한 손 조작 시 멀티 터치 검출부가 검출한 터치 지점의 예시도이다.
도 12와 같이, 사용자가 왼손으로 스마트 폰을 쥐고, 왼손의 엄지 손가락을 이동시켜 터치 화면을 터치하는 경우, 스마트 폰을 쥔 손과 동일한 쪽의 멀티 터치 검출부인 제 1 멀티 터치 검출부(311)는 한 개의 터치 지점(427)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스마트 폰을 쥔 손과 동일한 쪽의 멀티 터치 검출부가 오직 한 개의 터치 지점(427)을 검출하는 경우, 터치하는 손을 스마트 폰을 쥔 손과 동일한 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즉,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S501), 입력된 터치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인지를 판단한다(S502). 만일 입력된 터치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가 아니면, 입력된 터치 제스처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503).
만일 입력된 터치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이면, 도 6a 내지 도 6d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터치 화면을 접으면서, 접히는 터치 화면에 연동되어 터치 화면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도 아래로 이동시켜 재배치한다(S504). 이때 터치 화면이 접히는 위치에 따라 재배치되는 아이콘들도 달라진다. 예를 들어, 도 6c와 같이 제2 아이콘 그룹(202)과 제3 아이콘 그룹(203) 사이가 접힌다면, 제2 내지 제 5 아이콘 그룹(202~205)의 아이콘들의 위치가 재배치된다. 본 명세서는 다른 실시예로, 도 6a 내지 도 6d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터치 화면이 접힌 상태에서 또 다시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터치 화면을 다시 한번 접으면서 접히는 터치 화면에 연동되어 터치 화면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도 재배치한다.
이때 사용자가 접힌 터치 화면의 특정 아이콘을 터치하면(S505), 터치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506). 이어 단계 S506에서 해당 기능이 수행되고 나면 접힌 터치 화면 및 재배치된 아이콘들을 원래 상태로 복귀시킨다(S507).
한편, 상기 단계 S505에서 특정 아이콘의 터치가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아이콘 재배치 해제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S508), 이때에도 접힌 터치 화면 및 재배치된 아이콘들을 원래 상태로 복귀시킨다(S507).
본 명세서는 다른 실시예로, 터치 화면이 접히면서 아이콘들도 재배치된 상태에서 특정 아이콘의 터치가 없고, 또한 아이콘 재배치 해제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도 없는 경우에는 일정 시간 동안만 현재 상태를 유지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S509), 자동으로 접힌 터치 화면 및 재배치된 아이콘들을 원래 상태로 복귀시킨다(S507).
지금까지 설명한 본 명세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가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속한다.
110: 무선 통신부 120:A/V 입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센싱부
150: 출력부 160: 메모리부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201~205: 제1 내지 제5 아이콘 그룹
311,312: 멀티 터치 입력부 321,322: 근접 검출부

Claims (26)

  1. 복수개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터치 화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스처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감지된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이면, 상기 아이콘 재배치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여 상기 복수개의 아이콘 그룹 중 적어도 두 개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의 위치가 아래로 이동되어 상기 터치 화면에 재배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이 재배치된 터치 화면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제1 영역에 포함된 각 아이콘의 크기는 제2 영역에 포함된 각 아이콘의 크기보다 작고, 재배치 전의 터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의 개수와 재배치 후의 터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의 개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아이콘 그룹 사이에서 터치 화면이 접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터치 화면의 접는 모양에 연동되어 상기 복수개의 아이콘 그룹 중 두 개 이상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의 위치를 아래로 이동시켜 상기 터치 화면에 재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의 이동 거리는 상기 터치 화면이 접혀져 줄어드는 길이와 상기 터치 화면이 접히는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터치 화면의 접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터치 화면의 접히지 않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를 위해 사용된 사용자의 손가락 높이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감지된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를 위해 사용된 사용자의 손가락 모양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감지된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를 위해 사용된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터치 화면 내 미리 설정된 기준 라인을 넘으면 상기 감지된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라고 최종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를 한 손으로 쥐고, 그 손의 손가락으로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를 입력하면, 상기 감지된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라고 최종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혀진 터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그 기능이 수행되고 나면, 아이콘 재배치 해제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여 상기 접혀진 터치 화면과 재배치된 아이콘들을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해제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이면, 상기 아이콘 재배치 해제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여 상기 접혀진 터치 화면과 재배치된 아이콘들을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혀진 터치 화면에서 감지된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이면, 상기 아이콘 재배치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여 상기 복수개의 아이콘 그룹 중 다른 두 개의 아이콘 그룹 사이에서 상기 터치 화면이 접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서, 상기 터치 화면의 접히는 모양에 연동되어 상기 복수개의 아이콘 그룹 중 두 개 이상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의 위치를 아래로 이동시켜 상기 터치 화면에 재배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아이콘 그룹이 터치 화면에서 멀어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터치 화면의 멀어지는 모양에 연동되어 상기 복수개의 아이콘 그룹 중 한 개 이상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의 위치를 아래로 이동시켜 상기 터치 화면에 재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화면의 하나의 로우에 표시된 아이콘들은 하나의 아이콘 그룹으로 그룹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4. 복수개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터치 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의 위치를 재배치하기 위한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스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이면, 상기 복수개의 아이콘 그룹 중 적어도 두 개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의 위치를 아래로 이동시켜 상기 터치 화면에 재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이 재배치된 터치 화면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제1 영역에 포함된 각 아이콘의 크기는 제2 영역에 포함된 각 아이콘의 크기보다 작고, 재배치 전의 터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의 개수와 재배치 후의 터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의 개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들의 재배치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아이콘 그룹 사이에서 터치 화면이 접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화면의 접는 모양에 연동되어 상기 복수개의 아이콘 그룹 중 두 개 이상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의 위치를 아래로 이동시켜 상기 터치 화면에 재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들의 재배치 단계는
    상기 두 개 이상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의 이동 거리는 상기 터치 화면이 접혀져 줄어드는 길이와 상기 터치 화면이 접히는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터치 화면의 접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터치 화면의 접히지 않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들의 재배치 단계는
    상기 제스처를 위해 사용된 사용자의 손가락 높이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감지된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들의 재배치 단계는
    상기 제스처를 위해 사용된 사용자의 손가락 모양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감지된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들의 재배치 단계는
    상기 제스처를 위해 사용된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터치 화면 내 미리 설정된 기준 라인을 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라인을 넘으면 상기 감지된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라고 최종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들의 재배치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를 한 손으로 쥐고, 그 손의 손가락으로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를 입력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를 한 손으로 쥐고, 그 손의 손가락으로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를 입력한다고 확인되면 상기 감지된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라고 최종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들의 재배치 단계는
    상기 접혀진 터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그 기능이 수행되고 나면, 상기 접혀진 터치 화면과 재배치된 아이콘들을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들의 재배치 단계는
    상기 감지된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해제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이면, 상기 접혀진 터치 화면과 재배치된 아이콘들을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2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들의 재배치 단계는
    상기 접혀진 터치 화면에서 감지된 제스처가 아이콘 재배치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처이면, 상기 복수개의 아이콘 그룹 중 다른 두 개의 아이콘 그룹 사이에서 상기 터치 화면이 접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화면의 접는 모양에 연동되어 상기 복수개의 아이콘 그룹 중 두 개 이상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의 위치를 아래로 이동시켜 상기 터치 화면에 재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2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들의 재배치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아이콘 그룹이 터치 화면에서 멀어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화면의 멀어지는 모양에 연동되어 상기 복수개의 아이콘 그룹 중 한 개 이상의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들의 위치를 아래로 이동시켜 상기 터치 화면에 재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2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화면의 하나의 로우에 표시된 아이콘들은 하나의 아이콘 그룹으로 그룹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KR1020120158325A 2012-12-31 2012-12-31 포터블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KR20140087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325A KR20140087731A (ko) 2012-12-31 2012-12-31 포터블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US13/785,526 US9110566B2 (en) 2012-12-31 2013-03-05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in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325A KR20140087731A (ko) 2012-12-31 2012-12-31 포터블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731A true KR20140087731A (ko) 2014-07-09

Family

ID=51018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325A KR20140087731A (ko) 2012-12-31 2012-12-31 포터블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10566B2 (ko)
KR (1) KR2014008773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0285A1 (ko) * 2015-08-19 2017-0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WO2024045185A1 (zh) * 2022-09-02 2024-03-07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WO2024045155A1 (zh) * 2022-09-02 2024-03-07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图标显示控制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WO2024045184A1 (zh) * 2022-09-02 2024-03-07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处理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8860B2 (en) 2006-04-06 2018-08-1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adaptation
US9367085B2 (en) 2012-01-26 2016-06-1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taking into account which limb possesses the electronic device
US9959038B2 (en) 2012-08-30 2018-05-01 Google Llc Displaying a graphic keyboard
KR102117450B1 (ko) * 2013-03-26 2020-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215302B2 (en) * 2013-05-10 2015-12-1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user handedness and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KR20150002312A (ko) * 2013-06-28 2015-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US9204288B2 (en) 2013-09-25 2015-12-01 At&T Mobility Ii Llc Intelligent adaptation of address books
KR102206053B1 (ko) * 2013-11-18 2021-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도구에 따라 입력 모드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TWI608407B (zh) * 2013-11-27 2017-12-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觸控裝置及其控制方法
WO2015093806A1 (en) * 2013-12-19 2015-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by display apparatus
USD758385S1 (en) * 2014-04-15 2016-06-07 Huawei Device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DE102014208222A1 (de) * 2014-04-30 2015-11-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brufen von Anwendungsbefehlen, Recheneinheit und medizinisches Bildgebungssystem
US9971496B2 (en) 2014-08-04 2018-05-1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on an electronic device
US10678381B2 (en) * 2014-08-21 2020-06-09 DISH Technologies L.L.C. Determining handedness on multi-element capacitive devices
US10345967B2 (en) * 2014-09-17 2019-07-09 Red Hat, Inc. User interface for a device
KR20160080851A (ko) * 2014-12-29 2016-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4484123B (zh) * 2014-12-31 2019-02-0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电子设备
US20170010780A1 (en) * 2015-07-06 2017-01-12 Hand Held Products, Inc. Programmable touchscreen zone for mobile devices
US10274522B2 (en) * 2015-09-02 2019-04-30 Veris Industries, Llc Mobile device coupled Rogowski coil
KR20170027551A (ko) * 2015-09-02 2017-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481645B2 (en) 2015-09-11 2019-11-19 Lucan Patent Holdco, LLC Secondary gesture input mechanism for touchscreen devices
CN108520010A (zh) * 2018-03-19 2018-09-11 成都星环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页面布局方法
GB2572614B (en) * 2018-04-05 2021-12-08 Steris Solutions Ltd Handset for controlling a support device or a movable surface
USD930676S1 (en) * 2018-09-07 2021-09-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generated image for display
USD918952S1 (en) * 2018-10-19 2021-05-11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884593B1 (en) * 2019-11-26 2021-01-05 GE Precision Healthcar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layout control of medical image viewers
JP2022016943A (ja) * 2020-07-13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625288A (zh) * 2020-12-11 2022-06-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界面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7492881A (zh) * 2022-07-26 2024-02-02 华为技术有限公司 可折叠电子设备、用于折叠屏的显示方法
WO2024045145A1 (zh) * 2022-09-02 2024-03-07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图标显示控制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2996B2 (en) * 2006-12-19 2016-03-22 Igt Distributed side wagering methods and systems
US20100042535A1 (en) * 2008-08-15 2010-02-18 Ebay Inc. Currency display
US8237666B2 (en) * 2008-10-10 2012-08-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ugmented I/O for limited form factor user-interfaces
US8516397B2 (en) * 2008-10-27 2013-08-2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roximity interface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JP5231571B2 (ja) * 2008-12-04 2013-07-10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入力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9542097B2 (en) 2010-01-13 2017-01-10 Lenovo (Singapore) Pte. Ltd. Virtual touchpad for a touch device
US20120050007A1 (en) 2010-08-24 2012-03-01 Babak Forutanpour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acting with an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 by moving an object in the air over an electronic device display
KR101726606B1 (ko) * 2010-11-18 201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762611B1 (ko) * 2010-12-10 2017-07-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US8935629B2 (en) * 2011-10-28 2015-01-13 Flipboar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lipping through content
JP6159078B2 (ja) * 2011-11-28 2017-07-05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79553B2 (ja) * 2012-05-21 2018-02-14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タッチスクリーンを使用する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制御方法及び装置
US20140184519A1 (en) * 2012-12-28 2014-07-03 Hayat Benchenaa Adapting user interface based on handedness of use of mobile computing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0285A1 (ko) * 2015-08-19 2017-0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WO2024045185A1 (zh) * 2022-09-02 2024-03-07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WO2024045155A1 (zh) * 2022-09-02 2024-03-07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图标显示控制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WO2024045184A1 (zh) * 2022-09-02 2024-03-07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处理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89551A1 (en) 2014-07-03
US9110566B2 (en) 201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87731A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KR10149651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90964B1 (ko)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US9733752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16251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etecting a gesture to control functions
KR102081817B1 (ko) 디지타이저 모드 전환 방법
KR102178845B1 (ko) 햅틱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10217905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93527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264444B1 (ko) 전자 장치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US10503276B2 (e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13490B1 (ko)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054929B2 (e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55836B1 (ko) 터치 스크린 상에서 객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101510021B1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101388793B1 (ko) 디지타이저 펜, 입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34305A (ko) 좌표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59681A (ko)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075453A1 (en) Terminal and terminal control method
KR10149662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4207288A1 (en)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elements
CN111338494B (zh) 一种触控显示屏操作方法和用户设备
KR102138513B1 (ko) 터치 패널 및 이동 단말기
KR10184345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58822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