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0237A -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0237A
KR20120060237A KR1020127010729A KR20127010729A KR20120060237A KR 20120060237 A KR20120060237 A KR 20120060237A KR 1020127010729 A KR1020127010729 A KR 1020127010729A KR 20127010729 A KR20127010729 A KR 20127010729A KR 20120060237 A KR20120060237 A KR 20120060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vernor rope
emergency stop
governor
stop device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0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7846B1 (ko
Inventor
다이스케 오카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0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in case of rope or cable sl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1개의 조속기에 의해서 승강 엘리베이터칸의 상승 및 하강방향의 쌍방향의 이상 속도를 검출하여 작동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에 있어서, 기계적인 기구에 의해 동작하는 간결한 구성으로 하여 동작 지연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승강 엘리베이터칸의 승강에 동기하여 순환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무단상의 조속기 로프와, 승강로 상부에 마련되고, 조속기 로프를 통하여 이상 속도를 검출한 경우에 조속기 로프의 순환이동을 구속하는 조속기와, 승강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되고, 이상 속도를 검출한 경우에 작동되어 승강 엘리베이터칸을 제동하는 비상멈춤장치 본체와, 비상멈춤장치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조속기 로프와 연결되며, 조속기 로프의 순환이동이 구속된 경우에 회동하여 비상멈춤장치 본체를 작동시키는 요동체와, 승강 엘리베이터칸과 조속기와의 사이의 조속기 로프가 느슨해진 경우에, 요동체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요동체 회동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에서는, 승강 엘리베이터칸이 위쪽 방향 및 아래쪽 방향으로 돌연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승강 엘리베이터칸 또는 균형추에 마련되고, 가이드레일을 사이에 두도록 마련된 경사면 및 가압면을 가지는 홀더와, 홀더의 경사면과 가이드레일과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가압체와, 속도검출기가 승강 엘리베이터칸의 이상 이동을 감지했을 때에 출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하여 작동하며, 가압체에 접속되어 통상 운전시에는 가압체를 가이드레일로부터 이간시킴과 아울러, 제동시에는 가압체를 경사면과 가이드레일과의 사이에 밀어넣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 상부 및 하부의 각각에 2개의 조속기를 가지는 것으로서, 승강 엘리베이터칸의 승강에 수반하여 순환되는 루프 모양의 조속기 로프와, 이 조속기 로프의 상단부가 감겨 조속기 로프의 순환에 의해 회전되는 상부 쉬브를 가지고, 엘리베이터칸이 주행하고 있을 때에 과속도를 검출하여 조속기 로프를 구속하여 비상멈춤장치를 동작시키는 상부 조속기와, 조속기 로프의 하단부가 감겨 조속기 로프의 순환에 의해 회전되는 하부 쉬브를 가지며, 엘리베이터칸이 주행하고 있을 때에 과속도를 검출하여 조속기 로프를 구속하여 비상멈춤장치를 동작시키는 하부 조속기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그리고, 상부 조속기만으로 승강 엘리베이터칸의 상하 쌍방향의 과속도를 검출하는 것으로서는, 플라이 휠을 겸한 상부 쉬브와, 텐션 웨이트에 축지지한 하부 쉬브와, 상부 쉬브 및 하부 쉬브 사이에 걸어 감겨진 조속기 로프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클로(claw)부를 가지며, 상부 쉬브에 회동 가능하게 점대칭 배치된 플라이 웨이트와, 상부 쉬브에 마련된 플라이 웨이트의 클로부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과속스위치용 트리퍼(tripper)와, 이 과속스위치용 트리퍼의 요동으로 작동하는 과속검출 스위치와, 상부 쉬브를 사이에 두고 대칭 배치되며, 로프 그립용 트리퍼를 가지는 한 쌍의 작동링크와, 작동링크에 걸림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 가동 죠우(jaw)와, 가동 죠우에 대면하여 조속기 로프 사이에 정지하는 고정 죠우와, 조속기 로프에 연결되고, 엘리베이터의 승강 엘리베이터칸의 비상멈춤기구의 작동링크와 연결한 작동레버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또한, 엘리베이터의 승강 엘리베이터칸을 매다는 매닮로프에 파단 또는 느슨해짐이 발생했을 때에 승강 엘리베이터칸을 비상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승강로 내에서 승강 엘리베이터칸을 가이드하는 레일과, 승강 엘리베이터칸을 매다는 매닮로프의 파단 또는 느슨해짐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이 검출수단에 의해 매닮로프의 파단 또는 느슨해짐을 검출했을 때에, 레일과 접촉하여 승강 엘리베이터칸의 하강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롤러와, 이 롤러와 동축상에 마련되어 함께 회전하는 거쓰(girth)와, 이 거쓰에 일단이 고정되고, 롤러의 회전에 수반하여 거쓰에 감기는 권취(卷取)로프와, 이 권취로프의 타단에 마련되고, 권취로프의 감김에 수반하여 위치를 변위시키며, 레일과 압접(壓接)함으로써 승강 엘리베이터칸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제동부재를 구비한 것도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국제공개2003/008317호 [특허문헌 2] 일본특개2002-120979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특개2002-046955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특개평10-059649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나타낸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에서는, 승강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하여 작동하는 전자 액추에이터(솔레노이드)에 의해 비상멈춤장치를 작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승강 엘리베이터칸에 승객을 실은 상태에서 승강장과 승강장의 중간층에서 작동수단(전자 액추에이터)의 고장에 의해서 비상멈춤장치가 작동했을 경우, 승강 엘리베이터칸을 가장 가까운 승강장까지 이동시켜 승객을 구출하는 것 및 상기 작동수단을 수리 또는 교환 등 하는 것이 필요하며, 구출까지의 시간이 다대하게 걸려 승객의 불안을 증대시켜 버릴 우려가 있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특히 상기 작동수단이 승강 엘리베이터칸 아래에 배치되었을 경우는 수리 또는 교환 등의 대응 작업에 다대한 수고나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 특허문헌 2에 나타낸 것에서는, 승강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조속기를 마련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조속기를 2대 설치함으로써 비용이 비싸진다고 하는 과제나, 상부 조속기 및 하부 조속기의 쌍방이 모두 과속도를 검지하여 동작한(양(兩) 조속기의 작동 클로가 라쳇(ratchet)과 맞물림 상태에 있음) 경우, 상하 쌍방의 조속기의 복귀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수고나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과제도 있다.
이것에 대해, 특허문헌 3에 나타낸 것에서는, 승강로 상부에 마련된 1대의 조속기에 의해 승강 엘리베이터칸의 상하 쌍방향의 과속도를 검출하는 것이지만, 이 경우, 승강 엘리베이터칸 상승시에 비상멈춤이 작동할 때에는, 상부 조속기에 의해 파지된 조속기 로프의 장력이 승강로 하부의 텐션 풀리를 통하여 승강 엘리베이터칸의 비상멈춤 작동기구로 작용한다. 그리고, 텐션 풀리는 텐션 웨이트에 의해 소정의 장력이 얻어지도록 상하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비상멈춤 작동시에는 이 상하이동을 금지하기 위하여 로크(lock)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조속기 로프가 파지된 개소로부터 비상멈춤기구까지의 거리가 길고 조속기 로프의 탄성변형이나, 텐션 풀리의 위쪽 방향으로의 이동을 금지하는 로크기구의 허용 범위가 있기 때문에, 승강 엘리베이터칸의 상승방향의 과속도가 검출되어 상부 조속기가 조속기 로프를 파지한 후, 탄성변형량과 로크기구의 허용 범위만큼을 더한 거리까지 승강 엘리베이터칸이 움직이지 않으면 비상멈춤이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동작 지연이 발생해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승강 엘리베이터칸의 상승 및 하강방향의 쌍방향의 이상 속도를 검출하는 1개의 조속기에 의해서, 상승 및 하강 쌍방향 모두 비상멈춤장치가 작동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에 있어서, 간결한 구성으로 동작 지연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에 관해서는, 승강 엘리베이터칸의 상승방향 및 하강방향의 쌍방향의 이상 속도를 검출한 경우에 작동하여 상기 승강 엘리베이터칸을 제동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 엘리베이터칸의 승강에 동기하여 순환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무단상(無端狀)의 조속기 로프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되고, 상기 조속기 로프의 일측이 감겨지며, 상기 조속기 로프를 통하여 상기 이상 속도를 검출하고, 상기 이상 속도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조속기 로프의 상기 순환이동을 구속하는 조속기와, 상기 승강로의 상부 및 하부의 다른 쪽에 마련되며, 상기 조속기 로프의 타측이 감겨진 텐션 풀리와, 상기 승강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되고, 상기 이상 속도를 검출한 경우에 작동되어 상기 승강 엘리베이터칸을 제동하는 비상멈춤장치 본체와, 상기 비상멈춤장치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조속기 로프와 연결되고, 상기 조속기 로프의 상기 순환이동이 구속된 경우에 상기 승강 엘리베이터칸의 이동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비상멈춤장치 본체를 작동시키는 요동체와, 상기 조속기 로프의 상기 순환이동이 구속되어, 상기 승강 엘리베이터칸과 상기 조속기와의 사이의 상기 조속기 로프가 느슨해진 경우에, 상기 요동체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요동체 회동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는, 승강 엘리베이터칸의 상승 및 하강방향의 쌍방향의 이상 속도를 검출하는 1개의 조속기에 의해서, 상승 및 하강 쌍방향 모두 비상멈춤장치가 작동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에 있어서, 간결한 구성으로 동작 지연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위쪽으로부터의 투영도(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의 승강 엘리베이터칸 상승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엘리베이터의 전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의 승강 엘리베이터칸 상승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비상멈춤장치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의 승강 엘리베이터칸 하강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엘리베이터의 전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의 승강 엘리베이터칸 하강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비상멈춤장치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의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각 도면을 통해서 같은 부호는 동일 부분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또는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위쪽으로부터의 투영도(평면도), 도 4는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의 승강 엘리베이터칸 상승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엘리베이터의 전체도, 도 5는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의 승강 엘리베이터칸 상승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비상멈춤장치의 주요부 확대도, 도 6은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의 승강 엘리베이터칸 하강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엘리베이터의 전체도, 도 7은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의 승강 엘리베이터칸 하강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비상멈춤장치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면에서, 1은 건물 내에 연직으로 마련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이며, 이 승강로(1)의 꼭대기부 근방(상부)에는 당해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구동하는 권상기(2)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2)의 구동축에 장착된 쉬브(3)에는 메인로프(4)가 감겨져 있으며, 이 메인로프(4)의 일단에는 승객 등을 실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하는 승강 엘리베이터칸(5)이, 타단에는 승강 엘리베이터칸(5)의 중량을 보상하는 목적의 균형추(6)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승강로(1) 내에는 승강 엘리베이터칸(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7) 및 균형추(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도시하지 않은 한 쌍의 추 가이드레일이 각각 세워져 있고, 권상기(2)를 구동시킴으로써, 승강 엘리베이터칸(5)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7)에, 균형추(6)는 추 가이드레일에 각각 안내되어, 두레박식으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또, 승강 엘리베이터칸(5)이 정지하는 층바닥에는 승강장(8)이 마련되어 있으며, 승강장(8)과 승강로(1)를 분리하는 벽부에는 승강장 출입구 및 이 승강장 출입구를 개폐하는 승강장 도어(8a)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1)의 꼭대기부 근방(상부)에는 승강 엘리베이터칸(5)의 승강방향 및 하강방향의 쌍방향의 이상 속도를 검출하고, 승강 엘리베이터칸(5)의 이동방향에 따른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된 조속기(9)가 마련되어 있다.
또, 승강로(1)의 저부 근방(하부)에는 텐션 웨이트(11a)를 가지는 텐션 풀리(11)가 텐션 풀리 고정축(11b)을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조속기(9)와 텐션 풀리(11)와의 사이에는 무단상의 조속기 로프(10)가 감겨져 있다. 텐션 풀리(11)는 텐션 웨이트(11a)에 의해 아래쪽으로 하중이 걸려 있으며, 조속기 로프(10)에 소정의 장력을 주고 있다.
그리고, 조속기(9)에는 승강 엘리베이터칸(5)의 상승시(하강시)의 이상 속도를 조속기 로프(10)를 통하여 검출한 경우에 동작하고, 조속기 로프(10)를 파지하여 조속기 로프(10)의 순환운동을 구속하는 상승시용 파지기구(9a)(하강시용 파지기구(9b))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 엘리베이터칸(5)의 하부 양측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7)의 각각에 대향하도록 하여, 비상멈춤장치 본체(12)가 비상멈춤 프레임(13)이 볼트(13a)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각각 장착되어 있다.
비상멈춤 프레임(13)에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L'자형을 나타내는 인상(引上)레버(14)가 레버축(14a)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비상멈춤장치 본체(12)와 조속기 로프(10)는 이 인상레버(14) 중앙 부근에 연결부(14b)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승강 엘리베이터칸(5)의 승강속도에 따라서, 조속기 로프(10)가 조속기(9) 및 텐션 풀리(11) 사이를 순환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승강 엘리베이터칸(5) 하부 양측의 비상멈춤장치 본체(12) 가운데, 한쪽의 비상멈춤장치 본체(12)에 마련된 인상레버(14)의 레버축(14a)은 연결축(15)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 않은 다른 쪽의 비상멈춤장치 본체(12)에 마련된 인상레버(14)의 레버축(14a)은 연결축(15)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으며, 승강 엘리베이터칸(5) 하부 양측의 양쪽의 비상멈춤장치 본체(12)에 마련된 인상레버(14)는 연동하여 요동한다.
인상레버(14)의 'L'자의 일변 측은 대략 조속기 로프(10)를 따라서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당해 일변의 선단부에는 롤러(14c)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연결축(15)에는 감기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요소(16)가 마련되어 있고, 이 탄성요소(16)는 롤러(14c)가 조속기 로프(10)로 밀어붙여지는 방향으로(즉 도 2에서 시계방향으로), 인상레버(14)를 회동시키도록 가압하고 있다.
여기서, 탄성요소(16)에 의해 가압되는 롤러(14c)가 조속기 로프(10)로 밀어붙여지는 방향으로 인상레버(14)를 회동시키는 힘이, 텐션 풀리(11)의 텐션 웨이트(11a)에 의해 주어지는 조속기 로프(10)의 소정의 장력과 균형을 맞추도록 탄성요소(16)의 가압력이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인상레버(14)의 롤러(14c) 및 연결축(15)의 탄성요소(16)는 조속기 로프(10)의 순환이동이 구속되어 승강 엘리베이터칸(5)과 조속기(9)와의 사이의 조속기 로프(10)가 느슨해진 경우에, 인상레버(14)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요동체 회동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 롤러(14c)에 대해서 조속기 로프(10)를 사이에 두고 반대 측에서 롤러(14c) 위치로부터 약간의 틈새를 둔 위쪽에는, 조속기 로프(10)와 맞닿는 로프 가이드(17)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환언하면, 이 로프 가이드(17)는 롤러(14c)가 조속기 로프(10)를 가압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부터 조속기 로프(10)와 맞닿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다.
로프 가이드(17)는 조속기 로프(10)의 장력이 약해져 느슨해진 상태에서도, 롤러(14c)가 조속기 로프(10)에 확실히 맞닿도록 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로프 가이드(17)가 조속기 로프(10)에 맞닿는 점, 롤러(14c)가 조속기 로프(10)에 맞닿는 점 및 연결부(14b)가 조속기 로프(10)에 연결되는 점의 3점의 상대위치가 승강 엘리베이터칸(5) 위치에 관계없이 고정된다.
즉, 승강 엘리베이터칸(5)의 위치가, 탄성요소(16)가 가압하는 인상레버(14)를 회동시키는 힘과 조속기 로프(10)의 소정의 장력과의 균형맞춤 상태에서의 인상레버(14)의 각도 위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되어 있다.
비상멈춤 프레임(13)에는 위쪽에서 보아 대략 오목형의 홀더(18)가 오목부 내에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7)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서 마련되어 있다.
이 오목부의 내측의 인상레버(14) 측에는 정면 형상이 대략 'V'자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된 2개의 경사면인 제1 경사면(18a) 및 제2 경사면(18b)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제1 경사면(18a) 및 제2 경사면(18b)은 홀더(18)의 상하방향 중앙에서 접속되고,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7) 측면과의 간격이 넓은 중간부로부터 상하 어느 방향을 향해서도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7) 측면과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인상레버(14)의 'L'자의 타변 측은 조속기 로프(10)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당해 타변에는 이 타변의 길이방향에 따른 장공부(長孔部)(14d)가 뚫어 형성되어 있다. 이 장공부(14d)에는 핀부(19a)를 가지는 가동제동편(19)이 당해 핀부(19a)를 장공부(14d)에 삽입함으로써 연결되어 있다. 이 핀부(19a)는 장공부(14d) 내에서 장공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또한, 조속기 로프(10)와 인상레버(14)를 연결하는 연결부(14b)는 레버축(14a)으로부터 보아 상기 'L'자의 타변 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가동제동편(19)은 홀더(18)의 오목부 내에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7)에 대해서 인상레버(14)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제동편(19)의 홀더(18)에 대향하는 측은 제1 경사면(18a) 및 제2 경사면(18b)과 대략 평행한 2개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산(山)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제동편(19)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7) 측면에 대향하는 측은 이 대향하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7) 측면과 대략 평행한 평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 홀더(18)의 오목부 내에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7)에 대해서 인상레버(14) 반대 측에는 고정제동편(21) 및 이 고정제동편(21)을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7) 측면으로 밀어붙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밀어붙임요소(22)가 마련되어 있다.
가동제동편(19)의 핀부(19a)와 인상레버(14)와의 사이에는 핀부(19a)를 통하여 가동제동편(19)을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7) 반대 측으로 가압하는 인장스프링(20)이 마련되어 있다. 탄성요소(16)가 가압하는 인상레버(14)를 회동시키는 힘과 조속기 로프(10)의 소정의 장력과의 균형맞춤 상태에서는, 이 인장스프링(20)의 작용에 의해 홀더(18)의 'V'자형 경사면의 저부와 가동제동편(19)의 산형 경사면의 꼭대기부가 맞춰져, 가동제동편(19)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7) 측면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 균형맞춤 상태로부터 레버축(14a)을 중심으로 하여 인상레버(14)가 요동하면, 장공부(14d) 및 핀부(19a)의 작용에 의해 가동제동편(19)이 제1 경사면(18a) 또는 제2 경사면(18b)을 따라서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슬라이딩한다.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슬라이딩한 가동제동편(19)은 제1 경사면(18a) 또는 제2 경사면(18b)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7) 측면과의 사이에 끼어 들어가, 가동제동편(19) 및 고정제동편(21)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7)을 끼워 지지함으로써 승강 엘리베이터칸(5)이 제동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통상 운전시에서는, 탄성요소(16)가 가압하는 인상레버(14)를 회동시키는 힘과 조속기 로프(10)의 소정의 장력이 균형맞춤되어 있어, 인상레버(14)의 회동은 저지되어 요동하지 않고 정지하고 있다. 따라서, 가동제동편(19)은 제1 경사면(18a) 또는 제2 경사면(18b)에 따른 상하방향으로는 이동하고 있지 않으며, 가동제동편(19)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7) 측면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가동제동편(19)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7)과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 치수가 확보된다. 또, 가동제동편(19)은 항상 인장스프링(20)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7)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 운전시에 승강 엘리베이터칸(5)의 주행에 의한 가감속도나 진동의 영향에 의해 비상멈춤장치가 오작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그리고, 승강 엘리베이터칸(5)의 상승시에서의 이상 속도를, 조속기 로프(10)를 통하여 조속기(9)가 검출하면, 상승시용 파지기구(9a)가 동작하여 조속기 로프(10)를 파지하고, 조속기 로프(10)의 순환이동이 구속된다. 이 상태에서 승강 엘리베이터칸(5)이 더욱 상승하려고 하면, 조속기 로프(10)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장력 F1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 장력 F1에 의한, 조속기 로프(10)의 탄성변형량(늘어남) 및 텐션 풀리(11)의 위쪽 이동량(도 4 중의 화살표 B)만큼, 비상멈춤장치 본체(12)의 인상레버(14)와 조속기(9)와의 사이의 조속기 로프(10)(도 4에 나타내는 C부)에 느슨해짐이 발생한다.
인상레버(14)로부터 보아 위쪽의 조속기 로프(10)에 느슨해짐이 발생하면, 당해 느슨해짐이 생긴 부분의 조속기 로프(10)의 장력은 균형맞춤시에서의 상기 소정의 장력보다 약해져, 탄성요소(16)가 가압하는 인상레버(14)를 회동시키는 힘이 강해진다. 즉, 이들 힘 사이의 균형이 무너져, 탄성요소(16)의 가압력에 의해, 롤러(14c)를 조속기 로프(10)로 밀어붙이는 방향으로 인상레버(14)가 회전한다(도 5 중의 화살표 A).
그러면, 가동제동편(19)이 제2 경사면(18b)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슬라이딩하여, 제2 경사면(18b)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7) 측면과의 사이로 끼여 들어가고, 가동제동편(19) 및 고정제동편(21)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7)을 끼워지지함으로써 승강 엘리베이터칸(5)이 제동된다.
또한, 텐션 풀리(11)는 텐션 풀리 고정축(11b)을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즉, 조속기 로프(10)가 느슨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지만, 이 때, 텐션 풀리(11)의 위쪽 이동량(도 4 중의 화살표 B)에 관해서, 텐션 풀리(11)가 이동 가능한 양을 비상멈춤장치 본체(12)가 작동하는데 필요한 만큼 인상레버(14)가 회동 가능하도록 조속기 로프(10)가 느슨해지는 것이 가능한 양이 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확실히 비상멈춤장치 본체(1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대해, 승강 엘리베이터칸(5)의 하강시에서의 이상 속도를, 조속기 로프(10)를 통하여 조속기(9)가 검출하면, 하강시용 파지기구(9b)가 동작하여 조속기 로프(10)를 파지하여, 조속기 로프(10)의 순환이동이 구속된다. 이 상태에서 승강 엘리베이터칸(5)이 더욱 하강하려고 하면, 조속기 로프(10)에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장력 F1가 인상레버(14)로부터 보아 위쪽의 조속기 로프(10)에 발생한다. 그리고, 이 장력 F1는 균형맞춤시에서의 상기 소정의 장력보다 강해지며, 즉, 탄성요소(16)가 가압하는 인상레버(14)를 회동시키는 힘보다 강해진다.
따라서, 이들 힘 사이의 균형이 무너져 장력 F1가 탄성요소(16)의 가압력을 이겨, 조속기 로프(10)가 인상레버(14)의 상기 'L'자의 타변 측을, 연결부(14b)를 통하여 위쪽으로 끌어올린다. 즉, 롤러(14c)가 조속기 로프(1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인상레버(14)가 회전한다(도 7 중의 화살표 A).
그러면, 가동제동편(19)이 제1 경사면(18a)을 따라서 위쪽으로 슬라이딩하여, 제1 경사면(18a)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7) 측면과의 사이에 끼여 들어가고, 가동제동편(19) 및 고정제동편(21)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7)을 끼워지지함으로써 승강 엘리베이터칸(5)이 제동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상승 및 하강방향의 쌍방향 모두 제동하는 비상멈춤장치의 구성으로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로부터 보아 한쪽의 제동편이 끼여 들어감으로써 제동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본원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제동편 대신에 롤러를 이용한 것이나, 한쪽이 아니라 양측의 제동편이 끼여 들어가는 것 등으로 하여 인상레버의 회동방향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방향에 대한 제동 동작을 하는 비상멈춤장치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여기에서는, 승강로 상부에 이상 속도를 검출하여 조속기 로프를 파지하는 조속기가 설치된 엘리베이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와 같은 조속기를 승강로 하부에 마련한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도 본원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승강 엘리베이터칸의 상승시는 아니고 하강시에 있어서 조속기 로프에 느슨해짐이 발생하므로, 이 느슨해짐이 생겼을 때에 하강시에서의 비상멈춤의 제동이 작동하도록, 인상레버가 회동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예로서는, 인상레버의 'L'자의 일변 측을 대략 조속기 로프에 따라 하측에 배치하고, 당해 일변의 선단부에 롤러를 장착하며, 탄성요소에 의해, 롤러가 조속기 로프와 밀어붙여지는 방향으로 인상레버를 회동시키도록 가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에서는, 승강 엘리베이터칸의 승강에 동기하여 순환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무단상의 조속기 로프와, 승강로 상부에 마련되고, 조속기 로프의 일측이 감겨지며, 조속기 로프를 통하여 승강 엘리베이터칸의 이상 속도를 검출하고, 이상 속도를 검출한 경우에 조속기 로프의 순환이동을 구속하는 조속기와, 승강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되며, 이상 속도를 검출한 경우에 작동되어 승강 엘리베이터칸을 제동하는 비상멈춤장치 본체와, 비상멈춤장치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조속기 로프와 연결되며, 조속기 로프의 순환이동이 구속된 경우에 승강 엘리베이터칸의 이동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비상멈춤장치 본체를 작동시키는 요동체인 인상레버와, 조속기 로프의 순환이동이 구속되어, 승강 엘리베이터칸과 조속기와의 사이의 조속기 로프가 느슨해진 경우에, 요동체(인상레버)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요동체 회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조속기 로프의 탄성변형이나, 텐션 풀리의 변위에 의한 조속기 로프의 느슨해짐이 생겨도, 이 느슨해짐 발생과 동시에 인상레버가 회동하여 비상멈춤장치 본체를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간결한 구성으로 동작 지연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텐션 풀리에 의해 조속기 로프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고, 요동체 회동수단은 조속기 로프의 순환이동이 구속되어 승강 엘리베이터칸과 조속기와의 사이의 조속기 로프가 느슨해져, 당해 느슨해진 개소의 조속기 로프의 장력이 소정의 장력보다 약해진 경우에, 요동체(인상레버)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시킴과 아울러, 요동체(인상레버)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조속기 로프에 맞닿는 롤러를 더 마련하며, 요동체 회동수단은 요동체(인상레버)가 롤러를 조속기 로프에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가압하는 탄성요소를 가지고, 이 탄성요소는 이 탄성요소에 의해 가압되는 요동체(인상레버)를 회동시키는 힘이 조속기 로프의 소정의 장력과 균형이 맞도록, 그 가압력이 설정되며, 요동체(인상레버)는 통상 운전시에 상기 2개의 힘의 균형맞춤에 의해 그 회동이 저지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비상멈춤장치의 동작 지연을 저감하는 효과를 기계적인 기구로 이루어진 간결한 구성에 의해 얻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승강 엘리베이터칸의 상승 및 하강방향의 쌍방향의 이상 속도를 검출하는 1개의 조속기에 의해서, 상승 및 하강 쌍방향 모두 비상멈춤장치가 작동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 승강로 2 권상기
3 쉬브 4 메인로프
5 승강 엘리베이터칸 6 균형추
7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 8 승강장
8a 승강장 도어 9 조속기
9a 상승시용 파지기구 9b 하강시용 파지기구
10 조속기 로프 11 텐션 풀리
11a 텐션 웨이트 11b 텐션 풀리 고정축
12 비상멈춤장치 본체 13 비상멈춤 프레임
13a 볼트 14 인상레버
14a 레버축 14b 연결부
14c 롤러 14d 장공부
15 연결축 16 탄성요소
17 로프 가이드 18 홀더
18a 제1 경사면 18b 제2 경사면
19 가동제동편 19a 핀부
20 인장스프링 21 고정제동편
22 밀어붙임요소

Claims (4)

  1. 승강 엘리베이터칸의 상승방향 및 하강방향의 쌍방향의 이상 속도를 검출한 경우에 작동하여 상기 승강 엘리베이터칸을 이상 검출한 방향으로 제동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 엘리베이터칸의 승강에 동기하여 순환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무단상(無端狀)의 조속기 로프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되고, 상기 조속기 로프의 일측이 감겨지며, 상기 조속기 로프를 통하여 상기 이상 속도를 검출하고, 상기 이상 속도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조속기 로프의 상기 순환이동을 구속하는 조속기와,
    상기 승강로의 상부 및 하부의 다른 쪽에 마련되고, 상기 조속기 로프의 타측이 감겨진 텐션 풀리와,
    상기 승강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되고, 상기 이상 속도를 검출한 경우에 작동하여 상기 승강 엘리베이터칸을 제동하는 비상멈춤장치 본체와,
    상기 비상멈춤장치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조속기 로프와 연결되며, 상기 조속기 로프의 상기 순환이동이 구속된 경우에 상기 승강 엘리베이터칸의 이동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비상멈춤장치 본체를 작동시키는 요동체와,
    상기 조속기 로프의 상기 순환이동이 구속되어, 상기 승강 엘리베이터칸과 상기 조속기와의 사이의 상기 조속기 로프가 느슨해진 경우에, 상기 요동체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요동체 회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텐션 풀리는 상기 조속기 로프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고,
    상기 요동체 회동수단은 상기 조속기 로프의 상기 순환이동이 구속되어, 상기 승강 엘리베이터칸과 상기 조속기와의 사이의 상기 조속기 로프가 느슨하게 되고, 당해 느슨해진 개소의 상기 조속기 로프의 장력이 상기 소정의 장력보다 약해진 경우에, 상기 요동체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요동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조속기 로프에 맞닿는 롤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요동체 회동수단은 상기 요동체가 상기 롤러를 상기 조속기 로프에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가압하는 탄성요소를 가지고,
    상기 탄성요소는 상기 탄성요소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요동체를 회동시키는 힘이 상기 조속기 로프의 상기 소정의 장력과 균형이 맞도록 그 가압력이 설정되며,
    상기 요동체는 통상 운전시에 상기 2개의 힘의 균형맞춤에 의해 그 회동이 저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비상멈춤장치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롤러가 상기 조속기 로프를 가압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부터 상기 조속기 로프와 맞닿는 로프 가이드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
KR1020127010729A 2009-10-28 2009-10-28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 KR101537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8497 WO2011052053A1 (ja) 2009-10-28 2009-10-28 エレベータ用非常止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237A true KR20120060237A (ko) 2012-06-11
KR101537846B1 KR101537846B1 (ko) 2015-07-20

Family

ID=43921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0729A KR101537846B1 (ko) 2009-10-28 2009-10-28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69946B2 (ko)
EP (1) EP2495205B1 (ko)
JP (1) JP5472311B2 (ko)
KR (1) KR101537846B1 (ko)
CN (1) CN102596783B (ko)
WO (1) WO20110520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3515B2 (en) 2014-04-09 2018-10-0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92699B (zh) * 2010-05-18 2014-12-24 奥的斯电梯公司 整体式电梯安全系统
US9120645B2 (en) * 2011-11-16 2015-09-01 Spacelift Products, Inc. Control system for a platform lift apparatus
US20130175120A1 (en) * 2012-01-06 2013-07-11 Thyssenkrupp Access Manufacturing, Llc Residential elevator
CN103086226B (zh) * 2013-01-28 2015-05-27 东南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升降设备测速制动安全系统
DE102015014280A1 (de) * 2015-11-06 2017-05-11 Eisenmann Se Hubsystem zum Anheben und/oder Absenken von Lasten
JP6465995B2 (ja) * 2015-12-01 2019-02-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WO2017190235A1 (en) * 2016-05-03 2017-11-09 Wabi Iron & Steel Corp. Emergency braking system for mine shaft conveyance
CN205772609U (zh) * 2016-06-08 2016-12-07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三研究所 防意外移动和防超速两用双向安全钳
US20180305176A1 (en) * 2017-04-19 2018-10-25 Otis Elevator Company Rope sway detector with tof camera
US11104545B2 (en) * 2018-12-10 2021-08-3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actuator systems
CN109911739B (zh) * 2019-03-18 2024-02-09 杭州优迈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双向安全钳和电梯
EP4077191A1 (en) * 2019-12-16 2022-10-26 Otis Elevator Company Guide device for an elevator car and elevator system
CN115413269A (zh) * 2020-04-27 2022-11-2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CN114436095A (zh) * 2020-11-02 2022-05-06 奥的斯电梯公司 滚轮系统、滚轮制动装置及电梯系统
JP2022142802A (ja) * 2021-03-17 2022-10-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移動規制装置
US11738971B2 (en) 2021-06-25 2023-08-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governor tension frame dampe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79574A (en) * 1923-03-01 1924-01-01 Zetterlund Carl Controlling means for hoisting apparatus
US2298167A (en) * 1942-03-07 1942-10-06 Westinghouse Elec Elevator Co Elevator safety device
US3908801A (en) * 1974-03-13 1975-09-30 Vertical Transport Company Vertical hoist assembly
US4083432A (en) * 1976-12-01 1978-04-11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arrangement
ES2043130T5 (es) * 1990-02-06 1999-05-01 Thyssen Aufzuege Gmbh Dispositivo que impide las aceleraciones o movimientos incontrolados de una cabina o portacargas.
GB2252545A (en) * 1991-02-06 1992-08-12 Poon Otto L Bi-directional safety brake for elevator
ES2073192T3 (es) * 1991-03-01 1995-08-01 Inventio Ag Andamio de montaje desplazable por una caja de ascensor para el montaje del equipamiento de la caja.
ES2109972T3 (es) * 1991-11-18 1998-02-01 Inventio Ag Dispositivo de activacion de equipos de seguridad.
US5299661A (en) * 1992-11-03 1994-04-05 Otis Elevator Company Mechanical overspeed safety device
JP3493911B2 (ja) * 1996-08-26 2004-02-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非常止め装置
JP4107728B2 (ja) * 1998-09-07 2008-06-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DE19906073C2 (de) * 1999-02-12 2003-03-27 Inventio Ag Vorrichtung zum Verhindern unkontrollierter Beschleunigungen eines Fahrkorbs einer Aufzugsanlage
JP2001316056A (ja) * 2000-05-12 2001-11-13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ガバナロープ張り車調整装置
JP4566351B2 (ja) 2000-07-13 2010-10-20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かごの非常止め装置
JP4809971B2 (ja) 2000-10-16 2011-11-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調速装置
JP4987213B2 (ja) 2001-06-29 2012-07-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非常ブレーキ装置
KR100611596B1 (ko) 2002-12-04 2006-08-1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제동장치
JP2004192914A (ja) * 2002-12-10 2004-07-08 Tomonao Hosogai 軟x線発生装置
EP1607359B1 (en) * 2003-03-24 2009-12-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mergency brake apparatus of elevator
FI118763B (fi) * 2003-09-02 2008-03-14 Kone Corp Hissin tarraajajärjestely
EP1849734B1 (de) * 2006-04-28 2009-09-09 Inventio Ag Bremseinrichtung einer Aufzugskabine
CN101472825B (zh) * 2006-06-30 2012-11-14 奥蒂斯电梯公司 确保检查中的电梯井道顶部或底部最小空间的安全装置及具有这种安全装置的电梯
US8272476B2 (en) * 2007-12-10 2012-09-25 Rapid Egress Descent Systems Ltd. Descent control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3515B2 (en) 2014-04-09 2018-10-0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96783B (zh) 2015-07-29
EP2495205B1 (en) 2015-12-02
KR101537846B1 (ko) 2015-07-20
EP2495205A1 (en) 2012-09-05
JP5472311B2 (ja) 2014-04-16
US20120205198A1 (en) 2012-08-16
CN102596783A (zh) 2012-07-18
WO2011052053A1 (ja) 2011-05-05
EP2495205A4 (en) 2014-12-03
US8869946B2 (en) 2014-10-28
JPWO2011052053A1 (ja)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0237A (ko)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
KR10227651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10093515B2 (en) Elevator apparatus
KR20130093650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868505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470271B1 (ko)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EP3328772B1 (en) Safety block for elevator
WO2014102933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1348518B (zh) 电梯安全促动器系统
JP5163455B2 (ja) エレベータの乗客救出装置
JP2002255466A (ja) エレベータのかごの非常停止装置
JPWO2006022015A1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1132294A1 (ja) エレベータの非常停止装置
EP1588974A1 (en) Elevator device
KR100429303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CN110171760B (zh) 调速器张紧机构、调速器装置及电梯
JPH05147855A (ja)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解放装置
KR200219245Y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JP2010208733A (ja) エレベータ
JP2010095355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618

Effective date: 201506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