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9106A -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9106A
KR20120059106A KR1020100120729A KR20100120729A KR20120059106A KR 20120059106 A KR20120059106 A KR 20120059106A KR 1020100120729 A KR1020100120729 A KR 1020100120729A KR 20100120729 A KR20100120729 A KR 20100120729A KR 20120059106 A KR20120059106 A KR 20120059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attery case
case
battery
hig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3193B1 (ko
Inventor
권범주
이건구
김경호
방준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0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193B1/ko
Publication of KR20120059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50)를 배터리 케이스(10)에 설치할 때에 외부와의 기밀유지가 가능하고, 또한 상기 커넥터(50)를 배터리 케이스(10)의 내부에서부터 배터리 케이스(10)를 관통하여 일부가 외부로 돌출된 구조가 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별도로 추가되는 부품 없이 쉽고 간편하게 커넥터(50)의 설치가 가능하고, 더 나아가 배터리 케이스(10)의 중량감소를 통해 원가절감을 이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Mounting structure of connector for high voltage battery}
본 발명은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를 배터리 케이스에 설치할 때에 외부와의 기밀유지가 가능하고, 추가되는 부품의 사용을 없앨 수 있어서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쉽고 간편하게 커넥터의 설치가 가능한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와 연료전지 자동차 그리고 전기 자동차는 모두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구동시키는 차량으로서, 전기모터에 구동전력을 제공하는 고전압 배터리가 필수적으로 장착되는 바, 상기 고전압 배터리는 차량 운행 중에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면서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전압 배터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외부와의 연결이 차단된 배터리 케이스(20)내에 장착되는 바, 상기 배터리 케이스(20)는 상부케이스(21)와 하부케이스(22)가 다수개의 볼트(23)를 매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이면서 기본적으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 또는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기밀구조를 갖추고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전압 배터리(10)가 장착된 배터리 케이스(20)는 주로 트렁크룸의 공간에 설치된 구조가 주를 이루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 차량의 실외측에서 차체 패널을 이루는 언더 플로어패널에 설치된 구조도 있다.
한편,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케이스(20)에는 고전압 배터리(10)의 충전 및 전기모터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커넥터(30)가 기밀유지가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데, 상기 커넥터(30)는 와이어결합부(31)와 커넥터결합부(32) 및 플랜지부(33)를 구비한 구성으로, 상기 와이어결합부(31)에는 고전압 배터리(10)의 양극단자(+)와 음극단자(-)에 각각 결합되는 터미널(41)이 구비된 와이어(42)가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결합부(32)에는 상대되는 수커넥터 또는 암커넥터가 결합되며, 상기 플랜지부(33)는 다수개의 볼트(43)에 의해 배터리 케이스(20)에 체결되어 설치된 구조이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는 커넥터(30)가 하부케이스(22)의 측면에 설치된 구조로, 플랜지부(33)가 하부케이스(22)의 외측에서 다수개의 볼트(43)를 매개로 상기 하부케이스(22)의 외측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결합부(31)는 하부케이스(22)를 관통해서 상기 하부케이스(22)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커넥터결합부(32)는 상기 하부케이스(2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결합부(31)의 외주연에 구비된 실링부재(34)가 상기 와이어결합부(31)가 관통하는 상기 하부케이스(22)의 구멍(22a)을 밀폐시켜서 외부와의 기밀을 유지하는 구조이다.
그런데, 도 1과 같은 종래의 설치구조는 상기 실링부재(34)를 이용한 커넥터(30)의 기밀구조를 갖기 위해 상기 하부케이스(22)의 두께(T1)가 최소한 상기 실링부재(34)의 폭(D1)보다는 커야 하기 때문에, 상기 하부케이스(22)의 중량이 무거운 단점이 있고, 또한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와 같이 하부케이스(22)를 두께가 얇은 박판으로 만든 배터리 케이스(20)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럴 경우 상기 실링부재(34)를 이용한 커넥터(30)의 기밀구조가 불가능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 및 특히 수분이 침투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 3과 같이 얇은 박판을 이용하여 하부케이스(22)를 만들고, 커넥터(30)가 설치되는 위치에만 수밀용 구조물(44)을 덧대며, 상기 수밀용 구조물(44)과 상기 하부케이스(22) 사이에 기밀유지를 위한 별도의 보조 실링부재(45)를 설치한 구조가 있을 수 있으나, 이럴 경우 수밀용 구조물(44)과 보조 실링부재(45)의 사용으로 인해 원가가 크게 상승하는 단점이 여전히 있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커넥터(30)가 상부케이스(21)에 설치된 구조로, 플랜지부(33)가 상부케이스(21)의 외측에서 다수개의 볼트(43)를 매개로 상기 상부케이스(21)의 윗면에 접촉하여 설치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결합부(31)는 상부케이스(21)를 관통해서 상기 상부케이스(21)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커넥터결합부(32)는 상기 상부케이스(2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결합부(31)의 외주연에 구비된 실링부재(34)는 상기 와이어결합부(31)가 관통하는 상기 상부케이스(21)의 구멍(21a)을 밀폐시켜서 외부와의 기밀을 유지하는 구조이다.
그런데, 도 4와 같은 종래의 설치구조는 먼저 커넥터(30)를 상부케이스(21)에 결합시키고, 그 후에 와이어(42)에 구비된 터미널(41)을 고전압 배터리(10)의 양극단자(-)와 음극단자(-)에 각각 결합시킨 다음, 맨 마지막으로 상부케이스(21)를 하부케이스(22)에 결합시켜서 조립해야 하는데, 이때 상기 와이어(42)의 길이가 충분하게 길지 않으면 상기 터미널(41)을 고전압 배터리(10)의 단자에 결합시키기가 힘들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 상기 터미널(41)의 결합이 불가함에 따라 상기 터미널(41)의 설치위치가 제한적으로 한정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터미널(41)의 결합을 위해 상기 와이어(42)의 길이를 과도하게 할 경우 불필요한 낭비가 초래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모든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를 배터리 케이스에 설치할 때에 외부와의 기밀유지가 가능하도록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커넥터를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에서부터 배터리 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가 되도록 설치하여, 별도로 추가되는 부품 없이 쉽고 간편하게 커넥터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고, 더 나아가 배터리 케이스의 중량감소를 통해 원가절감을 이룩할 수 있는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와이어결합부와 커넥터결합부 및 플랜지부를 구비한 커넥터가 배터리 케이스에 고정되게 설치된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결합부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안쪽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배터리 케이스와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결합부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부에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안쪽면과 밀착을 이루는 일면에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와의 접촉으로 기밀을 유지시키는 실링부재가 일체로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를 관통한 다음 상기 플랜지부에 체결되는 다수개의 볼트에 의해 상기 배터리 케이스와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볼트가 관통하는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구멍내에 상기 볼트와의 나사 체결을 위한 너트가 인서트 된 상태로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볼트구멍과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와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상기 볼트구멍의 일단을 밀폐시키는 커버부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커넥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터리 케이스를 구성하는 하부케이스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구조가 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터리 케이스를 구성하는 상부케이스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구조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를 배터리 케이스에 설치할 때에 외부와의 기밀유지가 가능하고, 또한 상기 커넥터를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에서부터 배터리 케이스를 관통하여 일부가 외부로 돌출된 구조가 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별도로 추가되는 부품 없이 쉽고 간편하게 커넥터의 설치가 가능하고, 더 나아가 배터리 케이스의 중량감소를 통해 원가절감을 이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구조에 따라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가 하부케이스에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 2와 도 3은 도 1과는 다른 실시예의 도면,
도 4는 종래 구조의 따라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가 상부케이스에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구조에 따라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가 하부케이스에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구조에 따라 설치되는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단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구조에 따라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가 상부케이스에 설치되는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고전압 배터리(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외부와의 연결이 차단된 배터리 케이스(20)내에 장착되는 바, 상기 배터리 케이스(20)는 상부케이스(21)와 하부케이스(22)가 다수개의 볼트(23)를 매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이면서 실링부재(24)에 의해 기본적으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 또는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기밀구조를 갖추고 있다.
한편,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케이스(20)에는 고전압 배터리(10)의 충전 및 전기모터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커넥터(50)가 기밀유지가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데, 상기 커넥터(50)는 와이어결합부(51)와 커넥터결합부(52) 및 플랜지부(53)를 구비한 구성으로, 상기 와이어결합부(51)에는 고전압 배터리(10)의 양극단자(+)와 음극단자(-)에 각각 결합되는 터미널(61)이 구비된 와이어(62)가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결합부(52)에는 상대되는 수커넥터 또는 암커넥터가 결합되며, 상기 플랜지부(53)는 다수개의 볼트(63)에 의해 배터리 케이스(20)에 체결되어 설치된 구조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는 커넥터(50)가 하부케이스(22)의 측면에 설치된 구조로, 상기 커넥터결합부(52)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상기 하부케이스(22)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 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부(53)는 상기 하부케이스(22)의 안쪽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하부케이스(22)와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결합부(51)는 상기 하부케이스(2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구조인 것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50)의 플랜지부(53)에서 상기 하부케이스(22)의 안쪽면과 밀착을 이루는 일면에는 상기 하부케이스(22)와의 접촉으로 기밀을 유지시키는 실링부재(54)가 일체로 결합된 구조이다.
한편, 상기 플랜지부(53)는 상기 하부케이스(22)의 외부에서 상기 하부케이스(22)를 관통한 다음 상기 플랜지부(53)에 체결되는 다수개의 볼트(63)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22)와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53)에는 상기 볼트(63)가 관통하는 볼트구멍(53a)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구멍(53a)내에는 상기 볼트(63)와의 나사 체결을 위한 너트(55)가 인서트 된 상태로 일체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53)에는 상기 볼트구멍(53a)과 상기 배터리 케이스(10)의 내부와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상기 볼트구멍(53a)의 일단을 밀폐시키는 커버부(56)가 일체로 구비된 구조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50)는 커넥터결합부(52)가 배터리 케이스(20)의 내부에서부터 하부케이스(22)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구조이고, 또한 상기 커넥터(50)의 플랜지부(53)가 실링부재(54)를 통해 하부케이스(22)의 안쪽면과 밀착되어 기밀유지를 이루는 구조이므로, 상기 하부케이스(22)의 두께를 박판과 같이 얇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하부케이스(22)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중량감소 및 원가절감을 이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도 3의 종래 구조와 같이 수밀용 구조물(44) 및 보조 실링부재(45)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는 구성인 바, 이로 인해 부품수 감축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도 7과 도 8에는 커넥터(50)가 상부케이스(21)에 고정되게 설치된 다른 실시예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 바, 즉 하부케이스(21)의 안쪽면에 서포트브라켓(70)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서포트브라켓(70)에 상기 커넥터(50)의 플랜지부(53)를 결합시켜서 설치한 다음, 상기 커넥터(50)의 커넥터결합부(52)가 상기 상부케이스(21)를 관통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21)를 다수개의 볼트(23)를 매개로 상기 하부케이스(22)에 결합하여 설치하고, 상기 플랜지부(52)가 상기 상부케이스(21)의 안쪽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21)에 고정하여 설치한 구조인 것이다.
상기의 구조가 도 5와 다른 부분은 서포트브라켓(70)에 커넥터(50)를 먼저 설치하는 구조로서, 이는 상부케이스(21)를 하부케이스(22)에 결합시켜서 조립하기 전에 와이어(62)에 구비된 터미널(61)을 고전압 배터리(10)의 양극단자(-)와 음극단자(-)에 각각 편리하고 쉽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상기 와이어(62)의 여유길이를 과도하게 확보할 필요를 없앨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5와 다른 구조는 볼트(63)가 배터리 케이스(10)의 외부에서 상부케이스(21)를 관통하여 커넥터(50)의 플랜지부(52)에 구비된 너트(55)에 체결되는 구조이고, 상기 플랜지부(52)에 구비된 실링부재(54)가 상기 상부케이스(21)의 안쪽면에 밀착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구조가 서로 다른 부분인 바, 그 외 나머지의 다른 구조는 상기 도 5의 구조와 동일하고, 또한 작용과 효과도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는,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50)를 배터리 케이스(10)에 설치할 때에 외부와의 기밀유지가 가능하고, 또한 상기 커넥터(50)를 배터리 케이스(10)의 내부에서부터 배터리 케이스(10)를 관통하여 일부가 외부로 돌출된 구조가 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별도로 추가되는 부품 없이 쉽고 간편하게 커넥터(50)의 설치가 가능하고, 더 나아가 배터리 케이스(10)의 중량감소를 통해 원가절감을 이룩할 수 있게 된다.
10 - 고전압 배터리 20 - 배터리 케이스
21 - 상부케이스 21 - 하부케이스
30 - 커넥터 31 - 와이어결합부
32 - 커넥터결합부 33 - 플랜지부

Claims (8)

  1. 와이어결합부와 커넥터결합부 및 플랜지부를 구비한 커넥터가 배터리 케이스에 고정되게 설치된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결합부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안쪽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배터리 케이스와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결합부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안쪽면과 밀착을 이루는 일면에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와의 접촉으로 기밀을 유지시키는 실링부재가 일체로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를 관통한 다음 상기 플랜지부에 체결되는 다수개의 볼트에 의해 상기 배터리 케이스와 결합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볼트가 관통하는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구멍내에 상기 볼트와의 나사 체결을 위한 너트가 인서트 된 상태로 일체로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볼트구멍과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와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상기 볼트구멍의 일단을 밀폐시키는 커버부가 일체로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를 구성하는 하부케이스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를 구성하는 상부케이스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를 구성하는 하부케이스에 서포트브라켓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브라켓에 상기 플랜지부가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커넥터결합부가 상기 상부케이스를 관통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가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상부케이스의 안쪽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상부케이스에 고정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
KR1020100120729A 2010-11-30 2010-11-30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 KR101273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729A KR101273193B1 (ko) 2010-11-30 2010-11-30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729A KR101273193B1 (ko) 2010-11-30 2010-11-30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106A true KR20120059106A (ko) 2012-06-08
KR101273193B1 KR101273193B1 (ko) 2013-06-14

Family

ID=46610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729A KR101273193B1 (ko) 2010-11-30 2010-11-30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193B1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2702A1 (en) * 2012-10-16 2014-04-24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and housings
US9312522B2 (en) 2012-10-18 2016-04-12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9502737B2 (en) 2013-05-23 2016-11-22 Ambri Inc. Voltage-enhanced energy storage devices
US9520618B2 (en) 2013-02-12 2016-12-13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WO2017104942A1 (ko) * 2015-12-18 2017-06-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US9735450B2 (en) 2012-10-18 2017-08-15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9893385B1 (en) 2015-04-23 2018-02-13 Ambri Inc. Battery management systems for energy storage devices
US10181800B1 (en) 2015-03-02 2019-01-15 Ambri Inc. Power conversion systems for energy storage devices
US10270139B1 (en) 2013-03-14 2019-04-23 Ambri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ycling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10541451B2 (en) 2012-10-18 2020-01-21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10637015B2 (en) 2015-03-05 2020-04-28 Ambri Inc. Ceramic materials and seals for high temperature reactive material devices
WO2021107517A1 (ko) * 2019-11-29 2021-06-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전자 디바이스, 및 자동차
US11211641B2 (en) 2012-10-18 2021-12-28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11387497B2 (en) 2012-10-18 2022-07-12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11411254B2 (en) 2017-04-07 2022-08-09 Ambri Inc. Molten salt battery with solid metal cathode
US11489272B2 (en) 2020-09-29 2022-11-01 Hyundai Motor Company Connector apparatus for a battery
US11721841B2 (en) 2012-10-18 2023-08-08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11909004B2 (en) 2013-10-16 2024-02-20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11929466B2 (en) 2016-09-07 2024-03-12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415B1 (ko) 2018-03-20 2022-04-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2240625B1 (ko) 2019-12-04 2021-04-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WO2021212224A1 (en) * 2020-04-22 2021-10-28 Blue Solutions Canada Inc. Pass-through connector for a battery pack, battery pack, and method for introducing at least one gas in a hermetically sealable casing for a battery pac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12188B4 (de) * 2003-03-19 2005-08-18 Sak Auto Kabel Ag Batterieanschluss
KR20080077840A (ko) * 2007-02-21 2008-08-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 이퀄라이저

Cited B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8212B2 (en) 2012-10-16 2020-03-31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and housings
WO2014062702A1 (en) * 2012-10-16 2014-04-24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and housings
US9312522B2 (en) 2012-10-18 2016-04-12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11387497B2 (en) 2012-10-18 2022-07-12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11611112B2 (en) 2012-10-18 2023-03-21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11211641B2 (en) 2012-10-18 2021-12-28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10541451B2 (en) 2012-10-18 2020-01-21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9735450B2 (en) 2012-10-18 2017-08-15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9825265B2 (en) 2012-10-18 2017-11-21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11721841B2 (en) 2012-10-18 2023-08-08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11196091B2 (en) 2012-10-18 2021-12-07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9520618B2 (en) 2013-02-12 2016-12-13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9728814B2 (en) 2013-02-12 2017-08-08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10270139B1 (en) 2013-03-14 2019-04-23 Ambri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ycling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9559386B2 (en) 2013-05-23 2017-01-31 Ambri Inc. Voltage-enhanced energy storage devices
US10297870B2 (en) 2013-05-23 2019-05-21 Ambri Inc. Voltage-enhanced energy storage devices
US9502737B2 (en) 2013-05-23 2016-11-22 Ambri Inc. Voltage-enhanced energy storage devices
US11909004B2 (en) 2013-10-16 2024-02-20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10566662B1 (en) 2015-03-02 2020-02-18 Ambri Inc. Power conversion systems for energy storage devices
US10181800B1 (en) 2015-03-02 2019-01-15 Ambri Inc. Power conversion systems for energy storage devices
US10637015B2 (en) 2015-03-05 2020-04-28 Ambri Inc. Ceramic materials and seals for high temperature reactive material devices
US11289759B2 (en) 2015-03-05 2022-03-29 Ambri, Inc. Ceramic materials and seals for high temperature reactive material devices
US11840487B2 (en) 2015-03-05 2023-12-12 Ambri, Inc. Ceramic materials and seals for high temperature reactive material devices
US9893385B1 (en) 2015-04-23 2018-02-13 Ambri Inc. Battery management systems for energy storage devices
US10644299B2 (en) 2015-12-18 2020-05-05 Lg Chem, Ltd.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WO2017104942A1 (ko) * 2015-12-18 2017-06-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US11929466B2 (en) 2016-09-07 2024-03-12 Ambri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US11411254B2 (en) 2017-04-07 2022-08-09 Ambri Inc. Molten salt battery with solid metal cathode
CN114175389A (zh) * 2019-11-29 2022-03-11 株式会社Lg新能源 电池组、电子装置和车辆
WO2021107517A1 (ko) * 2019-11-29 2021-06-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전자 디바이스, 및 자동차
JP2022541806A (ja) * 2019-11-29 2022-09-27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バッテリーパック、電子デバイス及び自動車
US11489272B2 (en) 2020-09-29 2022-11-01 Hyundai Motor Company Connector apparatus for a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3193B1 (ko) 201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3193B1 (ko)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
KR101210095B1 (ko) 고전압 배터리의 차량 설치구조
US9391485B2 (en) Inverter terminal board installed in motor case and packing
CN102555755B (zh) 电动车辆
US20200328554A1 (en) Electrical device
US8251756B2 (en) Nut holding means within a busbar housing
JP2009083601A (ja) 電気自動車
US8894449B2 (en) Terminal block
CN107123887A (zh) 一种电动汽车充电枪
JP2012224196A (ja) 充電コネクタ取付構造
JP2008222032A (ja) 電気自動車用ケーブル接続構造
US20200108784A1 (en) Joint and vehicle
CN101913328A (zh) 一种纯电动汽车的驱动电机控制器接线盒
JP4993255B2 (ja) 燃料電池
EP4246736A1 (en) Charging pile
CN201639083U (zh) 电动汽车用大电流快速连接器
CN214542447U (zh) 电池包边梁组件及电池包
CN215818999U (zh) 户外储能电源
CN105633700A (zh) 一种电源插接装置
KR20130033087A (ko) 차량용 인휠 모터와 케이블의 결합 구조 및 결합 방법
KR102106970B1 (ko) 친환경 자동차의 고전원 장치 간 전원 연결장치
CN210101251U (zh) 一种用于汽车空调的防水密封固定装置
US20140091085A1 (en) Onboard device
KR20120074375A (ko) 배터리 케이스
KR200467142Y1 (ko)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