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9262A - 인펀트 캐리어 - Google Patents

인펀트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9262A
KR20120049262A KR1020127003754A KR20127003754A KR20120049262A KR 20120049262 A KR20120049262 A KR 20120049262A KR 1020127003754 A KR1020127003754 A KR 1020127003754A KR 20127003754 A KR20127003754 A KR 20127003754A KR 20120049262 A KR20120049262 A KR 20120049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support
head
suppor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3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노리 야나까
모모에 가메이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9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Abstract

유아(110)를 눕힌 상태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2)와, 지지구(2)의 헤드부 지지측이 되는 전단부(2a) 및 다리부 지지측이 되는 후단부(2b)를 매달아 지지하는 어깨 벨트(3)를 구비하고, 지지구(2)에는, 유아(110)를 눕히기 위한 매트부(4)가 설치되고, 매트부(4) 내에는 유아(110)의 지지 하중에 저항해서 매트부(4)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코어재로서 등판(10)이 설치된 인펀트 캐리어(1)에 있어서, 등판(10)에는, 유아의 등(112)을 지지하는 등 지지면(11a)을 갖는 등 지지판(11)과, 유아의 헤드부(111)를 지지하는 헤드 지지판(12)이 설치되고, 헤드 지지판(12)에는, 유아의 후두부(111a)를 등 지지면(11a)보다도 후퇴한 위치에서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14)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인펀트 캐리어{INFANT CARRIER}
본 발명은, 유아를 옆으로 안은 자세로 매달아 지지할 수 있게 한 인펀트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유아를 지지구 상에 대략 수평으로 눕힌 상태에서 그 지지구를 사용자의 어깨로부터 벨트로 매달아 지지하도록 한 인펀트 캐리어에 있어서, 지지구의 내부에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로 구성된 코어재를 배치해서 지지구의 형상 유지를 도모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1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230107호 공보
목을 가누지 못하는 유아를 옆으로 안은 상태에서 매달아 지지하는 경우, 유아를 배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매트부를 지지구에 설치하고, 그 매트부에 상술한 코어재로서 등판을 내장시키고 있다. 이 등판이 대략 평탄한 형상이면, 유아의 헤드부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아의 헤드부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인펀트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펀트 캐리어는, 유아를 눕힌 상태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와, 그 지지구의 헤드부 지지측이 되는 전단부 및 다리부 지지측이 되는 후단부를 매달아 지지하는 어깨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구에는, 상기 유아를 눕히기 위한 매트부가 설치되고, 그 매트부 내에는 유아의 지지 하중에 저항해서 매트부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코어재로서 등판이 설치된 인펀트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등판에는, 유아의 등을 지지하는 등 지지면을 갖는 등 지지부와, 유아의 헤드부를 지지하는 헤드 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헤드 지지부에는, 유아의 후두부를 상기 등 지지면보다도 후퇴한 위치에서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인펀트 캐리어에 따르면, 유아를 매트부에 눕혔을 때에 유아의 헤드부가 등판의 헤드 지지부에 지지된다. 이때, 유아의 후두부가 보유 지지부에 의해 등 지지면 보다도 후퇴한 위치에서 보유 지지되므로, 유아의 헤드부가 안정된다. 따라서, 유아의 경추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펀트 캐리어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부에는, 상기 유아 헤드부의 자중에 의해 변형 가능한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따르면, 유아의 헤드부가 보유 지지부에 위치했을 때에 지지부가 변형되면서 유아의 후두부를 보유 지지하므로 유아의 헤드부가 안정된다.
본 발명의 인펀트 캐리어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부에는, 상기 유아의 후두부가 빠지는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따르면, 유아의 헤드부가 자중(自重)에 의해 구멍부에 들어맞음으로써 헤드부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된다. 또한, 인펀트 캐리어의 사용자에 있어서는, 유아의 헤드부를 매트부의 하면측으로부터 지지했을 때에 유아의 후두부의 감촉이 손에 전해짐으로써, 유아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어, 안심감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인펀트 캐리어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를 덮는, 탄력성을 갖는 쿠션 부재를 구비해도 된다. 이 형태에 따르면, 쿠션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유아의 헤드부가 부드러운 감촉에 둘러싸여, 후두부에 딱딱한 느낌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의 인펀트 캐리어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에는, 슬릿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따르면, 유아의 헤드부가 보유 지지부에 위치했을 때에 헤드부의 자중에 의해 적절하게 슬릿이 개방되면서, 후두부가 쿠션 부재에 의해 보유 지지된다. 따라서, 후두부에 딱딱한 느낌을 없애고 , 또한 헤드부를 안정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 부재가 우레탄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펀트 캐리어에 있어서는, 유아를 매트부에 눕혔을 때에 유아의 헤드부가 등판의 헤드 지지부에 지지된다. 이때, 유아의 후두부가 보유 지지부에 의해 등 지지면 보다도 후퇴한 위치에서 보유 지지되므로, 유아의 헤드부가 안정된다. 따라서, 유아의 경추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인펀트 캐리어의 사시도.
도 2는 인펀트 캐리어의 사용시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등판의 상면도.
도 4는 등판의 측면도.
도 5는 헤드 지지판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인펀트 캐리어의 등판의 상면도.
도 1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인펀트 캐리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인펀트 캐리어(1)는, 유아를 눕힌 상태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2)와, 그 지지구(2)의 헤드부 지지측이 되는 전단부(2a) 및 다리부 지지측이 되는 후단부(2b)를 매달아 지지하는 어깨 벨트(3)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구(2)는 유아가 가로 눕는 매트부(4)를 갖고, 그 매트부(4)의 전방 테두리(4a)에는 유아의 헤드부를 둘러싸기 위한 헤드 가드(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매트부(4)의 좌우의 측부 테두리(4c)에는 각각 대략 삼각 형상의 사이드 패드[(측방 지지부)(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사이드 패드(6) 사이에는 배두렁이 패드(7)가 배치되고, 그 기부(7a)는 매트부(4)의 후방 테두리(4b)보다도 다소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꿰매기 등의 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헤드 가드(5)와 사이드 패드(6) 사이에는, 수유용의 개구부(8)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매트부(4), 헤드 가드(5), 사이드 패드(6) 및 배두렁이 패드(7)는 모두 적당한 내장재를 포제(布製)의 표피재로 덮어서 형성되어 있다. 내장재나 표피재는 인펀트 캐리어(1)의 각 부의 용도나 기능에 따라서 적당하게 변경된다.
매트부(4)는, 본체부(4A)와 다리 지지부(4B)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4A)는 유아(110)의 헤드부로부터 둔부까지를 지지하고, 다리 지지부(4B)는 유아(110)의 다리부(113)를 지지한다. 각 부(4A, 4B)의 상면측의 표피재로는, 통기성을 고려해서 메쉬 천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각 부(4A, 4B)의 내부에는, 우레탄 등의 쿠션재가 내장재로서 배치되어 있다.
매트부(4)의 내부에는, 쿠션재와는 다른 별도의 내장재로서, 매트부(4)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코어재로서 기능하는 등판(10)이 내장되어 있다. 도 3에 등판(10)의 상면도, 도 4에 등판(10)의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등판(10)은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소재로 하는 성형품이다. 등판(10)은, 유아(110)의 등으로서의 등부(112)를 지지하는 등 지지면(11a)을 갖는 등 지지부로서의 등 지지판(11)과, 유아(110)의 헤드부(111)를 지지하는 헤드 지지부로서의 헤드 지지판(12)과, 다리 지지부(4B)의 형상을 유지하는 다리 지지판(13)이 설치되어 있다. 등판(10)에는, 유아(110)를 지지할 때의 부하에 대하여 거의 원래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이 부여되어 있다. 등 지지판(11)은 평탄한 형상으로, 등 지지면(11a)의 거의 전체면에는, 복수의 통기 구멍(1lb)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 구멍(1lb)은, 매트부(4)의 통기성을 개선시킨다.
헤드 지지판(12)은, 등 지지면(11a)의 일단부측을 연장해서 설치되는 원형 형상 판이다. 헤드 지지판(12)의 중앙에는, 유아(110)의 헤드부(111)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14)가 설치되어 있다. 보유 지지부(14)는, 헤드 지지판(12)에 형성된 구멍부(12a)와, 헤드 지지판(12)의 상면, 즉 유아(110)가 눕는 측의 면에 설치된 유아(110)의 헤드부(111)를 지지하는 지지부로서의 쿠션 부재(15)를 구비하고 있다. 구멍부(12a)는, 유아(110)를 눕히는 방향인 중심선(L) 방향이 긴 원이 되는 타원 형상이다. 쿠션 부재(15)는, 구멍부(12a)를 덮도록 구멍부(12a)의 주위에 고정되고, 구멍부(12a)의 중앙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슬릿(15a)이 설치되어 있다. 슬릿(15a)은, 유아(110)의 헤드부(111)가 구멍부(12a)에 들어맞도록 십자 형상으로 베어져 있다. 또한, 슬릿(15a)의 형상은, 십자 형상 이외에도, 슬릿 개수를 변경한 방사상이어도 된다. 슬릿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후술하는 변형예와 같은 형상의 구멍이어도 된다. 적당한 형상을 적용해도 된다.
쿠션 부재(15)에는, 우레탄 등의 탄력성을 갖는 소재가 적용된다. 등 지지판(11)의 타단부측에는, 등 지지판(11)에 대하여 상면측으로 절곡되도록 해서 다리 지지판(13)이 설치되어 있다. 다리 지지판(13)은, 유아(110)의 고간(股間)에 위치하도록 다리 지지부(4B)의 내부에 끼워져 다리 지지부(4B)의 형상 변화를 억제한다. 한편, 등 지지판(11) 및 헤드 지지판(12)은, 본체부(4A)에 대하여 설치되어, 본체부(4A)의 형상 변화를 억제한다. 도시한 형태에서는, 등판(10)은, 각 지지판(11 내지 13)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리 지지판(13)은, 등판(10)과는 별개의 판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등판(10)이 등 지지판(11) 및 헤드 지지판(12)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매트부(4)에는, 유아(110)의 헤드부(111)를 두는 범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스티치 라인(9)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인펀트 캐리어(1)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매트부(4)에 유아(110)를 눕히면, 유아(110)의 헤드부(111)는 등판(10)의 헤드 지지판(12)의 상방에 위치한다. 헤드부(111)는, 매트부(4)의 쿠션재를 통해서 헤드 지지판(12)의 구멍부(12a)에 보유 지지된다. 도 5에 헤드 지지판(12)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실제 사용시에는, 등판(10)은 매트부(4)의 내장재로서 내장되므로 도시와 같은 사용은 상정되어 있지 않지만, 설명의 편의상, 헤드 지지판(12)과 헤드부(111)의 관계를 도 5에 도시한다. 매트부(4)에 눕혀진 유아(110)의 헤드부(111)는, 헤드 지지판(12)에 설치된 쿠션 부재(15) 상에 위치해 구멍부(12a)에 빠져든다. 이때, 유아(110)의 후두부(111a)는, 등 지지면(11a) 보다도 후퇴한 위치에서 보유 지지된다. 쿠션 부재(15)의 슬릿(15a)에 의해 후두부(111a)는 구멍부(12a)에 적절하게 빠지기 때문에, 딱딱한 느낌을 없애고, 또한 안정감이 얻어진다. 또한, 등 지지면(11a) 보다도 후퇴한 위치이므로, 유아(110)의 경추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시키면서, 유아(110)의 기도를 압박할 염려도 없다. 또한, 등판(10)에 대하여 헤드부(111)가 들어가기 때문에, 매트부(4) 하면을 인펀트 캐리어(1) 사용자(100)의 손(101)으로 지지했을 때에, 사용자(100)는 유아(110)의 헤드부(111)의 감촉이 얻어진다(도 2). 이에 의해, 사용자(100)는, 유아(110)를 지지하는 감각이 얻어져, 심리적인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형태에서는, 등판(10)과 쿠션 부재(15)가 별개의 부재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보유 지지부(14)를 일체적으로 성형해도 된다. 등판(10)의 변형예를 도 6에 도시한다. 변형예의 등판(10A)은, 변형 특성을 갖는 소재로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또한, 등 지지판(11) 및 다리 지지판(13)의 형상은 상술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헤드 지지판(12A)의 보유 지지부(14A)에는, 유아(110)의 헤드부(111)를 보유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21)가 설치되어 있다. 각 지지부(21)는, 헤드 지지판(12A)의 중심을 향해서 서로 독립해서 연장되어 있고, 헤드 지지판(12A)의 중심은, 각 지지부(21)로 형성되는 구멍부(22)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22)에 유아(110)의 헤드부(111)가 위치하면, 지지부(21)에 보유 지지되면서 등판(10A)에 대하여 헤드부(111)는 빠져든다. 지지부(21)가 헤드부(111)의 자중에 의해 만곡됨으로써, 상술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보유 지지부(14A)의 형상은 십자 형상의 슬릿 등이어도 되고, 적당한 형상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보유 지지부(14)는, 쿠션 부재(15)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구멍부(12a)만이어도 된다. 매트부(4)의 쿠션재를 유아(110) 헤드부(111)의 자중을 견디어낼 수 있는 소재로 하면, 쿠션 부재(15)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쿠션 부재(15)의 슬릿(15a)은,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탄력성을 갖고, 헤드부(111)의 자중을 견디어낼 수 있는 소재이면 슬릿(15a)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쿠션 부재로서 메쉬 소재나 네트, 천 등의 신축성을 갖는 소재를 구멍부(12a)에 붙이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쿠션 부재로서 우레탄을 사용한 경우, 중앙을 얇게 구성해도 된다. 또한, 쿠션 부재(15)는 등판(10)의 상면측에 설치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쿠션 부재(15)가 하면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구멍부(12a) 주위의 헤드 지지판(12)을 쿠션 부재(15)가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Claims (6)

  1. 유아를 눕힌 상태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와, 그 지지구의 헤드부 지지측이 되는 전단부 및 다리부 지지측이 되는 후단부를 매달아 지지하는 어깨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구에는, 상기 유아를 눕히기 위한 매트부가 설치되고, 그 매트부 내에는 유아의 지지 하중에 저항해서 매트부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코어재로서 등판이 설치된 인펀트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등판에는, 유아의 등을 지지하는 등 지지면을 갖는 등 지지부와, 유아의 헤드부를 지지하는 헤드 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헤드 지지부에는, 유아의 후두부를 상기 등 지지면 보다도 후퇴한 위치에서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인펀트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부에는 상기 유아 헤드부의 자중에 의해 변형 가능한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인펀트 캐리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부에는 상기 유아의 후두부가 빠져들어가는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는, 인펀트 캐리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로서, 상기 구멍부를 덮는, 탄력성을 갖는 쿠션 부재를 구비한, 인펀트 캐리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에는 슬릿이 설치되어 있는, 인펀트 캐리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가 우레탄인, 인펀트 캐리어.
KR1020127003754A 2009-08-13 2010-08-06 인펀트 캐리어 KR201200492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87757 2009-08-13
JP2009187757A JP5479813B2 (ja) 2009-08-13 2009-08-13 子守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262A true KR20120049262A (ko) 2012-05-16

Family

ID=43586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3754A KR20120049262A (ko) 2009-08-13 2010-08-06 인펀트 캐리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465388A1 (ko)
JP (1) JP5479813B2 (ko)
KR (1) KR20120049262A (ko)
CN (1) CN102548453B (ko)
HK (1) HK1167301A1 (ko)
TW (1) TWI489961B (ko)
WO (1) WO20110190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1486B1 (en) * 2013-03-11 2014-03-18 Steven Paperno Neck, spine, and spinal cord support device for newborn baby and infant, and blanket assembly for same
CN105029961A (zh) * 2015-06-30 2015-11-11 河南绿普森农林科技有限公司 一种婴儿保育装置
JPWO2021015285A1 (ja) * 2019-07-25 2021-11-18 シンクランド株式会社 針付カプセル及び針付カプセル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3349B2 (ja) * 1999-10-18 2010-05-19 コンビ株式会社 子守帯
JP2002282097A (ja) * 2001-03-26 2002-10-02 Combi Corp 乳児用ヘッドキープ、乳児用ヘッドキープ付き子守帯および横抱き子守帯
CN1134236C (zh) * 2001-05-22 2004-01-14 新丽企业股份有限公司 缠绕型缕空枕头
RU2006107554A (ru) * 2003-09-11 2006-07-27 Априка Икудзикенкиукай Априка Кассай Кабусикикайся (Jp) Удерживающая младенца в нужном положении конструкция и подушка для младенца
TWI344830B (en) * 2003-10-20 2011-07-11 Combi Corp Nursing belt
TW200538076A (en) * 2004-02-17 2005-12-01 Combi Corp Infant carrier
JP2005230107A (ja) * 2004-02-17 2005-09-02 Combi Corp 子守帯
JP5026720B2 (ja) * 2006-03-31 2012-09-19 コンビ株式会社 子守帯
KR100906369B1 (ko) * 2009-01-14 2009-07-06 김세영 수유 쿠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48453B (zh) 2015-04-15
JP2011036497A (ja) 2011-02-24
TWI489961B (zh) 2015-07-01
CN102548453A (zh) 2012-07-04
WO2011019004A1 (ja) 2011-02-17
HK1167301A1 (en) 2012-11-30
TW201110917A (en) 2011-04-01
JP5479813B2 (ja) 2014-04-23
EP2465388A1 (en)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03593C (en) Vehicle seat protector
US20130283533A1 (en) Pillow
CN102281779A (zh) 哺乳垫
WO2007034311A3 (en) Support member and mattress
KR101337038B1 (ko) 유아용 자세 유지 쿠션 및 상기 쿠션을 이용한 유아 지지구조
US9743780B2 (en) Infant enclosure
KR20120049262A (ko) 인펀트 캐리어
KR200474275Y1 (ko) 영유아용 다용도시트
JP6827335B2 (ja) 母乳パッド
JP3179351U (ja) 枕用シート
KR101560675B1 (ko) 목쿠션
JP6959657B2 (ja)
KR200471639Y1 (ko) 가슴받이 쿠션
JP3178688U (ja) 便座シート
KR101028579B1 (ko) 아기 수면보호대
KR101649980B1 (ko) 목 베개부가 장착된 기능성 베개
JP5976150B1 (ja)
JP5079308B2 (ja) 椅子における背板へのカバーの取付構造
JP3198381U (ja) 椅子の座席部取り付け構造
JP6636251B2 (ja)
KR20120066088A (ko) 수유 자세를 자유롭게 하는 수유 쿠션
JP5503690B2 (ja) 椅子
KR20240063412A (ko) 베개 커버
KR20170003641U (ko) 매트리스
ITMI20130185U1 (it) Materasso sott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