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991B1 - 휴대 단말기의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991B1
KR102163991B1 KR1020130050268A KR20130050268A KR102163991B1 KR 102163991 B1 KR102163991 B1 KR 102163991B1 KR 1020130050268 A KR1020130050268 A KR 1020130050268A KR 20130050268 A KR20130050268 A KR 20130050268A KR 102163991 B1 KR102163991 B1 KR 102163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items
selection
input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1208A (ko
Inventor
현준호
김영규
장동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0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991B1/ko
Priority to US14/269,855 priority patent/US10254932B2/en
Publication of KR20140131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 아이템 선택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일정 규칙에 따라 나열하는 단계, 제1 아이템을 시작 아이템으로 설정하기 위한 시작 아이템 설정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2 아이템을 종료 아이템으로 설정하기 위한 종료 아이템 설정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이템부터 제2 아이템 사이에 포함된 아이템들을 선택된 아이템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ITEM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1차원 또는 2차원 이상으로 배열된 아이템들 중 복수 개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전자수첩 기능, 게임 기능, 스케줄 관리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폰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는 추세에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기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관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필수적이다.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음악, 사진, 동영상, 이메일 등 리스트 형태로 특정 아이템을 보여 주는 어플리케이션들이 다수 존재하고, 해당 리스트 내에서 사용자가 직접 다수의 파일을 선택 후 삭제, 이동, 전송, 공유 등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고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파일들을 보여 주는 어플리케이션(File Explorer 또는 Gallery 등)에서 다수의 파일을 선택 또는 해제하려고 하면 도 1a(리스트 형식) 또는 도 1c(격자 형식)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별 항목들을 직접 선택 또는 해제하거나, 도 1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 번에 모든 파일들을 선택 또는 해제 하거나 해야 한다.
이와 같이 리스트 형태로 나타나는 UI에서 다수의 리스트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으로는 개별 리스트 아이템을 하나하나 직접 선택하는 방법과, 전체 선택 옵션을 통해 모두 선택한 후 필요하지 않는 리스트 아이템은 해제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한 방법의 종래의 기술을 사용하여 리스트 아이템을 선택하는 경우에 전체 리스트 아이템의 개수가 적다면 크게 불편함이 느껴지지 않는다. 하지만 최근의 고성능의 프로세서와 고용량의 메모리를 탑재한 스마트기기에서 다수의 파일 전송 혹은 기타 어플리케이션에서 많은 수의 리스트 아이템을 가진 경우를 쉽게 만날 수 있다. 이럴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만날 수 있다.
첫째, 많은 리스트 아이템이 있을 경우 그중 많은 수의 리스트 아이템을 선택할 경우 아이템을 개별적으로 각각 선택해야한다. 예를 들면 200개의 파일을 나타내는 리스트가 있는 경우에 100개의 파일을 선택하고 싶은 경우 사용자는 무조건 100개의 선택하고자 하는 리스트 아이템을 직접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둘째, 전체 리스트 중 현재까지 선택된 리스트 아이템이 몇 개인지, 및 어떤 파일이 선택되었는지 확인 할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1차원 또는 2차원 이상으로 배열된 아이템들 중 복수 개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구간 선택 기능 및 선택된 항목을 별도로 보여 주는 기능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빠르게 본인이 원하는 항목들을 선택 또는 해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 아이템 선택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일정 규칙에 따라 나열하는 단계, 제1 아이템을 시작 아이템으로 설정하기 위한 시작 아이템 설정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2 아이템을 종료 아이템으로 설정하기 위한 종료 아이템 설정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이템부터 제2 아이템 사이에 포함된 아이템들을 선택된 아이템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일정 규칙에 따라 나열하고, 제1 아이템을 시작 아이템으로 설정하기 위한 시작 아이템 설정 입력을 수신하며, 제2 아이템을 종료 아이템으로 설정하기 위한 종료 아이템 설정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아이템부터 제2 아이템 사이에 포함된 아이템들을 선택된 아이템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파일을 선택할 때 사용자는 빠르고 효율적으로 파일을 선택 또는 해제를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복수 개의 아이템 선택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아이템을 개별적으로 선택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별 아이템 선택 및 해제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간 선택 방법을 이용한 복수 아이템 선택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간 선택 방법을 이용한 복수 개의 아이템 선택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아이템이 격자 형태로 나열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아이템이 격자 형태로 나열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본 발명의 아이템(Item)이란 어플리케이션, 폴더, 위젯, 파일 등을 식별하거나 실행하기 위한 단위를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아이템은 임의의 형상, 모양, 색채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이템은 1차원적인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나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이템은 2차원 적인 형태로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격자(Grid) 형태로 나열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복수 개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하기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도록 한다.
첫 번째 실시예는 아이템 개별 선택 방법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이는 리스트 또는 격자 형태로 표시된 아이템들 중에서 선택하고자 하는 아이템들을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된 아이템들은 스크롤이 일어나더라도, 화면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스크롤이 일어나는 방향 끝 부분에 고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르면, 아이템 선택 과정에서 선택된 아이템을 표시하는 영역이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선택된 아이템의 정보를 줄여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시자(indicator)를 도입하는 바, 이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지시자는 본 발명의 전 실시예에 걸쳐 적용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는 구간 선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간 시작 기준이 되는 시작 아이템과, 구간 종료 기준이 되는 종료 아이템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르면, 구간 선택을 통해 아이템을 선택하는 중 시작 아이템은 스크롤이 일어나더라도 화면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스크롤이 일어나는 방향 끈 부분에 고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르면, 구간 선택을 통해 선택된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는 화면의 특정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세 번째 실시예는 격자 선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이템이 격자 형태로 표시된 상태에서 개별 선택 또는 구간 선택 방법으로 복수 개F의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된 아이템은 화면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추가되어 표시되며, 선택된 아이템을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에 모두 표시하지 못하는 경우 아이템 정보를 줄여서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개별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부(210), 오디오 처리부(220), 키 입력부(230), 터치스크린부(240), 저장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10)는 휴대 단말기(2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2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260)로 출력하고, 제어부(2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210)가 도면상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이유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반드시 무선통신부(210)를 구비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가 MP3 플레이어, 또는 전자 사전과 같은 디바이스(Device)인 경우에는 무선통신부(210)가 반드시 구비될 필요는 없는 것이다.
오디오처리부(22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키 입력부(230)(또는 입력부)는 휴대 단말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60)에 전달한다. 키 입력부(230)는 숫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200)의 일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부(240)만으로 모든 조작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키 입력부(230)가 생략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부(240)는 터치센서부(241) 및 표시부(242)를 포함한다. 터치센서부(24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센서부(241)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부(131)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부(24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260)로 전송한다. 상기 감지 신호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좌표 데이터가 포함된다. 사용자가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터치센서부(241)는 터치 위치 이동 경로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260)로 전송한다.
특히, 터치 센서부(13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스윕(sweep), 드래그(drag), 탭(tab), 더블 탭(double tab), 롱 탭(long tab), 프레스(press), 롱 프레스(long press), 다중 접촉점을 이격시키는 제스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윕(sweep)은 플릭(flick)과 유사한 개념으로, 터치 입력 수단을 화면에 튀기듯이 빠르게 이동시킨 다음 터치를 해제하는 조작을 의미한다. 드래그(drag)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입력 수단을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의미하며, 탭(tab)은 임의의 지점을 터치한 후 터치 입력 수단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를 해제(touch-off)하는 조작이다. 더블 탭(double-tab)은 탭(tab) 동작을 연속적으로 2회 반복하는 조작을 의미하는데, 제2 입력이 탭(tab)인 경우, 제어부(140)는 제1 입력에 연속하여 이루어진 탭(tab) 제스처를 더블 탭(double-tab)으로 인식한다. 롱 탭(long-tab)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를 지속한 후 터치 입력 수단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를 해제하는 조작이며, 프레스(press)는 터치 입력 수단으로 임의의 지점에 압력을 가하는 조작이다. 롱 프레스(long press)는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프레스 동작을 지속하는 조작이다.
표시부(242)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2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242)는 휴대 단말기(2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200)는 상기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200)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이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지 않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경우, 도 2에서 도시되는 터치스크린부(240)는 표시부(242)의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변형 적용될 수 있다.
저장부(25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기(2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휴대 단말기(200)의 기타 옵션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이미지, 동영상,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60)는 1차원 또는 2차원 이상으로 배열된 아이템들 중 복수 개의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60)는 아이템 선택 제어부(26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이템 선택 제어부(26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일정 규칙에 따라 나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템 선택 제어부(261) 제1 아이템을 시작 아이템으로 설정하기 위한 시작 아이템 설정 입력을 수신하며, 제2 아이템을 종료 아이템으로 설정하기 위한 종료 아이템 설정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템 선택 제어부(261) 상기 제1 아이템부터 제2 아이템 사이에 포함된 아이템들을 선택된 아이템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템 선택 제어부(261)는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 내에 포함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아이템 선택 제어부(261)는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 내에, 상기 선택된 아이템들 중 설정된 개수의 아이템만 표시하도록 제어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템 선택 제어부(261)는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 내에, 선택된 아이템의 개수에 대응하는 지시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시자는 선택된 아이템의 개수에서,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에 현재 표시된 아이템의 개수를 뺀 값을 지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템 선택 제어부(261)는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선택된 아이템들 포함하는 선택 아이템 해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템 선택 제어부(261)는 상기 선택 아이템 해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선택된 아이템들 중 임의의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이 수신된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이템 선택 제어부(261)는 상기 시작 아이템 설정 입력 수신 후 수신된 스크롤 명령에 따라 스크롤 수행 시, 상기 시작 아이템 설정 입력에 따른 시작 아이템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을 벗어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벗어나는 경우, 상기 아이템 선택 제어부(261)는 상기 시작 아이템을 상기 스크롤 방향에 따라 상기 표시 화면의 임의의 영역에 고정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이템 선택 제어부(26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격자 형태로 나열된 경우, 상기 스크롤 명령에 따라 스크롤 수행 시 상기 시작 아이템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을 벗어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벗어나는 경우, 상기 아이템 선택 제어부(261)는 상기 시작 아이템을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어부(260), 아이템 선택 제어부(261)가 별도의 블록으로 구성되고, 각 블록이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이는 기술상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반드시 이와 같이 각 기능이 구분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아이템 선택 제어부(261)가 수행하는 특정 기능을 제어부(260) 자체가 수행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아이템을 개별적으로 선택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h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아이템을 개별적으로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도록 한다.
우선, 도 3a에서 복수 개의 아이템이 리스트 형태로 표시(나열)된 상태가 도시된다. 복수 개의 아이템이 리스트 형태로 나열되었다는 것은 복수 개의 아이템이 1차원으로 배열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이는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a에서는 복수 개의 아이템이 상하 방향으로 표시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한다.
이 경우, 도 3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파일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은 터치(touch), 스윕(sweep), 드래그(drag), 탭(tab), 더블 탭(double tab), 롱 탭(long tab), 프레스(press), 롱 프레스(long press, 또는 press and hold), 다중 접촉점을 이격시키는 제스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선택 명령이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도 3b는 임의의 아이템(3번 아이템)에 대한 선택 입력 시, 표시 화면의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상측 부분에 선택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제1 영역(310)(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이 표시되고,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 내에 선택된 아이템이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310)은 특정 포커스를 이용하거나 또는 하이라이트화 되어, 해당 영역 내에 표시된 파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임을 지시할 수 있다.
도 3b에서는 3번 아이템 선택에 연속하여, 5번 아이템이 선택되었음을 도시한다.
도 3c는 5번 아이템 선택 시,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 내에 상기 선택된 5번 아이템을 연속하여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c에서는, 5번 아이템을 추가 표시하기 위해,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310)이 하측으로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310)은 특정 포커스를 이용하거나 또는 하이라이트화 되어, 해당 영역 내에 표시된 파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임을 지시할 수 있다.
도 3c는 아이템 선택 입력 후, 스크롤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도시한다.
도 3c에서와 같이,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310)이 표시 화면의 상측에 표시된 경우, 리스트를 스크롤하여도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310)은 도 3d에서와 같이 스크롤에서 제외하여, 항상 선택된 파일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3d에서, 사용자에 의해 또 다른 아이템(10번 아이템)이 선택되었음을 도시한다. 이 경우,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310)에서 표시할 수 있는 아이템의 최대 개수가 2개로 설정된 경우에는, 이미 3번 및 5번 아이템이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310)에 표시되고 있기 때문에 최근에 선택된 10번 아이템은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310)내에 표시할 수 없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3e에서와 같이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310)내에 지시자(320)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지시자(320)는 선택된 아이템의 개수에 대응하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의 개수에서,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310)에 현재 표시된 아이템의 개수를 뺀 값을 지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은 모두 3개(3번, 5번, 10번)이지만, 현재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310) 내에서 2개의 아이템을 표시하고 있으므로, 상기 지시자(320)는 1(1 more)을 지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e는 11번 아이템이 선택되었음을 도시한다.
이 경우, 마찬가지로, 선택된 11번 아이템은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310)에 표시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310)의 지시자는 도 3f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2(2 more)를 지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f는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310)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었음을 도시한다.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310)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도 3g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영역(330)(선택 아이템 해제 영역)이 표시된다. 상기 제2 영역(선택 아이템 해제 영역)(330)은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전까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들을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 아이템 해제 영역(330)은 팝업(pop up)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선택된 아이템들 측면에 체크 박스를 표시하여 해당 아이템들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음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아이템 해제 영역(330)에서 표시되는 아이템들은 상하 또는 좌우의 1차원 형태로 나열되거나, 또는 2차원의 격자 형태로 나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들이 상기 선택 아이템 해제 영역(330) 내에 모두 표시될 수 없는 경우에는 설정된 개수의 아이템들만 먼저 표시한 후, 스크롤 입력을 통해 나머지 아이템들이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선택 아이템 해제 영역(330) 내에 표시된 아이템들 중, 임의의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이 수신된 해당 아이템에 대한 선택은 해제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아이템 측면에 표시된 체크 박스의 체크 표시가 해제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이 해제된 아이템은 도 3h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310) 내에서 제거되며, 본래의 리스트 상의 위치에 복귀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동시에, 지시자(340)는 선택이 해제된 아이템의 개수가 반영되어 표시된다. 도 3의 예시에서, 사용자가 선택을 해제한 아이템이 1개(10번 아이템)였다면,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템은 모두 3개(3번, 5번, 11번)이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310)에 2개의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지시자는 2에서 1로 변경(1more)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별 아이템 선택 및 해제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별 아이템 선택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휴대 단말기는 아이템 표시 명령 수신 시, S405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리스트 형태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이템이 리스트 형태 즉, 1차원 형태로 배열되었음을 가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S410 단계에서, 상기 표시된 아이템들 중, 임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 선택 임력이 감지되면, 휴대 단말기는 S415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 표시부의 일부분에 제1 영역(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을 표시한다.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은 표시부의 상, 하, 좌, 우측 중 어느 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은 특정 포커스를 이용하거나 하이라이트화 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에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포함시켜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S420 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아이템을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 선택 입력이 감지되면, 휴대 단말기는 S425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에,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의 아이템이 표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된 개수 이상의 아이템이 표시된 경우가 아니라면, 휴대 단말기는 S440 단계로 진행하여,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에 선택된 아이템을 추가하여 표시한다.
반면, 설정된 개수 이상의 아이템이 표시된 경우라면, 휴대 단말기는 S430 단계로 진행하여,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 내에 아이템 개수에 상응하는 지시자를 표시하거나 또는 이미 표시된 지시자가 지시하는 숫자를 변경하여 표시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선택 아이템을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과정에 연속하여 수행될 수 있다.
우선, 휴대 단말기는 제1 영역(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 선택 입력 감지 시, 휴대 단말기는 S455 단계로 진행하여 제2 영역(선택 아이템 해제 영역)을 표시한다. 상기 선택 아이템 해제 영역에는,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전까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들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선택 아이템 해제 영역은 팝업(pop up)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선택된 아이템들 측면에 체크 박스를 표시하여 해당 아이템들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음을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S460 단계에서, 상기 선택 아이템 해제 영역에 표시된 아이템을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 선택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S465 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선택을 해제한다. 이 경우, 해당 아이템 측면에 표시된 체크 박스의 체크 표시가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S470 단계로 진행하여,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을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이 해제된 아이템을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 내에서 제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동시에, 휴대 단말기는 선택이 해제된 아이템의 개수를 반영하여 지시자의 표시를 변경(업데이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간 선택 방법을 이용한 복수 아이템 선택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g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아이템을 개별적으로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도록 한다.
우선, 도 5a에서 복수 개의 아이템이 리스트 형태로 표시된 상태가 도시된다. 복수 개의 아이템이 리스트 형태로 표시되었다는 것은 복수 개의 아이템이 1차원으로 배열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이는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a에서는 복수 개의 아이템이 상하 방향으로 표시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한다.
이 경우, 도 5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아이템(도 5b에서는 14번 아이템)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도 5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사용자 선택 입력은 롱 프레스(long press, 또는 press and hold)일 수 있다.
그러면, 도 5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메뉴 표시 영역(510) 표시된다. 상기 메뉴 표시 영역(510)에는 선택된 아이템과 관련된 메뉴, 기능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아이템을 실행하거나,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하위 메뉴를 표시하는 것 등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5b에서는 menu A, menu B, menu C 등으로 도시되었다.
그리고 도 5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메뉴 표시 영역(510)에는 "Select from"이라는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Select from" 메뉴는 복수 개의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해, 해당 아이템을 시작 아이템으로 설정하기 위한 메뉴이다.
사용자에 의해 특정 아이템(14번 아이템)이 시작 아이템으로 설정되면, 구간 선택 모드가 활성화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작 아이템에 포커스를 적용하여 복수 개의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 아이템임을 식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14번 아이템이 시작 아이템으로 설정된 후, 도 5 c에서와 같이 스크롤 또는 플릭 입력에 따라 화면이 스크롤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d 또는 도 5e와 같이, 플릭 또는 스크롤에 따라 시작 아이템이 화면 밖으로 넘어가게 될 경우에는, 상기 시작 아이템을 플릭 또는 스크롤 방향에 따라 상단 또는 하단에서 더 이상 스크롤이 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c에서 도 5d는 14번 아이템이 시작 아이템으로 설정된 후, 상측으로 스크롤 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시작 아이템인 14번 아이템이 화면의 최상단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14번 아이템은 최상단에 고정된 후, 나머지 아이템들에 대해서만 스크롤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d에서 도 5e는 하측으로 스크롤 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시작 아이템인 14번 아이템이 화면의 최하단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14번 아이템은 최하단에 고정된 후, 나머지 아이템들에 대해서만 스크롤이 적용될 수 있다.
이후, 도 5e에서와 같이, 특정 아이템(4번 아이템)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도 5e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사용자 선택 입력은 롱 프레스(long press, 또는 press and hold)일 수 있다.
그러면, 도 5f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메뉴 표시 영역(520) 표시된다. 상기 메뉴 표시 영역(510)에는 선택된 아이템과 관련된 메뉴, 기능 등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e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메뉴 표시 영역(520)에는 "to here"이라는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to here" 메뉴는 복수 개의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해, 해당 아이템을 종료 아이템으로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시작 아이템 설정 및 종료 아이템 설정이 완료되면, 시작 아이템부터 종료 아이템까지의 순서대로 복수 개의 아이템 선택이 완료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4번 아이템부터 14번 아이템까지 모두 11개의 아이템이 선택된다.
그러면 도 5g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530)이 화면의 일 측에 표시된다. 도 5g에서는 화면의 상단에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530)이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530)에 포커스 또는 하이라이트를 적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들임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도 5g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530)에 지시자(540)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지시자(540)는 선택된 아이템의 개수에 대응하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의 개수에서,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530)에 현재 표시된 아이템의 개수를 뺀 값을 지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530)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 시, 선택 아이템 해제 영역을 표시(도면에는 미도시)하여, 상기 선택된 복수 개의 아이템 중 일부 아이템에 대한 선택을 해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간 선택 방법을 이용한 복수 개의 아이템 선택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
우선, 휴대 단말기는 아이템 표시 명령 수신 시, S605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리스트 형태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이템이 리스트 형태 즉, 1차원 형태로 배열되었음을 가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S610 단계에서, 상기 표시된 아이템들 중, 임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에서는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이 롱 프레스 입력임을 가정한다.
사용자 선택 임력이 감지되면, 휴대 단말기는 S615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 표시부의 일부분에 메뉴 표시 영역을 표시한다. 상기 메뉴 표시 영역에는 선택된 아이템을 실행하거나,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하위 메뉴를 표시하는 것 등과 관련된 메뉴가 표시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시작 아이템으로 설정하기 위한 시작 아이템 설정 메뉴( "Select from"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S620 단계에서, 시작 아이템 설정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선택 시, 휴대 단말기는 S625 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아이템을 복수 개의 아이템 선택을 위한 시작 아이템으로 설정한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시작 아이템에 하이라이트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S630 단계로 진행하여, 화면 스크롤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크롤이 수행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S635 단계에서, 하이라이트된 아이템 즉, 시작 아이템이 화면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벗어나지 않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S640 단계로 진행하여 계속하여 스크롤을 수행한다. 반면. 벗어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S645 단계로 진행하여 스크롤 방향에 따라 상단 또는 하단에서 더 이상 스크롤이 되지 않도록 시작 아이템을 고정시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시작 아이템 설정 후, 또 다른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휴대 단말기는 S650 단계에서, 종료 아이템 설정 메뉴가 선택되는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종료 아이템 설정 메뉴가 선택되는 것이 아니라면, 휴대 단말기는 S670 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한편, 종료 아이템 설정 메뉴를 선택하는 것이라면, 휴대 단말기는 S655 단계로 진행하여 시작 아이템부터 종료 아이템까지 순차적으로 포함된 모든 아이템을 선택된 아이템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S660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파일을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이 경우,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 내에, 지시자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을 선택하여 일부 아이템에 대한 선택을 해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아이템이 격자 형태로 나열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f를 참고하여, 아이템들이 격자 형태로 나열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도록 한다.
우선, 도 7a에서 복수 개의 아이템이 격자(Grid) 형태로 나열된 상태가 도시된다. 아이템이 격자 형태로 나열되었다는 것은 복수 개의 아이템이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2차원 방향으로, M*N 형태로 나열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아이템은 행(row)과 열(column)의 성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7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격자 형태로 나열된 아이템들 중, 임의의 파일들을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이 터치 입력임을 가정한다.
그러면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710)이 표시 화면의 일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a에서는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710)이 표시 화면의 좌측에 표시되는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였다.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710)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710)은 이전 실시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특정 포커스를 이용하거나 또는 하이라이트화 되어, 해당 영역 내에 표시된 파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임을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특정 파일(8번 아이템)을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 입력(여기서는 롱 프레스임을 가정)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도 7c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메뉴 표시 영역(730)이 표시된다. 상기 메뉴 표시 영역(730)에는 선택된 아이템과 관련된 메뉴, 기능 등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c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메뉴 표시 영역(730)에는 "Select from"이라는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Select from" 메뉴는 복수 개의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해, 해당 아이템(8번 아이템)을 시작 아이템으로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에 의해 특정 아이템(8번 아이템)이 시작 아이템으로 설정되면, 구간 선택 모드가 활성화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작 아이템에 포커스를 적용하여 복수 개의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 아이템임을 식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8번 아이템이 시작 아이템으로 설정된 후, 도 8d 및 도 8e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크롤 또는 플릭 입력에 따라 화면이 스크롤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8f와 같이, 플릭 또는 스크롤에 따라 시작 아이템이 화면 밖으로 넘어가게 될 경우에는, 상기 시작 아이템을 시작 아이템 표시 영역(720) 내에 표시하여, 시작 아이템을 계속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시작 아이템 표시 영역(720)은 스크롤과 상관없이 항상 표시 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상기 시작 아이템 표시 영역(720)은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71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상기 시작 아이템 표시 영역(720)이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710)의 하단부에 위치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한다.
이후, 도 7f에서와 같이 특정 아이템(40번 아이템)을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은 롱 프레스(long press, 또는 press and hold)일 수 있다.
그러면 도 8에서와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메뉴 표시 영역(810)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메뉴 표시 영역(810)에는 선택된 아이템과 관련된 메뉴, 기능 등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메뉴 표시 영역(810)에는 "to here"이라는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to here" 메뉴는 복수 개의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해, 해당 아이템을 종료 아이템으로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시작 아이템 설정 및 종료 아이템 설정이 완료되면, 시작 아이템부터 종료 아이템까지의 순서대로 복수 개의 아이템 선택이 완료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8번 아이템부터 40번 아이템까지 모두 33개의 아이템이 선택된다.
그러면 도 8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710)에, 상기 선택된 아이템들이 포함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8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710)에 지시자(735)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지시자(735)는 선택된 아이템의 개수에 대응하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의 개수에서,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7100)에 현재 표시된 아이템의 개수를 뺀 값을 지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8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710)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바람직하게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는 도 8c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택 아이템 해제 영역(74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아이템 해제 영역(730)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 개의 아이템들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선택 아이템 해제 영역(730)에 나열된 아이템들 중, 도 8c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이 수신된 해당 아이템에 대한 선택은 해제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이 해제된 아이템은 도 8d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710) 내에서 제거되며, 본래의 리스트 상의 위치에 복귀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동시에, 지시자(710)는 선택이 해제된 아이템의 개수가 반영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아이템이 격자 형태로 나열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휴대 단말기는 S905 단계에서 복수 개의 아이템을 격자 형태로 나열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S910 단계에서 임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였는지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이 터치 입력임을 가정한다.
사용자 선택 입력 수신 시, 휴대 단말기는 S915 단계에서, 상기 터치 입력 발생 후 상기 터치 입력이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사용자 선택 입력이 터치 입력인지 또는 롱 프레스 입력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과정이다.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지 않는 경우, 즉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이 터치 입력이라고 판단된 경우, 휴대 단말기는 S920 단계로 진행하여 제1 영역(즉,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을 표시하고, 선택된 아이템을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에 포함시켜 표시할 수 있다.
반면,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즉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이 롱 프레스 입력이라고 판단된 경우, 휴대 단말기는 S925 단계로 진행하여 메뉴 표시 영역을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S93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메뉴 표시 영역에 포함된 메뉴 중 시작 아이템 설정 메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시작 아이템 설정 메뉴 선택 시, 휴대 단말기는 S935 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아이템에 하이라이트를 적용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S940 단계로 진행하여, 화면 스크롤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화면 스크롤 수행 시, 휴대 단말기는 S945 단계로 진행하여 하이라이트된 아이템 즉, 시작 아이템이 화면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시작 아이템이 화면을 벗어나지 않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S950 단계로 진행하여 스크롤을 실행한다.
반면, 시작 아이템이 화면을 벗어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S955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시작 아이템을 시작 아이템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상기 시작 아이템 표시 영역은 스크롤과 상관없이 항상 표시 화면에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스크롤에 의해 시작 아이템의 위치가 스크롤에 의해 화면을 벗어나더라도, 항상 시작 아이템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시작 아이템 설정 후, S960 단계에서 상기 메뉴 표시 영역을 통해 종료 아이템 설정 메뉴가 설정되면, 휴대 단말기는 S965 단계에서 시작 아이템부터 종류 아이템까지 모두 선택된 아이템으로 설정(지정)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S970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복수 개의 파일을 제1 영역 즉,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S960 단계에서, 메뉴 표시 영역을 표시한 후, 시작 아이템 설정 메뉴 및 종료 아이템 설정 메뉴를 선택하는 것이 아닌 선택 입력이 수신된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는 S975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예를 들어, 선택된 아이템 실행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복수 개의 아이템 중 일부 아이템에 대한 선택을 해제하는 과정은 전술한 바 있으니,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파일을 선택할 때 사용자는 빠르고 효율적으로 파일을 선택 또는 해제를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210 : 무선 통신부 220 : 오디오 처리부
230 : 키 입력부 240 : 터치스크린부
241 : 터치 센서부 242 : 표시부
250 : 저장부 260 : 제어부
261 : 아이템 선택 제어부

Claims (20)

  1. 휴대 단말기에서 아이템 선택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아이템들을 일정 규칙에 따라 표시 화면에 나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 중 제1 아이템을 선택하는 시작 아이템 설정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작 아이템 설정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아이템을 시작 아이템으로 설정하는 단계:
    제2 아이템을 종료 아이템으로 설정하기 위한 종료 아이템 설정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아이템부터 상기 제2 아이템 사이에 포함된 아이템들을 선택된 아이템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화면의 일부분에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 내에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시작 아이템 설정 입력을 수신 한 후 종료 항목 설정 입력을 수신 할 때까지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아이템이 상기 표시 화면을 벗어날 경우,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제1 아이템을 고정시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 내에, 상기 선택된 아이템들 중 설정된 개수의 아이템만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이템부터 상기 제2 아이템 사이에 포함된 아이템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지시자를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 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자는 선택된 아이템의 수에서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아이템의 개수를 뺀 값을 지시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선택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선택된 아이템들 포함하는 선택 아이템 해제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아이템 해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선택된 아이템들 중 임의의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이 수신된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선택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템을 고정시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격자 형태로 나열된 경우, 상기 시작 아이템 설정 입력 수신 후, 수신되는 스크롤 명령에 따라 상기 시작 아이템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시작 아이템을 상기 표시 화면의 임의의 영역에 고정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선택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을 포함하는 1차원 형태로 나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선택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행(row) 성분과 열(column) 성분을 포함하는 2차원 형태로 나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선택 방법.
  11. 아이템을 선택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입력부;
    표시부; 및
    복수의 아이템을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에 일정 규칙에 따라 나열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 중 제1 아이템을 선택하여 시작 아이템으로 설정하기 위한 시작 아이템 설정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시작 아이템 설정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아이템을 시작 아이템으로 설정하고, 제2 아이템을 종료 아이템으로 설정하기 위한 종료 아이템 설정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아이템부터 제2 아이템 사이에 포함된 아이템들을 선택된 아이템으로 설정하고, 상기 표시 화면의 일부분에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 내에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표시하되,
    상기 시작 아이템 설정 입력을 수신 한 후 종료 항목 설정 입력을 수신 할 때까지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아이템이 상기 표시 화면을 벗어날 경우, 상기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제1 아이템을 고정시켜 표시하고,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 내에, 상기 선택된 아이템들 중 설정된 개수의 아이템만 표시하고, 상기 제1 아이템부터 상기 제2 아이템 사이에 포함된 아이템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지시자를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 내에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자는 선택된 아이템의 수에서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아이템의 개수를 뺀 값을 지시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아이템 표시 영역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선택된 아이템들 포함하는 선택 아이템 해제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 아이템 해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선택된 아이템들 중 임의의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이 수신된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격자 형태로 나열된 경우,
    상기 시작 아이템 설정 입력 수신 후 수신되는 스크롤 명령에 따라 상기 시작 아이템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시작 아이템을 상기 임의의 영역에 고정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삭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을 포함하는 1차원 형태로 나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행(row) 성분과 열(column) 성분을 포함하는 2차원 형태로 나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30050268A 2013-05-03 2013-05-03 휴대 단말기의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2163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268A KR102163991B1 (ko) 2013-05-03 2013-05-03 휴대 단말기의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
US14/269,855 US10254932B2 (en) 2013-05-03 2014-05-05 Method and apparatus of selecting item of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268A KR102163991B1 (ko) 2013-05-03 2013-05-03 휴대 단말기의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208A KR20140131208A (ko) 2014-11-12
KR102163991B1 true KR102163991B1 (ko) 2020-10-12

Family

ID=5184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268A KR102163991B1 (ko) 2013-05-03 2013-05-03 휴대 단말기의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54932B2 (ko)
KR (1) KR1021639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11895S1 (en) * 2012-06-06 2014-08-26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6331466B2 (ja) * 2014-02-27 2018-05-30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表示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678629B2 (en) * 2014-12-11 2017-06-13 Ariba, Inc. Focusing on multiple selected rows within a data table
KR101685288B1 (ko) * 2015-05-11 2016-12-09 주식회사 카카오 컨텐츠 표시 제어 방법 및 컨텐츠 표시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CN106873955A (zh) * 2016-06-07 2017-06-2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动态列表的显示方法、装置、设备和系统
CN108536483B (zh) * 2018-03-19 2021-07-02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开机启动项的启动控制方法及系统
JP7131110B2 (ja) * 2018-06-18 2022-09-0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7172276B2 (ja) * 2018-08-20 2022-11-1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D949159S1 (en) 2019-06-02 2022-04-19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IL270988A (en) * 2019-11-27 2021-05-31 Ben Layish Amir A digital content selection and management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7683A (en) 1999-02-26 2000-11-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aphical selection marker and method for lists that are larger than a display window
US20050166159A1 (en) * 2003-02-13 2005-07-28 Lumapix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multiple dragged object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841B1 (ko) 2003-07-11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 방법
US7685209B1 (en) * 2004-09-28 2010-03-23 Yaho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normalizing user-selected keywords in a folksonomy
KR101470543B1 (ko) 2008-02-15 201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00020818A (ko) * 2008-08-13 2010-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10037298A (ko) * 2009-10-06 2011-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스트 편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073857A (ko) * 2009-12-24 2011-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62611B1 (ko) 2010-12-10 2017-07-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US9224153B2 (en) * 2011-12-28 2015-12-29 Target Brands, Inc. Recently viewed items display area
JP2013186726A (ja) * 2012-03-08 2013-09-19 Kyocera Corp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7683A (en) 1999-02-26 2000-11-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aphical selection marker and method for lists that are larger than a display window
US20050166159A1 (en) * 2003-02-13 2005-07-28 Lumapix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multiple dragged obje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54932B2 (en) 2019-04-09
US20140331170A1 (en) 2014-11-06
KR20140131208A (ko)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991B1 (ko) 휴대 단말기의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2113272B1 (ko) 전자장치에서 복사/붙여넣기 방법 및 장치
CN105912071B (zh) 用于编辑用于主屏幕的页面的移动装置和方法
KR101710418B1 (ko) 휴대 단말기의 멀티 터치 인터렉션 제공 방법 및 장치
TWI381305B (zh) 使用者介面的顯示與操作方法以及電子裝置
US98579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creens in a portable terminal
KR101485787B1 (ko) 단말 및 그의 컨텐츠 저장 및 실행 방법
CN107071134B (zh) 移动终端
KR101911804B1 (ko) 터치 디바이스에서 검색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EP2463768A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screens on the touch screen of a mobile device
US9898111B2 (en) Touch sensitive device and method of touch-based manipulation for contents
US20150020013A1 (en) Remote operation of applications using received data
JP6655275B2 (ja) モバイ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30051558A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50171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ustomized menus for accessing application functionality
US20160110035A1 (en) Method for display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280474B1 (ko)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2234400B1 (ko) 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30095970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기기에서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66708B1 (ko) 배경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20130111405A1 (en) Controlling method for basic screen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9632613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control apparatus for reducing a number of touch times in a case where a guidance is not displayed as compared with a case where the guidance is displayed
KR101485791B1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제어 방법
KR20140007607A (ko) 휴대 단말기의 부가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2125207B1 (ko) 전자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