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046B1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046B1
KR102306046B1 KR1020190167844A KR20190167844A KR102306046B1 KR 102306046 B1 KR102306046 B1 KR 102306046B1 KR 1020190167844 A KR1020190167844 A KR 1020190167844A KR 20190167844 A KR20190167844 A KR 20190167844A KR 102306046 B1 KR102306046 B1 KR 102306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ont panel
indoor unit
support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6529A (ko
Inventor
김학재
이은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7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04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6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면패널의 후면에 홈을 형성하여 전면패널의 무게를 감소시킴으로써 전면패널 자체의 변형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홈은 전면패널을 살파기 하는 방법으로 전면패널의 테두리를 따라 얇게 구성됨으로써 전면패널의 테두리측에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위치에 따라, 직립형, 벽걸이형 또는 천장형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벽걸이형 실내기는 수직한 벽면에 부착되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 조화기로서 이해된다.
벽걸이형 실내기가 벽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의 벽걸이형 실내기는 가능한 한 가볍게 제조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특히 전면 패널은 상대적으로 경량인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송풍팬이 구동할 때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가벼운 전면 패널에 떨림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실내기의 소음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전면 패널의 외면이 더러워지거나 변색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내기의 전면 패널을 상대적으로 중량인 금속재로 구성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아래 선행문헌은 금속재로 구성된 전면 패널을 가지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개시한다. 선행문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등록번호 (등록일) : 일본 특허번호 제 5606339호(2006년 2월 21일)
2. 발명의 명칭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위 선행문헌은 금속제 패널의 후측에 수지제 패널을 직접 결합시키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 경우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첫째, 금속제 패널은 수지제 패널보다 상대적으로 무겁기 때문에 자중에 의하여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후크 구조를 형성하여 수지제 패널과 금속제 패널을 결합한다 하더라도 상기 금속제 패널이 쉽게 분리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수지제 패널이 파손될 수 있다.
둘째, 수지제 패널에 비하여 상기 금속제 패널에 더 많은 중력이 작용하므로 금속제 패널 또는 수지제 패널이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금속제 패널과 수지제 패널의 결합이 해제되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셋째, 금속제 패널 또는 수지제 패널의 경우, 가공 과정에서 치수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금속제 패널과 수지제 패널을 체결할 때 상기 치수 오차에 따른 변형 외력이 발생된다. 결국, 금속제 패널 또는 수지제 패널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넷째, 상기 금속제 패널 또는 수지제 패널에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양 패널 사이에 틈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틈을 통하여 패널의 이면구조가 노출됨으로써 미관에 좋지 않고 제품 신뢰성에 악영향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전면패널의 표면에 살파기를 통한 홈을 형성함으로써 전면패널 자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 패널 또는 지지 프레임에 변형이 발생하여 그 사이에 틈이 생기더라도 지지 프레임의 돌출리브가 틈을 커버함으로써 변형 노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지지 프레임에 형성되는 체결 홀이 타원형 홀을 형성함으로써, 전면패널과 지지 프레임이 패널 브라켓을 통하여 체결될 때 변형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면패널의 후면에 홈을 형성하여 전면패널의 무게를 감소시킴으로써 전면패널 자체의 변형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홈은 전면패널을 살파기 하는 방법으로 전면패널의 테두리를 따라 얇게 구성됨으로써 전면패널의 테두리측에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의 홈에는 지지 프레임의 리브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면에 돌출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홈에 삽입됨으로써 측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전면패널의 측면과 리브는 소정 높이만큼 오버 랩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 또는 지지 프레임에 변형이 발생하여 그 사이에 틈이 생기더라도 상기 리브가 상기 틈을 커버하여 변형 노출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지지 프레임은 가로 방향으로 길고 세로 방향으로 짧은 직사각형 패널의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패널 브라켓 및 스크류가 체결되는 체결 홀이 다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 개의 체결 홀은 가로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체결 홀은 가로방향 직경이 세로방향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타원형의 형상(장공 홀)을 가짐으로써, 전면 패널 또는 지지 프레임의 치수에 오차가 있는 상태에서 스크류 체결되더라도 변형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송풍팬이 구비되는 본체 조립체; 상기 본체 조립체의 전방에 구비되며, 금속소재로 구성되는 전면 패널; 및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전면 패널과 다른 소재로 구성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지지 프레임과 결합되는 패널 본체; 상기 패널 본체의 후면에서 함몰되는 패널 함몰부; 및 상기 패널 함몰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패널 본체의 테두리부로부터 함몰되는 테두리 홈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패널 본체의 후면과 결합되는 프레임 본체; 및 상기 프레임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테두리 홈에 삽입되는 돌출 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패널은,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리브가 지지 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높이만큼 오버랩되며, 상기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돌출리브가 상기 테두리홈에 삽입되는 깊이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홈의 가로방향 폭은 상기 돌출리브의 가로방향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본체는, 가로방향의 폭이 세로방향의 높이보다 큰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패널 본체의 테두리부는 상기 패널 본체의 네 변의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홈은 상기 패널 본체의 네 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홈은 상기 전면 패널의 세로방향 변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테두리홈 및 상기 전면 패널의 가로방향 변을 따라 형성되는 제 2 테두리홈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테두리홈의 가로방향 폭은 상기 제 2 테두리홈의 상하방향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는 패널 브라켓; 및 상기 패널 브라켓에 체결되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지지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패널 체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상기 패널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프레임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체결홀은 상기 프레임 체결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 방향의 내경이 타 방향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타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은 가로방향의 폭이 세로방향의 높이보다 큰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 체결홀은 가로방향의 내경이 세로방향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체결홀의 내면은,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곡면부; 및 상기 곡면부로부터 리니어하게 연장되어 상기 가로방향의 내경을 길게 형성하기 위한 직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 함몰부는 상기 패널 본체의 좌우방향 기준 중심(Co)을 지나는 상하 방향의 중심선(ℓ1)을 기준으로 비대칭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홀이 형성되며, 상기 패널 함몰부의 면적은, 상기 중심선(ℓ1)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홀이 형성되는 측부의 면적이 상기 디스플레이 홀의 반대측부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선(ℓ1)을 기준으로, 상기 패널 함몰부 중 상기 디스플레이 홀이 형성되는 측부의 상하 높이(H2)는 상기 반대측부의 상하 높이(H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전면 패널보다 가벼운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은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패널의 표면에 살파기를 통한 홈을 형성함으로써 전면패널 자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패널 또는 지지 프레임에 변형이 발생하여 그 사이에 틈이 생기더라도 지지 프레임의 돌출리브가 틈을 커버함으로써 변형 노출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에 형성되는 체결 홀이 타원형 홀을 형성함으로써, 전면패널과 지지 프레임이 패널 브라켓을 통하여 체결될 때 변형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가 벽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이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의 실내기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과 지지프레임의 조립체(이하, 패널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의 후면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상기 패널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의 후면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와 패널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12-1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 또는 지지프레임이 변형할 때, 상기 전면 패널과 지지프레임 사이의 틈이 돌출리브에 의하여 가려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브라켓을 이용하여 패널 조립체를 조립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4의 15-15'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의 이동을 위한 패널 구동부 를 보여주는 패널 조립체와 케이스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구동부 및 그 주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a는 상기 실내기에서 공기가 하방 토출되는 경우의 실내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b는 상기 실내기에서 공기가 전방 토출되는 경우의 실내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가 벽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이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의 실내기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는 벽(W)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에는, 벽(W)에 고정되는 설치 플레이트(20)와, 상기 설치 플레이트(20)의 전방에 결합되는 샤시(30) 및 상기 샤시(30)의 전방에 결합되는 케이스(100)가 포함된다.
상기 설치 플레이트(20)는 실내기(10)를 벽(W)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품으로서, 상기 벽(W)에 결합된 후 샤시(30)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설치 플레이트(20)는 얇은 판상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샤시(30)의 후면에 결합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샤시(30)의 하부를 지지하는 양측부가 포함된다.
상기 샤시(30) 및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송풍팬(40) 및 열교환기(6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샤시(30)에는, 상기 설치 플레이트(20)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결합부(31) 및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31)로부터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송풍팬(4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리어 가이드(33)가 포함된다.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31)는 얇은 판상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리어 가이드(33)는 상기 송풍팬(40)에서 토출된 기류를 토출부(126,129)측으로 가이드 하는 유동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상기 송풍팬(40)에는 횡류팬이 포함된다. 상기 횡류팬은 실내기(10)의 상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원주 방향으로 흡입하여 원주 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팬(40)의 축방향은 실내기(10)의 가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송풍팬(40)은 상기 샤시(3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샤시(30)에는, 상기 리어 가이드(33)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송풍팬(40)의 양측단을 지지하는 2개의 팬 지지부(35)가 더 포함된다. 상기 2개의 팬 지지부(35)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는, 상기 송풍팬(40)을 구동하는 팬 모터(4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 모터(45)의 축은 상기 팬 지지부(35)를 관통하여 상기 송풍팬(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팬 모터(45)에는 모터 커버(47)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팬 지지부(35)와 상기 모터 커버(47)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상기 팬 모터(4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샤시(30)의 측방부에는 실내기(10)의 작동을 위한 제어 부품이 구비되는 컨트롤 박스(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50)는 상기 팬 모터(45)의 측방에 위치되며, 후술할 케이스 본체(11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샤시(30)와 상기 케이스(100)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는 열교환기(60)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기(60)는 상기 송풍팬(40)의 흡입측에 배치되며, 상기 샤시(3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60)는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열교환기(60)에는, 상기 실내기(10)의 전면부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하 연장되는 제 1 열교환부(61)와, 상기 제 1 열교환부(61)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열교환부(63) 및 상기 제 2 열교환부(63)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3 열교환부(65)가 포함된다. 상기 제 1~3 열교환부(61,63,65)는 상기 송풍팬(40)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팬(4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60)에는 열교환기 홀더(67)가 결합된다. 상기 열교환기 홀더(67)는 상기 열교환기(60)는 측방에 결합되며,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60)에는 냉매 튜브(70)가 결합된다. 상기 냉매 튜브(70)는 냉매를 상기 열교환기(60)로 유입시키거나, 상기 열교환기(60)에서 배출된 냉매의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냉매 튜브(70)는 상기 열교환기(60)의 측방에 결합되며, 상기 냉매 튜브(70)의 외측에는 튜브 커버(75)가 감싸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샤시(30)의 하측에는 실내기(1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 플레이트(55)가 배치된다.
상기 샤시(30)의 전방에는 케이스(100)가 구비된다. 상기 샤시(30)와 상기 케이스(100)의 조립체는 "실내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실내기의 본체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공기 흡입부를 정의하는 상면 개구부(115a)가 형성되며, 상기 상면 개구부(115a)에는 필터 어셈블리(300)가 설치된다. 상기 상면 개구부(115a)는 케이스 본체(110)의 상면부(115)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토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부에는 하부 토출부(126) 및 전방 토출부(129)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토출부(126)는 그릴 프레임(120)의 개구된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방 토출부(129)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에는, 열교환기(60)의 하부에 배치되는 드레인 팬(8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팬(80)에는, 토출기류의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제어하는 좌우 베인(83)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좌우 베인(83)은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어 토출기류의 좌우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좌우 베인(83)는 다수 개가 구비되어 하나의 링크 바아에 연결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좌우 베인(83)은 상기 링크 바아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토출부(126)에는 토출기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상하 베인(160, 도 5 참조)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하 베인(160)은 회전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공되어 토출기류의 상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부에는, 실내기(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50)이 포함된다.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실내기(10)의 작동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5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실내기(10)의 전원이 켜지면 초기 동작으로서 상기 전면 패널(150)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실내기(10)의 하부 우측에는 내실자의 인체 감지를 위한 인체감지 센서(165)가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체감지 센서(165)에는 렌즈(166)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렌즈(166)는 전방을 향하여 화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체감지 센서(165)는 상기 그릴 본체(120)의 하부 그릴(125a)의 상면에 지지되며, 하부 토출부(126)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 센서(165)의 측방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음성 인식장치(19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장치(190)는 상기 전방 토출부(129)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음성 인식장치(190)는 상기 전방 토출부(129)와 상기 인체감지 센서(16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실내기(10)의 전방 테두리부 외관을 형성하는 그릴 프레임(120)이 포함된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는 하부 그릴(125a) 및 측면 그릴(125b)을 가지는 그릴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그릴(125a)의 대략 중앙부에는 하부 토출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음성 인식장치(190)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 홀(195a,195b)이 포함된다. 상기 마이크 홀(195a,195b)은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마이크 홀(195a,195b)은 상기 하부 그릴(125a)의 상부에 관통하여 형성되며,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1 마이크 홀(195a) 및 제 2 마이크 홀(19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토출부(129)의 측방에는, 좌우 베인(83)을 구동하기 위한 좌우베인 모터(85)가 제공된다.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전방 토출부(129)의 상하방향 기준 대략 중앙부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바아(128a)가 더 포함된다. 상기 가로 바아(128a)는 사용자의 손이 투입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0)에는, 전면 패널(150)이 포함된다.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얇은 판상의 패널 본체(151) 및 상기 패널 본체(151)에 개구되며 디스플레이(156)가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홀(152)이 포함된다. 상기 패널 본체(151)는 일례로, 4각 판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홀(152)은 상기 패널 본체(151)의 일측부, 예를 들어 도 1을 기준으로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우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은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50)을 제외한 케이스(100)의 다른 구성은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0)이 구동하면 진동이 발생하며 상기 진동은 실내기의 떨림을 유도하여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전면 패널(150)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금속 소재로 구성됨으로써,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금속 소재의 떨림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금속 소재는 플라스틱 수지에 비하여 오염발생 가능성이 낮고, 오염이 발생하더라도 쉽게 청소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소정의 질감을 느낄 수 있도록 표면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 패널(150)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4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은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에 면접촉 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과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조립체를 "패널 조립체"라 이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 프레임(140)에는, 대략 4각 판의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 본체(141) 및 상기 프레임 본체(141)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개구부(143)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부(143)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디스플레이 홀(152)의 후방에 정렬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부(143)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에는 회로기판 및 디스플레이부(156)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6)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의 전방부를 구성하며, 상기 전면 패널(150)의 디스플레이 홀(152)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에는, 상기 프레임 본체(141)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레일 결합부(145)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 본체(141)와 양측의 레일 결합부(145)에 의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40)은 전체적으로 "ㄷ"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방에 구비되며, 토출부(126,129)를 형성하는 그릴 프레임(120)이 더 포함된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전면은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 대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은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며, 일례로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가지는 ABS 수지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하부 및 양 측면부에는 실내기(10)의 하부 및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그릴부(125)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 토출부(126)는 상기 그릴부(125) 중 하부 그릴(125a)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 그릴(125a)은 상기 하부 토출부(126)로부터 하방으로 더 연장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하부 토출부(126)는 외부에 잘 보여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실내기의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토출부(126)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하부 그릴(125a)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하방으로의 직진성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양측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145)가 삽입되는 프레임 삽입부(127a,127b)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 결합부(145)는 상기 프레임 삽입부(127a,127b)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며, 레일(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일(130)은 실내기(1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후방에는 케이스 본체(110)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 본체(1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전방부, 하부 및 상부가 개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과 상기 케이스 본체(110)는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릴 프레임(120)과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조립체를 "본체 조립체"라 이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 본체(110)에는, 본체 전면부(111)와, 본체 측면부(112)와, 본체 후면부(114) 및 본체 상면부(115)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 전면부(111)에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 의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덮여지는 전면 개구부(111a)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 개구부(111a)의 하부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전방 토출부(129)와 전후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기의 기류는 상기 전면 개구부(111a)의 하부 및 상기 전방 토출부(129)를 경유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는 상기 전방 토출부(129)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측면부(112)의 내측에는 상기 컨트롤 박스(5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 측면부(112)의 외면에는 레일(30)이 놓여지는 레일 안착부(113)가 포함된다. 상기 그릴부(125)는 상기 레일 안착부(113)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그릴부(125)와 상기 레일 안착부(113)의 사이에는 상기 레일(130)이 설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 결합부(145)는 상기 레일(13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레일 결합부(145)는 상기 레일(13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후면부(114)에는, 후면 개구부(114a)가 형성된다. 상기 후면 개구부(114a)에는 샤시(3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 조립체(110,120)와 상기 샤시(30)가 결합되어 실내기(10)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하고,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는 실내기(10)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상면부(115)에는, 필터 어셈블리(300)가 장착되는 상면 개구부(115a)가 형성된다. 상기 상면 개구부(115a)는 공기 흡입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 개구부(115a)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를 지지하는 필터 지지부(115b)가 제공된다. 상기 필터 지지부(115b)는 상기 본체 전면부(111)로부터 본체 후면부(114)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지지부(115b)는 다수 개가 구비되어, 서로 이격하여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토출기류의 상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상하 베인(160)이 구비된다. 상기 상하 베인(160)의 측방에는 상기 상하 베인(160)을 구동하기 위한 베인 모터(162) 및 상기 베인 모터(162)를 둘러싸는 베인모터 커버(163)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의 상방 또는 하방 이동을 위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패널 구동부(1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패널 구동부(170)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후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패널 구동부(170)에 구비되는 기어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을 관통하여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에 접촉한다. 상기 패널 구동부(170)는 상기 케이스(100)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패널 조립체(170)에 안정적인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실내기(10)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습도 센서(194)가 더 포함된다. 상기 온습도 센서(194)에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가 포함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본체 측면부(112)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본체 측면부(112)의 하부에는 상기 온습도 센서(192)가 설치되는 센서 장착부(113a)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 장착부(113a)는 상기 레일 안착부(113)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센서 장착부(113a)와 상기 레일 안착부(113)의 사이에는 구획리브(113b)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그릴부(125)의 측면 그릴(125b)은 상기 레일 안착부(113) 및 상기 센서 장착부(113a)의 측방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측면 그릴(125b)에는, 상기 온습도 센서(192)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센서 홀이 형성되어 실내기(10)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실내기(10) 주변의 공기질 정보를 감지하는 먼지센서(192)가 더 포함된다. 상기 먼지센서(192)는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본체 측면부(112)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 본체(110)에는 먼지센서 개구부(112a)가 형성되며, 상기 먼지센서 개구부(112a)에는 먼지센서 커버가 분리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먼지센서(192)의 청소를 위하여 상기 먼지센서 커버는 분리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청소기구, 일례로 면봉등을 이용하여 상기 먼지센서(192)를 청소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과 지지프레임의 조립체(이하, 패널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후방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의 후면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8은 상기 패널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전방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의 후면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와 패널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150)은 지지 프레임(140)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140)은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과 상기 지지 프레임(140)은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면 패널(150)은 금속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140)은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면 패널(150)은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150)은 상기 지지 프레임(140)보다 무겁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전면 패널(150)의 무게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방에는 패널 함몰부(15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함몰부(151b)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가공 과정에서, 상기 전면 패널(150)의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살빼기 가공을 수행한 결과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직사각형의 얇은 판상을 가지는 패널 본체(151)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패널 본체(151)의 가로방향 폭(W1)은 세로방향 높이(H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본체(151)의 후면은 패널 본체(151)의 4개의 변 테두리를 따라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테두리부(151a) 및 상기 테두리부(151a)로부터 전방으로 함몰되는 패널 함몰부(15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함몰부(151b)는 상기 패널 본체(151)의 테두리부(151a)를 제외한 영역에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패널 함몰부(151b)는 상기 패널 본체(151)의 좌우방향 기준 중심(Co)을 지나는 상하 방향의 중심선(ℓ1)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패널 함몰부(151b)는 상기 패널 본체(151)의 후면에서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함몰부(151b)는 상기 중심선(ℓ1)을 기준으로 비대칭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함몰부(151b)의 면적은, 상기 중심선(ℓ1)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홀(152)이 형성되는 측부(도 1 기준 우측부)의 면적이 상기 디스플레이 홀(152)의 반대측부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패널 함몰부(151b) 중 상기 디스플레이 홀(152)이 형성되는 측부의 상하 높이(H2)는 상기 반대측부의 상하 높이(H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홀(152)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가 설치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홀(152)이 형성되는 부분의 전면 패널(150) 하중이 반대측부의 하중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홀(152)이 형성되는 측부에서의 패널 함몰부(151b)의 면적 또는 상하 높이(H2)를 상기 반대측부에서의 면적 또는 상하 높이(H3)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면 패널(150)의 좌우측 하중 균형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패널 함몰부(151b)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방에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14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널 본체(151)의 전후 방향으로의 두께(t1)는 2.5~3.5mm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함몰부(151b)가 상기 패널 본체(151)의 후면으로부터 함몰되는 깊이는 1.5~2.5mm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패널 함몰부(151b)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두께의 50% 이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본체(151)의 테두리부(151a)에는, 테두리 홈(151d)이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 홈(151d)은 상기 패널 함몰부(151b)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151a)를 따라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4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151a)에 테두리 홈(151d)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면 패널(150) 자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은 자체의 하중에 의하여 또는 지지프레임(140)과의 결합시 응력이 작용하여 상기 전면 패널(150)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홈(151d)은 상기 응력을 흡수하여 상기 전면 패널(150)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사각 패널로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 홈(151d)은 상기 전면 패널(150)의 세로방향 변(단변)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테두리홈(151d1) 및 상기 전면 패널(150)의 가로방향 변(장변)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테두리홈(151d2)을 포함한다.
2개의 제 1 테두리홈(151d1) 및 2개의 제 2 테두리홈(151d2)이 연결되어, 상기 테두리 홈(151d)은 4각형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테두리홈(151d1)의 가로방향 폭(W2)은 상기 제 2 테두리홈(151d2)의 상하방향 폭(W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전면 패널(150) 및 지지프레임(140)의 가로방향 길이가 세로방향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 패널(150)과 지지프레임(140)의 조립시 가로방향 길이의 오차가 더욱 크게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 테두리홈(151d1)의 폭(W2)을 조금 더 크게 형성하여 후술할 돌출리브(141c)가 상기 테두리홈(151d)에 삽입될 여유를 조금 더 크게 형성하기 위함이다 (조립성 개선).
상기 지지프레임(140)의 전면에는 상기 테두리홈(151d)에 삽입되는 돌출 리브(141c)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돌출 리브(141c)는 상기 지지프레임(140)의 프레임 본체(141)의 전면에 돌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 리브(141c)는 상기 프레임 본체(141)의 전면 테두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테두리홈(151d)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돌출 리브(141c)는 상기 테두리홈(151d)의 형상에 대응하여 대략 4각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40)과 상기 전면패널(150)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프레임(140) 또는 상기 전면패널(150)이 변형하는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140)과 상기 전면패널(150) 사이의 틈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틈을 통하여 이물이 유입될 수도 있고 변형 노출이 증가되면 실내기의 외관이 악화되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돌출리브(141c)가 상기 테두리홈(151d)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지지 프레임(140)과 전면패널(150) 사이의 틈은 상기 돌출리브(141c)에 의하여 커버됨으로써 변형 노출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틈을 통한 이물 유입이 방지되고, 실내기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한편, 상대적으로 무거운 부품을 지지하기 위하여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견고한 결합구조가 요구된다. 특히, 상기 전면 패널(150)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는 부품이므로,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응력이 작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 패널(150)의 무게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 패널(150)은 패널 브라켓(200)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4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패널 본체(151)의 배면에는 상기 패널 브라켓(200)이 결합된다. 상기 패널 브라켓(200)은 상기 패널 본체(151)의 테두리부(151a)에 이격하여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패널 브라켓(200)은 8개가 구비될 수 있다. 4개의 패널 브라켓(200)은 상기 패널 본체(151)의 배면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며, 나머지 4개의 패널 브라켓(200)은 상기 전면 패널(150)의 배면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패널 본체(151)에는, 패널 브라켓(200)이 결합되는 "브라켓 결합부"로서 다수 개의 브라켓 홈(151c)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 홈(151c)은 상기 패널 본체(151)의 배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브라켓 홈(151c)은 상기 테두리부(151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브라켓(200)이 상기 브라켓 홈(151c)에 조립되고, 패널 체결부재(154, 도 13 참조)가 상기 패널 브라켓(200)에 체결될 때 상기 브라켓 홈(151c)의 주변에는 소정의 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만약, 상기 브라켓 홈(151c)이 형성되는 패널 본체(151) 부분의 두께가 너무 작으면 상기 응력에 의하여 전면 패널(150)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라켓 홈(151c)을 상대적으로 두께가 큰 테두리부(151a)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 홈(151c)은 상기 패널 브라켓(200)의 수에 대응하여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수 개의 브라켓 홈(151c) 중 4개의 브라켓 홈(151c)은 상기 테두리부(151a)의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다른 4개의 브라켓 홈(151c)은 상기 테두리부(151a)의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널 브라켓(200)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라켓 본체(210)가 포함된다. 상기 브라켓 본체(210)의 전방부는 상기 브라켓 홈(151c)에 삽입되며, 상기 브라켓 본체(210)의 후방부는 상기 프레임 본체(141)에 지지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브라켓 본체(210)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본체(210)에는, 패널 체결부재(154)가 삽입되는 브라켓체결홀(230)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 본체(210)의 일 측방에는 걸림 파트(220)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파트(220)에는, 상기 브라켓 본체(210)의 전방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 홈(151c)에 삽입되고 상기 패널 본체(151)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 1 걸림돌기(221)가 포함된다.
상기 걸림파트(220)에는, 상기 브라켓 본체(210)의 후방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패널 본체(151)의 후면에 지지되는 제 2 걸림돌기(22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걸림돌기(225)는 상기 제 1 걸림돌기(221)의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본체(210)의 타 측방에는 상기 패널 본체(151)의 후면에 지지되는 지지파트(240)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파트(220)와 상기 지지파트(240)는 상기 브라켓 본체(210)의 양측에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걸림파트(220)는 상기 브라켓 본체(210)로부터 상기 패널 본체(151)의 가로 변에 대한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지지파트(240)는 상기 패널 본체(151)의 좌우측 모서리를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파트(220)는 상기 패널 본체(151)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지지파트(240)는 상기 패널 본체(151)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파트(240)에는, 상기 브라켓 본체(210)로부터 상기 패널 본체(151)의 측방 모서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241) 및 상기 연결부(241)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패널 본체(151)의 후면에 지지되는 후면 지지부(242)가 포함된다. 상기 후면 지지부(242)는 상기 패널 본체(151)의 후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본체(210)와 상기 후면 지지부(242)의 사이에는, 브라켓함몰부(25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함몰부(250)의 후방에는 상기 연결부(241)가 배치된다. 상기 브라켓함몰부(250)는 상기 브라켓 홈(151c)과 상기 연결부(241)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브라켓함몰부(25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패널 브라켓(200)은 상기 브라켓 홈(151c)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파트(220)가 상기 브라켓 홈(151c)에 먼저 삽입되고, 상기 지지파트(240)가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에 접촉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프레임 본체(141)는 상기 패널 브라켓(200)의 후면에 접촉되며, 패널 체결부재(154)를 통하여 상기 전면 패널(15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본체(141)에는, 상기 패널 체결부재(154)가 관통하는 프레임 체결홀(141b)이 형성된다. 상기 패널 체결부재(154)는 상기 프레임 체결홀(141b)에 삽입되며, 상기 브라켓 체결홀(23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체결홀(230)는 상기 브라켓 본체(210)의 상하방향 기준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파트(220)와 상기 지지파트(24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브라켓 체결홀(230)을 "제 1 체결홀", 상기 프레임 체결홀(141b)을 "제 2 체결홀"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체결홀(141b)은 그 중심(C1)을 기준으로 가로방향의 내경(d1)이 세로방향의 내경(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면패널(150)은 금속소재로 구성되므로 가공시 치수의 오차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 반면, 상기 지지프레임(140)은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므로 가공시 치수의 오차가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패널(150)과 상기 지지프레임(140)의 조립과정에서, 상기 전면패널(150)과 상기 지지프레임(140)이 정위치에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패널 체결부재(154)에 의하여 상기 전면패널(150), 지지프레임(140) 및 패널 브라켓(200)의 체결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체결이 되더라도 상기 전면패널(150) 또는 지지프레임(140)에 체결 응력이 작용하여 원하지 않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프레임 체결홀(141b)의 크기가 상기 패널 체결부재(154)에 꼭 맞도록 형성되는 경우 위와 같은 현상이 더욱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 체결홀(141b)의 크기를 상기 패널 체결부재(154)의 크기보다 다소 크게 형성하여 상기 패널 체결부재(154)의 체결시 체결 응력이 상기 전면패널(150)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140)에 크게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면패널(150) 및 상기 지지프레임(140)은 가로방향의 길이가 세로방향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지지프레임(140)의 치수오차는 가로방향 길이에서 더욱 크게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체결홀(141b)의 가로방향 내경(d1)을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여 좌우방향의 체결공차에 여유를 줌으로써, 상기 체결 응력에 따른 전면패널(150) 또는 지지프레임(140)의 변형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 체결홀(141b)은 가로방향의 내경(d1)이 세로방향의 내경(d2)보다 크게 형성되는 타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프레임 체결홀(141b)의 내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부(141b1) 및 상기 곡면부(141b1)로부터 리니어하게 연장되어 가로방향의 내경을 길게 형성하기 위한 직면부(141b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는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의 전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부(143)를 통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전방에 전면 패널(150)이 조립되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부(143)의 전방에는 디스플레이 홀(1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홀(152)은 상기 패널 본체(151)의 패널 함몰부(151b)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홀(152)은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패널 함몰부(151b)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홀(152)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의 전방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156)가 삽입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56)의 전면부와 상기 전면 패널(150)의 전면부는 대략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6)의 전후 방향 두께는 상기 패널 함몰부(151b)에 대응하여 얇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의 컴팩트화 및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홀(152)은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패널 함몰부(151b)에 헝성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홀(152)의 가공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에는, 상기 프레임 본체(141)의 후면에 체결되는 디스플레이 본체(155a)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55a)는 대략 4각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55a)의 전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55a)에는, 디스플레이 체결부재(155e)가 관통하는 체결홀(155f)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체결부재(155e)는 상기 체결홀(155f)을 관통하여 프레임 본체(141)의 디스플레이 체결홀(141d)에 체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 체결홀(141d)은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부(143)의 모서리측에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55a)에는, 상기 디스프레이 본체(155a)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기판지지부(155b)가 포함된다. 상기 기판지지부(155b)는 대략 4각 틀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기판지지부(155b)의 내부에는, 다수의 전기소자가 설치되는 회로기판(155c)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에는, 상기 회로기판(155c)을 덮는 디스플레이 커버(155d)가 더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55d)는 상기 회로기판(155c)이 모서리측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는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12은 도 11의 12-1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 또는 지지프레임이 변형할 때, 상기 전면 패널과 지지프레임 사이의 틈이 돌출리브에 의하여 가려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패널(150)의 후방에는 지지프레임(140)이 결합된다. 상기 전면패널(150)의 후면과 상기 지지프레임(140)의 전면 사이에는 상기 전면패널(150)과 상기 지지프레임(140)의 접착을 위한 접착부재(158)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접착부재(158)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4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리브(141c)는 전면패널(150)의 테두리홈(151d)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50)은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리브(141c)가 지지프레임(14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높이(A)만큼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높이(A)는 상기 돌출리브(151c)가 상기 테두리홈(151d)에 삽입되는 깊이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홈(151d)의 폭(W2)은 상기 돌출리브(141c)의 폭(W4)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폭(W2)은 상기 제 1 테두리홈(151d1)의 폭에 대응하며, 상기 폭(W4)은 상기 돌출리브(141c)의 가로방향 폭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돌출리브(141c)와 상기 테두리홈(151d)의 조립공차에 여유가 있으므로, 상기 전면패널(150)과 상기 지지프레임(140)의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전면패널(150)과 상기 지지프레임(140)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패널(150)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140)에 변형이 발생되면, 상기 전면패널(150)의 후면과 상기 지지프레임(140)의 전면 사이에는 틈(Cr)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틈의 내측에 돌출리브(141c)가 위치하므로 상기 틈을 통하여 이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에서 실내기를 바라 보았을 때, 상기 틈은 상기 돌출리브(141c)에 의하여 가려지게 되므로, 상기 틈을 통하여 패널 조립체의 내부 모습이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브라켓을 이용하여 패널 조립체를 조립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4의 15-15'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패널(150)은 지지프레임(140)의 전방에 패널 브라켓(20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브라켓(200)에는 패널 체결부재(154)가 체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패널 체결부재(154)는 상기 지지프레임(140)의 후방에서 상기 프레임 체결홀(141b)을 관통하여 상기 패널 브라켓(20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50)의 패널 본체(151)에는, 제 1,2 걸림돌기(221,225)의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 턱(151d)이 포함된다. 상기 지지 턱(151d)의 전면은 상기 제 1 걸림돌기(221)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 턱(151d)의 후면은 상기 제 2 걸림돌기(225)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걸림파트(220)는 상기 패널 본체(151)에 삽입되고 지지 턱(151d)에 의하여 지지되는 반면, 상기 지지파트(240)는 단순히 상기 패널 본체(151)의 후면에 접촉 지지되므로, 상기 패널 브라켓(200)이 상기 패널 체결부재(154)에 의하여 상기 전면 패널(150) 및 지지 프레임(140)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걸림파트(220)에서의 전면 패널(150)에 대한 지지력이 상기 지지파트(240)에서의 전면 패널(150)에 대한 지지력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의 이동을 위한 패널 구동부 를 보여주는 패널 조립체와 케이스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구동부 및 그 주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140,150)는 그릴 프레임(120)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에는, 전면 패널(150) 및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에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140)이 포함된다.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상하 이동을 위한 구동기구가 더 포함된다.
상기 구동기구에는,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패널 구동부(170)가 포함된다. 상기 패널 구동부(170)는 그릴 프레임(12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후면에는 모터 브라켓(124)이 결합되며, 상기 패널 구동부(170)는 상기 모터 브라켓(124)의 후측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모터 브라켓(124)에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과 체결되는 브라켓체결부(124a)가 포함된다.
상기 패널 구동부(170a,170b)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패널 구동부(170a,170b)에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1 패널구동부(170a) 및 제 2 패널구동부(170b)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패널 구동부(170a,170b)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모터축을 가지는 구동모터(171) 및 상기 구동모터(171)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조립체가 포함된다. 상기 기어 조립체는 다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 조립체의 기어축은 기어 케이스(172a,172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기어 케이스(172a,172b)에는, 케이스 본체(172a) 및 상기 케이스 본체(172a)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172b)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 본체(172a) 및 상기 케이스 커버(172b)는 좌우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71)가 구동하면, 상기 기어 조립체가 회전하며, 상기 기어 조립체의 일 기어는 지지 프레임(148)의 랙(148)과 기어 결합하여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는, 상기 패널 구동부(170)와 연동하는 랙(148)이 구비된다. 상기 랙(148)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되며, 다수의 기어 이가 포함된다.
상기 랙(148)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랙(148)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랙(148)에는, 제 1 랙(148a) 및 제 2 랙(148b)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2 랙(148a,148b)은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의 후면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홀더(178)가 삽입되는 홀더 브라켓(185)이 구비된다. 상기 홀더 브라켓(185)은 상기 제 1,2 랙(148a,148b)의 측방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홀더 브라켓(185)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홀더 브라켓(185)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홀더 브라켓(185)에는, 상기 제 1 랙(148a)의 측방에 위치하는 제 1 홀더브라켓(185a) 및 상기 제 2 랙(148b)의 측방에 위치하는 제 2 홀더브라켓(185b)이 포함된다.
상기 홀더 브라켓(185)에는 상기 홀더(178)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브라켓 홀이 형성되며,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홀더(178)는 상기 홀더 브라켓(185)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는, 연결 링크(180)가 장착된다. 상기 연결 링크(180)는 다수 회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 링크(18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140)의 후면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링크(180)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와 컨트롤 박스(50)를 연결하는 전선, 일례로 전원선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연결 링크(180)의 내부에는 상기 전선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전선의 외측은 상기 연결 링크(180)에 의하여 둘러싸여진다.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컨트롤 박스(50)가 설치되는 케이스 본체(110)와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55)간의 거리는 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전선은 움직이게 되므로, 만약 전선이 상기 연결 링크(180)에 의하여 보호되지 않는다면 주변 부품들과 간섭될 가능성이 상존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선을 둘러싸는 연결 링크(180)가 패널 조립체(140,150)와 케이스 본체(110)를 연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전선과 주변 부품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는, 상기 기어 조립체 중 일 기어가 관통할 수 있는 기어 홀이 형성된다. 상기 기어 홀은 상기 제 1,2 패널구동부(170a,170b)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양측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릴 프레임(120)에는, 상기 홀더(178)가 통과하는 홀더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 관통홀은 상기 기어 홀의 측방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 관통홀은 상기 홀더(178)의 개수 및 상기 홀더 브라켓(185)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더(178)는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홀더 관통홀을 통하여 전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178)는 상기 홀더 브라켓(185)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8a는 상기 실내기에서 공기가 하방 토출되는 경우의 실내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8b는 상기 실내기에서 공기가 전방 토출되는 경우의 실내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에서는, 하부 토출부(126)를 통하여만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 조화기의 난방운전시 사용자에게 온풍이 직접 공급되지 않도록 하방 토출을 수행하는 간접풍 모드가 운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송풍팬(40)이 구동되면, 실내기(10)의 상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필터 어셈블리(30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상기 송풍팬(40)을 거치면서 실내기(10)의 하부로 유동한다.
이 때, 전면 패널(150)은 상방을 이동하거나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중앙위치에 있게 된다. 여기서, "중앙위치"라 함은 상기 전면 패널(150)이 그릴 프레임(120)의 전방 토출부(129)를 덮으면서 상기 그릴 프레임(120)의 하단부보다 하측으로 더 내려가지 않는 위치인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상하 베인(160)은 하부 토출부(126)를 개방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기 송풍팬(4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상하 베인(160)에 의하여 가이드 되며, 개방된 하부 토출부(126)를 통하여 하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방 토출부(129)는 상기 패널 조립체(140,150)에 의하여 차폐되므로, 전방으로의 기류 토출은 제한된다.
다음으로, 도 1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에서는, 전방 토출부(129)를 통하여만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 조화기의 냉방운전시 사용자에게 냉풍이 직접 공급되지 않도록 전방 토출을 수행하는 간접풍 모드가 운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송풍팬(40)이 구동되면, 실내기(10)의 상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필터 어셈블리(30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상기 송풍팬(40)을 거치면서 실내기(10)의 하부로 유동한다.
이 때, 전면 패널(150)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부 위치에 있게 된다. 여기서, "상부 위치"라 함은 상기 전면 패널(150)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그릴 프레임(120)의 전방 토출부(129)를 개방한 위치인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상하 베인(160)은 상기 하부 토출부(126)를 폐쇄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상하 베인(160)에 의하여 가이드 되며, 개방된 전방 토출부(129)를 통하여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방 토출부(129)는 상기 상하 베인(160)에 의하여 차폐되므로, 하방으로의 기류 토출은 제한된다.
한편, 도면에 별도로 표시되는 않았으나, 상기 실내기(10)에서는, 하부 토출부(126) 및 전방 토출부(129)를 통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동시 모드"가 운전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 조화기의 냉방운전 및 난방운전시, 상기 동시 모드의 운전이 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송풍팬(40)이 구동되면, 실내기(10)의 상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필터 어셈블리(30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상기 송풍팬(40)을 거치면서 실내기(10)의 하부로 유동한다. 이 때, 전면 패널(150)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부 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하 베인(160)은 상기 하부 토출부(126)를 개방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상하 베인(160)에 의하여 가이드 되며, 개방된 하부 토출부(126) 및 전방 토출부(129)를 통하여 하방 및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내기(10)가 구동할 때, 전면 패널(150)은 "제 1 위치(중앙위치)" 또는 "제 2 위치(상부 위치)"에 있을 수 있고, 상하 베인(160)의 위치에 따라 간접풍 모드 또는 동시 모드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10 : 실내기 30 : 샤시
40 : 송풍팬 50 : 컨트롤 박스
60 : 열교환기 100 : 케이스
110 : 케이스 본체 120 : 그릴 프레임
130 : 레일 140 : 지지 프레임
141b : 프레임 체결홀 141c : 돌출 리브
150 : 전면 패널 151b : 패널 함몰부
151c : 브라켓 홈 151d : 테두리 홈
200 : 패널 브라켓

Claims (16)

  1. 송풍팬이 구비되는 본체 조립체;
    상기 본체 조립체의 전방에 구비되며, 금속소재로 구성되는 전면 패널; 및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전면 패널과 다른 소재로 구성되고, 프레임 본체 및 상기 프레임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리브를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패널 본체;
    상기 패널 본체의 후면에서 함몰되는 패널 함몰부; 및
    상기 패널 함몰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패널 본체의 테두리부로부터 함몰되는 테두리홈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리브는 상기 테두리홈에 삽입되고, 상기 전면 패널은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리브가 상기 테두리홈에 삽입된 거리만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오버랩 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리브가 상기 프레임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돌출리브가 상기 테두리홈에 삽입되는 깊이에 대응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홈의 가로방향 폭은 상기 돌출리브의 가로방향 폭 보다 크게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본체는, 가로방향의 폭이 세로방향의 높이보다 큰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패널 본체의 테두리부는 상기 패널 본체의 네 변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홈은 상기 패널 본체의 네 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홈은 상기 전면 패널의 세로방향 변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테두리홈 및 상기 전면 패널의 가로방향 변을 따라 형성되는 제 2 테두리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테두리홈의 가로방향 폭은 상기 제 2 테두리홈의 상하방향 폭 보다 크게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는 패널 브라켓; 및
    상기 패널 브라켓에 체결되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지지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패널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상기 패널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프레임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체결홀은 상기 프레임 체결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 방향의 내경이 타 방향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가로방향의 폭이 세로방향의 높이보다 큰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 체결홀은 가로방향의 내경이 세로방향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체결홀의 내면은,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곡면부; 및
    상기 곡면부로부터 리니어하게 연장되어 상기 가로방향의 내경을 길게 형성하기 위한 직면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함몰부는 상기 패널 본체의 좌우방향 기준 중심(Co)을 지나는 상하 방향의 중심선(ℓ1)을 기준으로 비대칭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홀이 형성되며,
    상기 패널 함몰부의 면적은,
    상기 중심선(ℓ1)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홀이 형성되는 측부의 면적이 상기 디스플레이 홀의 반대측부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선(ℓ1)을 기준으로,
    상기 패널 함몰부 중 상기 디스플레이 홀이 형성되는 측부의 상하 높이(H2)는 상기 반대측부의 상하 높이(H3)보다 크게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전면 패널보다 가벼운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0190167844A 2019-12-16 2019-12-16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306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844A KR102306046B1 (ko) 2019-12-16 2019-12-16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844A KR102306046B1 (ko) 2019-12-16 2019-12-16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529A KR20210076529A (ko) 2021-06-24
KR102306046B1 true KR102306046B1 (ko) 2021-09-30

Family

ID=76607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844A KR102306046B1 (ko) 2019-12-16 2019-12-16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0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4778A (ja) * 2007-09-25 2009-04-09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および前面パネル体の取付板の取り付け方法
JP2013167400A (ja) * 2012-02-15 2013-08-29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537B1 (ko) * 2009-01-23 201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4778A (ja) * 2007-09-25 2009-04-09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および前面パネル体の取付板の取り付け方法
JP2013167400A (ja) * 2012-02-15 2013-08-29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529A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202896A (ja) 空気調和機
JP4713658B2 (ja) 空気調和機
KR10125980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30604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25980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80388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232219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5631091B2 (ja) 空気調和機
JP4915351B2 (ja) 空気調和機
JP5971233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2219821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554656B1 (ko) 공기조화기
JP3814978B2 (ja) 空気調和機のエアフィルタ取付構造
KR100717342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22948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US20170370612A1 (en) Air conditioning indoor unit
KR10223227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5928246B2 (ja) 空気調和機
KR2007007736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H0742018Y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EP1416228A2 (en) Indoor unit of wall-mounted air conditioner
KR101466292B1 (ko) 공기조화기
KR102229473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229502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420527B1 (ko)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