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460B1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460B1
KR101336460B1 KR1020110122744A KR20110122744A KR101336460B1 KR 101336460 B1 KR101336460 B1 KR 101336460B1 KR 1020110122744 A KR1020110122744 A KR 1020110122744A KR 20110122744 A KR20110122744 A KR 20110122744A KR 101336460 B1 KR101336460 B1 KR 101336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ir conditioner
sensor
air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6781A (ko
Inventor
요시로오 우에다
히데끼 데라우찌
히로유끼 하시모또
유우끼 이또오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6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40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소리 정보를 검지하고, 공조 공간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활동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함으로써, 조작성이나 쾌적성에 배려하면서 에너지 절약 운전을 행하는 것이다. 공조 공간 내의 소리를 수음하는 마이크로 폰(408)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이며, 상기 마이크로폰(408)에서 검지한 소리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와, 증폭된 소리 신호 중으로부터 특정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대역 추출부를 갖는다. 그리고 대역 추출부를 복수 설치하여, 각각 다른 주파수 대역을 추출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조 공간 내의 소리를 검출하는 소리 센서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열교환기에 순환시켜, 가열, 냉각, 제습 기능 등에 의해 조정하고, 조정된 공조 공기를 실내로 분출함으로써 실내를 공기 조화한다. 최근, 지구 온난화 방지의 관점으로부터, 공기 조화기에는 가일층 에너지 절약 운전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근래의 센서 기술의 진보를 도입하여, 다양한 센서를 탑재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 중 하나로서, 공기 조화기에 소리 센서를 구비하여, 조작성을 개선하고, 쾌적성에 배려하면서 에너지 절약 운전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소리 센서를 구비하는 기기의 종래 기술로서, 소리 센서에서 검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기기로서, 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3의 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 11-239310호 공보)에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채널 전환ㆍ음량 조정ㆍ스테레오 전환ㆍ음성 뮤트 등의 기능을 이격한 장소로부터 리모트 컨트롤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 1개 혹은 복수개의 마이크로폰(소리 센서)을 갖고,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소리를 미리 메모리에 기억된 각종 데이터와 비교하여, 텔레비전 수상기의 음량 레벨을 최적으로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CPU를 갖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6-19492호 공보)에는, 입력된 잡음을 포함하는 인식해야 할 음성의 음성 신호의 특징 추출을 행하는 특징 추출 수단과, 상기 음성 신호의 입력에 따라 변화되는 입력 레벨의 잡음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임계값을 설정하는 임계값 설정 수단과, 상기 임계값 설정 수단에서 설정된 임계값에 기초하여 인식해야 할 음성 패턴의 유효한 음성 구간을 결정하는 입력 음성 구간 결정 수단과, 인식해야 할 음성의 유효한 음성 구간의 음성 패턴을 작성하는 입력 음성 패턴 작성 수단과, 표준 음성 패턴을 기억하는 제1 표준 음성 패턴 기억 수단과, 상기 임계값 설정 수단에서 설정된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표준 음성 패턴 기억 수단에 기억된 표준 음성 패턴의 음성 구간을 결정하는 표준 음성 구간 결정 수단과, 상기 표준 음성 구간 결정 수단에서 음성 구간이 결정된 표준 음성 패턴의 패턴 작성을 행하는 표준 음성 패턴 작성 수단과, 상기 입력 음성 패턴 작성 수단에서 작성된 인식해야 할 음성의 음성 패턴과 상기 표준 음성 패턴 작성 수단에서 작성된 표준 음성 패턴을 비교 식별하는 식별 수단을 구비한 음성 인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267690호 공보)에는, 입력된 음성의 주파수를 검지하고, 설정된 검지 음성 주파수 범위 내의 주파수인지 여부를 식별하여, 그 식별 결과를 출력하는 음성 주파수 검지부와, 입력된 음성의 에너지 레벨을 검지하고, 설정된 검지 음성 에너지 레벨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의 비교를 행하여, 그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입력 신호 레벨 검지부와, 상기 음성 주파수 검지부의 식별 결과 및 상기 입력 신호 레벨 검지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음성 검지 조건에 적합한 음성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스테이터스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입력 판단부와, 상기 제1 스테이터스 신호의 계속 시간을 측정하고, 설정된 계속 시간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의 비교를 행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제2 스테이터스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계속 시간 측정부를 구비한 음성 검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 11-239310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 6-19492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267690호 공보
종래, 공기 조화기에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를 비롯하여, 각종 적외선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공조 공간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활동 상태를 인식하고, 쾌적성의 향상이나 에너지 절약 운전을 행하는 등의 기술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주위 환경이나 사람의 동작에 따라서는, 적외선 센서만으로는 충분히 검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절전을 위해 부재를 검지한 경우에, 운전을 정지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는, 앉아서 텔레비전 수상기를 시청하여, 일정 시간 동작하지 않은 경우에, 부재로 오류 인식하는 등의 문제를 들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실내 환경이나 사용자의 동작 상태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해, 공조 공간의 소리를 인식하는 것이 매우 유의의해진다. 소리를 인식함으로써, 전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또한 청소기를 작동시키고 있는 것을 인식하여, 공기 청정 운전을 개시함으로써, 청소기의 배기로 인해 흩날리는 진애를 세정하는 등의 것도 가능해져, 보다 편리성이나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서 개시된 리모트 컨트롤 장치는, 음량 레벨을 검지하여,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텔레비전 수신기의 음량 레벨을 환경 조건에 맞춰 자동 조정하는 것으로,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여, 음원을 특정하는 것에 관한 기재는 없다.
또한, 특허 문헌 2는 사람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력된 잡음을 포함하는 인식해야 할 음성의 음성 신호를, 잡음 레벨에 따라 유효로 하는 판정 임계값을 바꾸어 판정을 행하는 수단에 대해 기재하고 있고, 특정 주파수 대역마다 분리된 소리 신호의 연속 시간이나 단속 시간, 규칙성, 불규칙성, 검지되는 비율로부터 음원을 특정하는 것에 관한 기재는 없다.
또한, 특허 문헌 3은 사람의 음성 신호를 간이한 구성으로 인식 가능하게 하는 수단에 관해 기재하고 있고, 특정 주파수 대역마다 분리된 소리 신호의 연속 시간이나 단속 시간, 규칙성, 불규칙성, 검지되는 비율로부터 음원을 특정하는 것에 관한 기재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리 정보를 검지하여, 공조 공간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활동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함으로써, 조작성이나 쾌적성에 배려하면서 에너지 절약 운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공조 공간 내의 소리를 수음하는 마이크로폰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이며, 상기 마이크로폰에서 검지한 소리 신호 증폭시키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된 소리 신호 중으로부터 특정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대역 추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리 정보를 검지하여, 공조 공간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활동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함으로써, 조작성이나 쾌적성에 배려하면서 에너지 절약 운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실내기의 운전 정지 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실내기의 운전 정지 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실내기의 난방 운전 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실내기의 냉방 운전 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실내기의 운전 시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실내기의 운전 시의 하면도이다.
도 8은 센서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소리 센서의 설치부에서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복사 센서의 설치부에서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초전형 적외선 센서의 설치부에서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의 상세도이다.
도 13은 전방부 상하 풍향판을 폐쇄했을 때의 소리 센서 설치부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4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을 폐쇄했을 때의 센서 설치부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을 개방했을 때의 센서 설치부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필터 청소 기구를 실내기의 상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7의 (a)는 필터 청소 기구의 사시도이고, (b)는 브러쉬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필터 청소 기구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9는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20은 활동 내용과 활동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21은 실내 소리의 주파수 분석예로, 도 21의 (a)는 공기 조화기의 소리의 주파수 분석예, 도 21의 (b)는 청소기의 소리의 주파수 분석예이다.
도 22는 실내 소리의 주파수 분석예로, 도 22의 (a)는 육성의 주파수 분석예, 도 22의 (b)는 텔레비전의 소리의 주파수 분석예이다.
도 23은 음원 판정 블록도이다.
도 24는 활동량 판정부가 실행하는 음원 판정 흐름도이다.
도 25는 주위 소리에 따른 판정 임계값의 보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조합 활동량 판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고 함)에 대해, 적합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공기 조화기≫
우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1)의 구성에 대해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1)의 구성도이다.
실내를 공기 조화하는 공기 조화기(1)는,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2)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6)와, 공기 조화기(1)를 원격 조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5)와, 실내기(2)와 실외기(6)를 연결하는 접속 배관(8)으로 구성된다.
실외기(6)는 압축기(51)(도 19 참조), 실외 송풍기(53)(도 19 참조), 실외 열교환기(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한다. 실외기(6)의 압축기(51)와 실외 열교환기는, 접속 배관(8)의 2개의 냉매 배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후술하는 실내기(2)의 실내 열교환기(33)(도 2 참조)와 접속되어, 냉매를 순환시킴으로써 열펌프로서 기능한다.
〈실내기〉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1)를 구성하는 실내기(2)에 대해 도 2 내지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실내기(2)의 운전 정지 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실내기(2)의 운전 정지 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실내기(2)의 난방 운전 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실내기(2)의 냉방 운전 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실내기(2)의 운전 시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실내기(2)의 운전 시의 하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기(2)는 하우징 베이스(21)의 중앙부에 실내 열교환기(33)와, 실내 열교환기(33)의 하류측에 실내 열교환기(33)의 폭과 대략 동등한 길이의 횡류 팬 방식의 실내 송풍기(52)(도 19 참조)의 실내 송풍 팬(311)과, 실내 열교환기(33)에서 결로한 응축수를 받는 응축수 수용 접시(35)를 구비한다.
또한, 실내기(2)의 하우징 베이스(21)에는, 필터(231, 231'), 상하 풍향판(291, 292), 좌우 풍향판(295) 등의 기본적인 내부 구조체가 설치된다. 이들을 장식 프레임(23)으로 덮고, 장식 프레임(23)의 전방면에 전방면 패널(25)을 설치함으로써, 하우징 베이스(21), 장식 프레임(23), 전방면 패널(25)로 이루어지는 하우징(20)(도 1 참조)에 내포되어 실내기(2)를 구성한다.
이 장식 프레임(23)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27)와, 온도ㆍ습도가 조화된 공기를 분출하는 공기 분출구(29)가 상하에 설치되어 있다.
공기 흡입구(27)는 실내기(2)의 상부에 설치된 상측 공기 흡입부(270)와, 실내기(2)의 전방면에 설치된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방면 패널(25)에 설치된 가동 패널(251)은, 하단부에 설치한 회전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되어, 공기 조화기(1)의 운전 시에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를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4, 도 5 참조). 이에 의해, 실내 공기는, 공기 조화기(1)의 운전 시에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로부터도 실내기(2)에 흡인된다.
또한, 공기 조화기(1)의 운전 정지 시에는, 가동 패널(251)을 회전하여,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를 폐쇄하도록 제어된다(도 2 참조).
필터(231, 231')는 공기 흡입구(27)[상측 공기 흡입부(270),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로부터 흡입된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는 진애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 열교환기(33)의 흡입측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공기 조화기(1)의 운전 시에 있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 송풍 팬(311)이 회전하면, 실내 공기가 실내기(2)에 설치된 공기 흡입구(27)로부터 실내 열교환기(33)로 흐른다. 그리고 실내 열교환기(33)에서 온도 조정, 습도 조정된 공조 공기는, 실내 송풍 팬(311)을 통과하여 실내 송풍 팬(311)의 길이에 대략 동등한 폭을 갖는 분출 풍로(290)로 흐른다. 그 후, 공조 공기는 분출 풍로(290) 도중에 배치한 좌우 풍향판(295)으로 좌우 방향이 편향되고, 또한 공기 분출구(29)에 배치한 상하 풍향판(291, 292)으로 상하 방향이 편향되어 실내로 분출한다.
장식 프레임(23) 하면에 형성되는 공기 분출구(29)는, 전방면 패널(25)과 장식 프레임(23)의 분할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실내기(2)의 내부의 분출 풍로(290)에 연통되고, 상하 풍향판(291, 292), 좌우 풍향판(295)이 배치되어 있다.
2매의 상하 풍향판(291, 292)[전방부 상하 풍향판(291), 후방부 상하 풍향판(292)]은, 양단부에 설치한 회전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리모트 컨트롤러(5)(도 1 참조)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공기 조화기(1)의 운전 시에 소요의 각도까지 회전되어, 공기 분출구(29)를 개방하고, 그 상태에서 유지된다(도 4, 도 5 참조).
또한, 공기 조화기(1)의 운전 정지 시에는, 상하 풍향판(291, 292)을 회전 하여, 공기 분출구(29)를 폐쇄하도록 제어된다(도 2 참조). 또한, 상하 풍향판(291, 292)은 폐쇄한 상태에서, 분출 풍로(290)를 대략 은폐하여 실내기(2)의 저면에 연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2, 도 3 참조).
그리고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와, 공기 분출구(29)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장식면(24)을 감추도록,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내부 장식면(24)의 전방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출 풍로(290)의 하류에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가 설치되어 있어, 운전 정지 시 등, 상하 풍향판(291)을 폐쇄했을 때에 보조 풍향판(291d)을 수납하고 있다.
분출 풍로(290)의 하류에 분출 풍로 상벽(290a)으로부터 연결되어,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를 설치함으로써, 극히 약한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을 행할 때에,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약간 상향으로 하고, 후방부 상하 풍향판(292)을 대략 폐쇄하는 자세로 하는 등 적절하게 회전시키고, 실내 송풍기(52)(도 19 참조)의 실내 송풍 팬(311)을 적절한 회전 속도로 운전하여, 극히 약한 바람을 흐르게 함으로써, 분출한 공기를 극히 약한 바람으로 하여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를 통과시키고, 살짝 실내에 확산시켜, 미약한 냉방 또는 난방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를 이용하여, 분출한 공기(극히 약한 바람)를 즉각,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로부터 흡입시키는 쇼트 서킷 운전을 행함으로써, 실내 열교환기(33)의 건조 운전이나 실내기(2) 내부의 탈취 운전 등의 공기 조화기(1)의 메인터넌스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공기 조화기(1)를 운전 정지 시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풍향판(291d)이나 아암(291e)(도 12 참조)이 분출 풍로(290)의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에 수납됨으로써,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1)를 여분의 요철이 없는 깔끔한 의장으로 할 수 있어, 인테리어의 분위기를 어지럽히는 일이 없다.
좌우 풍향판(295)은 하단부에 설치한 회전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리모트 컨트롤러(5)(도 1 참조)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소요의 각도까지 회전되어, 그 상태에서 유지된다.
이와 같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는, 리모트 컨트롤러(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하 풍향판(291, 292), 좌우 풍향판(295)을 소요의 각도까지 회전하여, 공조 공기를 공기 분출구(29)로부터 상하 좌우로 편향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분출한다(도 4, 도 5 참조).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5)로부터 지시함으로써, 공기 조화기(1)의 운전 중에 상하 풍향판(291, 292), 좌우 풍향판(295)을 주기적으로 요동시켜, 실내의 넓은 범위로 주기적으로 공조 공기를 분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축수 수용 접시(35)는, 실내 열교환기(33)의 전후 양측의 하단부 하방에 배치되어, 냉방 운전 시나 제습 운전 시에 실내 열교환기(33)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받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응축수 수용 접시(35)에 모인 응축수는, 접속 배관(8)의 내부에 설치된 드레인 배관(37)(도 1 참조)을 통해 실외부로 배출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기(2)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와, 복사 센서(18)와, 소리 센서(19)를 구비하고 있고, 모두 공기 분출구(29)의 상방의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안쪽의 내부 장식면(24)(도 4, 도 5 참조)의 배면부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및 소리 센서(19)는, 센서 모듈(16)(도 8 참조)에 탑재되고, 센서 모듈(16)은 공기 분출구(29)의 상방의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안쪽의 내부 장식면(24)(도 4, 도 5 참조)의 배면부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센서 모듈(16)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면 패널(25)의 하방에는, 공기 조화기(1)의 운전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397)가 배치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는, 내부 표시부(22)가 노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표시부(22)는, 센서 모듈(16)(도 8 참조)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센서 모듈(16)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후방부 상하 풍향판(292)의 측방에, 별체의 리모트 컨트롤러(5)(도 1 참조)와의 적외선 신호를 수수하는 송수신부(396)가 배치되어 있다.
실내기(2)는 내부에 공기 조화기(1)를 제어하는 제어부(10)(도 19 참조)를 구비하고, 이 제어부(10)에 마이크로 컴퓨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마이크로 컴퓨터는 실온 센서(11)(도 19 참조), 습도 센서(12)(도 19 참조),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및 소리 센서(19) 등의 각종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받는 동시에, 리모트 컨트롤러(5)(도 1 참조)와의 적외선 신호를 송수신부(396)를 통해 수수한다. 이 마이크로 컴퓨터는 이들 신호에 기초하여, 실내 송풍기(52)(도 19 참조), 가동 패널(251)의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 상하 풍향판(291, 292)의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 좌우 풍향판(295)의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 등을 제어하는 동시에, 실외기(6)와의 통신을 관리하여, 실내기(2)를 통괄하여 제어한다.
〈센서 모듈〉
다음에,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소리 센서(19) 및 내부 표시부(22)가 배치되는 센서 모듈(16)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센서 모듈(16)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 모듈(16)은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소리 센서(19) 및 내부 표시부(22)[표시창(22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 모듈(16)은 내부 장식면(24)의 배면부에 배치되어 있다.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소리 센서(19) 및 내부 표시부(22)를 하나의 하우징에 콤팩트하게 정리하여, 비용의 저감과 기능의 상승을 도모한다. 즉, 인쇄 배선을 선회한 공통의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각 센서 등을 탑재하고, 전원이 돌아 들어감 등의 배선을 간략화하고, 또한 취급을 용이하게 하여, 제조 비용을 저감한다. 또한,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및 소리 센서(19)를 좁은 범위에 정리하였으므로, 각 센서의 검지 영역이 대략 동등해지고, 검지 영역의 상황을, 성질이 다른 센서에서 대략 동시에, 다면적으로 검출하여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져, 검지 영역의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기 조화기(1)의 에너지 절약 운전, 쾌적 운전, 자동 운전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소리 센서〉
소리 센서(19)는 실내기(2)가 설치된 실내(공조 공간)의 소리를 수음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리 센서(19)는 실내기(2)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공기 분출구(29)의 내측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공기 분출구(29)의 대략 중심부에 배치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리 센서(19)는 실내기(2)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와 공기 분출구(29) 사이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분출 풍로 상벽(290a)의 최하단부(290c)보다 하류로부터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에 걸쳐 배치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로부터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에 걸쳐서의 내부 장식면(24)의 배면부에 배치된다.
도 9는 소리 센서(19)의 설치부에서 절단한 사시도이다.
이와 같이 배치한 소리 센서(19)에 대향하는 내부 장식면(24)에 연통 구멍(24b)을 형성하여, 실내의 소리를 효율적으로 소리 센서(19)에 전달한다. 이로 인해, 소리 센서(19)는 내부 장식면(24)에 감춰져, 실내로부터 보이는 일은 없다. 실내로부터 보이는 것은 내부 장식면(24)에 뚤린 작은 연통 구멍(24b)만으로 되어, 실내의 분위기를 어지럽히는 일은 없다.
여기서, 소리 센서(19)에는 실내의 소리의 이외에, 공기 조화기(1)[실내기(2)] 자신의 운전음이 수음된다. 공기 조화기(1)[실내기(2)] 자신의 운전음은, 실내의 상황을 소리로 파악하고자 할 때에는 노이즈로서 작용한다. 이로 인해, 가능한 한 소리 센서(19)에 운전음이 수음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공기 조화기(1)[실내기(2)] 자신의 운전음은, 실내 송풍 팬(311)에 의한 기류음이 대부분으로, 실내 송풍 팬(311), 흡입 기류, 분출 기류로부터 가능한 한 이격함으로써 그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리 센서(19)에 도달하는 공기 조화기(1)[실내기(2)] 자신의 운전음을 가능한 한 작게 하기 위해 실내 송풍 팬(311)으로부터 가능한 한 이격하고, 분출 기류의 흐트러짐의 영향을 작게 하기 위해, 유속이 늦어지는 분출 풍로 상벽(290a)의 최하단부(290c)보다 하류의 위치에, 소리 센서(19)에 실내의 소리를 전달하는 연통 구멍(2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출 기류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재실자가 있는 영역의 소리를 수음하기 쉬운 소리 센서(19)로부터 부각 30도 내지 40도의 범위에 연통 구멍(24b)이 오도록,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로부터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에 걸쳐서의 내부 장식면(24)에, 소리 센서(19)에 실내의 소리를 전달하는 연통 구멍(24b)이 형성되어 있다(도 4, 도 5 참조).
또한, 실내기(2)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소리 센서(19)를 공기 분출구(29)의 대략 중심부에 배치함으로써(도 7 참조), 실내기(2)를 운전할 때의, 개방한 가동 패널(251)의 양단부로부터 흡입되는 흡입 기류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연통 구멍(24b)이 위치하여, 흡입 기류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필터(231, 231')에 먼지가 저류되는 등에 의해, 기류의 통풍 저항이 커지면, 실내 송풍 팬(311)의 서징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경우, 서징 현상은 실내 송풍 팬(311)의 익단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아, 소리 센서(19)를 공기 분출구(29)의 대략 중심부에 배치함으로써(도 7 참조), 서징 현상에 의한 소리 센서(19)로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2)(도 1 참조)를 실내의 벽이 교차하는 코너부에 설치한 경우, 이웃한 벽에서 반사되는 소리의 영향으로 소리 센서(19)의 검출 정밀도가 열화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웃한 벽으로부터 소리 센서(19)까지의 거리를, 적어도 실내기(2)의 공기 분출구(29)의 장변 치수의 약 절반 이상의 거리는 확보할 수 있으므로, 소리 센서(19)의 검출 정밀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어, 실내의 코너부에 실내기(2)를 설치했을 때의 반향 등에 의한 악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연통 구멍(24b)은 내부 장식면(24)에 형성된 오목부(24a)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4a)는 저면으로부터 전방면의 개구 단부를 향하여 전방이 넓게 확장되어 있다. 이로 인해, 넓은 개구 단부에 도달한 실내의 소리는, 좁은 저면을 향하여 진행하는 동안에 증폭되고, 연통 구멍(24b)에 도달하여, 소리 센서(19)에 수음된다. 이에 의해, 실내의 작은 소리도 포착할 수 있어 수음성이 향상된다.
〈복사 센서〉
도 10은 복사 센서의 설치부에서 절단한 사시도이다.
적외선 센서의 일종인 복사 센서(18)는, 실내의 바닥면, 또는 벽면의 온도를 검출한다.
복사 센서(18)는 소리 센서(19)와 마찬가지로, 실내기(2)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공기 분출구(29)의 내측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공기 분출구(29)의 대략 중심부에 배치된다(도 7 참조). 또한, 복사 센서(18)는 소리 센서(19)와 마찬가지로, 실내기(2)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와 공기 분출구(29) 사이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분출 풍로 상벽(290a)의 최하단부(290c)보다 하류로부터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에 걸쳐 배치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로부터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에 걸쳐서의 내부 장식면(24)의 배면부에 배치된다(도 4, 도 5 참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장식면(24)의 복사 센서(18)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소리 센서(19)와 마찬가지로, 전방이 넓은 오목부(24a)를 형성하고, 그 저부에 작은 복사 개구(24d)를 복사 센서(18)의 형상에 따라 형성하여, 실내의 바닥면, 또는 벽면의 온도를 검출한다.
〈초전형 적외선 센서〉
도 11은 초전형 적외선 센서의 설치부에서 절단한 사시도이다.
적외선 센서의 일종인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는, 재실자의 열량으로부터 재실자의 활동량을 검출한다. 즉,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는 유전율이 큰 결정체나 수지가 온도 변화에 의해 전하를 발생시키는 초전 효과를 이용한 것으로, 사람으로부터 발하는 적외선을 비접촉으로 검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앞에 프레넬 렌즈(17a)를 설치하고, 적외선을 단속시켜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에 입력함으로써, 사람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는 소리 센서(19)와 마찬가지로, 실내기(2)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공기 분출구(29)의 내측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공기 분출구(29)의 대략 중심부에 배치된다(도 7 참조). 또한,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는 소리 센서(19)와 마찬가지로, 실내기(2)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와 공기 분출구(29) 사이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분출 풍로 상벽(290a)의 최하단부(290c)보다 하류로부터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에 걸쳐 배치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조 풍향판 수납부(290b)로부터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에 걸쳐서의 내부 장식면(24)의 배면부에 배치된다(도 4, 도 5 참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에는 프레넬 렌즈(17a)가 필수적이고, 사이즈가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해, 센서 모듈(16)은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앞에 적외선 투과 재료로 만든 초전 커버(17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부 장식면(24)의 해당 부분에 초전 개구(24c)를 형성하여, 내부 장식면(24)에 센서 모듈(16)을 설치했을 때, 실내측에서 보아 일체가 되도록, 내부 장식면(24) 및 초전 커버(17b)의 형상을 형성하고, 또한 색채도 맞추어 형성함으로써, 실내로부터 눈에 띄지 않게 하고 있다.
〈내부 표시부〉
내부 표시부(22)는 공기 조화기(1)의 운전 상황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표시부(22)는 표시창(22b)으로 덮인 센서 모듈(16)의 표시 개구(22a) 내에 설치된 표시등(397a)을 점등시킴으로써, 운전 상황을 표시한다.
〈전방부 상하 풍향판〉
다음에,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상세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투명 부재(291a)와, 이 투명 부재(291a)의 투영 면적 내에 들어가는 크기를 구비한 불투명 부재(291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선단부측으로 투명 부재(291a)가 크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불투명 부재(291b)는, 깊이 방향 치수(d3)를 구비한 얇은 판 형상의 베이스부(291c)의 양측과 중앙에, 깊이 방향의 한쪽의 단부측에 경사지면서 연장되는 아암(291e)을 형성하고, 그 아암(291e)의 단부에 전방부 상하 풍향판 회전축(291f)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각 아암(291e)의 사이에는 베이스부(291c)와 나란히 배치되는 보조 풍향판(291d)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투명 부재(291a)는 깊이 방향 치수(d1)를 구비한 투명하고 얇은 부재이다. 이 투명 부재(291a)는 아암(291e)측의 단부를 대략 정렬시키고, 다른 단부측으로 깊이 방향 치수(d5)만큼 불투명 부재(291b)의 단부보다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투명 부재(291a)는, 불투명 부재(291b)와 접촉하는 이면의 범위에 이면 인쇄를 실시하고 있다.
즉, 투명 부재(291a)는 이면측을 깊이 방향에 대해 2분할하고, 회전축측으로 되는 아암(291e)측에 이면 인쇄를 실시하여, 전방부 상하 풍향판 회전축(291f)에 대해 선단측으로 되는 타단부측을 투명하게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의장적으로 불필요한 불투명 부재(291b)를 보이지 않게 하는 한편,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선단부를 투명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의장성을 향상시키면서,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동작에 수반되는 압박감을 경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부재(291a)의 불투명 처리부[불투명 부재(291b)와 접촉하는 부분]가,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지지하는 축부[전방부 상하 풍향판 회전축(291f)] 등이 보이지 않도록 덮을 수 있다. 또한,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소리 센서(19) 등의 부가 기능부를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13은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폐쇄했을 때의 소리 센서(19)의 설치부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1)의 정지 상태에 있어서,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의 전방부를 덮는 가동 패널(251)의 하단부에 인접하여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수납 상태에서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선단부가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투명부를 통해, 내부 장식면(24)의 일부를 이용자에게 시인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 상태에서도 운전 정지 상태에서도 이용자로부터 시인될 수 있는 내부 장식면(24)에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내부 표시부(22)를 띠 형상으로 형성시키고 있다. 그리고 운전 시에 동작시키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및 소리 센서(19)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으로 은폐되는 내부 장식면(24)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4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폐쇄했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15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개방했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폐쇄했을 때에 있어서,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투명 부재(291a)의 상부(도 12 참조), 표시창(22b)(도 9 참조), 표시 개구(22a)(도 9 참조)를 통해 센서 모듈(16)(도 9 참조)의 표시등(397a)(도 9 참조)의 점등/소등을 시인할 수 있으므로, 표시부(397)의 표시 기능이 유지되어, 사용자에 적절한 정보를 전할 수 있다. 또한,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폐쇄했을 때라 함은, 공기 조화기(1)의 운전 정지 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난방 운전의 개시 직후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33)의 온도가 낮아 실내 송풍 팬(311)의 운전을 보류하고 실내 열교환기(33)의 여열 운전을 행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표시부(397)에 여열 운전인 취지가 표시된다[예를 들어, 점등되는 표시등(397a)의 위치나, 색에 의해 사용자가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한다]. 또한,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폐쇄했을 때에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및 소리 센서(19)의 개구부[초전 개구(24c), 복사 개구(24d), 연통 구멍(24b)]가 실내로부터 보이지 않게 되어, 깔끔한 외관으로 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개방했을 때에 있어서, 내부 표시부(22)의 표시창(22b)이 노출되어, 센서 모듈(16)(도 9 참조)의 표시등(397a)(도 9 참조)의 점등/소등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및 소리 센서(19)의 개구부[초전 개구(24c), 복사 개구(24d), 연통 구멍(24b)]와 실내의 거주 공간을 차단하고 있었던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개방하여, 각 센서의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1)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및 소리 센서(19)의 개구부[초전 개구(24c), 복사 개구(24d), 연통 구멍(24b)]를 실내로부터 보기 어렵게 하는 차폐 부재[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불투명 부재(291b)]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및 소리 센서(19)를 사용하지 않을 때[공기 조화기(1)를 정지시켰을 때]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폐 부재[불투명 부재(291b)]로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및 소리 센서(19)를 감추어, 여분의 요철이 없는 깔끔한 의장으로 할 수 있어, 인테리어의 분위기를 어지럽히는 일이 없다.
또한,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의 일부를 차폐 부재[불투명 부재(291b)]로서 사용하므로, 전용의 차폐 부재 및 차폐 부재 구동부가 불필요해진다.
또한, 내부 표시부(22)는 투명 부재(291a)로 덮이지만, 운전 정지 시에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이 하우징(20)에 조화되도록 수직에 가까운 각도까지 세워지므로, 벽걸이형의 공기 조화기(1)와 같이 아래로부터 올려 보았을 때에는, 센서 모듈(16)의 표시등(397a)이 점등되어 있지 않은 한, 투명 부재(291a)의 표면에서의 반사가 강하게 영향을 미쳐, 그 배면부의 내부 표시부(22)가 보이지 않게 되어, 깔끔한 의장으로 할 수 있어, 인테리어의 분위기를 어지럽히는 일이 없다.
또한,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폐쇄한 상태에서도, 센서 모듈(16)의 표시등(397a)이 점등되면, 운전 표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난방의 운전 개시 시 등 냉풍을 방지하기 위해, 실내 열교환기(33)의 온도가 올라가기까지는 전방부 상하 풍향판(291)을 폐쇄한 채, 실내 송풍 팬(311)도 운전하지 않는 예열 운전 중과 같은 때에도 운전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필터 청소 기구〉
다음에, 필터(231, 231')의 청소 기구에 대해 도 16, 도 1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필터 청소 기구(230)를 실내기(2)의 상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17의 (a)는 필터 청소 기구(230)의 사시도이고, 도 17의 (b)는 브러쉬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필터 청소 기구(230)는 필터(231, 231') 상을 브러쉬(267, 267')로 쓰는 청소 기구(232)와 쓸어 모은 진애를 수납하는 집진부(280, 280')로 구성된다.
실내 열교환기(33)(도 2 참조)의 상류의 상측 공기 흡입부(270)(도 2 참조)와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도 2 참조)에 면한 직행하는 2면에, 평면 형상의 필터(231, 231')가 설치되어 있다. 필터(231, 231')는 안내 프레임(234)에 계착되고, 안내 프레임(234)은 상측 후방부와 전방측 하부에 레일(235, 235')을, 필터(231, 231')의 교차부에 추진축(243)을 구비하고 있다.
추진축(243)은 다각형 단면을 갖고, 안내 프레임(234)에 설치한 베어링(245)에 축지지되고, 편측의 베어링(245)을 관통한 일단부에 설치한 기어를 통해, 안내 프레임(234)에 고정한 이동용 모터(242)에 연결된다. 추진축(243)에는 스크류(244), 캐리지(261)가 느슨히 설치되고, 스크류(244)는 안내 프레임(234)에 설치된, 추진축(243)과 평행 랙(237)에 맞물리고 있다.
캐리지(261)와 레일(235, 235') 사이에는 브러쉬 지지 프레임(262, 262')이 각각 필터(231, 231')에 걸쳐 현가되고, 브러쉬 지지 프레임(262, 262')에는 필터(231, 231')를 쓸어 청소하는 브러쉬(267, 267')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용 모터(242)를 회전시킴으로써, 추진축(243), 스크류(244)가 회전하고, 랙(237)을 따라, 스크류(244)가 이동용 모터(24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움직여, 캐리지(261)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브러쉬(267, 267')가 필터(231, 231')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쓸도록 이동하여, 필터(231, 231') 상의 진애를 브러쉬(267, 267')에 쓸어 취하여, 안내 프레임(234)의 좌측부의 집진부(280, 280')로 이동시킨다.
집진부(280, 280')는 브러쉬(267, 267')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여 수납한다. 또한, 브러쉬(267, 267')를 깨끗하게 하여 다음 청소에 대비하기 위한 브러쉬(267, 267')의 청소부이기도 하다.
다음에, 필터 청소 기구(23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도 1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필터 청소 기구(230)의 동작 설명도이다.
필터(231)의 우측에는 청소 동작이 행해지고 있지 않을 때에 브러쉬(267)가 대기하는 대기부가 있다.
청소 동작할 때에는, 스위핑 기구(232)(도 17 참조)를 동작시켜, 대기부에서 대기하고 있었던 브러쉬(267)(도 18의 a)가 필터(231)를 스위핑하도록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시킨다(도 18의 c 참조). 여기서, 브러쉬(267)의 털끝은 대기부에서는 개방 상태인 것에 대해(도 18의 a 참조), 대기부로부터 필터(231) 상으로 이동할 때에, 경사를 통과하여 필터(231) 면에 서서히 털끝을 구부려 변형시키면서 올라타서, 필터(231)와 확실히 미끄럼 접촉한다. 또한, b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브러쉬(267)는 집진부(280)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필터(231)를 스위핑하고, 진애(236)를 쓸어 취한다(도 18의 c 참조). 필터(231)의 스위핑을 종료한 브러쉬(267)는, 쓸어 취한 진애(236)와 함께, 도 18의 d부분을 통과하여 집진부(280)에 이르러, 진애(236)를 제거하고, 제거된 진애(236)는 집진부(280) 내에 수납되어, 브러쉬(267)는 깨끗해진다. 그리고 브러쉬(267)는, 브러쉬(267)의 털끝이 필터(231)와 미끄럼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좌측의 집진부(280)로부터 우측의 대기부로 이동시킨다(도 18의 b 참조).
또한, 필터(231)를 브러쉬(267)로 스위핑하여 제거된 진애를 집진부(280)에 수납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필터(231')를 브러쉬(267')로 스위핑하여 제거된 진애를 집진부(280')에 수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필터(231, 231')의 필터 청소 기구(230)를 탑재함으로써, 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1)의 누계 운전 시간에 따라 필터 청소 기구(230)를 자동 운전하여 필터(231, 231')를 청소하여, 필터(231, 231')에 먼지가 너무 저류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필터(231, 231')에 먼지가 너무 저류되었을 때에 일어나는 실내 송풍 팬(311)의 서징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1)는, 필터 청소 기구(230)를 탑재함으로써, 실내 송풍 팬(311)의 서징의 현상을 방지하여, 실내(공조 공간 내)의 소리를 검지하는 소리 센서(19)가 실내의 소리를 올바르게 검출할 수 있으므로, 재실자의 활동을 실내의 소리에 의해 추정하여 운전 제어를 행하는 용도에 적합한 구성으로 된다.
≪공기 조화기의 제어≫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1)의 제어의 개요에 대해 도 1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제어부(10)의 블록도이다.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는, 내부에 제어부(10)를 구비하여, 각종 센서로부터의 정보나, 리모트 컨트롤러(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실내기(2)나 실외기(6)를 제어한다. 실내(900)로부터의 정보는 실온 센서(11), 습도 센서(12), 리모트 컨트롤러 주위 온도 센서(13), 리모트 컨트롤러 위치 센서(14),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복사 센서(18), 소리 센서(19) 등에 의해 제어부(10)의 내부의 마이크로 컴퓨터(도시하지 않음)로 도입되고, 각종 연산 결과를 따라, 공기 조화기(1)를 제어한다.
실온 센서(11)는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도 2 참조)의 부근에 설치되어 있고, 공기 흡입구(27)로부터 실내기(2)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의 온도(이하, 「흡입 공기 온도」라고 함)를 검출한다.
습도 센서(12)는 전방측 공기 흡입부(270')(도 2 참조)의 부근에 설치되어 있고, 공기 흡입구(27)로부터 실내기(2)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의 습도를 검출한다.
리모트 컨트롤러 주위 온도 센서(13)는 리모트 컨트롤러(5)(도 1 참조)에 설치되어 있고, 검출한 온도는 송수신부(396)(도 1 참조)를 통해 제어부(10)에 입력된다.
리모트 컨트롤러 위치 센서(14)는 송수신부(396)(도 1 참조)에 있고, 적외선 신호의 도달 방향으로부터 리모트 컨트롤러(5)(도 1 참조)의 위치를 검출한다.
제어부(10)는 활동량 판정부(41)와, 온도 시프트값 설정부(42)와, 목표 온도 설정부(44)와, 공조 능력 제어부(45)를 구비하고 있다.
활동량 판정부(41)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17) 및 소리 센서(19)의 정보로부터 재실자의 활동량을 후술하는 도 20의 우측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다단계로 구분하여 판정하여, 온도 시프트값 설정부(42)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온도 시프트값 설정부(42)는 활동량 판정부(41)로부터의 활동량 정보 외에, 상술한 각종 센서[실온 센서(11), 습도 센서(12), 리모트 컨트롤러 주위 온도 센서(13), 리모트 컨트롤러 위치 센서(14), 복사 센서(18)]나 제어부(10)의 내부에 구비된 캘린더 설정 기능을 갖는 캘린더 정보(15)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온도 시프트값을 연산하여, 목표 온도 설정부(44)에 전달한다.
실온 설정부(43)는 리모트 컨트롤러(5)(도 1 참조)에 설치되어 있고, 재실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설정 실온)를 송수신부(396)(도 1 참조)를 통해 제어부(10)의 목표 온도 설정부(44)에 입력한다.
목표 온도 설정부(44)는 온도 시프트값 설정부(42)로부터의 온도 시프트값 정보와 실온 설정부(43)로부터의 설정 실온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 온도를 연산하여, 공조 능력 제어부(45)에 전달한다.
공조 능력 제어부(45)는 목표 온도 설정부(44)로부터의 목표 온도나 실온 센서(11)로부터의 흡입 공기 온도 정보 등으로부터 압축기 회전 속도 설정부(46), 실내 송풍기 회전 속도 설정부(47), 실외 송풍기 회전 속도 설정부(48)에서 압축기 회전 속도, 실내 송풍기 회전 속도, 실외 송풍기 회전 속도를 설정하여, 압축기(51), 실내 송풍기(52), 실외 송풍기(53)를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1)에 있어서의 온도 조절은 공기 조화기(1)의 분출 공기가 실내를 순환하여 되돌아와, 공기 조화기(1)에 흡입되는 흡입 공기의 온도(흡입 공기 온도)를 실온 센서(11)에서 검출하여, 흡입 공기 온도가 목표 온도 설정부(44)에서 설정한 목표 온도로 되도록, 압축기(51), 실내 송풍기(52), 실외 송풍기(53)의 회전 속도를 바꾸어, 냉방, 난방 능력을 변화시켜, 공기 조화기(1)의 분출 공기의 온도를 바꿈으로써 행해진다.
이때, 공기 조화기(1)의 난방 능력, 냉방 능력의 제어는, 실온 센서(11)에서 검출한 흡입 공기 온도와, 리모트 컨트롤러(5)[실온 설정부(43)]에서 설정된 설정 실온에 따라 제어되지만, 실내의 높은 곳에 설치된 공기 조화기(1)[실내기(2)]의 흡입 공기 온도는 재실자가 있는 실내의 바닥으로부터 얼굴의 높이 위치까지의 거주 공간의 온도보다 조금 높게 되는 것이 알려져 있어, 이 온도차를 보정하기 위해, 설정 실온에 온도 시프트값 설정부(42)에서 연산한 소정의 값(온도 시프트값)을 추가한 추가 설정 온도를 목표 온도로 하여, 흡입 공기 온도가 목표 온도에 근접하도록 공기 조화기(1)를 제어하고 있다.
또한, 소정의 값으로서는, 공기 조화기(1)의 구조나 난방, 냉방 등의 운전 모드에 따라 상이하지만 ―1 내지 5도 정도의 값이 사용되고 있다.
《재실자의 활동량 판정 방법》
다음에, 활동량 판정부(41)가 판정하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와 소리 센서(19)를 조합하여 재실자의 활동량을 세분화하여 판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활동 내용과 활동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사람의 온열 감각은 온도, 습도, 기류, 복사, 착의량 및 활동량의 영향을 받는 것이 알려져 있다. 공기 조화기(1)는 실내의 온도(및 습도)를 제어하여 쾌적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지만 재실자의 행동(활동량)이 바뀌면 다른 조건이 동일해도 그 사람의 온열 감각은 바뀌고, 쾌적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온도(및 습도) 등을 그 사람의 행동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따르기 위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1)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와 소리 센서(19)를 조합하여 재실자의 활동 상태를 세분화하여 파악하고, 재실자의 쾌적성에 배려하면서, 세심하게 제어하여, 에너지 절약 운전을 행하는 것이다.
종래부터,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를 사용하여 재실자의 활동량을 검출하여, 활동량이 클 때에는 실온을 낮게 조절하고, 활동량이 작을 때에는 실온을 높게 조절하는 것은 실용화되어 왔다. 그러나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만을 사용하여 재실자의 활동량을 다단계로 나누는 것은, 검출 오차나 센서를 향하는 방향의 움직임에 대해 센서의 감도가 둔해지는 것 등의 점에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하지 않으면 곤란하여, 공기 조화기(1)가 비용 상승하게 된다.
또한,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에서 사람 검지를 행한 경우는, 재실자에게 움직임이 발생하면 센서의 출력이 변화되어 재실자가 움직인 것을 검지 가능하고, 재실자에게 움직임이 없는 경우 센서의 출력이 변화되지 않으므로 재실자에게 움직임이 없는 것을 검지 가능하지만, 재실자의 움직임의 유무만으로는, 재실자가 어느 정도의 활동량에 있는지는 세분화하여 판정할 수 없다.
또한, 재실자의 활동량을 세분화하여 판정하기 위해, 초전형 적외선 센서를 복수개 설치하여, 재실자가 크게 움직였을 때는, 복수의 초전형 적외선 센서가 반응하고, 재실자의 움직임이 작을 때는, 하나의 센서만이 반응함으로써, 재실자의 활동량의 대, 소를 판별한다고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가 복수개 필요하여, 비용 상승의 요인으로 된다. 또한, 복수의 초전형 적외선 센서가 있어도 재실자의 움직임이 센서가 검지 가능한 움직임보다도 작은 경우나, 비슷한 동작인 경우에는, 활동량의 판정을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사람의 활동량을 나타내는 단위로서 MET(Metabolic Equivalent)가 사용되고, 활동의 내용과 그 대략의 수치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도 20의 좌측에, 비교예로서,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만을 사용했을 때의 활동량의 구분을 예로 하여 기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를 1개만 사용한 경우, 활동량의 구분은 기껏해야 대, 중, 소의 3구분이고 이 이상 세분화하고자 해도,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정도가 부족해져 있었다.
도 20의 우측에는, 본 실시 형태의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와 소리 센서(19)를 조합하여 사용하여 활동량을 구분한 경우의 예를 기재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활동량을 세분하여 구분할 수 있으므로, 재실자의 활동량에 적합한 공기 조화에 의해 쾌적성에 배려하고, 에너지 절약 운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소리 센서 및 초전형 적외선 센서를 사용한 활동량의 판정〉
재실자가 어떠한 움직임을 하면, 일반적으로는 그것에 수반되는 소리가 발생한다. 이것을 공기 조화기(1)[실내기(2)]가 설치된 실내의 다양한 정경을 예측해 둠으로써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의 검출 결과와 소리 센서(19)의 검출 결과로부터, 재실자의 활동량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공기 조화기(1)를 운전하고 있는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리에는 다양한 것이 있지만,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 재실자끼리 대화하고 있는 소리, 재실자가 데스크 워크나 재봉, 간단한 정리 등으로 움직이는 것에 수반되는 소리, 재실자가 청소기, 조리기, 이미용기 등의 기기를 조작함으로써 발생하는 소리, 재실자가 텔레비전, 라디오, 오디오 기기를 즐기고 있을 때의 음성, 음악, 효과음 등이나 시계, 관상어 수조의 펌프의 소리 등 사람이 없는 경우에도 나고 있는 소리 등이 있다.
이들 소리는, 「재실자의 활동에 수반되는 소리」와 「재실자의 활동에 관계없는 소리」로 나눌 수 있다. 「재실자의 활동에 관계없는 소리」에는,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 텔레비전, 라디오, 오디오 기기의 음성, 음악, 효과음, 시계, 관상어 수조의 펌프의 소리 등이 있다. 「재실자의 활동에 수반되는 소리」에는, 대화, 데스크 워크, 재봉, 간단한 정리, 청소기, 조리기, 이미용기 등의 소리가 있다.
「재실자의 활동에 관계없는 소리」로서 취급된 소리 중에서, 시계, 관상어 수조의 펌프의 소리 등 사람이 없는 경우에도 나고 있는 소리는 공기 조화기(1)를 설치한 방의 환경음이라고도 말할 수 있는 소리로, 이것에 공기 조화기 자신의 운전음을 더한 것을 다른 소리와 구별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재실자의 활동에 관계없는 소리」로서 취급된 텔레비전, 라디오, 오디오 기기의 음성, 음악, 효과음도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와는 다른 재실자의 활동에 관계없는 소리로서 다른 소리와 구별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 있어서, 텔레비전 등을 방송 수신 기기군이라고 칭한다.
또한, 「재실자의 활동에 수반되는 소리」 중 청소기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재실자도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으므로, 적정한 공기 조화를 할 필요가 있는 점에서 다른 소리와 구별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 있어서, 청소기 등과 같이, 사용 시에 재실자도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는 기기를 중가사용 기기군이라고 칭한다.
마찬가지로, 「재실자의 활동에 수반되는 소리」 중 대화는, 소리 센서(19)를 사용하여 재실자의 활동량을 세밀하게 구분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대화의 목소리가 작으면 조용히 휴양하고 있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고, 대화의 목소리가 크고, 도중에 끊어지지 않고 계속되게 되면, 그 사람의 활동량도 증가한다고 하는 일반적인 경향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다른 소리와 구별하여 파악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재실자의 활동에 수반되는 소리」 중 조리 기기, 이미용 기기, 데스크 워크용 기기 등을 사용하는 경우는, 재실자도 가볍게 움직이면서 사용하고 있으므로, 중가사용 기기군을 사용하는 경우나, 조용한 목소리로 대화하면서 휴양하고 있을 때와는 구별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 있어서, 조리 기기, 이미용 기기, 데스크 워크용 기기 등과 같이, 사용 시에 재실자도 가볍게 움직이고 있는 기기를 경가사용 기기군이라고 칭한다.
이상의 점에서, 판별해야 할 음원의 종류는 「공기 조화기 자신」, 텔레비전 등의 「방송 수신 기기군」, 청소기 등의 「중가사용 기기군」, 조리 기기 등의 「경가사용 기기군」 및 재실자끼리의 「대화」로 된다. 이들에 판별할 수 없는 음원은 중간적인 움직임과 소리를 갖고 있으므로 「경가사용 기기군」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한다.
이들 음원의 종류와 도 19의 활동량(MET의 값)의 관계를 보면, 텔레비전ㆍ음악 감상…1.0MET, 실내의 청소…3.0METs, 조리…2.0METs, 대화ㆍ전화에 대해서는 도 19에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1.0 내지 1.8METs로 되고, 공기 조화기 자신은 재실자의 활동량에 변화를 부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음원의 종류에 의한 재실자의 활동량의 대소는, 중가사용 기기군≥경가사용 기기군≥대화≥방송 수신 기기군≥공기 조화기 자신의 순서로 된다.
일반 가정의 실내에서의 재실자의 행동 양식은 천차 만별하여, 이들을 일일이 예측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재실자의 행동과 그때의 실내의 소리를 다음의 2패턴으로 나눈다.
첫째로, 재실자가 활동하고 있고, 활동에 수반되는 소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활동함으로써 재실자의 체내 발열의 변화가 커진다. 이하, 이 활동에 수반되는 소리를 발하는 음원의 종류를 「온감 변동 대 음원」이라고 칭한다.
둘째로, 재실자의 활동은 있지만, 활동에 수반되는 소리가 거의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체내 발열은 변화가 작다. 이하, 이 활동에 수반되지 않는 소리를 발하는 음원의 종류를 「온감 변동 소 음원」이라고 칭한다.
실내의 소리가 온감 변동 소 음원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의 검출 결과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고, 단계에 따라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하여 공기 조화기(1)를 제어한다.
또한, 실내의 소리가 온감 변동 대 음원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소리의 양이 크면, 활동이 활발해져 있다고 판단하고, 온감 변동 소 음원인 경우에,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의 검출 결과로부터 판정한 재실자의 활동량보다, 큰 활동이라고 판정하여 공기 조화기(1)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소리 센서(19)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실내의 음원을 온감 변동 소 음원의 집단과 온감 변동 대 음원의 집단으로 나눔으로써, 재실자의 활동량을 보다 많은 구분으로 세분화할 수 있어, 보다 세밀한 제어에 의해, 쾌적성에 고려하면서 절전의 효과를 들 수 있다.
또한, 온감 변동 소 음원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 자신이나 텔레비전, 라디오 등의 방송 수신 기기군의 집단을 생각할 수 있고, 재실자의 움직임을 수반하는 온감 변동 대 음원으로서는, 재실자 자신이 서로 주고 받는 대화 외에, 가사를 지원하는 청소기, 건강 촉진 기기나 주서, 믹서 등의 조리 기구, 드라이어, 면도기 등의 이용 기기 등의 집단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조화기 자신이나 대화는 단독의 음원이지만, 설명의 편의상, 공기 조화기 자신이나 대화도 군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한다.
이들의 온감 변동 대 음원의 집단은 대략 내부에 전동기를 지니고, 사용자의 힘, 속도 등을 지원한다. 이들 중에서도, 사용자의 힘을 필요로 하는 청소기, 건강 촉진 기기 등의 중가사용 기기군은, 사용자 자체도 큰 활동을 강요받고, 지속 시간도 비교적 길다.
중가사용 기기군 이외의, 사용자에게 큰 활동을 강요하지 않는 기기군과 전술한 음원의 군 이외의 것을 편의상, 경가사용 기기군이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공기 조화기 자신과 방송 수신 기기군을 온감 변동 소 음원의 집단으로 하고, 대화, 중가사용 기기군이나 경가사용 기기군을 온감 변동 대 음원의 집단으로 함으로써, 소리 센서(19)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실내의 음원의 군을 판정하고, 판정한 음원의 군에 따라, 음원을 온감 변동 소 음원의 집단과 온감 변동 대 음원의 집단으로 나눌 수 있고, 재실자의 활동량을 보다 많은 구분으로 세분화하여, 보다 세밀한 제어에 의해, 쾌적성에 고려하면서 절전의 효과를 들 수 있다.
이 점에서, 소리 센서(19)에서 수음한 소리 신호를 복수의 주파수대로 구분하여, 각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소리의 크기, 연속성, 불규칙성, 규칙성, 단속의 간격 등을 적절한 지표로 평가함으로써, 비교적 저렴하게, 간단한 방법으로 음원의 종류를 추정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21 및 도 22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21 및 도 22는 실내 소리의 주파수 분석예로, 도 21의 (a)는 공기 조화기의 소리의 주파수 분석예, 도 21의 (b)는 청소기의 소리의 주파수 분석예, 도 22의 (a)는 육성의 주파수 분석예, 도 22의 (b)는 텔레비전의 소리의 주파수 분석예이다.
재실자의 활동에 수반되는 소리의 예로서, 도 21의 (b)에 나타내는 청소기의 소리(중가사용 기기군)는, 낮은 주파수의 소리로부터 높은 주파수의 소리까지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재실자의 활동에 수반되는 소리의 예로서, 도 22의 (a)에 나타내는 사람의 목소리(대화)는, 높은 주파수의 소리가 적고, 1㎑ 부근의 낮은 주파수의 소리가 다른 부분보다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청소기의 소리(중가사용 기기군)는 연속하여 들리고, 사람의 목소리(대화)는 불규칙한 단속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재실자의 활동에 관계없는 소리의 예로서, 도 21의 (a)에 나타내는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는, 낮은 주파수의 소리도 높은 주파수의 소리도 대략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재실자의 활동에 관계없는 소리의 예로서, 도 22의 (b)에 나타내는 텔레비전의 소리(방송 수신 기기군)는, 사람의 목소리의 대역(1㎑ 내지 4㎑)에 상당하는 낮은 주파수의 소리 외에, 높은 주파수의 소리도 포함하고, 4㎑ 이상의 높은 주파수의 소리가 사람의 목소리[도 22의 (a) 참조]보다 각별히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각 음원군의 특징을 비교하여, 판별을 시도해 본다. 재실자의 활동에 수반되는 소리가 없는 상태에서는, 사람이 없는 실내에서도 발생하고 있는 소리(예를 들어, 벽시계의 소리, 관상어 수조의 순환 펌프의 소리,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 등)가 검지되어 있어, 실내의 소리의 크기는 최소로 된다.
이 경우, 낮은 주파수의 소리도, 높은 주파수의 소리도 낮은 레벨에서 연속하여 검출되고, 게다가 규칙적인 결과로 된다.
이에 의해, 실내의 소리를 소리 센서(19)에서 검출한 결과가 소정의 레벨 미만이고, 규칙적으로 연속하는 경우는 음원의 군을 「공기 조화기 자신」이라고 판정한다.
계속해서, 재실자가 청소기를 사용하여 실내를 청소 등을 하고 있는 경우, 실내의 소리는 대화의 목소리도 텔레비전의 소리도 들리지 않고 청소기의 소리만이 들리게 된다.
이 경우, 낮은 주파수의 소리도, 높은 주파수의 소리도 높은 레벨에서 연속하여 검출되고, 게다가 규칙적이고 레벨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결과로 된다.
이에 의해, 실내의 소리를 소리 센서(19)에서 검출한 결과가 소정의 레벨 이상이고, 대략 동일한 레벨에서 규칙적으로 연속하는 경우는 음원의 군을 「중가사용 기기군」이라고 판정한다.
다음에, 재실자가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등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나 재실자끼리 대화를 하고 있는 경우, 사람의 대화에는 불규칙성이 있고, 또한 낮은 주파수의 소리가 많고, 또한 긴 중단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점에서, 상술한 「공기 조화기 자신」이나 「중가사용 기기군」의 소리와 구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음원이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등의 「방송 수신 기기군」의 것인지, 재실자끼리의 현실의 「대화」인지의 판별은, 낮은 주파수 대역에 주목해도 판별은 하기 어렵다. 그러나 방송에서는 현실의 대화와 달리 오랫동안, 침묵이 계속되는 경우는 적고, 또한 도중에 들어가는 커머셜이나 효과 음악 등으로 현실의 「대화」에는 등장하지 않는 높은 주파수의 소리가 들어간다.
이들의 특징을 조합함으로써, 「방송 수신 기기군」과 「대화」를 판별할 수 있다.
이상의 판별 수순에서 「공기 조화기 자신」, 「중가사용 기기군」, 「방송 수신 기기군」 또는 「대화」로 판별되지 않은 소리는 「경가사용 기기군」이라고 판별한다.
〈소리 센서의 구성〉
이와 같이, 소리 센서(19)에서 검지한 신호는, 주파수 대역마다 분리하여 추출되어, 판정에 사용된다. 소리 센서(19)의 구성에 대해 도 2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음원 판정 블록도이다.
실내의 소리 신호는, 소리 센서(19)인 마이크로폰(408)에서 포착되어,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검지된 소리 신호는, 미소한 신호이므로, 증폭할 필요가 있지만, 공기 조화기(1)와 같이 큰 전력을 필요로 하고, 또한 인버터 회로나 스위칭 전원 회로 등의 고주파로 구동하는 회로를 갖는 제품에 있어서는, 전원 노이즈나 스위칭 노이즈도 비교적 크므로, 소리 신호에 노이즈가 중첩되기 쉬워, 그대로 증폭하면 노이즈를 중첩시킨 채 증폭해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마이크로폰(408)의 실장 위치를 증폭기와 동일한 기판상에 실장하고, 또한 마이크로폰(408)의 바로 부근에 상용 전원의 주파수보다 높은, 전원 노이즈 제거용의 하이 패스 필터(HPF)(400)(예를 들어, 상용 전원의 주파수 50㎑의 2배 주기인 100㎑ 이상을 통과)와, 음원을 판정할 때에는 필요로 하지 않는 고역의 주파수대를 차단하는, 고주파 제거용의 로우 패스 필터(LPF)(401)(예를 들어, 15㎑ 이상의 주파수를 차단)를 설치하여, 노이즈를 억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LPF(401)는 연산 증폭기로 구성되어, 마이크로폰(408)에서 검지된 소리 신호의 증폭기로서도 기능한다.
HPF(400) 및 LPF(401)를 통과한 소리 신호는, 연산 증폭기에 의한 미분 회로 또는 적분 회로로 구성된 복수의 필터 회로에 입력된다. 또한, 연산 증폭기를 사용함으로써, 소리 신호를 필터링함과 동시에 증폭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부품 수를 적게 할 수 있고, 저렴하고 또한 공간 절약화가 도모된다. 또한, LPF(401)를 포함하여, 복수의 연산 증폭기에서 단계적으로 증폭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노이즈 성능의 향상이나 오프셋 전압의 분산이 도모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산 증폭기에 의한 미분 회로 또는 적분 회로에서 필터 회로와 증폭기를 겸함으로써 저렴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필터 회로와 증폭기를 별도로 설치하고, 증폭기를 트랜지스터와 능동 소자를 조합하여 디스크리트하는 구성이나, 증폭기에 범용의 오디오 앰프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필터 회로에 관해서도 디지털 필터나, 저항과 콘덴서에 의한 RC 적분기, 인덕턴스와 콘덴서와 저항을 조합한 RCL 패시브 필터 및 범용의 디지털 필터 IC, 또한 연산 처리부의 A/D 컨버터로 도입하고, 푸리에 변환을 행하는 등, 비용이나 주변 부품 등의 사정에 맞추어, 필터 회로를 구성하면 되고, 증폭기와 필터 회로의 수단을 한정시키는 것이 아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소리 신호를 2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나누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나는, 미분 회로(402) 및 적분 회로(403)로 구성되어, 사람의 목소리의 주파수대에 근접한, 저역을 통과시키는 밴드패스 필터(BPF)(404)(예를 들어, 1㎑ 내지 4㎑를 통과)이다.
또 하나는, 미분 회로(405)로 구성되어, 청소기 등의 기계음 등의 사람의 목소리로는 낼 수 없는 고역을 통과하는 하이 패스 필터(HPF)(406)(예를 들어, 5㎑ 이상을 통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 필터 회로[BPF(404), HPF(406)]에 있어서의 출력은, 후단에 구비한 콤퍼레이터(407)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폰(408), 필터 회로[HPF(400), LPF(401), BPF(404), HPF(406)], 증폭기(연산 증폭기), 콤퍼레이터(407)까지를 동일 기판 상에 실장하고, 콤퍼레이터(407)에서 변환된 2계통의 디지털 신호를 제어부(10)에 출력함으로써, 노이즈를 억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연산 증폭기에서 증폭할 때에, 연산 증폭기의 전원 라인에 노이즈가 발생하면, 증폭률이 변화되어, 소리 신호에 노이즈로서 나타난다. 이로 인해, 동일 기판 상에 전원 노이즈를 억제하기 위한 전해 콘덴서(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필터 회로의 연산 증폭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안정화시키면 된다.
또한, 콤퍼레이터(407)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는 임계값을, 공기 조화기(1)의 운전음만으로는 초과되지 않도록 설정함으로써, 공기 조화기 자신의 운전음에 의해 오동작하는 등의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 음원으로부터의 소리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만 제어부(10)에 입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리 신호를 2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나누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검지하는 대상이나 검지하는 대상의 수, 기판 실장 스페이스, 비용에 맞추어, 주파수 대역의 변경이나 복수의 필터 회로를 설치해도 되고, 그 구성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검지된 소리 신호에 맞추어, 표시등(397)(도 1 참조)을 점등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 대해 시각적으로 마이크로폰(4O8)이 소리 신호를 검지하고 있는 것을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만일 마이크로폰(408)이나 필터 회로 등의 주변 회로가 고장났을 때에, 수리 작업자가 용이하게 고장을 확인할 수 있다는 등의 이점도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폰(408)이나 증폭 회로 등의 고장에 의해, 제어부(1O)[활동량 판정부(41)]로 도입되는 소리 신호가 매우 작은, 또는 적은 경우에, 공기 조화기(1)에 구비한 버저(도시하지 않음)를 울려, 그 버저 소리를 검지한 결과에 의해, 마이크로폰(408)이나 증폭기 등의 주변 회로의 이상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수리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음원 판정 방법〉
다음에, 도 24를 사용하여, 활동량 판정부(41)가 실행하는 음원 판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 S101에 있어서, 활동량 판정부(41)는 소리 샘플링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소리 센서(19)에서 실내의 소리를 낮은 주파수 대역의 소리(예를 들어, 1㎑ 내지 4㎑)와, 높은 주파수 대역의 소리(예를 들어, 5㎑ 이상)로 분리하여 추출한다.
그리고 주파수 대역마다, 소정의 샘플링 주기로 소정 시간 샘플링을 행하고,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소리의 검출 횟수의 비율(BP)과,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소리의 검출 횟수의 비율(HP)을 산출하여, 1회의 샘플링 결과로 한다. 이 샘플링을 복수회(m회) 행하여, 샘플링 결과 BP1 내지 BPm, HP1 내지 HPm을 얻는다.
또한, 이하의 판정에 있어서, 소리의 레벨은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 HP1 내지 HPm)의 크기로 판단한다.
또한, 소리의 연속성은 모든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 HP1 내지 HPm)가 음원의 군마다 정한 소정의 임계값의 편측에 있는지 여부로 판단한다.
또한, 소리의 규칙성은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 HP1 내지 HPm)의 상한, 하한과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 HP1 내지 HPm)의 평균값의 차가, 음원의 군마다 정한 판정 폭 이내에 있는지 여부로 판단한다.
또한, 소리의 불규칙성은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 HP1 내지 HPm)가 음원의 군마다 정한 소정의 판정 임계값 이상인 횟수가, 음원의 군마다 정한 소정의 하한 횟수 임계값 이상, 또한 상한 횟수 임계값 이하이고, 또한 판정 임계값 이상인 회의 연속이 도중에 중단하는지 여부로 판단한다.
또한, 소리의 긴 중단이 있는지 여부는,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 HP1 내지 HPm)가 음원의 군마다 정한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횟수가 음원의 군마다 정한 소정의 상한 횟수 임계값 이하이고, 또한 임계값 이상인 회의 연속이 도중에 중단하는지 여부와,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 HP1 내지 HPm)의 상한ㆍ하한과,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 HP1 내지 HPm)의 평균값의 차가 음원의 군마다 정한 소정의 판정 폭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로 판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의 평균값을 BPmean으로 하고,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의 최대값을 BPmax로 하고,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의 최소값을 BPmin으로 하고,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샘플링 결과(HP1 내지 HPm)의 평균값을 HPmean으로 하고,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샘플링 결과(HP1 내지 HPm)의 최대값을 HPmax로 하고,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샘플링 결과(HP1 내지 HPm)의 최소값을 HPmin으로 한다.
스텝 S102에 있어서, 활동량 판정부(41)는 음원이 「공기 조화기 자신」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 HP1 내지 HPm)의 크기가, 모든 샘플링 기간에 있어서, 공기 조화기 판정 임계값(BPa, HPa) 미만인 경우에는, 음원의 종류를 「공기 조화기 자신」이라고 판정한다.
스텝 S102에 있어서 상기 판정 요건을 만족한 경우에는, 스텝 S103로 진행하여, 활동량 판정부(41)는 음원이 「공기 조화기 자신」이라고 판정한다. 한편, 상기 판정 요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04로 진행한다.
스텝 S104에 있어서, 활동량 판정부(41)는 음원이 「중가사용 기기군」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 HP1 내지 HPm)의 크기가, 모든 샘플링 기간에 있어서, 가사용 기기군 판정 임계값(BPh, HPh) 이상이고, 샘플링 결과의 평균값(BPmean, HPmean)과 샘플링 결과의 최소값(BPmin, HPmin)의 차가 중가사용 기기군 판정 폭(BWc, HWc) 이내이고, 샘플링 결과의 최대값(BPmax, HPmax)과 샘플링 결과의 평균값(BPmean, HPmean)의 차가 중가사용 기기군 판정 폭(BWc, HWc) 이내인 경우에는, 음원의 종류를 「중가사용 기기군」이라고 판정한다.
스텝 S104에 있어서 상기 판정 요건을 만족한 경우에는, 스텝 S105로 진행하고, 활동량 판정부(41)는 음원이 「중가사용 기기군」이라고 판정한다. 한편, 상기 판정 요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6에 있어서, 활동량 판정부(41)는 음원이 「방송 수신 기기군」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 HP1 내지 HPm)가 방송 수신 기기 판정 임계값(BPt, HPt) 이상인 횟수가 방송 수신 기기군의 하한 횟수 임계값(BLt, HLt) 이상이고, 또한 상한 횟수 임계값(BHt, HHt) 이하이고, 또한 방송 수신 기기 판정 임계값(BPt, HPt) 이상인 회의 연속이 도중에 중단하고 있는 경우에는, 음원의 종류를 「방송 수신 기기군」이라고 판정한다.
스텝 S106에 있어서, 상기 판정 요건을 만족한 경우에는, 스텝 S107로 진행하여, 활동량 판정부(41)는 음원이 「방송 수신 기기군」이라고 판정한다. 한편, 상기 판정 요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08로 진행한다.
스텝 S108에 있어서, 활동량 판정부(41)는 음원이 「대화」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샘플링 결과(BP1 내지 BPm, HP1 내지 HPm)가 대화 판정 임계값(BPs, HPs) 이상인 횟수가 대화의 하한 횟수 임계값(BLs, HLs) 이상이고, 또한 상한 횟수 임계값(BHs, HHs) 이하이고, 또한 대화 판정 임계값(BPs, HPs) 이상인 회의 연속이 도중에 중단하고 있는 경우에는, 음원의 종류를 「대화」라고 판정한다.
스텝 S108에 있어서, 상기 판정 요건을 만족한 경우에는, 스텝 S109로 진행하여, 활동량 판정부(41)는 음원이 「대화」라고 판정한다.
한편, 상기 판정 요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10으로 진행하여, 활동량 판정부(41)는 음원이 「경가사용 기기군」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대화의 목소리가 커지고, 또한 말하는 소리가 도중에 끊기지 않고 계속되면, 대화라고 판정되지 않게 되지만, 이와 같은 경우 대화하고 있는 사람의 활동량도 증가하고 있어, 조리 기기, 이미용 기기, 데스크 워크용 기기 등의 경가사용 기기군을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한 정도의 활동량으로 되므로, 공기 조화기(1)의 제어 상은 경가사용 기기군의 사용으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샘플링 결과로부터 음원을 판정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판정 임계값(S102, S104, S106, S108에서 사용한 각 임계값)의 보정에 대해 도 2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주위 소리에 의한 판정 임계값의 보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내에는, 재실자가 조용히 하고 있을 때라도 시계, 관상어 수조의 펌프의 소리 등 다양한 소리가 있어, 소리 센서(19)에 의해 공기 조화기(1)를 제어하고자 할 때에는, 재실자가 조용히 하고 있을 때의 소리와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를 합친 소리의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1)에서는, 운전 개시할 때에, 재실자가 조용히 하고 있을 때의 소리를 도 24에 나타내는 흐름에 따라서 판정한다.
공기 조화기(1)를 설치하여 최초의 운전일 때에, 이때의 운전이 최초의 운전이면, 정숙한 상태에서 운전 또는 정지하여 소리 센서(19)로 기준 환경음을 측정하는 기준 환경음 측정 기간(예를 들어, 정숙한 상태에서 운전 개시하고 1분간)에 측정하여, 공기 조화기(1)의 기억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시간대마다 기억되어 있는 당초값을 기준값에 대입한다.
이때의 샘플링 결과의 평균을 초기값이라고 하고, 공기 조화기 자신에 정해져 있는 기준값(동일한 환경에서 운전했을 때의 샘플링 결과의 평균값에 대략 일치함)과 비교한다.
비교한 결과, 기준값이 초기값 미만인 경우이고, 음원의 판정 결과가 공기 조화기 자신인 경우(스텝 S103 참조)는, 실내를 조용히 하고 있어도, 공기 조화기 자신의 소리 이외의 실내의 환경음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하여, 각 음원의 판정 임계값을 보정한다.
음원의 판정 결과가 공기 조화기 자신 이외의 음원군인 경우는, 공기 조화기 자신이나 환경음이라고는 할 수 없는 유의한 소리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각 음원의 판정 임계값의 보정은 행하지 않는다. 초기값과 기준값을 비교한 결과, 기준값이 초기값 이상인 경우에는, 현재의 판정 임계값으로 충분히 각 음원을 식별하여 판정할 수 있으므로, 각 음원의 판정 임계값의 보정은 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1)는, 소리 센서(19)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음원의 종류를 판정하는 음원의 종류의 판정 임계값을 설치하고, 공기 조화기(1)[실내기(2)]를 설치한 실내에서, 정숙한 상태에서 운전 또는 정지하여 소리 센서(19)에서 기준 환경음을 측정하는 기준 환경음 측정 기간에서의 소리 센서(19)의 검출 결과(초기값)에 따라, 판정 임계값을 보정하는 임계값 보정부(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활동량 판정부(41)는 임계값 보정부(도시하지 않음)에서 보정된 판정 임계값에 따라 음원의 종류를 판정하고, 판정된 음원의 종류와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의 검출 결과에 따라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정한다.
다음에,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는 프레넬 렌즈(17a)와 함께, 실내로부터의 적외선의 양의 변화를 포착한다. 실내에서 활발한 움직임이 있을 때는, 그 반응량은 크고, 정적인 움직임이 있을 때에는 반응량은 작다. 이것을 이용하여,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로부터의 신호는 사람의 움직임을 추출하는 밴드패스 필터(도시하지 않음)를 통과하여 증폭되고, 콤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에서 디지털화되어 제어부(10)[활동량 판정부(41)]에 전달된다.
활동량 판정부(41)는 이 초전형 적외선 센서(17)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소정의 샘플링 주기(예를 들어, 10㎳)로 샘플링 구간(예를 들어, 60초 동안) 동안, 샘플링하고, 샘플링한 데이터 중 반응 검출 데이터의 비율을 연산하여, 반응 검출 비율 Px를 얻는다.
이 반응 검출 비율 Px가, 실내의 움직임의 양이 작은지 여부를 판별하는 정 판정 임계값 Pb 미만인 경우는, 반응의 검출 구분을 「반응:정」으로 구분한다.
다음에, 반응 검출 비율 Px가 실내의 움직임의 양이 큰지 여부를 판별하는 동 판정 임계값 Pv 이상인 경우에는, 반응의 검출 구분을 「반응:강」으로 구분한다.
반응 검출 비율 Px가 정 판정 임계값 Pb 이상이고, 동 판정 임계값 Pv 미만인 경우에는, 반응의 검출 구분을 「반응:중」으로 구분한다.
다음에,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와 소리 센서(19)의 조합으로, 활동량을 세분화하여 판정하는 방법에 대해 도 2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조합 활동량 판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활동량 판정부(41)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는 반응의 검출 구분(정, 강, 중)과, 소리 센서(19)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는 음원 판정(공기 조화기 자신, 중가사용 기기군, 방송 수신 기기군, 대화, 경가사용 기기군)의 결과를 조합하여,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실자의 활동량을 세분화한다.
또한, 도 26에 있어서는 공기 조화기 자신, 방송 수신 기기군(TV)의 경우를 온감 변동 소 음원 집단으로 하고, 중가사용 기기군(청소기), 대화, 경가사용 기기군(기타)의 경우를 온감 변동 대 음원 집단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는 반응의 검출 구분이 동일해도, 음원이 재실자의 활동을 수반하는 온감 변동 대 음원 집단인 경우, 음원이 재실자의 활동에 관계없는 온감 변동 소 음원 집단인 경우보다도 활동량을 크게 판정한다.
이에 의해, 활동량의 구분은 종래의 3단계로부터 5 내지 6단계로 되므로, 종래보다 각별히 세밀한 제어로 할 수 있다.
도 26의 예에서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에 의한 반응의 검출 구분이 「반응:강」이고 음원의 종류가 중가사용 기기군, 대화 및 경가사용 기기군으로 이루어지는 온감 변동 대 음원 집단인 경우의 활동량을 최대로 하고 있다. 또한, 최소의 활동량을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에 의한 반응의 검출 구분이 「반응:정」이고 음원이 공기 조화기 자신 및 방송 수신 기기군으로 이루어지는 온감 변동 소 음원 집단인 경우의 활동량을 최소로 하고 있다.
또한, 활동량에 대해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에 의한 반응의 검출 구분이 동일한 경우, 온감 변동 소 음원 집단의 활동량이 온감 변동 대 음원 집단의 활동량 이상으로 되도록 활동량이 정해진다. 또한, 소리 센서(19)에 의한 음원 집단이 동일한 경우, 「반응:정」<「반응:중」<「반응:강」의 관계로 되도록 활동량이 정해져 있다.
공기 조화기(1)의 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 재실자의 활동량이 작은 경우, 재실자가 조용히 하고 있어 대사가 활발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체내 발열이 적어지고, 재실자의 온열 감각도 차갑게 변화된다. 이로 인해, 실온을 약간 올려도, 쾌적성은 허용의 범위에 머물고, 실온을 약간 올린 만큼, 에너지 절약 운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1)의 난방 운전 시에 있어서, 재실자의 활동량이 큰 경우에는, 재실자가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어 대사가 활발한 상태이므로, 체내 발열이 많아 지고, 재실자의 온열 감각도 뜨겁게 변화되므로, 실온을 약간 내려도, 쾌적성은 허용의 범위에 머물고, 실온을 약간 내린 만큼, 에너지 절약 운전으로 할 수 있다.
활동량 판정부(41)가 판정한 활동량은 온도 시프트값 설정부(42)로 송신되고, 온도 시프트값 설정부(42)는 활동량 판정부(41)가 판정한 활동량에 기초하여 온도 시프트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목표 온도 설정부(44)에서, 온도 시프트값에 기초하여 목표 온도가 설정된다. 그리고 공조 능력 제어부(45)에서 흡입 공기 온도[실온 센서(11)에서 검출되는 온도]가 목표 온도에 근접하도록, 압축기(51), 실내 송풍기(52), 실외 송풍기(53)가 제어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17)에 더하여 소리 센서(19)를 사용하여 활동량을 보다 상세하게 판정하고, 판정된 활동량에 기초하여 목표 온도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보다 재실자의 상태(활동 상태)에 맞추어, 쾌적성을 고려하면서, 절전을 도모하는 공기 조화기(1)를 제공할 수 있다.
1 : 공기 조화기
2 : 실내기
10 : 제어부
16 : 센서 모듈
17 : 초전형 적외선 센서
17a : 프레넬 렌즈
17b : 초전 커버
18 : 복사 센서
19 : 소리 센서
397 : 표시부
400 : HPF(대역 추출부, 필터 회로, 하이 패스 필터 회로)
401 : LPF(대역 추출부, 필터 회로)
402 : 미분 회로(대역 추출부, 필터 회로)
403 : 적분 회로(대역 추출부, 필터 회로)
404 : BPF(대역 추출부, 필터 회로)
405 : 미분 회로(대역 추출부, 필터 회로)
406 : HPF(대역 추출부, 필터 회로)
407 : 콤퍼레이터(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
408 : 마이크로폰
41 : 활동량 판정부(판정부)
42 : 온도 시프트값 설정부
43 : 실온 설정부
44 : 목표 온도 설정부
45 : 공조 능력 제어부

Claims (15)

  1. 공조 공간 내의 재실자의 활동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소리를 수음하는 마이크로폰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이며,
    상기 마이크로폰에서 검지한 소리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된 소리 신호 중으로부터 특정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대역 추출부와,
    상기 대역 추출부가 추출한 특정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음원을 판정하는 음원 판정부를 갖고,
    상기 음원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음원에 기초하여 상기 공조 공간 내를 공조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추출부를 복수 설치하여, 각각 다른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추출부는,
    상기 소리 신호 중으로부터 특정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필터 회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회로는 연산 증폭기에 의한 미분 회로 또는 적분 회로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대역 추출부와 상기 증폭기를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회로는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미분 회로 또는 적분 회로에 의해 구성되고, 복수 단계로 나누어 증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회로에 있어서,
    증폭과 고주파 노이즈의 억제를 겸한 적분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추출부에 의해 추출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은,
    1㎑ 내지 4㎑의 범위 내에 상기 추출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의 출력의 후단에, 상용 전원의 주파수를 차단하고, 그 이상의 주파수를 통과시키는 하이 패스 필터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된 소리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에 있어서,
    입력된 상기 소리 신호를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변환 임계값을 상기 공기 조화기 단일 부재의 운전음으로는 초과하지 않는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판정부는, 상기 대역 추출부가 추출한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된 소리 신호의 출력의 연속 시간, 단속 시간, 규칙성, 불규칙성, 검지되는 비율을, 미리 기억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음원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대역 추출부를 동일 기판 상에 실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증폭기를 동일 기판 상에 실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증폭기의 전원 라인에 전원 노이즈 억제용의 전해 콘덴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5.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추출부가 상기 소리 신호 중으로부터 특정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면,
    상기 추출된 신호에 따라, 그 취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110122744A 2010-11-24 2011-11-23 공기 조화기 KR1013364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61244 2010-11-24
JP2010261244A JP5646969B2 (ja) 2010-11-24 2010-11-24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781A KR20120056781A (ko) 2012-06-04
KR101336460B1 true KR101336460B1 (ko) 2013-12-16

Family

ID=46345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744A KR101336460B1 (ko) 2010-11-24 2011-11-23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46969B2 (ko)
KR (1) KR101336460B1 (ko)
CN (1) CN1025381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07644B (zh) * 2013-03-08 2015-11-11 Grand Mate Co Ltd Methods for adjusting room temperature
CN105276751B (zh) * 2014-06-26 2018-03-13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语音播放方法及系统
CN104075410B (zh) * 2014-06-26 2017-02-15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音频信号的终端控制方法和系统
CN104931284B (zh) * 2015-05-29 2018-03-2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故障检测方法、装置和空调器
WO2016208678A1 (ja) * 2015-06-24 2016-12-29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静電容量検出装置、検出装置、及びセンサシステム
JP2017044438A (ja) * 2015-08-28 2017-03-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6250852B1 (ja) * 2017-03-16 2017-12-20 ヤフー株式会社 判定プログラム、判定装置及び判定方法
US11480352B2 (en) * 2017-07-06 2022-10-25 Cambridge Filter Corporation Device for measuring clogging of filter in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CN110691947B (zh) * 2017-07-14 2022-06-21 大金工业株式会社 设备控制系统
CN114909780B (zh) * 2017-07-14 2023-01-31 大金工业株式会社 控制系统
JP6560321B2 (ja) * 2017-11-15 2019-08-14 ヤフー株式会社 判定プログラム、判定装置及び判定方法
JP6761404B2 (ja) * 2017-11-20 2020-09-23 Kddi株式会社 宅内ユーザの行動推定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207963051U (zh) * 2018-01-29 2018-10-1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用于空调器的显示盒组件和具有其的空调器
CN108332375B (zh) * 2018-01-31 2020-12-0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控制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443052B1 (ko) * 2018-04-13 2022-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2001782B1 (ko) * 2018-09-05 2019-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입력된 소리에 기반하여 공기청정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공기청정기
JP7194832B2 (ja) 2018-12-12 2022-12-22 シグニファイ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モーションディテクタ、照明器具、対応する方法
CN113883672B (zh) * 2021-09-13 2022-11-15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噪音类型识别方法、空调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7447A (ja) * 2003-07-15 2005-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騒音制御装置
JP2010134367A (ja) * 2008-12-08 2010-06-1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9396A (en) * 1980-10-13 1982-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eration controller for air conditioner
JPH01179855A (ja) * 1988-01-07 1989-07-17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機の音声による制御方法
JPH01295648A (ja) * 1988-02-03 1989-11-29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子スロットを有する誘導電動機の速度信号検出装置
JPH024147A (ja) * 1988-06-21 1990-01-09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H04119708A (ja) * 1990-09-10 1992-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増幅器の自動雑音抑圧方法及び自動雑音抑圧装置
JPH04195199A (ja) * 1990-11-28 1992-07-15 Hiroshi Ogawa 低インピーダンス増幅器並びに増幅器の楽器への使用方法
JPH0817415B2 (ja) * 1992-03-19 1996-02-21 勝夫 許斐 イヤーセット型送受話器
JP2000310993A (ja) * 1999-04-28 2000-11-07 Pioneer Electronic Corp 音声検出装置
JP4656354B2 (ja) * 2000-10-11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音声処理装置および音声処理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2116792A (ja) * 2000-10-11 2002-04-19 Sony Corp ロボット制御装置およびロボット制御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4587009B2 (ja) * 2000-10-11 2010-11-24 ソニー株式会社 ロボット制御装置およびロボット制御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4258289A (ja) * 2003-02-26 2004-09-16 Sony Corp ロボット制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213529B2 (ja) * 2003-06-30 2009-01-21 Tdk株式会社 積層モジュール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ic搭載モジュール
CN201129826Y (zh) * 2007-11-20 2008-10-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控制装置
JP2010249349A (ja) * 2009-04-13 2010-11-04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
CN101881484B (zh) * 2009-05-05 2012-09-26 海尔集团公司 一种声控空调器
CN201561526U (zh) * 2009-09-11 2010-08-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盲人用空调系统和盲人用遥控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7447A (ja) * 2003-07-15 2005-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騒音制御装置
JP2010134367A (ja) * 2008-12-08 2010-06-1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781A (ko) 2012-06-04
CN102538135A (zh) 2012-07-04
CN102538135B (zh) 2015-04-22
JP5646969B2 (ja) 2014-12-24
JP2012112570A (ja)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460B1 (ko) 공기 조화기
KR101310545B1 (ko) 공기 조화기
KR101291883B1 (ko) 공기 조화기
JP6741050B2 (ja) 送風機器
KR101291967B1 (ko) 공기 조화기
JP5309102B2 (ja) 空気調和機
JP4125354B1 (ja) 空気調和機
JP5325854B2 (ja) 空気調和機
KR101109973B1 (ko) 공기 조화기
KR20210007010A (ko) 공기조화기
JP2009002602A (ja) 空気調和機
JP2017062092A (ja) 空気清浄装置
JP2008224132A (ja) 空気調和機
JP2012002461A (ja) 空気調節機
JP5320361B2 (ja) 空気調和機
JP2009002601A (ja) 空気調和機
JP2009002603A (ja) 空気調和機
JP5325855B2 (ja) 空気調和機
JP2009002604A (ja) 空気調和機
JP5325853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