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625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625B1
KR102240625B1 KR1020190159991A KR20190159991A KR102240625B1 KR 102240625 B1 KR102240625 B1 KR 102240625B1 KR 1020190159991 A KR1020190159991 A KR 1020190159991A KR 20190159991 A KR20190159991 A KR 20190159991A KR 102240625 B1 KR102240625 B1 KR 102240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nnection
connector
support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지원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9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케이스에 설치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대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단자(12)가 구비된 접속몸체(11)의 상면에 배터리와 연결되는 연결편(14)이 결합된 접속부(10)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플랜지부(21)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22)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부(22)에 형성된 삽입구(23')를 통해서 상기 접속부(10)가 삽입되는 금속재질의 결합플랜지(2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플랜지(20)에는 상기 접속부(10)의 하면 및 후면을 지지하여 상기 접속부(10)의 파손을 방지하는 지지부재(3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결합플랜지에는 지지부재가 형성되어 접속부에 힘이 가해지는 반대방향에서 접속부를 지지하므로 접속부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접속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결합플랜지는 금속재질이므로 접속부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결합플랜지가 접속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조립체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기기의 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품이다. 이러한 커넥터 조립체는 결합 및 분리 가능한 한 쌍, 예컨대 메일(male) 커넥터와 피메일(female) 커넥터로 구성된다. 그리고 커넥터 내부에는 전류 및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터미널이 구비된다.
이 중, 수직형 커넥터는 연결포트 또는 인쇄회로기판과의 전기적 결합이 용이해지도록 직각 또는 다른 각도로 상대 커넥터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커넥터 사이의 결합을 위해 커넥터 자체를 수직으로 결합시키는 것은 커넥터 간의 결합과정에서 와이어를 크게 구부릴 필요가 없어지므로 이러한 행동에 의한 와이어의 손상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상기 수직형 커넥터와 연결되는 상대커넥터는 차체 또는 배터리 등의 외관을 구성하는 플레이트에 기계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때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상대 커넥터는 플랜지와 접속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플레이트에 커넥터가 지지되고, 상기 접속부의 외측하우징의 내부로 단자부가 형성되어 외부의 수직형 커넥터와 결합된다.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으로는 에너지 저장 장치 또는 전자부품으로부터 연장되는 버스바가 상기 접속부와 볼팅작업에 의해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의 커넥터는 작업자가 커넥터의 연장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공구를 세우고 중력방향으로 하중을 가하며 볼팅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 수지재질의 커넥터에 하중이 과도하게 작용하여 커넥터 자체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플랜지와 접속부의 외측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되면, 외력에 의해 플랜지 자체가 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들어, 선행문헌과 같이 커넥터의 커버부(56)가 와이어결합부(51)와 일체로 형성되면, 상기 와이어결합부(51)에 볼팅작업 중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커버부(56) 자체가 파손되어 상부케이스(21)와 분리되거나, 커버부(56)와 와이어결합부(51) 사이의 결합부위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7319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의 지지부재가 접속부의 하중을 지지하여 파손이 방지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케이스에 설치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대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단자가 구비된 접속몸체의 상면에 배터리와 연결되는 연결편이 결합된 접속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플랜지부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삽입구를 통해서 상기 접속부가 삽입되는 금속재질의 결합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결합플랜지에는 상기 접속부의 하면 및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플랜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접속부가 안착되는 지지면이 형성된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로부터 상기 접속부의 삽입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접속몸체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접속부의 접속몸체 후면과 상기 지지가이드에는 각각 유동방지돌기와 유동방지홈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속부의 유동이 방지된다.
상기 지지몸체에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몸체와 일체로 보강부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편에는 단자홀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홀에 체결장치가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의 내부단자와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접속몸체에는 상기 접촉단자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단자안착몸체가 돌출되고, 상기 단자안착몸체의 상면에 상기 연결편이 안착된다.
상기 단자안착몸체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연결편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이탈방지걸이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실링부재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접속부를 감싸는 외부하우징이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적어도 둘 이상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결합플랜지에는 지지부재가 형성되어 접속부에 힘이 가해지는 반대방향에서 접속부를 지지하므로 접속부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접속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결합플랜지는 금속재질로, 접속부는 수지재질로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접속부는 결합플랜지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접속부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결합플랜지가 접속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재에는 지지가이드가 형성되어 접속부가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여 체결공간에 머무르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커넥터가 과도하게 케이스 내측으로 진입하지 않게되어 상대커넥터와의 결합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재에는 유동방지홈이 형성되어 접속부에 끼워지므로 접속부가 체결공간 내에서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유격에 의한 진동이 감소하여 단자 간의 접촉안정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접속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결합플랜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결합플랜지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6는 도 4의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7은 도 5의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넥터의 주요특징부를 보인 확대사시도.
도 9는 도 1의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넥터(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넥터(1)는 접속부(10)와 외부하우징(미도시)이 결합플랜지(20)에 결합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외부하우징(미도시)이 상기 접속부(10)와 결합플랜지(20)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접속부(10)는 상기 결합플랜지(2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외부하우징(미도시)이 상기 결합플랜지(20)와 결합되는 형상은 본 발명의 주요 특징부가 아니므로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접속부(10)는 접속몸체(11)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접속몸체(11)는 대략 육면체 형상이며 수지재질로 사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접속몸체(11)의 일방향으로 접촉단자(12)가 돌출된다. 상기 접촉단자(12)는 상기 접속몸체(11)에 일체로 인서트 사출 되거나, 기계적인 결합구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례의 커넥터(1)는 고전압커넥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단자(12)는 한 쌍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접촉단자(12)의 형상은 상대커넥터 또는 본 발명의 커넥터(1)가 적용되는 제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접속몸체(11)에는 상기 접촉단자(12)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단자안착몸체(13)가 돌출된다. 상기 단자안착몸체(13)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단자안착몸체(13)의 상면에는 상기 접촉단자(12)의 후단인 연결편(14)이 안착된다. 상기 단자안착몸체(13)에는 상면에 상기 연결편(14)이 안착될 수 있거나, 내부로 소형 커넥터가 삽입되는 홀(도면부호 표시 않음)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편(14)은 상기 접촉단자(12)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편(14)은 상기 단자안착몸체(13)의 상면에 안착되며, 그 일면이 상부를 향해 노출된다. 상기 연결편(14)에는 단자홀(14')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홀(14')에 체결장치(미도시)가 삽입되어 배터리 등에서 부터 연장되는 단자와 결합된다.
상기 단자안착몸체(13)의 가장자리에는 이탈방지걸이(15)가 돌출된다. 상기 이탈방지걸이(15)는 상기 연결편(14)의 가장자리에 걸어져 상기 연결편(14)이 상기 단자안착몸체(13)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탈방지걸이(15)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편(14)이 삽입될 때 외측으로 변형되었다가, 상기 연결편(14)이 상기 단자안착몸체(13)에 안착되면 복원되어 상기 연결편(14)의 상면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걸이(15)는 적어도 둘 이상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몸체(11)로부터 상기 단자안착몸체(13)가 돌출되고 남은 면은 단차면(16)이 된다. 즉, 상기 단차면(16)은 상기 단자안착몸체(13)가 형성되지 않은 접속몸체(11)의 후면이다. 상기 단차면(16)은 상기 결합플랜지(20)의 지지부재(30)에 접하여 상기 접속부(10)의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단차면(16)에는 유동방지리브(17)가 돌출된다. 상기 유동방지리브(17)는 상기 지지부재(30)에 형성된 유동방지홈(36)에 끼워져 미세한 유격에 의한 진동을 최소화한다. 상기 유동방지리브(17)는 상기 유동방지홈(36)과 대응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유동방지리브(17)는 상기 연결편(14)이 향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접속몸체(11)의 하단에는 가이드리브(18)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18)는 상기 접속부(10)가 상기 지지부재(30)에 밀착될 때,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부(10)를 안내한다. 또한, 뒤에서 설명될 측면판(25)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상기 가이드리브(18)는 상기 접속부(10)와 결합플랜지(20)의 결합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리브(18)는 상기 결합플랜지(20)를 향하는 쪽의 선단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플랜지(20)에 간섭되어 상기 접속부(10)의 진행이 멈추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결합플랜지(20)는 금속재질이 다이캐스팅되어 성형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상기 접속부(10)에 비해 높은 강도를 가진다. 상기 결합플랜지(20)는 배터리와 같은 에너지 저장장치의 케이스(미도시) 등의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외부와 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채널을 제공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플랜지(20)는 플랜지부(21)와 결합부(22)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 외관을 이룬다.
상기 플랜지부(21)는 플레이트형상이다. 상기 플랜지부(21)는 배터리 등의 케이스(미도시) 내측면에 밀착되고,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홀(21')에 볼트 등의 체결장치가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미도시)와 결합된다. 즉, 상기 플랜지부(21)는 상기 케이스(미도시)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케이스(미도시)의 외측에서 진입하여 상기 체결홀(21')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미도시)와 플레이트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부(21)의 가장자리에는 실링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접속부(10) 안쪽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결합부(22)는 상기 플랜지부(21)의 전면으로 돌출된다. 상기 플랜지부(21)가 상기 케이스(미도시)의 내측면에 밀착되면, 상기 결합부(22)는 상기 케이스(미도시)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미도시)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결합부(22)에는 상기 외부하우징(미도시)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22)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결합홀(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하우징(미도시)에도 상기 결합홀(22')의 위치에 대응되게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홀(22')을 통해 체결장치(미도시)가 삽입되어 상기 외부하우징(미도시)과 결합부(22)가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22)는 본 실시례의 커넥터(1)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결합부(22)는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상기 결합부(22)는 삽입구(23')가 형성된 전면판(24)과, 상기 전면판(24)의 가장자리를 둘러싼 측면판(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판(24)은 플레이트 형상이며, 상기 플랜지부(21)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24)에는 상기 결합홀(22')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하우징(미도시)과 결합된다.
상기 전면판(24)에는 삽입구(23')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구(23')를 통해서 상기 접속부(10)가 상기 케이스(미도시)의 내부로 진입한다. 상기 삽입구(23')의 형상은 상기 접속부(10)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판(25)은 상기 전면판(24)과 플랜지부(21)를 연결한다. 상기 플랜지부(21)와 결합부(22)는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측면판(25)이 상기 플랜지부(21)와 연결된다.
상기 결합부(22)에는 상기 전면판(24)과 측면판(25)에 의해 체결공간(2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간(23)은 상기 플랜지부(21)를 향해 개방된 형태이며, 상기 삽입구(23')와 연통된다. 즉, 양쪽이 개방된 형상이다. 상기 체결공간(23)에 상기 접속부(10)가 위치되고, 배터리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플랜지부(21)에는 상기 체결홀(21')의 위치와 대응되게 포켓(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켓(26)은 상기 체결홀(21')로 삽입되는 체결장치의 일단을 밀폐시킨다. 상기 포켓(26)은 상기 플랜지부(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플랜지(20)에는 지지부재(30)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30)도 상기 결합플랜지(20)와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체결공간(23) 내에 안착된 접속부(10)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접속부(10)가 상기 체결공간(23) 내에서 안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 이외에도 상기 케이스(미도시) 내측의 배터리 등과 같은 에너지 저장 장치의 단자가 상기 연결편(14)과 연결될 때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접속부(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공간(23) 내에 상기 접속부(10)가 안착되면, 상기 케이스(미도시)의 내측에서는 배터리 등의 단자와 상기 접속부(10)의 연결편(1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볼팅작업이 이루어진다. 볼팅작업은 연결편(14)의 체결홀(21')로 볼트와 같은 체결장치(미도시)를 공구로 삽입하는 작업인데,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업자는 상기 연결편(14)과 수직인 화살표①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때, 화살표① 방향의 힘이 상기 접속부(10)에 과도하게 작용하면 상기 접속부(10)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지지부재(30)가 화살표② 방향으로 상기 접속부(10)를 지지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지지부재(30)는 한 쌍이 형성된다. 다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지지부재(30)의 개수는 상기 접속부(10)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3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이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지지몸체(31)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몸체(31)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지지몸체(31)의 형상이 육면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지지몸체(31)의 형상은 상기 접속부(10)의 후단을 지지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몸체(31)는 상기 결합플랜지(20)의 플랜지부(21)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몸체(31)는 높이보상단(32)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몸체(31)가 상기 측면판(25)에 비해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보상단(32)은 상기 접속부(10)가 상기 지지부재(30)에 안착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유격을 방지한다. 즉, 상기 높이보상단(32)에 의해 상기 접속부(10)가 상기 접속부(10)의 결합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지지몸체(31)의 상면에는 지지면(33)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면(33)은 편평하게 형성되어 그 표면에 상기 접속부(10)가 지지되고, 상기 접속부(10)에 가해지는 외력을 버텨낸다.
상기 지지몸체(31)에는 보강부(3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몸체(31)는 상기 플랜지부(21)에 형성되는데, 상기 보강부(34)는 상기 측면판(25)에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지지몸체(31)와도 일체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상기 지지몸체(31)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기 지지몸체(31)는 상기 보강부(34)에 의해 상대적으로 더 강한 외력을 버틸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몸체(31)에는 상기 접속부(10)의 결합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지지가이드(35)가 돌출된다. 상기 지지가이드(35)는 상기 접속부(10)의 단차면(16)에 간섭되어 상기 접속부(10)가 결합방향으로 더이상 움직이지 않게 한다.
상기 지지가이드(35)에는 유동방지홈(36)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방지홈(36)은 상기 접속부(10)에 형성된 유동방지리브(1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유동방지홈(36)에 상기 유동방지리브(17)가 끼워지면, 상기 접속부(10)가 상기 지지부재(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유동방지홈(36)에 의해 상기 접속부(10)가 상기 접속부(10)의 결합방향 및 상기 지지면(33)에 의해 움직임이 방지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방지홈(36)에 의해 상기 접속부(10)는 상기 플랜지부(21)의 장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지지면(33)에 의해 상기 접속부(10)는 상기 플랜지부(21)의 단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넥터의 조립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결합플랜지(20)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밀착된 상태로 상기 체결홀(21')에 체결장치(미도시)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합플랜지(20)의 플랜지부(21)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22)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결합플랜지(20)가 상기 케이스에 조립되면, 도 2와 같이 상기 접속부(10)의 단자안착몸체(13)가 상기 삽입구(23')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접촉단자(12)와 연결편(14)은 상기 접속부(10)에 고정된 상태이다.
상기 접속부(10)가 상기 삽입구(23')를 지나 체결공간(23)으로 진입하면, 상기 단차면(16)은 상기 지지가이드(35)에 접촉되고, 상기 접속몸체(11)의 하면은 상기 지지면(33)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단차면(16)에 형성된 유동방지리브(17)가 상기 지지가이드(35)의 유동방지홈(36)에 끼워진다.
따라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접속부(10)는 상기 지지가이드(35)에 의해 결합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방지되고, 상기 유동방지홈(36)에 의해 상기 플랜지부(21)의 장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접속부(10)는 상기 지지면(33)에 의해 상기 접속부(10)는 상기 플랜지부(21)의 단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접속부(10)가 안착되면, 상기 접속부(10)와 결합되는 외부하우징(미도시)이 상기 결합부(22)에 고정된다. 상기 외부하우징(미도시)은 상기 결합부(22)의 결합홀(22')에 결합되는 체결장치(미도시)에 의해 상기 결합부(22)에 고정된다.
상기 접속부(10)와 결합플랜지(20)의 조립이 완료되면, 배터리로부터 연장되는 내부단자(미도시)가 상기 연결편(14)에 조립된다. 상기 내부단자가 상기 연결편(14)에 포개지면, 상기 연결편(14)의 단자홀(14')에 볼트가 삽입된다.
상기 연결편(14)과 내부단자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서 상기 연결편(14)에 수직으로 공구를 내려 상기 내부단자와 함께 볼트체결한다.
이때, 작업자가 수직으로 공구를 내려 상기 연결편(14)과 내부단자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상기 연결편(14)을 향해서 도 9의 화살표①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상기 접속부(10)는 수지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화살표① 방향의 힘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지지부재(3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충분한 강도를 가지므로 상기 지지부재(30)가 상기 접속부(10)의 하단을 지지하여 화살표② 방향으로 반작용의 힘을 발생시킨다. 화살표① 방향의 힘은 화살표② 방향의 힘만큼 상쇄되어 상기 접속부(10)에 작용하므로 상기 접속부(10)의 파손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단차면(16)에 상기 유동방지리브(17)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가이드(35)에 상기 유동방지홈(36)이 형성되어 있으나, 반대로, 상기 유동방지리브(17)가 상기 지지가이드(35)에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홈(36)이 상기 단차면(16)에 형성될 수도 있다.
1 : 커넥터 10 : 접속부
11 : 접속몸체 12 : 접촉단자
13 : 단자안착몸체 14 : 연결편
14' : 단자홀 15 : 이탈방지걸이
16 : 단차면 17 : 유동방지리브
18 : 가이드리브 20 : 결합플랜지
21 : 플랜지부 21' : 체결홀
22 : 결합부 22' : 결합홀
23 : 체결공간 23' : 삽입구
24 : 전면판 25 : 측면판
26 : 포켓 30 : 지지부재
31 : 지지몸체 32 : 높이보상단
33 : 지지면 34 : 보강부
35 : 지지가이드 36 : 유동방지홈

Claims (10)

  1. 케이스에 설치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대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단자가 구비된 접속몸체의 상면에 배터리와 연결되는 연결편이 결합된 접속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플랜지부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삽입구를 통해서 상기 접속부가 삽입되는 금속재질의 결합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플랜지에는 상기 접속부의 하면 및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플랜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접속부가 안착되는 지지면이 형성된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로부터 상기 접속부의 삽입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접속몸체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가이드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접속몸체 후면과 상기 지지가이드에는 각각 유동방지돌기와 유동방지홈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속부의 유동이 방지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에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몸체와 일체로 보강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에는 단자홀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홀에 체결장치가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의 내부단자와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몸체에는 상기 접촉단자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단자안착몸체가 돌출되고,
    상기 단자안착몸체의 상면에 상기 연결편이 안착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안착몸체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연결편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이탈방지걸이가 형성되는 커넥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실링부재가 형성되는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접속부를 감싸는 외부하우징이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되는 커넥터.
  10.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적어도 둘 이상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커넥터.
KR1020190159991A 2019-12-04 2019-12-04 커넥터 KR102240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991A KR102240625B1 (ko) 2019-12-04 2019-12-04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991A KR102240625B1 (ko) 2019-12-04 2019-12-04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625B1 true KR102240625B1 (ko) 2021-04-15

Family

ID=75440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991A KR102240625B1 (ko) 2019-12-04 2019-12-04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62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436738U (zh) * 2009-04-17 2010-04-07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电池连接器
KR101273193B1 (ko) 2010-11-30 2013-06-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
JP2015225843A (ja) * 2014-05-30 2015-12-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20170073468A (ko) * 2015-12-18 2017-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190009976A (ko) * 2017-07-20 2019-01-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436738U (zh) * 2009-04-17 2010-04-07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电池连接器
KR101273193B1 (ko) 2010-11-30 2013-06-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
JP2015225843A (ja) * 2014-05-30 2015-12-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20170073468A (ko) * 2015-12-18 2017-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190009976A (ko) * 2017-07-20 2019-01-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용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0808B2 (en) Circuit board mounted connector
US8378235B2 (en) Electric junction box
US5833500A (en) Terminal fixt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09306618A (ja) コネクタ構造
JPH05190233A (ja) コネクタ
US9350119B2 (en) Wrong insertion preventive structure of connector
WO2020233365A1 (zh) 接线装置及空调器
US10670636B2 (en) Current detection device
KR20100011831A (ko) 프론트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US7314376B2 (en) Electric distribution box
KR102240625B1 (ko) 커넥터
US20080137267A1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10096925B2 (en) Connector
CN212182683U (zh) 电缆连接器
US10998668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 case that has a connection stopping portion that prevents stopping contact between first and second connectors
KR102088899B1 (ko) 커넥터
US7607945B2 (en) Connector
JP3442667B2 (ja) 電気接続箱
US11894634B2 (en) Connector
US10727622B2 (en) Board-mounted connector
CN219372381U (zh) 光伏接线盒
KR102088900B1 (ko) 커넥터
CN111313170B (zh) 接线端子和相应的电子设备
KR102088898B1 (ko) 커넥터
KR102077011B1 (ko) 커넥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