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438A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438A
KR20200111438A KR1020190031088A KR20190031088A KR20200111438A KR 20200111438 A KR20200111438 A KR 20200111438A KR 1020190031088 A KR1020190031088 A KR 1020190031088A KR 20190031088 A KR20190031088 A KR 20190031088A KR 20200111438 A KR20200111438 A KR 20200111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front panel
panel
air condition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6710B1 (ko
Inventor
김학재
도승현
우수창
윤형욱
이은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1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710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전방 토출부를 형성하는 본체 조립체 및 상기 본체 조립체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면 패널이 포함된다. 상기 전면 패널이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기류는 상기 전면 패널에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위치에 따라, 직립형, 벽걸이형 또는 천장형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벽걸이형 실내기는 수직한 벽면에 부착되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 조화기로서 이해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벽걸이형 실내기에는 공기 흡입부 및 토출부가 포함된다. 상기 공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 및 송풍팬을 거친 후 상기 토출부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에는,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방향조절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조절 장치에는, 기류를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루버가 포함될 수 있다.
아래 선행문헌은 기류의 토출방향을 전방 또는 하방으로 조절할 수 있는 루버가 구비되는 공기조화 장치를 개시한다. 선행문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등록번호 (등록일) : 한국 특허번호 제 55309호(1992년 10월 9일)
2. 발명의 명칭 : 공기조화장치
위 선행문헌에는, 토출 송풍방향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부 토출위치 또는 하부 토출위치로 설정되는 루우버를 개념적으로 개시하고 있기는 하나, 상기 루우버에 관한 상세 구성이나 동작에 관한 구체적인 사상은 개시되지 않고 있다.
실제로, 토출 송풍방향을 전방 또는 하방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하나의 루우버를 이용하여 다수의 토출구를 개폐하는 것은 쉽지 않다. 특히, 다수의 토출구에 서로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전방 토출구 및 하방 토출구가 포함되는 경우 더욱 그러하다.
또한, 다수의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다수의 루우버가 제공되거나, 또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루우버를 적용하는 것은, 제한된 크기를 가지는 실내기를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전방 토출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전면 패널의 하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루우버를 배치하게 되면, 실내기 내부에 이물이 투입되거나 사용자의 손이 끼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방 토출부 및 하부 토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전방 토출부 또는 하부 토출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토출기류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면 패널이 금속 소재로 구성되는 경우, 전방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기류가 전면 패널에 작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이슬맺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전면 패널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전방 토출부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전면 패널이 상기 전방 토출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전방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기류가 상기 전면 패널에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 토출부는 전면 패널을 이동시켜 개폐하고, 상기 하부 토출부는 상하 베인을 이동시켜 개폐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하 베인이 하부 토출부의 상측에서 슬라이딩 이동 또는 회전하는 움직임을 통하여 상기 하부 토출부의 개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 여부에 따라, 전면 패널 및 상하 베인이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하여, 사용자 성향에 맞는 모드의 운전이 가능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면 패널의 양측에 레일이 결합되어 전면 패널의 상승 또는 하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토출부에 좌우 베인을 설치하여 상기 전방 토출부 및 하부 토출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기류의 좌우방향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 베인을 드레인 팬의 하부에 일체로 구성하여 실내기 내부의 공간 활용성을 개선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드레인 팬의 저면의 곡률을 개선하여 전방 토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기류를 실내기의 전방 상측으로 안내함으로써, 실내기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곳까지 기류를 보낼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드레인 팬의 저면에 홈 또는 돌기 구조를 적용하여, 기류의 안정적인 토출을 가이드 하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전방 토출부 및 하부 토출부가 구비되어 토출기류의 방향을 다변화 함으로써, 공기 조화기의 운전모드에 따른 맞춤형 운전이 가능하다.
또한, 전면 패널이 금속 소재로 구성되는 경우, 전방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기류가 전면 패널에 작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이슬맺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전면 패널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전방 토출부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전면 패널이 상기 전방 토출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전방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기류가 상기 전면 패널에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방 토출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전면 패널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고, 하부 토출부는 슬라이딩 또는 회전하는 상하 베인에 의하여 개폐되므로 전방 토출부 또는 하부 토출부의 선택적인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패널이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전방 토출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므로 상기 전방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기류가 상기 전면 패널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면 패널의 하단부는 상기 전방 토출부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전방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기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전면 패널은 금속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전방 토출부보다 높은 위치에 있게 되므로, 상기 전방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공기, 특히 냉기가 상기 전면 패널에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면 패널에 이슬맺힘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 베인의 측방에는 상하베인 모터 및 링크가 구비되어, 상기 상하 베인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는 상하 베인에 대하여 편심 연결되어 회전하므로, 상기 상하 베인의 회전 또는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상기 링크는 상기 상하 베인의 후방부 측면에 결합되므로, 상기 상하 베인은 그 후단부가 들어올려지는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전방 토출부 및 하부 토출부가 모두 개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 패널은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상하 베인은 제 1 위치에 있도록 구동할 수 있다.
다른 작동모습으로, 전방 토출부는 개방되고 하부 토출부는 닫혀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 패널은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상하 베인은 제 2 위치에 있도록 구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작동모습으로, 전방 토출부는 닫혀지고 하부 토출부는 개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 패널은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상하 베인은 제 3 위치에 있도록 구동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냉방 또는 난방 운전시 사용자가 직접풍을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방 토출부 및 하부 토출부가 모두 개방되므로, 강한 토출기류를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토출기류를 직접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냉방운전시 사용자가 간접풍을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방 토출부는 개방되고 하부 토출부는 닫혀지므로, 상대적으로 저온인 공기가 실내기의 전방으로 토출되어, 사용자에게 냉기가 직접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난방운전시 사용자가 간접풍을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방 토출부는 닫혀지고 하부 토출부는 개방되므로, 상대적으로 고온인 공기가 실내기의 하방으로 토출되어, 사용자에게 온기가 직접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방 토출부와 하부 토출부와 인접한 위치에 좌우 베인을 구비하여, 상기 전방 토출부 또는 하부 토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기류의 좌우방향 제어가 용이하다.
또한, 좌우 베인은 열교환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드레인 팬의 저면에 구비되므로, 실내기의 공간 활용성이 개선된다.
또한, 전면 패널은 양측의 레일을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토출기류의 제어가 용이하고 실내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필터 어셈블리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패널의 이동을 위한 패널 구동부가 전면 패널의 양측에 구비되므로, 상기 전면 패널은 좌우 균형을 맞춘 상태에서 상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의 후면부에는 상기 패널 구동부와 연동하는 랙이 마련되어 상기 패널 구동부와 기어 연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송풍팬을 지난 공기를 토출하는 전방 토출부를 가지는 본체 조립체 및 금속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전방 토출부를 개방하는 전면 패널이 포함된다.
상기 전면 패널은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본체 조립체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전방 토출부의 개방을 위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전방 토출부의 폐쇄를 위하여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이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전방 토출부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이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의 하단부는 상기 전방 토출부의 상단부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이 더 포함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단부는 상기 전면 패널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조립체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 패널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패널 구동부; 상기 패널 구동부에 연동하는 기어;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에 연동하는 랙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조립체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 패널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 하는 레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본체 조립체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전면 패널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레일에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조립체에는, 상기 레일이 설치되는 측면부를 가지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방에 결합되는 그릴 프레임이 포함되며, 상기 그릴 프레임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가 통과하는 프레임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조립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하부 토출부; 및 상기 하부 토출부의 상측에서 회전하거나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하 베인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조립체에는, 상기 샤시에 결합되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전방 토출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전면부 및 상기 하부 토출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하부를 가지는 그릴 프레임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토출부 및 하부 토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전방 토출부 또는 하부 토출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토출기류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토출부는 전면 패널을 이동시켜 개폐하고, 상기 하부 토출부는 상하 베인을 이동시켜 개폐할 수 있다.
특히, 상하 베인이 하부 토출부의 상측에서 슬라이딩 이동 또는 회전하는 움직임을 통하여 상기 하부 토출부의 개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 여부에 따라, 전면 패널 및 상하 베인이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하여, 사용자 성향에 맞는 모드의 운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전면 패널의 양측에 레일이 결합되어 전면 패널의 상승 또는 하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토출부에 좌우 베인을 설치하여 상기 전방 토출부 및 하부 토출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기류의 좌우방향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 베인을 드레인 팬의 하부에 일체로 구성하여 실내기 내부의 공간 활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 팬의 저면의 곡률을 개선하여 전방 토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기류를 실내기의 전방 상측으로 안내함으로써, 실내기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곳까지 기류를 보낼 수 있다.
또한, 드레인 팬의 저면에 홈 또는 돌기 구조를 적용하여, 기류의 안정적인 토출을 가이드 하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가 벽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이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의 실내기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실내기의 부품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7-7'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과 지지프레임의 조립체(이하, 패널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의 9-9'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본체와 그릴 프레임의 조립체(이하, 본체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가 제거된 상태에서, 실내기의 전면부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 및 케이스 본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평면도이다.
도 13는 상기 패널 조립체가 레일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2의 14-14'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의 이동을 위한 패널 구동부 를 보여주는 패널 조립체와 케이스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및 홀더 브라켓의 구성을 보여주는 패널 조립체와 케이스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구동부 및 그 주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상기 패널 구동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상기 홀더와 홀더 브라켓의 결합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21-21'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5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의 23-23'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베인과 링크의 연결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5는 도 15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상부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하부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팬이 실내기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우베인 모터 및 좌우 베인의 결합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0a 내지 도 30c는 상기 실내기에서 전방 및 하방 토출되는 경우의 실내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1a 내지 도 31c는 상기 실내기에서 전방 토출되는 경우의 실내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2a 내지 도 32c 상기 실내기에서 하방 토출되는 경우의 실내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3은 상기 전면 패널이 하방 이동되었을 때, 필터 어셈블리가 전방으로 인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가 벽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이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의 실내기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는 벽(W)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에는, 벽(W)에 고정되는 설치 플레이트(20)와, 상기 설치 플레이트(20)의 전방에 결합되는 샤시(30) 및 상기 샤시(30)의 전방에 결합되는 케이스(100)가 포함된다.
상기 설치 플레이트(20)는 실내기(10)를 벽(W)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품으로서, 상기 벽(W)에 결합된 후 샤시(30)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설치 플레이트(20)는 얇은 판상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샤시(30)의 후면에 결합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샤시(30)의 하부를 지지하는 양측부가 포함된다.
상기 샤시(30) 및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송풍팬(40) 및 열교환기(6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샤시(30)에는, 상기 설치 플레이트(20)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결합부(31) 및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31)로부터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송풍팬(4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리어 가이드(33)가 포함된다.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31)는 얇은 판상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리어 가이드(33)는 상기 송풍팬(40)에서 토출된 기류를 토출부(126,129)측으로 가이드 하는 유동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상기 송풍팬(40)에는 횡류팬이 포함된다. 상기 횡류팬은 실내기(10)의 상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원주 방향으로 흡입하여 원주 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팬(40)의 축방향은 실내기(10)의 가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송풍팬(40)은 상기 샤시(3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샤시(30)에는, 상기 리어 가이드(33)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송풍팬(40)의 양측단을 지지하는 2개의 팬 지지부(35)가 더 포함된다. 상기 2개의 팬 지지부(35)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는, 상기 송풍팬(40)을 구동하는 팬 모터(4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 모터(45)의 축은 상기 팬 지지부(35)를 관통하여 상기 송풍팬(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팬 모터(45)에는 모터 커버(47)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팬 지지부(35)와 상기 모터 커버(47)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상기 팬 모터(4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샤시(30)의 측방부에는 실내기(10)의 작동을 위한 제어 부품이 구비되는 컨트롤 박스(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50)는 상기 팬 모터(45)의 측방에 위치되며, 후술할 케이스 본체(11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샤시(30)와 상기 케이스(100)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는 열교환기(60)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기(60)는 상기 송풍팬(40)의 흡입측에 배치되며, 상기 샤시(3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60)는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열교환기(60)에는, 상기 실내기(10)의 전면부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하 연장되는 제 1 열교환부(61)와, 상기 제 1 열교환부(61)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열교환부(63) 및 상기 제 2 열교환부(63)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3 열교환부(65)가 포함된다. 상기 제 1~3 열교환부(61,63,65)는 상기 송풍팬(40)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팬(4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60)에는 열교환기 홀더(67)가 결합된다. 상기 열교환기 홀더(67)는 상기 열교환기(60)는 측방에 결합되며,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60)에는 냉매 튜브(70)가 결합된다. 상기 냉매 튜브(70)는 냉매를 상기 열교환기(60)로 유입시키거나, 상기 열교환기(60)에서 배출된 냉매의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냉매 튜브(70)는 상기 열교환기(60)의 측방에 결합되며, 상기 냉매 튜브(70)의 외측에는 튜브 커버(75)가 감싸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샤시(30)의 하측에는 실내기(1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 플레이트(55)가 배치된다.
상기 샤시(30)의 전방에는 케이스(100)가 구비된다. 상기 샤시(30)와 상기 케이스(100)의 조립체는 "실내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실내기의 본체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공기 흡입부(115a)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 흡입부(115a)에는 필터 어셈블리(300)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 흡입부(115a)는 케이스 본체(110)의 상면부(115)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토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부에는 하부 토출부(126) 및 전방 토출부(129)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토출부(126)는 그릴 프레임(120)의 개구된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방 토출부(129)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토출부(126)와 상기 전방 토출부(129)의 개구된 방향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에는, 열교환기(60)의 하부에 배치되는 드레인 팬(8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팬(80)에는, 토출기류의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제어하는 좌우 베인(83)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좌우 베인(83)은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어 토출기류의 좌우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좌우 베인(83)는 다수 개가 구비되어 하나의 링크 바아에 연결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좌우 베인(83)은 상기 링크 바아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토출부(126)에는 토출기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상하 베인(16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하 베인(160)은 회전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공되어 토출기류의 상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부에는, 실내기(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50)이 포함된다.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실내기(10)의 작동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5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실내기(10)의 전원이 켜지면 초기 동작으로서 상기 전면 패널(150)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실내기(10)의 하부 우측에는 내실자의 인체 감지를 위한 인체감지 센서(165)가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체감지 센서(165)에는 렌즈(166)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렌즈(166)는 전방을 향하여 화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체감지 센서(165)는 상기 그릴 본체(120)의 하부 그릴(125a)의 상면에 지지되며, 하부 토출부(126)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 센서(165)의 측방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음성 인식장치(19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장치(190)는 상기 전방 토출부(129)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음성 인식장치(190)는 상기 전방 토출부(129)와 상기 인체감지 센서(16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실내기(10)의 전방 테두리부 외관을 형성하는 그릴 프레임(120)이 포함된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는 하부 그릴(125a) 및 측면 그릴(125b)을 가지는 그릴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그릴(125a)의 대략 중앙부에는 하부 토출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음성 인식장치(190)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 홀(195)이 포함된다. 상기 마이크 홀(195)은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토출부(129)의 측방에는, 좌우 베인(83)을 구동하기 위한 좌우베인 모터(83a)가 제공된다.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전방 토출부(129)의 상하방향 기준 대략 중앙부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바아(128a)가 더 포함된다. 상기 가로 바아(128a)는 사용자의 손이 투입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케이스(100)의 구성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실내기의 부품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7-7'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0)에는, 전면 패널(150)이 포함된다.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얇은 판상의 패널 본체(151) 및 상기 패널 본체(151)에 개구되며 디스플레이(156)가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홀(152)이 포함된다. 상기 패널 본체(151)는 일례로, 4각 판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은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50)을 제외한 케이스(100)의 다른 구성은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0)이 구동하면 진동이 발생하며 상기 진동은 실내기의 떨림을 유도하여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전면 패널(150)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금속 소재로 구성됨으로써,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금속 소재의 떨림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금속 소재는 플라스틱 수지에 비하여 오염발생 가능성이 낮고, 오염이 발생하더라도 쉽게 청소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소정의 질감을 느낄 수 있도록 표면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 패널(150)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4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은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에 면접촉 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과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조립체를 "패널 조립체"라 이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 프레임(140)에는, 대략 4각 판의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 본체(141) 및 상기 프레임 본체(141)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개구부(143)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부(143)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디스플레이 홀(152) 후방에 정렬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부(143)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에는 회로기판 및 디스플레이부(156)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6)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의 전방부를 구성하며, 상기 전면 패널(150)의 디스플레이 홀(152)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에는, 상기 프레임 본체(141)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레일 결합부(145)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 본체(141)와 양측의 레일 결합부(145)에 의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40)은 전체적으로 "ㄷ"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방에 구비되며, 토출부(126,129)를 형성하는 그릴 프레임(120)이 더 포함된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전면은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 대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은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며, 일례로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가지는 ABS 수지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는,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의 하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하부(121a) 및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의 양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측면부(121b)가 더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 하부(121a) 및 상기 프레임 측면부(121b)에는, 다수의 그릴을 가지는 그릴부(125)가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그릴은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하부와 양 측면부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그릴부(125)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그릴부(125)에는, 상기 프레임 하부(121a)를 구성하는 하부 그릴(125a)이 포함된다. 상기 하부 그릴(125a)의 적어도 일부분은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통 형성된 부분은 하부 토출부(126)를 형성하여 공기의 배출을 가이드 한다.
상기 하부 토출부(126)는 상기 하부 그릴(125a)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그릴(125a)의 양측부는 막혀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토출부(126)가 형성되는 영역 이외의 하부 그릴(125a) 영역에서는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하부 그릴(125a)은 상기 하부 토출부(126)로부터 하방으로 더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 토출부(126)는 외부에 잘 보여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실내기의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토출부(126)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하부 그릴(125a)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하방으로의 직진성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그릴부(125)에는, 상기 하부 그릴(125a)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면 그릴(125b)이 더 포함된다. 상기 측면 그릴(125b)의 형상은 상기 하부 그릴(125a)의 형상과 동일하므로,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상기 하부 그릴(125a)과 상기 측면 그릴(125b)은 일체감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측면 그릴(125b)의 대부분은 외부와 연통되지 않도록 막혀지게 구성되며, 다만, 상기 온습도 센서(194)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외부와의 연통을 위하여 센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양측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145)가 삽입되는 프레임 삽입부(127a,127b)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 결합부(145)는 상기 프레임 삽입부(127a,127b)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며, 레일(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일(130)은 실내기(1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후방에는 케이스 본체(110)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 본체(1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전방부, 하부 및 상부가 개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과 상기 케이스 본체(110)는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릴 프레임(120)과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조립체를 "본체 조립체"라 이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 본체(110)에는, 본체 전면부(111)와, 본체 측면부(112)와, 본체 후면부(114) 및 본체 상면부(115)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 전면부(111)에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 의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덮여지는 전면 개구부(111a)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 개구부(111a)의 하부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전방 토출부(129)와 전후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기의 기류는 상기 전면 개구부(111a)의 하부 및 상기 전방 토출부(129)를 경유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는 상기 전방 토출부(129)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측면부(112)의 내측에는 상기 컨트롤 박스(5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 측면부(112)의 외면에는 레일(30)이 놓여지는 레일 안착부(113)가 포함된다. 상기 그릴부(125)는 상기 레일 안착부(113)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그릴부(125)와 상기 레일 안착부(113)의 사이에는 상기 레일(130)이 설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 결합부(145)는 상기 레일(13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레일 결합부(145)는 상기 레일(13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후면부(114)에는, 후면 개구부(114a)가 형성된다. 상기 후면 개구부(114a)에는 샤시(3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 조립체(110,120)와 상기 샤시(30)가 결합되어 실내기(10)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하고,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는 실내기(10)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상면부(115)에는, 필터 어셈블리(300)가 장착되는 상면 개구부(115a)가 형성된다. 상기 상면 개구부(115a)는 공기 흡입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 개구부(115a)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를 지지하는 필터 지지부(115b)가 제공된다. 상기 필터 지지부(115b)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서로 이격하여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토출기류의 상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상하 베인(160)이 구비된다. 상기 상하 베인(160)의 측방에는 상기 상하 베인(160)을 구동하기 위한 베인 모터(162) 및 상기 베인 모터(162)를 둘러싸는 베인모터 커버(163)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의 상방 또는 하방 이동을 위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패널 구동부(1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패널 구동부(170)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후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패널 구동부(170)에 구비되는 기어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을 관통하여 상기 패널 조립(140,150)에 접촉한다. 상기 패널 구동부(170)는 상기 케이스(100)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패널 조립체(170)에 안정적인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실내기(10)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습도 센서(194)가 더 포함된다. 상기 온습도 센서(194)에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가 포함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본체 측면부(112)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본체 측면부(112)의 하부에는 상기 온습도 센서(192)가 설치되는 센서 장착부(113a)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 장착부(113a)는 상기 레일 안착부(113)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센서 장착부(113a)와 상기 레일 안착부(113)의 사이에는 구획리브(113b)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그릴부(125)의 측면 그릴(125b)은 상기 레일 안착부(113) 및 상기 센서 장착부(113a)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측면 그릴(125b)에는, 상기 온습도 센서(192)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센서 홀이 형성되어 실내기(10)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실내기(10) 주변의 공기질 정보를 감지하는 먼지센서(192)가 더 포함된다. 상기 먼지센서(192)는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본체 측면부(112)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 본체(110)에는 먼지센서 개구부(112a)가 형성되며, 상기 먼지센서 개구부(112a)에는 먼지센서 커버(192a, 도 10 참조)가 분리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먼지센서(192)의 청소를 위하여 상기 먼지센서 커버(192a)는 분리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청소기구, 일례로 면봉등을 이용하여 상기 먼지센서(192)를 청소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에 쌓여진 먼지를 분리하기 위한 필터 청소장치(400) 및 상기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4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430)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와 상기 먼지통(430)의 사이에는, 브러시(4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420)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에 구비되는 프리 필터와 접촉하여 상기 프리 필터에 쌓인 이물을 털어낼 수 있다.
상기 프리 필터는 필터 회전모터(350)에 의하여 무한궤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프리 필터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프리 필터와 상기 브러시(420)의 접촉에 의하여 이물이 상기 프리 필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회전모터(350)는 모터 커버(355)에 의하여 둘러싸여지며, 케이스 본체(110)의 내측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420)는 원통 형상을 가지는 브러시 본체(421) 및 상기 브러시 본체(421)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프리 필터와 접촉하는 브러시 모(425)가 포함된다.
상기 필터 청소장치(400)는 상기 먼지통(430)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컨트롤 박스(5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청소장치(400)가 구동하면, 상기 필터 청소장치(400)의 흡입력은 상기 먼지통(430)을 경유하여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에 작용하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로부터 분리된 이물은 상기 먼지통(43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과 지지프레임의 조립체(이하, 패널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4의 9-9'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150)은 지지 프레임(140)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140)은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과 상기 지지 프레임(140)은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면 패널(150)은 금속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140)은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면 패널(150)은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150)은 상기 지지 프레임(140)보다 무겁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전면 패널(150)의 무게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방에는 함몰부(15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51c)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가공 과정에서, 상기 전면 패널(150)의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살빼기 가공을 수행한 결과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51c)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 면적 중 80% 이상의 면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약 4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대적으로 무거운 부품을 지지하기 위하여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견고한 결합구조가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 패널(150)의 무게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 패널(150)은 패널 브라켓(153)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40)에 체결될 수 있다.
상세히, 패널 본체(151)의 배면에는 상기 패널 브라켓(153)이 결합된다. 상기 패널 브라켓(153)은 상기 패널 본체(151)의 테두리부에 이격하여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패널 브라켓(153)은 8개가 구비될 수 있다.
4개의 패널 브라켓(153)은 상기 패널 본체(151)의 배면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며, 나머지 4개의 패널 브라켓(153)은 상기 전면 패널(150)의 배면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패널 본체(151)의 배면에는, 다수 개의 브라켓 홈(151a)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 홈(151a)에는 상기 패널 브라켓(153)이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패널 브라켓(153)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라켓 본체(153a)가 포함된다. 상기 브라켓 본체(153a)의 전면은 상기 브라켓 홈(151a)에 삽입되며, 상기 브라켓 본체(153a)의 후면은 상기 프레임 본체(141)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본체(153a)의 상부에는, 상기 브라켓 홈(151a)에 삽입되어 상기 패널 본체(151)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내부 삽입부(153b) 및 상기 내부 삽입부(153b)로부터 절곡하여 연장되며 상기 패널 본체(151)의 후면에 지지되는 걸림부(153c)가 포함된다.
상기 패널 본체(151)에는, 상기 내부 삽입부(153a)와 상기 걸림부(153b)의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 턱(151b)이 포함된다. 상기 지지 턱(151b)의 전면은 상기 내부 삽입부(153a)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 턱(151b)의 후면은 상기 걸림부(153ㅊ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본체(153a)의 하부에는, 상기 패널 본체(151)의 후면에 지지되는 후면 지지부(153e)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153c)는 상기 브라켓 홈(151a)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후면 지지부(153e)는 상기 브라켓 홈(151a)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프레임 본체((141)는 상기 패널 브라켓(153)의 후면에 접촉되며, 패널 체결부재(154)를 통하여 상기 전면 패널(15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본체(141)에는, 상기 패널 체결부재(154)가 관통하는 프레임 체결홀(141b)이 형성된다. 상기 패널 체결부재(154)는 상기 프레임 체결홀(141b)에 삽입되며, 상기 패널 브라켓(153)의 체결홀(153d)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153d)는 상기 브라켓 본체(153a)의 상하방향 기준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53c)와 상기 후면 지지부(153e)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체결홀(153c)을 "제 1 체결홀", 상기 프레임 체결홀(141b)을 "제 2 체결홀"이라 이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전면 패널(150)은 패널 브라켓(153)을 통하여 지지 프레임(140)에 체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전면 패널(150)이 분리되거나 체결 부분에서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는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의 전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부(143)를 통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는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부(143)를 통하여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6)는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부(143)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본체와 그릴 프레임의 조립체(이하, 본체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가 제거된 상태에서, 실내기의 전면부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에는, 프레임 전면부(121)를 가지는 그릴 프레임(120)이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는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 대향하며 그 하부에는 전방 토출부(1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토출부(129)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에는,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의 양측에 형성되는 프레임 개구부(121f,121g)가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 개구부(121f,121g)는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의 우측부 및 좌측부에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며, 대략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 개구부(121f,121g)에는, 제 1 개구부(121f) 및 제 2 개구부(121g)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개구부(121f)는 상기 제 2 개구부(121g)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방으로 돌출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가 상기 제 1 개구부(121f)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2 개구부(121f,121g)을 통하여, 상기 그릴 프레임(120) 후방의 케이스 본체(110)의 적어도 일부분은 노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개구부(121f)를 통하여 본체 전면부(111) 및 상기 본체 전면부(111) 측방의 제 1 레일(130a)이 전방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개구부(121g)를 통하여 제 2 레일(130b)이 전방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2 개구부(121f,121g)에는 각각, 지지 프레임(140)의 레일 결합부(145)가 삽입되는 프레임 삽입부(127a,127b)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 삽입부(127a,127b)에는, 상기 제 1 개구부(121f)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며 2개의 레일 결합부(145)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 제 1 프레임삽입부(127a)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삽입부(127a,127b)에는, 상기 제 2 개구부(121g)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2개의 레일 결합부(145) 중 다른 하나가 삽입되는 제 2 프레임삽입부(127b)가 포함된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제 1 프레임삽입부(127a)는 케이스 본체(110)에 구비되는 제 1 레일(130a)과 상기 제 1 개구부(121f)의 단부 사이의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프레임삽입부(127b)는 케이스 본체(110)에 구비되는 제 2 레일(130b)과 상기 제 2 개구부(121g)의 단부 사이의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레일 결합부(145)는 상기 제 1,2 프레임삽입부(127a,127b)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하며, 제 1,2 레일(130a,130b)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 및 케이스 본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평면도이고, 도 13는 상기 패널 조립체가 레일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는 도 2의 14-14'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140,150)는 그릴 프레임(120)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의 후방부 양측에는 2개의 레일 결합부(145)가 제공된다. 상기 레일 결합부(145)는 그릴 프레임(120)의 프레임 삽입부(127a,127b)에 삽입되어 케이스 본체(110)에 구비되는 레일(1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은 후면은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프레임 전면부(121)에 대향하며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2개의 레일 결합부(145)는 제 1,2 레일(130a,130b)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의 우측부에 구비되는 제 1 레일 결합부(145)는 제 1 레일(130a)에 결합되며,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의 좌측부에 구비되는 제 2 레일 결합부(145)는 제 2 레일(130b)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일(130)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본체 측면부(112)에 결합되는 고정레일(131) 및 상기 고정 레일(131)을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되는 이동 레일(132)이 포함된다.
상기 본체 측면부(112)에는 측방을 바라보는 안착면을 가지는 레일 안착부(113) 및 상기 레일 안착부(113)의 테두리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레일 수용부(117)가 구비된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레일 수용부(117)는 상기 본체 측면부(112)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측면부(112)의 전단부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프레임 전면부(121)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 전면부(121)는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의 후면에 대향한다.
상기 고정 레일(131)은 4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 레일(131)의 양측에는 함몰되는 슬라이딩 홈(131a)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홈(131a)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레일(132)의 양측부는 상기 슬라이딩 홈(131a)에 수용되며, 상기 이동 레일(132)은 상기 슬라이딩 홈(131a)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레일(132)이 전후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레일 결합부(145)는 상기 이동 레일(132)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레일 결합부(145)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1,2 결합파트(145a,145b)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결합파트(145b)는 상기 제 1 결합파트(145a)의 상측에 위치된다. 2개의 결합파트(145a,145b)가 상기 이동 레일(13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레일 결합부(145)와 상기 레일(130)의 결합력은 증대될 수 있다.
상기 레일 결합부(145)의 전방부에는, 프레임 함몰부(145c)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 함몰부(145c)는 프레임 본체(141)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며, 상기 프레임 함몰부(145c)의 후측에는, 상기 제 1,2 결합파트(145a,145b)가 연장된다. 상기 프레임 함몰부(145)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 1,2 결합파트(145a,145b)와 레일(130)의 체결에 따라 발생하는 응력의 분산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레일 결합부(145)에는, 체결 핀(147) 및 상기 체결 핀(147)이 삽입되는 핀 결합부(146)가 구비된다. 상기 핀 결합부(146)는 상기 프레임 함몰부(145c)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체결 핀(147)은 상기 핀 결합부(146)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핀 결합부(146)는 상기 프레임 함몰부(145c)로부터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체결 핀(147)에서 전달되는 응력 분산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의 이동을 위한 패널 구동부 를 보여주는 패널 조립체와 케이스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및 홀더 브라켓의 구성을 보여주는 패널 조립체와 케이스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구동부 및 그 주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8은 상기 패널 구동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140,150)는 그릴 프레임(120)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에는, 전면 패널(150) 및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에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140)이 포함된다.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상하 이동을 위한 구동기구가 더 포함된다.
상기 구동기구에는,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패널 구동부(170)가 포함된다. 상기 패널 구동부(170)는 그릴 프레임(12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후면에는 모터 브라켓(124)이 결합되며, 상기 패널 구동부(170)는 상기 모터 브라켓(124)의 후측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모터 브라켓(124)에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과 체결되는 브라켓체결부(124a)가 포함된다.
상기 패널 구동부(170a,170b)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패널 구동부(170a,170b)에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1 패널구동부(170a) 및 제 2 패널구동부(170b)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패널 구동부(170a,170b)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모터축(171a)을 가지는 구동모터(171) 및 상기 구동모터(171)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조립체가 포함된다.
상기 기어 조립체에는, 상기 모터 축(171a)에 결합되는 제 1 기어(171b)와, 상기 제 1 기어(171b)에 연동하는 제 2 기어(173a) 및 제 3 기어(173b)와, 상기 제 3 기어(173b)에 연동하는 제 4 기어(173c)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기어(173a) 및 상기 제 3 기어(173b)에는 제 1 기어축(174a)이 중심 결합된다. 상기 제 1 기어축(174a)은 기어 케이스(172a,172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 2,3 기어(173a,173b) 및 제 1 기어축(174a)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3 기어(173b)는 상기 제 2 기어(173a)의 측방에 결합되며, 상기 제 3 기어(173b)의 외경은 상기 제 2 기어(173a)의 외경보다 크고 더 많은 기어 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173a)는 상기 제 1 기어(171b)의 상측에 위치하여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 2,3 기어(173a,173b)는 동심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기어 조립체에는, 상기 제 3 기어(173b)와 연동하는 제 4 기어(173c)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4 기어(173c)는 상기 제 3 기어(173b)의 하측에 위치되며 제 2 기어축(174b)에 중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축(174b)은 기어 케이스(172a,172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기어 케이스(172a,172b)에는, 케이스 본체(172a) 및 상기 케이스 본체(172a)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172b)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 본체(172a) 및 상기 케이스 커버(172b)는 좌우 방향으로 결합되며, 일례로 케이스 체결부재(172d)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172a) 및 상기 케이스 커버(172b)에는 각각, 상기 케이스 체결부재(172d)가 삽입되는 체결 홀(17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71)가 구동하면, 상기 제 1~4 기어의 연동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제 4 기어(173c)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4 기어(173c)는 지지 프레임(148)의 랙(148)과 기어 결합하여 연동할 수 있다.
상기 기어 케이스(172a,172b)에는, 상기 제 4 기어(173c)가 상기 기어 케이스(172a,172b)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되는 케이스 개방부(172e)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 개방부(172e)는 상기 기어 케이스(172a,172b)의 전방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을 향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는, 상기 패널 구동부(170)와 연동하는 랙(148)이 구비된다. 상기 랙(148)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되며, 다수의 기어 이가 포함된다.
상기 랙(148)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랙(148)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랙(148)에는, 제 1 랙(148a) 및 제 2 랙(148b)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2 랙(148b)은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의 후면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랙(148)은 상기 패널 구동부(170)의 제 4 기어(173c)와 기어 결합되어 연동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2 랙(148a,148c)은 상기 제 1,2 패널구동부(170a,170b)에 각각 구비되는 제 4 기어(173c)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홀더(178)가 삽입되는 홀더 브라켓(185)이 구비된다. 상기 홀더 브라켓(185)은 상기 제 1,2 랙(148a,148b)의 측방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홀더 브라켓(185)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홀더 브라켓(185)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홀더 브라켓(185)에는, 상기 제 1 랙(148a)의 측방에 위치하는 제 1 홀더브라켓(185a) 및 상기 제 2 랙(148b)의 측방에 위치하는 제 2 홀더브라켓(185b)이 포함된다.
상기 홀더 브라켓(185)에는 상기 홀더(178)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브라켓 홀(185d, 도 21 참조)이 형성되며,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홀더(178)는 상기 홀더 브라켓(185)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는, 연결 링크(180)가 장착된다. 상기 연결 링크(180)는 다수 회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 링크(18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링크(180)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와 컨트롤 박스(50)를 연결하는 전선, 일례로 전원선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연결 링크(180)의 내부에는 상기 전선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전선의 외측은 상기 연결 링크(180)에 의하여 둘러싸여진다.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컨트롤 박스(50)가 설치되는 케이스 본체(110)와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간의 거리는 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전선은 움직이게 되므로, 만약 전선이 상기 연결 링크(180)에 의하여 보호되지 않는다면 주변 부품들과 간섭될 가능성이 상존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선을 둘러싸는 연결 링크(180)가 패널 조립체(140,150)와 케이스 본체(110)를 연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전선과 주변 부품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는, 상기 패널 구동부(170)의 제 4 기어(173c)가 관통할 수 있는 기어 홀(122)이 형성된다. 상기 기어 홀(122)은 상기 제 1,2 패널구동부(170a,170b)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양측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는, 상기 홀더(178)가 통과하는 홀더 관통홀(122a)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 관통홀(122a)은 상기 기어 홀(122)의 측방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 관통홀(122a)은 상기 홀더(178)의 개수 및 상기 홀더 브라켓(185)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더(178)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홀더 관통홀(122a)을 통하여 전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178)는 상기 홀더 브라켓(185)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0은 상기 홀더와 홀더 브라켓의 결합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21-21'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9와,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에는, 패널 조립체(140,150)의 안정적인 상하 이동을 위하여, 그릴 프레임(120)에 장착되는 홀더(178)가 포함된다.
상기 홀더(178)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후면에 설치된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후면에는, 상기 홀더(178)가 안착되는 안착 리브(122c)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 리브(122c)는 상기 프레임 본체(12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 리브(122c)의 내측에는, 상기 홀더(178)와 체결되는 홀더체결보스(122b)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체결보스(122b)는 상기 프레임 본체(12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스크류(S)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체결보스(122b)는 상기 안착 리브(122c)의 내부 양측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더(178)에는, 상기 안착리브(122c)에 놓여지는 그릴지지부(179a) 및 상기 그릴지지부(179a)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홀더 관통홀(122a) 및 브라켓 홀(185d)을 경유하여 상기 홀더 브라켓(185)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179b)가 포함된다.
상기 그릴지지부(179a)는 대략 4각 판형상을 가지며, 상기 그릴지지부(179a)의 양측에는 상기 스크류(S)가 체결되는 홀더체결공(179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178)에는, 상기 삽입부(179b)의 단부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홀더 브라켓(185)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을 이동하는 슬라이더(179d)가 더 포함된다. 상기 슬라이더(179d)의 좌우방향 길이는 상기 브라켓 홀(185d)의 좌우방향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슬라이더(179d)는 상기 홀더 브라켓(185)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홀더 브라켓(185)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홀더 브라켓(185)의 후면에 구비되는 돌출리브(186c)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전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179d)는 상기 홀더 브라켓(185)의 내부에서 상대적인 이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179d)의 후면에는 상기 홀더 브라켓(185)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는 돌기(179e)가 돌출된다.
상세히, 상기 홀더 브라켓(185)에는, 상기 프레임 본체(141)의 후면에 결합되는 제 1 파트(186b) 및 상기 제 1 파트(186b)로부터 후방으로 절곡하여 연장되는 제 2 파트(186b)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파트(186b)의 후면에는 상기 제 1 돌출리브(186c)가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2 파트(186a,186b)는 상기 홀더 브라켓(185)의 양측부에 구비되며, 2개의 제 1,2 파트(186a,186b)의 사이에는 브라켓 홀(185d)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홀더(178)는 상기 홀더 브라켓(185)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22는 도 15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23은 도 22의 23-23'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베인과 링크의 연결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25는 도 15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의 하부에는, 하부 토출부(126)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상하 베인(16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상하 베인(160)은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프레임 하부(121a)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하부(121a)에는 하방으로의 공기 토출을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하부 토출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상하 베인(160)은 상기 하부 토출부(126) 전체를 덮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하 베인(160)은 4각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좌우방향 폭이 전후방향 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 베인(160)이 상기 하부 토출부(126)를 닫을 때, 상기 상하 베인(160)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면 패널(15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상하 베인(160)의 움직임을 위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하베인 모터(162a,162b)가 더 포함된다. 상기 상하베인 모터(162a,162b)는 상기 프레임 하부(121a)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베인 모터(162a,162b)의 외측에는 베인모터 커버(163)가 덮여진다.
상기 상하베인 모터(162a,162b)에는, 상기 상하 베인(160)의 일측부(일례로, 우측부)에 배치되는 제 1 베인모터(162a) 및 상기 상하 베인(160)의 타측부(일례로, 좌측부)에 배치되는 제 2 베인모터(162b)가 포함된다.
상기 상하 베인(160)은 하부 토출부(126)의 좌우방향 폭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1개의 베인모터에 의하여 상하 베인을 구동하는 경우, 상기 상하 베인의 움직임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상하 베인 중 상기 베인 모터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분의 움직임은 응답성이 저하되고 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베인모터를 상하 베인(160)의 양측에 마련하고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상하 베인(160)의 움직임에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2 베인모터(162a,162b)의 구동은 동기화 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제 1,2 베인모터(162a,162b)의 구동력을 상기 상하 베인(160)에 전달하기 위한 링크(167a,167b)가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링크(167a,167b)에는, 상기 제 1 베인모터(162a)와 상기 상하 베인(160)을 연결하는 제 1 링크(167a) 및 상기 제 2 베인모터(162b)와 상기 상하 베인(160)을 연결하는 제 2 링크(167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링크(167a)는 상기 제 1 베인모터(162a)로부터 상기 상하 베인(160)의 우측부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링크(167a)의 일측부는 상기 제 1 베인모터(162a)의 모터 축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상하 베인(160)의 우측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링크(167b)는 상기 제 2 베인모터(162b)로부터 상기 상하 베인(160)의 좌측부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링크(167b)의 일측부는 상기 제 2 베인모터(162b)의 모터 축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상하 베인(160)의 좌측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링크(167a)의 구성 및 상기 제 2 링크(167b)의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링크의 구성과 관련하여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링크(167a)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제 2 링크(167b)에 대하여는 상기 제 1 링크(167a)의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제 1 링크(167a)에는, 바아 형상의 링크 본체(168a)와, 상기 링크 본체(168a)의 일측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베인모터(162a)에 연결되는 모터 연결부(168b) 및 상기 링크 본체(168a)의 타측부를 형성하며 상기 모터 연결부(168b)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베인 연결부(168c)가 포함된다.
상기 링크 본체(168a)와, 상기 모터 연결부(168b) 및 상기 베인 연결부(168c)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연결부(168b)는 상기 제 1 베인모터(162a)의 모터 축에 연결되며 상기 베인모터 커버(163)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연결부(168b)는 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인모터 커버(163)에는, 상기 모터 연결부(168b)가 통과하는 커버관통부(163a)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베인모터(162a)가 구동하면, 상기 모터 연결부(168b)는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링크 본체(168a)는 상기 모터 연결부(168b)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모터(162a)가 구동하면, 상기 링크 본체(168a)는 상기 모터 연결부(168b)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링크 본체(168a)는 좌우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베인 연결부(168c)는 상기 링크 본체(168a)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하 베인(1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베인 연결부(168c)는 상기 링크 본체(168a)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하 베인(160)의 측면에는 힌지 돌기(161)가 구비된다. 상기 베인 연결부(168c)는 상기 힌지 돌기(161)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힌지 돌기(161)는 상기 베인 연결부(168c)에 삽입되어 상기 베인 연결부(168c)의 "회전 중심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와 반대로 상기 베인 연결부(168c)에 힌지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상하 베인(160)은 상기 베인 연결부(168c)의 힌지 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베인 연결부(168c)는 상기 상하 베인(160)의 전후방향 중심(C)을 지나는 중심선(ℓ1)을 기준으로 상기 상하 베인(160)의 후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하 베인(160)의 전단부(160a)로부터 후단부(160b)까지의 거리, 즉 상기 상하 베인(160)의 전후 방향 폭(w1+w2)을 정의할 때, 상기 베인 연결부(168c)로부터 상기 상하 베인(160)의 전단부까지의 거리(w1)는 상기 상하 베인(160)의 후단부가지의 거리(w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인 연결부(168c)는 상기 중심선(ℓ1)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S)만큼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상하 베인(160)은 상기 베인 연결부(168c)를 중심으로 단순히 회전하는 동작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베인 연결부(168c)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상하 베인(160)의 후방부가 들어올려지거나 내려오는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베인 연결부(168c)가 회전하면 상기 상하 베인(160)은 회전 또는 슬라이딩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베인 연결부(168c)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베인 연결부(168c)와 상기 상하 베인(160)이 이루는 각도는 변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상부 사시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하부 사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팬이 실내기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우베인 모터 및 좌우 베인의 결합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에는, 열교환기(40)를 지지하며 상기 열교환기(4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는 드레인 팬(80)이 더 포함된다. 상기 드레인 팬(80)은 열교환기(60)의 하측, 일례로 제 1 열교환부(6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팬(80)은 그릴 프레임(120)의 전방 토출부(129)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드레인 팬(80)에는, 열교환기 지지리브(82)를 구비하는 팬 바디(81)가 포함된다. 상기 팬 바디(81)는 상기 드레인 팬(80)의 저면을 구성하며 상기 열교환기 지지리브(82)는 상기 팬 바디(8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열교환기(6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팬 바디(81)에는, 바디 저면부(81c)와, 상기 바디 저면부(81c)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바디 측면부(81b) 및 상기 바디 저면부(81c)의 전방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바디 전면부(61c)가 포함된다.
상기 바디 저면부(81a)와, 상기 바디 측면부(81b) 및 상기 바디 전면부(61c)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팬 바디(81)에는 열교환기(6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저장공간(82a)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팬(80)에는, 상기 팬 바디(81)의 후방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송풍팬(40)의 외주면을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스테빌라이저(8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저(85)는 송풍팬(40)의 전방 하부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테빌라이저(85)는 상기 송풍팬(40)의 토출측에서 상기 송풍팬(40)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40)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6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테빌라이저(85)와 상기 송풍팬(40)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테빌라이저(85)는 상기 송풍팬(40)의 축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팬(80)에는, 토출기류의 좌우방향을 제어하는 좌우 베인(83)이 구비된다. 상기 좌우 베인(83)은 상기 바디 저면부(81a)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 베인(83)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좌우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좌우 베인(83)은 상기 상하 베인(16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좌우 베인(83)의 측방에는, 상기 좌우 베인(83)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좌우베인 모터(85)가 제공된다.
상기 드레인 팬(80)에는, 상기 다수 개의 좌우 베인(83)에 연결되는 링크 바아(84)가 더 포함된다. 상기 링크 바아(84)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다수 개의 좌우 베인(83)의 후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우 베인(83)의 후방부에는 제 1 베인 핀(86a)이 결합된다. 상기 제 1 베인 핀(86a)은 상기 링크 바아(84)를 관통하여 상기 좌우 베인(8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 핀(86a)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각 제 1 베인 핀(86a)은 상기 각 좌우 베인(8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우 베인(83)의 전방부에는 제 2 베인 핀(86b)이 결합된다. 상기 제 2 베인 핀(86b)은 상기 좌우 베인(83)을 관통하여 상기 팬 바디(81)의 바디 저면부(8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인 핀(86b)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각 제 2 베인 핀(86b)은 상기 각 좌우 베인(8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 핀(86a)은 상기 제 2 베인 핀(86b)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베인 핀(86a)이 결합되는 좌우 베인(83)의 후방부는 상기 제 2 베인 핀(86b)이 결합되는 전방부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 개의 좌우 베인(83)의 후방부는 상기 제 1 베인 핀(86a)에 의하여 상기 링크 바아(84)에 연결되며, 상기 다수 개의 좌우 베인(83)은 상기 링크 바아(84)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2 베인 핀(86b)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팬(80)에는, 상기 좌우베인 모터(85)와 상기 링크 바아(84)를 연결하는 베인 링크(87)가 더 포함된다. 상기 베인 링크(87)는 상기 좌우베인 모터(85)의 모터 축에 결합되며,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링크 바아(84)에 결합된다.
상기 베인 링크(87)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링크 홀(87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 홀(87a)에는, 가이드 핀(88)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88)은 상기 링크 홀(87a)을 관통하여, 상기 팬 바디(81)의 바디 저면부(8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우베인 모터(85)가 구동하면, 상기 베인 링크(87)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핀(88)은 상기 베인 링크(87)가 다른 방향으로 요동하지 않고 좌우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도 30a 내지 도 30c는 상기 실내기에서 전방 및 하방 토출되는 경우의 실내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0a 내지 도 30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에서는, 하부 토출부(126) 및 전방 토출부(129)를 통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동시 모드"가 운전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 조화기의 냉방운전 및 난방운전시, 상기 동시 모드의 운전이 가능하다.
상기 실내기(10) 또는 별도의 리모컨에는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에는,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을 선택하기 위한 "냉난방 선택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에는, 상기 "동시모드"의 운전을 명령할 수 있는 "동시모드 선택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냉난방 선택부를 입력하여 냉방 또는 난방운전을 선택한 후, 상기 동시모드 선택부를 입력하여 동시모드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냉난방 선택부를 선택하면, 상기 동시모드 선택부의 입력 없이도 기본 운전모드로서 동시모드 운전이 수행되도록 셋팅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세히, 상기 송풍팬(40)이 구동되면, 실내기(10)의 상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필터 어셈블리(30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상기 송풍팬(40)을 거치면서 실내기(10)의 하부로 유동한다. 이 때, 전면 패널(150)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부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상부 위치에서, 상기 전면 패널(150)은 상기 전방 토출부(129)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전면 패널(150)의 하단부는 상기 전방 토출부(129)의 상단부보다 소정 높이(△h)만큼 더 높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 토출부(129)에서 토출되는 기류는 금속 소재의 전면 패널(150)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기류가 전면 패널(150)에서 응축되어 응축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에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140)의 하단부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 토출부(129)에서 토출되는 기류는 상기 지지 프레임(140)에 작용할 가능성이 크지 않으며, 상기 지지 프레임(140)은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는 바, 금속 소재의 전면 패널(150)에 비하여 응축수 발생 가능성은 적다.
그리고, 상기 상하베인 모터(162a,162b)가 구동하면, 링크(167a,167b)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상하 베인(160)은 움직일 수 있다.
상세히, 상하 베인(160)은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하부 그릴(125a)의 상면에 대하여 제 1 설정각도(θ1)만큼 상향 경사지게 배열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1 설정각도(θ1)는 약 10~30°의 범위에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 베인(160)의 후단부(160b)는 전단부(160a)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상기 상하 베인(160)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들리는 모습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인 연결부(168c)는 상기 모터 연결부(168b)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면서, 상기 모터 연결부(168b)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 본체(168a)는 상기 상하 베인(160)와 대략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상하 베인(160)에 의하여 가이드 되며, 개방된 하부 토출부(126) 및 전방 토출부(129)를 통하여 하방 및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도 31a 내지 도 31c는 상기 실내기에서 전방 토출되는 경우의 실내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1a 내지 도 3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에서는, 전방 토출부(129)를 통하여만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 조화기의 냉방운전시 사용자에게 냉풍이 직접 공급되지 않도록 전방 토출을 수행하는 간접풍 모드가 운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에는, 간접풍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간접풍모드 선택부"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냉난방 선택부를 입력하여 냉방운전을 선택한 후, 상기 간접풍모드 선택부를 입력하여 냉방운전시 간접풍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송풍팬(40)이 구동되면, 실내기(10)의 상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필터 어셈블리(30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상기 송풍팬(40)을 거치면서 실내기(10)의 하부로 유동한다.
이 때, 전면 패널(150)은 동시 모드 운전과 동일하게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부 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하 베인(160)은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하부 그릴(125a)의 상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에 있게 된다. 즉, 상기 상하 베인(160)은, 전단부와 후단부의 높이가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도록 누워있는 모습을 가지며, 상기 하부 토출부(126)를 폐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인 연결부(168c)는 상기 모터 연결부(168b)보다 낮은 위치에 있으면서, 상기 모터 연결부(168b)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도 30c에 개시된 링크(167b)의 위치에서 도 31c에 개시된 링크(167b)의 위치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0c의 위치에서, 베인 연결부(168c)는 상기 모터 연결부(168b)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하 베인(160)의 후단부(160b)는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상기 베인 연결부(168c)가 상기 모터 연결부(168b)보다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상하 베인(160)의 전단부는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상하 베인(160)이 하부 그릴(125a)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는 감소하게 된다. 결국, 상하 베인(160)은 도 31c와 같은 모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상하 베인(160)에 의하여 가이드 되며, 개방된 전방 토출부(129)를 통하여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부 토출부(126)는 상기 상하 베인(160)에 의하여 차폐되므로, 하방으로의 기류 토출은 제한된다.
도 32a 내지 도 32c는 상기 실내기에서 하방 토출되는 경우의 실내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2a 내지 도 3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에서는, 하부 토출부(126)를 통하여만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 조화기의 난방운전시 사용자에게 온풍이 직접 공급되지 않도록 하방 토출을 수행하는 간접풍 모드가 운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냉난방 선택부를 입력하여 난방운전을 선택한 후, 상기 간접풍모드 선택부를 입력하여 난방운전시 간접풍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간접풍모드 선택부를 입력하더라도, 실내기의 운전이 냉방운전인지 난방운전인지에 따라 실내기의 운전모습이 달라질 수 있다. 도 31a 내지 도 31c에 설명된 바와 같이, 냉방운전 선택후 간접풍모드 선택부를 입력하면, 전방 토출부(129)만 개방되어 토출기류의 전방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에, 도 32a 내지 도 32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난방운전 선택후 간접풍모드 선택부를 입력하면, 하부 토출부(129)만 개방되어 토출기류의 전방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2b로 돌아가면, 상기 송풍팬(40)이 구동될 때, 실내기(10)의 상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필터 어셈블리(30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상기 송풍팬(40)을 거치면서 실내기(10)의 하부로 유동한다.
이 때, 전면 패널(150)은 상방을 이동하거나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중앙위치에 있게 된다. 여기서, "중앙위치"라 함은 상기 전면 패널(150)이 그릴 프레임(120)의 전방 토출부(129)를 덮으면서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하단부보다 하측으로 더 내려가지 않는 위치인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에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140)의 하단부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150)이 중앙위치에 있을 때, 실내기(10)의 전면 및 전방 하단부 외관은 상기 전면 패널(150)에 의하여 형성되므로,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그리고, 상하 베인(160)은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하부 그릴(125a)의 상면에 대하여 제 2 설정각도(θ2)만큼 상향 경사지게 배열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2 설정각도(θ2)는 약 30~60°의 범위에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상하 베인(160)의 후단부(160b)는 전단부(160a)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상기 상하 베인(160)의 후단부(160b)가 상방으로 들리는 모습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인 연결부(168c)는 상기 모터 연결부(168b)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면서, 상기 모터 연결부(168b)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도 31c에 개시된 링크(167b)의 위치에서 도 32c에 개시된 링크(167b)의 위치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1c의 위치에서, 베인 연결부(168c)는 상기 모터 연결부(168b)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하 베인(160)의 후단부(160b)는 들어올려진다. 결국, 상하 베인(160)은 도 32c와 같은 모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상하 베인(160)에 의하여 가이드 되며, 개방된 하부 토출부(126)를 통하여 하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방 토출부(129)는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에 의하여 차폐되므로, 전방으로의 기류 토출은 제한된다.
이와 같이, 실내기(10)가 구동할 때, 전면 패널(150)은 "제 1 위치(중앙위치)" 또는 "제 2 위치(상부 위치)"에 있을 수 있고, 상하 베인(160)의 위치에 따라 간접풍 모드 또는 동시 모드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3은 상기 전면 패널이 하방 이동되었을 때, 필터 어셈블리가 전방으로 인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300)는 실내기(10)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은 필터 어셈블리(300)의 분리를 위하여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이 "제 1 위치(중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방부는 패널 조립체(140,150)에 의하여 간섭되므로,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는 전방으로의 분리가 제한된다. 즉,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면은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의 후면을 대향하며,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의 후면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전면 패널(150)이 제 3 위치(하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방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실내기(10)로부터 착탈 가능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방 이동을 위하여,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후측에는 필터 구동부(모터 및 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면 패널(150)이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방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드레인 팬의 구성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일부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10 : 실내기 30 : 샤시
40 : 송풍팬 50 : 컨트롤 박스
60 : 열교환기 100 : 케이스
110 : 케이스 본체 120 : 그릴 프레임
130 : 레일 140 : 지지 프레임
150 : 전면 패널 160 : 상하 베인
170 : 패널 구동부 180 : 연결 링크
300 : 필터 어셈블리 430 : 먼지통

Claims (15)

  1. 벽면에 설치되는 샤시;
    상기 샤시에 설치되는 송풍팬; 및
    상기 샤시의 전방에 구비되는 케이스가 포함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송풍팬을 지난 공기를 토출하는 전방 토출부를 가지는 본체 조립체; 및
    금속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전방 토출부를 개방하는 전면 패널이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본체 조립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전방 토출부의 개방을 위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전방 토출부의 폐쇄를 위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이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전방 토출부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이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의 하단부는 상기 전방 토출부의 상단부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이 더 포함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단부는 상기 전면 패널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조립체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 패널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패널 구동부;
    상기 패널 구동부에 연동하는 기어;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에 연동하는 랙이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조립체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 패널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 하는 레일이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본체 조립체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전면 패널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레일에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조립체에는,
    상기 레일이 설치되는 측면부를 가지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방에 결합되는 그릴 프레임이 포함되며,
    상기 그릴 프레임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가 통과하는 프레임 삽입부가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조립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하부 토출부; 및
    상기 하부 토출부의 상측에서 회전하거나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하 베인이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조립체에는,
    상기 샤시에 결합되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전방 토출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전면부 및 상기 하부 토출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하부를 가지는 그릴 프레임이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0190031088A 2019-03-19 2019-03-19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296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088A KR102296710B1 (ko) 2019-03-19 2019-03-19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088A KR102296710B1 (ko) 2019-03-19 2019-03-19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438A true KR20200111438A (ko) 2020-09-29
KR102296710B1 KR102296710B1 (ko) 2021-09-02

Family

ID=72661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088A KR102296710B1 (ko) 2019-03-19 2019-03-19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7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63332A (zh) * 2021-02-19 2022-08-3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壁挂式空调室内机
WO2023029541A1 (zh) * 2021-08-31 2023-03-0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壁挂式空调室内机
EP4242533A4 (en) * 2020-12-11 2024-04-17 Gd Midea Air 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DRIVE MECHANISM AND AIR CONDITION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4740A (ko) * 2005-10-25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08144999A (ja) * 2006-12-07 2008-06-26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KR20100086313A (ko) * 2009-01-22 2010-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11099589A (ja) * 2009-11-04 2011-05-19 Daikin Industries Ltd 壁掛け型室内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4740A (ko) * 2005-10-25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08144999A (ja) * 2006-12-07 2008-06-26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KR20100086313A (ko) * 2009-01-22 2010-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11099589A (ja) * 2009-11-04 2011-05-19 Daikin Industries Ltd 壁掛け型室内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42533A4 (en) * 2020-12-11 2024-04-17 Gd Midea Air 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DRIVE MECHANISM AND AIR CONDITIONING
CN114963332A (zh) * 2021-02-19 2022-08-3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壁挂式空调室内机
WO2023029541A1 (zh) * 2021-08-31 2023-03-0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壁挂式空调室内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6710B1 (ko)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03729B (zh) 空气调节器的室内机及其控制方法
KR10229671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EP1248048B1 (en) Air conditioner
JP4537433B2 (ja) 空気調和機
US8272229B2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box assembly
KR101611327B1 (ko)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JP5260691B2 (ja) 空気調和機
KR102219821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293072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4504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00102860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232219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229473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2016161212A (ja) 空気調和機
KR10125013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23227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210105598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27063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7071239B2 (ja) 空気調和装置
KR101466292B1 (ko) 공기조화기
KR101507161B1 (ko) 공기 조화기
JP4687630B2 (ja) 空気調和機
KR10222948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2012042181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10904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