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755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755A
KR20120056755A KR1020110085407A KR20110085407A KR20120056755A KR 20120056755 A KR20120056755 A KR 20120056755A KR 1020110085407 A KR1020110085407 A KR 1020110085407A KR 20110085407 A KR20110085407 A KR 20110085407A KR 20120056755 A KR20120056755 A KR 20120056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ir conditioner
sensor
microphon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0545B1 (ko
Inventor
요시로오 우에다
히데끼 데라우찌
히로유끼 하시모또
유끼 이또오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6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40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9Control issues
    • F25B2313/0293Control issues related to the indoor fan, e.g. controlling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소리 센서의 검지 성능을 향상시키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공조 공간 내의 소리를 수음하는 마이크로폰(408)과, 마이크로폰(408)을 실장하는 실장 기판(600)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이며, 마이크로폰(601)을 둘러싸는 방진 부재(603)를 더 구비하고, 마이크로폰(601)은 방진 부재(603)를 협착하여 실장 기판(600)에 실장된다. 또한, 공기 조화기는, 바람을 분출하는 송풍기와, 송풍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마이크로폰(601)을 기동하여 공조 공간 내의 소리를 수음할 때, 송풍기의 회전 속도를, 수음하기 전의 회전 속도보다 저하시킨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조 공간 내의 소리를 검출하는 소리 센서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열교환기로 순환시켜, 가열, 냉각, 제습 기능 등에 의해 조정하고, 조정된 공조 공기를 실내로 분출함으로써 실내를 공기 조화한다. 최근, 지구 온난화 방지의 관점에서, 공기 조화기에는 가일층의 에너지 절약 운전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오늘날의 센서 기술의 진보를 도입하여, 다양한 센서를 탑재한 것이 나타나 있다. 그 중 하나로서, 공기 조화기에 소리 센서를 구비하고, 조작성을 개선하여, 쾌적성을 배려하면서 에너지 절약 운전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소리 센서를 구비하는 기기의 종래 기술로서, 소리 센서에 의해 검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기기로서, 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3의 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239310호 공보)에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채널 전환ㆍ음량 조정ㆍ스테레오 전환ㆍ음성 뮤트 등의 기능을 이격된 장소로부터 리모트 컨트롤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 1개 혹은 복수개의 마이크로폰(소리 센서)을 갖고,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소리를 미리 메모리에 기억된 각종 데이터와 비교하여, 텔레비전 수상기의 음량 레벨을 최적으로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CPU를 갖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6-19492호 공보)에는, 입력된 잡음을 포함하는 인식해야 할 음성의 음성 신호의 특징 추출을 행하는 특징 추출 수단과, 상기 음성 신호의 입력에 따라서 변화되는 입력 레벨의 잡음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임계값을 설정하는 임계값 설정 수단과, 상기 임계값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임계값에 기초하여 인식해야 할 음성 패턴의 유효한 음성 구간을 결정하는 입력 음성 구간 결정 수단과, 인식해야 할 음성의 유효한 음성 구간의 음성 패턴을 작성하는 입력 음성 패턴 작성 수단과, 표준 음성 패턴을 기억하는 제1 표준 음성 패턴 기억 수단과, 상기 임계값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표준 음성 패턴 기억 수단에 기억된 표준 음성 패턴의 음성 구간을 결정하는 표준 음성 구간 결정 수단과, 상기 표준 음성 구간 결정 수단에 의해 음성 구간이 결정된 표준 음성 패턴의 패턴 작성을 행하는 표준 음성 패턴 작성 수단과, 상기 입력 음성 패턴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인식해야 할 음성의 음성 패턴과 상기 표준 음성 패턴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표준 음성 패턴을 비교 식별하는 식별 수단을 구비한 음성 인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267690호 공보)에는, 입력된 음성의 주파수를 검지하고, 설정된 검지 음성 주파수 범위 내의 주파수인지 여부를 식별하여, 그 식별 결과를 출력하는 음성 주파수 검지부와, 입력된 음성의 에너지 레벨을 검지하고, 설정된 검지 음성 에너지 레벨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의 비교를 행하여, 그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입력 신호 레벨 검지부와, 상기 음성 주파수 검지부의 식별 결과 및 상기 입력 신호 레벨 검지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음성 검지 조건에 적합한 음성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제1 스테이터스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입력 판단부와, 상기 제1 스테이터스 신호의 계속 시간을 측정하고, 설정된 계속 시간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의 비교를 행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서 제2 스테이터스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계속 시간 측정부를 구비한 음성 검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239310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6-19492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267690호 공보
종래, 공기 조화기에는, 초전형(焦電型) 적외선 센서를 비롯하여, 각종 적외선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공조 공간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활동 상태를 인식하여, 쾌적성의 향상이나 에너지 절약 운전을 행하는 등의 기술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주위 환경이나 사람의 동작에 따라서는, 적외선 센서만으로는 충분히 검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절전을 위해, 부재(不在)를 검지한 경우에 운전을 정지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는, 착석하여 텔레비전 수상기를 시청하고 일정 시간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부재라고 잘못 인식하는 등의 문제를 들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실내 환경이나 사용자의 동작 상태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해, 공조 공간의 소리를 인식하는 것이 매우 의의가 있다. 소리를 인식함으로써, 전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청소기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인식하여, 공기 청정 운전을 개시함으로써, 청소기의 배기에 의해 날아다니는 진애를 청소하는 등의 것도 가능해져, 편리성이나 쾌적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가열, 냉각, 제습 등을 행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에 실내 공기를 도입하여 조정된 공조 공기를 실내로 분출하는 송풍 팬을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공기 조화기는, 특히 냉방 운전시에 있어서, 공기 중의 수분이 결로되어, 소리 센서나 소리 센서의 실장 회로에 결로된 물이 부착되고, 누설 전류가 발생하여 소리 센서나 소리 센서의 실장 회로가 오동작할 우려가 있다.
또한, 송풍 팬의 회전이나, 공기 조화기의 하우징 내에 설치된 풍로에 공기가 흐름으로써, 하우징이 진동하는 경우가 있다. 하우징의 진동이 소리 센서로 전달되면, 소리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소리 신호에 진동 노이즈가 발생해 버린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리 정보를 검지하여, 공조 공간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활동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함으로써, 조작성이나 쾌적성을 배려하면서 에너지 절약 운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공기 조화기이며, 소리 센서의 검지 성능을 향상시키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공조 공간 내의 소리를 수음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실장하는 실장 기판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이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둘러싸는 방진(防振)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방진 부재를 협착(挾着)하여 상기 실장 기판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공조 공간 내의 소리를 수음하는 마이크로폰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이며, 바람을 분출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기동하여 상기 공조 공간 내의 소리를 수음할 때, 상기 송풍기의 회전 속도를, 수음하기 전의 회전 속도보다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리 정보를 검지하여, 공조 공간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활동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함으로써, 조작성이나 쾌적성을 배려하면서 에너지 절약 운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공기 조화기이며, 소리 센서의 검지 성능을 향상시키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구성도.
도 2는 실내기의 운전 정지시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실내기의 운전 정지시의 정면도.
도 4는 실내기의 난방 운전시의 측면 단면도.
도 5는 실내기의 냉방 운전시의 측면 단면도.
도 6은 실내기의 운전시의 정면도.
도 7은 실내기의 운전시의 하면도.
도 8은 센서 모듈의 사시도.
도 9는 소리 센서의 장착부에서 절단한 사시도.
도 10은 복사 센서의 장착부에서 절단한 사시도.
도 11은 초전형 적외선 센서의 장착부에서 절단한 사시도.
도 12는 정면측 부재나 초전 커버를 제거한 센서 모듈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A-A선에서 절단한 단면도.
도 14는 메쉬 부재를 장착한 센서 모듈의 사시도.
도 15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의 상세도.
도 16은 전방부 상하 풍향판을 폐쇄하였을 때의 소리 센서 장착부의 측면 단면도.
도 17은 전방부 상하 풍향판을 폐쇄하였을 때의 센서 장착부의 정면도.
도 18은 전방부 상하 풍향판을 개방하였을 때의 센서 장착부의 정면도.
도 19는 필터 청소 기구를 실내기의 상면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20의 (a)는 필터 청소 기구의 사시도, (b)는 브러시만을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필터 청소 기구의 동작 설명도.
도 22는 제어부의 블록도.
도 23은 활동 내용과 활동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
도 24는 실내음의 주파수 분석예로, (a)는 공기 조화기 소리의 주파수 분석예, (b)는 청소기 소리의 주파수 분석예.
도 25는 실내음의 주파수 분석예로, (a)는 육성의 주파수 분석예, (b)는 텔레비전 소리의 주파수 분석예.
도 26은 음원 판정 블록도.
도 27은 활동량 판정부가 실행하는 음원 판정 흐름도.
도 28은 주위 소리에 따른 판정 임계값의 보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9는 조합 활동량 판정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실시 형태」라 함)에 대해, 적절하게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공기 조화기?
우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1)의 구성에 대해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1)의 구성도이다.
실내를 공기 조화하는 공기 조화기(1)는,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2)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6)와, 공기 조화기(1)를 원격 조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5)와, 실내기(2)와 실외기(6)를 연결하는 접속 배관(8)으로 구성된다.
실외기(6)는, 압축기(51)(도 22 참조), 실외 송풍기(53)(도 22 참조), 실외 열교환기(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한다. 실외기(6)의 압축기(51)와 실외 열교환기는, 접속 배관(8)의 2개의 냉매 배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후술하는 실내기(2)의 실내 열교환기(33)(도 2 참조)와 접속되어, 냉매를 순환시킴으로써 열펌프로서 기능한다.
<실내기>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1)를 구성하는 실내기(2)에 대해 도 2 내지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실내기(2)의 운전 정지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실내기(2)의 운전 정지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실내기(2)의 난방 운전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실내기(2)의 냉방 운전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실내기(2)의 운전시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실내기(2)의 운전시의 하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기(2)는, 하우징 베이스(21)의 중앙부에 실내 열교환기(33)와, 실내 열교환기(33)의 하류측에 실내 열교환기(33)의 폭과 대략 동등한 길이의 횡류 팬 방식의 실내 송풍기(52)(도 22 참조)의 실내 송풍 팬(311)과, 실내 열교환기(33)에서 결로된 응축수를 수용하는 드레인 팬(35)을 구비한다.
또한, 실내기(2)의 하우징 베이스(21)에는, 필터(231, 231'), 상하 풍향판(291, 292), 좌우 풍향판(295) 등의 기본적인 내부 구조체가 장착된다. 이들을 장식 프레임(23)으로 덮어, 장식 프레임(23)의 전방면에 전방면 패널(25)을 장착함으로써, 하우징 베이스(21), 장식 프레임(23), 전방면 패널(25)로 이루어지는 하우징(20)(도 1 참조)에 내포되어 실내기(2)를 구성한다.
이 장식 프레임(23)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27)와, 온도ㆍ습도가 조화된 공기를 분출하는 공기 분출구(29)가 상하에 설치되어 있다.
공기 흡입구(27)는, 실내기(2)의 상부에 설치된 상측 공기 흡입부(270)와, 실내기(2)의 전방면에 설치된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방면 패널(25)에 설치된 가동 패널(251)은, 하단부에 설치한 회전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되어, 공기 조화기(1)의 운전시에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를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4, 도 5 참조). 이에 의해, 실내 공기는, 공기 조화기(1)의 운전시에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로부터도 실내기(2) 내에 흡인된다.
또한, 공기 조화기(1)의 운전 정지시에는, 가동 패널(251)을 회전하여,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를 폐쇄하도록 제어된다(도 2 참조).
필터(231, 231')는, 공기 흡입구(27)[상측 공기 흡입부(270),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로부터 흡입된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는 진애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 열교환기(33)의 흡입측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공기 조화기(1)의 운전시에 있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송풍 팬(311)이 회전하면, 실내 공기가 실내기(2)에 설치된 공기 흡입구(27)로부터 실내 열교환기(33)로 흐른다. 그리고 실내 열교환기(33)에 의해 온도 조정, 습도 조정된 공조 공기는, 실내 송풍 팬(311)을 통해 실내 송풍 팬(311)의 길이와 대략 동등한 폭을 갖는 분출 풍로(290)로 흐른다. 그 후, 공조 공기는, 분출 풍로(290) 도중에 배치한 좌우 풍향판(295)에 의해 좌우 방향이 편향되고, 또한 공기 분출구(29)에 배치한 상하 풍향판(291, 292)에 의해 상하 방향이 편향되어 실내로 분출된다.
장식 프레임(23)의 하면에 형성되는 공기 분출구(29)는, 전방면 패널(25)과 장식 프레임(23)의 분할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실내기(2)의 내부의 분출 풍로(290)에 연통되어, 상하 풍향판(291, 292), 좌우 풍향판(295)이 배치되어 있다.
2매의 상하 풍향판(291, 292)[전방부 상하 풍향판(291), 후방부 상하 풍향판(292)]은, 양단부에 설치한 회전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리모트 컨트롤러(5)(도 1 참조)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공기 조화기(1)의 운전시에 소요의 각도까지 회전되고, 공기 분출구(29)를 개방하여 그 상태로 유지된다(도 4, 도 5 참조).
또한, 공기 조화기(1)의 운전 정지시에는, 상하 풍향판(291, 292)을 회전하여, 공기 분출구(29)를 폐쇄하도록 제어된다(도 2 참조). 또한, 상하 풍향판(291, 292)은, 폐쇄된 상태에서, 분출 풍로(290)를 거의 은폐하여 실내기(2)의 저면에 연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2, 도 3 참조).
그리고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와, 공기 분출구(29)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장식면(24)을 가리도록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내부 장식면(24)의 전방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출 풍로(290)의 하류에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가 설치되어 있어, 운전 정지시 등, 상하 풍향판(291)을 폐쇄하였을 때에 보조 풍향판(291d)을 수납하고 있다.
분출 풍로(290)의 하류에 분출 풍로 상벽(290a)으로부터 연속해서,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를 설치함으로써, 매우 약한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을 행할 때에,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약간 상향으로 하고, 후방부 상하 풍향판(292)을 거의 폐쇄하는 자세로 하는 등 적절하게 회전시켜, 실내 송풍기(52)(도 22 참조)의 실내 송풍 팬(311)을 적절한 회전 속도로 운전하여, 매우 약한 바람을 흐르게 함으로써, 분출한 공기를 매우 약한 바람으로 하여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를 통과시키고, 부드럽게 실내에 확산시켜, 미약한 냉방 또는 난방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를 이용하여, 분출된 공기(매우 약한 바람)를 즉시,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로부터 흡입시키는 숏 서킷 운전을 행함으로써, 실내 열교환기(33)의 건조 운전이나 실내기(2) 내부의 탈취 운전 등의 공기 조화기(1)의 메인터넌스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공기 조화기(1)를 운전 정지시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풍향판(291d)이나 아암(291e)(도 15 참조)이 분출 풍로(290)의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에 수납됨으로써,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1)를 여분의 요철이 없는 말끔한 디자인으로 할 수 있어, 인테리어의 분위기를 흐트러뜨리는 일이 없다.
좌우 풍향판(295)은, 하단부에 설치한 회전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리모트 컨트롤러(5)(도 1 참조)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소요의 각도까지 회전되고, 그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는, 리모트 컨트롤러(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상하 풍향판(291, 292), 좌우 풍향판(295)을 소요의 각도까지 회전시켜, 공조 공기를 공기 분출구(29)로부터 상하 좌우로 편향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분출시킨다(도 4, 도 5 참조).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5)로부터 지시함으로써, 공기 조화기(1)의 운전 중에 상하 풍향판(291, 292), 좌우 풍향판(295)을 주기적으로 요동시켜, 실내의 광범위에 주기적으로 공조 공기를 분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레인 팬(35)은, 실내 열교환기(33)의 전후 양측의 하단부 하방에 배치되고, 냉방 운전시나 제습 운전시에 실내 열교환기(33)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수용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드레인 팬(35)에 의해 모아진 응축수는, 접속 배관(8)의 내부에 설치된 드레인 배관(37)(도 1 참조)을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기(2)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와, 복사 센서(18)와, 소리 센서(19)를 구비하고 있고, 모두 공기 분출구(29)의 상방의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안쪽의 내부 장식면(24)(도 4, 도 5 참조)의 배면부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및 소리 센서(19)는, 센서 모듈(16)(도 8 참조)에 탑재되고, 센서 모듈(16)이 공기 분출구(29)의 상방의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안쪽의 내부 장식면(24)(도 4, 도 5 참조)의 배면부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센서 모듈(16)에 대한 상세는 후술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면 패널(25)의 하방에는, 공기 조화기(1)의 운전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397)가 배치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는, 내부 표시부(22)가 노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표시부(22)는, 센서 모듈(16)(도 8 참조)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센서 모듈(16)에 대한 상세는 후술한다.
또한, 후방부 상하 풍향판(292)의 측방에, 별도의 부재인 리모트 컨트롤러(5)(도 1 참조)와의 적외선 신호를 수수(授受)하는 송수신부(396)가 배치되어 있다.
실내기(2)는, 내부에 공기 조화기(1)를 제어하는 제어부(10)(도 22 참조)를 구비하고, 이 제어부(10)에 마이크로컴퓨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마이크로컴퓨터는, 실온 센서(11)(도 22 참조), 습도 센서(12)(도 22 참조),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및 소리 센서(19) 등의 각종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받는 동시에, 리모트 컨트롤러(5)(도 1 참조)와의 적외선 신호를 송수신부(396)를 통해 수수한다. 이 마이크로컴퓨터는, 이들 신호에 기초하여, 실내 송풍기(52)(도 22 참조), 가동 패널(251)의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 상하 풍향판(291, 292)의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 좌우 풍향판(295)의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 등을 제어하는 동시에, 실외기(6)와의 통신을 담당하고, 실내기(2)를 통괄하여 제어한다.
<센서 모듈>
다음에,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소리 센서(19) 및 내부 표시부(22)가 배치되는 센서 모듈(16)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센서 모듈(16)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서 모듈(16)은, 센서 모듈(16)의 정면측 부재(16a)와, 배면측 부재(16b)를 조합하여 외피가 구성되고,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소리 센서(19) 및 내부 표시부(22)[표시창(22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서 모듈(16)은, 내부 장식면(24)의 배면부에 배치되어 있다.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소리 센서(19) 및 내부 표시부(22)를 하나의 케이스에 콤팩트하게 모아, 비용의 저감과 기능 향상을 도모한다. 즉, 인쇄 배선을 실시한 공통의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각 센서 등을 탑재하여, 전원의 배치 등의 배선을 간략화하고, 또한 취급을 용이하게 하여 제조 비용을 저감한다. 덧붙여,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및 소리 센서(19)를 좁은 범위에 모았으므로, 각 센서의 검지 영역이 거의 동등해지고, 검지 영역의 상황을, 성질이 다른 센서에 의해 거의 동시에, 다면적으로 검출하여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져, 검지 영역의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기 조화기(1)의 에너지 절약 운전, 쾌적 운전, 자동 운전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소리 센서>
소리 센서(19)는, 실내기(2)가 설치된 실내(공조 공간)의 소리를 수음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리 센서(19)는, 실내기(2)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공기 분출구(29)의 내측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공기 분출구(29)의 대략 중심부에 배치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리 센서(19)는, 실내기(2)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와 공기 분출구(29) 사이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분출 풍로 상벽(290a)의 최하단부(290c)보다 하류로부터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에 걸쳐 배치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로부터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에 걸친 내부 장식면(24)의 배면부에 배치된다.
도 9는 소리 센서(19)의 장착부에서 절단한 사시도이다.
이와 같이 배치한 소리 센서(19)에 대향하는 내부 장식면(24)에 연통 구멍(24b)을 형성하여, 실내의 소리를 효율적으로 소리 센서(19)에 전달한다. 이로 인해, 소리 센서(19)는, 내부 장식면(24)에 가려져 실내로부터 보이는 일은 없다. 실내로부터 보이는 것은 내부 장식면(24)에 형성된 작은 연통 구멍(24b)만이 되어, 실내의 분위기를 흐트러뜨리는 일은 없다.
여기서, 소리 센서(19)에는 실내의 소리 외에, 공기 조화기(1)[실내기(2)] 자신의 운전음이 수음된다. 공기 조화기(1)[실내기(2)] 자신의 운전음은, 실내의 상황을 소리로 파악하려고 할 때에는 노이즈로서 작용한다. 이로 인해, 가능한 한 소리 센서(19)에 운전음이 수음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공기 조화기(1)[실내기(2)] 자신의 운전음은, 실내 송풍 팬(311)에 의한 기류음이 대부분이고, 실내 송풍 팬(311), 흡입 기류, 분출 기류로부터 가능한 한 이격시킴으로써 그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리 센서(19)에 도달하는 공기 조화기(1)[실내기(2)] 자신의 운전음을 가능한 한 작게 하기 위해 실내 송풍 팬(311)으로부터 가능한 한 이격시키고, 분출 기류의 흐트러짐의 영향을 작게 하기 위해, 유속이 느려지는 분출 풍로 상벽(290a)의 최하단부(290c)보다 하류의 위치에, 소리 센서(19)에 실내의 소리를 전달하는 연통 구멍(24b)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분출 기류로부터 이격되어, 또한 재실자가 있는 영역의 소리를 수음하기 쉬운 소리 센서(19)로부터 앙각 30도 내지 40도의 범위에 연통 구멍(24b)이 오도록,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로부터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에 걸친 내부 장식면(24)에, 소리 센서(19)에 실내의 소리를 전달하는 연통 구멍(24b)을 형성하고 있다(도 4, 도 5 참조).
또한, 실내기(2)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소리 센서(19)를 공기 분출구(29)의 대략 중심부에 배치함으로써(도 7 참조), 실내기(2)를 운전할 때의, 개방된 가동 패널(251)의 양단부로부터 흡입되는 흡입 기류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연통 구멍(24b)이 위치하여, 흡입 기류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필터(231, 231')에 먼지가 쌓이는 것 등에 의해, 기류의 통풍 저항이 커지면, 실내 송풍 팬(311)의 서징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경우, 서징 현상은 실내 송풍 팬(311)의 날개 단부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소리 센서(19)를 공기 분출구(29)의 대략 중심부에 배치함으로써(도 7 참조), 서징 현상에 의한 소리 센서(19)에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2)(도 1 참조)를 실내의 벽이 교차하는 코너부에 설치한 경우, 인접하는 벽에 의해 반사되는 소리의 영향에 의해 소리 센서(19)의 검출 정밀도가 열화되는 것이 생각되지만, 인접하는 벽으로부터 소리 센서(19)까지의 거리를, 적어도 실내기(2)의 공기 분출구(29)의 긴 변 치수의 약 절반 이상의 거리는 확보할 수 있으므로, 소리 센서(19)의 검출 정밀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어, 실내의 코너부에 실내기(2)를 설치하였을 때의 반향 등에 의한 악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연통 구멍(24b)은 내부 장식면(24)에 형성된 오목부(24a)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4a)는 저면으로부터 전방면의 개구 단부를 향해 전방으로 퍼지는 형상으로 확대되어 있다. 이로 인해, 넓은 개구 단부에 도달한 실내의 소리는, 좁은 저면을 향해 진행되는 동안에, 증폭되고, 연통 구멍(24b)에 도달하여, 소리 센서(19)에 수음된다. 이에 의해, 실내의 작은 소리도 포착할 수 있어 수음성이 향상된다.
<복사 센서>
도 10은 복사 센서의 장착부에서 절단한 사시도이다.
적외선 센서의 일종인 복사 센서(18)는, 실내의 바닥면, 또는 벽면의 온도를 검출한다.
복사 센서(18)는, 소리 센서(19)와 마찬가지로, 실내기(2)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공기 분출구(29)의 내측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공기 분출구(29)의 대략 중심부에 배치된다(도 7 참조). 또한, 복사 센서(18)는, 소리 센서(19)와 마찬가지로, 실내기(2)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와 공기 분출구(29) 사이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분출 풍로 상벽(290a)의 최하단부(290c)보다 하류로부터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에 걸쳐 배치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로부터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에 걸친 내부 장식면(24)의 배면부에 배치된다(도 4, 도 5 참조).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장식면(24)의 복사 센서(18)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소리 센서(19)와 마찬가지로, 전방이 퍼진 형상의 오목부(24a)를 형성하고, 그 저부에 작은 복사 개구(24d)를 복사 센서(18)의 형상에 따라서 형성하여, 실내의 바닥면, 또는 벽면의 온도를 검출한다.
<초전형 적외선 센서>
도 11은 초전형 적외선 센서의 장착부에서 절단한 사시도이다.
적외선 센서의 일종인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는, 재실자의 열량으로부터 재실자의 활동량을 검출한다. 즉,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는, 유전율이 큰 결정체나 수지가 온도 변화에 의해 전하를 발생하는 초전 효과를 이용한 것이며, 사람으로부터 발생되는 적외선을 비접촉으로 검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의 전방에 프레넬 렌즈(17a)를 설치하고, 적외선을 단속(斷續)시켜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에 입력함으로써, 사람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는, 소리 센서(19)와 마찬가지로, 실내기(2)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공기 분출구(29)의 내측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공기 분출구(29)의 대략 중심부에 배치된다(도 7 참조). 또한,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는, 소리 센서(19)와 마찬가지로, 실내기(2)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와 공기 분출구(29) 사이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분출 풍로 상벽(290a)의 최하단부(290c)보다 하류로부터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에 걸쳐 배치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로부터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에 걸친 내부 장식면(24)의 배면부에 배치된다(도 4, 도 5 참조).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에는 프레넬 렌즈(17a)가 필수이므로, 사이즈가 커진다. 이로 인해, 센서 모듈(16)은,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의 전방에 적외선 투과 재료로 제작된 초전 커버(17b)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내부 장식면(24)의 해당 부분에 초전 개구(24c)를 설치하여, 내부 장식면(24)에 센서 모듈(16)을 장착하였을 때, 실내측으로부터 보아 일체로 되도록 내부 장식면(24) 및 초전 커버(17b)의 형상을 형성하고, 또한 색채도 맞추어 형성함으로써 실내로부터 눈에 띄지 않게 하고 있다.
<내부 표시부>
내부 표시부(22)는, 공기 조화기(1)의 운전 상황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표시부(22)는, 표시창(22b)으로 덮인 센서 모듈(16)의 표시 개구(22a) 내에 설치된 표시등(397a)을 점등시킴으로써 운전 상황을 표시한다.
<소리 센서의 기판에의 실장 방법>
다음에, 소리 센서(19)의 기판(600)에의 실장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정면측 부재(16a)(도 8 참조)나 초전 커버(17b)(도 8 참조)를 제거한 센서 모듈(16)의 사시도이다.
센서 모듈(16)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600)은, 정면측에,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소리 센서(19), 표시등(397a)이 삽입 실장(스루홀 실장)되어 있고, 이들의 단자가 기판(600)을 관통하여 기판(600)의 배면측에 설치된 프린트 배선에 납땜되어 있다. 또한, 기판(600)의 배면측의 프린트 배선 상에는, 전자 부품(601)(도 13 참조)이 표면 실장되어 있다.
다음에, 도 13을 사용하여, 소리 센서(19)인 마이크로폰(408)의 기판(600)에의 실장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도 12의 A-A선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마이크로폰(408)은, 수음면(도 13에서는 상면측)에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실드 케이스 내에, 진동판, 고정 전극 등으로 구성되는 부품을 넣고, 저면측을 코킹(caulking) 공법에 의해 밀봉한 것이다. 수음면의 개구부로부터 마이크로폰(408) 내로 들어간 소리가 진동을 진동시키고, 진동판과 고정 전극으로 구성되는 콘덴서의 용량 변화를 전압 변화로서 출력함으로써 소리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폰(408)은, 콘덴서 마이크로서 설명하지만, 마이크로폰(408)에 개구부를 갖는 것이면, 콘덴서 마이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음면의 개구부로부터 마이크로폰(408)의 내부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이크로폰(408)의 수음면(도 13에서는 상면)에 방수 시트(602)가 부착되어 있다. 방수 시트(602)는, 방수 투습성 소재[예를 들어, Gore-Tex(등록 상표)]로 구성된다.
여기서, 마이크로폰(408)의 수음면의 개구부를 방수 시트(602)가 폐색하므로, 수음되는 소리 신호가 감쇠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방수 시트(602)를 부착하는 것에 기인하는 감쇠는, 고주파 대역을 중심으로 발생하여, 사람의 목소리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1㎑ 내지 4㎑)에 있어서는, 크게 감쇠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마이크로폰(408)[소리 센서(19)]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람의 목소리의 주파수 대역을 중심으로 수음하는 것이며, 방수 시트(602)를 부착한 것에 의한 감쇠의 영향은 적다.
방수 시트(602)가 부착된 마이크로폰(408)은, 방진 고무(603) 내에 삽입된다. 방진 고무(603)는, 상단부면에 개구부(603a)와 하단부면에 배면 개구부(603b)를 갖는 대략 원통형의 고무 부재이다. 여기서, 개구부(603a) 및 배면 개구부(603b)의 내경은, 마이크로폰(408)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마이크로폰(408)을 방진 고무(603)의 내부 공간에 삽입할 때, 방진 고무(603)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배면 개구부(603b)로부터 삽입한다.
그리고 마이크로폰(408)이 방진 고무(603)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603a)의 주연부(603c)가 방수 시트(602)와 밀착되고, 방진 고무(603)의 내주 측면과 마이크로폰(408)의 실드 케이스의 외주 측면이 밀착됨으로써, 개구부(603a)로부터 방진 고무(603)의 내부 공간[마이크로폰(408) 내]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603a)는, 마이크로폰(408)이 방진 고무(603)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이크로폰(408)의 수음면의 개구부(도시하지 않음)와 대응하는 위치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면 개구부(603b)의 내경이 마이크로폰(408)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마이크로폰(408)을 기판(600)에 실장하였을 때, 마이크로폰(408)과 기판(600)이 직접 접촉하지 않고, 방진 고무(603)의 저면부(603d)를 통해 접촉한다. 이로 인해, 하우징(20)(도 1 참조)의 진동에 의해 기판(600)이 진동하였을 때, 마이크로폰(408)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408)을 기판(600)에 실장할 때, 기판(600)과 방진 고무(603)의 저면부(603d) 사이에서 밀착시킴으로써, 배면 개구부(603b)로부터 방진 고무(603)의 내부 공간[마이크로폰(408) 내]으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408)의 저면과 기판(600)이, 저면부(603d)의 두께분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령 배면 개구부(603b)의 영역 내에 미소량의 물이 침입한 경우라도, 단자(408a) 사이에 물방울이 부착되어 전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판(600)의 배면측에는 프린트 배선이 형성되고, 마이크로폰(408)의 단자(408a)가 납땜된다. 또한, 기판(600)에 실장되는 전자 부품 중,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도 12 참조), 복사 센서(18)(도 12 참조), 소리 센서(19), 표시등(397a)(도 12 참조) 이외의 전자 부품(601)은, 기판(600)의 배면측(프린트 배선이 형성된 면)에 표면 실장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 부품(601)이 실장되는 기판(600)의 배면측에는, 기판(600)에 실장하는 전자 부품이 장착된 후에, 실리콘 수지로 코트되어 실리콘 코트(600a)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기판(600)의 배면측에 물방울이 부착되어도, 실리콘 코트(600a)에 의해, 납땜된 단자(408a)나 전자 부품(601)의 단자 등에 물방울이 부착되지 않아, 물방울에 의해 전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메쉬 부재(19a)를 장착한 센서 모듈(16)의 사시도이다.
공기 조화기(1)[실내기(2)]는 내부의 실내 송풍 팬(311)에 의해 바람을 송출하는 기기이고, 실내기(2)에 소리 센서(19)를 설치하면, 소리 센서(19)에 바람이 유입되어, 소리 센서(19)가 풍절음을 수음해 버린다. 이로 인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리 센서(19)의 전방면에 바람막이 부재(윈드스크린)로 되는 메쉬 부재(19a)를 장착해도 된다.
이에 의해, 소리 센서(19)에 수음되는 풍절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전방부 상하 풍향판>
다음에,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상세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투명 부재(291a)와, 이 투명 부재(291a)의 투영 면적 내에 수납되는 크기를 구비한 불투명 부재(291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선단부측에 투명 부재(291a)를 크게 돌출시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불투명 부재(291b)는, 깊이 치수 d3을 구비한 얇은 판 형상의 베이스부(291c)의 양측과 중앙에, 깊이 방향의 한쪽 단부측에 경사지면서 신장되는 아암(291e)을 형성하고, 그 아암(291e)의 단부에 전방부 상하 풍향판 회전축(291f)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각 아암(291e) 사이에는 베이스부(291c)와 나란히 배치되는 보조 풍향판(291d)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투명 부재(291a)는, 깊이 치수 d1을 구비한 투명한 얇은 부재이다. 이 투명 부재(291a)는, 아암(291e)측의 단부를 거의 정렬시켜, 다른 단부측으로 깊이 치수 d5만큼 불투명 부재(291b)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투명 부재(291a)는, 불투명 부재(291b)와 접촉하는 이면의 범위에 이면 인쇄를 실시하고 있다.
즉, 투명 부재(291a)는, 이면측을 깊이 방향에 대해 2분할하여, 회전축측으로 되는 아암(291e)측에 이면 인쇄를 실시하고, 전방부 상하 풍향판 회전축(291f)에 대해 선단측으로 되는 타단부측을 투명하게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디자인적으로 불필요한 불투명 부재(291b)를 보이지 않게 하는 한편,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선단부를 투명하게 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성을 향상시키면서,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동작에 수반되는 압박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부재(291a)의 불투명 처리부[불투명 부재(291b)와 접촉하는 부분]가,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지지하는 축부[전방부 상하 풍향판 회전축(291f)] 등을 보이지 않게 덮을 수 있다. 또한,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소리 센서(19) 등의 부가 기능부를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16은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폐쇄하였을 때의 소리 센서(19)의 장착부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1)의 정지 상태에 있어서,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의 전방부를 덮는 가동 패널(251)의 하단부에 인접하여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수납 상태에서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선단부가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투명부를 통해, 내부 장식면(24)의 일부를 이용자에게 시인(視認)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 상태라도 운전 정지 상태라도 이용자로부터 시인할 수 있는 내부 장식면(24)에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내부 표시부(22)를 띠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운전시에 동작시키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및 소리 센서(19)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에 의해 은폐되는 내부 장식면(24)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7은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폐쇄하였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18은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개방하였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폐쇄하였을 때에 있어서,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투명 부재(291a)의 상부(도 15 참조), 표시창(22b)(도 9 참조), 표시 개구(22a)(도 9 참조)를 통해 센서 모듈(16)(도 9 참조)의 표시등(397a)(도 9 참조)의 점등/소등을 시인할 수 있으므로, 표시부(397)의 표시 기능이 유지되어,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폐쇄하였을 때라 함은, 공기 조화기(1)의 운전 정지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난방 운전의 개시 직후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33)의 온도가 낮아 실내 송풍 팬(311)의 운전을 보류하고 실내 열교환기(33)의 여열 운전을 행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표시부(397)에 여열 운전인 취지가 표시된다[예를 들어, 점등하는 표시등(397a)의 위치나, 색에 의해 사용자가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함]. 또한,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폐쇄하였을 때에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및 소리 센서(19)의 개구부[초전 개구(24c), 복사 개구(24d), 연통 구멍(24b)]가 실내로부터 보이지 않게 되어, 말끔한 외관으로 된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개방하였을 때에 있어서, 내부 표시부(22)의 표시창(22b)이 노출되어, 센서 모듈(16)(도 9 참조)의 표시등(397a)(도 9 참조)의 점등/소등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및 소리 센서(19)의 개구부[초전 개구(24c), 복사 개구(24d), 연통 구멍(24b)]와 실내의 거주 공간을 차단하고 있었던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개방하여, 각 센서의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1)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및 소리 센서(19)의 개구부[초전 개구(24c), 복사 개구(24d), 연통 구멍(24b)]를 실내로부터 보이기 어렵게 하는 차폐 부재[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불투명 부재(291b)]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및 소리 센서(19)를 사용하지 않을 때[공기 조화기(1)를 정지하였을 때]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폐 부재[불투명 부재(291b)]에 의해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및 소리 센서(19)를 가려, 여분의 요철의 없는 말끔한 디자인으로 할 수 있어, 인테리어의 분위기를 흐트러뜨리는 일이 없다.
또한,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일부를 차폐 부재[불투명 부재(291b)]로서 사용하므로, 전용의 차폐 부재 및 차폐 부재 구동부가 불필요해진다.
또한, 내부 표시부(22)는 투명 부재(291a)로 덮이지만, 운전 정지시에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이 하우징(20)에 융화되도록 수직에 가까운 각도까지 상승하므로, 벽걸이형의 공기 조화기(1)와 같이 아래로부터 올려다 보았을 때에는, 센서 모듈(16)의 표시등(397a)이 점등되어 있지 않는 한, 투명 부재(291a)의 표면에서의 반사가 강하게 영향을 미쳐, 그 배면부의 내부 표시부(22)가 보이지 않게 되고, 말끔한 디자인으로 할 수 있어, 인테리어의 분위기를 흐트러뜨리는 일이 없다.
또한,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폐쇄한 상태라도, 센서 모듈(16)의 표시등(397a)이 점등되면, 운전 표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난방의 운전 개시시 등 냉풍을 방지하기 위해 실내 열교환기(33)의 온도가 높아질 때까지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폐쇄한 채, 실내 송풍 팬(311)도 운전하지 않는 예열 운전 중과 같은 때에도 운전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필터 청소 기구>
다음에, 필터(231, 231')의 청소 기구에 대해 도 19, 도 2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필터 청소 기구(230)를 실내기(2)의 상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20의 (a)는 필터 청소 기구(230)의 사시도이고, (b)는 브러시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필터 청소 기구(230)는, 필터(231, 231') 상을 브러시(267, 267')로 쓸어내는 스위프 기구(232)와, 쓸어 모아진 진애를 수납하는 집진부(280, 280')로 구성된다.
실내 열교환기(33)(도 2 참조)의 상류의 상측 공기 흡입부(270)(도 2 참조)와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도 2 참조)에 면한 직교하는 2면에, 평면 형상의 필터(231, 231')가 설치되어 있다. 필터(231, 231')는 안내 프레임(234)에 걸림 장착되고, 안내 프레임(234)은 상측 후방부와 전방측 하부에 레일(235, 235')을, 필터(231, 231')의 교차부에 추진축(243)을 구비하고 있다.
추진축(243)은 다각형 단면을 갖고, 안내 프레임(234)에 설치한 베어링(245)에 축지지되고, 편측의 베어링(245)을 관통한 일단부에 장착한 기어를 통해, 안내 프레임(234)에 고정한 이동용 모터(242)에 연결된다. 추진축(243)에는 스크류(244), 캐리지(261)가 헐겁게 장착되고, 스크류(244)는 안내 프레임(234)에 설치된, 추진축(243)과 평행 랙(237)에 맞물려 있다.
캐리지(261)와 레일(235, 235') 사이에는 브러시 지지 프레임(262, 262')이 각각 필터(231, 231')를 가로질러 걸쳐지고, 브러시 지지 프레임(262, 262')에는 필터(231, 231')를 쓸어내어 청소하는 브러시(267, 267')가 장착되어 있다.
이동용 모터(242)를 회전시킴으로써, 추진축(243), 스크류(244)가 회전하고, 랙(237)을 따라, 스크류(244)가 이동용 모터(242)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움직여, 캐리지(261)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브러시(267, 267')가 필터(231, 231')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쓸어내도록 이동하고, 필터(231, 231') 상의 진애를 브러시(267, 267')로 제거하여, 안내 프레임(234)의 좌측부인 집진부(280, 280')로 이동시킨다.
집진부(280, 280')는 브러시(267, 267')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여 수납한다. 또한, 브러시(267, 267')를 깨끗하게 하여, 다음 청소에 대비하기 위한 브러시(267, 267')의 청소부이기도 하다.
다음에, 필터 청소 기구(23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도 2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필터 청소 기구(230)의 동작 설명도이다.
필터(231)의 우측에는 청소 동작이 행해지고 있지 않을 때에 브러시(267)가 대기하는 대기부가 있다.
청소 동작할 때에는, 스위프 기구(232)(도 20 참조)를 동작시켜, 대기부에서 대기하고 있던 브러시(267)(도 21의 A)가 필터(231)를 스위프하도록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시킨다(도 21의 C 참조). 여기서, 브러시(267)의 털끝은 대기부에서는 개방 상태인 것에 대해(도 21의 A 참조), 대기부로부터 필터(231) 상으로 이동할 때에, 경사를 지나 필터(231)면에 서서히 털끝을 굽힘 변형시키면서 타고올라, 필터(231)와 확실히 미끄럼 접촉한다. 또한, B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한다.
브러시(267)는, 집진부(280)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필터(231)를 스위프하여, 진애(236)를 제거한다(도 21의 C 참조). 필터(231)의 스위프를 종료한 브러시(267)는, 제거된 진애(236)와 함께, 도 21의 D부를 지나 집진부(280)에 이르러, 진애(236)가 제거되고, 제거된 진애(236)는 집진부(280) 내에 수납되고, 브러시(267)는 깨끗해진다. 그리고 브러시(267)는 브러시(267)의 털끝이 필터(231)와 미끄럼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좌측의 집진부(280)로부터 우측의 대기부로 이동시킨다(도 21의 B 참조).
또한, 필터(231)를 브러시(267)로 스위프하여 제거된 진애를 집진부(280)에 수납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필터(231')를 브러시(267')로 스위프하여 제거된 진애를 집진부(280')에 수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필터(231, 231')의 필터 청소 기구(230)를 탑재함으로써, 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1)의 누계 운전 시간에 따라서 필터 청소 기구(230)를 자동 운전 필터(231, 231')를 청소하여, 필터(231, 231')에 먼지가 지나치게 쌓이지 않도록 할 수 있어, 필터(231, 231')에 진애가 지나치게 쌓였을 때에 발생하는 실내 송풍 팬(311)의 서징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1)는, 필터 청소 기구(230)를 탑재함으로써, 실내 송풍 팬(311)의 서징 현상을 방지하고, 실내(공조 공간 내)의 소리를 검지하는 소리 센서(19)가 실내의 소리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므로, 재실자의 활동을 실내의 소리에 따라 추정하여 운전 제어를 행하는 용도에 적합한 구성으로 된다.
?공기 조화기의 제어?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1)의 제어의 개요에 대해 도 2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제어부(10)의 블록도이다.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는, 내부에 제어부(10)를 구비하여, 각종 센서로부터의 정보나, 리모트 컨트롤러(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실내기(2)나 실외기(6)를 제어한다. 실내(900)로부터의 정보는 실온 센서(11), 습도 센서(12), 리모트 컨트롤러 주위 온도 센서(13), 리모트 컨트롤러 위치 센서(14),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소리 센서(19) 등에 의해 제어부(10)의 내부의 마이크로컴퓨터(도시하지 않음)에 도입되어, 각종 연산 결과를 따라, 공기 조화기(1)를 제어한다.
실온 센서(11)는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도 2 참조)의 부근에 설치되어 있고, 공기 흡입구(27)로부터 실내기(2)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의 온도(이하, 「흡입 공기 온도」라 칭함)를 검출한다.
습도 센서(12)는,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도 2 참조)의 부근에 설치되어 있고, 공기 흡입구(27)로부터 실내기(2)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의 습도를 검출한다.
리모트 컨트롤러 주위 온도 센서(13)는, 리모트 컨트롤러(5)(도 1 참조)에 설치되어 있고, 검출한 온도는 송수신부(396)(도 1 참조)를 통해 제어부(10)에 입력된다.
리모트 컨트롤러 위치 센서(14)는, 송수신부(396)(도 1 참조)이고, 적외선 신호의 도달 방향으로부터 리모트 컨트롤러(5)(도 1 참조)의 위치를 검출한다.
제어부(10)는, 활동량 판정부(41)와, 온도 시프트값 설정부(42)와, 목표 온도 설정부(44)와, 공조 능력 제어부(45)를 구비하고 있다.
활동량 판정부(41)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및 소리 센서(19)의 정보로부터 재실자의 활동량을 후술하는 도 23의 우측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다단계로 구분하여 판정하여, 온도 시프트값 설정부(42)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온도 시프트값 설정부(42)는, 활동량 판정부(41)로부터의 활동량 정보 외에, 상술한 각종 센서[실온 센서(11), 습도 센서(12), 리모트 컨트롤러 주위 온도 센서(13), 리모트 컨트롤러 위치 센서(14), 복사 센서(18)]나 제어부(10)의 내부에 구비된 캘린더 설정 기능을 갖는 캘린더 정보(15)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온도 시프트값을 연산하여, 목표 온도 설정부(44)에 전달한다.
실온 설정부(43)는, 리모트 컨트롤러(5)(도 1 참조)에 설치되어 있고, 재실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설정 실온)를 송수신부(396)(도 1 참조)를 통해 제어부(10)의 목표 온도 설정부(44)에 입력한다.
목표 온도 설정부(44)는, 온도 시프트값 설정부(42)로부터의 온도 시프트값 정보와 실온 설정부(143)로부터의 설정 실온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 온도를 연산하고, 공조 능력 제어부(45)에 전달한다.
공조 능력 제어부(45)는, 목표 온도 설정부(44)로부터의 목표 온도나 실온 센서(11)로부터의 흡입 공기 온도 정보 등으로부터 압축기 회전 속도 설정부(46), 실내 송풍기 회전 속도 설정부(47), 실외 송풍기 회전 속도 설정부(48)에 의해 압축기 회전 속도, 실내 송풍기 회전 속도, 실외 송풍기 회전 속도를 설정하여, 압축기(51), 실내 송풍기(52), 실외 송풍기(53)를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1)에 있어서의 온도 조절은 공기 조화기(1)의 분출 공기가 실내를 순환하여 되돌아와, 공기 조화기(1)에 흡입되는 흡입 공기의 온도(흡입 공기 온도)를 실온 센서(11)에서 검출하고, 흡입 공기 온도가 목표 온도 설정부(44)에서 설정한 목표 온도로 되도록 압축기(51), 실내 송풍기(52), 실외 송풍기(53)의 회전 속도를 바꾸어, 냉방, 난방 능력을 변화시켜, 공기 조화기(1)의 분출 공기의 온도를 바꿈으로써 행해진다.
이때, 공기 조화기(1)의 난방 능력, 냉방 능력의 제어는, 실온 센서(11)에서 검출한 흡입 공기 온도와, 리모트 컨트롤러(5)[실온 설정부(43)]에 의해 설정된 설정 실온에 따라서 제어되지만, 실내의 높은 곳에 설치된 공기 조화기(1)[실내기(2)]의 흡입 공기 온도는 재실자가 있는 실내의 바닥으로부터 얼굴의 높이 정도까지의 거주 공간의 온도보다 높게 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이 온도차를 보정하기 위해, 설정 실온에 온도 시프트값 설정부(42)에서 연산한 소정의 값(온도 시프트값)을 가중시킨 가중 설정 온도를 목표 온도로 하여, 흡입 공기 온도가, 목표 온도에 근접하도록 공기 조화기(1)를 제어하고 있다.
또한, 소정의 값으로서는, 공기 조화기(1)의 구조나 난방, 냉방 등의 운전 모드에 따라 다르지만 -1 내지 5도 정도의 값이 사용되고 있다.
?재실자의 활동량 판정 방법?
다음에, 활동량 판정부(41)가 판정하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와 소리 센서(19)를 조합하여 재실자의 활동량을 세분화하여 판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은 활동 내용과 활동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사람의 온열 감각은 온도, 습도, 기류, 복사, 착의량 및 활동량의 영향을 받는 것이 알려져 있다. 공기 조화기(1)는 실내의 온도(및 습도)를 제어하여 쾌적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지만 재실자의 행동(활동량)이 변화되면 다른 조건이 동일해도 그 사람의 온열 감각은 바뀌어 쾌적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온도(및 습도) 등을 그 사람의 행동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이것에 응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1)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와 소리 센서(19)를 조합하여, 재실자의 활동 상태를 세분화하여 파악하고, 재실자의 쾌적성을 배려하면서 세밀하게 제어하여, 에너지 절약 운전을 행하는 것이다.
종래부터,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를 사용하여 재실자의 활동량을 검출하여, 활동량이 클 때에는 실온을 낮게 조절하고, 활동량이 작을 때에는 실온을 높게 조절하는 것은 실용화되어 왔다. 그러나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만을 사용하여 재실자의 활동량을 다단계로 나누는 것은, 검출 오차나 센서를 향하는 방향의 움직임에 대해 센서의 감도가 둔해지는 것 등으로부터, 초전형 적외선 센서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 곤란하여, 공기 조화기(1)의 비용이 상승한다.
또한,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에 의해 인체 검지를 행한 경우는, 재실자에게 움직임이 발생하면 센서의 출력이 변화되어 재실자가 움직인 것을 검지 가능하고, 재실자에게 움직임이 없는 경우 센서의 출력이 변화되지 않으므로 재실자에게 움직임이 없는 것을 검지 가능하지만, 재실자의 움직임의 유무만으로는, 재실자가 어느 정도의 활동량인지는 세분화하여 판정할 수 없다.
또한, 재실자의 활동량을 세분화하여 판정하기 위해, 초전형 적외선 센서를 복수개 설치하여, 재실자가 크게 움직였을 때에는, 복수의 초전형 적외선 센서가 반응하고, 재실자의 움직임이 작을 때에는, 하나의 센서만이 반응함으로써, 재실자의 활동량의 대, 소를 판별한다고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가 복수개 필요하여, 비용 상승의 요인으로 된다. 또한, 복수의 초전형 적외선 센서가 있어도 재실자의 움직임이 센서가 검지 가능한 움직임보다도 작은 경우나, 동일한 동작인 경우는, 활동량의 판정을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사람의 활동량을 나타내는 단위로서 MET(Metabolic Equivalent)가 사용되고, 활동 내용과 그 대략의 수치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도 23의 좌측에, 비교예로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만을 사용하였을 때의 활동량의 구분을 예로 들어 기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를 1개만 사용한 경우, 활동량의 구분은 고작 대, 중, 소의 3구분으로, 이 이상 세분화하려고 해도,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에 의해 정밀도가 부족하게 되어 있었다.
도 23의 우측에는, 본 실시 형태의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와 소리 센서(19)를 조합하여 사용하여 활동량을 구분한 경우의 예를 기재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활동량을 세분하여 구분할 수 있으므로, 재실자의 활동량에 적합한 공조에 의해 쾌적성을 배려하여, 에너지 절약 운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소리 센서 및 초전형 적외선 센서를 사용한 활동량의 판정>
재실자가 무언가의 움직임을 행하면, 일반적으로는 그것에 수반된 소리가 발생한다. 이것을, 공기 조화기(1)[실내기(2)]가 설치된 실내의 다양한 환경을 예측해 둠으로써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의 검출 결과와 소리 센서(19)의 검출 결과로부터, 재실자의 활동량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공기 조화기(1)를 운전하고 있는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리에는 여러 가지의 것이 있지만,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 재실자끼리가 대화하고 있는 소리, 재실자가 데스크 워크나 재봉, 가벼운 정돈 등에 의해 움직이는 것에 수반되는 소리, 재실자가 청소기, 조리기, 이미용기 등의 기기를 조작함으로써 발생하는 소리, 재실자가 텔레비전, 라디오, 오디오 기기를 즐기고 있을 때의 음성, 음악, 효과음 등이나 시계, 관상어수조의 펌프 소리 등 사람이 없는 경우에도 나고 있는 소리 등이 있다.
이들 소리는, 「재실자의 활동에 수반되는 소리」와, 「재실자의 활동과 관계없는 소리」로 나눌 수 있다. 「재실자의 활동과 관계없는 소리」에는,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 텔레비전, 라디오, 오디오 기기의 음성, 음악, 효과음, 시계, 관상어수조의 펌프 소리 등이 있다. 「재실자의 활동에 수반되는 소리」에는, 대화, 데스크 워크, 재봉, 가벼운 정돈, 청소기, 조리기, 이미용기 등의 소리가 있다.
「재실자의 활동과 관계없는 소리」로서 언급된 소리 중에서, 시계, 관상어수조의 펌프 소리 등 사람이 없는 경우에도 나고 있는 소리는 공기 조화기(1)를 설치한 방의 환경음이라고도 해야 하는 소리로, 이것에 공기 조화기 자신의 운전음과 더한 것을 다른 소리와 구별 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재실자의 활동과 관계없는 소리」로서 언급된 텔레비전, 라디오, 오디오 기기의 음성, 음악, 효과음도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와는 별도의 재실자의 활동과 관계없는 소리로서 다른 소리와 구별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 있어서, 텔레비전 등을 방송 수신 기기군이라 칭한다.
또한, 「재실자의 활동에 수반되는 소리」 중 청소기 등을 사용하는 경우는, 재실자도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으므로, 적정한 공기 조화를 할 필요상으로부터 다른 소리와 구별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 있어서, 청소기 등과 같이, 사용시에 재실자도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는 기기를 중(重)가사용 기기군이라 칭한다.
마찬가지로, 「재실자의 활동에 수반되는 소리」 중 대화는, 소리 센서(19)를 사용하여 재실자의 활동량을 세밀하게 구분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대화 목소리가 작으면 조용히 휴양하고 있는 상태라 판단할 수 있고, 대화 목소리가 크고, 도중에 끊어지지 않고 이어지게 되면, 그 사람의 활동량도 증가한다고 하는 일반적인 경향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다른 소리와 구별하여 파악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재실자의 활동에 수반되는 소리」 중 조리 기기, 이미용 기기, 데스크 워크용 기기 등을 사용하는 경우는, 재실자도 가볍게 움직이면서 사용하고 있으므로, 중가사용 기기군을 사용하는 경우나, 조용한 목소리로 대화하면서 휴양하고 있을 때와는 구별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 있어서, 조리 기기, 이미용 기기, 데스크 워크용 기기 등과 같이, 사용시에 재실자도 가볍게 움직이고 있는 기기를 경(輕)가사용 기기군이라 칭한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판별해야 할 음원의 종류는 「공기 조화기 자신」, 텔레비전 등의 「방송 수신 기기군」, 청소기 등의 「중가사용 기기군」, 조리 기기 등의 「경가사용 기기군」 및 재실자끼리의 「대화」로 된다. 이들로 판별할 수 없는 음원은 중간적인 움직임과 소리를 갖고 있으므로 「경가사용 기기군」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한다.
이들 음원의 종류와 도 22의 활동량(MET의 값)의 관계를 보면, 텔레비전ㆍ음악 감상 … 1.0MET, 실내 청소 … 3.0METs, 조리 … 2.0METs, 대화ㆍ전화에 대해서는 도 22에 기재는 없지만 1.0 내지 1.8METs로 되어, 공기 조화기 자신은 재실자의 활동량에 변화를 주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음원의 종류에 의한 재실자의 활동량의 대소는,
중가사용 기기군≥경가사용 기기군≥대화≥방송 수신 기기군≥공기 조화기 자신
의 순으로 된다.
일반 가정의 실내에서의 재실자의 행동 양식은 천차만별이므로, 이들을 모두 예측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재실자의 행동과 그때의 실내의 소리를 다음 2패턴으로 나눈다.
첫 번째로, 재실자가 활동하고 있어, 활동에 수반되는 소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는, 활동함으로써 재실자의 체내 발열의 변화가 커진다. 이하, 이 활동에 수반되는 소리를 발하는 음원의 종류를 「온감 변동 대(大) 음원」이라 칭한다.
두 번째로, 재실자의 활동은 있지만, 활동에 수반되는 소리가 거의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체내 발열은 변화가 작다. 이하, 이 활동에 수반되지 않는 소리를 발하는 음원의 종류를 「온감 변동 소(小) 음원」이라 칭한다.
실내의 소리가 온감 변동 소 음원에 의한 것인 경우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의 검출 결과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고, 단계에 따라서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하여 공기 조화기(1)를 제어한다.
또한, 실내의 소리가 온감 변동 대 음원에 의한 것인 경우는, 소리의 양이 크면, 활동이 활발하다고 판단하고, 온감 변동 소 음원인 경우에,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의 검출 결과로부터 판정한 재실자의 활동량보다 큰 활동량이라고 판정하여 공기 조화기(1)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소리 센서(19)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실내의 음원을 온감 변동 소 음원의 집단과 온감 변동 대 음원의 집단으로 나눔으로써, 재실자의 활동량을 보다 많은 구분으로 세분화할 수 있어, 보다 세밀한 제어로, 쾌적성을 고려하면서 절전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온감 변동 소 음원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 자신이나 텔레비전, 라디오 등의 방송 수신 기기군의 집단이 생각되고, 재실자의 움직임을 수반하는 온감 변동 대 음원으로서는, 재실자 자신이 서로 주고받는 대화 외에, 가사를 지원하는 청소기, 건강 촉진 기기나 쥬서, 믹서 등의 조리 기구, 드라이어, 면도기 등의 이용 기기 등의 집단이 생각된다.
이 경우, 공기 조화기 자신이나 대화는 단독의 음원이지만, 설명의 편의상, 공기 조화기 자신이나 대화도 군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한다.
이들 온감 변동 대 음원의 집단은 대체로 내부에 전동기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힘, 속도 등을 지원한다. 이들 중에서도, 사용자의 힘을 필요로 하는 청소기, 건강 촉진 기기 등의 중가사용 기기군은, 사용자 자체도 큰 활동이 강요되고 지속 시간도 비교적 길다.
중가사용 기기군 이외의, 사용자에게 큰 활동을 강요하지 않는 기기군과 전술한 음원의 군 이외의 것을 편의상, 경가사용 기기군이라 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공기 조화기 자신과 방송 수신 기기군을 온감 변동 소 음원의 집단으로 하고, 대화, 중가사용 기기군이나 경가사용 기기군을 온감 변동 대 음원의 집단으로 함으로써, 소리 센서(19)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실내의 음원의 군을 판정하고, 판정한 음원의 군에 따라서, 음원을 온감 변동 소 음원의 집단과 온감 변동 대 음원의 집단으로 나눌 수 있고, 재실자의 활동량을 보다 많은 구분으로 세분화하여, 보다 세밀한 제어로, 쾌적성을 고려하면서 절전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소리 센서(19)에서 수음한 소리 신호를 복수의 주파수대로 구분하여, 각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소리의 크기, 연속성, 불규칙성, 규칙성, 단속의 간격 등을 적절한 지표로 평가함으로써, 비교적 저렴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음원의 종류를 추정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24 및 도 25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24 및 도 25는 실내음의 주파수 분석예로, 도 24의 (a)는 공기 조화기 소리의 주파수 분석예, 도 24의 (b)는 청소기 소리의 주파수 분석예, 도 25의 (a)는 육성의 주파수 분석예, 도 25의 (b)는 텔레비전 소리의 주파수 분석예이다.
재실자의 활동에 수반되는 소리의 예로서, 도 24의 (b)에 나타내는 청소기 소리(중가사용 기기군)는, 낮은 주파수의 소리로부터 높은 주파수의 소리까지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재실자의 활동에 수반되는 소리의 예로서, 도 25의 (a)에 나타내는 사람의 소리(대화)는, 높은 주파수의 소리가 적고, 1㎑ 부근의 낮은 주파수의 소리가 다른 부분보다 특별히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청소기 소리(중가사용 기기군)는 연속해서 들리고, 사람의 목소리(대화)는 불규칙한 단속이 있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재실자의 활동과 관계없는 소리의 예로서, 도 24의 (a)에 나타내는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는, 낮은 주파수의 소리도, 높은 주파수의 소리도 모두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재실자의 활동과 관계없는 소리의 예로서, 도 25의 (b)에 나타내는 텔레비전 소리(방송 수신 기기군)는, 사람의 목소리의 대역(1㎑ 내지 4㎑)에 상당하는 낮은 주파수의 소리 외에, 높은 주파수의 소리도 포함하고, 4㎑ 이상의 높은 주파수의 소리가 사람의 목소리[도 25의 (a) 참조]보다 각별히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각 음원군의 특징을 비교하여, 판별을 시도한다. 재실자의 활동에 수반되는 소리가 없는 상태에서는, 사람이 없는 실내에서도 발생하고 있는 소리(예를 들어, 벽시계 소리, 관상어수조의 순환 펌프 소리,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 등)가 검지되어 있어, 실내의 소리의 크기는 최소로 된다.
이 경우, 낮은 주파수의 소리도, 높은 주파수의 소리도, 낮은 레벨로 연속해서 검출되고, 또한 규칙적인 결과로 된다.
이에 의해, 실내의 소리를 소리 센서(19)에 의해 검출한 결과가 소정의 레벨 미만이며, 규칙적으로 연속되는 경우는 음원의 군을 「공기 조화기 자신」이라 판정한다.
계속해서, 재실자가 청소기를 사용하여 실내를 청소 등을 하고 있는 경우, 실내의 소리는 대화 목소리도, 텔레비전의 소리도 들리지 않고 청소기만의 소리가 들리게 된다.
이 경우, 낮은 주파수의 소리도, 높은 주파수의 소리도, 높은 레벨로 연속해서 검출되고, 또한 규칙적이고 레벨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결과로 된다.
이에 의해, 실내의 소리를 소리 센서(19)에 의해 검출한 결과가 소정의 레벨 이상이며, 거의 동일한 레벨로 규칙적으로 연속되는 경우에는 음원의 군을 「중가사용 기기군」이라 판정한다.
다음에, 재실자가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등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나 재실자끼리 대화를 하고 있는 경우, 사람의 대화에는 불규칙성이 있고, 또한 낮은 주파수의 소리가 많고, 또한 긴 중단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으로부터, 상술한 「공기 조화기 자신」이나 「중가사용 기기군」의 소리와 구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음원이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등의 「방송 수신 기기군」의 것인지, 재실자끼리의 현실의「대화」인지의 판별은, 낮은 주파수 대역에 주목해도 판별은 하기 어렵다. 그러나 방송에서는 현실의 대화와 달리 장시간, 침묵이 계속되는 경우는 적고, 또한 도중에 삽입되는 광고나 효과 음악 등에 의해 현실의「대화」에는 등장하지 않는 높은 주파수의 소리가 들어간다.
이들의 특징을 조합함으로써, 「방송 수신 기기군」과 「대화」를 판별할 수 있다.
이상의 판별 수순으로 「공기 조화기 자신」,「중가사용 기기군」,「방송 수신 기기군」 또는「대화」로 판별되지 않은 소리는 「경가사용 기기군」이라 판별한다.
<소리 센서의 구성>
이와 같이, 소리 센서(19)에 의해 검지한 신호는, 주파수 대역마다 분리하여 추출되어, 판정에 사용된다. 소리 센서(19)의 구성에 대해 도 2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음원 판정 블록도이다.
실내의 소리 신호는, 소리 센서(19)인 마이크로폰(408)에 의해 포착되어,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검지된 소리 신호는 미소한 신호이므로 증폭할 필요가 있지만, 공기 조화기(1)와 같이, 큰 전력을 필요로 하고, 또한 인버터 회로나 스위칭 전원 회로 등의 고주파에서 구동하는 회로를 갖는 제품에 있어서는, 전원 노이즈나 스위칭 노이즈도 비교적 크기 때문에, 소리 신호에 노이즈가 중첩되기 쉬워, 그대로 증폭하면 노이즈를 중첩한 채 증폭해 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마이크로폰(408)의 실장 위치를 증폭기와 동일한 기판 상에 실장하고, 또한 마이크로폰(408)의 바로 근처에 상용 전원의 주파수보다 높은, 전원 노이즈 제거용 하이 패스 필터(HPF)(400)(예를 들어, 상용 전원의 주파수 50㎑의 2배 주기인 100㎑ 이상을 통과)와, 음원을 판정할 때에는 필요로 하지 않는 고영역의 주파수대를 차단하는, 고주파 제거용 로우 패스 필터(LPF)(401)(예를 들어, 15㎑ 이상의 주파수를 차단)를 설치하여, 노이즈를 억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LPF(401)는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로 구성되고, 마이크로폰(408)에 의해 검지된 소리 신호의 증폭기로서도 기능한다.
HPF(400) 및 LPF(401)를 통과한 소리 신호는, 연산 증폭기에 의한 미분 회로 또는 적분 회로로 구성된 복수의 필터 회로에 입력된다. 또한, 연산 증폭기를 사용함으로써, 소리 신호를 필터링하는 동시에 증폭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어 저렴하고 또한 공간 절약화가 도모된다. 또한, LPF(401)를 포함하여, 복수의 연산 증폭기에 의해 단계적으로 증폭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노이즈 성능의 향상이나 오프셋 전압의 분산이 도모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산 증폭기에 의한 미분 회로 또는 적분 회로로 필터 회로와 증폭기를 겸함으로써 저렴하게 구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필터 회로와 증폭기를 따로따로 설치하여, 증폭기를 트랜지스터와 능동 소자를 조합하여 디스크리트하는 구성이나, 증폭기에 범용의 음성 증폭기(audio amplifier)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필터 회로에 관해서도 디지털 필터나, 저항과 콘덴서에 의한 RC 적분기, 인덕턴스와 콘덴서와 저항을 조합한 RCL 패시브 필터 및 범용의 디지털 필터 IC, 나아가서는 연산 처리부의 A/D 컨버터에 도입하여, 푸리에 변환을 행하는 등, 비용이나 주변 부품 등의 사정에 맞추어 필터 회로를 구성하면 되며, 증폭기와 필터 회로의 수단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소리 신호를 2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나누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하나는, 미분 회로(402) 및 적분 회로(403)로 구성되고, 사람의 목소리의 주파수대에 가까운, 저역을 통과시키는 밴드 패스 필터(BPF)(404)(예를 들어, 1㎑ 내지 4㎑를 통과)이다.
다른 하나는, 미분 회로(405)로 구성되고, 청소기 등의 기계음 등의 사람의 목소리에서는 나올 수 없는 고역을 통과시키는 하이 패스 필터(HPF)(406)(예를 들어, 5㎑ 이상을 통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각 필터 회로[BPF(404), HPF(406)]에 있어서의 출력은, 후단에 구비한 콤퍼레이터(407)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폰(408), 필터 회로[HPF(400), LPF(401), BPF(404), HPF(406)], 증폭기(연산 증폭기), 콤퍼레이터(407)까지를 동일 기판 상에 실장하고, 콤퍼레이터(407)에 의해 변환된 2계통의 디지털 신호를 제어부(10)에 출력함으로써, 노이즈를 억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연산 증폭기에서 증폭할 때에, 연산 증폭기의 전원 라인에 노이즈가 발생하면, 증폭률이 변화되어, 소리 신호에 노이즈로서 나타난다. 이로 인해, 동일 기판 상에 전원 노이즈를 억제하기 위한 전해 콘덴서(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필터 회로의 연산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안정화시키면 좋다.
또한, 콤퍼레이터(407)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는 임계값을, 공기 조화기(1)만의 운전음에서는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함으로써, 공기 조화기 자신의 운전음에 의해 오동작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외부 음원으로부터의 소리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만 제어부(10)에 입력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리 신호를 2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나누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검지하는 대상이나 검지하는 대상의 수, 기판 실장 스페이스, 비용에 맞추어, 주파수 대역의 변경이나 복수의 필터 회로를 설치해도 되며, 그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검지된 소리 신호에 맞추어, 표시등(397)(도 1 참조)을 점등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 대해, 시각적으로 마이크로폰(408)이 소리 신호를 검지하고 있는 것을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만일, 마이크로폰(408)이나 필터 회로 등의 주변 회로가 고장났을 때에, 수리 작업자가 용이하게 고장을 확인할 수 있는 등의 이점도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폰(408)이나 증폭 회로 등의 고장에 의해, 제어부(10)[활동량 판정부(41)]에 도입되는 소리 신호가 매우 작거나, 또는 적은 경우에, 공기 조화기(1)에 구비한 버저(도시하지 않은)를 울려, 그 버저 소리를 검지한 결과에 의해, 마이크로폰(408)이나 증폭기 등의 주변 회로의 이상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수리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음원 판정 방법>
다음에, 도 27을 사용하여, 활동량 판정부(41)가 실행하는 음원 판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 S101에 있어서, 활동량 판정부(41)는 소리 샘플링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소리 센서(19)에 의해, 실내의 소리를 낮은 주파수 대역의 소리(예를 들어, 1㎑ 내지 4㎑)와, 높은 주파수 대역의 소리(예를 들어, 5㎑ 이상)로 분리하여 추출한다.
그리고 주파수 대역마다, 소정의 샘플링 주기로 소정 시간 샘플링을 행하여,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소리의 검출 횟수의 비율(BP)과,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소리의 검출 횟수의 비율(HP)을 산출하여, 1회의 샘플링 결과로 한다. 이 샘플링을 복수회(m회) 행하여, 샘플링 결과 BP1 내지 BPm, HP1 내지 HPm을 얻는다.
또한, 소리 샘플링의 실행 중에는, 실내 송풍 팬(311)(도 2 참조)의 회전 속도를, 소리 샘플링을 실행하고 있지 않을 때의 회전 속도보다도 저하시키도록 제어해도 된다. 실내 송풍 팬(311)의 회전 속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소리 센서(19)에 수음되는 풍절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도 1 참조)의 진동이 저감되어, 소리 센서(19)의 진동에 의한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실내 송풍 팬(311)을 구동하는 실내 송풍기의 구동음도 저감시켜, 공기 조화기(1)[실내기(2)]가 발생하는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하의 판정에 있어서, 소리의 레벨은,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 HP1 내지 HPm)의 크기로 판단한다.
또한, 소리의 연속성은, 모든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 HP1 내지 HPm)가 음원의 군마다 규정된 소정의 임계값의 편측에 있는지 여부로 판단한다.
또한, 소리의 규칙성은,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 HP1 내지 HPm)의 상한, 하한과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 HP1 내지 HPm)의 평균값의 차가, 음원의 군마다 정한 판정폭 이내인지 여부로 판단한다.
또한, 소리의 불규칙성은,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 HP1 내지 HPm)가 음원의 군마다 규정한 소정의 판정 임계값 이상인 횟수가, 음원의 군마다 규정한 소정의 하한 횟수 임계값 이상, 또한 상한 횟수 임계값 이하이고, 또한 판정 임계값 이상인 회의 연속이 도중에서 중단되는지 여부로 판단한다.
또한, 소리의 긴 중단이 있는지 여부는,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 HP1 내지 HPm)가 음원의 군마다 규정한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횟수가 음원의 군마다 규정한 소정의 상한 횟수 임계값 이하이고, 또한 임계값 이상인 회의 연속이 도중에서 중단되는지 여부와,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 HP1 내지 HPm)의 상한ㆍ하한과,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 HP1 내지 HPm)의 평균값의 차가 음원의 군마다 정한 소정의 판정폭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로 판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의 평균값을 BPmean으로 하고,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의 최대값을 BPmax로 하고,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의 최소값을 BPmin으로 하고,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샘플링 결과(HP1 내지 HPm)의 평균값을 HPmean으로 하고,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샘플링 결과(HP1 내지 HPm)의 최대값을 HPmax로 하고,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샘플링 결과(HP1 내지 HPm)의 최소값을 HPmin으로 한다.
스텝 S102에 있어서, 활동량 판정부(41)는, 음원이 「공기 조화기 자신」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 HP1 내지 HPm)의 크기가, 모든 샘플링 기간에 있어서, 공기 조화기 판정 임계값(BPa, HPa) 미만인 경우에는, 음원의 종류를 「공기 조화기 자신」이라고 판정한다.
스텝 S102에 있어서 상기 판정 요건을 충족시킨 경우에는, 스텝 S103으로 진행하여, 활동량 판정부(41)는 음원이 「공기 조화기 자신」이라고 판정한다. 한편, 상기 판정 요건을 충족시키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04로 진행한다.
스텝 S104에 있어서, 활동량 판정부(41)는 음원이 「중가사용 기기군」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 HP1 내지 HPm)의 크기가, 모든 샘플링 기간에 있어서, 가사용 기기군 판정 임계값(BPh, HPh) 이상이고, 샘플링 결과의 평균값(BPmean, HPmean)과 샘플링 결과의 최소값(BPmin, HPmin)의 차가 중가사용 기기군 판정 폭(BWc, HWc) 이내이고, 샘플링 결과의 최대값(BPmax, HPmax)과 샘플링 결과의 평균값(BPmean, HPmean)의 차가 중가사용 기기군 판정폭(BWc, HWc) 이내인 경우는, 음원의 종류를「중가사용 기기군」이라고 판정한다.
스텝 S104에 있어서 상기 판정 요건을 충족시킨 경우에는, 스텝 S105로 진행하여, 활동량 판정부(41)는 음원이「중가사용 기기군」이라고 판정한다. 한편, 상기 판정 요건을 충족시키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6에 있어서, 활동량 판정부(41)는, 음원이「방송 수신 기기군」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 HP1 내지 HPm)가 방송 수신 기기 판정 임계값(BPt, HPt) 이상인 횟수가 방송 수신 기기군의 하한 횟수 임계값(BLt, HLt) 이상이고 또한 상한 횟수 임계값(BHt, HHt) 이하이고, 또한 방송 수신 기기 판정 임계값(BPt, HPt) 이상인 회의 연속이 도중에서 중단되어 있는 경우는, 음원의 종류를 「방송 수신 기기군」이라고 판정한다.
스텝 S106에 있어서 상기 판정 요건을 충족시킨 경우에는, 스텝 S107로 진행하여, 활동량 판정부(41)는 음원이 「방송 수신 기기군」이라고 판정한다. 한편, 상기 판정 요건을 충족시키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08로 진행한다.
스텝 S108에 있어서, 활동량 판정부(41)는 음원이 「대화」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 HP1 내지 HPm)가 대화 판정 임계값(BPs, HPs) 이상인 횟수가 대화의 하한 횟수 임계값(BLs, HLs) 이상이고 또한 상한 횟수 임계값(BHs, HHs) 이하이고, 또한 대화 판정 임계값(BPs, HPs) 이상인 회의 연속이 도중에서 중단되어 있는 경우는, 음원의 종류를 「대화」라고 판정한다.
스텝 S108에 있어서 상기 판정 요건을 충족시킨 경우에는, 스텝 S109로 진행하여, 활동량 판정부(41)는 음원이 「대화」라고 판정한다.
한편, 상기 판정 요건을 충족시키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10으로 진행하여, 활동량 판정부(41)는, 음원이 「경가사용 기기군」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대화 목소리가 커지고, 또한 이야기 소리가 도중에 끊기지 않고 이어지면, 대화라고 판정되지 않게 되지만, 이러한 경우, 대화하고 있는 사람의 활동량도 증가하고 있어, 조리 기기, 이미용 기기, 데스크 워크용 기기 등의 경가사용 기기군을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한 정도의 활동량으로 되므로, 공기 조화기(1)의 제어상은 경가사용 기기군의 사용이라 간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샘플링 결과로부터 음원을 판정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판정 임계값(S102, S104, S106, S108에서 사용한 각 임계값)의 보정에 대해 도 2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주위음에 의한 판정 임계값의 보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내에는 재실자가 조용히 하고 있을 때라도 시계, 관상어수조의 펌프 소리 등 여러 소리가 있어, 소리 센서(19)에 의해 공기 조화기(1)를 제어하려고 할 때에는, 재실자가 조용히 하고 있을 때의 소리와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를 합친 소리의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1)에서는, 운전 개시시에, 재실자가 조용히 하고 있을 때의 소리를 도 27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판정한다.
공기 조화기(1)를 설치하고 최초의 운전시에, 금회의 운전이 최초 운전이면, 정숙한 상태에서 운전 또는 정지하여 소리 센서(19)에 의해 기준 환경음을 측정하는 기준 환경음 측정 기간(예를 들어, 정숙한 상태에서 운전 개시하여 1분간)에 측정하고, 공기 조화기(1)의 기억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시간대마다 기억되어 있는 당초값을 기준값에 대입한다.
이때의 샘플링 결과의 평균을 초기값이라 명명하고, 공기 조화기 자신에 정해져 있는 기준값(마찬가지의 환경에서 운전하였을 때의 샘플링 결과의 평균값에 대략 일치하는)과 비교한다.
비교한 결과, 기준값이 초기값 미만인 경우에서, 음원의 판정 결과가 공기 조화기 자신인 경우(스텝 S103 참조)는, 실내를 조용하게 하고 있어도,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 이외의 실내의 환경음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하여, 각 음원의 판정 임계값을 보정한다.
음원의 판정 결과가 공기 조화기 자신 이외의 음원군인 경우는, 공기 조화기 자신이나 환경음이라고는 할 수 없는 유의한 소리가 나고 있다고 판단하여, 각 음원의 판정 임계값의 보정은 행하지 않는다. 초기값과 기준값을 비교한 결과, 기준값이 초기값 이상인 경우는, 현재의 판정 임계값으로, 충분히 각 음원을 식별하여 판정할 수 있으므로, 각 음원의 판정 임계값의 보정은 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1)는, 소리 센서(19)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음원의 종류를 판정하는 음원의 종류의 판정 임계값을 마련하여, 공기 조화기(1)[실내기(2)]를 설치한 실내에서, 정숙한 상태에서 운전 또는 정지하여 소리 센서(19)에 의해 기준 환경음을 측정하는 기준 환경음 측정 기간의 소리 센서(19)의 검출 결과(초기값)에 따라서, 판정 임계값을 보정하는 임계값 보정부(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활동량 판정부(41)는 임계값 보정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보정된 판정 임계값에 따라서 음원의 종류를 판정하고, 판정된 음원의 종류와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한다.
다음에,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는 프레넬 렌즈(17a)와 함께, 실내로부터의 적외선의 양의 변화를 파악한다. 실내에서 활발한 움직임이 있을 때에는, 그 반응량은 크고, 조용한 움직임일 때에는 반응량은 작다. 이것을 이용하여,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로부터의 신호는 사람의 움직임을 추출하는 밴드 패스 필터(도시하지 않음)를 통과시켜 증폭되고, 콤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디지털화되어 제어부(10)[활동량 판정부(41)]에 전달된다.
활동량 판정부(41)는, 이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소정의 샘플링 주기(예를 들어, 10ms)로 샘플링 구간(예를 들어, 60초간) 동안, 샘플링하고, 샘플링한 데이터 중의 반응 검출 데이터의 비율을 연산하여, 반응 검출 비율 Px를 얻는다.
이 반응 검출 비율 Px가, 실내의 움직임의 양이 작은지 여부를 판별하는 정(靜)판정 임계값 Pb 미만인 경우는, 반응의 검출 구분을「반응:정」으로 구분한다.
다음에, 반응 검출 비율 Px가 실내의 움직임량이 큰지 여부를 판별하는 동(動)판정 임계값 Pv 이상인 경우는, 반응의 검출 구분을「반응:강」으로 구분한다.
반응 검출 비율 Px가 정판정 임계값 Pb 이상이고, 동판정 임계값 Pv 미만인 경우는, 반응의 검출 구분을「반응:중」으로 구분한다.
다음에,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와 소리 센서(19)의 조합에 의해, 활동량을 세분화하여 판정하는 방법에 대해 도 2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조합 활동량 판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활동량 판정부(41)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는 반응의 검출 구분(정, 강, 중)과, 소리 센서(19)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는 음원 판정(공기 조화기 자신, 중가사용 기기군, 방송 수신 기기군, 대화, 경가사용 기기군)의 결과를 조합하여,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실자의 활동량을 세분화한다.
또한, 도 29에 있어서는, 공기 조화기 자신, 방송 수신 기기군(TV)의 경우를 온감 변동 소 음원 집단으로 하고, 중가사용 기기군(청소기), 대화, 경가사용 기기군(기타)의 경우를 온감 변동 대 음원 집단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는 반응의 검출 구분이 동일해도, 음원이 재실자의 활동을 수반하는 온감 변칙 대 음원 집단인 경우, 음원이 재실자의 활동과 관계없는 온감 변동 소 음원 집단인 경우보다도 활동량을 크게 판정한다.
이에 의해, 활동량의 구분은 종래의 3단계로부터 5 내지 6단계로 되므로, 종래보다 각별히 세밀한 제어로 할 수 있다.
도 29의 예에서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에 의한 반응의 검출 구분이 「반응:강」이고 음원의 종류가 중가사용 기기군, 대화 및 경가사용 기기군으로 이루어지는 온감 변동 대 음원 집단인 경우의 활동량을 최대로 하고 있다. 또한, 최소의 활동량을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에 의한 반응의 검출 구분이「반응:정」이고 음원이 공기 조화기 자신 및 방송 수신 기기군으로 이루어지는 온감 변동 소 음원 집단의 경우의 활동량을 최소로 하고 있다.
또한, 활동량에 대해,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에 의한 반응의 검출 구분이 동일한 경우, 온감 변동 소 음원 집단의 활동량이 온감 변동 대 음원 집단의 활동량 이상으로 되도록 활동량이 정해진다. 또한, 소리 센서(19)에 의한 음원 집단이 동일한 경우, 「반응:정」<「반응:중」<「반응:강」의 관계로 되도록 활동량이 정해져 있다.
공기 조화기(1)의 냉방 운전시에 있어서, 재실자의 활동량이 작은 경우, 재실자가 조용히 하고 있어, 대사가 활발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체내 발열이 적어지고, 재실자의 온열 감각도 추운 측으로 변화된다. 이로 인해, 실온을 약간 높여도, 쾌적성은 허용 범위에 머물러, 실온을 약간 높인 만큼 에너지 절약 운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1)의 난방 운전시에 있어서, 재실자의 활동량이 큰 경우는, 재실자가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어, 대사가 활발한 상태이므로, 체내 발열이 많아지고, 재실자의 온열 감각도 더운 측으로 변화되므로, 실온을 약간 낮추어도, 쾌적성은 허용의 범위에 머물러, 실온을 약간 낮춘만큼 에너지 절약 운전으로 할 수 있다.
활동량 판정부(41)가 판정한 활동량은 온도 시프트값 설정부(42)로 송신되어, 온도 시프트값 설정부(42)는 활동량 판정부(41)가 판정한 활동량에 기초하여 온도 시프트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목표 온도 설정부(44)에서, 온도 시프트값에 기초하여 목표 온도가 설정된다. 그리고 공조 능력 제어부(45)에서 흡입 공기 온도[실온 센서(11)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가 목표 온도에 근접하도록 압축기(51), 실내 송풍기(52), 실외 송풍기(53)가 제어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에 더하여 소리 센서(19)를 사용하여 활동량을 보다 상세하게 판정하고, 판정된 활동량에 기초하여 목표 온도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보다 재실자의 상태(활동 상태)에 맞추어, 쾌적성을 고려하면서, 절전을 도모하는 공기 조화기(1)를 제공할 수 있다.
1 : 공기 조화기
2 : 실내기
10 : 제어부
16 : 센서 모듈
17 : 초전형 적외선 센서
17a : 프레넬 렌즈
17b : 초전 커버
18 : 복사 센서
19 : 소리 센서
19a : 메쉬 부재(바람막이 부재)
311 : 실내 송풍 팬(송풍기)
397 : 표시부
397a : 표시등
408 : 마이크로폰
52 : 실내 송풍기(송풍기)
600 : 기판(실장 기판)
600a : 실리콘 코팅(실리콘 수지층)
601 : 전자 부품
602 : 방수 시트(방수 부재)
603 : 방진 고무(방진 부재)
603a : 개구부
603b : 배면 개구부
603c : 주연부
603d : 저면부

Claims (5)

  1. 공조 공간 내의 소리를 수음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실장하는 실장 기판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이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둘러싸는 방진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방진 부재를 협착하여 상기 실장 기판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개구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에 방수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실장 기판에 삽입 실장되고, 상기 실장 기판의 단자면을 덮는 실리콘 수지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공기 조화기가 발생하는 풍절음의 수음을 저감시키는 바람막이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5. 공조 공간 내의 소리를 수음하는 마이크로폰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이며,
    바람을 분출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기동하여 상기 공조 공간 내의 소리를 수음할 때, 상기 송풍기의 회전 속도를, 수음하기 전의 회전 속도보다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110085407A 2010-11-24 2011-08-26 공기 조화기 KR101310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61245A JP6061441B2 (ja) 2010-11-24 2010-11-24 空気調和機
JPJP-P-2010-261245 2010-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755A true KR20120056755A (ko) 2012-06-04
KR101310545B1 KR101310545B1 (ko) 2013-09-23

Family

ID=4609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407A KR101310545B1 (ko) 2010-11-24 2011-08-26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061441B2 (ko)
KR (1) KR101310545B1 (ko)
CN (1) CN10247829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1125A (ko) * 2016-03-25 201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진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74837B (zh) * 2012-08-02 2016-09-07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空调静音模式启动方法及空调
KR102087692B1 (ko) * 2013-05-20 202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JP6266966B2 (ja) * 2013-12-06 2018-01-24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4863839B (zh) * 2014-12-19 2017-06-06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发动机高压油泵异响检测方法及装置
CN106288137A (zh) * 2015-06-12 2017-01-0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
CN105757922A (zh) * 2016-05-06 2016-07-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及其麦克风组件
CN106152454A (zh) * 2016-08-08 2016-11-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装饰条、空调器及装饰条的装配方法
CN110036246B (zh) * 2016-12-16 2021-01-05 三菱电机株式会社 控制装置、换气系统、换气方法及记录介质
CN107421068B (zh) * 2017-07-26 2020-03-0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控制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9077724A1 (ja) * 2017-10-19 2019-04-25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7920289A (zh) * 2017-11-24 2018-04-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麦克风的安装结构及空调器
CN109458717B (zh) * 2017-12-20 2020-08-07 国网浙江省电力公司嘉兴供电公司 一种空调智能控制装置及控制方法
CN110377013A (zh) * 2018-04-12 2019-10-25 深圳市三诺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人体追踪功能的智能音响及人体追踪方法
CN110875058A (zh) * 2018-08-31 2020-03-10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语音通信处理方法、终端设备及服务器
KR102229502B1 (ko) * 2019-03-18 2021-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N109945301A (zh) * 2019-03-21 2019-06-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
CN110793101A (zh) * 2019-12-04 2020-02-14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麦克风组件与空调的安装结构及空调器
CN113251585A (zh) * 2021-04-27 2021-08-13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空调器噪音控制方法、系统、设备和存储介质
CN114941893B (zh) * 2022-06-13 2023-08-04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空气调节装置
CN115978735B (zh) * 2023-01-16 2024-07-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杀菌的控制方法及装置、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741A (ja) * 1983-06-24 1985-01-11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JPH0695561B2 (ja) * 1989-02-07 1994-11-24 富士通株式会社 二列並行多端子型混成集積回路装置
JPH04261092A (ja) * 1991-01-21 1992-09-1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部品の端子接続方法
JP3252429B2 (ja) * 1992-02-19 2002-02-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清浄器
JP2809939B2 (ja) * 1992-08-26 1998-10-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マイクロホン装置
JPH06323564A (ja) * 1993-05-19 1994-11-25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JPH07160280A (ja) * 1993-12-03 1995-06-23 Takasago Thermal Eng Co Ltd 空調設備の電子消音装置
JPH07236079A (ja) * 1994-02-22 1995-09-05 Sony Corp 電子機器
JPH1141683A (ja) * 1997-05-23 1999-02-12 Fuji Kobunshi Kogyo Kk 小型マイク組立品
JP3913894B2 (ja) * 1998-04-03 2007-05-09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ダクト用騒音消去装置
JP2000161746A (ja) * 1998-11-20 2000-06-16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CN2463914Y (zh) * 2001-01-17 2001-12-05 黄石矛 一种拾远音麦克风
JP4276108B2 (ja) * 2004-02-27 2009-06-10 スター精密株式会社 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の実装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の実装方法
JP4271668B2 (ja) * 2005-03-18 2009-06-03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電気音響変換器の取付構造
JP4789005B2 (ja) * 2006-07-27 2011-10-05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
JP2010249349A (ja) * 2009-04-13 2010-11-04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1125A (ko) * 2016-03-25 201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진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61441B2 (ja) 2017-01-18
CN102478297A (zh) 2012-05-30
KR101310545B1 (ko) 2013-09-23
CN102478297B (zh) 2014-09-03
JP2012112571A (ja)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545B1 (ko) 공기 조화기
KR101336460B1 (ko) 공기 조화기
KR101291883B1 (ko) 공기 조화기
JP6741050B2 (ja) 送風機器
JP5309102B2 (ja) 空気調和機
KR101291967B1 (ko) 공기 조화기
JP5325854B2 (ja) 空気調和機
JP4125354B1 (ja) 空気調和機
JP5216519B2 (ja) 空気調和機
JPWO2018190003A1 (ja) 空気清浄機
CN106765559B (zh) 空调与空气净化加湿设备联动系统及其控制方法
KR20210005978A (ko) 공기조화기
KR101102689B1 (ko) 공기 조화기
JP2008224132A (ja) 空気調和機
JP5320361B2 (ja) 空気調和機
JP2012002461A (ja) 空気調節機
JP5723734B2 (ja) 空気調和機
JP5325855B2 (ja) 空気調和機
MY165391A (en) Air conditioner
CN202938455U (zh) 空调器
JP5325853B2 (ja) 空気調和機
CN210220140U (zh) 通风降噪装置以及智能通风降噪窗
JP2584162C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