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883B1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883B1
KR101291883B1 KR1020110085408A KR20110085408A KR101291883B1 KR 101291883 B1 KR101291883 B1 KR 101291883B1 KR 1020110085408 A KR1020110085408 A KR 1020110085408A KR 20110085408 A KR20110085408 A KR 20110085408A KR 101291883 B1 KR101291883 B1 KR 101291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ensor
amount
air conditioner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9456A (ko
Inventor
겐이찌 야하기
게이지 요꼬야마
요시로오 우에다
히로유끼 하시모또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9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쾌적성을 배려하면서 절전을 도모하는 소리 센서가 구비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는, 소리 센서와, 횡류 팬의 축 방향에는 분출구의 양단부보다 내측에서 분출 풍로 상벽의 최하단부와 흡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소리 센서와 실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과, 흡입구에 위치하는 필터와, 필터를 청소하는 자동 청소 장치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쾌적성을 배려하면서 절전을 도모하는 소리 센서가 구비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실내의 소리를 검출하는 소리 센서를 탑재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열교환기로 순환시켜, 가열, 냉각, 제습 기능 등에 의해 조정하고, 이것을 실내에 분출함으로써 실내를 공기 조화한다. 최근, 지구 온난화 방지의 관점으로부터 공기 조화기에는 한층 더한 에너지 절약 운전의 요망이 강하고, 요즈음 센서 기술의 진보를 도입하여, 다양한 센서를 탑재한 것이 나타나 있고, 그 중 하나로, 공기 조화기에 소리 센서를 구비하고, 조작성을 개선하여, 쾌적성을 배려하면서 에너지 절약 운전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 기술로서, 특허 문헌 1-5가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은 실내 유닛에서 적외선 제어 신호에 대응한 음성 응답 기능을 가진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적외선 수신부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제어 신호 입력 수단과, 마이크로 이루어지는 음성 신호 입력 수단과, 적외선 제어 신호 입력 수단과 음성 신호 입력 수단의 신호에 의해 공기 조화기의 음성 응답 신호와 음량 레벨을 작성하는 음성 응답 신호 레벨 판단 수단과, 증폭기와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음성 응답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음성 신호 입력 수단의 신호 레벨에 따른 음량으로 음성 응답하고, 텔레비전이나 오디오의 소리를 포함하는 사용자 주위에 소음이 있어도, 공기 조화기로부터의 음성 응답을 판별 가능하게 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장치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특허 문헌 2는 에어컨의 실내기에 설치된 음성 인식부는, 조작자로부터의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를 구비하고, 입력된 음성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음성 인식 DSP에 입력된다. 음성 인식 DSP로 음성 인식 처리가 이루어지고, 음성 인식된 코맨드에 대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신호가 출력된다. 출력된 리모트 컨트롤러 신호는 실내기의 수신 회로에서 수신되고, 이 수신된 리모트 컨트롤러 신호에 따른 공조 제어가 행해진다. 이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로 복잡한 조작을 하지 않고 음성으로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특허 문헌 3에서는, 보정음과 실제의 송풍기 운전음의 합성음이 제상(除霜) 운전 개시 직전의 송풍기 운전음과 대략 동일한 소음 레벨로 되도록 보정음 발생 수단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정상 난방 운전시와 제상 사이클 운전시 사이에 소음 레벨로 변동이 없고, 또한 제상 사이클 운전시의 냉매 유동음에 의한 불쾌감을 해소하는 히트 펌프식 공기 조화기용 실내 유닛의 운전음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특허 문헌 4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음을 마이크로폰에 의해 검출하고, 이 운전음을 미리 설정한 기준 운전음과 비교하여 보정 신호를 생성하고, 이 보정 신호를 스피커에 출력하여, 상기 스피커로부터 운전음과의 합성음이 기준 운전음으로 되는 보정음을 방사시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피스 등에서 공기 조화기의 운전음을 암소음(暗騷音)으로서 흘리는 경우에, 그 운전음의 음질의 악화나 크기의 변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음질이 좋은 소정의 운전음을 정상적으로 흘리도록 하여, 암소음에 의한 일의 효율의 향상을 안정적으로 유효하게 확보하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음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특허 문헌 5는 미리 음원 데이터부에 기억한 소음원으로부터의 소음에 근사한 음원 데이터의 위상 및 레벨을 조정하여 소음원으로부터의 소음과 합성하고, 제어부에 의해 합성음을 모니터하고, 합성음을 항상 최소로 한다. 이에 의해, 가동부를 갖는 기기의 대폭적인 저소음화를 실현하는 소음 장치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122044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161746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082544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06-043884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02-115510호 공보
소리 센서를 장착하는 데 있어서, 그 장착 위치는 대조로 하는 소리를 가능한 한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위치로 해야만 한다.
특허 문헌 1에서는 마이크의 장착 위치에 대해서는, 실내 유닛 내장으로 기재되어 있는 것만으로 구체적인 위치는 기재되어 있지 않고, 도면에서 개념적으로 마이크가 내장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 것뿐이다.
특허 문헌 2에서는 조작자의 음성을 검출하는 마이크를 노출시켜 설치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그 위치에 대해서는, 공기 조화기의 우측부에 마이크를 배치한 예가 도시되어 있는 것뿐이며 구체적인 언급은 없다.
특허 문헌 3에서는 팬 운전음을 검출하기 위해 분출 풍로의 상벽에 팬을 향하여 운전음 검출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고 하는 기재가 있지만, 실내의 소리를 검출하는 수단에 대한 언급은 없다.
특허 문헌 4에서는 공기 조화기 운전음을 검출하기 위한 마이크의 장착 위치에 대한 기재는 있지만, 실내음을 검출하는 수단에 대한 기재는 일절 없다.
특허 문헌 5에서는 열교환기 및 팬 및 풍동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과, 스피커 소리의 합성음을 검출하는 마이크의 장착 위치가 도면에 예시되어 있는 것뿐이며, 실내음의 검출 수단에 대한 기재는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쾌적성을 배려하면서 절전을 도모하는 소리 센서가 구비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소리 센서를 갖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소리 센서와 실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연통 구멍의 위치를 횡류 팬의 축 방향에는 분출구의 양단부보다 내측이고, 분출 풍로 상벽의 최하단부와 흡입구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흡입구에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의 자동 청소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달성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1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재실자의 움직임량 또는 실내의 바닥 혹은 벽으로부터의 복사량을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와, 실온의 설정부와,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적외선 센서의 검출 결과와 상기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하는 활동량 판정부를 갖고, 상기 활동량 판정부에서 판정된 재실자의 활동 판정량을 기초로,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정해진 목표값을 변경하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는 소리 센서를 갖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횡류 팬의 축 방향에는 분출구의 양단부보다 내측이고, 분출 풍로 상벽의 최하단부와 흡입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소리 센서와 실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과, 재실자의 움직임량을 검출하는 초전형(焦電型) 적외선 센서 또는 실내의 바닥 혹은 벽으로부터의 복사량을 검출하는 서모 파일과, 실온의 설정부와,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초전형 적외선 센서의 검출 결과 또는 상기 서모 파일의 검출 결과와 상기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하는 활동량 판정부를 갖고, 상기 활동량 판정부에서 판정된 재실자의 활동 판정량을 기초로,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정해진 목표값을 변경하는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2 또는 3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음원의 종류를 판정하는 음원의 종류의 판정 임계값을 설정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를 설치한 실내에서, 정숙한 상태로 운전 또는 정지하여 상기 소리 센서에 의해 기준 환경음을 측정하는 기준 환경음 측정 기간에서의 상기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초기값)에 따라서, 상기 판정 임계값을 보정하는 임계값 보정부를 갖고, 상기 활동량 판정부는 임계값 보정부에서 보정된 판정 임계값에 따라서 음원의 종류를 판정하고, 판정된 음원의 종류와 상기 적외선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하는 것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2 또는 3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소리 센서와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이 동일한 기판, 센서 베이스, 또는 케이스에 탑재, 장착, 또는 수납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6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소리 센서와 상기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이 상기 횡류 팬 축 방향의 상기 분출구 중심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것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5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소리 센서와 상기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의 중심부 사이의 상호 거리의 최대값을, 상기 횡류 팬의 축 방향을 X 좌표축으로 하는 3차원의 직각 좌표로 나타냈을 때에, X 좌표의 값이 다른 좌표축의 값보다도 큰 것이다.
청구항 8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2 또는 3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소리 센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을 보이기 어렵게 하는 차폐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청구항 9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8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횡류 팬의 축 및 상기 분출구의 길이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차폐 부재가 상하 풍향판과 연동하여 이동하는 것이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9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가 상하 풍향판의 일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8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소리 센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의 비사용시에, 상기 소리 센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을 실내로부터 보이기 어렵게 하는 것이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10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상하 풍향판이 후방부 상하 풍향판과 상기 차폐 부재로 되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부 상하 풍향판에 투명 부분과, 불투명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12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운전 정지시에, 상기 불투명 부분에서 상기 소리 센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을 보이기 어렵게 하고, 상기 투명 부분으로 내부 표시부를 덮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송풍음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 실내의 소리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고, 또한 횡류 팬의 서징이 발생하기 어려우므로, 실내 소리의 검출이 우수하고, 재실자의 활동을 실내의 소리에 의해서 추정하여 운전 제어를 행하는 용도에 적합한 구성으로 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 3에 따르면, 검출한 소리 정보와 적외선 센서의 정보로부터, 재실자의 활동량을 세밀하게 추정하여, 쾌적성을 고려하면서, 절전을 도모한다.
청구항 3에 따르면, 송풍음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 실내의 소리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르면, 실내의 환경 소음에 따른 적정한 보정으로 실내의 상황을 적절하게 파악하여, 절전을 도모한다.
청구항 5, 10에 따르면, 자원 절약에 적합하여,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따르면, 검지 영역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적절하게 실내를 공기 조화한다.
청구항 6에 따르면, 적은 수의 센서로 실내의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하여, 적절하게 제어한다.
청구항 7에 따르면, 빈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하우징의 대형화가 억제된다.
청구항 8, 9, 11, 13에 따르면, 비사용시에, 인테리어의 분위기를 흐트러뜨리지 않는다.
청구항 12에 따르면, 전방부 상하 풍향판의 가동시의 압박감을 경감한다.
청구항 13에 따르면, 풍향판이 폐쇄되어 있을 때에도 운전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공기 조화기의 구성도.
도 2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운전 정지시의 단면도.
도 3은 실내기의 운전 정지시의 정면도.
도 4는 실내기의 운전시의 정면도.
도 5는 실내기의 운전시의 저면도.
도 6은 실내기의 난방 운전시의 단면도.
도 7은 실내기의 냉방 운전시의 단면도.
도 8은 실내기의 소리 센서 장착부의 사시도.
도 9는 실내기의 초전형 적외선 센서 장착부의 사시도.
도 10은 실내기의 서모 파일 장착부의 사시도.
도 11은 실내기의 센서 모듈의 사시도.
도 12는 실내기의 상면도.
도 13은 실내기의 필터 청소 기구부 사시도.
도 14는 청소 기구의 포집 진애의 제거 동작 설명도.
도 15는 실내기의 전방부 상하 풍향판을 폐쇄하였을 때의 소리 센서 장착부 단면도.
도 16은 전방부 상하 풍향판의 상세도.
도 17은 전방부 상하 풍향판을 개방하였을 때의 센서 장착부 정면도.
도 18은 전방부 상하 풍향판을 폐쇄하였을 때의 센서 장착부 정면도.
도 19는 활동 내용과 활동량의 관계.
도 20은 상기 실내기의 제어부 블록도.
도 21은 실내음의 주파수 분석예 1.
도 22는 실내음의 주파수 분석예 2.
도 23은 음원 판정 블록도.
도 24는 판정 전단 설명도.
도 25는 판정 주요부 설명도.
도 26은 주위음에 의한 보정 설명도.
도 27은 반응 검출 구분 판정 설명도.
도 28은 조합 활동량 판정도.
도 29는 복사량 판정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상세를 벽걸이형의 공기 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선, 그 전체 구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운전 정지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실내기의 운전 정지시의 정면도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2)와 실외기(6)를 접속 배관(8)으로 연결하고, 실내를 공기 조화한다. 실내기(2)는, 하우징 베이스(21)의 중앙부에 실내 열교환기(33)를 배치하고, 실내 열교환기(33) 하에 횡류 팬 방식의 송풍기 횡류 팬(311)을 배치하고, 드레인 팬(35) 등을 장착하고, 이들을 장식 프레임(23)으로 덮고, 장식 프레임(23)의 전방면에 전방면 패널(25)을 장착하고 있다. 이 장식 프레임(23)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27)와, 온도, 습도가 조화된 공기를 분출하는 공기 분출구(29)가 상하에 설치되어 있다.
송풍기 횡류 팬(311)으로부터의 분출 기류를 송풍기 횡류 팬(311)의 길이에 거의 동등한 폭을 갖는 분출 풍로(290)에 흘리고, 분출 풍로(290) 도중에 배치한 좌우 풍향판(295)에 의해 기류의 좌우 방향을 편향시킨다. 또한, 공기 분출구(29)에 배치한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 후방부 상하 풍향판(292)에 의해 기류의 상하 방향을 편향하여 실내에 분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하우징 베이스(21)에는, 송풍기 횡류 팬(311), 필터(231), 실내 열교환기(33), 드레인 팬(35),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 후방부 상하 풍향판(292), 좌우 풍향판(295) 등의 기본적인 내부 구조체가 장착된다. 그리고, 이들의 기본적인 내부 구조체는, 하우징 베이스(21), 장식 프레임(23), 전방면 패널(25)로 이루어지는 하우징(20)에 내포되어 실내기(2)를 구성한다. 또한, 전방면 패널(25)의 하방에는, 운전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397)가 배치되고, 후방부 상하 풍향판(292)의 측방에 별도의 부재의 리모트 컨트롤러(5)의 적외선 신호를 수수(授受)하는 송수신부(396)가 배치되어 있다.
가동 패널(251)은, 전방면 패널(25)의 일부를 구성하고, 전방면 패널(25)의 하부에 설치한 회전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공기 조화기의 운전시에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를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운전시에는 공기 흡입부(270)에 더하여, 공기 흡입부(270')로부터도 실내기(2) 내에 실내 공기가 흡인된다.
장식 프레임(23)의 하면에 형성되는 공기 분출구(29)는, 전방면 패널(25)의 하방에 배치되고, 안쪽의 분출 풍로(290)에 연통하고 있다.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과 후방부 상하 풍향판(292)은, 폐쇄 상태로, 분출 풍로(290)를 거의 은폐하여 실내기(2)의 전방면 하부와 저면을 구성한다. 이들의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 후방부 상하 풍향판(292)은, 양단부에 설치한 회전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리모트 컨트롤러(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구동 모터에 의해 공기 조화기의 운전시에 소요의 각도 회전하여 공기 분출구(29)를 개방하고, 그 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분출 풍로(290)의 하류에 상방으로 확대하는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가 설치되어 있고, 운전 정지시 등,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폐쇄하였을 때에 보조 풍향판(291d)을 수납하고 있다.
실내기(2)는,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10)를 구비하고, 이 제어부(10)에 마이크로컴퓨터가 설치된다. 이 마이크로컴퓨터는, 실내 온도 센서, 실내 습도 센서, 소리 센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 복사 센서 등의 각종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받는 동시에, 리모트 컨트롤러(5)와의 적외선 신호를 송수신부(396)를 통하여 수수한다. 이 마이크로컴퓨터는, 이들의 신호에 기초하여, 송풍기 횡류 팬(311), 가동 패널 구동 모터, 상하 풍향판 구동 모터, 좌우 풍향판 구동 모터 등을 제어하는 동시에, 실외기(6)와의 통신을 담당하고, 실내기(2)를 통괄하여 제어한다.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정지시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패널(251)은 전방측 공기 흡입부(230')를 폐쇄하도록, 또한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 후방부 상하 풍향판(292)은 공기 분출구(29)를 폐쇄하도록 제어된다. 좌우 풍향판(295)은, 하단부에 설치한 회전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리모트 컨트롤러(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회전되어 그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서, 분출 공기가 좌우의 원하는 방향으로 분출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5)로부터 지시함으로써, 공기 조화기의 운전 중에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 후방부 상하 풍향판(292), 좌우 풍향판(295)을 주기적으로 요동시켜, 실내의 광범위하게 주기적으로 분출 공기를 보낼 수도 있다.
드레인 팬(35)은, 실내 열교환기(33)의 전후 양측의 하단부 하방에 배치되고, 냉방 운전시나 제습 운전시에 실내 열교환기(33)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받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받아서 모아진 응축수는 드레인 배관(37)을 통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그리고,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공기 흡입부(270')와, 공기 분출구(29)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장식면(24)을 가리도록,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내부 장식면(24)의 전방에 배치하고 있다.
부호 17은 초전형 적외선 센서이고, 부호 18은 서모 파일을 사용한 복사 센서이고, 부호 19는 마이크로폰 등을 사용한 소리 센서이고, 어느 것이나, 공기 분출구(29)의 상방의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안쪽의 내부 장식면(24)의 배면부에 탑재되어 있다.
분출 풍로(290)의 하류에 분출 풍로 상벽(290a)으로부터 이어서, 상방으로 확대하는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를 설치함으로써, 매우 약한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을 행할 때에,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약간 상향으로 하고, 후방부 상하 풍향판(292)을 거의 폐쇄하는 자세로 하는 등 적절하게 회전시켜, 송풍기 횡류 팬(311)을 적절한 회전수로 운전하여, 매우 약한 바람을 이 부분에 흘림으로써, 분출 공기를 매우 약한 바람으로서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를 통과시키고, 부드럽게 실내에 확산시켜, 미약한 냉방 또는 난방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를 이용하여, 분출한 바람을 즉시, 공기 흡입부(270')로부터 흡입시키는 숏 서킷 운전을 행함으로써, 열교환기의 건조 운전이나 공기 조화기 내부의 탈취 운전 등의 공기 조화기의 메인터넌스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공기 조화기를 정지하였을 때에, 보조 풍향판(291d)이나 아암(291e)이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에 수납되고, 여분의 요철이 없는 말끔한 디자인으로 할 수 있어, 인테리어의 분위기를 흐트러뜨리는 일은 없다.
다음에, 소리 센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 복사 센서의 배치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소리 센서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실내기의 운전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실내기의 운전시의 저면도이다. 도 6은 실내기의 난방 운전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실내기의 냉방 운전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실내기의 소리 센서 장착부의 사시도이다.
소리 센서의 장착 위치를 도 4의 AA로 나타내고, 그 AA 단면을 도 6에서 도시한다. 도 4는 난방 운전시를 도시한다.
소리 센서(19)는 도 4 내지 도 6,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은 공기 분출구(29)의 내측에 위치하고, 바람직하게는 공기 분출구(29)의 대략 중심부, 상하 방향은 공기 흡입부(270')와 공기 분출구(29) 사이, 바람직하게는 분출 풍로 상벽(290a)의 최하단부(290c)보다 하류로부터 공기 흡입부(270')에 걸쳐서, 또한 바람직하게는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로부터 공기 흡입부(270')에 걸친 내부 장식면(24)의 배면부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배치한 소리 센서(19)에 대향하는 내부 장식면(24)에 연통 구멍(24b)을 형성하고, 실내의 소리를 효율적으로 소리 센서(19)에 전달한다. 이로 인해, 소리 센서(19)는 내부 장식면(24)에 가려져, 실내로부터 보이지 않고, 실내로부터 보이는 것은 내부 장식면(24)에 개방된 작은 연통 구멍(24b)만으로 되어, 실내의 분위기를 흐트러뜨리는 일은 없다.
또한, 소리 센서(19)에는 실내의 소리 외에, 공기 조화기 자신의 운전음이 수음된다.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는 실내의 상황을 소리로 파악하려고 할 때에는 노이즈로서 작용하므로, 가능한 한 소리 센서(19)에 수음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는 송풍기 횡류 팬(311)에 의한 기류음이 대부분이며, 송풍기 횡류 팬(311), 흡입 기류, 분출 기류로부터 가능한 한 이격시킴으로써 그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소리 센서(19)에 도달하는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를 가능한 한 작게 하기 위해, 송풍기 횡류 팬(311)으로부터 가능한 한 이격하고, 분출 기류의 흐트러짐의 영향을 작게 하기 위해, 유속이 늦어지는 분출 풍로 상벽(290a)의 최하단부(290c)보다 하류의 위치에, 소리 센서(19)에 실내의 소리를 전달하는 연통 구멍(24b)을 구멍 형성하였다.
또한, 분출 기류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재실자가 있는 영역의 소리를 수음하기 쉬운 소리 센서(19)로부터 앙각 30도 내지 40도의 범위에 연통 구멍(24b)이 오도록,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로부터 공기 흡입부(270')에 걸친 내부 장식면(24)에, 소리 센서(19)에 실내의 소리를 전달하는 연통 구멍(24b)을 구멍 형성하였다.
또한, 좌우 방향을 분출구의 대략 중앙으로 함으로써, 실내기(2)를 운전할 때의, 개방된 가동 패널(251)의 양단부로부터 흡입되는 흡입 기류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연통 구멍(24b)이 위치하고, 흡입 기류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필터(231, 231')에 먼지가 쌓이거나 하여, 기류의 통풍 저항이 커졌을 때에 일어나기 쉽고, 팬의 서징 현상이 일어났을 때에도, 서징 현상은 송풍기 횡류 팬(311)의 날개 단부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아, 공기 분출구(29)의 중앙부에 놓여진 소리 센서(19)에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연통 구멍(24b)은 내부 장식면(24)에 형성된 오목부(24a)의 저면에 구멍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4a)는 저면으로부터 전방면의 개구 단부를 향하여 전방으로 퍼지는 형상으로 확대되어 있고, 이로 인해, 넓은 개구 단부에 도달한 실내의 소리는, 좁은 저면을 향하여 진행하는 동안에 증폭되고, 연통 구멍(24b)에 도달하고, 소리 센서(19)에 수음된다. 이에 의해, 실내의 작은 소리도 포착할 수 있다.
다음에, 초전형 적외선 센서, 복사 센서에 대해서 도 3, 도 9,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실내기의 초전형 적외선 센서 장착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내기의 서모 파일 장착부의 사시도이다.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도 소리 센서(19)와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은 공기 분출구(29)의 내측에 위치하고, 바람직하게는 공기 분출구(29)의 중앙부, 상하 방향은 공기 흡입부(270')와 공기 분출구(29) 사이, 바람직하게는 분출 풍로 상벽(290a)의 최하단부(290c)보다 하류로부터 공기 흡입부(270')에 걸쳐서, 또한 바람직하게는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로부터 공기 흡입부(270')에 걸친 내부 장식면(24)의 배면부에 배치한다.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에는 프레넬 렌즈(17a)가 필수적이며, 도체가 커지므로, 이것을 실내로부터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해 작은 개구를 빈 장식면으로 덮도록 해도, 무리이다. 이로 인해,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앞에 적외선 투과 재료로 만든 초전력 바(17b)를 장착하고, 내부 장식면(24)의 해당 부분에 초전 개구(24c)를 설치하여, 색채, 형상을 맞춰서 마치 일체인 것과 같이 구성하여, 실내로부터 눈에 띄지 않게 한다.
또한, 적외선 센서의 일종인 복사 센서(18)도 소리 센서(19)와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은 공기 분출구(29)의 내측에 위치하고, 바람직하게는 공기 분출구(29)의 대략 중심부, 상하 방향은 공기 흡입부(270')와 공기 분출구(29) 사이, 바람직하게는 분출 풍로 상벽(290a)의 최하단부(290c)보다 하류로부터 공기 흡입부(270')에 걸쳐서, 또한 바람직하게는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로부터 공기 흡입부(270')에 걸친 내부 장식면(24)의 배면부에 배치한다.
내부 장식면(24)의 복사 센서(18)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소리 센서(19)와 마찬가지로, 전방 확대의 오목부(24a)를 형성하고, 그 저부에 작은 복사 개구(24d)를 복사 센서(18)의 형상에 따라서 구멍 형성하고, 실내의 바닥면, 또는 벽면의 온도를 검출한다.
다음에, 이들 3개의 센서를 정리한 센서 모듈에 대해서 도 8 내지 도 1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실내기의 센서 모듈의 사시도이다.
상술한 소리 센서(19),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를 도 11과 같이 하나의 케이스에 콤팩트하게 정리하여, 기능의 향상과 비용의 저감을 도모한다. 각 센서를 인쇄 배선을 실시한 공통의 기판에 탑재하고, 전원의 배치 등의 배선을 간략화하고, 또한 취급을 쉽게 하여, 제조 비용을 저감한다.
또한, 소리 센서(19),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를 좁은 범위에 정리하였으므로, 각 센서의 검지 영역이 거의 동일하게 되어, 검지 영역의 상황을, 성질이 다른 센서에 의해 거의 동시에, 다면적으로 검출하여 분석함으로써, 검지 영역의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공기 조화기의 에너지 절약 운전, 쾌적 운전, 자동 운전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다음에, 필터의 청소기에 대해서 도 12,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실내기의 상면도이다. 도 13은 실내기의 필터 청소 기구부 사시도, (b)는 브러시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청소 기구(230)는 필터(231, 231') 상을 브러시(267, 267')로 쓸어내는 스위프 기구(233)와 쓸어 한쪽으로 모아진 진애를 수납하는 집진부(280, 280')로 이루어지고, 실시예에서는 실내 열교환기(33)의 상류의 공기 흡입부(270)와 공기 흡입부(270')에 면한 직교하는 면에, 평면 형상의 필터(231, 231')를 설치한다. 필터(231, 231')는 안내 프레임(234)에 걸림 장착되고, 안내 프레임(234)은 상측 후방부와 전방측 하부에 레일(235, 235')을, 필터(231, 231')의 교차부에 추진축(243)을 구비한다.
여기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이 상측 필터(231)용과, 전방측 필터(231')용에 있는 경우는, 전방측 필터(231')용의 부분에 상측 필터(231)용의 부분의 부호에 「'」를 붙여서 구별한다.
추진축(243)은 다각형 단면을 갖고, 안내 프레임(234)에 설치한 베어링(245)에 축 지지되고, 한쪽측의 베어링(245)을 관통한 일단부에 장착한 기어를 통하여, 안내 프레임(234)에 고정한 이동용 모터(242)에 연결된다. 추진축(243)에는 스크류(244), 캐리지(261)가 헐겁게 장착되고, 스크류(244)는 안내 프레임(234)에 설치된, 추진축(243)과 평행한 랙(237)에 맞물려 있다.
캐리지(261)와 레일(235, 235') 사이에는 브러시 지지 프레임(262, 262')이 각각 필터(231, 231')를 가로질러 걸쳐지고, 브러시 지지 프레임(262, 262')에는 필터(231, 231')를 쓸어내어 청소하는 브러시(267, 267')가 장착되어 있다.
그렇게 하여, 이동용 모터(242)를 회전시킴으로써, 추진축(243), 스크류(244)가 회전하고, 랙(237)를 따라서, 스크류(244)가 이동용 모터(242)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움직여, 캐리지(261)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브러시(267, 267')가 필터(231, 231')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쓸어내도록 이동하고, 필터(231, 231') 상의 진애를 브러시(267, 267')로 제거하고, 안내 프레임(234)의 좌측부의 집진부(280, 280')로 이동시킨다.
집진부(280, 280')는 브러시(267, 267')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여 수납한다. 또한, 브러시(267, 267')를 깨끗하게 하여, 다음의 청소에 대비하기 위한 브러시(267, 267')의 청소부이기도 하다.
다음에, 청소 기구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도 1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청소 기구의 포집 진애의 제거 동작 설명도이다.
필터(231, 231')의 우측에는 청소 동작이 행해져 있지 않을 때에 브러시(267, 267')가 대기하는 대기부가 있다.
이것이 청소 동작할 때에는, 대기부에 도 14의 A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하고 있었던 브러시(267, 267')를, 스위프 기구(233)를 운전하여, 필터(231, 231')를 스위프하도록 도 14의 C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시킨다. 이때, 브러시(267, 267')의 털끝은 오목부A의 개방 상태로부터 경사를 통과하여 조금 돌출되어 있는 필터(231, 231')면에 서서히 털끝을 굽힘 변형시키면서 타고 올라, 필터(231, 231')와 확실히 미끄럼 접촉한다.
브러시(267, 267')는 집진부(280)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필터(231, 231')를 스위프하고, 진애(236)를 제거한다. 필터(231, 231')의 스위프를 종료한 브러시(267, 267')는 제거한 진애(236)와 함께, 도 14의 D부를 통과하여, 집진부(280, 280')에 이르고, 진애(236)가 제거되고, 제거된 진애(236)는 집진부(280, 280') 내에 수납되어, 브러시(267, 267')는 깨끗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필터(231, 231')의 청소 기구(230)를 탑재함으로써, 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의 누계 운전 시간에 따라서 청소 기구(230)를 자동 운전하고 필터(231, 231')를 청소하여, 필터(231, 231')에 먼지가 지나치게 쌓이지 않도록 할 수 있어, 필터(231, 231')에 먼지가 지나치게 쌓일 때에 일어나는 송풍기 횡류 팬(311)의 서징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는, 소리 센서를 갖고, 상기 소리 센서와 실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연통 구멍의 위치를 횡류 팬의 축 방향에는 분출구의 양단부보다 내측이고, 분출 풍로 상벽의 최하단부와 흡입구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흡입구에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의 자동 청소 장치를 설치한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가 발하는 소리에는, 기류나 냉매류에 기인하는 것이나 각종 액추에이터의 구동음 등이 있지만, 최근 정음화가 진행되고, 냉매류에 기인하는 것이나 각종 액추에이터의 구동음 등은 대폭으로 저감되고 있다. 기류에 기인하는 소리도 저감되고 있지만, 기류에 기인하는 소리는, 기류에 노출된 부재의 진동이나 기류 자체의 난류 소용돌이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며, 이들을 봉입하는 것은 곤란하다.
최근, 공기 조화기의 조작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센서를 탑재하고, 실내의 상황을 파악하여, 공기 조화기의 운전 상태를 그들의 상황에 적합하도록 자동적으로 변경하는 제품이 드러나고 있다.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실내의 소리를 검출하는 소리 센서를 분출구의 주연의 위치에 실내를 향하여 설치하므로, 실내의 소리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분출구를 피하여, 그 주연에 배치하므로, 기류에 기인하는 소리, 기류를 타고 옮겨져 오는 소리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져, 실내의 소리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필터의 자동 청소 장치를 설치하여, 필터에 진애가 지나치게 쌓이지 않도록 하므로, 필터에 진애가 지나치게 쌓임으로써 일어나기 쉬워지는 서징 현상이 일어나기 어렵고, 정음 운전이 계속되어, 실내의 소리를 지장없이 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송풍음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 실내의 소리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고, 또한 횡류 팬의 서징이 발생하기 어려우므로, 실내 소리의 검출이 우수하고, 재실자의 활동을 실내의 소리에 의해서 추정하여 운전 제어를 행하는 용도에 적합한 구성으로 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는, 상기 소리 센서와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이 동일한 기판, 센서 베이스, 또는 케이스에 탑재, 장착, 또는 수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센서와 제어부를 연결시키는 배선이 단순화되어, 비용이 저감된다. 또한, 각 센서가 공기 조화기의 거의 동일 개소에 배치되므로, 각 센서의 검지하는 영역이 거의 동일하게 되어, 이 거의 동일한 검지 영역의 정보를 각 센서가 그 특성에 따라서 거의 동시에 검출하므로, 검지 영역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자원 절약에 적합하여, 비용이 저감되고, 검지 영역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적절하게 실내를 공기 조화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는, 상기 소리 센서와 상기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이 상기 횡류 팬 축 방향의 상기 분출구 중심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재실자가 평소 있는 범위를 효율적으로 공기 조화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위치는, 공기 조화기로부터 분출하는 공기가 방해를 하지 않고 재실자가 평소 있는 범위를 적절하게 순환하는 위치이며, 예를 들어, 방 벽의 중심부 등으로 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위치는, 또한 재실자가 평소 있는 범위를 자주 바라볼 수 있는 위치로 되어, 재실자가 평소 있는 범위의 정보를 완전하게 모으는 데 적합하는 경우가 많다.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분출구의 중심부에 가까운 위치에 상기 동일한 기판에 탑재된 각 센서(이하 센서군이라고 함)가 배치되므로, 재실자가 평소 있는 범위의 정보를 각 센서의 특성에 따라서 검출할 수 있어, 실내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모을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를 벽이 교차하는 코너부에 설치한 경우, 인접한 벽에서 반사하는 소리나 적외선의 영향으로 각 센서의 검출 정밀도가 열화되는 것이 생각되지만, 인접한 벽으로부터 센서군까지의 거리를, 적어도 공기 조화기의 분출구의 긴 변 치수의 약 절반 이상의 거리는 확보할 수 있으므로, 센서군의 검출 정밀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고, 방의 코너부에 설치하였을 때의 반향, 반사 등에 의한 악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센서군을 분출구의 짧은 변 부근에 배치한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반향, 반사의 영향을 보상하기 위해 다른 센서를 추가하거나, 공기 조화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센서를 조정하거나 할 필요성이 발생하지만, 센서군을 분출구의 중심부 근처에 배치함으로써, 이들의 추가 센서나 센서의 조정이 불필요해져,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서징 현상이 예상치 않게 발생한 경우라도, 서징 현상은, 횡류 팬의 날개 단부 부분으로부터 시작되므로, 서징이 일어나 있는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분출구의 중심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소리 센서에 미치는 영향은 작다.
이로 인해, 적은 수의 센서에 의해 실내의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하여, 적절하게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는, 상기 소리 센서와 상기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의 중심부 사이의 상호 거리의 최대값을, 상기 횡류 팬의 축 방향을 X 좌표축으로 하는 3차원의 직각 좌표로 나타내었을 때에, X 좌표의 값이 다른 좌표축의 값보다도 크다.
이에 의해, 소리 센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 서모 파일이 횡류 팬의 축 방향으로 긴 배열로 되고, 분출구와 흡입구 사이의 가늘고 긴 스페이스에, 무리하지 않고 수납된다.
이로 인해, 빈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서 하우징의 대형화가 억제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구조에 대해서 도 15 내지 도 1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실내기의 전방부 상하 풍향판을 폐쇄하였을 때의 소리 센서 장착부 단면도이다. 도 16은 전방부 상하 풍향판의 상세도이다. 도 17은 전방부 상하 풍향판을 개방하였을 때의 센서 장착부 정면도이다. 도 18은 전방부 상하 풍향판을 폐쇄하였을 때의 센서 장착부 정면도이다.
도 16에 있어서, 이 실시예에 관한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투명 부재(291a)와, 이 투명 부재(291a)의 투영 면적 내에 들어가는 크기를 구비한 불투명 부재(291b)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선단부측에 투명 부재(291a)를 크게 돌출하여 형성하였다.
즉, 이 실시예의 불투명 부재(291b)는, 깊이 치수 d3을 구비한 얇은 판 형상의 베이스부(291c)의 양측과 중앙에, 깊이 방향의 한쪽의 단부측에 경사지면서 신장되는 아암(291e)을 형성하고, 그 아암(291e)의 단부에 베어링(291f)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각 아암(291e)의 사이에는 베이스부(291c)와 배열하여 배치되는 보조 풍향판(291d)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투명 부재(291a)는, 깊이 치수 d1을 구비한 투명한 얇은 부재이다. 이 투명 부재(291a)는, 아암(291e)측의 단부를 거의 일치시켜, 다른 단부측에 깊이 치수 d5만큼 불투명 부재(291b)의 단부보다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투명 부재(291a)는, 불투명 부재(291b)와 접촉하는 이면의 범위에 이면 인쇄를 실시하고 있다.
즉, 투명 부재(291a)는, 이면측을 깊이 방향에 대하여 2 분할하여, 회전축측으로 되는 아암(291e)측에 이면 인쇄를 실시하고, 베어링(291f)에 대하여 선단측으로 되는 타단부측을 투명하게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디자인적으로 불필요한 불투명 부재(291b)를 보이지 않게 하는 한편,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선단부를 투명하게 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성을 향상시키면서,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동작에 수반하는 압박감을 경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부재의 불투명 처리부가, 풍향판을 지지하는 축부 등을 보이지 않도록 덮을 수 있고, 또한 인체 검지 센서, 마이크 등의 부가 기능부를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즉,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의 정지 상태에 있어서, 공기 흡입부(270')의 전방부를 덮는 가동 패널(251)의 하단부에 인접하여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수납 상태에서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선단부가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투명부를 통하여, 내부 장식면(24)을 이용자에게 시인(視認)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운전 상태이어도 운전 정지 상태이어도 이용자로부터 시인할 수 있는 내부 장식면(24)에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내부 표시부(22)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의 정지 상태에 있어서,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선단부에 투명 부재(291a)를 통하여 시인 가능한 내부 장식면(24)에 띠 형상의 내부 표시부(22)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동작에 좌우되지 않고 시인 가능한 내부 표시부(22)에 표시나 각종 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내부 표시부(22)에 운전 상태를, 횡방향으로 일렬로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운전시에 동작시키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와 소리 센서(19)와 복사 센서(18)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으로 은폐되는 내부 장식면(24)의 이면측에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소리 센서(19), 복사 센서(18),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를 내부 장식면(24)의 이면측에 배치하고, 그 전방에,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폐쇄하였을 때의 불투명 부재(291b)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폐쇄하였을 때에는, 도 17과 같이, 소리 센서(19), 복사 센서(18),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의 개구부가 실내로부터 보이지 않게 되어, 말끔한 외관으로 된다.
또한, 난방 운전시에 실내 열교환기(33)의 온도가 낮아 송풍기 횡류 팬(311)의 운전을 보류하고 있을 때에는 여열 표시가 필요하게 되지만, 이때,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폐쇄하고 있어도, 여열 표시 등은 도 17과 같이,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상부의 투명 부재(291a)의 상부, 표시창(22b), 표시 개구(22a)를 통하여 센서 모듈(16)의 표시등(397a)을 시인할 수 있으므로, 표시 기능이 유지되어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 운전시는 도 18과 같이, 소리 센서(19), 복사 센서(18),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와 실내의 거주 공간을 차단하였던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개방하여, 각 센서의 기능을 발휘시키는 동시에, 풍향을 제어한다.
이때, 내부 표시부(22)가 노출되어, 센서 모듈(16)의 표시등(397a)을 시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는, 상기 소리 센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을 보이기 어렵게 하는 차폐 부재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공기 조화기를 정지하였을 때에, 차폐 부재로 소리 센서 또는 상기 적외선 센서를 가려, 여분의 요철이 없는 말끔한 디자인으로 할 수 있어, 인테리어의 분위기를 흐트러뜨리는 일은 없다.
이로 인해, 비사용시에, 인테리어의 분위기를 흐트러뜨리지 않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는, 상기 횡류 팬의 축 및 상기 분출구의 길이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차폐 부재가 상하 풍향판과 연동하여 이동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을 가정용의 공기 조화기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벽걸이형의 실내기에 채용할 수 있어, 그 효과를 광범위한 공기 조화기에 미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하 풍향판과 연동시킴으로써, 소리 센서,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지 않는 운전 정지시 등에는 도 2와 같이, 전방부 상하 풍향판, 후방부 상하 풍향판, 가동 패널은 제어 장치에 의해 공기 분출구, 전방측 공기 흡입부를 폐쇄하도록 제어되므로, 전방부 상하 풍향판은 보조 풍향판 수납부의 전방의 위치에 회전하여 수납되고, 소리 센서, 적외선 센서, 풍로 보조 풍향판 수납부를 차폐하고, 후방부 상하 풍향판과 협동하여 분출구를 폐쇄한다.
이때, 전방부 상하 풍향판의 외측 풍향면은 매끄러운 곡률이 큰 곡면으로 하여 공기 조화기의 외형에 합치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방부 상하 풍향판, 후방부 상하 풍향판은 외면으로 되는 풍향면에서 공기 조화기의 전방면, 바닥면의 외형을 연속적으로 매끄럽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리 센서를 사용하지 않을 때, 불필요한 요철이 없고, 부드럽고 안정된 외관으로 되어, 실내의 분위기를 흐트러뜨리는 일은 없다.
이로 인해, 비사용시에, 인테리어의 분위기를 흐트러뜨리지 않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는, 상기 차폐 부재가 상하 풍향판의 일부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전방부 상하 풍향판을, 차폐 부재로서 사용함으로써, 전용의 차폐 기구, 차폐 부재 구동부가 불필요해져, 자원 절약이 이루어지고, 질량,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전용의 차폐 부재 구동 소프트가 불필요해져, 개발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자원 절약에 적합하여,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사용시에는 재실자의 위치에 따라서 공조한 기류를 보내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는, 상기 소리 센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의 비사용시에, 상기 소리 센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을 실내로부터 보이기 어렵게 한다.
이에 의해, 정지시 등의 소리 센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하 풍향판으로 분출구를 덮고, 소리 센서를 가려, 가능한 한 요철을 눈에 띄지 않게 하여, 벽과 동화된 디자인으로 하고, 또한 실내기 내에 진애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정지시 등의 소리 센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실내의 분위기에 동화된 저류로 되어, 인테리어의 분위기를 흐트러뜨리지 않고, 비사용시 외관이 우수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는, 상기 상하 풍향판이 후방부 상하 풍향판과 상기 차폐 부재로 되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부 상하 풍향판에 투명 부분과, 불투명 부분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가정용의 공기 조화기에는 에너지 절약 성능, 디자인성, 설치 스페이스 등을 감안하여 세퍼레이트 타입의 벽걸이형의 것이 채용되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 하우징을 가로로 길게 구성하고, 횡류 팬을 사용하여 가로로 긴 분출구로부터 실내에 공조 공기를 분출하는 형태가 다용되고 있다. 이때, 분출구는 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전방면 하부에 걸쳐서 설치되고, 공기 조화기의 비사용시에는, 이 분출구를 막아,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외형에 융화되도록 상하 풍향판으로 덮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이 경우, 전방면 하부의 부분을 하우징에 친숙하게 되도록 덮고 있었던 풍향판을 운전 모드에 대응한 소정의 각도로 개방하면, 그 선단 부분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에게 압박감을 갖게 할 수 있다.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전방면 하부의 부분을 하우징에 친숙하게 되도록 덮고 있었던 전방부 상하 풍향판을 개방하였을 때에, 풍향을 양호하게 편향시킨다. 그러나, 그 선단 부분이 전방으로 돌출되어도, 그 선단 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들여다 보여서, 압박감이 완화된다.
이로 인해, 전방부 상하 풍향판의 가동시의 압박감을 경감하면서, 양호하게 풍향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는, 운전 정지시에, 상기 불투명 부분에서 상기 소리 센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을 보이기 어렵게 하여, 상기 투명 부분으로 내부 표시부를 덮는다.
이에 의해, 공기 조화기를 정지하였을 때에, 차폐 부재로 되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의 불투명 부분에서 소리 센서 또는 상기 적외선 센서를 가리므로, 여분의 요철이 없는 말끔한 디자인으로 할 수 있어, 인테리어의 분위기를 흐트러뜨리는 일은 없다.
또한, 내부 표시부는 투명 부분으로 덮여지지만, 운전 정지시에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이 하우징에 융화되도록 수직으로 가까운 각도까지 상승하므로, 벽걸이형의 공기 조화기와 같이 아래로부터 올려다 보았을 때에는, 센서 모듈의 표시등이 점등되어 있지 않는 한, 투명 부분의 표면에서의 반사가 강하게 영향되어 그 배면부의 내부 표시부가 보이지 않게 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말끔한 디자인으로 할 수 있어, 인테리어의 분위기를 흐트러뜨리는 일은 없다.
또한, 전방부 상하 풍향판을 폐쇄한 상태에서도, 센서 모듈의 표시등이 점등되면, 운전 표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난방의 운전 개시시 등 냉풍을 방지하기 위해, 열교환기의 온도가 오를 때까지는 풍향판을 폐쇄한 상태로, 팬이나 운전하지 않는 예열 운전 중과 같은 때에도 운전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비사용시에, 인테리어의 분위기를 흐트러뜨리지 않고, 또한 풍향판이 폐쇄되어 있을 때에서도 운전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초전형 적외선 센서와 소리 센서를 조합하여 재실자의 활동량을 세분화하여 검지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19 내지 도 2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활동 내용과 활동량의 관계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를 쾌적한 환경으로 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지구 환경에의 배려도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르기 위해, 초전형의 적외선 센서와 소리 센서를 조합하여, 재실자의 활동을 세분화하여 파악하고, 재실자의 쾌적성을 배려하면서, 세밀하게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고, 에너지 절약 운전을 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종래부터 초전형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여 재실자의 활동량을 검출하여, 활동량이 클 때는 실온을 낮게 조절하고, 활동량이 작을 때에는 실온을 높게 조절하는 것은 실용화되어 왔다. 그러나, 초전형 적외선 센서만을 사용하여 재실자의 활동량을 다단계로 나누는 것은 검출 오차나 센서를 향하는 방향의 움직임에 대해 센서의 감도가 둔해지는 것 등으로부터, 센서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 곤란하여, 비용이 상승된다.
사람의 활동량을 나타내는 단위로서 MET가 사용되고, 활동의 내용과 그 대략의 수치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도면의 좌측에 초전형 적외선 센서만을 사용하였을 때의 활동량의 구분을 예로 들어 기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초전형 적외선 센서를 1개만 사용한 경우, 활동량의 구분은 고작 대, 중, 소의 3구분이며, 이 이상 세분화하려고 해도,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정밀도가 부족하게 되었다.
도면의 우측에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활동량을 구분한 경우의 예를 기재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이 활동량을 세분하여 구분할 수 있으므로, 재실자의 활동량에 적합한 공조로 쾌적성을 배려하여, 에너지 절약 운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제어의 개요에 대해서 도 2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실내기의 제어부 블록도이다.
도 20에 있어서, 공기 조화기는 내부에 제어부(10)를 구비하고, 각종 센서로부터의 정보나, 리모트 컨트롤러(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실내기(2), 실외기(6)를 제어한다. 실내(900)로부터의 정보는 실온 센서(11), 습도 센서(12), 복사 센서(18), 리모트 컨트롤러 주위 온도 센서(13), 리모트 컨트롤러 위치 센서(14),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소리 센서(19) 등에 의해 제어부(10)의 내부의 마이크로컴퓨터(도시 생략)에 도입되고, 각종 연산 결과를 따라서, 공기 조화기를 제어한다.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소리 센서(19)의 정보로부터 활동량 판정부(45)는 재실자의 활동량을 도 19의 우측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다단계로 구분하여 온도 시프트값 설정부(46)에 전달한다. 온도 시프트값 설정부(46)는, 활동량 판정부(45)로부터의 활동량 정보 외에, 상술한 각종 센서나 제어부(10)의 내부에 구비된 캘린더 정보(15)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온도 시프트값을 연산하고, 목표 실온 설정부(47)에 전달한다.
목표 실온 설정부(47)는 온도 시프트값 설정부(46)로부터의 온도 시프트값 정보와 실온 설정부(48)로부터의 설정 실온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 실온을 연산하고, 공조 능력 제어부(55)에 전달한다.
공조 능력 제어부(55)는 목표 실온 설정부(47)로부터의 목표 실온이나 실온 센서(11)로부터의 흡입 공기 온도 정보 등으로부터 압축기 회전수 설정부(56), 실내 송풍기 회전수 설정부(57), 실외 송풍기 회전수 설정부(58)에서 압축기 회전수, 실내 송풍기 회전수, 실외 송풍기 회전수를 설정하고, 압축기(65), 송풍기 횡류 팬(311), 실외 송풍기(66)를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온도 조절은 공기 조화기의 분출 공기가 실내를 순환하여 되돌아와, 공기 조화기에 흡입되는 흡입 공기의 온도를 실온 센서(11)에 의해 검출하고, 흡입 공기 온도가 목표 온도로 되도록, 압축기(65)의 회전수, 송풍기(66), 송풍기 횡류 팬(311)의 회전수를 바꾸어, 냉방, 난방 능력을 변화시켜, 공기 조화기의 분출 공기의 온도를 바꿈으로써 행해진다.
이때, 공기 조화기의 난방 능력, 냉방 능력의 제어는 공기 조화기의 흡입 공기 온도와 설정 온도에 따라서 행해지지만, 실내의 높은 곳에 설치된 공기 조화기의 흡입 공기 온도는 사용자가 있는 실내의 바닥으로부터 얼굴의 높이 위치까지의 거주 공간의 온도보다 높게 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이 온도차를 보정하기 위해, 설정 온도에 소정의 값(온도 시프트값)을 가중시킨 가중 설정 온도를 목표 온도로 하여, 흡입 공기 온도가, 가중 설정 온도에 근접하도록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고 있다. 소정의 값으로서는 공기 조화기의 구조나 난방, 냉방 등의 운전 모드에 의해 상이하지만 -1 내지 5도 정도의 값이 사용되고 있다.
다음에, 소리 센서와 초전형 적외선 센서로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실내 소리의 예에 대해서 도 21, 도 22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21은 실내음의 주파수 분석예 1, (a)는 공기 조화기 소리의 주파수 분석예, (b)는 청소기 소리의 주파수 분석예이다. 도 22는 실내음의 주파수 분석예 2, (a)는 육성의 주파수 분석예, (b)는 텔레비전 소리의 강의 주파수 분석예이다.
사람의 온열 감각은 온도, 습도, 기류, 복사, 착의량 및 활동량의 영향을 받는 것이 알려져 있다. 현대의 공기 조화기의 대부분은 실내의 온도만(일부의 고급 기종에서는 온도와 습도)을 제어하여 쾌적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실내에 있는 사람의 행동이 바뀌면 다른 조건이 동일해도 그 사람의 온열 감각은 바뀌고, 쾌적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온도(및 습도) 등을 그 사람의 행동에 따라서 바꾸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온다.
이와 같은, 요구에 대응하도록, 공기 조화기에 인체 검지 기능을 구비하고, 재실자의 활동량에 따라서 실온을 상하시켜, 재실자의 쾌적성의 유지를 도모하는 것도 나타나 있다.
그러나, 비용적인 제약이 엄격한 가정 전화 제품에서는 인체 검지 기능에 가할 수 있는 비용은 크지 않아, 필연적으로 비용을 억제한, 검지 정밀도가 보다 높은 방법이 모색되어 있다.
가정용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인체 검지 기능으로서 초전형의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여, 재실자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방법이 채용되어 있다.
초전형의 적외선 센서란, 유전율이 큰 결정체나 수지가 온도 변화에 의해서 전하를 발생하는 초전 효과를 이용한 센서이며, 사람으로부터 발하는 적외선을 비접촉으로 검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초전형 적외선 센서 앞에 프레넬 렌즈를 설치하고, 적외선을 단속시켜서 센서에 입력함으로써, 사람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다.
따라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만으로 인체 검지를 행한 경우는, 재실자에게 움직임이 발생하면 센서의 출력이 변화되고, 재실자가 움직인 것을 검지 가능하며, 재실자에게 움직임이 없는 경우, 센서의 출력이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재실자에게 움직임이 없는 것을 검지 가능하다.
그러나, 재실자의 움직임의 유무만으로는, 재실자가 어느 정도의 활동량인지는 판별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별하기 위해, 초전형 적외선 센서를 복수개 설치하고, 재실자가 크게 움직였을 때에는, 복수의 초전형 적외선 센서가 반응하고, 재실자의 움직임이 작을 때에는, 하나의 센서만이 반응함으로써, 재실자의 활동량의 대, 소를 판별한다고 하는 방법이 있었다.
이 방법에서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가 복수개 필요하며, 비용 상승의 요인으로 된다.
또한, 복수의 센서가 있어도 재실자의 움직임이 센서의 검지 가능한 움직임보다도 작은 경우나, 동일한 동작의 경우는, 활동량의 판별이 불가능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만으로 인체 검지를 행한 경우는, 활동량의 판별에 한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최근 채용되기 시작하고 있는 초전형의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여 재실자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동시에, 그때에 발생되고 있는 소리를 소리 센서로 검지한다.
재실자가 어떠한 움직임을 하면, 일반적으로는 그에 수반한 소리가 발생한다. 이것을, 공기 조화기가 설치된 실내의 다양한 정경을 예측해 둠으로써 적외선 센서의 검출 결과와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로부터, 재실자의 활동량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공기 조화기를 운전하고 있는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리에는 다양한 것이 있지만, 우선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 재실자끼리가 대화하고 있는 소리, 재실자가 데스크 워크나 재봉, 가벼운 정돈 등으로 움직이는 것에 수반하는 소리, 재실자가 청소기, 조리기, 이미용품 등의 기기를 조작함으로써 발생하는 소리, 재실자가 텔레비전, 라디오, 오디오 기기를 즐기고 있을 때의 음성, 음악, 효과음 등이나 시계, 관상어수조의 펌프의 소리 등 사람이 없는 경우라도 나는 소리 등이 있다.
이들의 소리는 재실자의 활동에 수반하는 소리와 재실자의 활동에 관계가 없는 소리로 나눌 수 있다. 재실자의 활동에 관계가 없는 소리에는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 텔레비전, 라디오, 오디오 기기의 음성, 음악, 효과음, 시계, 관상어수조의 펌프의 소리 등이 있다. 재실자의 활동에 수반하는 소리에는 대화, 데스크 워크, 재봉, 가벼운 정돈, 청소기, 조리기, 이미용품 등의 소리가 있다.
우선, 재실자의 활동에 관계가 없는 소리로서 예로 든 소리 중에서, 시계, 관상어수조의 펌프의 소리 등 사람이 없는 경우라도 나는 소리는 공기 조화기를 설치한 방의 환경음이라고도 하는 소리이고, 이에 공기 조화기 자신의 운전음과 추가한 것을 다른 소리와 구별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재실자의 활동에 관계가 없는 소리로서 예로 든 텔레비전, 라디오, 오디오 기기의 음성, 음악, 효과음도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와는 다른 재실자의 활동에 관계가 없는 소리로서 다른 소리와 구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재실자의 활동에 수반하는 소리 중의 청소기를 사용할 때 등의 중(重)가사용 기기군을 사용하는 경우는 재실자도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으므로, 적정한 공기 조화를 할 필요상으로부터 다른 소리와 구별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재실자의 활동에 수반하는 소리 중의 대화는 소리 센서를 사용하여 재실자의 활동량을 세밀하게 구분할 필요가 되는 것으로, 대화의 목소리가 작으면 조용히 휴양하고 있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고, 대화의 목소리가 크고, 도중에 끊이지 않고 계속되게 되면, 그 사람의 활동량도 증가된다고 하는 일반적인 경향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다른 소리와 구별하여 파악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재실자의 활동에 수반하는 소리 중에서 조리 기기, 이미용 기기, 데스크 워크용 기기 등의 경(輕)가사용 기기군을 사용하는 경우는 재실자도 가볍게 움직임이면서 사용하게 되므로, 중가사용 기기군을 사용하는 경우나, 조용한 목소리로 대화하면서 휴양하고 있을 때와는 구별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판별해야 할 음원의 종류는 공기 조화기 자신, 텔레비전 등의 방송 수신 기기군, 청소기 등의 중가사용 기기군, 조리 기기 등의 경가사용 기기군 및 재실자끼리의 대화로 된다. 이들에 판별할 수 없는 음원은 중간적인 움직임과 소리를 갖고 있으므로 경가사용 기기군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한다.
이들의 음원의 종류와 도 19의 활동량 MET의 값의 관계를 보면, 텔레비전ㆍ음악 감상…1.0MET, 실내 청소…3.0METs, 조리…2.0METs, 대화ㆍ전화에 대해서는 도 19에 기재는 없지만 다른 자료로부터 1.0 내지 1.8METs로 되고, 공기 조화기 자신은 재실자의 활동량에 변화를 부여하지 않으므로, 음원의 종류에 의한 재실자의 활동량의 대소는 중가사용 기기군≥경가사용 기기군≥대화≥방송 수신 기기군≥공기 조화기 자신의 순서로 된다.
일반 가정의 실내로부터의 재실자의 행동 양식은 천차만별이므로 이들을 하나한 예측하는 것은 곤란하지만, 재실자의 행동과 그때의 실내의 소리를 다음의 2 패턴으로 나눈다.
1 : 재실자가 활동하고 있어서, 활동에 수반하는 소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는 체내 발열의 변화가 커진다. 이하, 이 활동에 수반하는 소리를 발하는 음원의 종류를 온감 변동 대(大) 음원이라고 한다.
2 : 재실자의 활동은 있지만, 활동에 수반하는 소리가 거의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체내 발열은 변화가 작다. 이하, 이 활동에 수반하지 않는 소리를 발하는 음원의 종류를 온감 변동 소(小) 음원이라고 한다.
실내의 소리가 온감 변동 소 음원에 의한 것인 경우는, 초전형의 적외선 센서의 검출 결과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고, 단계에 따라서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하여 공기 조화기를 제어한다. 또한, 실내의 소리가 온감 변동 대 음원에 의한 것인 경우는, 소리의 양이 크면, 활동이 활발하게 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온감 변동 소 음원의 경우에, 초전형의 적외선 센서의 검출 결과로부터 판정한 재실자의 활동량보다, 큰 활동량이라고 판정하여 공기 조화기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실내의 음원을 온감 변동 소 음원의 집단과 온감 변동 대 음원의 집단으로 나눔으로써, 재실자의 활동량을 보다 많은 구분으로 세분화할 수 있고, 보다 세밀한 제어로, 쾌적성을 고려하면서 절전의 효과를 들 수 있다.
온감 변동 소 음원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 자신이나 텔레비전, 라디오 등의 방송 수신 기기군의 집단이 생각되고, 재실자의 움직임을 수반하는 온감 변동 대 음원으로서는, 재실자 자신이 서로 주고받는 대화 외에, 가사를 지원하는 청소기, 건강 촉진 기기나 쥬서, 믹서 등의 조리 기구, 드라이어, 면도기 등의 이용 기기 등의 집단이 생각된다. 이 경우, 공기 조화기 자신이나 대화는 단독의 음원이지만, 설명의 편의상, 공기 조화기 자신이나 대화도 군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한다.
이들의 온감 변동 대 음원의 집단은 대체로 내부에 전동기를 사용하고, 사용자의 힘, 속도 등을 지원한다. 이들 중에서도, 사용자의 힘을 필요로 하는 청소기, 건강 촉진 기기 등의 중가사용 기기군은 사용자 자체도 큰 활동을 강요되고, 지속 시간도 비교적 길다. 중가사용 기기군 이외의, 사용자에게 큰 활동을 강요하지 않는 기기군과 전술한 음원의 군 이외의 것을 편의상, 경가사용 기기군이라고 말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공기 조화기 자신과 방송 수신 기기군을 온감 변동 소 음원의 집단으로 하고, 대화, 중가사용 기기군이나 경가사용 기기군을 온감 변동 대 음원의 집단으로 함으로써,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실내의 음원의 군을 판정하고, 판정한 음원의 군에 따라서, 음원을 온감 변동 소 음원의 집단과 온감 변동 대 음원의 집단으로 나눌 수 있어, 재실자의 활동량을 보다 많은 구분으로 세분화하고, 보다 세밀한 제어로, 쾌적성을 고려하면서 절전의 효과를 들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소리를 주파수에 의해서 복수의 주파수대로 구분하여, 각 주파수대에서 소리의 크기, 연속성, 불규칙성, 규칙성, 단속의 간격 등을 적절한 지표로 평가함으로써, 비교적 저렴하게, 간단한 방법으로 음원의 종류를 추정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재실자의 활동에 수반하는 소리의 예로 하여, 청소기의 소리와 사람의 목소리를 주파수 분석한 결과를 도 21의 (b), 도 22의 (a)에 도시한다. 도면으로부터 판단하는 바와 같이 청소기의 소리는 낮은 주파수의 소리로부터 높은 주파수의 소리까지 완전하게 포함하고, 사람의 목소리는 높고 주파수의 소리가 적어, 1㎑ 부근의 낮은 주파수의 소리가 다른 부분보다 우수하여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이 외에, 청소기의 소리는 연속해서 들려, 사람의 대화는 불규칙한 단속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재실자의 활동에 관계가 없는 소리를 예로 하여,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와 텔레비전의 목소리를 주파수 분석한 결과를 도 21의 (a), 도 22의 (b)에 도시한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는 낮은 주파수의 소리도 높은 주파수의 소리도 대체로 작고, 텔레비전의 목소리는 낮은 소리 외에 높은 주파수의 소리도 포함하고, 4㎑ 이상의 높은 주파수의 소리가 사람의 목소리보다 각별히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각 음원군의 특징을 비교하여, 판별을 시도한다. 재실자의 활동에 수반하는 소리가 없는 상태에서는, 사람이 없는 실내에서도 발생하고 있는 예를 들어, 벽시계의 소리, 관상어수조의 순환 펌프의 소리,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 등이 검지되어 있어서, 실내 소리의 크기는 최소로 된다. 이 경우, 낮은 주파수의 소리도, 높은 주파수의 소리도 낮은 레벨로 연속해서 검출되고, 또한 규칙적인 결과로 된다. 이에 의해, 실내의 소리를 소리 센서에 의해 검출한 결과가 소정의 레벨 미만이고, 규칙적으로 연속하는 경우는 음원의 군을 공기 조화기 자신이라고 판정한다.
계속해서, 재실자가 청소기를 사용하여 청소 중 등인 경우, 실내의 소리는 대화의 소리도 텔레비전의 소리도 들리지 않고 청소기만의 소리가 들리게 된다. 이 경우, 낮은 주파수의 소리도, 높은 주파수의 소리도 높은 레벨로 연속해서 검출되고, 또한 규칙적으로 레벨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결과로 된다. 이에 의해, 실내의 소리를 소리 센서에 의해 검출한 결과가 소정의 레벨 이상으로, 거의 동일한 레벨로 규칙적으로 연속하는 경우는 음원의 군을 중가사용 기기군이라고 판정한다.
다음에, 재실자가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등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나 재실자끼리 대화를 하고 있는 경우, 사람의 대화에는 불규칙성이 있고, 또한 낮은 주파수의 소리가 많고, 또한 긴 중단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으로부터, 상술한 공기 조화기 자신이나 중가사용 기기군의 소리와 구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음원이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등의 방송 수신 기기군의 것인지, 재실자끼리의 현실의 대화인지의 판별은 하기 어렵다. 그러나, 방송에서는 현실의 대화와 달리 장시간에, 침묵이 계속되는 일은 없으며, 또한 도중에 삽입되는 광고나 효과 음악 등으로 현실의 대화에는 등장하지 않는 높은 주파수의 소리가 들어가, 이들의 특징을 조합함으로써, 방송 수신 기기군과 대화를 판별할 수 있다.
이상의 판별 수순에서 공기 조화기 자신, 중가사용 기기군, 방송 수신 기기군 또는 대화와 판별되지 않았던 소리는 경가사용 기기군으로 판별한다.
구체적인 판별 수순은 상술한 사항을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수순 1. 공기 조화기에 구비된 소리 센서에 의해 공기 조화기의 운전 중에 실내의 소리를 낮은 주파수대의 소리와 높은 주파수대의 소리로 분리하여 추출한다.
수순 2. 분리한 소리를 주파수대마다, 소정의 샘플링 주기로 소정 시간 샘플링하고, 낮은 주파수대로 소리의 검출 횟수의 비율(BP)과 높은 주파수대에서 소리의 검출 횟수의 비율(HP)을 산출하고, 샘플링 결과로 한다.
수순 3. 상기 샘플링을 복수회(m회, 실시예에서는 10회) 행하고, 각 회의 샘플링 결과 BP1 내지 BPm, HP1 내지 HPm을 얻는다.
수순 4. 소리의 레벨은 BP1 내지 BPm, HP1 내지 HPm의 크기로 판단한다.
수순 5. 소리의 연속성은 모든 샘플링 결과가 음원의 군마다 정한 소정의 임계값의 한쪽측에 있는지 여부로 판단한다. 상기한 4의 판정법으로 바꿔서 이 판정법을 사용해도 된다.
수순 6. 소리의 규칙성은 샘플링 결과의 상한, 하한과 샘플링 결과의 평균값의 차가, 음원의 군마다 정한 판정 폭 이내인지의 여부로 판단한다.
수순 7. 소리의 불규칙성은, 샘플링 결과가 음원의 군마다 정한 소정의 판정 임계값 이상인 횟수가, 음원의 군마다 정한 소정의 하한 횟수 임계값 이상, 또한 상한 횟수 임계값 이하이고, 또한 판정 임계값 이상인 회의 연속이 도중에 중단하는지의 여부로 판단한다.
수순 8. 소리가 긴 중단이 있는지의 여부는, 샘플링 결과가 음원의 군마다 정한 소정의 임계값 BT, HT 이상인 횟수가 음원의 군마다 규정한 소정의 상한 횟수 임계값 BJ, HJ 이하이고, 또한 임계값 BT, HT 이상인 회의 연속이 도중에 중단하는지의 여부와, 샘플링 결과의 상한, 하한과 샘플링 결과의 평균값의 차가 음원의 군마다 정한 소정의 판정 폭 임계값 BX, HX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로 판단한다.
이상의 수순을 유기적으로 조합하여 음원의 종류를 판정한다.
다음에, 상기한 각 음원을 판별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23 내지 도 25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3은 음원 판정 블록도이다. 도 24는 판정 전단 설명도이다. 도 25는 판정 주요부 설명도이다.
예를 들어, 우선, 도 23에서 수순 1에 의해 실내의 소리 신호는 소리 센서(19)의 마이크로폰으로 포착되고,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증폭되어 복수의 주파수대(실시예에서는 2개의 주파수대)로 분리된다.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증폭된 신호는 주파수 5㎑ 이하의 낮은 주파수의 소리를 통과시키는 밴드 패스 필터와 4㎑ 이상의 높은 주파수의 소리를 통과시키는 하이 패스 필터로 분리되고, 디지털화되어 제어부에 내장되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된다.
다음에, 도 24의 (b)에서 수순 2에 의해 얻은 샘플링 결과를 기초로, 도 24의 (a)에서 수순 3에 의해 얻은 BP1 내지 BPm, HP1 내지 HPm의 크기가, 도 25의 (c)에서 수순 4에 의해, 낮은 주파수대에서의 공기 조화기 판정 임계값 BPa, 높은 주파수대에서의 공기 조화기 판정 임계값 HPa 미만이면, 도 25의 (d)와 같이, 음원을 공기 조화기 자신이라고 판정하고, BP1 내지 BPm, HP1 내지 HPm의 값의 크기가, 도 25의 (e)에서 수순 4에 의해 낮은 주파수대에서의 중가사용 기기 판정 임계값 BPh, 높은 주파수대에서의 중가사용 기기 판정 임계값 HPh 이상이면, 음원의 종류를 중가사용 기기군의 후보로 한다.
다음에, 도 25의 (e)에서 수순 4에 의해 음원의 종류가 중가사용 기기군의 후보로 되고, 마찬가지로 도 25의 (e)에서 수순 6에 의해, 샘플링 결과의 상한, 하한과 샘플링 결과의 평균값의 차가, 낮은 주파수대에서의 중가사용 기기 판정 폭 BWc, 높은 주파수대에서의 중가사용 기기 판정 폭 HWc 이내이면, 도 25의 (f)와 같이, 음원의 종류를 중가사용 기기군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중가사용 기기군의 대표로서 전기 청소기를 예로 들고 있다.
도 25의 (c), (e)에서 공기 조화기 자신에서도 중가사용 기기군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는, 다음에, 도 25의 (g)에서 수순 7에 의해 샘플링 결과가 낮은 주파수대에서의 방송 수신 기기 판정 임계값 BPt, 높은 주파수대에서의 방송 수신 기기 판정 임계값 HPt 이상인 횟수가 방송 수신 기기군이 낮은 주파수대에서의 방송 수신 기기의 하한 횟수 임계값 BLt, 높은 주파수대에서의 방송 수신 기기의 하한 횟수 임계값 HLt 이상이고 또한 낮은 주파수대에서의 방송 수신 기기의 상한 횟수 임계값 BHt, 높은 주파수대에서의 방송 수신 기기의 상한 횟수 임계값 HHt 이하이고, 또한 낮은 주파수대에서의 방송 수신 기기 판정 임계값 BPt, 높은 주파수대에서의 방송 수신 기기 판정 임계값 HPt 이상인 회의 연속이 도중에 중단되어 있는 경우는, 도 25의 (h)와 같이 음원의 종류를 방송 수신 기기군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방송 수신 기기군의 대표로서 텔레비전을 예로 들고 있다.
도 25의 (g)에서 방송 수신 기기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는, 다음에, 도 25의 (i)에서 동일하게 수순 7에서 샘플링 결과가 대화 판정 임계값 BPs, HPs 이상인 횟수가, 대화가 낮은 주파수대에서의 대화의 하한 횟수 임계값 BLs, 높은 주파수대에서의 대화의 하한 횟수 임계값 HLs 이상이고 또한 낮은 주파수대에서의 대화의 상한 횟수 임계값 BHs, 높은 주파수대에서의 대화의 상한 횟수 임계값 HHs 이하이고, 또한 대화 판정 임계값 BPs, HPs 이상인 회의 연속이 도중에 중단되어 있는 경우는, 도 25의 (j)와 같이 음원의 종류를 대화라고 판정한다.
이상으로 대화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는, 도 25의 (k)와 같이 음원의 종류를 경가사용 기기군이라고 판정한다. 이것은, 대화의 목소리가 커지고, 또한 이야기하는 목소리가 도중에 끊이지 않고 계속되면, 대화라고 판정되지 않게 되지만, 이와 같은 경우, 대화하고 있는 사람의 활동량도 증가하고 있어서, 조리 기기, 이미용 기기, 데스크 워크용 기기 등의 경가사용 기기군을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한 정도의 활동량으로 되므로, 공기 조화기의 제어상은 경가사용 기기군의 사용으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면에서는 경가사용 기기군을 그 밖으로 기재하고 있다.
다음에, 샘플링 결과로부터 음원을 판정하는 동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판정 임계값에 대해서 도 2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주위음에 의한 보정 설명도이다.
실내에는, 재실자가 조용히 하고 있는 때에도 시계, 관상어수조의 펌프의 소리 등 다양한 소리가 있고, 소리 센서에 의해서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려고 할 때에는, 재실자가 조용히 하고 있을 때의 소리와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를 합친 소리의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운전 개시시에, 재실자가 조용히 하고 있을 때의 소리를 전술한 방법이라고 판정한다.
공기 조화기를 설치하여 최초의 운전시에, 금회의 운전이 최초의 운전이면, 정숙한 상태로 운전 또는 정지하여 상기 소리 센서에 의해 기준 환경음을 측정하는 기준 환경음 측정 기간(실시예에서는 정숙한 상태로 운전 또는 정지하여 1분간)에 측정하고, 공기 조화기의 기억 장치에 시간대마다 기억되어 있는 당초값을 기준값에 대입한다.
이때의 샘플링 결과의 평균을 초기값이라고 명명하고, 공기 조화기 자신에 정해진 기준값(마찬가지의 환경에서 운전하였을 때의 샘플링 결과의 평균값에 대략 일치함)과 비교한다. 비교한 결과가 기준값<초기값인 경우에서, 음원의 판정 결과가 공기 조화기 자신의 경우는, 실내를 조용히 하고 있어도,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 이외의 실내의 환경음이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여, 각 음원의 판정 임계값을 보정한다.
음원의 판정 결과가 공기 조화기 자신 이외의 음원군의 경우는, 공기 조화기 자신이나 환경음이라고는 말할 수 없는 유의한 소리가 나고 있다고 판단하고, 각 음원의 판정 임계값의 보정은 행하지 않는다. 초기값과 기준값을 비교한 결과가 기준값≥초기값인 경우는, 현재의 판정 임계값으로, 충분히 각 음원을 식별하여 판정할 수 있으므로, 각 음원의 판정 임계값의 보정은 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는, 상기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음원의 종류를 판정하는 음원의 종류의 판정 임계값을 설정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를 설치한 실내에서, 정숙한 상태로 운전 또는 정지하여 상기 소리 센서에 의해 기준 환경음을 측정하는 기준 환경음 측정 기간에서의 상기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초기값)에 따라서, 상기 판정 임계값을 보정하는 임계값 보정부를 갖고, 상기 활동량 판정부는 임계값 보정부에서 보정된 판정 임계값에 따라서 음원의 종류를 판정하고, 판정된 음원의 종류와 상기 적외선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한다.
이에 의해, 공기 조화기를 설치한 방에서, 공기 조화기를 운전 또는 정지하였을 때에 실현할 수 있는 소리가 가장 작은 상태에서의,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를 알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조화기를 운전하였을 때에는, 소리 센서에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ㆍ사용자가 없을 때에도 소리를 발하고 있는 시계ㆍ관상어수조의 순환 펌프 소리 등의 소리가 검출된다. 또한, 공기 조화기를 정지하였을 때에는, 소리 센서에 사용자가 없을 때에도 소리를 발하고 있는 시계ㆍ관상어수조의 순환 펌프 소리 등의 소리가 검출된다.
구체적으로는, 공기 조화기를 운전 개시하고 나서, 또는 정지 중의 소정 시간(실시예에서는 1분간)의 소리 센서의 검출값(이것을 초기값이라고 함)을 기준값과 비교한다. 공기 조화기를 설치하고, 최초의 운전 또는 정지인 경우, 상기 기준값으로서는, 제조 단계에서 제어부의 기억 소자에 기록한 것과 마찬가지로 환경 속에서의 운전시, 또는 정지시의 소리 센서의 검출값을 이용한다.
기준값≥초기값의 경우는 임계값의 보정은 행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 기준값<초기값으로 된다. 이 경우에서, 공기 조화기를 운전하였을 때의 결과로부터, 판정 임계값을 보정하는 경우, 또한 소리 센서의 샘플링 결과가, 음원의 종류가 공기 조화기 자신인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는, 음원의 종류를 판정하는 임계값을 보정한다. 그 동안의 소리 센서의 샘플링 결과가, 음원의 종류가 공기 조화기 자신 이외인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는, 공기 조화기 자신 이외의 대화나 텔레비전의 소리 등이 검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정숙한 상태에서의 운전은 아니므로 보정을 행하지 않는다.
또한, 공기 조화기를 정지 중의 결과로부터, 판정 임계값을 보정하는 경우, 또한 초기값≤기준값+표준 환경음차의 경우에, 음원의 종류를 판정하는 임계값을 보정한다. 여기서, 표준 환경음차란, 환경음의 편차의 폭을 나타내는 값이며, 미리, 제조 단계에서 제어부의 기억 소자에 기록한 값이다. 기준값+표준 환경음차<초기값의 경우, 그 동안의 소리 센서의 샘플링 결과가, 공기 조화기 자신 이외의 대화나 텔레비전의 소리 등이 검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정숙한 상태에서의 운전은 아니므로 보정을 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음원의 종류를 판정하는 임계값을 보정함으로써, 공기 조화기를 설치한 방의 소리 환경에 맞추어, 음원의 종류를 온감 변동 음원의 종류나 온감 불변 음원의 종류에 적절하게 판정할 수 있어, 적외선 센서의 검출 결과와 조합하여 재실자의 활동량을 고정밀도라고 판정하고, 세밀한 제어로 쾌적성을 배려하면서, 보다 적정하게 실온을 올리거나 내리도록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여, 에너지를 불필요하게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 절약에 공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내의 환경 소음에 따른 적정한 보정으로 실내의 상황을 적절하게 파악하여, 절전을 도모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초전형 적외선 센서의 작용에 대해서 도 2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반응 검출 구분 판정 설명도이다.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는 프레넬 렌즈(17a)와 함께, 실내로부터의 적외선의 양의 변화를 포착한다. 실내에서 활발한 움직임이 있을 때에는, 그 반응량은 크고, 조용한 움직임일 때에는 반응량은 작다. 이것을 이용하여, 초전형의 적외선 센서(17)로부터의 신호는 사람의 움직임을 추출하는 밴드 패스 필터를 통과하여 증폭되고, 디지털화되어 제어부에 내장되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된다.
마이크로컴퓨터는 이 디지털 신호를 소정의 샘플링 주기(실시예에서는 10㎳)로 샘플링 구간(실시예에서는 60초간)의 사이, 샘플링하고, 샘플링한 데이터 중의 반응 검출 데이터의 비율을 연산하고, 반응 검출 비율 Px를 얻는다.
이 반응 검출 비율 Px가 실내의 움직임량이 작은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정(靜)판정 임계값 Pb 미만인 경우는, 반응의 검출 구분을 반응 정(靜)으로 구분한다. 다음에, 반응 검출 비율 Px가 실내의 움직임량이 큰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동(動)판정 임계값 Pv 이상의 경우는, 반응의 검출 구분을 반응 강(强)으로 구분한다. 반응 검출 비율 Px가 정판정 임계값 Pb 이상이고, 동판정 임계값 Pv 미만의 경우는, 반응의 검출 구분을 반응 중(中)으로 구분한다.
다음에, 초전 적외선 센서와 소리 센서의 조합으로, 활동량을 세분화하여 판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2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조합하여 활동량 판정도이다.
활동량 판정부는, 상기 반응의 검출 구분과 전술한 음원 판정의 결과를 조합하여, 도 28과 같이 재실자의 활동량을 세분화한다. 이와 같이, 반응의 검출 구분이 동일하여도, 음원이 재실자의 활동에 수반하는 온감 변동 대 음원 집단의 경우는, 음원이 재실자의 활동에 관계가 없는 온감 변동 소 음원 집단의 경우보다도 활동량을 크게 판정한다. 이에 의해, 활동량의 구분은 종래의 3단계로부터 5, 6단계로 이루어지므로, 종래로부터 각별히 세밀한 제어로 할 수 있다.
도 28의 예에서는 최대의 활동량을 초전형 적외선 센서에 의한 반응의 검출 구분이 반응강으로 음원의 종류가 중가사용 기기군, 대화 및 경가사용 기기군으로 이루어지는 온감 변동 대 음원 집단의 경우의 활동량을 최대로 하고, 최소의 활동량을 초전형 적외선 센서에 의한 반응의 검출 구분이 반응정으로 음원이 공기 조화기 자신 및 방송 수신 기기군으로 이루어지는 온감 변동 소 음원 집단의 경우의 활동량을 최소로 하고 있다.
매트릭스의 다른 부분은, 매트릭스 중의 동일한 반응 검출 구분에서의 활동량의 대소가 온감 변동 소 음원 집단≤온감 변동 대 음원 집단이며, 동일한 음원 집단에서의 활동량의 대소가 당연하지만 반응정<반응중<반응강의 관계로 되도록 활동량을 정한다.
냉방시에 재실자의 활동량이 작은 경우는, 재실자가 조용히 하고 있어서, 대사가 활발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체내 발열이 적어져, 재실자의 온열 감각도 추운 측으로 변화되므로, 실온을 약간 올려도, 쾌적성은 허용의 범위에 그치고, 실온을 약간 올린 만큼, 에너지 절약 운전으로 된다. 난방시에 재실자의 활동량이 큰 경우는, 재실자가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고, 대사가 활발한 상태이므로, 체내 발열이 많아져, 재실자의 온열 감각도 더운 측으로 변화되므로, 실온을 약간 내려도, 쾌적성은 허용의 범위에 그치고, 실온을 약간 내린 만큼, 에너지 절약 운전으로 된다.
다음에, 흡입 공기 온도의 조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의 사용자의 주위를 스폿적으로 공조하여 에너지 절약을 도모하기 위해, 사용자의 근처에 놓여져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에서 온도를 검지하고, 그 주위의 사용자가 있는 공간을 쾌적하게 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의 난방 능력, 냉방 능력의 제어는 공기 조화기의 흡입 공기 온도와 설정 온도에 따라서 행해지지만, 실내의 높은 곳에 설치된 공기 조화기의 흡입 공기 온도는 사용자가 있는 실내의 바닥으로부터 얼굴의 높이 위치까지의 거주 공간의 온도보다 높게 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이 온도차를 보정하기 위해, 설정 온도에 소정의 값(온도 시프트값)을 가중시킨 가중 설정 온도를 목표 온도로 하여, 흡입 공기 온도가, 가중 설정 온도에 근접하도록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고 있다. 소정의 값으로서는 공기 조화기의 구조나 난방, 냉방 등의 운전 모드에 의해 상이하지만 -1 내지 5도 정도의 값이 사용되어져 있다. 그러나, 거주 공간의 온도로 해도 방의 중앙과 창문쪽에서는 다른 것이 보통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온도 시프트값을 정하여, 가중 설정 온도에 흡입 공기 온도를 근접하여도 사용자의 장소가 반드시 쾌적하게 되지 않는 경우도 자주 일어난다. 이와 같은 경우는, 사용자가 설정 온도를 상하시켜서 쾌적한 상태를 모색하고, 선정 할 필요가 있다.
냉방시, 난방시의 권장 온도가 공공연해지는 오늘날은, 사용자도 공기 조화기의 에너지 절약 운전에 고심할 필요가 있어, 실내를 필요 이상으로 쾌적하게 하면, 공기 조화기의 압축기의 운전 시간, 소비 전력이 증가되어, 에너지 절약 운전으로 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실내의 상태가 지나치게 쾌적하지 않는지, 조금 더 에너지 절약 운전으로 바꾸어도 쾌적성의 허용 범위에 들어가는 것은 아닌지라고 하는 막연한 불안감에 사로잡힌 공기 조화로 되어, 에너지 절약 운전의 성과를 올리는 것이 어렵다.
실내가 쾌적한 상태로부터 불쾌한 상태로 되어 갈 때에는, 사용자가 허용할 수 있는 쾌적의 범위를 벗어났다고 인식하였을 때에, 공기 조화기의 설정을 약간 쾌적한 방향으로 다시 설정할 수는 있지만, 그 때마다, 공기 조화기의 설정을 바꾸어야만 하여, 번잡하다.
한편, 불쾌한 상태로부터 쾌적한 상태로 되어 가는 도중에는, 쾌적한 상태에 융화되게 되어, 쾌적한 범위에 들어갔다고 하는 인식을, 쾌적한 범위에 들어간 시점에서 갖는 것은 매우 곤란하며, 그 때마다, 공기 조화기의 설정을 바꾸는 것 자체가, 실제상은 실현 불가능이다.
이로 인해, 쾌적한 상태로 긴 시간이 지난 후에, 조금 더 에너지 절약 운전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닌지라고 하는 상태가 자주 반복되어 있어서,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이 요망되고 있다.
이 난제에 응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재실자의 활동량을 초전형 적외선 센서와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로부터 재실자의 활동량을 종래 이상으로 세분화하고, 세분화한 활동량에 따라서, 재실자의 쾌적성을 배려하면서, 상기한 온도 시프트값을 세밀하게 수정하고, 재실자가 그 때마다 설정을 바꾼다고 하는 수고도 줄여, 실제상은 실현 불가능했던 공기 조화기의 에너지 절약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복사 센서의 움직임에 대하여 도 2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복사량 판정 설명도, (a)는 복사량 판정 블록도이다.
복사 센서는 서모 파일을 사용하고, 실내의 바닥, 벽 등으로부터의 적외선의 양을 계측하여, 복사 온도를 얻는다. 실내의 벽, 바닥 등이 일광에 의해 따뜻하게 되거나, 다른 냉난방기 등에 의해 온도가 실온과 괴리되면, 재실자의 온열 감각이 변화되므로, 실온을 변화시켜, 에너지 절약을 도모하는 여지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복사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적절하게 증폭, 밴드 패스 필터를 통과시키고, 디지털화하여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한다.
마이크로컴퓨터는 이 디지털 신호를 소정의 샘플링 주기로 샘플링 구간 동안, 샘플링하고, 실온 센서로부터의 신호와 조합하여 복사 온도와 실온의 온도차를 연산한다. 이 샘플링과 연산을 복수회 행하고, 복수회의 평균값을 연산하여 복사 온도차라고 한다.
냉방시에, 복사 온도차가 마이너스로 된 경우는, 벽이나 바닥의 온도가 실온보다 낮고, 재실자의 온열 감각이 추운 측으로 변화되므로, 그만큼, 실온을 약간 올려도 쾌적성을 유지할 수 있어, 실온을 약간 올린 만큼, 에너지 절약 운전으로 된다. 난방시에, 복사 온도차가 플러스로 된 경우는, 벽이나 바닥의 온도가 실온보다 높고, 재실자의 온열 감각이 더운 측으로 변화되므로, 그만큼, 실온을 약간 내려도 쾌적성을 유지할 수 있어, 실온을 약간 내린 만큼, 에너지 절약 운전으로 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는, 전술한 구성에 더하여, 재실자의 움직임량 또는 실내의 바닥 혹은 벽으로부터의 복사량을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와, 실온의 설정부와,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적외선 센서의 검출 결과와 상기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하는 활동량 판정부를 갖고, 상기 활동량 판정부에서 판정된 재실자의 활동 판정량을 기초로,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정해진 목표값을 변경한다.
이에 의해, 소리 센서와 재실자의 움직임량을 검출하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실내의 바닥 혹은 벽으로부터의 복사량을 검출하는 서모 파일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재실자의 활동량이나 실내의 복사 온도를 추정하고, 추정 결과에 따라서, 설정 온도를 기초로 하여 정해진 공조의 목표값을 변경하여 실내를 공기 조화한다.
즉,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음원의 종류를 판정하고, 판정한 음원의 종류와 재실자의 움직임량을 조합하여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하고, 예를 들어, 활동량을 최대, 대, 중, 소, 최소로 구분하고, 활동량이 클수록 작은 값을 온도 시프트값으로 하고, 활동량이 작을수록 큰 값을 온도 시프트값으로 한다.
이와 같이, 조정함으로써, 난방시는 활동량이 높을수록, 흡입 공기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조금 낮게 조정되고, 냉방시는 활동량이 낮을수록, 흡입 공기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조금 높게 조정되어, 쾌적성을 배려하면서, 세밀하게 공기 조화기를 제어함으로써, 정확한 음원은 몰라도, 재실자의 활동량을 고정밀도라고 판정할 수 있고, 보다 적정하게 실온을 올리거나 내리도록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여, 에너지를 불필요하게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 절약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재실자의 활동량을 추정해도 되고, 예를 들어, 소리의 크기와 출현 횟수의 곱에 따라서, 활동량을 대, 중, 소로 구분하여, 온도 시프트값을 정하고, 또한 서모 파일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복사 온도-실내 온도를 산출하고, 예를 들어, 복사 온도-실내 온도의 값에 의해 온도차 정(正), 온도차 소(小), 온도차 부(負)로 나누고, 복사 온도-실내 온도가 클수록 작은 값을 복사 시프트값으로서 온도 시프트값에 더한 값을 온도 시프트값으로 한다.
이와 같이, 조정함으로써, 난방시는 복사 온도가 높을수록, 흡입 공기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조금 낮게 조정되고, 냉방시는 복사 온도가 낮을수록, 흡입 공기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조금 높게 조정되어, 쾌적성을 배려하면서, 세밀하게 공기 조화기를 제어함으로써 에너지 절약 운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열 감각에 영향을 미치는 복사 온도를 공기 조화기의 제어에 도입함으로써, 복사 온도-실내 온도의 차이에 따라서 복사 시프트값을 바꿈으로써 쾌적성을 배려하면서 공기 조화기가 제어되고, 보다 세밀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에너지 절약 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검출한 소리 정보와 적외선 센서의 정보로부터, 재실자의 활동량을 세밀하게 추정하여, 쾌적성을 고려하면서, 절전을 도모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는, 소리 센서를 갖고, 횡류 팬의 축 방향에는 분출구의 양단부보다 내측이고, 분출 풍로 상벽의 최하단부와 흡입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소리 센서와 실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과, 재실자의 움직임량을 검출하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실내의 바닥 혹은 벽으로부터의 복사량을 검출하는 서모 파일과, 실온의 설정부와,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초전형 적외선 센서의 검출 결과 또는 상기 서모 파일의 검출 결과와 상기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하는 활동량 판정부를 갖고, 상기 활동량 판정부에서 판정된 재실자의 활동 판정량을 기초로,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정해진 목표값을 변경한다.
이에 의해, 실내의 소리를 검출하는 소리 센서를 분출구의 주연의 위치에 실내를 향하여 설치하므로, 실내의 소리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분출구를 피하여, 그 주연에 배치하므로, 기류에 기인하는 소리, 기류를 타고 옮겨져 오는 소리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져, 실내의 소리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와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의 검출 결과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쾌적성을 배려하면서, 세밀하게 보다 적정하게 실온을 올리거나 내리도록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여, 에너지를 불필요하게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 절약에 공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송풍음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 실내의 소리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고, 검출한 소리 정보와 적외선 센서의 정보로부터, 재실자의 활동량을 세밀하게 추정하여, 쾌적성을 고려하면서, 절전을 도모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 따르면, 소리 센서를 갖고, 상기 소리 센서와 실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연통 구멍의 위치를 횡류 팬의 축 방향에는 분출구의 양단부보다 내측이고, 분출 풍로 상벽의 최하단부와 흡입구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흡입구에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의 자동 청소 장치를 설치한다.
이에 의해, 실내의 소리를 검출하는 소리 센서를 분출구의 주연의 위치에 실내를 향하여 설치하므로, 실내의 소리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분출구를 피하여, 그 주연에 배치하므로, 기류에 기인하는 소리, 기류를 타고 옮겨져 오는 소리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져, 실내의 소리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필터의 자동 청소 장치를 설치하여, 필터에 진애가 지나치게 쌓이지 않도록 하므로, 필터에 진애가 지나치게 쌓임으로써 발생하기 쉬운 서징 현상이 일어나기 어렵고, 정음 운전이 계속되어, 실내의 소리를 지장없이 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송풍음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 실내의 소리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고, 또한 횡류 팬의 서징이 발생하기 어려우므로, 실내 소리의 검출이 우수하고, 재실자의 활동을 실내의 소리에 의해서 추정하여 운전 제어를 행하는 용도에 적합한 구성으로 되는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 따르면, 상기에 더하여, 재실자의 움직임량 또는 실내의 바닥 혹은 벽으로부터의 복사량을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와, 실온의 설정부와,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적외선 센서의 검출 결과와 상기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하는 활동량 판정부를 갖고, 상기 활동량 판정부에서 판정된 재실자의 활동 판정량을 기초로,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정해진 목표값을 변경한다.
이에 의해, 소리 센서와 재실자의 움직임량을 검출하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실내의 바닥 혹은 벽으로부터의 복사량을 검출하는 서모 파일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재실자의 활동량이나 실내의 복사 온도를 추정하고, 추정 결과에 따라서, 설정 온도를 기초로 하여 정해진 공조의 목표값을 변경하여 실내를 공기 조화한다.
즉,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음원의 종류를 판정하고, 판정한 음원의 종류와 재실자의 움직임량을 조합하여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하고, 예를 들어, 활동량을 최대, 대, 중, 소, 최소로 구분하고, 활동량이 클수록 작은 값을 온도 시프트값으로 하고, 활동량이 작을수록 큰 값을 온도 시프트값으로 한다.
이와 같이, 조정함으로써, 난방시는 활동량이 높을수록, 흡입 공기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조금 낮게 조정되고, 냉방시는 활동량이 낮을수록, 흡입 공기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조금 높게 조정되어, 쾌적성을 배려하면서, 세밀하게 공기 조화기를 제어함으로써, 정확한 음원은 몰라도, 재실자의 활동량을 고정밀도라고 판정할 수 있고, 보다 적정하게 실온을 올리거나 내리도록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여, 에너지를 불필요하게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 절약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재실자의 활동량을 추정해도 되고, 예를 들어, 소리의 크기와 출현 횟수의 곱에 따라서, 활동량을 대, 중, 소로 구분하여, 온도 시프트값을 정하고, 또한 서모 파일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복사 온도-실내 온도를 산출하고, 예를 들어, 복사 온도-실내 온도의 값에 의해 온도차 정, 온도차 소, 온도차 부로 나누고, 복사 온도-실내 온도가 클수록 작은 값을 복사 시프트값으로서 온도 시프트값에 더한 값을 온도 시프트값으로 한다.
이와 같이, 조정함으로써, 난방시는 복사 온도가 높을수록, 흡입 공기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조금 낮게 조정되고, 냉방시는 복사 온도가 낮을수록, 흡입 공기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조금 높게 조정되어, 쾌적성을 배려하면서, 세밀하게 공기 조화기를 제어함으로써 에너지 절약 운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열 감각에 영향을 미치는 복사 온도를 공기 조화기의 제어에 도입함으로써, 복사 온도-실내 온도의 차이에 따라서 복사 시프트값을 바꿈으로써 쾌적성을 배려하면서 공기 조화기가 제어되고, 보다 세밀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에너지 절약 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검출한 소리 정보와 적외선 센서의 정보로부터, 재실자의 활동량을 세밀하게 추정하여, 쾌적성을 고려하면서, 절전을 도모하는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 따르면, 소리 센서를 갖고, 횡류 팬의 축 방향에는 분출구의 양단부보다 내측이고, 분출 풍로 상벽의 최하단부와 흡입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소리 센서와 실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과, 재실자의 움직임량을 검출하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실내의 바닥 혹은 벽으로부터의 복사량을 검출하는 서모 파일과, 실온의 설정부와,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초전형 적외선 센서의 검출 결과 또는 상기 서모 파일의 검출 결과와 상기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하는 활동량 판정부를 갖고, 상기 활동량 판정부에서 판정된 재실자의 활동 판정량을 기초로,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정해진 목표값을 변경한다.
이에 의해, 실내의 소리를 검출하는 소리 센서를 분출구의 주연의 위치에 실내를 향하여 설치하므로, 실내의 소리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분출구를 피하여, 그 주연에 배치하므로, 기류에 기인하는 소리, 기류를 타고 옮겨져 오는 소리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져, 실내의 소리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와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의 검출 결과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쾌적성을 배려하면서, 세밀하게 보다 적정하게 실온을 올리거나 내리도록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여, 에너지를 불필요하게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 절약에 공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송풍음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 실내의 소리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고, 검출한 소리 정보와 적외선 센서의 정보로부터, 재실자의 활동량을 세밀하게 추정하여, 쾌적성을 고려하면서, 절전을 도모하는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 따르면, 상기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음원의 종류를 판정하는 음원의 종류의 판정 임계값을 설정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를 설치한 실내에서, 정숙한 상태로 운전 또는 정지하여 상기 소리 센서에서 기준 환경음을 측정하는 기준 환경음 측정 기간에서의 상기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초기값)에 따라서, 상기 판정 임계값을 보정하는 임계값 보정부를 갖고, 상기 활동량 판정부는 임계값 보정부에서 보정된 판정 임계값에 따라서 음원의 종류를 판정하고, 판정된 음원의 종류와 상기 적외선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한다.
이에 의해, 공기 조화기를 설치한 방에서, 공기 조화기를 운전 또는 정지하였을 때에 실현할 수 있는 소리가 가장 작은 상태에서의,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를 알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조화기를 운전하였을 때에는, 소리 센서에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ㆍ사용자가 없을 때에도 소리를 발하고 있는 시계ㆍ관상어수조의 순환 펌프 소리 등의 소리가 검출된다. 또한, 공기 조화기를 정지하였을 때에는, 소리 센서에 사용자가 없을 때에도 소리를 발하고 있는 시계ㆍ관상어수조의 순환 펌프 소리 등의 소리가 검출된다.
구체적으로는, 공기 조화기를 운전 개시하고 나서, 또는 정지 중의 소정 시간(실시예에서는 1분간)의 소리 센서의 검출값(이것을 초기값으로 함)을 기준값과 비교한다. 공기 조화기를 설치하고, 최초의 운전 또는 정지인 경우, 상기 기준값으로서는, 제조 단계에서 제어부의 기억 소자에 기록한 것과 마찬가지로 환경 속에서의 운전시, 또는 정지시의 소리 센서의 검출값을 사용한다.
기준값≥초기값의 경우는 임계값의 보정은 행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 기준값<초기값으로 된다. 이 경우에서, 공기 조화기를 운전하였을 때의 결과로부터, 판정 임계값을 보정하는 경우, 또한 소리 센서의 샘플링 결과가, 음원의 종류가 공기 조화기 자신인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는, 음원의 종류를 판정하는 임계값을 보정한다. 그 동안의 소리 센서의 샘플링 결과가, 음원의 종류가 공기 조화기 자신 이외인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는, 공기 조화기 자신 이외의 대화나 텔레비전의 소리 등이 검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정숙한 상태에서의 운전은 아니므로 보정을 행하지 않는다.
또한, 공기 조화기를 정지 중의 결과로부터, 판정 임계값을 보정하는 경우, 또한 초기값≤기준값+표준 환경음차의 경우에, 음원의 종류를 판정하는 임계값을 보정한다. 여기서, 표준 환경음차란, 환경음의 편차의 폭을 나타내는 값이며, 미리, 제조 단계에서 제어부의 기억 소자에 기록한 값이다. 기준값+표준 환경음차<초기값의 경우, 그 동안의 소리 센서의 샘플링 결과가, 공기 조화기 자신 이외의 대화나 텔레비전의 소리 등이 검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정숙한 상태에서의 운전은 아니므로 보정을 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음원의 종류를 판정하는 임계값을 보정함으로써, 공기 조화기를 설치한 방의 소리 환경에 맞추어, 음원의 종류를 온감 변동 음원의 종류인지 온감 불변 음원의 종류인지에 적절하게 판정할 수 있고, 적외선 센서의 검출 결과로 조합하여 재실자의 활동량을 고정밀도라고 판정하고, 세밀한 제어로 쾌적성을 배려하면서, 보다 적정하게 실온을 올리거나 내리도록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여, 에너지를 불필요하게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 절약에 공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내의 환경 소음에 따른 적정한 보정으로 실내의 상황을 적절하게 파악하여, 절전을 도모하는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 따르면, 상기 소리 센서와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이 동일한 기판, 센서 베이스, 또는 케이스에 탑재, 장착, 또는 수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센서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배선이 단순화되어, 비용이 저감된다. 또한, 각 센서가 공기 조화기의 대략 동일 개소로 배치되므로, 각 센서의 검지하는 영역이 거의 동일하게 되어, 이 거의 동일한 검지 영역의 정보를 각 센서가 그 특성에 따라서 거의 동시에 검출하므로, 검지 영역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자원 절약에 적합하여, 비용이 저감되고, 검지 영역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적절하게 실내를 공기 조화하는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 따르면, 상기 소리 센서와 상기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이 상기 횡류 팬 축 방향의 상기 분출구 중심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이에 의해, 분출구의 중심부에 가까운 위치에 상기 동일한 기판에 탑재된 각 센서(이하 센서군이라고 함)가 배치되므로, 재실자가 평소 있는 범위의 정보를 각 센서의 특성에 따라서 검출할 수 있어, 실내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모을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를 벽이 교차하는 코너부에 설치한 경우, 인접한 벽에 의해 반사하는 소리나 적외선의 영향으로 각 센서의 검출 정밀도가 열화되는 것이 생각되지만, 인접한 벽으로부터 센서군까지의 거리를, 적어도 공기 조화기의 분출구의 긴 변 치수의 약 절반 이상의 거리는 확보할 수 있으므로, 센서군의 검출 정밀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어, 방의 코너부에 설치하였을 때의 반향, 반사 등에 의한 악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센서군을 분출구의 짧은 변 부근에 배치한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반향, 반사의 영향을 보상하기 위해 다른 센서를 추가하거나, 공기 조화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센서를 조정하거나 할 필요성이 발생하지만, 센서군을 분출구의 중심부 근처에 배치함으로써, 이들의 추가 센서나 센서의 조정이 불필요해져,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서징 현상이 예상치 않게 발생한 경우라도, 서징 현상은, 횡류 팬의 날개 단부 부분으로부터 시작되므로, 서징이 일어나 있는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분출구의 중심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소리 센서에 미치는 영향은 작다.
이로 인해, 적은 수의 센서에 의해 실내의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하여, 적절하게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 따르면, 상기 소리 센서와 상기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의 중심부 사이의 상호 거리의 최대값을, 상기 횡류 팬의 축 방향을 X 좌표축으로 하는 3차원의 직각 좌표로 나타냈을 때에, X 좌표의 값이 다른 좌표축의 값보다도 크다.
이에 의해, 소리 센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 서모 파일이 횡류 팬의 축 방향으로 긴 배열로 되고, 분출구와 흡입구의 사이의 가늘고 긴 스페이스에, 무리하지 않고 수납된다.
이로 인해, 빈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하우징의 대형화가 억제되는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 따르면, 상기 소리 센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을 보이기 어렵게 하는 차폐 부재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공기 조화기를 정지하였을 때에, 차폐 부재로 소리 센서 또는 상기 적외선 센서를 가려, 여분의 요철이 없는 말끔한 디자인으로 할 수 있어, 인테리어의 분위기를 흐트러뜨리는 일은 없다.
이로 인해, 비사용시에, 인테리어의 분위기를 흐트러뜨리지 않는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 따르면, 상기 횡류 팬의 축 및 상기 분출구의 길이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차폐 부재가 상하 풍향판과 연동하여 이동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을 가정용의 공기 조화기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벽걸이형의 실내기에 채용할 수 있어, 그 효과를 광범위한 공기 조화기에 미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하 풍향판과 연동시킴으로써, 소리 센서,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지 않는 운전 정지시 등에는 도 2와 같이, 전방부 상하 풍향판, 후방부 상하 풍향판, 가동 패널은 제어 장치에 의해 공기 분출구, 전방측 공기 흡입부를 폐쇄하도록 제어되므로, 전방부 상하 풍향판은 보조 풍향판 수납부의 전방의 위치에 회전하여 수납되고, 소리 센서, 적외선 센서, 풍로 보조 풍향판 수납부를 차폐하고, 후방부 상하 풍향판과 협동하여 분출구를 폐쇄한다.
이때, 전방부 상하 풍향판의 외측 풍향면은 매끄러운 곡률이 큰 곡면으로 하여 공기 조화기의 외형에 합치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방부 상하 풍향판, 후방부 상하 풍향판은 외면으로 되는 풍향면에서 공기 조화기의 전방면, 저면의 외형을 연속적으로 매끄럽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리 센서를 사용하지 않을 때, 불필요한 요철이 없는, 부드러운 안정된 외관으로 되어, 실내의 분위기를 흐트러뜨리는 일은 없다.
이로 인해, 비사용시에, 인테리어의 분위기를 흐트러뜨리지 않는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0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 따르면, 상기 차폐 부재가 상하 풍향판의 일부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전방부 상하 풍향판을, 차폐 부재로서 사용함으로써, 전용의 차폐 기구, 차폐 부재 구동부가 불필요해져, 자원 절약이 이루어지고, 질량,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전용의 차폐 부재 구동 소프트가 불필요해져, 개발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자원 절약에 적합하여,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사용시에는 재실자의 위치에 따라서 공조한 기류를 보내는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1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 따르면, 상기 소리 센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의 비사용시에, 상기 소리 센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을 실내로부터 보이기 어렵게 한다.
이에 의해, 정지시 등의 소리 센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하 풍향판으로 분출구를 덮고, 소리 센서를 가려서, 가능한 한 요철을 눈에 띄지 않게 하여, 벽과 동화된 디자인으로 하고, 또한 실내기 내에 진애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정지시 등의 소리 센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실내의 분위기에 동화된 상태로 되고, 인테리어의 분위기를 흐트러뜨리지 않고, 비사용시의 외관이 우수한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2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 따르면, 상기 상하 풍향판이 후방부 상하 풍향판과 상기 차폐 부재로 되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부 상하 풍향판에 투명 부분과, 불투명 부분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전방면 하부의 부분을 하우징에 융화되도록 덮고 있었던 전방부 상하 풍향판을 개방하였을 때에, 풍향을 양호하게 편향시킨다. 그러나, 그 선단 부분이 전방으로 돌출되어도, 그 선단 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들여다 보여서, 압박감이 완화된다.
이로 인해, 전방부 상하 풍향판의 가동시의 압박감을 경감하면서, 양호하게 풍향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3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 따르면, 운전 정지시에, 상기 불투명 부분에서 상기 소리 센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을 보이기 어렵게 하고, 상기 투명 부분으로 내부 표시부를 덮는다.
이에 의해, 공기 조화기를 정지하였을 때에, 차폐 부재로 되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의 불투명 부분에서 소리 센서 또는 상기 적외선 센서를 가리므로, 여분의 요철이 없는 말끔한 디자인으로 할 수 있어, 인테리어의 분위기를 흐트러뜨리는 일은 없다.
또한, 내부 표시부는 투명 부분으로 덮이지만, 운전 정지시에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이 하우징에 융화되도록 수직으로 가까운 각도까지 상승하므로, 벽걸이형의 공기 조화기와 같이 아래로부터 올려다 보았을 때에는, 센서 모듈의 표시등이 점등되어 있지 않는 한, 투명 부분의 표면에서의 반사가 강하게 영향을 미쳐 그 배면부의 내부 표시부가 보이지 않게 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말끔한 디자인으로 할 수 있어, 인테리어의 분위기를 흐트러뜨리는 일은 없다.
또한, 전방부 상하 풍향판을 폐쇄한 상태라도, 센서 모듈의 표시등이 점등되면, 운전 표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난방의 운전 개시시 등 냉풍을 방지하기 위해, 열교환기의 온도가 오를 때까지는 풍향판을 폐쇄한 상태로, 팬이나 운전하지 않는 예열 운전 중과 같을 때에도 운전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비사용시에, 인테리어의 분위기를 흐트러뜨리지 않고, 또한 풍향판이 폐쇄되어 있을 때에도 운전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1 : 공기 조화기
2 : 실내기
5 : 리모트 컨트롤러
6 : 실외기
8 : 접속 배관
10 : 제어부
11 : 실온 센서
12 : 습도 센서
13 : 리모트 컨트롤러 주위 온도 센서
14 : 리모트 컨트롤러 위치 센서
15 : 캘린더 정보
16 : 센서 모듈
17 : 초전형 적외선 센서
17a : 프레넬 렌즈
17b : 초전 커버
18 : 복사 센서(서모 파일)
19 : 소리 센서
20 : 하우징
21 : 하우징 베이스
22 : 내부 표시부
22a : 표시 개구
22b : 표시창
23 : 장식 프레임
24 : 내부 장식면
24a : 오목부
24b : 연통 구멍
24c : 초전 개구
24d : 복사 개구
25 : 전방면 패널
27 : 공기 흡입구
29 : 공기 취출구
33 : 실내 열교환기
35 : 드레인 팬
37 : 드레인 배관
230 : 청소 기구
231, 231' : 필터
232, 232' : 필터 프레임
233 : 스위프 기구
234 : 안내 프레임
235, 235' : 레일
236 : 진애
237 : 랙
242 : 이동용 모터
243 : 추진축
244 : 스크류
245 : 베어링
251 : 가동 패널
261 : 캐리지
262, 262' : 브러시 지지 프레임
267, 267' : 브러시
268, 268' : 브러시 압박부
269 : 털 묶음
270, 270' : 공기 흡입부
280, 280' : 집진부
290 : 분출 풍로
290a : 분출 풍로 상벽
290b : 보조 풍향판 수납부
290c : 풍로 상벽 최하단부
291 : 전방부 상하 풍향판
291a : 투명 부재
291b : 불투명 부재
291c : 베이스부
291d : 보조 풍향판
291e : 아암
291f : 베어링
292 : 후방부 상하 풍향판
295 : 좌우 풍향판
311 : 송풍기(횡류 팬)
313 : 송풍 모터
396 : 송수신부
397 : 표시부
397a : 표시등
900 : 실내
BHs : 낮은 주파수대에서의 대화의 상한 횟수 임계값
BHt : 낮은 주파수대에서의 방송 수신 기기의 상한 횟수 임계값
BLs : 낮은 주파수대에서의 대화의 하한 횟수 임계값
BLt : 낮은 주파수대에서의 방송 수신 기기의 하한 횟수 임계값
BP : 낮은 주파수대에서의 검출 횟수의 비율
BPa : 낮은 주파수대에서의 공기 조화기 판정 임계값
BPh : 낮은 주파수대에서의 중가사용 기기 판정 임계값
BPn : 임의의 샘플링회가 높은 주파수대에서의 검출 횟수의 비율
BPt : 낮은 주파수대에서의 방송 수신 기기 판정 임계값
BWc : 낮은 주파수대에서의 중가사용 기기 판정 폭
HHs : 높은 주파수대에서의 대화의 상한 횟수 임계값
HHt : 높은 주파수대에서의 방송 수신 기기의 상한 횟수 임계값
HLs : 높은 주파수대에서의 대화의 하한 횟수 임계값
HLt : 높은 주파수대에서의 방송 수신 기기의 하한 횟수 임계값
HP : 높은 주파수대에서의 검출 횟수의 비율
HPa : 높은 주파수대에서의 공기 조화기 판정 임계값
HPh : 높은 주파수대에서의 중가사용 기기 판정 임계값
HPn : 임의의 샘플링회가 낮은 주파수대에서의 검출 횟수의 비율
HPt : 높은 주파수대에서의 방송 수신 기기 판정 임계값
HWc : 높은 주파수대에서의 중가사용 기기 판정 폭
m : 샘플링 횟수

Claims (13)

  1. 소리 센서와, 횡류 팬의 축 방향에는 분출구의 양단부보다 내측에서 분출 풍로 상벽의 최하단부와 흡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소리 센서와 실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과, 상기 흡입구에 위치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청소하는 자동 청소 장치를 구비하고,
    재실자의 움직임량 또는 실내의 바닥 혹은 벽으로부터의 복사량을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와, 실온의 설정부와,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적외선 센서의 검출 결과와 상기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하는 활동량 판정부를 갖고,
    상기 활동량 판정부에서 판정된 재실자의 활동 판정량을 기초로,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정해진 목표값을 변경하고,
    상기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음원의 종류를 판정하는 음원의 종류의 판정 임계값을 설정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를 설치한 실내에서, 정숙한 상태로 운전 또는 정지하여 상기 소리 센서에 의해 기준 환경음을 측정하는 기준 환경음 측정 기간에서의 상기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상기 판정 임계값을 보정하는 임계값 보정부를 갖고, 상기 활동량 판정부는 임계값 보정부에서 보정된 판정 임계값에 따라서 음원의 종류를 판정하고, 판정된 음원의 종류와 상기 적외선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하는, 공기 조화기.
  2. 소리 센서와, 횡류 팬의 축 방향에는 분출구의 양단부보다 내측에서 분출 풍로 상벽의 최하단부와 흡입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소리 센서와 실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과, 재실자의 움직임량을 검출하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실내의 바닥 혹은 벽으로부터의 복사량을 검출하는 서모 파일과, 실온의 설정부와,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초전형 적외선 센서의 검출 결과 또는 상기 서모 파일의 검출 결과와 상기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하는 활동량 판정부를 갖고,
    상기 활동량 판정부에서 판정된 재실자의 활동 판정량을 기초로,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정해진 목표값을 변경하고,
    상기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음원의 종류를 판정하는 음원의 종류의 판정 임계값을 설정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를 설치한 실내에서, 정숙한 상태로 운전 또는 정지하여 상기 소리 센서에 의해 기준 환경음을 측정하는 기준 환경음 측정 기간에서의 상기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상기 판정 임계값을 보정하는 임계값 보정부를 갖고, 상기 활동량 판정부는 임계값 보정부에서 보정된 판정 임계값에 따라서 음원의 종류를 판정하고, 판정된 음원의 종류와 상기 적외선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하는, 공기 조화기.
  3. 소리 센서와, 횡류 팬의 축 방향에는 분출구의 양단부보다 내측에서 분출 풍로 상벽의 최하단부와 흡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소리 센서와 실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과, 상기 흡입구에 위치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청소하는 자동 청소 장치를 구비하고,
    재실자의 움직임량 또는 실내의 바닥 혹은 벽으로부터의 복사량을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와, 실온의 설정부와,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적외선 센서의 검출 결과와 상기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하는 활동량 판정부를 갖고,
    상기 활동량 판정부에서 판정된 재실자의 활동 판정량을 기초로,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정해진 목표값을 변경하고,
    상기 소리 센서와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이 동일한 기판, 센서 베이스, 또는 케이스에 탑재, 장착, 또는 수납되고,
    상기 소리 센서와 상기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이 상기 횡류 팬 축 방향의 상기 분출구 중심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
  4. 소리 센서와, 횡류 팬의 축 방향에는 분출구의 양단부보다 내측에서 분출 풍로 상벽의 최하단부와 흡입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소리 센서와 실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과, 재실자의 움직임량을 검출하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실내의 바닥 혹은 벽으로부터의 복사량을 검출하는 서모 파일과, 실온의 설정부와,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초전형 적외선 센서의 검출 결과 또는 상기 서모 파일의 검출 결과와 상기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하는 활동량 판정부를 갖고,
    상기 활동량 판정부에서 판정된 재실자의 활동 판정량을 기초로,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정해진 목표값을 변경하고,
    상기 소리 센서와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이 동일한 기판, 센서 베이스, 또는 케이스에 탑재, 장착, 또는 수납되고,
    상기 소리 센서와 상기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이 상기 횡류 팬 축 방향의 상기 분출구 중심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
  5. 소리 센서와, 횡류 팬의 축 방향에는 분출구의 양단부보다 내측에서 분출 풍로 상벽의 최하단부와 흡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소리 센서와 실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과, 상기 흡입구에 위치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청소하는 자동 청소 장치를 구비하고,
    재실자의 움직임량 또는 실내의 바닥 혹은 벽으로부터의 복사량을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와, 실온의 설정부와,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적외선 센서의 검출 결과와 상기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하는 활동량 판정부를 갖고,
    상기 활동량 판정부에서 판정된 재실자의 활동 판정량을 기초로,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정해진 목표값을 변경하고,
    상기 소리 센서와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이 동일한 기판, 센서 베이스, 또는 케이스에 탑재, 장착, 또는 수납되고,
    상기 소리 센서와 상기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의 중심부 사이의 상호 거리의 최대값을, 상기 횡류 팬의 축 방향을 X 좌표축으로 하는 3차원의 직각 좌표로 나타냈을 때에, X 좌표의 값이 다른 좌표축의 값보다도 큰, 공기 조화기.
  6. 소리 센서와, 횡류 팬의 축 방향에는 분출구의 양단부보다 내측에서 분출 풍로 상벽의 최하단부와 흡입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소리 센서와 실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과, 재실자의 움직임량을 검출하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실내의 바닥 혹은 벽으로부터의 복사량을 검출하는 서모 파일과, 실온의 설정부와,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초전형 적외선 센서의 검출 결과 또는 상기 서모 파일의 검출 결과와 상기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하는 활동량 판정부를 갖고,
    상기 활동량 판정부에서 판정된 재실자의 활동 판정량을 기초로,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정해진 목표값을 변경하고,
    상기 소리 센서와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이 동일한 기판, 센서 베이스, 또는 케이스에 탑재, 장착, 또는 수납되고,
    상기 소리 센서와 상기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의 중심부 사이의 상호 거리의 최대값을, 상기 횡류 팬의 축 방향을 X 좌표축으로 하는 3차원의 직각 좌표로 나타냈을 때에, X 좌표의 값이 다른 좌표축의 값보다도 큰, 공기 조화기.
  7. 소리 센서와, 횡류 팬의 축 방향에는 분출구의 양단부보다 내측에서 분출 풍로 상벽의 최하단부와 흡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소리 센서와 실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과, 상기 흡입구에 위치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청소하는 자동 청소 장치를 구비하고,
    재실자의 움직임량 또는 실내의 바닥 혹은 벽으로부터의 복사량을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와, 실온의 설정부와,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적외선 센서의 검출 결과와 상기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하는 활동량 판정부를 갖고,
    상기 활동량 판정부에서 판정된 재실자의 활동 판정량을 기초로,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정해진 목표값을 변경하고,
    상기 소리 센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을 보이기 어렵게 하는 차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횡류 팬의 축 및 상기 분출구의 길이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차폐 부재가 상하 풍향판과 연동하여 이동하는, 공기 조화기.
  8. 소리 센서와, 횡류 팬의 축 방향에는 분출구의 양단부보다 내측에서 분출 풍로 상벽의 최하단부와 흡입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소리 센서와 실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과, 재실자의 움직임량을 검출하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실내의 바닥 혹은 벽으로부터의 복사량을 검출하는 서모 파일과, 실온의 설정부와,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초전형 적외선 센서의 검출 결과 또는 상기 서모 파일의 검출 결과와 상기 소리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하는 활동량 판정부를 갖고,
    상기 활동량 판정부에서 판정된 재실자의 활동 판정량을 기초로,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정해진 목표값을 변경하고,
    상기 소리 센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을 보이기 어렵게 하는 차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횡류 팬의 축 및 상기 분출구의 길이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차폐 부재가 상하 풍향판과 연동하여 이동하는, 공기 조화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가 상하 풍향판의 일부로 구성되는, 공기 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풍향판이 후방부 상하 풍향판과 상기 차폐 부재로 되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부 상하 풍향판에 투명 부분과, 불투명 부분을 형성하는, 공기 조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운전 정지시에, 상기 불투명 부분에서 상기 소리 센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 또는 서모 파일을 보이기 어렵게 하고, 상기 투명 부분으로 내부 표시부를 덮는, 공기 조화기.
  12. 삭제
  13. 삭제
KR1020110085408A 2010-10-15 2011-08-26 공기 조화기 KR101291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32076 2010-10-15
JP2010232076A JP5517877B2 (ja) 2010-10-15 2010-10-15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456A KR20120039456A (ko) 2012-04-25
KR101291883B1 true KR101291883B1 (ko) 2013-07-31

Family

ID=46038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408A KR101291883B1 (ko) 2010-10-15 2011-08-26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17877B2 (ko)
KR (1) KR101291883B1 (ko)
CN (1) CN1024550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7851B2 (ja) * 2013-03-14 2017-10-0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6483342B2 (ja) * 2014-03-20 2019-03-13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4165438B (zh) * 2014-07-30 2017-02-15 广东美的集团芜湖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控制方法和系统
CN104315663B (zh) * 2014-10-29 2017-04-1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控制空气净化器工作的方法及装置
WO2017026071A1 (ja) * 2015-08-13 2017-02-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センサユニット及びセンサユニット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CN105202713B (zh) * 2015-10-27 2020-12-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及其运行状态播放方法和装置和智能终端
CN105258226B (zh) * 2015-11-17 2019-03-12 美的集团武汉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
CN106152454A (zh) * 2016-08-08 2016-11-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装饰条、空调器及装饰条的装配方法
CN106288183B (zh) * 2016-08-15 2021-11-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控制方法和装置
CN106288187B (zh) * 2016-08-15 2021-11-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控制方法和装置
CN108931036A (zh) * 2017-05-18 2018-12-04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声源定位控制空调风避人的方法及空调器
CN111051785B (zh) * 2017-08-29 2021-07-13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机
CN108562018B (zh) * 2018-03-02 2019-11-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控制方法及系统
CN108332381A (zh) * 2018-03-07 2018-07-27 徐宏亮 一种乐器房空调器及其控制方法
CN108317689B (zh) * 2018-03-07 2020-11-20 如东道博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乐器房空调器及其控制方法
CN108317693B (zh) * 2018-03-07 2021-01-19 范雪梅 一种乐器房空调器及其控制方法
CN108413579B (zh) * 2018-03-07 2021-02-05 江海军 一种乐器房空调器及其控制方法
CN110873386A (zh) * 2018-08-31 2020-03-1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及其自清洁的控制方法
CN109520092B (zh) * 2018-12-03 2019-10-08 龙马智声(珠海)科技有限公司 一种室内环境参数控制方法及空气调节装置
CN110853294A (zh) * 2019-10-29 2020-02-28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利用家用电器进行监控的方法、装置和计算机存储介质
CN111964154B (zh) * 2020-08-28 2021-09-21 邯郸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控制方法、运行控制装置及空调器
CN112503744B (zh) * 2020-12-02 2021-12-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的控制方法和装置
CN113944955A (zh) * 2021-10-26 2022-01-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室内机、空调器及空调器的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8038B2 (ja) * 1990-09-11 1998-10-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活動量センシングによる空気調和装置
JP2000081242A (ja) * 1998-09-04 2000-03-21 Toshiba Ave Co Ltd 空気調和機の音声報知装置
KR20100092573A (ko) * 2009-02-13 2010-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체 감지 에어컨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6848A (ja) * 1998-12-18 2000-07-04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4950001B2 (ja) * 2007-11-07 2012-06-13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183408B2 (ja) * 2008-10-06 2013-04-1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260224B2 (ja) * 2008-10-07 2013-08-1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193791B2 (ja) * 2008-10-07 2013-05-0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020222B2 (ja) * 2008-12-08 2012-09-0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547029B2 (ja) * 2009-02-10 2010-09-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8038B2 (ja) * 1990-09-11 1998-10-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活動量センシングによる空気調和装置
JP2000081242A (ja) * 1998-09-04 2000-03-21 Toshiba Ave Co Ltd 空気調和機の音声報知装置
KR20100092573A (ko) * 2009-02-13 2010-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체 감지 에어컨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83088A (ja) 2012-04-26
JP5517877B2 (ja) 2014-06-11
KR20120039456A (ko) 2012-04-25
CN102455036B (zh) 2014-11-26
CN102455036A (zh) 201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883B1 (ko) 공기 조화기
JP5646969B2 (ja) 空気調和機
JP5309102B2 (ja) 空気調和機
KR101310545B1 (ko) 공기 조화기
JP5325854B2 (ja) 空気調和機
KR101291967B1 (ko) 공기 조화기
JP4125354B1 (ja) 空気調和機
KR102407963B1 (ko) 공기조화기
KR102373652B1 (ko) 인공지능 공기조화기의 동작 방법
KR101109973B1 (ko) 공기 조화기
KR101102689B1 (ko) 공기 조화기
JP2008224132A (ja) 空気調和機
JP5320361B2 (ja) 空気調和機
JP4125347B1 (ja) 空気調和機
KR20230061308A (ko)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JP4125348B1 (ja) 空気調和機
JP5325855B2 (ja) 空気調和機
KR20190026520A (ko)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5325853B2 (ja) 空気調和機
CN114811911A (zh) 用于控制空调机的运转的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