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502B1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502B1
KR102229502B1 KR1020190030777A KR20190030777A KR102229502B1 KR 102229502 B1 KR102229502 B1 KR 102229502B1 KR 1020190030777 A KR1020190030777 A KR 1020190030777A KR 20190030777 A KR20190030777 A KR 20190030777A KR 102229502 B1 KR102229502 B1 KR 102229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door unit
air conditioner
gril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037A (ko
Inventor
김학재
도승현
윤형욱
이은순
전경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0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502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24F11/526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giving audible ind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벽면에 설치되는 본체 조립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음성 인식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음성 인식장치는 사용자의 머리 높이와 유사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음성 인식율이 개선될 수 있다. 특히, 음성 인식장치는 하부 그릴에 설치되어, 실내기의 하단부로 전달되는 음성의 인식이 용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위치에 따라, 직립형, 벽걸이형 또는 천장형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벽걸이형 실내기는 수직한 벽면에 부착되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 조화기로서 이해된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마이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명령을 입력하면, 실내기는 음성명령에 기초하여, 토출기류의 풍량 또는 풍향등이 조절될 수 있다.
마이크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선행문헌이 개시된다.
1. 공개번호 (공개일) : 10-2006--0097455호(2006년 9월 14일)
2. 발명의 명칭 : 음성인식기능이 구비된 멜로디 공기조화기
위 선행문헌에 의하면, 직립형 실내기의 전면에 마이크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직립형 실내기의 경우, 바닥면에 세워져 설치되므로 사용자의 얼굴 높이에 마이크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그러나, 벽걸이형 실내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벽면의 다소 높은 위치에 설치되므로 사용자의 얼굴 높이에 마이크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또한, 벽걸이형 실내기에 형성되는 토출부는 실내기의 전방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데, 마이크가 상기 토출부의 주변에 배치되는 경우 토출기류에 의하여 음성인식율이 낮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내기에 음성인식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음성명령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음성명령에 기초하여 작동 제어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내기로부터 토출되는 토출기류에 영향을 적게 받는 음성인식 장치의 위치를 제안하여, 음성 인식율을 높일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음성인식 장치를 전방 토출부 또는 하부 토출부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토출기류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성인식 장치는 실내기의 하부 그릴에 배치되고, 다수 개의 마이크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음성이 용이하게 수집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는 음성인식 장치의 하부에 배치되고, 장치 브라켓이 상기 마이크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마이크 주변에서의 실링효과를 개선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하부 그릴에 프레임 홀을 형성하여 음성을 마이크측으로 용이하게 가이드 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홀의 형상은, 상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실링부재와 프레임 홀 사이의 실링효과를 개선하고 음성의 수집이 용이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체 조립체에 스피커를 설치하여, 사용자에게 음성 안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벽면에 설치되는 본체 조립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음성 인식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음성 인식장치는 사용자의 머리 높이와 유사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음성 인식율이 개선될 수 있다. 특히, 음성 인식장치는 하부 그릴에 설치되어, 실내기의 하단부로 전달되는 음성의 인식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인식장치는 전방 토출부의 측방에 배치되므로, 음성 인식과정에서 상기 전방 토출부에서 전방으로 토출되는 기류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인식장치는 하부 토출부의 측방에 배치되므로, 음성 인식과정에서 상기 하부 토출부에서 하방으로 토출되는 기류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음성 인식장치에는 하부 그릴의 상면에 설치되는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장치 브라켓이 포함되어, 상기 마이크 주변에서의 실링 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그릴에는 상방을 향하여 직경이 감소하는 프레임 홀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홀의 상부에는 실링부재가 설치되므로, 상기 실링부재 주변에서의 프레임 홀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실링부재와 프레임 홀 사이에서의 실링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홀의 직경이 마이크를 향하여 감소하도록 구성되므로, 마이크로 전달되는 음성의 수집(집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인식장치에는 하부 그릴의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로 구성되는 마이크가 포함되므로, 음성 인식율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체 조립체의 후면에 스피커가 구비되고,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은 실내기의 후방을 향하여, 특히 실내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필터 어셈블리를 향함으로써 외부로의 전달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케이스의 하면을 형성하는 그릴 프레임이 구비되는 본체조립체; 상기 본체조립체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면을 형성하는 패널조립체; 상기 그릴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며, 공기를 토출하는 하부 토출부; 상기 그릴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토출부의 측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홀; 및 상기 프레임 홀의 상측에 구비되며, 마이크가 구비되는 음성 입력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그릴 프레임에는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하부가 포함되며, 상기 프레임 홀은 상기 프레임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프레임에는,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전방 토출부가 포함되며, 상기 프레임 홀은 상기 전방 토출부의 측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조립체는 상기 전방 토출부의 전방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전방 토출부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하부의 상면에 놓여지는 장치 브라켓이 더 포함되며, 상기 음성 입력장치는 상기 장치 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 브라켓에는, 상기 프레임 하부에 체결되는 다수의 브라켓체결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음성 입력장치는 상기 다수의 브라켓체결부재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 브라켓은 상하 방향으로 단차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 브라켓에는, 상기 장치 브라켓의 상부를 구성하며 상기 다수의 브라켓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제 1 파트; 및 상기 제 1 파트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음성 입력장치의 상면에 접촉하는 제 2 파트가 포함된다.
상기 장치 브라켓 본체에는, 상기 제 2 파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 하부에 접촉하는 제 3 파트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 3 파트는 상기 음성 입력장치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입력장치에는 기판이 더 포함되며, 상기 기판에는 상기 프레임 홀을 통하여 전달되는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의 상면에는, 상기 마이크 홀과 연통하여 음성을 수집하는 상기 마이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입력장치에는 상기 프레임 홀과 상기 기판의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부재가 더 포함된다.
상기 실링부재에는, 상기 프레임 홀과 연통하는 실링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개구부의 직경(D3)은 상기 마이크 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홀은, 상단부의 직경이 하단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홀의 직경은,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기 상단부를 향하여 점점 작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개구부의 직경(D3)은 상기 프레임 홀의 상단부 직경(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홀의 상단부 직경(D2)은 상기 마이크 홀의 직경(D4)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서로 이격된 다수의 그릴 바가 포함되는 하부 그릴이 더 포함되며, 상기 프레임 홀은 상기 다수의 그릴 바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홀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프레임 홀에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 1,2 프레임홀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입력장치에는, 상기 프레임 하부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기판의 측면부 또는 후면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커버가 더 포함된다.
상기 본체 조립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음성 또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실내기에 음성인식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음성명령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음성명령에 기초하여 작동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실내기로부터 토출되는 토출기류에 영향을 적게 받는 음성인식 장치의 위치를 제안하여, 음성 인식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음성인식 장치를 전방 토출부 또는 하부 토출부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토출기류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인식 장치는 실내기의 하부 그릴에 배치되고, 다수 개의 마이크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음성이 용이하게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는 음성인식 장치의 하부에 배치되고, 장치 브라켓이 상기 마이크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마이크 주변에서의 실링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하부 그릴에 프레임 홀을 형성하여 음성을 마이크측으로 용이하게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홀의 형상은, 상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실링부재와 프레임 홀 사이의 실링효과를 개선하고 음성의 수집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체 조립체에 스피커를 설치하여, 사용자에게 음성 안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가 벽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이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의 실내기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의 부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8-8'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본체와 그릴 프레임의 조립체(이하, 본체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가 제거된 상태에서, 실내기의 전면부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가 제거된 상태에서,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릴 프레임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의 이동을 위한 패널 구동부 를 보여주는 패널 조립체와 케이스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및 홀더 브라켓의 구성을 보여주는 패널 조립체와 케이스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조립체의 후방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트롤박스 및 파워 컨트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모듈의 상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모듈의 하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21-21'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7의 22-2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17의 24-24'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릴 프레임의 저면 일부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6은 도 1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7a는 상기 실내기에서 하방 토출되는 경우의 실내기의 작용 및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7b는 상기 실내기에서 전방 토출되는 경우의 실내기의 작용 및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가 벽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이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의 실내기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는 벽(W)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에는, 벽(W)에 고정되는 설치 플레이트(20)와, 상기 설치 플레이트(20)의 전방에 결합되는 샤시(30) 및 상기 샤시(30)의 전방에 결합되는 케이스(100)가 포함된다.
상기 설치 플레이트(20)는 실내기(10)를 벽(W)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품으로서, 상기 벽(W)에 결합된 후 샤시(30)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설치 플레이트(20)는 얇은 판상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샤시(30)의 후면에 결합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샤시(30)의 하부를 지지하는 양측부가 포함된다.
상기 샤시(30) 및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송풍팬(40) 및 열교환기(6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샤시(30)에는, 상기 설치 플레이트(20)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결합부(31) 및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31)로부터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송풍팬(4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리어 가이드(33)가 포함된다.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31)는 얇은 판상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리어 가이드(33)는 상기 송풍팬(40)에서 토출된 기류를 토출부(126,129)측으로 가이드 하는 유동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상기 송풍팬(40)에는 횡류팬이 포함된다. 상기 횡류팬은 실내기(10)의 상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원주 방향으로 흡입하여 원주 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팬(40)의 축방향은 실내기(10)의 가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송풍팬(40)은 상기 샤시(3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샤시(30)에는, 상기 리어 가이드(33)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송풍팬(40)의 양측단을 지지하는 2개의 팬 지지부(35)가 더 포함된다. 상기 2개의 팬 지지부(35)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는, 상기 송풍팬(40)을 구동하는 팬 모터(4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 모터(45)의 축은 상기 팬 지지부(35)를 관통하여 상기 송풍팬(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팬 모터(45)에는 모터 커버(47)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팬 지지부(35)와 상기 모터 커버(47)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상기 팬 모터(4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샤시(30)의 측방부에는 실내기(10)의 작동을 위한 제어 부품이 구비되는 메인 컨트롤박스(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박스(50)는 상기 팬 모터(45)의 측방에 위치되며, 후술할 케이스 본체(11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샤시(30)와 상기 케이스(100)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는 열교환기(60)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기(60)는 상기 송풍팬(40)의 흡입측에 배치되며, 상기 샤시(3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60)는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열교환기(60)에는, 상기 실내기(10)의 전면부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하 연장되는 제 1 열교환부(61)와, 상기 제 1 열교환부(61)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열교환부(63) 및 상기 제 2 열교환부(63)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3 열교환부(65)가 포함된다. 상기 제 1~3 열교환부(61,63,65)는 상기 송풍팬(40)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팬(4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60)에는 열교환기 홀더(67)가 결합된다. 상기 열교환기 홀더(67)는 상기 열교환기(60)는 측방에 결합되며,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60)에는 냉매 튜브(70)가 결합된다. 상기 냉매 튜브(70)는 냉매를 상기 열교환기(60)로 유입시키거나, 상기 열교환기(60)에서 배출된 냉매의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냉매 튜브(70)는 상기 열교환기(60)의 측방에 결합되며, 상기 냉매 튜브(70)의 외측에는 튜브 커버(75)가 감싸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샤시(30)의 하측에는 실내기(1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 플레이트(55)가 배치된다.
상기 샤시(30)의 전방에는 케이스(100)가 구비된다. 상기 샤시(30)와 상기 케이스(100)의 조립체는 "실내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실내기의 본체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공기 흡입부를 정의하는 상면 개구부(115a)가 형성되며, 상기 상면 개구부(115a)에는 필터 어셈블리(90)가 설치된다. 상기 상면 개구부(115a)는 케이스 본체(110)의 상면부(115)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토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부에는 하부 토출부(126) 및 전방 토출부(129)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토출부(126)는 그릴 프레임(120)의 개구된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방 토출부(129)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에는, 열교환기(60)의 하부에 배치되는 드레인 팬(8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팬(80)에는, 토출기류의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제어하는 좌우 베인(83)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좌우 베인(83)은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어 토출기류의 좌우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좌우 베인(83)는 다수 개가 구비되어 하나의 링크 바아에 연결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좌우 베인(83)은 상기 링크 바아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토출부(126)에는 토출기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상하 베인(160, 도 5 참조)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하 베인(160)은 회전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공되어 토출기류의 상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부에는, 실내기(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50)이 포함된다.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실내기(10)의 작동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5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실내기(10)의 전원이 켜지면 초기 동작으로서 상기 전면 패널(150)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의 전면부, 즉 후술할 본체 조립체(110,120)의 전면부에는 실내공간의 영상 또는 내실자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 센서(300)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는 전방 토출부(129) 또는 하부 토출부(126)의 측방(도 3 기준 우측)에 배치되며, 전방을 향하여 화각(angle of view)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방 토출부(129) 또는 상기 하부 토출부(126)에서 토출되는 기류는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가 구동하지 않을 때, 상기 전면 패널(150)은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를 차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인체감지 센서(30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이물이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를 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의 전원이 온 되어 구동하기 시작하면 초기동작으로서 상기 전면 패널(150)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에는 렌즈(320)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렌즈(320)는 전방을 향하여 화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는 상기 그릴 본체(120)의 하부 그릴(125a)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에는, 상기 렌즈(320)의 전방에 정렬되는 렌즈 홀(335)을 가지는 센서 가이드(3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센서 가이드(330)는 상기 렌즈(320)의 전측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320)의 화각을 형성하기 위하여 후방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 가이드(330)에는, 렌즈(320)의 전단부 형상에 대응하는 렌즈 홀(33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렌즈 홀(335)을 통하여 상기 렌즈(320)의 전단부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의 측방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음성 인식장치(530, 도 17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장치(530)는 상기 전방 토출부(129)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음성 인식장치(530)는 상기 전방 토출부(129)와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실내기(10)의 전방 테두리부 외관을 형성하는 그릴 프레임(120)이 포함된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는 하부 그릴(125a) 및 측면 그릴(125b)을 가지는 그릴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그릴(125a)의 대략 중앙부에는 하부 토출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기 위한 프레임 홀(121c)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 홀(121c)은 상기 하부 그릴(125a)의 상부에 관통하여 형성되며,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1,2 프레임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토출부(129)의 측방에는, 좌우 베인(83)을 구동하기 위한 좌우베인 모터(85)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전방 토출부(129)의 상하방향 기준 대략 중앙부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바아(128a)가 더 포함된다. 상기 가로 바아(128a)는 사용자의 손이 투입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좌우베인 모터(85) 및 상기 가로 바아(128a)의 전방에는 전면 커버(128b)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는 상기 전면 커버(128b)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의 전방에는 센서 커버(305, 도 8 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커버(305)는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의 센서 가이드(330)와 상기 전면 패널(1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케이스(100)의 구성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의 부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8-8'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0)에는, 전면 패널(150)이 포함된다.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얇은 판상의 패널 본체(151) 및 상기 패널 본체(151)에 개구되며 디스플레이(156)가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홀(152)이 포함된다. 상기 패널 본체(151)는 일례로, 4각 판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은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50)을 제외한 케이스(100)의 다른 구성은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0)이 구동하면 진동이 발생하며 상기 진동은 실내기의 떨림을 유도하여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전면 패널(150)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금속 소재로 구성됨으로써,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금속 소재의 떨림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금속 소재는 플라스틱 수지에 비하여 오염발생 가능성이 낮고, 오염이 발생하더라도 쉽게 청소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소정의 질감을 느낄 수 있도록 표면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 패널(150)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4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은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에 면접촉 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과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조립체를 "패널 조립체"라 이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 프레임(140)에는, 대략 4각 판의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 본체(141) 및 상기 프레임 본체(141)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개구부(143)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부(143)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디스플레이 홀(152) 후방에 정렬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부(143)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에는 회로기판 및 디스플레이부(156)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6)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의 전방부를 구성하며, 상기 전면 패널(150)의 디스플레이 홀(152)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에는, 상기 프레임 본체(141)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레일 결합부(145)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 본체(141)와 양측의 레일 결합부(145)에 의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40)은 전체적으로 "ㄷ"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방에 구비되며, 토출부(126,129)를 형성하는 그릴 프레임(120)이 더 포함된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전면은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 대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은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며, 일례로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가지는 ABS 수지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하부 및 양 측면부에는 실내기(10)의 하부 및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그릴부(125)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 토출부(126)는 상기 그릴부(125) 중 하부 그릴(125a)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 그릴(125a)은 상기 하부 토출부(126)로부터 하방으로 더 연장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하부 토출부(126)는 외부에 잘 보여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실내기의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토출부(126)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하부 그릴(125a)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하방으로의 직진성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양측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145)가 삽입되는 프레임 삽입부(127a,127b)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 결합부(145)는 상기 프레임 삽입부(127a,127b)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며, 레일(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일(130)은 실내기(1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후방에는 케이스 본체(110)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 본체(1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전방부, 하부 및 상부가 개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과 상기 케이스 본체(110)는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릴 프레임(120)과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조립체를 "본체 조립체"라 이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 본체(110)에는, 본체 전면부(111)와, 본체 측면부(112)와, 본체 후면부(114) 및 본체 상면부(115)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 전면부(111)에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 의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덮여지는 전면 개구부(111a)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 개구부(111a)의 하부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전방 토출부(129)와 전후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기의 기류는 상기 전면 개구부(111a)의 하부 및 상기 전방 토출부(129)를 경유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는 상기 전방 토출부(129)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측면부(112)의 내측에는 상기 메인 컨트롤박스(5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 측면부(112)의 외면에는 레일(30)이 놓여지는 레일 안착부(113)가 포함된다. 상기 그릴부(125)는 상기 레일 안착부(113)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그릴부(125)와 상기 레일 안착부(113)의 사이에는 상기 레일(130)이 설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 결합부(145)는 상기 레일(13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레일 결합부(145)는 상기 레일(13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후면부(114)에는, 후면 개구부(114a)가 형성된다. 상기 후면 개구부(114a)에는 샤시(3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 조립체(110,120)와 상기 샤시(30)가 결합되어 실내기(10)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하고,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는 실내기(10)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상면부(115)에는, 필터 어셈블리(90)가 장착되는 상면 개구부(115a)가 형성된다. 상기 상면 개구부(115a)는 공기 흡입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 개구부(115a)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필터 어셈블리(90)를 지지하는 필터 지지부(115b)가 제공된다. 상기 필터 지지부(115b)는 상기 본체 전면부(111)로부터 본체 후면부(114)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지지부(115b)는 다수 개가 구비되어, 서로 이격하여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토출기류의 상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상하 베인(160)이 구비된다. 상기 상하 베인(160)의 측방에는 상기 상하 베인(160)을 구동하기 위한 베인 모터(162) 및 상기 베인 모터(162)를 둘러싸는 베인모터 커버(163)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의 상방 또는 하방 이동을 위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패널 구동부(1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패널 구동부(170)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후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패널 구동부(170)에 구비되는 기어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을 관통하여 상기 패널 조립(140,150)에 접촉한다. 상기 패널 구동부(170)는 상기 케이스(100)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패널 조립체(170)에 안정적인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실내기(10)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습도 센서(194)가 더 포함된다. 상기 온습도 센서(194)에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가 포함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본체 측면부(112)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본체 측면부(112)의 하부에는 상기 온습도 센서(194)가 설치되는 센서 장착부(113a)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 장착부(113a)는 상기 레일 안착부(113)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센서 장착부(113a)와 상기 레일 안착부(113)의 사이에는 구획리브(113b)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그릴부(125)의 측면 그릴(125b)은 상기 레일 안착부(113) 및 상기 센서 장착부(113a)의 측방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측면 그릴(125b)에는, 상기 온습도 센서(194)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센서 홀이 형성되어 실내기(10)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실내기(10) 주변의 공기질 정보를 감지하는 먼지센서(192)가 더 포함된다. 상기 먼지센서(192)는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본체 측면부(112)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 본체(110)에는 먼지센서 개구부(112a)가 형성되며, 상기 먼지센서 개구부(112a)에는 먼지센서 커버(192a, 도 12 참조)가 분리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먼지센서(192)의 청소를 위하여 상기 먼지센서 커버(192a)는 분리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청소기구, 일례로 면봉등을 이용하여 상기 먼지센서(192)를 청소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90)에 쌓여진 먼지를 분리하기 위한 필터 청소장치(95) 및 상기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9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98)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90)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90)와 상기 먼지통(98)의 사이에는, 브러시(9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97)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90)에 구비되는 프리 필터와 접촉하여 상기 프리 필터에 쌓인 이물을 털어낼 수 있다.
상기 프리 필터는 필터 회전모터(92)에 의하여 무한궤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프리 필터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프리 필터와 상기 브러시(97)의 접촉에 의하여 이물이 상기 프리 필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회전모터(92)는 모터 커버(93)에 의하여 둘러싸여지며, 케이스 본체(110)의 내측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청소장치(95)는 상기 먼지통(98)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컨트롤박스(5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청소장치(95)가 구동하면, 상기 필터 청소장치(95)의 흡입력은 상기 먼지통(98)을 경유하여 상기 필터 어셈블리(90)에 작용하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90)로부터 분리된 이물은 상기 먼지통(98)에 저장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본체와 그릴 프레임의 조립체(이하, 본체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가 제거된 상태에서, 실내기의 전면부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에는, 프레임 전면부(121)를 가지는 그릴 프레임(120)이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는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 대향하며 그 하부에는 전방 토출부(1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토출부(129)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에는,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의 양측에 형성되는 프레임 개구부(121f,121g)가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 개구부(121f,121g)는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의 우측부 및 좌측부에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며, 대략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 개구부(121f,121g)에는, 제 1 개구부(121f) 및 제 2 개구부(121g)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개구부(121f)는 상기 제 2 개구부(121g)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방으로 돌출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가 상기 제 1 개구부(121f)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2 개구부(121f,121g)을 통하여, 상기 그릴 프레임(120) 후방의 케이스 본체(110)의 적어도 일부분은 노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개구부(121f)를 통하여 본체 전면부(111) 및 상기 본체 전면부(111) 측방의 제 1 레일(130a)이 전방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개구부(121g)를 통하여 제 2 레일(130b)이 전방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2 개구부(121f,121g)에는 각각, 지지 프레임(140)의 레일 결합부(145)가 삽입되는 프레임 삽입부(127a,127b)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 삽입부(127a,127b)에는, 상기 제 1 개구부(121f)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며 2개의 레일 결합부(145)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 제 1 프레임삽입부(127a)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삽입부(127a,127b)에는, 상기 제 2 개구부(121g)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2개의 레일 결합부(145) 중 다른 하나가 삽입되는 제 2 프레임삽입부(127b)가 포함된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제 1 프레임삽입부(127a)는 케이스 본체(110)에 구비되는 제 1 레일(130a)과 상기 제 1 개구부(121f)의 단부 사이의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프레임삽입부(127b)는 케이스 본체(110)에 구비되는 제 2 레일(130b)과 상기 제 2 개구부(121g)의 단부 사이의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레일 결합부(145)는 상기 제 1,2 프레임삽입부(127a,127b)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하며, 제 1,2 레일(130a,130b)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가 제거된 상태에서,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릴 프레임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릴 프레임(120)의 후측에는, 전면 패널(15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패널 구동부(170)가 배치된다. 상기 패널 구동부(170)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제 1 패널구동부(170a) 및 제 2 패널구동부(170b)가 포함된다.
상기 패널 구동부(170)에는, 구동모터(171)에 의하여 회전하며 지지 프레임(140)의 랙(148)과 연동하는 제 4 기어(173c)가 포함된다. 상기 제 4 기어(173c)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랙(148)에 연동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에는 개구된 기어 홀(122)이 형성된다. 상기 기어 홀(122)은 상기 제 4 기어(173c)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 기어(173c)는 상기 제 1,2 패널구동부(170a,170b)에 각각 구비되므로, 이에 대응하여 상기 기어 홀(122)은 프레임 전면부(121)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 기어(173c)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의 후측에 위치되며 다른 일부분은 상기 기어 홀(122)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는,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의 하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하부(121a) 및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의 양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측면부(121b)가 더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 하부(121a) 및 상기 프레임 측면부(121b)에는, 다수의 그릴을 가지는 그릴부(125)가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그릴은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하부와 양 측면부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그릴부(125)는 "∪"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그릴부(125)에는, 상기 프레임 하부(121a)를 구성하는 하부 그릴(125a)이 포함된다. 상기 하부 그릴(125a)의 적어도 일부분은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통 형성된 부분은 하부 토출부(126)를 형성하여 공기의 배출을 가이드 한다.
상기 하부 토출부(126)는 상기 하부 그릴(125a)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그릴(125a)의 양측부는 막혀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토출부(126)가 형성되는 영역 이외의 하부 그릴(125a) 영역에서는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그릴부(125)에는, 상기 하부 그릴(125a)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면 그릴(125b)이 더 포함된다. 상기 측면 그릴(125b)의 형상은 상기 하부 그릴(125a)의 형상과 동일하므로,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상기 하부 그릴(125a)과 상기 측면 그릴(125b)은 일체감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측면 그릴(125b)의 대부분은 외부와 연통되지 않도록 막혀지게 구성되며, 다만, 상기 온습도 센서(194)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외부와의 연통을 위하여 센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부(125)에는 상기 하부 토출부(126)에 구비되며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보강그릴(125c)이 더 포함된다. 상기 보강그릴(125c)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보강그릴(125c)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보강그릴(125c)에 의하여, 상기 그릴부(125) 중 상기 하부 토출부(126)가 형성되는 부분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상기 그릴부(125)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기 위한 프레임 홀(121c)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 홀(121c)은 상기 하부 그릴(125a)의 상부에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홀(121c)에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1,2 프레임홀(121c1,121c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2 프레임홀(121c1,121c2)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열되며, 상기 하부 토출부(126)의 측방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2 프레임홀(121c1,121c2)을 통하여 수집되는 음성은 상기 하부 토출부(126)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경로를 벗어나므로, 음성 인식율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의 이동을 위한 패널 구동부 를 보여주는 패널 조립체와 케이스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및 홀더 브라켓의 구성을 보여주는 패널 조립체와 케이스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140,150)는 그릴 프레임(120)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에는, 전면 패널(150) 및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에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140)이 포함된다.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상하 이동을 위한 구동기구가 더 포함된다.
상기 구동기구에는,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패널 구동부(170)가 포함된다. 상기 패널 구동부(170)는 그릴 프레임(12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패널 구동부(170a,170b)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패널 구동부(170a,170b)에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1 패널구동부(170a) 및 제 2 패널구동부(170b)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패널 구동부(170a,170b)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모터축을 가지는 구동모터(171) 및 상기 구동모터(171)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조립체가 포함된다.
상기 기어 조립체에는, 상기 모터 축에 결합되는 제 1 기어(171b)와, 상기 제 1 기어(171b)에 연동하는 제 2 기어(173a) 및 제 3 기어(173b)와, 상기 제 3 기어(173b)에 연동하는 제 4 기어(173c)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기어(173a) 및 상기 제 3 기어(173b)에는 제 1 기어축(174a)이 중심 결합된다. 상기 제 2,3 기어(173a,173b) 및 제 1 기어축(174a)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3 기어(173b)는 상기 제 2 기어(173a)의 측방에 결합되며, 상기 제 3 기어(173b)의 외경은 상기 제 2 기어(173a)의 외경보다 크고 더 많은 기어 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173a)는 상기 제 1 기어(171b)의 상측에 위치하여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 2,3 기어(173a,173b)는 동심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기어 조립체에는, 상기 제 3 기어(173b)와 연동하는 제 4 기어(173c)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4 기어(173c)는 상기 제 3 기어(173b)의 하측에 위치되며 제 2 기어축(174b)에 중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71)가 구동하면, 상기 제 1~4 기어의 연동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제 4 기어(173c)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4 기어(173c)는 지지 프레임(140)의 랙(148)과 기어 결합하여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는, 상기 패널 구동부(170)와 연동하는 랙(148)이 구비된다. 상기 랙(148)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되며, 다수의 기어 이가 포함된다.
상기 랙(148)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랙(148)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랙(148)에는, 제 1 랙(148a) 및 제 2 랙(148b)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2 랙(148b)은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의 후면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랙(148)은 상기 패널 구동부(170)의 제 4 기어(173c)와 기어 결합되어 연동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2 랙(148a,148c)은 상기 제 1,2 패널구동부(170a,170b)에 각각 구비되는 제 4 기어(173c)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홀더(178)가 삽입되는 홀더 브라켓(185)이 구비된다. 상기 홀더 브라켓(185)은 상기 제 1,2 랙(148a,148b)의 측방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홀더 브라켓(185)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홀더 브라켓(185)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홀더 브라켓(185)에는, 상기 제 1 랙(148a)의 측방에 위치하는 제 1 홀더브라켓(185a) 및 상기 제 2 랙(148b)의 측방에 위치하는 제 2 홀더브라켓(185b)이 포함된다.
상기 홀더 브라켓(185)에는 상기 홀더(178)의 일부분이 삽입되며,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 및 상기 홀더 브라켓(185)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홀더(178)는 상기 홀더 브라켓(185)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는, 연결 링크(180)가 장착된다. 상기 연결 링크(180)는 다수 회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 링크(18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링크(180)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와 메인 컨트롤박스(50)를 연결하는 전선, 일례로 전원선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연결 링크(180)의 내부에는 상기 전선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전선의 외측은 상기 연결 링크(180)에 의하여 둘러싸여진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는, 상기 패널 구동부(170)의 제 4 기어(173c)가 관통할 수 있는 기어 홀(122)이 형성된다. 상기 기어 홀(122)은 상기 제 1,2 패널구동부(170a,170b)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양측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는, 상기 홀더(178)가 통과하는 홀더 관통홀(122a)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 관통홀(122a)은 상기 기어 홀(122)의 측방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 관통홀(122a)은 상기 홀더(178)의 개수 및 상기 홀더 브라켓(185)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더(178)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홀더 관통홀(122a)을 통하여 전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178)는 상기 홀더 브라켓(185)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조립체의 후방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트롤박스 및 파워 컨트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조립체(110,120)에는 파워 컨트롤박스(500)가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파워 컨트롤박스(500)는 그릴 프레임(120)의 프레임 하부(121a)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워 컨트롤박스(500)는 상기 본체 조립체(110,120)의 측방 하부에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파워 컨트롤박스(500)는 케이스 본체(110)의 본체 측면부(112)와 그릴 프레임(120)의 프레임 하부(121a)가 만나는 부분, 즉 상기 본체 조립체(110,120)의 모서리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컨트롤박스(500)의 내부에는 파워 PCB가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파워 컨트롤박스(500)에는, 박스 본체(510) 및 상기 박스 본체(510)의 상측에 결합되는 박스 커버(520)가 포함된다.
상기 박스 커버(520)의 측면부에는 제 1 결합리브(522)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결합리브(522)에는 제 1 체결부재(541)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체결부재(541)는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본체 측면부(112)에 결합되어 상기 박스 커버(520)를 상기 본체 측면부(1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하부(121a)의 후방부에는 제 2 결합리브(121h)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결합리브(121h)에는 제 2 체결부재(543)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체결부재(543)는 상기 제 2 결합리브(121h)를 관통하여 박스 커버(520)의 결합보스(52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보스(523)는 상기 박스 커버(520)의 후방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박스 커버(520)의 후방부는 상기 상기 프레임 하부(121a)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컨트롤박스(500)에는, 상기 박스 본체(510)의 측방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마이크가 구비되는 음성 인식장치(5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음성 인식장치(530)는 상기 박스 본체(510)로부터 하부 토출부(126)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음성 인식장치(530)는 상기 박스 본체(510)와 상기 하부 토출부(126)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성 인식장치(530)는 상기 박스 본체(51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장치(530)에는 제 3 체결부재(536a,536b)가 결합되며, 상기 제 3 체결부재(536a,536b)는 상기 프레임 하부(121a)에 결합되어 상기 음성 인식장치(530)를 상기 프레임 하부(121a)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3 체결부재(536a,536b)는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제 3 체결부재(536a,536b)에는, 제 1 브라켓체결부재(536a) 및 제 2 브라켓체결부재(536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브라켓체결부재(536a,536b)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하여 장치 브라켓(540)에 체결되며, 상기 장치 브라켓(540)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프레임 하부(121a)에 밀착시킴으로써, 음성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마이크(552)로 수집될 수 있도록 실링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2 브라켓체결부재(536a,536b)에는, 스크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컨트롤박스(500)의 전방부에는, 센서 가이드(330)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센서 가이드(330)는 상기 박스 커버(520)의 전방부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 가이드(330)와 상기 박스 커버(520)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가이드(330)에는, 인체감지 센서(300)의 렌즈(320)가 삽입되는 렌즈 홀(335)이 형성된다. 상기 렌즈(320)는 메인 컨트롤박스(50)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렌즈(320))는 상기 메인 컨트롤박스(50)의 전면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박스(50)의 전면부에는 인체감지 센서(300), 즉 카메라 모듈을 지지하는 모듈 지지부(58)가 구비된다. 상기 모듈 지지부(58)는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의 렌즈(320)의 외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렌즈(320)는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렌즈(320)의 전단부는 상기 센서 가이드(330)의 렌즈 홀(335)에 맞춰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320)의 전방에는 센서 가이드(33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모듈의 상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모듈의 하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21-21'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모듈(500)에는, 박스 본체(510)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장치 브라켓(540)이 포함된다.
상기 장치 브라켓(540)에는, 음성 입력장치(550)가 설치되며 프레임 하부(121a)에 놓여지는 브라켓 본체(541)가 포함된다. 상기 브라켓 본체(541)의 하부는 개구되며, 개구된 하부에는 상기 음성 입력장치(5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본체(541)에는, 제 1,2 브라켓체결부재(536a,536b)가 결합되는 브라켓고정부(535a,535b)가 포함된다. 상기 브라켓고정부(535a,535b)는, 상기 제 1,2 브라켓체결부재(536a,536b)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고정부(535a,535b)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다수 개의 브라켓고정부(535a,535b)에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 1 브라켓고정부(535a) 및 제 2 브라켓고정부(535b)가 포함된다.
상기 브라켓 본체(541)에는, 상기 브라켓고정부(535a,535b)의 하측에 형성되는 함몰부(543,544)가 포함된다. 상기 함몰부(543,544)에는 상기 제 1 브라켓고정부(535a)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 1 함몰부(543) 및 상기 제 2 브라켓고정부(535b)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 2 함몰부(544)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함몰부(543,544)는 상기 브라켓 본체(541)의 개구된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되는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1,2 함몰부(543,544)에는, 프레임 하부(121a)에 구비되는 결합 브라켓(121d, 도 24 참조)이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 하부(121a)의 상측에 상기 장치 브라켓(540)이 설치되면, 상기 제 1,2 함몰부(543,544)에는 상기 결합 브라켓(121d)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본체(541)의 하부에는 음성 입력장치(550)가 설치되며, 상기 음성 입력장치(550)는 하부로부터 음성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음성 입력장치(550)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음성 입력장치(550)에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 1 음성입력장치(550a) 및 제 2 음성입력장치(550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음성입력장치(550a,550b)는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음성입력장치(550a)는 박스 본체(510)와 제 1 함몰부(543)의 사이, 즉 상기 박스 본체(510)와 제 1 브라켓고정부(535a)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음성입력장치(550b)는 상기 제 1 함몰부(543)와 상기 제 2 함몰부(544)의 사이, 즉 상기 제 1 브라켓고정부(535a)와 상기 제 2 브라켓고정부(535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2 브라켓체결부재(536a,536b)가 상기 제 1,2 브라켓고정부(535a,535b)에 체결되면, 상기 브라켓 본체(541)는 프레임 하부(121a)를 향하여 하방으로 가압되는 힘을 얻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음성입력장치(550a)는 상기 박스 본체(510)와 제 1 브라켓고정부(535a)의 사이에서 하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프레임 하부(121a)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음성입력장치(550b)는 상기 제 1 브라켓고정부(535a)와 상기 제 2 브라켓고정부(535b)의 사이에서 하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프레임 하부(121a)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상기 제 1,2 음성입력장치(550a,550b)는 프레임 하부(121a)에 밀착되고, 음성 수집을 위한 실링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도 22는 도 17의 22-2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24는 도 17의 24-24'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릴 프레임의 저면 일부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본체(541)는 단차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브라켓 본체(541)에는, 상기 브라켓 본체(541)의 상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 1,2 브라켓고정부(535a,535b)가 형성되는 제 1 파트(541a) 및 상기 제 1 파트(541a)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음성 입력장치(550a,550b)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 2 파트(541b)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파트(541b)는 상기 제 1 파트(541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음성 입력장치(550a,550b)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 브라켓(540)이 상기 프레임 하부(121a)에 조립되면, 상기 제 2 파트(541b)는 상기 음성 입력장치(550a,550b)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성 입력장치(550a,550b)의 프레임 하부(121a)에 대한 밀착력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본체(541)에는, 상기 제 2 파트(541b)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 하부(121a)에 접촉하는 제 3 파트(541c)가 포함된다. 상기 제 3 파트(541c)는 상기 음성 입력장치(550a,550b)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본체(541)는, 상기 제 1~3 파트(541a,541b,541c)에 의하여 단차지도록 구성된다. 즉, 제 2 파트(541b)는 상면을 구성하는 제 1 파트(541a)로부터 단차지게 하방으로 연장되어 음성 입력장치(550a,550b)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3 파트(541c)는 상기 제 2 파트(541b)로부터 단차지게 하방으로 연장되어 프레임 하부(121a)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음성입력장치(550a)와 상기 제 2 음성입력장치(550b)는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음성 입력장치(55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음성 입력장치(550)에는, 마이크(552)가 설치되는 기판(551) 및 상기 기판(551)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하부(121a)의 상면에 접촉되는 실링부재(554)가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 하부(121a)에는, 음성을 수집하기 위한 프레임 홀(121c)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 홀(121c)은 상기 프레임 하부(121a)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홀(121c)은 상기 프레임 하부(121a)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프레임 하부(121a)의 상단부까지 상방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홀(121c)의 상단부에는 상기 실링부재(55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홀(121c)의 하단부 직경(D1)은 상기 프레임 홀(121c)의 상단부 직경(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홀(121c)의 직경은,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를 향하여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 홀(121c)의 상단부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554)가 실링되어야 하는 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수집되는 음성의 누설이 적어지게 되어, 실링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집되는 음성은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프레임 홀(121c)의 하단부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입될 수 있고, 점점 작아지는 프레임 홀(121c)을 통하여 상방으로 집중될 수 있으므로 음성 수집율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하부(121a)의 하측에는, 하부 그릴(125a)이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그릴(125a)에는 다수의 그릴 바가 포함되고, 상기 다수의 그릴 바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홀(121c)은 2개의 그릴 바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음성은 상기 하부 그릴(125a)의 다수의 그릴 바 사이 공간으로 전달되고, 상기 프레임 홀(121c)을 통하여 음성 입력장치(55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홀(121c)은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 홀(121c)에는 서로 이격되는 제 1 프레임홀(121c1) 및 제 2 프레임홀(121c2)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프레임홀(121c1)은 제 1 음성입력장치(550a)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프레임홀(121c2)은 제 2 음성입력장치(550b)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2 프레임홀(121c1,121c2)은 가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2 프레임홀(121c1,121c2)의 이격된 거리는 설정거리(S1)를 형성하며, 일례로 상기 설정거리(S1)는 35~45mm의 범위에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40mm일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프레임 홀(121c1,121c2)을 통하여 음성이 수집될 수 있으므로, 음성 인식율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기판(551)에는, 상기 프레임 홀(121c)을 통하여 전달되는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 홀(551a)이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마이크 홀(551a)은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551)의 상면에는, 상기 마이크 홀(551a)과 연통하여 음성을 수집하는 상기 마이크(55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54)는 상기 기판(551)과 상기 프레임 하부(121a)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54)는 상기 마이크(552)와 상기 프레임 하부(121a)의 사이 공간을 밀폐하여 실내기(10)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상기 마이크(552)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성 입력장치(550)는 상기 실링부재(554)를 통하여 상기 프레임 하부(121a)에 밀착될 수 있으므로, 실내기(10)의 운전중에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음성 입력장치(550)와 프레임 하부(121a) 간에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실링부재(554)는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54)에는, 상기 프레임 하부(121a)의 프레임 홀(121c)과 연통하는 실링 개구부(554a)가 형성된다. 상기 실링 개구부(554a)는 상기 실링부재(554)의 중앙부가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실링 개구부(554a)의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상기 실링 개구부(554a)의 직경(D3)은 상기 마이크 홀(551a)의 직경(D4)보다 크고, 상기 프레임 홀(121c)의 상단부 직경(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홀(121c)의 상단부 직경(D2)은 상기 마이크 홀(551)의 직경(D4)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직경(D2)은 1.8~2.2mm의 범위에서 형성되며, 상기 직경(D3)는 2.4~2,6mm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직경(D4)은 0.5~1.0mm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음성 입력장치(550)를 프레임 하부(121a)에 설치할 때, 상기 실링부재(554)의 설치위치에 오차가 발생하거나 상기 실링부재(554)가 프레임 하부(121a)에 밀착되는 과정에서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실링부재(554)가 상기 프레임 홀(121c1) 또는 상기 마이크 홀(551a)을 차폐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552)로 전달되는 음성 전달경로가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입력장치(550)에는, 상기 프레임 하부(121a)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기판(551)의 측면부 또는 후면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커버(553)가 더 포함된다. 상기 커버(553)는 상기 기판(551)의 측면부 및 후면부를 지지하여 상기 마이크(552)가 흔들림 없이 상기 프레임 하부(121a)에 밀착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234)는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장치 브라켓(540)은 프레임 하부(121a)에 스크류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에는, 제 1,2 브라켓체결부재(536a,536b)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 하부(121a)에는 결합 브라켓(121d)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 브라켓(121d)은 상기 프레임 하부(121a)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장치 브라켓(540)의 함몰부(543,544)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브라켓(121d)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각각 제 1,2 함몰부(543,544)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브라켓(121d)에는 상기 제 1,2 브라켓체결부재(536a,536b)가 체결되는 체결보스(121e)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보스(121e)는 상기 결합 브라켓(121d)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함몰부(543,544)에 위치되며, 상기 체결보스(121e)의 내부에는 상기 제 1,2 브라켓체결부재(536a,536b)가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1,2 브라켓체결부재(536a,536b)의 체결력에 의하여, 장치 브라켓(540)은 상기 프레임 하부(121a)에 가압되고, 음성 입력장치(550)는 프레임 하부(121a)에 밀착될 수 있다.
도 26은 도 1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릴 프레임(120)에는 음성 또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피커(400)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프레임 전면부(121)에 설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스피커(400)는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의 후면에 설치되어, 후방을 향하여 소리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400)는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의 후면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의 가로방향 기준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400)는 상기 음성 입력장치(50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거리에 이격되므로 상기 스피커(400)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상기 음성 입력장치(500)에 노이즈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400)는 실내기(10)의 상부를 향하여, 특히 필터 어셈블리(90)가 설치되는 개방된 상부를 향하여 소리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실내기(10) 외부로의 소리 전달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의 후면에는, 상기 스피커(400)가 설치되는 스피커브라켓(420)이 구비된다. 상기 스피커 브라켓(420)은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스피커(40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피커 브라켓(420)은 사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피커(400)는 상기 스피커 브라켓(4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400)는 스피커 체결부재(430)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에 체결될 수 있다.
도 27a는 상기 실내기에서 하방 토출되는 경우의 실내기의 작용 및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7b는 상기 실내기에서 전방 토출되는 경우의 실내기의 작용 및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2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에서는, 하부 토출부(126)를 통하여만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 조화기의 난방운전시 사용자에게 온풍이 직접 공급되지 않도록 하방 토출을 수행하는 간접풍 모드가 운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송풍팬(40)이 구동되면, 실내기(10)의 상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필터 어셈블리(9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상기 송풍팬(40)을 거치면서 실내기(10)의 하부로 유동한다.
이 때, 전면 패널(150)은 상방으로 이동하거나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중앙위치에 있게 된다. 여기서, "중앙위치"라 함은 상기 전면 패널(150)이 그릴 프레임(120)의 전방 토출부(129)를 덮으면서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하단부보다 하측으로 더 내려가지 않는 위치인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전면 패널(150)이 "중앙위치"에 있는 경우, 인체감지 센서(300)의 전방에는 상기 전면 패널(150)이 위치하며, 렌즈(320)는 상기 전면 패널(150)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상하 베인(160)은 링크(167)에 연결되며, 상기 링크(167)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상하 베인(160)은 가로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실내기(10)에 형성되는 프레임 홀(121c1,121c2)은, 사용자가 일어선 상태에서, 평균적인 사용자의 입 높이와 비슷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홀(121c1,121c2)은 하부 토출부(126)의 측방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 토출부(126)를 통한 토출기류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에서는, 하부 토출부(126) 및 전방 토출부(129)를 통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동시 모드"가 운전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 조화기의 냉방운전 및 난방운전시, 상기 동시 모드의 운전이 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송풍팬(40)이 구동되면, 실내기(10)의 상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필터 어셈블리(30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상기 송풍팬(40)을 거치면서 실내기(10)의 하부로 유동한다. 이 때, 전면 패널(150)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부 위치에 있게 된다.
이 때, 전면 패널(150)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부 위치에 있게 된다. 여기서, "상부 위치"라 함은 상기 전면 패널(150)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그릴 프레임(120)의 전방 토출부(129)를 개방한 위치인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전면 패널(150)이 "상부위치"에 있는 경우, 인체감지 센서(300)의 전방은 개방되며, 상기 인체감지 센서(300)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렌즈(320)는 전방 하측으로 화각을 형성하여, 실내공간의 내실자를 촬상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홀(121c1,121c2)은 하부 토출부(126) 및 전방 토출부(129)의 측방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 토출부(126) 및 전방 토출부(129)를 통한 토출기류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도면에 표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면 패널(150)이 상부위치에 있는 경우라도, 상하 베인(160)이 상기 하부 토출부(126)를 차폐하여 상기 전방 토출부(129)만을 통한 기류의 토출이 가능할 수도 있다.
10 : 실내기 30 : 샤시
40 : 송풍팬 50 : 메인 컨트롤박스
60 : 열교환기 100 : 케이스
110 : 케이스 본체 120 : 그릴 프레임
121a : 프레임 하부 121c : 프레임 홀
140 : 지지 프레임 150 : 전면 패널
300 : 인체감지 센서 310 : 모듈 PCB
320 : 렌즈 330 : 센서 가이드
500 : 파워 컨트롤박스 510 : 박스 본체
520 : 박스 커버 530 : 음성 인식장치
540 : 장치 브라켓 550 : 음성 입력장치
551 : 기판 552 : 마이크
553 : 커버 554 : 실링부재

Claims (20)

  1. 벽면에 설치되는 샤시;
    상기 샤시에 설치되는 송풍팬; 및
    상기 샤시의 전방에 구비되는 케이스가 포함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송풍팬을 지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의 하면을 형성하고 하부 토출부를 형성하는 그릴 프레임이 구비되는 본체조립체;
    상기 본체조립체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면을 형성하는 패널조립체;
    상기 그릴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토출부의 측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홀; 및
    상기 프레임 홀의 상측에 구비되는 음성 입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 입력장치는,
    마이크 홀이 형성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면에 놓여지는 마이크;
    상기 그릴 프레임과 상기 기판의 사이에 구비되며, 실링 개구부가 형성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홀을 통하여 상기 음성 입력장치로 전달되는 음성이 상기 실링 개구부 및 상기 마이크 홀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에 수집되도록,
    상기 마이크 홀과, 상기 실링 개구부 및 상기 프레임 홀은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프레임에는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하부가 포함되며,
    상기 프레임 홀은 상기 프레임 하부에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프레임에는,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전방 토출부가 포함되며,
    상기 프레임 홀은 상기 전방 토출부의 측방에 위치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조립체는 상기 전방 토출부의 전방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전방 토출부를 개폐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하부의 상면에 놓여지는 장치 브라켓이 더 포함되며,
    상기 음성 입력장치는 상기 장치 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브라켓에는, 상기 프레임 하부에 체결되는 다수의 브라켓체결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음성 입력장치는 상기 다수의 브라켓체결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브라켓은 상하 방향으로 단차지게 구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브라켓에는,
    상기 장치 브라켓의 상부를 구성하며 상기 다수의 브라켓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제 1 파트; 및
    상기 제 1 파트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음성 입력장치의 상면에 접촉하는 제 2 파트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브라켓 본체에는,
    상기 제 2 파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 하부에 접촉하는 제 3 파트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 3 파트는 상기 음성 입력장치의 측방에 위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개구부의 직경(D3)은 상기 마이크 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홀은,
    상단부의 직경이 하단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홀의 직경은,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기 상단부를 향하여 점점 작아지도록 구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개구부의 직경(D3)은 상기 프레임 홀의 상단부 직경(D2)보다 크게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홀의 상단부 직경(D2)은 상기 마이크 홀의 직경(D4)보다 크게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서로 이격된 다수의 그릴 바가 포함되는 하부 그릴이 더 포함되며,
    상기 프레임 홀은 상기 다수의 그릴 바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홀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프레임 홀에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 1,2 프레임홀이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장치에는,
    상기 그릴 프레임 하부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기판의 측면부 또는 후면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커버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조립체의 후면에 구비되며, 음성 또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0190030777A 2019-03-18 2019-03-18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229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777A KR102229502B1 (ko) 2019-03-18 2019-03-18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777A KR102229502B1 (ko) 2019-03-18 2019-03-18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037A KR20200111037A (ko) 2020-09-28
KR102229502B1 true KR102229502B1 (ko) 2021-03-18

Family

ID=7280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777A KR102229502B1 (ko) 2019-03-18 2019-03-18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5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147Y1 (ko) * 2003-01-22 2003-05-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룸 에어컨의 구조
JP4369352B2 (ja) * 2004-12-06 2009-11-18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2112571A (ja) * 2010-11-24 2012-06-14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
JP2016161173A (ja) * 2015-02-27 2016-09-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147Y1 (ko) * 2003-01-22 2003-05-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룸 에어컨의 구조
JP4369352B2 (ja) * 2004-12-06 2009-11-18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2112571A (ja) * 2010-11-24 2012-06-14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
JP2016161173A (ja) * 2015-02-27 2016-09-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037A (ko) 202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6858B2 (ja) 空気清浄機
KR102586985B1 (ko) 공기조화기
CN114413343A (zh) 空气调节设备
KR20120017374A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0809738B1 (ko) 진공청소기
EP2181293B1 (en) Air conditioner
JP6353561B2 (ja) 空気清浄機
KR102229502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5188282B2 (ja) 熱交換換気装置およびフィルターユニット
JP4711607B2 (ja) 空気調和機
KR101444357B1 (ko)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KR100873399B1 (ko) 공기조화기
KR102219821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232219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5150179B2 (ja) 空気清浄機
KR10227063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N113719959A (zh) 加湿净化装置
KR20090022103A (ko) 공기조화기
KR10222948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23227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4367007B2 (ja) 空気調和機
KR102229473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466292B1 (ko) 공기조화기
KR102293072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JPH08200725A (ja) 床置形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