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1443A -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1443A
KR20120051443A KR1020100112880A KR20100112880A KR20120051443A KR 20120051443 A KR20120051443 A KR 20120051443A KR 1020100112880 A KR1020100112880 A KR 1020100112880A KR 20100112880 A KR20100112880 A KR 20100112880A KR 20120051443 A KR20120051443 A KR 20120051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itrus
fragrance
weight
jeju isl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9027B1 (ko
Inventor
최지영
고승호
서형제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112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027B1/ko
Priority to CN201180054414.7A priority patent/CN103260634B/zh
Priority to PCT/KR2011/008501 priority patent/WO2012064099A2/ko
Priority to JP2013538637A priority patent/JP5972893B2/ja
Publication of KR20120051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443A/ko
Priority to HK14100166.2A priority patent/HK1186990A1/xx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0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7Aliphat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61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 six-membered aromat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69Heterocyclic compounds
    • C11B9/009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nly N as heteroato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주도 감귤꽃(Citrus unshiu)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SPME법(Solid Phase Micro Extraction)으로 분석한 제주도 감귤꽃 향취 성분에 메틸안스라닐레이트(Methyl anthranilate)를 더 첨가하여 제주도 감귤꽃 고유의 향취를 그대로 재현하고 기호성이 우수하도록 제조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for expressing the fragrance of Citrus unshiu of Jeju island the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주도 감귤꽃(Citrus unshiu)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SPME법(Solid Phase Micro Extraction)으로 분석한 제주도 감귤꽃 향취 성분에 메틸안스라닐레이트(Methyl anthranilate)를 더 첨가하여 제주도 감귤꽃 고유의 향취를 그대로 재현하고 기호성이 우수하도록 제조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귤류"라고 하면 식물분류상 운향과(Rutaceae) 감귤아과(Auranti- oideae)의 감귤속(Citrus), 금감속(Fortunella) 및 탱자속(Poncirus)에 속하는 식물들을 지칭한다. 감귤아과 식물은 인도와 중국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대륙과 그 주변 섬들,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및 아프리카 대륙에 분포하고 있으며 유럽대륙이나 남북아메리카 대륙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한국은 세계의 감귤류 재배지 중에서 가장 북부에 위치하고 있어 제주도를 비롯한 통영, 거제 및 남해 등 한반도의 남쪽 해안이 주 산지이나, 이 중 서귀포를 중심으로 한 제주도가 가장 맛있는 감귤의 생산지로 꼽힌다.
감귤나무는 상록 활엽 소교목으로 잎은 호생하며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길이 5?7 cm, 넓이 5 ㎝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파상의 잔톱니가 있고 엽병의 날개가 있거나 없다. 줄기는 곧추서지만 가지가 많으며 수피는 갈색이고 잘게 갈라지며 가지에 가시가 없다. 열매는 편구형이며 지름 3?4 cm로서 10월에 등황색 또는 황적색으로 익고 과피는 과육과 잘 떨어지며 중심부가 비어 있고 9?10개의 실로 구분되어 있다. 외피는 평활하며 윤채가 있다. 열매는 식용으로 하며, 과피(果皮)는 한방에서 진피(陣皮)라고 하여 감기 등에 특효로 사용된다. 꽃은 백색으로 5월에서 6월에 걸쳐 피고 액출(腋出)하며 단립(單立)하고 꽃의 길이는 2㎝로 소형이며 특징적인 짙은 향기가 있다.
예로부터 서양에서는 오렌지 꽃의 향을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향수로 만들어 사용하는 등 최고급 고귀한 향료로서 사용해 왔다. 또한, 아로마테라피로서 유럽에서는 항우울, 살균, 최음, 소취, 신경자극 또는 강장 등의 효과를 위해 사용하였으며, 말린 꽃은 신경계 자극이나 혈액을 맑게 하는 데 이용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제주도의 감귤나무는 식용으로서 과실만 이용되어 왔을 뿐, 향료 물질로서는 이용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제주도의 청정 공기속에서 자라난 감귤꽃은 오렌지 꽃과는 다른 달콤하고 신선한 꽃향을 지니고 있어 국산 향료물질로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천연물의 향취를 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향취성분을 화정유(Absolute) 형태로 만드는 용매추출법과 향기성분을 정유(Essential oil)로 만드는 수증기증류법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추출과정에서 높은 열을 가해야 하고 처리 과정이 복잡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본래의 향취와는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재현하기 위하여 SPME법으로 향취 성분을 분석한 결과, 미르센(Myrcene), 페닐아세트알데히드 옥심(Phenylacetaldehyde oxime) 및 인돌(Indole) 등이 제주도 감귤꽃 향취의 주성분임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주도 감귤꽃 향취의 주성분과 제주도 감귤꽃임을 나타내는 특징적인 향기 성분인 메틸안스라닐레이트(Methyl anthranilate)를 함께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이 제주도 감귤꽃의 고유 향취를 그대로 재현할 수 있으면서 기호성이 우수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주도 감귤꽃의 고유 향취를 그대로 재현하면서 우수한 기호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미르센(Myrcene), 페닐아세트알데히드 옥심(Phenylacetaldehyde oxime) 및 인돌(Indole)로 구성된 향취 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60?70 중량%로 함유하여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SPME법에 의해서 분석된 제주도 감귤꽃 향취의 주성분을 특정 함량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메틸안스라닐레이트를 더 첨가함으로써 제주도 감귤꽃의 고유 향취를 그대로 재현할 수 있었고, 향취의 기호성도 증진시킬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SPME법(Solid Phase Micro Extraction; SUPELCO international, Vol.13, No.4, p.9-10)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SPME법은 기존의 추출법과는 달리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전처리 또한 필요 없어, 신속하고 간편하게 향취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SPME법은 특별한 전처리없이 화이버(Fiber)에 흡착된 향취 성분들이 GS-MS 컬럼 안으로 빠르게 탈착, 주입될 수 있어 분석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으므로, 휘발성이 강한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성분을 분석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는 SPME법에 의해서 분석된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성분을 토대로 하여, 조합 향료를 조성하고, 이에 대해 제주도 감귤꽃 향취와의 유사성 및 향취의 기호성을 후각관능검사를 통해 수행하였다. 관능검사는 전문 조향사 및 일반인에 의해 실시되었고, 제주도 감귤꽃 향취와의 유사성 및 향취의 기호성은 설문 조사를 통해 평가되었다.
본 발명은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 성분 및 메틸안스라닐레이트(Methyl anthranilate)을 필수성분으로서 함유하여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주도 감귤꽃 향취의 주성분인 미르센, 페닐아세트알데히드 옥심 및 인돌로 구성된 향취 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60?70 중량%로 함유하여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미르센 22?42 중량%, 페닐아세트알데히드 옥심 11?31 중량% 및 인돌 1?2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향료 조성물은 상기 제주도 감귤꽃 향취의 주성분에, 제주도 감귤꽃임을 나타내는 특징적인 향기 성분인 메틸안스라닐레이트를 더 첨가하여 기호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상기 메틸안스라닐레이트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2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주도 감귤꽃 향취를 재현하기 위한 주요 성분들로 사용된 미르센, 페닐아세트알데히드 옥심, 인돌 및 메틸안스라닐레이트는 상기 범위를 벗어난 범위로 사용될 경우, 실제 제주도 감귤꽃과의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고 향취의 기호성도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향료 조성물은 상기 주성분 이외에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나타내는 부차적인 향취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파네솔 2?22 중량%, 2-페닐에틸알코올 1?10 중량%, 리날로올 0.5?13 중량% 및 게라니올 0.01?11 중량%로 함유한다.
이러한 부차적인 성분들은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제주도 감귤꽃 향취를 재현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양으로도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주도 감귤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2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에 명시된 범위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함유될 때, 사용자로 하여금 제주도 감귤꽃과 유사한 향을 인지하게 할 수 있고, 높은 기호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향의 지속력 또한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는 예를 들면, 연고, 로션, 가용화상, 현탁액, 에멀젼, 크림,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또는 물파스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 업계에 주지된 어떠한 기제에도 배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적용, 변형 등도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SPME법을 이용한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 분석
향기가 강한 제주도 감귤꽃 한 그루를 골라 2시간 동안 85 ㎛의 폴리아크릴레이트로 코팅된 화이버(Polyacrylate Fiber)에 향기성분을 흡착시켜 향기성분을 포집하였다. 제주도 서귀포시에서 3시간 동안 포집이 이루어졌다.
향취성분을 포집한 후, 화이버(Fiber)를 밀봉하고, 이를 GC-MS의 주입구에 옮겨 꽂은 다음, 2분간 탈착시키고, GC-MS 분석을 수행하였다. GC-MS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다.
분석 조건
? 분석기기: HP 5890 II GC
? 검출기: HP 5972 MSD
? 컬럼(Column): DB-1(60m X 0.25mm X 0.25㎛)
? 이동 기체(Carrier Gas): He
? 주입부 온도(Injection Temperature): 250℃
? 검출부 온도(Detector Temperature): 280℃
? 오븐 온도(Oven Temperature): 70?220℃(3℃/min)
? 이온화 전압(Ionization Voltage): 70 eV
? 탈착 시간: 2분
그 결과, SPME법에 의해 분석된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 성분은 하기 표 1과 같다(단위: 중량%).
향취 성분 함량
미르센 32.22
페닐아세트알데히드 옥심 21.19
인돌 11.85
파네솔(E,E) 8.34
2-페닐에틸 알코올 3.21
리날로올 1.55
게라니올 0.34
기타 21.3
총 함량 100.0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제주도 감귤꽃은 미르센, 페닐아세트알데히드 옥심 및 인돌을 주요 향취 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이들 주요성분이 향취 전체의 65.26 중량%를 차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조합향료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하여 하기 표 2의 조성을 갖는 조합향료(샘플 B)를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향취 성분 함량
미르센 32.22
페닐아세트알데히드 옥심 21.19
인돌 11.85
파네솔(E,E) 8.34
2-페닐에틸 알코올 3.21
리날로올 1.55
게라니올 0.34
DEP(용매) 21.3
총 함량 100.0
[시험예 1] 조합향료와 천연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비교한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조합항료(샘플 B)와 천연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 유사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평가는 20?45세의 일반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제주도 감귤꽃 화분의 샘플 A와, SPME법으로 재현한 조합향료의 샘플 B의 향취를 각각 맡아보도록 하고, 하기 표 3의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함으로써 샘플 A와 샘플 B의 향취 유사성(질문 1) 및 향취의 기호성(질문 2)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설문지
(1) 질문 1: 샘플 A와 샘플 B의 향취가 얼마나 유사(비슷)한가?
1) 전혀 유사하지 않다.
2) 별로 유사하지 않다.
3) 그저 그렇다.
4) 어느 정도 유사하다.
5) 매우 유사하다.
(2) 질문 2: 샘플 B의 향취를 얼마나 좋아하는가?
1) 전혀 좋지 않다.
2) 별로 좋지 않다.
3) 그저 그렇다.
4) 약간 좋다.
5) 매우 좋다.
평가요원 질문 1 (유사성) 질문 2 (기호성)
1 3 1
2 2 1
3 1 2
4 2 2
5 1 2
6 1 2
7 2 2
8 2 4
9 2 2
10 2 2
11 2 2
12 3 3
13 3 2
14 2 1
15 1 3
16 1 2
17 3 2
18 2 1
19 3 2
20 1 2
평균 1.95 2.00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조합향료인 샘플 B는 감귤꽃 화분의 실제 꽃 향취와는 차이가 있었다.
[시험예 2] 전문 평가단에 의한 향취분석과 감귤꽃과의 향취 비교
상기 시험예 1의 결과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SPME법에 의해 분석된 성분으로 조성한 조합향료 조성물이 천연 제주도 감귤꽃과 항취 유사성이 없었다. 이에, 조향사로 구성된 전문 평가단은 제주도 감귤꽃의 각각의 향취 성분들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 성분들 중, 달콤한 수지(Sweet Balsam)의 향취를 만들어내는 미르센, 신선한 꽃향기(Fresh Floral)를 느낄 수 있는 페닐아세트알데히드 옥심 및 쟈스민(Jasmine)과 유사한 향취를 내는 인돌의 세 성분이 감귤꽃의 고유향취를 만들어내는 주요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주성분의 함량 변화에 따른 새로운 조합향료의 제조
상기 시험예 2의 결과로부터, 제주도 감귤꽃의 독창적 향취의 주성분이 미르센, 페닐아세트알데히드 옥심 및 인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들 세 성분을 함유하여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그대로 나타내면서, 기호성이 좋은 향료를 제조하기 위해서 하기 #1 내지 #4의 새로운 조합 향료들을 만들었다.
조합향료 #1 내지 #4는 이들 세 성분의 비율은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세가지 향료의 함량을 50?80 중량%로 변화시켜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각각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향취 성분 #1 #2 #3 #4
미르센 24.68 29.62 32.09 34.56
페닐아세트알데히드 옥심 16.24 19.49 21.11 22.73
인돌 9.08 10.89 11.80 12.71
파네솔 (E,E) 31.03 24.82 21.72 18.62
2-페닐에틸 알코올 11.94 9.56 8.36 7.16
리날로올 5.77 4.61 4.04 3.46
게라니올 1.26 1.01 0.88 0.76
총 함량 100.0 100.0 100.0 100.0
세 가지 주성분의 총 함량 55 60 65 70
[시험예 3]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조합향료들의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4가지의 조합향료에 대하여,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귤꽃 향취와의 유사성 및 기호성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한편, 두 개의 향료에 대한 비교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5분 동안의 휴식시간을 주어 후감각 마비현상이 없도록 하였다. 새로운 조합향료와 감귤꽃과의 향취 유사성 및 기호성에 관한 관능평가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평가
요원
질문1 (유사성) 질문2 (기호성)
#1 #2 #3 #4 #1 #2 #3 #4
1 2.0 3.0 4.0 2.0 2.0 3.0 3.0 1.0
2 2.0 3.0 3.0 3.0 2.0 3.0 3.0 2.0
3 3.0 4.0 3.0 3.0 1.0 3.0 4.0 2.0
4 2.0 3.0 3.0 2.0 2.0 2.0 3.0 3.0
5 2.0 2.0 4.0 2.0 1.0 3.0 3.0 4.0
6 2.0 3.0 4.0 2.0 2.0 2.0 4.0 3.0
7 3.0 2.0 4.0 2.0 2.0 1.0 2.0 3.0
8 2.0 3.0 3.0 2.0 1.0 2.0 3.0 3.0
9 3.0 3.0 4.0 2.0 2.0 3.0 3.0 3.0
10 2.0 2.0 4.0 3.0 1.0 3.0 4.0 2.0
11 2.0 4.0 3.0 2.0 2.0 2.0 3.0 3.0
12 3.0 3.0 4.0 3.0 3.0 3.0 3.0 2.0
13 2.0 2.0 2.0 3.0 2.0 2.0 3.0 2.0
14 3.0 3.0 2.0 3.0 3.0 3.0 2.0 2.0
15 3.0 3.0 4.0 2.0 3.0 3.0 3.0 2.0
16 2.0 3.0 3.0 2.0 2.0 3.0 3.0 2.0
17 2.0 3.0 3.0 2.0 3.0 3.0 3.0 3.0
18 1.0 3.0 4.0 3.0 3.0 3.0 4.0 2.0
19 2.0 3.0 4.0 3.0 2.0 3.0 4.0 3.0
20 2.0 3.0 3.0 2.0 3.0 2.0 3.0 2.0
평균 2.25 2.90 3.4 2.40 2.10 2.60 3.15 2.45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주요 세 성분의 총 함량이 65 중량%를 차지하는 샘플 #3이 4개의 조합향료 중 가장 뛰어난 유사성과 기호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전문 평가단의 분석에 의한 향취 개선향료 제조
상기 표 6에서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 샘플 #3의 향료의 유사성 및 기호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상기 샘플 #3에서와 같이 미르센, 페닐아세트알데히드 옥심 및 인돌을 65 중량%로 함유하고, 여기에 감귤꽃 향기의 재현에 특유의 향을 갖게 만드는 메틸안스라닐레이트(Methyl anthranilate)를 더 첨가하여 새로운 조합향료를 제조하였다. 이때, 메틸안스라닐레이트는 1.00, 5.00, 10.00, 15.00, 20.00, 25.00 및 30.00 중량%로 각각 첨가하였다. 메틸안스라닐레이트의 함량 기준은 조향사 전문가 집단의 판단에 의해서 기준을 잡았다. 이들 재조합 향료의 조성은 하기 표 7과 같다(단위: 중량%).
향취 성분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미르센 32.09 32.09 32.09 32.09 32.09 32.09 32.09
페닐아세트알데히드 옥심 21.11 21.11 21.11 21.11 21.11 21.11 21.11
인돌 11.80 11.80 11.80 11.80 11.80 11.80 11.80
메틸안스라닐레이트 1.0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파네솔(E,E) 21.10 18.62 15.51 12.41 9.31 6.21 3.10
2-페닐에틸 알코올 8.12 7.16 5.97 4.78 3.58 2.39 1.19
리날로올 3.92 3.46 2.89 2.31 1.73 1.15 0.58
게라니올 0.86 0.76 0.63 0.50 0.38 0.25 0.13
총 함량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시험예 4] 실시예 에서 제조한 조합향료들의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조합향료 #가 내지 #사에 대하여,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주도 감귤꽃과의 향취 유사성 및 기호성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두 개의 향료에 대한 비교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5분 동안의 휴식시간을 주어, 후감각 마비현상이 없도록 하였다. 새로운 조합향료와 제주도 감귤꽃과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 기호성에 결과는 하기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다.
평가
요원
질문1 (유사성) 질문2 (기호성)
#가 #나 #다 #라 #마 #바 #사 #가 #나 #다 #라 #마 #바 #사
1 4.0 3.0 4.0 4.0 4.0 3.0 4.0 3.0 3.0 3.0 3.0 3.0 4.0 3.0
2 3.0 3.0 3.0 4.0 4.0 3.0 3.0 2.0 3.0 3.0 4.0 4.0 3.0 3.0
3 3.0 3.0 4.0 5.0 5.0 3.0 2.0 3.0 4.0 4.0 5.0 4.0 3.0 2.0
4 2.0 3.0 4.0 4.0 4.0 3.0 3.0 3.0 3.0 4.0 4.0 4.0 2.0 3.0
5 3.0 3.0 3.0 4.0 4.0 3.0 3.0 3.0 3.0 4.0 5.0 3.0 3.0 3.0
6 3.0 3.0 3.0 3.0 4.0 3.0 3.0 2.0 4.0 3.0 4.0 4.0 4.0 2.0
7 3.0 3.0 4.0 4.0 3.0 3.0 3.0 3.0 4.0 3.0 4.0 3.0 3.0 2.0
8 3.0 4.0 4.0 4.0 3.0 4.0 3.0 3.0 3.0 4.0 3.0 4.0 4.0 3.0
9 3.0 3.0 4.0 4.0 4.0 3.0 2.0 3.0 3.0 3.0 5.0 3.0 3.0 3.0
10 3.0 4.0 3.0 5.0 4.0 4.0 3.0 3.0 3.0 4.0 4.0 4.0 3.0 3.0
11 3.0 3.0 3.0 3.0 4.0 3.0 3.0 3.0 4.0 3.0 4.0 5.0 4.0 4.0
12 3.0 4.0 4.0 5.0 3.0 4.0 2.0 3.0 3.0 4.0 4.0 4.0 3.0 3.0
13 3.0 3.0 3.0 3.0 2.0 3.0 2.0 4.0 2.0 3.0 4.0 4.0 2.0 3.0
14 2.0 3.0 3.0 5.0 3.0 3.0 2.0 3.0 4.0 5.0 3.0 3.0 2.0 2.0
15 3.0 4.0 4.0 4.0 4.0 4.0 3.0 3.0 3.0 4.0 4.0 4.0 3.0 3.0
16 2.0 3.0 4.0 4.0 4.0 3.0 3.0 3.0 3.0 3.0 5.0 4.0 3.0 2.0
17 3.0 3.0 3.0 4.0 4.0 3.0 3.0 3.0 4.0 5.0 4.0 4.0 4.0 2.0
18 3.0 4.0 4.0 4.0 3.0 4.0 3.0 4.0 3.0 4.0 4.0 4.0 2.0 3.0
19 3.0 4.0 4.0 4.0 4.0 4.0 3.0 2.0 2.0 4.0 5.0 4.0 3.0 2.0
20 4.0 3.0 4.0 4.0 4.0 3.0 3.0 2.0 3.0 3.0 5.0 4.0 4.0 3.0
평균 2.95 3.30 3.60 4.10 3.70 3.30 2.80 2.90 3.20 3.70 4.15 3.80 3.10 2.70
상기 표 8의 결과에서, 미르센, 페닐아세트알데히드 옥심 및 인돌로 구성된 제주도 감귤꽃의 주요 향취성분에 메틸안스라닐레이트 5 내지 25 중량%를 함유할 경우,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그대로 재현할 수 있으면서 기호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평균 3.0 이상). 특히, 메틸안스라닐레이트를 10 내지 20 중량%로 함유할 경우에는 감귤꽃과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 기호성이 매우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평균 3.5 이상).
한편, 메틸안스라닐레이트를 5 중량% 미만 또는 25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하면 오히려 향취의 유사성 및 기호성이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1]
하기 표 9에 기재된 조성으로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와 유사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을 배합한 향수를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함량
제주도 감귤꽃 향취 재현 조합 향료
(실시예 4의 조합향료 #나 내지 #바)
15
알코올 83
2
색소 적량
자외선차단제 적량

Claims (5)

  1. 미르센(Myrcene), 페닐아세트알데히드 옥심(Phenylacetaldehyde oxime) 및 인돌(Indole)로 구성된 향취 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60?70 중량%로 함유하여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미르센 22?42 중량%, 페닐아세트알데히드 옥심 11?31 중량% 및 인돌 1?20 중량%를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안스라닐레이트 5?25 중량%를 더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파네솔 2?22 중량%, 2-페닐에틸알코올 1?10 중량%, 리날로올 0.5?13 중량% 및 게라니올 0.01?11 중량%를 더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00112880A 2010-11-12 2010-11-12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99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880A KR101799027B1 (ko) 2010-11-12 2010-11-12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201180054414.7A CN103260634B (zh) 2010-11-12 2011-11-09 再现济州岛柑橘花的香味的香料组合物及含有该组合物的皮肤外用组合物
PCT/KR2011/008501 WO2012064099A2 (ko) 2010-11-12 2011-11-09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13538637A JP5972893B2 (ja) 2010-11-12 2011-11-09 済州島みかんの花の香りを再現した香料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HK14100166.2A HK1186990A1 (en) 2010-11-12 2014-01-08 Aroma composition whereby the fragrance of citrus unshiu of jeju island is reproduced,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for external application to the sk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880A KR101799027B1 (ko) 2010-11-12 2010-11-12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443A true KR20120051443A (ko) 2012-05-22
KR101799027B1 KR101799027B1 (ko) 2017-11-21

Family

ID=4605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880A KR101799027B1 (ko) 2010-11-12 2010-11-12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972893B2 (ko)
KR (1) KR101799027B1 (ko)
CN (1) CN103260634B (ko)
HK (1) HK1186990A1 (ko)
WO (1) WO2012064099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6010A1 (ko) * 2015-02-06 2016-08-11 (주)아모레퍼시픽 귤꽃류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WO2016126011A1 (ko) * 2015-02-02 2016-08-11 (주)아모레퍼시픽 무화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WO2017142279A1 (ko) * 2016-02-15 2017-08-24 (주)셀트리온 지역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664B1 (ko) * 2015-01-06 2016-10-28 한국콜마주식회사 톱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JP2016160200A (ja) * 2015-02-27 2016-09-05 馬路村農業協同組合 柚子花精油及び化粧料用香料並びに化粧料
KR101843166B1 (ko) 2016-08-12 2018-03-29 (주)셀트리온 제주도 감귤 재배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428986B1 (ko) * 2016-04-29 2022-08-04 (주)아모레퍼시픽 백련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JP6974041B2 (ja) * 2017-06-06 2021-12-01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飲料、飲料ベース、飲料の製造方法、飲料ベースの製造方法、及び、オレンジフラワー様の香気の付与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836328T2 (de) 1997-06-23 2007-05-31 Naturex Inc. Lagerungsstabile, zitrusaromatisierte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pflanzenextrakte
JP3927321B2 (ja) * 1998-08-06 2007-06-06 長谷川香料株式会社 新規な香気捕集方法及び装置並びに芳香液又は芳香組成物
CN1500477A (zh) * 2002-11-13 2004-06-02 丛繁滋 带有植物芳香气息的速效气雾剂及其制备方法
JP2004168936A (ja) * 2002-11-21 2004-06-17 Kiyomitsu Kawasaki シトラス様香料組成物
JP2005075881A (ja) * 2003-08-29 2005-03-24 T Hasegawa Co Ltd 香料組成物
JP4711336B2 (ja) * 2005-09-06 2011-06-29 曽田香料株式会社 香粧品用香料組成物
KR100645879B1 (ko) * 2005-11-10 2006-11-14 (주)아모레퍼시픽 녹차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234024B1 (ko) * 2006-10-31 2013-02-19 (주)아모레퍼시픽 백매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438368B1 (ko) * 2007-11-19 2014-09-12 (주)아모레퍼시픽 인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JP4183142B1 (ja) * 2008-02-29 2008-11-19 長谷川香料株式会社 柑橘香味増強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6011A1 (ko) * 2015-02-02 2016-08-11 (주)아모레퍼시픽 무화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WO2016126010A1 (ko) * 2015-02-06 2016-08-11 (주)아모레퍼시픽 귤꽃류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60096903A (ko) 2015-02-06 2016-08-17 (주)아모레퍼시픽 귤꽃류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N107257845A (zh) * 2015-02-06 2017-10-17 愛茉莉太平洋股份有限公司 再现柑橘花类香气的香料组合物
US20180030375A1 (en) * 2015-02-06 2018-02-01 Amorepacific Corporation Fragrance composition reproducing the aroma of citrus flowers
CN110129133A (zh) * 2015-02-06 2019-08-16 爱茉莉太平洋股份有限公司 再现柑橘花类香气的香料组合物
WO2017142279A1 (ko) * 2016-02-15 2017-08-24 (주)셀트리온 지역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60634B (zh) 2015-08-19
WO2012064099A3 (ko) 2012-07-19
HK1186990A1 (en) 2014-03-28
CN103260634A (zh) 2013-08-21
JP2013543863A (ja) 2013-12-09
KR101799027B1 (ko) 2017-11-21
JP5972893B2 (ja) 2016-08-17
WO2012064099A2 (ko) 201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1443A (ko)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645879B1 (ko) 녹차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N103525558B (zh) 一种具有果香特征的茶树花香精及其在卷烟中的应用
KR20090051607A (ko) 인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064067B1 (ko) 자귀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60096903A (ko) 귤꽃류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080038813A (ko) 백매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N109762664A (zh) 一种持久型卷烟爆珠用茶叶香精及其制备方法
KR101541818B1 (ko) 산국 정유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KR20110001569A (ko)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20109021A (ko) 감국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26469B1 (ko) 연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20048284A (ko) 한방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20051456A (ko) 한방 열매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20053095A (ko) 백선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08501B1 (ko) 제주도 구상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81579B1 (ko) 초피나무 잎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0422757B1 (ko) 제주한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080013274A (ko) 증제 녹차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394530B1 (ko) 박달목서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20056481A (ko) 술패랭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46996A (ko) 치자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81580B1 (ko) 자두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10124942A (ko) 산국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080103741A (ko) 해당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