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5636A -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5636A
KR20120055636A KR1020127006190A KR20127006190A KR20120055636A KR 20120055636 A KR20120055636 A KR 20120055636A KR 1020127006190 A KR1020127006190 A KR 1020127006190A KR 20127006190 A KR20127006190 A KR 20127006190A KR 20120055636 A KR20120055636 A KR 20120055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estination
recognition information
microphon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6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8391B1 (ko
Inventor
미츠지 마부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5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2Devices monitoring the users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23Wherein the destination is registered after boa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through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8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 B66B2201/4646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using voice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외부 기기를 이용하는 일 없이, 행선층을 판별하기 위한 인식 정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를 제공한다.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칸(3)에 마련된 마이크로폰(9)과, 마이크로폰(9)에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행선 호출을 등록할 때에 마이크로폰(9)으로부터 입력된 음성과 비교하기 위한 정보로서,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의 층상에 관련한 인식 정보를 기억한 기억 장치(11)와, 마이크로폰(9)이 마련된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칸(3)의 엘리베이터 설비(1), (5), (9)에서 미리 설정된 특수 조작이 행해지고 나서 일정 시간 내에 마이크로폰(9)에 입력되는 음성에 기초하여, 기억 장치에 기억된 인식 정보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13)을 구비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ELEVATOR CALL REGISTRATION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승강장에는 엘리베이터 도어 근방에 승강장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방향 또는 하방향의 승강장 버튼이 눌려지면,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도록 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서 기다리고 있는 이용자는 승강장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호출 등록 장치의 경우, 휠체어 이용자, 손이 부자유스러운 이용자, 정상인이어도 짐으로 양손을 쓸 수 없는 이용자에게 있어서는 승강장 버튼을 누르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최근 불특정 화자(話者)가 발성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승강장 호출 등록, 행선 호출 등록을 행하고, 인식 결과를 표시하는 호출 등록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 행선층에 관련하는 인식 정보를 엘리베이터 이외의 기기로부터 입력하고, 인식 정보에 대응한 음성이 입력되면, 행선 호출이 등록되는 호출 등록 장치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 6-255911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 2002-128404호 공보
여기서, 건물의 거주자의 변경이나 건물 내의 레이아웃 변경이 있으면, 음성 인식에 의해 행선층을 판별하기 위한 인식 정보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바에 있어서는 인식 정보를 변경하기 위해서 외부 기기가 필요하여, 비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인식 정보를 변경할 때마다 외부 기기가 필요하여, 인식 정보의 변경이 불편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외부 기기를 이용하는 일 없이, 행선층을 판별하기 위한 인식 정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에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행선 호출을 등록할 때에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음성과 비교하기 위한 정보로서, 상기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의 층상(floor)에 관련한 인식 정보를 기억한 기억 장치와; 상기 마이크로폰이 마련된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칸의 엘리베이터 설비에서 미리 설정된 특수 조작이 행해지고 나서 일정 시간 내에 상기 마이크로폰에 입력되는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인식 정보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기기를 이용하는 일 없이, 행선층을 판별하기 위한 인식 정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에 기억된 행선 인식 정보의 구체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그 중복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대하고, 1은 승강장측 엘리베이터 설비이다. 이 승강장측 엘리베이터 설비(1)는 엘리베이터의 각 승강장에 마련된다. 이 승강장측 엘리베이터 설비(1)는 승강장 버튼(2) 등으로 이루어진다.
3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이다. 이 엘리베이터칸(3)은 건물에 형성된 승강로 내에 배치된다. 4는 엘리베이터칸측 엘리베이터 설비이다. 실제의 엘리베이터칸측 엘리베이터 설비(4)는 엘리베이터칸(3)에 마련된다. 이 엘리베이터칸측 엘리베이터 설비(4)는 조작반(5), 표시 장치(6)를 구비한다. 조작반(5)은 각 층에 대응한 행선 버튼, 도어 열림 버튼, 도어 닫힘 버튼을 구비한다. 표시 장치(6)는 엘리베이터칸(3)의 위치나 운전 방향 등, 엘리베이터의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7은 호출 등록 수단이다. 이 호출 등록 수단(7)은 승강장 버튼(2), 조작반(5)의 행선 버튼을 누름에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호출을 등록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8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이다. 이 제어 장치(8)는 엘리베이터 전반의 운행 제어를 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8)는 호출 등록 수단(7)에 등록된 호출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3)을 승강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승강장에 있는 이용자가 승강장 버튼(2)을 누르면, 호출 등록 수단(7)에 당해 층의 승강장 호출이 등록된다. 이 호출 등록에 따라서, 제어 장치(8)가 엘리베이터칸(3)을 당해 층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열리는 것에 의해, 이용자는 엘리베이터칸(3) 내로 이동할 수 있다.
그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닫히고, 이용자가 조작반(5)의 행선 버튼을 누르면, 당해 행선 버튼에 대응한 행선 호출이 호출 등록 수단(7)에 등록된다. 이 호출 등록에 따라서, 제어 장치(8)가 행선 호출에 대응한 층까지 엘리베이터칸(3)을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이용자는 목적층까지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칸측 엘리베이터 설비(4)로서, 마이크로폰(9), 음성 인식 수단(10), 행선 인식 정보 기억 장치(11), 행선층 판별 수단(12)도 마련된다. 마이크로폰(9)은 입력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음성 인식 수단(10)은 마이크로폰(9)으로부터 입력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을 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행선 인식 정보 기억 장치(11)는 건물의 층상에 관련한 행선 인식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행선 인식 정보로서 건물의 층상명, 각 층의 용도 등이 기억된다. 행선층 판별 수단(12)은 음성 인식 수단(10)에 음성 인식된 정보와 행선 인식 정보 기억 장치(11)에 기억된 행선 인식 정보가 합치한 경우에, 행선 인식 정보에 대응한 층상을 행선층으로서 판별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휠체어 이용자, 손이 부자유스러운 이용자, 정상인이어도 짐으로 양손을 쓸 수 없는 이용자는 행선 호출을 등록하고 싶은 경우, 마이크로폰(9)을 향해서 층상명, 각 층의 용도 등의 행선 인식 정보를 발성한다. 이러한 발성에 의해, 행선층 판별 수단(12)에 의해 판별된 행선층이 행선 호출로서 호출 등록 수단(7)에 등록된다. 이에 의해, 이용자는 목적층까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칸측 엘리베이터 설비(4)로서, 행선 인식 정보 변경 수단(13), 정보 표시 제어 수단(14)도 마련된다. 행선 인식 정보 변경 수단(13)은 행선 인식 정보 기억 장치(11)의 행선 인식 정보를 변경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엘리베이터칸측 엘리베이터 설비(4)에서 미리 설정된 특수 조작이 행해지고 나서 일정 시간 내에 마이크로폰(9)에 입력된 음성의 인식 결과에 의해, 행선 인식 정보가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정보 표시 제어 수단(14)은 행선 인식 정보 기억 장치(11)의 행선 인식 정보나 행선 인식 정보 변경 수단(13)으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표시 장치(6)에 표시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다음에, 도 2를 이용하여, 행선 인식 정보 기억 장치(11)에 기억된 행선 인식 정보의 변경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에 기억된 행선 인식 정보의 구체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행선 인식 정보 기억 장치(11)는 각 행선층에 대응한 행선 인식 정보를 3개 기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1」의 란에는 각 층의 일반적인 층상명에 상당하는 행선 인식 정보가 격납되어 있다. 그리고 「정보 2」의 란 및 「정보 3」의 란에는 행선층의 용도 등에 상당하는 정보가 격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행선층 「1층」에 대응한 「정보 1」의 란, 「정보 2」의 란, 「정보 3」의 란에는 각각 「1층」, 「접수처」, 「로비」가 격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행선 인식 정보 변경 수단(13)은 조작반(5)의 행선 버튼과 도어 열림 버튼이 소정 시간 계속 눌려졌을 때에, 행선 인식 정보를 추가하기 위한 특수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단한다. 한편, 행선 인식 정보 변경 수단(13)은 조작반(5)의 행선 버튼과 도어 닫힘 버튼이 소정 시간 계속 눌려졌을 때에, 행선 인식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특수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6층에 대응한 행선 인식 정보로서 거주자의 「야마모토」를 기억하고 싶은 경우, 작업자는 조작반(5)의 6층에 대응한 행선 버튼과 도어 열림 버튼을 동시에 소정 시간 계속 누른 후, 마이크로폰(9)을 향해서 「야먀모토」라고 발성한다. 이에 의해, 행선층 「6층」에 대응한 「정보 2」의 란 또는 「정보 3」의 란에 「야먀모토」가 기억된다.
한편, 6층에 대응한 행선 인식 정보로부터 「야마모토」를 삭제하고 싶은 경우, 작업자는 조작반(5)의 6층에 대응한 행선 버튼과 도어 닫힘 버튼을 동시에 소정 시간 계속 누른 후, 마이크로폰(9)을 향해서 「야먀모토」라고 발성한다. 이에 의해, 행선층 「6층」에 대응한 「정보 2」의 란 또는 「정보 3」의 란으로부터 「야먀모토」가 삭제된다.
다음에, 도 3을 이용하여, 행선 인식 정보 기억 장치(11)에 기억된 행선 인식 정보가 변경될 때 일련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우선, 단계 S1에서, 행선 인식 정보 변경 수단(13)은 조작반(5)에서 n층에 대응한 특수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특수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는 동작이 종료된다. 이것에 대해, n층에 대응한 특수 조작이 행해진 경우는 단계 S2로 진행된다. 단계 S2에서 행선 인식 정보 변경 수단(13)은 일정 시간 내에 음성 인식 수단(10)으로부터 음성 인식의 결과가 얻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음성 인식의 결과가 얻어지지 않은 경우는 동작이 종료된다. 이것에 대해, 음성 인식의 결과가 얻어진 경우는 단계 S3으로 진행된다. 단계 S3에서 행선 인식 정보 변경 수단(13)은 얻어진 음성 인식의 결과에 기초하여 n층에 대응한 행선 인식 정보를 변경하고, 동작이 종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칸측 엘리베이터 설비(4)에서 미리 설정된 특수 조작이 행해지고 나서 일정 시간 내에 마이크로폰(9)에 입력되는 음성에 기초하여, 행선 인식 정보 기억 장치(11)에 기억된 행선 인식 정보가 변경된다. 이 때문에, 특별한 외부 기기를 이용하는 일 없이, 행선층을 판별하기 위한 행선 인식 정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반(5)에서 미리 설정된 특수 조작이 행해지고 나서 일정 시간 내에 마이크로폰(9)에 입력되는 음성에 기초하여, 행선 인식 정보 기억 장치(11)에 기억된 행선 인식 정보가 변경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반(5)의 행선 버튼으로 미리 설정된 특수 조작이 행해지고 나서 일정 시간 내에 마이크로폰(9)에 입력되는 음성에 기초하여, 행선 버튼에 대응한 행선층의 행선 인식 정보가 변경된다. 이 때문에, 간단한 조작으로, 외부 기기를 이용하는 일 없이, 행선 인식 정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n층의 행선 버튼이 소정 시간 계속 눌려진 경우에 특수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도록 되어 있었다. 한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n층의 행선 버튼이 소정 시간 내에 소정 횟수 이상 눌려진 경우에 특수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행선 인식 정보 기억 장치(11)에 기억된 행선 인식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 표시 장치(6)의 표시를 엘리베이터의 운전 상태로부터 행선 인식 정보의 내용으로 전환하면, 행선 인식 정보의 변경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래서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특수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 행선 인식 정보 기억 장치(11)에 기억된 행선 인식 정보를 표시 장치(6)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11에서 행선 인식 정보 변경 수단(13)은 조작반(5)에서 n층에 대응한 특수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특수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는 동작이 종료된다. 이것에 대해, n층에 대응한 특수 조작이 행해진 경우는 단계 S12로 진행된다. 단계 S12에서 정보 표시 제어 수단(14)은 표시 장치(6)에 n층의 행선 인식 정보를 표시시키고, 동작이 종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특수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엘리베이터칸(3)의 표시 장치(6)의 표시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상태로부터 행선 인식 정보에 관한 표시로 전환된다. 이 때문에, 행선 인식 정보의 변경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n층의 행선 버튼이 소정 시간 내에 소정 횟수 이상 눌려지지 않으면, 행선 인식 정보를 변경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짐 등이 우연히 행선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고, 알지 못하는 동안에 행선 인식 정보가 변경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특수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n층의 행선 인식 정보만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표시 장치(6)가 표현력이 있는 액정 모니터 등인 경우는 n층 이외의 행선 인식 정보도 동시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실시 형태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및 2에 있어서는 행선 버튼의 소정 조작을 특수 조작으로 하고 있었다. 한편, 실시 형태 3에 있어서는 마이크로폰(9)에 입력된 음성의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특수 조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행선 인식 정보 기억 장치(11)에는 특수 조작으로서 인식하기 위한 변경 개시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이 변경 개시 정보로서는 「변경」, 「수정」이라는 변경에 관련하는 용어가 선정된다.
또, 엘리베이터칸측 엘리베이터 설비(4)에서 특수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행선 인식 정보의 변경 방법이 표시 장치(6)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특수 조작이 행해지고 나서 일정 시간 내에 마이크로폰(9)에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여 행선 인식 정보가 변경되었을 때에, 행선 인식 정보의 변경 결과가 표시 장치(6)에 표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호출 등록 장치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21에서, 행선 인식 정보 변경 수단(13)은 음성 인식 수단(10)으로부터 음성 인식의 결과가 얻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음성 인식의 결과가 얻어지지 않은 경우는 동작이 종료된다. 이것에 대해, 음성 인식의 결과가 얻어진 경우는 단계 S22로 진행된다. 단계 S22에서 행선 인식 정보 변경 수단(13)은 음성 인식의 결과에 기초하여, 음성의 내용을 판단한다. 음성의 내용이 「행선」층에 대응한 행선 인식 정보의 경우는 행선 인식 정보에 대응한 층의 행선 호출이 등록되고, 동작이 종료된다. 이것에 대해, 「변경」에 대응한 변경 개시 정보의 경우는 단계 S23으로 진행된다.
단계 S23에서 정보 표시 제어 수단(14)은 조작 방법을 표시 장치(6)에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 「변경할 층의 행선 버튼을 누르고, 마이크를 향해서 발성해 주세요.」라는 표시가 이루어진다. 그 후, 단계 S24로 진행되고, 행선 인식 정보 변경 수단(13)은 조작반(5)의 행선 버튼의 입력을 기다리고, 입력된 행선 버튼에 대응하는 층의 행선 인식 정보를 변경 대상의 n층으로 하고, 단계 S25로 진행된다.
단계 S25에서 정보 표시 제어 수단(14)은 행선 인식 정보 변경 수단(13)을 통하여 행선 인식 정보 기억 장치(11)로부터 취출한 n층에 대응한 행선 인식 정보를 표시 장치(6)에 표시시키고, 단계 S26으로 진행된다. 단계 S26에서 행선 인식 정보 변경 수단(13)은 음성 인식 수단(10)으로부터 음성 인식의 결과를 기다리고, 단계 S27로 진행된다.
단계 S27에서 정보 표시 제어 수단(14)은 음성 인식의 결과를 표시 장치(6)에 표시시키고, 단계 S28로 진행된다. 단계 S28에서 정보 표시 제어 수단(14)은 표시 장치(6)에 확인 안내를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 「n층의 내용을 변경합니다만, 좋습니까? 변경하는 경우는 n층의 행선 버튼을 눌러 주세요. 변경하지 않는 경우는 n층 이외의 버튼을 눌러 주세요.」라는 표시가 이루어진다.
그 후, 단계 S29로 진행되고, 행선 인식 정보 변경 수단(13)은 조작반(5)의 행선 버튼의 입력 확인을 행한다. n층의 행선 버튼이 눌려진 경우는 단계 S30으로 진행된다. 단계 S30에서 행선 인식 정보 변경 수단(13)은 단계 S26의 음성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n층에 대응한 행선 인식 정보를 변경하고, 단계 S31로 진행된다. 단계 S31에서 정보 표시 제어 수단(14)은 변경 완료를 나타내는 취지를 표시 장치(6)에 표시시키고, 동작이 종료된다.
이것에 대해, 단계 S29에서, n층 이외 층의 행선 버튼이 눌려진 경우는 단계 S32로 진행된다. 단계 S32에서 정보 표시 제어 수단(14)은 변경 미완료를 나타내는 취지를 표시 장치(6)에 표시시키고, 동작이 종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마이크로폰(9)에 미리 설정된 변경 개시 정보와 일치하는 음성이 입력되고 나서 일정 시간 내에 마이크로폰(9)에 입력되는 음성에 기초하여, 행선 인식 정보 기억 장치(11)에 기억된 인식 정보가 변경된다. 이 때문에,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행선 인식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측 엘리베이터 설비(4)에서 특수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행선 인식 정보의 변경 방법이 표시된다. 또, 특수 조작이 행해지고 나서 일정 시간 내에 마이크로폰(9)에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여 행선 인식 정보가 변경되었을 때에, 행선 인식 정보의 변경 결과가 표시된다. 이 때문에, 표시 장치(6)에 표시되는 내용을 확인하면서, 행선 인식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 내지 3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칸측 엘리베이터 설비(4)에서의 특수 조작에 의해 변경하는 구성이었다. 그러나 승강장측에 마이크로폰(9)을 마련하고, 승강장 버튼(2), 승강장 행선 버튼, 마이크로폰(9) 등, 승강장측 엘리베이터 설비(1)의 특수 조작에 의해 행선 인식 정보의 변경 동작을 개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상기 실시 형태 1 내지 3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에 의하면, 음성 인식에 의해 행선층을 등록하는 엘리베이터에 이용할 수 있다.
1 승강장측 엘리베이터 설비,
2 승강장 버튼,
3 엘리베이터칸,
4 엘리베이터칸측 엘리베이터 설비,
5 조작반,
6 표시 장치,
7 호출 등록 수단,
8 제어 장치,
9 마이크로폰,
10 음성 인식 수단,
11 행선 인식 정보 기억 장치,
12 행선층 판별 수단,
13 행선 인식 정보 변경 수단,
14 정보 표시 제어 수단.

Claims (6)

  1.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에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행선 호출을 등록할 때에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음성과 비교하기 위한 정보로서, 상기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의 층상(floor)에 관련한 인식 정보를 기억한 기억 장치와,
    상기 마이크로폰이 마련된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칸의 엘리베이터 설비에서 미리 설정된 특수 조작이 행해지고 나서 일정 시간 내에 상기 마이크로폰에 입력되는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인식 정보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마이크로폰이 마련된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칸의 조작반에서 상기 특수 조작이 행해지고 나서 일정 시간 내에 상기 마이크로폰에 입력되는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인식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조작반의 행선 버튼으로 상기 특수 조작이 행해지고 나서 일정 시간 내에 상기 마이크로폰에 입력되는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행선 버튼에 대응한 층상에 관련한 상기 인식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특수 조작으로서 상기 마이크로폰에 미리 설정된 변경 개시 정보와 일치하는 음성이 입력되고 나서 일정 시간 내에 상기 마이크로폰에 입력되는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인식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상기 마이크로폰이 마련된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칸의 표시 장치의 표시를,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 상태의 표시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인식 정보에 관한 표시로 전환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특수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상기 인식 정보의 변경 방법을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고, 상기 일정 시간 내에 상기 마이크로폰에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인식 정보가 변경되었을 때에, 상기 인식 정보의 변경 결과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KR1020127006190A 2009-11-06 2009-11-06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KR101298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9003 WO2011055452A1 (ja) 2009-11-06 2009-11-06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636A true KR20120055636A (ko) 2012-05-31
KR101298391B1 KR101298391B1 (ko) 2013-08-20

Family

ID=4396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6190A KR101298391B1 (ko) 2009-11-06 2009-11-06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97737B1 (ko)
JP (1) JP5569534B2 (ko)
KR (1) KR101298391B1 (ko)
CN (1) CN102712440B (ko)
WO (1) WO20110554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899A (ko) 2017-08-24 2019-03-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 경화에 적합한 아크릴계 점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97638A (zh) * 2012-10-22 2013-01-30 苏州奔一机电有限公司 电梯轿门运行控制装置
CN105668361A (zh) * 2016-03-24 2016-06-15 安庆市德创机电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电梯楼层按钮开关纠正组件
CN105692407A (zh) * 2016-04-05 2016-06-22 昆山市飞鹏金属工业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
CN106335823B (zh) * 2016-10-20 2019-08-30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通过语音控制电梯的方法及电梯控制设备
JP6824706B2 (ja) * 2016-11-21 2021-02-03 日本オーチス・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方法
WO2018142603A1 (ja) * 2017-02-06 2018-08-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07601190B (zh) * 2017-08-29 2019-05-17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语音召梯方法及装置
CN111573448A (zh) * 2020-03-19 2020-08-25 北京声智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控制方法、电梯设备及终端设备
CN111470385A (zh) * 2020-04-14 2020-07-31 苏州德奥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4056A (en) * 1982-08-26 1985-08-06 Westinghouse Electric Corp. Voice-recognition elevator security system
US4590604A (en) * 1983-01-13 1986-05-20 Westinghouse Electric Corp. Voice-recognition elevator security system
JPH06255911A (ja) 1993-03-09 1994-09-13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
JP3077555B2 (ja) * 1995-03-28 2000-08-14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音声認識装置
ATE232503T1 (de) * 1997-05-22 2003-02-15 Inventio Ag Eingabegerät und verfahren zur akustischen befehlseingabe für eine aufzugsanlage
DE10038518A1 (de) 2000-08-08 2002-02-21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Ortskundiger Aufzug mit Sprachsteuerung
JP2002128404A (ja) * 2000-10-27 2002-05-0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
JP2002220167A (ja) * 2001-01-24 2002-08-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3201071A (ja) * 2001-11-01 2003-07-15 Inventio Ag 人もしくは物の輸送もしくはアクセス制御のためのシステム、このシステムを保守する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およびこのシステムにより建物を改造する方法
JP2009012930A (ja) * 2007-07-04 2009-01-2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2009215045A (ja) * 2008-03-12 2009-09-2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899A (ko) 2017-08-24 2019-03-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 경화에 적합한 아크릴계 점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7737A1 (en) 2012-09-12
KR101298391B1 (ko) 2013-08-20
CN102712440A (zh) 2012-10-03
EP2497737A4 (en) 2015-02-11
JPWO2011055452A1 (ja) 2013-03-21
CN102712440B (zh) 2015-03-11
WO2011055452A1 (ja) 2011-05-12
EP2497737B1 (en) 2016-01-27
JP5569534B2 (ja) 201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8391B1 (ko)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CN107207192B (zh) 包括触摸屏的电梯操作面板
JP2009501687A (ja) 群エレベータシステムにおけるエレベータ再割当て情報の連絡
WO2018025376A1 (ja) エレベータの利用者案内装置
CN103635408B (zh) 电梯装置
US11897729B2 (en) Method for setting an elevator into service mode
KR100554918B1 (ko) 엘리베이터용 목적층 예약장치 및 그 방법
JP5722192B2 (ja) エレベータの保守運転装置
JPH10194618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呼登録装置
JP5879781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2009215002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6335361B1 (ja) エレベータの行先階登録方法
JP2012188179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1114145B1 (ko) 엘리베이터 텐키 조작 안내 장치
JP5287354B2 (ja) エレベーターの呼び登録装置
JP2010064886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WO2019167106A1 (ja) エレベーターの呼び登録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09057190A (ja) エレベータの清掃運転システム
WO2022157861A1 (ja) エレベーターの呼び登録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CN109835784A (zh) 电梯系统
JP7199872B2 (ja) 多言語音声案内装置および多言語音声案内方法
JP2023127396A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
KR100554917B1 (ko) 엘리베이터용 디지탈 10키 제어장치 및 방법
WO2019167107A1 (ja) エレベーターの呼び登録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CN104418197A (zh) 电梯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